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지리산 실상사 보현법회 1부 - 향봉스님]-"윤회는 없다. - 중도사상과 연기법칙- ",

3월 보현법회는 향봉스님 말씀, 도법스님 말씀, 질의응답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향봉스님 법문을 올립니다.
실상사에서는 매월 셋째 일요일 오전 10시에 보현법회를 합니다.
법사 : 회주 도법스님
()

Пікірлер: 1 000

  • @jongjinkim5829
    @jongjinkim582916 күн бұрын

    몇번 둘어도 좋은 말씀입니다...

  • @user-kt3zp3wz3z
    @user-kt3zp3wz3z9 күн бұрын

    귀한 법문 감사합니다

  • @user-iy9bs1mc4m
    @user-iy9bs1mc4m3 күн бұрын

    향봉스님 법문 공평하시고 넘 넘~ 멋지십니다 스님의 법문 많이 시청하겠습니다

  • @user-wq4po9gg4u
    @user-wq4po9gg4u2 күн бұрын

    향봉스님. 멋지십니다.!!!

  • @user-yo7lo3wg5y
    @user-yo7lo3wg5y23 күн бұрын

    시원합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21 күн бұрын

    사이비들이 대개 통쾌 통렬하게 설합니다.

  • @gray-haired-grandmother
    @gray-haired-grandmother16 күн бұрын

    스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

  • @user-yw7sl7kl3f
    @user-yw7sl7kl3f22 күн бұрын

    향봉스님의 직설적 화법이 쉽게 다가옵니다. 과학이 발달한 시대에 적절하게 부처님과 불교를 해석하고 알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진정한 선지식 같아요

  • @sunyata4812

    @sunyata4812

    21 күн бұрын

    불교 공부 좀 더 하셔서 삿된 법을 분간하시길...

  • @IKWelder2017
    @IKWelder20175 күн бұрын

    바르고 옳은 말씀, 잘못된 점을 바르게 말씀 하시는 법의 말씀!!! 멋내고 진리에 말을 어렵게 표현하는 어리석은 어느 제자님들!!!

  • @Meditation135
    @Meditation1352 ай бұрын

    '어(語)중이 뜻(意)중이'의 뜻: 말로만 법을 떠들어대는 스님과 뜻을 알고 이치를 깨쳐서 중생의 근기에 때라 행각을 보이며 제도하는 스님. 가짜 진짜가 뒤엉켜 있어 어차피 안목이 없는 이는 보석을 가려낼 수 없지만 그런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사는 것이 사바세계의 군상들에 지나지 않는 것이니 너무 심각해 하지도 말고 그렇다고 방관하지도 말며 인연에 따라 자기 앞에 주어진 일들을 남세게 해를 주지 않으면서 최선을 다해 사는 것이 보람된 인생이라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큰스님의 말씀의 취지는 잘 알겠으나 근기에 따라 오해로 여길 부분들도 있네요.

  • @maha-banna

    @maha-banna

    29 күн бұрын

    옳습니다 근기 따라 설해야죠 댓글창이 난리가 낳내요

  • @user-yf4kh9ve6m
    @user-yf4kh9ve6mАй бұрын

    눈을 내리깔고 손가락질 하면서 혓바닥에 힘을주고 목구멍을 틀어쥐고 하는 설법 잘들엇습니다 향봉스님

  • @user-nj1yx2gv2c
    @user-nj1yx2gv2c7 күн бұрын

    최고의스슴 향봉스님 수승한법문 들을수있어 감사합니다

  • @user-pf6uy6po2t
    @user-pf6uy6po2tАй бұрын

    윤회"는 자연"의 법칙"이며. 윤회가 없다하는것은 부처님가르치심의 "연기법" 자체를 무시하는것.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jj3mo1ps5f

    @user-jj3mo1ps5f

    Ай бұрын

    @@user-py2ug9pk5f 부처님이 '일체중성 개유 불성'이라 '진공묘유'라 한 뜻은 몸뚱이가 원하는 데로 끌려가지말고 마음이 몸에서 해탈하면 그기에 참나가 있다는 뜻입니다. 당신 말대로 불교는 간단한게 아닙니다.

  • @user-ey3ms4qh9v

    @user-ey3ms4qh9v

    Ай бұрын

    ㄷ​@@user-jj3mo1ps5f

  • @user-nz8ri2yi2y

    @user-nz8ri2yi2y

    27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윤회는. 없는 거. 맞습니다 보이지 않는 세계를. 아는 척 하여. 부처라는. 이름으로. 설법해. 놓은 걸. 수 천년 동안 우려 먹는 것 뿐😅

  • @user-sl4bz9yh7v

    @user-sl4bz9yh7v

    22 күн бұрын

    @@user-py2ug9pk5f 원인없는 결과가 없는데요,,정말 님이 엉터리네요,그러면 당신은 엄마뱃속에 들어올때 어디서 왔게요,,,윤회의 씨가 엄마 뱄속으로 들어간게 아닌가요?그래서 세상에 태어났구요,,무아는 법이 그렇다는 것이구요,,당신이 뭐,,무아라도 깨달았나요?아니지요....정말 앞뒤가 안맞는 이상한 머리네요,,

  • @ericlee9127
    @ericlee91272 ай бұрын

    사람 몸 받기 힘이 드나 지금 받고 있으며 불법 듣기 힘이 드나 지금 듣고 있으니 이 몸 받은 금생에 제도 못되면 언제 또 생을 받아 이 몸이 제도 될소냐!

  • @user-nj6my6xv4y
    @user-nj6my6xv4y2 ай бұрын

    기본 4부 니까야를 읽어보고 그 내용을 믿어야 불교 신자입니다~~ 그리고 비구 계율을 다 지켜야 스님입니다~~그래야 청법가 받을 자격 됩니다. 윤회와 연기와 인과와 열반을 단 한가지라도 부정하면 외도ㆍ마구니 입니다.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ай бұрын

    불교신자가 아니고 힌두교 신자네.

  • @user-ruytighfdsaopuyt

    @user-ruytighfdsaopuyt

    2 ай бұрын

    ​@@user-jr4bj9gl8j 참으로 무지한 답글이네요. 부처님 당시 브라만교(힌두교 전신)에서 주장하던 을, 부처님도 깨달아서 보니 중생들이 (비록 꿈이고 착각이지만)윤회 하는 것이 사실이니 윤회를 주장하신거임. 이전 시대의 주장이라고 사실인데도 무조건 부정해야 옳은 것인가요? 부처님도 윤회를 인정하고 말씀하셨으니 힌두교인 이신가요?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ай бұрын

    @@user-ruytighfdsaopuyt 부처도 힌두교 신자였음. 힌두교 신자 중에서 진보파.

  • @user-ruytighfdsaopuyt

    @user-ruytighfdsaopuyt

    2 ай бұрын

    @@user-jr4bj9gl8j 그럼 위에 댓글 다신 분도, 저도 힌두교 진보파이니 괜찮은 거죠? ㅎㅎ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ай бұрын

    @@user-ruytighfdsaopuyt 당근이지! 종교의 자유가 있으니까.

  • @user-uk4ej2sf2u
    @user-uk4ej2sf2u21 күн бұрын

    요즘 제일 힙한 스님❤ 이게 불교다! 보여주는 스님~

  • @sunyata4812

    @sunyata4812

    18 күн бұрын

    이게 말법 불교다! 보여주는 스님~~

  • @Buddha2568
    @Buddha2568Ай бұрын

    극단에 치우친 생각은 결국엔 진리에서 멀어질뿐...

