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제부터 멸치육수를 즐겨먹었나? 한국인은 왜 쇠고기 국물을 좋아할까? 감칠맛 전쟁, 미원 VS 미풍! 국물전쟁 100년사 (KBS 20110424 방송)

Ойын-сауық

'KBS 스페셜 '국물전쟁 100년사'
■ 1907년 일본의 한 실험실에서 세계를 뒤흔들 신비의 가루가 발명됐다. ‘아지노모토’라는 이름으로 일본 전역에 판매된 이 가루는 바로 세계 최초의 조미료. 저렴한 가격으로 간편하게 맛을 낼 수 있는 아지노모토는 1910년 조선의 식탁을 점령하기에 이른다. 일본의 아지노모토社를 찾아 당시의 선풍적인 인기와 획기적인 판매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2011년 조미료는 아시아를 넘어 세계인의 입맛을 자극하고 있다. 세계인의 혀를 사로잡은 조미료의 비밀은 무엇일까?
■ 우리는 언제부터 멸치육수를 즐겨먹었나?
1891년 어느 야심한 밤, 거제도 구조라에 일본 어민들이 들어왔다. 그들이 조선에 온 이유 다름 아닌 멸치어업. 한국 멸치의 2/3을 생산하는 구조라의 권현망 어업은 대규모 선박이 바다에서 멸치를 삶아오는 방식으로, 바로 이때 일본어민들에 의해 전래된 어업방식이다.
구조라에 일본어민들이 들어오기 전 조선인들은 멸치육수를 즐겨 먹지 않았다. 비린 멸치로 육수를 내 먹기 시작한 것은 일제 시대 어업정책의 영향이라는 주장. 멸치육수에 숨겨진 진실을 들어봤다.
■ 한국인은 왜 쇠고기 국물을 좋아할까? 쇠고기 육수의 비밀
1929년 한 잡지에 실린 이야기다. 서산의 한 청년이 설렁탕을 먹다 그 맛에 반해 전답을 다 팔아 먹었다는 웃지 못 할 사연. 우리 민족의 쇠고기국물 사랑은 1909년 일본인의 기록에도 전해진다. 그는 조선만화라는 책을 통해 소머리국밥의 우수성을 기록했다. 조선시대 박제가의 북학의를 보면 이미 당시부터 한국인은 소를 많이 먹었다고 한다. 한국인은 왜 쇠고기 국물에 열광할까? 100년 전 조선을 뒤흔들었던 아지노모토의 감칠맛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 광복은 왔지만 입맛은 해방되지 않았다. 감칠맛 전쟁, 미원 VS 미풍
해방 후 아지노모토의 수입이 중단된 후에도 국내 조미료 생산은 계속된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조미료맛에 길들여졌기 때문. 수많은 조미료 제품 중 판매량 1,2위를 차지하며 치열한 경쟁을 펼쳤던 대상 미원과 제일제당 미풍. 사은품경쟁부터 패싸움 소동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그들만의 치열한 전쟁. 대상과 제일제당의 경쟁이 가장 치열했던 1960~70년대 당시의 직원들을 직접 만났다.
■ 당신의 혀를 겨냥한 세계의 전쟁. 국물 전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미국 샌디에고에 특별한 식품회사가 있다. 특정한 맛을 감지하는 혀의 수용체를 발견한 이 회사는 소량으로 맛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맛 강화제를 발명했다. 세계식품회사에 독점적으로 맛 강화제 기술을 보급하고 있는 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식품특허만도 200여개. 날로 발전하는 조미료 시장, 과연 우리는 미래에 어떤 조미료를 먹게 될까?
그러나 일각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전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을 지낸 데이비드 케슬러는 감칠맛에 중독되어가는 현대인의 입맛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일본의 한 식당에선 자연재료 본연의 맛을 강조하며 손님이 직접 보는 앞에서 국물 육수를 우리고 있다. 한편에선 천연 재료로의 회귀가, 또 다른 한 편에선 인공조미료의 진화가 이뤄지고 있는 지금. 국물 한 대접 속에서 펼쳐지는 세계 전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국물 #육수 #조미료

Пікірлер: 1 000

  • @user-ve2bc1sm2u
    @user-ve2bc1sm2u2 ай бұрын

    붓싼 출신인데, 어릴때 어머니가 끓여 주시던 멸치국수 맛이 가끔 그리워요. 국수 끓이실 때 꼭 손바닥 길이 만한 멸치로 다시를 하고, '구포국수'라고 스을에선 보기 힘든 상당히 얇은 국수로 만들어 주셨는데요. 어린 마음에 어머니께 "국물 그거 멸치다시다 풀어서 만들면 더 간편하지 않습니까? 왜 꼭 수고스럽게 멸치로 국물을 우리시나요?"라고 했더니 어머니 말씀 "다시다 보다 멸치가 더 싸다" 라고 그 이유를 명료하게 말씀해 주심. 서울 상경 25년, 어머니가 해주시던 그 국수맛을 아직 서울에선 접해보지 못했네요. 다큐 본 김에 조만간 고향 가서 국수 레시피를 좀 배워와야겠습니다. 멸치 같은 식재료나 조미료가 MSG를 상대할 수 있는 요소는 바로 이런 것들이겠죠. 개인사에 존재하는 추억. 맛의 좋고 나쁨을 떠나, 맛도 기억이고 학습이라 생각하기에 가장 행복했던 시점의 맛이나 향이 최고의 조미료라고 인식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또는 익숙함). 과학적으로 MSG는 가장 완전하고 갓성비의 조미료죠. 다만 가성비는 떨어져도, 추억을 소환 할 수 있는 조미료는 다들 하나씩을 가지고 계실겁니다.

  • @jason_cha
    @jason_cha Жыл бұрын

    처음에 MSG는 다시마에서 추출했음. 현재는 사탕수수를 발효해서 만듦. 화학조미료라고는 하지만 화학재료로 만드는 게 아님. 제작과정을 보면 설탕이나 소금과 다를 게 없음. 그럼에도 화학조미료라는 이름이 붙어 다니는 건, MSG를 처음 광고할 당시만 해도 '화학'이란 단어가 지금과 달리 매우 매력적인 마법의 단어였기 때문임. 그래서 신비하고 새로운 조미료라는 느낌의 마케팅 효과를 주기 위해 화학조미료라는 별명을 항상 같이 썼던 것이고, 지금도 다들 그렇게 알고 있는 것임. 무슨 석유 추출물에서 이상한 화학물질을 반응 시켜 만드는 게 아님. 그냥 식물을 발효해서 만들기 때문에 오히려 천연 조미료에 더 가까움. MSG를 처음 발견한 일본에서는 화학이라는 단어의 부정적 이미지가 크지자, 어느 순간부터 화학조미료라는 명칭을 전혀 쓰지 않고 있음.

  • @johnb8319

    @johnb8319

    Жыл бұрын

    웃긴게 MSG 그렇게 몸에 나쁘다고 난리쳤지만 실상은 소금이랑 똑같음.

  • @jason_cha

    @jason_cha

    Жыл бұрын

    @@johnb8319 독성은 사실 소금이 더 독합니다.

  • @baborobos

    @baborobos

    Жыл бұрын

    사실, 생각해보면 요리의 과정 자체가 대부분 화학 작용이죠. ㅋㅋㅋㅋㅋ 물을 불로 끓여서 뭔가 녹이는 것 자체가 화학이니까요. 고기 구울때 나오는 마이야르 반응도 화학 작용이구요. 화학하면 무조건 먹을 수 없는 걸로 한다는 인식이 단단히 박혀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실제, 공업용 재료로 라면 튀겼다고 삼양이 뚜들겨 맞은 적도 있으니 뭐... 인식 문제이죠.

