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유튜브에서 지금 핫한 동영상은? #인기급상승
#유퀴즈온더블럭 #문해력 #조병영
〈유퀴즈 온더블럭〉 매주 수 저녁 8시 45분 tvN에서!
TVING으로 다시보기 👉 www.tving.com/contents/P00064...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134

  • @user-od8jv5te4f
    @user-od8jv5te4f2 ай бұрын

    내 언어의 한계는 내 세계의 한계다 ㅡ 비트겐슈타인

  • @racheallee474
    @racheallee4742 ай бұрын

    나를 경계하는 태도... '내가 틀릴수도 있다' 라는걸 항상 생각해야 한다는 말씀이 굉장히 중요한거 같아요. 신념을 갖되 항상 의심하고 오류가 없는지 항상 점검하고 타인의 의견에도 귀 기울이는 태도가 우리 모두에게 요즘 필요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 @user-kx3wy1xw4b
    @user-kx3wy1xw4b2 ай бұрын

    저는 한달에 15권정도 평균읽는데 새벽마다 시간내서 보세요. 제 인생은 이 습관 가진 이전과 이후로 나뉘었습니다.

  • @suna4626

    @suna4626

    2 ай бұрын

    이전과 이후 어떻게요? 예를 들어주세요

  • @happyhamcci

    @happyhamcci

    2 ай бұрын

    저도 그렇게 해볼게요~ 멋지세요 😊

  • @user-mo1gn2jx2y

    @user-mo1gn2jx2y

    2 ай бұрын

    새벽이든 아침이든 출근 직후든 본인이 환경에 맞춰서 짬짬이 읽는 거 굿.

  • @noeyeehmik0613

    @noeyeehmik0613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해보겠습니다

  • @user-ev9ct6rb5q
    @user-ev9ct6rb5q2 ай бұрын

    종이신문으로 뉴스 읽는 것의 또다른 장점은 뉴스의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음. 인터넷으로 뉴스 읽으면 자기가 보고 싶은 뉴스만 보게 됨.

  • @user-zk5el1rk3u

    @user-zk5el1rk3u

    2 ай бұрын

    그리고 인터넷 기사 상당수가 글 수준이 굉장히 떨어지죠.

  • @user-oq8vx7tx7g

    @user-oq8vx7tx7g

    2 ай бұрын

    기레기들이 어그로너무끔

  • @user-mo1gn2jx2y

    @user-mo1gn2jx2y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그리고 편식을 덜하게 됩니다. 그래서 일부러 종이신문 읽어요.

  • @kimhyunkooo
    @kimhyunkooo2 ай бұрын

    확증편향은 정말 무서운 말임. 나도 좋아하는 책을 읽다 공감하는 부분이 있으면 역시 내 생각 맞아하고 내 의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게 조심스러워짐. 그부분이 공감+1을 해주는 건지, 팩트+1을 해주는건지 구분할 필요는 있음.

  • @beginofsquare
    @beginofsquare2 ай бұрын

    사실 모르는 것보다 당당하게 불만을 표현하는게 더 문제인듯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2 ай бұрын

    저도 여기에 동의 합니다. 모를 수도 있다고 쳐요. 근데 모르면 한번 단어 사전이라도, 요새는 그냥 인터넷 검색만 하면 검색창에 고대로 넣으면 무슨 뜻인지 다 나오는데 뭐가 어렵다고 그거 한번 안찾아 보고 막 상대방에게 화를 내고, 왜 한식을 안주고 중식을 주냐고 따지고.. 무슨 사과를 그렇게 성의없게 해서 되겠느니 그런 이야기를 막 해 대는게...

