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 은하 옆에서 이상한 천체가 발견되었다?! | 천문학자들도 그 정체가 뭔지 모른다! 😳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안드로메다 #은하 #허블 #에드윈허블 #Andromeda #Galaxy #Hubble #EdwinHubble #AndromedaGalaxy #M31 #MilkyWay #Nebula #성운 #천문학 #미스테리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레퍼런스
www.scientificamerican.com/ar...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astrobin.com/1d8ivk/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267

  • @user-rq1ke7fo5e
    @user-rq1ke7fo5e Жыл бұрын

    그간 지구인들이 보내준 개념 덩어리 아닐까요? ㅋㅋ

  • @crescendo_999

    @crescendo_999

    Жыл бұрын

    일리가 있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보았다.

  • @Smeejang

    @Smeejang

    Жыл бұрын

    정답!!!!

  • @RegainProduction

    @RegainProduction

    Жыл бұрын

    🤔 그럴듯해서 잠시 생각에 잠겼네.

  • @smileblack0

    @smileblack0

    Жыл бұрын

    개념은.. 산소로 이루어져있다.. 메모..

  •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Жыл бұрын

    내 개념이 저기에...

  • @mingtube8470
    @mingtube8470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과 지식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소리도 너무 좋으시구... 항상 건상하시길 기도할게요!! 항상 건강해주시고 더 많이 올려주세요 ㅎㅎㅎ 화이팅!!

  • @therock79983
    @therock79983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ek7jg9yt4f
    @user-ek7jg9yt4f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항상 잘보고 있어요 ^^

  • @user-qz6em2ss4n
    @user-qz6em2ss4n Жыл бұрын

    볼때마다 일반인들이 참 편하게 듣기좋은 다큐같다 품질도 높고 역시 먼지대장

  • @user-is2ff8fk8j
    @user-is2ff8fk8j Жыл бұрын

    늘 안정적인 목소리😊😊

  • @cataclysmhw4394
    @cataclysmhw4394 Жыл бұрын

    우주에 산소 구름이라니 정말 신기하네요

  • @azurecf
    @azurecf Жыл бұрын

    오 흥미진진하네요. 그러고 보니 별이 없는 천체들은 연구하기가 쉽지 않겠네요. 정보전달속도가 광속이라는 점은 우주의 많은 정보를 베일에 쌓이게 하는것 같습니다.

  • @macchoi2
    @macchoi2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많이잠기신걸로보아 감기걸리신거같은..몸조심하세요!!

  • @omt6761
    @omt6761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다보니 헤일로에 대해서가 궁금한데 암흑 헤일로라는 것도 있구... 많이 궁금한데 다음 영상에서는 헤일로에 대해서 다뤄주시면 안되나요? ㅎㅎ

  • @cohiba3672
    @cohiba3672 Жыл бұрын

    감기 걸리셨군요 쾌차하십시오

  • @gemem33
    @gemem33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봤습니다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참고로 1:55의 [OIII]이라는 표기에서 꺾쇠 기호 [ ]는 해당 선이 금지선(forbidden line)임을 의미합니다. 원자나 이온에서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천이할 때는 아무렇게나 천이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양자역학적 선택 규칙(selection rule)을 따라야 하는데, 이 규칙을 벗어나는, 발생 확률이 매우 낮은 천이를 금지천이라 하고 그에 따른 분광선을 금지선이라 합니다. 이러한 선은 실험실에서는 관찰이 어렵고, 성운이나 지구의 상층 대기와 같이 밀도가 아주 희박한 가스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자번호 뒤에 붙은 로마 숫자는 I이 중성원자를 의미하고 II, III, IV로 감에 따라 각각 1개, 2개, 3개의 전자를 잃은 이온임을 의미합니다.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Жыл бұрын

    금지선 표기하는 방법 자체는 대개 천문학 학부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이라 영상을 제작할 때 이 사실을 몰랐을 가능성은 전혀 없지만, 아마 선택규칙이나 금지천이의 정의에 관한 내용은 이 영상에서 다루기엔 너무 난해하고 다루더라도 내용이 지나치게 늘어날 것이라고 판단해 생략한 듯 싶습니다.

