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저녁식사 시간은 왜 이렇게 다를까? 삼시세끼는 언제부터?

아침과 점심을 먹는 시간은 세계적으로 비교적 일정합니다.
반면 저녁 식사 시간은 나라마다 심하게 차이납니다.
특히 유럽에선 너무 이른 오후 4시부터,
너무 늦은 밤 10시까지 저녁을 먹는 나라가 있습니다.
오후 4시에 저녁을 먹다니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그리고 밤 10시에 먹고 자면 속은 괜찮은 걸까요?
이 영상은 유럽의 각기 다른 저녁 식사 시간 이야기입니다.
[삶이 허기질 때 나는 교양을 읽는다] 2권이 출간되었습니다.
1권은 '2023년 세종도서 우수교양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도서 구매 링크
2권 bit.ly/44RuVmt
1권 bit.ly/3tnybpW
#유럽저녁식사 #유럽식사시간 #유럽저녁식사늦은이유

Пікірлер: 318

  • @user-byuljeonnam
    @user-byuljeonnam5 ай бұрын

    지식 브런치는 역시 밥 얘기를 해야 제맛! ㅋㅋ

  • @Otto_von_Bismarck_1871

    @Otto_von_Bismarck_1871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공감갑니다! 저도 지식 브런치님의 음식 얘기 관련 영상이 업로드된 날에는 메인메뉴처럼 아껴두었다가(?) 혼밥할 때 시청하면서 봐요 😅

  • @baeganomaut

    @baeganomaut

    5 ай бұрын

    그래서 채널명도 브런치 ㄷㄷㄷ

  • @Otto_von_Bismarck_1871

    @Otto_von_Bismarck_1871

    5 ай бұрын

    @@baeganomaut 오옹? ㅋㅋ

  •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5 ай бұрын

    아침 겸 점심 먹으며 보는게 제맛

  • @user-wr6zt9lh7n

    @user-wr6zt9lh7n

    5 ай бұрын

    ​@@baeganomaut(깨달음)

  • @user-nn4rv4tu7t
    @user-nn4rv4tu7t5 ай бұрын

    스페인 가보니 하루에 식사를 5번정도 하더군요 과식을 하는게 아니고 중간 중간에 타파스라고 간식을 먹고 씨에스타라고 낮잠을 자고 가게문도 닫더군요 저녁은 10시쯤 먹고요 우리보다 여유잇고 편해 보여서 보기 좋앗습니다 스페인 다시 가고 싶네요

  •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4 ай бұрын

    게을러도 먹고 살 수 있는 유럽이 부럽긴 하죠. EU와 관광객이 자영업을 받쳐주니... 조상 덕에 먹고사니 얼마나 좋습니까.

  • @yoonjohnbap.j.5534

    @yoonjohnbap.j.5534

    4 ай бұрын

    ​​@@user-fp6lx6wf7l여유롭게 사는 걸 게으르다고 착각하는 가련한 인생! ㅉㅉ

  • @p2pp22

    @p2pp22

    3 ай бұрын

    영상을 안보나?? .....영상에서 다 얘기하는데😅

  • @some1_like_me

    @some1_like_me

    4 күн бұрын

    한국이 스페인처럼 살면 금세 망함

  • @NeoGuRi-RTA
    @NeoGuRi-RTA5 ай бұрын

    각자가 사는 지역에 맞는 시간에 저녁을 먹었지만 세계가 모두 같은 시간 개념을 갖게 되어서 발생한 해프닝이네요ㅋㅋ

  • @borihan5835
    @borihan58355 ай бұрын

    중고등학교 시절 아침은 허겁지겁 나오느라 엄마가 준비해둔 베지밀, 오전에 배고프니 2교시 끝나고 도시락 절반, 점심시간엔 남은 도시락 절반과 매점에서 단팥빵, 저녁은 아버지 퇴근하시면 모두 모여 왁자지껄.. 저녁밥 먹은후엔 배깔고 엎드려서 숙제하고 라디오 들은게 평균적인 삶이었음. 그립네, 나의 80년대..

  • @user-hb3td6bz9o

    @user-hb3td6bz9o

    5 ай бұрын

    80년대에 매일 베지밀 먹었으면 잘살았네 ㄷㄷㄷ

  • @handiler5365

    @handiler5365

    5 ай бұрын

    80년대에 중고등학생이면 연세가..?

  • @borihan5835

    @borihan5835

    5 ай бұрын

    @@handiler5365 84학번입니다

  • @user-lk3fj6ew5p

    @user-lk3fj6ew5p

    4 ай бұрын

    ​​@@handiler5365 연세가 뭣이 중헌디? 댁은 나이 안먹을것 같음??

  • @handiler5365

    @handiler5365

    4 ай бұрын

    @@user-lk3fj6ew5p 아뇨 그게 아니고..

