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 전생 알아낸들 무슨 소용? 주어진 조건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삶은 달라진다 | 한국 선불교의 깨달음 지상주의를 비판하다 | 도법스님의 신심명 강의 1

중국 선종의 초조인 달마대사-혜가대사의 법을 이어받은 선종의 3조는 승찬대사입니다. 중국 선종의 조사들의 발자취를 돌아보던 중 제 가슴에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곳이 승찬대사가 계셨던 삼조사였습니다.
승찬대사는 한센씨병(나병)자였습니다. 당시 그 병의 환자는 ‘하늘도 버렸다’는 천형이라 하여, 주위 사람들은 물론 가족들로부터 버림을 받았습니다. 그 수족이 썩어가는 그 병도 고통스러웠을 텐데 모두로부터 버림받는 그 고통을 누가 감당할 수 있었을까요. 그러나 승찬은 고통이 주저앉아 있지 않고, 혜가대사를 찾아 울부짖었습니다.
 “제가 너무 힘이 듭니다. 어찌 해야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겠습니까”
 “그 힘든 마음을 가져오너라. 그러면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겠노라.”
승찬대사는 그 힘든 마음을 찾기 위해 처절한 몸부림이자, 수행을 했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그 뿌리 없는 뿌리를 보았습니다. 그 위대한 노래가 지금까지도 모든 중생을 미망에서 깨어나게 하는 '신심명'입니다.
지리산 실상사에서 인드라망생명공동체를 일구고 있는 도법스님이 '도법스님의 신심명 강의'를 냈습니다. 실상사의 스님들과 함께 신심명을 공부한 뒤의 결과물입니다. 견성이니 깨달음이니 하는 관념보다는 철저히 현실에서 문제와 고통을 해결하는데 중점을 둔 도법스님이 본 신심명은 남다릅니다.
특히 실상사 대중들이 공부한 책이 '성철스님의 신심명 강설'이었기에, 성철 스님에 대해 솔직한 견해를 밝힙니다. 지리산 바람이 불어오는 실상사의 느티나무 아래서 도법스님과 함께 했습니다.
#도법스님 #신심명강의 #실상사
----------------------------
조현TV 휴심정
조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iuhappyday@naver.com
무엇을 갖기를 원하나요. 많은 돈, 높은 지위, 든든한 권력, 좋은 가족과 친구, 기쁨과 행복.
열린태도로 지혜로워질 때 많은 것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휴심정은 종교와 이데올로기, 고정관념, 편견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고 배워 지혜롭고 성숙해져서 자타가 함께 행복해지는 곳.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꿔낼 수 있는 용기를!
*조현TV휴심정은 유튜브에 광고신청을 하지않아 수익이 발생하지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뷰어, 인터뷰이, 촬영자, 편집자 모두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집니다.
(조현이 삼각대 위에 핸드폰을 장착후 인터뷰하는게 대부분이니, 음향 등 미숙을 양해해주세요)
**인터뷰 기사는 휴심정( well.hani.co.kr )에 있어요.
네이버 뉴스에서 조현기자를 구독( naver.me/F5uVPaKk )하면 조현 글이 배달됩니다.
***한겨레신문을 후원( support.hani.co.kr )해주시거나, 신문을 구독해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후원해주신분 메일로 연락주세요. 한겨레신문 구독 신청하실분도 메일로도 연락주세요.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Пікірлер: 73

  • @jepuiros
    @jepuiros Жыл бұрын

    21:05 너무나 통쾌한 실천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b2qm8bq6r

    @user-zb2qm8bq6r

    Жыл бұрын

    하나마나한소리 입아픈 소리요

  • @user-su7cs9kg9q
    @user-su7cs9kg9q Жыл бұрын

    스님의 깊은 내공이 느껴집니다. 불교를 쉽게 다가갈수 있도록 고민하시는 스님을 존경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kg4nj2rn5y
    @user-kg4nj2rn5y Жыл бұрын

    삼보일배 도법스님! 감사히 잘듣고 갑니다. 날마다 행복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 @now-and-forever
    @now-and-forever Жыл бұрын

    성철스님관련 얘기 공감이 됩니다. 본인은 아셨겠지만 스승이라면 제자가 이해 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당신 권위에 의한 흐름도 무시 못했겠죠.

