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받는 시골 상황... 요즘 최대 고민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날씨가 많이 덥네요
얼마 전 방콕에서 죽을 뻔한 온도가 40도 정도였는데...
아니 오늘 뉴스에서
경주가 38도까지 올라갔다고 하더라구요
어쩌다 이렇게 됐는지
이 사태의 후폭풍을 맞은 시골은 어떤 상황인지
영상으로 확인하시죠..!
-------------------------------------------------------------------------------------------------------------------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Oneul - • 사랑스러운 나의 그대 : 어쿠스틱 기타 ...

Пікірлер: 668

  • @user-nt2mm4zg7n
    @user-nt2mm4zg7n6 күн бұрын

    과실수는 벌레를 끌어 모아요. 그리고 정원에 장미를 심었다면 흑점병과 흰가루, 깍지벌레를 달고 삽니다. 장미 정원에 초봄 살균제 등 농약이 필수 입니다. ( 저는 장미 키우기가 싫어요. 너무 노동이 많이 들어요.) 그래서 벌레나 병이 적거나 끌어 모으지 않는 식물을 키우는 것이 좋고 케일, 열무 고추 등은 첨부터 한랭사 안에서 키우고 흙이 튀지 못하게 톱밥 등 유기물 멀칭이 두꺼워야 흙에서 튀는 균을 막을 수 있어요. 그리고 식물에 시시때때로 칼슘 유황을 뿌려주면 조직이 단단해지고 질병 저항력이 커져요. 상추 사이에 페튜니아 같은걸 섞어 키우면 벌레가 덜 생겨요. 뱀은 담장이 철망 같은거면 무조건 들어와요. 바깥쪽 바닥 쪽에 낮게 그물을 설치해서 밖에서 들어오지 못하게 하면 안보일거예요. 눈에 확 띄는 대문 밑 이런데로는 안와요. 진딧물은 초기 관리가 중요한데 새순이 돋아나는 시기에 진딧물이 생겨 버리면 진딧물이 새순의 즙을 빨기도 하지만 식물에 상처를 내고 바이러스를 주입해 매년 병을 앓게 만드는 주범입니다. 개미 독먹이 같은게 아주 효과가 있어요. 처음에 진딧물 날개가 없을 때는 개미가 꼭대기로 옮겨줘요. 그래서 미리 독먹이로 개미들을 방제하고 꽃피는 시기를 조심해서 유황( 유황에 미량원소가 함께 든) 등으로 미리 뿌려서 방제하거나 미생물 제재가 잘 나와 있어요. 백강균으로 된 미생물 제재를 식물 심기 전에 미리 흙에 뿌려서 흙 속에 배양 시키면 진딧물이 부화를 못하니까 토양살균제 대신 사용하고 비닐 멀칭 보다는 평소 흙에 유기물을 많이 넣어 부식질이 풍부한 흙을 만들면 식물이 저항성이 많이 높아져서 병을 앓지 않습니다. 진딧물이 날개가 생길 즈음엔 식물들도 모두 단단해져서 진딧물은 줄어들게 됩니다. 저는 현재 학교 텃밭 200제곱 미터에 틀밭 제작하고 유기농 지렁이 텃밭으로 3월 부터 만들어서 현재 한창 토마토 상추 수박 등이 자라고 있는데 진딧물 잇슈가 있었고 회복 되었고 요즘은 노린재 잇슈가 있는데 아침 일찍 출근해서 오이나 호박 줄기에 붙은 노린재를 직접 잡아주고 있는데 대량이 아니라 그런지 수확은 무사히 할 정도고요, 고춧잎 뒷면에 노린재 알 같은거 있나 늘 뒤집어 봅니다. 과일은 블루베리나 딸기, 앵두 처럼 일찍 익어 수확이 가능한 것들이 농약 없이 키우기 좋고 오디 같은건 바이러스에 엄청 취약하고 벌레를 끌어 모으기 때문에 농약 없이 깨끗하게 키우기 어렵습니다. 여름, 가을 수확 과일은 전문 농가에서도 유기농이 너무 힘듭니다 식물을 건강히 키우시려면 자가퇴비 만드는 노력이 필수 입니다. 시중에서 파는 축분 퇴비는 일년 이상 숙성 시켜서 완전 발효가 되고 가스, 냄새가 다 없어져야 텃밭에 넣었을 때 벌레를 모으지 않습니다. 고자리 파리, 배추 톡톡이 등이 미숙퇴비로 생기고요, 축분 퇴비는 기본적으로 하수 슬러지나 가죽공장 슬러지 등을 섞어 발효 시키기 때문에 시중 축분 퇴비 보다는 직접 만든 유기농 거름, 부숙 낙엽, 또는 지렁이 분변토 등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렁이 키우기 강추 합니다. .

  •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6 күн бұрын

    이 분 텃밭 전문가. 저와 비슷한 길을 가시는듯 ^^

  • @hyunhwang3687

    @hyunhwang3687

    6 күн бұрын

    와~~대단하십니다^^

  • @user-tp7ph4mb7n

    @user-tp7ph4mb7n

    6 күн бұрын

    와우❤

  • @user-iz7ky7uj4y

    @user-iz7ky7uj4y

    6 күн бұрын

    존경합니다

  • @user-nh7if3fs3x

    @user-nh7if3fs3x

    4 күн бұрын

    우와~존경합니다. 언젠가 텃밭을 가꾸리라 맘먹고 있는데 님의 지혜가 부럽습니다. 댓글 저장해둬야 겠어요😊

  • @mychoice2412
    @mychoice24126 күн бұрын

    농약 없이 농산물 수확하기에는 정말 힘든 일이에요 농사는 풀과 해충과의 싸움입니다

  • @user-my3hj5ui8c

    @user-my3hj5ui8c

    6 күн бұрын

    뱀이 싫어하는 식물있어요.백궁이던가 진딧물은 마요네즈를 이용한 친환경 살충제 써보세요

  • @user-vl8iq3ix6l
    @user-vl8iq3ix6l6 күн бұрын

    외부 환경과 완전 단절되지 않는다면 자연농 유기농 절대 안 됩니다. 나만 농약 안쓰면 온 마을의 벌레가 나한테 옵니다.