  • @ASMR-dt3ce
    @ASMR-dt3ce2 ай бұрын

    일미진중함시방. 티끌에 우주가 다 들어있다. 티끌에 윤회도 들어있어~

  • @user-js1cg3kl5y

    @user-js1cg3kl5y

    Ай бұрын

    그것도 사람이 만든거 😅

  • @ASMR-dt3ce

    @ASMR-dt3ce

    Ай бұрын

    @@user-js1cg3kl5y 티끌은 사람이 못 만들어~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

    Ай бұрын

    티끌은 물질! 무아가윤회를 한다? 개소리지.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

    Ай бұрын

    본래 무아. 꿈같은연기, 작용만 있을뿐! 귀신은 믿는자에게만 있듯이,윤회도 ...

  • @ASMR-dt3ce

    @ASMR-dt3ce

    Ай бұрын

    @@user-bt9ry7li7j 색즉시공

  • @user-jj3mo1ps5f
    @user-jj3mo1ps5f2 ай бұрын

    참 어이가 없구나....... 해석도 지 수준에 맞게 하니 이 모양 이꼴이지........ 혜암스님 생전에 말을 빌자면 땡초는 때려죽여도 괜찮다. 할!

  • @user-xl9fi5ns5q
    @user-xl9fi5ns5qАй бұрын

    참선제대로 못해 아뢰아식도 못보고 전생도 못보니 이것보는게 어려운것도 아닌데 어떻게 수행했는지 이런 중이 나왔는지

  • @ysc-fg5dw

    @ysc-fg5dw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gj8184
    @gj8184Ай бұрын

    불교는 체험이 가장 중요한데 스님은 강단은 있으나 도의 경험은 그다지 없는것 같네요. 내가 아는 경험만 가지고 말씀하시는 것 같아요.

  • @user-jl6bc4uv3v
    @user-jl6bc4uv3v2 ай бұрын

    향봉큰스님의 통찰법문 잘 들었습니다. 한국불교 이대로 가면 인도, 미얀마, 티베트, 태국, 스리랑카와 같이 발복신앙 유물불교가 되고 맙니다.

  • @whdghk0116
    @whdghk01162 ай бұрын

    옛날 내장사 주지할때하고 한참을 지난후에는 많이 다르군. 내가 제일이고 다른 중들은 다 이상하다는 묘한 생각에 빠져드는 상에 매어있군.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

    2 ай бұрын

    부끄러운줄 아셔야죠 스님...허성세월 수행삼아 놀지마시고 견성성불하시지ㅛ_()_

  • @user-um6ee2wh3x
    @user-um6ee2wh3x11 күн бұрын

    스님말씀(진리)이. 영혼(인생)을 자유롭게 하내요.

  • @user-hn3ms6fv3n
    @user-hn3ms6fv3nАй бұрын

    댓글들 분위기를 보니 우리나라 불자들이 대부분 바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행입니다.

  • @user-tm6qs7vr2j
    @user-tm6qs7vr2j2 ай бұрын

    전에그러더니 또 윤회가 없다고 하니.부처님의 전생담과 경에서 이르는 윤회의 가르침은 다 뭐란것인지.참 아타까운 일이군요. 이것은 악성댓글이 아님을 이해하시길.ㅡ

  •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2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석가모니 부처님도 몇십회의 윤회하셨다던데...

  • @BuddhaTube1

    @BuddhaTube1

    Ай бұрын

    부처님이 말씀하신 무아론에 입각해서 하신 말씀입니다. 내가 없는데 누가 윤회하는 것인가요? 나라는 에고는 윤회하지만 진여는 현재 여기만 있습니다. 힌두교적인 아트만 윤회론에 빠져 내세팔이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 @jupiterj2969

    @jupiterj2969

    Ай бұрын

    부처는 윤회에 대해 설한적이 없음. 선불교인 조계종은 윤회나 기도따위를 믿어선 안됨. 너무 불교가 변질되었음.

  • @user-jx8lv5hj5v

    @user-jx8lv5hj5v

    Ай бұрын

    @@itmasspeaker684 500생 이라고 들었습니다

  • @user-js1cg3kl5y

    @user-js1cg3kl5y

    Ай бұрын

    인생은 구름처럼 흐르다 연기처럼 사라진다 그뿐

  • @user-dm7mh5zh2s
    @user-dm7mh5zh2s6 күн бұрын

    향봉스님 이 불교 개혁이 스님으로 부터 이루어지길 간절히 바랍니다 49제도 잘 설명해주셨어 지금마음이 변안 해 졌습니다

  • @user-sy6sk2fr5w
    @user-sy6sk2fr5w2 ай бұрын

    윤회를 떠나서 미국의 유명대학에서 인간이 다시 환생하는 사례가 차고 넘침니다 승려 행새 그만두셔야 될듯합니다

  • @dandyracer2153

    @dandyracer2153

    2 ай бұрын

    이안 스티븐슨 박사지요!

  • @user-mq2fg9wp7z
    @user-mq2fg9wp7zАй бұрын

    역시 향봉스님 대단하신 부처이시네요 장사꾼으로 변한 종교단체에 제대로 일침을 ~

  • @dreamerbori
    @dreamerbori2 ай бұрын

    내세(來世)를 믿지 않는 자가 저지르지 못할 악행은 없다 법구경 176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

    Ай бұрын

    방편임을,나중엔 알게됩니다.

  • @user-jj3mo1ps5f

    @user-jj3mo1ps5f

    Ай бұрын

    @@user-bt9ry7li7j 뭔 게소리야!

  • @sunyata4812

    @sunyata4812

    18 күн бұрын

    @@user-bt9ry7li7j 방편 아님이 없다면 방편이랄 것도 없음을 나중엔 알게 됩니다.

  • @user-yd2kr7hi5s
    @user-yd2kr7hi5s15 күн бұрын

    윤회없음은ㅊ맞는듯 말씀 신뢰합니다 단 귀는 나쁜기운을 의미해 있지않을까요 종교인이 자인을위해 영혼팔이? 맞습니다 기독교외 모든종교는 같습니다

  • @user-ep3ou2ei8k
    @user-ep3ou2ei8k4 күн бұрын

    부처님공부 하면서 얻지 못한 진짜 불법을 이제야 알아듣고 있네요 불법 만나 인간관계 방황은 끝났는데 절에 갔다오며 항상 방황아닌 방황을 했었는데 속이 시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pc1kw5tu5d
    @user-pc1kw5tu5d2 ай бұрын

    어제의 몸마음이 오늘의 몸마음으로 윤회했을까 연기했을까의 문제라 봅니다 몸마음 이것을 나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윤회한다라고 믿는것이고 몸마음 이것이 나가 아님을 확실히 아는 사람은 윤회의 주체가 없음을 알기에 그저 연기하고 있음을 바라보며 오늘의 주인으로 살아가겠지요 향봉스님의 설법 핵심은 지금여기서 주인되는 삶을 살자이고 윤회설은 지금여기서 주인되기를 방해하는 설로 판단하신듯 ... 헤깔릴것없이 몸마음 이것이 무엇인지 잘 사유해 보면 답이 있을것 같은데

  • @user-vu5is3ny6m
    @user-vu5is3ny6mАй бұрын

    생사열반상공화~ 생사윤회와 열반은 항상 함께 있나니 이것을 중도라 한다

  • @user-nd1xp6nk8w

    @user-nd1xp6nk8w

    Ай бұрын

    입이있다고 대가리가있다고 아무소리한다면 어찌불자라 하리요 부처의 ㅂ 자도 모르는스님들 부지기수이죠 0:02

  • @metta857
    @metta857Ай бұрын

    향봉스님 진속이제와 연기중도를 이해하지 못하고 무조건 윤회는 없다라고 설하면 일반인들은 진짜 그렇다고 믿고 온갖 악업을 지을수있어요. 남들 비판만 하지말고 스스로를 성찰하고 정진하시길 바래요.

