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이게 왜 다 진짜 사건임? ㅋㅋㅋ [이왜진 국가 월드컵]

Ойындар

#취한무드등 #취무등 #이상형월드컵
진짜 항상 현실이 만화를 능가한다 ㅋㅋㅋ
편집 - 안떠님
썸네일 - 취한무드등

Пікірлер: 523

  • @og_jaem
    @og_jaem7 ай бұрын

    TMI:이탈리아는 이탈리아 왕국때 파스타를 금지할려고 했는데 파스타 금지 운동 주동자가 파스타 먹다 걸려서 파스타 금지 운동은 실패 하였다

  • @user-hc9uj7oy8g

    @user-hc9uj7oy8g

    7 ай бұрын

    푸니콜라 푸리콜라 푸니콜라

  • @user-kh9fv8hh3j

    @user-kh9fv8hh3j

    7 ай бұрын

    (대충 무솔리니 춤추는 짤)

  • @gyangsimsim

    @gyangsimsim

    7 ай бұрын

    @@user-hc9uj7oy8g 얌모 얌모 느코파 얌모야 푸니쿨리 푸니쿨라 푸니쿨리 푸니쿨라

  • @dracorex8119

    @dracorex8119

    7 ай бұрын

    ​@@user-kh9fv8hh3j???: 무솔리니의 공격은 프랑스 산악사단에 막힙니다.

  • @e-vac2896

    @e-vac2896

    7 ай бұрын

    이 정책의 이유도 웃긴게 밀보다 쌀이 인구증가에 좋아서 밀 대신 쌀을 주식으로 먹게 만들려고 시행된 정책이다. 물론 반대가 너무 극심해 파시스트 정권이였던 두체조차 정책이 실패했다고 말했다.

  • @user-oz2hp2pd2j
    @user-oz2hp2pd2j7 ай бұрын

    저 루마니아는 출산강제법으로 출산율이 진짜 엄청 늘어났는데 문제는 그걸 받아 처리해줄 수 있는 사회적인 안전망이 없어서 기형아가 진짜 그렇게 많았고 아이가 버려질 확률(=사실상 죽으라고 버리는 경우)도 진짜 말도 안되게 높아서 그 중 쓸만한(?)인간은 오히려 엄청 줄어들어버렸다는 후일담이 있음

  • @user-xp7tt5lw5p

    @user-xp7tt5lw5p

    7 ай бұрын

    헐레.

  • @user-pc4sv9jn1w

    @user-pc4sv9jn1w

    7 ай бұрын

    그 때 태어난 애들을 차우셰스쿠의 아이들 이라 불렀는데, 낳으라고만 하고 필요한 기반 시설들(병원, 학교 등등) 은 없어서 영아 사망률도 같이 늘었는데, 그 때 태어난 차우셰스쿠의 아이들이 커서 혁명으로 차우셰스쿠와 아내인 엘레나를 벌집으로 만들었었죠.

  • @lasvegascity

    @lasvegascity

    7 ай бұрын

    그런 거라면 적당히 보완해서 우리나라에 적용해도 괜찮을 듯. 4명 말고 한 명에 군대 안 간 여자들만 의무 대상으로ㅇㅇ

  • @Nanook942

    @Nanook942

    7 ай бұрын

    ​​​​​@@lasvegascity낳으면 누가 키움? 국가가 세금으로 키울겨? 와 그럼 이제 부모 없냐고 패드립쳐도 팩트가 되겠네. 애가 태어나서 행복하다고 느낄만한 세상을 만드는 게 우선이지, 무조건 낳게 하는 건 차우셰스쿠의 아이들처럼 극단적이진 않아도 부작용이 생기기 마련이야. 그런 정책은 그냥 노예 만들어서 굴리자는 사고방식이지.

  • @lasvegascity

    @lasvegascity

    7 ай бұрын

    @@Nanook942 ㅇㅇ 독신세 걷어다 육아지원으로 뿌리고 꼬우면 군대 가면 됨. 있는 자원이라곤 인간밖에 없는 나라에서 출산율이 꼴아박고 있는데 무슨 수로 살기 좋는 세상을 만듦? 인과관계 자체가 반대로 됨. 그리고 우리나라가 루마니아처럼 인프라가 안 갖춰진 것도 아닌데 저런 막장 국가의 사례에 대입하면 안 되지.

  • @user-ix3qd2uv5m
    @user-ix3qd2uv5m7 ай бұрын

    루마니아의 그법을 만든 독재자는 사형당할때 간부들이 내가죽일거야 하고 싸우다 그냥 사이좋게 250발 한거번에 쏘자 라고 결정함😂😂

  • @dmdpr
    @dmdpr7 ай бұрын

    아니 어떻게 전쟁하는 걸 까먹어?ㅋㅋㅋㅋㅋㅋㅋ

  • @user-pd6ih3dq4y

    @user-pd6ih3dq4y

    7 ай бұрын

    전쟁상대가 망했는데 까먹을수있지

  • @user-yj2ls5jo1i

    @user-yj2ls5jo1i

    7 ай бұрын

    우리도 전쟁중 인데?