  • @Marunare

    @Marunare

    6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 @Smile_77

    @Smile_77

    6 күн бұрын

    대부분의 인간이 농사를 지었어도 빈곤을 멈추기 힘들었는데 전세계 인구의 5프로 만이 농사를 지어도 계속 불어나는 지구인들을 먹이고도 남는 건 비료와 농약의 힘이 크죠. 기생충과 박테리아 등 오히려 유기농이 건강에 안 좋을 수 있다는 말도 있죠.

  • @user-sr5js3hj4t

    @user-sr5js3hj4t

    6 күн бұрын

    유기농은 사기입니다(덜치고 더치고 차이는있어도 100%농약안치고 작물재배/?? 100는 없습니다)시장마트에 유통될려면 벌래먹은거 흠있는거 누가 사먹는데요!!

  • @yogigung

    @yogigung

    6 күн бұрын

    마자용. 옥상 농사가 그나마 해충피해가 덜한데. 익어서 따는 열매는 긴시간 노출되니 힘들고 단타로 빠지는 채소류들은 잎한장씩만 내어주면 할만합니다. 고추도 청양고추정도..ㅋㅋ 시골살다보면 농산물 먹을때 농약양이 떠오르죠. 빛갈좋고 상처없는 마트식품보면 혼자 상상하곤합니다... 비료와 농약.

  • @ssisollee

    @ssisollee

    6 күн бұрын

    @@Smile_77 유기농 벌레와 나눠 먹어야 하며, 자연스런 뱃속 기생충을 인위적으로 제거해 준다. (온난화는 인간 과잉 자체가 원죄인데, 인간으로 태어나 인간이 아닌 척하며 살겠다는...)

  • @PhilipESinn
    @PhilipESinn6 күн бұрын

    타네씨 집의 구조가 열을 배출하기 어려운 자재와 구조라서.... 게다가 외벽에 아스팔트 슁글로 방수 공사 하셨었지 않나요? 거의 열복사 렌즈를 만드신 거예요. 애초 건축 자재가 일제 불연스티로품이신 걸로 알고 있는데요. 둥근 돔 형태의 구조라서 달궈진 아스팔트의 열이 내외로 방출되는데 안쪽의 돔 구조는 그 열을 볼록렌즈처럼 모아 줍니다. 즉, 여름에 일광욕까지 한 아스팔트열로 내부의 생물은 서서히 익혀지는 것인데요...ㅡ.ㅡ;; 외벽에 그늘을 만들어 주시는 게 가장 효과적인 냉방효과를 얻으실 듯 합니다. 근처 농기구점에 가셔서 그늘막 차광망을 구하셔다가 돔 외벽에 플라스틱 화분 엎어서 간격 만들어 고정시킨 뒤 전부 덮어 주세요. 태풍 감안해서 단단히 고정해 두시면 일단 임시방편은 되실 겁니다. 집을 다시 지으실 것도 감안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ㅡ.ㅡ;;

  • @user-py6ww9gc1x

    @user-py6ww9gc1x

    6 күн бұрын

    과학적 설명을 하시는것 보니 그런쪽 공부하시는가 봐요. 해결책도 제시 하셨는데, 그늘막은 일단 온도를 낮취주더군요.

  • @user-ve7yc1bj2y

    @user-ve7yc1bj2y

    6 күн бұрын

    헉 집을 다시짓다니 무서운 이야기

  • @PhilipESinn

    @PhilipESinn

    6 күн бұрын

    예. 건축일 하고 있습니다. 새로 지으신다면 그렇게 큰 비용과 시간이 들진 않을 겁니다. 설계에 공을 좀 들이시고 단층 방4개 화장실 2개 정도면 그리 큰 돈과 시간 들어 갈 것 같진 않네요. ^^.

  • @user-gb2vc8vd4l

    @user-gb2vc8vd4l

    4 күн бұрын

    와 ....

  • @MOMO-tm

    @MOMO-tm

    4 күн бұрын

    그냥 단열이 약한겁니다. 아스팔트싱글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이게 식으면 바깥쪽으로 식어 나가지... 단열이 아무리 약해도 단열재를뚫고 건물내부로 전달 되진않죠 단열이 약해서 그냥덥고 추을 뿐입니다

  • @Gyulaks
    @Gyulaks6 күн бұрын

    모두가 자연을 걱정하며 행동에 나서려면 각자가 직접 '체감'을 해야 하는데 도시에 살면 그게 쉽지가 않죠. 그렇다고 모든 사람이 전원생활을 하기를 바랄 수도 없고요. 그래서 타네님처럼 자신의 경험담을 널리 알리셔서 간접 체감이라도 하게 하는 것이 참 소중한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rolly919
    @rolly9196 күн бұрын

    시골살이 로망 완전히 깨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생각보다 더 장난이 아니네요

  • @user-up4hl1nb9p

    @user-up4hl1nb9p

    5 күн бұрын

    시골살이로망이 더욱 생기는데요? 저는.

  • @jjin33

    @jjin33

    3 күн бұрын

    단점만 보니까 환상이 깨지지 장점이 훨씬 더 많은데 시골생활도 자기만족임

  • @user-up4hl1nb9p

    @user-up4hl1nb9p

    2 күн бұрын

    @@TV-tl4xu 사기꾼 드글드글한 도시보다 벌레드글한시골이 좋아요. 저 아가씨들이 사골삶이 정말 싫었으면 저렇겠어요.돌려깎기 자랑이란걸 모르세요?

