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도 나이 들면 보수화될까? 유전자로 본 진보와 보수 [유전자 지배 사회] 2부 | 최정균 유전학자 | 알릴레오 북’s 시즌5 15회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유전자 지배 사회' - 최정균 교수(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알릴레오 북's 시즌5 15회]
#유시민 #조수진 #최정균 #알릴레오 #알릴레오북스 #유전자 #DNA #뇌과학 #진보 #보수 #종교 #죽음
✔️ 광고/협업 문의
story@knowhow.or.kr
✔️ 홈페이지 www.knowhow.or.kr
✔️ 후원안내 1688-0523
💌 뉴스레터 '사람사는세상'
지금 우리가 마주하는 현안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은 어떻게 생각했을까요?
노무현의 이야기가 담긴 뉴스레터 ‘사람사는세상’을 매주 만나보세요
knowhow.stibee.com/
--
00:00 지난회 하이라이트
03:00 정치성향도 유전자 때문이다
21:20 아프고 늙고 죽어야만 하는 이유
37:12 기독교는 보수의 종교다
52:44 총평과 한줄평
--
🎵 노무현시민센터 정기문화전 ‘꽃다지’ 함께하기
www.knowhow.or.kr/center/prog...
📚 오디오매거진 《도시 극장》 관람하기
| 팟빵 bit.ly/3KIB8K1

Пікірлер: 336

  • @443RohmoohyunFoundation
    @443RohmoohyunFoundation3 күн бұрын

    여러분의 유전자는 어떤 것 같나요?🤔

  • @hon-maguro

    @hon-maguro

    2 күн бұрын

    소신 지키며 살겠다 했지만 60 넘고도 은퇴 안하면서 아직도 입털고 다니다가 전과 하나 추가하는 유전자? 애초에 전과자였으니 새삼스러울 것도 없고 앞으로도 쭈욱 떳떳한 척 살아야겠습니다 아 물론 제 자신을 반성하는 다짐입니다

  • @user-ky3wr8cd8w

    @user-ky3wr8cd8w

    Күн бұрын

    범죄도 DNA가 있나요? 저지르는 사람은 계속 저지르네요

  • @user-nz5mw7yb3l

    @user-nz5mw7yb3l

    Күн бұрын

    /@hon-maguro 내용 안봤지?? 생각의 연쇄가 짧고 편도체가 발달해서 혐오와 공포만 남발하고... 아마 가난하거나 늙어서 생존에 불리하니까 더더욱 감정적으로 생각이 짧아지고, 도파민이 없어서 재미있는 것도 없어지고... 아.. 나도 나 자신에게 하는 말이야. 정말 생각이 짧네

  • @noah489

    @noah489

    16 сағат бұрын

    진보/보수는 선택사항이지 결정인자가 아닙니다...글구 적어도 수구/보수/진보로 나누는게 맞다. 지들 편할라구 둘로만 갈라치기해... 2008년 서브프라임 당시 미국서 시작한 "시대정신"이 엄청나게 강조됐고 다큐영상도 있었죠... 그 "시대정신"이란게 진보가 아닌 보수가 가져야 할 요소입니다. 즉 "시대에 맞는 보수"가 있어야 그 위에 가치있는 진보가 꽃을 피우는 겁니다... 노태우/김영삼이 한국 현대보수의 기틀을 닦고 김대중/노무현이 한국 현대보수의 가치를 실현했고 이명박이 보수를 궤멸시키면서 자칭보수들이 20년 가까이 설치고 있는 현실입니다... 제대로 된 보수도 없는데 무슨 가치있는 진보가 있겠습니까...상대탓 쌈박질이나 하는 거지... 제발 파란당은 지들이 진보라는 개소리로 빨간당이 보수라 자처하게 만들지 마라... 제발 파란당은 수구꼴통을 보수라 하지 마라 그런 개소리 자체가 네들도 옛것이란 구린내일 뿐이다... 노무현 이 후 모든 정치문제는 보수/진보의 갈등이 아니라 세대교체 실패에 있는 거니 남탓타령 그만 하고... 일 좀 해라...국개의원들아...