  • @jeong.1723
    @jeong.17235 ай бұрын

    스페인 친구에게 물어보니 맞다고 하네요 ㅎㅎ 여름에는 밤 10시까지도 어둡지가 않아서 늦게 먹는다고 하네요

  • @JY-pl2nc

    @JY-pl2nc

    5 ай бұрын

    시간대가 독일 기준인데다가 서머타임도 써서 우리나라보다 해가 2시간 늦게 지죠.

  • @garangbii

    @garangbii

    3 ай бұрын

    스페인이 우리나라보다 위도가 낮지않은데 왜 그럴까요?

  • @JY-pl2nc

    @JY-pl2nc

    3 ай бұрын

    @@garangbii 위에 제 댓글 보십시오.

  • @user-xs9ip7di2c

    @user-xs9ip7di2c

    3 ай бұрын

    ​@@garangbii 지구자전땜시?

  • @Y-kq9ck
    @Y-kq9ck4 ай бұрын

    노르웨이인 남편과 노르웨이에 살고있는 한국사람인데 영상 보면서 정말 공감한게 여기 사람들은 진짜 하루 시작을 빨리 합니다. 전 처음 노르웨이 왔을 때 동네 슈퍼들 영업시간이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라고 해서 놀랐던 기억이 있네요. 슈퍼를 왜 7시에 열지? 이 시각에 손님이 많이 오나?? 그리고 슈퍼를 왜 오후 11시에 닫지?? 아무리 그래도 자정까지는 열어야하는거 아냐??? 하면서요 ㅋㅋㅋ 근데 노르웨이 사람들 출근시간 보면서 이해가 갔습니다.. 당장 다음주 월요일에 우리집에 전기공사 하러 오는 분 오전 7시에 와서 일 하실 예정... 😂

  • @jongwookchoi7582

    @jongwookchoi7582

    4 ай бұрын

    한국슈퍼도 아침 7시쯤 문열어서 출근길손님 받고...저녁 11시, 12시까지도 열어요...흔하고 일반적인 일. 근데 이제는 대기업소속 편의점이 골목상권 다 잡아먹어서 동네슈퍼는 점점 없어져서 보기 힘들고 다 편의점임. 게다가 24시간운영

  • @Y-kq9ck

    @Y-kq9ck

    4 ай бұрын

    @@jongwookchoi7582 아 한국도 그런 곳들이 많군요. 제가 이민오기 전에 한국에서 살 땐 동네 마트들이 보통 오전 8-9시에 열어서 자정 혹은 새벽 1시쯤 문닫는 곳들이 대부분이었거든요! 출근 길엔 편의점만 영업중이었던..ㅠㅠ 맞아요 한국은 편의점 어딜 가든 정말 많죠..여기는 편의점이 한국처럼 많지는 않지만 도시 시내 아니면 편의점도 보통 자정에 문 닫아요 ㅋㅋㅋ

  • @jackynzkiwi

    @jackynzkiwi

    4 ай бұрын

    독일 남편덕에 갓선진국 삶을 거저 얻은 나르조선녀 ㄷㄷ

  • @Y-kq9ck

    @Y-kq9ck

    3 ай бұрын

    @@jackynzkiwi 제가 석사를 여기서 해서 남편 아니었어도 이 나라에서의 삶을 살 수 있었던 건 똑같습니다. 거저는 아니죠 ㅎㅎ 그리고 노르웨이입니다. 제 댓글에만 노르웨이라는 단어를 네 번이나 사용했는데도 독일이라뇨? 댓글 남기기 전에 잘 좀 읽어봅시다 ㅋㅋㅋㅋ

  • @user-oj7ip8iz3w

    @user-oj7ip8iz3w

    3 ай бұрын

    ​@@Y-kq9ck7시 정도가 아니라 삼촌은 슈퍼를 여름에는 6시 이전 겨울엔 7시 열었어요. 즉 해틀 때 문 엶

  • @user-kg1ih6th2k
    @user-kg1ih6th2k5 ай бұрын

    예전부터 느꼈지만 소재 선정 능력이 정말 탁월하십니다. 별 것 아님에도 자연스레 궁금증을 자아내는 소재들을 매번 가져오시니...안 볼 수가 없네요 ㅎ

  • @Thoughtcrime.
    @Thoughtcrime.5 ай бұрын

    알고있는 사실이지만 그래도 역시 믿고보는 알찬내용

  • @vinacorea
    @vinacorea5 ай бұрын

    7:27 오래전 생활습관처럼 하루 두끼 먹는 식습관이 건강에는 좋은것 같다 한 10시쯤 아점먹은후 5시쯤 저녁먹고 10시쯤 취침들어가기 근데 이게 획일적인 단체생활하면 그렇게 하기가 힘드니깐 문제 ㅋ

  •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5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 왜 서양 군대의 24시간용 전투식량이 BREAKFAST, LUNCH, DINNER가 아니라 BREAKFAST, DINNER, SUPPER의 구성을 지니게 된 것인지 이해가 가는군요.