  • @user-ie1ke7hp4g

    @user-ie1ke7hp4g

    4 ай бұрын

    좀 알고 쓰시지. 추출할때 뭘 넣는지는 아시고? 나도 msg 신봉자이긴 한데 천연에서 추출했어요 . 이런거는 진짜아니다. 천연은 맞고 추출 방식은 아셔 ? 거기에 들어가는 용제도 아시고 ? 괜히 화학이란 단어가 들어가는게 아닙니다.

  • @leon8887

    @leon8887

    4 ай бұрын

    추출방법이 중요한겁니다. 원료가중요한게아닙니다

  • @calvinsc5105
    @calvinsc5105 Жыл бұрын

    누군가를 협박할 때, "너 국물도 없어!" 라는 게 얼마나 살벌한 말인지 이해가 되네.

  • @user-hy1hw8jw7o

    @user-hy1hw8jw7o

    Жыл бұрын

    ㅍㅎㅎ ㅎ쎈스쟁이ㅋㅋ

  • @user-ie1ke7hp4g

    @user-ie1ke7hp4g

    4 ай бұрын

    풋.

  • @siwooedward501

    @siwooedward501

    4 ай бұрын

    그러면 " 내가 니 밥이냐 " 라고 하면...

  • @wowersdh1

    @wowersdh1

    3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zayn32369

    @zayn32369

    3 ай бұрын

    협박 = 국물 안 주겠다 살해협박 = 너가 국물이 안 나올때까지 담가주겠다

  • @dali_choi
    @dali_choi Жыл бұрын

    미원 안쓰고 온갖 좋은 재료 다 때려넣어서 국물내면 맛있지 ㅋㅋㅋㅋ근데 그 국물에 미원 넣으면 더 맛있음 ㅋㅋㅋㅋㅋㅋ그냥 미원만이 낼수있는 특유의 감칠맛이 있음

  • @myway8872

    @myway8872

    5 ай бұрын

    이게 맞지 좋은재료쓰고 msg첨가하면 더 맛있지 왜 굳이?

  • @user-f_ck_you

    @user-f_ck_you

    3 ай бұрын

    고기없으면 그냥 미원넣어먹지ㅋㅋ

  •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Жыл бұрын

    대학생 하숙시절 국물 없으면 밥 못먹는 나 때문에 계란국이라도 끓여주셨던 이모님이 생각납니다, 감사해요 이모~!!😀😀👍

  • @antenna..

    @antenna..

    Жыл бұрын

    오구오구 착해

  • @user-ks7ts4id5v

    @user-ks7ts4id5v

    Жыл бұрын

    이모 이뻤음??

  • @never.com701

    @never.com701

    Жыл бұрын

    @@user-ks7ts4id5v ㅋㅋㄱㄱㄱ ㄱㅋ

  • @schigo

    @schigo

    Жыл бұрын

    다시다 계란국 끓여먹어보세요... 멸치육수 필요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oungheekim7973

    @youngheekim7973

    3 ай бұрын

    ​@@schigo그렇긴해요 비상시. 멸치젓 다시다 면 짱

  • @sjchoi2620
    @sjchoi2620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항상 재미있는 다큐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tvtvt77
    @tvtvt77 Жыл бұрын

    이 다큐 매우 흥미롭게 봤던 기억이 자주 나더라구요. 다시 보니 반갑네요 ㅎ

  • @endless2082
    @endless208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다 이게 다큐지

  • @bongbong2539
    @bongbong2539 Жыл бұрын

    이야심한밤에 이걸봐도 될지... 벌써 입에 침이 고이는데...

  • @user-zd8vo7ew2q
    @user-zd8vo7ew2q7 ай бұрын

    Msg 많이 넣은 음식 먹으면 먹을때는 맛있는데 먹고 2~3시간 지나면 계속 물마시게됨

  • @user-rb4xd3vj7w

    @user-rb4xd3vj7w

    Ай бұрын

    그거 기름과 염분 때문임..심지어 미원 많이 먹으면 설사한다는 지인들 불러서 블라인드 테스트 해보니 미원 전혀 안들어간 음식보고 미원 많이 들어갔다고 하고 미원 듬뿍 친 음식보고 너무 맛있다고 하더이다.. ㅋㅋㅋㅋ

  • @user-gj8dq3rt8o
    @user-gj8dq3rt8o Жыл бұрын

    유투버들이 모여 댕기니 매우 재미지군요…👍🏻👍🏻👍🏻

  • @user-ry5tz2xw4c
    @user-ry5tz2xw4c4 ай бұрын

    Kbs다큐 좋아합니다

  • @user-ze8gk2gr8p
    @user-ze8gk2gr8p6 ай бұрын

    우리가 소고기를 먹을떄 초장이나 쌈장에 찍어 먹으면 소고기 본연의 고소함을 못느끼듯이 조미료를 첨가하면 기본 재료의 맛이 자극적인 조미료에 묻혀 버려요! 무우,버섯,다시마등 천연 재료로 됀장 찌게나,각종 국,찌게의 맛을 잘 살리수 있는데 처음에는 다소 싱겁게 느낄수 있으나 지속 먹다보면 단백하고 느끼하지 않는 맛이 더 좋다는걸 알어요

  • @templor75

    @templor75

    3 ай бұрын

    음 거기다 미원 한 꼬집만 넣어보셔~~~

  • @user-fc4qp4df1x
    @user-fc4qp4df1x Жыл бұрын

    나래이션이 너무 재밋네~

  • @Supery
    @Supery Жыл бұрын

    김기현 성우님 나레이션은 진짜 예술이다

  • @user-xc9pv3uw6t

    @user-xc9pv3uw6t

    Жыл бұрын

    영원한 다크템플러

  • @user-ox7ys4jg4b36

    @user-ox7ys4jg4b36

    3 ай бұрын

    음악소리와 목소리가 겹치는 부분에서도 소리 조절을 못해서 목소리가 잘 안들이네요.

  • @j.s.a4873
    @j.s.a4873 Жыл бұрын

    음성에 비해서 음악 소리가 너무 커서 내용이 안들리는 장면이 몇 있네용

  • @marteenpark4495
    @marteenpark44952 ай бұрын

    무려 10년도 더 된 영상인데 위화감이 전혀 없네요 대단한 영상입니다.

  • @101adelade6
    @101adelade6 Жыл бұрын

    저 흰가루.. 싸구려 양주에다 약간만 타줘도 풍미가 깊어질 정도지.. 근데 영상은 지나치게 우마미의 '닝닝한 맛' 에 촛점을 두고 있지만.. 사실 멸치 이전에 조선은 '젓갈' 이라는게 있어 감칠맛의 원조격임.. 돼지고기 삶아서 새우젓만 얹어도 맛은 수십배 폭발이니까..

  • @user-tc4eh8oc3i

    @user-tc4eh8oc3i

    Жыл бұрын

    일본도 젓갈 있음

  • @ryeong90229

    @ryeong90229

    Жыл бұрын

    @@user-tc4eh8oc3i 걔네는 젓갈보단 장아찌문화라...