  • @noah489

    @noah489

    15 сағат бұрын

    @@user-nz5mw7yb3l 이 영상만으론 너무 부족한 근거입니다... 또 가설자체가 애초에 보수/진보 둘로만 나눈 정의자체부터 한계가 있습니다. 소련의 멸망이 사회주의여서 일까요?? 아닙니다...그 사회구성원에게 더이상 만족할 보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망한 겁니다. 뇌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떤 보상에 관한 문제냐에 따라 세로토닌일 수도 도파민일 수도 있는 거죠~~ 기본적으로 "인간의 뇌는 고통을 견딜 수 없다" 라는 결론은 90년대 이전에 뇌약학적으로 검증된 내용이고 이와 관련된 실혐들이 심리학에서 연구해 오던 인간행동의 반응체계와 유사함이 다 검증됐습니다. 그런데 어떤 보상체계가 구성됐는지 모를 저런 결과만 언급하는 영상으론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굳이 책을 읽어 볼 맘도 안들지만...왜냐면 유시민이 원하는 정치적 방향으로 책을 해석하는 거지 진짜 책내용을 분석하는 영상이 아니니까... 유시민이 진보라고?? 그럼 비트코인 반대하러 TV 출연했겠어?? 다 자기가 가진 한계안에서 발버둥치는 거지~ 무슨 보수/진보 중 무조건 더 나은게 어딨어~ 그냥 그때그때 다르고...선택사항일 뿐...그리고 편향이라는 것이 가운데 두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거지 둘만 있는데 하나만 취하는 건 종속인 것이다. 자꾸 저런 덜 떨어진 소리가 통찰인양 수없이 복제하는 것이 얼마나 큰 오염인지 이제라도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 다만 어떤 방향성에 대해선 얼마든지 말할 수 있다. 그치만 몇몇 과학적 결과를 취사적 귀납방식으로 결론내는 짓은 그냥 고집일 뿐이다.

  • @user-oe2pq5yl7l
    @user-oe2pq5yl7l5 күн бұрын

    제 주변에는 보수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많은데 민주당 지지합니다. 우리나라 보수는 민주당입니다. 국힘은 부패하고 타락한 집단이라 도저히 찍을수가 없는거죠. 이번 총선을 보고 우리나라가 진보가 많다고 생각하면 안될것 같습니다 보수지만 국짐을 도저히 찍을 수 없는거죠.

  • @user-vn5ou5jb1i

    @user-vn5ou5jb1i

    5 күн бұрын

    저도 70대지만 국짐은 도저히 용납이 안되고 민주당 지지합니다 지지는 변함이 없습니다

  • @user-iw9lu6fz5o

    @user-iw9lu6fz5o

    5 күн бұрын

    나는 70대초반인데 대레 젊어을때는 보수정당을 지지했는데 노무현 때부터는 진보지지 지금까지 민주당 열열 지지하고있음!!국짐당 세력은 절대로 지지 할수가없음!!

  • @hslim1126

    @hslim1126

    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식의 진보, 보수 구분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저는 유교적 가치관을 버리기 어려운 70대인데도 국힘으로 대변되는 보수세력은 혐오감으로 거부감이 큽니다.

  • @user-gv4rl3ju2x

    @user-gv4rl3ju2x

    4 күн бұрын

    저도 생활할땐 보수적인데 민주당 지지해요.. 지지하는 이유는 국힘당은 도저히.. 국힘당 견제해달라는 의미에서 지지해요.

  • @user-yz7cg4yo2p

    @user-yz7cg4yo2p

    4 күн бұрын

    지금 EU에서 극우 돌풍이 불고있다고 하는데 그들의 주장이라봐야 이민자 반대와 보호무역 정도입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그정도는 디폴트죠. 민주당의 스탠스라봐야 유럽에 갖다놓으면우파, 그것도 중도보다 극우에 더 가까울 정도밖에 안된다는거죠.

  • @user-pd1xr2op1n
    @user-pd1xr2op1n6 күн бұрын

    유작가님은 진보,보수가 아닌 지식천재로 이해쏙쏙 설명도 쉬워 존경합니다. 최교수님, 조변호사님 응원합니다.

