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진규TV

함진규TV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모든 분들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함진규TV입니다.

Пікірлер

  • @user-vs7jm2ej1r
    @user-vs7jm2ej1rКүн бұрын

    혹시 사장님 본인께서 운영하시는 게 아니라 따로 올려주는 분이 계신가요?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Күн бұрын

    무인택시와 운전 노동자의 일자리 경쟁이 걱정돼네요. 또 휴먼에러와 자율주행시스템의 버그 뭐가 더 위험할까요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Күн бұрын

    ETF승인은 비트코인이 가상자산으로서 제도권으로 진입한다는 의미가 있겠습니다. 강력한 가치저장수단으로서 위상은 더 높아지겠습니다.

  • @jiyoungrhee7644
    @jiyoungrhee76443 күн бұрын

    최근 고객서비스는 e2e를 지향합니다. 공기업 수장으로서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구축사례를 소개해주세요. 예를 들면 팔란티어 등이요.

  • @taekwanlee7552
    @taekwanlee75524 күн бұрын

    전쟁의 비인간화의 가속으로 도덕적 억제력이 감소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것입니다. 긕제적 합의를 통해 기준과 규범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4 күн бұрын

    드론 자격증 따면서 막내 아들 드론 축구 시켜봤는데 정말 잘 하더군요. 저는 감각이 둔해서 잘 못하겠던데요. 정말 재미 있었습니다. 사장님 말씀데로 헤리포터에서 퀴디치 생각이 났습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4 күн бұрын

    양자에 대한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사다리 비유설명 찰떡이싶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4 күн бұрын

    브라이언 존슨사장 블루프린트 프로젝트로 본인이 젊어지고 그 경험을 상품화 시키면 10석2조를 얻지 싶습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4 күн бұрын

    BIM, 디지털 트윈은 토목분야 특히 교량,터널 등 구조물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서도 활용하면 유용할 듯 합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4 күн бұрын

    상온 초전물질 발견 소동이 생각나네요. 발견만된다면 새로운 세상이 열리겠지요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4 күн бұрын

    로봇개 죽지 않는 반려동물의 출현이네요. 반려인들의 새로운 대안이 돼지 싶습니다. 전투 로봇개와 전투드론은 인명 살상에 윤리문제와도 연결돼지 싶습니다.

  • @user-cu8er1nj6q
    @user-cu8er1nj6q5 күн бұрын

    로봇개에 인공지능(AI)을 장착하면....?

  • @hosikyoo3621
    @hosikyoo36215 күн бұрын

    로봇 개와 같은 살상 무기 자동화의 위험성은 미래 전쟁에서 로봇 간의 전쟁이 아니라 더 정확한 목표점 타격과 대량 살상화가 가능해졌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테러 가능성 증가 또한 문제겠지요. 보스톤 다이나믹스의 비무장 선언처럼 로봇산업이 인류를 위한 가치 기술로 진전되기를 바래 봅니다.

  • @user-gv9qv2lr9i
    @user-gv9qv2lr9i5 күн бұрын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로봇을 무기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로봇이 경쟁력을 가지는 분야는 분명 공장 자동화보다 군사 영역인 것 같습니다.

  • @user-ww6no9he7w
    @user-ww6no9he7w5 күн бұрын

    ❤❤❤❤❤ 함진규 친구님 좋은 정보 5:29 잘들었습니다 앞으로 계속 응원하겠습니다

  • @paekpro
    @paekpro5 күн бұрын

    살아있는 존재에게서만 느낄 수 있는 생명력이야말로 완구와 반려동물의 종착지를 가르는 이유 아닐까요. 머리없이 등장했을때부터 예사롭지 않더니 얹으란 머리는 안얹고 웬~^^

  • @paekpro
    @paekpro5 күн бұрын

    역으로 일자리 창출에 입각한 자율주행버스 감시(?)라이센스가 더 부상하지 않을까요. 이번달까지만 공짜로 운행한다 하니 함 타러 가야겠어요~^^

  • @kwangsikko1479
    @kwangsikko14795 күн бұрын

    이해가 안가는데, 이게 밧데리는 어떻게 하는거죠? 전장에서 고체 베터리를 공급한다..글쎄요..

  • @user-jm1hf9ne8h
    @user-jm1hf9ne8h5 күн бұрын

    현대도있잔마ㅡㅡ 한화랑협력

  • @user-jm1hf9ne8h
    @user-jm1hf9ne8h5 күн бұрын

    이번 대만전서써보길

  • @paekpro
    @paekpro5 күн бұрын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허물어진다는건 결국 영생이라는 목표에 한걸음 더 다가간 느낌인데요. 레이 커즈와일처럼 생로병사를 감내한 생물학적 존재로의 영생도 있겠으나 종국에는 만화영화 속 메텔과 철이처럼 기계인간 형태의 영생이지 않을까 합니다만..