  • @cosmos3
    @cosmos3 Жыл бұрын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감사합니다🙏

  • @user-cz4nb7pe6u
    @user-cz4nb7pe6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스님. 큰 가르침에 감사드립니다.

  • @user-xn9zn4ij1o
    @user-xn9zn4ij1o Жыл бұрын

    너무어려워서 불교를 떠나고싶어. 그리고 조계종단의 일부 위법승려들의 사유화와 탐욕 때문에 더실망합니다 도법스님 존경합니다~

  • @user-tx6dv1vy6y
    @user-tx6dv1vy6y9 ай бұрын

    조현 대기자님 감사드립니다 .. 큰스님들을 이렇게 영상으로 뵙게 해주셔서요~

  • @padong
    @padong Жыл бұрын

    비움도 빛나라! 가득참도 빛나라! 경전 이전에 부처님 삶에 천착 하라. 지금 바로 여기, 이곳의 삶? 바로 이해 되는, 실행 되는, 경험 되는, 증명 되는~. 목적 지상주의에 매몰되는 현재의 삶. 부처님도 고행 수행에서도 답을 못 찾아서 버려버렸다. 중도적으로 접근하면 복잡하고 어려울 일도 없다. 지극한 진리는 어려울 게 없다. 조건(환경)에 따라 만들어진다. 따라서 지금 여기서 나에게 주어진 조건(환경)을 어떻게 쓸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 지금 여기, 지금 이 순간! 창조적 지혜의 발현~. 귀한 지혜의 가르침 감사합니다^^

  • @user-gk5mg8gs1x

    @user-gk5mg8gs1x

    Жыл бұрын

    ,

  • @user-ut3be5co5y

    @user-ut3be5co5y

    Жыл бұрын

    조건에 따라 만들어진다 조건이 안좋더라도 부모님 감사행을 하면 모든 것이 좋아집니다

  • @user-to3ll1lk9p
    @user-to3ll1lk9p Жыл бұрын

    강물아 흘러 흘러 어디로 가니 넓은세상 보고싶어 바다로 간다 바닷물아 흘러 흘러 어디로 가니 하늘나라 가고싶어 구름이 된다 구름아 흘러 흘러 어디로 가니 고향동네 가고싶어 빗물이 된다 빗물아 흘러 흘러 어디로 가니 친구들이 보고싶어 냇가로 간다 냇물아 흘러 흘러 어디로 가니 강물따라 가고싶어 강으로 간다~~

  • @user-ls4os1dg8v
    @user-ls4os1dg8v Жыл бұрын

    저는 살면서 사람들에게 선을 베풀어도 왜 악으로 돌아오는지 몇십년동안 참 궁금했습니다. 참고로 제가 생색을 내거나 뭔가 바라는 마음은 없었다고 봅니다. 하지만 전생을 듣는 순간 "아하! 그래서 그랬구나" 하고 전생을 말해준 사람에게 감사하다고 절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저의 이생의 삶을 이해하게 되었고 사람들에게 더 많이 베푸는 삶을 살야아겠구나! 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고 참회를 하였습니다. 이생의 억울한 감정들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어떤 안 좋은 상황에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는 전생의 업을 떠올리며 "내 업이 나타났구나"하고는 얼른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스님의 말씀 중 지금 이순간 창조적인 쪽으로 마음을 바꾸어야 한다는 조언을 들으며 전생에 매이지 않는 길을 터주신 것 같아 참으로 감사드립니다. 하나의 법문이 마무리가 된 듯하여 뿌듯합니다.

