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뇌과학자가 말하는 칼부림 사건의 원인 (박문호 뇌과학자)

30년 뇌 과학자가 말하는 칼부림 사건의 원인
"이런 사람 반드시 피하세요" (박문호 뇌과학자 기획 인터뷰 1부)
박문호 [빅히스토리]📘
👉 product.kyobobook.co.kr/detai...
박문호의 자연과학 세상
👉 mhpark.or.kr
유튜브 [박문호TV]
👉 / @tv-ml9ly
오늘의 게스트:
박문호 뇌 과학자
#칼부림 #소시오패스 #뇌과학
📢문의: info@changeground.com
📢스터디언 출연 신청: forms.gle/a2YoNJyU2jpZ1YxSA
---
00:10 칼부림 사건의 원인
02:12 소시오패스의 특징
02:46 보상과 분리된 중독성
03:19 감정을 '이렇게' 표현하라
05:05 고급 용어를 사용하라
06:04 기억의 3단계

Пікірлер: 903

  • @studian365
    @studian3659 ай бұрын

    📢박문호 뇌과학자 영상 보기 앞으로 이 공부 안하면 인류가 위험해집니다👉kzread.info/dash/bejne/gaNrt66heMaedLA.html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원리 '브레인(뇌)'의 구조와 원리👉kzread.info/dash/bejne/hnuAysyOj6rLg8Y.html 뇌가 처리하는 통증과 고통의 원리👉kzread.info/dash/bejne/iHqisdiun8nXms4.html

  • @junelee6890
    @junelee689010 ай бұрын

    배움을 멈추지말아야하고 정제된언어를 써야할 이유를 다시한번 깨닫게 됐어요 너무좋은 강의네요

  • @romikim4548

    @romikim4548

    10 ай бұрын

    한국인 악풀 문화 우리 뇌를 병들게 합니다. 우리는 다른 나라 문화, 운동 선수, 연예인이건 뭐건 함부로 비하하는 말초적인 표현하고 느끼는 도파민에 중독된 사회입니다.

  • @darkani5665

    @darkani5665

    10 ай бұрын

    저 과학자 분이 뭘 이야기 하려는지는 알겠는데 이번 칼부림 사건은 그것과는 상관이 없는 일이었습니다. 사건 다음날 경찰이 신림동 사건 조선과 서현동 사건 최원종의 컴퓨터를 압수해서 들여다보니 그들의 공통점은 교회를 다니면서 교회에서 부추기는 증오에 심취해 있었다는 것입니다. 다들 알다시피 친일 집단 기독교가 일베의 본거지입니다. 그래서 둘 다 기독교 싸이트에 유행처럼 범행 예고글을 올렸고 이 칼부림이 전국 모든 교회, 그러니까 일베의 유행 챌린지처럼 번진 것입니다. 그게 순식간에 퍼지면서 전국 교회에서 20 여개의 칼부림 테러 예고글이 올라왔지요. 최원종의 경우에는 교회 게시판에 [ 오늘이 마지막 날이노 ] 라는 글을 올린 후 범행을 저지르러 나갔습니다. 그리고 일본에 대한 찬양과 한국인에 대한 혐오글이 가득했습니다. 심지어 조센진을 참교육한다는 식의 친일 혐한 내용이 도배되어 있었습니다. 다들 알다시피 [ ~ 노 ] 라고 끝맺음을 하는 것은 노무현을 비하하기 위해 그 당시 국정원이 부산과 대구 지역의 교회에 돈을 주고 운영하던 십자가 교회 댓글 알바단의 유행어였습니다. 그걸 지금도 친일 일베 지역인 경상도 지역과 일베 종교인 기독교에서 인터넷 게시판마다 악플질하면서 사용하고 있고 거기에 심취된 두 칼부림 살인마들이 행동으로 옮긴 것입니다. 분노라기보다는 친일 집단인 경상도와 기독교라는 두 범죄 조직이 한국인에 대한 증오를 부추기는 것으로 인한 범죄였어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혐오 받는 집단이 바로 기독교와 경상도입니다. 그들은 자신이 미움받는 그 분노를 한국인에 대한 무차별 테러로 앙갚음 했을 뿐입니다. 경상도는 입만 열면 전라도 욕을 하고 기독교는 입만 열면 이슬람욕, 불교욕을 하지요. 그게 모두 자기네들이 가장 미움받는 집단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다른 곳으로 그 화살을 돌리기 위해 하는 행위들입니다. 이게 무슨 정신병, 심리학적 그런 이유에서 일어난 게 절대 아니예요. 기독교만 없애면 죄다 해결되는 증오 범죄입니다.

  • @user-tp5db5jl2p

    @user-tp5db5jl2p

    9 ай бұрын

    완전히 댓글들이 반대로 가네... 오히려 언어에 대한 도덕적 검열을 완화시켜야 이런 일이 예방된다고 생각해야되는거 아닌가

  • @user-se7rg1qb2r

    @user-se7rg1qb2r

    9 ай бұрын

    學而時習

  • @user-ro7pz7nn6d

    @user-ro7pz7nn6d

    9 ай бұрын

    @@user-tp5db5jl2p 아니죠 도덕적 검열을 거치지 않은 언어와 표현은 대부분 1차원적입니다. 고차원적인 단어선택과 활용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강의이니 정제된 언어의 사용을 말하는것과 맥락이 같죠 표현의 부재를 말하고는 있지만 그 표현의 수준이 높아야함도 강조하고 계시네요

  • @cosmos3
    @cosmos310 ай бұрын

    험하고 저급한 말을 쓰면서 자유와 용기라고 생각하는 어른도 그렇고 특히 어린 아이들이 길에서 아무렇게나 욕설을 하는 걸 보면 정말 답답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6626

    @user-6626

    10 ай бұрын

    칼부림보면 엄청난 일뽕에 혐한이라고 하죠? 일뽕은 정신병이란게 팩트였네요

  • @user-st7yo7dt3s

    @user-st7yo7dt3s

    10 ай бұрын

    @@user-6626그거랑 본댓이랑 뭔상관임?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헤라tv 마음세션 헤라 티토크 짐승성 에고 두려움을 인정하기. 내 가해자 에고를 인정해야. 진짜 두려워해야 할 상황에 두려움을 안대용.

