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이게 어떻게 진짜임??? [지구과학 이왜진 월드컵]

Ойындар

#취한무드등 #취무등 #이상형월드컵
아니 왜 원리를 봐도 더 모르겠냐고 ㅋㅋㅋ
편집 - 안떠님
썸네일 - 취한무드등

Пікірлер: 216

  • @starLove-dw8bf
    @starLove-dw8bf6 ай бұрын

    진짜 파해치면 파해칠 수록 ㅈㄴ 심오하고 신기한 현상들이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다른 이왜진들은 막 그렇게 신기하진 않았는데 이번껀 진짜 ㅈㄴ신기하다

  • @idkdq392

    @idkdq392

    6 ай бұрын

    하지만 취무눈나의 인생이 더 미스테리란건 팩트....

  • @-blank3179
    @-blank31796 ай бұрын

    평균적으로 볼 수 있는 보통 크기의 뭉게 구름(적운)은 개당 500~600톤입니다. 태풍과 같이 대규모의 자연재해에 포함된 구름(적란운)의 경우에는 120만톤에 달합니다. 구름이라는게 결국 하늘에 엄청나게 크게 펼쳐져있는 물 입자들이라서... 생각보다 무게가 나갑니다. 단지 밀도가 작아 분기점을 넘지 않는 이상에야 충분히 무거워지지 않아 비로 떨어지지 않을 뿐.

  • @kang7027
    @kang70276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이런 일들이 다 일어나는 곳에서 겨우 날개달린 말이 없다고?”

  • @guarder09

    @guarder09

    6 ай бұрын

    뿔달린 말도 없고?

  • @user-cv2ee5me1n

    @user-cv2ee5me1n

    6 ай бұрын

    ㅇㅇ코뿔소

  • @TV-jk2ui

    @TV-jk2ui

    5 ай бұрын

    그건 뿔달린 소라고 해야될거같은 기부니가 드네여​@@user-cv2ee5me1n

  • @GerDeu

    @GerDeu

    4 ай бұрын

    여친도 없음..

  • @sbqjfl_1804

    @sbqjfl_1804

    4 ай бұрын

    @@GerDeu 아니 갑자기 광역기를...

  • @user-ln2pi3zt6c
    @user-ln2pi3zt6c6 ай бұрын

    호주 거꾸로 흐르는 폭포는 그냥 바람 때문인걸로 알고 있어요. 풍속이 70km/h라 물을 그냥 거꾸로 날려 버린다고 하더라구요

  • @zetadoesntwork

    @zetadoesntwork

    6 ай бұрын

    더 이왜진인데?

  • @user-dp4ts3id5m

    @user-dp4ts3id5m

    6 ай бұрын

    그럼 거기 가면 사람도 날아가는겨?

  • @zetadoesntwork

    @zetadoesntwork

    6 ай бұрын

    @@user-dp4ts3id5m 아마도?

  • @user-ln2pi3zt6c

    @user-ln2pi3zt6c

    6 ай бұрын

    @@user-dp4ts3id5m 그건 안가봐서 몰루?

  • @user-ct1xk3rz7s
    @user-ct1xk3rz7s6 күн бұрын

    0:23 리얼 중력폭포네

  • @user-hb6jl2vv9p
    @user-hb6jl2vv9p23 сағат бұрын

    4:13초가 레알이라고?!

  • @dmdpr
    @dmdpr6 ай бұрын

    아니 진짜 왜 그러는 거야?? 과학의 세계는 참으로 어렵다..

  • @lettuce_half_bundle_3299
    @lettuce_half_bundle_32996 ай бұрын

    5:01 구름 하나 무게 맞아요 구름이 한 덩어이라가 아니라 물 입자가 쥰내 많이 모였어서 떠있을수있는거라네여

  • @user-ol3zz6rw2r

    @user-ol3zz6rw2r

    6 ай бұрын

    맞는 말입니다. 애초에 멀리 있어서 그렇지 구름 하나가 겁나 커서 밀도가 아무리 낮아도 무거울 수 밖에 없죠.

  • @user-pt4mt4cm8g
    @user-pt4mt4cm8gАй бұрын

    0:23 우린 이걸 분수라고 말하죠

  • @Mr.BGM맨
    @Mr.BGM맨6 ай бұрын

    "역시 여기 이왜진 월드컵은 언제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아!!!"

