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를 목표로 다시 한번 수능에 도전하는 최상위권 재수생. "국어의 신"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beomjaka
국어 공부를 하루 3~4시간씩 해도 성적이 안 오르는 3,4등급 학생들에게 정말 추천하는 책입니다.
인생이 바뀔 거라 자신합니다.
너를 국어 1등급으로 만들어주마 책 소개
blog.naver.com/bjdmc4/2226169...
국일만 독서편 구매
bit.ly/46UEEJN
국일만 문학편 구매
bit.ly/41heuzG
국일만 노베 독서편 구매
bit.ly/3S3ME7l
국일만 노베 문학편 구매
bit.ly/47LEqFa

Пікірлер: 78

  • @beomjaka
    @beomjaka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에서 이미지화 관련해서 설명한 거 보충해서 추가 설명 드리겠습니다! 일단 독해력이 낮을 때는 대부분의 문장들이 추상적으로 느껴질 겁니다. 즉, 이해를 100% 제대로 못하고 넘어가는 거죠. 그래서 이런 학생 같은 경우에, 조금 더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로써 '이미지화'를 대부분의 문장에 사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이미지화를 '이해가 된 문장'에서까지 굳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한테 최근에 이런 질문을 해주신 분이 있었습니다. 자기가 원래는 1등급이었는데 이미지화를 신경 쓰니까 속도가 더 느려져서 점수가 더 안 나온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어떤 식으로 이미지화를 하냐고 물어봤습니다. 그분께서 말씀하시길, '정부는 국민들을 위해서 여러 지원금을 지급하고'라는 문장이 있다고 할 때 '정부'라는 단어에서 청와대를 떠올리고, '국민'이라는 단어에서 촛불시위 장면을 떠올린다고 말하셨습니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나에게 익숙한 단어들까지, 강박을 갖고 모두 이미지화를 하려고 하면 당연히 속도가 느려집니다. 저 같은 경우에 저 문장에 대한 이미지를 '굳이' 떠올린다고 하면 '내가 카카오 페이로 지원금을 받았던 경험' 정도를 떠올립니다. 그런데 사실 이 정도의 문장에서는 이미지를 안 떠올려요. 굳이 '이미지화' 하지 않아도 쉽게 이해가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실제 시험장에서는 이미지화 단계까지 가지 않고 '그렇지, 그런 경우가 있지'라고 생각한 뒤 넘어갑니다. 그래서 정리하자면, 이미지화는 내가 '어렵다고 느껴지는 문장', '추상적이라고 느껴지는 문장'에서 떠올려주면 됩니다. 왜냐면 결국 이미지화를 하는 목적이 글을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내가 1등급이라면 대부분은 굳이 이미지화까지 하지 않아도 쉽게 이해가 되니까 그냥 넘어가도 될 겁니다. 반면 5등급이면 거의 대부분의 문장이 추상적이고 어렵게 느껴지기 때문에, 거의 모든 문장에서 이미지화를 해줘야 하죠. 제가 국일만에도 '과학, 기술' 지문은 반드시 이미지화를 해줘야 한다고 써놓았던 이유가 있습니다. 과학, 기술 지문에 나오는 단어나 주제는 1등급, 5등급 할 것 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생소하고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대한 이미지를 그리면서 가라고 했던 겁니다. 추가로 학습하시면서 고민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제가 모든 댓글에 답변 드리진 못하지만, '영상에서 한번도 말하지 않은 내용에 대한 질문', '국일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질문'들은 전부 답변을 드리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여러분 공부에 도움되실만한 컨텐츠들 많이 제공하겠습니다. 범작가 채널 구독하고 봐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 ---- '국어의 신'은 국어 성적에 고민이 있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 [국어의 신 신청링크] bit.ly/47VB4An

  • @user-dh2kg1ih7b

    @user-dh2kg1ih7b

    Ай бұрын

    질문 드립니다. 이미지화랑 쉬운 문장으로 바꾸기라고 말하셨는데 이걸 제가 느낀바는 그거 더군요 아 내가 이게 왜 이렇지? 이게 이해가 안되네 아 그래서 내가 이미지화를 이렇게 시켰는데 그래서 아 문장을 이렇게 이해가 되서 그걸 내가 재구성 해보니 아 이게 이렇게 설명이 되네? 이게 맞는걸까요? 추상어도 사실 제가 제대로 그에 대한 함축적으로 생각을 해보니 아 이런 의미 겠구나! 이렇게 되는디 맞나요..?