  • @nobodynoone245

    @nobodynoone245

    10 ай бұрын

    세상이 지옥이라면 괴물이되는것 말고는 생존할방법이 없습니다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nobodynoone245 모든 세상에 들리고 보이는 모든 것들이. 내안에 원인 인자가 있는 것이고. 나에게 다가온 인연들은 내 모습을 그대로 비추어주는 고마운 거울 같은 존재라고 하더라구요. 뉴스를 보며 어떤 인물이 거슬리고 단체도 사람도 꼴보기 싫을 때는, " 절대 이해해 주기 싫은 이 미움이 나구나" ( 요것을 침이 마르도록 반복하세요. . 수백번 한다 마음 먹고 날마다 콩나물 기르듯이 계속 " 절대 이해~" 자주 나불나불 거려주세요. 모든게 표현을 어찌 하느냐에 따라 천국을 경험할 수도.

  • @user-cv5jy5ot4n
    @user-cv5jy5ot4n10 ай бұрын

    고급 용어와 아름다운 형용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를 뇌과학적으로 설명해 주시다니..감동적입니다. 귀한 강의 감사드려요.

  • @happy-qd5cu
    @happy-qd5cu10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또 씁쓸하네요. 이런 영상을 끝까지 집중하며 듣는 사람들은 결국 애초에 세상에 해를 끼칠 사람들이 아닐테고, 이 영상을 보고 개선이 필요한 사람들의 유투브 알고리즘에는 나타나지 않을테니까요

  • @user-ur3lv6gh7f

    @user-ur3lv6gh7f

    9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는 알고리즘에 떠서 이런 좋은 강의를 듣게 되네요 뇌과학자 이분 두번째 듣네요

  • @frgbbyny

    @frgbbyny

    9 ай бұрын

    사회적 약자가 폭동을 일으키는데 고작 강의 따위로 막아질거라 생각하세요? 학폭을 줄이고 학대를 줄이고 해야하는데 결국 다 돈입니다. 돈으로 복지해야 범죄가 줄어드는데 현실적으로 힘들죠.

  • @sangho2lee991

    @sangho2lee991

    9 ай бұрын

    @@frgbbyny 자본주의에서 돈없이 바뀌는 제도 없죠. 그러나 그 돈을 "쓰게끔" 하기 위해 선행 해야 하는 것은 대중의 동의-이해 입니다. 고작 강의라니요? 문제의식을 갖고 알아가려 하는 사람들이 많을 수록 그 "돈_정부지출"을 사용하기 수월해 지는건데요.

  • @user-tz4xd7ue3m
    @user-tz4xd7ue3m10 ай бұрын

    감정은 표현하라. 조용한 사람이 더 위험하다....

  • @mjp322
    @mjp32210 ай бұрын

    진짜 동감합니다. 우리나라영화 왜이리 욕하고 칼쓰는 장면이 많은지. 많이 듣고 많이 보면 그게 그대로 표출되더라구요. 우리나라 청소년들 진짜 걱정되요

  • @user-qc7gz3ej7z

    @user-qc7gz3ej7z

    10 ай бұрын

    재미도 감동도 없으니 폭력

  • @user-en5gp9lv4h

    @user-en5gp9lv4h

    9 ай бұрын

    그래서 우리나라 영화 안봅니다.맨날 폭력에 욕설에 좌편향된 정치 영화에.저런 영화 돈 주고 왜 보는지 이해 불가네요

  • @user-en5gp9lv4h

    @user-en5gp9lv4h

    9 ай бұрын

    @@M655-io1lt 망상 정신병자냐.남의 댓글에 지혼자 상상의 나래 쳐 펼치고 있노.너는 많이 쳐 보세요 망상정신병자야

  • @soty290

    @soty290

    9 ай бұрын

    @@M655-io1lt 영화 이야기 했는데 왜 게임이 나오죠. 실제로 예전 살인자 중에 영화 친구 칼로 수십번 찌르는 장면을 사십 몇 번 반복해서 봤다고 하는 살인자도 있었어요. 이 영상 자체도 뇌에 타격을 준다고 보지 말라는데 본 영상이나 끝까지 보죠.

  • @user-zj9ol3ms5k

    @user-zj9ol3ms5k

    9 ай бұрын

    ​@@soty290폭력게임

  • @user-xp8bv1if9y
    @user-xp8bv1if9y10 ай бұрын

    아이 키우면서 보면 우리나라에 아이가 같이 볼 드라마 하나 없다. 폭력이나 범죄가 없는 드라마가 없음.. 시트콤이 다시 부활하길...

  • @user-vh7gw5tf2y

    @user-vh7gw5tf2y

    9 ай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시트콤이 그리워지는 요즘이네요

  • @SINCE20000

    @SINCE20000

    9 ай бұрын

    시트콤도 남 무시하고 조롱하는 내용 많아요 재미를 주기위해 안들어 갈수 없어요 어차피 아이는 커가면서 다양한 영상에 노출 될수 밖에 없어요 유투브만 켜도 온갓 폭력적인 내용들이 그냥 나오니까요

  • @user-nq9uw6gb7p

    @user-nq9uw6gb7p

    9 ай бұрын

    주주클럽 응도 오랑이 추천합니다 옛날 프로그램이긴 한데

  • @urhdknm

    @urhdknm

    9 ай бұрын

    성인용 콘텐츠들을 이미 초등학교에서 유튜브 요약본으로 다 접하는 현실...

  • @user-em3hc1gw9m

    @user-em3hc1gw9m

    9 ай бұрын

    ​@@SINCE20000이게 맞음 드라마 영화 대중가요 등 각종 미디어는 썩은게 대부분임 원래 그런 목적이었는지는 몰라도 볼만한건 극소수고 대부분이 썩은 미디어

  • @Midongryu
    @Midongryu10 ай бұрын

    교육자의 한 명으로서 '우리 사회가 암기를 창의력의 반대개념으로 인식하고 등한시한다'는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한국 사회에 10여년 전부터 누군가가 퍼뜨린 잘못된 기조입니다. 가르침에 감사합니다.

  • @TrueReleasAble

    @TrueReleasAble

    9 ай бұрын

    일단 과학분야는 선행연구 이해하고 암기하고 이해하고 암기하는 데에만 십년 이상 써야 되는데 대체 그걸 암기 없이 어떻게 공부하겠다는건지 대화하다보면 답답해 미치겠는 경우가 많음 창의력이란게 아무 암기도 없이 그냥 나오는 대로 아무 얘기나 지껄인다고 그게 창의력이 아닌데.. 기본적인 인풋이 있어야 그걸 바탕으로 아웃풋이 나오는건데 한국 사회에 넓게 퍼져있는 일종의 '창의력 미신' 보고 있으면 개답답함

  • @user-fo6ur8cn7w

    @user-fo6ur8cn7w

    9 ай бұрын

    ​@@TrueReleasAble그게 아주 어릴때부터 강요되는 교육 현장의 분위기니까 문제인거임. 이해와 암기는 공부에 있어서 필수지만 본인의 진로와 목표가 설정된 중고등학생 이후부터 시작되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함. 공부를 하는 목적이 분명해졌다면 이런 과정은 필수적이지만 목적이 확실하지 않은 어린 나이의 암것도 모르는 초등학생이 달달 외우는거 보면 썩 좋아보이진 않음