  • @Lilpo700

    @Lilpo700

    7 ай бұрын

    ​@@user-yj2ls5jo1i휴전중이잖아

  • @Sungyeonwoo-wf6zl8ov3l

    @Sungyeonwoo-wf6zl8ov3l

    7 ай бұрын

    그것은 스코틀랜도와 잉글랜드?가 싸웠을때 스코틀랜드는 영국의 한섬으로 도망쳤고 잉글랜드는 네덜란드에게 스코틀랜드 좀 잡아주라고 했음.그래서 네덜란드는 스코틀랜드에게 선전포고를 했는데 여기서 스코틀랜드가 항복하고 네덜란드군은 자기 영토로 도망갔음.나중에 네덜란드와 영국(스코틀랜드)이 전쟁하고 평화협정을 안했다는 것을 알아 20세기 중반 평화협정을 하는 해프닝이었답니다

  • @YouAre_Fired

    @YouAre_Fired

    7 ай бұрын

    느그나라 ㅋㅋㅋ

  • @kangmossi
    @kangmossi7 ай бұрын

    2:20 하필 '오늘' 국어시간에 배운 내용이 나온다는 것이 진정한 이왜진이 아닐까... 2:46 러시아에서는 태양이 지구를 공전합니다

  • @user-pj4mx9yz1i
    @user-pj4mx9yz1i7 ай бұрын

    6:04 진짜 가끔가다가 보면 현실이 픽션보다 더 픽션같을 때가 있음. ㄹㅇㅋㅋ

  • @user-hh8mr9pf1w

    @user-hh8mr9pf1w

    4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 @user-pv2hs2ve3d
    @user-pv2hs2ve3d7 ай бұрын

    2:03 한글을 공식 표기 언어로 채택하면서 외국어 과목으로 한국어도 같이 배운다고 합니다.확실히 이미 한글을 오래도록 써온 나라의 언어니까,배워두면 한글을 응용하는 방법도 익히기 좋겠지요.

  • @ilbanin1

    @ilbanin1

    7 ай бұрын

    한글은 언어가 아닌 문자입니다

  • @S-hwa

    @S-hwa

    7 ай бұрын

    ​@@ilbanin1댓 내용이 그거 아님..? 추가 설명 한건가

  • @hsclover

    @hsclover

    7 ай бұрын

    그거 지금 사기로 밝혀지고 있는데...

  • @user-ke9hr3zy2i

    @user-ke9hr3zy2i

    5 ай бұрын

    재단이 사기꾼놈들인거 방송에 나옴요ㅠ 지금 한글1도 안씀...

  • @user-il8zw3tf6e
    @user-il8zw3tf6e7 ай бұрын

    저때 영국 내에서 왕당파랑 의회파 두개의 파벌로 갈라져 싸웠는데 네덜란드가 지원하기로한 왕당파쪽이 지원가기도 전에 망해서 안갔음ㅋㅋㅋ 근데 종전 선언하는걸 서로 까먹음ㅋㅋㅋ

  • @H0NGYUN

    @H0NGYUN

    7 ай бұрын

    누구였는지 기억은 안나는데 기록서 뒤적거리다가 종전기록없다는 거 확인하고 자기가 직접 영국에 가서 종전선언했음 ㅋㅋ

  • @YOON_SH13

    @YOON_SH13

    7 ай бұрын

    @@H0NGYUN 대학생들이 자료문헌 뒤적거리다가 발견하고 교수님이랑 같이 영국가서 종전선언함 ㅋㅋ

  • @user-sj2up9ee8v

    @user-sj2up9ee8v

    6 ай бұрын

    ​@@YOON_SH13걍심심해서 책읽다가 어?종전이아니네ㅋㅋㅋㅋ 파장함만들자ㅋㅋ이러고 한수준이네ㅋㅋ

  • @boris8543
    @boris85437 ай бұрын

    4:18 차우셰스쿠의 아이들 당시 루마니아 독재자였던 차우셰스쿠가 다산이 미래랍시고 콘돔 사용 금지, 피임약 금지, 월경경찰제 등등 온갖 해괘망측한 정책들을 실시했고, 출산율이 늘기는 했으나 영아 살해, 성병 창궐 등 온갖 부작용이 발생했고 저때 태어난 애들은 범죄율이 높았을 뿐 아니라 지능과 평균 수명이 유의미하게 낮았음. 이후 이들이 성장하자 오일 쇼크로 작살난 루마니아 경제 아래서 일자리 구하기도 어려운 실정이옸음. 그리고 결국 이 '차우셰스쿠의 아이들' 세대에서 불만이 터져나오다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고, 결국 루마니아 혁명으로 이어짐. 결국 김씨왕조처럼 천년만년 해먹으려고 구상을 하던 차우셰스쿠는 루마니아를 탈출하려다 시민군한테 붙잡혔고 아내 엘레나와 같이 검사랑 변호사가 쌍으로 검사일을 한 졸속재판을 거친 후 수백 발의 총탄을 맞으며 개처럼 총살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음. 아무튼 해피엔딩!

