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꾼 이형설

약초꾼 이형설

Herbist Hyungseol Lee (010~7123~2294)
Herbs and health stories of Hyangseol Lee, a herbalist in Jeongseon Mountain, Gangwon-do, and hiking information.

Пікірлер

  • @user-fh7ls1gf5p
    @user-fh7ls1gf5pСағат бұрын

    심축하합니다

  • @tiger4102
    @tiger41023 сағат бұрын

    뱀탕 만들지않고 구워서 소금찍어 먹어도 허리통증 또는 기타 건강에 좋을지?

  • @user-rv5iq4cg5e
    @user-rv5iq4cg5e4 сағат бұрын

    뭔 소린지 원, 알아들을 수가 없네

  • @myzz1203
    @myzz12037 сағат бұрын

    그런데 저영상을 보고느낀건데 다른것 안드시고 채소도 전혀 안드시면 변비가올텐데

  • @user-ys4tk8lt4o
    @user-ys4tk8lt4o9 сағат бұрын

    자막을 넣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르신 말씀 알아 듣기가 힘이 드네요

  • @user-nv9sm2uu9k
    @user-nv9sm2uu9k9 сағат бұрын

    뱀은 다 잡아 야 합니다 ㅠㅠ 산행시에 무서움^^

  • @user-ajae7seong
    @user-ajae7seong10 сағат бұрын

    저 초등학교 때인가 그 보다 어릴 때인가 시골에서 뱀 잡는다고 산에 그물망을 길게 설치한 걸 본적이 있는데 지금 생각하면 길게 불편한 산에 그물망을 설치한게 대단하다고 생각됨... 지금은 세월이 가서 그물 기둥도 무너져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시간이 지나 뱀사냥 끝나고도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던게 생각나네요.

  • @user-vv4hs4jd1s
    @user-vv4hs4jd1s10 сағат бұрын

    매번 칠점사 가지고 노는데 주작냄새가 좀 나네요 아님말고

  • @Ev-yn9cb
    @Ev-yn9cb11 сағат бұрын

    뱀좀 잡아야합니다 너무많음 정글로 변하고 있음

  • @user-ut6pf5dw2l
    @user-ut6pf5dw2l11 сағат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두잔먹으면 사고날수있어요 운전

  • @user-wc6gi8sp5x
    @user-wc6gi8sp5x12 сағат бұрын

    소죽 불에 구워 먹던 어릴적 고등어 구이 생각 나네요 어머니가 해주시던 6남매 옹기 종기 서로 먹을려고 살점도 별루 없는 머리는 어머니 몫 그땐 몰랐다 머리가 맛있다는 말뜻을 자식들 더 먹일려고~~~ㅠㅠ 코로나 시절 돌아 가신 어머님 생각이 많이 나네요

  • @natural-1958
    @natural-195812 сағат бұрын

    귀한정보 감사드려요.....🌈🌈🌈🌈🌈🌈🌈🌈🌈

  • @user-zo4hd5jb8m
    @user-zo4hd5jb8m13 сағат бұрын

    뱀을 잡아 팔고 뱀을 사서 먹고하면 집안에 우환이 생긴다고 절집에서는 전해오던데... 개인적인 생각이지만...살생은 조심해야할듯.

  • @New-NOS7
    @New-NOS714 сағат бұрын

    질문 있습니다 산에서 손가락 굵기정도 되는 약초같은걸 캤는데 제 프로필 사진에 있는게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 @seogheuikim0007
    @seogheuikim000715 сағат бұрын

    뱀탕을 한두마리 먹는게 아니고 옛날에 보니 커다란 가마솥 걸어놓고 수백마리를 몇일씩 먹던데 정력 이런거 말고 폐결핵 이런것 고치러

  • @user-vr1tx2yz6s
    @user-vr1tx2yz6s12 сағат бұрын

    가마솥에 뱀을 산채로 넣고 끓이나요?

  • @user-iu6vy9ui1g
    @user-iu6vy9ui1g15 сағат бұрын

    무슨말하는 지? 발음이 도통 모르겠네요. 자막이 필요할 정도네요

  • @user-yj1js6jm2e
    @user-yj1js6jm2e13 сағат бұрын

    출력이 작은 듯.