  • @ellalee5284
    @ellalee5284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퇴근시간만 한시간이 넘는게 태반인데다 음식 조리시간이 오래걸려서 누가 해주지않는이상 일찍먹는게 불가한거같아요. 신기하게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태리 등 남부는 늦게먹고 제가사는 독일을 비롯해서 추운동네들은 일찍먹구요 (독일은 한국처럼 6-7시정도 먹어요). 스페인 여행갔을때 밤 10시에 식당 줄서는거보고 놀랐었어요😂

  • @dobedobedo94
    @dobedobedo945 ай бұрын

    신기하네요~ 전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내 몸이 편안한대로 식사를 하다보니, 보통 9~10시쯤 아점먹고 오후 3~4시쯤 점저를 먹는 1일2끼를 하게 됐거든요~아점을 좀더 많이 먹고 점저를 좀더 적게먹구요. 원래 오랜시간 인류가 해왔던 방식이었네요 ㅎㅎ

  • @bemill8239

    @bemill8239

    4 ай бұрын

    9-6시 근무하는 직장인에게는 불가능한 루틴이네요..

  • @user-ce1cn3cq7q

    @user-ce1cn3cq7q

    4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식습관이긴 합니다 ㅋㅋ 아점-점저 하루2끼. 인간에게 가장 좋은 이상적인 식습관

  • @hw5532
    @hw55325 ай бұрын

    와이프가 노르웨이 사람인데 노르웨이 얘기가 나와서 반갑네요 ㅋㅋㅋㅋ 일찍부터 가게 문 다 닫는 건 사실이지만 여름 백야기간 때에는 새벽까지 여는 식당도 꽤 있습니다 ㅎㅎ 근데 문 열어도 너무 비싸서 보통 술 사서 집에서 먹어요 ㅋㅋㅋ

  • @hk4030

    @hk4030

    4 ай бұрын

    노르웨이는 소득 대비 물가가 많이 비싼가요?

  • @hw5532

    @hw5532

    4 ай бұрын

    @@hk4030 음 외식비용은 꽤 비싼 편이에요 쌀국수에 맥주 작은병(355mm) 시키면 4만원 조금 넘게 나와요 근데 마트물가는 우리나라랑 비슷하거나 저렴해서 요리해먹으면 먹을만 합니다

  • @hk4030

    @hk4030

    4 ай бұрын

    @@hw5532 답변 감사합니다. 부동산은 어떤가요?

  • @hw5532

    @hw5532

    4 ай бұрын

    @@hk4030 음 많이 올라서 다들 비싸다곤 하는데 오슬로 기준 10억이면 도시 최중심에 40평대 아파트 살 수 있어요. 차로 20분 거리까지 가면 차고에 마당딸린 집 살 수 있고 대출도 70%++ 나와요. 서울 집 값에 익숙해서 그런지 사실 소득대비 아주 비싸지는 않다고 생각해요

  • @hk4030

    @hk4030

    4 ай бұрын

    @@hw5532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서울이 미친 거죠 ㅋㅋ

  • @srlee7418
    @srlee74184 ай бұрын

    지식 브런치는 항상 영양 만점입니다. 고맙습니다.

  • @user-ql1yj9qy3x
    @user-ql1yj9qy3x5 ай бұрын

    오늘도 지식 하나 추가하고 갑니다^^ 늘 감사합니다^^

  • @JJJ-zh5mx
    @JJJ-zh5mx5 ай бұрын

    일을 안하는 주말에는 밥을 2끼만 먹어도 되지만 일하는 평일에는 밥을 3끼 먹어야했음 옛날에는 지금보다 노동강도가 낮았거나 진짜 식량이없어서 2끼만 먹었을듯함

  • @jongwookchoi7582

    @jongwookchoi7582

    4 ай бұрын

    옛날에 노동강도가 낮다뇨...조선시대 전국민 농민...벼농사가 밀농사보다 훨씬 노동집약적이고 노동량도 많아요. 한국도 산업화 이후...한창 경제개발기였던 70~80년대에 공무원, 회사원, 노동자 할것없이 야간근무 주말근무 일상이었고요. 75년인 나도 어릴적 서울시청 공무원이었던 아빠 얼굴보기 힘들다고 투정부렸던 기억이 있네요 맨날 나 자는 밤 10~12시에 퇴근하고 나 아침에 일어나면 이미 출근해서 안계셔서... 이런 집들이 많았고....전세계 40대 과로사망률 1위라고 언론에서 자주 나오던 시절임.

  • @waynpark58
    @waynpark585 ай бұрын

    심오한 밥 이야기, 재미나고 유익합니다.

  • @user-hc2mv4od2d
    @user-hc2mv4od2d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보고 있어요.