  • @user-ze4ht7yh4v

    @user-ze4ht7yh4v

    6 ай бұрын

    난 이왜진 월드컵씨가 좋아요....

  • @user-ry7oe4ch1g
    @user-ry7oe4ch1g10 күн бұрын

    3:32 여기의버섯은모형이고실제모습은더작습니다

  • @user-nr2rk4lc5p
    @user-nr2rk4lc5p6 ай бұрын

    0:23 연어:ㅋㅋ개꿀

  • @Im_Thanos77
    @Im_Thanos776 ай бұрын

    6:37 이건 우리 지구의 자전축이 23도여서 일어나는 현상인데 지구가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있을때는 북방구가 태양쪽을 직접적으로 바라보고 있어 더 많이 더 오랫동안 태양복사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오히려 더 더운겁니다. 반대로 남방구는 태양빛을 비스듬히 받아서 태양복사에너지를 적고 짧게 받기 때문에 더 춥습니다

  • @tasanjiseok

    @tasanjiseok

    6 ай бұрын

    방구가 아니라 '반구' 입니다. 구형태를 반으로 자른 도형이 반구이고, 북쪽 반구, 남쪽 반구라는 뜻으로 북반구 남반구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쓰신 글과 같은 관점에서 덧붙여 말하자면 북반구가 여름일때 남반구는 겨울이고 남반구가 여름일때 북반구가 겨울입니다. 따라서 남반구는 제일 평균기온이 높은 한여름에 크리스마스가 있습니다.

  • @poohdream4939
    @poohdream49393 күн бұрын

    그냥 중력보다 바람이 더 쌔면 거꾸로 폭포가 생깁니다.

  • @user-kz3kh7tq5p
    @user-kz3kh7tq5p6 ай бұрын

    3:10 학교에서 배움

  • @Hyper_Typhoon
    @Hyper_Typhoon6 ай бұрын

    1:11 지구 축으로는 북극점과 남극점이 중심이지만 자기장 축으로는 캐나다 북부가 북극점이기에 미국에서도 관측됩니다. 과거 우리나라에도 관측된 적이 있었고 자기장축은 매년마다 조금씩 이동 중입니다. Ps. 오로라는 자기장에 갇힌 태양풍의 방사선이 대기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고 자기장축의 극점이 아니라면 보기 힘든 현상입니다.

  • @religion-is-psychosis
    @religion-is-psychosis6 ай бұрын

    의외의 사실 500톤을 물로 치환하면, 양변이 8m보다 짧은 정육면체가 된다. (8m면 512톤) 그래서 구름의 무게가 500톤이라도 부피가 엄청나게 커서 떠 있을 수 있다

  • @ocenian

    @ocenian

    6 ай бұрын

    물 18ml=수증기 22.4L 같은 질량, 섭씨0도 기준

  • @user-ip8vt1ib1z
    @user-ip8vt1ib1z4 ай бұрын

    “그런데 이것은 틀렸습니다”

  • @user-cu1nl6be9r
    @user-cu1nl6be9r6 ай бұрын

    왜 여름이 더 멀은데 덥냐면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져서 태양이 한국을 비춰서 그런겁니다.

  • @guarder09
    @guarder096 ай бұрын

    겨울이 되면 중력이 강해집니다.

