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버린 쓰레기 쓰나미가 돼서 온다! 30~40년 전 본 모습 그대로 유지하는데.. 좀비가 되어 우리에게 다시 돌아온 쓰레기! [다큐온 KBS 20211119 방송]

Ойын-сауық

▶ 쓰레기 쓰나미가 몰려온다.
서울, 경기, 인천 64개 자치구의 쓰레기가 모이는 수도권 매립지.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이 쏟아내는 어마어마한 양의 쓰레기를 수용하는 수도권 매립지를 비롯한 전국 매립지의 3분의 1이 앞으로 4년 내에 종료된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쓰레기양은 전년대비 15.6% 증가. 대한민국의 쓰레기 매립량. 과연 이대로 괜찮은 걸까?
▶40년 전 쓰레기, 좀비가 돼서 돌아오다.
대구광역시. 땅을 파헤치자 썩지 않은 포도송이와 40년 전 모습 그대로인 ‘세제’, ‘과자봉지’ 등 각종 비닐포장 제품들이 나타난다. 강산이 변해도 네 번은 변하는 40년이라는 기나긴 세월동안 전혀 썩지 않고 본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 좀비와도 같다. 비단 대구 뿐일까?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아차산. 전국 각지에서 등산을 하며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 모임 ‘클린하이커스’가 땅을 파헤치자 ‘비스킷’, ‘우유’, ‘스낵’ 등의 각종 포장 쓰레기가 30년 전 모습 그대로 발굴된다. 이렇듯 우리가 매일 배출하는 쓰레기는 썩지 않는다. 좀비가 되어 우리에게 다시 돌아온다.
▶쓰레기는 쓰레기일까?
우리 나라의 쓰레기 매립률은 선진국보다 10배 이상 높다. 그런데 이것이 모두 ‘진짜 쓰레기’일까? 매립이나 소각 예정 폐기물의 실질 재활용률을 높임으로써 쓰레기의 매립량을 줄이는 방법은 없는 걸까?
동해시는 생활폐기물 전처리 시설을 건립, 소각용 쓰레기와 매립용 쓰레기를 한번더 분류한다. 종량제 봉투를 파봉하여, 가연성 쓰레기는 모두 골라내 시멘트 회사의 연료로 쓰고, 불가연성 쓰레기만 매립한다. 이렇게 직매립하지 않고 소각하면 쓰레기양이 최대 84%까지 줄어드는데, 남은 16%의 소각재도 벽돌이나 도로 바닥재로 재활용할 수 있어 최종 매립되는 쓰레기는 3%까지 줄어든다.
▶지금은 보다 섬세하고 촘촘한 쓰레기의 길이 필요할 때!
가장 이상적인 재활용의 길은 플라스틱은 플라스틱으로, 알루미늄캔은 알루미늄캔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독일의 일부 지역에서 이미 실현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순도높은 플라스틱 플레이크로 포장병을 만드는 세제 회사 [베르나 앤 메츠]는 재생플라스틱으로 다시 새로운 포장병을 만든다. PE 병은 PE 병으로, PP 뚜껑은 PP 뚜껑으로 재탄생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상적으로 선순환 되는 쓰레기의 길. 우리나라에는 없을까?
최근 인천시 서구에 문을 연 거점수거센터. 마을 주민들이 깨끗하게 분리된 재활용품을 가져 오면 포인트로 보상해주고, 수거된 재활용품은 재생원료 가공공장으로 직접 보내진다. 품질 좋은 재활용품이 바로 재생 가공공장으로 갈 수 있게 길을 만들어 재활용률을 높이는 것이다. 이렇게 마을 인프라가 구축되면 소비자들의 실천도 훨씬 쉬워진다. 이러한 노력들이 앞으로 우리가 걸어야 할 보다 섬세한 쓰레기의 길이 아닐까?
다큐ON [버려진 풍요, 쓰레기 여행] (2021년 11월 19일 방송)
#쓰레기 #재활용 #비닐
✔ 다큐는 KBS | KBS다큐 공식 채널 📺
✔ KBS다큐 구독하기 ➡️ / @kbsdocumentary
영상 방송 시점에 따라 현 상황과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비방 및 악성 댓글은 출연자 보호를 위해 운영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233

  • @thebookforest7998
    @thebookforest79984 ай бұрын

    그럼 저런 포장재를 이용해 물건을 만드는 생산자 회사를 단속해야죠. 소비자 구매자에게 아무리 호소해봤자 비닐안붙은 물건이 없는데 뭐 어쩌라는 건지. 다 만들어쓰나?

  • @rabbit-snow

    @rabbit-snow

    4 ай бұрын

    특히 쿠팡. 손바닥보다 작은 상품을 네개 사니까 포장지 네장에 각각 포장되서 옵니다. 포장지 한장에 네개가 아니라 사십개도 들어갈 공간인데도 쿠팡에서 상당히 많이 구매하는데 저같은 사람이 엄청 많을텐데

  • @sk-mr2iw

    @sk-mr2iw

    3 ай бұрын

    @@rabbit-snow 쿠팡을 쓰지 마세요

  • @bling79
    @bling794 ай бұрын

    매장안에서 일회용품 못쓰게 했다가 다시 써도 된다고 하는 오락가락 정책에 화가납니다. 시민 개개인이 신경쓰고 쓰레기를 줄여야 합니다.