  • @user-zs5db8rc9d
    @user-zs5db8rc9d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눈으로 보면 색이지만, 사실은 빛이자 파동이고 그 빛이면서 파동은 공에서 나온 것이므로 만물의 근원인 공을 체험하고 그 공에서 나온 빛이 다시 눈에 의해 색으로 보이는 체험, 즉, 색즉시공, 공즉시색 체험을 부처님은 지식이 아닌 몸을 통해 하셨기 때문에 부처님의 모든 설법은 그 체험을 바탕으로 설명한 것이며, 체험한 그 공의 세계는 그 어떤 경계도 존재하지 않기에 그 무엇에도 끄달리거나 흔들리지 않는 대자유의 경지이므로 중도라고 설명하신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현대의 불교는 부처님과 같은 지식 이전의 공의 체험을 하지 못한 채 부처님의 말씀을 지식으로만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에 부처님과 같은 깨달음과 의식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 공의 체험은 지식이나 화두나 생각으로 도달할 수 없고, 스님이 말씀하신대로 외부의 자연이 지수화풍으로 이루어져 끊임없이 대류 순환하는 그 자연의 섭리대로 우리의 몸도 자연의 산물이므로 똑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즉, 우리 인간은 땅 위에서 우리 몸 속의 생명을 불어 넣는 근원적인 기(빛이면서 파동) 에너지가 물이 불의 힘으로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척추를 타고 머리로 올라가며 머리에 올라간 그 기가 하늘의 차가운 기운에 의해 다시 몸의 앞을 통해 아래로 내려오며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수승화강의 과정을 죽는 날까지 계속하는데, 문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 수승화강의 길이 막혀 몸의 끄달림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공의 체험을 못한다는 것입니다. 멸진정이라고 불리워지는 공에 들어가는 체험은 지식이나 생각이나 화두에 의해서가 아니라, 우리의 몸에 있는 그 기가 온 몸의 기 흐름을 막는 장애물을 지수화의 작용으로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밀도와 압력 차이에 의해 생기는 바람의 압력의 힘으로 다 뚫고 자연의 섭리 그대로 지극히 걸림 없이 돌 때 비로소 온 몸이 사라지면서, 마치 진공 속에서 지켜보는 순수 의식과 순수한 에너지만 느껴지는 공을 체험할 수 있으며 부처님은 이런 체험을 언어을 이용해서 법으로 설명하셨음을 아셔야 합니다. 즉, 달을 봐야지 왜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느냐라는 말은 체험을 해야지 왜 언어에 휘둘리느냐란 말입니다. 부처님의 모든 설법은 그 체험을 말로 설명하신 것이기에 그 말을 지식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마시고 부처님과 같이 몸을 통해 공을 체험해야만 부처님의 의식수준으로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것임을 명심하시고 깨달음의 단초를 부디 몸에서 구하시고 자등명, 법등명 하시기 바랍니다.

  • @user-we3zh4rl2f
    @user-we3zh4rl2f Жыл бұрын

    고마운신 말씀입니다. 부모의 운명이 인연으로 나의 환경에 영향을 주더라도 창의적으로 새롭게, 지금 여기서 자기 삶을 잘 꾸려나가는게 중요하다.

  • @user-lw6dz1td4t
    @user-lw6dz1td4t Жыл бұрын

    부처님의 삶 속에서 사신다는 말씀에 귀의 합니다

  • @user-tf7hx1jd3f
    @user-tf7hx1jd3f Жыл бұрын

    허깨비 놀음인들 어떠랴 이 좋은 만남 이 아름다운 시절을 더불어 건너가고 있으니

  • @Jooha0721
    @Jooha0721 Жыл бұрын

    머무는 바 없이 지금 이순간을 끊임 없이 실상으로 삶을 창조 하라는 말씀 잘 새기겠습니다. 현재의 삶을 잘 즐기겠습니다.

  • @user-kc1ty1sw3w
    @user-kc1ty1sw3w Жыл бұрын

    우주 법계 진리 의 법문 이끌어 주시는 도법 큰스님 조현 기자님 감사 합니다🙏🙏🙏

  • @user-jv7ql3wo2x

    @user-jv7ql3wo2x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말씀입니다

  • @ckyu5328
    @ckyu53286 ай бұрын

    도법스님 말씀듣고 주문했어요. 감사합니다.

