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tvN 레전드 끌어, 올려↗ #끌올
#유퀴즈온더블럭 #조병영 #국어교육과교수 #유퀴즈온더블럭다시보기
〈유퀴즈온더블럭〉 매주 수 오후 8시 45분 tvN에서!
TVING으로 다시보기 👉 www.tving.com/contents/P00064...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125

  • @hanna6352
    @hanna635214 күн бұрын

    ㅋㅋㅋ심심한 사과의 말씀이란 워딩에 무지한 분노를 했고, 그게 잘못되었다는걸 알았으면 부끄러워해야하는데 그걸 부끄러워하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것.

  •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14 күн бұрын

    태어나서 처음 들어보는 말이고, 말 뜻을 모르니ㅋㅋㅋ

  • @kimminung1806

    @kimminung1806

    14 күн бұрын

    네 다음 워딩

  • @JW-jb2zl

    @JW-jb2zl

    13 күн бұрын

    근데 모르는걸 왜 부끄러워해야 하는건가요? 학생들이 모른다는건 학교가 잘못됐던지 사회가 변화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요? 제가 아는 분야에 대해서 다른 사람이 모른다고 하면 부끄러워해야 하는걸까요? 우리세대가 배우던 교과서와 읽던 책들이 지금이랑 다를뿐입니다.

  • @hanna6352

    @hanna6352

    13 күн бұрын

    @@JW-jb2zl 심심한 사과의 말씀이란 워딩에 무지한 '분노'를 했다 적었죠. 길가고있는 사람에게 너 심심한이 무슨 뜻인지 모르냐? 라고 꼽을 주는 상황이 아니라요. 애초에 이 일이 이슈가 된 이유는 사람들이 그게 제대로 사과하는거냐! 라고 항의를 해서 이슈가 된거구요.

  • @hdj7547

    @hdj7547

    13 күн бұрын

    ​@@JW-jb2zl*_모르는게 부끄러운게 아니죠 몰라서 가르쳐주는데 그 가르침에 감사할줄 모른것 그게 부끄러운거 아닐까요 예를 들어 0명 모집이라고 해놧는데 뽑는다면서 왜 0명이라고 했냐 놀리는거냐고 우겼던 사건..그래서 숫자 0명이 아니라 1~9명 까지 뽑는다는 빈칸의 개념의 0인건데 이걸 친절히 알려줘도 사람 헷갈리게 0으로 썼다고 더 뭐라 하던 사람들 그런 사람들보고 모르는걸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하는거죠_*

  • @9until925
    @9until92514 күн бұрын

    이래서 한문도 같이 배워야 하는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들은 한자어가많아서 적어도 2천자는 알아야 된다. 문해력? 독해력? 한자를 모르면 불가능하다.

  • @ice_ame_ricano

    @ice_ame_ricano

    9 күн бұрын

    ㅇㅈ

  • @FOFORI

    @FOFORI

    8 күн бұрын

    배우면 좋으나 그냥 음과 뜻정도만 알아도됩니다. 아이들이 한글을 배울때 도움이 많이 됩니다.

  • @user-hb6gq3ky1q
    @user-hb6gq3ky1q9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사흘 이라는 단어를 고등학생 때까지 몰랐다는거는 그냥 공부에 손 놓은거임.. 그런 애들은 대학가면 안됨..ㄹㅇ

  • @user-yy6wl4xy7p
    @user-yy6wl4xy7p14 күн бұрын

    믿기지가 않는다 믿기지가 않아...

  • @hyunwo2choi982
    @hyunwo2choi98214 күн бұрын

    문해력 떨어지는 이유는 우리나라 국어 교육이 잘못된 이유이기도함 학생들은 비문학을 읽을때 무조건 시간안에 문제를 푸는걸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글의 진정한 내용이나 느낌 그런건 생각도 안하고 문제를 어떻게 빨리 풀수있는것에만 초점을 맞춰 그런 방법이나 스킬만 연구하기 때문에 ...진정한 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은 없음

  • @user-hb6gq3ky1q

    @user-hb6gq3ky1q

    9 күн бұрын

    ??? 초등학생 때부터 비문학 배움?ㅋㅋㅋㅋㅋ 초딩부터 고딩까지 문학수업도 다 하는데 왜 비문학 문제 풀이 탓을 하지?ㅋㅋㅋ 그리고 시간안에 문제 풀려면 어휘를 알아야 풀지 ㅋㅋㅋㅋ

