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유 퀴즈 온 더 블럭〉 매주 수 오후 8시 45분 tvN에서!
TVING으로 다시보기 👉 www.tving.com/contents/P00064...
방송국놈들의 하드털이 채널 '디글 클래식'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236

  • @DiggleClassic
    @DiggleClassic5 ай бұрын

    안방 1열에서 유럽 캠핑 즐기는 법?🎼 솔직하고 거침없는 여자들의 자발적 생고생 여행✨ 텐트 밖은 유럽 남프랑스편 2월 18일 (일) 첫 방송💥

  • @jeonghunchoi

    @jeonghunchoi

    4 ай бұрын

    뭐야 영상에 나온 자극적인 컨텐츠의 예시인줄 😂

  • @user-ct6vx2ik8d

    @user-ct6vx2ik8d

    3 ай бұрын

    ​@@jeonghunchoiㅋㅋㅋㅋㅋㅋㅋ

  • @9mm41

    @9mm41

    2 ай бұрын

    ㄲㅈ

  • @user-rc5sh4gn7r
    @user-rc5sh4gn7r4 ай бұрын

    게임중독 치료하려고 이악물고 버티다가 가끔 한번 다시 게임을 켤때가 있는데 신기하게도 게임 외 일상이 너무 즐겁고 균형이 맞는 때에는 게임을 해도 별 자극이 없구요, 나머지가 모두 엉망이고 불만족스러운 때에 게임을 하면 그렇게 재밌고 시간이 잘 갈수가 없더라구요. 억지로 안해야지 안해야지 참는것보다 그것 이외의 일상을 가꾸고 쌓아나가고 지속하려고 노력하다보면 어느새 그 자극이 주는 행복은 적어지고 찾는 횟수가 줄더라구요. 이걸 몸으로 체득하고나니 더더욱 일상 유지에 힘을 쓰게되네요

  • @평범한초딩

    @평범한초딩

    3 ай бұрын

    도파민으로 현실도피하는건 중독하고 다르다고 하던데요ᆢ 그건 중독이 아니라 도피래요.

  • @user-rc5sh4gn7r

    @user-rc5sh4gn7r

    2 ай бұрын

    @@평범한초딩 그랬으면 좋겠지만… 이렇게 일상이 즐거우면 안찾게 되기까지 너무 많은 노력이 필요했고 지금도 싸우고 있는걸 보면 단순한 도피는 아닌것 같습니다 😅

  • @평범한초딩

    @평범한초딩

    2 ай бұрын

    @@user-rc5sh4gn7r 마약이나 음란물 같은게 중독이지 아닐까싶어요ᆢ금단증상이 있는거요ᆢ저희 애들도 게임을 굉장히 좋아하는데 이건 중독이 아니라 도피일지도 모른다 생각해서 아이들에게 게임이나 학업 정서적으로 스트레스 안 주려고 많이 노력해요ᆢ게임이 도피처라면 게임을 차단했을때 다른 도파민 도피처를 찾게 될거 같구요ᆢ더 자극적이고 더 비밀스런 그런거요ᆢ도파민 도피처 중에 가장 안전하고 생산적인 걸 찾는게 답에 가까울 거 같아요^^ 게임중독은 다가올 미래이기에 여러모로 생각해보고있답니다. 중독까지 가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만들어 보려고요ᆢ저도 맘이 심난하면 유튜브 많이 봐서노력할 부분이 많은데, 늪에서 빠져나오려 지혜롭게 대처하시는 모습 응원합니다. ^^

  • @user-do8pi1br9c

    @user-do8pi1br9c

    2 ай бұрын

    "그것 이외의 일상을 가꾸고 쌓아나가고 지속하려고 노력하다보면 어느새..." 이 구절 너무 좋아요 ㅎㅎ

  • @vouloircestpouvoir5

    @vouloircestpouvoir5

    8 күн бұрын

    ㅇㅈ 여친 있으면 게임 덜함

  • @huejqqasdf
    @huejqqasdf5 ай бұрын

    이 분 목소리 정말 좋으시네ㅋㅋㅋㅋ 말하는 완급같은것도 좋고ㅋㅋㅋ목소리가 주는 힘이 진짜 크네ㅋㅋㅋㅋㅋ

  • @korokekim

    @korokekim

    4 ай бұрын

    약간 다큐멘터리(동물의 왕국같은) 나레이션 느낌

  • @user-ls7bj6kp1i

    @user-ls7bj6kp1i

    3 ай бұрын

    진짜 말을 너무 잘하시네요

  • @bumiwell

    @bumiwell

    3 ай бұрын

    교회 목사님 톤....