  • @user-pc4sv9jn1w

    @user-pc4sv9jn1w

    7 ай бұрын

    국민 뿐만 아니라, 측근들한테도 굉장히 인색했던지라, 헬기를 타고 도망을 갔음에도 차우셰스쿠 전용헬기 조종사가 평소에 쌓였던 게 많아서 중간에 차우셰스쿠 부부랑 경호원들을 버리고 도망가버렸고, 그렇게 육로로 도망치다가 시민군한테 잡혀버렸죠. 덤으로 스탈린 마냥 자식들하고도 사이가 좋지 못해서 정상인이였던 장남과 둘째 딸은 후계자 후보에서 탈락한 지 오래였고, 막내아들은 스탈린의 둘째 아들급으로 폐급이라서 차우셰스쿠가 오래 해먹었어도 스탈린 둘째 아들처럼 당 간부들과 군 장성들이 끌어내려서 숙청됬을 운명 (혁명 이후에 장남이랑 딸은 차우셰스쿠와 척을 졌던 만큼 무죄나 가벼운 처벌만 받고 끝났지만, 차우셰스쿠의 총애를 받던 막내 아들만 무거운 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옥사)

  • @Neverending__story
    @Neverending__story7 ай бұрын

    선생님... 원신에서 원하는 캐릭터 뽑는것보다가 40% 가챠라니...너무 혜자에요

  • @user-ox3tk8pl9j

    @user-ox3tk8pl9j

    7 ай бұрын

    얌마 못뽑는다고 뒤지지는 않잖아 머리 식혀 ㅋㅋㅋㅋㅋㅋㅋㅋ

  • @im_baka

    @im_baka

    7 ай бұрын

    선생님, 원신에서 다른 게임으로 고개를 돌려 보시겠습니까 원신도 혜자가 됩니다.

  • @user-ov1bd1kn6t

    @user-ov1bd1kn6t

    7 ай бұрын

    어?

  • @user-ov1bd1kn6t

    @user-ov1bd1kn6t

    7 ай бұрын

    ​@@im_baka어???

  • @user-ov1bd1kn6t

    @user-ov1bd1kn6t

    7 ай бұрын

    뭐지?

  • @starLove-dw8bf
    @starLove-dw8bf7 ай бұрын

    와 진짜 나라마다 진짜 신기한 일들이 이렇게나 많았는데 나는 정작 하나도 모르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MAGINE0210
    @IMAGINE02107 ай бұрын

    3:07 이게 23년도 9월 영어 모의고사 지문이었지..하..

  • @user-uw8rw2sd3w
    @user-uw8rw2sd3w7 ай бұрын

    카라차이호수 산책하면 40%로 살 수 있다니 혜자라는 얘기가 보이는데...... '목숨'을 부지할 확률이 40%이지 '사지'가 멀쩡할 확률이 40%가 아닐 수도 있다는 거를 생각해보시길......ㅋㅋㅋㅋㅋㅋㅋㅋ

  • @MorakanoCarry

    @MorakanoCarry

    7 ай бұрын

    살아도 산게 아닌 상태가 되죠

  • @loberto1002

    @loberto1002

    7 ай бұрын

    그것도 1달 안에 사망할 확률이 60%인 거지 한 달이 넘어간 시점엔...

  • @kunwoocho2929

    @kunwoocho2929

    7 ай бұрын

    1달만 고통받고 죽을 확률 60%, 1달 넘게 고통스럽게 살가갈 확률 40%

  • @leadcannedbeef6914

    @leadcannedbeef6914

    7 ай бұрын

    1달안에 사망할 확률이 60% 인거지 3년안에 암관련 질환으로 고통받다가 죽을수도 있음 ㅋㅋㅋ

  • @user-pl4nr4rq7h

    @user-pl4nr4rq7h

    7 ай бұрын

    1달만에 60% 수준의 치사율이면 사실상 그 이후에..

  • @user-ox3tk8pl9j
    @user-ox3tk8pl9j7 ай бұрын

    루마니아의 강제 출산 정책 : 더 놀라운 건 저때 버려지는 아이들과 죽는 아이들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인구가 줄었다고 한다.

  • @Heahea0813
    @Heahea08137 ай бұрын

    취무등 요즘 이왜진 너무 많이 올리는 것 같은데,,,,, 너무 좋네,,❤

  • @OH7l...
    @OH7l...7 ай бұрын

    재밌는 영상 감사해용❤❤

  • @hayeonkim7838
    @hayeonkim78387 ай бұрын

    진짜 오늘도 세상엔 내가 모르는 별별 이왜진들이 다 있다는 걸 느끼고 갑니다 ㅋㅋㅋㅋ

  • @kaligula2235
    @kaligula22357 ай бұрын

    썸내일의 취무순이 진짜였음 좋겠다...