  • @whookkookkooo

    @whookkookkooo

    5 күн бұрын

    ​@@user-hb6gq3ky1q 그 누구도 초딩에만 한정해서 이야기 하질 않았는데? 애초에 지금 이슈가 되는건 2030 들의 문해력 부족 아님? 사흘 좀 모를 수도 있다며 에타에 쓰는 글이 초딩이 쓰는 건 줄 앎? 오른쪽 왼쪽도 헷갈려할 나이에 완벽한 문해력을 기대하는게 더 역겨운데

  • @dogtoe3438

    @dogtoe3438

    Күн бұрын

    ​@@whookkookkooo 2030만 문제가 아님 진짜 더 심각하고 중요한건 한국의 미래인 현 10대들이에요

  • @user-wo4sy4tx1m
    @user-wo4sy4tx1m14 күн бұрын

    아니 하루 이틀 사흘 나흘 이런걸 모른다고? 헐 대박이네 진짜

  • @user-bd7nn7sv4j

    @user-bd7nn7sv4j

    14 күн бұрын

    이런 걸 이라고 띄어쓰기 해야합니다 누군가는 모를 수도 있죠 뭐

  • @user-bd7nn7sv4j

    @user-bd7nn7sv4j

    4 күн бұрын

    @@IsabellaH-wv7vy .. 악플 다신 거 남은 생에사 돌려 받으세요~~

  • @lhifeel60

    @lhifeel60

    4 күн бұрын

    @@user-bd7nn7sv4j 모를수 있지. 근데 모르면 나대지를 말던가. 닥치고 가만히 있으라고 쫌.

  • @user-bd7nn7sv4j

    @user-bd7nn7sv4j

    3 күн бұрын

    @@lhifeel60 이홍일씨~

  • @user-lm7gt7ti9y
    @user-lm7gt7ti9y23 сағат бұрын

    모르는건 문제가 아님 찾아보거나 배우면 되니까 문제는 모르는데 너무 당당하다는거...

  • @user-db7vm3oe4q
    @user-db7vm3oe4q14 күн бұрын

    학교다니면 국어책만 읽어도 당연한것들 아닌가? 애초에 학교 공부를 이해하려하지않고 수능을 위한 암기만 하고 머릿속에서 지워버리기때문 아닐까,, 고등학교때 공부못했는데 담임 선생님이 신문한부를 억지로 보게했었는데 너무 감사함

  • @REHIT
    @REHIT9 күн бұрын

    모르는게 무식한건 아니지만 모르는 걸 받아들이는 과정에서의 [태도나 반응]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모르면 아~ 그게 그런 뜻이구나 하면서 알아두고 넘어가면 되는 걸 - 아 왜 헷갈리게 사흘, 금일 이런 잘 쓰지도 않는 표현을 쓰냐!!!!!!!!!! - 역으로 따지고 화내고... 모르는게 무식한건 아니지만 떳떳한 일도 아니고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더라도 종종 쓰이니까 마찰이 생기고 하는거라고 하면 알아둬서 나쁠 건 없는건데... 왜 이걸 이 핑계 저 핑계 되면서 따지고 화내는지를 모르겠네요

  • @CloudS2Luna
    @CloudS2Luna9 сағат бұрын

    13:33 저도 한자를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업을 하는 선생님으로서, 해당 한자의 설명을 할 때, 이 두 단어의 구분은 학생들에게 꼭 알려주고는 하죠. 좌우지간 문해력에 대한 이슈는 어제오늘 일도 아니었던지라 새삼스럽지도 않습니다만 자신이 모르면 상다방에게 '배우려는 자세'라도 있어야하는데.. 요즘 사람들 대부분 그런 부분들이 결어되어있다는 사실이 참으로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 @TV-ts1ls
    @TV-ts1ls9 күн бұрын

    요즘 시대에 가장 필요하고 중요한 주제가 유퀴즈에 나와 너무 보기 좋네요. 다른 분들도 말씀하셨던 것처럼 모르고 틀리고 보다 중요한 것은 모르고 틀려도 그게 어때서?라는 태도가 문제인 것 같습니다. 서로의 다름을 틀림으로 인지하지 않고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ㅎㅎ

  • @moonblue5245

    @moonblue5245

    7 сағат бұрын

    😅

  • @wolpen3
    @wolpen312 күн бұрын

    영어나 수학문제를 문제를 풀 능력은 되는데 지문 자체를 이해를 못해서 못푸는 일이 생기고 있음 문해력도 그렇고 한자어도 속뜻을 유추 못함

  • @user-dw3qx9od2u
    @user-dw3qx9od2u14 күн бұрын

    어휘는 언어의 재료이다. 사실 언어 사용은 에티켓이다.