  • @user-gw2zm7tu6g

    @user-gw2zm7tu6g

    2 күн бұрын

    시골생활은 남과 비교되는 모든걸 내려놔야합니다. 텃밭관리하면서 장수할려면 농약쓰세요. 친환경? 말이 친환경이지 벌레와 잡초와의 싸움에서 인간은 개미입니다.

  • @user-up4hl1nb9p

    @user-up4hl1nb9p

    2 күн бұрын

    @@user-gw2zm7tu6g 도시생활이야말로 남과비교된 모든걸 내려놓아야합니다.풀은 자라는데로 손만 조금 부지런하면 합니다.친환경채소로 가꾸며 사는게 얼마나 즐거운지 댁들은 모릅니다. 인생 30평 상자속에 가둬져 사는 불쌍한 동물.

  • @user-sr5js3hj4t
    @user-sr5js3hj4t6 күн бұрын

    유혈목이 독있습니다 조심해요

  • @littletane

    @littletane

    6 күн бұрын

    뜨헉....

  • @jinnykim8898

    @jinnykim8898

    6 күн бұрын

    저희 동네에 엄청 자주 보이는데, 독없는줄 알았네요. ㅠㅠ 무섭

  • @user-tf2mp4iv2b

    @user-tf2mp4iv2b

    6 күн бұрын

    사람으로 치자면 안쪽 어금니쪽에 깊이 있답니다 조심하셔야해요

  • @user-gh3pl8yr3i

    @user-gh3pl8yr3i

    6 күн бұрын

    이중독이라 살모사보다 위험이요

  • @user-co7ey7mf1q

    @user-co7ey7mf1q

    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독사중에 제일 강한 독을 가지고 있어요. 단지 독니가 입 중간에 위치해서 사람을 잘 물지 못할뿐 무서운 뱀이에요. 조심하세요. 그리고 우리나라엔 물렸을경우 해독할수있는 해독제도 없어요

  • @jhrepter533
    @jhrepter5336 күн бұрын

    아주 특이하게 어금니에 독이 있어요...그래서 앞니쪽에 물리면 이상없겠지만 깊이 물면 상당히 위험합니다...독도 쎈 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user-gl6uu8ql2g
    @user-gl6uu8ql2g6 күн бұрын

    리틀타네 (자매)님의 맑은 영혼에 퐁당 고맙습니다. 부디 더운 날들 건 승 잃지 않기를 간절히 ...

  • @han-sy
    @han-sy6 күн бұрын

    지네는 닭을 풀어놓고 키우던가 주기적으로 약쳐줘야함 자다가 지네에 몇번물림 벌에 쏘이면 순간적으로 아픈데 지네는 통증이 좀 오래감 지네심하게 타는사람은 물렸을때 발이 두배로 커지는거 봤슴 나는 그냥 아프기만하고 말던데 촌놈이라 그런가봄

  • @Sonbongig

    @Sonbongig

    6 күн бұрын

    닭을 풀어놓으면 벌레가 없어집니다... 대신 식물도 없어..지는 마법이..ㅎㅎㅎ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6 күн бұрын

    닭을...풀면... 똥을 치우기가 어렵습니다. ㅠㅠ

  • @user-px7st5zi9n

    @user-px7st5zi9n

    6 күн бұрын

    지네 두 번 물렸는데요, 자다가 물리면 진짜 잠이 싹 달아나죠. 바로 따뜻한 물과 비눗물로 씻은 후 베이킹소다 물에 개어서 물린 곳에 올려놓으니 빨리 가라앉더라고요.

  • @user-er3eo1xj2c

    @user-er3eo1xj2c

    5 күн бұрын

    @@user-px7st5zi9n 잘때 무는데 알 수가 있나보네요? 아파서 깨는 건가보네요

  • @user-pd4qf1wk4i
    @user-pd4qf1wk4i6 күн бұрын

    "원래 처음 유혈목이가 발견됐을 때에는 독이 없는 뱀으로 판명됐다. 그런데 한학자가 유혈목이 목안쪽에 독샘이 있다고 알려지면서 유혈목이는 독사로 판명됐다"...라고 합니다.

  • @Sonbongig

    @Sonbongig

    6 күн бұрын

    깊이 물려야 독이 주입되는데 사람의 발목이 두꺼워서 깊이 물수가..ㅎㅎ

  • @user-pd4qf1wk4i

    @user-pd4qf1wk4i

    6 күн бұрын

    @@Sonbongig손 발꼬락 정도는 조심해야 겠죠.

  • @rosmarino1004

    @rosmarino1004

    5 күн бұрын

    @@Sonbongig 잡초같은거 뽑다가 뱀도 가끔 스치고 그래요..손가락 조심해야함

  • @user-jh7ch5te6r

    @user-jh7ch5te6r

    4 күн бұрын

    유혈목 맹독을 갖고있다고 알고있습니다.독니의 구조때문에 물리는 경우가 드믈뿐 .우리나라 최대의 맹독이라 들었습니다. 조심하세요. 집이나 밭 경계에 줄지어 입상 살충제를 뿌려두세요 벌레나 뱀들이 줄어듭니다

  • @mmmwa746

    @mmmwa746

    3 күн бұрын

    @@Sonbongig 유혈목이는 덩치큰 포유류가 접근하면 지가 먼저 줄행랑 칩니다. 살모사등 다른 맹독성 독사와 다르게 경고, 위협 그런거 없이 일단 도망갑니다. 독사 처럼 일하다 물리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해요. 대부분 겁없이 맨손으로 붙잡거나 가지고 놀다가 당해요.

  • @sweetme_us_2354
    @sweetme_us_23546 күн бұрын

    타네님 덕분에 아무래도 시골로 은퇴해서 산다는건 꿈으로만 가지고 있는게 현명하다는 결론이 났습니다. 오늘도 부지런 하시네요.