  • @user-tc4eh8oc3i

    @user-tc4eh8oc3i

    Жыл бұрын

    @@ryeong90229 장아찌보다 초절임

  • @user-tc4eh8oc3i

    @user-tc4eh8oc3i

    Жыл бұрын

    @춘 식 그니깐 “도”임 ㅋㅋ

  • @guyzaccoco8169
    @guyzaccoco8169 Жыл бұрын

    멸치국물은 진짜 최고의 음식재료지~~~!!!! 아 먹고싶다~~ㅋㅋ

  • @jleesteven
    @jleesteven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

  • @user-xg3he3ws8g
    @user-xg3he3ws8g Жыл бұрын

    현직 분식집 운영중인데 오뎅국물은 직접 만듭니다.. 조미료.. 아니 사실은 주미료라고 해야 됩니다. 맛의 99%는 조미료가 만드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그러나 멸치나 파뿌리같은 원물을 넣지 않고 조미료만 넣고 끓이면 절대로 그 맛이 안납니다. 유튜버들이 다시다나 유명한 조미료 배합만으로 그럴듯한 국물이나 육수가 만들어진다는 영상에 속지 마세요. 주변 배경이나 군중 없이 유명 배우 둘셋만 데리고 드라마 만들 수 있다는 말과 똑같습니다.

  • @user-xr6cb6cd2f

    @user-xr6cb6cd2f

    Жыл бұрын

    조미료 안써도 국물맛은 낼수있긴있죠 조미료는 그맛을내는 감칠맛을 압축했기때문에 시간 정성 재료를 아낄수있죠 게다가 현대인들은 조미료맛에 길들여져 있기때문에 조미료가 안들어가면 맛없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모순적이게도 조미료맛인줄도 모르고 안들어간맛이 자기가 맛있게 먹은 국물맛인줄알죠 나이먹은 양반들이 옛날음식맛 추억하는거 거의 100프로 조미료맛

  • @user-sb1uv7ss2z

    @user-sb1uv7ss2z

    Жыл бұрын

    오뎅+ 조미료 = 절대 그맛이 안나는 국물 오뎅+ 조미료+그 무언가 자연재료=그맛이 나는 국물..? 내기 하실래요? 조미료가 들어가도 부재료 없이 그 맛이 안난다구요?

  • @user-sb1uv7ss2z

    @user-sb1uv7ss2z

    Жыл бұрын

    멸치맛 내는 조미료, 시원한 맛 내는 액젓, 육류의 맛을 내는 다시다, 등등 원재료 없이도 똑같이 재현합니다. 그럴거면 그냥 원재료만 넣어서 끓이시지 조미료는 왜 넣으시나요...

  • @user-xr6cb6cd2f

    @user-xr6cb6cd2f

    Жыл бұрын

    @@user-sb1uv7ss2z 저한테도 알람 오기때문에 한마디 하겠습니다 죄송한데 다시다에는 쇠고기 분말이 들어가있어요 .. 아저씨 멸치다시다에도 멸치분말들어있어요 아저씨 미원이야기 하는데 무슨소리를 하자는건지 알수가 없네요 미원맛만 나면 그게 국물입니까 미원만 안넣을거잖아요 소금도 넣고 짠맛 하다 못해 간장이라도 넣을거 아닙니까 마치 미원만 넣어도 오댕국물맛 난다 이러는거같은데 적어도 오댕도 재료잖아요 헛소리하면서 미원만 넣으면 되는거처럼 헛소리좀 하지마 이사람은 라면스프넣고 조미료만 넣었다 할사람이네 에긍

  • @DebbieGibson001

    @DebbieGibson001

    Жыл бұрын

    조미료라고 함은 맛을 내는데 도움을 준다는 말이죠 저도 음식하기를 즐기는데요 원재료에 의해 맛이 좌우 된다는 것은 저도 느낀 바 있습니다 그러니까 미원 즉 글로타민산 나트륨은 대파나 고추 무우 외에도 생선 소고기등 다른 국물 맛을 내는 재료의 맛을 증폭 시킵니다. 그냥 원재료로 감칠맛을 내려면 한부대자루를 끊여야 될것을 원재료의 양을 대폭 줄여도 맛을 뻥튀기 한다는거죠. 그런데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는 그렇게 되질 않아요 원재료가 있고 그걸 뻥튀기하는 겁니다. 이걸 깨달으려면 시간이 필요하죠. 다시다와 치킨스톡은 또 다른거에요 그건 뻥튀기할 분말 액기스와 글로타민산을 섞은거죠. 냉면 육수를 낼때 마법의 가루 몇가지 섞으면 된다는 레시피는 알고보면 원재료와 미원을 섞은 겁니다 그래서 두분 모두 맞는 말이고요.

  • @llPlutoII
    @llPlutoII Жыл бұрын

    천연재료와 조미료의 차이는 사실 '맛'이다. 천연재료로 조미료만큼의 효율을 내기 위해선 많은 재료가 투입되고, 이 재료에서 msg를 뽑아내는 과정에서 당연하게도 다량의 재료가 갖는 특유의 맛도 같이 우러난다. 이걸 이른바 '풍미'라고 한다. 반면 조미료는 대부분 msg성분과 나트륨에 집중하기에 풍미가 적다. 여기서 극단적인 차이(푸드코스트 제외)가 발생하는데, 천연재료는 여러가지 맛이 복잡하게 얽히기 때문에 재료만 충분하다면 '부족한 맛'이 생기기 어렵지만 반대로 맛의 세밀한 조정이 거의 불가능하다. 같은 재료를 같은양으로 쓰더라도 정제되지 않았기에 개별성분이 다르기 때문. 같은 100g을 써도 큰멸치 작은멸치 다르고, 동해산 서해산 맛 차이를 주는 재료도 많다. 심지어는 같은곳에서 같이 자랐지만 맛이 다른재료도 많다. (물론 과량으로 때려넣으면 맛의 평준화가 생기지만, 반대로 맛이 밋밋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렇게 맛의 균일화를 내기 힘든건 '식당'에서는 매우 치명적인 문제라서, 푸드코스트 외에도 식당에서 천연재료를 쓰지 않는 이유가 된다.

  • @qiangdajin489

    @qiangdajin489

    Жыл бұрын

    우와 ~

  • @myway8872

    @myway8872

    5 ай бұрын

    그 풍부한 재료를 기반으로 시중 msg쓰면 금상첨화일듯

  • @YOUTUBE_IS_ASHOLE

    @YOUTUBE_IS_ASHOLE

    4 ай бұрын

    ​@@myway8872시장에선 이미 제품과 재료의 조합으로 음식을 하는 편이죠

  • @cancceed4349

    @cancceed4349

    2 ай бұрын

    @@myway8872 그래서 이연복 쉐프 등 여러 요리사들이 풍부한 재료를 기반으로 한 후 MSG는 조금만 넣어도 된다는게 그 이유죠

  • @evievi-ds4uh
    @evievi-ds4uh6 ай бұрын

    요리못하는 나도 사람처럼 만들어주는 msg.....갓 그자체

  • @user-seeq
    @user-seeq7 ай бұрын

    오! 생각보다 잼있네.. 알고리즘으로 떠서 클릭했는데....

