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년에 폐쇄된 35m 높이의 도로 미스터리

Ойын-сауық

#유령도로 #미스터리 #모닝와이드
#사유지 #출입금지 #교량 #대전육교
#경부고속도로 #폐쇄 #국가등록문화재
#콰이강의다리
대전광역시 대덕구에는
오래된 왕복 4차로 도로가 있다.
위성 지도로도 눈에 띄는
거대한 규모의 도로.
그런데 이 도로를 지나기 위해
내비게이션을 검색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분명 존재하지만 아무도
지나갈 수는 없는 이 길은
유령도로로 통한다.
대체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어디로 향하는 걸까?
SBS '모닝와이드 3부' (2024.01.15 방송)

Пікірлер: 812

  • @ganekim
    @ganekim4 ай бұрын

    자체로만으로도 아름다운데요. 걸으면서 보면 마음이 정화될 것 같아요. 일단 내용이 그렇다면 시민들에게 개방해서 산책로로 만드는 것이 어떨런지요

  • @user-vi8xd8co1d

    @user-vi8xd8co1d

    4 ай бұрын

    대전 사람들과 인근지역의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이지요 조형미가 아름답고 우리나라 토목 역사에 가치가 있는것이라 충분히 보존가치가 있고 시민 근린공원으로 많은 사람들이 잘 이용하고 있는데. "이런 다리도 있더라" 가 아니라 미스테리 하다느니 유령도로 라느니 하는식의 표현은 이 다리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무색하게 하는 표현인듯 하네요. 너무 과장되고 허황된 표현은 자제 하였으면 합니다

  • @user-up8pu5bh2q

    @user-up8pu5bh2q

    4 ай бұрын

    😅😅😊

  • @userjhsh

    @userjhsh

    4 ай бұрын

    자살 명소될 듯... 그래서 안할 듯요

  • @user-de8ro6ge1p

    @user-de8ro6ge1p

    4 ай бұрын

    ​3류'유트버들 흉내내는 낚시용 편집 한심한것들 ᆢ그 자리에 안내문도 없겠나?​모든게 이 모양'입니다@@user-vi8xd8co1d

  • @user-gi4wb3uc2s

    @user-gi4wb3uc2s

    4 ай бұрын

    대전시에서 잘 활용 해야 겠네요

  • @KOP7711
    @KOP77114 ай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로 쓰이던 다리이고 이름은 대전육교임 경부고속도로 구간 중에 가장 고난이도 구간이라 저 다리 만들면서 인부들도 많이 죽었음 그래서 그분들 기리는 의미 + 국내 첫 아치형 다리라는 역사적 가치가 인정돼서 보존 하기로 함 저녁에는 다리 아치에 조명 들어와서 멋있고 예쁨 다리 밑에는 주차장으로 쓰이고 옆에는 길치 문화공원 있어서 주민들 쉬는 공간으로 쓰임

  • @bulgogi2002

    @bulgogi2002

    4 ай бұрын

    저기 식장산 근처죠? 봤던 것 같네요

  • @jjrirkfjvn

    @jjrirkfjvn

    4 ай бұрын

    오 어쩐지 밑에 주차장이 너무 많다 싶었네요ㅕ

  • @user-ce6um5wh4m

    @user-ce6um5wh4m

    3 ай бұрын

    인부들 죽은거 없어요 대전 비래동 사는 사람입니다 경부고속도로 건설시 사망한 인부들은 대부분 터널구간 발파 작업이후 터널공사 중에 돌아가신 분들임 확인좀 확실히 하고 댓글쓰세요

  • @qqpadlflezx230

    @qqpadlflezx230

    3 ай бұрын

    @@user-ce6um5wh4m너나 잘하세요 ㅋㅋ 껀덕지 그만 츠잡으시고 그리 할일이 없는교 ㅋ

  • @KOP7711

    @KOP7711

    2 ай бұрын

    @@user-ce6um5wh4m 뭐 제가 잘못 알았을 수도 있죠 확실히 알지 못하고 댓글 적은 것은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저는 대전에서 태어난 사람도 아니구요 저는 나무위키에 나와있는 내용을 그대로 말씀드린겁니다. 다만 말씀하신 내용 중에 비래동 사신다고 다 아시는 것처럼 말씀하시는 부분은 잘못된 것 같네요

  • @udod342
    @udod3424 ай бұрын

    06:25 부터 보세요.

  • @csi1828
    @csi18284 ай бұрын

    전시에 저 다리를 지키는게 92년에서 94년까지 내 임무였는데 방송으로 보니 반가움

  • @user-nb1ih1iz3d

    @user-nb1ih1iz3d

    2 ай бұрын

    저는 94년 .... 전시에 폭파하는 작전을 위해 점검과 사진을 찍었던 기억이 나네요. 혹시 1101일까요? 하여간 반갑습니다. ^^

  • @csi1828

    @csi1828

    2 ай бұрын

    @@user-nb1ih1iz3d 반갑습니다 505여단 15k였어요

  • @user-gh9yw5uz4o
    @user-gh9yw5uz4o4 ай бұрын

    건축문화재로 보존해야죠. 저게 구 경부고속도로의 일부였고요. 대전육교는 시내 방향으로 통하는 길을 낼 수 없어서 폐쇄했지만, 같이 붙어있는 터널(대전터널)과 도로는 일반도로로 사용하고 있고요.

  • @user-fp6wt3qo8f

    @user-fp6wt3qo8f

    4 ай бұрын

    이미 등록되어있어요

  • @SungGunWoo

    @SungGunWoo

    4 ай бұрын

    대전육교 현재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서 보호받고 있어요

  • @user-fz9kd7pv8y

    @user-fz9kd7pv8y

    4 ай бұрын

    나도 가끔 지나다고 있네요

  • @user-gf5ms9cn9b

    @user-gf5ms9cn9b

    4 ай бұрын

    옜날 고속도로 다리네

  • @user-nk1ip9bk8n

    @user-nk1ip9bk8n

    3 ай бұрын

    끝까지 안보고 이상한거 쓰지 맙시다~

  • @chlgudgh630
    @chlgudgh6304 ай бұрын

    대전 동구이고 경부고속도로 처음 지을때 국내 최초로 아치형 다리라고해서 문화재됐다!!!!!