  • @user-qz4nd8wm3r

    @user-qz4nd8wm3r

    Сағат бұрын

    🔝🏆

  • @user-vm5om7ip2y
    @user-vm5om7ip2y5 күн бұрын

    정말 유시민은 똑똑하다. 자연과학. 인문학.종교학. 모르는것이 없다. 정말 대한민국의 석학이다. 대한민국의 보물이다

  • @user-mq2jo5uf8y
    @user-mq2jo5uf8y5 күн бұрын

    최교수님의 예수에 대한 말씀이 상당히 인상적입니다. 뭐 저도 모태신앙으로 자랐다가 지금은 부정하는 입장인데요. 쌤이 말씀하신 예수에 대한 연구는 너무 와닿네요.ㅋㅋㅋ 맞습니다.예수라는 젊은이는 만약 사실이라면 누구보다 진보적이고 유전자의 법칙에 저항했던 사람이겠죠.

  • @user-yp7ok5zs4q
    @user-yp7ok5zs4q5 күн бұрын

    유전자 변이와 종교적인 문제가 절 자주 괴롭히는 주제였는데 말끔히 해결되어 아주 기분 좋은 강의였습니다. 최정균 교수님 훌륭한 저서 출간 넘 고맙습니다.❤❤❤

  • @dalliimkim9427
    @dalliimkim94275 күн бұрын

    GMO에 대한 새로운시각 참신하네요

  • @be9743
    @be97435 күн бұрын

    최정균 교수님 좋은 책과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덕분에 새로운 시각에서 생각할 기회가 되었습니다 사랑하는 유작가님 조변호사님 알릴레오북스 고맙습니다

  • @GS-mq8fq
    @GS-mq8fq5 күн бұрын

    흥미롭고 유익해서 반복해서 듣습니다 서점도 자주 가게되었습니다 최정균 교수님ㆍ유시민 작가님 감사합니다 ^^

  • @topoftopkim4067
    @topoftopkim40676 күн бұрын

    완전 쏙 빠져서 방송을 시청했습니다 재밌고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곰곰히 곱씹어 볼 거리도 많았구요 세분 감사드립니다 특히 목상태가 안 좋으신데도 열심히 해주신 유작가님 감사드립니다

  • @user-xf1qp6de1z
    @user-xf1qp6de1z6 күн бұрын

    5시즌 알릴레오 왜이렇게 재밌죠...❤

  • @user-xb9tz9pc9v
    @user-xb9tz9pc9v4 күн бұрын

    시냅스 자극이 엄청났던 회차입니다. 여러분야에서의 유전자입장을 들은것, 최교수님이 던지고자 하신 메세지. 쉽게 잘 전달해주신, 유시민님의 통찰과 표현. 지적인 자극으로 너무 즐거웠습니다. 준비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려요👍

  • @jinkim8102
    @jinkim81025 күн бұрын

    저도 어렸을때부터 교회를 다니다가 지금은 무신론자에 가깝게 되었는데요. 제가 느낀 부분이 최교수님이 얘기하신 부분과 맞다아 있어서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저도 책 사서 꼭 읽어보겠습니다.

  • @seogminchoi3707
    @seogminchoi37074 күн бұрын

    근래 본 책 중 제일 좋았습니다. 감탄이 나왔어요. 카이스트 지드래곤 할 때 교수별거 없네 속으로 생각했는데.. 선지자 느낌나네요

  • @DANBItheYorkie
    @DANBItheYorkie5 күн бұрын

    논쟁적인 주제부터 기존에 가지고 있던 관념을 완전히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드는 주장까지 정말 흥미진진한 내용 이었습니다. 이런 수준 높은 대담을 집에서 편하게 볼 수 있다니. 알리레오 북스 덕분 입니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if4du7ve7n
    @user-if4du7ve7n5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책~ 꼭 사보려구요

  • @elcamino4799
    @elcamino47995 күн бұрын

    최정균 교수님의 연구와 책 출판에 감사드립니다. 지적 사유와 사회적인 성찰을 하게 만들어주시네요. 이제 책을 직접 읽으며 삶을 돌아보겠습니다.

  • @kimangela1024
    @kimangela10245 күн бұрын

    진보성향인 내가 그래서 무교인가봄 ㅋ 흥미로운 얘기들이 너무 많네요. 잼있게 봤습니다 ㅎ

  • @user-in4db9rv3y

    @user-in4db9rv3y

    4 күн бұрын

    제행무상의 부처님 가르침은 진보 그 자체

  • @user-wf3iw5ll5y
    @user-wf3iw5ll5y5 күн бұрын

    유전자지배사회 2부도 잘보았습니다. 유시민샘,조수진샘,저자님,스탭님들의 수고덕분에 우리나라가 조금씩이지만 서서히 좋은나라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응원합니다.