  • @user-yh7gu3dv1s
    @user-yh7gu3dv1s4 ай бұрын

    지식브런치는 항상 내용이 알차고 좋지만 목소리가 좋으셔서 항상 점심먹고 듣다가 낮잠 잘자게되는거 같아요😂😂

  • @carclick.
    @carclick.5 ай бұрын

    오늘도 안궁금했던주제를 보자마자 궁금하게 해주셔서 달려왔네요. 시간차는 해 길이로 예상했지만 점심이 생긴지 오래안됐다는건 충격이네요ㅎㅎ 전기 보급 이전으로 생각해보면 당연할수도 있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h2511
    @kh25115 ай бұрын

    아는 얘기 였지만 질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cv1ej7tl5f
    @user-cv1ej7tl5f5 ай бұрын

    폴란드에서 현채로 거주하는데 공감하는 내용이 많네요

  • @user-wd4hz7sc2d
    @user-wd4hz7sc2d5 ай бұрын

    아시아의 경쟁력은 몸빵 시간빵이었군요

  • @pxyn
    @pxyn5 ай бұрын

    저는 일요일 오후 5시마다 맛있는 "지식 브런치"를 먹습니다

  • @user-zn5dc7jd4r
    @user-zn5dc7jd4r4 ай бұрын

    시댁이 스페인인데요 저녁10시는 진짜 늦게먹는거고 보통은 8-9시쯤 먹어요 식당도 이때 붐비구요 저녁모임도 이때에요 보통 점심은 2시쯤 먹구요! 캐나다는 노르웨이처럼 여름에 밤11시되야 어두워지는데 저녁 5시에먹어요 😂😂😂퇴근시간은 오후3:30-4:00가 보통

  • @donaldblessing263
    @donaldblessing2634 ай бұрын

    정말 모르는 정보를 주셨습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 @user-dt2mh4uq8e
    @user-dt2mh4uq8e5 ай бұрын

    8시 식사 3시반에 숟가락 놓는게 제일 좋은것 같습니다 ㅎㅎ 두끼 한번 해보세여~~ 식단 조절은 없구요 정량의 75% 정도 까지만 먹습니다 키 174 몸무게64 15년째 요요없이 유지중~

  •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4 ай бұрын

    최고입니다

  • @user-ps7sv2cp7l
    @user-ps7sv2cp7l5 ай бұрын

    ㅎㅎ 교수님 항상 좋은정보늘감사합니다 건강하십쇼

  • @kkamcc123
    @kkamcc1235 ай бұрын

    와하~~들어와보니 16분전에 올리셔서 신나서 봤어요^^♡ 오늘 내용 넘 재밌었어요~😂❤

  • @tommy98341
    @tommy983415 ай бұрын

    나레이션 속도가 늦어졌네요. 그래서 더 좋습니다.

  • @user-gk7on2py8z
    @user-gk7on2py8z5 ай бұрын

    와 ㅡㅡ언제들어도 너무너무 감사

  • @user-tr2lt2lz1s
    @user-tr2lt2lz1s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imaginedorder54
    @imaginedorder545 ай бұрын

    스페인의 저녁식사가 늦은 것은 이슬람 문화의 영향도 있습니다. 이슬람이나 인도 같은 지역은 해가 진 후 지열이 식은 오후 10시경에 저녁식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user-qw2yg5hs2z
    @user-qw2yg5hs2z5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채널 입니다~! ❤❤❤

  • @Life-fv9tb
    @Life-fv9tb4 ай бұрын

    전체 정주행 재생목록에 영상 전부 추가해 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샤워 할때 장시간 듣기 좋아요

  • @dannylee9662
    @dannylee96625 ай бұрын

    저는 건강을 위해 하루 2끼를 지향하네요 ㅠㅠ 간헐적 단식을 한지 30년 가까이 되었음. 아침을 안먹는게 핵심입니다.(물 한잔 정도 마심)

  • @user-hb3el1du1c
    @user-hb3el1du1c3 ай бұрын

    점심 먹으면서 보고 있으니 더 꿀잼이네요 ㅎㅎ

  • @wnals3896
    @wnals38965 ай бұрын

    솔직히 농사짓거나 육체노동하지않는한 세끼는 너무 과하다고생각하고 두끼면충분함.

  • @gridatour
    @gridatour5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5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goodman3296
    @goodman32965 ай бұрын

    스페인 여행시 처음엔 시에스타때문에 불편했는데 흔히 있는 중국식당에선 대부분 시간에 상관없이 식사할수 있더라고요.

  • @LucyPJang
    @LucyPJang4 ай бұрын

    독일이랑 북유럽 비슷하네요!! 여긴 초딩들도 이른 6~7시쯤 등원을 시작하고 점심쯤 하원하거나 방과후를 해요. 직장인들도 8시부터 시작인 곳이 많구요!!~마트도 6시나 7시 늦어도 8시부터는 운영시작입니다. 덕분에 일찍일어나고 일찍 자는 부지런한 생활을하는데 여긴 아침,저녁으론 빵에 치즈,햄 정도로 간단히 먹는데 한국인은 그게아니라 준비와 먹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쓰는 차이가있네요.