  • @j.6909
    @j.6909 Жыл бұрын

    대학때 스님 뵙던 기억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 @studiokang
    @studiokang Жыл бұрын

    도법 스님의 정말 소중한 말씀들을 수 있어서 고맙습니다.

  • @youngkim1521
    @youngkim15219 ай бұрын

    와 ~~ 도법스님 말씀. 처음 접하는데, 감동이네요.. 조기자님, 정말 감사합니다.

  • @user-ut3be5co5y
    @user-ut3be5co5y Жыл бұрын

    내 삶은 내가 생각하고 행동하고 이끌어간다 내가 선택하고 책임진다

  • @egt6623
    @egt6623 Жыл бұрын

    20대 초반에 뵙고, 법명도 받고, 70 고희를 향해 가는 내내 좋은 인연이었습니다. 이 가을 가기 전에 찾아 뵐 수 있으려나.....

  • @user-cn7dk1um2d
    @user-cn7dk1um2d Жыл бұрын

    기독교도 예수님이 실제활동할때의 사실들을 기반으로 해석해야 왜곡되지 않은 본래의 정신을 이해할수 있듯이, 스님도 부처님의 실제 활동하고 있을당시의 사실을 기반으로 해석해야 왜곡없는 정신의 전달이 가능한것같습니다. 두분다 당시사회의 개혁운동가, 사람사는세상구현이 목적이었던것 갇습니다. 기독교는 초기와 많이달라진 거의 바울교라는것이 합당한것처럼 불교도 후세에 많은 색깔이 덛씌원진것 같습니다.

  • @user-tn6qt8jo6u
    @user-tn6qt8jo6u Жыл бұрын

    지금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채고 그것에 집중해서 하다보니 마음이 고요해져서 좋은것같아요

  • @daui4321
    @daui43219 ай бұрын

    스님 강물아 흘러 흘러.... 감동입니다

  • @user-bt7rg8jd5g
    @user-bt7rg8jd5g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들려줘서 감사합니다. 훌륭하신 도법스님!

  • @kangbumi8427
    @kangbumi8427 Жыл бұрын

    도법 스님, 아끼고 아껴서, 읽고 또 읽었습니다. 한자 한글자 한글자 찾아가면서 공부하고 또 공부했습니다. 읽을수록 책 속에서 스님의 영상과 음성이 자상하게 지원되었습니다. 도법 스님,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_()_ 조현 기자님, 고맙습니다. _()_

  • @forest9917
    @forest9917 Жыл бұрын

    도법스님의 책. 신심명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tg1bd5qq7k
    @user-tg1bd5qq7k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감사 합니다()

  • @jeongcikyou385
    @jeongcikyou385 Жыл бұрын

    도법스님은 존경할 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do4rq6cu8k
    @user-do4rq6cu8k Жыл бұрын

    완전 동감 합니다~()~

  • @user-bq2zr8yn9t
    @user-bq2zr8yn9t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약사경을 BTS가 부르면 새로운 K불교 창조가 될것같습니다. 부디 소원성취하옵소서. 나무동방만월세계약사유리광여래불🙏🙏🙏

  • @user-eu5ok5tc6h
    @user-eu5ok5tc6h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ojkim571
    @ojkim571 Жыл бұрын

    도법스님 좋은말씀 감사드립니다 .

  • @user-hu3zp7gv9m
    @user-hu3zp7gv9m Жыл бұрын

    스님 이 노래는 동요였어요~~

  • @user-eq6be5qv2d
    @user-eq6be5qv2d9 ай бұрын

    운명보다 본인 마음먹기에따라 인생이가는 것이라 생각하고, 인생을 참되게 살자는 뜻에서 전생 후생같은것이 비롯되었다고 봅니다,

  • @user-sk4cr9kk1g
    @user-sk4cr9kk1g Жыл бұрын

    스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ff5me1ge1o
    @user-ff5me1ge1o Жыл бұрын