  • @tototoya

    @tototoya

    2 ай бұрын

    오 마자요 저도 이 의견을 쓰고싶었어요! 모르면 틀릴까봐 한번 찾아보고 하는데 모르면서 왜 당당한지... 되레 어려운 말을 쓰냐며 화를..ㅋㅋㅋ😮😮

  • @Keeel__
    @Keeel__2 ай бұрын

    디지털 세대의 문해력이 꼭 필요할까 싶지만 필요합니다. 버튼 하면 클릭하면 원하는 정보를 다 얻을 수 있지만 스스로 이해하고, 알아내는 힘을 길러내야 디지털 세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문해력을 기를 수 있는 힘은, 책 무진장 읽고 여유가 된다면 글도 쓰세요! 종이책이 좋지만 없다면 전자북이라두요!

  • @mimimi33345

    @mimimi33345

    2 ай бұрын

    책도 90%이상은 개쓰레이 책이어 멍청무식모질아

  • @user-dh4fr7gu2j
    @user-dh4fr7gu2j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최고의 학력을 갖추고 정치판에 있는 국회의원들이 이 영상을 봤으면 좋겠습니다

  • @ugwangho02
    @ugwangho022 ай бұрын

    역시 유느님~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2 ай бұрын

    사흘이 사일인줄 알고 발악하는거 너무 웃김 ㅋㅋㅋ소풍에 중식제공 인데 왜 한식이 아니라 중식이냐 ㅋㅋㅋ심심한 사과 그렇게 성의 없이 심심하게 사과를 하면 되냐 ㅋㅋ 😂 너무웃겨 ㅋㅋㅋ이게 웃길라고 그런게 아니라 다 진심이었던거???? 😂😂😂 단어를 모를 수도 있고 헷갈릴 수는 있어요. 근데 뭔가 엥 이상하다? 싶으면 내용을 확인을 해보는게 먼저인데 대뜸 화부터 내는 그 성질머리가 문제에요. 단어를 모르는건 그럴 수도 있지만. 자기가 단어를 잘못 알고 있다는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화를 내는 그 태도가 문해력이니 뭐니 보다도 더 문제인것 같네요. 왜 사흘이라고 했는데 날짜가 다르지? 하면 사흘이 사일 아닌가? 하고 사흘 이라고 검색을 하거나. 그냥 정중하게 저는 사흘이 이날이라고 생각했는데 어제였나요? 그렇게 물어보면 되지. 그걸 그렇게 성질을 내고 그러는게 너무 웃김 ㅋㅋㅋㅋㅋㅋ

  • @user-mc2yg1lh8q

    @user-mc2yg1lh8q

    2 ай бұрын

    그럼 나흘은 몇일일까?

  • @user-xr4df4se7j

    @user-xr4df4se7j

    2 ай бұрын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열흘

  • @user-dd6qg1lb4r

    @user-dd6qg1lb4r

    2 ай бұрын

    @@user-mc2yg1lh8q그럼 몇일은 며칠일까?

  • @DJ-qh1ds

    @DJ-qh1ds

    2 ай бұрын

    전공불문

  • @user-fe4hs5ut8z

    @user-fe4hs5ut8z

    2 ай бұрын

    사흘은 헷갈릴 수 있어보이긴함

  • @user-hm2vb5iz3i
    @user-hm2vb5iz3i2 ай бұрын

    영상이 정말 좋아요😊 평소 느꼈던 것을 정리해주신 느낌 :)

  • @user-vg4iu5sg3y
    @user-vg4iu5sg3y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을 들어보니 속이 찔리는 부분이있네요. 제 말버릇이 '짜증나'거든요. *-* !! 표현하기 불편한 감정을 '짜증나'로 하면 무게를 낮추는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나봐요. 결국 저도 제가 왜 짜증나는지 모르고 심통난 사람이 된 것 같아 속상합니다. 그 사람의 '말'이 그 사람의 '인품'이라는 말이 있으니 저도 저라는 사람을 드러내는 일이라는 사실을 명심하고, 주변 사람을 배려하며 말해야겠어요:)

  • @user-og2vy9hx4p
    @user-og2vy9hx4p2 ай бұрын

    솔직히 한자교육만 좀 하게하면 중식제공이니 도서관 사서니 이런 것 다 아는데 ㅋㅋ

  • @seonnykimm4266
    @seonnykimm42662 ай бұрын

    와우! 놀랍네요. 충격 ㄷㄷ!