  • @user-kz6ip6ze6g

    @user-kz6ip6ze6g

    4 ай бұрын

    대덕구임

  • @user-cs9xg1qi6d

    @user-cs9xg1qi6d

    4 ай бұрын

    비래동이 언제부터 대덕구였나요..

  • @user-xg9vx3og8e

    @user-xg9vx3og8e

    4 ай бұрын

    대덕구인데 누가 동구라 말하노?

  • @user-kz6ip6ze6g

    @user-kz6ip6ze6g

    4 ай бұрын

    저에 본적이 비례동 입니다;;

  • @user-de6pz9mu9r

    @user-de6pz9mu9r

    4 ай бұрын

    비래동부터 대덕구에요 가양2동이 동구고 저기 공원도 원래 가양공원인데 언제부턴가 비래가양공원으로 이름이 바뀐 듯

  • @user-gv3nc5nh7x
    @user-gv3nc5nh7x4 ай бұрын

    영상에 나온 아치형 교량은 "상로형 아치교"라고하며, 영상에 나온 대전시 비래동에 있는 대전육교(옛날 경부고속도로) 교량이 대표적이며, 충북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에 있는 아치교(옛날 경부고속도로), 경남 양산시에있는 배내교(고속도로), 경남 산청군에 있는 퇴옹교(고속도로), 전북 완주군에있는 죽림온천교(고속도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있는 언양아치교(고속철도)가 대표적입니다.

  • @user-bh1fg5km6n

    @user-bh1fg5km6n

    6 күн бұрын

    내 고향 울산에도 있군요! 한번 찾아가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choikang_joy4793
    @choikang_joy47934 ай бұрын

    우리언니가 69년생인데 우리언니 2살때 우리아빠가 여기서 우리언니 안고 찍은사진있는데.. 추억이있는곳이네요

  • @KUMDORI7
    @KUMDORI74 ай бұрын

    자주 다니는 도로인데 이렇게 방송으로보니 반갑네요 :)

  • @user-do9ek5fs2b
    @user-do9ek5fs2b4 ай бұрын

    구청 시청 국토부애 문의해야지,, 뭔 동네 주민에게 물어봐서 뭐하냐고,,, 시간만 질질끌면서,,,답답하개,,

  • @user-kv5jx3os9f

    @user-kv5jx3os9f

    4 ай бұрын

    방송분량…

  • @user-pf4lg3yq3v

    @user-pf4lg3yq3v

    4 ай бұрын

    그래야 방송분량 나오지..

  • @user-dx6to7wk5o

    @user-dx6to7wk5o

    4 ай бұрын

    픽션 이랄까 미스터리 식으로 촬영해야 재미 업되니까,

  • @user-po6qv7ds5n

    @user-po6qv7ds5n

    4 ай бұрын

    '알고보면' 컨셉이에요.

  • @neo5473

    @neo5473

    4 ай бұрын

    그런식이면 30초면 끝나는데.. 쇼츠도 아니고 컨텐츠각이 나오겠냐고..

  • @buna775
    @buna7754 ай бұрын

    와 철근 아주 꽉꽉 담아 설치했는데 2024년 현재는 철근 죄다 횡령해서 건물을 짓네....

  • @querenciakim8983
    @querenciakim89834 ай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 // 상행선 방향에서 터널 지나자마자 급경사와 교량구간의 기상 변화 그리고 가까이 있는 톨게이트 때문에 빠져나가는 차들의 급감속으로 추돌사고가 많았던 곳인데, 터널굴착기술이 좋아지고 더 넓은 도로가 필요해지면서 옥천 대전간 구간 선형개선사업으로 새로 터널 뜷고 직선화에 도로 확장까지해서 새 길을 내어 지금 다니는 길이 되었죠. 60년대 초기 개통 시기에는 토목공사능력의 부족과 예산문제로 김천 영동 옥천 대전 사이의 추풍령 이쪽저쪽으로 곡선과 급경사가 많았는데, 기존 도로는 새도로 개통 후 뒷방으로 밀려나서 구 도로 근처의 몇 동네는 소음과 먼지에서 벗어나 좋아지기도 했습니다. 서울부산 전 구간에서 서울 근처 빼고 김천 지나면서 대전 죽암 옥산 휴게소 사이가 과속단속 카메라가 많았는데 그만큼 급경사에 급커브로 감속운전이 필요하던 곳이었습니다.

  • @driftkim7015
    @driftkim70154 ай бұрын

    저기서 추풍령 방면으로 더 가다보면 과거 경부고속도로의 흔적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근대에 들어서 옥천~추풍령간 구간 선형이 완전히 개량되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예전 금강휴게소 이후 옥천터널 구간은 선형이 엄청 안좋기로 악명이 높았죠.

  • @DaddyBrownbr

    @DaddyBrownbr

    4 ай бұрын

    이후에 옥천휴게소 신설을 포함하여 선형개량이 쭈욱 이어졌죠. 사실 대전육교 이전설치와는 시기적으로 약간 분리된 선형개량공사들이긴 합니다.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4 ай бұрын

    그러고보니 2000년에 부일외고인가? 거기서 수학여행 가다가 사고나서 선형이 바뀌었다는데 진짜인가요?

  • @driftkim7015

    @driftkim7015

    4 ай бұрын

    @@user-mz9wt9lv2j 네 그 이후 선형개량이 추진되어서 2006년에 개통되었습니다. 경부선 다른 구간이 폐도가 남아있는 반면 추풍령은 폐도 흔적이 거의 없습니다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

    4 ай бұрын

    ​@@driftkim7015그렇군요.

  • @man-fv4os

    @man-fv4os

    4 ай бұрын

    금강휴게소와 대전ic 근처에서 사고가 많았었죠....내리막길끝에 곡선과 ic때문에 어리버리 하다가는 골로가기 쉽상이었습니다...그때당시 차량들의 브레이크 저성능도 한몫했고요...