  • @juliekim5998
    @juliekim59985 күн бұрын

    크리스찬이지만 너무 재밌네요. 진보적이면서 크리스찬일 수 있습니다.

  • @user-rl5xq7if6m
    @user-rl5xq7if6m5 күн бұрын

    두 분 이번에 특히 더 흥미로워하시는 것 같아 재미있었어요. 이번 방송 정말 즐겁고 유익하게 봤습니다. 기분 좋네요👍

  • @h2436
    @h24365 күн бұрын

    오늘 역대급방송 중 하나가 될듯요❤ 너무 너무 좋았습니다bbbb

  • @annamjae8874
    @annamjae88745 күн бұрын

    잘듣고도 궁금하여 주문해 독서모임에서도 한 번 더 읽고싶습니다.^^

  • @user-oz6me9rn8o
    @user-oz6me9rn8o6 күн бұрын

    굉장히 유익한 알릴레오! 최정균 교수님 덕분에 저를 힘들게하는 주변인에게 선물 해야겠어요. 제가 창조주와 예수님을 믿게하는 것이 당신의 사명감 이라고 하는 분 . 이런분 너무 힘들어요. 감사합니다.

  • @changinkorea
    @changinkorea4 күн бұрын

    인간은 DNA의 제약을 벗어나려 하는 존재라서 특별하다는 말씀에 무릎을 쳤습니다. 그것이 인류가 정치제도를 포함해 문명을 발전시켜 온 바탕이겠죠. 그런데 21세기 대한민국에는 인류의 발전을 역행하는 무리들이 있어 걱정입니다만, 현명한 시민들이 이 또한 이겨내리라 믿습니다. 오늘도 좋은 책을 탐험하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NewYork_NJ
    @NewYork_NJ5 күн бұрын

    나이 들 수록 세상 돌아 가는 이치를 아니. 난 더 극좌가 되갑니다. 혁명이 없이 세상이 변할 수 있을까요 ?

  • @user-yp7ok5zs4q

    @user-yp7ok5zs4q

    5 күн бұрын

    저도 그렇습니다. 이 무능하고 포악하고 비열한 륜 정권에서는 더 극좌가 되고 있습니다. ㅜㅜ

  • @user-et8mq9bg8w

    @user-et8mq9bg8w

    5 күн бұрын

    혁명이 오기전. 분노가 쌓이고 있는 시간을 견디고 있는 요즘 언젠가 모두가 함께 표출해 한번은 다 갈아엎고 싶은데 아직은 때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ㅠㅠ

  • @user-or7tr3yd4q
    @user-or7tr3yd4q4 күн бұрын

    감동이네요 낡은옷을벗고새옷을입은느낌 두껍고딱딱해진굳은껍질을걷어낸느낌 감사합니다~

  • @user-pj3oj4if8t
    @user-pj3oj4if8t5 күн бұрын

    책 분량 때문에 담지 못한 내용도 많을것 같아요~ 후속작도 기대할께요 요즘 알릴레오 책선정 폼이 좋습니다.

  • @ssari-zm6yu
    @ssari-zm6yu4 күн бұрын

    날라리 크리스천입니다. 최교수님처럼 탈기독교인은 되지 않았습니다. 말씀하신 것 중에 예수님에 대한 사유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그 시대의 혁명가를 그들은 다시 자신들의 권력을 공고히 하는데 사용했으니까요. 굳어져 가는 신념에 새로운 기름을 부어주셨어요. 늘 도파민을 갈구하는 인간으로 살겠습니다~^^

  • @user-ld1tb2ur8m
    @user-ld1tb2ur8m5 күн бұрын

    늘 느끼는 것이지만ㆍ 질문을 참 잘해주신다ᆢ 유시민 작가님은~

  • @user-oz6me9rn8o
    @user-oz6me9rn8o5 күн бұрын

    제 가치관과 닮아서 이해가 좀 더 빠르게 다가옵니다. 최정균 교수님. 쵝오🎉!

