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스 25(Universe 25) 실험: 유토피아는 존재할 수 있을까?

1972년 생태학자 존 B 칼훈은 쥐들를 위한 유토피아를 건설했고 그들의 웰빙, 장수, 짝짓기를 위한 모든 것을 충분히 제공했습니다.
사실 그는 1940년대부터 이런 실험을 지속해왔는데, 그 결과는 한결같았죠.
과밀화는 폭력과 과잉 성적 활동을 낳고 그 후에는 무성애, 자기파괴, 멸종으로 이어진다는 것.
* 좀 더 깊이 탐구해 보세요 *
1973년작 소일렌트 그린은 재앙 수준의 인구과잉으로 식량이 부족해지며 소일렌트 그린이라는 식품으로 생존하게 되는데 이 식품의 재료에는 충격적인 비밀이 있습니다.
넷플릭스에서 방영중인 2020년작 설국열차 역시 인구를 통제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불안정한 생태계를 보여줍니다.
존 B. 칼훈에 대하여 ko.wikipedia.org/wiki/존_B._캘훈
후원으로 영상제작에 힘을 주세요 🐦
/ sprouts
다른 언어의 채널들도 둘러보세요
영어: / @sprouts
스페인어: / sprouts español
독일어: / @sproutsdeutschland
태국어: / @sproutsthailand
중국어: / @sproutschinese
터키어: / sprouts türkiye
러시아어: / @sproutsrussia
페르시아어: / @sproutsfarsi
프랑스어: / @sproutsenfrancais
이태리어: / @sproutsitalia
에스페란토어: / @sproutsesperanto
포르투갈어: / @sproutsportugues
인도네시아어: / @sproutsindonesia
출처 및 수업자료 🎓
sproutsschools.com/
마음에 드시는 주제에 투표하시거나 새로운 주제를 제안해보세요 🔊
sprouts.featureupvote.com/
이 영상은 후원자분들의 도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Adam Berry, Alfred Holzheu, Anil Raut, ArkiTechy, Artur, azad bel, Badrah, Bradley Klimovitch, Cedric.Wang, Christoph Becker, cnotv, Cory McAbee, David Markham, Delandric Webb, Digital INnov8ors, Dr. Matthias Müller-Mellin, Duane Bemister, Elias Reuss, Eva Marie Koblin, F J V Souza Fh, Gerardo Enrique Nieto, Heart of Texas Play Therapy, LLC, Izzy, jakob steensig, Jeffrey Cassianna, Jim Pilgrim, Joanne Doyle, jun omar ebdane, Leonel, Liam Dalling, Linda Kinkead, Linus Linderoth, Lucia Simone Winston, M. Allen, Mambo no 9, Marcel, María, martin, Martin Streule, Martina Hrebenarova, Mathis Nu, Mezes.Macko, Michael Paradis, Natalie O’Brien, Okan Elibol, Oweeda Newton, Peihui, Povilas Ambrasas, Raymond Fujioka, SAMAR ABDULKADER DAKAK BADAWI, scripz, Sigrid, Solongo Ganbat, Stefan Gros, Suppasit Srisaeng, Taka Kondo, Takashi HIROSE, Tammy Frazier, Thomas Aschan, Yassine Hamza, Yvonne Clapham.
이 외의 많은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www.patreon.com/sprouts 에 오시면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한 이들
대본: Ludovico Saint Amour di Chanaz and Jonas Koblin
그림:: Pascal Gaggelli
채색: Nalin
편집: Peera Lertsukittipongsa
제작: Selina Bador
사운드 디자인: Miguel Ojeda
한글화 작업: 토리 ( onesweetfunnyday@gmail.com )
출처
칼훈의 쥐 실험과 이에 따른 문화적 영향 eprints.lse.ac.uk/22514/
행동싱크 www.cabinetmagazine.org/issue...
쥐 개체수의 폭발적 성장과 소멸 www.ncbi.nlm.nih.gov/pmc/arti...
인구밀도와 사회병리현상 psycnet.apa.org/record/1963-0...
챕터
00:00 도입
00:11 유니버스 25 실험
00:48 실험 초반부
01:12 개체수 급증
02:20 개체수의 정점
02:57 유니버스 25의 멸망
04:04 행동 싱크
#유니버스25 #저출산 #인구과잉
폰트적용: 레시피코리아, 메이플스토리, 나눔손글씨장미체

Пікірлер: 339

  • @Baby-gumiho_haerin
    @Baby-gumiho_haerinАй бұрын

    흔한 수도권 과밀화 현재 대한민국이잖아?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5 күн бұрын

    교미를 쉽게 할 수도, 먹이를 거저 주지도 않는데? 저 쥐들보다 나을게 없지 ㅋㅋㅋㅋㅋ

  • @rkaxksgka

    @rkaxksgka

    24 күн бұрын

    ​@@user-ts5bs8ll3r 환경은 항상 좋아짐

  • @Julie69_69

    @Julie69_69

    24 күн бұрын

    @@user-ts5bs8ll3r 이게 맞지 ㅋㅋ

  • @gy__

    @gy__

    23 күн бұрын

    @@user-ts5bs8ll3r이렇게 좋은 영상을 보고도 거기까지밖에 생각을 못하다니, 님은 그냥… 평생 그렇게 사세요

  • @user-habell774

    @user-habell774

    21 күн бұрын

    사회적 지위를 잃고 싸움을 하는 것들, 번식을 포기하고 자아도취에 빠진것들, 자기위치를 지키기위해 동족포식을 하는것들... 맙소사

  • @leechanghyun
    @leechanghyunАй бұрын

    유니버스 25 실험 유명하죠... 당시에 존 B 칼훈은 전쟁 당시부터 계속 실험해서 냈던 결과였는데 이게 현대 사회 특히 우리나라 모습과 비슷하여 다시금 주목 받고 있죠.... 저 또한 쥐들은 생애주기가 있어 세대별로 변화가 빨랐다지만 인간 사회가 몇십년 차이로 이런 모습을 보인 것은 엄청난 결과라고 봅니다... 부디 우리도 다음 세대를 위해 힘낼 수 있고 국가나 제도적인 절차에서도 확실하게 나올 수 있다면 좋겠네요. 부디 한국이 멸망하지 않기를...