  • @k802k
    @k802k4 ай бұрын

    다 알고 있는 사실을 미스터리를 만드셨군요..

  • @skwonkim7286

    @skwonkim7286

    4 ай бұрын

    정답입니다. 어그로인지 낚시인지 어카든 조회수가 많으면 좋다니까

  • @user-er4mi9jq1u
    @user-er4mi9jq1u4 ай бұрын

    이해는 합니다. 저도 아는 내용을 하나하나 천천히 풀어 나가는게 답답하기는 한데 모르던 사람 입장에서는 함께 차근차근 접근하는게 흥미로울수도 있겠네요.

  • @user-bi7rh8nf6l
    @user-bi7rh8nf6l4 ай бұрын

    그런 의미가 있으면 관리를 좀 해야 되는거 아닌가... 지금은 그냥 방치인데... 저러면 오래 가지도 못할텐데...

  • @win3085
    @win30854 ай бұрын

    저기 자주 지나다니는 곳인데 위에 다리에 대해서 생각해본적은 한번도 없네요 ㄷㄷㄷ..

  • @kkumbyeol
    @kkumbyeol4 ай бұрын

    예전에 운전 하다가 건너던 다리로 기억하는데.... 잘 보존하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가도록 관리 홍보 필요하겠네요. 다리와 연결된 터널은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사용하지 않고 있다면 와인터널같은 곳으로 이용하면 어떨까 싶구요.

  • @skwonkim7286

    @skwonkim7286

    4 ай бұрын

    저 터널은 대청호라든가 옥천 가는 국도와 연결되어 잘 이용하고 있어요~

  • @ytuser-T
    @ytuser-T4 ай бұрын

    지진에 취약할 정도만 아니면 보존하거나 통행 가능하게끔 재사용하면 어떨까 싶네요

  • @fishing-reporter
    @fishing-reporter4 ай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이 구간이 교량으로 인한 난공사구간이였다고 합니다 기술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공사를 강행하다보니 많은 분들이 다치거나 사망했다고 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근현대사에도 남을 만한 문화재로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Ycmjg37143

    @Ycmjg37143

    3 ай бұрын

    사실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사망사고난 곳은 저 다리가 아니라 다리를 있는 터널이었다고 합니다. 그 당시 처음에는 일반콘크리트 서서 터널 만들려고 했는데 붕괴사고가 벌어져 조강콘크리트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 @user-hq9tm9zx2o
    @user-hq9tm9zx2o4 ай бұрын

    잘 관리하여 오래 보존되면 좋겠네요

  • @starshine6371
    @starshine63714 ай бұрын

    관리도좋지만 문화재로써 보기만하는것보다 어떤방향으로든 체험?? 개방 안전우선하여 하면 좋겠네요

  • @user-nk4kq8ty9g
    @user-nk4kq8ty9g4 ай бұрын

    대전에 오래 사신분들은 저다리를 콰이강의 다리라고도 부르더군요 ㅎㅎ 터널을 지나서 옥천 방향 으로 조금가다보면 커브가 심하고 내리막길 에서 대형 사고도 많이 났었죠

  • @minnkim4187
    @minnkim41874 ай бұрын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기술 가치와 문화 가치를 잘 알고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 @user-nk2zr3gn5f

    @user-nk2zr3gn5f

    4 ай бұрын

    관광자원은 무슨 관광자원 휴게소가 있는 것도 아니고 아니고 진입로도 없구만 다리만 보러 고속도로에서 일부러 가는 것 조차 낭비로 보입니다

  • @user-mx5fu7zu6o

    @user-mx5fu7zu6o

    4 ай бұрын

    ​@@user-nk2zr3gn5f꼭 휴게소 가 있어야하는건 아님 도로자체를 사용하자는 거

  • @sancheon2373

    @sancheon2373

    4 ай бұрын

    ​@@user-nk2zr3gn5f 다리를 건널 수 있어야만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그런 1차원적 사고 버리는걸 추천함. 휴게소는 밑에 주차장에 대면 되고 (무료에다 근처에 공중화장실있음)

  • @user-lc3ul1zp2m
    @user-lc3ul1zp2m2 ай бұрын

    01년생 대전 토박입니다. 저 다리를 설명하면서 언급됐던 저 터널은 영상처럼 아직 통행중입니다. 다리와 동갑인 만큼 가보면 아주 낡았죠. 또한, 터널을 통해 반대편으로 연결된 도로는 옛 고속도로 그대로이기 때문에 그 길을 달리다보면 확실히 '아, 지금은 일반도로지만 확실히 고속도로로 지어졌구나' 하고 깨달을 수 있습니다. 양쪽으로는 벚꽃나무가 가로수로 심어져있죠. 시외지 일반도로이기 때문에 제한속도는 80인데, 사실 고속도로였기에 100 이상 밟아도 도로 자체는 안전합니다. 그렇게 가다보면 요즘 고속도로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넓은 차로와 고속도로에서나 쓰이는 10 m 짜리 차선 점선간격,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하물며 6:00에서 확인 가능하듯 다리 건너편 고속도로는 지금도 현역입니다.

  • @user-hk6kk2by4v
    @user-hk6kk2by4v4 ай бұрын

    와 아치도 멋지고 공중공원으로 만들면 명물이 되겠습니다 다리 레트로하게 도색하고 조명 멋지게 쏘고 사이사이 조금만 큰 화분에 나무 심어 놓고 벤치 놓고 관리하면 멋진 활용 가능하겠어요 공중정원!

  • @user-vd3oi5sc1l

    @user-vd3oi5sc1l

    4 ай бұрын

    그렇게 하고 있답니다^^ 주차장이 커서 그렇지 ㅎ

  • @masizzungchocowooyoo3546

    @masizzungchocowooyoo3546

    4 ай бұрын

    마침 작년에 공공디자인 공모전 대상지였어요

  • @user-ri8bm2kh8i

    @user-ri8bm2kh8i

    3 ай бұрын

    엄연히 국가에서 관리되는 국가등록문화재에요 석가탑이 밋밋하니 페인트칠하자소리랑 같은겁니다

  • @lbk9104
    @lbk91044 ай бұрын

    잘 관리하여 오래 보존되면 좋겠네요!!!