  • @charityks9
    @charityks94 ай бұрын

    이런다큐는 지속적으로 만들어서 사람들한테 경각심을 심어야합니다

  • @user-lz1fp5pq3q
    @user-lz1fp5pq3q4 ай бұрын

    지구를 생각한다면 전기차보다도 일회용부터 줄이는게 맞다고봄

  • @volcof1

    @volcof1

    4 ай бұрын

    그 전기 절반 이상이 석탄 석유 태워서 만드는 건데 전기차 많다고 뭐 해결되는 거 없다.

  • @Vincent_de_Paul

    @Vincent_de_Paul

    4 ай бұрын

    이놈 테슬라 살 돈이 없구나 😢

  • @ddd3618

    @ddd3618

    4 ай бұрын

    개인이 백날 노력한다고 안바뀜. 개인의 노력은 기업들 과대포장부터 막고 할 일임.

  • @jisung0216

    @jisung0216

    4 ай бұрын

    기업이 일회용 제품을 줄여야...

  • @hyukniverse1004

    @hyukniverse1004

    4 ай бұрын

    이글을 쓰는 당신도 줄일생각이 없는걸 다 알고있음

  • @user-gs3cr8vz9m
    @user-gs3cr8vz9m4 ай бұрын

    어렸을때부터 학교에서 주기적으로 이런 영상을 보여주면 좋겠어요

  • @qazw12ful
    @qazw12ful4 ай бұрын

    독일에 판트 진짜 잘되있는 제도인데 저거 왜 안하는지 모르겠음 ㅋㅋ 저거 만들어지면 홈리스나 이런 사람들이 쓰레기통 알아서 다 뒤져서 판트 바꿔먹음 ㅋㅋ 그러니 재활용이 잘될수 밖에.... 배달 케이스나 음료에 보증금 붙이면 사람들이 아무리 버려도 다 누군가는 줏어서 재활용함

  • @gmchi4132

    @gmchi4132

    9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쓰레기나 재활용품이 많이 나오는거 자체가 문제인거같아요 활용은 이차적인 문제....

  • @user-et3ij4km9p
    @user-et3ij4km9p4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다큐 같아요

  • @assdd67
    @assdd674 ай бұрын

    강원도에서 군복무했음. 부대가 산이었는데 산 근처 팔일이 있어서 파니까 쓰레기더미 줜나나옴 88년대 호돌이붙은 신라면봉지 나왓엇음

  • @gla82500
    @gla825004 ай бұрын

    진짜 땅에 묻으면 다 해결될 줄 알았던 과거.. 그 피해를 보는 현재.. 그리고 미래

  • @lyjysj85
    @lyjysj854 ай бұрын

    저는 그래서 재활용성이 높은 우유팩 두유팩은 주워서 분리배출시킵니다. 남이 버린것도 펼쳐서 씻어서 말려서 분리수거 한살림에 테트라팩 하나에 이원 종이팩은 크기에 따라 5원 10원 15원 그걸로 몽골 나무 심어 주는 캠페인 후원하고 있습니다

  • @Dodopuk
    @Dodopuk4 ай бұрын

    기업을 옥죄어야 함. 플라스틱, 비닐 생산 못하게. 모든 가게들에선 앞으로 포장용기를 전부 유리 아니면 다회용 그릇으로 해야함.

  • @mist-gc3zx
    @mist-gc3zx4 ай бұрын

    쓰레기 근본부터 잡아야할거같음 친환경 썩는재료로 바꿀수있는것은 싹다 바꿔야할거같은데ᆢ

  • @bboov3157
    @bboov31574 ай бұрын

    한국은 땅도 좁은데 여기 저기 싸여서 쓰레기 산들 보면 진짜 심각함

  • @user-wc7px2dv5t
    @user-wc7px2dv5t4 ай бұрын

    일회용 쓰레기 생산, 유통,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법으로 통제하지 않으면 지독한 쓰레기 속에서 남은 여생을 보내야 할 것입니다.

  • @leejw-lm2qf
    @leejw-lm2qf4 ай бұрын

    진짜..버리는사람따로 줍는사람 따로있구나...

  • @lee1919choi

    @lee1919choi

    4 ай бұрын

    네 당연한소리를... 버리는 사람이 줍겠습니까..?

  • @user-ni5vp9du2w
    @user-ni5vp9du2w4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다큐네요!! 많이 반성하고 배우고 갑니다. 국가도 지자체도 벤치마킹할 내용들이 정말 많네요!!

  • @user-mq2xn6wo5q
    @user-mq2xn6wo5q4 ай бұрын

    이런 프로는 다음세대를 위해 대대적인 캠패인을 해야한다!!!