  • @user-tz6ik7qi6h
    @user-tz6ik7qi6h6 күн бұрын

    유혈목이 맹독이래요. 다만 독니가 안쪽에 있어서 사람한테는 쏠 수 없을 뿐이래요

  • @littletane

    @littletane

    6 күн бұрын

    제발 저한테도 쏘지 않아주길..

  • @Marunare

    @Marunare

    6 күн бұрын

    ​@@user-hm2jh1wh8z그렇지요^^

  • @2eok2joemoocheonmannyeon

    @2eok2joemoocheonmannyeon

    6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이지만 침소봉대한 정보입니다. 무슨 소리냐 하면 유혈목이는 예전 시골세대라면 어릴때 누구나 손에 올리고 온갖 핸들링을 하며 갖고 놀아도 될만큼 순하고 겁이 많은 종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독사라는 소리를 들으면 놀라는 사람들이 많죠. 유혈목이에 물려서 죽은 사람은 딱 한명 80년대 일본 초딩이었고 그 이후로 뱀을 해부해 보니 독샘이 두군데나 있는게 밝혀졌죠. 그 초딩이 손에 올리고 너무 괴롭히니 유혈목이가 문것이라 추정됩니다. 사람만 곁에 가도 겁을 먹고 목을 부풀리거나 도망가며 다른 살무사류들은 입질이 센데 반해 전혀 안하는 종이니 그냥 피하거나 막대로 집어서 멀리 던져 버리면 됩니다.

  • @user-ve7yc1bj2y

    @user-ve7yc1bj2y

    6 күн бұрын

    뱀이든 산돼지든 지들이 먼저 기척을 알아차리고 도망 가던데요 저는 장화신고 쿵쿵 힘차게 걷습니다 오디 잼 너무 훌륭하지만 모든 오디나무 다 잘랐습니다.

  • @parkur86ify

    @parkur86ify

    5 күн бұрын

    쿵쿵 힘차게 걸으면 위험해요😂 뱀 자극하면 물어용..

  • @user-wp9xh5gv3p
    @user-wp9xh5gv3p6 күн бұрын

    단층 집이면 지중 위에 차양막 설치하시면 여름에 덜 더워요. 비용도 많이 안들고 철기둥 몇개와 차양막 사면 햇빛 차단해 주어서 덜 덥습니다. 문제는 태풍 올때 치우고, 다시 설치 하는 게 귀찮은 건데 설치하면 확실히 시원합니다.

  • @DesN.A.
    @DesN.A.6 күн бұрын

    세상은 벌레의 것이고 인간이 사이사이 비집고 들어가 살고 있다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시는 이번 영상 잘 봤습니다 흑흑 ㅠㅠㅠㅠ 늘 대단하고 장하고 훌륭하시다 생각하지만 오늘 영상이 제 기준 최고봉이었을지도...!

  • @user-yz4vz6yt6s
    @user-yz4vz6yt6s6 күн бұрын

    뱀 남자인 저도 무서운데 ㅠㅠ 제가 시골에 못 가는 이유가 오늘 다 나왔네요 ㅎㅎ 대단하십니다 ~~

  • @sunysun2917
    @sunysun29176 күн бұрын

    타네님 덕분에 시골살이의 꿈을 버립니다😂

  • @user-gt1ob2yg8m

    @user-gt1ob2yg8m

    6 күн бұрын

    실제로 뱀하고 벌레 땜에 전원생활 포기하고 다시 귀도하는 분 있다고 합니다. 😢😢😢

  • @kjyshawn
    @kjyshawn6 күн бұрын

    귀촌해서 독사가 많이 나왔습니다. 무서웠습니다. 어미고양이가 애기냥 5마리를 강제입양시키고 자유를 찾아 떠났습니다. 냥이 5마리는 건강라게 자랐습니다. 요즘은 뱀 들이 불쌍합니다.

  • @farmngarden
    @farmngarden6 күн бұрын

    공감하면서 재밌게 봤습니다.^^ 무더운 여름 건강하게 잘 나시길 바랍니다.

  • @Art-Director76
    @Art-Director766 күн бұрын

    땅에 비닐씌워놓으면 습도도 유지되고 뱀살기 딱이죠. 밭에 뱀나오는 이유입니다. 아마 뱀집이...

  • @user-wx6xe5me6x
    @user-wx6xe5me6x6 күн бұрын

    오늘도 힘들고 난감한 얘기들을 코믹하게 잘 만들어주셨군요. 즐겁게 잘 봤습니다

  • @justemh
    @justemh6 күн бұрын

    날씨가 너무 더워요 체온조절 잘하세요😂

  • @user-en8ht9io1y
    @user-en8ht9io1y3 күн бұрын

    정말 아름답고 교육적인 동영상 입니다. 멋집니다. 행복하세요

  • @user-kr8cs3fr8j
    @user-kr8cs3fr8j6 күн бұрын

    앵두나무 가지치기하고 아래 풀 뽑느라고 쪼그리고 앉았는데 발등에 뭔가 시원한 게 스치고 지나가는 것이 느껴지더라고요 새끼 유혈목이였어요 수돗가 근처라 슬리퍼를 신고 있었거든요. 아오 뱀은 정말 싫어요. 진딧물 약 물1,8 리트에 (아래 기준 : 생수뚜껑입니다) 식초1뚜껑,소주3뚜껑,맥주5뚜껑,주방세제 반뚜껑 저도 시골에 집이 있지만 거리가 멀어 한 달에 두 세 번 정도 가는데요 올해 매실 나무에 진딧물이 장난 아니게 새까맣게 붙어 있어서 이걸 어쩌나 싶다가 유튜브 검색해서 해봤는데요 100%는 아니지만 거의 80%는 퇴치 된 것 같았어요. 오전에 뿌려주고 오후에 물을 뿌렸더니 검정 비닐 위로 진딧물 시체가 먼지처럼 내려 앉았어요. 참고로 제가 봤던 건 장돌뱅이 아저씨 유튜브입니다.

