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60대 이후 요양원을 찾지 않는 현실적인 이유 (이호선 교수 2부)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오늘은 이호선 교수님을 모시고
60대 이후 살기 좋은 집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 이호선 교수님의 저서 [오십의 기술]
product.kyobobook.co.kr/detai...
#이호선 #지식인사이드 #노후 #집
00:00 인트로
00:17 노후 준비는 돈이 아니라 ‘이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01:18 “이사 가야 한다면 이곳입니다” 중년 이후 살기 좋은 곳 1위
05:03 요즘 60대가 요양원에 가지 않는 현실적인 이유
07:37 나이들어서 평생 살 ‘내 집’ 꾸미는 방법
08:53 은퇴 후 시골살이, 전문가들은 뜯어 말리는 이유
12:01 “누구나 이렇게 됩니다” 사람이 60대가 되면 생기는 변화
13:47 60대의 99%가 땅을 치고 후회하는 ‘4가지’
15:44 중년 이후가 더 행복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점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knowledgeinside7@gmail.com
👇 다양한 채널에서 지식인사이드의 지식을 얻고 싶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인스타그램: / knowledgeins_kr
페이스북: knowledgeIns...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contents.premium.naver.com/mo...
네이버 TV: tv.naver.com/purejboy2
틱톡: www.tiktok.com/@allstorieskr?...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knowledgeins

Пікірлер: 510

  • @Chris-fg2yg
    @Chris-fg2yg5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아버지께서 돌아가시고 어머니께서 10년을 더 사시고 암투병으로 돌아가셨는데 살아 생전 성당과 복지관을 왕래하시면서 바쁘게 일상을 보내셨죠 동네 복지관에서 매년 노래교실, 라인댄스,난타,탁구등을 배우시고 지역 축제가 있으면 유니폼을 입고 축제에 동참하시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습니다 물론 어머니께서도 일상을 만족 하셨었죠 나도 그렇게 노후를 보내고 싶더라구요 어머니가 생각이 나네요~

  • @user-ff1ie1nv8d

    @user-ff1ie1nv8d

    5 күн бұрын

    ㅣ111ㅋ

  • @user-hc5sy2lx2s

    @user-hc5sy2lx2s

    4 күн бұрын

    😅😅

  • @user-dfg44fh653dfh

    @user-dfg44fh653dfh

    4 күн бұрын

    여러분 절대 전주에서 살지 마세요. 쓰레기 촌동네라 단독주택 집집마다 쓰레기 엄청태움. 화목난로에 플라스틱 쓰레기 잔뜩 넣어서 태움 옆집에 발암물질 그대로 날라가서 창문도 못열고 창문닫아도 몇시간동안 방안에 스며듬. 옆집에 숙소공유서비스 플랫폼에 올려둔 집하나 있는데 그 집에서 불멍때린다고 화로에 불태워서 연기 그대로 옆집에 다 날라옴. 밤늦게 술먹고 시끄럽고 밤에도 대낮처럼 환하게 조명설치해서 불켜둠. 시청엔 민원넣어도 아무소용 없음. 담배안펴도 폐암걸려 죽을 수 있는 곳. 운전 험하게해서 보행자초록불에 횡단보도 건너도 차들이 막무가내로 밀고 들어옴. 차들은 길가 아무데나 주차하고 인도 넘어와서 다 주차함. 시는 단속도 안함. 쓰레기 동네

  • @user-or3ju4qt8r

    @user-or3ju4qt8r

    4 күн бұрын

    당신이나 사라고 사기쳤서 나라가 파탄 낫 마당에 교수라고 얼러죽을 범죄자 윤석열 을 뽑았놓은 댓가 집같은 소리하네 요즘 교수가 교수니 사기꾼이지

  • @user-ne4km5sy7s

    @user-ne4km5sy7s

    3 күн бұрын

    네 저희친정엄마 하루노인대학강의들으시고 노래교실 종교생활 봉사어르신한글공부지도 하루실버합창단

  • @Leecy6311
    @Leecy63115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복지관이 있어 오고가는 지인들이 들러가니 독거노인이 심심치 않아요 사골에 우리집 앞산이 개발되면서 모든복지시스템이 다 모여 개발됬는데 혼자인 울엄마 사교성도 없는데 노래교실. 하루한끼 복지관 식사꼭하러가세요 그상황보고 복지관앞에 살아야겠다 싶던데요

  • @insookkoo4800

    @insookkoo4800

    4 күн бұрын

    😊

  • @user-rg2gk1rp9p

    @user-rg2gk1rp9p

    4 күн бұрын

    복지관보다 텃밭이 좋다 복지관도 스트레스

  • @Leecy6311

    @Leecy6311

    4 күн бұрын

    @@user-rg2gk1rp9p 부부가 맘만 맞으면 텃밭도 정신건강에 좋아요 저처럼 한량바람둥이는 마당도 안쓰니 텃밭생각해 정원있는집 세얻어왔는데 오로지 혼자하니까 작아도 부칠때가있어요 화분하나 옮겨달래도 몇칠후에 움직일동말동요 텃밭 자기 몸둥이만큼만 추천요 우리엄마도 땅 있으니 재배욕심커져 도시에서 일하는 동생들 힘들게해 엄마 몸둥이만큼만 남기고 다 도지 줬어요 😊😊 저도 집순이 쪽이라 텃밭이 좋아요

  • @user-dv1cd9ut8m

    @user-dv1cd9ut8m

    3 күн бұрын

    ● 복지관, 이것 저것 해 보았는데.. 저는 이웃과 더블어 텃밭 가구는 것이 최고 입니다. 정서적, 부부협력, 건강한 먹거리, 자연 바람 햇볕....누구에게나 가장먼저 추천드리고 싶음. 학교나 교회가 용도변경되면 => 텃밭을 마련하고, => 자립형 요양원(=내집같은 요양원) ,으로 변모했으면, 추천합니다 앞으로 국가 정책에 반영되길...