    큰법문 감사합니다

  • @user-do7qs1rb6c
    @user-do7qs1rb6c Жыл бұрын

    스님~ 법문 잘 들었습니다^^ 다음편을 기대합니다🥀

  • @user-qj6we5si7c
    @user-qj6we5si7c Жыл бұрын

    두분 존경합니다 대담감사히 들었씀니다 근데요 우리 삶에서 목전의 병마 죽음같은 악경계에서도 흔들림없이 있어야 진리 아닐까요 그 진리가 말이나 생각이 아닌 나의 현실이 되어 버러야 깨달음이지않을까요 조사선이 직지인심 견성성불 인데 사람마음이 어딨을까요 이글 보는놈이 마음 아님니까 보는놈이 없는적 있나요 지금 여기 늘함께 하지요 일어버리수도 버릴수도 없이 늘거나 줄지도 않고 그냥 지금 깨달아 버리세요 마음은 마음이 아니라 이름이 마음이지 뭐가 있씀니까 중도도 이름이 중도지 한생각 놔버리면 요게 돈오 이고 불이중도이고 천하에 쉬운게 불교 아님니까 오염만 안시키면 됩니다 잇어야 진리

  • @jung-yu9lt
    @jung-yu9lt9 ай бұрын

    스님. 말씀 잘 들었읍니다.

  • @user-wd4df6ji6x
    @user-wd4df6ji6x9 ай бұрын

    우주법계 삼라만상은 한몸으로 서로 연기하면서 끊임없이 변해가므로 현재 여기에 있는 나만 존재하므로 현재 여기서 잘사는것이 성불입니다

  • @user-yf6df9rq5v
    @user-yf6df9rq5v Жыл бұрын

    아 저도 가고싶네요

  • @user-pp6rb4wj1h
    @user-pp6rb4wj1h Жыл бұрын

    성철스님 처럼하면 되요 자꾸 진리에다 멀 생각하니 어렵지 참선수행이 진리에 도달하는 가장 빠른법입니다

  • @sanyon8139
    @sanyon8139 Жыл бұрын

    삶속에서 물흐르듯 하는 수행 방법이 있을까요? '없다.'가 그나마 진리에 가깝지 않을까요?

  • @user-cg3yc2nn2p
    @user-cg3yc2nn2p10 ай бұрын

    도법스님은 존경받을만한 스님~~

  • @user-dz9pk7mg9u
    @user-dz9pk7mg9u Жыл бұрын

    육진불호 환동정각... 실천불교의 정석 도법스님 마하반야바라밀_()_

  • @user-tu4zq5ru8l
    @user-tu4zq5ru8l9 ай бұрын

    지금 한국의 불교가 가야할 모습이라 생각합니다.

  • @buddaholic913
    @buddaholic9139 ай бұрын

    ❤❤❤

  • @ooinlee6527
    @ooinlee652711 ай бұрын

    스님 ㅜㅡㅜ 저 두달만에 눈 뜸요. 결국엔 행복하자는 꿈과 그 방법을 듣고도 무슨 말인지 모를 어려운 말로 포장해 불교를 이렇게 망친건 누굴까요.

  • @user-ox4yd8ro2z
    @user-ox4yd8ro2z Жыл бұрын

    제목에 낚였나 ? 왠 신심명 ? 성철 부처님 설면해주는줄..ㅎㅎ 그래도 좋아요..

  • @user-dn9vk2mg1i
    @user-dn9vk2mg1i Жыл бұрын

    지금 여기에...전생을 알려면 내 지금의 모습을 보고 미래를 보려면 내가 지금 행하는 행을 보란 말씀같습니다 지금 여기에 과거와미래가 공존 다만 할 뿐...

  • @jeongcikyou385
    @jeongcikyou385 Жыл бұрын

    至道無難 惟嬚揀擇을 벽암록에서는 어떤 스님이 묻는 말에 설두스님이 잘 참구해보라고 하였는데 그 스님이 나중에 와서 대답하기를 “축생(畜生) 축생(畜生)”이라고 대답하니 인가해주셨다고 하였는데, 축생이란 짐승이라는 뜻인데,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지도(至道)라는 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그냥 쓰는 용어라고 생각한다면 안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우주 전체에 작용하는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원동력이 인간에게도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입장에서 본다면, 짐승이라는 말이 와닿는다고 생각합니다. 즉 법성계에도 보배로운 비가 허공에 가득한데 중생이 자기 그릇만큼 얻는다고 하였고, 법화경에도 초목품의 비유도 내용이 같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견해일 뿐입니다.