  • @hamter_Kong

    @hamter_Kong

    Ай бұрын

    쥐랑 사람은 다름, 칼훈이 실험하면서 설정한 환경이랑 우리가 사는 환경은 다름, 종에 따라 실험결과가 달라짐

  • @leechanghyun

    @leechanghyun

    Ай бұрын

    @@hamter_Kong 실제로 쥐랑 인간 종간의 차이로 인해 실험 결과가 인간 사회와 다르게 적요오딜거라는 의견도 많고 분명히 인간 사회에는 변수가 더 많아 다르지만 저 쥐들이 가진 환경이 우리나라의 지정학적이나 경제•사회적으로나 비슷한 점이 많다고 생각되네요. 또한 저 실험이 이미 몇십년전인데 현재 한국 상황이 비슷해진걸 보면 마냥 쥐와 인류가 다르다고 넘어갈 문제가 아니며 시사점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되네요. 물론 제 생각이지만여

  • @user-ir6pn3of3i

    @user-ir6pn3of3i

    Ай бұрын

    ​@@leechanghyun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듯 애당초 인간 사회의 복잡함을 먹이충분히 공금해주는 쥐들이랑 비교하는거자체가 좀 덜떨어졌다고 밖에는

  • @leechanghyun

    @leechanghyun

    Ай бұрын

    @@user-ir6pn3of3i 애초에 칼훈은 인간 사회는 쥐와는 다르기에 우리는 결국 살아남을걸라고 했다고 하지만 결국 고립된 사회에서는 통제되지 않는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고 붕괴되기도 하는 것도 이미 예견된 수순이라는게 현대 사회학 이론입니다. 제가 이 영상에 인간과 쥐를 비교하는 글을 써서 오해하시나본데 애초에 인간과 쥐가 다르다해도 한국 사회가 곪아썩어가는건 이미 부정할 수 없을텐데여? 그리고 애초에 한국사회는 칼훈의 실험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고는 하지만 칼훈의 실험의 중요성은 쥐들의 사회도 마냥 인간과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거고 결국 인간이란 동물도 언젠가는 멸망하고 그 이유가 다양할거라는 말입니다. 인간이 지적생물체라서 오해하시는거 같은데 오히려 과학을 배우신 분이라면 인간이 얼마나 평범하고 그리 대단하지는 않은 생명체라는걸 알겁니다. 물론 저는 그런 평범한 생명체가 지구의 씨앗이 되어 우연과 노력으로 열매을 맺었다는 점에서 인간을 예찬하지만 그렇다고 멸망하지 않을거라는 말은 오만이라고 생각하네요. 게다가 저 위에 글도 수정되었는데 처음엔 저런 내용의 글도 아니었구여 ^^

  • @user-ir6pn3of3i

    @user-ir6pn3of3i

    Ай бұрын

    @@leechanghyun 너가 저기나온 쥐실험이랑 갑자기 한국사회를 비교한건 팩트인데 딴소리하네 논점 파악 제대로하고 이상하게 말돌리지말고 ㅋㅋ

  • @rain_fragrance
    @rain_fragranceАй бұрын

    저 실험이 재밌는게 다른 사람들은 저 실험을통해 인류의 파멸을 봤는데 정작 칼훈 본인은 쥐와 인류는 다르기에 희망을 품음

  • @user-ef9rw7zl8k

    @user-ef9rw7zl8k

    Ай бұрын

    쥐와 인류가 달라서 이빨 말고도 무수히 많은걸 이용해서 서로 조지는중

  • @user-yu5bf4me3d

    @user-yu5bf4me3d

    Ай бұрын

    그리고 저렇게 번식한게 근친상간 때문일수도 있다고 봤음

  • @gege2830

    @gege2830

    28 күн бұрын

    Ai가 유토피아 만들어줄거당

  • @user-ti5ly7yd7v

    @user-ti5ly7yd7v

    19 күн бұрын

    @@gege2830 유토피아 만들어주는 과정이 중요한게 아닐까? 왜 본인이 유토피아에 있을거라고 생각하지? 어떤 해결책을 내놓을지 모르는데

  • @kcj3cf

    @kcj3cf

    19 күн бұрын

    @@user-yu5bf4me3d4년이면 가런거업ㄱ음

  • @PPPI690
    @PPPI69021 күн бұрын

    신: 코리아25 실험에 참가해주시는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seize4085
    @seize40851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도 수도권에만 사람이 몰려서 비슷한 과정을 겪고 있는 것 같은데...

  • @FistDance
    @FistDanceАй бұрын

    오..흥미롭다 구독

  • @BSilverL
    @BSilverLАй бұрын

    칼훈 님이 마지막에 말한 것처럼 단순히 공간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인 개념으로 이 실험을 인식하고 인류가 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류는 타 종들에 비해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니 단순히 인구 밀집도나 인구수가 많다고 쥐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도 않지만 그렇기에 밀집도가 적다고 안심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닌거 같아 보입니다

  • @user-gb9ni8kv2h
    @user-gb9ni8kv2hАй бұрын

    그냥 한국이네...

  • @Aeon.S.J

    @Aeon.S.J

    Ай бұрын

    ㄹㅇ 걍 쥐굴 수준ㅋㅋ

  • @user-up3nl5lb8k

    @user-up3nl5lb8k

    27 күн бұрын

    인간사회가 자원이 무상히 지급되는 사회에서도 결국 전멸하는 쥐랑 같은게 말이 됨? 쥐는 그때마다 본능적으로 행동하지만 인간은 필요할때마다 본능을 억누르는게 가능함

  • @ringo197

    @ringo197

    26 күн бұрын

    ​@@user-up3nl5lb8k인간 개개인은 본능을 억누르는게 가능하지만 거대한 사회 전체는 생명체의 본능대로 흘러가게 되어있음. 한국사회도 저 실험의 쥐처럼 스스로 자연소멸 중이잖음?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5 күн бұрын

    우린 충분히 먹이를 공급해주지도, 교미를 쉽게 할수도 없는데? ㅋㅋㅋㅋㅋㅋ

  • @user-or5un9hz1c

    @user-or5un9hz1c

    24 күн бұрын

    @@user-ts5bs8ll3r공통점을 찾아봐 좀 인구밀도가 높아지면 번식도 줄고 사회적 유대가 끊어진다잖아 어쩌면 우리나라도 인구가 많아서 출산률이 줄고 사회적 유대가 끊어진걸수도 있지라고 생각이 안 듦?