  • @Jungermadsen
    @Jungermadsen Жыл бұрын

    msg가 안좋은 이유 : 음식을 너무 맛있게 만들어서 과식을 유발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flamen3044

    @flamen3044

    Жыл бұрын

    MSG는 짠 맛을 잘 못 느끼게해서 소금 더 넣어야 간이 맞게 느껴집니다 중국 음식 증후군이 미국에서 논란이 된 만큼 조심해서 나쁠건 없습니다

  • @user-1g9z2t

    @user-1g9z2t

    Жыл бұрын

    msg 단점은 모든 맛을 비슷하게 해준다는 점 같아요. 맛의 피로감이 생기죠. 뭐든 적당한게 가장 좋은 듯 해요 ㅋ

  • @Jabberblabla

    @Jabberblabla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요리를 못하는 사람이 만들면 특유의 미원맛이 부각되어서 느끼하게 만드니 요리를 어느정도 하는 사람이 정도것 써야 맛있겠지요

  • @golmoo89

    @golmoo89

    Жыл бұрын

    @@Jabberblabla 그건 간이 안맞아서 그런거죠 기본간과 맛은 재료맛을 잘 살려야 나오는것이기 때문입니다 조미료는 가장 소량을 사용해야 효과가 극대화 됩니다!!

  • @user-hl3tq8dd6n

    @user-hl3tq8dd6n

    Жыл бұрын

    Msg의 단점은 저급식재료를 평범이상으로 바꿔준다는것입니다

  • @user-ze6yf6zx4g
    @user-ze6yf6zx4g Жыл бұрын

    밥이나 간식, 야식 먹을 때 보면 꿀잼인 다큐

  • @user-je3wm7jf7n
    @user-je3wm7jf7n Жыл бұрын

    11년 3월에 입대했었는데 그 무렵 자료를 보니까 참 오래되어 보인다... 나도 나이를 먹었구나...

  • @user-zp6gz6bs7m
    @user-zp6gz6bs7m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수고하십니다.

  • @user-albamo
    @user-albamo4 ай бұрын

    짬뽕알고리즘이 만능육수에서 감칠맛 전쟁, 미원 VS 미풍! 국물전쟁 100년사 로넘어왔다

  • @sunj1227
    @sunj12272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 @user-gw8dz6zf6l
    @user-gw8dz6zf6l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왜 새로운 다큐를 찾아보기가 어렵지.... 예전에는 간혹 나오는 이런 다큐들 보는맛도 쏠쏠햇는데, 아마존의눈물? 위대한물고기? 뭐 제목은 확실히 기억이 안나지만....

  • @SuperSilverslugger
    @SuperSilverslugger Жыл бұрын

    평양냉면이고 뭐고 냉면집에서 아지노모토 많이 사용했다고 하니 나이드신 어르신들이 기억하시는 옛날 냉면 맛은 MSG의 맛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 @user-hw9cf6gg2q

    @user-hw9cf6gg2q

    5 ай бұрын

    냉면의 역사가 미원의 역사이죠

  • @user-wonkeehong

    @user-wonkeehong

    5 ай бұрын

    그 밍밍하다는 서울 평냉가게들도 미원 쓰는게 공식레시피임. 적게 써서 밍밍한고

  • @user-ml2vu7xm5r

    @user-ml2vu7xm5r

    4 ай бұрын

    음식점에서 조미료 대량 쓰는 이유는 자연산으로 조미료 맛 내는게 엄청 힘들어서 그럼. 진짜 고급 집이나 가정집 아닌이상 그렇게 안함. 그러니까 양산 음식점에서 많이 먹고 맛있다고 해봐야 의미 없다고 봄.

  • @user-kRyan

    @user-kRyan

    4 ай бұрын

    당연한거임 예전에 고기로 육수 맛을 내려면 옛날 재료 수급으론 어림도 없음

  • @user-ml2vu7xm5r

    @user-ml2vu7xm5r

    4 ай бұрын

    @@user-kRyan 서민 음식이니 비싼 재료를 사용하면 돈이 안되는거겠지. 육수맛 충분히 낸다.

  • @firmtree3902
    @firmtree3902 Жыл бұрын

    이런 다큐 너무 좋아

  • @user-pv7ub2yf8h
    @user-pv7ub2yf8h Жыл бұрын

    맛나게 먹고 행복하면 됩니다

  • @user-wd3jk3cc3n
    @user-wd3jk3cc3n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의 소울푸드 : 국밥 선조들이 사랑했던 그 것 : 국밥 가장 빠르게 나오는 든든한 국과 밥 : 국밥

  • @taylorrekim5909
    @taylorrekim5909 Жыл бұрын

    멸치가 일제시대 이후의 식재료인 줄 이제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heyjoehandrix4182
    @heyjoehandrix418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는 가쯔오부시 국물이 더 좋았는데 나이가 들수록 멸치육수가 좋아지네요... 나이도 나이지만 멸치 처리 기술이 더 나아진것도 한몫 하는것 같습니다

  • @koh_7828

    @koh_7828

    Жыл бұрын

  • @PXGKOREA

    @PXGKOREA

    Жыл бұрын

    왜인이오? 어렸을때 가쯔오부시 국물 먹은게

  • @heyjoehandrix4182

    @heyjoehandrix4182

    Жыл бұрын

    @@PXGKOREA 서울엔 가쯔오부시 팝니다... 5일장엔 없나봐요??

  • @tentaclaus

    @tentaclaus

    Жыл бұрын

    @@PXGKOREA 흥선대원군 납셨구요 ㅋㅋ

  • @user-tw4rk7hl9r

    @user-tw4rk7hl9r

    Жыл бұрын

    아마 멸치 국물이 아니었을지.. 어릴 때 한국에서라면

  • @Roxollox
    @Roxollox Жыл бұрын

    크 소주땡긴다

  • @hk-gi9bt
    @hk-gi9bt Жыл бұрын

    맛집의 비결은 결국 양념에 조미료 첨가가 비법.

  • @user-hk8js3tl5n

    @user-hk8js3tl5n

    Жыл бұрын

    거의 모든 식당이 조미료를 씁니다 ㅋㅋㅋㅋ

  • @user-zw4pv9ov8g
    @user-zw4pv9ov8g Жыл бұрын

    뇌와 장이 탈나고부터 다시 염분 조절과 자극적인건 멀리하게 되더라구요 그래서 요즘 라면먹을때도 스프 줄이고 썰어놓은 대파 넣어서 먹는게 더 좋더라구요

  • @user-ty6dl9bt8p
    @user-ty6dl9bt8p Жыл бұрын

    사실 이 다큐멘터리는 11년전에 만들어졌다는 점을 감안 해야 함... 옛날에야 무슨 pd가 msg를 무슨 악의 축 처럼 묘사할 만큼 조미료에 대한 인식이 나빴지만 지금은 다들 그냥 순수하게 조리에 맛을 더하는 조미료 로써 인식함. msg는 건강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조미료고 그게 싫다면 연두 같은 펀연 재료 바탕으로 만든 4세대 조미료 쓰면 될 일임. 가치관과 여건에 따라 사용 여부가 갈리는거지 msg는 나쁘다 라는 식의 생각은 자제 하는게 좋을듯

  • @user-iu8wk2y

    @user-iu8wk2y

    Жыл бұрын

    msg 화학 조미료라 좋지는 않습니다..중화요리증후군은 그냥 나온말이 아님

  • @user-ty6dl9bt8p

    @user-ty6dl9bt8p

    Жыл бұрын

    @@user-iu8wk2y 중화요리 증후군 또한 이 다큐멘터리가 나오는, 제가 말씀드린 msg 유해 여론이 심했던 2010년도 초기에 나오던 말이네요 그 이후에 나온 논문, 아니 간단한 신문기사 나온것 있으면 링크 부탁드립니다 개인의 기호와 성향에 따라 msg를 배제하는것은 나쁜게 아닙니다만 화학조미료 라는 워딩 하나로 msg를 나쁜것이라 취급하는것은 편협하고 시대착오적입니다

