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버튼 없었으면 어쩔 뻔했어요?" 약대에 오자마자 인터넷 커뮤니티 글을 보고 열등감을 느껴 의대 편입을 준비하는 수험생 | All About 입시 31화

📡 미미미누 트위치 라이브: / ks8553v
📺 방송 풀버전 채널: / @mi5nu
✅인스타그램 :@mimi__minu
✅페이스북: /kimminwoo6
💬네이버 팬카페: cafe.naver.com/mimiminu
📪 채널 협업 문의: ad@overlaps.studio
❓ 채널 기타 문의: open.kakao.com/o/sjhs0QQf

Пікірлер: 637

  • @mi3nu
    @mi3nu7 ай бұрын

    📢 [미미미누] 윤도영 쌤과 함께하는 입시 상담 콘텐츠 'All about 입시' 사연 모집 (최대한의 익명성을 보장해드립니다) ✅ 'All about 입시'란? : 윤도영 선생님과 미미미누가 시청자들의 입시/학업/학교생활 등과 관련된 상담을 해주는 콘텐츠 ✅ 사연 신청 가능 주제 : 입시/학업/학교생활 등과 관련된 고민이라면 모두 신청 가능! (단, 고민의 내용을 최대한 자세히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사항 - 사연 선정 여부는 개별적으로 연락을 드립니다 - 사연에 선정된 분들은 통화 상담이 가능해야 하고, 내용에 따라 출연 요청을 드릴 수 있습니다(출연은 자율) - 성함 언급이 부담스러운 분들은 가명 또는 익명으로 상담을 진행합니다 ✅ 신청 링크: forms.gle/WanvDGVYU7JKMmsH8 ✅ 관련 문의 미미미누 채널 문의 오픈채팅방: open.kakao.com/o/sjhs0QQf

  • @user-us5iy3ee3x

    @user-us5iy3ee3x

    7 ай бұрын

    30대 직장인의 진로 관련 상담도 가능하신지 궁금합니다^^

  • @n2o460
    @n2o4607 ай бұрын

    계속 발작버튼눌리면서 키배뜨는데 학교는 업그레이드시키는게 진짜 대단하네ㅋㅋㅋㅋㅋ

  • @kan8073

    @kan8073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nbvcxz1597

    @mnbvcxz1597

    6 ай бұрын

    이게 대단하심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op6ql1jl9l
    @user-op6ql1jl9l7 ай бұрын

    열심히 했으면서 운이 좋았다고 겸손한 이 학생에게 최대한으로 칭찬해 주시는 도영쌤. 당신이 열심히 해서 그런 결과를 얻게된거라고 자존감 확 올려주시네... 쌤 최고다 진짜 ㅎㅎ

  • @user-ee2zu8wr8i

    @user-ee2zu8wr8i

    7 ай бұрын

    윤선생님 진짜진짜 최고입니다~~

  • @user-qb6kw1dk1r

    @user-qb6kw1dk1r

    9 сағат бұрын

    저게 얼마나 대단한건지 수많은 학생을 봐서 알지...

  • @user-tu7kh8ld2m
    @user-tu7kh8ld2m7 ай бұрын

    럭키 편돌이는 생각도 안해본 단어인데 넷상 후려치기는 진짜 대단하다..

  • @heendoong1

    @heendoong1

    6 ай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빌게이츠는 럭키 공돌이노?? ㅋㅋㅌㅌㅌㅌ

  • @hnai1479

    @hnai1479

    6 ай бұрын

    그러게요~첨 들어봐요.

  • @jiwoongshin-ow6oj

    @jiwoongshin-ow6oj

    6 ай бұрын

    ​@@heendoong1빌게이츠랑 비교는 좀

  • @user-vkfvjfdl

    @user-vkfvjfdl

    5 ай бұрын

    수의사는 짐승 불x따개라고 욕하는거 봤고 아마 의대,치대빼면 거의 다 욕먹을껄요 ㅋㅋㅋ 로스쿨도 욕하던데

  • @alwaysbejaerong

    @alwaysbejaerong

    5 ай бұрын

    오르비 이런 수험생 커뮤니티에선 좀 유명한말 ㅋㅋ 열등감에서 비롯된걸지도

  • @user-fl7yy8to8h
    @user-fl7yy8to8h7 ай бұрын

    뭔가 웃기면서도 대단하시네ㅋㅋ 발작버튼 띡 누르니까 갑자기 몇달 사라지더니 합격증 띡 들고오는게

  • @user-mp8vj3ud3x

    @user-mp8vj3ud3x

    7 ай бұрын

    저 정도 실천력이면 평생 발작버튼 눌리면 엄청난 사람이 되어 있을 거 같음 ㅋㄱㄱㄱ

  • @dontfallinline

    @dontfallinline

    7 ай бұрын

    근데 저렇게 열등감으로 쭉쭉쭉 스택 쌓아오시면서 자기도 모르게 지치진 않았나 걱정되긴 함 사연자 분이 말하는 ‘운’이 발작버튼으로 눌려서 발동된 노력에 의한 결과가 여태까지는 한 번도 어긋나지 않았다는 의미같은데, 만약 이번에 의대 편입 떨어지면 이제 ‘발작버튼 사이클’도 한 번 삑사리가 나니까... 흠 그러면 이게 다른 방향으로 어긋날 여지도 있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상담도 받아보시는 걸 조심스럽게 추천드려봄

  • @user-fo7me2tx1b

    @user-fo7me2tx1b

    7 ай бұрын

    @@coolaffz제가 예전에 저랬는데 고2부터 저런 열등감 풀어지기 시작해서 고3내 풀림 근데 지금까지 이룬게 ㅈㄴ 행복하게해줌 열등감 자연스레 풀리는데 결국 행복해짐

  • @user-jo8ew2ki5c

    @user-jo8ew2ki5c

    6 ай бұрын

    ​​@@coolaffz 존나 행복할걸 만약 그 열등감이 없었다면 충북대 정도로 인생을 마감했을텐데

  • @user-bn8mb2xc5l

    @user-bn8mb2xc5l

    5 ай бұрын

    @@user-jo8ew2ki5c 갑자기 충북대는 왜 후려치냐ㅋㅋ

  • @Fragment_winter_xx49
    @Fragment_winter_xx497 ай бұрын

    럭키 편돌이 ㅋㅋㅋㅋㅋㅋㅌㅌㅋㅋㅋㅋ 진짜 커뮤는 안하고 사는게 맞다 끝없이 남과 비교하면서 살면 내 앞길을 보지 못한다 지금 앞에 있는 행복을 보고 앞에있는 일들을 열심히 하자

  • @user-sq9dy2dw6d

    @user-sq9dy2dw6d

    7 ай бұрын

    ㄹㅇ 유튭도 솔직히 따지고 보묜 커뮤라 유튭이든 뭐든 간에 커뮤는 최대한 안 하는게 좋은듯 비교하면서 열등감 갖기 가장 쉬움

  • @user-uw1jr3st4k

    @user-uw1jr3st4k

    7 ай бұрын

    @@user-sq9dy2dw6d 유튭이 커뮤라기 보단, 여기서 말하는 커뮤라는게 디시나 여성시대?(할 짓없어서 거기 사는 새끼들,,) 그런 느낌이라. 커뮤에 사는 애들이 유튜브에 많이 보이는게 사실이지.