  • @user-nj9zw4et7q
    @user-nj9zw4et7q5 күн бұрын

    이호선교수님강의는 언제들어도 명강의 입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lb6bo2mw4i
    @user-lb6bo2mw4i5 күн бұрын

    저희딸이 선생님을 참 좋아하는데 저도 좋아하게 되었어요. 딸이 시립대 다닐때 교수님 심리학 강의를 들었었다더라구요. 명쾌한 결론 저도 생각이 많아지네요

  • @user-dp5fc6xw4u
    @user-dp5fc6xw4u5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말씀이 맞습니다.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부동산에 관심이 많은 영양사출신으로써, 누구가가 물어보면 저는 무조건 복지관근처에서 살아라고 적극 추천합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이 계시다니..

  • @user-yz7wn1wn2p
    @user-yz7wn1wn2p5 күн бұрын

    전원주택사는데 매일 정원에서 꽃가꾸고 잡초뽑고 하루가 바쁨~ 정원에 앉아있음 힐링되는데 그맛을 모르는군요.... 나이먹으니 인간관계도 피곤함~~ 복지관에서 할매들끼리 뒷당화하면서 얼마나 싸우는데 ㅋㅋ

  • @user-zv6ow8ll4m

    @user-zv6ow8ll4m

    5 күн бұрын

    이분 말씀이 정답

  • @realstar7046

    @realstar7046

    5 күн бұрын

    사람들 모이는 곳은 다~ㅠㅠ

  • @user-ez9ln6bm6b

    @user-ez9ln6bm6b

    5 күн бұрын

    저도 나이먹어가니 사람과 부딪치는게 싫드라구요 혼자 잡초뽑구 텃밭자그하니 갖그구 운동하나하구 시내에 전원주택 최고랍니다

  • @user-cx6ep6gr6h

    @user-cx6ep6gr6h

    5 күн бұрын

    어디든 나이들든 아니든 너무 친하게 지내면 안됨 ,

  • @user-ft1kk8vo6q

    @user-ft1kk8vo6q

    4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 @user-pt7wy9ch4g
    @user-pt7wy9ch4g4 күн бұрын

    이호선 교수님 말씀 100%공감합니다 백세 시대가 맞는말인가 봅니다 저희 어머님도 복지관이며 여기저기 88세까지 잘 다니셨습니다 기운이 쇠퇴하고 나이는 들어가면서 신체 활동이 힘들때가 문제입니다 내발로 걸어다니고 음식도 만들고 할때까지는 누구나 그냥 잘사는겁니다 참으로 어렵고 답이 없는게 우리들의 부모님노후와 저희들의 노후입니다 누구나 늙고 병들어요ㅠ

  • @iam6936
    @iam69365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말씀 너무 유익하고 감사합니다 말씀 요점 다 메모했습니다

  • @user-tz8ge5ko8g
    @user-tz8ge5ko8g5 күн бұрын

    살아 보시지도 않은길인데 어쩜 이리도 옳은말씀 감사드려요 내나이 팔십에 감동 가슴에와 닫는 꼭맏는 말씀 감사드려요

  • @user-dz9jm6bt7t
    @user-dz9jm6bt7t5 күн бұрын

    퇴직하고 고향에와서는 아파트이사왔는데 복지회관이 있는데 처음엔 내가벌써 복지회관에? 생각해는데 지금은 2년째 다니면서 여러가지 배울수있고 밥도 맛있게먹고 즐겁습니다

  • @user-dv6bl8pl4w

    @user-dv6bl8pl4w

    2 күн бұрын

    △👴

  • @kang4724
    @kang47245 күн бұрын

    이호선교수님 말씀이 정말 맞는것 같아요, 저는 전원생활 안부럽고 복지관 가까운데 살면서 60세 이후 부터 유치원생 처럼 복지관에 가면 배우고 싶은것 맘것 배우면서 점심도 먹고 사람들 만나 수다도 떨고 봉사도하며 즐겁게 지내고 있어요~😂🎉

  • @user-dk4jv8pl7w
    @user-dk4jv8pl7w5 күн бұрын

    너무좋은강의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ho1ny5xn8c
    @user-ho1ny5xn8c5 күн бұрын

    소중하고 맞는 말씀이네요~~

  • @user-rk6nm2co9f
    @user-rk6nm2co9f4 күн бұрын

    백화점은 소비심리가 있는 사람한테는 별로 좋지 않은것 같아요 그보다 공원근처가 정말 좋아요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가고 싶을때 가서 운동도 하고 몸이 건강하게 지킬수 있습니다