  • @user-bh9wq9fr2o

    @user-bh9wq9fr2o

    Жыл бұрын

    가공식품이 나쁜게 아닙니다 가공했다는 뜻은 위해 요소를 제거했다는 뜻이죠 오히려 자연식품보다 안전합니다 적당하게만 먹으면 아무 문제없습니다

  • @gin_tube202

    @gin_tube202

    Жыл бұрын

    @@user-iu8wk2y 아직도 10년전을 살고 계시네. MSG는 인체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혀진지 이미 오래전이에요~ 이 당시 이런 잘못된 방송으로 지금까지 님처럼 잘못알고 계신 분들이 아직도 있어서 언론이 좀 더 책임있는 방송을 해야함

  • @philips77778

    @philips77778

    Жыл бұрын

    @@gin_tube202 아니에요. 의사들이 천연 자연으로 발생하는거 말고 화학조미료 msg는 neurotoxin 이라고 합니다

  • @user-ez7zp7bo4t
    @user-ez7zp7bo4t4 ай бұрын

    하 ᆢ 전번주에 아침에일어나서.국을끓어서먹었는데 맛있ㅎㅎ ㅎ 단지신김치 ㅡ국물하고쇠고기조금 ㅡ근데먹어보니까 소고기에서감칠맛이났는가국물이개운하고 뜨거우니까 더맛이났답니다~ 다시다는사용안하고ᆢ그냥육수내어서 어떤때는맛이좀없어도넘기고하니까 국은자꾸데워서 ㅡ 먹으니까또다른 ㅡ 맛이나서 ㅡ먹게된답니다~~~

  • @999-xz8lm
    @999-xz8lm3 ай бұрын

    슈퍼 MSG라니 ㄷㄷㄷ 궁극의라면스프가 곧 탄생하겠네 기대된다 추루룹

  • @tabithazhao3317
    @tabithazhao33174 ай бұрын

    밥 먹을때 국물을 먹는 게 엄청 좋다고 하더라고요. 부족한 염분도 채우고...맹물은 오히려 탈수를 일으킨다고 하네요. 뜨근한 국물 식사하실때 꼭 드세요.

  • @user-1g9z2t
    @user-1g9z2t Жыл бұрын

    일본 음식은 너무 달아서 처음 먹을땐 매우 맛있게 느껴지지만 금방 물림. 초심자에겐 일본음식 접근성이 매우 좋음. 지금 우리나라도 접근성을 이유로 직관적인 단맛이 엄청 강해짐. 대부분 식당 음식은 매우 달고 짜고 매움. 과거엔 이렇게 까지 달진 않았는데. 맛집 레시피 라는 것들이 돌면서 설탕 사용에 매우 유해짐. 그러나 국물류는 이런 것들을 모두 비켜가니

  • @youngs5807

    @youngs5807

    Жыл бұрын

    일본음식의 단맛은 예전부터 그랬지만 최근 30여년 사이에 짠맛이 엄청나게 강해진걸 느낌. 그 사이 가장 큰 차이라면 제대로 요리를 배운 요리사들보다 프랜차이즈의 비숙련 요리사가 양산된게 영향이 아닌가 싶음. 그 시기에 일본의 실질소득이 감소하면서 좋은 재료의 공급도 급속히 줄어들었음.

  • @FreeTalk119

    @FreeTalk119

    Жыл бұрын

    전 짜던데 그 짠맛이 간장특유의 감칠맛이라 괜찮은듯 하다 한달정도 먹다보니 그냥 짠맛에 물리더군요

  • @gracelee7312

    @gracelee7312

    Жыл бұрын

    우엉 등 단맛 나는 재료를 같이 넣으면 되요. 설탕은 염증 유발 ~.

  • @invitebyte3278

    @invitebyte3278

    Жыл бұрын

    일본 식재료 자체가 단맛이 강한 편임. 뭐 일본가서 직접 요리 해먹은 사람이 적으니 잘 모를 수 있는데 식재료 자체에서 나오는 단맛이 강해서 심하게는 일본에서 요리 배운 사람이 한국와서 간 맞출때 설탕이나 소금을 안 넣거나 덜 넣어서 맛이 괴랄해지는 경우가 꽤 많음. 종자 자체를 단맛이 나도록 개량해서 재배한 탓에 그렇다고는 하는데 이건 일본 놀러갔을때 마트에서 당근이나 단호박 뭐 이런거 먹어보면 답이 나옴. 진짜 '이게 왜?' 생각이 날 정도로 의외의 과채류조차 단맛이 나니 말 다했지 이건 경험해봐야 암.

  • @user-vc2fq9gl5k

    @user-vc2fq9gl5k

    7 ай бұрын

    ㅋㅋ웃기네

  • @user-hd5ku3qt4x
    @user-hd5ku3qt4x3 ай бұрын

    와~~우^^어머나식사준비하시너라수고하십니다.참맛있는음식대랑먹그리중요하지요~~~국물빼놀수없는국~

  • @user-kd5vh3xg9e
    @user-kd5vh3xg9e Жыл бұрын

    조미료의 조미료 세노믹스란 존재는 첨 들어보네요..맛강화제라..

  • @hanaro1227
    @hanaro1227 Жыл бұрын

    떡만둣국 끓일때 다시다 한스푼 넣고 계란 풀어 넣으면 꿀맛👍

  • @user-gp3mw3lm8w
    @user-gp3mw3lm8w Жыл бұрын

    조미료 적당히 넣으면 더 맛있지요. 해롭지도 않고 맛도 더 좋아지는거 맞습니다. 그러나 많이는 안 넣으려 합니다. 기분탓인지 만드는 여러가지 국들의 맛이 다 비슷하게 느껴지는 듯 한 게 미각이 둔해지는 듯 해서요. 물론 아주 개인적인 느낌일 뿐이라는 건 인지합니다. (솔직히 요리에 맛소금 쓰면 조미료 쓰는 것과 마찬가지이기는 합니다) 영업하는 음식이 아닌 가정에서 가족들 먹는거라면 그냥 멸치, 다시마나 표고, 건새우같은 국물거리 넉넉히 넣으면 비슷하게 맛이 나는 듯 합니다. 기분에 따라서 어느날엔 멸치를 더 한다던지 아니면 고기국물엔 표고를 더 한다던지 그 때 그 때 맛에 조금식 변화를 주는 경우도 있고요. (예를들어 된장찌개라도 늘 같은 맛이면 질려서요) 남에게 바라는게 아니고 제가 그렇게 음식 만들어서 애들 먹입니다. (제 자랑이지만 급식보다 맛있다고 합니다, 초등학생들인데 김치찌개, 된장찌개 좋아라들 합니다.) 하지만 식당에서는 그 재료비와 국물우리는 노동력과 시간, 그리고 항상 같은 맛을 내야 한다는 면에서 그렇게는 못하겠지요. 식당에서 조미료 쓰는 음식들 맛있게 먹고 있읍니다. 집에서 조미료 안 쓰고 만드는 음식들도 나름 맛있읍니다. 서로 비하하지 말고 존중 하는게 가장 좋을 듯 합니다.