  • @user-co2hz5rb6f
    @user-co2hz5rb6f5 күн бұрын

    고속도로 사고처리나 유지관리시에도 로봇개를 활용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순찰원이나 유지관리작업원의 생명보호에도 좋을듯 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5 күн бұрын

    사람대신 로봇이 전쟁하면 터미네이터 2처럼 될려나요? 아찔하고 슬슬 두렵습니다. 좋아요 구독하고 갑니다.

  • @chul789
    @chul7895 күн бұрын

    영상이 다시 업로드 되었네요. 잘 보고 갑니다.

  • @paekpro
    @paekpro5 күн бұрын

    분자학과 운동생리학에서 미각, 후각, 촉각을 데이터화 해내더니 드디어 시각과 청각까지 기술범주에 편입된거 같은데 이러다 six sence의 영역마저 안심할 수 없겠는데요. 무당과 박수의 원형적 사고가 궁금하네요~^^

  • @paekpro
    @paekpro6 күн бұрын

    이게 바로 스카이넷이었죠..이제 스카이넷은 해킹으로 주요 전략코드를 다 손에 넣게 될게고 IoT로 스마트팩토리를 통해 필요한 전략자산을 모두 얻게 될테니 한시바삐 사라 코너를 찾아야 하지 않을까요..

  • @paekpro
    @paekpro6 күн бұрын

    로봇이 꼭 휴머노이드라야 할까..효율을 따진다면 문어스탈이 훨씬 경제적일꺼 같아, 드뎌 내생애 가제트형사 영접할 순간을 만날수 있는 건가요~^^

  • @paekpro
    @paekpro6 күн бұрын

    나마기리 여신이 불러주는 공식으로 블랙홀의 엔트로피를 계산하고 무한대를 봤던 라마누잔같은 친구를 찾아보면 어떨까 합니다만~^^

  • @paekpro
    @paekpro6 күн бұрын

    캐즘이야 일시적 현상이겠고, 결국 전기차 가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배터리 문제일터인즉 표준화만 전제된다면 선제적인 배터리교체 스테이션 도입이야말로 제2의 VHS방식이 될 듯 하는데요~^^

  • @paekpro
    @paekpro6 күн бұрын

    우월한 지적 재능을 선하게만 사용하지않듯 싱귤레리티 도래 전 법률과 제도의 정비는 반드시 필요해 보입니다만, 이 중헌걸 못하고 마쳐버렸습니다그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7 күн бұрын

    자유주행자동차 등 교통수단 발전만으로는 한계가 있겠지요. 도로 그중에서도 고속도로의 스마트화가 뒷 받침되여야 진정한 교통 혁명이 이루어 질 겄입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7 күн бұрын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교통사고 예측 등 사고 예방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적용해 보면 융익할 듯 합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7 күн бұрын

    최근 건축관련 인건비, 자재비가 폭증하는데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더 다양한 재활용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면 환경보존에 큰 기여가 가능하고요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7 күн бұрын

    자율 주행분야에서 도로관리기관으로서 우리공사가 또 다른 한축인인프라 구축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할 듯 합니다.

  • @user-zo7yi1fm8f
    @user-zo7yi1fm8f7 күн бұрын

    ChatGPT와 음성인식의 결합은 AI의 인간과의 정밀한 상호작용과 학습능력을 키워 한차원 더 발전할 듯 합니다. 기대와 두려움이 겹칩니다.

  • @user-kb6on8yv6x
    @user-kb6on8yv6x7 күн бұрын

    Chat GPT로 대화를 해보았습니다. Omni 버전이 아닌 3.5무료 버전도 거의 영화 Her의 사만다와 비슷합니다. 영어회화 공부 상대로도 완벽하더군요. ChatGPT의 통역이 홀륜해서 이제 더이상 영어회화를 공부할 필요가 없지만요.😢

  • @user-kb6on8yv6x
    @user-kb6on8yv6x7 күн бұрын

    얼마 전까지만해도 자동차 제작사들은 도로의 도움 없이도 차 스스로 똑똑해저서 자율주행을 할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요즘은 그 오만이 꺽였지요. 이제는 도로가 자동차와 협력하는 자율협력주행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누구나 인정합니다. 도로관리자인 한국도로공사가 자율주행시대에 큰 역할을 해야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 @xsaturnx5525
    @xsaturnx55258 күн бұрын