  • @user-zr3tq2bdroo
    @user-zr3tq2bdroo4 күн бұрын

    정말 꿀같은 영상입니다 고맙습니다 부모님케어에 도움이 되요

  • @user-ob5jx2ub4y
    @user-ob5jx2ub4y3 күн бұрын

    우리는 늙어서까지 병원.백화점.가족.친구에 목메냐??? 우리동네(양평 외곽 오지여도.쿠팡이틀이면배송)15년전 70살 할머니 혼자귀촌하셨는데 작은꽃밭예쁘게 가꾸고 사신다 지금은85살. 병원이아주멀어서 급한경우 사망할수있는데도 할머니말씀 "병원안가고 시름시름 앓다가 꽃밭에서 죽을거다" 라고 하신다. 늙어서 병원 너무 가까우면 생명연장만시키고 안좋다고 하신다. 명언

  • @user-cw1qd5eh4b

    @user-cw1qd5eh4b

    3 күн бұрын

    멋진 인생설계❤요

  • @reginah5277

    @reginah5277

    2 күн бұрын

    맞네요

  • @user-nm9co6yf1g

    @user-nm9co6yf1g

    2 күн бұрын

    공감100입니다^^

  • @user-nm9co6yf1g

    @user-nm9co6yf1g

    2 күн бұрын

    병원에 집착하는것도 ㅠ

  • @user-dj5zv2xt4q

    @user-dj5zv2xt4q

    Күн бұрын

    가장 중요한 것은 제삿밥 먹는 귀신이 되지 않으려고 발버둥치는 예수쟁이가 되어야만 하는 것입니다... 인간은 왜 죽으면 귀신이 되는 것일까요?

  • @user-sja0228
    @user-sja02285 күн бұрын

    잘듣고가요 감사합니다❤

  • @user-ld8ng6iu4v
    @user-ld8ng6iu4v5 күн бұрын

    교수닝 반갑습니다 만학시절 교수님 강의 참으로 즐겁고행복했습니다 영상으로 만나니 더욱더 좋아요!!

  • @jjyu9917
    @jjyu99175 күн бұрын

    구구절절 맞는 말씀 가슴에 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아~~ 오늘도 행복한 하루~~ 화이팅^^

  • @seamandogman
    @seamandogman5 күн бұрын

    짝짝짝 짝짝짝짝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 @ordinary___s9311
    @ordinary___s93115 күн бұрын

    정말… 한번도 넘기지않고 본 유툽은 오랜만이었다 ㅠ 와닿았다 감사합니다

  • @user-gp2ob4uh7w
    @user-gp2ob4uh7w5 күн бұрын

    나는 자식들하고 멀리 떨어지는건 싫어서 전원생활은 곤란할듯요 다른건 좋아해서 시골가서도 자신있는데 그래서 밭 220평에서 우리 먹을만큼 농사지으면서 즐겁게 사네요 68살 운동 열심히하고 긍정적으로 살려고 노력합니다 사람만나 스트레스받는것보다 성당하고 밭에가는게 행복해요

  • @rosa_k

    @rosa_k

    3 күн бұрын

    멋지세요 😊

  • @user-qn6yy
    @user-qn6yy5 күн бұрын

    오늘 강의 잘들었 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vl6ry4jr5r
    @user-vl6ry4jr5r4 күн бұрын

    요양원에 근무하는 1인으로 정말 공감합니다... 저는 요양원에서 지내지 않도록 건강 관리하며 말씀하신 삶을 살도록 맘 건강 준비 하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 @purplestar88
    @purplestar885 күн бұрын

    건강이 우선되어야 교수님 말씀대로 살 수 있어요 늙으면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 @user-ng9zn7rp3o

    @user-ng9zn7rp3o

    3 күн бұрын

    다 알고있는얘기 하나마나한얘기

  • @user-pg6dx7qe2z
    @user-pg6dx7qe2z5 күн бұрын

    저희할머니 부모님생신날 가족들이 모두모인 자리에 집에서 돌아가셨어요. 아무상처없이 평온하게 돌아가신거 같다고 장의사분이 말씀해주시더라구요, 저도 혼자 집에서 죽고싶네요. 치매라도 걸린다면 작은집에 그냥혼자두라했어요,

  • @user-pc5ze9uu9z
    @user-pc5ze9uu9z5 күн бұрын

    참좋은 영상 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zk6jw7nh6y
    @user-zk6jw7nh6y5 күн бұрын

    꼭 맞는 말씀 입니다 나이가들면 집안공간이 더욱 중요합니다 주변에 공원도 있으면 좋구요

  • @user-mu6cx5yj9g
    @user-mu6cx5yj9g5 күн бұрын

    이 호선 ! 교수님 맞는 말씀 감사 드립니다 ❤❤❤

  • @osj59
    @osj595 күн бұрын

    이호선교수님 좋은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s2nm4vt9y
    @user-ps2nm4vt9y5 күн бұрын

    참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 @youngmi_gayojanggu
    @youngmi_gayojanggu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모두가 옳으신말씀 알면서도 실천이안되는게 젊은날의 인생살이 선생님 말씀대로 준비의시간을가져야할시기이네요 건강하세요 행복하세요❤❤❤

  • @user-uq8yz3jc9q
    @user-uq8yz3jc9q5 күн бұрын

    진짜 다 맞는 말씀이네요. 저희 어머니 돌아가시기 전까지 복지관 요가 다니시고 거기서 식사하시고 봉사하시고 그랬어요… 집에서 걸어서다닐 수 있믄 거리였고.. 건강하게 생활하실 수 있었던거 같아요..