  • @user-jl9kx3xe8x

    @user-jl9kx3xe8x

    7 ай бұрын

    ​@@user-sq9dy2dw6d 여기서 말하는 커뮤는 오르비 빡갤 이런거라 성격이 다르긴함

  • @user-bg9nd6ll5d

    @user-bg9nd6ll5d

    7 ай бұрын

    @@user-jl9kx3xe8x 주제만 성적 학원 등등 공부 관련이지 결국 다른 커뮤도 하는 애들일 확률이 높긴하

  • @user-wq3de6hm7s

    @user-wq3de6hm7s

    7 ай бұрын

    진짜 약사보고 럭키편돌이? 나 시켜줘!

  • @hwan9598
    @hwan95987 ай бұрын

    20:57 마지막 말씀에서 왜 이 컨텐츠가 계속 되는지 알 것 같네요. 흔히 생각하는 '커뮤니티 끊고 할거 해라' 가 아니라, 수험생의 입장을 이해한 맞춤 솔루션을 제시하신 게 대단하시네요.. 범인은 생각도 못하는 해결법..

  • @user-ox2ye1cr2l

    @user-ox2ye1cr2l

    7 ай бұрын

    진짜 매번 감동을 얻고 간다

  • @Sweden040
    @Sweden0407 ай бұрын

    누가 의대 발작버튼 좀 제대로 눌러줘라ㅋㅋㅋㅋㅋㅋ 특이한 의미로 대단하다

  • @user-fd1sx9yv9f

    @user-fd1sx9yv9f

    6 ай бұрын

    근데 발작버튼도 그거랑 비슷한 수준이 돼야 좀 눌리는데 난 메디컬 수준에 눈꼽 만큼도 못미쳐서 발작버튼이 아예없누..

  • @user-zk2so5lp4g

    @user-zk2so5lp4g

    5 ай бұрын

    의대발작버튼은 의주빈아님?

  • @wishwish22
    @wishwish227 ай бұрын

    약대 : 럭키편돌이 의대 : 청진기 한의대 : 무당 수의대 : 부랄따개 커뮤에서 이런식으로 조롱하는건 밑도끝도없는데 그런거에 휘둘리면 아무것도못해요 한 분야의 전문가는 그 자체로 존중받을만한겁니다

  • @buckyou0

    @buckyou0

    7 ай бұрын

    수의대는 ㅅㅂㅋㅋㅋㅋㅋ

  • @user-xv5qq2we2p

    @user-xv5qq2we2p

    7 ай бұрын

    의대는 의주빈 아니었나 ㅋㅋ

  • @stilloveko651

    @stilloveko651

    7 ай бұрын

    한의대생들 당연히 공부야 최최최상위권이지만 무당은 그냥 팩트임 걔네들 왜 건보료로 수가 나눠 받는지 모르겠음 국민중에 한의원 가는 사람은 극극극일부 뿐인데 왜 세금 받아가서 쓰는거지? 의사처럼 의료기기가 수억원인 것도 아니고 진료가 전문의처럼 전문적인것도 아닌데???

  • @stilloveko651

    @stilloveko651

    7 ай бұрын

    방송 나와서 펜으로 머리 눌러보면서 내장기관 진료까지 다 끝내는거 보고 아 저게 ㄹㅇ 인간 mri 구나 싶었음 ㅋㅋㅋ mri 기구가 몇십억인데 그거 사는것보다 병원에 한의사 한 명씩 배치하는거 추천함 그리고 이것도 몇년 된 이야기지만 뻐까 채널에 관상 보면서 아이 임신 했는지 진료하고 있는 한의사도 있음 이래도 무장이 아닌건가??? 진짜 진심으로 건보료가 결국 국민 세금인데 얘네한테 왜 줌???

  • @user-hn2ub8cl4l

    @user-hn2ub8cl4l

    7 ай бұрын

    ⁠@@stilloveko651ㅋㅋㅋㅋㅋㅋ그건 옛날이야 그렇지 이제 한의사도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일하는거로 인정을 받았으니까 한의대라는 곳이 있는거 아닐까요? 그리고 사람들 한의원 엄청가요 ㅋㅋㅋㅋㅋㅋㅋ 저도 필요할 때 자주갑니다.

  • @TO-lo6oq
    @TO-lo6oq7 ай бұрын

    의대에 가면 금수저들이 많은 열등감 과별로 또 비교하는 숱한 말들.. 더 심한게 그제서야 시작 그동안 느낀 열등감은 성적만으로 노력해서 없앨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일차적인 수준였다는걸 입시가 끝나면 깨닫습니다. 내 노력으로 극복 안되는 열등감이 찐이고 입시후에 무궁한 비교와 넘사벽이 펼쳐집니다. 결국은 내 멘탈과 남의말들 걸러듣는 판단력이 제일 중요

  • @user-lk7wo8cu2x

    @user-lk7wo8cu2x

    7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성공한 아이돌들 보면서 그런 생각 많이 드네요 이건 노력만으로 되는 게 아니니.. 어릴 땐 대학만 잘 가면 성공한 인생인 줄 알았는데 거기서도 또다른 경쟁이 펼쳐지고 특출난 능력 없으면 그저그런 회사원인.. 요즘은 외모도 출중하고 사랑도 받고 돈도 많이 벌고 전세계적으로 공연하는 아이돌이 진짜 부럽더만요 사실 제가 꿈꾸던 삶은 아이돌이었나봐요 이제와서 생각해보니 어릴 때 공부했던 이유도 그땐 학업성적이 주목받기 쉬운 수단이었으니 그랬나 싶은.. 아무튼 나이 들수록 대학이랑은 비교도 안 되는 열등감이 찾아오고 내가 걸어온 길이 한없이 초라해보이고 그게 나를 좀먹더라고요

  • @user-me9ih6om4r

    @user-me9ih6om4r

    7 ай бұрын

    ㄹㅇ 피땀흘려 원하는 고등학교 가니 천재들만 넘쳐남. 그래서 피땀흘려 5등안에 드니 4등이 ㅈㄴ부러운거... 그래서 2등을 하니 1등이 내 친구라 진짜 짜증나는거임. 그래서 다시 피땀흘려 1등하니 눈에 들어오는건 금수저들... 결국 내 자신에 만족 못하면 끝까지 비교질만 하게 되더라.

  • @user-vv9ko4zh9k

    @user-vv9ko4zh9k

    7 ай бұрын

    @@user-me9ih6om4r 진짜 열심히 사셨네요... 멋있어요

  • @user-mi2lu1ng7v

    @user-mi2lu1ng7v

    6 ай бұрын

    금수저 진짜 개많음^^재벌의사집안-의대교수집안-한부모만 의사인집 등등 끝없이 있기때문에 진짜 남부러울것 없는 집이어도 제일 가난한편^^

  • @user-mi2lu1ng7v

    @user-mi2lu1ng7v

    4 ай бұрын

    @@user-me9ih6om4r ㄹㅇ 고등학교에선 공부 잘하는 애들끼리 보통 친하기땜에 친구랑 등수 선의의경쟁(?) 하던거 생각나네 ㅎㅎ 몇점 차이 안나는데 친구2등 나3등 이러면 또 과목별로 점수 비교하고 앉았던ㅋ

  • @user-sf1lg1mr9l
    @user-sf1lg1mr9l7 ай бұрын

    이렇게 잘난 분이 이렇게 자아가 없어서야 어떡합니까ㅠㅠㅠㅠㅠ 스스로의 성취를 대단히 여기셔도 되고 그래야만 합니다 목표한 걸 이룬다는 게 얼마나 대단한 건데요 부정적인 감정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낸다는 게 아주 고무적인 일이지만 이래서야 끝이 안 날겁니다 그딴 실체도 없는 사람들 말은 비웃고 넘어가셔야죠 면전에서 럭키 편돌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딴 사람 있으면 당장 손절하셔야죠 하지만 현실은 작성자님이 약사 타이틀을 걸고 만나는 사람들 중에는 그런 사람 없을 겁니다 더이상은 말도 안되는 헛소리에 휘둘리지 마시고 기쁜 마음으로 미래를 도모하셨으면 합니다.. 어떤 공부든 좋은 결과 받으시고 그렇지 않더라도 충분히 훌륭하시니 더는 마음 쓰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 @akfh0111

    @akfh0111

    6 ай бұрын

    ! 현실적

  • @user-og2zu9jk6n

    @user-og2zu9jk6n

    6 ай бұрын

    자아가 부족하면 주변말에 계속 흔들리게 되니까.. 솔직히 능력도 좋고 똑똑해보이는데 본인 삶의 행복도보다 사회적인 위치나 전망을 과할 정도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것 아닌가 싶기는 함 ㅠㅠ 근데 또 사회적인 명예를 중요하게 여기는 성격이면 그럴수밖에 없긴 한데..