  • @jhj2790
    @jhj27905 күн бұрын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독서를 거의 하지 않는 사람인데 알릴레오북스 너무 좋습니다~

  • @my_info
    @my_info5 күн бұрын

    무조건 읽어봐야겠네요 1부 들을땐 몰랐는데 작가의 생각에 깊이가 느껴집니다

  • @jhkim2655
    @jhkim26555 күн бұрын

    내가 왜 사는가 나는 무엇으로 사는가에 대한 깊은 생각의 길로 인도 하시네요.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dm7cv5bs6n
    @user-dm7cv5bs6n6 күн бұрын

    최정균 교수님 이번 책은 참으로 역작이라 할만합니다. 정보량도 어마어마하고 의견제시 또한 매우 도전적이고 그입증의 수준과 인용의 방대함..모두모두 놀랍습니다.이기적 유전자보다 더 훌륭한 저술이라 생각합니다

  • @yong3571

    @yong3571

    5 күн бұрын

    예전에 읽으셨나요 아님 이 곗 기로 읽으셨나용??

  • @estest82

    @estest82

    3 күн бұрын

    오....바로사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mimiru324
    @mimiru3245 күн бұрын

    꼭 읽어볼래요. 너무 공감되는 시간이었어요.

  • @summerseo6596
    @summerseo65965 күн бұрын

    오늘도 넘 재밌었음. 원래 철학, 사회학, 심리학 책 좋아하는데 유시민 작가님과 알릴레오 덕에 과학 서적도 좋아졌음

  • @user-hd1kk4ww9b
    @user-hd1kk4ww9b5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집중하게 되네요. 책사봐야겠어요.

  • @user-sv1uf7yd5l
    @user-sv1uf7yd5l5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들었습니다.^^ 책도 구매해서 정독해 봐야겠습니다.^^

  • @Btype_Ebony
    @Btype_Ebony5 күн бұрын

    유전자와 인간과의 관계해석정도로 단순하게 생각하고 봤는데 인간의 실존과 관념에 대한 결론까지 닿을 거라곤 생각하지 못했네요 불교의 화엄에 관한 생각도 이어지면서 간만에 많은 생각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영상감사합니다

  • @user-pg4cz7cl3j
    @user-pg4cz7cl3j5 күн бұрын

    극우보수세력이 특히 선거시기에 총풍사건 등 불안을 조성하는 것도 유전학으로 설명이 되는군요.

  • @user-pw2ft5wk6x
    @user-pw2ft5wk6x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뇌가 없다란 말이 이해가 간다..보수와 진보의 차이 내용에 무릎을 탁 쳤다..넘 대단한내용~

  • @blacktiger179
    @blacktiger1795 күн бұрын

    앞으로도 늘 유시민작가님 마음과 눈과 뇌를 통한 판단과 느낌을, 계속 이어받아 얻어 먹으며 살고 싶습니다.^^

  • @user-dy9xj3eh1s
    @user-dy9xj3eh1s4 күн бұрын

    최교수님 조용조용히 과감하고 부드러운듯하나 강하고 순한듯하면서도 도발적인 분인듯~ 그래서 좋아요 책도 구매했지요

  • @user-qh6hq5ji8g
    @user-qh6hq5ji8g5 күн бұрын

    50대의 나이에 부산에 살면서 거기다가 교회까지 다니는데 진보적인 유전자 를 갖고있어서 좀 힘듦🤔

  • @user-hd1kk4ww9b

    @user-hd1kk4ww9b

    5 күн бұрын

    힘드시겠어요~~공감이요.

  • @ruru-tn7du

    @ruru-tn7du

    5 күн бұрын

    화이팅요!

  • @Bellazumma39
    @Bellazumma394 күн бұрын

    최정균 교수님 책 더 많이 많이 써주세요. 이번 방송을 통해 교수님 이름으로 출간 될 앞으로의 책이 기대되는 일인입니다!!

  • @freebud5801
    @freebud58015 күн бұрын

    이번 영상 정말 최곱니다! 두 분 말씀 들으니 친구들과 같은 책을 보고 열띤 이야기 나누던 생각이 많이 났습니다. 처럼 앞으로도 논쟁적인 책 많이 다루어 주세요!!!