  • @ylrcy9549
    @ylrcy95492 ай бұрын

    이동진 평론가님이 생각나네요.

  • @ycan570
    @ycan5702 ай бұрын

    한자교육이 중요하다 한글다수가 한자에서 나온거다 받침을 틀려도 소통은 어느정도 된다 문해력이 없으면 소통이 어렵다 어릴때 눈높이 한자를 시켜주신 부모님께 감사함를 느끼게 된다

  • @user-pjh89

    @user-pjh89

    2 ай бұрын

    그건 아님. 한자교육이랑은 상관없이 그냥 책을 안봐서 그런거임

  • @user-ug2wp9kz8q

    @user-ug2wp9kz8q

    2 ай бұрын

    비난

  • @TV-kg2ct

    @TV-kg2ct

    2 ай бұрын

    한글이 한자에서 나오지 않았을수도 있습니다

  • @runners3572

    @runners3572

    2 ай бұрын

    한자 1도 모르는데 한자알면 훨씬편하겠지만 저런건 그정도의 문제가아닌듯ㅋㅋ 뉴스나 책을 거의안본다는거

  • @ycan570

    @ycan570

    Ай бұрын

    신문 과 뉴스를 볼때 전달할려는 의도를 알아야 하는데 공식적인 정보에는 순한글도 있겠지만 대부분 한자단어임 심지어 공문서에서도 상황이 똑같다 뉴스나 신문 그리고 독서를 안하는것도 문제지만 근본인 단어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면 독서나 신문 소용없다 단지 내가 말하고 싶은거는 한자공부와 읽기 쓰기 등 국어공부를 해야한다 왜 공무원시험이나 수능에 한자문제 나오지 않는가 서울대 정시지원때 한자는 필수였는데(2020수능기준임)... 아무튼 둘다 병행해야한다 개인적이지만 난 어릴적부터 한자공부 를 해오면서 고3때 처음 경제신문을 읽기시작했는데 일주일 만에 깨달음을 얻고 투자와 병행했다 드라매틱하게 증가한건 아니지만 그래도 깨달았다 왜 부자될려면 신문을 읽어야하는지 어찌대로 내 인생에 큰 전환점이됨 난 한자공부도 추천한다

  • @seulapark6304
    @seulapark63042 ай бұрын

    대학원 2년동안 배운거가 여기 다있네ㅋㅋㅋ 너무 유익해요!!!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2 ай бұрын

    대학생이 금일 이 금요일인줄 알았대 ㅋㅋㅋㅋㅋ 대학생은 어떻게 됐을까 그런 국어 실력으로 ㅋㅋㅋㅋㅋㅋㅋ 대학생 맞아???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2 ай бұрын

    @@user-gm9ut5my2u 만물을 다 알지 못해도 금일 이라는 기본적인 단어는 알지 않나요 보통 초등학교때 배워요

  • @user-gm9ut5my2u

    @user-gm9ut5my2u

    2 ай бұрын

    @@user-qw8dr7xv7x 예예 에구 박사님ㅋㅋ

  • @Kei-ko7nv

    @Kei-ko7nv

    2 ай бұрын

    요즘 대학은 옛날처럼 머리가 좋아서 가는게 아닙니다. 그저 시험에 맞추어진 훈련을 잘하면 가는거죠. 그래서 우리나라는 답이없습니다.

  • @BGNBCAPDR

    @BGNBCAPDR

    2 ай бұрын

    꼴에 기분 나쁜지 비꼬기는 ㅋㅋㅋ

  • @user-fe4hs5ut8z

    @user-fe4hs5ut8z

    2 ай бұрын

    돈만주면 가는게 대학교임..