  • @ssjwbsjxmadncbs
    @ssjwbsjxmadncbs7 ай бұрын

    의사 커뮤에서는 몇년전에 bts 수입 듣고 개현타 온다고 난리낫다하더람..... 사연자분 의대가고나서 연예인 준비하시는건가요...ㅋㅋㅋ

  • @user-amleld

    @user-amleld

    7 ай бұрын

    Bts는 너무 넘사잖아 ㅋㅋㅋㅋㅋ

  • @user-uw1jr3st4k

    @user-uw1jr3st4k

    7 ай бұрын

    아닠ㅋㅋㅋㅋㅋㅋ 본인 잘생기고 춤잘추고 노래 잘부르냐고,,,😅 공부는 잘하는데 주제파악이 안되노😢

  • @user-xe5zv3ll6w

    @user-xe5zv3ll6w

    7 ай бұрын

    @@user-uw1jr3st4k 진짜 궁금해서 그러는데 말끝에 노 붙이는 이유가 뭐임? 경상도 사람이라 사투리 쓰는거임? 아니면 인터넷에서 센척 좀 해보려고 쓰는거임? 그것도 아니면 일베하는거 티내고 싶어서 쓰는거임? 이것도 아니면 무슨 이유로 노 붙이는거임?

  • @user-mp9cp2nt3p

    @user-mp9cp2nt3p

    7 ай бұрын

    그럼 워랜버핏 수입 듣고 현타와서 주식도전하는거 화이팅!!

  • @ssjwbsjxmadncbs

    @ssjwbsjxmadncbs

    7 ай бұрын

    @@user-uw1jr3st4k 걍 드립이자나여ㅠㅠ 계속 주어진거에 만족못하고 커뮤에 휩쓸리니까...ㅎ

  • @silhouette___
    @silhouette___7 ай бұрын

    세상 완벽한 직업이랑 학과가 있을리가 주어진거에 만족하는 것도 똑똑함이다

  • @vinu01

    @vinu01

    7 ай бұрын

    wisdom

  • @sam_lee

    @sam_lee

    7 ай бұрын

    주어진 것에 만족하는 것과 주어진 혹은 가진 circle of competence를 발전시키는 건 또 다른 영역 아닐까

  • @Mincheolgayya..

    @Mincheolgayya..

    7 ай бұрын

    자기가 뭘 진정 잘하고 좋아하는지 파악하는것도 능력이죠 ㅎ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

    7 ай бұрын

    ​@@Mincheolgayya..메타인지라고도 하죠

  • @yangazi-otaku

    @yangazi-otaku

    7 ай бұрын

    ​@@Mincheolgayya..역시 메타인지는 갓민철

  • @user-nn5xe8ix7w
    @user-nn5xe8ix7w7 ай бұрын

    열등감이 있는게 아니라 극한의 우월감이 있는 분이신듯....그 우월감이 엉뚱한데서 발현되거나 다른 사람을 수단화 해서 본인의 만족을 추구하면 문제가 되겠지만 지금처럼 이런 학업같은 긍정적인 부분에서 본인 스스로의 노력으로 걸어나가는 모습은 멋진듯.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

    7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멋있긴함

  • @user-jl9kx3xe8x

    @user-jl9kx3xe8x

    7 ай бұрын

    솔직히 우월감이 비틀리게 표출하지만 않으면 굉장히 건강한 마인드긴 해 ㅋㅋㅋ

  • @user-rd1mp8ii8p

    @user-rd1mp8ii8p

    7 ай бұрын

    님 심리학 전공하심? ㅎㄷㄷ

  • @user-oo5yw6cv9q

    @user-oo5yw6cv9q

    7 ай бұрын

    극한의 우월감이라 함은 ‘이 내가 이런 평가를 받는 직종에 있을 순 없어’ 이런 거임?

  • @user-yv2oj2qj4d

    @user-yv2oj2qj4d

    7 ай бұрын

    ​@@user-oo5yw6cv9q그치. 본인이 높은 자리에 있어야한다고 생각하는건 그만큼 그 자리에 걸맞는 인간이라 생각하기 때문임

  • @choiwon8220
    @choiwon82207 ай бұрын

    문과였다가 약대 들어간 것도 걍 대단한데...? 능력치 뭐임.....

  • @SlideAwayToYou

    @SlideAwayToYou

    7 ай бұрын

    피트자너...

  • @miming923

    @miming923

    7 ай бұрын

    @@SlideAwayToYou 뭔소리 하고있냐 피트는 시발 과학 시험 없냐?

  • @user-ys3ox8no1e

    @user-ys3ox8no1e

    7 ай бұрын

    @@SlideAwayToYou 피트로 들어간 게 더 대단함

  • @user-uz3tr3pg1y

    @user-uz3tr3pg1y

    7 ай бұрын

    @@SlideAwayToYou 피트가 한국에서 과학 제일 어려운 시험이라 문과 간게 더 대단한거임

  • @SlideAwayToYou

    @SlideAwayToYou

    6 ай бұрын

    시험문제의 난이도 빼고 진입장벽만 놓고 본다면 peet가 수능 정시보다 압~~~~~~도적으로 쉬움​@@user-uz3tr3pg1y

  • @user-zo3me3ch7d
    @user-zo3me3ch7d7 ай бұрын

    이분은 의사 판검사 대통령 다 해도 열등감 느낄 게 분명하고, 여기서 입시상담이 아니고 자존감 높이는 훈련부터 하시는 게 좋을 듯 보이네요.