  • @LeeJake777

    @LeeJake777

    Жыл бұрын

    O3필터로 찍은 사진이란 얘기. 웬만한 천문사진 하는 사람들은 다 알고 갖고 있는 필터임.

  • @cry_st.4604

    @cry_st.4604

    Жыл бұрын

    뭐야 나도 이렇게 똑똑해보이는 댓글 달고 싶어 뭔진몰라도 멋있어!!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SHO 허블 팔레트 때문에 유명하긴 하지만, 아는 것과 별개로 5007옹스트롬 [OIII]를 학술적으로 올바르게 표현하신 분들은 많이 못 봤네요. 대개 OIII 내지 501nm로만 표현하시죠. 댓글 쓰신 분은 OIII보다 금지선임을 나타내는 대괄호 표기에 포커스를 맞추고 계시고요.

  • @nautes1212

    @nautes121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까지는 이해했어요!

  • @user-pb5sy3te7k
    @user-pb5sy3te7k Жыл бұрын

    와 우주 너무 신기한 거 같아요! 관측 가능한 우주 안에서도 모르는 것들이 많은데, 아직 관측 못 한 공간이 더 많다니... 오늘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odkbellstone
    @odkbellstone Жыл бұрын

    이번 가스 구름도 그렇고 100년 전 안드로메다 은하도 그렇고 인류가 천문학에 대해 진일보할 수 있게 미션?과제?를 던져 주는 느낌이네요

  • @jayann.
    @jayann. Жыл бұрын

    감기 걸리셨나요? 건강 챙기세요!

  • @kang_jun_seo
    @kang_jun_seo Жыл бұрын

    가장 가까운 은하가 빛의 속도로 250만년.. 천문학은 항상 일방적이네요

  • @jerrykw3839
    @jerrykw3839Ай бұрын

    😮

  • @user-vg4uy4xy8u
    @user-vg4uy4xy8u Жыл бұрын

    커뮤에 글보고 기다렷다구..

  • @user-qc3oi9sp3l
    @user-qc3oi9sp3l Жыл бұрын

    감기 조심하십쇼

  • @melotoha
    @melotoha Жыл бұрын

    넘 재밌네요 ㄱㅅㄱㅅ

  • @gomdorij3213
    @gomdorij3213 Жыл бұрын

    산소가스 구름이 안드로메다 은하 쪽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이네요^^* 지구에서 거기까지 거리는 모르고.... 근데, 주로 산소로 이루어진 가스구름은 어떻게 생길까요??????

  • @user-ik1eh7ko7c
    @user-ik1eh7ko7c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안드로메다로 간 "개념" 이 모인 것을 발견했어!

  • @jaeyongsuh466
    @jaeyongsuh466 Жыл бұрын

    JWST로 적외선 영역도 한번 스캔해보는게 가능할까요?

  • @greengreen9766
    @greengreen9766 Жыл бұрын

    은하 충돌 모습과 우주의 시간을... 이른 아침에 다시 보니.. 인류존재의 허무가 밀려오네요

  • @happyhan608
    @happyhan608 Жыл бұрын

    🥰👍

  • @yuhyun3395
    @yuhyun3395 Жыл бұрын

    Beautifull..veryvery~~

  • @paerae2
    @paerae2 Жыл бұрын

    신비롭군요!