  • @user-cr4wl2od1z

    @user-cr4wl2od1z

    4 ай бұрын

    전쟁 생기면 붕괴 ㅋㅋㅋ

  • @namek6797
    @namek67974 ай бұрын

    근대 고속도로 문화제 이런게 있다는것도 첨알았고, 괜히 뿌듯해지네 ㅎㅎ

  • @namefirst3498
    @namefirst34984 ай бұрын

    90년대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알건데... 뭐하는 도로였는지... 갑자기 이주한 것도 아닐텐데 모를수가 있어? ps. 대전>김천 사이에 폐쇄된 구 도로가 매우 많음...

  • @minini3312

    @minini3312

    4 ай бұрын

    ㄹㅇ 이해가 안감ㅋㅋ 지역사람들 다 아는내용인데 뭔 죄다모른다고하냐

  • @user-fo1of4ip4m

    @user-fo1of4ip4m

    4 ай бұрын

    방송을 위한 연출일까요?? 진짜 본인과 관계가 없어서 알고싶지도 않았던 걸까요?? 어르신들도 자기 분야 아니면 피셜만 존재하는군요

  • @user-kv3ej2jo3f

    @user-kv3ej2jo3f

    4 ай бұрын

    많이 모를거 같은데 90년대에 최소 20대는 되야 저기 다리를 알테고 이제 30년은 지났는데 그 사이 알만한 사람들 다 죽거나 이사 갔거나 그랬겠지

  • @lunascape5289

    @lunascape5289

    4 ай бұрын

    @@user-kv3ej2jo3f 저기 인터뷰 하는 사람들 중에 20대는 고사하고 40대도 안보이는데 뭔

  • @travelacrossthesea.7365
    @travelacrossthesea.73654 ай бұрын

    일본에도 폐도로나 폐터널이 정말 많은데 도로와 터널이 4개 (그중 3개는 폐쇄)가 있는 경우도 있더군요... 그중 한군데는 1910년대 건설된 보행용 터널 (해안침식으로 사라지기 일보직전 상태) ,1930년대 조적식 터널, 19060년대 콘크리트 터널,그리고 2000년대 콘크리트 터널이 나란히 있었는데 해안선따라 구불 구불 하게 나있던 1910년대 도로에서 차츰 근래에 지어진 터널일수록 내륙으로 그리고 점점 직선화 되가는게 재미 있더군요

  • @user-eb7sl8hm2l
    @user-eb7sl8hm2l4 ай бұрын

    경부 고속도로에 저 육교(?)를 개통했을 당시에는 저 육교를 저 지역의 동네 이름을 따서 "더퍼리 다리" 또는 그옆의 터널 이름을 붙여서 "더퍼리 터널"이라고 불러었고... 그 당시 국민학교에서는 저 "더퍼리 다리" 밑으로 소풍을 갔던 대전의 명소였지요... 저 시절에 고속버스에 개 그림이 그려있는 "그레이 하운드"라는 고속 버스도 있었고... 저 시절에는 우리 나라 거의 대부분의 도로가 비포장 도로였었고... 도로가에 서서 어디서든 손을 들기만 하면 차가 정차해서승객을 태워주고 내려주는 완행 버스만 보다가 중간에 정차 하지도 않고 포장된 도로를 고속으로 달리는 고속버스 구경도 하러 갔었지요.

  • @user-vb9sw6de9z

    @user-vb9sw6de9z

    4 ай бұрын

    성남초등학교 다닐 때 더퍼리로 소풍 많이 갔었죠 ㅎㅎ 추억이네요 😊

  • @user-fb3zf5uo4v

    @user-fb3zf5uo4v

    4 ай бұрын

    오~ 난 가양국민학교!

  • @user-bm4mo2ol3p

    @user-bm4mo2ol3p

    4 ай бұрын

    사고많이 나나보네.

  • @user-eb7sl8hm2l

    @user-eb7sl8hm2l

    4 ай бұрын

    사고가 나서 폐쇄가 된것이 아니고 경부고속도로 직선화 및 확장 사업으로 저 다리 옆으로 새로운 길이 생기면서 저 다리는 폐쇄가 됐고,,, 저다리 옆의 터널은 지금도 통행을 하고 있어요.@@user-bm4mo2ol3p

  • @choikang_joy4793

    @choikang_joy4793

    4 ай бұрын

    세상에 대전분들 많으시네요.. 전 흥룡초 ㅎㅎㅎ

  • @user-pj6oo8nc3o
    @user-pj6oo8nc3o4 ай бұрын

    사촌동생이 대전에 살때 매봉산 밑에 더퍼리마을에 있는 더퍼리다리터널이야기 해준게 생각이 나요....

  • @user-ss7fs7ku5z
    @user-ss7fs7ku5z4 ай бұрын

    저기 예전에 타 방송서 불법적치때문에 나왔던 도로 같은데 그 이후로 저렇게 막은거 같음

  • @user-ki9eq9rn5o
    @user-ki9eq9rn5o4 ай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 개통시에는최고난이도공사구간 사망자도다수발생 현재는 우회도로개통으로 안쓰고있슴

  • @railroad300k2x
    @railroad300k2x4 ай бұрын

    기존의 고속도로로 계속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지만 다리의 한쪽은 고속도로에 붙어있어서 다른 도로를 추가건설 하기도 어려울 것 같고, 위치도 구석진 곳이어서 굳이 도로를 활용하려고 방안을 찾을 필요는 없어 보이네요.

  • @sunhojang6767
    @sunhojang67674 ай бұрын

    저다리는 가양육교입니다 ~예전엔 고속도로였어요 거기 현장 측량실 근무했었는데...확장공사로 인해 폐쇄됐지요!노선개량과 확장으로인해 북대전으로 빠지는곳까지 현대건설 공사구간이었어요!