  • @user-rg1oc4kp4e

    @user-rg1oc4kp4e

    7 ай бұрын

    ⁠@@user-kp8xo6po1c자존감 넘치는 5등급이랑 열등감 넘치는 1등급이랑 삶의 만족도는 전자가 높지 않을까요? 적당한 자존감과 열등감으로 작은것에 만족하고 큰것에도 만족해야 하는데 열등감이 머리속에 가득차서 큰것에 만족 못하는데 작은것에 만족할까요…

  • @seungwooyang6674

    @seungwooyang6674

    7 ай бұрын

    @@user-kp8xo6po1c 인생의 목표가 수능 등급은 아니지 않습니까? 다 행복해지려고 하는 건데.. 자존감이 높으면 본인 삶에 만족하면서 행복해지는데 그딴 등급이 중요할까요

  • @user-yv2oj2qj4d

    @user-yv2oj2qj4d

    7 ай бұрын

    ​@@user-kp8xo6po1c삶의 궁극적 목표는 행복이다. 평생 열등감 느끼며 살 바엔 행복한 거지가 낫다

  • @seungwooyang6674

    @seungwooyang6674

    7 ай бұрын

    @@user-kp8xo6po1c 보통 사람들 같으면, 더욱 높은 성취를 이루었을때 뿌듯해하고 행복해하지만 사연에 나온 분은 반대로 더 열등감을 느끼거나 불안해하시는데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면서 사는 것보다는 남의 시선 신경 안쓰고 삶에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죠. 그리고 꼭 자존감이 높다고 등급이 5등급이라는 법도 없구요. 오히려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원초부터 자존감 높은 사람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 @user-ue2wz6wq2j

    @user-ue2wz6wq2j

    7 ай бұрын

    배부른 돼지 vs 배고픈 소크라테스 이거같은데 이건 정답이 없어서 전 전자가 낫다고 생각

  • @skfhrhalsk
    @skfhrhalsk7 ай бұрын

    자기 삶을 살지 왜이렇게 남의 의견에 휘둘리며 살아오는건지? 사연 들어보니 이 분은 여기가 아니라 정말 마음상담을 제대로 받아야할 거 같아요.

  • @user-lm7gt7ti9y

    @user-lm7gt7ti9y

    Ай бұрын

    100번째 따봉

  • @iamumining
    @iamumining7 ай бұрын

    와 그래도 하고자 하는거 노력해서 다 이루는게 ㅈㄴ 대단하네

  • @whdtjr7957
    @whdtjr79577 ай бұрын

    핵심은 "성취가 있느냐"의 차이 같습니다. 도영쌤 말씀처럼, 열등감이든 뭐든 긍정적인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면 좋은거라 생각합니다. 사람이 꼭 뭐 숭고한 사명과 멋진 신념으로만 움직이나요. 의대와 약대는 한끗 차이 같으면서도 분명 큰 차이가 있죠. 돈 때문이든 열등감 때문이든 도전해보는 것 자체는 의미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마 의대 가서도 정형외과 가면 "그러려고 의대갔냐 차라리 약대 남아서 자리 잘 잡았으면 워라밸이나 소득이나 훨씬 낫다" 그럴거고, 피부과 가면 "돈은 잘 벌지 몰라도 너가 피부미용하는 장사꾼이지 의사냐" 이런 소리 듣게 될겁니다. 비교는 끝이없어요. 의사 편입에 성공하고 또다른 열등감을 마주하든, 실패하고 약사로 남든, "더 노력해도 성취가 어려울 것 같다"싶으면 이젠 포기하고 잊어버리려고 노력하는게 옳습니다. 더이상 자기 노력으로 안되는 걸 바라만보며 열등감에 빠지는건 자기를 갉아먹는 행위니까요. 성취할만큼 해보고, 더 이상 성취가 없어질 때쯤, 열등감 극복을 위해 "나는 럭키한 사람이다"하고 스스로의 마음을 많이 돌보아 주세요. 할 수 있을 때까진 더욱 큰 성취하시길 응원합니다!

  • @pluto3679

    @pluto3679

    7 ай бұрын

    이 분 말이 진짜 맞는 말 같아요

  • @thmelody9337

    @thmelody9337

    7 ай бұрын

    성취가 있느냐…. 와 진짜 이 분을 관통하는 말인 듯

  • @user-st2vd9li1h

    @user-st2vd9li1h

    7 ай бұрын

    세상은 결과다..

  • @user-zr8mf8rj8x

    @user-zr8mf8rj8x

    7 ай бұрын

    정형외과도 돈 쓸어담는 인기과에요

  • @RoB-lq9zb

    @RoB-lq9zb

    7 ай бұрын

    ​@@user-zr8mf8rj8x그레벨부터는 돈의문제가아니라 업무강도의문제죠. 돈은 둘다 쓸어담아도 업무강도는 피부과가 더 낮으니까요

  • @greengrass2750
    @greengrass27507 ай бұрын

    이 사람이 과연 의대 간다고 만족하고 행복할지 의문이네ㅋㅋㅋ 커뮤부터 당장 끊고 심리상담 좀 받아보는 게 좋을 듯 학업에서 아웃풋이 나오니 결과적으로는 좋지만 열등감은 사람을 불행하게 만듦

  • @summer_shower
    @summer_shower7 ай бұрын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이 진짜 열등감을 바꿔서 생각하기 힘듦… 예를 들어 럭키 편돌이에서 나는 럭키하다라는 생각이 저게 나를 비꼬는 말이구나라는 생각을 절대 이길 수가 없게됨… 아는데도 받아들여지지가 않음…

  • @user-jl9kx3xe8x

    @user-jl9kx3xe8x

    7 ай бұрын

    럭키편돌이는 대놓고 비꼬는게 맞긴해 ㅋㅋ

  • @user-gh9lr9wh5p

    @user-gh9lr9wh5p

    7 ай бұрын

    ㅅㅂ 약대생인데 나는 진짜 럭키 편돌이가 칭찬인줄 알았음 그리고 ㄹㅇ 편돌이랑 똑같은데 돈 많이 벌어서 약대 들어간것도 맞거..

  • @user-mt7zy2qw8c

    @user-mt7zy2qw8c

    6 ай бұрын

    편돌이면어때?

  • @user-qb6kw1dk1r

    @user-qb6kw1dk1r

    9 сағат бұрын

    럭키 편돌이 진짜 개웃기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은근 맞는말이네 ㅅㅂㅋㅋ. 커뮤련들 드립은 진짜 상상 이상이다

  • @user-ph6nc7wg2y
    @user-ph6nc7wg2y7 ай бұрын

    삶의 원동력과 퍼포먼스... 오늘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대학 입시를 완전 실패한 건 아니지만 불만족스럽게 끝내게 되어서 요 몇년간 삶의 원동력을 잃고 무기력한 삶을 살다가 이제 조금씩 취업을 위한 공부를 하고 있는 중에 이 영상을 보게 됐어요. 오늘 말씀해주신 삶의 원동력이 제게 깊은 울림을 주네요. 삶의 원동력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사람이 되자고 결심하고 갑니다 !!

  • @liiiiiillll7211
    @liiiiiillll72117 ай бұрын

    럭키 편돌이는 칭찬 아닌가 ㅋㅋ 어떤 직업이 편돌이급 난이도에 약사급 페이를 받냐 ㅋㅋㅋㅋ

  • @alexazoe8230

    @alexazoe8230

    7 ай бұрын

    정확ㅋㅋㅋㅋ

  • @Jay-ju3kg

    @Jay-ju3kg

    6 ай бұрын

    맞는말ㅋㅋㅋ

  • @TheSuperatoz09

    @TheSuperatoz09

    5 ай бұрын

    처참한 이해력 무엇..

  • @liiiiiillll7211

    @liiiiiillll7211

    4 ай бұрын

    @@TheSuperatoz09 무슨 이해력? 약사 비하하는 말인거 아는데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이말인거지

  • @user-ei6wh9rg5w

    @user-ei6wh9rg5w

    4 ай бұрын

    약사따리는 의사 시다바리

  • @jannab1s
    @jannab1s7 ай бұрын

    제가 약대 합격하고 딱 저랬습니다. 분명 그토록 원하던 대학에 진학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커뮤니티들을 돌면서 약사, 약대를 비하하는 글들을 보고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아 머리까지 빠질 정도였죠.. 스스로를 되돌아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스트레스 받고 잘 대처하게 되었어요.