  • @ysc-fg5dw

    @ysc-fg5dw

    Ай бұрын

    맞습니다ᆢ박수 ~~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tc5gp8wu2f
    @user-tc5gp8wu2f2 ай бұрын

    부처님은 태어날 조건이 있으면 태어나고, 태어날 조건이 없으면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연기의 가르침을 설하셨습니다. 무조건 태어나지 않는다거나 무조건 다시 태어난다는 것이 아니라, 조건이 있을 때 다시 태어나고 조건이 소멸하면 태어나지 않는다는 겁니다. 상견 단견을 떠나 부처님께서는 연기를 통해 그 중간으로써 법을 설한다고 하셨습니다. 😊😊

  • @user-fz5bp2lw8i

    @user-fz5bp2lw8i

    2 ай бұрын

    ㄷ ㅂ ㅁ ㅈ ㅎ ㄴ

  • @user-ks4ct5kv1b

    @user-ks4ct5kv1b

    Ай бұрын

    향봉스님 말씀의 본질이 그것이라 봅니다. 양념을 다빼고 말씀하시니 대중들이 오해를 하는 것이 아닌가 봅니다.

  • @user-cz4hf2ki7n

    @user-cz4hf2ki7n

    Ай бұрын

    " ㆍㆍㆍ중간으로허 법을 설한다 " 의 중간의 의미는 ? ㅡㅡㅡㅡ 허튼소리 말고 ! 입을 열면 그르치는 법이다

  • @m89k39
    @m89k392 ай бұрын

    모든 부처님의 기본 가르침인 연기법은 우주의 진리인데, 윤회가 없다니요. 잘못 공부하신 것 같네요. 역시 제대로 공부하기가 쉽지 않다고 했는데 맞네요.

  • @kts2789
    @kts27892 ай бұрын

    질문 있는데요~ 금강경에 나오는 한구절인데 연등불 작시언 여어내세 당득작불 호석가모니는 어떻게 이해해야하나요~???

  • @noalchuck

    @noalchuck

    Ай бұрын

    금강경은 부처님 사후 약 400, 500년 후에 쓴 경전입니다. 제가 알기론 힌두교의 영향으로 불교에 윤회의 개념을 후대인들이 추가한 것입니다.

  • @user-dn3fn5iw1v

    @user-dn3fn5iw1v

    Ай бұрын

    힌두교이전에 이미 불법이 있었습니다.과거칠불은 아시죠? 구류손불.비바시불.시기불.가섭불등 힌두교이전부터 불법이 있었습니다.

  • @noalchuck

    @noalchuck

    Ай бұрын

    @@user-dn3fn5iw1v ? ? ? ㄷ ㄷ ㄷ. @ @ @.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

    Ай бұрын

    그것 모두가 방편.

  • @user-df7hy7pf8z

    @user-df7hy7pf8z

    Ай бұрын

    한마디로 경전내용은 다 가짜라고 하는건데 직접 말은 안하고 그러니 윤회는 없다로 가는겁니다. 업장소멸 🙏

  • @user-mu7hz1qi4e
    @user-mu7hz1qi4eАй бұрын

    윤회가 없으면 해탈도 필요없고 수행도 필요 없는 거 아닌가요?

  • @user-sr2ln4kd4p

    @user-sr2ln4kd4p

    Ай бұрын

    윤회는 죽고 태어남이 아니라 지금 지나가면서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 아닐까요

  • @user-mu7hz1qi4e

    @user-mu7hz1qi4e

    Ай бұрын

    @@user-sr2ln4kd4p 그런 거 아닌디유. 심심하시면 6도 윤회 검색해 보세유.

  • @user-sq2mn2xp8q
    @user-sq2mn2xp8q2 ай бұрын

    스님은 어떠한 돈으로 지금까지 살아왔나요 지금까지 어찌 살아왔나요 스님은 이제 땅속이 가까워져서 연금받고 살다가 가면 되시겠지만 그리고 지금까지 선이나 한다고 멍때리고 있다가 신도들 보시금 받아먹고 살아왔을거고 절집에서 다른스님들 뭐빠지게 목탁쳐서 벌어온돈으로 먹고살아놓고 이제와서 도깨달은 중마냥 앉아서 설법이나 하면서 깨달은척 흉내나 내고 앉아 있는 양반이 다른 스님들까지 깍아 내리기나 하는짓은 하지마세요 그냥 내생각은 이렇다 하세요 쯧쯧쯧 아는거 같은데 어리석은 중생 들 데리고 노는짓 참 잘한다 으이그 전광훈 장경동 이런 사람들 하고 같이 계나 하세요

  • @user-br5hv3nx8c

    @user-br5hv3nx8c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누구시길래 이렇게 재미나고시원한 말씀을 하실까요? 존경을 표합니다!!

  • @noalchuck

    @noalchuck

    Ай бұрын

    개나 소나, 손가락은 있어서. ㅋㅋㅋ 니가 보시한 것 없으면 입 닥치고 조용히 가세요~~~!

  • @ysc-fg5dw

    @ysc-fg5dw

    Ай бұрын

    ㅎㅎㅎ 사이다 한잔

  • @user-qg8vt2mk3h

    @user-qg8vt2mk3h

    Ай бұрын

    저~스님 좀 이상해요

  • @himchage
    @himchageАй бұрын

    윤회가 없다고 말하는 일부 승려들은 스승 부처님의 가르침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부처님이 윤회를 언급했는데 도대체 윤회가 없다는 일부 승려들은 불경을 어떻게 읽는지 의심스럽습니다

  • @user-ck7vu1te5v

    @user-ck7vu1te5v

    Ай бұрын

    부처님 돌아가시고 천년이 지난후에 해석하여 발간된게 금강경입니다 알고계시는지요?

  • @user-ti6ld4nk3h

    @user-ti6ld4nk3h

    Ай бұрын

    ​@@user-ck7vu1te5v기도해서 가피는받아보셨나요? 불교를 머리로만하는건아닌가요?

  • @user-jj3mo1ps5f

    @user-jj3mo1ps5f

    Ай бұрын

    @@user-ck7vu1te5v 당신같은 사람을 어중이라 합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18 күн бұрын

    @@user-ck7vu1te5v 천 년이 아니고 5~6백 년 후입니다. 그 사실은 윤회의 여부 문제와 관계가 없구요. 근본 가르침에도 윤회를 말하니까요.

  • @user-wg6xc6wl1l
    @user-wg6xc6wl1lАй бұрын

    내가 문수다 내가 보현이다 내가관세음보살이다 내가지장보살이다. 그건 대망어다. 죽으면 극무간지옥이 기다리고 있을거요 그분들은 무량겁전에 불과를 이루신 부처님들이십니다. 그런데 없다고... 눈먼 봉사가 중생을 교하한다고 정신나간사람 중 도 아니면서

  • @user-pi3sb6hy2n
    @user-pi3sb6hy2n16 күн бұрын

    부처님께서는 영혼이 있다. 영혼이 없다.라는 당시의 브라만들의 상견과 적취설의 단견을 모두 부정하고 모든것은 조건에 따라 연기한다는 연기법을 설하셨습니다. 만약 향봉 스님께서 아트만과 같은 영혼이라는 실체가 있어 윤회한다는 것을 부정하셨다면 이는 부처님의 법에 어긋나지 않다고 봅니다. 말의 앞 뒤 맥락을 잘 살펴야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연기법을 설하시면서 모든 것은 조건에 연하여 일어난다하셨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영혼이라는 실체를 정해놓고 이것이 윤회한다라는 것은 당시 외도의 사상이기도 했습니다.