  • @wwl8803
    @wwl880314 күн бұрын

    어차피 언어와 문자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기 마련이죠. 지금 문제가 되는건 기술의 발전을 사회 전반의 시스템이 쫓아가지 못하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과거에는 이런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했던건 기술 발전의 속도가 지금처럼 가속하는 시대가 아니였기에 어느정도 시스템이 따라갈 여지가 있었지만, 현대 사회에선 그게 점점 힘들어지고 있죠. 불과 30년도 안되는 짧은 시간 동안만 고려해도 문자 중심에서 영상을 중심으로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대로 바뀌었고, 사실 이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가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중 하나죠.

  • @TailWhite-sd9yx
    @TailWhite-sd9yx14 күн бұрын

    학교에서 다른거 가르치지말고 저것들을 계속 가르쳐야겠다.. 아흐

  • @TailWhite-sd9yx
    @TailWhite-sd9yx14 күн бұрын

    아니 이해가 안되는건 문해력이 떨어지는건 이해가 되나 검색해보면 되자나 애들이 요생해

  • @chamsae_desu

    @chamsae_desu

    10 күн бұрын

    사전 검색 조차 안하는 인간들이 넘쳐나요 ㅠ

  • @kimminung1806
    @kimminung180614 күн бұрын

    이런 마인드와 마음가짐 너무 좋아요. 그치만.. 저 마음가짐을 가질만한 환경이 있는 직장을 갖기 위한 상황이라면.. 스타일은 성수동인데 급여수준은 동탄 노가다를 필요로하는 이 사회에서. 노가대판에선 당연 씨알도 안 먹히고, 쿠뻥 알바에 가보신분은 알겠지만 성격 드럽고 개판이고.. '다 그렇지 않아요' 예. 다는 아니죠. 대다수는 그렇죠. 공장 가봐요.. 저런거 '알고 사는가' 싶어요.. 돈 지원받으면서 먹고살기 편하게 공부만 하는 사람 보면 참 부럽다. 하다못해 구멍가게라도 하고있는집 자식이었으면...

  • @doslrnt
    @doslrnt14 күн бұрын

    요즘은 한자 자체가 필요없다는 인식이 대부분이지만 난 애들이 한문시간 다 자고 시험 찍을 때 흥미를 느껴서 검정시험까지 공부해본 덕분인지 학교 때 언어시험도 그렇고 대학 때나 사회생활에서 문서작업할 때 이해하는 속도도 빠르고 도움이 많이 되었던거 같음

  • @sejong_1009
    @sejong_100911 күн бұрын

    어휘력이 진짜 중요한데.....

  • @user-bj4yl2wi4q
    @user-bj4yl2wi4q4 күн бұрын

    한자권의문화 글자가 아직까지도 우리말속애 대부분을 차지하기에 당장 순한글로 모두 바꿀 수 없기에 주변선진 두개국이 한자를쓰기에 우리도 꼭 한자를 가르키면 중국어 일본어도 쉽게 배울수있습니다 한자는 뜻글자이기에 가르키면 한국어 쓰는데도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기자등도 말할때 잔짜 웃기는 발음들이 한두가지가아니죠 쎈발음을 쓰면 안돠게 교육했나봐요 우리는 소리글자잖아요 앞뒤 글자에따라 된발음이 나오면 그대로 소리나는데로 앍어야지 너무순화시켜서 읽다보니 문자는 문짜로 읽어야지 순자 영자 아이이름부르듯 처럼 문자라하더군요.