  • @user-fd1sx9yv9f

    @user-fd1sx9yv9f

    6 ай бұрын

    전 1학년때까지 약사 뭣모르고 꿈꾸다가 현실 파악하고 공대로 낮췄지만 약사분들 약대생분들 보면 정말 너무 부럽고 멋있어요... 요즘 괜히 의치한약수 붐이 일어나겠어요ㅜ 비하하는 사람보다 약대를 선망하는 사람들이 몇백배는 더 많고 약사면 우리나라 상위 직업인데 누가 뭐라해도 스트레스 안받았으면 좋겠네요 아무리 완벽해도 물어뜯는 사람은 언제나 있으니까요

  • @user-vkfvjfdl

    @user-vkfvjfdl

    5 ай бұрын

    저런거 비교하면 끝도없음 서울대의대 제외하고는 개같은논리로 전부 내려치기 가능한거라서

  • @elmo7816

    @elmo7816

    5 ай бұрын

    @@user-vkfvjfdl 서울대의대도 까려면 충분하 가능할것 같은데?

  • @nouseforever

    @nouseforever

    5 ай бұрын

    @@elmo7816(지방대를 다니며)

  • @elmo7816

    @elmo7816

    5 ай бұрын

    어떻게 알았지!? @@nouseforever

  • @jiujitsuquantum711
    @jiujitsuquantum7117 ай бұрын

    와 진짜 대단하다..... 이런 상담이 가능하다니 진짜 존경합니다 선생님

  • @seralee2216
    @seralee22166 ай бұрын

    욕심도 많고 열등감도 많아서 딱 사연자분처럼 인생을 살아온 사람입니다.. 주변 사람들은 그저 제가 실행력과 추진력이 높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전 알고 있어요. 누군가 제 발작버튼 눌러주면 전 미친듯이 달려나가고 무언가 이루어져 있는 것일 뿐.. 부모님도 그러더라구요 좀 숨도 쉬어가면서 인생살라고.. 욕심이 왜이리 많으냐고.. 요즘은 이런 제가 의아하고 난 왜 편히 안살까 싶었는데 윤도영쌤이 마지막에 한말씀 듣고 눈물이 나네요. 내가 열등감을 느끼지 못했으면 여기까지 왔을까.. 라는 생각.. 나자신을 그자체로 인정해주고 사랑해주라는 말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dl5ky9gq2o
    @user-dl5ky9gq2o7 ай бұрын

    저 사람 의대가면 또 금수저한테 열등감 느끼고 안좋은 과 가면 또 열등감 느끼고 의대인데도 잘생긴애들한테 또 느끼고 의대 학벌 별로 또 느낄걸

  • @user-nk1og3sg1o
    @user-nk1og3sg1o7 ай бұрын

    럭키 편돌이 ㅅㅂ ㅋㅋㅋㅋㅋㅋ 태어나서 첨들어보는 말이네

  • @user-in5rc3ui5l
    @user-in5rc3ui5l7 ай бұрын

    저런 분들 특 : 해당 계열로 누구보다 열심히 삶

  • @user-uq3de3rq9u
    @user-uq3de3rq9u7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오르비 의뱃들 보면 한숨이 절로나옴 ㅋㅋ 왜 대학생이 여기서 이러고있는지 알거같음

  • @user-bb5gt3st5e

    @user-bb5gt3st5e

    7 ай бұрын

    ㄹㅇ...진짜 공부만한 찐1따의 정석들 많이보임

  • @user-kw2kj7qi9r

    @user-kw2kj7qi9r

    7 ай бұрын

    의뱃달고 하위권 지방대 힘드네요.. 뭐 이러고있는거보면 진짜 뭔 반응을 바라는건지도 모르겠음 ㅋㅋㅋ ㄱㅁ 이거 쳐달라는건가

  • @user-uo9hm4tf8d

    @user-uo9hm4tf8d

    7 ай бұрын

    ???:기만이라고 빨아줄때가 제일 좋다니까 ~~

  • @user-kv5cv1hb6r

    @user-kv5cv1hb6r

    7 ай бұрын

    의르비 ㅋㅋ 거긴 의사 조금 부정적인 말만 나와도 의뱃이랑 예비 의대생들이 발작함

  • @user-jl9kx3xe8x

    @user-jl9kx3xe8x

    7 ай бұрын

    ​@@user-wb1io9vc1e 대학 뱃지달라면 대학 입학 인증해야해서 진짜긴 함

  • @mumumumu412
    @mumumumu4127 ай бұрын

    입시판을 뜬지 꽤 된 휴학생인데, 볼 때마다 인생 조언을 얻고 갑니다..

  • @user-gy6yh5hr4c
    @user-gy6yh5hr4c7 ай бұрын

    걍 무한소급의 원리임 어딜가든 나보다 더 잘난사람이 있기마련이고 그냥 현실에 타협하면서 살아야됨

  • @user-en4kc1bf5u
    @user-en4kc1bf5u7 ай бұрын

    의대 편입과 별개로 상담소나 정신과 가보시는 건 어떤지...? 커뮤니티는 조금 끊으시는 게 정신건강에 더 좋을 것 같고요ㅠㅠ열등감이 원동력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면 본인이 피곤해요

  • @JhopeRmJungkooki
    @JhopeRmJungkooki7 ай бұрын

    와…ㅜㅜㅜ윤도영선생님 다른편들에서도 다 좋은말씀 해주셨지만 개인적으로 이번편이 저에겐 레전드입니다 ㅜㅜ!!! 윤도영선생님 진짜 이 컨텐츠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리고 ㅅㅏ…사랑합니다!!!😂😂😂😁😁😁

  • @user-kd8bx8xm7v
    @user-kd8bx8xm7vАй бұрын

    원영적사고가 이분한테 제일 필요한듯

  • @rosy3527
    @rosy35277 ай бұрын

    믿고 보는 윤도영쌤 영상,, 절대 계속해주세요,, 이것만 기다립니다,,

  • @user-zv6kj3br9h
    @user-zv6kj3br9h7 ай бұрын

    윤샘 수업을 2년이나 현강 들었던 아들의 엄마입니다. 계속 반수중이며 아직도 방황중인 아들이 이 방송을 듣고 자기 객관화좀 했으면 합니다. 늘 현답을 주시는 윤샘 감사드립니다.

  • @cc-mn1tg
    @cc-mn1tg7 ай бұрын

    순공 22분 달달하게 챙겨갑니다~

  • @yfl3731

    @yfl3731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시발

  • @criticalrecipient

    @criticalrecipient

    7 ай бұрын

    넌 재수다

  • @MakeAggro

    @MakeAggro

    7 ай бұрын

    제보한 목적 : 그래도 저 열심히 해서 약대는 왔는데 내년에 의대 정원 늘리고 좀 현타와요...

  • @user-mp9cp2nt3p

    @user-mp9cp2nt3p

    7 ай бұрын

    ​@@MakeAggro이거네ㅋㅋㅋㅋㅋㅋㅋ

  • @sorapan_

    @sorapan_

    7 ай бұрын

    11분이 아니라..?

  • @user-yv2oj2qj4d
    @user-yv2oj2qj4d7 ай бұрын

    성공에 너무 집착하면 삶이 불행해짐. 적당한 만족감과 자부심도 필요한법

  • @user-cu5zt8zm9o
    @user-cu5zt8zm9o7 ай бұрын

    발작버튼 계속 누르면 노벨상 타겠는데 ㅋㅋㅋ

  • @Ganul_
    @Ganul_7 ай бұрын

    개지린다 ㅋㅋㅋㅋㅋ 눌릴때마다 업그레이드됨 ㅋㅋㅋㅋㅋㅋㅋ 발작버튼이 아니라 업그레이드 버튼이였네

  • @DMQNXKREMFLTLFRPDY
    @DMQNXKREMFLTLFRPDY7 ай бұрын

    커뮤는 실수도 많지만 그만큼 가면 쓴 허수가 개많음

  • @user-nf9wo8vk8v

    @user-nf9wo8vk8v

    7 ай бұрын

    성적표 조작도 많으니 뭐..