  • @user-jy4qk2ll4q
    @user-jy4qk2ll4q6 күн бұрын

    뱀을 무서워 하지않는 처자들은 처음 보네요.남자인 나도 무서운데....강인한 조선의 시스터스 입니다...

  • @siyunesrun
    @siyunesrun6 күн бұрын

    케일 포기하지마시고 끝까지 놔두니 더위지나고 조금 먹을 수 있더라구요. 버텨보세요! ❤❤❤

  • @watch-your-back
    @watch-your-back3 күн бұрын

    영상에는 재미랑 힐링이 있고 댓글에는 지식과 고급정보가 넘쳐나네요. 든든하네요.

  • @user-jq9uc5pz3j
    @user-jq9uc5pz3j6 күн бұрын

    저도 귀촌했😊는데 넘 공감공감이예요..심각한 문제를 아주 재미나게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잠시 근심을 잊었어요 ㅋㅋ

  • @hereiam3600
    @hereiam36006 күн бұрын

    리틀타네님은 벌레 때문에 힘든데 저는 언제나 영상 보고 힐링하고 있네요ㅠㅠ ㅋㅋㅋㅋㅋ

  • @sirethsidel-iy3rh
    @sirethsidel-iy3rh5 күн бұрын

    영상보고 한참 웃었네요 그래도 왠지 여유롭고 행복해 보이네요 항상 응원합니다.

  • @user-yk9gq6pw1n
    @user-yk9gq6pw1n6 күн бұрын

    올해 귀촌했어요. 벌레 때문에 쿠*에서 구입한 양봉모자 쓰고 텃밭일 하고 있어요. 생각보다 넘 좋아요.

  • @JinhoChoi2011
    @JinhoChoi20114 күн бұрын

    저거 특히 노린재는 주변에 적당히 간격을 두고 수수 를 심으면 노린재가 수수를 엄청 좋아해서 다른 나무에 별로 붙지 않음... 수액이 달콤한 다른 식물을 심는 것도 방법임

  • @littletane

    @littletane

    19 сағат бұрын

    대박 꿀팁이네요 감사합니다

  • @HAPPYENDING-ne8jt
    @HAPPYENDING-ne8jt6 күн бұрын

    3:16초에 이소룡 빰치는 쌍절곤 실력 멋지십니다^^ (유혈목이 독 있으니 조심하세요!)

  • @Hola-rp4mi
    @Hola-rp4mi6 күн бұрын

    씩씩한 아가씰쎄~ 뱜도 잡고😂 멋진 타네님

  • @user-kp1hn2wg9r
    @user-kp1hn2wg9r5 күн бұрын

    우와~ 대단하심 오늘 처음 영상을 봤음 좋아요 구독은 당연!

  • @user-ow2bb1vv6s
    @user-ow2bb1vv6s6 күн бұрын

    영상 올라오기를 엄청 기둘렸어요~~ 이렇게까지 보고싶어서 기다린 채널은 여기가 처음입니다~~❤

  • @user-ji4mp1bb3m
    @user-ji4mp1bb3m4 күн бұрын

    와~ 두 자매분 외모는 여리여리한데.. 멘탈과 생활력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안 들어요👍 올 여름 많이 덥다는데 건강 잘 챙기세요❤

  • @user-xz2cr9hn3i
    @user-xz2cr9hn3i6 күн бұрын

    정원이 너무 아름답네요. 하지만 거기에는 타네님의 돌봄과 통장이 들어간 결과이지만요😂

  • @user-hk9wo5mt9j
    @user-hk9wo5mt9j6 күн бұрын

    나래이션이 넘 좋아요 듣고 있으면 맘이 장화됨

  • @user-go1pw5kn9w
    @user-go1pw5kn9w6 күн бұрын

    타네님 !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 합니다 ^^

  • @user-ic2bg8kn3k
    @user-ic2bg8kn3k6 күн бұрын

    멋진 생활, 응원합니다 ~^^

  • @user-zg6ui6ir8u
    @user-zg6ui6ir8u6 күн бұрын

    유혈목은 맹독사입니다. 다만 공격적이지 않고 쉽게 물리지 않아 그나마 다행이지만 물린다면 해독제가 없어 매우 위험합니다. 시골집에서 뱀을 퇴치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집 주변 2~3곳에 길냥이 밥을 주면 됩니다. 저도 갖가지 방법으로 해봤지만 확실한 방법이 고양이 였습니다. 지네, 쥐, 뱀이 사라졌습니다. 대신 고양이는 10마리정도로 불어났네요. 그래도 만족합니다.

  • @Tamgusanghwal

    @Tamgusanghwal

    19 сағат бұрын

    확실한 방법이죠. 민원넣을 이웃집만 없다면. 하긴 이웃집도 뱀보단 고양이가 낫겠네요.