  • @Sapho_Juice
    @Sapho_Juice5 ай бұрын

    그러고보니 우리나라에도 '조반석죽(아침에 밥 먹고 저녁에 죽 먹는다)'이란 표현이 있죠. 전근대 농경사회에서 몸 쓰는 사람들은 동서 막론하고 아침을 푸짐하게 먹고 저녁을 간소하게 먹었던 게 기본이었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 @user-sv6lf5gh5k

    @user-sv6lf5gh5k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위암발생률 1위

  • @nocturna31

    @nocturna31

    4 ай бұрын

    아, 조반석죽... 처음 들은 말인데 이경우에 딱 맞는 말씀이네요

  • @user-fp6lx6wf7l

    @user-fp6lx6wf7l

    4 ай бұрын

    현대인은 사실 정반대죠. 아침은 거르거나 간단히 점심은 적당히 저녁은 좀 여유롭게.

  • @yusoj3725

    @yusoj3725

    Ай бұрын

    ​@@user-sv6lf5gh5k 무슨 상관이야

  • @user-qy5qc4qh8x
    @user-qy5qc4qh8x3 ай бұрын

    예전에 인간은 왜 세끼를 먹게되었나 질문했는데 이렇게 답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였습니다

  • @user-jg1ds9ss1t
    @user-jg1ds9ss1t5 ай бұрын

    교수님 사랑해!!!!

  • @younggo5811
    @younggo58114 ай бұрын

    서양 위주의 풀이말고 한국 위주 해석도 보고 싶어요~

  • @laurenk9291
    @laurenk92915 ай бұрын

    라틴계 남편이랑 저녁식사 시간이 안맞아 힘들었어요. ㅠㅠ 내 배꼽시계는 6, 7시지만 그쪽은 9, 10시라 서로 힘들어 각자 식사할때도 있어요.

  • @user-po1fj9kt9l
    @user-po1fj9kt9l5 ай бұрын

    한국도 퇴근하고 8시 30분쯤 식사하시는 분 수두룩.

  • @user-le5bh8kq5z
    @user-le5bh8kq5z14 күн бұрын

    재미있는 주제네요. 저는 현대화 되지 않았는지 하루 두끼가 제일 편합니다. 😊

  • @user-jc8lg9xm7k
    @user-jc8lg9xm7k5 ай бұрын

    땅속에 자원 발견했다더만...풍요로운 삶이네

  • @aylmerwhiliem3873
    @aylmerwhiliem38734 ай бұрын

    3:18 와....😂😂😂😂

  • @Caffeine.Overdose
    @Caffeine.Overdose5 ай бұрын

    영국보다 서쪽에 있는 에스파냐가 UTC+1이라니 처음 알았어요!

  • @jjlh3587
    @jjlh35875 ай бұрын

    미국은 왜 총기규제를 하지못할까? 이 주제도 지식브런치에서 다루는 모습을 보고싶습니다!!

  • @pablojin7818
    @pablojin7818Ай бұрын

    전 아르헨티나에 사는데 스페인이랑 같은 식사시간을 가져요.. 이곳 한국분들은 대부분 한국의 식사시간을 따르고요. 그래서 원주민 친구집에 저녁식사를 하러가면 배가고파서 일단 간단하게 먹고가요..😅

  • @yyjjoo2194
    @yyjjoo21945 ай бұрын

    브런치는 아침과 점심 사이 간식으로 먹는 빵인가요?

  • @usershfjcnwhq
    @usershfjcnwhq5 ай бұрын

    재밋다 ㅋㅋㅋ

  • @user-ip5uf1ie9q
    @user-ip5uf1ie9q4 ай бұрын

    스페인의 밤 10시는 우리나라의 밤 8시나 마찬가지이군요.

  • @june_joy
    @june_joy5 ай бұрын

    비결이 야식일줄 알았다 (스페인도 대도시는 시에스타 없대요) 옛날에 점심은 점을 찍듯 먹어서 점심이라고.

  • @djkim8536

    @djkim8536

    Ай бұрын

    마음의 점이 점심이지요. 농경문화에서 나온 말로 중국어 딤섬도 같은 한자입니다.

  • @prahalove1488
    @prahalove14885 ай бұрын

    해가 겨울에는 일찍 지지만 반대로 여름엔 어마어마하게 긴데

  • @user-cz8mk6pt8b
    @user-cz8mk6pt8b5 ай бұрын

    주 37시간 근무 실화인가 ㄷㄷ..

  • @patrickchoi9120

    @patrickchoi9120

    5 ай бұрын

    자원과 올려다볼수도 없는 대기업의 돈으로 이뤄지는 복지때문에 ㅎ

  • @Zuilietzhan

    @Zuilietzhan

    5 ай бұрын

    북해 석유 천연가스 뿜뿜 ;;

  • @dddk236
    @dddk2364 ай бұрын

    지난 주 바르셀로나 가서 미슐린 식당에서 7시에 저녁 먹었습니다 마드리드에 마지막 가본게 꽤 되었지만 거기서도 7시에 저녁 먹을수 있었지요 세계화로 관광객들이 많이 오면서 예전 관습도 바뀌고 있지요

  • @wisikahn
    @wisikahn4 ай бұрын

    멕시코에서 10시 첫 식사 16시 마지막 식사를 합니다. 저녁은 모여 먹지 않고 각기 아무 때나 그냥 야채 살라드에 과일 조금이고요. 그 덕에 배변이 아주 규칙적이고 속을 정말 시원하게 비우게 되네요.