  • @noct8084
    @noct80844 ай бұрын

    세대갈등, 남녀갈등보다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할 인류의 생존과 관련된 근본적인 문제들

  • @zleigh8649
    @zleigh86494 ай бұрын

    미국인들이 유리접시에 스댄 포크 꽃은 케익을 통째로 일쓰에 버리는 거 보고 분리수거에 회의감 들엇는데 반성합니다 나부터 나라도 할 수 잇는거 열심히 해야겟어요

  • @rose__723

    @rose__723

    4 ай бұрын

    마자요 저 미국 사는데 분리수거 안해요

  • @user-oo8pm2gb6z
    @user-oo8pm2gb6z4 ай бұрын

    일회용품 줄이고, 점차 없애고, 배달음식도 과거처럼 그릇을 다시 회수해 가도록 바꿔야...

  • @Khanskore
    @Khanskore4 ай бұрын

    결국 국민들이 아무리 개고생 해서 분리수거 한다고 노력해도, 기업들이 저렇게 생산하는 이상, 재활용에 한계가 있는 것인데, 왜 기업들에게는 그 책임을 안지우고 국민들의 책임만 강조하는건지 모르겠네요? 이중 삼중으로 포장하는 대기업 제품들부터 단속하고 국민들에게 책임을 논하는게 맞지 않습니까? 애초에 재활용을 고려하지 않고 제품을 마구 만들어 놓고, 국민들이 쓰레기 막 버려서 그런 것 처럼 말하는게 기가막히네요.

  • @user-sk3if3zi5y

    @user-sk3if3zi5y

    4 ай бұрын

    국민들이 소비자라고 가정했을 때 기업 입장에서는 소비자에게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또 안전 배송이 되어야 하니까 안전 포장도 하다 보니까 그런거죠. 결국 소비자들이 택배 같은걸 안 시키는게 일조하는거.

  • @user-sk3if3zi5y

    @user-sk3if3zi5y

    4 ай бұрын

    그리고 영상 끝까지 안 보셨나본데 분리수거 안 하고 막 버리는 쓰레기도 얼마나 나오는데 국민들이 개고생한다는 건지... 안 지키는 사람이 더 많아 보입니다.

  • @Khanskore

    @Khanskore

    4 ай бұрын

    @@user-sk3if3zi5y 영상 보시면 알겠지만, 막버린다는 것의 대부분이 기업의 과도한 이중포장, 번거로운 이중 삼중 재질이 주 원인입니다 기업은 돈 벌어야 하니 귀찮은거 그냥 넘어가고, 손해보는 일 안햐도 되고, 정작 돈을 내는 소비자에게는 귀찮은거 일일히 다 지키고 분리하라고 하는게 떠넘기는게 아니면 무엇일까요? 영상에도 나오지만 해외의 재활용 잘되는 국가들은 아예 그냥 버려도 분류가 편하게 일체형으로 만들게 기업에 강조합니다. 그것이 기업의 책임이고, 가진자의 의무이며, 노블리스 오블리제 입니다.

  • @user-sk3if3zi5y

    @user-sk3if3zi5y

    4 ай бұрын

    @@Khanskore 말씀하신대로 기업은 사회적 책임보다는 돈을 버는게 더 중요하니까 그렇게 되는게 맞습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도 결국 기업이 이윤이 발생해서 잘 돌아갈때나 고민할 수 있는 문제죠. 지금까지는 이윤 추구가 목적이었다면 이제는 말씀하신 것들을 추구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ESG 경영이 화두가 되는거고요. 그런데 맹목적인 기업 비난은 너무 1차원적이라는거죠. 결국 기업은 이윤을 위해서 소비자 욕구를 충족할려고 하는것이고 그로 인해서 생긴 2중 3중 포장도 생긴거죠. 어느 한쪽이 잘한것도 잘못한것도 없으니 한쪽만 욕 하지 말자는게 제 의도입니다.

  • @Khanskore

    @Khanskore

    4 ай бұрын

    @@user-sk3if3zi5y 2중 3중 포장은 소비자의 욕구 충족의 목적이 아니라, 단순히 소비자 기만과 과도한 이윤추구를 위한것으로 변질된지 오래입니다 어느한쪽도 잘한것도 잘못한것도가 아니라, 지금 쓰레기 사태는 일방적으로 대한민국의 대기업들이 잘못하고 있는거 맞습니다. 소비자들은 이미 한계까지 분리수거의 압박을 받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미 한계까지 분리수거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데 어찌 이것이 양쪽의 탓이 될 수 잇을까요?

  • @user-nu9qv3jc3t
    @user-nu9qv3jc3t4 ай бұрын

    배달음식과 택배 사라지지 않는한... 배달음식에 바퀴벌레가 나와서 두번 다시는 배달음식 안먹겠다 다짐하고 한달째입니다. 플라스틱 배출량이 확연히 줄었어요.