  • @saia12345
    @saia123456 ай бұрын

    2:14 무거우사람이아니라 살(지방)이많은 사람이다. 지방이튜브역할

  • @roan1122
    @roan11226 ай бұрын

    5:37 화면 랙걸린줄ㅋㅋㅋ

  • @user-li6dw8oq6p
    @user-li6dw8oq6p6 ай бұрын

    3:45 : 메이플 실사판

  • @user-wp1uw8fv6y
    @user-wp1uw8fv6y6 ай бұрын

    3:07 이 문구만 보면 "북반구 얘기잖아?" 하는 생각이 들겠지만 북반구+남반구 평균으로 합산해도 지구가 멀리 있을 때 온도가 더 높습니다. 7월(원일점) 지구 표면 온도는 1월(근일점)보다 3℃ 정도 더 높습니다. 이유는 육지와 바다의 비열 때문입니다. 육지는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가 바다보다 훨씬 큽니다. 북반구의 육지와 바다 면적은 39:61로 육지 비율이 지구 평균보다 높지만 남반구는 19:81로 대부분 바다입니다. 이 때문에 지구가 멀어지는 7월 북반구 여름/남반구 겨울에는 육지가 많이 더워지고 바다는 조금 차가워지고, 지구가 가까워지는 1월 북반구 겨울/남반구 여름에는 육지가 많이 차가워지고 바다는 조금 더워집니다. 그러므로 지구가 멀리 있을 때 지구가 받는 태양 에너지는 적더라도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는 오히려 올라가게 됩니다. 가끔 지구 자전축 기울기와 원일점 근일점 개념 때문에 "남반구의 연교차는 북반구보다 더 크겠네" 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앞서 언급했듯이 남반구는 바다가 대부분이기에 평균적으로 남반구 온도변화는 북반구보다 작습니다. 물론 남극대륙 한정으로는 이야기가 달라지지만.

  • @taeng0713
    @taeng07134 күн бұрын

    움직이는 돌 이유가 잘 기억 안나는데 나좀 도와줄사람

  • @user-zo7uv2mu6u
    @user-zo7uv2mu6u6 ай бұрын

    2:06 왠지 우리형이 ㅈㄴ 잘뜨더라

  • @user-vl6pj7tf4e
    @user-vl6pj7tf4eАй бұрын

    거꾸로 폭포는 바람이 세면 거꾸로 폭포가 생겨요😂

  • @hasagom
    @hasagom6 ай бұрын

    썸네일부터 재밌네 0:23 2:48 끝났는데? 0:57 2:08 그래서..나도? 1:39 3:08 3:32 4:03 4:30 ??? 4:17 이걸 맞추네

  • @homesickness_syndrome1
    @homesickness_syndrome117 күн бұрын

    2:08 그니까요... 공감공감공감공감!!!!!! 아니 세상에 말라서 이쁘긴 개뿔 내 갈비뼈랑 아이컨택하는게 겁나 싫다고요!!!!!!!!!!!!!!!! 근데 물에도 안뜨면 좋은게 뭐야!!!!!!!!!!!!!!!!!!!!!!!!!!!!!!!!!!!!!!!!!!!! 장점이 있기라도 하던가!!!!!!!!!!!!!!!!!!!!!!!!!!!!!!!!!!!! 억울해!!!!!!! 억울하다고!!!!!!!!!!!!!!! 난 아이돌이 아니라서 아이돌 몸매 필요없다고!!!!!!!!!!!!!!!!!!!!!!!!!!!!!!!!!!!! 몸매가 아이돌이여야 아이돌 몸매지 마르다고 다 아이돌 몸매가 아니라고!!!!!!!!!!!!!!!!!!!!!!!!!!!!!!!!!!!!!!!!!!

  • @jjw379
    @jjw3792 ай бұрын

    이게 이왜진인거 있음 취무등은 남자다

  • @user-up6nd9dq4m
    @user-up6nd9dq4m2 ай бұрын

    내 수체비행기 기록:1~3분사이

  • @warrior_of_the_hood_link
    @warrior_of_the_hood_link6 ай бұрын

    그..... 기절했다가 눈을 떴는데 숲이면 굳이 저숲이 아니어도 무서울거 같은뎁쇼

  • @meonglee0407
    @meonglee04076 ай бұрын

    3:49 버섯집 ㅆㄱㄴ인 것

  • @user-gs8pd9zz9t
    @user-gs8pd9zz9t6 ай бұрын

    여름에 태양이 멀리있어도 더 더운이유는 햇빛을받는면적이 넓기때문이라고알고있어요

  • @user-nl6et2xv4s
    @user-nl6et2xv4s4 ай бұрын

    구름하나의 무게가 500t이 맞습니다 이는 구름이 물덩어리 여서 겁나 무겁습니다

  • @main_account.
    @main_account.6 ай бұрын

    지구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은 남극이라고 한다

  • @il.lu.mi.na.ti.
    @il.lu.mi.na.ti.5 ай бұрын

    00:22 그래비티 폴즈 아님..?