  • @richlee8870

    @richlee8870

    9 ай бұрын

    ​@@TrueReleasAble사실 주입식 교육은 문제지만, 어느정도 기본적인 사고를 위한 지식은 암기를 해야되는게 맞긴함ㅋㅋ 뭐가 있어야 이해를 하고 상상을 하니까. 근데 한국은 암기의 비중이 너무 큰거지. 사회적인 분위기도 그렇고. 사실 고등 수학,과학 배워서 일반인이 어디쓰겠냐? 중학교 과정만 배워도 아무 쓸모없다. 학점따라 가는 대학 전공은 말할것도 없고ㅋ

  • @user-th6kb1iy6m

    @user-th6kb1iy6m

    9 ай бұрын

    @@user-fo6ur8cn7w 우리 나라 초등학교 교육 지금 너무 문제라던데...애들 시험도 안보고 공부 안하는 애들은 그냥 방치나 다름없다고...

  • @fester91113

    @fester91113

    9 ай бұрын

    사실 이해를 하고 내가 거기에 동의한 다음에는 암기죠. 매번 이해 과정을 다시 밟는 건 낭비니까... 순서가 그렇게 가야 해요. 그런데 과거 우리 교육은 시간은 없고 가르칠 것은 많으니 이해 과정을 생략하고 암기시키고 "넘어가자" 진도 빼는 데 급급했음. 이해하고 동의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시는 거면 기초 과정에서는 뭐 그럴 수도 있기는 하다는 생각은 드는데... 그렇게 효율적으로 공부 시켜서 아시아 학생들이 고등학교 까지는 학력이 월등한데 대학원 쯤 가면 느리게 따라오던 거 같던 서양애들이 성과를 더 잘 내게 되더라는 문제가 발생... 평생 창의적인 거 기대할 필요가 없는 일반적 수준에서는 여전히 아시아식 암기 교육이 효율적이지만 최상위 그룹에서는 문제가 되고, 생각을 하는 연습을 안 시킨다는 면에서는 일반 수준에서도 시민교육이 안 되니 문제가 있을 수 있음. 암기보다 이해를 강조하는 흐름은 학력고사에서 수능으로 넘어 갔던 거와 같은 교정이라고 봅니다. 쓸데없이 많이 외우게 시킬 필요가 없었음... 우린 너무 심했음. 설마 이해론자들이 수학 공식도 암기라고 못하게 하겠어요 국사 연표 같은 거 외우는 거 더이상 안 하게 하는 의미 정도겠지.

  • @selinak2237
    @selinak223710 ай бұрын

    억눌러진 감정과 표현하지 못한 감정이 위험하다.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라!

  • @fashionnamme521

    @fashionnamme521

    9 ай бұрын

    표현의 자유가 없는데 표현할수가 없지~

  • @elize2739

    @elize2739

    9 ай бұрын

    ​@@sushi6781 핀트를 잘못 짚으신듯

  • @amdre4159

    @amdre4159

    9 ай бұрын

    @@sushi6781님만의 잘못은 아닙니다. 그런 분위기의 한국 사회구조 자체부터가 문제인거죠. 감정표현을 억눌러야 하는 사회. 남들과 다르거나 튀면 욕하는 사회. 남들과 비슷해야 하고 남들 하는대로 다 따라해야 생존하는 사회. 결국 가식이 가득해지고 비판에 취약해집니다. 마음의 여유가 사라질 수밖에요.

  • @headnuclear

    @headnuclear

    9 ай бұрын

    @@sushi6781 충분히 공감 가는 의문을 제기하셨네요 저도 그럼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에 어떻게 표출하라는건지, 고급 형용사로 감정 일기를 쓰라는 말씀인지 해결책이 아쉬워요

  • @hanshowordhi7328

    @hanshowordhi7328

    9 ай бұрын

    ​@@sushi6781뇌과학적인 측면에서는 표현하고 감정을 억누르지말라고 하시는거같습니다. 하지만 저도 현실에서는 그게 쉽지않다고 생각드네요.. 교수님께서 현실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할수있는방법이라던지 글이나 예술, 노래같은 방법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해도 되는건지.. 스트레스가 문제라고 하셨으니 운동으로 스트레스의 내성을 키우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라던지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줬으면 좋았을거같습니다 아직 2부를 못보고왔긴한데 다음 내용에 이런것들이 추가되면 좋겠어요

  • @shj7963
    @shj796310 ай бұрын

    늘 몰입해서 듣게되는 박문호 교수님 강의입니다~ 고급 단어 습득의 필요성에 대해 뇌과학적으로 설명해 주셔서 어문계열 전공자로서 감사합니다. 제 아이들에게도 공유해야 겠어요. 교수님 오래오래 저희곁에 계셔주세요❤

  • @HelloQNY
    @HelloQNY10 ай бұрын

    범죄도시보고 눈알을 씻고 싶었는데 사람들이 너무 좋아하고 천만영화?이래서 너무 놀랐습니다. 다수의 뇌가 이런 자극을 즐기니 안타까워요.

  • @Giggle958

    @Giggle958

    10 ай бұрын

    분멸 재미진 요소도 있었는데 굳이 폭력적인걸 넣던 장면은 안 봤음.

  • @user-uo9yw2nb8o

    @user-uo9yw2nb8o

    10 ай бұрын

    너무 잔인해서 싫더라구요ㅜㅜ

  • @spiritgolden9166

    @spiritgolden9166

    10 ай бұрын

    안타깝다고 생각하는게 안타깝네요. 현실의 영역을 표현하는데, 나쁜것이 있어야 좋은게 뭔지 아는 겁니다. 나쁜걸 다 없애면 끝나는게 아니라, 좋은것들 중에 또 나쁜걸 찾아내서 제거하죠. 인간의 불완전함을 인정하는게 가장 좋은 태도입니다.

  • @karenkim6433

    @karenkim6433

    10 ай бұрын

    맞아요…보는대로 배우는 건데…영화 만드는 사람들도 문제지만…대중들이 많이 자각을 해야할거같아요. 가능할지 모르지만요….