  • @yegwansoo4346
    @yegwansoo43464 ай бұрын

    폐 고속도로 인데 문화적 가치도 중요 하지만 옥천 을 오가는 통행량 이 많이 늘어나 활용성 측면에서 더 사용 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대전 도심을 거치지 않고 회덕 쪽과 대화동 중리동 쪽에서 시내 진입 안하고 우회도로 로 사용한다면 불필요한 시내진입 없이 바로 구 고속도로 를 통하여 시내 번잡을 막으며 옥천방향 주행이 가능하고 시간이 단축 될터인데 정부와 대전시 간에 협의를 통해 활용되길 바랍니다.

  • @user-rp8fz5kg8j

    @user-rp8fz5kg8j

    4 ай бұрын

    고속도로 돈내고 타 그지냐?

  • @yegwansoo4346

    @yegwansoo4346

    4 ай бұрын

    @@user-rp8fz5kg8j 그렇게 밖에 생각 못하지!~~~고속도로 타고가면 옥천 시내까지 갔다가 되돌아 나와야 할수도 있는거 아냐? 안남 이나 금산쪽으로 빠져야할 차들도 있다고는 생각 못하지?왜? 작은 소도시 들도 마을이나 도심으로 진입 안하고 외곽도로 내는지를 생각해 보고 답글 달거라!~~~니생각이 그지 같다 이넘아!~~~

  • @DaddyBrownbr

    @DaddyBrownbr

    4 ай бұрын

    옜구간 다 활용하고 있고, 저 다리 한도막만 현재 이용하지 않는 구간 되겠습니다.

  • @Zeus-uo9xo

    @Zeus-uo9xo

    4 ай бұрын

    옥천으로 뻗는 폐고속도로는 지금도 잘 쓰고 있어요^^

  • @user-vd3oi5sc1l

    @user-vd3oi5sc1l

    4 ай бұрын

    지금도 편안하잖아요? 옥천 방향들어갈때도, 그리고 통행량도 적은데 멀. 그리 바라는건지...통행량도 많으면 몰라....

  • @YDSnim
    @YDSnim4 ай бұрын

    와~

  • @hanarchitect
    @hanarchitect4 ай бұрын

    대전육교 양방향이 고속도로 한쪽 방향으로만 연결 되있어서 활용 못해요

  • @joinsky2883
    @joinsky28834 ай бұрын

    다리 아래 에서 보면 엄청 크고 튼튼해 보여서 으리으리하고 멋지긴 함.

  • @user-rg3nd4vc7m
    @user-rg3nd4vc7m4 ай бұрын

    도입부엔 음산한 브금에 주민들 인터뷰로만 카더라로 흉가처럼 나오게 분위기 만들어버리네요 사실 알고보면 별것도 아니고만ㅋㅋㅋ

  • @ajaja6128
    @ajaja61284 ай бұрын

    저기 건너편 은 길이 없지 않나요? 구도로 통행량이 생각보다 많은걸로 알아요 대전에서 옥천 영동까지 한번에 가서

  • @DRONE.RECONPilot-JOHN_
    @DRONE.RECONPilot-JOHN_4 ай бұрын

    진짜 클레식한 디자인의 교량인데 다른 활용방안으로 보존했으면 합니다. 그저 탁상행정의 무식한 사람때문에 사라지게 하지마시고 상판쪽에도 잘 정비하고 꾸준히 유지 관리 했으면 합니다.

  • @user-ct8qv3do1t
    @user-ct8qv3do1t7 күн бұрын

    그럼 일부 관람 구역을 만들어 놓으면 어떨까요? 주변도 정리 했으면 좋겠네요.

  • @user-zh6qi6et8g
    @user-zh6qi6et8g4 ай бұрын

    99년 패쇠면 나도 저 교량을 많이 지났겠는데 그때 어의 없는게 부산에 가면 톨게이트가 이상한 곳에 있었다는 기억이...

  • @user-ll7xw1vu7s
    @user-ll7xw1vu7s4 ай бұрын

    폐쇄되기전에는. 다리위에서. 여름밤에. 더위피해. 삼겹살 많이 먹었던 곳이네요. 저앞에 터널이 경부고속도로 건설구간중 사망자가. 많이 나왓던곳이구요 옛날은. 당재터널이었구나 지금은 대전터널로변경되어구요 상행선 터널은. 국도로. 이용되고있고 하행선터널은. 스마트팜인가로. 이용되고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일주일에 세번정도는. 다니는길이에요

  • @Great_Depression
    @Great_Depression4 ай бұрын

    한국도로공사와 대전시 또는 대덕구청이 전확한 정보를 가지고있습니다. 기존 교량에서 새로운 교량으로 절체할 때 기억이 어렴픗이 기억이 나네요. 저는 99년부터 대전육교 옆에 아파트에서 살고있습니다.

  • @z2023v
    @z2023v2 ай бұрын

    길치근린공원 산책 갈때마다 보는데.. 저거 밤에보면 웅장한 느낌이 든다.

  • @user-tf9zq3kx5w
    @user-tf9zq3kx5w4 ай бұрын

    어떤 관광단지나 어떤 조성을 해서 입장료라도 받아 운영이 아니될지 아깝네요

  • @user-mz9wt9lv2j
    @user-mz9wt9lv2j4 ай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 선형이 많이 바뀐 계기가 혹시 2000년 부일외고 교통사고 때문일까요?

  • @rionelmessi1010
    @rionelmessi10103 ай бұрын

    저기 서울로7017이나 경의선숲길처럼 공원으로 활용할 수 없나????