  • @jooilpark9304
    @jooilpark9304 Жыл бұрын

    특정 물질만 모이게 하는 자연현상이 존재할까요? 엔투로피 법칙위반 아닌가요? 산소가 두번 이온화된 기체 즉, O2++ 이온구름 으로 이루어진 천채인데, 이온화된 또는 전하랑을 가지는 특정물질을 복합물질 가스구름에서 분리하는 방법으로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것이 질량분석계의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일듯 합니다. 초신성 폭팔등 어떤원인에 기인해서 복합물질 플라즈마 가스구름이 특정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 중 주변의 강력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O2++이온이 질랑에 맞는 방향으로 휘어져 진행하여 모여져서, 현재 관측되는거는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sedna986
    @sedna986 Жыл бұрын

    천체 이름에 본인 이름이 붙는거는 진짜 영광일거 같다ㄷㄷ

  • @Awesome-im1sf

    @Awesome-im1sf

    Жыл бұрын

    ㄹㅇ 엥간한 인류 역사에 이름이 알려질테니 ㄷㄷ

  • @nardleo8872

    @nardleo8872

    Жыл бұрын

    철수병진동수 철병동1 ㄷㄷㄷ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Жыл бұрын

    현자타임즈 안드로메다 구름 재밌어요

  • @cintamanipark4274
    @cintamanipark4274 Жыл бұрын

    우리 은하에 있던 안드로메다 은하에 있던지 간에 산소로만 이루어진 가스가 있다는 사실은 해명이 어렵겠네요

  • @Joo_Jiyoon
    @Joo_Jiyoon Жыл бұрын

    저 구름속에 들어갔다 죽으면 '숨쉰채 발견' 이 되는건가?

  • @maqgf
    @maqgf Жыл бұрын

    산소구름이 우주를 떠 다니다가 지구같은 행성이 보이면 산소를 충전해주고 다니겠죠.

  • @jayshim3302
    @jayshim3302 Жыл бұрын

    사건 현장으로 빨리 취재팀을 보내야 할 것 같아요. 가스가 다 사라지기 전에 ...

  • @user-um2ni6ol1h
    @user-um2ni6ol1h Жыл бұрын

    수소 스펙트럼의 라이먼 브레이크 처럼 산소 스펙트럼에도 가장 낮은 준위로의 한계치를 알면 적색편이 던 청색편이 정도로 계산이 안될까요? 산소만으로 이루어졌다라는 것은 미지의 기작이지만, 거리는 뭔가 확인할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신기한 사실을 하나 더 알게되어 감사합니다.

  • @아새

    @아새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전자가 하나뿐이기 때문에 라이먼 브레이크가 생기지만 산소는 전자가 여러개라서 안생깁니다.

  • @user-cc1cs4pj1m
    @user-cc1cs4pj1m Жыл бұрын

    각 만원경이볼수있는 거리를 이용하면되죠

  • @SJH_CHR_1127
    @SJH_CHR_1127 Жыл бұрын

    오로지 이온화된 산소만 있는 가스 구름이라니ㄷㄷ 정체가 뭘까 정말 궁금해요! 고도로 발달한 다른 문명이 우주에서 산소탱크를 옮기다 유출된 건 아닐지~ 하는 SF적 상상도 잠시 해보았습니당ㅎㅎ 오늘도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 @user-ik1eh7ko7c

    @user-ik1eh7ko7c

    Жыл бұрын

    네? ㅋㅋㅋㅋㅋㅋ

  • @SJH_CHR_1127

    @SJH_CHR_1127

    Жыл бұрын

    @@user-ik1eh7ko7c 뭐 어디까지나 상상이니까요!ㅎㅎ

  • @user-ik1eh7ko7c

    @user-ik1eh7ko7c

    Жыл бұрын

    "닥터 산소배달 왜이리 늦어 " "죄송합니다. 산소탱크에 작은 행성이 부딪쳐 가스가 다 새버렸어요. ㅠㅠ"

  • @Joonddoki

    @Joonddoki

    Жыл бұрын

    테라포밍 한건가?ㅋㅋ

  • @Seoul-scu
    @Seoul-scu Жыл бұрын

    미쳤다 ㄷㄷㄷㄷㄷㄷㄷ

  • @user-zz4mw7bp7m
    @user-zz4mw7bp7m Жыл бұрын

    산소말고 다른 물질은 없나요?