  • @user-gg6qb8nt4x
    @user-gg6qb8nt4x5 күн бұрын

    늘 감사드립니다. 최교수님 훌륭한 책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user-qe2lq6xk7b
    @user-qe2lq6xk7b5 күн бұрын

    너무 잘 들었습니다. 책을 꼭 사서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특히 종교 부분은 같은 고민을 했던 사람으로 더욱 흥미로웠습니다. 유시민 작가님의 신간과 함께 사러 갑니다♡ 고고!!

  • @choibonggyu1526
    @choibonggyu15265 күн бұрын

    퇴근후 주차장 차 안에서 듣고 있어요. 참 즐겁고 행복합니다

  • @user-nv6wr3zx1b
    @user-nv6wr3zx1b4 күн бұрын

    그나마 진보성향이 보이는 한국 천주교는 호감입니다. 언제나 약자의 편에 서서 목소리 내주는 게 감사함.

  • @user-dl5qe4lh3d
    @user-dl5qe4lh3d5 күн бұрын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듣자마자 다시 듣기합니다.

  • @user-lj7tl8jz2k
    @user-lj7tl8jz2k5 күн бұрын

    평소에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았었던 주제라서 너무 재밌었네요

  • @kyungshinlim8261
    @kyungshinlim82614 күн бұрын

    알북을 통해 삶의 관점이 변하고 있어요 그동안 궁금했던 많은 것들을 품격있는 멋진 분들을 매회 모시고 들을수 있어서 정말 고맙습니다😊

  • @PeaceLoveWorld-om4zx
    @PeaceLoveWorld-om4zx5 күн бұрын

    고통이 있고, 살기 힘들 곳일수록 종교는 더 진화한다. Ex) 듄2

  • @user-bz9tu1zx8u
    @user-bz9tu1zx8u5 күн бұрын

    오~재밌네요. 불안-편도체-감정-세로토닌-보수. 주변의 보수성향 사람들 이해하는데 또하나의 창이 생긴듯해요.

  • @ssuleelee777
    @ssuleelee7773 күн бұрын

    보수와 진보의 유전학적 분석 넘 재밌게 보았습니다. 1~6장 모두 흥미진진한 주제였습니다. 당장 구매했습니다~

  • @user-wc7oj5zd4t
    @user-wc7oj5zd4t6 күн бұрын

    너무너무너무 재밌어요 어떻게 유시민 작가님을 안 사랑할 수 있나요

  • @wlsl3159
    @wlsl31594 күн бұрын

    와 알릴레오 볼때마다 인간에 대해 자연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어 너무 좋아요!!❤

  • @user-rc8qv3mx4r
    @user-rc8qv3mx4r5 күн бұрын

    이번 편 진짜 흥미롭게 잘 보았습니다. 책도 꼭 읽어봐야 겠네요 ㅎㅎ

  • @user-pr5og4ix2n
    @user-pr5og4ix2n4 күн бұрын

    전 요즘 시민이형 표현력이 왜이렇게 코믹하고 재밌는걸까요ㅎㅎ 이제 예능감까지 장착하신 듯ㅋ

  • @2008PNK
    @2008PNK4 күн бұрын

    이번 책에서 유작가님과 조변호사님의 열띤 반응과 학문을 넘나드는 토론이 인상적입니다! 앞으로도 이런 논쟁이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반유전적 인간으로 살아갈수 있으려면.. 지금처럼 '자연순종적' 사회시스템으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최교수님의 다음 책에서는 그 방법을 기대해 볼수 있을까요?

  • @Yun-JC
    @Yun-JC6 күн бұрын

    다음주 주제는 역전다방의 박태균 교수님 책이네요. 기대 됩니다. 이 분 역사로 보는 국제 정세 분석에는 정말 탁월한 분이죠

  • @endingdaynever6043
    @endingdaynever60435 күн бұрын

    반복해서 시청하는것도 좋지만, 열심히 메모하면서 듣는 강의같은 영상 . 필기한 내용이 많네요. ㅎ 좋은 내용의 컨텐츠 감사합니다.