  • @user-jp8uw6ci4g
    @user-jp8uw6ci4g6 күн бұрын

    진딧물에도 날개가 있군요. 새로운 지식도 얻어가요.^^ 더위 조심하시고 독없어도 뱀 조심하세요

  • @Sonbongig

    @Sonbongig

    6 күн бұрын

    4000m 상공에서 비행기에 포집기를 달고 날아다닌 영상이 있는데 진딧물이랑 온갖 벌레들이 바람을 타고...ㅎㅎㅎ 마을 전체를 방제해도 며칠만 지나면 공중에서 내려온다고 하더군요..ㅎㅎ

  • @user-winter_wind
    @user-winter_wind6 күн бұрын

    겁없는 처자들.... 조심하세요

  • @kyc7936
    @kyc79362 күн бұрын

    불편함을 기꺼이 감수하면서 정원을 가꾸는 모습 대단해요 👍 응원합니다 🎉

  • @user-kz3cl2xx1r
    @user-kz3cl2xx1r6 күн бұрын

    유혈목 조심하세요 독이 나오는 이빨이 안쪽에 있어 그나마 다행이지만 잘못 물리면 큰일 나요 항상 두 요정님 영상 감사한 마음으로 보고 있어요

  • @timekim7194
    @timekim71946 күн бұрын

    소금물이라도 꼭 살포 해주세요 벌레 잡초 진짜 징하죠. 구충약 꼭 드시구요ㅜㅜ

  • @sorry65
    @sorry6522 сағат бұрын

    배울점이 많은 젊은이들이네요 응원합니다

  • @leejongmae
    @leejongmae6 күн бұрын

    유혈목 맹독입니다. 근데 이빨이 안쪽으로 많이 구부러져 있어 정확히 물리지 않으면 이빨침을 맞지 않기 땜에 감염 확율이 적이서 그렇지 해독약 없대요.

  • @narum7580
    @narum75802 күн бұрын

    아하하하 너무 재밌어요.ㅎㅎ영상 넘넘 잘 봤습니다~

  • @TAIROMYI
    @TAIROMYI6 күн бұрын

    혹시 다른 인근 논이나 밭은 농약을 친다면~~. 농약 안치는 논밭으로 다 모입니다 ~

  • @user-uh9os7cf4o

    @user-uh9os7cf4o

    5 күн бұрын

    그런가요? 주말 농장 하는데 몇 일 전부터 우리밭에만 날파리 같은게 너무 많아서 고민이예요..

  • @miracleLiahona
    @miracleLiahona4 күн бұрын

    구독자가 금방금방 느는 이유를 알겠네요. 이렇게 예쁘고 당차고 인간답게 사는 두 아가씨 삶을 볼 수 있으니 말이죠~

  • @user-yf2rt7nu3s
    @user-yf2rt7nu3s6 күн бұрын

    집앞에핀 장미를 집안으로 들이려다 진딧물 투성이인걸보고 다 버렸어요..정말 벌레장난아님ㅜㅜ 그나저나 영상짤들은 하나같이 찰떡 꿀잼이네요오♡

  • @user-us3vs4wx4x
    @user-us3vs4wx4x6 күн бұрын

    왜 이렇게 오랜만에 왔어요!😢 기다리면서 한 시간짜리 영상도 몇 번이나 봤다구여

  • @user-sq5sx3ko3i
    @user-sq5sx3ko3i6 күн бұрын

    어쩜 어런 예쁜 아가씨들이 있을까요 예쁘게 정원 가꿔 가는 것만 봐도 예쁘고 부지런한 사람들 이란걸 알수 있죠

  • @user-fh6pe3tp1k
    @user-fh6pe3tp1k5 күн бұрын

    겁이 없으시네요. 항상조심하는것이 제일이죠.😅

  •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3 күн бұрын

    나는 야산에 밭을 하고 있는데 농약을 치지 않아서 인지 밭에 지렁이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지렁이들에게 고마워 해야하나? 흙을 좋게 만들어 주니까 ... 그런데도 다른 밭보다 진딧물이나 해충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양배추를 무농약으로 재배 해도 가능 하더군요 비료는 조금씩 줍니다 그런데 다른 밭에 보면 밭주위나 밭흙에 해충들이 살고 있는것인지 해마다 토마토가 시들어 죽는 것들이 조금씩 있고 온갖 벌레와 해충들이 나타 나더군요 오랫동안 여러 가지 작물을 심는 주말농장 같은곳들 많은 벌레와 해충들이 서식합니다 은행잎 달인물 소다 모두싹 목초액 충진싹 밈오일 식초 자리공 닳인물등 모든 것을 해도 또 나타 납니다 해충과 벌레는 밭주위에 살고 있습니다 한번도 작물들을 재배 안한곳이라면 해충들이 좀적거나 없습니다 옥상 농사가 그나마 해충피해가 적은 이유입니다

  • @im-youyou
    @im-youyou6 күн бұрын

    에어컨 위치를 침대를 마주보는 쪽으로 하는게 시원할거에요 누웠을때 에어컨이 침대를 등지고 있네요

  • @minsuja8257
    @minsuja82576 күн бұрын

    참 대단 하시네요

  • @user-lq1tn1qe7z
    @user-lq1tn1qe7z6 күн бұрын

    아름다운 정원소개하는 영상볼때는 시골생활이 너무 부러웠는데....역시 현실은 현실이네요. 여름날씨가 더워도 너무 더워서 걱적입니다.

  • @saeroe5097
    @saeroe50976 күн бұрын

    ❤힐링 영상으로 힘을 얻고 갑니다 우리의 작은 영웅~~ ❤타네님 😊

  • @hyunjookim6521
    @hyunjookim65216 күн бұрын

    올해처럼 피부가 따갑게 더운적은 없었던거 같아요 이제 양산도 준비해야 할 듯요. 넘 더워서 7.8월이 무서워요. 농약을 안하면..진짜 힘든거 같아요 ㅜㅜ

  • @jongminpak9217
    @jongminpak92176 күн бұрын

    살모사처럼 맹독을 가지고 있습니다! ㅠㅠ 진짜 조심하세요.

  • @user-do3if3oi1m
    @user-do3if3oi1m5 күн бұрын

    역시 전원생활은 이상과 현실의 엄청난 간극이 있군요. 요즘 몸이 힘들다고 배달 몇 번 시키며 쌓인 플라스틱 보고 맘이 힘들었는데.. 깊이 반성합니다!!!