  • @mattsassari2882

    @mattsassari2882

    4 ай бұрын

    🤮🤮🤮

  • @user-gs7yj8us9c
    @user-gs7yj8us9c4 ай бұрын

    쓰레기... 재활용 분류를 잘해서 내놔도 문제가 크지. 너무나 많이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니 그 배출량이 엄청 나지. 그 양이 처리가능 한도를 넘어서니 계속 문제가 될 수 밖에 없다는...

  • @Yooks777
    @Yooks7774 ай бұрын

    쓰레기 큰일입니다 지구가 쓰레기로 썩어가네요 😨😨😨

  • @user-ll7lt1bg3p
    @user-ll7lt1bg3p4 ай бұрын

    코로나 시작되면서 전체적으로 모든 쓰레기가 늘어 났어요. 배달음식에, 택배로 거의 물건을 구입하면서, 포장지도 늘어 나고, 스치로폼도 많이 늘어 난 것을 매일 실감합니다.

  • @Dancingsoyul2
    @Dancingsoyul24 ай бұрын

    식품류 프라스틱 재질을 한가지로 통일하게 만드는 법을 만들어야 합니다. 종류가 너무 많아 재활용류 낮습니다

  • @younglee59
    @younglee594 ай бұрын

    우리모두각성합시다.

  • @KangSuk

    @KangSuk

    4 ай бұрын

    말은 누가 못하나요?

  • @user-er1om7wt7t
    @user-er1om7wt7t4 ай бұрын

    운전자분들 차안에서 바깥으로 커피컵 포장용기 등등 봉투같은거 무단투기 많이 하던데 제발 그러지 맙시다!!!!😢 도로변에 천지빼까리임...에휴

  • @CMH.960
    @CMH.9604 ай бұрын

    쓰저씨 쵝오 👍 컨텐츠 집중 초심잃지않기 약속해줘 ~♡

  • @user-hp4vo7kz2v
    @user-hp4vo7kz2v3 ай бұрын

    쓰레기 줍는 젊은이들 너무 존경스럽고 고맙습니다 저도 동참할게요!

  • @user-wv1zv9uv7t
    @user-wv1zv9uv7t4 ай бұрын

    이런방송횟수를 늘려서 누구든지 경각심을 느끼게 해야합니다 이벤트가아닌 일상이 되어야 합니다

  • @user-kc2ot4mm3l
    @user-kc2ot4mm3l4 ай бұрын

    아예 만들지못하게해야돼 답이없어

  • @ksc6246
    @ksc62464 ай бұрын

    인구가 줄면 쓰레기 발생량도 줄겠지. 지구 입장에서 출산율 감소는 매우 긍정적인 방향이다

  • @hyeonlyekim4146
    @hyeonlyekim41464 ай бұрын

    진짜 쓰레기 무서울 정도네요. ㅠㅠㅠㅠㅠ 최대한 소비,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ㅠㅠㅠ

  • @user-nu1et1lt3w
    @user-nu1et1lt3w3 ай бұрын

    이런 공영 방송이 많이 나와야 한다 어줍잖은 먹는 방송 . 웃기지도않는 예능. 이런 방송에 쓰이는 세금은 아깝지 않아

  • @user-yd3rd1br5p
    @user-yd3rd1br5p4 ай бұрын

    친환경 포장지 개발도 시급하다.

  • @b8f57
    @b8f574 ай бұрын

    정부나.. 지자체나.. 시청이나.. 구청이나.. 주민센터나.. 강건너 불구경 그만하고 국민들 정신 교육부터 다시 시켜라..

  • @7mandalorian
    @7mandalorian4 ай бұрын

    이래도 인구 줄어든다고 걱정해야 하는 건지 모를 일이네 지구 전체 인구가 10분의 1 수준으로 돌아가서 농업이든 공업이든 민주주의든 우리 후손들은 원칙대로 지속가능한 형태로 소박하게들 살아가기 바란다

  • @gigicreater
    @gigicreater4 ай бұрын

    환경 생각한다고 텀블러도 미치도록 찍어대는 건 대체 무슨 코미디인지

  • @daekwon82
    @daekwon824 ай бұрын

    와.... 40년전쓰레기가그대로.....

  • @user-cv6yo1hf5k
    @user-cv6yo1hf5k4 ай бұрын

    미세먼지 미세플라스틱.. 점점 살기가 어려워지고 있네요 다같이 지금이라도 노력해요 국민들모두 경각심을 가지고 ㅠ ㅠ

  • @user-mq3kq7po5k
    @user-mq3kq7po5k4 ай бұрын

    쓰레기를 줄리는것도 중요하지만 재활용 분리 그리고 깨끗이 닦아서 분리 배출 해야 겠네요 전 제가 할수 있는것 부터 깨끗이 닦아 분리해서 버리고 사 마시던 생수 대신 보리차 끓여서 마시고 있어요

  • @JeehyeShin-yx4wh
    @JeehyeShin-yx4wh4 ай бұрын

    엄청나네요. 재활용 개발을 해야 될것 같아요.

  • @younglee59

    @younglee59

    4 ай бұрын

    미국같이요.