  • @Parkjk09
    @Parkjk09 Жыл бұрын

    초신성 폭발로 인해 각종 입자들이 우주공간으로 퍼지고 있는 과정에서 산소입자들만 뭉쳐서 가스구름의 형태로 존재할수 있는 조건만 알수 있다면 저 산소구름까지의 거리를 유추해볼수 있을텐데요.

  • @user-ig7nj1xb5r
    @user-ig7nj1xb5r Жыл бұрын

    어쨌든 저렇게 거대한 가스가 산소로만 이루어졌다는 것은 천문학을 다시 써야할 만한 발견 아닌가?

  • @thecubistyau5003
    @thecubistyau5003 Жыл бұрын

    일견... 만약 안드로메다 은하의 부속물이라면 안드로메다 은하랑 같은 속도로 접근할테고, 그럼 파장이 짧아지지 않나요? 이온화된 산소라고까지 특정했다면 도플러 효과로 알 수 있을텐데... 하긴 아마츄어도 알만한 걸 천문학자들이 안해봤을리 없고 참, 미스테리어스하네요.

  • @namugilgang3089
    @namugilgang3089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만큼은 의미불명.. 주절주절 예측뿐이구만

  • @daeloc5179
    @daeloc5179 Жыл бұрын

    보통 우주에서 새로운거 발견하면 암흑물질 가설도 나오던데...암흑물질 가능성은 없을까?

  • @user-xx4nr3mo5i
    @user-xx4nr3mo5i Жыл бұрын

    정말 보면 볼수록 전문가의 숨길을 느낌니다

  • @Dong_roro
    @Dong_roroАй бұрын

    걍 든 생각인데. 우리가 생각하는 밖이라는 개념이 안일수도있다고 생각해여 우리는 밖으로 나갔다 개념인데 알고보니 안이었던걸수도..

  • @jerrykw3839
    @jerrykw3839Ай бұрын

    😳

  • @user-tp3ru4tr8g
    @user-tp3ru4tr8g Жыл бұрын

    사실 지금까지 여러곳에 존재했는데 우리가 못본게 아닐까?

  • @user-fp5tc3so2r
    @user-fp5tc3so2r Жыл бұрын

    사진으로 봐서 그렇지 실제로는 엄~~청 먼 거리겠죠?^^ ㅎㅎㅎㅎ

  • @user-vc6ej6oz1r
    @user-vc6ej6oz1r10 ай бұрын

    혹시 저런것이 지구와 충돌 내지는 통과하면서 지구의 수소와 결합해서 지구의 물의 기원이 될 가능성은 없나요?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ㅎㅎㅎ

  • @shirodaeng
    @shirodaeng Жыл бұрын

    보다에서 궁금해서 댓글을 적었지만 여기에도 넣습니다. 우주에선 열을 빼앗을 매질이 거이 없는데 얼어 죽을 수 있나요? 복사열의 형태로 방출되는게 한계일거 같아 질식사가 더 빠를거 같은데 전문가님의 자세한 답변을 듣고싶습니다.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결국 시간이 지나면 내부에서 직접 에너지를 만들지 못하는 한 모든 존재는 차갑게 식게 됩니다.

  • @igniz2002
    @igniz2002 Жыл бұрын

    관측 기술이 좋아질수록 우주의 미스터리가 많이 풀릴 줄 알았는데 반대로 궁금증만 더 많아지는 상황이군요

  • @user-gu2um2hw1v

    @user-gu2um2hw1v

    Жыл бұрын

    눈으로 본다고 해결되지 않는 게 너무나 도 많아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는 말이 있듯이...