  • @user-md9ls6uu9x
    @user-md9ls6uu9xАй бұрын

    A wonderful channel, full of explosive colours

  • @user-jx1fk9te9o
    @user-jx1fk9te9o26 күн бұрын

    이거 그냥 한국이잖아ㅋㅋ

  • @kgb8h5
    @kgb8h522 күн бұрын

    이런 인간에대한 이해를 알려주는 영상 참유익하고 좋습니다 지금현재 한국사회에 필요한지식이네요 우리나라는 학교에서 국영수 사과를 가르킬게 아니라 이런 자연계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역사를 가르켜야 합니다. .

  • @user-kq6zb3zs6s
    @user-kq6zb3zs6s18 күн бұрын

    흥미로워요

  • @gh-gz8bo
    @gh-gz8bo15 күн бұрын

    무엇을 보고 어떻게 살지 고마운 영상 감사합니다

  • @user-xn9el6rn1l
    @user-xn9el6rn1lАй бұрын

    '사회적인 유대감을 형성하는 능력'이거가 참 귀중한데.. 이게 없으면 다시 회복되지 못할거야.. 이걸 회복시킬 방법을 모색해야

  • @elmahdi-yl7zi
    @elmahdi-yl7ziАй бұрын

    Your channel is beautiful and pioneering

  • @user-gn9qe4oi2v
    @user-gn9qe4oi2vАй бұрын

    1년마다 한번씩 이영상 주기적으로 올려야할듯 ㅋㅋ잊을만하면 기억나게

  • @user-pc3qy4qh4r
    @user-pc3qy4qh4rАй бұрын

    지금은 이 정신적 도피처인 인터넷과 가상현실이 더 큰 정신적 붕괴를 일으키고 있다는 것. 상위1%의 삶이 가치를 가지며 빠르게 퍼지는 정보는 그것을 경험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경험한 것처럼 속단하게 이르고 기술적 진보가 정보를 편향적으로 취득하도록 경계를 지음으로써 서로 다른 성향간에 교류마저 단절시키고 있죠. 공간적 협소가 이제 통합된 정보 안에서 더 협소한 사람의 입지를 만들어버림

  • @idkimmabanned

    @idkimmabanned

    12 күн бұрын

    그 정신적 도피처 덕분에 인류가 쥐들처럼 완전한 교류능력의 상실을 맞이하진 않을 거라는 것도 아이러니하죠

  • @Franco-ll8ly

    @Franco-ll8ly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습득되는 정보는 무한해졌지만 아이러니하게 한정적인 정보만 교류하는 세상이 되었죠 선택적인 정보들 때문에 옳고, 그름을 따질 줄 모르고 온갖 선전과 선동이 만연해진 세상에 던저진 사람들이 일명 '멍청한 인간'이 되었고 그 멍청한 신념들은 서로를 혐오하며 적대하는 극단에 치닿기 시작했죠 그 자조 섞인 화살은 결국 본인의 삶, 더 나아가 사회적 도덕성을 망치고 있다는걸 깨닫지 못한 채 스스로 파멸의 길로 인도할 뿐이죠 궁극의 유토피아가 이뤄지기 위해선 이기적인 '내적안식' 보다 공리적 '외적평화' 가 우선 선행 되어야 실현 가능하다 봅니다

  • @user-rb9fh5lk2m
    @user-rb9fh5lk2mАй бұрын

    슬프네요..요즘사람들, 그리고 제 모습을 보는것같아서

  • @debrospaul6790
    @debrospaul6790Ай бұрын

    잘곳나오고 밥나오고 못나오는곳, 우리는 거길 군..감옥이라고 하기로 했어요

  • @yeeeyaho
    @yeeeyaho22 күн бұрын

    낙관적으로 본 세상 마저 가상현실 도피 엔딩이라는 거잖아..?

  • @abyssray
    @abyssray23 күн бұрын

    하나 덧붙이면 인터넷공간은 이런 과밀화를 더 잘 느껴지게 하는 듯 무슨 뉴스 하나 떠서 한마디 해볼라고 댓글창 가보면 수천명이 떠들썩거리고 있어서 거부감 느껴짐.. 개중에 튀어야하니까 더 자극적인 행동을 하게 되기도 하고 반대로 조용한 커뮤니티를 찾아 고립되기도 함 인터넷이 접근성이 뛰어난만큼 과밀화의 부작용도 더 심화시키는듯

  • @user-ng2cv5wg2z

    @user-ng2cv5wg2z

    16 күн бұрын

    인터넷의 공간은 무한한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밀도는 다른 양상일텐데요

  • @user-wm2yr3cb3c

    @user-wm2yr3cb3c

    16 күн бұрын

    ​@@user-ng2cv5wg2z 결국 정신적으로 받아들이는건 물리적인 크기가 아니지 않을까요

  • @brynarieddie

    @brynarieddie

    13 күн бұрын

    영상에서 말하는 과밀화랑 님이 말하는 과밀화랑은 전혀 다른겁니다. 과밀화의 문제점은 유한한 공간내에서는 유한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보다 많은 수요자가 발생하면 결국 그 집단 내부에 다양한 방식으로 균열이 생긴단겁니다. 님이 말하는 과밀화는 님이 그냥 ‘꼴보기 싫음’을 감정적으로 호소하는거구요.

  • @brynarieddie

    @brynarieddie

    13 күн бұрын

    @@user-wm2yr3cb3c 문해력 개하타치.. 이거 쓴 댓글작성자나 이 사람이나.. 대한민국 미래가 암울하다

  • @hwanghhmida7086

    @hwanghhmida7086

    7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싫으면 안 보면 되는데 굳이 보면서 댓글 싫네 채팅 싫네 하는 님같은 사람이 나는 이해가 안됨

  • @user-en9nm5eg1m
    @user-en9nm5eg1m20 күн бұрын

    근데 어쨌든 개체수가 다시 줄어들기 시작한다는 건데 그럼 다시 널널하던 때로 돌아간다는 건데. 그래도 멸종이 멈추지 않았다는 게 신기하네 ㅡ.,ㅡ

  • @user-mb9uc9oz5b

    @user-mb9uc9oz5b

    17 күн бұрын

    밀도가 문제가 아니라는 거

  • @user-en9nm5eg1m

    @user-en9nm5eg1m

    17 күн бұрын

    @@user-mb9uc9oz5b 그럼 뭐가 문제일까요?