  • @justdoit8225
    @justdoit82255 ай бұрын

    마지막으로 갈수록 액기스인 영상이였네요 개인적인 감상으론! 1.작을수도 있지만 일상의 소중한 긍정적인 감정 기억들을 많이 만들기(의견을 덧붙이자면 저는 과거에 대한 아픔 안좋은 부정적인 감정을 안고 가는것 보다 최대한 털어내고 선생님 말씀대로 과거의 일도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한 추억들을 안고 가기 !! 일상을 생활하다 문득 떠오르면 웃음 지어지는 과거의 긍정적인 추억들이 있어서 너무 공감됩니다.) 2. 즉흥적인 보상 보단 성숙하다면 보상을 기다릴줄 아는 자세! , 노력하고 기다리고 인내하는 과정에서 오는 즐거움을 즐기는자세(전 요새 사랑하는 사람에게 이런 감정을 느끼는것 같아요, 사랑하기에 참고 기다리고 온유하며 인내하며 그저 그사람이 자유롭게 있도록 하고 나는 그저 조금씩이라도 천천히 나의 최선을 다해 사랑해주는것!) 3.정말 슬픈표정을 하셨고 저도 슬펐던 아무도 예상치 못한 친한 분의 죽음에서 맷집이 강하신 선생님도 무너지셨지만 그 뒤의 선생님의 대답이 정말 성숙하시고 배울 수 있었어요 너무 슬프셨지만 무너지더라도 아무리 힘들더라도 아무리 아프더라도 그 아픈 일마저 나의 삶의 일부분이라고 안고 다시 일어서서 자신의 길을 걸어가야 된다는것 , 또 고인 분과 사진을 못찍어 아쉬웠던 부분을 깨닫고 주변사람들과 함께 사진을 찍게 되시는 모습도 자신을 다시 한번더 돌아보고 다시 또 성장해 가시는 모습이 정말 멋있고 저 또한 삶에서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모르지만 선생님 같은 자세와 마인드셋으로 살아가보려고 합니다.

  • @user-xk4zb9kb4f
    @user-xk4zb9kb4f5 ай бұрын

    독서, 운동, 사회관계가 괜찮다면 숏폼을 봐도 상관없다는거군요 영상, 숏폼말고도 자신과의 시간도 잘 즐기는 사람이라면 숏폼도 또하나의 재미가 되는것이니!

  • @user-re6xp1qx8y

    @user-re6xp1qx8y

    4 ай бұрын

    근데 운동 독서 등 자기계발에 투자하면 숏폼같은거 재미가 없더라구요ㅋㅋ 저도 매일 일 일개발 운동 집밥만들기 영어공부하는데 숏폼보는 시간이 아까워서 이제 필요한 영상아님 아예 안봅니다!

  • @GritBear

    @GritBear

    4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말하신 도파민의 역치만 조심하면 괜찮을 듯 싶네영 저도 역치를 좀 줄여봐야겠어요 ㅎㅎ

  • @nadol4635

    @nadol4635

    3 ай бұрын

    그런데 저 분도 결론은 과하면 역치가 바뀐다는 거죠. 실제로 요즘 일부 아이들의 경우 유튜브나 숏폼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2시간 짜리 영화도 너무 길어서 집중 못한다는 얘기가 많아요. 아이들은 조절 능력을 가질 때까지 좀 절제시키는 게 좋다고 생각함. 집중력과 지연 보상 능력을 잃어버림

  • @user-gu6xg5xy4u
    @user-gu6xg5xy4u5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다가 마지막에 눈물 흘렸네요 .. 돌아가신 임세원 교수님 너무 안타까워요

  • @Robin-is-free
    @Robin-is-free5 ай бұрын

    제목이 자극적이라 봤는데 의사분 말씀은 숏폼을 즐기는것 때문에 일상에 지장이 생기거나 숏폼 으로‘만’ 도파민이 올라갈 정도로 다른 즐거움이 없다면 위험한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잘 조절하고 있는 것이니 그냥 보라는 말씀이네요.

  • @elize2739

    @elize2739

    5 ай бұрын

    대부분 수면부족으로 이어지고 즉각 만성피로증세나 집중력저하로 일상에 바로 지장줘버리는데 이분은 다른 전문가들이나 전문의들과 달리 너무 단순하고 극단적 예시만 들어 퉁쳐버리시는듯

  • @sd68127

    @sd68127

    5 ай бұрын

    숏폼에 할애하는 시간이 일상의 행복을 저해하는 수준까지 치닫고 있음에도 그 경각심을 풀어라? 미친양반이죠..

  • @user-qn6je9dd5k

    @user-qn6je9dd5k

    5 ай бұрын

    ​@@elize2739이게 맞죠. 숏폼 중독은 일상생활의 질에 심각한 저하를 불러옵니다. 어릴수록 그게 더 심하죠. 무조건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컨텐츠가 숏폼이라고 생각합니다.

  • @today_what

    @today_what

    5 ай бұрын

    게임도 마찬가지고 오래해서 좋을 거 없죠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 @already_taken_

    @already_taken_

    5 ай бұрын

    @@elize2739우린 그걸 일상생활에 문제가 된다고 합니다

  • @fullsou
    @fullsou4 ай бұрын

    너무 눈물나는 영상이네요.. 아픔도 내 일부라는것을 수용하고 다시 일어서라는 말이 너무 고맙네요

  • @user-hq4oo6wd1g
    @user-hq4oo6wd1g5 ай бұрын

    진짜 숏폼..보면서도 아 시간이 무의미하게 지나간다고 느끼지만 손을 놓을수 없음.. 😢

  • @user-tc8oz3ct5x
    @user-tc8oz3ct5x5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씀이 찡하네요..

  • @ynicorn2641
    @ynicorn26415 ай бұрын

    어찌보면 너무나도 당연한 말 같지만, 결국 모든게 자기 컨트롤에 달려 있는거죠.. 근데 자제력이 약한 사람들, 특히 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어느정도 경각심을 알려주고 조절하는 법을 가르치고 훈련 시키지 않으면 독이 되는건 사실 인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중독 될 수 있는 것들이 많은 시대에는 책임감과 자제력이 정말 중요 한것 같아요. 그래서 전 아이들에게 공부보단 지혜와 마음의 힘을 기르는데 우선 순위를 두고 키우고 있습니다..