  • @katehuh6366
    @katehuh63665 ай бұрын

    👏🏻👏🏻👏🏻👍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과거 아침과 저녁을 먹었다가 이제 아침은 거의 안 먹고 두 끼만 먹고 있죠. 두 끼를 먹으려면 아침과 저녁에 먹는 것이 더 나을 테지만 오히려 더 나쁜 방식으로 변했습니다. 시간대 차제도 인간활동에 맞지 않지만 아침을 안 먹으면 밤늦게 따로 야식도 땡기게 됩니다.

  •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5 ай бұрын

    영상 보시고도 이해를 못하시네, 우리도 예전에 먹는 아침밥이란 게 사실상 현대의 점심밥에 가까웠어요, 밥짓는데 시간이 걸리니까 농사 지으러 일찍 나가서 일하시다 집에 가 부엌에서 밥해서 날라다 밭에서 먹는 게 아침(미리 장작을 마련하기도 하지만 그렇게 넉넉하지 못한 집은 잠 깬 애들이 산에서 삭정이 같은 땔감 구해오면 그걸로 밥짓는)이고 저녁은 해지고 집에 가서 해먹는 거로.. 왜냐 그 예전에는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품앗이 하는데 항상 인력이 일정한 거 아니니까 사람 수 보고 밥해 먹어야 하니까 사람 숫자 파악되고 일 시작한 뒤 일 좀 하다가 밥 지으러 가는 게 남거나 모자라지 않게 해먹으니까 새벽 같이 일어나서 밥짓는 어머니들 본 건 6.25 끝나고 나서도 산업화 시작되면서 정식으로 월급받고 출근하는 가족이 생기는데 굶으면 안되니까 미리 꼭두새벽에 일어나서 밥해 먹이시려다 그리 된 거고

  • @jhfoever
    @jhfoever5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직장 다닙니다. 노르웨이랑 똑같네요. 주 37.5시간 근무, 8시 근무 시작, 대부분 점심시간 근무, 4시 반 퇴근. 하루 대부분 일은 12시 전에 대부분 마무리 하고요.

  • @KoojaKoo
    @KoojaKoo5 ай бұрын

    유럽 끼니의 변화는 이해가 잘되고 설명도 많던데 우리나라의 과거 식사시간에 대해선 잘 모르겠더라구요. 알고싶어요

  • @user-hc8mt4tu8u

    @user-hc8mt4tu8u

    5 ай бұрын

    우리도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 독일 과 비슷함

  • @user-rf1rs1zm8y

    @user-rf1rs1zm8y

    5 ай бұрын

    과거에는 대부분이 농민이니 농번기에는 해뜨기전에 아침, 일하다 중간에 새참, 점심, 오후에 여건되면 중간에 술한잔 해지면 저녁 정도 되려나요, 겨울지나 쌀이나 보리 떨어지면 구황작물 ㅠㅠ

  • @JY-pl2nc
    @JY-pl2nc5 ай бұрын

    스페인이랑 프랑스는 시간대가 독일 기준인데다가 서머타임도 써서 우리나라보다 해가 2시간 늦게 지죠. 그래서 아닐까요?

  • @user-lz2bp1og5f
    @user-lz2bp1og5f4 ай бұрын

    맥모닝 먹으면서 보니 꿀맛

  • @JY-pl2nc
    @JY-pl2nc5 ай бұрын

    나라마다 시간대가 다르고 서머타임도 써서 해 지는 시간이 달라서 아닐까요?

  • @menachemyang3353
    @menachemyang33533 ай бұрын

    스페인만 아니라 파리도 그렇고 서머타임 때문에 그래요~! 이상할 것 없쥬~

  • @user-gw6cx7uz1c
    @user-gw6cx7uz1c5 ай бұрын

    과거엔 저녁에 불을 켤 양초나 등잔도 큰 비용이니 초저녁에 먹고 소화되자마자 자는게 지방을 만들어 에너지를 아낄 가장 효율적이었던게 아닐까 싶습니다.

  • @CandyBookns
    @CandyBookns5 ай бұрын

    스페인이나 그리스에서 늦은 저녁식사와 대화 나누다 보면 거의 자정까지... 저녁 밥 먹고나면 졸려 뒤지는줄 ㅎㅎ

  • @peterchoi6598
    @peterchoi65985 ай бұрын

    근데 중간정도인 오후 8시경에 저녁을 먹는 나라중에 아이슬란드가 들어 있던데 엄청 고위도 국가인데도 북유럽처럼 저녁을 일찍 먹지 않는 이유가 궁금해지네요.

  • @mucucu
    @mucucu5 ай бұрын

    펜네임 안정햇으면 지브라 어때요?