  • @user-me9ih6om4r

    @user-me9ih6om4r

    7 ай бұрын

    개많은게 아니라 거의 80프로일듯. 커뮤, 댓글 보면 국평2일듯

  • @user-mmmsannd0

    @user-mmmsannd0

    7 ай бұрын

    @@user-me9ih6om4r국평2면 너무 많이 쳐줬는데?

  • @user-kn1yd6hn8d

    @user-kn1yd6hn8d

    6 ай бұрын

    ​@@user-mmmsannd0국평2라는 워딩을 하는것 자체가 국평5

  • @user-mmmsannd0

    @user-mmmsannd0

    6 ай бұрын

    @@user-kn1yd6hn8d 너도 워딩 해버렸놐ㅋㅋ

  • @user-gz4gc6if4g
    @user-gz4gc6if4g7 ай бұрын

    커뮤니티 의견 종합해보면 AI가 진단해주고 처방해주고 처방검토해주고 다 가능. 공돌이 전원 AI교체 이미 20년전에도 가능. 컴퓨터 알고리즘 짜는 것도 딥러닝 시키면 가능. 지난 판례 종합검토해서 객관적으로 판결내리는것도 가능. 이건뭐 이제 사람이 할 수 있는게 없노 ㅋㅋㅋㅋㅋ

  • @user-vv9ko4zh9k

    @user-vv9ko4zh9k

    7 ай бұрын

    사회생활을 안하시는 분들이 희망사항을 커뮤에 말하니까..

  • @user-mh7ye1oq1d
    @user-mh7ye1oq1d7 ай бұрын

    역시 윤도영 쌤ㅋ 저랑 같은 나이인데 팬이라 자주영상 보고있습니다 현실적인 조언 항상 배웁니다

  • @user-ze7th5rx9e
    @user-ze7th5rx9e7 ай бұрын

    진짜 멋있다는 생각밖에 안 드네요..

  • @user-rh1df1qg1z
    @user-rh1df1qg1z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지원자분 인생이 스펙타클 하네요 그래도 원하면 다 이루어내는게 신기해요

  • @danielchoi2259
    @danielchoi22597 ай бұрын

    사연자분은 더할나위없이 피폐해지겠지만 계속 발작버튼이 눌린상태로 살아주시면 좋겠네요. 뭔가 인류 전체에 지대한 공헌을 할 잠재력이 보이네요 ㅎㅎ

  • @user-yj5yd7qe7j
    @user-yj5yd7qe7j7 ай бұрын

    윤도영쌤 말씀하나하나 너무 쎅시하십니다 매번 잘보고있어요 ^^ 이런게 진짜 좋은상담이지 싶습니다. 하시고 싶은 말씀 해주시면서 사연자에게 확신과 편안함을주시는게 보는 제 마음까지 편안하네요. 입시계의 유재석 MC미미미누님의 원활한 진행과 웃참을 보며 매우 즐겁게 시청하고있어요 사랑합니다 ^^

  • @JJ_7238
    @JJ_72387 ай бұрын

    사연자 마지막에 "사랑합니..." 본심이 나온 ㅎㅎㅎ 갓도영샘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lk8lf8os9m
    @user-lk8lf8os9m7 ай бұрын

    도영쌤 넘 멋있어요~~해주시는 말씀 모두 감사합니다

  • @user-cn8iz6br1d
    @user-cn8iz6br1d7 ай бұрын

    커뮤는 진짜 벌래들도 많아서 잘걸려야됨

  • @user-kt2ct9pd9m
    @user-kt2ct9pd9m7 ай бұрын

    한의대 오샸음 정신 나가셨을 듯 ㅋㅋㅋㅋ

  • @WalkingPalm
    @WalkingPalm7 ай бұрын

    도영샘 점점 젊어지네 미누는 점점 깊어지고..케미 딱좋다~~!!

  • @user-ss3ox4kb3n
    @user-ss3ox4kb3n7 ай бұрын

    참 대단한사람 많네 주위에보면 평범하게 공부잘해서 들어간사람들도 있지만 저런 우여곡절을듣다보면 참 대다나다란생각아드네 어째든 화이팅

  • @user-me9ih6om4r
    @user-me9ih6om4r7 ай бұрын

    사연자님. 재능, 노력, 커뮤로 인한 정보력(나름...?), 지능, 목소리(ㅋㅋㅋ) 다 좋은데 뭘 걱정해요... 님이 그렇게 싫어하시는 발작버튼이 지금 이 영상 보는 약 만명이 다 님에게서 느낄거에요. 욕이 아니라 사연자님은 그정도로 멋지고 질투할만한 사람입니다ㅋㅋㅋㅋ 좋은 약사가 되어주세요.

  • @ta41bi
    @ta41bi7 ай бұрын

    약대가 럭키 편돌이 ㅇㅈㄹㅋㅋㅋㅋ 뭐 얼마나 럭키 한거임

  • @user-tx2du8fl2b

    @user-tx2du8fl2b

    7 ай бұрын

    럭키함이 우주를 돌파할듯 ㅋㅋㅋㅋㅋ

  • @user-jk5es7oc8p
    @user-jk5es7oc8p7 ай бұрын

    걍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 발작버튼 계속 눌리는거나 눌릴때마다 진짜 해내는거나 ㅋㅋㅋㅋㅋ

  • @tseo833
    @tseo8337 ай бұрын

    와.. 오늘 내용도 너무 좋다.. 감동의 눈물 흘리고 갑니다.😂

  • @dontfallinline
    @dontfallinline7 ай бұрын

    12:22 yoon's lucky 근데 이건 ㄹㅇ 좋은데 “나는 럭키해 ! 나는 너무 좋아 !”

  • @ejegcysiakjs
    @ejegcysiakjs7 ай бұрын

    며칠 전에 성적 관련 질문을 올렸는데 상위권이라 그런지 제 인생이 나아 보였는지 별 이상한 이유로 비꼬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어떤 인생을 살면 그렇게 비참할까 생각도 들고ㅋㅋㅋ 내가 너무 잘 나서 이런 소리도 듣고 살아야 하는구나 생각하고 편히 넘기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저도 예민한 성격이라서 아는데 욱하는 성격이 심해지시면 정신의학과 가보시는 것도 추천 드려요

  • @Gold-jy5xd

    @Gold-jy5xd

    7 ай бұрын

    커뮤니티는 정신병임 ㄹㅇ

  • @user-mk2zv1df3w
    @user-mk2zv1df3w7 ай бұрын

    ㅋㅋㅋ 설마하고 오르비 들어가봤는데 오르비에서 뱃지 다는 놈들 발작버튼 눌린 거 ㅈㄴ 웃기네 ㅋㅋ

  • @user-rg6bv4jw6k
    @user-rg6bv4jw6k7 ай бұрын

    선생님 참 멋진 상담내용입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자신의 열등감으로 속상해 하고 있을수도 있는데 그런 열등감을 없애려고만 하지 말고 그걸 원동력으로 나를 발전시키라고 하신 말씀 너무 도움이 되네요.