  • @Pendulum_master
    @Pendulum_master5 ай бұрын

    영상이 전달하고자하는 내용이 너무 좋네요

  • @user-kf4dp6pu6e
    @user-kf4dp6pu6e4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씀 맞아요 저도 2년 사이 사랑하는 가족들을 3분이나 떠나 보냈고 제대로 된 애도를 하지 못해 7년이 지나 우울증이 찾아 왔어요 더이상 제 곁에는 아무도 없다는 느낌에 허망하고 왜 나는 이런 일만 있나라는 생각에 잠기고 죄책감을 갖는 나날들이 많았죠 하지만 치료를 받으면서 제가 8개월만에 완치가 되었던 이유는 교수님께 말씀하신 것처럼 긍정적인 기억, 사랑이였습니다 가족들이 저에게 그 무엇과 바꿀 수없는 무한한 사랑과 좋았던 기억들이 나는 정말 감사한 사람이구나라고 생각하며 우울증으로 힘들었던 나날을 버틸 수 있었고 앞을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얼마나 더 아픈 상황을 맞이하게 될지는 모르지만 과거에 받은 사랑들로 저는 그럼에도 앞을 향해 더 나아가고 경험하고 이제는 새로운 사람들을 맞이하며 과거에 나눈 값진 사랑을 다시 한번 더 경험하고 싶어요

  • @jessicakim4959
    @jessicakim49594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연 들었는데 정말 감동적이고 재밌었어요!! 😊

  • @ReadyOrNot_HereICome
    @ReadyOrNot_HereICome5 ай бұрын

    수험생활을 오래하는 것도 하나의 중독 또는 절반의 중독 상태라는 생각이 드네요. 지금 이 수험생활을 지속하면 아직은 희망이 있지만 여기서 그만두고 나가면 실패자가 되는 것 같아 계속 그만두지 못하는 그런 게 있었거든요. 나름 지금을 희생하고 나중의 좋은 결과를 바라는 "지연보상"을 추구하는 거니까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사실 아니였어요. 정신을 차릴 수 있었던 것은 제가 부모님을 돌보고 제대로 한적없는 효도라는 걸 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으로 돈 벌고 생활해야 한다는 "내 역할"에 대한 인지와, 준비하던 시험을 합격했을 때와는 비교도 안되게 불만족스러운 일이지만 그래도 사회 구성원으로서 소득활동을 하고 살아가는 것이 제기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삶으로 돌아온 데에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요. 너무나 마음이 아프고 고통스러운 사건은 사람을 겸손하게 만들고 주변을 돌아보게 하는 것 같아서 슬픈일이지만 축복인 거 같기도 해요. 저 포함 모두가 주변의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감사함이나 따뜻한 애정을 한번 더 표현하고 행복한 기억들을 많이 많이 쌓아가길...

  • @yhkkuu2977

    @yhkkuu2977

    5 ай бұрын

    이 좋은 얘기를 10년넘게 공부하는 친구에게 얘기해줘도 한귀한듣 결국 본인이 깨닿는게 중요하더라구요

  • @dkzldkzl-jf9qe

    @dkzldkzl-jf9qe

    5 ай бұрын

    ​@@yhkkuu2977님이 성공한 사람이여야 말을 듣죠 어디 200300충이 그러면 ㅋㅋ꼴깞이러지

  • @kyung25

    @kyung25

    5 ай бұрын

    저랑 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을 댓글을 통해 뵙네요! 말씀하신 구구절절 동감합니다.

  • @찢재명

    @찢재명

    5 ай бұрын

    그거랑 중독이랑은 큰 관련 없어 보이네요. 수험생활을 지속하는 것이 물질이나 행위 자체에 만족감을 얻는 것과는 별 관련이 없죠. 집착이란 표현이 더 나아 보입니다. 또한 수험생활을 그만두고 나가면 실패한 것이 되기 때문에 그렇게 되기 싫어서 더 집착하게 되는것도 있죠. 거기에 빠져나오는 사람은 실패하는 것을 인정 감수하고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러 가는 거구요.

  • @user-rc5sh4gn7r

    @user-rc5sh4gn7r

    4 ай бұрын

    용감한거예요 앞으로도 지금처럼 행복하시길 응원합니다

  • @Romssae
    @Romssae5 ай бұрын

    일상의 영성입니다 교수님.. 감사해요

  • @youngheehong1695
    @youngheehong16955 ай бұрын

    일주일에 5억 따면 아이랑 집에서 까꿍까꿍 할때의 기쁨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거 너무 소름이다 ㅜㅜ 진짜 인생은 공짜가 없구나..

  • @moony8026

    @moony8026

    4 ай бұрын

    근데 다시 스님처럼 한달 모든 도파민 끊으면 돌아옴. 자극을 끊기가 힘들긴하죠ㅋㅋ

  • @snow5055

    @snow5055

    4 ай бұрын

    마약, 도박을 단 1번도 하면 안 되는 이유죠.. 관광차 잠시 오락으로 카지노 갔다가 큰 돈 따면 뇌는 이미 너무 큰 자극을 맛 본 뒤라... 일상의 행복을 못 느낍니다.. 강아지, 고양이 보고 아이 귀엽다하는 행복도 없어지는거..

  • @ENTJ_IM-IN

    @ENTJ_IM-IN

    4 ай бұрын

    중독은 미끄럼틀에 있는 공이라고 합니다 참는 거지 끊을 수 있는 게 아니죠 다시 중독 전으로는 못돌아갑니다.

  • @j.flying
    @j.flying4 ай бұрын

    숏폼중독인것 같아서 와봤는데 너무 소중한 가르침 받고 갑니다. 소중한 동료를 잃고 얼마나 힘드셨을지.. 그럼에도 긍정적인 기억을 가지고 쌓고 살아가야겠다는 것 새기고 갑니다.