  • @donsilkco70
    @donsilkco704 ай бұрын

    그래서 미국에서는 전기불 전에는 아침이 제일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옛날 에는 치킨 와플 과 대량의 고기를 먹고 저녁은 간단이. 너무 어두워서 조리하기 힘들어서라고.

  • @seoulkorea.
    @seoulkorea.5 ай бұрын

    초등교사라 4시면 퇴근 준비할 시간인데..... 한창 일할 시간 아님 8시 10분 출근 4시 10분 퇴근임 지금은 방학이라 출근도 안 하고

  • @user-ot7ik5sv6d
    @user-ot7ik5sv6d5 ай бұрын

    스페인보단 노르웨이가 내타입ㅋ

  • @rhu3257
    @rhu32573 ай бұрын

    스페인에서 식당 영업 사간 못 맞추어서 한끼만 먹었던 기억이 ㅋㅋㅋ 시차 적응이 안되어서 초저녁에 잠들어버리니 새벽에 일어나 과자로 허기 달랬던 ㅋㅋㅋㅋ

  • @rebealthetruth
    @rebealthetruth5 ай бұрын

    독일은 오후 1시면, 초1부터 중1 까지 하교 시간임. 그리고 중2부터 고3까지는 일주일에 3일은 오후 1시에 하교 2일은 오후 2시~3시 하교... 주말 휴일.

  • @jongwookchoi7582

    @jongwookchoi7582

    4 ай бұрын

    밤10시까지 야간자율학습에 방학에도 학교나가서 자율학습했던 대한민국....요세는 좀 바껸나

  • @Jungkukjin
    @Jungkukjin5 ай бұрын

    ❤❤❤

  • @clarkmoon1057
    @clarkmoon10574 ай бұрын

    @지식브런치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왕들의 식사시간은 어땠는지 아시나요?

  • @Uuong
    @Uuong5 ай бұрын

    차라리 일찍 생활하는 게 나을지도... 3시 퇴근하는 삶 그냥 말 자체만 보면 너무 부럽다 ㅎ

  • @user-jc7pq9qn2p

    @user-jc7pq9qn2p

    5 ай бұрын

    그말을 한국식으로 해석하면 잔업시간이 엄청 늘어난다는 뜻... 조출수당 잔업수당이 일상이 되는 삶

  • @Zuilietzhan

    @Zuilietzhan

    5 ай бұрын

    3시에 퇴근이 안지켜지는게 한국타임 인걸 ..왜 노동계가 서머타임 없애고 부활 시키려던걸 계속 반대하는지 아나? 시간 땡겨놓고도 퇴근 시간은 줄지 않는 부조리 때문이다

  • @seoulkorea.

    @seoulkorea.

    5 ай бұрын

    대신 그럼 보통 일찍 출근하겠지 유연근무제 모름?

  • @URIDER

    @URIDER

    5 ай бұрын

    @@seoulkorea. 그걸 아시니까 "일찍 생활하는 게 나을지도..."라고 하셨겠죠?^^

  • @kkimkkim

    @kkimkkim

    5 ай бұрын

    주120시간 ㄱㄱ

  • @JY-pl2nc
    @JY-pl2nc5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한국말에는 아침식사 점심식사 저녁식사 라는 표현은 식사에 시간 이름이 들어가서 편하고 1월 2월 3월 표현은 숫자가 들어가서 편하네요. 하지만 정작 요일은 숫자가 아니죠.

  • @user-wy4go5uy5y
    @user-wy4go5uy5y5 ай бұрын

    모든 나라가, 기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듯, 극한의 추위와 백야로 유명한 북유럽 국가들은 보통 해 떨어지는 시간이 빠르고, 그와 동시에 평균적으로 추운 날씨를 견디며 밖으로 싸돌아 다닌다는게 쉽지는 않을듯, 그와 반대로 지중해의 스페인은 북유럽과 비교해서 해가 떨어지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느리고, 뜨거운 나라인 스페인은 열대야 같은? 더위 때문에 이른 밤에 잘수가 없기 때문에라도 저녁 시간이 9시에서 10시 정도가 될 수 밖에 없을듯!

  • @user-mk9ki2rd2f
    @user-mk9ki2rd2f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훨씬 오래전부터 삼시세끼 아니였나요?? 이것도 한번 다뤄주시면 좋겠네요

  • @user-wt8xp3vf3u
    @user-wt8xp3vf3u5 ай бұрын

    참 신기한 세상이다

  • @sanny-puppy
    @sanny-puppy5 ай бұрын

    우리는 어땠는지 궁금하네요.

  • @user-yl1xm3kp3i
    @user-yl1xm3kp3i5 ай бұрын

    일전에 제 주관적 견해로 '우리나라가 유럽 선진국에 비해 살기 정말 좋은것 같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노르웨이처럼 주 37시간을 일하고 나머지는 개인 또는 가족을 위해 시간을 보내면 그것또한 정말 행복할 수 있겠네요. 그러나.. 그렇게 일을 적게하면 과연 지금 우리가 편히 즐기는 신속 서비스를 즐길 수 있을까요? 신속서비스를 즐기기 위해서는 일하지않는 시간에 누군가가 노동을 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어떤것이 좋은지 잘 모르겠네요. 좋은 영상 항상 감사드립니다.