  • @user-ew5mj3gz8s
    @user-ew5mj3gz8s13 күн бұрын

    금일을 모르는건.. 못해도 한자교육 6급까지는 기본으로 가르켜야 할듯

  • @user-xw8tu8nm7q
    @user-xw8tu8nm7q12 күн бұрын

    인터넷 때문이라는 것도 아님 ㅋㅋ 솔직히 모르면 검색해야지 모르는걸 자신이 안다고 착각하고 너 틀렸음!!ㅋㅋ 이러는 게 문제임 ㅋ 옛날처럼 국어사전 뒤져가면서 찾는것도 아니고 몇초면 충분한 걸.. 지가 모르고 틀렸다는 걸 인정하기 싫은 거 ㅋ 그러니까 왜 그런 말을 쓰냐 예날에나 쓰던 말 아니냐 이러고 ㅋㅋ 좀 크고 사회생활하다보면 그랬던 자신이 부끄러워 질거임 ㅋ

  • @user-eu2os5kw1f
    @user-eu2os5kw1f52 минут бұрын

    국어 랑 한문 어릴적에 열심히 해야합니다. 어휘력이 부족하면 살아가는데 있어 매우 힘듦니다.

  • @user-qj9sh9nb1e
    @user-qj9sh9nb1e13 күн бұрын

    수능 목적으로 공부하기 때문에 뜻풀이를 할줄 알아야하는데 국어 교과서 고등학교때 국어 단어속에 뜻풀이 있었는데 지금 그냥 문장 외우고 문제 답 정답만 찾는 수업 반대말도 배우고 국어 문해력 높이려면 책 내용 바뀌면 안되는 이유이다

  • @firewatch9277
    @firewatch92779 күн бұрын

    하루이틀사흘나흘 알곤있는데 이상하게 사흘이라고 딱 들으면 4일이 먼저 생각났다가 아차함 ㅋㅋ

  • @dochu8835
    @dochu88356 сағат бұрын

    심심한은 마음 깊이가 아니고 정확히는 '심하고 깊게'라는 뜻이다. 마음 심이 있을 거 같지만 심할 심이랑 깊을 심이다. 물론 마음으로 깊이 사과하겠지만, 일단 마음이든 행동이든 매우 정중하고 깊이 사과한다는 말이다. 나도 오랫동안 마음 심으로 알고 있었지만 아니었다.

  • @user-wo4sy4tx1m
    @user-wo4sy4tx1m14 күн бұрын

    와 진짜 이런걸 학교에서 안가르치나보네

  • @idle_0502__
    @idle_0502__2 күн бұрын

    모를수있음. 지적하는 사람의 태도 혹은 듣는사람의 자존감 때문에 모르는사람이 기분이상함 지적하는사람은 모를수도있다고 이해하고 설명해주면됨. 지적당하는 사람은 배우는건 자유라고 해도 대충이라도 이러이러한 상황에 쓸수있는 말이구나하고 가볍게 넘어가면 됨. 둘다 서로이해해주면되는데 잘 안되고 쉽지가않음. 근데 굳이 얘기하자면 본래의 뜻을 알필요는 있다고 생각함. 사흘 나흘 금일 등으로 약속에대한 심각한 오해가 일어날수 있는 말에대해서는 본래의 의미를 알아야만 한다고 생각. 존중을 떠나서 누군가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수있고 그게 나일수있음.

  • @loveaintfree1409
    @loveaintfree1409Күн бұрын

    검색하면 되잖아 !!!

  • @anfamily0627
    @anfamily062712 сағат бұрын

    요즘 엄마들이 사서를 모르는건가?? 이렇게 모를수가 있는건가... 큰일이네요..

  • @zu4961_krande
    @zu4961_krande7 күн бұрын

    요즘 문해력 이슈 있는 사람들이 '어디까지가 상식인가'라면서 뭐라 하기도 하는데 보통 그런 사람들이 말하는 이슈의 대부분은 상식이다..

  • @user-kg4uz1qd2j
    @user-kg4uz1qd2j14 күн бұрын

    문어체를 잘 접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벌어지는일임 금일 격일 같은 문어체는 학생들이 접할 기회많이 없어졌으니 여기서 설명하는 단어들도 마찬가지고 어쩔수없지

  • @doslrnt

    @doslrnt

    14 күн бұрын

    근데 문어체를 접할기회가 적은건 아주 윗세대 빼면 다 비슷비슷하지 않나요? 00년대에 초중고 다닌 저도 살면서 문어체를 일상생활에서 들을 기회가 없는건 똑같았는데 대부분은 학교다니면서 교과서에 나오니까 자연스레 알게되는 말 아닌가... 2020년대 교과서엔 저런 말 안 나옴?