  • @macaukimtv
    @macaukimtv5 ай бұрын

    저를 포함해 도박문제를 겪고 있는 분들과 그 가족분들에게 참 많은 위로와 조언을 주시는 고마운 신영철 박사님 여기서 뵈니 더 반갑네요 ㅎ 즉각적보상에 중독된 많은 분들이 이영상을 보고 부디 용기내어 멈출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모두 화이팅~~!!

  • @patricseo3121

    @patricseo3121

    5 ай бұрын

    닉네임이 마카오킴....ㄷㄷ

  • @user-ql1ne7zq9o
    @user-ql1ne7zq9o4 ай бұрын

    아니.. 근데 전문가시니까 너무 당연하지만 말씀을 너무 잘하십니다👏🏻👏🏻 장악력과 몰입 미쳤다 ㅎㅎ

  • @Su-wq7zf
    @Su-wq7zf5 ай бұрын

    유능 하고 좋은 의사 이전에 진짜 좋은 사람 같다

  • @Schrodingersemployee
    @Schrodingersemployee4 ай бұрын

    15:17 얼마나 힘드셨는지... 저는 정신과 선생님들께 언제나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살고 있습니다. 선생님들도 부디 가장 먼저는 스스로의 마음을 우선 돌보며 사시기 바랍니다. 비행기에서 산소마스크가 내려올 때 안내문에 내것을 먼저 착용하고 다른 사람을 도우라고 나오잖아요. 저는 정신과 선생님들도 부디 그렇게 사시기를 바랍니다.

  • @fox_is_mew
    @fox_is_mew5 ай бұрын

    도파민 중독은 아니더라도 집중력 저하로인해 책도 난독하게되고 긴 영상을 잘 못보는 어려움들이 생김. 이는 즉 10년 후 내 또래들이랑 사회적 갭차도 충분히 벌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기게되고 결국 점점 자존감 낮은 사람들과 우울증 빠진 사람들이 증가하게 될거임.

  • @Gamja1344

    @Gamja1344

    5 ай бұрын

    이거 ㄹㅇ인게 집중력 떨어지고 기억력이 안좋아지는게 느껴짐.. 일어나자 마자 쇼츠보는 사람들은 진짜 위험한거임

  • @Schrodingersemployee

    @Schrodingersemployee

    4 ай бұрын

    제 얘기에요

  • @user-dl8du2gt4i

    @user-dl8du2gt4i

    3 ай бұрын

    설현고마워. 설현영상보구. 숏츠보면큰일나는구나. 하루5분이상안봄

  • @pestngkha
    @pestngkha5 ай бұрын

    숏폼이 "중독"의 정의에는 맞지 않을진 모르나, 계속 보다보면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점은 논문으로도 나와있음.

  • @jjhj2234
    @jjhj22345 ай бұрын

    전문가가 딱 말해주니 좋네요

  • @nouveautes5378
    @nouveautes53784 ай бұрын

    엄청 차분하고 인자하신 교수님이네요 좋은 설명 잘 들었습니다 ㅎㅎ

  • @jaehuhn
    @jaehuhn5 ай бұрын

    신영철 교수님,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 @youngbin750302
    @youngbin7503024 ай бұрын

    교수님,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내삶의 소중한 것들에 감사할 수 있는 마음을 주셨어요!!! 잘 보고 갑니다.

  • @prolee_bb
    @prolee_bb4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과 깨달음을 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 @Unicorn7_
    @Unicorn7_5 ай бұрын

    인생 최고의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hr3cp8eb1w
    @user-hr3cp8eb1w5 ай бұрын

    영상문화의 한형태를 단순히 도파민 중독으로만 표현하는 것은 그 문화 자체에 대한 가치를 간과하는 것이라 생각해요!!

  • @Agnes-dr4md
    @Agnes-dr4md5 ай бұрын

    나의 일상이 소중하다는걸 또 한번 배우고 갑니다.

  • @keunyoung772
    @keunyoung7724 ай бұрын

    와... 제목에 이끌려 봤는데 너무 유익한 영상이네요! 성숙한 사람이되겠습니다

  • @ChoiAeri123

    @ChoiAeri123

    Ай бұрын

    공감입니다

  • @user-yx1ez4ho7m
    @user-yx1ez4ho7m4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좋으십니다.....

  • @xOwOx333
    @xOwOx3335 ай бұрын

    11:28 어우 속 시원해..!!

  • @user-wb9ko7ic6j
    @user-wb9ko7ic6j4 ай бұрын

    유튜브 인스타 그냥봐도 괜찮지 않던데요... 하루 전체 15-30분만 보던게 요즘 한번보면 1-2시간 그냥 보고 쉬는날 심할때는 하루종일 붙잡고 있음

  • @poiuty79
    @poiuty795 ай бұрын

    아... 감사합니다 교수님...🥺

  • @physiogel8116
    @physiogel81165 ай бұрын

    14:26 힘들 때마다 봐야지

  • @yjp-xl9ue
    @yjp-xl9ue5 ай бұрын

    인터넷 중독 끓으려고 노력중이예요 뻔히 안된다고 인식하면서도 인터넷을 하는 나를 자주 보는데 그렇게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겠습니다

  • @ff0c0c47
    @ff0c0c475 ай бұрын

    도박중독으로 가는길도 더 쉬워짐 은행 창구에서 빌리던 돈을 스마트폰에서 쉽게 빌림 그게 또 나락으로 가는데에 한몫함 그게 예를들어 소액일지언정 경제관념 파탄나기 딱 좋음

  • @yes1001
    @yes10012 ай бұрын

    와...진짜 존경합니다 선생님! 정말멋지고 닮고 싶은 분입니다~ 영상보는내내 마음이 따듯했습니다.