  • @user-fn3yh8lf6d
    @user-fn3yh8lf6d5 күн бұрын

    누가 집에서 안살고 싶겠습니까 화장실 사용불가되면 가야죠 시설로.자식들이 봐주겠나요 배우자 가 볼까요 간병하다보면 서로 지칩니다 건강하면 전원주택 좋겠지만 아파트 도 답답하네요

  • @missong7050

    @missong7050

    4 күн бұрын

    아직 아파보시지않았으니 그런말 하시는겁니다.요양원 한번 들어가면 다시는 못나온다는 말이 있어요.젊은 암환자들도 많죠.거동 못할정도로 살다가시는 분 거의없어요. 뇌출혈환자들도 중증아니면,,,

  • @user-qu6ln3mj3g

    @user-qu6ln3mj3g

    4 күн бұрын

    복지관에서 아무나 도시락봉사 하지않죠 수급자분들이나

  • @user-wc5ln1io5p
    @user-wc5ln1io5p5 күн бұрын

    전원생활을 즐기고 할 수 있었던 60 70대인 분들이 병원과 편리한 생활을 하는 도시로 다시 돌아오고 지금 50대는 빌라 아파트세대라 꿈꾸는 전원생활은 쉬고 싶을때 갈 수 있는 조그마한 세컨하우스가 맞는거 같아요

  • @user-ey7mz3je6y

    @user-ey7mz3je6y

    4 күн бұрын

    다들 개인적인 취향이고 성향입니다~ 은퇴후 전원생활 엄~~청 만족하고 잘 즐기고 살고 있네요~^^

  • @missong7050

    @missong7050

    4 күн бұрын

    ​@@user-ey7mz3je6y나이들수록 큰병원 가까운곳에서 살아야합니다. 지방대학병원과 서울대형병원은 실력차이가 큽니다. 누구나 나중엔 병으로 저세상갑니다.나중에 홀로 남았을때도 전원주택은 힘들죠

  • @user-dfg44fh653dfh

    @user-dfg44fh653dfh

    4 күн бұрын

    여러분 절대 전주에서 살지 마세요. 쓰레기 촌동네라 단독주택 집집마다 쓰레기 엄청태움. 화목난로에 플라스틱 쓰레기 잔뜩 넣어서 태움 옆집에 발암물질 그대로 날라가서 창문도 못열고 창문닫아도 몇시간동안 방안에 스며듬. 옆집에 숙소공유서비스 플랫폼에 올려둔 집하나 있는데 그 집에서 불멍때린다고 화로에 불태워서 연기 그대로 옆집에 다 날라옴. 밤늦게 술먹고 시끄럽고 밤에도 대낮처럼 환하게 조명설치해서 불켜둠. 시청엔 민원넣어도 아무소용 없음. 담배안펴도 폐암걸려 죽을 수 있는 곳. 운전 험하게해서 보행자초록불에 횡단보도 건너도 차들이 막무가내로 밀고 들어옴. 차들은 길가 아무데나 주차하고 인도 넘어와서 다 주차함. 시는 단속도 안함. 쓰레기 동네

  • @emmarose5894
    @emmarose58944 күн бұрын

    1킬로 정도 떨어진곳에 복지관이 있는데 셔틀이 바로 집앞에 서니까 가까이가 아니라도 괜찮을것 같아요.

  • @user-dj9kd1bc4q
    @user-dj9kd1bc4q4 күн бұрын

    너무공감이 갑니다 감사합니다

  • @Taeja365
    @Taeja3655 күн бұрын

    귀에 쏙 들어온 명 강의 입니다. 이호선교수님 고맙습니다.

  • @user-hz7ts1il7j
    @user-hz7ts1il7j5 күн бұрын

    은퇴후 복지관에서 어학 양재 홈패션등을 3년배우다 코로나로 멈췄는데 재료만 방하나가 팔요함 동적인것을 싫어해서 수영이나 체조가 인기였지만 하지않았고요 그러던중 95세 치매엄마 간병하러 큰녹차다원이 있고 경치가 너무좋은 산골로 내려온지 3년째 처름 계획은 3주 산골 1주 서울본가에 사는것이였는데 지난번에는 6개월만에 이번에는 4개월만에 올라갔다 일주일 버티는것도 힘들더라고요 아침마다 예쁜꽃들과 인사하고 텃밭의 산나물과 채소들의 싱그러움 지난 5월 일주일정도 보름달이 훤히 비추는 샤스타데이지의 흰색과 노랑의 조화 그 황홀함 잠을 잘수가없더군요

  • @mins5062

    @mins5062

    5 күн бұрын

    와 무슨느낌인지 알것같네요

  • @hyojinshin7022

    @hyojinshin7022

    5 күн бұрын

    맞아요~저희엄마두 그러시더라구요

  • @user-mn9kv1uv3y

    @user-mn9kv1uv3y

    5 күн бұрын

    멋지세요^^~ 혹시 지역이 어디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 @user-ej8cl9be2s