  • @nonnonno-sx5mk
    @nonnonno-sx5mk6 күн бұрын

    농부들이 농약 쏟아붓는 이유가 있나봐요

  • @jong851
    @jong8516 күн бұрын

    풀독 조심하세요 요즘 쇄기도 많아서 꼭 긴팔입으셔야 합니다 저는 반팔입고 정원정리하다 풀독으로 고생중입니다

  • @treekms5
    @treekms56 күн бұрын

    시골살이 정말 아무나 하는게 아니란거 영상으로 또 느끼게 됩니다. 지난 해 겨울이 잠시잠깐이다보니 올해 벌레가 극성일수도 있을듯요. 어쨋든, 잘 살아내시길 응원합니다🙌

  • @user-fx2dl8oo5e
    @user-fx2dl8oo5e6 күн бұрын

    벌레나 뱀을 무서워하지 않는 털털한 모습을 보니 시골생활 문제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목련은 꽃이 예쁘고잎이 싱그럽고 감나무는 그늘을 만들어 주고 주홍빛 열매는 가을을 아름답게 만듭니다~

  • @user-er5xb4bm3w
    @user-er5xb4bm3w6 күн бұрын

    오늘 게시물 보는 내내 몸이 가려웠어요 ㅜㅜ 아흑..전 시골은 절대 못살것같아요

  • @user-er3eo1xj2c

    @user-er3eo1xj2c

    5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저는 영상 못보고 댓글만 보고 있어요 ㅎㅎㅎ

  • @catvlog.
    @catvlog.2 күн бұрын

    과일이랑 채소 따서 세척하실때 #전선생부엌 의 미네랄 세제 추천드립니당

  • @MoonlightTube
    @MoonlightTube6 күн бұрын

    처음과 비교하면 정원을 어마어마하게 일구셨네요.

  • @zzz7854
    @zzz78546 күн бұрын

    공기좋고 물좋고 텃밭꾸려가며 멋지게 사는건 누구나 꿈꾸는 로망이고 이게 진짜 시골의 현실이죠

  • @moonthedoc
    @moonthedoc6 күн бұрын

    무농약 농법과 비건은 ㅅ양립하기 어렵군요. 야외에서 하품한번에도 무너질수있는 비건의 신념.. 초음파세척기가 있다면 불가피한 동물섭취를 최대한 막을수있지 않을까합니다. 예쁜자매님들 화이팅!

  • @user-oh3zx2wm3p
    @user-oh3zx2wm3p6 күн бұрын

    수박은 아깝네요.. 언젠간 타네님이 직접 수박을 수확해서 반으로 자르는 모습을 볼수 있기를...

  • @user-wg5yt2ji2m
    @user-wg5yt2ji2m6 күн бұрын

    뽕나무 밑에 매트를 깔아요. 익은 건 다 떨어져요.

  • @user-jx2vo4hi4m
    @user-jx2vo4hi4m6 күн бұрын

    벌레붙은 상추보고 놀라서 갖다 버리곤 했어요. 친환경 채소 먹기 어려워오 ㅠㅠ 벌은 봉침 맞으세요 짜릿해요 ㅋㅋ

  • @user-xo3ie9jm7c
    @user-xo3ie9jm7c6 күн бұрын

    유혈목이도 독이 있습니다 다만 깊숙히 물리지만 않으면 되어서 독이 없다 생각할 뿐이죠

  • @littletane

    @littletane

    6 күн бұрын

    독이 없다고 잘못 알려져 있었군요... 소름 ㅠㅠ

  • @user-qe2ek5op9j

    @user-qe2ek5op9j

    6 күн бұрын

    @@littletane 유혈목의 독으로 죽을 정도면....길 가다 자빠져도 죽음... 어차피 물리는 걸로는 독에 피해가 없고...먹을 때 목구멍에서 마비 시키는 용도라...

  • @Marunare

    @Marunare

    6 күн бұрын

    ​@@user-qe2ek5op9j아닙니다. 유혈목이의 독도 치사성 독입니다. 오히려 늦게 발견하면 노답입니다...

  • @isleboy7

    @isleboy7

    6 күн бұрын

    @@user-qe2ek5op9j 아닙니다. 입의 구조 때문에 잘 안 물려서 그렇지, 제대로 물리면 굉장히 고통스럽게 아주 천천히 죽 을 수도 있습니다.

  • @yangyoung8266
    @yangyoung82666 күн бұрын

    마요네즈, 베이킹소다, 설거지용세제 를 아주 조금 섞어-물을 많이 넣으세요 -분무해주면 진딧물은 안녕히 가셔요 -가시는 길 바래다 주시면 됩니다

  • @user-lh6fs2up5x
    @user-lh6fs2up5x6 күн бұрын

    ㅎㅎ 저도 무농약으로 키우고있는데 너무힘들어 약을 만들어 뿌리고있어요~ 목초액+(소주*계피를 숙성)이걸 집주변과 땅주변에 뿌려주고있어요~ 장미는 임시방편으로 벌래가너무많을땐 수성홈키파를 한번씩 뿌려요~ 목초액이 생각보다 강해서 집주변으로 딱정벌래 노래기 지네들이 많이 죽어있더라구요~ 단 농약이아니라 꾸준하게 자주 뿌려줘야효과가있는듯요~

  • @HyeonamLee
    @HyeonamLee6 күн бұрын

    잘 보았어요. 너무나 공감하는 내용과 메시지예요. 포기하지 말고, 위기는 위기와 기회의 합성어라고 하더라고요. 할 수 있는 것을 하자고요. 저는 작은 것부터 실천하고 있어요. 뒷물수건. 건강에도 좋고, 화장지도 덜 쓰고..... 정토대학에서 배웠어요. 환경파트에서요. 타네님이 계셔서 좋아요. 저도 주택을 세주고 현재는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데 배우자 은퇴후 주택으로 돌아가려니 생각이 많아지네요. 장점과 단점이 있어서요. 여기 현재 살고 있는 곳은 바닷가여서 상대적으로 여름엔 시원하고, 남쪽이어서 겨울엔 따뜻하네요. 미세먼지에서도 조금 더 낫구요.