  • @hit-man-re5vz
    @hit-man-re5vz15 сағат бұрын

    금지만 하지 말고, 어류처럼 일정크기에 따라 합법화 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저도 어릴적(국민학교1,2학년 때) 불법인줄 알고 있었지만, 수십마리 잡아 팔았죠. 지금 시골에 뱀이 더 많아졌다 하니 사람이 인공적으로 개체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 @KHJ권
    @KHJ권17 сағат бұрын

    😊😊😊

  • @user-uh4cn3tv3i
    @user-uh4cn3tv3i17 сағат бұрын

    ♡♡♡

  • @user-kr9kd1gs6g
    @user-kr9kd1gs6g17 сағат бұрын

    저는지금.진주할매되요.작년여름.휴가대.아그들이.엄마고향.갑시다.해서.4십년만에.고향가서.아부지랑.어매랑.농사지든.밭태.한번가볼라고.장하신고.긴바지입고.작대기하나들고.가니까.동네분들이.못가그로하되요.뱀이너무.많았서.가면.안댄대요..아푸로.세월이.조금지나면.사람보다.뱀이더.많하.지겠씀니다.세상이.미쳐갑니다

  • @user-td3sm5hn8h
    @user-td3sm5hn8h17 сағат бұрын

    뱀 때문에 귀농귀촌을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땅꾼의 부활이 시급합니다

  • @goh-bom
    @goh-bom18 сағат бұрын

    뱀물림사고 해마다 800건이상. 야생동식물보호법 제14조3항,제19조3항 ㅡ인체에 위해를 미칠경우 허가없이 잡을수 있다. 즉 덤벼들었다면 잡거나 죽일수도 있다. 독사를 죽여주셔야 사람이 삽니다.

  • @user-kz8sr7qj4k
    @user-kz8sr7qj4k18 сағат бұрын

    뱀 독이 서양의 의학계 에서는 약을 만드는 용도로 쓰이기 때문에 서양 땅군들이 부부 단위로 다니며 뱀 잡으러 다니는 영상을 언젠가 본 적이 있는데 그 분들도 정부의 허가제 (면허 ) 아래에서 뱀 잡는것을 업 으로 삼고 살더라고요. 독사의 독이 더욱더 다양한 의약품을 만드는데 쓰인다면 (그렇게 발전된다면...) 다시 땅꾼 들은 컴백 할것이요. 일반인들 중에도 땅꾼이 되어 경제적으로도 크게 도움이 되고 우리 산야에 너무도 많이 퍼진 뱀의 개체수를 조절 하는날이 오기를 고대 합니다. 매년 추석전에 고향 전라도 로 벌초하러 다닌지가 벌써 수십년 째 인데 현재 고향에 살고있는 4촌 동생이 2 년전 같이 벌초 하러갔다가 살모사에 물려서 나름 고생하였고 (죽다가 살아난 정도는 아닙니다.제대로 물리지 않았고 안전화를 신고 갔는데 안전화 상단 (윗 부분) 과 다리 살이 있는곳을 물렸는데 그래도 독이 퍼저서 병원으로 싣고 가서 바로 치료는 했습니다만...) 제가 봐도 벌초하러 산으로 올라가는 중에 숱하게 많은 독사들을 목격하였으며. 산 근처의 밭을 일구는 분들이 ( 거의 대부분이 아는 사람들입니다. 동네 자체가 안동 권씨 집성촌 이므로) 이구동성으로 뱀이 많아도 너무 많다는 말씀들을 하십니다. 그 중에는 작정을 하고 일부러 죽이는 분들도 있습니다만... 그리고 저의 군대동기는 자신의 고향인 충북 단양 쪽 소식을 들어보면 그곳에서도 일부 주민들은 뱀이 너무 많아서 역시나 밭이나 집 주변에 뱀을 보면 무조건 죽인다는 말을 하더라고요. 그냥 놔두면 밭일 하러 가는데.밭일 하는중에 하도 여기저기 독사들이 출몰하여 눈뜨고는 못 본다고 하면서요.. 하루속히 뱀 연구가 잘되어서 시골.산이 있는 마을의 골치거리인 뱀을 잡아도 되는 법이 생기고 뱀 잡아서 돈 벌이 하는 세상이 되길 바랍니다.