    @user-ej8cl9be2s

    3 күн бұрын

    전 꽃피고 공기좋고 벌보고 달보고. 믈좋은데 좋아요

  • @laverita11
    @laverita114 күн бұрын

    피와 살이되는 말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씁쓸하고 허전해지는 마음은 어쩔수가 없네요😂

  • @user-eo3yo9dy5t
    @user-eo3yo9dy5t4 күн бұрын

    전원주택도 늘 소일거리가 있고 공기도좋고 담배냄새없고 참 좋습니다

  • @user-od8uy4fk5x

    @user-od8uy4fk5x

    3 күн бұрын

    아파트에도 40년 살아봤지만 전원주택이 좋습니다

  • @user-eu3nn3cb9j

    @user-eu3nn3cb9j

    2 күн бұрын

    서울의 전세값으로 집을 지을수도 있어요 저도 만족합니다~~~

  • @a1818ster

    @a1818ster

    2 күн бұрын

    도시 근교 전원주택 잘 골라서 텃밭도 가꾸고 나무 잔디에 물도 주고 사는거 좋아요.

  • @kyetaylor5530

    @kyetaylor5530

    Күн бұрын

    아직까지 눈치우고,잔디깍고 깨끝하게 minimal life 즐기면서 아침마다 동네걷기와 gym, eye shopping, 노인장, 몇친구끼리 가끔만나 냠냠~~가끔씩 멍😮할때도 있지만도 얼마남지않은 시간을 아껴가며 감사 🙏 보스톤? 에서

  • @user-dj5zv2xt4q

    @user-dj5zv2xt4q

    Күн бұрын

    어느 누구든지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영접하지 않고 죽으면 더럽고 저주받은 귀신이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대저 이방인의 제사 하는것은 귀신에게 제사 하는 것이요 하나님께 제사 하는것이 아니니 나는 너희가 귀신과 교제하는자 되기를 원치

  • @user-hi9mn8ml7i
    @user-hi9mn8ml7i5 күн бұрын

    아악~ 황금알때부터 팬이였어요 ~ 책도 큼지막하게 내주셔서 안경없이 너무 즐겁게 보았답니다 중년의 강점 GRIT 을 마음속에 새긴이후 교수님께 신세많이졌습니다 ~ 작가로 또는 교수님등 여러모습으로 곁에서 오랫동안 이야기듣고싶습니다 건강하셔요 ~~!

  • @okhyangjean1175
    @okhyangjean11754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고맙습니다 😂🎉

  • @user-du5pc2kx1v
    @user-du5pc2kx1v3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잘새겨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v4nn4ix3r
    @user-xv4nn4ix3r2 күн бұрын

    이 호순 교수님 반갑습니다 ㆍ유익한 영상 고맙습니다

  • @danta100m
    @danta100m5 күн бұрын

    복지관옆 좋네요!! ㅎㅎ

  • @user-hv5ej9bz5m
    @user-hv5ej9bz5m3 күн бұрын

    와~~너무 감사합니다. 다시금 마음에 새기게 되네요!!

  • @gingin7676
    @gingin76765 күн бұрын

    나도 집에서 살다가 집에서 죽고싶다

  • @user-em4fu6io7z
    @user-em4fu6io7z5 күн бұрын

    공감 백퍼~~!!! 꿀팁 감사합니다♡ 저도 매일매일 감사, 칭찬,3개씩 쓰고 ,선행한거도 하나 쓰고 있어요 감사거리가 많네.. 나 뭐좀 했네... 맘이 좋아지더라구요^^ 앞으로도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 @LOVE3879A
    @LOVE3879A5 күн бұрын

    전원 생활이라고 전부 첩첩산중 시골만 생각 하시는데.... 준 도시속 시골생활 해야 합니다.

  • @user-ex2jv2dv1c

    @user-ex2jv2dv1c

    5 күн бұрын

    그니까요. 저도 도시 속 전원생활중인데 그런 곳 찾아보면 꽤 많거든요. 게다가 lh에서 분양한 전원주택단지도 도시 속에 있구요. 모르시나봐요

  • @user-rn8ty7oc7m
    @user-rn8ty7oc7m5 күн бұрын

    유익한 말씀 감사합니다~~^^

  • @user-op6pd1wp9c
    @user-op6pd1wp9c5 күн бұрын

    이분 티비서도 보면 항상 정신번쩍들게 요점정리잘해 말씀하셔 좋음!!복지관!! 굿럭!!

  • @user-rz9xg3bh8z
    @user-rz9xg3bh8z5 күн бұрын

    큰병원 복지관 가까이 살면서 죽을 준비하느니 자기 하고 싶은거 멋지게 하다가 어디서 죽을지 모르게 가는거 지요

  • @user-du7fh6ee2t

    @user-du7fh6ee2t

    4 күн бұрын

    큰병원옆에 있으면 안죽냐

  • @Aeternum-

    @Aeternum-

    4 күн бұрын

    그렇게 갑자기 잠들듯이 혹은 급사로 죽어지는 게 아니고 대부분 질병이나 노화에 의한 증세로 고통받으며 서서히 죽어갑니다 그러니 큰병원 근처니 인프라니 뭐니 찾는 거지... 죄다 노년에 하고 싶은 거 멋지게 하다 스윽 가는 거면 호상이게요 팔순넘어 그럴 정도 체력이 있는 분들도 드물거니와, 관리 정말 잘해서 건강했다 해도 그렇게 호상으로 가는 분은 10명 중에 1명도 안됨 대부분이 질병으로 구질구질할 정도로 고통받다 가심, 그 과정에서 남들한테 최대한 민폐 안끼치려고 준비하는 겁니다, 뭐 죽기가 싫어서 노심초사 준비하는 게 아니라요 죽음에 대한 아무 준비도 없이 사시는 분들은 대부분 주변에 어지간히 민폐 끼치고 가시더군요