  • @user-jj2um7cm2i
    @user-jj2um7cm2i2 ай бұрын

    모를수있는데 알려주면 알려주는 사람을 불편러로 만들고 말만 통하면 되지않냐는 논리임.. 사소하게 되돼 구분 못하는거며 있지도않는 낱말 됬 사용하는거부터 알게 모르게 문맹률이 늘어나는거 같음

  • @yumimoon1408
    @yumimoon14082 ай бұрын

    언어는 에티켓이다 ❤

  • @user-wv8py6uj6q
    @user-wv8py6uj6q2 ай бұрын

    내가 모르는 단어가 있을 수 있다. 근데 요즘 10~20대들은 자신이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검색을 해볼 생각은 커녕 '틀딱체'란 말로 무시해버린다.

  • @Noname-noname794
    @Noname-noname7942 ай бұрын

    여러분 제발 책을 읽으세요.. 그럼 다 해결이됩니다..😅😅

  • @user-ze5qh3ve8x

    @user-ze5qh3ve8x

    2 ай бұрын

    진짜요... 세상에 재밌는 책도 엄청 많은데 귀찮다고 안 읽으니...ㅠㅠ 책 읽으면 문해력 정말 많이 느는데 말이죠... 아휴

  • @user-gm9ut5my2u

    @user-gm9ut5my2u

    2 ай бұрын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프로 좋았는데

  • @user-GoldMaitreya

    @user-GoldMaitreya

    2 ай бұрын

    저정도는책안읽어도알게되는거아니에요?

  • @mimimi33345

    @mimimi33345

    2 ай бұрын

    맞아여ㅜㅠㅠㅜ 서점가서 90%이상의 상업용 개쓰레기책 들 많이들 사봐 볍신들아 ㅎㅎ

  • @user-mo1gn2jx2y
    @user-mo1gn2jx2y2 ай бұрын

    사흘, 나흘은 요즘 세대는 많이 쓰는 말이 아니라서 헷갈릴수 있긴 함. 이게 또 귀걸이, 귀고리 같이 사람들이 하도 틀려대서 현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자주 쓰는 어휘도 어법상 맞다고 인정해주긴 하는데 사나흘은 방법이 없음ㅋ 사흘을 4일로 안다고 나흘을 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니ㅋ

  • @user-gk1ku3wl5l
    @user-gk1ku3wl5l2 ай бұрын

    요즘 커뮤니티 사이트를 봐도 긴 글 아래 3줄 요약만 보는 일이 많음

  • @eunheekim8595
    @eunheekim85952 ай бұрын

    종이 신문 보면 재밌지 않나요? 헤드라인 보고 신문 사설을 오리고 NIE도 할 수 있고요~~~^^🤗

  • @user-tc9vy4tn6y
    @user-tc9vy4tn6y2 ай бұрын

    인터넷 서핑하다가 읽고 싶은 기사 집에서 레이저 컬러 프린트로 인쇄해서 읽는거 재밌음. 그리고 다보면 세단기로 세절하고. pc로 볼때는 안 읽혀지고, 안보이던 오타가 다 보임. 하루 금방지나감. 그리고 책과 달리 손에 잡고 읽지 않아도 되고, 라면 먹으면서 놓고 봐도 되고.

  • @user-ol8uy3mc1y
    @user-ol8uy3mc1yАй бұрын

    신나부러 학생 말에 정말 빵 터졌네요. 문해력이 정말 낮아지긴 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DJ-qh1ds
    @DJ-qh1ds2 ай бұрын

    품행이 방정하여

  • @ruichenjin3989
    @ruichenjin39892 ай бұрын

    심심한 사과는… 두 심 모두 깊을 심을 써서 깊은 사과라는 뜻 아닌가?

  • @user-ce5fq6yc9d

    @user-ce5fq6yc9d

    2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무식하면 가만히있음 중간이나 가지요

  • @ruichenjin3989

    @ruichenjin3989

    2 ай бұрын

    @@user-ce5fq6yc9d 무식하면 가만히 있음 은 재석님을 얘기 하시는건가요? 그렇다기엔 방송에 유재석님이 보여주신게 너무 많아서… ”무식하면“은 공감이 안가네요 사람이 본인이 아는 지식엔 틀린게 없을수 없어요 틀릴수는 잇죠 다만 방송을 통해서 나가는건 제작진이 체크하고 필터링 하는 몫이라고 생각해서 한 얘기에요.