  • @hjatgmwadtm
    @hjatgmwadtm Жыл бұрын

    답을 알아도 의미없음 지구나 살립시다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Жыл бұрын

    속도를 알려주는 적색편이가 Hue(색조)와 관련이 있다면 천체의 Saturation 은 거리를 알려줄지도 모릅니다.

  • @natural_sciences
    @natural_sciences Жыл бұрын

    낭만이다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우리들의 개념이 모여있는 곳

  • @user-ik5cz2tq2y
    @user-ik5cz2tq2y Жыл бұрын

    저 가스구름이 설마 은하의 시작은 아닐까요? 약간 성운처럼

  • @user-dn7ry1bc3l
    @user-dn7ry1bc3l Жыл бұрын

    정체가 뭘까 궁금하네요 ^^

  • @oe1118
    @oe111812 күн бұрын

    극초거대 식물이 배설한 산소로 보입니다. 스타트렉 보이저를 보면 식물종족이 살고있지요. 보그도 못이기는 종족이지요. 안드로메다에도 그런 종족이 있을수 있지요...

  • @user-hh3fh1xy9s
    @user-hh3fh1xy9s Жыл бұрын

    신경 안쓰면 돼. 먹고 살기도 힘들어.

  • @user-ld9xw7hs5q
    @user-ld9xw7hs5q Жыл бұрын

    아직 우리가 알지못하는 물질로만 구성된 우주 구조물이 있다면 항성이 없는한 그걸 볼수있는 필터를 찾기전엔 있는지도 모른다는거네? 안드로메다은하랑 병합될때 밤하늘은 어떤모습일지..두 은하중심에 있는 초거대블랙홀이 충돌하면 그 중력파가 어느정도 영향일지가 궁금한데..나 그때까지만 살아있으면 안될까요?

  • @bigmstyw6144
    @bigmstyw6144 Жыл бұрын

    산소라면 구름처럼 뭉게뭉게 있는게 전부인데 이건 붓터치로 좌우로 쓸린거 처럼 인위적으로 퍼져있네

  • @user-co1th9dv9g
    @user-co1th9dv9g9 күн бұрын

    산소분자라고 하니 산소의 스펙트럼에서 적색편이된 값을 보고 유추하면 거리가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뭐. 천문학자들은 더 좋은 복안이 있겠지만요.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11 күн бұрын

    땅에 있는 모든 돌과 돌을 잘라보면 우주에도 같은것들이 별들이며 땅과 우주가 다를바 없는 것을 알수 있을것 입니다. 땅에 있는 돌들이 우주로 날아가 다 빛을 낸다고 해보십시요. 빛을 내지 않는것도 많습니다. 그 상상은 경이로움 입니다.

  • @leeseungwoo9847
    @leeseungwoo9847 Жыл бұрын

    초신성폭발하면서 흩어졌던게 모였던거일숟ㅎ ㅎㅎ

  • @user-ys6cn7jg9m
    @user-ys6cn7jg9m Жыл бұрын

    저거......지구에서 안드로메다로 보낸 "개념" 이네요. 오늘도 안드로메다는 지구에서 보내준 개념 때문에 좋은곳이 되어가고 있......

  • @user-ym1ie1vb2h
    @user-ym1ie1vb2h Жыл бұрын

    우주에 물이 많이 존재할 수 있겠네요. 저 산소 이온과 수소 이온이 결합하면 엄청난 양의 물이 생길 수도 있겠습니다.

  • @user-fz4nd8vp9x
    @user-fz4nd8vp9x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은하내에서 금연을 선포 함에 따라 안드로메다은하의 애연가들이 집단으로 잠시 한대 피고 은하로 복귀후의 흔적인것 같습니다....

  • @플래닛볼
    @플래닛볼 Жыл бұрын

    몇백만년 후에 별이 생기면 성운일겁니다. 그런데 산소로 융합하는 스펙트럽이 있나?