    자율주행버스가 실제로 운행된다고 하니 이 건 또 어떤 변화의 시작이 될까요? 보다 체계적이고 안전한 사회로의 한걸음이 되길를 기원해봅니다😊

  • @user-co2hz5rb6f
    @user-co2hz5rb6f8 күн бұрын

    챗GPT가 일부 오류도 나온다는 보도가 있긴하나 초기단계인만큼 향후 성숙단계에 돌입한다면 상상이상일 듯 합니다. 좋은정보 잘 보았습니다.^^

  • @user-co2hz5rb6f
    @user-co2hz5rb6f8 күн бұрын

    기회가 되면 저도 한번 A21번 자율주행 버스를 타봐야겠네요. 좋은정보 잘 보았습니다.^^

  • @user-yk8xt2yh1l
    @user-yk8xt2yh1l8 күн бұрын

    A21 심야버스를 타보고 싶은데.. 서울에 살지 않아 쉽진 않을거 같습니다. 그래도 금년도 국토부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에 강릉시, 제주시 대상으로 벽지지역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마을버스 등을 운행한다고 하니, 언젠간 김천에도 자율주행 버스나 택시가 들어오지 않을까 기대되네요.. 아무쪼록 자율주행 대중교통이 개발, 검증을 거쳐, 잘 정착될 수 있길 바랍니다.

  • @user-gv9qv2lr9i
    @user-gv9qv2lr9i8 күн бұрын

    버스 전용차로라고는 하지만 폭이 좁아서 회전 구간에서는 가끔 중앙선을 넘는 경우도 본 적이 있는데, 버스 기사님에게도 상당히 고난이도의 노동으로 보였습니다. 여기에 자율주행이라니... 정말 곧!!! 운전자 없는 대중교통 시대가 도래할 것 같습니다.

  • @hosikyoo3621
    @hosikyoo362110 күн бұрын

    자율주행을 위한 도로, 법, 제도 등 제반 환경의 구축도 중요하고 무엇보다 자율주행에 대한 이용자(탑승자)의 수용도가 향상되어야 겠습니다. 아직 자율주행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위험하다는 것이 우세할 듯 합니다. 소개 해주신 영상과 같이 시범 운행, 체험 등을 통하여 이용자의 자율주행 수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traffickr
    @traffickr11 күн бұрын

    자율주행이라는 용어로 인해 국내에 도입되면서 오해의 소지가 생겼다고 판단됩니다. 자율주행이라기 보다는 표준 용어인 AUTOMATED 즉, 운전과 관련된 여러 임무를 인간에게서 시스템에게로 "자동화"한다는 개념의 용어가 당초 더 적합하였는데.....아무튼 자율주행을 위한 여러 센서 기술들과 판단 알고리즘, AI, 데이타 등은 막대한 투자 덕분에 급속히 발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기술에 관심을 갖고 활용방안을 찾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완전자율주행은 말씀하셨듯이 상당 기간 도입이 어려울 수 있으나, 인프라의 지원을 받아 운행하는 수준의 자율주행은 국내에서 조만간 상용화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중이어서 도로공사도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chul789
    @chul78911 күн бұрын

    한 번 타보고 싶네요🎉

  • @user-cu8er1nj6q
    @user-cu8er1nj6q1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도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자율주행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니 놀랍네요. 그것도 세계 최초라니 한편 자랑스럽기도 합니다. 이제는 자율주행차량이 곧 일상화 되겠습니다. 함진규TV의 좋은 정보 대단히 고맙습니다.

  • @elly_dhkim
    @elly_dhkim11 күн бұрын

    요즘 버스나 대형화물차 운전자 졸음이나 주시태만으로 대형사고가 많은데, 자율주행의 안전성이 보장된다면 좋은 대안이 될 것도 같습니다! 이렇게 빨리 현실에 적용될 줄은 몰랐네요~

  • @xsaturnx5525
    @xsaturnx552512 күн бұрын

    AI기술은 그 변화 가속도가 상상할수 없을만큼 빠른것 같아 기대되가 많이 되네요. 기술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고민도 같이 나아갈수 있다면 잘 활용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 @hosikyoo3621
    @hosikyoo362113 күн бұрын

    자율주행에 대한 동향을 잘 정리한 영상, 감사합니다. 자율주행은 자율주행차로만 가능하지 않고 도로공간이라는 물리공간의 디지털화를 통한 사이버 공간화, 운전자로서 사람에 대한 책임성과 역할 변화 등이 중요하다는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AI 기술이 장착된 자율주행차가 실시간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사이버 공간을 달리는 자율협력주행, C-ITS의 조기 완성을 기대해 봅니다.

  • @elly_dhkim
    @elly_dhkim13 күн бұрын

    낮은 출산율로 줄어드는 인구의 빈자리를 AI가 대체할 것 같은 생각도 한편 드네요. 향후 AI를 탑재한 반려로봇이 활성화 될 것 같기도..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