  • @maybnor
    @maybnor7 ай бұрын

    TMI 모음 8:48 공산주의는 원래 개인의 자유를 어느정도 중시하는 사상이었는데, 소비에트에서 레닌 사후 스탈린이 정권을 잡으며 공산세계의 제 1 국이 스탈린주의라는, 후대에 파시즘이라는 혹평을 받을 정도이며, 심지어 기존 공산주의에서 상당히 벗어난 사상을 기반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그 모양 그 꼴이 났습니다. 예시로 그 전까지는 소비에트는 전체주의를 강력하게 비판했고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는 누구에게도 생산물을 취득할 힘을 빼앗지 않으며 다만 이런 취득을 통해 타인의 노동을 자신에게 종속시키는 힘을 박탈할 뿐이다. 사적 소유를 철폐하면 그 순간, 사회는 게으름이 만연할 거라 비난한다. 그렇다면 진작에 부르주아지체제는 일순간에 몰락했어야 했다. 대다수는 소유하지 못하니까." 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트로츠키는 스탈린을 '권력을 독점하여 당 내의 민주주의를 탄압하기에 레닌의 뜻에 어긋난다!' 라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4:16 당시 루마니아는 스탈린주의 정권이 들어섰었습니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라는 독재자이자 바보였는데, 소련의 스탈린, 북한의 김씨 3대, 중국의 마오쩌둥 등과 함께 최악의 공산권 독재자를 언급할 때에는 반드시 언급되는 인물입니다. -너무 길게 썼나...?-

  • @user-kv2ww2mo9t

    @user-kv2ww2mo9t

    7 ай бұрын

    북한에 놀러갔다가 빠졌을 때 맞죠?

  • @maybnor

    @maybnor

    7 ай бұрын

    @@user-kv2ww2mo9t ???

  • @user-hc9uj7oy8g

    @user-hc9uj7oy8g

    7 ай бұрын

    ​@@user-kv2ww2mo9t애야 트로츠키랑 스탈린이랑 다르단다

  • @agm1144

    @agm1144

    7 ай бұрын

    스탈린이 모난 괴물이 아니라 공산주의를 현실화 하려면 전체주의 독재를 할 수 밖에 없는거죠. 사회주의는 사실상 전체주의 독재의 이념입니다.

  • @stick-republic

    @stick-republic

    5 ай бұрын

    8분 48초는 없는디

  • @seomin2970
    @seomin29707 ай бұрын

    0:29 이걸 모르는 사람이 있었어…?

  • @Sungyeonwoo-wf6zl8ov3l
    @Sungyeonwoo-wf6zl8ov3l7 ай бұрын

    루마니아는 루마니아 공산주의때 만들어진 것인데 이것은 차오세슈쿠 라는 루마니아 독재자가 벌인 것인데 차오세슈쿠는 결국엔 여러가지 이유로 사형이라는 재판을 받아 죽음.(TMI:차오세슈쿠는 부인이 있었는데 그 부인이 더 악질이어서 차오세슈쿠보다 더 비난을 받았고 그렇게 둘이 같이 죽었답니다)😂

  • @user-hc9uj7oy8g

    @user-hc9uj7oy8g

    7 ай бұрын

    카롤 2세도 ㅁㅊ놈이였는데...

  • @supiasun2000
    @supiasun20007 ай бұрын

    아닠ㅋㅋㅋㅋ 전쟁하는 걸 ㅋㅋㅋㅋㅋ 어떻겤ㅋㅋㅋ

  • @KyuChanKim
    @KyuChanKim7 ай бұрын

    5:32 tmi로 암살당한 총리 1호가 1909년 사망한 이토 히로부미입니다.

  • @user-fi1bc5wg4y

    @user-fi1bc5wg4y

    7 ай бұрын

  • @yulee5505
    @yulee55057 ай бұрын

    6:48 근데 야망가 말고도 게임에서도 그런 설정이 있기도 하죠. 페그오의 2부 2장도 그렇고요

  • @user-yt6gv6gj2v
    @user-yt6gv6gj2v7 ай бұрын

    3:26 아이스랜드는 서방에 도움을 요청해서 이긴거고 서방도 아 이건좀 할때 소련이랑 손잡고 전함받으려고했다(냉전때)

  • @user-bp2dc3bk6c
    @user-bp2dc3bk6c7 ай бұрын

    1:48 걍 주변에서 지열발전 세우면 개꿀일듯

  • @Kevin-ps9yf
    @Kevin-ps9yf7 ай бұрын

    TMI: 의외로 우주인 배출에 성공한 나라는 아프가니스탄이며, 우주에서 최초로 쿠란이 낭송된 기록을 가지고 있다.

  • @user-dy9gf1ez2v
    @user-dy9gf1ez2v7 ай бұрын

    4:31루마니아 최악의 흑역사라고 불리는 독재자....

  • @user-bn1le6cn2w
    @user-bn1le6cn2w7 ай бұрын

    우왕빨리와따

  • @GODBAYASI
    @GODBAYASI5 ай бұрын

    4:15hi토미에나 나올 설정

  • @birthday0l0
    @birthday0l07 ай бұрын

    영상에선 저렇게 나왔으나 실제로는 찌아찌아족이 한국어가 아닌 한글을 쓰는게 맞습니다 걔네는 영어를 쓰기엔 발음이 잘 안되서 결국 찾은게 한글이라고 하네요

  • @little.u.
    @little.u.7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건물보다 맥주가 더 먼저 발명된거임?

  • @dojinews
    @dojinews7 ай бұрын

    5:08 아 TNO 아시는구나(?)