  • @user-zl3ec6pg4f

    @user-zl3ec6pg4f

    Жыл бұрын

    자신의 생각을 참 잘 정리해 놓으셨네요. 공감합니다. 저도 오래전부터 조미료를 안 쓰고 멸치 등 국물내어 만들다 보니 제입에서 조미료 사용 안 한 맛이 깔끔하니 익숙해지더라구요.

  • @user-nb6mk2co4c

    @user-nb6mk2co4c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조미료는 하루이틀안에 소비하면 맛있는데 더지나면 음식맛을 오히려 버리는것 같아요.

  • @user-gp3mw3lm8w

    @user-gp3mw3lm8w

    Жыл бұрын

    @@user-nb6mk2co4c 그건 몰랐네요. 그런 경우도 있을 수 있군요.

  • @mooyook2

    @mooyook2

    Жыл бұрын

    @@user-nb6mk2co4c 아니요. 그건 양늘 많이 해서 그런 느낌이 드시는 겁니다. 가령 느끼하지 않은 신맛을 낼 때에는 식초보다 빙초산을 사용하구요. 김치 담글 때에도 설탕으로 단맛을 낼려면 설탕은 부글 부글 끓어오르고 탁해지기에 사카린이나 뉴슈가를 사용하죠. 적은 양으로도 오랜 시간 맛을 유지하는건 오히려 화학조미료에요. 하지만 오랜 기간 신체에 유입되면 자연산과는 달리 신체에 유해한 성분이 축적되고 중독화 되는 점이 있지요. 그래서 맛이 덜하고 빨리 변하더래도(이건 발효화라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자연산 조미료를 사용하는 것이죠. 그런데 그럼 음식들이 임계점에 달해 .. 가령 신김치를 김치찌개를 하였을 경우에 자연산 조미료를 사용한 것이 더 칼칼하고 시원한 맛을 내줍니다. 즉 발효화된 음식이 가지는 2번째 장점이지요. 그리고 자연산 조미료는 사람들의 손맛 즉 어떤 것을 양을 어떻게 조절하냐에 따라 맛이 천차만별합니다. 그래서 자연산만 쓰는 한식 전문점에서도 동일한 맛을 낼 때에는 화학조미료를 첨가해요.

  • @user-nb6mk2co4c

    @user-nb6mk2co4c

    Жыл бұрын

    @@mooyook2 저 인공조미료 많이 사용 않하지만 시간적으로 그렇게 맛 느껴요 조금 사용해보니 시간적 맛 조금달라지더라구요 혼자남자입니다. 조금차이도 있을수도있죠

  • @user-gh8zr1fm5n
    @user-gh8zr1fm5n Жыл бұрын

    카이지 갬성 듬뿍 ㅋㅋㅋㅋ

  • @Bruno-Mars
    @Bruno-Mars Жыл бұрын

    32:14 핵심

  • @trchk
    @trchk Жыл бұрын

    10년전 다큐멘터리를 보고 혹시나 오해하실 분들이 계실지 모르지만 MSG는 몸에 아무런 해가 되지 않습니다. 마음껏 넣어서 맛있게 드세요.

  •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Жыл бұрын

    마음껏? 당신이나 넣으세요 요리 실력없는분이 MSG 가짜맛을 넣지

  • @ldnyuck

    @ldnyuck

    Жыл бұрын

    ?? 요리사도 MSG씁니다. 안쓰고 맛낼려면 몸을 갈아넣어야해요

  • @user-bq4ck6dv6k

    @user-bq4ck6dv6k

    Жыл бұрын

    @@user-rn1mu6oc4o 이분은 집밖 식당에서 절대 밥 안먹는 분인가 보네? 아니 라면도 안먹는분인가? 가짜맛? 웃고 갑니다. 😄

  • @gon882

    @gon882

    Жыл бұрын

    @@user-rn1mu6oc4o 그럼 뭘 먹던 님이 직접해드시면 되겠네^^ 닉네임부터가 비정상 ㅋ

  • @nyq12

    @nyq12

    Жыл бұрын

    @@user-rn1mu6oc4o 육수낸다고 우리는것자체가MSG뽑으려고 하는것인데 ㅋㅋㅋㅋ개무식

  • @minuki
    @minuki Жыл бұрын

    자꾸등장하는 피디님 (피디님이 아니라면 연기자분이시겠지만 ) 큰그림을 그리시는듯

  • @sohnson439
    @sohnson4394 ай бұрын

    쇠고기 멸치 바지락 홍합 미역 다시마 디포리 건새우 황태 대파 콩나물 청양고추 어묵(100%) 시중에 파는 어묵은 대부분 밀가루 많이 섞인건데 100퍼 순수 어묵으로 국물내면 정말 끝내 줍니다...

  • @Zepetoq
    @Zepetoq6 ай бұрын

    갈수록 맛을 모르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말에 깊은 통감을 느낀다. 재료마다 고유의 맛이 있고 한 요리에 어우러 지더라도 분명 그 흔적을 남긴다. 근데 엠에스지는 그 흔적을 지워 버리고 한가지 색으로 덧칠을 해버린다. 길지 않은 인생 자연의 다양한 맛을 모르고 태어나서 죽는다는게 얼마나 비참한 일인지.

  • @193cm5
    @193cm5 Жыл бұрын

    여러가지 재료들로 다양한 맛을 입히면 제일 맛있는데 여러가지 못넣으면 msg를 넣어야겠지

  • @lets21cbnb
    @lets21cbnb Жыл бұрын

    이전 황교이쿠가 수요미식회에서 한 말이 기억나네요.. 일제시대 이전에는 우리나라에 육수라는 개념이 없었다고.. 그시키는 대체 어떤책을 보면서 미식이라는 것을 배운걸까요??

  • @user-ds3wh9px1t
    @user-ds3wh9px1t6 ай бұрын

    김영삼대통령 아버지가 거제도에선가 멸치사업을 했었는데 대통령당선된후 멸치값 폭등하고 특혜준것도 설명을 해주셔야죠!

  • @jdch1203
    @jdch1203 Жыл бұрын

    너~~~~ㅁ 넘 잼있네요!!^^

  • @rubeejjang
    @rubeejjang Жыл бұрын

    식재료 좋고 장류완벽하면 안넣어도 무방하긴한데 식재료가 안좋을수도있고 그런건데 뭐 맨날 엠에스지는 나쁘다 그러는지 조금넣으면 그조화되지못한맛이 조화롭게 느낄수있게바뀌는걸 한식엔 마늘좋은거 구비해놓는것도 좋겠더라 마늘 다져서 좀 넣으면 향도 익숙한음식향으로 바뀌고 마늘에서도 단맛이 나와서 식당들 설탕넣는것같은 효과도 생기고

  • @user-xm3bd4wm5h
    @user-xm3bd4wm5h Жыл бұрын

    엄마의 맛 = 미원(MSG) 👍👍👍

  • @user-ef4rm4zo8w
    @user-ef4rm4zo8w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냉면 육수의 비법은 다시다.....ㅋㅋㅋ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4 ай бұрын

    따라서 감칠맛을 조정하여 먹이 사술을 만들면 바다 농사도 가능하다.