  • @HelloQNY

    @HelloQNY

    10 ай бұрын

    인류의 출현의 역사와 비교해보면 영화가 나온 기간은 미미할정도로 매우 짧죠. 폭력적인 영화를 통해 사회의 어두운면을 배운다라는건, 자극에 쾌감을 느끼는 모습을 감추고 그저 합리화하기 위함같네요. 이런 폭력에 노출되면 뇌에 손상을 입는다. 30년 뇌를 연구하신 뇌과학자가 하는 말씀을 궤변으로 합리화하는게 우습네요. 사람의 뇌는 상상과 실제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레몬을 먹는 상상을 하면 침이 고이는 경험을 할 수 있듯 뇌는 상상만으로도 뇌가 실제로 경험할때 반응하는 뇌를 자극시킨다고하죠. 안되는 이유요? 0:07 브레인에 상처를 입습니다.

  • @DDD-zh9mn
    @DDD-zh9mn10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글로벌OTT무한 경쟁의 폐해라고 생각합니다. 갈수록 더욱 자극적인 컨텐츠로 사람들을 모으는 악성 미디어는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우리가 마음공부 시작하믄 되지요..헤라tv

  • @user-uq5cb2iz4l

    @user-uq5cb2iz4l

    10 ай бұрын

    ​@@user-fl8yy3sl3w댓글 마다 광고하니 비호감이네요

  • @user-mb8xy2xt5j

    @user-mb8xy2xt5j

    10 ай бұрын

    조중동😂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user-uq5cb2iz4l 불편하다고 느꼈다면 죄송합니당.. 대신에 저처럼 마음이 아픈 사람은 봤으면 하는 바램이었습니다..( 묻지마 폭행 사건을 자주 보며 마음이 안좋았습니다 . 우리의 삶의 방식이 무관치 않거든요)

  • @user-lt2zs5cb8d

    @user-lt2zs5cb8d

    9 ай бұрын

    아오:: 디씨 여시 일베같은 인터넷 커뮤니티부터 없애야됨;; 걔네 자꾸 지들끼리 심연으로 끌고들어감

  • @300BH
    @300BH10 ай бұрын

    자막 넣어주시니 훨씬 보기 편합니다

  • @user-yb2lz4tm6p
    @user-yb2lz4tm6p10 ай бұрын

    맞아요. 좋은것만 보고 예쁘게 말하는걸 연습해야해요, 폭력적이고 욕설이 난무한 영화나 게임은 위험합니다.

  • @user-modoogarham

    @user-modoogarham

    10 ай бұрын

    자극적이고 폭력적인것에 정말 많이 노출되어 있다고 봐요. 세상이 무섭다고 느껴질만큼. 요새 갑질 학부모 얘기 많이 나오는데 이런 사람들도 뇌가 망가진 사람들 같아여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아닌데요..오히려 예쁘게 말할려고 참고 참으니까 변비가 되더이다.. 내가 우울증이 있는데.. 얼굴이 일그러져 있는데 좋아해요? 저는 자동차 안에서 또는 집에서 실컷 욕을 했습니다. 개나리. 전봇대..족발~~ 니가 잘못했지.ㄷㅅ 아.. 1시간 욕하고 반성했음. 음식도 고기는 안먹고 달걀 후라이만 먹음.. 한달에 한번 실시 3 회 정도 하고 내 가해자 에고 인정하고 정신적으로 건강을 되찾음요. 고등학교 친구가 그러든데. ^ 니가 아닌 것 같다.."그랬죠.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어떤 상식에 푹 빠지면.. 전체 그림을 못보게 돼요. 진흙 뻘밭이 멍~ 때리면 계속 더욱더 빠져드는데. 계속 총총 움직이는 이는 살아남는다 잖아요.

  • @jll142

    @jll142

    10 ай бұрын

    마찬가지로 공격적인 성향이 다분한 야동도 뇌에 유사한 영향을 미칩니다. 잔혹한 성범죄자들이 끊이질 않는 이유.

  • @user-tn5oe3sk3h

    @user-tn5oe3sk3h

    9 ай бұрын

    전문학슐용어 공격성에 대한 이해도 부족. 메롱 뇌과학 뇌가 원인이 아닌 것 같아요. 뇌과학에 맞춰서 보니까 .... 다 죽여버리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든 사실이 원인 아닌가....싶은데요

  • @user-gn5pw4ju8u
    @user-gn5pw4ju8u10 ай бұрын

    여기서 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에서 접한 박문호 교수님 강의 덕분에 세상을 보는 눈과 마음이 넓어졌고, 이 지구와 세상, 그리고 사람이 더욱 흥미로워지고 앎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federico6485
    @federico64859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인기 영화, 드라마에서 목을 칼로 찌르고 그리고 서로의 배를 찌르고 그런 거에 무뎌지면서, 평소 정신적으로 불안했던 사람은 모방할 수 있을거 같다 생각했어요. 표현의 자유가 아니라 그건 위험 요소에 대한 방임입니다. 심의가 개입되는 게 맞다고 봅니다.

  • @HaHa-love
    @HaHa-love10 ай бұрын

    짧지만 굵직하게 중요한 개념들이 꽉 차서 반복해서 듣고픈 강의였습니다! 폭력적인 영상은 뇌를 상처 입힌다. 감정을 모니터링하며 표현하라. 고급용어(아름다운 형용사 포함)을 사용하라. 기억의 축적, 3초만의 활용, 반복 숙달 (1가지 발기술을 천 번 하는 자!) 고급 어휘 공부가 하고싶어집니다^^

  • @ggum_hi
    @ggum_hi10 ай бұрын

    학교에서 독서를 의무화 해야하고 범위를 늘려야 합니다. 시험을 위한 독서 말고요. 생각과 표현을 위한 교육이 꼭 필요할 것 같네요!

  • @estest82

    @estest82

    10 ай бұрын

    독서는 집에서 해야죠😮 요새 가뜩이나학교에 모든걸 다해달래서 문제더만요

  • @kiweejam

    @kiweejam

    9 ай бұрын

    그말도 맞는말이지만 교과서도 독서입니다. 교과서 꼼꼼히 자세히 읽기라도 했으면 좋겠어요. 읽고 노트에 스스로 정리하기. 스스로 정리못하고 다른것 배끼더라도~ 배끼느라고 이것저것 보면서 적당한거 고르겠죠~ 그과정이라도~ 선생님들이 학습지 정리해서 프린트해서 나눠주는거 그만했으면 합니다.

  • @user-yr9qh4yk4n

    @user-yr9qh4yk4n

    9 ай бұрын

    고딩인데요, 학교에서 책은 그저 생기부에 한줄 넣기위한 수단입니다. 자사고는 다를거같지만 전혀 안그래요.. 더했으면 더하고..