  • @user-oq7od1ew5e

    @user-oq7od1ew5e

    14 күн бұрын

    그냥 요즘애들은 책을 안 읽어서 그럼ㅋㅋ 옛날에 핸드폰이 있음 게임기가 있음 다 만화든 소설이든 수필이든 책을 많이 봤지 나 어릴때만해도 위인전집,WHY책전집,삼국지전기 이런거 달달봤는데 요즘은 태어나면서부터 핸드폰으로 애기들이 좋아하는 유튜브 틀잖음 종이책보면 그냥 몸에 좀이 쑤실걸

  • @1BUCKYOU1

    @1BUCKYOU1

    14 күн бұрын

    금일 모르는 사람이 어딨어요 ㅋㅋ 목일 금일 토일 모르심?

  • @LL-cw2ce

    @LL-cw2ce

    14 күн бұрын

    ​@@doslrnt모르는건 이해 하는데 모두가 약속하고 쓰는 단어를 자기가 모른다고 잘 안쓴다 일반화 하며 책임회피 하는 모습이 안좋은 겁니다. 모르면 물어보고 알아게는게 중요하죠.

  • @user-lj8mp3yi2e

    @user-lj8mp3yi2e

    14 күн бұрын

    @@1BUCKYOU1 풉ㅋㅋㅋㅋ 문제는 프로불편진지러들이 진짜로 받아들이고 물어 뜯을 수 있습니다.

  • @user-tk1dz2bv1x
    @user-tk1dz2bv1x13 күн бұрын

    한문을몰라서그런듯

  • @hyojunchon7644
    @hyojunchon764413 күн бұрын

    비판을해주는데 꼬아 듣기때문에 비난까지 가게 되는 경우도 있다능

  • @user-fm8pt4tl3m
    @user-fm8pt4tl3m13 күн бұрын

    대화 70퍼는 욕이라고 ㄷㄷㄷㄷㄷ 욕빼면 대화가 안되고 왕따

  • @mangsu-241
    @mangsu-2412 күн бұрын

    진짜 백번 양보해서 모를 수도 있다 근데 확실히 모르는데 뭔가 글이 이상하다면 찾아봐라 좀

  • @ljilji11
    @ljilji113 күн бұрын

    문해력이 떨어지니 한글파괴하면서 되도않는 신단어를 만들어내는 초중교 학생들 과 그걸 전국민이 재밌다며 유명 개그맨들까지 방송에 나와 쓰며 유행시키는 시대에서 뭘 기대할까

  • @user-qj6ke3ys4y
    @user-qj6ke3ys4yСағат бұрын

    공무원 국어에서도 내년부터 한자 문제 빠지는데 말 다했지

  • @Gotothehell
    @Gotothehell3 күн бұрын

    무지성 악플러들 꼭 시청해라 ㅋㅋ 13:18

  • @animeoham
    @animeoham9 күн бұрын

    지자체 공무원인데 진짜 우리나라 국민수준 혐오스러울정도로 낮음.. 내가 이런사람들을 대하며 일해야하나 생각들때마다 현타 씨게옴...

  • @youngkim2882
    @youngkim288213 күн бұрын

    타인의 말을 듣지를 않음 자기가 물어보고도 예 아니오 의 간단답만원함

  • @jinjaya
    @jinjaya14 күн бұрын

    종이 신문은 동의 못 함 뉴스 웹페이지도 이것저것 다 읽으면 되지

  • @user-cb9vg4ur9f

    @user-cb9vg4ur9f

    13 күн бұрын

    다른거로 빠질 유혹이 많아요

  • @chamsae_desu
    @chamsae_desu10 күн бұрын

    아니 단어 모르는 느낌이 들면 네이버 검색하면 다 나오자나.... 검색 조차 안하냐..

  • @user-wu9gh6eh1b
    @user-wu9gh6eh1b5 күн бұрын

    요즘 애들이 문제가 아니라 전세대가 비슷한거같은데??

  • @dkanakfdmstlfgdjdy
    @dkanakfdmstlfgdjdy13 күн бұрын

    유튜브 덕분에... 확증편향이 너무나도 심해져서 이젠 돌이킬 수 없다. 알고리즘이 뭔지도 모르는 사람들.