  • @qlsqls-fq6qp
    @qlsqls-fq6qp10 күн бұрын

    미국 데스밸리에 돌이 움직이는 이유는 첫번째 가설.겨울이 지나고 날이 풀리면서 지표면이 진흙으로 변했고, 미끄러운 진흙과 거센 바람이 이돌이 움직이는 원리중 '일부'이다 [NASA 소속 존스 홉킨스대 랄프 로렌즈교수] 두번째 가설. 메마른 사막에 비가내린뒤 몹시추운 밤에 얼어붙어 모래위 얇은 얼음층이 형성이 되는데 이때 강한 사막바람이 불어오면 돌이 얼음에 미끄러지며 이동 그러나 일년강수량이 5cm에 불과하기에 이 모든 현상들이 느리게 나타나 사람의 눈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지 못했다 [미국 스크립스 해양과학연구소]

  • @koreaperson27_JK267
    @koreaperson27_JK2676 ай бұрын

    남극은 사막위에 얼음이덮힌거다

  • @jungnayoung37
    @jungnayoung376 ай бұрын

    거꾸로 흐르는 폭포는 바람이 너무 쎄서 그런거라하네요

  • @user-hr4ox2fp2l
    @user-hr4ox2fp2l6 ай бұрын

    3:19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있어서 원일점일때 여름 이라네요

  • @z-kx4er
    @z-kx4erАй бұрын

    정보 : 지구랑 태양의 거리가 멀면 추운이유 지구의 자전축이 바꿔서

  • @user-ze2tx8kc3d
    @user-ze2tx8kc3d6 ай бұрын

    사실 '지구'의 온도는 태양에 가까울 때 뜨거운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지구가 태양에서 멀 때는 지구의 자전축의 윗부분이 태양을 향하여 빛을 수직에 가깝게 받기 때문에 원래보다 같은 양의 빛도 더욱 좁은 공간에 빛춰지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집니다 서울을 예로 들자면 약 북위37.5도이고 지구 자전축이 약 23.5도 기울여졌기 때문에 자전축의 윗부분이 태양을 향할 때는 가장 더운 곳의 약 sin76 만큼의 빛을 받고 원일점에 위치하여 태양과의 거리가 약 1.02AU가 되기 때문에 1AU일 때의 약 0.96배 세기의 빛을 받습니다 자전축의 윗부분이 태양에서 멀어질 때는 가장 더운 곳의 sin29만큼의 빛을 받고 근일점에 위치하여 태양과의 거리가 약 0.98AU가 되기 때문에 1AU일 때의 약 1.04배 세기의 빛을 받습니다 이때 sin76x0.96>sin29x1.04이기 때문에 원일점에 위치할 때 더욱 많은 에너지를 받습니다 그래서 북반구는 원일점에서 여름, 근일점에서 겨울이 됩니다 반대로 남반구는 원일점에서 겨울, 근일점에서 여름이 됩니다 따라서 지구가 원일점일 때 북반구가 더욱 뜨거운 것이지 지구 전체가 더 뜨거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 계산들은 정확한 것이 아닌 어림이며 지구와 태양과의 관계는 훨씬 더 복잡하여 지금 쓰는 달력도 사실 정확한 것이 아닙니다 너무 미세한 차이라서 계속 쓰는 것이죠 그리고 이 정보는 고2 지구과학I 과정에서 배웁니다.....제가 고2이기 때문이죠 공부 ㅈㄴ 하기 싫어서 딴짓한겁니다

  • @allAnnoying
    @allAnnoying6 ай бұрын

    썸네일에 초록머리 지난번 이왜진 월드컵 썸네일에 나왔던 악어캐릭터같은데

  • @Hayase_Yuuka
    @Hayase_Yuuka6 ай бұрын

    지구의 내핵의 또다른 핵이 철로 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닭은 공룡의 후손이다

  • @JustBlackColor
    @JustBlackColor6 ай бұрын

    Gravity Falls가 찐이였어 ㄷㄷ

  • @user-jv6ow4hm1d
    @user-jv6ow4hm1d2 ай бұрын

    겨울은. 태양에빛을 비스듬하게받고 여름은 정면으로 받은다

  • @notava_lol
    @notava_lol6 ай бұрын

    ㄴㅇㄱ 이왜진: 취무등은 남자로 태어났다.. ㄷㄷ

  • @moonul1614
    @moonul16146 ай бұрын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 때문에 온도가 달라지기에는 태양이랑 지구 사이 거리가 너무 멀어서 별 영향이 없음...