  • @user-lw8dq1qu6l
    @user-lw8dq1qu6l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옳은 말씀 감사합니다 최고입니다 ❤

  • @user-xf5ti3du6o
    @user-xf5ti3du6o5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50대후반이되니 늙어가는게 두렵네요 그리살도록 노력할께요

  • @user-hx9kv8qo9h

    @user-hx9kv8qo9h

    2 күн бұрын

    ㄸㅅ😅

  • @user-kw9bq9so7n
    @user-kw9bq9so7nКүн бұрын

    와~~ 명강의에요 오늘부터 내가 잘한일 3가지씩 적어볼꺼에요

  • @user-iy6gz2uu8j
    @user-iy6gz2uu8j5 күн бұрын

    6십후반 전원생활 할 예정인데 ...다시 생각해봐야 겠네요. 지금 여기 이곳이 딱인데 ...백화점 이마트 노브렌드 중앙병원 개인병원 복지관 보건소 큰 시장 , 너무나 편리한곳이네요

  • @user-wwWWww167

    @user-wwWWww167

    17 сағат бұрын

    그러면 그곳 그냥 사시고 시골 조그마한집 구해서 주말에 다니셔요

  • @wonyoungjoung4334
    @wonyoungjoung43345 күн бұрын

    관심을 가지고 재미있게 들었습니다.ㅋㅋㅋ 나이가 좀 있으니까요. 앞으로 어떠한 거주생활이 좋을지 생각중이고,아파트 보다는 복지시설과 교통망이 좋은 단독 주택지 두곳을 생각하고 있지만 주택공간의 편의성을 고려해 리모델링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선인들의 노후에 삶을 볼때 거주 환경이 좋치 않아 가족도 고생하고 본인도 고생하는 것을 보고 이동로 각종 장애물 제거와 편의성 설치가 필요하고 세면시설도 거동에 불편함을 감안해서 편리한 구조로 꾸며져야 한다고 봅니다... 배부른 소리같네요... 고맙습니다. 강남에삶...

  • @user-wg1sx3rl9u
    @user-wg1sx3rl9u5 күн бұрын

    늙어보지도않았는데도잘아시네요공감됩니다

  • @auntieinsuk944
    @auntieinsuk9445 күн бұрын

    정말 정말 고맙고 감사합니다❤❤❤

  • @moonlight-dy1nx
    @moonlight-dy1nx2 күн бұрын

    명쾌한 강의입니다 😊

  • @user-yv5fs2yq2p
    @user-yv5fs2yq2p5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오랫만에 선생님 강의를 듣네요 수년 전에 숭실사이버대학교 사회 복지 전공 공부할 때 교수님 강의 재밌게 잘 듣고 이름을 기억 하려고 써놓은 적이 있었는데 반가워요 선생님^^

  • @user-kf9wi4uo3h
    @user-kf9wi4uo3h15 сағат бұрын

    너무너무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말씀을 이렇게 잘하시는분 첨봄 고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선생님 복많이받으시고 행복하세요

  • @user-pt2cu5le2h
    @user-pt2cu5le2h2 күн бұрын

    이효선교수님 너무나 유익한말씀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erniepark4404
    @erniepark44045 күн бұрын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은 대부분 돌봄이 필요할 정도로 몸이 좋지 않은 분들이 가는 곳인데 그런 분이 복지관을 어찌 갑니까?

  • @user-wz5lu5xr3u

    @user-wz5lu5xr3u

    4 күн бұрын

    그렇죠 ~ 복지관 가는것도 걸어갈수있는 좀 건강 해야 다니는거죠 못걸정도면 아무 의미없쥬 ~

  • @suzieq7393

    @suzieq7393

    3 күн бұрын

    아프면 다 필요없어요

  • @user-ps3ig7lm5z
    @user-ps3ig7lm5z4 күн бұрын

    이호선교수님!!👍👍👍

  • @TV-km1yo
    @TV-km1yo4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감사합니다

  • @KYU_Balla
    @KYU_Balla2 күн бұрын

    좋네요. 아무 생각 없이 봤는데 내용이 너무 공감가는 좋은 내용이라 이 영상이 교수님 말씀처럼 오늘 저에게 감사한 일 한가지에 등극하게 됐습니다!!!👏👏👏

  • @user-gu9gg2cn2c
    @user-gu9gg2cn2cКүн бұрын

    인생 자체네요 도움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ux4gl2iy7z
    @user-ux4gl2iy7z5 күн бұрын

    명쾌하고 현명하고 귀에쏙쏙 명확한 스피드강의 강의 천재 선생님 넘 좋아합니다

  • @user-fp2kl9ro9d
    @user-fp2kl9ro9d3 күн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해요🙏

  • @Sjo-ky3gb
    @Sjo-ky3gb4 күн бұрын

    좋은강연 잘듣고 갑니다

  • @user-tv5qf9vv1f
    @user-tv5qf9vv1f5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 @user-qr9wb1qq8g
    @user-qr9wb1qq8g5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id4hp6kw3z
    @user-id4hp6kw3zКүн бұрын

    최고의 조언이십니다❤❤

  • @POWERW-kd7yt
    @POWERW-kd7yt5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익숙한곳 자기가 살고 있는 곳이 제일 좋습니다. 거기다 인프라가 잘 되어있는 동네면 더 좋겠지요. 그래서 전 세계적인 추세가 일자리 찾아 인프라 편한곳 찾아 도심지로 몰리고 수도권으로 몰리고 그러는 거겠지요.