  • @meinlet5103
    @meinlet51035 ай бұрын

    ㅈㄴ 중독되던데

  • @user-gx1ow1kq2d
    @user-gx1ow1kq2d3 ай бұрын

    1. 즉각적 보상이 있으면 중독되기 쉽다. (경마장의 3개월 예시) 2. 큰 자극을 받으면 작은 자극이 무뎌진다는점이 도파민 중독 부작용의 핵심이다. 3. (제목에 끌려 들어오게 됐던 이유 : 숏폼은 도파민 중독이 아니다? 의 답변) 중독의 정의는 일상 생활에 문제가 생길 정도로 하나에 몰두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숏폼같이 손쉬운 도파민 분비를 유도하는 행위를 하더라도, 일상생활에 지장 없다면 무리가 없다. 당연히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조심하는게 좋겠지만.

  • @integrity91
    @integrity914 ай бұрын

    중독 된다고 생각합니다. 티를 안내고 숨길뿐. 본인은 일상생활에 지장이있단걸 알거에요.

  • @user-wo7yv3sp7i
    @user-wo7yv3sp7i4 ай бұрын

    신영철 교수님 멋지세요!

  • @Boo-wn3df
    @Boo-wn3df3 ай бұрын

    선생님 참 설명 잘하신다

  • @Hheehing
    @Hheehing5 ай бұрын

    인스타는 안해서 릴스는 안보고 틱톡은 한번 봤다가 4시간내내 보는걸 깨닫고 소름끼쳐서 삭제했어요 유튜브는 그래도 몇개보곤 금방 빠져나올수있어 조절하면서 보고있는데 다행이네용 ㅠ

  • @user-nf4ub9js2x
    @user-nf4ub9js2x4 ай бұрын

    중독되요...됩니다

  • @Racu815
    @Racu8152 ай бұрын

    성숙은 지연 보상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것... 제게는 아주 중요한 핵심으로 다가오네요. 감사합니다

  • @lunk4947
    @lunk49475 ай бұрын

    돌아가신 의사분 넘 맴찢이네요...ㅠㅠ

  • @wirition
    @wirition5 ай бұрын

    최소한 숏폼(쇼츠)은 안 보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인내심과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짧은 길이는 물론이고 화면을 내리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새로운 영상을 추천해주는 건 기존의 영상을 여러 개 띄워놓고 그것 중 제목과 썸네일을 보고 선택하는 것은 비록 자극적인 어그로에 당할 순 있어도 스스로 선택할 수는 있지만 쇼츠는 그렇지 않습니다 즉 아무런 생각 없이 ai가 던져주는 영상만 시청하는 건 생각하는 힘을 완전히 짓밟아버리는 정도니까요

  • @vdhsygjw26277
    @vdhsygjw262773 ай бұрын

    박사님! 넘 친절하세요!! 🐪🐼🐥🦩🦜🪴🌷🌽🫒

  • @Dstorystudio
    @Dstorystudio5 ай бұрын

    7:30방향성 13:40지연보상 15:18 ㅠㅠ

  • @user-qm6kf8ze1d
    @user-qm6kf8ze1d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ustgetsomerest
    @justgetsomerest3 ай бұрын

    손쉽고 빠른 만족감... 감사합니다

  • @user-op5gq4tn6q
    @user-op5gq4tn6qАй бұрын

    지금 나의 와이프와 아이들이 더욱 소중하단건 다시 느꼈습니다...

  • @jk74822
    @jk748223 ай бұрын

    16:07 긍정적인 감정 기억의 힘 작은 일상에서 씨익 웃게되는 기억들

  • @greenmmnmm
    @greenmmnmm5 ай бұрын

    저는 미국에 온지 거의 5년이 되어가는데요, 택배받고, 업무 처리 하고, 병원가고 바로바로 됐던 부분이 몇일, 몇달씩 걸리니까 너무 힘들더라구요. 그런데 한 2년 지나니까 익숙해져서 주문해놓으면 그려러니~ 업무 처리 기다릴 때도 그러려니~ 하게 됐습니다. 지연 보상에 조금 익숙해졌나봐요 ^^

  • @user-rm7ue6kk9p

    @user-rm7ue6kk9p

    5 ай бұрын

    저도 해외살다 복창터지는줄..근데 살다보니 느긋해집니다

  • @bet-ju4hv

    @bet-ju4hv

    4 ай бұрын

    슬로우 라이프... 가 아니라 그게 정상일 텐데 ㅠㅠ 한국은 사실 너무 빨라요. 모든 게 다 너무 너무 빨라서 정신이 없죠.