  • @user-ce5fq6yc9d

    @user-ce5fq6yc9d

    2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그말을 인정한다는 뜻 그것도모르나봐요 이것보고 가만히있음 중간간다 뜻입니다요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2 ай бұрын

    @@ruichenjin3989 여기도 문해력 안좋은분 하나 추가요 ㅋㅋㅋㅋ

  • @user-oz4tp7ry7u

    @user-oz4tp7ry7u

    2 ай бұрын

    1:37 자막으로도 나오네요. 심심(甚深)하다 심할 심에 깊을 심을 씁니다.

  • @youtubegajago938
    @youtubegajago938Ай бұрын

    2년전이네요 상우학생은 원하는 서울대 당연히 갔을 것 같은데 궁금합니다. 저점수면 의대갈 것 같은데 진짜 꿈이 수학자인가보네요 두분응원합니다

  • @goodyzg
    @goodyzg2 ай бұрын

    읽어도 안되는 애들은 안됨 이건 그냥 그 세대의 한계임

  • @Nua_Lee
    @Nua_Lee2 ай бұрын

    TLDR.... 3줄요약좀인가ㅋㅋㅋㅋㅋㅋㅋ

  • @user-rh4jq4zi1c
    @user-rh4jq4zi1c2 ай бұрын

    1:37 마음심아니고 깊을심입니다

  • @user-ve7di5pk9o

    @user-ve7di5pk9o

    2 ай бұрын

    자막에 한자 적혀있네요

  • @user-qp3my2fz3p
    @user-qp3my2fz3p2 ай бұрын

    ❤좌우 신문❤ 꼭 함께 보세요 한쪽만 보실거면 차라리 안보시는게 해악을 방지

  • @luaore
    @luaore2 ай бұрын

    왜 내가 챙피하지?? 진짜 실화야???

  • @user-museoha
    @user-museoha2 ай бұрын

    예전에 아는 분한테 나중에 만나면 쌍수 들고 반기겠다고 하니까 저보고 쌍수 하냐고 잘 됐음 좋겠다고...ㅎㅎㅎ

  • @daheebok2557

    @daheebok2557

    2 ай бұрын

    헐 ㅋㅋㅋㅋㅋ ㅠㅠ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2 ай бұрын

    와…

  • @user-ww7mc4py5u
    @user-ww7mc4py5u2 ай бұрын

    지식만 많으면 뭐하냐고 인간 사람이 안됐는데. 지식교육보다는 인성교육이 필요한 시대임. 머리에 지식은 많지만 오로지 자기밖에 모르는 인간들

  • @rigae2
    @rigae22 ай бұрын

    유행하는 짧은말과 은어들을 보고 Orwell의 교훈을 어떻게 reconcile 해야하는지 몰랐다가 이제야 조금씩 이해가 되네요. 지금의 현상은 더 큰 결과의 과정일수 있겠네요.

  • @snorlax2182
    @snorlax21822 ай бұрын

    유재석 한국경제신문 보던데

  • @user-vq6tp1yj1i
    @user-vq6tp1yj1i2 ай бұрын

    모를수도 있긴한데 알려고 노력은 해야지 ㅋㅋㅋㅋㅋ

  • @historia1592
    @historia15922 ай бұрын

    검토능력 합리적 판단 제로세대 z세대

  • @Snakejack87
    @Snakejack872 ай бұрын

    문해력의 문제가 아님 그냥 무식한거임

  • @user-mc2yg1lh8q
    @user-mc2yg1lh8q2 ай бұрын

    정말 언어는 어휘력이 중요하다 책 읽기전에 어휘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 @user-gm9ut5my2u
    @user-gm9ut5my2u2 ай бұрын

    확증 편향은 심한 정신병으로도 갈 수 있다는 걸 알았음. 예시로 막장드라마 우당당탕 ㅍㅁㄹ ㅋㅋㅋ

  • @user-po9bf7ue3n
    @user-po9bf7ue3n2 ай бұрын

    조중동연합 신문을 보니 굥하고만 인터뷰하나?