  • @user-mc6qi7en8f
    @user-mc6qi7en8f3 күн бұрын

    지혜로운 말씀입니다.

  • @user-nj7ig1ff4e
    @user-nj7ig1ff4e5 күн бұрын

    내 맘대로 안됩니다! 늙엇다고 내려 놓지 밀고 열심히 몸 움직이며 살디보면 하늘에서 부르면 가는서지요

  • @jhg102667
    @jhg1026675 күн бұрын

    도시근처 공기좋은 조용한 공원 근처가 운동 산책하고 좋은것 같아요!

  • @user-ly2sp4tu8g
    @user-ly2sp4tu8g4 күн бұрын

    제가 40대에 늘 하던말 입니다. 늙어서 뭐가 외로워? 배울게 얼마나 많고 취미 활동 할 프로그램도 많은데? 난 강좌도 듣고 운동도 하고 잼난 노년을 보낼거야 큰소리 쳤죠. 자영업 하면서 알았네요, 노년이 왜 외로운지? 남 욕하기 좋아하고 생각 없이 살고 과거에 내세울것도 없고 아무말이나 막하고 책은 절대 안 읽고 뉴스 관심 없고 드라마 보고 하면? 복지관이 너무 재밌을겁니다. 수영팀들 오면? 그중 안온 한명이 그날 술안주 였고, 사람들 대화에 관심 없어도 너무 심해 들을수 밖에 없었네요. 악을악을 쓰며 떠들거든요. 사물놀이 팀이 어떤분이 밥을 산다고 열명남짓 왔는데 그중 제일 나이 많은 여자분이 화를 내면서 "왜 나 왕따 시키냐고?" 버러버럭 화를 내고 밥을 산 사람은 "아이고 오늘 밥산 공이 하나도 없네" 이러고 다들 할머니고 간혹 할아버지 있는데 거기서도 할머니들이 질투 합니다. 어떤 할머니는 " 왜 나만 쳐다 보다 다른 할머니 쳐다 보냐?" 할아버지들이 눈을 어디다 둬야 할지 모른답니다. 할머니들이 하도 내친구 하자 해서~ 교수, 대기업출신들,의사 등 전문직은 당연히 복지관 못가고-더 스트레스 받을겁니다- 이호선 교수님이 말한 돈 없고 우리가 알고 있는 "그 노인" 이면 복지관이 딱 좋습니다. 우아한 노인- 책도 읽고 생각이 깊고 젊잖으신 분은 복지관 못 어울려요- 그리고 요양원이요? 이호선 교수님 요양원에 한번도 가본적 없는듯~ 복지관 걸어갈 힘도 없는 사람들이 가는곳이 요양원 입니다.

  • @user-ln8lz6sr4y

    @user-ln8lz6sr4y

    Күн бұрын

    자신을 사랑해 보세요. 사람이 그렇게 미워보이진 않을거예요.

  • @user-my5cp7cc9s
    @user-my5cp7cc9s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ym2516
    @sym25162 күн бұрын

    ❤❤내용이 너무 좋아요.

  • @lilac5597
    @lilac55975 күн бұрын

    우리 시어머니 가는곳마다 싸우고와서 의미없음 나이들어서 고집만 쎄지는 사람은 어디가도 불만이에요

  • @user-er5qn5ci2g
    @user-er5qn5ci2g5 күн бұрын

    시골좋고도시도좋고요.두군대 집이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qj1jc7lj2c
    @user-qj1jc7lj2c5 күн бұрын

    14:40 인생황혼 행복의비결 👍

  • @user-rl3mm2qp1y
    @user-rl3mm2qp1y2 күн бұрын

    하나하나 맞는말씀 공감합니다

  • @user-wk4st4dw8q
    @user-wk4st4dw8q5 күн бұрын

    생각지못했는데 일리있는 말이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xf1lz2kt4w
    @user-xf1lz2kt4w5 күн бұрын

    부모님집이 초중고를 품은 아파트라 예쁜아기들도 많고 상가형성 큰 병원 걸어서 3분 그외 각종병원들도 경쟁하듯많고 요양시설 백화점 계단없는 큰 커피숍등 코앞이라 진짜 좋음. 혈압약타고 관절주사 맞으러가실때 그냥 자기집처럼 걸어갔다오심. 대중교통도잘됨 kts역까지 걸어가셔서 당일치기로 부산갔다오심 ㅋ오히려 젊은 내가 돈 없어서 외각 전원생활하고있음 ㅋ 진짜 부모님은 도시에 살아야함.