  • @harang056
    @harang0566 ай бұрын

    거꾸로 흐르는 폭포는 주변 지형으로 인한 강한 상승기류 때문에 물이 위로 날아가는 겁니다

  • @husuki0629
    @husuki06296 ай бұрын

    6:26 해가 멀리 있으면 오래 떠 있으니 그만큼 공기가 데워져서 그런 것 같은데

  • @Lian_638_game

    @Lian_638_game

    6 ай бұрын

    대충 좁은 면적을 비춰서 그 면적에 비춰지는 빛과 도달하는 에너지양이 많기 때문 뭐 그런 겁니다 (아마도)

  • @user-vd6ey3zh9z

    @user-vd6ey3zh9z

    6 ай бұрын

    그렇게 따지자면 호주(남반구)는 가까울때 여름임

  • @elliotmel8907

    @elliotmel8907

    6 ай бұрын

    정보:저거 초등교육과정에 이유 나온다.

  • @husuki0629

    @husuki0629

    6 ай бұрын

    ​@@user-vd6ey3zh9z지구의 자전축은 기울어져 있기에 호주의 여름에서도 해는 높이 떠 있답니다

  • @user-vd6ey3zh9z

    @user-vd6ey3zh9z

    6 ай бұрын

    @@husuki0629 그치만 호주의 여름은 지구가 근일점을 지날때인걸요

  • @thok0908
    @thok09086 ай бұрын

    1:40에 하구를 밑에로 착각하는거 같아서 하는말인데 그 위쪽이 하구에요

  • @moon000art
    @moon000art6 ай бұрын

    태양의 열이 지구를 밀어내는 건가?

  • @heejungjang1337
    @heejungjang1337Ай бұрын

    저거 돌 움직이는 거 당이 진흙이어서 바람땜에 움직이는 걸로 알고 있음

  • @looi6795
    @looi67956 ай бұрын

    폭포는 그냥 단순히 절벽쪽 바람이 너무 강해서 폭포가 역류한데요.

  • @evandiner
    @evandiner6 ай бұрын

    나보다 어리잖아... 나도 멀리 떨어져있을때가 여름이고 가까울떄가 겨울이라고 배웠어... 남반구는 반대고.

  • @user-uk2yr2im8b
    @user-uk2yr2im8b6 ай бұрын

    움직이는돌은 그걸로 축구했나 보다

  • @WETUBE.518

    @WETUBE.518

    6 ай бұрын

    삼가 발가락의 명복을 빕니다.

  • @Cube_n
    @Cube_n6 ай бұрын

    인터넷은 믿을수가 없다.

  • @Dlgn1011
    @Dlgn10116 ай бұрын

    지구는 더 멀리 떨어져있을때 더 덥다는거 과학시간에 배웠는데 그 지구가 25도 기울어있어서라고했나?

  • @user-fe4ru4fg7g
    @user-fe4ru4fg7g6 ай бұрын

    이번 이왜진이 래전드가 많다.. 개신기해..

  • @dnjsgh8892
    @dnjsgh88926 ай бұрын

    지방은 물에 뜬다 무겁다 = 살이 많다 = 지방이 많다

  • @user-yd6nx2eu7d
    @user-yd6nx2eu7dАй бұрын

    바람이 엄청 강하대요

  • @lghis
    @lghis6 ай бұрын

    누나 남국은 얼음이 아니고 땅이야... 그리고 얼음이 맞다해도 얼음이면 고체상테의 물이잖아

  • @achtnull
    @achtnull6 ай бұрын

    사실 태양과 지구와의 미세한 거리차이는 그닥 중요치 않다. 여름에 더운 이유는 거리가 아닌 각도 때문이며 태양과 지구 자전축과의 각도가 좁아질수록 더 덥다

  • @user-ie1ky5uz5w
    @user-ie1ky5uz5w6 ай бұрын

    2:00 강 밑에 몇 만리터되는 마그마가 있을수도?

  • @user-or1hr2ph2n
    @user-or1hr2ph2n6 ай бұрын

    이게 어떻게 지구과학이야ㅋㅋㅋㅋㅋ생물학도 개많구만ㅋㅋㅋㅋㅋ

  • @birthday0l0
    @birthday0l06 ай бұрын

    자다가 뒤척이는 현상은 우리가 호흡을 하다가 반대쪽 코로 호흡을 하기 위해 더 편한 자세로 바꾸는것

  • @user-ft3wd4qq2p
    @user-ft3wd4qq2p6 ай бұрын

    폭포는 오줌 발사 같음 ㅋㅋㅋㅋㅋㅋ

  • @sefe_fas
    @sefe_fas4 ай бұрын

    아니 폭포가 거꾸로 흐르면 간헐천 아니냐

  • @gldhtmsmsrktrpa
    @gldhtmsmsrktrpa6 ай бұрын

    무겁다기보다는 지방이 많은 사람이 잘 뜨는 거긴 합니다만은 뭐... 아주 틀린 말은 아니긴 합니다.