  • @user-de4nc7qp4r
    @user-de4nc7qp4r9 күн бұрын

    한자 시간 늘려야함

  • @user-vm1pe2yz4x
    @user-vm1pe2yz4x6 күн бұрын

    이건 좀 다른 얘긴데... 언어라는 게 그 시대 사람들의 약속이자 생활과 가장 밀접한 분야라 걍 그 시대 사람들이 쓰는 언어에 맞춰 지가 바껴야지 맞다고 봄😅 표준어도 빠르게 업데이트 하고 일제 시대 잔재 해서 일본말 한국어로만 바꾸는 것도 그래 좋지만... 솔직히 굳이(...) 싶음. 솔까 이웃 나라랑 단어 좀 비슷한 거 있어도 통하는 거 많고 배우기도 쉽고 편함. 간편해지고 줄여쓰고 외래어 쓰고 이런걸 무조건 배척할건 아니라고 봄. 말 쉬워 지는 건 어찌보면 좋은거라고 생각😅 잘 몰라도 선행 공부 없이도 알아들을 수 있는단어가 최고지. 소통하려고 있는 게 언어인데. 그 소통을 왜 굳이 허례허식으로 어렵게 만들고 두번 돌아가게 만드남? 온국민이 한글공부만 쳐 자빠져할 시간도 없고 상식대로 못알아듣고 있는데 그게 기준이야! 하면서 강요하는게 더 이상한 거 아닌가? 한국어의 많은 단어들이 바로 직관적으로 알아들을 수 없단 문제를 지적하는 걸수도 있음. 왜 현대인들이 그렇게 안쓰겠어. 쓰는 사람이 불편하니까 그러겠지. 잘 안쓰는 고어 같은 건 빨리빨리 고어로 분류해놓고 알아듣기 쉬운 언어 중심으로 바꾸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

  • @idle_0502__
    @idle_0502__2 күн бұрын

    사과하는데 왜 심심하냐 그렇게 성의없게 사과해도 되냐 여기 보면 무언가를 모르는사람들이 왜 욕먹는지 알수있음. 모르는건 자기인데 인지도 못하고 제대로 사용하는 사람에게 화를 냄. 이걸 해석하면 상대방이 제대로된 단어의 쓰임을 모른다 라는 가정이 들어가서 지적을하고 화를 낸다는 소리. 결국 본인들이 먼저 무지에 대한 지적과 분노를 표출하는것. 배움이 부족한데도 내가 알고있는뜻이 전부이고 모르는것은 없는말이나 틀린말이다 오만한 생각을가지고 있다는 뜻도됨. 겸손이없다. 그런데 결국 진실을알게되어도 또 그 얼마안되는 쓰레기같은 자존심때문에 모를수도잇다. 어차피 요즘세대는 잘안쓰는 사어다라고 끝까지 자신의 문제을 인정을 안함. 이런 사례가 굉장히 많음. 거의 절대라고 봐도 될정도로 모르는 사람중 반응이 저따구임. 일반인들이 무지 에 대한 반감이 없다가도 생겨남. 이게 정말 큰 부분임. 빈깡통이 요란하다는게 이런 꼴을 두고 하는말. 머리속에 오만가지 가능성과 그에대한이해를 하다가도 매번 이런설명을 장황하게 해줄수가없으니 그냥 짤막하게 모르는게 문제다라고 말하고 말아버림.

  • @user-fs4cd8fn9i
    @user-fs4cd8fn9i14 күн бұрын

    언어라는게 계속해서 변해가는것이긴 하지만 그 변하는 언어의 기본이라는것을 너무 간과하고 살아가는것이 아닌지..국어에 국한된것이 아니라 외국어를 배우는 사람에게도 절실한 내용입니다. 이과는 돈을 벌수 있으나 문과는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배울수 있습니다..

  • @ddasd322
    @ddasd32213 күн бұрын

    걍 안쓰는 단어이니까 그럴수있다봄 요즘 애들은 아날로그 시계 보는법도 모른다는데 뭐

  • @user-ew5mj3gz8s

    @user-ew5mj3gz8s

    13 күн бұрын

    안쓰는 단어라기보다 한자어라 대부분 모름 우리나라가 이상함 한자를 안배울수 있다지만 기본은 되야지 조식 중식 석식 아침 조 가운데 중 저녁 석 8~6 급한자에 나오는것들임

  • @user-wf5to9cc1o
    @user-wf5to9cc1o14 күн бұрын

    사서를 모르는 사람 생각보다 많다는........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13 күн бұрын

    고생을 사서 한단다.