  • @user-uh8ik6yj7h

    @user-uh8ik6yj7h

    5 күн бұрын

    지역이 어디신지 궁금합니다

  • @user-re8gt5jt8o
    @user-re8gt5jt8o3 күн бұрын

    교수님!감사합니다.🫶😍

  • @user-fr9vp1hx1j
    @user-fr9vp1hx1j3 күн бұрын

    네 잘들었습니다 고마워요

  • @user-tz8ti6tf8u
    @user-tz8ti6tf8u5 күн бұрын

    구구절절 이 옳은 말입니다 교수님 강의 감사합니다

  • @LeannaDevitcxvds

    @LeannaDevitcxvds

    5 күн бұрын

    🔙알만한 아이돌 출신 뒤에서 윗통까고 라이브 하는거😝 있으니깐 없어지기전에 보라구여

  • @user-ol6hu6np4p
    @user-ol6hu6np4p4 күн бұрын

    맨발걷기 매일 실천하여야 함니다 이교수님 노화를 예방이 제일 중요함니다 돈보다 건강이지요?

  • @user-jm3ig1lk8r
    @user-jm3ig1lk8r5 күн бұрын

    7:39 안전바설치 문턱없애기 휠체어가 갈 수 있는 공간만들기

  • @user-kw3ix9sx4l
    @user-kw3ix9sx4l5 күн бұрын

    주옥같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ll2tt3if4n
    @user-ll2tt3if4n2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 @jj4814
    @jj48145 күн бұрын

    서울행당역 초역세권 2000세대 넘는 아파트 구축이지만 산을 끼고 있어 물까치 직박구리 까치 등 새소리 너무 이쁘고 베란다 너머는 숲이고 지하철에 딱 붙어있어 사통팔달 단지내 큰 롯데마트있고 5분 걸으면 배수지공원 좀 더 걸으면 신라호텔로 이어지는 남산숲길과 성곽길 고지대에서 내려다보는 서울도심 너무 이쁘고 아파트내 영어유치원 뒤 장미공원으로 가서 응봉동쪽으로 계속 가면 응봉산과 한강 다 보이는 팔각정 전원생활보다 편리하고 서울 아니더라도 대도시 도심이 더 누릴것도 많아요 서울숲도 공짜로 누리는데 순천만정원 가보고 허무했어요 ㅠ 서울숲이 규모나 다양성 백배 큰듯

  • @user-mn6gr5hn2w

    @user-mn6gr5hn2w

    5 күн бұрын

    행당동은 아파트 올라가는 길이 경사가 심해요. 장점은 전철역이 가까운게 장점인데 주위에 맛집이 없다는게 아쉬워요

  • @user-vy9ts8tj9i

    @user-vy9ts8tj9i

    5 күн бұрын

    아파트 구축 30병대면 지금 얼마나 하나요 ?그곳으로 이사가고싶어서요

  • @Yuon8924

    @Yuon8924

    4 күн бұрын

    1970년도 어린 살던 행당동 입니다 지금은 개발이되서 어린시절 정겨움이 없어 아쉬워요

  • @user-yr3ju5cw9j
    @user-yr3ju5cw9j5 күн бұрын

    전원주택에서 사랑스런 반려견 2마리 목줄안하고 펜스안에서 평화롭게 지내는거 즐기면서 경치좋은 전원주택에서 살고있읍니다. 적당한 연금나오고 복지관은 차타고 10분 큰병원은 진주까지 30분이면 갑니다. 수영장.도서관이 집가까이 있으니 좋네요.

  • @taanyang

    @taanyang

    5 күн бұрын

    최고의 조건이네요😊

  • @user-mw9qk8xy6x

    @user-mw9qk8xy6x

    4 күн бұрын

    굿ᆢ부럽습네다ᆢㅎ

  • @sanity1160

    @sanity1160

    4 күн бұрын

    최고 같습니다. 부러워요.

  • @user-cv7tp8yy1l

    @user-cv7tp8yy1l

    2 күн бұрын

    산청에 사시나봐요^^

  • @yeosookkim6914
    @yeosookkim69145 күн бұрын

    이호선교수님최고최고

  • @user-lg9ir5ft5x
    @user-lg9ir5ft5x5 күн бұрын

    교수님,똑떨어진 강의 너무 잘 들었어요. 고맙습니다.❤

  • @user-rc3kk4ks7l
    @user-rc3kk4ks7l5 күн бұрын

    그냥 한 30년 후에는 호주나 캐나다 처럼 안락사 가능하게 해줬으면...

  • @user-oe9rf2zr4v

    @user-oe9rf2zr4v

    5 күн бұрын

    30년도 넘길어요 빨리만들어줘야해요

  • @jaekyungleelee3098

    @jaekyungleelee3098

    5 күн бұрын

    우리 부부가 항상 생각하는 부분이네요.부모님 요양원 계시고 주위의 분들이 치매증상 이 서서히 오고 점점 남의일이 아니고 몇년뒤의 우리 부부의 모습이구나! 생각이 들어 우린 나중에 우리 둘중에 이상증세가 오면 스위스로 가자~ 이런 예기를 자주하네요.

  • @youngisland5127

    @youngisland5127

    5 күн бұрын

    스위스 가는 경비도 만만치 않죠 그리고 비행기 타고 갈 채력이 되어야겠죠​@@jaekyungleelee3098

  • @jkim8384

    @jkim8384

    5 күн бұрын

    녜 안락사 시급해요 고통해방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