  • @user-iw3vr2jj6l
    @user-iw3vr2jj6l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안드로메다 입장에선 우린 스토커네..ㅋㅋㅋ

  • @sumire-fanclub
    @sumire-fanclub Жыл бұрын

    연주시차로 측정하기엔 너무 멀까요?

  • @whiteswan6061
    @whiteswan6061Ай бұрын

    저게 아마 지구인에게서 보내진 개념들이 아닐까....ㅎㅎㅎ

  • @mingshey
    @mingshey10 ай бұрын

    우주는 진정한 막장 제조기네요. 한 레벨 깼나 하면 더 신기한 미스터리가 계속 등장하는군요

  • @ganekim
    @ganekim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알고 보니 우리 은하에 있는 거였슴

  • @TV-vy8ub
    @TV-vy8ub Жыл бұрын

    빛이 지금 도착한것일뿐 무언가 있을지 없을지 아무도 모르는것

  • @user-vi2ko5lv2b
    @user-vi2ko5lv2b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에 있는 저건요... 지구에서 보내준 '개념'이란 겁니다.

  • @user-sr7ho4ci7h
    @user-sr7ho4ci7h Жыл бұрын

    와~~~~~~~~~~~~~~~~~~~~~~~~~~~~~~~~~~~~~~~~~~~~~~ 이말 왜는.. 건강하세여

  • @user-ew7gb9dh7q
    @user-ew7gb9dh7q Жыл бұрын

    우주 천체를 알아 간다는게 두렵다~~~ 살아 생전의 일은 아니지만,

  • @user-bb3pg8is8q
    @user-bb3pg8is8q Жыл бұрын

    아! 저거

  • @yarn75
    @yarn75 Жыл бұрын

    우주에서 거리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편 기대?해도?

  •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Жыл бұрын

    산소 원자의 적색편이를 측정 하면 되지 안을 끼요? 너무 가깝고 산소 원자의 스팩트럼이 너무 복잡해서 신빙성 있는 결과를 얻기 힘드려나...

  • @AstroKorea
    @AstroKorea Жыл бұрын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시차를 이용해 촬영하면 어떻까 싶어요. 지구의 공전궤도의 지름 정도면 거리를 알아내는 단초가 되지 않을까요? 의외로 가까운 거라면 안드로메다와는 전혀 상관없는 심심한 우리 은허에 존재하는 지구와 무척 가까운 성운이겠지만요.

  • @wz_mz

    @wz_mz

    Жыл бұрын

    좋은 제안이지만, 아쉽게도 시차를 활용한 거리 측정법은 여전히 우리은하 안에서만 유효한 방식입니다. 게다가 이 가스 구름은 오직 [OIII] 선에서만 관측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배경 별들을 활용해 시차를 구하는 것도 제한적일 겁니다.

  • @AstroKorea

    @AstroKorea

    Жыл бұрын

    @@wz_mz 제 가정은 저게 안드로메다 은하하고 비슷한 거리에 있을거라는 가정이 아닌 우리 은하 내에 있는 성운이 아닐까 싶어서 그렇습니다. 영상에서도 여러 가정을 알려주셨지만 다 아닌 것 같잖아요. 그래서 저건 오히려 은하와 상관없는 우리은하내에 있는 성운 아닌가 싶습니다.

  • @taejinbaek5895

    @taejinbaek5895

    Жыл бұрын

    ​@@AstroKorea 이 경우는 아직 짧은 기간의 측광 관측만 수행되었고, 분광 관측은 이루어진 적이 없습니다. 더군다나 이 가스가 가까우면 고유운동, 확산 운동과 같은 고유의 다이나믹스도 똑같이 관측될 것이기 때문에 단시간에 연주시차를 구분하는 일이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논문에서 말하듯 CFHT의 MegaCam 같은 대형 관측 장비로 관측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우리 은하 내에 있더라도 어느 정도 거리가 멀다면 탐지에 쓰였던 소형 장비로 연주시차를 측정하는 것도 어려울 수 있지요. 당연히 나중에는 시차를 관측하든 하겠지만, 일단은 분광 관측과 적합한 고성능 장비를 찾아서 관측 계획을 수립하는 게 먼저일 듯 하네요.