  • @user-wm1mg2oc8k
    @user-wm1mg2oc8k18 сағат бұрын

    정신나간 뱀보호단체들 다어디갔냐 이것들 때문에 뱀이 도시로까지 내려온다 뱀이 너무많아졌다 뱀보호 하자고 했던 인간들 다도망갔다 추적해서 면상 인터넷 박제 해야한다

  • @user-fv4be3kr4z
    @user-fv4be3kr4z18 сағат бұрын

    우와~~~ 개복숭아가 한자루씩이나... 부럽습니다. 그런데 저 얼룩배기 고라니 새끼는 개들 순찰에 걸려서 안습이군요 잘 묻어 주셨다니 😢 잘하셨습니다 복받으실거에요

  • @user-tw9ki7wb5m
    @user-tw9ki7wb5m19 сағат бұрын

    우린 삶아 버리지 않고 첨 삶은 물 걍 다 먹고 살아왔는디... 그 독물을 아깝게 왜 버리는지요

  • @user-xo3dg4oj8y
    @user-xo3dg4oj8y19 сағат бұрын

    저 어릴때만해도 땅꾼,벌꾼 이런 분들이 시골 동네에 돌아다니면서 잡으로 다녀셨죠. 지금 독사들은 개체조절이 필요합니다.

  • @user-hi2kd6dm6m
    @user-hi2kd6dm6m19 сағат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형설님 반갑네요 생각만해도 소오름

  • @user-zq1rg7vu3k
    @user-zq1rg7vu3k19 сағат бұрын

    젊어서 고생 많이 하셨던거 같아요 저희 어렸을때 땅꾼이 꽤 많았죠 그때는 뱀도 정말 많았을때죠 지금은불법이니 잡으면 안되지만 그당시엔 뱀잡아서 팔기도 했었는데 .. 저도 중학교 다닐때 살모사 잡아가면 5천원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 @user-hv8lm6my5f
    @user-hv8lm6my5f20 сағат бұрын

    예전에 저에고향에도 땅꾼아저씨가 계셨지요 지금이야. 보호한다 하지만 너무 많은 거같아요😮

  • @user-de1pe5hb6h
    @user-de1pe5hb6h20 сағат бұрын

    아? 뱀탕을 어떻게 만드는 것인줄 이제야 알게되었습니다. 70년대 당시 나환자분들이 사회에 흡수가 되지 못하고 마을과 떨어진 곳에 움막을 지어놓고 살면서 뱀을 잡아 중요 생계수단으로 생활하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당시 경북 상주 화령(속리산 자락)에 살았었는데---. 그때는 몸보신 할 거리가 없어서이기도 했지만 몸에 좋다고 뱀탕을 많이 먹고 또 취급도 많이 했습니다. 특히 남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었지요. 이제는 모든게 불법으로 간주 되는 세상이고 보니 어르신의 땅꾼 생활도 아득한 추억이 된 것 같습니다. 이형설 선생님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비 피해 없으시도록 조심하시고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natural-1958
    @natural-195820 сағат бұрын

    귀한정보감사드려요..

  • @user-pl4vv1xj8t
    @user-pl4vv1xj8t20 сағат бұрын

    예전에산에다니던말씀.고생도많으셨어요..이젠편안한쉼하시며.건강하시면됩니다.약초꾼.이형설님작년꿀복숭아맛있게잘먹어서.올해도택배안하시는지요..형설님애쓰셨어요 .🎉🎉🤭🍊