  • @user-ae0rk1on1m
    @user-ae0rk1on1m6 күн бұрын

    4장을 특히 재밌게 읽었습니다. 수많은 연구 결과이 바탕이된 주장에 고개를 끄덕이다가도 가끔 이게 맞나 싶은 부분들도 있었어요. 예를 들면 편도체의 크기가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중요한 지표라고 말씀하시는데 그런데 우리 사회를 보면 세대에 따른 진보 보수의 비율의 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부모님은 보수적인데 자식들은 진보적인 케이스도 많이 보입니다. 그럼 70대 이상은 편도체가 큰 세대고 40대는 상대적으로 편도체가 작아서 일까요? 아니면 그들이 늙어서 편도체가 활성화되서 일까요? 사실은 그것이 아니라 그 세대가 살아오면서 어떤 공포와 혐오를 주입당했는지가 더 중요한 요소가 아닐까요. 70대 이상 세대들은 그들이 보수적 유전 변이를 가져서 혹은 늙어서가 아니라 그들이 이미 젊은 시절부터 전쟁의 공포와 북한에 대한 적개심을 끊임없이 주입당한 세대였고 반대로 40대는 그들의 20대일때 이명박이라는 사회현상을 겪으면서 반대로 보수적 사상에 대한 거부감이 가지게 되었습니다. 공포와 혐오라는 유전자가 만든 인간의 본능을 어떤 집단이 먼저 선점하느냐에 따라 갈리는 것이 크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한국의 정치는 진보/보수로 구분할 수 없다는 반론이 나온다면 저는 그 주장에 동의합니다. 상당히 단정적인 문장들이 많았지만 수많은 레퍼런스를 보면서 이 분은 그렇게 주장할 만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금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재밌었습니다. 주변에 꼭 읽어보라고 추천하겠습니다. 유시민 작가님 조수진 변호사님 좋은 책 추천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날이 더운데 건강 유의하세요 알릴레오 북스 화이팅💛

  • @heavymetal4077

    @heavymetal4077

    5 күн бұрын

    감히 추측을 해보자면..우리나라의 진보 보수는 지금 말하고 있는 진보 보수가 아니기 때문에 우리 현실과 대입하면 괴리감이 있는거같아요..제가 생각하기에는 우리나라의 작금의 보수라는 집단은 보수가 아니라..맹목적인 파쇼집단에 가까운 성질을 띠는거같음..오히려 진보라고 하는 분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보수에 가까운거같음..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우리나라는 지극히 보수적인 국가이고 거기에 다수의 파쇼무리들이 섞여있다..이렇게 생각해보면 이해가 가더라구요..세대간에 괴리가 커지는게..

  • @user-fg4zo3pg8b
    @user-fg4zo3pg8b5 күн бұрын

    책을 구입했습니다. 끝까지 읽어보겠습니다. 이 영상이 많은 도움이 될듯요~

  • @user-ss9wy4ps6t
    @user-ss9wy4ps6t5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 ~^^ 배울점이 많은 책들을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jazzy9458
    @jazzy94585 күн бұрын

    1부도 정말 재미있었는데 2부는 더 더 재미있네요. 시간가는 줄 모르고 봤습니다. 최정균님 다음에 또 얘기 들어보고 싶네요.

  • @chulhong546
    @chulhong5465 күн бұрын

    잘 보고, 이해하려 애쓰고, 따라서 이토록 유익한 방송이라니...라고 감탄하게 됩니다ᆢ만, 돌아서면 잊혀지는ㅠ 오늘도 고맙습니다. 시민이형, 조수진 변호사님, 최정균 교수님!

  • @user-th5sy8qo4z
    @user-th5sy8qo4z5 күн бұрын

    방송 너무 좋았습니다!! 책 꼭 사볼께요!!

  • @kimyeohyeon518
    @kimyeohyeon5186 күн бұрын

    많이 기다렸어요!!

  • @user-jw4ej8ny5k
    @user-jw4ej8ny5k4 күн бұрын

    유전자 지배사회-> 이과남자의 문과공부~~ 넘 흥미롭게 읽었어요

  • @user-kn3yn6dd8i
    @user-kn3yn6dd8i4 күн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 @user-eo3lh2uj2e
    @user-eo3lh2uj2e5 күн бұрын

    좋아요 수고 하십니다 항상 응원 합니다

  • @user-fr8fq1mq9c
    @user-fr8fq1mq9c5 күн бұрын

    재미도 있고 유익했어요 ❤

  • @user-sp1rp4cy8s
    @user-sp1rp4cy8s5 күн бұрын

    책 샀어요.