  • @user-tc5gp8wu2f
    @user-tc5gp8wu2f2 ай бұрын

    무명과 갈애라는 조건이 있으면 존재는 계속 태어나지만, 무명과 갈애라는 조건이 소멸하면 존재는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 이것이 중간中에 의해서 법을 설함의 의미입니다. 😊😊

  • @seeandseain
    @seeandseain2 ай бұрын

    존경하는 스님, 윤회를 거부하는 일은 부처를 부정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근현대의 큰스님들부터, 옛 조사 스님들께서도 항상 부처님 법을 전하실 때는, 자신의 이야기라 하지 않고, 늘 부처님의 말씀과 경전을 근거로 하여서만 말씀하셨습니다. 스님께서는 어찌 윤회를 부정하시는지요. 윤회를 부정하시는 일은 방편조차 되지 아니하는 일이 분명하실 것이옵니다 스님.

  • @user-gx2nk5wk3u

    @user-gx2nk5wk3u

    Ай бұрын

    경전 어디에도 부처님은 윤회를 말씀하지 않아습니다 힌두교에서 넘어온 것입니다 보살님! 다시 태어나고 싶으세요 허망한 욕심! 중학교 생물공부해서. 정자5억개 난자200개 그럼 이억의 이백승 ᆢ

  • @user-nx1xk9nd5p

    @user-nx1xk9nd5p

    Ай бұрын

    드렇습니다 경전어디에도 부처님 원음에는 윤회를 설하지.않습니다. 부처님 사후 5백년 정도 후에 힘두교에 침습된 대승불교가 종교운동을 뛰게 되면서 힌두교의 관념이 들너오게 된 것입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18 күн бұрын

    @@user-gx2nk5wk3u 경전 어디도 읽어보지 않으신 분이군요. 경전 어디에서든수많은 곳에서 윤회를 말씀하십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18 күн бұрын

    @@user-nx1xk9nd5p 불교 파괴 댓글 부대지?

  • @user-pt2yp8re8f
    @user-pt2yp8re8f2 ай бұрын

    향봉대사 스님의생각일뿐 70년대 무설전 집필당시로가시지요

  • @user-cd5hg2pv6t
    @user-cd5hg2pv6t2 ай бұрын

    용묵입니다. 법문은 잘 들었습니다. 향봉스님의 이 법문이 우리에게 의미가 있으려면 이처럼 짧은 설법으로 끝나면 안될 것 같습니다. 외람되지만, 이 법문은 선언에 그친 것 같습니다. 중도는 놔 두고라도(회주스님께서 항상 말씀하시는 내용이니^^) 윤회에 대한 주제 한 가지를 가지고 열린토론의 장을 만들고, 여러 패널들을 모셔서 발제하고 자유롭고 치열하게 근거를 제시하며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그 내용을 공유하는 것으로 오늘의 이 법문이 완성될 것 같습니다. 그런 자리를 기대해봅니다.

  • @SK-nb2ur

    @SK-nb2ur

    2 ай бұрын

    부처님 경전에 (설법중) 윤회에 관해 말씀하신적 있습니까 없습니까 ?

  • @user-sm2lc5sf3o

    @user-sm2lc5sf3o

    2 ай бұрын

    ​@@SK-nb2ur 있어요. 유튜브에서 봤어요. ~팔만대장경. 찾아보세요

  • @haruka7249

    @haruka7249

    2 ай бұрын

    끼리끼리 ㅋㅋ

  • @user-cd5hg2pv6t

    @user-cd5hg2pv6t

    2 ай бұрын

    제 글에 좀 오해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 저는 윤회에 관한 향봉스님 법문내용에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윤회에 관한 바른이해에 대해서 이번을 좋은 기회로 삼아 열린토론을 진지하게 해보는게 필요하다는 취지의 글이었습니다. 윤회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논쟁보다는 부처님이 설하신 윤회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가 더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Mommm337

    @Mommm337

    2 ай бұрын

    절대세상에는 시공간 개념이 없으니 당연히 윤회는 없고 동시에 존재할 수는 있으니 물질세계에선 시간이 있는것처럼 느껴지니 윤회가 있을 것으로 추측할 뿐...다 소설이란 얘기

  • @penicil
    @penicil2 ай бұрын

    상주론자 : 나라는게 있어서 그게 윤회한다 // 단멸론자 : 나라고 할 게 없는데 뭐가 윤회하노 윤회는 없다 // 부처님 : 무명으로 인하여 태어남과 죽음이 있다. 끝 없이 윤회한다. 무명이 소멸하면 태어남과 죽음이 소멸한다. 더 이상 윤회하지 않는다. 형성된 모든 것이 가라 앉았다. 저 언덕으로 건너갔다. 불사(不死)의 문이 열렸다. // 불교신자 : 저는 삼보에 귀의합니다. 저는 연기와 중도를 믿습니다.

  • @user-oq3ic3jg4c

    @user-oq3ic3jg4c

    Ай бұрын

    ❤❤❤❤❤.

  • @user-dn3fn5iw1v

    @user-dn3fn5iw1v

    Ай бұрын

    위대하신 재가청신사 청신녀.발타바라.부설.유마거사님들😊🎉😊수희찬탄합니다. 반주삼매경.능엄경.입보리행론. 꼭보세요.🎉. 나무아미타불 나무지혜광불.

  • @user-pl6tp7sq8g

    @user-pl6tp7sq8g

    Ай бұрын

    저는 어떤게 맞는지 알수가 없어요 윤회가 있다면 돌아가신 조상은 이미 무엇으로든 어디에든 태어나 있을텐데 제사는 지내는게 의미 없을거같고요

  • @user-oc3uo9eh8o

    @user-oc3uo9eh8o

    Ай бұрын

    @@user-pl6tp7sq8g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unyata4812

    @sunyata4812

    21 күн бұрын

    @@user-pl6tp7sq8g 제사는 아귀로 태어난 조상에게만 효과가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다른 존재로 태어났다면 효과 없어요. 부모가 인색하게 사신 것 같으면 제사 지내주는 것이 좋습니다.

  • @user-ww1jj9if6m
    @user-ww1jj9if6m11 күн бұрын

    다 소용없다 사람다운 중이면 그걸로 족하다~~~향봉스님이 천번만번 옳다~~~변해야 된다 수천년 그리 알앗음 지금도 그래야된다는ㅇ법이라도 있는가? 사람이 없음 다 필요없는게 부처고 중이다~~~

  • @user-ji1iq6od5l
    @user-ji1iq6od5l2 ай бұрын

    안타깝고 안타까워서 한말씀 올립니다. 일상적인 불교의 병폐를 말씀하시는 것에는 상당히 공감합니다. 하지만 불교 수행에 대한 법문은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정말 안타깝습니다. 중도를 말씀하시는데 공에대한 실증이 없이 중도가 있을까요? 연기법이 전부라고 말씀하시는데 연기법 수행으로 윤회전생을 보고 알고 깨닫게되는데 윤회가 없다고말씀하시는게 맞는것인지요? 물론 근본자리에서는 공성연기 연기공성이지만 카르마와 윤회를 부정하며 불교공부를 하는것은 더하기, 빼기등 사칙연산이라는 기본을 모르고 수학이라는 학문을 하는것과 같아서 공부의 싹을 자르는것과 같다고 여겨집니다.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인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 라는 사구게에는 까르마와 윤회, 그리고 스님께서 말씀하시는 팔정도가 다들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왜 수많은 방편을 말씀하셨겠습까? 주제넘지만 안타까운 마음에 올린글 너그러히봐주시길바랍니다.🙏

  • @metta857

    @metta857

    Ай бұрын

    훌륭하십니다 정확히 향봉스님의 오류를 집으셨습니다

  • @user-bh5et2ed8b

    @user-bh5et2ed8b

    Ай бұрын

    .