  • @appianus_9275

    @appianus_9275

    17 күн бұрын

    사회 교류에 대한 기능(지식의 전수)을 잃어버렸다고 했으니 소실되서 그런것 같습니다. 그것 뿐만은 아니고 소수라도 어느정도 새로운 새끼를 낳지 않았다면 정말 널널해졌을때는 이미 노인들만 남아서 새로운 세대를 만들기에는 생물학적 한계였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user-ih9py6bf2z

    @user-ih9py6bf2z

    16 күн бұрын

    과밀화로 정신이 죽어서...

  • @user-iq8ev1vo9y

    @user-iq8ev1vo9y

    16 күн бұрын

    너보다 멋진 알파쥐 빌런쥐들만 남고 착한쥐 경찰쥐 필수쥐 너랑사겨줄쥐는 모두 죽는다 ..

  • @IIIIIIllIllI
    @IIIIIIllIllI17 күн бұрын

    재밌다

  • @GRAZER501
    @GRAZER501Ай бұрын

    이 채널 떡상한다

  • @user-kw8rq2zv5i
    @user-kw8rq2zv5i18 күн бұрын

    모든 선진국들이 베이부머의 성장기 다음에 저출산시대의 성장 정체기를 겪는 과정과 비슷해보이네요...

  • @user-mz3kk6fz9u
    @user-mz3kk6fz9u25 күн бұрын

    결국 유토피아가 되려면 무한대의 공간이 필요한거지.

  • @user-vh3uz5kp4d
    @user-vh3uz5kp4d20 күн бұрын

    고등학교 생명과학 시간에도 배웁니다. 환경저항과 환경수용력이죠.

  • @somedeep-everythingwide
    @somedeep-everythingwide14 күн бұрын

    이 실험은 진짜 중요하다. 현재 전세계의 상황을 그대로 대변한다. 지구는 망쳐지고 있고 경쟁은 심화되고 가정은 무너지고 있다. 근데도 세계는 노동 인구를 늘려야 한다며 난리를 치고 있으니.

  • @user-lr6xl4iy4t
    @user-lr6xl4iy4t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엉ㅅ

  • @SproutsKorea

    @SproutsKorea

    Ай бұрын

    감사해요!!

  • @ksim63
    @ksim6318 күн бұрын

    메타버스가 필요한 이유 필연적이네요

  • @user-iq8ev1vo9y

    @user-iq8ev1vo9y

    16 күн бұрын

    메타버스에 너보다 뽀샵안한쥐 외제차없는쥐 못생긴쥐 돈없는 쥐는 없음 ..

  • @user-ix2qe6sc6f
    @user-ix2qe6sc6f11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의 결정적인 해결책일수 있겠네요. 지능연구자 하워드 가드너에 따르면 그분야에 획을 그은사람은 유년기를 시골에서 보내고 성장후 도시로 온 경우가 많았다더라구요. 어떤 책에선 과학고 같은 최상위 학교에서 하위권인것보다 일반고등학교에서 최상위권에 드는것이 성공할 확률이 높다고 하더라구요. ‘이’ 공동체에서 ‘나’의 역할이 중요한것 같아요. 수도권 과밀화를 해결해야 저출산도 해결되겠네요. 인구가 과밀화되면서 개인은 덜 중요해지고 더 경쟁적이게 된것 같아요.

  • @Gygryy647
    @Gygryy6471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젊은사람들은 현명하네요 스스로 인구조절을 하니

  • @user-or5nn5vn4v

    @user-or5nn5vn4v

    14 күн бұрын

    영상에서 나온 것처럼 정신적인 사망은 이미 겪였고 육체의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게 아닐까요~

  • @o_o3
    @o_o318 күн бұрын

    요즘 세계곧곧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이유로도 볼 수 있겠네요. 인구과밀화 지구

  • @Curse_of_Leo
    @Curse_of_LeoАй бұрын

    세상은 [[멋진 신세계]]가 될 것이다...

  • @Bellsnakebell

    @Bellsnakebell

    22 күн бұрын

    포드님 맙소사!

  • @ddunipeng
    @ddunipeng24 күн бұрын

    저게 미래인데 인간은 쥐와 다르다고 생각하는게 현실을 외면하려는거로밖에 안보이네요

  • @rockofpeople
    @rockofpeople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 저출산 문제에 대해 보다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느낌

  • @user-hd3no2wn9j
    @user-hd3no2wn9j18 күн бұрын

    '인류'가 아닌 '문명'단위로 봐야 한다. 실제로 높은 수준을 이룩한 수많은 문명이 자멸하고 새로운 문명으로 대체되었다. 단순 인구 '과밀'이라는 물리적인 영향이 아닌 아닌 '풍요'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사회 현상인점을 주목할필요가 있다. 실제로 어마어마한 인구밀도를 보여주는 인도만 보더라도 '풍요'와 '안정'이 충족되지 못 한 상황에서 위의 실험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가 그동안 옳다 생각하고 추구했던 이상향이 과연 옳은 것인가 라는 의문점을 가지게 되는 실험일 것이다.

  • @zerocaloriee
    @zerocalorieeАй бұрын

    저 실험환경과 한국이 다른 유일한 점은 더 나아갈 공간이 있다는거그뿐임 실험실은 폐쇠적이였고 한국은 서울을 제 하면 역사적으로도 인구가 딱히 많지 않았음 다만 한국인들이 남들 눈치보는 특성이 계속해서 존재 하는한 스스로가 폐쇠적으로 고립되며 그외 공간으로 나아가지 못하는게 맞는듯 서울 외에 다른 지방도시로 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뭘까요 저는 양질의 일자리라고 봅니다.. 일정수준 이상 자란 기업은 서울에서 지방으로 지원금을 쥐어 줘서라도 이주시키는 정책이 필요할거같습니다 그냥 술먹고 떠드는 헛소리니 너무 진지하게 받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5 күн бұрын

    지방으로 보내는 기업에 금융기업은 빼야한다는 점만 빼면 맞는 말이네요. 금융은 정보의 중심에서 일해야하며, 해외 바이어들이 접근하기 용이해야하는 특성 상 무조건 그 나라의 경제 중심지에 있어야하거든요. 형평성 때문에 금융만 봐주는게 가능한지는 차치하고라도요

  • @user-gw3lu5jn2d

    @user-gw3lu5jn2d

    25 күн бұрын

    유니버스 25도 공간은 충분했어요... 다만 일부 상위계급 쥐들이 그 공간을 모두 독점하고 좁은 곳에 계급이 낮은 쥐들이 과포화 되면서 둥지없이 길바닥에 출산하는등 난리를 겪다 출산율이 미친듯이 떨어졌죠...우리랑 뭐 다를게 없음..