  • @Venti-Sablin

    @Venti-Sablin

    7 ай бұрын

    아틀란트로파(삭제됨)

  • @SUUSSR

    @SUUSSR

    6 ай бұрын

    독일 내전

  • @user-ee8ve1qb9j
    @user-ee8ve1qb9j7 ай бұрын

    1:43 한국에도 있지요

  • @buggerpatty
    @buggerpatty7 ай бұрын

    네덜란드에서는 키가 작으면 사람들이 째려보는거에서 지치지않고 미래가면 죽어서 사람들이 키가 클수밖에 없네

  • @dangdangwoo
    @dangdangwoo7 ай бұрын

    월드컵 올리면 계속올리네 ㅋㅋㅋㅋㅋ

  • @thewaypeaople4423
    @thewaypeaople44237 ай бұрын

    5:50 역시 답은...

  • @nu_yeo1011
    @nu_yeo10117 ай бұрын

    전쟁하던걸 까먹으면 어떡해! ㅋㅋ

  • @Steinich
    @Steinich7 ай бұрын

    2:46 미국이라는 키워드를 들으면 선진국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교육이 잘 되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형식상이거나 그것조차 잘 지켜지지 않는 곳이 은근히 많다. 대외로 알려지는 것이 매우 높은 수준일 뿐이다. 뉴욕, 워싱턴 D.C., 로스앤젤레스 이런 곳은 당연히 교육 잘 한다. 상류층이 사는 곳이니까. 당장 디트로이트만 봐도 거기에 상류층이 사는 경우는 거의 없다. 유명인은 에미넴 정도? 6:27 건물이 나라보다 오래 간다는 말이 있는 국가인 만큼, 도로를 정말 열심히 만들었다. 평탄화가 잘 됐기 때문에 아스팔트만 부으면 도로로 쓸 수 있다는 뜻이다. 6:35 인류가 농업을 시작한 이유로 여러 가설들이 있는데 그 중 일부는 ㅁ약을 기르기 위해서라는 것도 있고(대마는 인간이 길렀기 때문에 인간의 전파 경로를 따라 세계 곳곳에 자생하게 된 ㅁ약이다), 맥주를 마시기 위해서라는 설도 있다.

  • @user-pk1li3fr3l
    @user-pk1li3fr3l7 ай бұрын

    4:50 참고로 저거 추친햇던게 나치독일인데 만약 진행시켯다면 영토를 얻는게 아니라 유럽 전체가 사막화됬을꺼라고....

  • @uca_
    @uca_7 ай бұрын

    어케 까먹어 그걸…ㅋㅋㅋㅋㅋㅋ

  • @user-rw3wi1zj8g
    @user-rw3wi1zj8g5 ай бұрын

    카라차이호수 한달이내 사망률 60퍼라는건 40퍼는 산다는게 아니라 나머지도 두달후 세달후에는 죽는다는거잖아ㅋㅋㅋㅋㅋ

  • @jangsanbeom
    @jangsanbeom7 ай бұрын

    2:40 미국은 극 소수가 이끄는 국가...

  • @daffadawdwa119
    @daffadawdwa1197 ай бұрын

    이와 비슷한 사건으로는 일본-몬테네그로 전쟁으로 러일전쟁당시 러시와 제국의 영향력에 있던 몬테네그로가 일본에 선전포고 했지만 사실상 발칸반도에서 일본까지 갈수도 없어 결국 일본이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문제는 러시아 제국 일본 제국의 종전 협정에서 몬테네그로 자체가 약소국에 이렇다할 전적도 없어 아예 협정에서 빼는 바람에 1904~2006년 까지 전쟁을 하였지만 걍제적 군사적 피해가 없는 유일무의 한 전쟁으로 기록된다고..

  • @Russa_ball13
    @Russa_ball137 ай бұрын

    아니처음에 컨볼나와서 어리둥절함

  • @user-rr7no8tx8c
    @user-rr7no8tx8c7 ай бұрын

    6주만에 수도 점령당한 제국주의 국가가 있다?

  • @user-hc9uj7oy8g

    @user-hc9uj7oy8g

    7 ай бұрын

    " 엘랑 "

  • @user-iw5uv2bi4x
    @user-iw5uv2bi4x7 ай бұрын

    네덜란드와 영국같은 예시가 하나 더 있는데 그건 로마와 카르타고임 로마가 포에니 전쟁당시 종전 선얼을 하지 않고 그걸 알은 이탈리아의 로마 시장과 튀니지의 튀니스 시장이 1985년 1월에 종전 선언을 하며 2131년 만에 전쟁이 끝남

  • @user-ft3wd4qq2p
    @user-ft3wd4qq2p7 ай бұрын

    8:01 최근엔 아베 전 총리도 참변을 당했었죠

  • @GameMandeok
    @GameMandeok7 ай бұрын

    1:25초에 왼쪽 40%는 몇달뒤에 죽는거나 사는거 아님??

  • @Cinnamon_Cannonn
    @Cinnamon_Cannonn7 ай бұрын

    6:28 저건 챠량이 지나다녀도 변형이 없을 수준인건데 현대 도로도 대충 만들어 아스팔트만 깔면 푹 퍼지거나 부분적으로 구멍나서 차량을 박살내기도 합니다.