  • @biterlames3220

    @biterlames3220

    9 ай бұрын

    엄마 아빠가 책 보면 자식도 알아서 보게 됨. 부모도 안 보면서 학교가서 읽으라는건 코미디 같은 말

  • @gwanjooan5391
    @gwanjooan539110 ай бұрын

    단어가 많으면 표현할 기회도 많아진다. 단어가 많아 진다는 것은 단순히 읽고 지나가는 학습이 아니라 반복해서 3초안에 기억 날정도로 학습하는것이다.

  • @fjqmffldmsqkddnf
    @fjqmffldmsqkddnf10 ай бұрын

    언어는 정말 중요한 도구라고 생각해요. 언어는 문화의 집약체이자 감정, 행동, 인지, 지식 등 담고 있는 영역과 영향이 대단하다 느끼기도 합니다. 단순히 지식적 측면보다 다체로운 감각을 느끼고 표현하는 방식에 기인해 본다면 박사님 말씀처럼 무엇을 사용하냐에 따라 전달력도 달라지더라고요. 몇달 전 회사 동료가 저에게 너무 고급 어휘를 쓰지 말라고 말 한적이 있어요. 일상 언어를 사용하라 하더라고요. 의도는 저를 위해주기 위한 조언이 있었지만 그 말을 들으면서 '정말 그게 더 나은 선택인가?' 라고 고민을 하게 됐습니다. 저는 특별히 어려운 단어를 골라 쓴 것이 아니고 때에 맞게 존칭어 혹은 전달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했거든요. 똑똑해 보이고 싶거나 잘난척을 하고 싶은 마음은 없었는데 저런 조언을 듣는 오해가 생기니까 순간 허무한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 영상을 다시금 곱씹어 봐야겠지만 지금 느끼는 감정은 좀 더 다양한 언어 스팩트럼을 넓히기 위해 정진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 @estest82

    @estest82

    10 ай бұрын

    ㅋㅋㅋ 지나잘하라고 하세요ㅋㅋ 근데 일상에서는 현학적인 말을 다른표현으로 풀어서 하는 연습도 언어구사력에 도움이 되긴 합니다 언어는 효율성만 중요한건 아니니까요 수월성도 있어요

  • @fjqmffldmsqkddnf

    @fjqmffldmsqkddnf

    10 ай бұрын

    @@estest82 ㅠㅠ 흑흑 그정도는 구분해서 쓰긴 했는데 그 범위가 제가 생각한것 보다 넓었나봐요 ㅠㅠ

  • @iruka7272

    @iruka7272

    10 ай бұрын

    저도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 아주 쉬운 사자성어를 쓰지말라 하더라구여. 모르는 그 사람들이 바보 아닌가 그 이후 그 그룹들에게는 아주 쉬운 말로 표현하려 하는데 그것도 어렵더라구요.

  • @user-rw1el3pd2g

    @user-rw1el3pd2g

    10 ай бұрын

    남의 말은 그냥 참고만 하고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나가세요~~.^^ 상처도 받지 마시고요. 그사람이 질투일 수도 있고, 옳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오래 살아보니까 타인의 의견에 예속되지 않는 것이 멘탈에 좋습니다.

  • @amdre4159

    @amdre4159

    9 ай бұрын

    열등감같은데요 그 동료분

  • @cakelove1854
    @cakelove185410 ай бұрын

    저급한 영상을 지속적으로 내보낸 방송국들이 문제입니다. 특히 폭력물 음란물들 내보낸 것들이 사회의 악을 재생산한것입니다. 책임지세요.

  • @joebtt
    @joebtt10 ай бұрын

    그래서 책을 많이 읽는사람이 이성적이고 지성적인 사람이 되는거군요! 아이에게 제일 좋은교육이 책을 읽어주는것인데 아무래도 많은 정제된 언어를 다양하게 또 반복적으로 접하다보면 정서가 건강하게 자라나는것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Elena-tl1wf
    @Elena-tl1wf10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짧지만 무척 인상깊은 강의입니다.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헤라 티토크 짐승성 에고. 마음세션 두려움 인정하기 마음세션 소통이 힘들어요. 찾아서 보세요.. 여긴 더 섬세하게 나와있어요.

  • @CharacterModeler
    @CharacterModeler10 ай бұрын

    말씀 해주신 내용이 일기를 써야하는 이유라고 생각이 됩니다. 타인에게 말은 건내지 못하더라도 혼자서라도 이리 저리 표현 해보는게 좋은것같아요

  • @smileman3229
    @smileman322910 ай бұрын

    조용한 사람들 화나면 진짜 눈 돌아요 근데스터디언영상 아닌줄.. 훨씬 좋네요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집에서 화난척 연습 많이 하고 . 내 가해자 에고 인정하면 게임 끝이에요. 사람들이 처리 방법을 몰라서 고통스러운 듯요.

  • @grace-ex8bh
    @grace-ex8bh10 ай бұрын

    맞아요. 폭력적인거 계속보면 영향이 있어요~ 요즘 미디어가 너무 자극적이고 무서워요~~ 살인같은것은 기본이고,,,, 너무 안타까워요ㅜ

  • @user-ir1dv5sf4f
    @user-ir1dv5sf4f9 ай бұрын

    교수님 인터뷰 찾아 듣곤했는데 오늘 인터뷰가 좀더 강한 메세지로 남네요 오늘도 귀한 깨달음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 @willesnoch
    @willesnoch10 ай бұрын

    모든 학문은 언어학이다! 백번 공감합니다

  • @sukkyokim2732
    @sukkyokim273210 ай бұрын

    한 나라 국민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그 나라 사람들의 사고를 지배한다는 말이 백 배로 와닿습니다..그리고 한 번 들어 본 얕은 기억으로 안다고 착각했던 내 자신을 되돌아보게됩니다.❤

  • @user-km1ss8kn9l
    @user-km1ss8kn9l9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은 항상 듣고나면 기분좋고 답답함이 뻥 뚫리는 느낌이에요. 공부에 희망이 생겨요!

  • @user-pv3qz9sn8c
    @user-pv3qz9sn8c10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훌륭한 말씀 고맙습니다.

  • @user-mc8vn4nn6o
    @user-mc8vn4nn6o10 ай бұрын

    나도모르게 그냥 빠져들어 보고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좋은 세상입니다. 이런 훌륭한 분들의 이야기를 좋은 대학에 가지.않아도 들을 수 있고 생각할.수 있게.해줍니다. 2부 기대하겠습니다.