  • @babybabycat30

    @babybabycat30

    24 күн бұрын

    ​@@user-ts5bs8ll3r 금융또한 지방으로 가야 합니다. 애초에 수도권 시스템 자체가 에러에요.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4 күн бұрын

    @@babybabycat30 그쪽 지식 없으시죠?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4 күн бұрын

    @@babybabycat30 1분 1초에 몇천억이 왔다갔다하고 정보 하나에 나라 하나 경제 규모의 돈이 왔다갔다 하는 금융계에서 정보의 중심지를 벗어나서 옮긴다는 소리는 해외업무보는 기업에게 걍 해외에 직원 보내지말고 본사에서 인터넷으로 업무보라는 개소리랑 같은거죠. 왜 지방분권화가 잘된 독일같은 나라들조차 금융기관은 기존에 있던 곳에서 안 옮기는지 모르시나 ㅋㅋㅋㅋㅋ

  • @user-tg7dc8ti7z
    @user-tg7dc8ti7z14 күн бұрын

    예전에는 흥미로운 실험이구나하고 넘어갔지만 현대사회와 빚대어보면 지금 우리 사회의 문제나 현상과 크게 다를바 없는 현상이 목격되는군요 다만 궁금한것은 실험을 하는과학자들이 쥐의 사회에는 없고 인간의 사회에만 존재하는 법이나 정부의 역할을 한다면 어떨까요? 동족포식 = 살인 등등,을 저지른 쥐를 저 세계에서 제외를 시킨다던가 물론 현실적으로 힘들겠지만 이러면 늦게 멸망하는걸까요 아니면 유토피아적 세상이 유지가 되는걸까요

  • @Alian-Leafbean
    @Alian-Leafbean13 күн бұрын

    뭔가 멜서스 트랩이나 한국 청년들의 구직난 문제가 떠오르는 실험이군요. 이 실험이 보여주는 것은 결국 자원과 공간에 물리적 한계가 존재하는 이상 인구가 늘수록 사회문제는 더 커질수밖에 없다는 것 같은데..저 실험쥐들은 그나마 인간들이 조건없이 제공해주는 넉넉한 자원이라도 맘껏 누릴수 있었지, 아무리 세대가 지나고 기술이 발전해도 한정된 자연을 개조해 우리의 필요를 충족해야만 하는 상황이 본질적으로 바뀌지 않는 인간사회는 그 문제가 훨씬 더 심하면 심했지, 절대 나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현재 한국사회의 저출생 문제 역시 이 관점에서 보면 작은 국토,부족한 자원과 양질의 일자리,이에 상응하지 않는 미디어가 조장한 높은 경제적 기대치와 환상,그리고 과잉된 고학력 인구가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겠죠..결국 사회의 기본적 시스템과 구조 자체가 천지개벽하지 않는 이상 인구소멸은 피할 수 없는 흐름 같습니다. 솔직히 인구소멸을 마냥 암울하게 볼것이 아니라 오히려 희소성에 따라 인간의 권리와 가치가 더 조명받을 기회로 여기고 앞으로 닥칠 이같은 시대에 더 철저히 대비하고 열심히 살아가는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싶습니다😊

  • @user-gr9il9xg9d
    @user-gr9il9xg9dАй бұрын

    인구 고밀화 이후 멸망하는 과정에 대한 생각이 필요하군용, 하트좀 주쎄여 ㅋ.ㅋ

  • @NGC201
    @NGC20114 күн бұрын

    지방 분권과 부의 재분배 잔인한 말로 썩어버리고 낙후된 지방 지역을 도려내고, 사람이 모이는 수도권 위주로 간다면 결국 결말은 절망.

  • @user-W.T.O
    @user-W.T.OАй бұрын

    이거 완전 한국이잖아?

  • @elmahdi-yl7zi
    @elmahdi-yl7ziАй бұрын

    It differs on the rest of the channels, it is exploded with colors

  • @hjc3566
    @hjc356618 күн бұрын

    저 정도의 공간을 가진 쥐를 인간에 대입하는것도 어려워보이고 무한 근친 번식으로 인한 멸망도 고려해야하는거 아님?

  • @SwooshSwooshSwoosh............
    @SwooshSwooshSwoosh............Ай бұрын

    설마 X토피아?!

  • @user-nm4vu3rc1x
    @user-nm4vu3rc1x17 күн бұрын

    출산율 떨어져 심각하다면서 출산율 올려야된다는 얘기가 나올때마다 '지금도 너무 많은데..? 오히려 타노스라도 나타나서 지금의 절반으로 줄인다고 해도 괜찮을까 말까인데, 고작 당장 연금문제나 내가 늙엇을때 내 수발 들어줄 청년층이 없는걸 문제삼아서 언제까지 이 미친 과포화상태를 유지하려고들 난리인거지?' 싶엇는데ㅋㅋㅋ 지방으로 갈수록 땅은 남고, 사람은 없는 완벽한 수도권중심의 사회가 되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누구 하나 이 수도권에서 떨어지려 하지 않을거 같음 그렇다면 그 차선책으로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고, 효율적인게 저출산 아님?ㅋㅋㅋㅋ 서울에서 생활하면 진짜 사람이 너무 많아서 무례하거나, 과격하거나, 이기적이거나, 음흉하거나 등등 꼭 범죄자까지 아니더라도 내 기준에서 좀만 벗어난 사람들을 보면 '아 이런 사람들은 그냥 없는게 사회적으로 이로울 거 같은데..' 라는 생각이 들면서 서울이라는 비좁은 자리에서 그 사람이 차지하고 잇는 모든 것들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됨ㅋㅋㅋ 지방에 인력난이니 뭐 청년부족이니.. 모르는 사람 없을텐데 왜 해결이 안 되는지도 모르는거 아니잖음ㅋㅋ 실질적으로, 현실적으로 한국의 청년층을 지방쪽으로 퍼트린다는건 그냥 이상주의인거고, 이제 좀 눈 뜨고 현실 자각 좀 다들 하시길ㅋㅋㅋ 자원은 늘 한정돼잇고, 번식은 언제든 '필요에 따라' 늘릴 수 잇음 다만 내 연금 받자고, 나 늙엇을때 보살펴달라고 등등의 이기적인 이유는 인류가 멸종하지 않으려는 생존본능에서 비롯된 '본능적으로 느끼는 필요'가 아니라 이기심이라는 본능에서 비롯된 '학습된 필요'니까 그렇지ㅋㅋㅋ