  • @noalchuck

    @noalchuck

    Ай бұрын

    왜 간단한 말씀을 이리 저리 가져다 부쳐서 아는 척 하고계시나? 부처님께서 "무아"를 말씀하셨고 내가 없는데 무엇이 윤회할 수 있는가 하고 말씀하시는데 무슨 여러 말씀을.

  • @junhyeokchoi6513

    @junhyeokchoi6513

    Ай бұрын

    @@noalchuck 무아가 내가 없다는게 아닙니다. 제대로 배우고 오세요. 선문답에 관세음보살이 지옥의 똥막대기라고 한다고 그걸 문자그대로 이해하는게 참

  • @ysc-fg5dw

    @ysc-fg5dw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user-xz5ks6dy1s
    @user-xz5ks6dy1s28 күн бұрын

    스님~ 반갑습니다. 건강하십시요^^^

  • @user-be2tm7nb7i
    @user-be2tm7nb7i2 ай бұрын

    스님 말씀대로라면. 지옥도없고 천상도없는데 악업을짓고 선업을지을 필요도없네요. 다음생이 없다는데. 뭐하러착한일할까 지옥갈일이 없어 그런말씀하시는걸까?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ай бұрын

    지옥 천상 윤회 그딴 거 안 믿어도 다들 선하게 산다. 꼭 덜 떨어진 것들이 저딴 걸로 겁을 줘야 착하게 살지.

  • @ysc-fg5dw

    @ysc-fg5dw

    Ай бұрын

    맞아요~~~

  • @user-ti6ld4nk3h

    @user-ti6ld4nk3h

    Ай бұрын

    어리석은자들이 선근있는사람을 모자라다고하지​@@user-jr4bj9gl8j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gp8gs5yx6b
    @user-gp8gs5yx6b2 ай бұрын

    윤회가 없다니? ? ? 지가 봤어 . 證도 못했으면서 증한 분이 한 말을 강의한다고, 부처님 證 말씀을 證 허지도 못 한 놈이 확실하게 얘기한다고, ... 부끄러운 줄을 이시오. 76세나 먹은...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jj3mo1ps5f

    @user-jj3mo1ps5f

    Ай бұрын

    @@user-py2ug9pk5f 부처님이 '일체중성 개유 불성'이라 '진공묘유'라 한 뜻은 몸뚱이가 원하는 데로 끌려가지말고 마음이 몸에서 해탈하면 그기에 참나가 있다는 뜻입니다. 당신 말대로 불교는 간단한게 아닙니다.

  • @yskim9250

    @yskim9250

    20 күн бұрын

    윤회가 있다니??지가 봤어?

  • @user-wg9jf5nu3w
    @user-wg9jf5nu3w14 күн бұрын

    참 대단하군요 여태까지의 관념을 확 깨 버리는 설법! 사자암을 한 번 방문하고 싶습니다

  • @user-yi3qo5gw9n
    @user-yi3qo5gw9nАй бұрын

    윤회를 어떻게 우리가 알수 잇나에 대한 달라이 나마존자님의 답변 3가지를 통해서 알수 잇다 .. 1. 과거생이 저절로 기억난다(나(달라이나마)처럼) 잠에서 깰락말락 할때(3~7세) 기억이 난다 .. 2. 선정을 닦아서 경험할수 잇다 .. 3. 인명학(원인과 결과)을 공부하면 윤회가 잇을수 밖에 없다 .. 니까야를 보면 알수잇다 (이것은 질문자인 재가자의 경험에서 추가한 사항)

  • @dreamerbori
    @dreamerbori2 ай бұрын

    부처님 성도시 숙명통이 열리는 장면 그때에 보살께서 이미 괴로움과 즐거움을 버리고, 근심과 기쁨도 이미 여의어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이 생각을 보호함이 청정하여 넷째 선정에 노닐었으니······ 그때에 보살께서 이러한 선정(禪定)을 얻으시니, 모든 번뇌의 부림이 다하고 티 없이 깨끗하시며, 행하는 일이 부드러우시며 견고한 곳에 머물러 전생(前生)의 일을 아시되 하나, 둘, 셋, 넷, 다섯 생이나 열, 스물, 서른, 마흔, 쉰 생이나, 백, 천, 백천 생이나, 무수한 백 생이나, 무수한 천생이나, 무수한 백천 생과 겁(劫)이 이루어짐과 겁이 무너짐과······ 내가 전에 어디에 태어났는데 이름은 아무요 성은 무엇이었다, 이러 이러한 생에는 이러 이러한 음식을 먹었고 수명은 얼마였고 수명의 한계는 얼마였고······ 거기에서 죽어서는 거기에 태어났고 저기에서 죽어서는 거기에 태어났는데 이러 이러한 얼굴 모양이었다 하는 무수한 전생의 일을 아셨다. 그때에 보살께서 초저녁에 이 첫 밝음(初明)을 얻으셔서 무명이 다하고 밝음이 생겼으면, 어둠이 다하고 광명이 생기시니, 이른바 전생 일을 깨닫는 트임이었다. 부처님 성도시 천안통이 열리는 장면 그때에 보살께서 다시 청정한 삼매의 선정으로 티를 없애고 번뇌의 부림이 없게 하시어 뭇 때가 다하매 행하는 바가 부드럽고 견고한 곳에 머무시어 중생들의 나는 이와 죽는 이를 아시며, 청정한 하늘 눈(天眼)으로 살피시어 중생들의 나고 죽는 것과 좋은 빛, 나쁜 빛과 좋은 길 나쁜 길과 귀한 것, 천한 것을 보시고 중생들이 지은 행에 따라 모두 아시며, 곧 살피어 아시되 이 중생은 몸과 입, 뜻으로 악을 행하여 삿된 소견의 업을 지으니, 목숨이 다한 뒤에 지옥·축생·아귀에 떨어지는 것을 아셨다. 또 축생들이 몸으로 선을 행하고 입으로 선을 행하고 뜻으로 선을 행하며, 바른 소견을 가져 성현을 비방하지 않으며, 바른 소견의 업을 짓는 것을 보시고는 목숨이 다한 뒤에 하늘이나 인간에 나는 것을 아셨다. 이와 같이 청정한 하늘 눈으로 중생들의 나는 것과 죽는 것이, 그들이 지은 행에 따른 것을 보고 아시니, 이것이 보살이 밤중에 얻으신 둘째 밝음(第二明)이었다. 부처님 성도시 누진통이 열리는 장면 그때에 보살께서 이와 같이 청정한 선정을 얻어 온갖 번뇌의 부림을 다하시고 청정하여 티가 없으며 행하심이 부드럽고, 견고한 곳에 머무시어 번뇌가 다한 지혜가 앞에 나타남을 얻으셨다. 마음으로 번뇌가 다한 지혜를 반연하여 여실하고 분명하게 괴로움을 아시고(고) 괴로움의 쌓임을 아시고(집) 괴로움의 다함을 아시고(멸) 괴로움이 다하여 도(도)에 향함을 아셨다. 거룩한 진리성제(聖諦)를 여실히 아는 까닭에 번뇌와 번뇌의 쌓임, 번뇌가 다하여 도에 향하는 것도 여실히 아셨다. 그가 이렇게 아시고, 이렇게 관찰하시니, 욕심번뇌(慾漏)의 뜻을 벗을 벗어남과 있음 번뇌(有漏)의 뜻을 벗어남과 무명번뇌(無明漏)의 뜻을 벗아남에 모두 벗어나서 벗어나는 지혜(解脫智)를 얻고 외치시기를 ‘나의 삶은 다했다. 내 범행(梵行)은 이미 이루어졌고, 할 일은 이미 마쳐서, 다시는 몸을 받지 않으리라’ 하시니, 이것이 보살이 새벽에 얻으신 셋째 밝음(第三明)이었다.