  • @vinsblack2
    @vinsblack23 ай бұрын

    당시엔 KBS가 이렇게 좋은 컨텐츠로 방영했었는데 요즘 프로들 보면 너무 안타깝다

  • @ming1066
    @ming1066 Жыл бұрын

    MSG를 무슨 화학 합성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몸에 해롭다고 경계하면서 천연재료에서 뽑아낸 감칠맛을 찾는데.. 웃긴건 MSG는 엄연히 천연재료를 발효 시켜 대량 생산 한 것일 뿐.. (사탕 수수, 사탕무, 카사바 또는 옥수수와 같은 식물성 원료의 발효를 통해 생산)

  • @NewYork_NJ
    @NewYork_NJ Жыл бұрын

    먹기 힘든 시절을 견디느라 만들어진 국물 문화. 최근에 한국의 위암이 최고 수준이란 얘기가 국물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 @sjha6042

    @sjha6042

    7 ай бұрын

    제발 검증도 안된 말도 안되는 말 좀 퍼트리지 마시길. 한국인의 위암은 선진국에서 가장 높은 이유는 헬리고박터균 감염율에 원인이 있답니다. 짠 국물요리, 김치, 된장 등 한국의 발효 식품을 폄회하려 일본의 극우들이 퍼뜨린 말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왜이리 많은 건지. 일본의 국물요리가 한국보다 훨씬 짜고, 맨손으로 만드는 초밥과 회는 사실 위생학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음식이랍니다. 한국인이 헬리고박터 감염율이 높은 이유는 음식이 아닌, 음식을 먹는 문화에 기인한답니다. 즉, 음식을 가족, 친구, 동료 등과 공유하는 문화때문이죠. 2천년대 초반 연일 관련 시사 방송이 방영됐지만 사라지지않는 문화죠. 즉, 한국의 음식 공유 문화가 사라지지 않는한 한국의 위암 발생율은 영원히 선진국 중 1위를 유지할겁니다.

  • @user-tf8sw4kr5c
    @user-tf8sw4kr5c6 ай бұрын

    어렸을땐 멸치를 우린 국물의 향이 비렸는데 이제는 구수하니 식욕을 자극합니다

  • @user-yr9sf6dv8i
    @user-yr9sf6dv8i3 ай бұрын

    조미료 설탕없이 양조간장속 모두들어있어서 간장으로조절 천연에가깝게 소량간장사용

  • @user-iz5rq3gm9c
    @user-iz5rq3gm9c Жыл бұрын

    방과후 공부방에서 봉사하러 가서 조미료 넣지않고 음식했었는데 처음에는 맛이 이상하더니 자꾸 먹으니 그 맛이 더 좋아지더군요 음식재료 본연에 맛을 느낄수 있더군요 지금은 식구들이 맛없다 해서 다시금 조미료 사용하지만

  • @YOUTUBE_IS_ASHOLE

    @YOUTUBE_IS_ASHOLE

    4 ай бұрын

    자극을 받지않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감칠맛의 자극에 가려진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게 미각이 돌아오는거죠. 실제로 저염&무염 식단 유지하는 사람들은 식재료 자체에서도 미세한 염도를 느낀다고 합니다.

  • @chanpark6975
    @chanpark6975 Жыл бұрын

    프로듀서님이 자꾸 씬 스틸하셔서 웃음이 ㅋㅋㅋ

  • @swayayat

    @swayayat

    Жыл бұрын

    누들로드라는 다큐를 만드신 염지선 피디네유

  • @chanpark6975

    @chanpark6975

    Жыл бұрын

    @@swayayat 그렇군요! 누들로드도 정말 재밌게 봤던 다큐인데 대단하신 분이었네요~!

  • @user-sp9zh2xz8f
    @user-sp9zh2xz8f Жыл бұрын

    40:07 이영상의 핵심

  • @user-zx1wb7mp3w
    @user-zx1wb7mp3w Жыл бұрын

    미원은 포기해도 맛소금은 포기못하지.. 계란후라이 그 꼬소한거에 m이를 넣으면 얼마나 맛있게유

  • @minoi3355
    @minoi3355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이 국물은 못참지 ㅎㅎ

  • @khs44
    @khs44 Жыл бұрын

    선조들이 음식 문화는 기가맥히게 만듬 ㅋㅋ 밥에 어울리는 극강 최고의 조합들만 물려줌 ㅋㅋㅋ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Жыл бұрын

    대단위 소농사는 몇년을 키울 자신이 없으면 가능 하면 도전 하면 안된다는 것과 문제는 재고 파악이 안되 너무 많아도 문제가 된다는 것과......

  • @magpie_songs
    @magpie_songs Жыл бұрын

    54:20 감칠맛 증폭제 by sciencentral

  • @youthful-ambition
    @youthful-ambition Жыл бұрын

    잘못된 지식이 답인 것 마냥 애써 고생 하던 시대. 물론 지금도 크게 다르진 않다. 미역, 조개, 다시마 등의 해초류에서 뽑아낸 핵심물질을 암덩어리 취급하고.. 지금도 잘못된 정보로 그저 지식 없이 나쁘다고 맛을 즐기지 못하는 현실에 참...

  • @user-cy8or4fd4g

    @user-cy8or4fd4g

    Жыл бұрын

    음식에 관심많은친구가 있는데 미원이나,다시다같은 조미료를안쓰면 오히려 다른양념같은데서 훨씬많은msg가 함유된다더라구요 음식에맛을넣어야되니깐 차라리 미원이나다시다 반티스푼넣는게 훨씬건강식이라더라구요

  • @gin_tube202

    @gin_tube202

    Жыл бұрын

    @@user-cy8or4fd4g msg자체가 나쁜게 아니에요. 지금 말씀하시는 거 보니까 기본적으로 msg를 안좋은 걸로 생각하시는듯.

  • @user-nz1yt9nt7w

    @user-nz1yt9nt7w

    Жыл бұрын

    @@user-cy8or4fd4g 에초에 msg자체가 건강에 그리 해롭지않음 글루탐산나트륨 쉽게말해서 msg자체는 자연재료에도 많이포함되있는 성분이니까 글루탐산나트륨은 버섯 다시마 쇠고기등에 많이포함되있는 물질임

  • @TaleOfSeraph

    @TaleOfSeraph

    Жыл бұрын

    @@user-nz1yt9nt7w 안써도 되긴 하는데 ㅋㅋㅋ 건강에 안좋은 느낌보단.... 같은맛 내려고 돈지랄을 해야 하는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sg 한스푼 맛 내려고 버섯가루 15스푼, 말린 새우가루 5스푼 기타등등으로....엄청 이거저거 많이 들어가야 한다는게..... 물가도 쎈데 그냥 편하게 msg 쓰세요들 ㅎㅎ

  • @sung815kr
    @sung815kr Жыл бұрын

    국물요리 많이 먹으면 뭐 어쩔 수가 없네요

  • @user-ze9vz6qc4h
    @user-ze9vz6qc4h Жыл бұрын

    34:52 PD님 너무 위화감이 없으신...ㅋㅋㅋㅋㅋㅋㅋㅋ

  • @joonraekim
    @joonraekim Жыл бұрын

    MSG를 화학적으로도 만들지만, 얼마 전에는 천연재료에서도 조리하다보면, MSG가 생성된다고 밝혀졌죠. 소금을 많이 넣으면, 짜고 고혈압이나 기타 건강에 안좋지만, MSG도 마찬가지죠. 적당히 넣으면 맛있고... 너무 많이 넣으면 안좋죠. 그리고 많이 넣으면 입맛이 민감한 사람은 직접적으로 느껴집니다.