  • @Ellen-dz1ki
    @Ellen-dz1ki4 ай бұрын

    늦게나마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그렇게 훌륭한 의사 선생님의 저희 곁에 있었다는 것에 위안을 얻습니다. 우리 사회의 분위기가 계속 한 번 실패하면 끝장이라는 메시지를 던져주는 것 같습니다. 사회생활을 잘못 선택하면 평생을 가난하게 살아야 한다고, 한 번 너머지면 영원히 도태된다는, 지금이 아니면 다신 기회가 없다는 메시지 속에, 우리의 선택지는 스스로 끊임 없는 책짓질을 가하는 것, 혹은 영원히 주저앉는 것 밖에 없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그와중에 중독 치료에서 재발은 당연한 것이라고, 그렇게 치료와 재발을 반복하며 점점 좋아지는 것이라는 선생님이 말씀은 큰 용기가 됩니다. '넘어지면 끝장이야!'가 아닌, '넘어져도 괜찮아, 나아지는 길에 넘어지는 건 당연한거야. 그래도 다시 일어서서 나아가면서 조금씩 나아지는 거야.'라는 말씀이 많은 위로가 되었어요. 물론 때때로는 배수진을 치고 위기감을 조성하는 것이 동기부여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동안 그렇게 스스로를 몰아쳐대며, 마음 둘 곳, 쉬어갈 곳을 스스로 부숴버렸던 것 같습니다. 어느새 소중한 존재들은 사라지고, 목적성도 잃고, 위태로웠던 질주에 제동이 걸린 순간 다시 일어서야할 이유가 없어 오랫동안 그저 주저앉아 있었습니다. 지금은 무력했던 나를 인정하고, 주변 사람들과 좋은 책과 영상에서 도움을 구하며, 오랫동안 내면화한 이미 망친 삶이라는 메시지와 맞서 싸우며 조금씩 저를 일으키며 다시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또 넘어지고 주저앉음의 반복이지만, 선생님 같은 분들의 말씀에 용기를 얻으며 아직 많이 남은 저의 삶에 최선을 다하려 합니다. 감사하다는 말이 길어졌네요. 좋은 영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fh7pd1jk1i
    @user-fh7pd1jk1i5 ай бұрын

    뭣도 모르는 애들이 이제 이 영상 보고 숏츠 봐도 된다는대영? 하면서 겁나 보겠군 ㅋㅋㅋㅋㅋ 솔직히 숏츠 매일 두시간씩 보는 애랑 안보는 애랑 두시간짜리 영화 틀어두면 누가 더 가만히 앉아서 볼까.

  • @oo-gt6cc
    @oo-gt6cc5 ай бұрын

    본방보고 긍정적인 감정 기억의 힘... 이게 너무 와닿았는데 순각 기억이 안나 유튭 뜰때 바로 다시 찾아 들어왔습니가..ㅜ 이 말이 너무 가슴에 와닿네요...

  • @rayfpdl
    @rayfpdl5 ай бұрын

    1년 전만 해도 웹소설 웹툰에 몇만원씩 써서 큰일이라고 생각했는데 최근 들어 전혀 재미가 없어지고 숏폼에 중독돼가고 있더라고요 10분짜리 유튜브 영상도 계속 넘기면서 보고 점점 재밌는게 사라져가덥니다. 저처럼 중독 취약한 분들은 숏폼 꼭 자제하세요

  • @user-vm1yt5pq4m
    @user-vm1yt5pq4m4 ай бұрын

    도파민 유발자와 도파민 치료자?! 의 방송을 보면서 잠 안자는 나 도파민 도파민 ㅎㅎ

  • @user-zt8tu8qy8s
    @user-zt8tu8qy8s4 ай бұрын

    남성들같은 경우에는 포르노가 진짜 큰 영향을 끼칩니다 과거에는 암컷차지를 위해 자신의 위치를 올리려고 노력했지만 포르노산업으로인해 더이상 그럴 필요가 없어졌죠 포르노가 나쁜 게 아닙니다. 하지만 좀 줄이고 힘들더라도 현실의 여자와 우여곡절 겪으며 자신의 아이를 낳도록 노력해야합니다 여성도 마찬가지로 재벌3세드라마산업으로 현실의 남성에 만족못합니다 서로서로를 마음에 들어하지않고 비현실의 존재를 꿈꾸기만하는 사람들이 안타깝고 저도 마찬가집니다. 우리 모두 밖에 나가서 운동도하고 힘들더라도 사람을 만나봐요 어렵게 얻은 것은 쉽게 안사라져요

  • @Menso_m
    @Menso_m5 ай бұрын

    숏폼이 고자극영상들만 나오다 보니까 일상이 더 무료해지는 느낌도 들어요 항상 줄이려고 노력해야하는 건 맞는 것 같아요..

  • @user-ft6yq8de9n
    @user-ft6yq8de9n5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북툰님이랑 굉장히닮았네요ㅋㅋㅋㅋ

  • @user-oy5vz5gq6t
    @user-oy5vz5gq6t5 ай бұрын

    도파민 폼 무쳤다

  • @user-zl9cp2zg5m
    @user-zl9cp2zg5m4 ай бұрын

    하씨 마지막 왤케슬픔 눈물고였다

  • @user-qu5ut8nw2n
    @user-qu5ut8nw2n5 ай бұрын

    도파민 중독은 아닐지라도 습관도 또한 무서운 중독이지 ㅋㅋㅋㅋ 대수롭지 않은 일이 아닐텐데... 이거 보고 또 자기 위로하면서 습관 고치지 못하는 애들 많아지겠네.

  • @user-xt7tg9yg8f

    @user-xt7tg9yg8f

    5 ай бұрын

    습관도 해가 아니면 중독이 아님 무조건 습관이 무서운 중독이 아니라

  • @user-sf5sq9uf6m
    @user-sf5sq9uf6m4 ай бұрын

    숏폼의 뜻을 모르고 그냥 유튜브 영상 같은거로 이해해서 저렇게 말씀하신 듯. 나도 유재석 질문 처음에 그런 늬앙스로 들었거든

  • @모테트
    @모테트3 ай бұрын

    선생님 가챠 끊기가 힘들어요

  • @user-xc3mz2kf2l
    @user-xc3mz2kf2l4 ай бұрын

    단기간일수록 자극적일수록 뇌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짧고 자극적인 영상일수록 뇌 건강에 좋지는 않겠죠. 일상에 과도한 영향을 주기전에 절제하는 것이 좋겠죠.