  • @hygge108

    @hygge108

    Жыл бұрын

    참으로 귀한시간 입니다 보석같은 가르침~ 도법스님() 조현기자님()

  • @user-ud7kw8fc2c
    @user-ud7kw8fc2c9 ай бұрын

    소중한 귀한 말씀 조금만 쉽게 풀어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 @user-gi4sr3qx1h
    @user-gi4sr3qx1h5 ай бұрын

    나무불 ()

  • @user-tu4zq5ru8l
    @user-tu4zq5ru8l9 ай бұрын

    두발을 허공에 딛고 서 있는 한국불교의 허상을 걷어야 할때

  • @user-js1cg3kl5y
    @user-js1cg3kl5y9 ай бұрын

    신은 없다 😅 인생은 우공이산 😅

  • @user-xl6wt2bc4b
    @user-xl6wt2bc4b Жыл бұрын

    말로해서 그렇게 쉽게 불교의 본질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성철스님한테 물어볼 필요가 있겠습니까? 단막증애하면 통연명백이라고 부처님이나 조사님들이나 성철스님이 다 같은 설법을 하셨는데 뭐가 부족한가요? 단막증애가 제대로 안되니까 용맹정진이 있고 돈오돈수가 있고 중도법문이 있고 확철대오란 설법이 있는 것안데 그 외에 무슨 불교를 찾으시는지 ...

  • @user-xb8go5hy6i

    @user-xb8go5hy6i

    Жыл бұрын

    70고개와서도 ㅡ평생의 굴레 증애입니다

  • @user-pp6rb4wj1h

    @user-pp6rb4wj1h

    Жыл бұрын

    성철스님 이 말많이 하지말고 수행부터하시라던데 ?

  • @user-pp6rb4wj1h

    @user-pp6rb4wj1h

    Жыл бұрын

    성철스님 스님처럼 확철대오 하시면 됩니다 해탈은 말이 필요없는거예요 말이 끊어지는곳이 진리죠

  • @user-du4sr3kc1b
    @user-du4sr3kc1b9 ай бұрын

    前生이라는건 , 내 삶이 만약 힘들면 (전생의 眞僞의 여부는 확실히 모르겠지만)니가 惡業을 많이 지어서 그런것이니 앞으로라도 착실하게 살면 福樂이 찾아올거라는 희망을 주고 善業을 많이 쌓아온 사람에게는 너는 과거에도 착실하게 살았고 지금 그 과보로 복락을 누리니 더더욱 열심히 베풀며 살면 來世까지도 한량없는 福樂을 누리리라는 因果應報를 바탕으로하는 부처님의 비유의 가르침이라고 생각이 듭니다만😅

  • @user-vi8mw6po3c
    @user-vi8mw6po3c9 ай бұрын

    저도근러게생각합니다 전생이뭐중요하고 내생이뭐중요합니가 지금이순간사는동않이어떠게사느냐가중요하지요 전생은물어볼거없이지금사는거보면알고 내생은내지은없따라가는거아닙니가 허니지금생에주어진운명대로정직하게열심히살면대는거아닙니가

  • @user-vi8mw6po3c
    @user-vi8mw6po3c9 ай бұрын

    ㅣ강물아흘러흘러어디로가니 강물따라가고싶어가강으로간다 강물아흘러흘러어디로가니넗은바다보싶어바다로간다 세윌아흘러흘러어디로가니운명따라가고싶어세윌따라간단다

  • @user-wf9ci8be4q
    @user-wf9ci8be4q Жыл бұрын

    알면쉽고간단하게,말물위이라면한글로해야지,꼰대불교,닫힌불교,성리학적불교! ,성불겨우안심입명이후를신민(묘공선)열린불교로,간화선도모르는묵조선있나?

  • @user-wf9ci8be4q

    @user-wf9ci8be4q

    Жыл бұрын

    지금여기나=화두,하나의정리되감정!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