  • @user-go9ls4bs8b
    @user-go9ls4bs8b Жыл бұрын

    우리은하와 다른은하가 충돌한다면 태양계는 산산조각이 나버리는 거죠 종말을 맞이하게 되는 겁니다

  • @dodo_shibi

    @dodo_shibi

    11 ай бұрын

    별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그럴일은 없어요

  • @CatpapaTV
    @CatpapaTV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보내주고 있는 개념이 도착하기 직전의 모습일 것입니다.

  • @user-ol1wk9fx3p
    @user-ol1wk9fx3p Жыл бұрын

    우주가 점점 멀어지기에 병합은 지금 다시 계산해야 할 듯

  • @greenahn6060
    @greenahn6060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의........ 그림자 지..

  • @CIoudStrife
    @CIoudStrife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 발견 100주년기념 우주쇼

  • @ongs5526
    @ongs5526 Жыл бұрын

    이온화되었다면 여러 물질들이 있었다가도 강력란 전자기장에 의해 분리되진 않았을까하는 망상 해봅니다 ㅋㅋㅋㅋ

  • @user-kk4kw8le1z
    @user-kk4kw8le1z Жыл бұрын

    우주는 팽창하는데 왜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는 가까워지고있나요?

  • @user-ww1zg4jj7g

    @user-ww1zg4jj7g

    2 ай бұрын

    우주가 팽창하는 것은 은하 수준보다 더 거시적인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하면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은하가 함께 같이 더 먼 은하들과 멀어지는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 @user-lp5yd5oo1h
    @user-lp5yd5oo1h Жыл бұрын

    수십억년전에 생겨난 우주를 우린 꼴랑 몇천년 봐왔는데 우주의 1%로도 못본 우리가 감히 우주를판단해도되려나..

  • @Net77
    @Net77 Жыл бұрын

    우주선의 배기가스다!!!

  • @Mar_Sara
    @Mar_Sara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 출동!

  • @VioletEVGD999
    @VioletEVGD999 Жыл бұрын

    전 영상처럼 반죽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먹는 밀가루로 비유하자면 거대한 반죽거리가 되었을땐 이게 뭐가 될지 모르니깐요 즉 저게 처음 발견되었을땐 과학 기술이 딸려서 관측이 제대로 안됀걸로 보입니다

  • @user-zu8vr3gv1h
    @user-zu8vr3gv1h Жыл бұрын

    밀코메다의 진한 스킨쉽.. 그 흔적ㅎㅎ

  • @user-px4xt9jc4z
    @user-px4xt9jc4z Жыл бұрын

    지구에 이산화탄소량은 늘어나고 산소 농도는 줄어든걸 안 안드로메다의 착한 외계인이 지구로 산소를 흩뿌려 준겁니다

  • @procyonq
    @procyonq Жыл бұрын

    우리 은하 내의 천체일 가능성이 더 높지않을까요!

  • @jindori2780
    @jindori278013 күн бұрын

    저만 은하사진에 사람얼굴형상이 보이나요..?

  • @user-ph2jq7sn1n
    @user-ph2jq7sn1n Жыл бұрын

    안드로메다랑 그 가스구름사이도 수만광년은 떨어져있을텐데

  • @user-bb9hk9mr4s
    @user-bb9hk9mr4s Жыл бұрын

    우주 사진을 볼 때 마다 압도되는 느낌 인류는 우주의 0.00001% 라도 알까? 이 영상 속의 사진들도 그냥 안드로메다만을 찍은 사진일 뿐인데도 저렇게도 별들이 많은데 이 우주의 공간에 지적 생명체가 인류 뿐이라고..? 그럴 확률이 더 작겠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