  • @boa20071
    @boa200715 күн бұрын

    인간의 생존과 도덕본능의 충돌이 동감으로 이타적 유전자가 살아남는거 같아요. 역시 도파민이었네요.

  • @nycwa
    @nycwa5 күн бұрын

    늠나 재밌게 보고있어요!! 이런 게 지식테인트먼트!! 입니다 ❤❤❤

  • @user-uj3qb8pt3l
    @user-uj3qb8pt3l6 күн бұрын

    응원합니다

  • @user-wv3he1gr2l
    @user-wv3he1gr2l2 күн бұрын

    아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다 읽고 독후감 느낌으로 유튜브시청했습니다 유익한 시간이었고 교수님 다음책이 기대됩니다

  • @goyobird
    @goyobird6 күн бұрын

    오늘의 운동을 함께할 영상♡

  • @PeaceLoveWorld-om4zx
    @PeaceLoveWorld-om4zx5 күн бұрын

    배우고 익히니 얼마나 즐거운가.

  • @tree4427
    @tree44274 күн бұрын

    와 너무 재밌는 책읽기 였습니다. 살 책이 또 늘었네요

  • @EdJ-zl9jf
    @EdJ-zl9jf5 күн бұрын

    국힘은 보수가 아니라 일제강점기가 낳은 기형적 이익집단이죠. 세대가 교체되면 민주당이 중도 보수 포지션을 차지하고 새로운 진보 세력이 많이 나타날거라 기대합니다.

  • @user-et5sv9gk8z
    @user-et5sv9gk8z6 күн бұрын

    소개하시는 책들 구입하며 읽어나가기 중입니다. 따라가기 조금 버겁긴 해도 새롭게 독서의 희열을 느끼게 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coomipark5176
    @coomipark51765 күн бұрын

    하루 종일 들을 수 있을 것 같아요.

  • @mshan2030
    @mshan20305 күн бұрын

    전에는 노인이라는 의미를 기득권을 가진 존재로 생각했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과거에도 현재에도 스티그마가 찍힌 존재라는 생각이 듭니다. 인구 분포의 변화에 따라서 앞으로의 노인들은 이전의 노인과 다른 결정들을 하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책은 구입해서 잘 읽어보겠습니다.

  • @mcane6941
    @mcane69412 күн бұрын

    참신한 내용에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제가 왜 진보인지 알게된, 우리 가족이 진보가 될 수 밖에 없는 분위기라는^^

  • @baseon4649
    @baseon46495 күн бұрын

    일주일 기다렸어요♡

  • @gimdam
    @gimdam5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당~

  • @user-ko5eh7tj2x
    @user-ko5eh7tj2x5 күн бұрын

    알릴레오 덕분에 좋은 책 알게되었네요 ㅎㅎ 최근에 구매한 책들 다 읽고나면 이후에 책 사서 한번 읽어볼게요 ㅎㅎ

  • @user-eg1jk9nn7p
    @user-eg1jk9nn7p5 күн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합니다 감사드려요

  • @anej4710
    @anej47105 күн бұрын

    유작가님!존경합니다😊

  • @Tara0829
    @Tara08295 күн бұрын

    소중한 시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t5bh7ss9p
    @user-xt5bh7ss9p5 күн бұрын

    오늘도 많은 공부가 됐습니다 꼭 읽어 보고 싶네요❤

  • @user-fi3kr8xq8w
    @user-fi3kr8xq8w5 күн бұрын

    공감되고 이해되고 동의 합니다 머릿 속이 많이 정리되고 안정 되네요 4.5점 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 @user-hm1fg9mm8z
    @user-hm1fg9mm8z4 күн бұрын

    역시 알릴레오 북스. 박수와 응원 갈채 보냅니다!

  • @user-jg6dd1qs2m
    @user-jg6dd1qs2m4 күн бұрын

    언제 봐도 행복한 사유의 시간. 선물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y.h.n4004
    @y.h.n40045 күн бұрын

    어, 재밌네?

  • @user-wp5uv8he2e
    @user-wp5uv8he2e5 күн бұрын

    저는 인간이 자연보다 중요한가에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자연이 있어야 인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와 생각이 다른 부분도 있어서 흥미롭게 봤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