  • @bylexs
    @bylexs6 ай бұрын

    "연어는 폭포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하지만 호주에서는 폭포가 거꾸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user-vz2rj5yw7o

    @user-vz2rj5yw7o

    6 ай бұрын

    그것이 호주니까..! (끄덕)

  • @sukyungpark6027
    @sukyungpark60276 ай бұрын

    이걸 믿는 사람이 있다니…

  • @uca_
    @uca_6 ай бұрын

    거꾸로 흐르는 폭포요...??ㅋㅋㅋㅋㅋ

  • @meaning_duck
    @meaning_duck6 ай бұрын

    날치가 45초를 비행하려면 45초를 숨을 참았다는 얘기로도 볼 수도 있습니다.

  • @user-dp1nz9vy8v
    @user-dp1nz9vy8v6 ай бұрын

    태양이멀으면 더운이유는 지구랑 태양이멀을때 태양빛이 지구의 머리위에서 빛나고 겨울은 태양이 지구를 비스듬하게 비춘다 그레서 여름을땐 우리나라가 태양을 직방으로 맞아 태양이 멀어도 더운거다

  • @user-os7gu3cb2d
    @user-os7gu3cb2d6 ай бұрын

    누나 태양이 멀어졌을때 뜨거운건 태양빛의 각도 때문에 빛을 집중해서 받아서임

  • @user-tn5it7kc2g
    @user-tn5it7kc2g6 ай бұрын

    여름은 뜨거운 공기가 한국에와서 그런거 아닌가?

  • @tv-jg1bm
    @tv-jg1bm6 ай бұрын

    남극은 그저 "건조"해서

  • @user-kp2wc6qx5l
    @user-kp2wc6qx5l6 ай бұрын

    지구가 타원인 이유는 불균형 보다는 자전이 더 큰 원인입니다..ㅎㅎ

  • @user-xo8qy7ej1s
    @user-xo8qy7ej1s6 ай бұрын

    참고:남극은 얼음덩어리가 단 1도 없다.(해안선 제외)

  • @user-xo8qy7ej1s

    @user-xo8qy7ej1s

    6 ай бұрын

    그리고 구름은 물이라 무거워도 떠있을수 있다.

  • @wp_hag

    @wp_hag

    6 ай бұрын

    뭔 남극에 얼음덩어리가 없어요;;

  • @tasanjiseok

    @tasanjiseok

    6 ай бұрын

    빙하 빙산 유빙 모두 얼음덩어리 입니다.

  • @user-nn6ys4sb2g
    @user-nn6ys4sb2g6 ай бұрын

    겨울을태양이랑가까이있을때된다

  • @TV-kl1sb
    @TV-kl1sb6 ай бұрын

    이왜진 전문 유튜버라 해도 할말업씀

  • @user-kz3kh7tq5p
    @user-kz3kh7tq5p6 ай бұрын

    3:44 뭔 이상한나라의 엘리스냐

  • @JY-pl2nc

    @JY-pl2nc

    2 ай бұрын

    지구 속 여행에도 비슷한 거 나옴

  • @user-zo3sk8vn8o
    @user-zo3sk8vn8o6 ай бұрын

    태양과 더 멀어지면 그만큼 태양 빛에 더 많이 더 오래 노출되어서 더 더운 겁니다. 3:09 (겨울에 추운 것도 같은 원리임)

  • @NC_Forever
    @NC_Forever6 ай бұрын

    데스밸리는 겨울에 얼음이 얼다가 봄에 얼음이 급격히 녹으면서(데스밸리 평균기온 약 50도) 돌이 움직인답니다... ㅎㅎㅎㅎ

  • @I_am_LeMaro
    @I_am_LeMaro6 ай бұрын

    남극이 사막으로 분류되는 이유가 비가 겁나 안와서 그렇대요. 그리고 만약에 비가 와도 즉시 얼어서 그렇고 남극이 세상에서 제일 건조하고 남극에 드라이 밸리라는 협곡지역은 약 200만년동안 비가 안내렸대요.