  • @claslear26
    @claslear267 ай бұрын

    저렇게 말하는 애들 특: 약대 보내준다고 하면 가장 먼저 달려듬

  • @user-vj6my1kd3q
    @user-vj6my1kd3q7 ай бұрын

    커뮤니티는 인증한 몇 제외하고는 다 허수들밖에 없는곳임 진짜들은 커뮤할시간에 공부하지 ...

  • @heamil2go
    @heamil2go7 ай бұрын

    이유가 어쨌든 하나씩 성취를 해나가시는 모습은 박수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성취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아주 단순히 예를 들면, "내 이웃의 건강"에 도움되는 일을 하고 싶다고 한다면 꼭 의대가 아니어도 약대 공부를 통해서도 그 비전에 가까워질 수 있겠지요... 약대 졸업자가 꼭 약사만 하라는 법은 없잖아요.. "약사"가 되는 공부를 하는게 아니라 "약학"을 공부한다고 생각하면 졸업 후 보건학이나 과학수사, 신약개발 연구와 같은 관련 분야의 다양한 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의대를 도전하시더라도 나중에 어떤 "직업"을 하고 싶은지 보다는 어떤 목표나 가치를 향해 살아가고 싶은지를 먼저 생각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게 명확하고 의대도전이라는 계획이 그 과정에서 의미있는 것이라면 스스로 방황하고 있나 하는 생각은 들지 않을 것 같네요...^^ 행운을 빌어요🍀

  • @merongmerong3
    @merongmerong37 ай бұрын

    뭔가 윤도영 선생님 그 약,수 수요 공급 이야기 하실때 되게 조곤조곤 말로 깔끔하게 풀어내시는 거 보고 되게 멋있어 보이시네요..

  • @user-ge8yh4gl1w
    @user-ge8yh4gl1w7 ай бұрын

    일단 윤도영 선생님은 좋아요 하고 봅니다❤

  • @Tenk1NoKo
    @Tenk1NoKo7 ай бұрын

    나랑 비슷한데 좀 더 똑똑하고 성실하신 듯..... 너무 부럽다 나도 열등감이 긍정적으로 발현되면 좋겠네....

  • @raputrs6234
    @raputrs62346 ай бұрын

    이런 스타일이 인생은 성공해도 행복하기는 쉽지않음

  • @Mincheolgayya..
    @Mincheolgayya..7 ай бұрын

    거기 들어가면 내가 하찮은것 같고 주작도 존나 많아서 왤케 잘하는 사람이 많지 이런 생각하기 마련임.. 수능은 마라톤이고 멘탈싸움이라 커뮤는 하지 마셈 오르비 빡갤 이런곳에 질문하지 말고 좀 그냥 qna나 선생님 혹은 전문가랑 상담하셈 ㅇㅇ 거기 대부분이 3-4-5등급인 ㅅㄲ들임 글고 문과애들은 기죽지 마셈 수험생들은 지들이 이과인게 왕인줄 알지 ㅋㅋ 걍 휘둘리지 말고 자기가 잘하고 좋아하는거 하셈.. 학과 선택때도 그렇고 억지로 가는건 아님 ㄹㅇ

  • @user-xv5qq2we2p

    @user-xv5qq2we2p

    7 ай бұрын

    조언은 강평 ㅋㅋ

  • @lncosx

    @lncosx

    7 ай бұрын

    올바른 인생 설계는 강민철이 ㅋㅋㅋ

  • @qsxftgbjik3731

    @qsxftgbjik3731

    7 ай бұрын

    근데 문과는 천민이 맞음ㅋㅋ

  • @Mincheolgayya..

    @Mincheolgayya..

    7 ай бұрын

    @@qsxftgbjik3731 지랄 ㅋㅋ 대통령이 문관데서로 돕고 사는거지 뭔 ㅉ

  • @qsxftgbjik3731

    @qsxftgbjik3731

    7 ай бұрын

    ​@@Mincheolgayya..수능 수험생 문과 말하는거임

  • @bbqbhc
    @bbqbhc7 ай бұрын

    저건 진짜 인생 자기만의 방법으로 즐기고 살아가는거 같음 부럽기도 하고

  • @cappuccinolee7230
    @cappuccinolee72307 ай бұрын

    윤도영샘 오늘도 멋진 상담해주셨네요. 볼수록 호감도 상승. 첨엔 별로였는데 ㅋ

  • @user-bl5rt2oy7h
    @user-bl5rt2oy7h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개웃긴데 진짜 대단하다고 생각이 든다.. 대박.. 의대 편입 화이팅..! 응원합니다

  • @user-gn7bk3bo4g
    @user-gn7bk3bo4g7 ай бұрын

    진짜 근데 자신의 인생을 저렇게 업그레이드 시키는게 너무 멋있네요 본 받을게요

  • @thomas2284
    @thomas22847 ай бұрын

    수능6일남았는데 긴장이 일도안되는 현역이면 개츄 ㅋㅋㅋ

  • @user-tg2ji6gz9w
    @user-tg2ji6gz9w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발작버튼이 한번 눌리고 그게 계속 지속되는게 진짜 신기하네..열등감이라는게 참 양날의 검인데 저 사람한테는 잘 작용하는듯

  • @user-by7hp3gg2s
    @user-by7hp3gg2s7 ай бұрын

    자존감을 높여라 이게 말이쉽지 처음에 성적에 치인사람의 성적의 갈증은 하면할수록 더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해답은 더 높은 학벌 이거밖에 없는데 멈추는 때는 본인이 더 잘아실것같습니다

  • @user-jk3eg3ue3i
    @user-jk3eg3ue3i5 ай бұрын

    커뮤 말을 왜 들어 ㅋㅋㅋㅋㅋ 열등감 찌든 애들이 본인 환경 보고 좌절하며 타인 깔아 뭉개면서 자존감 높이려는 애들일 뿐인데 ㅋㅋㅋㅋ

  • @user-kh3ep9dt7b

    @user-kh3ep9dt7b

    4 ай бұрын

    그니까ㅋㅋ 의대도 돈만 보고 환자를 물건으로 보는 인간 쓰레기 집단으로 만드는 게 커뮨데 약대가 뭐 어떻다고ㅋㅋ 갑자기 또 빡치네

  • @wheemory09
    @wheemory097 ай бұрын

    열등감의 긍정적인 발현이라는 윤도영 선생님의 정확하고 따뜻한 격려

  • @user-bz8xn5oh8x
    @user-bz8xn5oh8x7 ай бұрын

    열등감에 징징대고싶었는데 바로 쌰럽하고 퍼포먼스로 한발짝 다가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s5iy3ee3x
    @user-us5iy3ee3x7 ай бұрын

    윤도영 선생님 요즘 가장 존경하는 분이십니다^^ 혹시 30대 직장인의 진로관련 상담도 들어주실 수 있을지 궁금해요 ㅠ,ㅠ

  • @ls-qq4iv
    @ls-qq4iv7 ай бұрын

    그래도 저사람은 목표 달성을 할 수 있는 능지가 되니까 그나마 ㄱㅊ지 열등감으로뭉쳐있는데 자기객관화는 안돼서 도딜할 수 없는 목표만 쳐다보면서 사는 사람도 있겄지,,,ㅋㅋ

  • @user-mi2lu1ng7v
    @user-mi2lu1ng7v6 ай бұрын

    내 노력,성적으로 올라갈수 있는 탑인 의대에 들어가면 노력으로 절대 안되는 세계가 있어요~ 의대에는 금수저들이 기본이라 과선택이나 학과생활등 자기가 조절 할수 없는 열등감 느낄 요인이 너무 많습니다 자족하는 마음도 중요합니다

  • @channel-vd8sr
    @channel-vd8sr7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추진력이란 게 있죠. 저도 딸 둘을 키우고 있지만 큰딸은 최악을 생각하며 최선을 다하고 둘째는 역시 나야 하는 마음으로 좋은 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 어떤 것도 정답이 아니죠. 결국 주어진 상황에서 무엇인가를 만들어낸다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실천하신 것만으로도 충분히 박수받을 만 합니다. 안 좋은 말들은 정작 이뤄낸 게 없는 사람들이 하더라고요.