  • @dswilld5099

    @dswilld5099

    5 ай бұрын

    노르웨이를 기준으로 삼으면 안됨. 노르웨이는 산유국 + 1인당 GDP가 9~10만달러. 선진국 중에서도 가장 잘 사는 선진국임! 한국은 자원 빈국 + 1인당 GDP가 3.5만달러.

  • @ayylmao02

    @ayylmao02

    5 ай бұрын

    이게 환경의 차이가 큰거같습니다. 우리나라는 북유럽, 서유럽 또는 영미권에 비해서 인건비가 많이 싼편이죠. 우리나라의 빠른 행정처리나 배송도 뒤에선 하급공무원이랑 택배원들을 그만큼 갈아 넣기에 가능한 시스템인거죠. 힘들어서 그만둬도 너말고 할 사람 많다가 우리나라에선 가능하지만 인구가 적은 서구권은 비싼 인건비로 인해 갈아넣는 시스템이 거의 불가능하죠. 우리나라도 조만간 인구가 더 줄고 인건비가 올라가면 서구권처럼 느긋한 시스템으로 바뀔것같습니다.

  • @koboy765

    @koboy765

    5 ай бұрын

    좋고 나쁨은 없음. 하지만 우리가 알 수 있는건, 선진국은 말그대로 인간사회의 앞선 나라들임. 우리나라도 좋든 싫든 현재의 선진국들처럼 살게 될거임. 그때의 선진국들은 또 다른 삶은 살겠지(격차는 줄지언정)

  • @user-lc6oy5go5r
    @user-lc6oy5go5r2 ай бұрын

    일일 일식을 하는 사람으로서 상당히 공감 가네요 보통 아침은 굶고 점심은 일반식이나 사과 한개 먹고 저녁은 홍차에 브로콜리 정도 먹는데 이렇게 먹어도 일상 생활에 별 지장 없습니다

  • @songsong0625
    @songsong06253 ай бұрын

    스페인에서 지내봤는데 해가 10시는 되야져요. 낮에 너무 뜨거워서 못나가고 씨에스타로 낮잠자고, 해지면 나가서 산책하고 저녁먹어요. 그럼 10시 11시가되고, 레스토랑도 9시는 넘어야 문열고요. 그럼 2시쯤자고ㅋㅋ아침 늦에 일어나서 아침먹고 오후 4시쯤 점심먹어요. 진짜 이렇게 밥때 늦어지는거 싫었는데 살다보면 그렇게 되더라고요;;

  • @user-kp4cw1ds9f
    @user-kp4cw1ds9f4 ай бұрын

    자이니치와 파칭코 사업, 일본의 원주민, 세계의 화약고, 자원의 저주, 냉전 시대 우주 개발, 우크라이나 역사, 미국 코리아타운, 서부개척시대, 일루미나티, 종교개혁 얘기도 다뤄주세요.

  • @junepsychie8011
    @junepsychie80114 ай бұрын

    전기가 아니라 가스등 아닌가요? 저는 breakfast;브랙퍼스트라는 의미를 이광주 교수님께 처음 접해 본 터라. 너무 오래 돼서 잊어버린 듯 한데, ktx 없던 시기에 비행기 타고, 수업하시던 그 분 갑자기 떠오르네요.

  • @user-dr7uu5vi3m
    @user-dr7uu5vi3m3 ай бұрын

    우리 가족도 저만 아침식사 합니다...또 한 저만...생산 노동....ㅜㅜ

  • @Jeffukim
    @Jeffukim4 ай бұрын

    바르셀로나에서 밤 10시에 길에서 맥주 한잔 하는데 아직 환해서 어처구니 없었는데

  • @jih3629
    @jih36295 ай бұрын

    한국도 주간2교대생산직은 오후3시40분퇴근이 잇긴합니다.

  • @kyoonny
    @kyoonny5 ай бұрын

    프랑코가 독일의 표준시를 사용하기 시작한게 스페인 생활습관 패턴 변화의 가장 큰 이유이지

  • @kyuhyunghan8150
    @kyuhyunghan81505 ай бұрын

    영상의 kzread.info/dash/bejne/nqCFkseehJezntY.html 7분6초 여기가 어딘가요?

  • @jylee6248

    @jylee6248

    4 ай бұрын

    안달루시아 론다. 다리가 멋진 곳. 특이하게도 한국인들이 많은 곳. 왜? 예능에 오지게 나왔기 때문.

  • @user-mw5od1hu5c
    @user-mw5od1hu5c5 ай бұрын

    조선도 두끼만 먹었지요

  • @user-xo4xo7rr5u
    @user-xo4xo7rr5uАй бұрын

    노르웨이 인구 600만이 안되네.... 울나라 지금 땅덩어리 5천만명은 너무 많은거야 저출산이라고 하지말고 정상화라고 하자 4천만명되도 충분하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