  • @user-dd1gj6zu4g
    @user-dd1gj6zu4g7 ай бұрын

    5:01 말미잘로 국끓여먹는 것도 봤는데 뭐

  • @needhog1683
    @needhog16837 ай бұрын

    재밌게. 보고간다

  • @user-wg4mp2bl9k
    @user-wg4mp2bl9k7 ай бұрын

    전쟁까먹고 300년 넘게 지나고 지들끼리 어? 우리 전쟁중이었네? 했을거 생각하면 개웃기네ㅋㅋ

  • @CDnX
    @CDnX7 ай бұрын

    6:22 도로랍시고 생 땅 위에 마감재만 깔면 차 좀 지나가면 개작살날겁니다. 기초가 두껍게 안 깔려 있는 지역의 아스팔트 도로들이 트럭 바퀴 모양으로 홈이 파여있는다거나 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는 게 아스팔트 도로입니다. 2300년 전에 한 기초 공사 위에 마감재만 좀 깔거나 철도만 올려서 현대에 써먹을 정도로 견고하다는 건 대단한 거에요.

  • @TV-rs6rl
    @TV-rs6rl7 ай бұрын

    이래서 30년전쟁이 아니라 300년전쟁이 역사에 안나오는거였어

  • @user-vw1pr5dt3n
    @user-vw1pr5dt3n7 ай бұрын

    이 양반은 뭐 다 비웃어! 참 재밌게도 산다.

  • @gary7391ify
    @gary7391ify7 ай бұрын

    0:38 번역 문제인듯 합니다. 카라차이 호수 근처에서 1초든 1분이든 있기만 해도 피폭 확정이기 때문에, 1시간이면 죽는다는 건 100퍼센트입니다. 60퍼센트는 한 달 뒤에 죽을 확률이에요.

  • @seize4085
    @seize40857 ай бұрын

    1:59 이거 흐지부지된지 오래라고 하는데 아직도 한국에선 많이들 믿으시더라구요

  • @jang_1010
    @jang_10107 ай бұрын

    찐랜만에 국가이왜진

  • @waing_9876
    @waing_98764 ай бұрын

    이젠 자신을 여자로 그리는 취무..

  • @user-ix4eq6hk7g
    @user-ix4eq6hk7g7 ай бұрын

    전쟁하다가 귀찮았나보다… ISFP냐곸ㅋㅋㅋ 히키코모맄ㅋㅋ

  • @user-il8zw3tf6e

    @user-il8zw3tf6e

    7 ай бұрын

    저때 영국 내에서 왕당파랑 의회파 두개의 파벌로 갈라져 싸웠는데 네덜란드가 지원하기로한 왕당파쪽이 지원가기도 전에 망해서 안갔음ㅋㅋㅋ 근데 종전 선언하는걸 서로 까먹음ㅋㅋㅋ

  • @jackkim2280
    @jackkim22807 ай бұрын

    1:11 나를 죽이지 못하는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 @user-jjy1015
    @user-jjy10157 ай бұрын

    3:15 세계에서 가장오래된 건축물이나 미스터리로 불리는 유적, 괴베클리 테페로 위로가면갈수록 토템의 모양이 역으로 단순화되는것으로 아직까지 그이유를 찾지 못했다고 합니다.

  • @Mx.iengieng
    @Mx.iengieng6 ай бұрын

    3:32 아이슬란드가 ㅈ나 쌘 게 아니라 당시 냉전중이었는데 같은 편끼리 싸우는 게 손해이기도 하고 강대국이 쬐끄만 어업 원툴 국가에 뭐하는 짓이냐고 여론도 너무 나쁘고 해서 똥을 더러워서 피한다는 느낌으로 영국이 뺀 걸로 알고 있습니다

  • @ggl5102
    @ggl51024 ай бұрын

    5:12 언급없이 지나갔는데, 독일 국가의 1,2절 가사는 과거 독일제국 시절 영토에 대한 언급이 있어 2차대전 이후 현 영토로 정립된 뒤에는 부르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애국가에 만주벌판이 들어가는 느낌..?

  • @HeKatae_666
    @HeKatae_6667 ай бұрын

    루마니아는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 출산을 하지 않으면 세금을 때리는 정신나간 법을 진짜 사용했다가 나라 전체가 292.5 뒤집어졌죠.

  • @Anosball
    @Anosball7 ай бұрын

    갸꿀잼

  • @dmdrk234
    @dmdrk2347 ай бұрын

    TMI : 카라차이 호수는 콘크리트로 완전히 매꿔놨다.

  • @IIllIIIllllllIlil
    @IIllIIIllllllIlil7 ай бұрын

    5:10 이건 우리가 국물 요리가 많아서가 아닐까함.. 육수 내는 데 해산물도 많이 사용 되기도 하니

  • @HanSHangul
    @HanSHangul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아무리 저출산이어도 루마니아처럼 일어나지 않길.

  • @kosariboggum
    @kosariboggum7 ай бұрын

    ㅋㅋㅋ 오늘의 사건도 만악의 근원인 영국에서 시작된다 🇬🇧

  • @CASS_IS_NOT_BEER
    @CASS_IS_NOT_BEER5 ай бұрын

    네덜란드 : 그래서, 정전협약 할꺼지? 영국 : 네덜란드 : ? 왜 말이 없...냐? 하는 거....맞지? 영국 : 네덜란드 : 도망ㅊ

  • @user-ij4lt4mn2l
    @user-ij4lt4mn2l7 ай бұрын

    귀.여.워

  • @cnhlr6217
    @cnhlr62177 ай бұрын

    영국 아이슬란드 전쟁은 심지어 전쟁 사유가 영국이 아이슬란드 영해에서 아이슬란드 경제기반인 대구를 멸종에 가깝게 잡아대서다...