  • @user-cy8pu4gn9e
    @user-cy8pu4gn9e20 сағат бұрын

    듣기만해도 너무 징그럽고 무서운애기 입니다😂😂 형설님 장마시작 입니다 비피해없이 조심하세요~~🍵🍃

  • @user-hq8rt3fv8c
    @user-hq8rt3fv8c20 сағат бұрын

    어르신의 젊었을적의 땅꾼생활 에피소드는 듣기만해도 등골이 으쓱거립니다요 오메 생각만해도 무셔라 😊 호우주의보입니다 엄청난 비가 내리네요 구독자분들 시청자분들께서도 비 피해가 없으시도록 단도리들 잘하시자고유 비 내리는 오늘같은날은 부추전에 탁사발 한잔으로 잠시 심신도 쉬어 가렵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 @khkim4270
    @khkim427020 сағат бұрын

    예전 뿌리깊은나무 출판사의 민중 자서전 전집에 나오는 사라져가는 직업군들의 구술을 보는것 같습니다.

  • @user-fv4be3kr4z
    @user-fv4be3kr4z19 сағат бұрын

    저는 아직 그 책을 90년대 말 사서 아직 애지중지합니다 ㅎㅎ😅

  • @user-jc5uc8jm1v
    @user-jc5uc8jm1v20 сағат бұрын

    ❤❤❤❤❤ 나도 시골집에 뱀오면 잡어버려요 살려 주니까 또 오던데요

  • @user-hu8gs5ji4v
    @user-hu8gs5ji4v21 сағат бұрын

    앗싸1등

  • @janet8215
    @janet821523 сағат бұрын

    ❤❤❤

  • @user-vu1on9vs5b
    @user-vu1on9vs5bКүн бұрын

    칠점사 아닌데유

  • @johnkwon4765
    @johnkwon4765Күн бұрын

    약초꾼의 짧은 생각이라 마시고 이한말씀 들어좀 버이소 벗님 들아 일과 운동을 병행 일석이조효과는 노동운동 씸봤따

  • @user-ot1nf3bm4r
    @user-ot1nf3bm4rКүн бұрын

    천마는아무데나막나나봐요고산인가요

  • @fkgurw5974
    @fkgurw5974Күн бұрын

    용감한 사람들ㅋㅋ

  • @koyucho7721
    @koyucho7721Күн бұрын

    저희 뒷집 바로 뒷산에 오래된 장작짐이 있었는데 그집할머니께서 가져다 땔감으로 써라해서 그 장작짐을 양팔로 안아서 수레에싣고 싣고와서 내리는데 수레속에서 칠점사가 나왔는데 너무놀라서 그자리에서 바로 죽였음 . 너무 아찔해요 나무짐을 안았을때 그 속에 있었다는것이 ..

  • @user-hq8rt3fv8c
    @user-hq8rt3fv8cКүн бұрын

    고라니 새끼가 안쓰럽네요 유해동물이라 농작물에 피해는 주지만 저도 자연인님댁만한 돌북숭아가 2개가 있어서 매년 담가놓고 마신답니다 올해도 엄청 달렸네요 기관지에 좋다해서요 자연인님댁에도 엄청 달렸네요 제가 사는 이곳은 호우주의보라 하루종일 비가 쏟아집니다 모든분들 비 피해가 없기를 소망합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d6qv1xo9p
    @user-jd6qv1xo9pКүн бұрын

    동물사랑은 모든사람들한데감동입니다 좋은일들만생길겁니다 모두행복하시길~~^^

  • @user-nl7pb1ei7b
    @user-nl7pb1ei7bКүн бұрын

    고무는 뚤려요 가죽군화로신어요

  • @user-de1pe5hb6h
    @user-de1pe5hb6hКүн бұрын

    개복숭아 수확 철이군요.. 이 선생님 개복숭아 따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 @user-zq1rg7vu3k
    @user-zq1rg7vu3kКүн бұрын

    지금이 개복숭아 따기 적기인데 저는 올해도 못따네요 자연인께서 관리를 해주셔서 그런지 많이 달려서 한나무에서 따도 양이 꽤 많네요 새끼고라니가 불쌍하게도 죽어서 안타깝네요

  • @user-zq1rg7vu3k
    @user-zq1rg7vu3kКүн бұрын

    자연속에서 살면 부지런 해야죠 무거운 드럼통 가져다 드리느라 고생 하셨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