  • @user-nd8yi8yt8k
    @user-nd8yi8yt8kКүн бұрын

    사서 ㅋㅋㅋㅋ 심각한데 중식 ㅎㅎㅎ

  • @gorgopaide8041
    @gorgopaide804113 күн бұрын

    모를순 있지. 모르면서 지멋대로 해석하고 찾아보는 노력도 안하는게 문제지

  • @user-lm7gt7ti9y
    @user-lm7gt7ti9y23 сағат бұрын

    문맥추론이 만능이 아닌이유 ㅋㅋㅋ 사과하는데 '심심한사과' 면 지루하다의 심심이 아님을 눈치채야지 ㅋㅋ

  • @user-vu7cf6er5u
    @user-vu7cf6er5u4 күн бұрын

    무식한 인간들이 무식한 줄도 모르고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교육이 왜 이렇게 되 거냐.

  • @user-qw2zx4nx9b
    @user-qw2zx4nx9bКүн бұрын

    단어의 뜻을 모르겠으면 맘대로 해석하지 말고 제발 문장의 흐름을 보거나 찾아봤으면 좋겠다. 맨날 폰 붙잡고 있으면서 그건 귀찮은가?

  • @YANG.JAEYONG
    @YANG.JAEYONG6 күн бұрын

    책 읽기 싫다면 라노벨이나 웹소설 이라도 읽기를

  • @dudxkr1987
    @dudxkr1987Күн бұрын

    모집인원 0명

  • @user-ws1uf8nd1g
    @user-ws1uf8nd1g14 күн бұрын

    어떻게 사흘을 모르냐.... ㅂㅅㄷ

  • @jinijenny
    @jinijenny6 күн бұрын

    😂;;

  • @user-yy5op7fx7u
    @user-yy5op7fx7uКүн бұрын

    요즘 꼴통들은 왜이렇게 당당하게 적반하장으로 나오는건지 모르면 배워야지 쯧

  • @ChunJoStockMan
    @ChunJoStockMan13 күн бұрын

    그럼 오흘은?

  • @Lucky-fu2pe
    @Lucky-fu2pe13 күн бұрын

    그 관상은 과학이다 가 어찌 틀린말은 아닌것 같은게 그그그 누구냐??? 수학 가르치는 사람하고 궤도? 그리고 저 남자 하고 좀 닮았네 묘~~ 하게~? 턱주가리가 좀 티 나옴?

  • @user-sz5zo7nr3w
    @user-sz5zo7nr3w14 күн бұрын

    안쓰는 단어는 안쓰는 이유가 있습니다 나중에 커서 쓸데 있으면 쓰면 됨 호들갑 너무 심해

  • @user-sz5zo7nr3w

    @user-sz5zo7nr3w

    14 күн бұрын

    @@user-km4dk6yl6t 처음부터 아는사람이 있나요 다 자기필요에 의해 선택하는게 뭐가 문제죠?? 몰라서 피해보는것도 개인문제입니다 저런말 몰라도 잘만삽니다

  • @user-sz5zo7nr3w

    @user-sz5zo7nr3w

    14 күн бұрын

    @@user-km4dk6yl6t 필요에의하면 그때 배워도 상관없고요 사장된 단어 모른다고 무식하다고 하면 그게 더무식해보입니다 언어란건 쉬워야합니다 안그럼 뭐하러 한글써요 한문쓰세요 세계 공통어 영어에 우리나라처럼 같은뜻으로 어려운말이 있긴한가 ㅋㅋㅋㅋ

  • @user-sz5zo7nr3w

    @user-sz5zo7nr3w

    14 күн бұрын

    @@user-km4dk6yl6t 순우리말이라도 다써야됩니까?? 시대에 맞게 사세요 이제 영어도 섞어쓴다고 뭐라할 사람이네

  • @user-sz5zo7nr3w

    @user-sz5zo7nr3w

    14 күн бұрын

    @@user-km4dk6yl6t 그니까요 내말이 영어섞어쓰는건 다들 쓰니까죠 근데 사흘나흘 누가 쓰나요?? 다들쓰니까 배우죠?? 아셧어요?? 언어란게 그런겁니다

  • @user-lp1bf7ln5l

    @user-lp1bf7ln5l

    14 күн бұрын

    ​@@user-sz5zo7nr3w이게 문제...몰랐을때 부끄러워 할것까지야 없지만 모르는 단어가 있을때 알아보고 해석하려는 노력조차 없는건....젓가락질 잘해야만 밥을먹나요?? 뭐 그런건가요

  • @iori1324
    @iori13249 күн бұрын

    사실 문해력 보다는 사회성이 부족한거 같음 근데 요즘 사회성을 교육안하니 그럴수 있다 생각해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