  • @soookim8002
    @soookim80026 ай бұрын

    폭포가 거꾸로 흐르면 분수 아닌가

  • @jammeg_eeeee
    @jammeg_eeeee6 ай бұрын

    이왜진은 못참치참치

  • @user-vr4uh3cz9k
    @user-vr4uh3cz9k6 ай бұрын

    ㅏ 숨쉬는 거 의식하게 됐어 젠장...

  • @lucymoonlight7268
    @lucymoonlight72686 ай бұрын

    이왜진이다!!

  • @user-iw3fj2xx6d
    @user-iw3fj2xx6d2 ай бұрын

    아핫!? 코가 번갈아 가면서 숨쉬어서 감기 때 콧구멍이 막혔던거군…….. 차라리 같이 숨쉬어 이런 야랄!

  • @mindeulrae
    @mindeulrae6 ай бұрын

    물에 뜨긴 어렵지만 공중에 뜨기는 쉬우니 날아다니시죠

  • @Happhin
    @Happhin6 ай бұрын

    지구과학이 아닌게 있는데...?

  • @user-dq7qw9dw8n
    @user-dq7qw9dw8n6 ай бұрын

    초6 태양고도 배우는데 썸넬 보고 시방 하면서 들어왔네

  • @user-ty7vp3oq3y
    @user-ty7vp3oq3y5 ай бұрын

    3:13 어릴 때 과학쌤이 말하셨습니다, "가까이 때리는게 아프냐? 멀리서 때리는게 아프냐?"고요..

  • @ami-tm8tb
    @ami-tm8tb6 ай бұрын

    아니 님 때매 숨쉬는거 의식하게 됬짜나여

  • @kingjokba
    @kingjokba6 ай бұрын

    지나가는 과학덕후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태양이 먼데 여름이 더운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때문입니다. 여름의 지구의 자전축과 겨울의 자전축은 다릅니다. 예를들면,겨울엔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로 기울어져 있죠. 자전축에 따라 태양빛이 다르게 도달하기 때문에 여름엔 태양과 5000만km 떨어져 있고 겨울엔 3000만km 떨어져 있어도 온도가 반대 인것 입니다. 온도를 조절하는건 결국 태양빛 이니까요.

  • @tasanjiseok

    @tasanjiseok

    6 ай бұрын

    실제로 거리가 그 정도로 차이나면 거리가 더 가까울 때 온도가 더 높을 확률이 높습니다.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여 빛이 입사하기 때문입니다. 1AU란,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를 뜻합니다. 약 1억 5천만 km입니다. 또한 원일점(북반구 여름철.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가 가장 멂.)과 근일점(북반구 겨울철.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가 가장 가까움.)의 길이 차이는 0.1AU이하입니다. 그래서 그 거리 차이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이지 그렇게 3천만 5천만과 같이 약 1.7배의 거리가 차이 난다면 기울기보다 거리차이로 인한 영향이 클 수 있습니다.

  • @kingjokba

    @kingjokba

    6 ай бұрын

    @@tasanjiseok 지금보니 제가쓴 3000만km가 원래는 500만km이네요 다음에는 이런실수 없도록 하겠습니다.😅😅

  • @tasanjiseok

    @tasanjiseok

    6 ай бұрын

    ​@@kingjokba이미 고등학교 이상 수준의 놀라운 지식량이신 것 같습니다 멋진 지구과학 학도로 성장하시길 바라요😊😊

  • @user-sunple
    @user-sunple6 ай бұрын

    폭포는 위로 바람이 너무 쎄게 불어서 물이 위로 날아가는거라네요

  •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6 ай бұрын

    태양에서 멀 때 더운 이유는 지구가 기울어져있기 때문이다. 무슨 말이냐면 지구가 태양에서 가까울 때는 지구가 약간 누운 방향으로 기우는데 북반구가 태양빛을 덜 받게 된다. 하지만 그 대신 남반구가 태양빛을 많이 받는다. 태양에서 멀어질 때는 약간 엎드린 방향으로 기우는데 북반구가 태양빛을 많이 받게된다. 대신 남반구는 극심한 추위를 겪게된다. 남반구는 북반구에 비해 최강의 더위와 최강의 추위를 가지게 된다.

  • @tasanjiseok

    @tasanjiseok

    6 ай бұрын

    반반치킨 할 때 반입니다. 북반구 남반구 반구란 구의 반을 자른 형태의 도형입니다.

  • @pion21_
    @pion21_6 ай бұрын

    지구과학이라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