  • @DJ-qh1ds
    @DJ-qh1ds2 ай бұрын

    요즘애들 똑똑한 줄 알았더니!

  • @DJ-qh1ds
    @DJ-qh1ds2 ай бұрын

    미덥다를 최근에 배우다니 실망이여 조셉!

  •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2 ай бұрын

    조셉 외국 사람이라 이해 좀..

  • @eejion

    @eejion

    2 ай бұрын

    잘 안쓰이면 사라지게될 말일수도 있죠 뭘ㅎ;; 21세기에 '듕귁에 달아'라고 하는 사람 없듯이??ㅎ;;

  • @coann833

    @coann833

    2 ай бұрын

    @@eejion음.. 잘 안쓰이나요? 저 30초반인데 많이써요. 미덥다랑 듕귁에 달아랑 같은 수준의 사어로 보다니 충격.

  • @castle_base7149
    @castle_base71492 ай бұрын

    나리만 한국이지 한자가 너무많음 한글의 우수성이 아님 한자콜라보 한글임

  • @user-go5ns9ur4l
    @user-go5ns9ur4l2 ай бұрын

    광고가 왜이러냐 짱나네

  • @user-zp4gt2xc9j
    @user-zp4gt2xc9j2 ай бұрын

    한문을 쓰지말고 고유 한글만 쓰자!!

  • @user-go9ek8so9y
    @user-go9ek8so9y2 ай бұрын

    출연자성함이....

  • @user-gz7mq9yk7u
    @user-gz7mq9yk7uАй бұрын

    이런 사람들 연령불문 있어욬ㅋㅋㅋㅋ배우기는 귀찮아하고 자기 고집만 있어서 죽을때까지 저럼 어릴때 저런사람들 걍 그대로 늙으면 말안통하는 노인들 (왜 이렇게 어려운단어를 써서 나를 지금 무시하냐? 가르치려는거냐? )처럼 저렇게 되더라구요. 그리고 일상생활에 문제가 없다고 바락바락 핏대세우는데 진짜 문제가 없는걸까? 주변에서 개무식하다, 대화가 안통한다, 교육을 안받은건가? 싶어도 겉으로 말을 안할 뿐이지 일상생활 할때도 문제이고 일할때도 문제죠 소통이 안되는데 어릴때는 그거 몰라도 사는데 문제 없어라고 하는데 그대로 나이들면 저거로 지적하면서 도리어 지 무시하냐고 왜 어려운말 쓰냐고 화를 내는 사람들로 변함 ㅋㅋㅋ그리고 진상이됩니다

  • @MusicLuv80
    @MusicLuv80Ай бұрын

    내가 이는 지인 분들 다들 책읽으면 모 줄게, 책읽으면 모 하게 해줄게 방법으로 애들 키움. 하나같이 다 명문데 같음.

  • @user-bp2pv3dc9m
    @user-bp2pv3dc9m2 ай бұрын

    진짜 심각하네 너무...

  • @user-re6xp1qx8y
    @user-re6xp1qx8y2 ай бұрын

    솔직히 저정도 모르는걸 언어의 변화가 빠르다해야하나 무식하다 해야하나 그경계 어디쯤일듯..

  • @user-zp4gt2xc9j
    @user-zp4gt2xc9j2 ай бұрын

    특히 싸울때 답답한 사람들 많다.

  • @user-rh4jq4zi1c
    @user-rh4jq4zi1c2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그냥 기본 어휘자체가 부족한거같은데 무식한듯

  • @przvl-oh8nk
    @przvl-oh8nkАй бұрын

    멍청한게 자랑인마냥 당당한시대 ㅋㅋ

  • @user-pf1di3rv3h
    @user-pf1di3rv3h2 ай бұрын

    읽으면 뭘하나????