  • @user-to2tk6xv4c

    @user-to2tk6xv4c

    7 ай бұрын

    어느정도로 좋은결과요?

  • @channel-vd8sr

    @channel-vd8sr

    7 ай бұрын

    @@user-to2tk6xv4c ㅎㅎ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겠죠? 제가 보기에 좋은 결과들일 거예요. 가끔 좋은 성과도 내지만 제가 보기엔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고민하고 열심히 해나가는 게 좋은 결과라 생각합니다.

  • @seoman8033
    @seoman80337 ай бұрын

    쉽게 말해서 남의 말에 인생이 왔다갔다하는 팔랑귀 느낌?? 근데 똑똑한게 특징 ㅋㅋㅋ 근데 본인이 해내면 그게 또 나쁜 느낌은 아닌듯?

  • @user-hz4oo1rz8c
    @user-hz4oo1rz8c7 ай бұрын

    기말고사 4주전 보기 최고의 영상

  • @user-bj7wj6cu7c
    @user-bj7wj6cu7c6 ай бұрын

    음 갠적으로,, 저도 사연자님과 같은 인생을 고등학교때까지 살아온 입장에서,, 저렇게 하다가 언젠간 번아웃이 올 수도 있으십니당.. 지금까지는 정말 운이 좋게 본인의 타고남이 뛰어나셔서 목표 달성에 계속 성공했지만.. 타인에 의한 열등감을 동기 삼으셔서 달리시다가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선을 넘어 목표했던 결과가 잘 안 나오시게 된다면 굉장히 무너질 가능성이 클 수도 있습니다,, 제 경험상 ㅋ큐ㅠㅠㅠㅠ 제가 고등학교때 전교 1등한테 발작 버튼 눌려서 걔 잡겠다고 난리치다가 (물론 걔는 성적이 알아서 떨어져서 제가 조금만 올렸어도 따라잡을 수 있었어요..) 무리하게 저를 혹사시켜.. 번아웃이 세게 왔거든요.. 그러다보니 오히려 올렸던 성적도 떨어졌구요 ㅠㅠ 그 이후론 저는 타인의 말은 참고만 하고 .. 항상 제가 원하는 인간상 (제 이상) 과의 비교에서 나오는 열등감으로 원동력을 만들곤 했어요! 그리고 현실의 나를 1순위로 생각하고 너무 저를 혹사시키지 않는 선에서! 웬만하면 만족하는 습관도 기르고 있답니다 ㅎㅎ,, 이러니 삶을 살기가 더 편해졌어요! 그냥 영상 보고 생각나서 한 번 댓글 달아봅니다 ㅎㅎ 저두 사연자님처럼 열등감을 원동력을 삼아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으로 너무 공감돼서 제 경험 한 번 공유해봅니다 ㅋㅋ!

  • @wootubeenglish
    @wootubeenglish7 ай бұрын

    ㅠㅠ 화이팅입니다 그나저나 선생님의 솔루션이 정말 날카롭네요

  • @eamdr6500
    @eamdr65006 ай бұрын

    나 자신에게 만족하고 지금 주어진 것에서 더 나아가려고 노력하면서 작은 것에도 행복해 하는 지금 내 삶이 너무 소중하네 감사해야겠다 사연자분 어딜 가도 나보다 나은 사람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계속 비교하면서 열등감 가지면 결국 번아웃 오고 지치게 될 겁니다 저 또한 계속 비교하는 삶에서 끊임없이 고통받다가 지금은 전부 끊고 인스타그램만 있어요 인스타도 제가 들어가고 싶을 때만 들어가도록 알람 꺼놨습니다 그랬더니 비교하지 않고 내 삶을 온전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어요 꼭 커뮤니티 끊으시고 내 삶에 집중하고 만족하면서 행복을 찾는 삶 꼭 이루시길 바라겠습니다

  • @user-js2yu4od2n
    @user-js2yu4od2n7 ай бұрын

    나이가 젊어서 의편도 도전해볼만 하죠ㅎㅎ

  • @si1572
    @si15727 ай бұрын

    이야 개멋있는데

  • @user-ty5uw7xn3m
    @user-ty5uw7xn3m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사랑합니..감사합니다 개귀엽네 목소리도 개좋다

  • @user-ng3hw5oo8h
    @user-ng3hw5oo8h5 ай бұрын

    발작버튼... 다행히 지금까지는 긍정적 효과였는데 계속 이어질지, 혹여 좌절 될 때 어떻게 될지 걱정이 됩니다. 내 인생을 사는 게 아니라 타인의 가벼운 말에 휘둘리는 거 같아요. 의대까지만 휘둘리시고 더 이상 휘둘리지 마시길 본인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꼭 찾으시길! (의사라는 직업도 발작버튼 눌릴만한 말들이 있거든요. 비하하는 사람은 꼭 있어서 ㅜㅜ)

  • @user-cc8xl7ry6k
    @user-cc8xl7ry6k7 ай бұрын

    나 럭키해~~ 너무 좋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사연자 웃참ㅋㅋㅋ 12:25

  • @gorgeous4806
    @gorgeous48067 ай бұрын

    그래도 다이루는게 대단하다....

  • @himh762
    @himh7627 ай бұрын

    사연을 선택할때마다 각 상황에 맞게 울림이 있는 메세지를 주시네요. 와~를 수차례 하면서 들었습니다.

  • @user-fx7im8lv7e
    @user-fx7im8lv7e7 ай бұрын

    극한의 커뮤충이라고 하니 그냥 기만하러 신청했을 경우와, 애초에 거짓말이었을 가능성을 생각하게 되는걸

  • @user-ub6fq2vx6b
    @user-ub6fq2vx6b7 ай бұрын

    미누님과 윤도영쌤의 환장 콜라보. 버튼만 눌리면 상승하는 약대합격생 사연. 재밌게 봤습니다.

  • @gomn
    @gomn7 ай бұрын

    와 근데 진짜 멋있네

  • @user-kb4zx6vv3p
    @user-kb4zx6vv3p7 ай бұрын

    지금까지의 결과를 이뤄낸 사연자분 정말 대단하고 존경합니다. 하지만 비교는 끝이 없다고 하던가. 의대 편입 성공하더라도 만약 메이저 의대에 못간다면 또 거기서 열등감을 느낄 것 같다. 이후 인턴 전공의를 메이저 병원에서 수련할 수 있겠지만 그 안에서도 자대생 우대가 알게 모르게 있을 것이고 결과적으로 내가 원하는 과에 가지 못할 수도 있다. 의사들 사이에서도 어떤 과는 전망이 안좋다, 미래에 ai가 발전하면서 점차 입지가 줄어들 것이다 이런 얘기가 있는 과들도 있는데 그럼 그 때 또 다시 전공을 선택할 것인지. 이후에도 상대적으로 나보다 워라벨 좋게 일하며 더 나은 수입을 내는 동기에게, 애초에 의사집안이거나 금수저라 좋은 자리에 개원 턱턱 해주는 동료에게 열등감이 또 생길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사연자분이 본인의 줏대를 가지고 판단하는게 중요할듯.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