  • @raccoonramen
    @raccoonramenАй бұрын

    우리나라의 출산율 저하와 연결되네요

  • @user-lj5ql3mq2g
    @user-lj5ql3mq2gАй бұрын

    화성갈끄니까아~

  • @sung-holee8003
    @sung-holee800316 күн бұрын

    연구 50여년이 지난 지금 출산률 감소가 나타나고 있네요. 과밀화된 수도권에서 지나친 경쟁과 불평등 가속으로 소망없는 대한민국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 @user-qy8sv3ry3n
    @user-qy8sv3ry3n21 күн бұрын

    진짜 요즘 지구의 모습이네요 특히 한국이 가장 심하구요

  • @Ha-Im_Ghost_Radio
    @Ha-Im_Ghost_Radio10 күн бұрын

    호주의 생태계교란종 토끼 수 문제도 그냥두면 생태계가 조절해주려나

  • @deadslow6448
    @deadslow64486 күн бұрын

    0:57 1980년대 대한민국 1:12 1990년대 대한민국 1:28 2000년대 대한민국 1:52 2010년대 대한민국(전반) 2:12 2010년대 대한민국(후반) 2:20 2020년대 대한민국(현재)

  • @daesungkim9010
    @daesungkim90106 күн бұрын

    이게 말이 안 되는게 필리핀을 보면 절대 아니란 걸 알 수 있지

  •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Ай бұрын

    🎉

  • @user-ws7ps8eb7v
    @user-ws7ps8eb7v19 күн бұрын

    인간은쥐가아니죠?

  • @todrkdck9805
    @todrkdck980518 күн бұрын

    칠드런 오브 맨이나 폴아웃이 연상되는...

  • @user-xv7il4hk6i
    @user-xv7il4hk6i17 күн бұрын

    쥐들에게도 언론과 정치권 여러가지 작용들이 있었던가

  • @sd68127
    @sd6812724 күн бұрын

    동시에 인터넷 보급의 사상적 기초가 마련된거군

  • @user-tt2yc5mz7j
    @user-tt2yc5mz7j11 күн бұрын

    오 헬반도 인데

  • @testtesttest579
    @testtesttest57917 күн бұрын

    영화에서 지구 멸망을 노리는 악당들이 괜히 나온게 아니구나

  • @user-yj3lm4ug9e
    @user-yj3lm4ug9e20 күн бұрын

    과밀화가 문제군요

  • @user-up1if6vt7r
    @user-up1if6vt7rАй бұрын

    저 실험상황과 한국을 보고 차이와 희망을 품어본다면 1.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며 쥐와는다르게 스스로 멸종할만큼 멍청하지 않다 2. 해당실험과다르게 인간에게는 "공동의 적"이 나타나면 서로를 돕고 사회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 정도이지만 더욱 절망적일수 있는것은 1. 해당 실험과 다르게 현실은 제공되는 자원이 풍족하지 않을수 있다. 2. 새끼 또는 후손이 늙은 성체 또는 부양 인구를 부양해야하기에 젊은 세대의 자원 경쟁이 심화되어 후손을 낳지않는 속도가 더 빠를수있다. 정도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절망적 요소가 더 클것 같습니다.

  • @seoyunseok
    @seoyunseok21 күн бұрын

    왜.. 익숙하지?

  • @arghorwgh
    @arghorwgh13 күн бұрын

    인간은 개체간 격차가 훨씬 크고 갈등요인또한 더 많기에 쥐들보다 심한 결과를 맞이하는 중.

  • @dsk3038
    @dsk303829 күн бұрын

    그냥 한국인데?

  • @isaku139
    @isaku13917 күн бұрын

    지구는 생각외로 사람이 살만한 땅이 많음 그렇게 까지 좁아 터지지 않았다는거, 심지어 인간이 환경적응도 꽤 잘함. 그리고 여전히 식량난 같은 것도 없음. 오히려 남아 돌아도 재분배가 안되는게 더 큰문제지. 쥐랑 인간은 엄연히 다르다.

  • @user-wl3cr4vc8b
    @user-wl3cr4vc8b18 күн бұрын

    공간이 협소한데 무슨 유토피아..?

  • @user-bi6pg2gt4o
    @user-bi6pg2gt4o17 күн бұрын

    어...? 우리네?

  • @elmahdi-yl7zi
    @elmahdi-yl7ziАй бұрын

    You subscribed to your channel

  • @dbeas123
    @dbeas12324 күн бұрын

    저 실험에서 보면 기득권의 문제가 잇음 들어오는 식량은 일정항데 힘좀 잇는 쥐가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투입되는 음식을 독점하기 시작하면서 아레쪽이 죽어나가는대 쥐라서 생각을 못해서 그런거 같지만 현실하고 별반 차이가 없음

  • @user-rz1db7we3v
    @user-rz1db7we3vАй бұрын

    현재 대한민국의 모습

  • @drmphy

    @drmphy

    2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만큼 유토피아 세상도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지

  • @user-rz1db7we3v

    @user-rz1db7we3v

    25 күн бұрын

    @@drmphy ?

  • @drmphy

    @drmphy

    25 күн бұрын

    @@user-rz1db7we3v 쥐들에게 유토피아 세상을 만들어줬더니 현재 대한민국의 모습처럼 소멸했잖아 대한민국이 어찌저찌하다보니까 유토피아 세상이 된 거고 그러니까 저 쥐들처럼 소멸해가고 있는 거지 대한민국에서 느끼는 불행은 상대적인 거지 절대적인 조건만 보면 더할나위 없기도 하다

  • @user-cu6hi2op9q

    @user-cu6hi2op9q

    17 күн бұрын

    @@drmphy맞긴해 태평성대지 지금은

  • @user-ng3dr2dl1g
    @user-ng3dr2dl1g17 күн бұрын

    타노스가 옳았다.