  • @user-nx6er1hu2q

    @user-nx6er1hu2q

    2 ай бұрын

    (부처님의 오도송) 무량겁을 두고 생을 받으며 이 집 지은자를 찾고자 하여 헤메고 헤메었나니 끊임없는 생사가 온통 고 였어라 아 집 지은자여 드디어 너를 찿았노라 이제는 더 이상 집을 짓지 못하리라 서까래는 모두 꺾이었고 대들보 마져 산산이 부서 졌으니 마침내 구경의 열반에 이르렀도다 일체의 욕망이 말라 버렸네 🙏

  • @soyeon6622
    @soyeon66222 ай бұрын

    안타깝네요 이런일이 좀 매사에 불편,불만 내가 젤 일이라 허허 세치혓바닥 조심하라!

  • @user-mq2fg9wp7z

    @user-mq2fg9wp7z

    Ай бұрын

    😢

  • @user-vr5iu8ec9u
    @user-vr5iu8ec9u2 ай бұрын

    평생을 부처님 제자 절밥을 드신분이 윤회가 없다니요 득 높으신 스님 착각마시고 다음생에 좋은곳으로 부처님 인도해 주십시요 발원하세요 수만겁 생을 육도 윤회를 반듯이 합니다 노보살도 준비합니다 🙏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

    Ай бұрын

    당신은 깨치지 않았기에 윤회가 있는게 맞습니다. 그러나,깨친분상에선 그런 윤회는 있을수없음.

  • @user-vr5iu8ec9u

    @user-vr5iu8ec9u

    Ай бұрын

    @@user-bt9ry7li7j 두번만 깨쳐다가는 부처님 말씀도 부정하겠네요

  • @user-ti6ld4nk3h

    @user-ti6ld4nk3h

    Ай бұрын

    ​@@user-bt9ry7li7j그러면 옛날조사스님들께서는 아무도깨치지못해서 업장소멸이나윤회 업보얘기를했나요?

  • @user-si3uc2cj3f
    @user-si3uc2cj3f2 ай бұрын

    윤회가없으면 불교는존재할까요,? 자기참회.깨달음이어야함

  • @user-si3uc2cj3f

    @user-si3uc2cj3f

    Ай бұрын

    봉은사가니까 사법고시는얼마 대입은얼마써붙여놓고.삼제띠는누구누구 써붙이고.돈벌이에힘쓰고.주지나임명해내려보내고.안나가면 스님들어내고 30년도지난그때주지스님왔는데.본래있던지혜스님은갈데가없어.상좌스님께서.본집에서돈마련해,청양시골농가를사서마루에부처님모시고사시는거.스님찾아가는신도들도여럿있어요 이것이.한국불교의앞날이있을까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si3uc2cj3f

    @user-si3uc2cj3f

    Ай бұрын

    @@user-py2ug9pk5f 불교공부전에 윤회타령하는종단이문제.열심히기도해야다시태어난다구 법문하지요 윤회가없다구하면누가절에가나요홍매화피었나봉은사갔더니 삼재무슨띠.사시는얼마.대입은얼마.49재는얼마.뭐가중한지불교에서먼저애기해보던지.어려운문자쓰지말구.대중이알아듣기쉅게법문하는스님들도요즘은많던데 윤회타령은절에서 수시로하는데요

  • @woshine
    @woshine2 ай бұрын

    윤회설을 믿지 않으면서 무생물인 불상을 법당에 모셔 놓고 머리깍고 절은 왜 하는지 부터 명확히 설명이 선행되야,,그것을 설명되면 윤회설도 설명이 되지...정신차려,,

  • @noalchuck

    @noalchuck

    Ай бұрын

    ㅋㅋㅋ 이해력 부족? 윤회와 불상이 무슨 연관? ㅋㅋㅋ 별~~~!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어리석은 윤회는 자성을 보기 전에는 죽었다 깨어나도 이해가 되지않지.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wl8ut8ti6o
    @user-wl8ut8ti6o2 ай бұрын

    형식에 대한 극단 또한 중도에 벗어나는 생각인듯합니다~~ 때로는 헝식이나 격식이 내용을 담는 중요한 수단이 될수 있다고 봅니다😊

  • @user-lc2dr5tx3h
    @user-lc2dr5tx3h2 ай бұрын

    ( 중 도 사 상 ) 법계 스 승 님 수처작주 입처개진 삼론 직설법문 법어 말씀 돈오 돈수 정통 정맥 중도 정확한 절실한 실상반야 유유자적 갑진년 자성성품 광명의빛 빛추어 주옵소서 일체 천하 대국민 제도받기 원입니다 현실타파 항상 깨어있게 하소서 대국민 세상 드림

  • @user-rw5cw6zm3p
    @user-rw5cw6zm3p17 күн бұрын

    불교의 극랑왕생이 즉)윤회를 뜻하는것이지요~ 어제의 결과가 오늘이고 오늘의 모습이 내일의 모습이듯~ 이를 생에 대입하면 윤회는 있는거라 생각됩니다

  • @Jin-yx5in
    @Jin-yx5in10 күн бұрын

    부처님께서 분명히 밝히셨다. 윤회와 업을 부정하는것은 사견 이라고! 향봉의 어리석은 사견일 뿐입니다. 도를닦는 과정에서 자신의 전생을 볼줄 알아야 문지방을 넘었다고 하는데 향봉은 아직 방안은 커녕 문지방도 못 넘으신거 아닌가 합니다.

  • @user-kj6tu9wo8l

    @user-kj6tu9wo8l

    8 күн бұрын

    불교초보자입니다 모든스님불교교리에 대해 통일이되었으면합니다

  • @user-bc2cp6se7f
    @user-bc2cp6se7fАй бұрын

    돌고돌고돌고ㆍ ㆍ 윤회합니다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ek5zl9ye3o
    @user-ek5zl9ye3o8 күн бұрын

    산문출송이 답~아집과 단견으로 중생을 오도하는 자~부처님을 비방하는 자~조계종은 저런자의 옷을 벗겨 다시는 부처님을 비방 못하게 하라!

  • @user-nl9rg8vq4q
    @user-nl9rg8vq4q21 күн бұрын

    부처님전에 삼보귀의합니다

  • @user-ol8ky6bz8m
    @user-ol8ky6bz8m2 ай бұрын

    스님윤회가없다면 석가모니부처님은전생논선혜보살말씀한것거짓인가요?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

    Ай бұрын

    방편.