  • @user-ez6xw5sx7q
    @user-ez6xw5sx7q7 ай бұрын

    스위스 1차대전:아무도 안쳐들어옴 2차대전:자국안에 있는 나치들 때려 잡고 연합군 전투기, 추축국 전투기들 하나씩 전부 요격

  • @user-hc9uj7oy8g

    @user-hc9uj7oy8g

    7 ай бұрын

    스위스 처들어오면 해당 국가 높으신분들 지갑삭제시킴

  • @user-ez6xw5sx7q

    @user-ez6xw5sx7q

    6 ай бұрын

    ​@@user-hc9uj7oy8g인정 ㅋㅋㅋㅋ

  • @user-dy9gf1ez2v
    @user-dy9gf1ez2v7 ай бұрын

    6:06 영국에서 내전이 벌어져서 한쪽이 네덜란드한테 지원 요청했는데 네덜란드군이 도착하기 전에 전쟁이 끝나서...ㅋㅋㅋㅋ

  • @agm1144
    @agm11447 ай бұрын

    괴베클리 테베 유적(11700년전 유적)의 서랍장(?)은 발굴한 유적을 보호하기 위해 발굴팀이 씌워놓은 보호 덮개임. 괴베클리 테베 유적은 돌기둥과 석조 건축물들 및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음

  • @samilpersonal5349
    @samilpersonal53497 ай бұрын

    1:53 옆나라 시소도 같은 깻잎인데... 따지고 보면 더 먼저 나왔는데...

  • @Gwanglanyoseong
    @Gwanglanyoseong5 ай бұрын

    6:04 저거랑 비슷한 사연 1904년 몬테네그로가 일본에게 선전포고 날렸지만 세르비아랑 합병하는 바람에 공식적인 종전선언을 하지않아 102년 후, 2006년 몬테네그로가 재독립이 되어서야 종전선언 했었다고...

  • @yt_feat.3321
    @yt_feat.33217 ай бұрын

    1:55 정확하게 말하면 네 깻잎이 허브랍니다 그래서 잘 안먹는다고 하네요

  • @yjE2222
    @yjE22226 ай бұрын

    당시에 태우면 없어지겠지 하고 불지른게 지금까지 타오른다고 하네요.. ㅋㅋ;;

  • @korelikadkoy3420
    @korelikadkoy34204 ай бұрын

    터키사는데 samsun이나 몇몇 지역은 깻잎으로 sarma dolma 같은 쌈밥해서 먹어요~ 친구집 초대받아서 가서 먹은 경험 있습니다 ;) 보통은 포도잎으로 하는데 촌에서는 깻잎이나 호박잎 같은 다른 잎으로도 한다더라구요

  • @yt_feat.3321
    @yt_feat.33217 ай бұрын

    5:45 이게 7번중 절반 이상이 군부에서 암살을 한겁니다 이유는 뭐냐 군부 정책 반대... 대표적으론 만주침공 반대하다 암살된분 1분 계십니다

  • @user-pk4hj7dc1y
    @user-pk4hj7dc1y7 ай бұрын

    아니 그냥 전쟁 멈추라곸ㅋㅋ

  • @kwt1147
    @kwt11477 ай бұрын

    슈뢰딩거의 확률보다 극악이네 60%확률로 죽는다니 ㄷㄷ

  • @user-qb3qf4gz4g
    @user-qb3qf4gz4g7 ай бұрын

    5:06 이 해산물은 생선만 포함이 아닌 바다에서 나는 모든 식재(해조류, 생선등)를 통틀어서 많은거다.

  • @OIOIOIOIOIOIOIOIOIOIOIOIOIOI3
    @OIOIOIOIOIOIOIOIOIOIOIOIOIOI37 ай бұрын

    이탈리아 파스타 금지 시도함 2차대전 때 프랑스한테 선전포고하고 일주일 넘게 아무것도 안함 아프리카 나라한테 짐

  • @e-vac2896

    @e-vac2896

    7 ай бұрын

    이탈리아가 일주일 넘게 아무것도 안한건 두체때문이랍니다. 사실상 영토의 절반정도가 농경지인 상황에서 추수시즌에 선전포고를 갈겨버렸고 독일이 예상보다 선전하자 콩고물도 받을수 없겠다고 생각한 두체가 전쟁준비도 하지 않은체 즉흥적으로 선전포고를 날려버렸습니다. 이때문에 전세계에 퍼져있던 이탈리아 수송선과 화물선들이 전부 연합군에게 나포되는 사태가 터지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이탈리아와 프랑스 국경은 애초에 전체가 산악지대여서 공수가 바뀌었어도 방어측이 승리하는건 바뀌지 않았을것입니다. 괜히 대규모 병력을 가지고 이탈리아 북부를 뚫으면 전략의 신 취급을 받는게 아니죠. (아틸라, 나폴레옹 등)

  • @H0NGYUN
    @H0NGYUN7 ай бұрын

    네덜란드의 주식회사(동인도회사) 같은 경우 현재로 치면 시가총액 1경을 넘는 초대기업이었답니다

  • @user-sm9oq1mc8r
    @user-sm9oq1mc8r7 ай бұрын

    그....40%로 살 수 있다는 거지 100%로 온갖 암,백혈병,피부괴사,장기손상,면역체계 파괴를 달고 나옵니다......건강하게 살아돌아오는게 아니여

  • @Epic04236
    @Epic042367 ай бұрын

    취무님 취무님 더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 보셧나영?