  • @subscriptionstudio7070
    @subscriptionstudio70702 ай бұрын

    한자가 70%인 언어인데 한자 싹다 없애 버렷으니 한자혼용 해야되죠 중국거라고 안쓸라나? ㅎ

  • @user-hk5zz8gm5t
    @user-hk5zz8gm5t2 ай бұрын

    독서를 좀 하면 좋으련만,평생 책 한권 안읽은걸 자랑삼아 말하는 세상이라 ㅠ

  • @user-zi5fe7ln1q
    @user-zi5fe7ln1qАй бұрын

    심각하다…요즘애들

  • @DJ-qh1ds
    @DJ-qh1ds2 ай бұрын

    한자를 몰라 그런가

  • @DJ-qh1ds
    @DJ-qh1ds2 ай бұрын

    저게 문해력인가 그냥 무식한데

  • @user-zf2yo7dn3i
    @user-zf2yo7dn3i19 күн бұрын

    사흘 중식 사서 이런거는 문해력이 아니라 그냥 무식이고 바보

  • @mazheistikomega3029
    @mazheistikomega30292 ай бұрын

    와 2분 봤는데 더이상 못보겠다 토할 것 같네

  • @user-qw3nl2td1p
    @user-qw3nl2td1p2 ай бұрын

    조세호 구라치네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2 ай бұрын

    @@user-gm9ut5my2u ㅋㅋㅋ 이것도 문해력이 있어야 이해가 되죠 ㅋㅋㅋ

  • @user-sg5sd2nd7d
    @user-sg5sd2nd7d2 ай бұрын

    책읽으라는소리를 저렇게길게하네 존나답답한 영상

  • @user-fj8ul2dr8g
    @user-fj8ul2dr8g2 ай бұрын

    그래서 검찰독재를 옹호하나보군 우리나라 신문이 신문이냐

  • @user-wb5ut8yi7s

    @user-wb5ut8yi7s

    2 ай бұрын

    본인만의 세계에 빠져사는 당신같은 사람이 위험하다고 말하고 있잖아요 ㅋㅋㅋㅋㅋ말의 본질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시는듯

  • @user-gm8xq6ek1b
    @user-gm8xq6ek1b2 ай бұрын

    아줌마들 진짜 ㅋㅋ

  • @user-xv5zs9vo7c
    @user-xv5zs9vo7c2 ай бұрын

    조세호 정말 너무 무식하다 머좀 읽어라 겉멋들어가지고 시짓는다 하지말고 착하고 귀엽고는 좋은데 40이 넘었으면 창피한 건 좀 줄여야지 유퀴즈가 그냥예능이 아니고 교양도 같이 있는 프로인데

  • @user-ve7di5pk9o

    @user-ve7di5pk9o

    2 ай бұрын

    교양 있다는 건 누구 생각임?

  • @user-xv5zs9vo7c

    @user-xv5zs9vo7c

    2 ай бұрын

    @@user-ve7di5pk9o 교양프로모르나?? 답글이라고 달은꼴이 개답답

  • @user-gz7mq9yk7u

    @user-gz7mq9yk7u

    Ай бұрын

    방송용 멘트일 수도 있죠. 시청자들이 원하는 그림을 보여줘야 하니깐 시청자들중에 자기는 잘 모르는데 방송에서까지 지적한다고 불쾌해하는 사람들에게 동질감 심어서 안도감 느끼게 만들고 덜 공격적으로 나오게끔 하려는 목적도 있지 않을까요😂

  • @user-pi4vr8zx1l

    @user-pi4vr8zx1l

    Ай бұрын

    농담을 농담으로 이해해야지 딸리기는

  • @user-jq3ig4gr6i
    @user-jq3ig4gr6i2 ай бұрын

    무식한것들이 참 많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