  • @nomind-mb2sl
    @nomind-mb2sl10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이십니다 저는 그래서 평소 스트레스 그때그때 말과 글로 풀어서 괜찮아요

  • @mallang2
    @mallang210 ай бұрын

    요즘 박문호 박사님 영상들에 빠져있어요 ㅎㅎ 뭔가.. 눈물 핑 도는 감동적인 영상인 것 같아요.. 감정을 표현하라! 너무 멋있으심 ㅠㅠ

  • @ccorea33
    @ccorea3310 ай бұрын

    우와…. 박사님…. 통찰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모든 학문은 어떤점에서 언어학이다. 용어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그 학문의 50퍼센트가 넘는다…. 기억의 3단계…. 기억의 활용단계ㅠ 너무 닿고 싶네요ㅠ

  • @Dream-xv6we
    @Dream-xv6we10 ай бұрын

    정말 정신의학에서 얘기하는 매카니즘의 확장판이라고 봐야겠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eloahy1208
    @eloahy12089 ай бұрын

    값어치 없는 쓰레기같은 잡식이 넘쳐나는 시대에 정말 유익하고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 @user-oh5vm9nz3h
    @user-oh5vm9nz3h10 ай бұрын

    영상이 내용을 집중하게 해줍니다. 감사합니다~^^

  • @yellow0707
    @yellow070710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공감되는 말씀이었습니다. 또한 이로인해 제 머리속에도 또다른 배움의 의지와 자세가 생겼습니다. 좋은 말씀 2부 기다리겠습니다.

  • @2689joan
    @2689joan10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인터뷰입니다. 독서와 쓰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Belongu0
    @Belongu010 ай бұрын

    영상 몰입감이 장난 아니네요. 훅 빠져들어서 봤어요. 강의도 너무 좋구요.

  • @kyung6040
    @kyung604010 ай бұрын

    고급단어를 얼마나 쓰는가. 100개의 용어 암기. 고급용어를 사용하라. 용어는 사고의 폭 넓혀주고 정확히 보여준다. 기억을 활용하라. 반복하고 숙달해라

  • @user-sp9lg2fj5e

    @user-sp9lg2fj5e

    10 ай бұрын

    고급단어의 기준이 뭘까용

  • @travellingsmile8164

    @travellingsmile8164

    10 ай бұрын

    @@user-sp9lg2fj5e 그 기준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보는 것도 뇌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은 뇌피셜이 듭니다.

  • @user-ru9pk6vb2z
    @user-ru9pk6vb2z10 ай бұрын

    독서와 폭넓은 사고의 중요성을 재고해보게 되네요. 평소에 지인이나 조카들한테 고운 말 쓰라고 강조하는데 잘한 것 같아요.

  • @nillra
    @nillra9 ай бұрын

    과학자님 분석에 너무도 공감합니다.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 할 줄 아는 것 정말 중요합니다. 그리고 더하여 폭력적이고 잔혹한 미디어도 큰 문제입니다. 사람의 양면성이 우스운 게 실제 살인사건, 칼부림 사건에 분노하고 무서워하면서 집에 가서 곧장 살인영화를 찾아 감상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람은 계속 보고 듣는 것에 무뎌지며 학습됩니다. 제발 잔혹한 컨텐츠 미디어는 분별해서 봐야해요. 사람들이 안보면 만들 일도 줄어듭니다. 아이들에게 다양한 표현과 세상을 알려주고 감수성도 키워주며 악한 미디어는 보지 않게 해야해요. 돈과 스펙 우위설정 비교 열등감과 폭력만을 알려주는 세상이 아니라 사람과 삶의 가치를 알려주고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기 바랍니다.

  • @user-rd1zn9oq1o
    @user-rd1zn9oq1o10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한번 더 인지하고 노력하게 되어요!

  • @jesslee7004
    @jesslee700410 ай бұрын

    제가 평소에 잔인한영화 주변에 보지 마라고 하는 이유를 그대로 말씀해주시네요

  • @namuliky
    @namuliky10 ай бұрын

    이건 저가 찾던 강의입니다. 맞아요. 감정 표현을 말로 하는 연습을 했는데 이게 연습이 되니 스트레스와 상처가 사라졌습니다. 왜냐하면 상처를 말로 설명하다보니 아니 내가 왜 이런 일로 괴로워했지라는 의문을 동시에 가지면서 상처가 엷어졌습니다. 근데 부작용이 생겼습니다. 내면의 상처도 삶의 원동력인데 이게 사라지니 허전해 졌네요. 덩어리가 있던 자리가 없어지니 허전한 것과 같습니다. 지금 이것도 내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입니다. 너무 좋습니다.

  • @danteandrona1301
    @danteandrona130110 ай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씀, 공감능력 없는 상당수가 인지능력 중 (다소 고급스런 언어적, 문자적 능력이 부족하고, 관심도 없고, 시각적인 것을 좋아한다는 특징을 보인것이.) 우연은 아니군요.

  • @romikim4548
    @romikim454810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정말 귀한 학자이십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 @user-xt1np5hb7u

    @user-xt1np5hb7u

    10 ай бұрын

    논문도 안 쓰는 사람이 무슨 학자입니까.. 그냥 과학커뮤니케이터죠

  • @user-bt4sd5ie8q

    @user-bt4sd5ie8q

    10 ай бұрын

    ​@@user-xt1np5hb7u 네 그럼 제발 "진짜 학자"이신 당신께서 바쁘신 당신의 스케줄을 다듬으시어 감히 미디어에 노출되시어 우매한 대중들에게 깨달음을 주실 수 있게끔 정확한 표현을 위해 첨예하게 다듬어진 학문적 용어를 소통을 위한 구어적 표현으로 변환하여 하사하시고 사회를 이롭게 해주세요 제발 손가락만 놀리면서 이미 사회적으로 정의된 "학자"라는 표현에 부합하는 사람을 비꼬지 마시고 ^^~ 정의 출처: Oxford Languages 학자, 學者 /-짜/ 명사 학문에 통달하거나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 학장(學匠). ㅋㅋㅋㅋ "논문도 안 쓰는 사람이 무슨 학자입니까" 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본기도 없이 남을 비꼬면 이렇게 한심하고 허술해집니다

  • @user-xt1np5hb7u

    @user-xt1np5hb7u

    10 ай бұрын

    @@user-bt4sd5ie8q 저는 이미 뇌과학분야 논문도 많이 썼고 미디어 (일간지, 방송) 노출도 종종하고 있는 현직 대학교수입니다. 이름 대면 다 아는 서울소재 대학교에서 석박사과정 학생들도 지도하고 있구요. 오늘도 하루 종일 논문 작성하다 퇴근하는 길입니다. 박문호 박사님은 비전공자치고는 깊이가 있는 분은 맞습니다만 정확하지 않는 말을 할 때가 있으니 유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 @user-uq5cb2iz4l

    @user-uq5cb2iz4l

    10 ай бұрын

    ​@@user-xt1np5hb7u박사는 스스로 알려지지 않았던 문제를 발굴하거나, 여태껏 해결되지 못했던 문제의 정답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만큼의 학식을 갖추었다고 제도적으로 인정받은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학위이다. 찾아보니까 박문호박사님이시네요.