  • @user-xr1nt9ku3t
    @user-xr1nt9ku3t3 ай бұрын

    썸네일 아름다우면 클릭해서 몇개 보다 마는데 ㅋㅋㅋ 밤 새도록 보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음 ㄷㄷ

  • @Holycrab_
    @Holycrab_2 ай бұрын

    13:40 성숙하다는 것은 지연 보상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이다. 16:20 큰 아픔을 겪고도 살 수 있는 이유 2가지

  • @soolee2763
    @soolee27633 ай бұрын

    성우하셔도 되겠어요 의사선생님~~

  • @user-dg6pl4pf3f
    @user-dg6pl4pf3f5 ай бұрын

    중독이 문제가 아니라 숏폼에 익숙해져서 모든걸 숏폼처럼되길 바라는게 문제아닐까..

  • @user-hv8fn4eq1z
    @user-hv8fn4eq1z5 ай бұрын

    파라다이스, 강원랜드 풀매수 갑니까!!!!

  • @user-rm1uo5wk2w
    @user-rm1uo5wk2w5 ай бұрын

    언제 부터인지 도파민 중독이라는 말이 유튜브 등에서 유행하는데, 관련 지식을 조금이라도 알고 있는 사람 입장에서는 불편한 표현이고, 되려 사회의 치열한 경쟁으로 도파민 결핍이 걱정됨.

  • @ellively7887
    @ellively78875 ай бұрын

    맨날 일어나면 시계보려다가 숏폼 두시간씩 보는데 자기전에도 2시간씩 보고 시간 삭제됨

  • @redmoon12321

    @redmoon12321

    5 ай бұрын

    그럴 시간적 여유가 있는게 부럽네요..ㅠㅠ

  • @onf-lover
    @onf-lover5 ай бұрын

    온라인 불법 도박사이트가 그렇게 성행하고 몇 천억 몇 조단위로 벌던데 대체 누가 그렇게 돈을 바치는걸까요? 주변에 도박한다는 사람을 들어본적이 없어서 대체 유령들이 하나? 그정도로 감이 안와요.

  • @quaerou3410
    @quaerou34102 ай бұрын

    무기. 그것 때문에 일상에 지장이 있는가? 출근해서 와야 하는데 오지를 못 해! 그건 심각한 거죠. 병적으로 중독. (12:11)

  • @iwasborntosurvive5396
    @iwasborntosurvive53963 ай бұрын

    즉각보상 = 중독 지연보상 = 성숙

  • @jameswitten5474
    @jameswitten54744 ай бұрын

    이시대의 참 의사십니다

  • @user-hv1gv2op9x
    @user-hv1gv2op9x3 ай бұрын

    난 중독되기는 쉬운데 도박에 대한 걱정은 없을 듯. 어릴때 부터 그 흔한 제비뽑기 한 번 당첨된 적이 없고, 뽑기에서 꽝 말고 딴 것 나온 적 없다. 어릴때 부터 난 '운'으로 하는 모든건 철저하게 진다는 것을 배웠음. 도박도 뭐가 '딸 거야' 라는 희망이 있어야 하는건데 난 철저히 '잃을 거야'란 생각밖에 안 듬.. ㅋㅋ

  • @User-ez5hb
    @User-ez5hb4 ай бұрын

    저는 숏폼이 참 재미없던데.. 늙어서 그런걸까요

  • @jinks3363
    @jinks33634 ай бұрын

    어이고 할배요,,,

  • @idow4934
    @idow49344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찌잉하네요 ㅠㅠ

  • @user-fu5ix9cz2h
    @user-fu5ix9cz2h5 ай бұрын

    13:34

  • @user-zv9in1ss6j
    @user-zv9in1ss6j3 ай бұрын

    듣다보니 북툰에 들어 온 줄 ㅋㅋ

  • @peofle9067
    @peofle90675 ай бұрын

    홀덤은 도박이 아니라 스포츠라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user-sf5sq9uf6m

    @user-sf5sq9uf6m

    4 ай бұрын

    도박이지 뭔 개소리야 ㅡㅡ 제대로 도박이지

  • @ipat2784
    @ipat27845 ай бұрын

    중독맞음. 실제로 숏폼 스와이핑 할때 나오는 뇌파랑 카지노 머신 땡길때 뇌파랑 똑같다는 연구 결과가 있늠

  • @Romssae

    @Romssae

    5 ай бұрын

    어디 연구 결과인지도 모르는 연구를 100% 믿을 필요는 없죠.

  • @jun429

    @jun429

    5 ай бұрын

    둘 다 도파민이 나와서 뇌파가 똑같을 순 있는데 중독의 정의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는 가'라고 영상에 나오잖아요..

  • @jun429

    @jun429

    5 ай бұрын

    물론 숏폼 스와이핑 주구장창 하고 일생생활에 지장은 없어서 중독은 아니라고 해도 전두엽이라던지 뇌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건 맞음

  • @ipat2784

    @ipat2784

    5 ай бұрын

    @@jun429 알게 모르게 일상생활에 영향 많이 준다고 생각이 듬. 엘리베이터를 타던 지하철에 서있던 릴스. 숏츠 보는사람 엄청 많은데 시간내서 보는게 아니라 "일상"처럼 보지 않나요?