  • @user-df7hy7pf8z

    @user-df7hy7pf8z

    Ай бұрын

    방편같은 소리하네 😂

  • @user-ti6ld4nk3h

    @user-ti6ld4nk3h

    Ай бұрын

    ​@@user-bt9ry7li7j계속방편방편하는데 기독교에서 질문에딱히 할말없을때 주님의뜻이라고 둘러대는거하고 같네요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user-ti6ld4nk3h방편맞아요 2500년전사람들이 무아연기를 이해하겠어요? 부처님이 자비롭게 수준에맞게 방편으로 설하셧습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18 күн бұрын

    @@user-bt9ry7li7j 방편과 거짓말을 구분하지 못하시는군요. 방편을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부분에서, 그것도 전방위적으로 사용하면 더 이상 방편이 아닙니다. 방편은 긴요하고 불가피해서 임시적으로 한시적으로 사용해야 방편인 겁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Ай бұрын

    중론 제27품의 게송은 상주론(실체론, 아트만론)의 오류를 말한 것인데 불교의 윤회 부정론으로 인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군요. 혼자 공부의 위험성을 잘 보여준다 하겠습니다. 스님은 벌써 늙어서 견해의 고집을 꺽지 않고 죽겠지만.. 다른 이들을 위해 사견을 지적해 봅니다. 그리고 늙을수록 비판과 비난보다 덕담과 모범을 보여주는 것이 여러모로 유익합니다.

  • @user-ed3qh2ji6p

    @user-ed3qh2ji6p

    21 күн бұрын

    동감입니다.

  • @user-bx7bo1xr9q
    @user-bx7bo1xr9q23 күн бұрын

    모든 집착이 끊어진 자리에 윤회가 없겠지요. 그러나 집착, 생각, 망상은 윤회를 만들어냅니다. 영원은 지금입니다. 그러나 혹자는 윤회가 없다면 선하게, 자비롭게 살 이유가 없다고도 하겠네요.

  • @user-oh8oh1nx5k
    @user-oh8oh1nx5k15 күн бұрын

    윤회는 없어요 윤회는 없고 죽는 즉시 천사들이나 귀신들이 와서 천국이나 지옥으로 보냅니다~~

  • @unison-ub2eb
    @unison-ub2eb2 ай бұрын

    불교문화를 지금껏 몇천년간 굳건히 지켜온 수많은 승려분들 모두 존중ㆍ존경하나 21세기 시대흐름에 맞추어 불교문화 또한 바뀌어져야 앞으로도 불교문화가 더욱더 번성할수있는 단 하나에 방편길이라 사례되옵니다ᆢ

  • @user-wd1mg5oy7m
    @user-wd1mg5oy7m2 ай бұрын

    춥고 배고파야 도를 이루는데, 배부르고 등따스면 도를 이루기 어려움. 말씀이 비록 마음에 쓰지만 명약인데, 스님들이 받아들일까.

  • @user-gf6pp9co2t

    @user-gf6pp9co2t

    2 ай бұрын

    윤회가 없다면 수행 할 필요가 없죠. 윤회를 부정하는 것은 인과를 부정하는 것이고 어떤 행위를 해도 그것에 상응한 결과도 없으니 어떤 흉악한 행위를 저질러도 상관없죠.그리고 도를 이룰 필요가 없죠.윤회가 없는데 도를 왜 이룹니까?죽는 순간 모든 것이 끝나는데요.

  • @user-gx2nk5wk3u

    @user-gx2nk5wk3u

    Ай бұрын

    허허 그것도 단견 윤회와 수행이 무슨 상관!

  • @user-df7hy7pf8z

    @user-df7hy7pf8z

    Ай бұрын

    저정도면 금강경도 가짜라고 할 기세입니다.

  • @user-mj6bs1ks4z

    @user-mj6bs1ks4z

    Ай бұрын

    ​​@@user-gx2nk5wk3u윤회와 수행이 상관없다고요? 그러면 해도되고 안해도 되는 취미생활이 수행이란건가요? 더 나은 영적상승이 필요없이 죽으면 아무것도없이 끝이라면 수행은 그냥 취미 기호생활이란거군요... 법당가진 자가 불상 인테리어 해놓으면 회색옷입고 들어가 돈내고 절하면서 즐기면 되는 그런거군요.....그러면 저 영상의 스님은 손님 모으는 내용으로, 결국 선전 홍보하는겁니까?

  • @user-gr6kc2fq8k
    @user-gr6kc2fq8kАй бұрын

    다른스님 허물만 보지마시고 자신부터 돌아보세요 스님

  • @user-ul9qd7db5n
    @user-ul9qd7db5n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hk2xl4ir1g
    @user-hk2xl4ir1g2 ай бұрын

    🙏🇰🇷👍🙊

  • @user-rc7nx1ny9i
    @user-rc7nx1ny9i2 ай бұрын

    댓글 보면서 재밌는 걸 발견했습니다. 불교는 깨달음을 실천하는 종교인데, 중도 보다 윤회가 더 관심 대상이네요^^ 혹시 윤회를 현실적으로 증험하게 할 수 있는 분 계신가요.

  • @user-dk9pf5kc2e

    @user-dk9pf5kc2e

    2 ай бұрын

    각묵,대림스님의 초기경전을 공부하시고 부처님 말씀 그대로 선정과 지혜수행을 통해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조건이 주어집니다. 누가 퍼주듯이 증험을 보여주는것이 아니지요!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2 ай бұрын

    아주 쉽습니다. 어제의 내가 사라지면(죽으면) 오늘의 내가 생길 것이고, 오늘의 내가 사라져야 내일의 내가 생깁니다. 죽지않고 생기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ok?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ай бұрын

    @@user-dk9pf5kc2e 각묵이는 뭘 모르고 하는 소리지.

  • @user-pc1kw5tu5d

    @user-pc1kw5tu5d

    2 ай бұрын

    어제의 몸마음이 오늘의 몸마음으로 윤회했을까 연기했을까 몸마음이것이 나가 아님을 확실히 모르는 사람은 윤회했다고 말한다 향봉스님은 몸마음 이것이 나가 아님을 확실히 아는 분이시네요

  • @user-ef9np7dh5u

    @user-ef9np7dh5u

    2 ай бұрын

    @@user-pc1kw5tu5d 그럼 어제의 몸이 없이 오늘의 몸이 있을까? 대부분의 불자들이 힌두교의 자아윤회와 불교의 무아윤회를 알고 있는데, 윤회가 없다고 말하는 향봉스님은 확실히 무식한 분이네요

  • @user-nj8vx8nj2r
    @user-nj8vx8nj2rАй бұрын

    공감❤

  • @user-ze9yl5sn7p
    @user-ze9yl5sn7pАй бұрын

    불자들은 정자들이 태어나기전에 소식을 듣고 싶습니다!!

  • @user-io3jw6vm7m
    @user-io3jw6vm7m2 ай бұрын

    윤회가없다~ 그건단견입니다. 왜~ 있다없다^ 결론을짓고있나요~

  • @user-yt6mu8me5k
    @user-yt6mu8me5k2 ай бұрын

    항봉스님 법문 날마다 듣고있습니다 .불교관에 비리 솔직하고 용기있는 말씀에 충격 참고로 삼겠습니다 더 이로운 법문 기다려집니다 감사합니다..😂🎉😅

  • @user-ys3ls1xs2u

    @user-ys3ls1xs2u

    Ай бұрын

    초발심도 안본분같은디...

  • @user-og7zo9js1z
    @user-og7zo9js1z2 ай бұрын

    종교가 현실에 참여하지 않으면, 현실의 지구상에 머물 이유가 없다.

  • @user-mq2fg9wp7z
    @user-mq2fg9wp7zАй бұрын

    옳은 말씀입니다

  • @user-mq2fg9wp7z
    @user-mq2fg9wp7zАй бұрын

    종교단체도 세금내야합니다

  • @user-tt5ri1gr2t
    @user-tt5ri1gr2tАй бұрын

    석가모니가 윤회를 설법했는데 스님이라는 사람이 그걸 부정하면 승복을 벗고 그런 말을 해야 하지 않을까요?