  • @metallicblue1
    @metallicblue14 ай бұрын

    대체 왜 정부가 더욱 강력히 나서지 않는건지? 스티로폼 박스같은거는 깔끔하게 테이프 제거해서 배출하면 재활용 되는줄 알앗네요.

  • @user-te3uv8eg4f
    @user-te3uv8eg4f4 ай бұрын

    남양주시 금곡동 인데 시청에서 문화제 보호지역 저의땅에 덤부 600평에서 200차넘게 나왔는데 특수페기물이 아니라보 시에서 그래 자비로 퍼냈습니다 만 동네 7-8-천평에 다 묻혀있다네요 시에서는 모르는척 하고 저만 괴롭히고 불이익을 계속 당하고 있어요 여기저기 시고해도 기자들도 와서 알아보고는 다른데다 하라고 만 함니다 이곳 저도 도와주세요 제발

  • @mingming9034
    @mingming90344 ай бұрын

    와 진짜 덜 구매하고 아껴서 써야겠다😢😢😢

  • @user-mu1yv3vw4n

    @user-mu1yv3vw4n

    4 ай бұрын

    그래도 기업에선 끈임없이 제품 만들어 지죠 ㅜ 음식물쓰레기도 만만치 않습니다 😢 심지어 옷들도 만만치않고. 이제 진열대 놓와진것만봐도 전 다 쓰레기로만 보여요. 옷들 화장품. 마트에서 파는 물건반이 쓰레기들 .. 개인이 할수있는건 분리수거 잘하고 최대한 오랫동안물건쓰는것뿐인거 같아요

  • @Banmehom
    @Banmehom4 ай бұрын

    생산업체에서 만드는 일회용기를 정부에서 대안하여 바꾸든 제재하든 연구가 절실히 필요해 보입니다.

  • @zhhhqhg761d
    @zhhhqhg761d4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user-fc6ni1hg5z
    @user-fc6ni1hg5z4 ай бұрын

    환경문제는 진짜 끝이 없네요... 폭넓게 보면 결국 다 인간의 삶에서 만들어낸 결과이니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것 같아요... 뭘 사기 전에 더 많이 고민하고 또 고민해야 겠어요... 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는 책을 처음봤을때 제목부터 큰 울림을 느꼈는데 이 다큐를 보면서 또 한번 경각심을 새깁니다... 더 많이 환경을 위해, 지구를 위해 노력할게요ㅠㅠ

  • @user-px5eq9db4g
    @user-px5eq9db4g4 ай бұрын

    유통기한 지났다고 다음날 뒤도 안돌아보고 버리는것도 문제 ㅠ

  • @KangSuk

    @KangSuk

    4 ай бұрын

    지난걸 왜 먹어요 버리는게 맞지 거지도 아니고

  • @Lily_of_the_valley93

    @Lily_of_the_valley93

    3 ай бұрын

    ⁠@@KangSuk 유통기한은 말 그대로 시장에 유통될 수 있는 기한이라 소비기한은 더 길어서 먹어도 됩니다; 그리고 무슨 거지ㅋ자취하거나 주부되면 아까워서 다 먹음. 음식 아까운 줄 모르는 마인드는 멍청한 거임

  • @lshsky249
    @lshsky2494 ай бұрын

    영상처럼 쓰레기 소각이나 매립은 지금도 포화상태임 근데 물론 기업도 중요하지만 각종 카페 음식점도 중요함 배달 등 플라스틱이 다 재활용되는 것은 아님 음식물 쓰레기도 보면 재활용해도 사용을 할 곳이 없음 tv에서 보니 냄새도 그렇고 결국은 카페 음식점 등에서 일회용 무조건 금지를 해야 됨 그렇다고 서울 쓰레기를 지방에 매립한다면 누가 찬성을 하겠어? 결국은 도시마다 각자 쓰레기를 처리를 해야 됨 땅도 작은데 매립은 무한대로 할 수도 없고 기업도 중요하지만 사람들도 무단으로 쓰레기 버리는 것도 문제임...

  • @kimtts3135
    @kimtts31354 ай бұрын

    모든 공상품 만들지 말고 자급 자족 하면 됨 각자 스스로가 농자짓고 옷 직물등 만들고 배달 그런거나 외식 하지말고 직접 다 조리해서 먹고 식기도 직접 나무나 돌등 깍아서 만들어 사용하고 아파트등 짓지말고 동굴에서 생활하면 됨 당연히 전자기기도 더이상 생산하면 안됨 지금 생활쓰레기만 언급을 하는데 생활쓰레기가 저렇게 나온다는건 다른 말로 생산 쓰레기는 배로 나옴 모든 제품은 만들면서 찌꺼기가 나옴 그것들은 당연하게도 재활용안됨 그것들도 싹 매립이나 소각으로 넘어감 당연히 산업폐기물만 관리하는 따로 존재하고 이 산업폐기물엔 일반 생활쓰레기급도 있지만 독성이 상당히 많음 그러므로 아예 원천적으로 안만들면 됨 줄여야 한다고 하지만 절대 포기를 못하지 더군다나 요즘은 직접조리등을 하는것보다 인스턴트나 배달음식이 주가된 생활상에서

  • @sammuri_doldari

    @sammuri_doldari

    4 ай бұрын

    정확한 말씀.. 지금 하던걸 안할라 그러면 말은 쉽지 얼마나 불편할꼬

  • @dansong655
    @dansong6554 ай бұрын

    수많은 공산품 포장의 종류도 모양도 제각각이라 플라스틱과 비닐 등을 규제하면 일반시민 보다 대기업들이 더 반대가 심할 듯.