  • @user-sx3ph6jc4s
    @user-sx3ph6jc4s4 ай бұрын

    술에 즐거움을 못 느끼는 사람이 있듯이, 도박에 재미를 못 느끼는 사람이 있듯이, 숏츠도 마찬가지.. 사람마다 다를거라 생각함. 다큐를 좋아하는 난, 10분 이하의 영상은 똥싸다 끊긴 느낌이라 안보게 됨. 오히려 영상이 길수록 클릭을 하게 된달까? 주로 15분짜리 영상이 많은데 가끔 30,40분짜리 귀한 영상이 올라오면 그렇게 행복할 수가 없음. 쇼츠때문에 문해력이 떨어진다는 사람은 스마트폰 없던 시절에 태어났어도 문해력은 떨어졌겠지.. 책 읽는걸 싫어하는 사람일테니.(옛날에도 그런 사람은 많았음.) 쇼츠 좋아하는 사람이 60분 동안 쇼츠 보는거랑, 다큐 좋아하는 내가 60분짜리 영상 한편 때리는거랑, 다를게 없을거라 생각함. 숏폼에 빠져 버스나 지하철 놓치는 사람은 봤지만(나도 가끔 영상 보느라 버스 놓침), 그것땜에 직장에서 짤리는 사람은 못 봤음. 예전엔 그 시간만큼 티비를 봤겠지~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그냥, 죄책감 없이 좋아하는 걸 하고 살았으면 좋겠음. 남한테 피해주는것도 아니고.

  • @neoqma3772
    @neoqma37725 ай бұрын

    뇌가 망가진다던데..

  • @Macfly5951
    @Macfly59514 ай бұрын

    꼬까인 중독은 치료 가능합니까??

  • @user-up1eu5hv4n

    @user-up1eu5hv4n

    4 ай бұрын

    그건 알아서 하십쇼

  • @user-tk5tq2op1w
    @user-tk5tq2op1w3 ай бұрын

    뇌는 즉각적인 보상을 줄 때 도파민 분비

  • @hjsw6019
    @hjsw60195 ай бұрын

    근데 나는 숏폼이 더 재미가 없던데... 내가 이상한가

  • @user-wc9yv1vm8q

    @user-wc9yv1vm8q

    5 ай бұрын

    저 선생님 말대로라면 성숙하신거네요 ㅎㅎ 즉각적잉 보상이 아닌 지연보상을 추구하는! 양질의 컨텐츠를 즐기는게 좋죠!

  • @user-it8gr8vi4d

    @user-it8gr8vi4d

    5 ай бұрын

    나도 그럼. 난 근데 adhd인데 adhd중에서도 과집중이안돼고 걍 뇌에 도파민 자체가 잘 안나오는 타입이여서 오히려 중독에 안빠짐. 남들이 할때 도파민이 나오는 일도 내가 하면 안나오니까 뭘해도 재미없고 중독 안되고 성취감도 없음...

  • @dnabinararyu6353

    @dnabinararyu6353

    5 ай бұрын

    헛 저도 조용한 adhd 인데 중독안되요 ㅎㅎ 재미없어요 ㅋㅋ

  • @null4634

    @null4634

    Сағат бұрын

    저도 숏폼이 더 재미없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숏폼보단 영상들을 자주 봐요! 내가 보고 싶고 듣고 싶은 영상을 생각하고 선택하는 게 더 편하고 좋더라고요 ㅎㅎ

  • @user-ko8xo8lc3u
    @user-ko8xo8lc3u4 ай бұрын

    도파민 중독이라는 것은 자극만 추구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인 경고의 메시지로 봐야지 그걸 질병으로 치부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것입니다

  • @Teocis
    @Teocis4 ай бұрын

    제목 보고 어이없어서 반박하려 들어옴. 도파민 중독의 시초중 하나가 넷플렉스 CEO인데 그는 프로파간다 선전광고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버네이스 의 조카고 버네이스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조카임. 그는 심리학으로 사람들을 속여서 중독으로 엄청난 소비를 촉진하는 법을 연구해서 기업들 마케팅해주는 걸로 돈을 엄청 번 사람들이고 넷플렉스 CEO 같은 기업도 마찬가지로 심리학 마케팅 전문가들과 함께 사람들 중독시키는 방법으로 비즈니스모델 만들어 탄생된게 숏폼인거임. 체류시간을 늘려서 광고 수익을 엄청 키웠지. 버네이스의 프로파간다 책 읽고 감동한 팬이 탄생시킨 작품이 히틀러ㅡ나치 선전 광고이고 그들은 제복과 칼을 굿즈처럼 이쁘게 디자인해서 소년들을 병사ㅡ살인자들로 만들었음.

  • @youngforherage
    @youngforherage5 ай бұрын

    썸네일이랑 제목이 문제네. 정신과 전문의, 뇌과학자들, 논문, 강의 영상 보세요. 숏폼은 도박과 같습니다. 절제가 가능한 사람이면 조금은 봐도 된다는 얘기이지 '그냥 보세요~ 아무 문제없습니다!'가 아닙니다. 담배 조금만 필수 있습니까? 술 조금만 드실 수 있으세요? 없으면 아예 손대지 마세요. 뇌에 좋을 거 없어요. 유튜브 조회수 나와야 하니까 어그로 심하게 끄네요. 유퀴즈 취지와는 다르게.

  • @knw2405
    @knw2405Ай бұрын

    최악대 최악 당신의 선택은? 어떤게 더 최악일지 선택하세요. 필리핀 카지노에서 전재산을 잃은 a, 엑스터시부터 시작해서 코카인, 필로폰까지 하며 끊지못하는 b 과연 둘중의 하나 더최악은 누구일까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