  • @user-me2cb3tu8e
    @user-me2cb3tu8e3 ай бұрын

    딱 첫장면보고 위치가 생각났네요 저기 생각보다 흉물스럽지 않아요

  • @jungcheon
    @jungcheon4 ай бұрын

    영상에 보이는 다리 옆에 있는 또 다른 다리는 경부고속도로입니다. 터널은 대전터널이며, 터널의 반대편에는 경부고속도로 본선에서 중부고속도로가 진출입하는 비룡분기점이 있습니다. 터널의 출입구에 진출입로가 바로 붙어있고, 영상에서 보여주는 장면의 전방에는 대전IC가 있어서 특히나 서울방향의 교통체증이 정말 심합니다. 교통량이 매우 많은 두개의 고속도로가 분기한다는 것은 차선도 많아야하고 진출입로도 여유있게 길게 있어줘야하는데 분기점을 터널 코앞에 붙혀서 짓다보니 2차선+갓길로 써야하는 대전터널을 3차선으로 쪼개버렸고, 중부고속 서울방면에서 3차선의 도로와 2차선의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는 합류구간의 여유분은 존재하지않고, 도로는 우측으로 휘어져있는채로 대전터널에 진입하니 속도를 낼 수 없습니다. 대전터널을 나가서보이는 우측의 저 낡은 다리를 재시공하여 분기점 도로로 사용한다고 해도 그 앞에는 대전IC가 있어서 터널을 지난 다음 고속도로에 합류시키기도 애매합니다. 오래 전에 지은 다리+터널이기에 난공사로 인한 희생의 흔적이 있다는 근현대사의 문화재로 남겨져서 철거를 하지도 못한다지만 그렇다고 관리를 하자니 그것도 참 애매하고 계륵이 된 셈이죠.

  • @user-tt4fw3bf8e
    @user-tt4fw3bf8e22 күн бұрын

    지나다닐때마다 궁금했는데 고마워요.. 저런 의미가 있다면 주위에 안내문과 조명같은 걸 좀 더 추가하면 좋을듯 하네요.

  • @user-ry5bd8do6u
    @user-ry5bd8do6u4 ай бұрын

    역사적 가치도 중요하지만 흉물스럽게 방치하기보다 또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좋을것 같네요

  • @jayshim3302
    @jayshim33024 ай бұрын

    공원 같은 걸로 잘 꾸면서 보존하면 좋을 듯 하다. 이런 게 다 역사의 흔적 아니겠는가 ...

  • @user-dz1cj8gw4c

    @user-dz1cj8gw4c

    2 ай бұрын

    다리아래가 공원주차장이고 바로옆이 공윈입니다

  • @Padyatri
    @Padyatri4 ай бұрын

    과거 토목 기술로 건설된 구불구불한 고속도로들을 최신 공법으로 직선화 하면서 폐교량, 폐터널이 생길 수 밖에 없음

  • @junmokoo9
    @junmokoo94 ай бұрын

    근대 문화재였군요 대전 살면서도 몰랐네요 ㅎㅎ

  • @malddook5818
    @malddook58184 ай бұрын

    대전터널이 나오기 전까지 경부고속도로는 서울부터 터널이 단 한 개 없이 지형 활용을 하였죠. 영남도 추풍령을 넘어서는 경주터널만 하나 있고요. 대전~추풍령 구간은 당시 고속도로 건설 경험이 처음이었던 건설사들에게 상당히 난공사 구간이었고, 심지어 인명피해도 발생, 오늘날에는 대거 개량하기에 이르렀죠. 70~80년대에 시공, 개통된 옛날 고속도로들을 지날 때의 공통점이, 터널 공사를 최소화한 흔적을 확인할 수 있어요. 호남 남해 영동(원주이서) 중부...

  • @77Daegu-Hong_Uncle
    @77Daegu-Hong_Uncle2 ай бұрын

    1~2분 짜리 이슈를 8분짜리로 만드는 마법.... 대단하네요!

  • @user-baeholove
    @user-baeholove4 ай бұрын

    터널도 엄청 좁아요. 그래서 대형 트럭이 지나가기 어려워요.

  • @Mr_Won
    @Mr_Won3 ай бұрын

    이 동네에 살았었습니다. 1990년대 초반에 초등학생때 친구들이랑 이 다리 근처에서 가재도 잡고 놀았었습니다ㅎㅎ

  • @LOVE3879A
    @LOVE3879A4 ай бұрын

    수고 했습니다.

  •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4 ай бұрын

    서울로처럼 관광지로 활용하면 좋겠네요

  • @user-bw8nf8wd9e
    @user-bw8nf8wd9e4 ай бұрын

    90년대 초 대학 다닐 때 저곳은 콰이강의 다리라고 불렀고 종종 놀러가던 곳이었죠

  • @ski4912
    @ski49124 ай бұрын

    안전하긴 하나 ... 도로 자체를 재활용하는 방법은 없나요

  • @user-xc2cy6ld2n
    @user-xc2cy6ld2n4 ай бұрын

    도로를 공중공원으로 조성하면 안되나요? 서울에 그런곳이 있는데

  • @yhkim9176
    @yhkim91764 ай бұрын

    저렇게 이설되고 버려진 시설들 꽤 있죠. 남한강 자전거길 타다 보면 섬강 지나가는 구간이 옛 영동고속도로였다고 하더군요.

  • @kinetickh
    @kinetickhАй бұрын

    대전에서 대청호로 가는 길에 보이던 도로군요. 지나가면서 약간 을씨년한 분위기긴 했는데 다리 자체만으로는 참 멋진 느낌을 받았습니다. 지나가면서 아래 공원과 주차장이 있지만 외진곳에 있어서 차량이나 인적은 매우 드물었던 기억이 납니다. 기왕이면 고공정원 같은 것으로 사람을 끌어모을수 있는 랜드마크로 새롭게 만들어보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대청호로 가는 차량들의 발걸음을 한번쯤 멈춰세워볼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 @ore2505
    @ore25054 ай бұрын

    근데 저게 보존하는 방법인가요 방치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문화유산으로써 조금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개선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hyundai7374
    @hyundai73744 ай бұрын

    아..옛날에 어머니 시골 옥천갈때 고속도로 옆에 이 다리 늘 보았는데 이 도로였군요 늘 폐쇄되어있더라구요..