  • @jsong6873
    @jsong68734 ай бұрын

    생산을 막아야지요. 뻥튀기포장 등..

  • @user-jq8bs3fk9l
    @user-jq8bs3fk9l4 ай бұрын

    저도 합류할게요!! 나라에서 환경을 위해 지구를 위해 솔루션을 해주세요!! 귀찮고 힘들어도 기분좋게 분리수거 하고 싶네요. !

  • @KangSuk

    @KangSuk

    4 ай бұрын

    안해도 됨 미국은 분리수거 안 함

  • @user-jq8bs3fk9l

    @user-jq8bs3fk9l

    4 ай бұрын

    @@KangSuk 아쉽게도 닝겐은 분리수거가 안되지요

  • @user_duranduran

    @user_duranduran

    4 ай бұрын

    @@KangSuk 미국이 안 하는 거랑 뭔 상관이냐고 논리 구조가 왜 먹냐 어차피 똥으로 나오는데랑 똑같네

  • @KangSuk

    @KangSuk

    4 ай бұрын

    @@user_duranduran 무식하긴 ㅉ

  • @user-px5eq9db4g
    @user-px5eq9db4g4 ай бұрын

    한숨밖에 안나옴 ㅜㅜ

  • @user-tj9si6qq7n
    @user-tj9si6qq7n4 ай бұрын

    쓰레기 포화상태 마음이 따뜻해지네 다른 상상은 안해도 되겠다

  • @user-gg6xo1ty4v
    @user-gg6xo1ty4v4 ай бұрын

    나도 할래요!

  • @drs23
    @drs234 ай бұрын

    난 산게 아무리 많아도 가방에 들고 다닌다 진짜 소소한거라도 신경 쓰고 깨끗하게 씻어서 버리자

  • @user-yd3rd1br5p
    @user-yd3rd1br5p4 ай бұрын

    과학발전이 편의도 가져다 주지만 그만큼 재앙도 가져다 준다는거.

  • @kimyumi4206
    @kimyumi42064 ай бұрын

    👏👏👏

  • @user-uo2zv7fo9e
    @user-uo2zv7fo9e4 ай бұрын

    심각하다 정말심각하다 어쪄냐ㅠㅠ

  • @badajeju9039
    @badajeju90394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

  • @user-nk7hn1rv6b
    @user-nk7hn1rv6b4 ай бұрын

    반드시 해결되야할 문제인데... 아직도 쉼없이 쓰고 있죠... 하나라도 안써보려고 하는데 음료수 하나만 사도 플라스틱이니...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한데... 지금 무정부 상태라 큰일이네요..

  • @Lily_of_the_valley93

    @Lily_of_the_valley93

    3 ай бұрын

    되어야 또는 돼야

  • @user-fx1cl3wc9g
    @user-fx1cl3wc9g4 ай бұрын

    쓸데없는 과대포장 우리미래가 죽는다

  • @user-gp7qj4bw5x
    @user-gp7qj4bw5x4 ай бұрын

    자연보호의 중요성을 가르치지 않는 교육의 중요성 그댓가를 치르게 되는 인간

  • @dansong655
    @dansong6554 ай бұрын

    온난화,쓰레기,전쟁 등....지구종말이 올 수 밖에 없는 환경이 되어가고 있네요

  • @copyshin9201
    @copyshin92014 ай бұрын

    1. 내가 사용한 음료 패트는 라벨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세척후 분류한다. 2. 가급적 투명과 불투명 프라스틱을 구분 선별한다. 3. 우유팩은 깨끗한 물로 세척후 건조한후 분류한다. 4. 재활용 안되는 프라스틱은 쓰레기봉투로 분류한다. 5. 종류별 선별로 구분한다. (유리, 병, 종이, 프라스틱, 쓰레기) 6. 제일 중요한것은 내가 스스로 플라스틱을 줄이는 노력을 한다. 이것만 지켜도 많은 재활용 시스템이 활용된다. (난 그렇게 하고있다. 첨엔 귀찮아도 이제는 습관이다.)

  • @MsTuring
    @MsTuring4 ай бұрын

    22:55 음 공기중에 질소가 78%라 고온(주로 1000℃이)으로 소각하면 연료에서 질소산화물이 생기는게 아니라 고온이라서 공고중 질소와 산소가 결합되어서 질소 산화물이 생성되는건데 조금 아쉽습니다. 물런 디젤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건 더 잘생성되는 이유가 터보차져 때문이라고 합니다. 저공장도 굴뚝에 요소수좀 뿌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물런 이내용은 제가 잘 알지 못하는 내용이라 일부 틀린 내용이 있을수 있습니다.

