[

Ойындар

#티전드 #벌거벗은한국사 #tvNSTORY
〈벌거벗은 한국사〉 매주 수 오후 8시 20분 tvN STORY에서!
TVING으로 다시보기👉 www.tving.com/contents/P00159...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25

  • @user-em9kf5ez6m
    @user-em9kf5ez6mАй бұрын

    주몽 드라마 다시 보니까 대소 연기 진짜 끝내주네

  • @user-hi6sl7bk8d
    @user-hi6sl7bk8dАй бұрын

    재밋게 잘봤습니다 신화임에도 실화처럼 느껴졌어요ㅎㅎ

  • @gsgteycscgwh
    @gsgteycscgwhАй бұрын

    주몽 드라마 보면 부여의 총 인구는 4천명,군대는 2백명으로 보이든데...고구려는 2백명이 모인 촌락이고 총 병력은 50명쯤.

  • @equalist.k7983

    @equalist.k7983

    5 күн бұрын

    방송사 특임. 공중파 기준 병력 엑스트라 숫자 KBS > SBS > MBC

  • @user-yd2bp1um4p
    @user-yd2bp1um4pАй бұрын

    주몽진짜 재밌게봤는데ㅋㅋ

  • @user-wp5tp5kb4j
    @user-wp5tp5kb4jАй бұрын

    나는 이런 역사 강연에서 당대를 다룬 모든 사서 내용을 전부 나열하고 패널들과 생각해보는 그런 프로그램을 보고 싶다. 해모수와 유화에 에피소드에서도 해모수에게 아들이 없어 자식을 낳게 할 여자를 납치 비슷한거 해서 유화를 겁탈하는 기록도 있고 유화랑 하백이 해모수가 애매하게 나오니까 해모수한테 술 먹이고 강제로 잠자리 갖는 기록도 있고 금와의 양부 해부루는 기록에 따라 해모수의 아들인 경우도 있는데 그럼 위의 해모수에게 아들이 없었다는 기록이 뭐가 되는지 이런걸 논의 하는 방송이 있었으면함 정답을 제시 하는것 보다 논의 자체가 재밌는건데

  • @user-ny6lj3lt6r
    @user-ny6lj3lt6r24 күн бұрын

    드라마볼때마다 천손의후예 라고하는거 진짜 멋짐 ㅎㅎ 중원애서 염병할만함..ㅎㅎ

  • @user-gf8bu7iw5m
    @user-gf8bu7iw5m16 күн бұрын

    엄밀히 따지면 고구려 건국신화가 아니라 부여건국신화임. 그냥 부여 방계 왕족 추모가 졸본에서 고구려 세우고나서 그 후손들이 부여 건국신화를 갖다 붙인 것이라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해석.

  • @user-nf7tm6qz9a
    @user-nf7tm6qz9a13 күн бұрын

    이지도가 맞을까요 중국의 동북공정에 메몰 되지않을려면 지도 선택도 잘해야 합니다

  •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10 күн бұрын

    추모왕..추모르...지금의 몽골어에 가까운...한자로 음차하다보니 추모...중앙아시아에서 동북아에 걸치는 언어는 같은 뿌리에서 분화되어 오지 않았을까요?

  •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10 күн бұрын

    온달도 중앙아시아에 가면 흔한 이름...온다르...

  • @user-ez5lw6dd1j
    @user-ez5lw6dd1j26 күн бұрын

    고구려가 멸망한 이유는 딱 한가지 영토가 넓어서 관리할수없어서임

  • @misosai17
    @misosai173 күн бұрын

    확실히 조선막장시대가 재미잇네

  • @user-uc8vw5zl6o
    @user-uc8vw5zl6o19 күн бұрын

    주몽 신녀패거리들 빼고는 다 연기잘함

  • @user-lk7xh4hj6i
    @user-lk7xh4hj6iАй бұрын

    단군신화는 성경의 이 이야기와 유사하네요. 성경에 기록된 내용은 "하느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을 보고 취하여 아들을 낳으니, 네피림(거인)이라. 당대의 영웅이더라..." 그 이후 노아 홍수 심판이 일어나는데, 육신화한 하느님의 아들들은 모두 육신을 벗고 다시 영의 존재로 돌아갔을 것으로 보더군요. 이 이야기가 구전되어 이러한 신화를 만드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습니다.

  • @A-RABID-DOG
    @A-RABID-DOGАй бұрын

    강한국가인건 맞는데 천년도 못가 고구려와 백제는 멸망 발해또한 오백년도 못가 멸망 유일무이하게 오직 신라만이 멸망 안했음 신라는 멸망한게 아니고 신라 마지막 왕이 왕건의 본모습을보고 왕의자리를 비켜줌.... 왕건은 신라 마지막 왕께 감사를 표해 경주 땅을 다스릴수 있도록 현 시장 자리를 마련해줌

  • @YoonSuckChang

    @YoonSuckChang

    2 күн бұрын

    가서 중국 왕조 유지기간 보고와라 에휴 빡머가리

  • @user-bo4le4hb4l
    @user-bo4le4hb4l23 күн бұрын

    선생놈이나 학생들이나 꼭 어린이들 같은 소설같은 이야기만 하는구나! 알에서 깨어난건 통치자를 신성시 하기위한 설화다. 하백은 족장이고 유화는 족장의 딸이며 해모수는 그냥 훌륭한 지도자일뿐. 모든건 건국신화화한 실존 인물일 뿐이다.

  • @banniechae1594

    @banniechae1594

    2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신화라고 부르는데 문제있습니까 아재요

  • @js-wx3xf

    @js-wx3xf

    13 күн бұрын

    엄연히 고조선부터 부여,고구려라는 역사가 이어져내려왔는데 더욱이 강성했던 고구려의 건국을 단순히 신화정도로 치부한 사대주의자 김부식의 삼국사기를 마치 역사서인것마냥 실존인물들을 이리저리 엮어대며 깎아내린듯하여 화가납니다 고조선의 단군역사를 곰,호랑이 어쩌구 단군신화로 치부한것도 모자라 고구려건국까지 신화로 만드는게 이게 맞는겁니까?

  • @user-xe3wq4in4w
    @user-xe3wq4in4w12 күн бұрын

    알에서 태어나 ㅋㅋ당근 봉알에서 올쟁이가 수정했어 나왔지 ㅋㅋㅋㅋㅋㅋ삼국지냐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