  • @kihyun719
    @kihyun71910 күн бұрын

    유령육교라는 어의 없는 말때문에 댓글 적고 갑니닼ㅋㅋㅋㅋㅋㅋ 저 동네에서 90년대~00년대까지 20년 가량 살았었는데, 방치된다는 느낌은 전혀 없었고, 오히려 다리 아랫부분 땅도 잘 활용하고(공영주차장 + 공원) 다리도 조명같은거 설치하고 해서 이쁘다는 느낌 들었어요. 아래에 위치한 공원도 동네 주민들 정말 많이 이용하고, 꾸준히 관리되는게 느껴지구요. (실제로 가보면 을씨년스러운 느낌 1도없고, 저녁에 가면 조명 켜놔서 오히려 이쁨. 저기서 영화촬영도 했었던 걸로 기억함.) 뜬금없이 방치하고있다는 영상이 올라와서 어의가없네욛ㄷㄷ 그리고 저 동네에 오래 살았던 사람이라면 다리에 대해 대부분 알고있을텐데, 어떻게 딱 다리에 대해 1도 모르는 동네분들한테 인터뷰를 한건지 의문네욬ㅋㅋㅋ

  • @DJ-zs1cw
    @DJ-zs1cw4 ай бұрын

    저기 어딘지 기억난다. 어릴때 버스 타고가면서 창밖을 보면 터널지나서 갑자기 낭떨어지가 나오는 곳

  • @user-pg2bz6ww5x
    @user-pg2bz6ww5x4 ай бұрын

    70년대초 초등학교 시절 이곳으로 소풍 왔던 기억이 이곳을 지키던 군초소도 있었고 초병들이 외줄타고 오르고 내려오고 횄던 기억이 있네요 ~

  • @user-ur9pb7pm4r
    @user-ur9pb7pm4r4 ай бұрын

    여기 대전 경부 고속도로 구도로 아닌가여? 여기 폐쇄된지 오래됬는데 가양공원 근처에 있는 곳 입니다

  • @RaeBelBmuR
    @RaeBelBmuR4 ай бұрын

    대전갔다오다가 저거 뭐지 했는데 영상이 딱!!있네 웬지 횡재한 기분~~

  • @us21er-rh2wm9cc8x
    @us21er-rh2wm9cc8x4 ай бұрын

    멋잇는 도로입니다. 운치가 있어요. 예전에 이용하던 경부고속도로 다리 입니다.

  • @user-sp3xt2hy2n
    @user-sp3xt2hy2n4 ай бұрын

    대전IC다올때 보이는 도로네요 저 저 도로가 무슨도로인가 했는데 옛경부고속도로였다는건 의외의 사실이라 놀랐습니다😮

  • @enyoh321
    @enyoh3214 ай бұрын

    다리빨? 이쁘게 지엇네 ㄷ ㄷ 잘 관리해서 나름 지역의 동네명소? 같은 공간으로 만들어도 될듯

  • @wtsnu
    @wtsnu4 ай бұрын

    공중공원으로 만들면 어떨지

  • @jskim7850
    @jskim78504 ай бұрын

    역사적으로 근대라면 120여년전, 서기1900년정도 전후라 생각되는데 어디에서나 근대라는 말을 써서 잘못된 표현이다라고 생각된다. 갓쓰고 다니고 지게지고 다니며 자동차라고는 구경할수도 없었던 시기에 어찌 이런 현대적 토목기술이 적용된 길이 200여미터에 높이 35미터짜리 철근콘크리트 거대 건축물이 세워졌을까? 근대라는 말 쓰지 말고 현대라고 하자. 그리고 관리해라. 국가등록문화재라는데 흉물스럽기 짝이 없다.

  • @user-zc1mr1gx4c
    @user-zc1mr1gx4c4 ай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을 사용하다 선형변경으로 사용하지않는 교량입니다 특히 교각의 모습이 건설당시 멋진 모습으로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볼수있습니다 또한 터널공법 건설이 매우 인상깊습니다 이곳뿐아니라 대전 옥천 영동 간 구도로와 교량 터널등이 많습니다 그만큼 대전 옥천 영동까지의 공사가 난공사였습니다 저도 이교량을 보고 교각의 모습을 보고 건설당시 많은 분들이 희생있었다고 알고있고 가장 난공사로 교량은 대전육교가 터널은 옥천 당재 터널이라 알고있습니다 이곳을 멋지게 보수하고 우리의 근현대 건축물처럼 관리 우리의 지난 역사라 생각해야 할것같습니다 교각과 상판을 보수 정리가 필요해 흉물이아닌 멋 진 건축물로 만들어 주었으면 합니다 대전은 역사가 짧지만 많은 근현대사의 신도시입니다 .

  • @jameshan706
    @jameshan7064 ай бұрын

    다리 근처에 대전 명석고등학교가 있습니다. 1985년 고2 미술시간에 학교에서 다리까지 걸어간 후(10분) 다리 아래에서 수채화 그렸던 기억이 새롭네요... 그 주변을 더퍼리 공원이라고 합니다.

  • @user-eq2ok8ih1d

    @user-eq2ok8ih1d

    4 ай бұрын

    1회이신가요?

  • @skwonkim7286

    @skwonkim7286

    4 ай бұрын

    무척 명석하셨나봅니다. 명석고등학교를 다니시공, 근데 더퍼리라는 이름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공원이 다리로 덮어져있어서 그런건가요?

  • @jameshan706

    @jameshan706

    4 ай бұрын

    오래전 기억이어서. 회상해보니 1986년 이네요. 2회 졸업생 입니다. 그곳을 디퍼리 공원이라고 불렀는데 지금은 가양공원! 비래공원? 으로 바뀐것 같기도. 하네요. 대전을 떠난지 오래되어서 고속도로 지날때마다. 다리근처 지나갈때면 고등학교 시절 추억이 아련히. 생각나기도 합니다.

  • @user-eq2ok8ih1d

    @user-eq2ok8ih1d

    4 ай бұрын

    @@jameshan706 반갑습니다 선배님 5회입니다.. 그때 계시던 선생님들은 나가셨죠. 담임이셨던 김상수 선생님도 얼마전 퇴직하셨고... 떡대좋으신 미술선생님도 안계실거고.. 럭비부도 생기고.. 흔들바위선생님은 몇년전에 뵈었는데 많이 마르시고..