  • @catjaykim
    @catjaykim4 күн бұрын

    한국으로 보면 결국 지방에 많은 일자리들을 늘려야 하지않을까? 그것에 맞는 정책도 동반해서

  • @lolLOL-sn7xz
    @lolLOL-sn7xz24 күн бұрын

    이거 실험 결과물중 하나가 과밀화시 동성애 성향을 나타내는 쥐가 발생했다 인데 이 부분은 여러가지로 현재는 인용되지 않고 있는 부분

  • @user-zf4jo7do3w

    @user-zf4jo7do3w

    22 күн бұрын

    그냥 봐도 여러모로 주관적 해석이 많아보임

  • @lolLOL-sn7xz

    @lolLOL-sn7xz

    22 күн бұрын

    @@user-zf4jo7do3w 예전엔 이 동성애 발생때문에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한 동성애 성향 발현이라고 동성애를 정신병으로 구분하는 근거로 사용되는 바람에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부터 인권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며 PC주의가 대두되면서 아예 각하되버림

  • @LycanStand
    @LycanStandАй бұрын

    결국 준요한건 사회적으로 무언가 역활을 맡을 위치가 필요하다는거네요.

  • @homeless353

    @homeless353

    23 күн бұрын

    아니. 너무 좁은 곳에 쥐들 많이 넣지 말라고

  • @naum834

    @naum834

    20 күн бұрын

    @@homeless353 아닐거 같은데요. 쥐가 소멸하고 있었다는 건.. 어느순간에 가서는 쥐들에게 공간은 남아 돌았어야 한다는 말임.

  • @user-iw4wy7oh2o
    @user-iw4wy7oh2o26 күн бұрын

    유명한 실험을 이렇게 보니까 꼭 동화같네요

  • @SproutsKorea

    @SproutsKorea

    26 күн бұрын

    실제 사진보니까 약간 무섭기도 하더라고요 😨

  • @user-zf4jo7do3w

    @user-zf4jo7do3w

    22 күн бұрын

    동화 같다는 부분이 이 실험의 허점을 나타낼 수 있겠네요 실험 기록이 너무 주관적이고 쥐들에게 정신활동이 존재한다는 전제도 너무 비약이고 그냥 사고실험에 가까운 듯

  • @watergate-Wiretapping
    @watergate-Wiretapping11 күн бұрын

    놀랍게도 한국과 매우 유사하다 ㅋㅋㅋ

  • @user-qd6ws6vz1n
    @user-qd6ws6vz1n20 күн бұрын

    쥐의 임신 주기는 평균 21~23일, 발정기가 4~5일인 것을 감안하면 55일은 두번의 임신 주기를 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쥐가 한번 출산을 하면 6~12마리를 출산하기 때문에, 위의 실험에 대비해 인간의 생활을 동일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입니다. 아무래도 결국 실험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생활하는 환경에 비해서 인구가 많아지면, 사람 한명당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해 서서히 변한다는 것을 말하지 않나 싶습니다. 대한민국은 면적에 비해서 인구밀도가 높아, 현재 전 세계에서 OECD 국가 중 인구밀도가 가장 높고, 인구 천만이 넘는 나라 중에선 방글라데시와 대만 다음으로 3위입니다.

  • @May_I_Stand_Unshaken
    @May_I_Stand_Unshaken14 күн бұрын

    학자들 말로는 이미 하락이 시작되어가면 바닥찍으며 사회적으로 인구가 적어질때까지 내려가야지만이 다시 올라올거라던대

  • @Almond_Apple
    @Almond_Apple12 күн бұрын

    엥 이거 완전... 대하ㄴ...

  • @user-qj2ou8nj5e
    @user-qj2ou8nj5e7 күн бұрын

    3차세계대전이면 깨끗이 해결된다는 ~~ 난 살아남는다는 😊😊😊

  • @orandker
    @orandker24 күн бұрын

    천국"1000km²"에 인구 1억정도

  • @fianchettoBg7
    @fianchettoBg724 күн бұрын

    우리 모두 vr세카이로

  • @ni-a-me
    @ni-a-me26 күн бұрын

    사이버펑크2077 ㄷㄷ

  • @user-ml7sk2oo6m
    @user-ml7sk2oo6mАй бұрын

    절대적 공간의 부족이 원인인 것 같은데 지구는 크고 아직 빈공간이 넘쳐남. 자원고갈은 문제가 될지언정 공간이 부족할 일은 없음

  • @user-zo9eg5fl2c
    @user-zo9eg5fl2c28 күн бұрын

    현실에서는 쥐같은 금수들이 많아서 사회를 병들게 합니다

  • @user-mk9ut8er9j
    @user-mk9ut8er9jАй бұрын

    저기서 유토피아로 표현했지만 그건 인간 기준이고 쥐들 입장선 처음부터 유토피아가 아니었을수도 있음. 그리고 애초에 자연상태 쥐들도 서로 공격하는 일은 비일비재함

  • @user-mz3mn4gp5i

    @user-mz3mn4gp5i

    22 күн бұрын

    니가 뭐 박사급임?

  • @user-mk9ut8er9j

    @user-mk9ut8er9j

    22 күн бұрын

    @@user-mz3mn4gp5i 빅토리아 시대 쥐잡는 사람들 경험담인데 쥐를 잡아 모아놓으면 쥐들끼리 서로 공격하고 잡아먹기도 한다고 하더군요.

  • @user-mz3mn4gp5i

    @user-mz3mn4gp5i

    22 күн бұрын

    @@user-mk9ut8er9j ㅋㅋㅋㅋㅋㅋㅋ 근거 자로를 가져오세요

  • @user-mk9ut8er9j

    @user-mk9ut8er9j

    22 күн бұрын

    @@user-mz3mn4gp5i 불량직업 잔혹사 317~318페이지

  • @user-habell774

    @user-habell774

    21 күн бұрын

    저 유토피아는 필요한게 다 충족되지만 "자연재해, 천적, (거의)무한한공간" 이 결여되어있네요 저런공간에 인간이같혀있다면 공간이 가득찰정도로 번식을 하지는 않겠지만 몇세대안에 붕괴한다는 내용은 비슷할 것 같아요

  • @user-lj6wc8rj3j
    @user-lj6wc8rj3j22 күн бұрын

    복지를 하되, 반드시 개체가 도덕적 해이에 빠지지 않을 정도로 어느 정도는 모자람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 @user-vg2nr4oi9u
    @user-vg2nr4oi9uАй бұрын

    처음볼땐 옹~싶었는데 2번 넘게 보다보니 유토피아라고 부르기엔 좀 애매한게 아닌가싶네 당장 사람만 봐도 단순히 먹는것의 인과관계 유무는 중요한데 (누구랑,어디서,왜 등등 천국을 논하면거면 모를까 갈등에서 꽃피는 행복은 충족되지 못했다고 생각함 흐르는 피가 있기에 얻는것에 가치가 생긴다는 말도 있듯이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5 күн бұрын

    우린 먹을걸 거저 주지도, 교미가 쉽지도 않음. 현실 한국보단 유토피아에 가깝긴 하지 ㅋㅋㅋㅋㅋ

  • @user-oq3cc4kk3p
    @user-oq3cc4kk3pАй бұрын

    초식남...??