  • @user-xt1np5hb7u

    @user-xt1np5hb7u

    10 ай бұрын

    @@user-uq5cb2iz4l 전자공학분야 박사학위를 가지고 계시지요. 뇌과학이 아니라... 박문호 박사님은 Texas A&M 이라는 좋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하셨습니다. 뇌과학에 관한 정말 엄청나게 많은 공부를 하고 계신 것은 분명 맞고 어쩌면 저보다 뇌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폭넓게 알고 계신 분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박문호 박사님을 해당 분야에서 "연구" 를 하는 좀더 정확한 의미의 "학자" 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학자들은 남들이 써놓은 책들을 읽고 설명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습니다. 본인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지식을 직접 생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야 합니다. 과학적 사실의 최초 보고인 논문을 비판적으로 리뷰할 수 있고 본인의 연구도 학계에 발표하고 평가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해당 분야를 잘 모르는 일반인들은 뭐라고 생각하든 이런 조건을 갖추지 않은 분들을 저희들은 "학자" 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 @user-zu1bh4pk3z
    @user-zu1bh4pk3z9 ай бұрын

    유용한 강의였습니다. 자격증 공부할때 여러모로 도움이 많이 될거 같습니다. 😊

  • @user-to5lq6tz3d
    @user-to5lq6tz3d10 ай бұрын

    그 많던 한국어의 섬세한 표현들은 다 어디가고 모든 감탄사가 대박ㅡ끝났다ㅡ폼 미첬다 ㅡ

  • @justinyu5992
    @justinyu599210 ай бұрын

    감정을 표현하라...... 여러모로 도움이 되는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 @IAMRHYME711
    @IAMRHYME71110 ай бұрын

    한국의 톱티어 영화감독이 만들어 국제영화제 휩쓴 작품에도 stabbing rampage가 난무하는데..요즘은 폭력이 안 나오는 영화 찾기가 더 어렵죠. 이 책 내용과 많이 겹치는 말씀인데 엄청 좋은 책이라 추천드립니다.

  • @Itsacarouselmyfriend

    @Itsacarouselmyfriend

    10 ай бұрын

    아닌 것 같지만 나도 모르게 무의식에 새겨지면서 인식하지도 못한 채 잠재행동패턴이 형성되는 것 아닐까요..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일부러 폭력 영화 보면서 감정을 풀어내야 돼요. 피멍이 들고 칼에 찔린 모습 봉며. " 절대 이해해 주기 싫은 이 거부감이 나구나 ". ( 입에 침이 마르도록 반복 수백번 이상 함으로서.. 나도 모르게 올라오는 게 자꾸 가랑비 처럼 약해져요.. 표현을 안했단 건. 우리가 알아차림을 못해서 상처받은 짝궁의 감정이 태풍처럼 괴물이 된거구요.

  • @nownow3798
    @nownow379810 ай бұрын

    맞아요. 나쁜 말이 좋은 말이 감정까지 지배함을 느낍니다.나도 모르게.스며 들더라구요. 사담입니다. 모 스탠딩 업 코미디 잼있어서 보다보니 나도 모르게 어느순간 나쁜 말이 훅 나오더라구요. 속에 잠재되어 있다가 필터링 없이 갑자기 나와 깜놀 식은땀 났던 기억 졸은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고 사는 중.

  • @user-qn2vp2ep4t
    @user-qn2vp2ep4t9 ай бұрын

    말씀도 너무 잘하시지만 말씀에서 에너지가 느껴집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Sy-kk1ow
    @Sy-kk1ow9 ай бұрын

    좋은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지금시대에 꼭 필요한 영상이네요

  • @user-ch6cm7ii9l
    @user-ch6cm7ii9l10 ай бұрын

    강의 훌륭해여

  • @milkandbread2
    @milkandbread29 ай бұрын

    박문호 뇌과학자님 덕분에 궁금증이 해결되었습니다 보는내내 몰입되어 시간가는줄 모르고 시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Nyamnyam275
    @Nyamnyam27510 ай бұрын

    오 역시 오늘도 흥미롭네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yoo-rilee1419
    @yoo-rilee141910 ай бұрын

    왜 고급단어를 배우고 익혀야 하는지 잘 알겠습니다. 그리고 '아는 것 같다'는 '아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다시 한 번 실감합니다.

  • @m23mj3ko90
    @m23mj3ko9010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애들 키우는데 많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고맙습니다!

  • @user-ry5ud3iu2i
    @user-ry5ud3iu2i10 ай бұрын

    감정을 표현하는것을 나약하다고 낙인찍지 않고 수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조성되면 좋겠네요 요즘 문해력이 떨어진다고들 하는데 고급용어를 많이 알고 활용하는 것이 이렇게 도움이 되는줄 몰랐네요😂

  • @pstmgm

    @pstmgm

    10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이 사회가 나르 소시오천국이라 그리된듯요😑 우리가 그런 문화를 계속 바꿔나가야지 싶어요ㅎ 다행히도 나르 소시오의 실체가 요즘 많이 알려지고있어서 특히 에코이스트 분들이 적극적으로 앞장서주시길 바랄뿐이예요🙂

  • @seoulview665
    @seoulview66510 ай бұрын

    헐헐 너무 맞아요!!! 요즘 외우는걸 너무 안좋게 생각하는데 필수입니다!!

  • @lagarrr3973
    @lagarrr397310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 말씀입니다 이쪽의 접근이 정확하고 명쾌합니다

  • @user-pu6mz9uf5d
    @user-pu6mz9uf5d9 ай бұрын

    좋은 채널이네요 지식정보에 중요함을 느낌니다

  • @Kim-ji2em
    @Kim-ji2em10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내용 감동받았어요

  • @jongmanpark1653
    @jongmanpark165310 ай бұрын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user-tc2mk5tb3t
    @user-tc2mk5tb3t9 ай бұрын

    띵~~ 정말 잘 듣고 갑니다. 한 분야를 배워 나간다는 것이 그 분야의 언어에 익숙해 지는 과정이라는 것이 정말 와 닿네요! 생각해 보면 대학원 다닐 때 단어를 잘 몰라 뜻을 찾아보고 공부하면서 책을 읽을 수 있게 되고 그러면서 학문을 이해했던 시간이었는데 뭉뜽그려져있는 이런 생각들을 정말 와닿게 설명해 주신 것 같아요. 더욱 열심히 공부해야겠습니다🧐

  • @user-bj7wb6yk1x
    @user-bj7wb6yk1x10 ай бұрын

    잘들었습니다. 교수님의 설명은 언제나 본질을 보게 해줍니다.