  • @ysc-fg5dw

    @ysc-fg5dw

    Ай бұрын

    환속하셔야 되는거 아닌가요~~~

  • @user-dc4vt9yi3r

    @user-dc4vt9yi3r

    21 күн бұрын

    근데 생각보다 댓글보니 이스님 말에 동감하는 불자들이 많다는거에 깜놀했습니다

  • @sunyata4812

    @sunyata4812

    18 күн бұрын

    @@user-dc4vt9yi3r 그만큼 불자들 혹은 친불자들의 사상교육이 이뤄지지 않아서입니다.

  • @user-dm7mh5zh2s
    @user-dm7mh5zh2sАй бұрын

    살아 있는것이 윤회 입니다 향봉스님 법문 뼈속까지 와닫습니다 탐진치가 문제입니다

  • @user-yd2kr7hi5s
    @user-yd2kr7hi5s18 күн бұрын

    기독교인이지만 향봉스님 존경합니다

  • @padong
    @padong2 ай бұрын

    문수가 나요, 보현이 나요, 지장이 나다! 동서남북의 중앙에 내가 있다. 오늘이다. 중도다. 불교의 중은 팔정도, 정이다. 무장무애. 내가 서고 앉는 곳이 . 수처작주 입처개진. 일즉일체 다즉일 일미진중함시방 일체유심조 감사합니다^^

  • @user-sc5ii3iq1y
    @user-sc5ii3iq1y2 ай бұрын

    스님 공부가 조금 덜 됐에요 ! 윤회가 없다고요?

  • @ysc-fg5dw

    @ysc-fg5dw

    Ай бұрын

    없다하니 ᆢ막 살다가도 되겠네요 ㅎ

  • @user-py2ug9pk5f

    @user-py2ug9pk5f

    Ай бұрын

    불교핵심이 무아연기 오온무아 오온개공인데 윤회할 주체가없는데 뭔 윤회타령인지 ㅋ 한심하다 불교공부다시해라

  • @user-bt9ry7li7j
    @user-bt9ry7li7jАй бұрын

    승려들이 재가자들을 가스라이팅 함. 무간 지옥에 갈 업을 끊임없이 짖고있지요.

  • @user-zl4pw5hw6o
    @user-zl4pw5hw6oАй бұрын

    윤회가 어디 없어 죽음 후 흙 가 한줌재 극락 지옥 없어 다 재야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2 ай бұрын

    "개코 뭘알아...자신도 속이고 있는 스님들" 햐...이런 멋진 법문을 어디서 들을수 있을꼬 마하반야바라밀_()_

  • @user-br5hv3nx8c

    @user-br5hv3nx8c

    2 ай бұрын

    정신차리고. 공부 하시기 바랍니다 이중은 이말하고 저중은 저말합니다 이분 결코 다 옳다고 할수 없습니다 모두를 깨달은 분처럼 ㅋㅋㅋㅋㅋ

  • @user-wq4po9gg4u
    @user-wq4po9gg4u8 күн бұрын

    향봉스님 만이 하실수있는말씀. 멋지십니다.!!!

  • @user-gg4vq3sh1r
    @user-gg4vq3sh1r8 күн бұрын

    고려말에 이르러 불교는 죄와 복을 미끼로 백성들을 순종하게 하고 사찰에 많은 것을 갖다 바치게 하는 등 횡포가 심해서.. 많은 비판을 받았었는데.. 큰 스님의 가르침이 어리석은 승려들의 깨달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user-qp3pq7pl5h
    @user-qp3pq7pl5hАй бұрын

    이 시대 참 스님 법문 감사합니다

  • @Aagpog
    @Aagpog18 күн бұрын

    요즈음은 현실적인 것에 치중하지요 자신이 경험하지 않고 과학적 증명이 안되면 모두 부정하지요 과학도 새로운 과학에 폐기 되기도 하지요 아직 우주 자연의1%아는 과학을 너무 신봉 하면 안됩니다 물론 증명 안되는 요술기적을 믿어도 안되겠지요 세존께서는 자신의 말이 곧 깨달음을 얻을 수있다라고 하지 않은 것은 세존께서 경험하고 아는 것을 보여 줄 수 없기에 자신을 세밀하게 관찰하라 고 했지요 육신은 오온으로 뭉쳐 졌다 흩어졌다 하는 자연현상 외 무엇인가?를 가르키는것입니다 승려의 말씀대로 윤회 영혼을단호히 부정한다면 개개인이 편안하게 살아가면 됩니다 수행이 굳이 필요하겠어요? 자신이 모른다고 모르는것이 답이라고 해서는 안됩니다

  • @jadekilburn
    @jadekilburn2 ай бұрын

    앞뒤가 전혀 맞지도 않고 횡설수설..

  • @noalchuck

    @noalchuck

    Ай бұрын

    그대가 아만에 빠져서 혼돈 스런 것은 아닌지?

  • @user-ti6ld4nk3h

    @user-ti6ld4nk3h

    Ай бұрын

    ​@@noalchuck아무리들어봐도 앞뒤안맞음

  • @user-qg8vt2mk3h

    @user-qg8vt2mk3h

    Ай бұрын

    정말. 웃기지도 않아요

  • @user-mq7sn3ux7h
    @user-mq7sn3ux7h2 ай бұрын

    불교 내에서 훼불할 생각이라면 중질은 왜 하지? 부처님께서도 전생에 대해 허다하게 말씀하셨고 불교 교리는 윤회를 부정하면 존재가능하지도 않는데 중이란 자가 나와서 부처님 교리를 비방하는 마구니 소리만 하고 있으니 무간지옥행이 틀림없겠구나 고 김성철 교수님도 당신같이 불교 안에서 훼불하는 자를 가장 위험하다고 하셨어 조계종은 뭐하나 몰라 저런 자를 내쫓지 않고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ай бұрын

    그건 방편설이다.

  • @user-sm2lc5sf3o

    @user-sm2lc5sf3o

    2 ай бұрын

    ​@@user-jr4bj9gl8j 방편설인지 아함경을 찾아보길

  • @haruka7249

    @haruka7249

    2 ай бұрын

    @@user-jr4bj9gl8j경전을 몇권 읽고 그딴 소리하는지

  • @user-jr4bj9gl8j

    @user-jr4bj9gl8j

    2 ай бұрын

    @@haruka7249 그러는 니는 몇 권 읽었노?

  • @user-uf8uh5ig6h

    @user-uf8uh5ig6h

    2 ай бұрын

    @@user-jr4bj9gl8j 너 향봉맞지 글 지우지 말고 이 인간아 어디 무식한 소리를 자꾸 하고 다녀

  • @minl4200
    @minl42002 ай бұрын

    🙏🏽❣️

  • @user-xm6wd3je1v
    @user-xm6wd3je1v17 күн бұрын

    kzread.infojdnuUsDEknE?si=MGkYTdPjmbn023q2 대선지식인 인 청화스님이 인과와 윤회를 강조하심.

  • @unison-ub2eb
    @unison-ub2eb2 ай бұрын

    참고로~ 종교도 없는 저 사는곳에도 장식장에 아기부처 열분이항시 자리하고 있답니다ᆢ형상ㆍ표상이 중요한것이 아닌~ 내깊은 마음속 하나 한마음에 대부처가 자리한다는 것이 참된진리에 깨어남 이라 하겠습니다ᆢ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