  • @user-W.T.O

    @user-W.T.O

    Ай бұрын

    아름다운 것들

  • @tapetadogarsia5486
    @tapetadogarsia548621 күн бұрын

    유명한 실험이지만, 결과에 우리 현실을 싱크 해보기 전에 실험 환경과 우리가 처한 상황의 차이점을 먼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칼훈처럼 생각하는 것이 지극히 당연하다고 봅니다. 칼훈의 유토피아 실험은 최적의 환경이라도 과밀화가 발생하는 경우이고 대한민국 서울은 최적의 상태도 아닌데 과밀한 가운데에서도 꾸역꾸역? 살아가는 경우이니 오히려 인간의 정체성 연구 중 일부로 사용될 수 있는 실험이라고 생각되네요. ^^;

  • @user-pj7zd6jg2k
    @user-pj7zd6jg2k17 күн бұрын

    한국...?

  • @youcantata
    @youcantataАй бұрын

    한국에 적용하면 결론은 명확하네. 인구를 지방으로 분산시키든가 그걸 못하겠으면 저출산으로 인구를 줄여야 한다는 것임. 지방분산은 사실상 불가능하니 선택가능한 건 후자의 저출산으로 인구 감소 밖에 없음. 한국의 적정인구는 2천만 정도라던데 그러려면 적어도 현재의 저출산 추세를 이번 세기 말까지 쭈욱 꿋꿋하게 유지해야함. 저출산이야 말로 한민족이 한반도에 계속 살아남을 수 있게하는 축복이고 행운임.

  • @user-hh5ib6uy6z

    @user-hh5ib6uy6z

    Ай бұрын

    현실적으로 가능한건 후자라도 미래를 위해선 전자를 택하고 행해야 함. 지금도 이미 심각한 저출산인데 저출산이 정점을 찍으면 장수 시대에 고령화까지 겹쳐서 젋은 세대들은 노인들을 훨씬 떠받고 있어야 되는데 사회적으로 필요없는 생물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사회적으로도 안 좋아지고 경제적으로도 심각한 위험을 초래함. 그렇기에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론 쓸모없는 존재의 비율(젊은 백수도 있지만 이는 신체는 젊어서 정신만 바꾸면 어케 사회에 사용가능하지만 노령은 정신적으로도 문제있는 인원이 있고 정신이 멀쩡해도 신체적으로 노후되어 소수의 지식인 빼면 쓸모가 없음)을 줄이기 위해 지방으로 분산시켜 젊은 층의 적절한 비율을 유지시켜 사회와 경제가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이 방법은 쉽진 않겠지만 쉬운 후자는 사실상 절대적으로 멸망의 모습이 뻔한데 전자는 앞이 보입니다.

  • @BSilverL

    @BSilverL

    Ай бұрын

    현재의 저출산 현상은 해결책이 아니라 영상에 나온 멸망의 바로 전단계에 더 가까울 듯 합니다. 출산 제한도 역할이 없는 인구가 아직 적을때 실행해야 의미가 있지 이미 잉여인구가 넘쳐나는 상황에서 제한 걸어봤자 윗분 말대로 청년 대비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이어질 거란 생각이 드네요

  • @and6862

    @and6862

    Ай бұрын

    저출산으로 2천만 맞추는건 아무 의미가 없음...처음부터 2천만이었으면 괜찮겠지 그런데 이미 인구증가를 전제로 인프라가 다 짜여진 상태에서 구멍이 나는게 문제 게다가 쥐들도 단순히 저출산 이만큼 했다 끝 이게 아니라 다 죽었댔잖아? 사회가 영구적으로 재생산능력을 상실하는것도 문제임 '줄어들고나면 어느순간 멸종과정을 멈추고 살아남는다' 이거 자체가 행복회로임 그런거 주장하려면 본인부터 무인도 들어가 살거나 스스로를 살처분할수 있어야 그 주장에 의미가 생김 영상에서 다 보여준 내용인데도 자기 입맛에 맞게 일부만 받아들이고 마음편해지려하는게 참...멍청함의 좋은 표본 잘 보고감

  • @tww2682

    @tww2682

    Ай бұрын

    국제 사회의 힘중 하나가 인구 아니었나? 지금도 휘둘리는데 미래는 어떨지. 우린 자원도 없어서 오직 사람의 능력 뿐

  • @eunsucho9837

    @eunsucho9837

    Ай бұрын

    토지를 방사능으로 오염시켜서 영구히 중립지역으로 만들어서 외세가 넘볼 수 없게끔 해도 됩니다

  • @IllIIIllIllI
    @IllIIIllIllIАй бұрын

    유토피아(1평)

  • @user-bt5xq8wz8p
    @user-bt5xq8wz8p2 күн бұрын

    이제 ai 발전으로 완전몰입가상현실 즉 매트릭스에서 살면 됩니다.

  • @user-ef9rw7zl8k
    @user-ef9rw7zl8kАй бұрын

    0:01 정답 한국

  • @user-lg2zp9xd4k
    @user-lg2zp9xd4kАй бұрын

    즉시구독

  • @spd7567
    @spd75678 күн бұрын

    결혼이고 지랄이고 수도권을 탈출하고 싶다. 이건 오롯이 혼자일때 가능하다. 가족이 있으면 벗어나기 힘들다. 언젠가 나의 책임을 다 한다면 난 조금은 한적한 곳으로 이사 갈 것이다. 읍정도의 도시로 가야겠다.

  • @aaaaaa-ju9hk
    @aaaaaa-ju9hk20 күн бұрын

    세종시가 옳았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