  • @user-nl7or8gn3p
    @user-nl7or8gn3p10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말씀 감시합니다😊

  • @Gaby-bo6eo
    @Gaby-bo6eo10 ай бұрын

    예를 들어주셔서 이해하기가 쉬웠습니다. 홀리듯이 봤네요. 생각도 언어에 영향을 미치지만 언어도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군요. 저도 어느 순간 감탄사조차 다채롭게 쓰지못하고 "대박"이라는 어휘만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전반적인 표현력이 곤궁해지고 있는 걸 느낍니다. 책 한동안 안 읽었는데 읽어야겠습니다.

  • @user-bn5bd9wf6u
    @user-bn5bd9wf6u10 ай бұрын

    너무 멋진 강의 감사해요!! 다음편이 너무 기대돼요!

  • @moonlight8311
    @moonlight83119 ай бұрын

    크게 울림을 주는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

  • @user-ty3bv7cl4b
    @user-ty3bv7cl4b10 ай бұрын

    감정을 적절히 분출하라

  • @user-fl8yy3sl3w

    @user-fl8yy3sl3w

    10 ай бұрын

    화가 많은 사람은 한시간 가량 미친듯이 욕을 나불나불 거리고 가해자 에고 ( 남탓했네요 제가) 이러고 자신의 잘못 인정하고 밥도. 고기는 안먹고 음식 절제 하믄 내 공부돼요

  • @estaluciente
    @estaluciente10 ай бұрын

    완전 몰입해서 들엇어요~~ 지금 이 시대 청년들에게 꼭 알려줘야할 말들이에요~~ 귀한 말씀 감사하고 2부 들으러갑니다.

  • @user-ns8ig5fs8z
    @user-ns8ig5fs8z10 ай бұрын

    가슴에 울림이 큰 강의입니다

  • @Honeyoinkk
    @Honeyoinkk9 ай бұрын

    이 채널에 댓글 처음 달아봐요. 저도 누군가를 가르치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정말 많은 걸 배우고 갑니다.. 굉장히 많이 연구하시고 경험하신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제 가르침이, 그들이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좋은 방향으로 노력하겠습니다🍀

  • @user-xl8yg7mf5g
    @user-xl8yg7mf5g10 ай бұрын

    최고예요 시원한 정리

  • @chaehakim7650
    @chaehakim765010 ай бұрын

    너무 쉽게 잘 말해주셔서 몰입됨

  • @user-br9yd8cc1k
    @user-br9yd8cc1k10 ай бұрын

    강의 내용, 편집 다 훌륭하네요~

  • @user-fq8ho8yx5t
    @user-fq8ho8yx5t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ViViDWorLD
    @ViViDWorLD10 ай бұрын

    많은 사람들이 이 영상을 봤으면 좋겠네요👍 매우 훌륭합니다. 알기쉽게 설명해주신 박 문호 박사님, 고맙습니다🙇‍♀️

  • @user-db4nm2rp2w
    @user-db4nm2rp2w9 ай бұрын

    자극적인 매체만 넘쳐나는 시대에 단비같은 영상이었습니다

  • @Gloria_Aria
    @Gloria_Aria10 ай бұрын

    4:34 아 진짜 공감해요. 모든 학문은 진짜 언어학임.

  •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10 ай бұрын

    그렇다면 언어를 박사님 말대로 활용해서 공부하면 한 사람이 모든학문의 지식을 전문가 정도로 습득해서 모든분야에서 전문가가 될수 있다는 의미인가여? 그런데 왜 전문분야 석학들도 자신분야만 아는데 일반일들이 할수 있을정도면 전문가나 교수들이 자기분야에서민 전문가 할까료?..

  • @yuwon1101

    @yuwon1101

    10 ай бұрын

    전문가는 지식을 익히는 것을 넘어서 활용하는 걸 고민하고 거기에 능숙하게 훈련된 사람이라 그런거 아닐까요? 훈련하는데 많은 시간이 드는 것이죠

  • @amdre4159

    @amdre4159

    9 ай бұрын

    @@user-kk6yw8xc6x아니 문해력이... 전혀 다르게 해석하신 것 같은데요

  • @user-kk6yw8xc6x

    @user-kk6yw8xc6x

    9 ай бұрын

    @@amdre4159 책 좀 보세요

  • @user-mx1wj7ti9u
    @user-mx1wj7ti9u10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언어표현의 중요성 정말 중요합니다

  • @sympathy1004
    @sympathy10049 ай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 @sunwoofilm
    @sunwoofilm10 ай бұрын

    최고입니다 박사님!!❤

  • @user-oj3mj4dl8o
    @user-oj3mj4dl8o10 ай бұрын

    오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poetry_books
    @user-poetry_books9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vo1kp7bi4b
    @user-vo1kp7bi4b10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최근 책을 읽는 기회가 줄어 들어 조금 허전한 기분이었는데. 마침, 좋은 말씀 듣고 읽기를 해보려 합니다

  • @user-yw2fb1du6e
    @user-yw2fb1du6e9 ай бұрын

    굉장한 강의다.세상의 한 비밀을 깨우친 분이시다.

  • @user-ms8qo8sf9k
    @user-ms8qo8sf9k10 ай бұрын

    박사님, 참으로 감사합니다.

  • @oliveyang5433
    @oliveyang543310 ай бұрын

    최근에 이정도로 공감되는 영상은 없었던것 같아요. 스스로 많은 반성을 하게되네요. 감사합니다.

  • @user-yz3hb8hp1x
    @user-yz3hb8hp1x10 ай бұрын

    너무 좋네요❤

  • @user-fr9my5vx8h
    @user-fr9my5vx8h10 ай бұрын

    늘 열정가득한 말씀..잘 들었고 생각하게 만드네요^^

  • @user-uy3uq5em7k
    @user-uy3uq5em7k10 ай бұрын

    감정을 표현하려면 사회적지능이 있어야 하는데 사회에 섞이지 못한 사람들이 자꾸 생겨나면서 무작위로 범죄를 저지르는 형태가 나타는것같습니다.

  •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10 ай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 @nari9032
    @nari903210 ай бұрын

    아 정말 매우매우 감사합니다 진짜 감사합니다 이런 지식을 주신 박사님 그리고 채널 덕분입니다 ❤❤❤

  • @user-flys83
    @user-flys8310 ай бұрын

    안좋은것들을 보면 나도 모르게 영향을 받더라구요.물론 이성으로 억누르고 컨트롤하지만 정신적으로 취약한 사람은 학습효과가 되고 실행에 옮기는 상황이 발생할수 있는거 같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