  • @koleanan1001
    @koleanan10014 ай бұрын

    2:28 장면 기준으로 우측은 정비하면 통행이 가능하나 좌측은 막혀서 통행이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그래서 통행이 가능하려면 좌측 도로를 내야 하는데 문제는 좌측이 바로 고속도로인데다가 우회로를 뚫기엔 급경사라서 이도저도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구 고속도로 교량이 선형개량으로 인해 통행이 어렵도 그 교량을 지나는 신도로 건설도 급경사 구간으로 인해 어렵다는게 문제의 핵심인데 제작진이 그걸 간과하니 아쉬울 따릅니다.

  • @ssoulliu1802
    @ssoulliu18024 ай бұрын

    다리가 딱 봐도 꽤나 튼튼해 보이기도 하고 모습도 예뻐 보입니다. 교통유통량과 속도감 해결을 위한 직선화 추구 계획에 따라 노선이 변경되면서 방치가 된것 같군요 그런데 도로공학적으로 보면 장거리 고속도로의 경우 무조건 직선화 되는게 좋은것만은 아닌데 많이 아쉽네요 주변환경 변화 거의없는 직선도로는 장거리를 계속 운전하다보면 시각적으로 지루해져 졸음운전이나 속도감불감등 운행안전상 위험성이 따르기 때문에 오히려 도로설계시에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완책으로 요소요소에 곡선이나 랜드마크가 될만한 장소를 배치해주는 설계가 좋다고 알고 있는데 효율성과 속도만을 쫒는 결과로 저런 유물아닌 유물도 만들어 내는군요

  • @anthonyhan1942
    @anthonyhan19424 ай бұрын

    말끔하게 정리하고 유지보수 한 다음 그 당시 건설박물관 또는 적절한 전망대 등으로 꾸미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시각으로 보면 흉물스럽게 보일수도 있지만 과거의 기록을 무시하고 없애버린다면 미래는 보증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mkkm3626
    @mkkm36264 ай бұрын

    참 전 국민이 지나다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대전을 소개하는 사진에 많이 나올만큼 아름다운 구조물이었는데

  • @user-pi5zh2sx3b
    @user-pi5zh2sx3b4 ай бұрын

    일반도로 로 사용해도 될것 같은데, 누가 막고 있는 건가요 ?

  • @user-cr7hs3ny3g

    @user-cr7hs3ny3g

    4 ай бұрын

    반대편이 경부 고속도로 때문에 쓸 수가 없잖아요 그래서 터널쪽만 일반 도로랑 연결해서 사용하는거 같은데... 반대편 새로 고속도로를 만들어서 반대편과 길을 연결 할 수 없어서 폐쇄된거 같네요

  • @user-tl1xc4sw1m
    @user-tl1xc4sw1m4 ай бұрын

    아ㅡ저다리 예전에 경부고속도로였답니다 2달전 일부는 순환도로로 다니게하구요 이다리는 패쇄된다리입니다 대전 옛순환 경부고속도로 입니다 많이 다녔죠 서울가면 꼭 대전을 지나야되니 ㅎㅎ이젠 옛길입니다 가까이 지나는도로 있어요 그다지 궁금은 다녀오니 별다른 것 아니예욤 수고하셨어요❤❤❤😂

  • @user-tl1xc4sw1m

    @user-tl1xc4sw1m

    4 ай бұрын

    대전 시민 위해 공원 만들연 어떠세요 빛나는영상 늘감사드려요

  • @4ssamchon
    @4ssamchon4 ай бұрын

    옛날고속도로길이네요 가양공원

  • @user-ei6di1rm3k
    @user-ei6di1rm3k4 ай бұрын

    어 저도로... 예전 회사다닐때...자주보던 도로인데.. 안쓰던거였구나...

  • @michael_heo_h_j
    @michael_heo_h_j2 ай бұрын

    예전 저 구간이 곡선구간이 많고 다리가 있기는했었지요. 그러다가 고속도로 직선화가 되면서 사용안하는 구간이 되었죠..

  • @user-zz1rt3nm4e
    @user-zz1rt3nm4e4 ай бұрын

    필요없는 흉물이면 철거하고 보존 가치가 있는 역사적 구조물이면 보수하고 관리해서 시민들에게 개방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 @user-sunday_ko
    @user-sunday_koАй бұрын

    구 도로 이고 그 옆에 신 경부고속도로가 생겼죠,아니 ㅋㅋ 방송관계자님, 저런 큰 교량을 개인이 지었겠어요?? 소유자가 국인건 그냥 안찾아봐도 알겠는데, 저 도로 곡선구간이 심해서 사고 위험도 있고 노후되기도 했고 신도로 생기며 폐쇄되었다고 들었어요.. 교량이 다른것과 다르게 아치형이라 남겨두었다고 들었어요

  • @qst595
    @qst5954 ай бұрын

    이거 문화재라서 보전 보존하는 걸로 결정난 것. 관광용으로 쓴다거나 비래동에서 장동으로 가는 도로의 일부구간으로 쓴다던가 하는 것이 결정 안났기 때문이지

  • @sanghoomlee5500
    @sanghoomlee55002 ай бұрын

    교량 상부에도 뭔가를 할 수 있다면 좋을것 같네...

  • @user-xw8hd2wy8u
    @user-xw8hd2wy8u4 ай бұрын

    경부고속도로대전 이설구간... 지금도 흔치않은 디자인으로 건축된 다리죠 (비슷한 방식의 다리로는 옛 당산철교가 있습니다) 지금도 보면 세련돼 보이는데 지어졌던 당시엔 얼마나 더 이뻤을지 궁굼하네여

  • @user-qm6ju3gm6h
    @user-qm6ju3gm6h3 ай бұрын

    전시에는 대체도로 사용할수있으므로 보존할 가치가있음

  • @user-vi4nn3mc3z
    @user-vi4nn3mc3z4 ай бұрын

    저거는 경부고속도로 대전에있는. 35년전 차량 다녀슴

  • @biuesky1145
    @biuesky11452 ай бұрын

    대전육교 공사 할때 기술력 부족으로 여러번의 붕괴사고로 돌아가신분도 많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