  • @333movie
    @333movie4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하다

  • @bong69693
    @bong696934 ай бұрын

    미국은 쓰레기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하네 분리수거 아예 안하고 그냥 다 집어넣어서 버리던데....

  • @user-px5eq9db4g

    @user-px5eq9db4g

    4 ай бұрын

    미국은 분리수거 개념 자체가 없다던데..ㅜ

  • @elis9707

    @elis9707

    4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지내요 미국은 종이박스 플라스틱 유리병 캔등은 분리배출해요(뉴욕) 그리고 페트병 음료수유리병 캔 등은 보증금 있어서 우리 노인분들 폐지 줍는 것처럼 그런걸 주워요 그런데 정말 문제인건 자그만 식당들은 다 일회용에 밥을 주더라구요 넘 심각해요

  • @user-hp4vo7kz2v
    @user-hp4vo7kz2v3 ай бұрын

    화장품 커피.음식 모두 리필형으로 바뀌면 좋겠네요! 통 들고 다니면서 머시고 먹고

  • @user-oo8gq4vv6x
    @user-oo8gq4vv6x5 күн бұрын

    매일쓰는 스치로플 플라스틱,,어찌해야 좋을까요,,,,

  • @user-cs1mo2hj7u
    @user-cs1mo2hj7u4 ай бұрын

    어차피 대기업을 안조지면 답 없는데 어쩌라고 ㅋㅋ 과대포장 규제 안하잖아? 자영업만 봉이냐?

  • @Lily_of_the_valley93
    @Lily_of_the_valley933 ай бұрын

    요즘 실내에서 마시는데도 테이크아웃잔에 주는 카페들도 많고 택배박스에 쓸데없이 테이프 칭칭 감아 보내는 곳들도 있고 개인들은 가정에서 호일, 일회용 비닐, 장갑 등등을 소비하고 배달 시켜먹고 악순환..

  • @Lee890907
    @Lee8909074 ай бұрын

    기업을 개빡시게 단속해서 배출되는 종류를 단순화해야함

  • @333movie
    @333movie4 ай бұрын

    이 세상에는 현재 0.01%의 관심과실천만이 있는듯

  • @user-jg1xe5kp8c
    @user-jg1xe5kp8c4 ай бұрын

    쓰레기 소각장 민간업체 (전국500여 군데?) 및 시멘트 생산 공장(전국10여개업체?)에서는 연료로 태우는 쓰레기가 모자라서 확보 할려고 힘든다고 하는데 어떻게 되는지요 ???

  • @user-zw3qp5it5j
    @user-zw3qp5it5jАй бұрын

    지구멸망은 핵전쟁보다 쓰레기가 더 위험하다 쓰레기가 생기는 원리를 거꾸로 올라가 분석해보면 지구환경에 영향이 가는게 대부분

  • @user-hp4vo7kz2v
    @user-hp4vo7kz2v3 ай бұрын

    우리 집 쓰레기부터 분리 배출 잘 합시다! 초등학교에서 교육 과정에 포함시켜주세요

  • @su_a1227
    @su_a12274 ай бұрын

    나라에서 책임지고 공무원이 관리하고 대기업생산 관리하고 재활용품 등… 관리하고 책임지게 해야함! 다 폐기 외주업체에 맡기니… 하… 돈만받고 제대로 처리 안하고 도망가지…

  • @myngsubin
    @myngsubin4 ай бұрын

    와진짜 너무심각하네요.... 바다생명들아 미안해..

  • @hjlee2561
    @hjlee25612 ай бұрын

    정부 주도 하에 기업이 바뀌어야 하고 개인도 당연히 노력해야죠. 이제는 지구 온난화가 아니라 지구 열풍화라는데 누가 먼저가 아니라 모두 함께 하지 않으면 정말 쓰레기통 안에서 살게 될거예요

  • @GGG0001
    @GGG00014 ай бұрын

    요즘 애완견 데리고 가서 똥누고 물티슈로 닦은다음 그자리에 버리던데요 진짜 애완견 데리고 동네 산 산책하는 인간들 양심없음 똥은 치우고 물티슈도 수거해야지 ㅡㅡ

  • @KangSuk

    @KangSuk

    4 ай бұрын

    산에서 맷돼지가 똥싸는건요?