  • @user-yt1ji5zk5s
    @user-yt1ji5zk5s3 күн бұрын

    날벌레 때문에 산책하기 힘들때 꿀팁은 투명우산을 앞으로하고 산책하면 편해요!ㅋㅋ

  • @naturallife337
    @naturallife3376 күн бұрын

    벌꿀딸때 쓰는 망을 써보면 날파리에 효과가어떨까요

  • @dkssud4582
    @dkssud45826 күн бұрын

    형 조심해야되... 형 보는 낙으로 살잖아 내가 죽지마...

  •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6 күн бұрын

    왜 형이 돼부렀노... ㅋㅋㅋ

  • @user-wp6xw3vy3p
    @user-wp6xw3vy3p6 күн бұрын

    노린재, 진딧물은 친환경 살충제로 상당히 깨끗이 박멸가능합니다 살충성분이 농약의 80프로까지 나오는걸로 작살나라는게 있는데 진딧물 깍지벌레 총채벌레 잘 잡아요 응애약, 노린재약도 친환경으로 나와요 대신에 농약보다 좀 자주 쳐주셔야해요 3일에 한번 3ㅡ4회 치면 상당기간 깨끗이 유지가능요

  • @dsmhan5289
    @dsmhan52893 күн бұрын

    에어 컨디셔너는 방향 용량에 영향커요~ 공기 대류~~~~

  • @treekms5
    @treekms56 күн бұрын

    업소용 선풍기 추천합니다. 에어컨에 오래 노출되는게 힘들어 구입했는데 힘 약한 써큘레이터 보내버리네요. 못견딜 정도의 혹서가 아니라면 충분할것 같습니다.

  • @user-en6gv7xg9n
    @user-en6gv7xg9n6 күн бұрын

    동네풍경이 우리동네 같아요 우리동네에 사시다니~ 반가워요^~^♡

  • @user-er3eo1xj2c

    @user-er3eo1xj2c

    5 күн бұрын

    경기도권 이겠지요?

  • @user-mu6gj9nn9n
    @user-mu6gj9nn9n6 күн бұрын

    상추는 대충 씻고 담궈두고 식초 넣어두세요. 노린재는 다 보이는 즉시 죽여요. 가을 끝날 때까지 먹어요.

  • @hallo-ella2024
    @hallo-ella20246 күн бұрын

    앗 ㅠㅠ 전 여태 뱀은 산에만 있는 줄 알았어요ㅠㅠ 조심하세요! 😭

  •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3 күн бұрын

    뱀은 산에도 있지만 가을에 동면을 하러 산에 있는 바위 밑으로 많이 이동합니다 실제로 뱀들은 논주위 작은 개울이나 도랑주위에 많이 사는데 요즘은 농약을 쳐서 논에 그많이 살던 물뱀과 독사들 물방개 소금쟁이 미꾸라지 개구리 와 올챙이 개구리밥 우렁이 등 모조리 사라졌습니다 사실은 농약쌀을 먹고사는 것인지도 .. 들판과 저수지 주위 등 물이 있는 풀숲 주위에 개구리들이 많이 살고 개구리를 주식으로 하는 뱀들이 많이 삽니다 뱀의 주식은 개구리와 작은 쥐종류들 임 뱀들도 먹을게 있어야 살거든요

  • @user-wp6xw3vy3p
    @user-wp6xw3vy3p6 күн бұрын

    쉬파리 초파리들 많은곳에 다니실땐 방충망달린 챙넓은 모자 쓰심 아주편함 좀 더 차단하고싶으실땐 양봉용 모자 쓰세요 요즘 좀 패셔너블하게 나온것도 많아요

  • @dsmhan5289
    @dsmhan52893 күн бұрын

    목초액 은행 잎 자리공 백두옹(할미꽃) 삶은 액도 도움 되요~~~

  • @Mincho-Root
    @Mincho-Root6 күн бұрын

    유혈목이는 보통의 독사처럼 앞에 있는 독니가 아닌 어금니쪽에 독니가 있어서 어지간히 제대로 물리지 않으면 독에 피해를 잘 안 입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맹독이기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 @Happy_umami
    @Happy_umami6 күн бұрын

    철마다 구충제 꼭 드세요. 저도 간단한 채소 키워 먹는데 어느 영상보니 아무리 씻어도 벌레알이 남아있더라고요. 요샌 락스희석해서 씻어냅니다만 그래도 구충제를 드세요.

  • @dsmhan5289
    @dsmhan52893 күн бұрын

    방충모자 쑥 모기불등 해충 기피제등 여러가지 예요~~

  • @yujinlm0070
    @yujinlm00706 күн бұрын

    뭘 좀 먹는중이라 다먹고 다시 재생하겠습니다 좋아요는 이미 눌렀습니다 꾸벅

  • @dsmhan5289
    @dsmhan52893 күн бұрын

    이지구상에서 울 사람이나 벌레나 미생물이나 먹고 살려는 생존 경쟁 치열하죠~

  • @user-io7jd7po4z
    @user-io7jd7po4z2 күн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 @user-uh9os7cf4o
    @user-uh9os7cf4o5 күн бұрын

    에어컨 앞에 선풍기를 틀어 놓으면 시원하더라구요~~

  • @secondYC2
    @secondYC26 күн бұрын

    유기농 텃밭은 환상이에요. 저농약일 수 밖에 없다는 걸 인정해야 땅파먹고 살 수 있어요. 그리고 여름엔 동남아보다 더울 거에요. 이미 그래왔어요 ㅎㅎㅎ

  • @thejiseokkim
    @thejiseokkim6 күн бұрын

    유혈목이 독 있습니다. 조심하세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