  • @MioQwi
    @MioQwi7 ай бұрын

    1달 안에 60%확률로 죽는다는 건 40% 확률로 살아남으면 그 뒤로는 멀쩡하다는 뜻이 아님

  • @tridish7383

    @tridish7383

    7 ай бұрын

    죽으면 운 좋은거.

  • @hasagom
    @hasagom7 ай бұрын

    썸네일에 취무언니 ㅗㅜㅑ...

  • @user-xm7yl2eo3c
    @user-xm7yl2eo3c7 ай бұрын

    '파리코뮌' 이라는 것이 프랑스 사회주의 정권이었고 또 1차대전 이후 헝가리에서 사회주의 국가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 으로간단히 줄이면 사회주의 정권 또는 국가 순은 프랑스 -> 소련(1917(1922년 정식 국가 선포)~1991년당시 러시아)) -> 헝가리 순이에요

  • @user-xm7yl2eo3c

    @user-xm7yl2eo3c

    7 ай бұрын

    그리고 대구전쟁(영상에서 영국 3번 이겼다는것) 은 영국이 아이슬란드 영해를 계속 침범하여 대구를 잡자 아이슬란드는 냉전시대 때 (1947~1991) 나토 탈퇴 한다 국교 끝는다 소련한테 다가가 어떠한다로 (서방 국가들 성내게 만들자) 결국 승리함

  • @user-xm7yl2eo3c

    @user-xm7yl2eo3c

    7 ай бұрын

    참고로 위에 댓글의 출처 (지식해적단 채널의 일부이자 네이버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한 내용입니다) (무드등님 한태 알려주고 싶어서 결국 타 유튜버의 영상 내용을 썻내요 죄송합니다 ㅎㅎ

  • @Wallaceforpresident
    @Wallaceforpresident7 ай бұрын

    0:15 사실 우리나라 언론들이 스위스가 중립에서 벗어났다고 했으나, 이는 사실과 거리가 있는 것으로, 그저 대러시아 자산 동결에 불과합니다. 스위스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도 독일의 확장을 대놓고 경계하는 서안을 발표하거나 안슐루스(오스트리아 합병)을 반대하는 등 외교적 수사는 오래간 해왔고, 독일인 자금을 동결하려 하는 등의 대처도 했습니다. 다만 러시아는 독일과 달리 국경이 떨어져 있어 막을 수 없던 것입니다. 결론: 여전히 영세중립임 1:58 찌아찌아족의 사례는 최근 밝혀진 정황으로는, 기존에 한글사업을 진행하던 교사가 실질적으로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정황이 나와 사실상 대국민 사기극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는 중입니다. kzread.info/dash/bejne/dZOMt9CQhZfOdKQ.html 3:50 이건 공산주의를 어떤 범위로 하냐에 따라 다른데, 공산주의 "국가" 가 아니라 "정권" 인 이유는, 파리 코뮌의 경우, 우리가 아는 레닌주의-스탈린주의 계통이 아니라 아나키즘, 정통 마르크스주의, 후기 자코뱅주의 세력이 주도한 것으로, 이들이 주장한 공산주의 사회는 일정한 권위 체제 자체가 없는, 우리가 아는 아나키즘 사회에 더 가까운 체제입니다.

  • @H0it2
    @H0it27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들에만 원래의 성별을 쓰는 누나라니... 혹시 퐉스야 누나? 오히려 좋아

  • @user-io9co5hz7z
    @user-io9co5hz7z7 ай бұрын

    재밌다

  • @chuimi_channel
    @chuimi_channel7 ай бұрын

    전쟁중인거 까먹은 또 다른 나라 대한민국 휴전도 전쟁중이다

  • @mrrker4971
    @mrrker49717 ай бұрын

    3:26 이중 한 전쟁에서 아이슬란드가 좀 치사(?)했던게 저번 전쟁과 다르게 아이스란드를 향한 여론이 안 좋자 노빠꾸로 소련 찾아가서 군함을 빌리려 함. 당연히 미국을 포함 자유 진영은 영국을 비난했고 아이슬란드는 영해를 늘렸다나 뭐라나..

  • @user-wi9ju8en7h
    @user-wi9ju8en7h7 ай бұрын

    1:57 이거는 튀르키예도 반찬으로 먹는다고 들었습니다. 6:58 해당 정책을 내세운 사람은 루마니아의 독재자가 한 것으로 이후에 암살 당했다고 합니다.

  • @ekkijoa

    @ekkijoa

    5 ай бұрын

    암살아니고 혁명나서 총살형당함

  • @user-rc2uv4ek4u
    @user-rc2uv4ek4u7 ай бұрын

    전쟁을 까먹는건 에바잖아 ㅋㅋㅋㅋ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