  • @GGG0001

    @GGG0001

    4 ай бұрын

    @@KangSuk 요즘 멧돼지는 한적한시골에 많고 사람들 많이다니는 등산로에 가면 버려진 똥 물티슈 휴지조각 천지에요 산에 애완견 출입금지입니다 똥 안치우고 휴지도 버리고 음식쓰레기도 버리고 등산시 동물 또는 음식물 반입금지시켜야해요

  • @GGG0001

    @GGG0001

    4 ай бұрын

    @@KangSuk 저는 서울시 기준산으로 말씀드린거에요 멧돼지는 경기도화성쪽에 많죠

  • @Lily_of_the_valley93

    @Lily_of_the_valley93

    3 ай бұрын

    @@GGG0001 흠 그렇게 따지면 인간을 출입금지해야 돼요. 사람들이 먹다 버린 음식물이며 과자 봉지, 음료 병 등 갖가지 쓰레기 버리고 가고 불법으로 임산물 채취하고 결국 강아지 뒷처리 하고 물티슈 버리는 것도 인간이죠. 본인이 똥 싸고 물티슈 버리고 가는 사람도 있을 걸요?ㅋ

  • @user-vy2ev2yk2k
    @user-vy2ev2yk2k4 ай бұрын

    나 개인부터 줄여야겠다는 마음으로 비닐 한번 더 쓰고 조그만 랩도 두세번 썼다 하지만 물류센터에서 팔레트 칭칭 감는모습보고 경악하고 개인이 그릇크기 랩 아끼는건 정말 소용없구나 싶었다 심지어 그 팔레트랩핑은 회사에서 물류센터까지 옮기는데 필요한거지 물류센터에서 집까지 배송하려면 또 포장해야됨

  • @sk-mr2iw
    @sk-mr2iw3 ай бұрын

    비닐, 플라스틱 사용 제재부터 해야죠..

  • @sprigacacia
    @sprigacacia4 ай бұрын

    지구 적정 인구는 5백만명이다. 인간을 품기엔 너무 작다. 부모는 이용해 먹으려고 죽을 운명인 후손을 낳는다. 다른 이유는 절대없다. 육제적,정신적 고통을 피하는 것이 생명체의 존재의미다. 그래서 그걸 위해 자신의 목숨을 버리기도 한다. 남을 위한 행위는 불가능하다 자기자신도 감당할 수 없어 내 코가 석자인거다. 부모가 자식에게 하는 모든 행동도 그게 생명을 거는 것이라도 결국 자기만족을 위한 것이다.

  • @user-pg2kg5jt7t
    @user-pg2kg5jt7t4 ай бұрын

    제품만드는 기업들을 단속하고 규제해야져~사는것마다 플라스틱에 비닐인데 어쩌라는겁니까~~~

  • @user-bn5fj5qs4k
    @user-bn5fj5qs4k4 ай бұрын

    미안하지만...이건 자위행위. 물론, 안하는것 보다 낫죠. 하지만, 원천적인건, .기업들이 모든 생산을 중단하고, 소비자들은 먹는것 말고는 구매를 안해야 하고, 모든 재산을 전세계적으로 1/n을 하지 않으면. 연명치료일뿐.

  • @user-qg9ox5zf1q
    @user-qg9ox5zf1q4 ай бұрын

    소각장은 부족하지 않고 시멘트 업계에서는 쓰레기를 원합니다.

  • @hyukniverse1004
    @hyukniverse10044 ай бұрын

    쓰레기는 절대 줄지 않는다

  • @gerry6076
    @gerry60764 ай бұрын

    인간이 너무 많아

  • @ddd3618
    @ddd36184 ай бұрын

    어려운 상황인건 아는데, 저게 플라스틱 빨대 때문은 아닌듯.

  • @user-qz3qf3gc9v
    @user-qz3qf3gc9v6 күн бұрын

    아예공장가동이없어야함

  • @zahap951
    @zahap9514 ай бұрын

    국토가 콩만한게 문제 거대한 황무지가 있는 미국 호주 중국은 매립지걱정은 없겠지

  • @mist-gc3zx
    @mist-gc3zx4 ай бұрын

    큰일이다ᆢ비닐 플라스틱 스치로폼 각종생활쓰레기ᆢ 인간멸종의 발판이다 개개인이 신경써야한다ᆢ

  • @younglee59

    @younglee59

    4 ай бұрын

    ㅇㅈ

  • @KangSuk

    @KangSuk

    4 ай бұрын

    멸종하면 뭐 어떰

  • @user-oo8pm2gb6z
    @user-oo8pm2gb6z4 ай бұрын

    교사들, 특히 강원도 모든 유치원, 초,중,고,대학교 교사들에게 환경교육과 실천에 옮기는 걸 가르치는 게 가장 시급합니다.

  • @user-nd8nw8ii3h
    @user-nd8nw8ii3h4 ай бұрын

    PET병 버릴때 뚜껑하고 라벨은 제거 해야 하는거 아닌가여? 플라스틱 분리수거 지역화페 캠페인 전국으로 확산 됐으면 좋겠네요 지자체 말고 중앙정부 지시하에 움직 였으면 좋겠습니다.

  • @user-qz4pz4em1g
    @user-qz4pz4em1g4 ай бұрын

    플라스틱을 먹는 벌레는 딱정벌레의 애벌레인 '수퍼웜'과 꿀벌부채명나방의 애벌레입니다..ㅎㅎ수천경마리의 딱정벌레의 애벌레 을 기릅시다..

  • @user-og9gh7fn4d
    @user-og9gh7fn4d4 ай бұрын

    쓰레기 주워봤자 또 어딘가에 묻어야 된다 안쓰는게 답이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