  • @antenna..
    @antenna.. Жыл бұрын

    미원은 몸에 해롭지 않은데 라면회사 끼리 경쟁에서 미원수프가 들어간 경쟁사를 욕보이려고 화학조미료는 몸에 안좋다라고 안플 안걸로 아는데?

  • @heyjoehandrix4182

    @heyjoehandrix4182

    Жыл бұрын

    MSG유해논란은 미국서 크게 있었어 특별히 신경정신과적 effect... 한국은 거기에 영향을 받은거지 화학적 논란을 주도할 정도로 한국의 과학이 발전한 편은 아니었어

  • @user-cj8qq1vq2d
    @user-cj8qq1vq2d Жыл бұрын

    Msg의 발견은 요리를 못하는 사람도 별도 정성같은건 없이 일정이상 맛을 내게 해준다는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져오고, 맛의 획일화를 가져왔다

  • @globeamaranth5371
    @globeamaranth5371Ай бұрын

    22:20 어디 식품 회사인지 알려주세요. 인터넷으로 육수 주문하게요.

  • @yuhada95
    @yuhada95 Жыл бұрын

    사운드 믹싱이 잘못된거같아요 배경음악만 볼륨이 너무 커서 나레이션이 안들릴 지경이에요

  • @iriskim4430
    @iriskim44308 ай бұрын

    소눈이 너무 선하고 예뻐요 도축 ㅠ ㅠ 너무 안쓰럽다 보면 못먹을 것 같지만 맛이 있는건 ;;; ㅜㅜ 뭔 심리죠

  • @sep5072

    @sep5072

    7 ай бұрын

    저능아임?

  • @PETBOY
    @PETBOY Жыл бұрын

    가쯔오부시 제조법 자체가 동남아에서 건너온걸로 아는데, 일본에도 그리 나옴

  • @abcdefGZAS
    @abcdefGZAS3 ай бұрын

    나름 연구한다고 된장찌게. 육수내서 이것저것 수없이 해봤는데.. 결국 MSG에 무릎꿇음..ㅋㅋ 텁텁한맛 약간의 쓴맛을 싹다 없애고 맛이 조화롭게 어울어짐.. 그런데. 간혹 미원들어간거 기가 막히게 알아내는 절대미각.특이체질 있음..

  • @gfith7659
    @gfith76597 ай бұрын

    사실 글루탐산은 감칠맛은 아니고 다른맛을 증폭시키는 단백질 글루탐산을 맛보면 아무맛도 나지 않음 대신 다른것과 조합할때 맛이 증폭되지 그래서 글루탐산이 맛을 내는것은 착각일뿐

  • @user-hg8uz6ss1h
    @user-hg8uz6ss1h Жыл бұрын

    msg는 모유에도있는것입니다 소금보다 덜해롭습니다 사카린도 당뇨인들이먹어도됩니다

  • @mooyook2

    @mooyook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대량의 음식을 변화없이 맛있게 하려면 설탕보다는 사카린과 뉴슈가이고. 자연산 다시마보다는 미원같은 조미료이긴 하죠. 느끼하지않은 신맛을 낼 때에도 식초보다는 빙초산을 쓰구요. 양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내고자 하는 맛을 낼 때에는 화학적 조미료란 것은 충분히 알고 있지만 대신에 장기간 복용시 자연산에서는 나오지 않는 신체네 유해한 독성이 있다는.게 문제죠..

  •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Жыл бұрын

    @@mooyook2 독성 증명된적이 없어요. 뭐든지 과량으로 복용하면 안좋은건 마찬가지예요.

  • @user-ym3pj8yn9n

    @user-ym3pj8yn9n

    Жыл бұрын

    @@mooyook2 아마 msg의 유해성을 증명할수 있는 과학자가 있다면 노벨상은 따놓은 당상이죠

  • @hasus6106

    @hasus6106

    Жыл бұрын

    @@mooyook2 msg는 화학적으로 만들어낸 물질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맛을 내는 물질임. 일본에서 대량생산하면서 화학이란 단어가 붙은 건데 저때는 첨단 과학으로 대량생산한단 의미로 붙인 거. 설탕 소금보다 안전한 식재료임

  • @user-dl4lt5bw3z

    @user-dl4lt5bw3z

    Жыл бұрын

    @@mooyook2 msg 유해하다 하는 인간들은 죄다 '유해한 독성이 있다'고만 하는데 도대체 그 독성이 뭡니까ㅋㅋ 독하다, 위험하다고만 하고 왜 위험하고 어떤 작용으로 위험한지는 털끝만큼도 모르는 무지의 산물

  • @MixItTonight
    @MixItTonight Жыл бұрын

    조미료 안쓴 맛 없는걸 만들어 놓고 그걸갔다가 맛 없네요 하면 혓바닥이 이상한 사람으로 만들어 버리는 아찔했던 시절

  • @VERITAS_1
    @VERITAS_16 ай бұрын

    라면에도 감칠맛더해주는 참치액젓 한숫가락 미원 조금넣으면 맛남

  • @jinsoogwak1105
    @jinsoogwak11053 ай бұрын

    미원을 넣으면 맛의 평준화로 식자재별 고유의 맛이 수렴된다는 점에서 MSG 첨가 여부는 생각해볼 문제이다. . . •글루탐산(콩,가다랑어 발효) •이노신산(닭육수) •구아닐산(표고버섯) •타우린(어패류) •글리코겐 . . . 산미료 당류 . .

  • @user-nv3sw1od4x
    @user-nv3sw1od4x Жыл бұрын

    인구대비 압도적사용이군 오리지날국가 일본보다 소비가 더 많어

  • @yyh6411
    @yyh6411 Жыл бұрын

    음악때문에 나레이션이 안들리는 마법의 편집 ㅠㅠㅠㅠㅠ

  • @LeLeGotivatioN

    @LeLeGotivatioN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심하네요.. 피아노 들어간 배경음악 나오면 나래이션이 너무 안 들리네요..

  • @gglee46
    @gglee464 ай бұрын

    27:46 저 시절이 지금 보다 더 좋았네... 경쟁도 치열하고 지금은 재벌끼리 친인척으로 다 묶여서 보기 힘든 일이지

  • @hiromigo7282
    @hiromigo7282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소리가너무커.설명의소리가안들렷잖아혀!!!!!ㅊㅊㅊ

  • @user-avq8afsa24e59fw
    @user-avq8afsa24e59fw Жыл бұрын

    MSG 는 화학 공식을 이용해 생성한 화학조미료가 아니며, 영상에 나온 자연재료를 이용한 감칠맛 추출방식을 공업화 했을 뿐 MSG 도 그냥 자연재료의 농축물인데, 여전히 "화학조미료" 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있네. 또한 평생 먹어도 인체에 무해하다는 게 밝혀진지 오래. 소금으로 간을 할 바에는 소금보다 나트륨이 더 적은 MSG 를 치겠네.

  • @user-lo3dt5kc7o
    @user-lo3dt5kc7o Жыл бұрын

    아지노모가 아니어도 좋은 멸치와 다시마를 넣고 우리갸 최고로 여기는 마늘을 넉넉히 넣으면 깊은 맛을 내고 질리지 않아 최고죠.

  • @seungju2004
    @seungju20044 ай бұрын

    일단 천연재료로 글루타민을 만들려면 최소 6시간 기본 하루정도의 노력이 필요함 직업이 요리사가 아닌이상 불가능함

  • @user-dq2jb9st8r
    @user-dq2jb9st8r Жыл бұрын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