  • @user-iz6gp3tj7v

    @user-iz6gp3tj7v

    Ай бұрын

    질문 있는데요 국일만해서 성적이 올랐는데 실수가 너무 잦아요 이건 어떻게 해야 되나요?😂

  • @sejoonlim7798
    @sejoonlim7798Ай бұрын

    공부 좀 하는 얘들이랑 문답하니까, 시원시원하네.

  • @lilillilllilil
    @lilillilllililАй бұрын

    어떻게 영상 볼때마다 깨달음을 주냐..

  • @cr7peter
    @cr7peterАй бұрын

    내가 생각했던 궁금증이 여기서 다 해결되네 ㄹㅇ

  • @user-sl3zi7gz7q
    @user-sl3zi7gz7qАй бұрын

    남자분 훈남이라 좋다

  • @seungwonyy
    @seungwonyyАй бұрын

    제가 궁금했던 것들이 여기서 다 풀렸습니다 감삼다

  • @user-dg6wg6gi8v
    @user-dg6wg6gi8vАй бұрын

    범작가님.. 인강 찍어주실 생각은 없으신가요?ㅜㅜ 초반엔 쌤 방식대로 푸니까 너무 잘 풀렸었는데, 이제 또 그대로입니다..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지문만 봐도 화가 나 미치게써요 ㅠㅠㅠㅠ

  • @user-kimdounguk

    @user-kimdounguk

    Ай бұрын

    문학을 잘 모르겠지만 기출 관련해서 메가스터디 김동욱쌤 비문학 해설해주는 강의 있는데 범작가님이랑 비슷해서 좋아요

  • @Seok0429

    @Seok0429

    Ай бұрын

    심찬우 선생님 병행하세여

  • @user-dg6wg6gi8v

    @user-dg6wg6gi8v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오빠들 😿🫶 06 현역 화이팅해용

  • @user-pp5lu4xr2o

    @user-pp5lu4xr2o

    Ай бұрын

    책을 다시 보세요

  • @user-vp5gq9nz4i
    @user-vp5gq9nz4iАй бұрын

    유익한 영상 잘보고 갑니디

  • @user-qd6dj2cu4r
    @user-qd6dj2cu4rАй бұрын

    수능 작수 3등급이였는데 기출을 천천히 다시 풀어보려고하는데 몇년도부터 풀어봐야하나요? 2009년부터 보면 좋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 @user-dh2kg1ih7b
    @user-dh2kg1ih7bАй бұрын

    국일만 읽어보고 적용하는 데 느낌이 든게 있습니다 이게 정확히 맞는지 커리타고 고득점 올리신분의 이야기를 듯고 싶어 제가 생각하고 있는겁니다. CD드라이브는 디스크 표면에 조사된 레이저 광선이 반사되어 흩어짐 없이 반사되는 부분을 랜드 광선의 일부가 산란되어 빛이 적게 반사되는 부분을 피트라고 한다. 이 문장을 읽을때 처음 CD가 생각 났습니다. 그리고 3차원으로 디스크가 떠올랐고 조사가 내가 아는 조사는 아니겠구나라고 생각을 했고 반사되어 흩어짐이 없다 빛의 반사는 알겠는데 왜 흩어짐 없이지 라고 생각했고 광선의 일부가 산란된다(물리 배경지식으로 오케했습니다) 피트랑 랜드는 제대로 못 떠올렸으나 구간이 다르고 그에따라 빛의 반사와 산란이 다르게 나타나구나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그리고 제일 중요한건 뚫리지도 않고 정답률의 낮던 독서에 완전 아 글이 이렇게 읽히고 심지어 아 이래서 이렇구나 소름이 들더군요 이게 맞는건가요

  • @deded11

    @deded11

    Ай бұрын

    그게 맞아요~

  • @user-dh2kg1ih7b

    @user-dh2kg1ih7b

    Ай бұрын

    ​@@deded11 이렇게 글을 다 읽고 들어가면 선지를 읽을 때 앞에 읽었던 지문이 전에 했던 이미지화가 생각나며 자동적으로 떠오르면서 판단이 되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 @user-ol2ji9fz9i

    @user-ol2ji9fz9i

    Ай бұрын

    자동으로 이미지화되는게 앞에서 제대로 독해하고 넘어가서 그런겁니다. 기억력이 좋은게 아니라 독해를 제대로 하고 넘어가니까 뒷 내용과 이어져서 기억에 남는거죠. 그리고 물리배경지식으로도 풀 이유가 없는게, '흩어짐 없이 반사되는 부분' 과 '일부가 산란되어 빛이 적게 반사되는' 이 대응을 이루고 있어서, 흩어짐 있는게=일부가 산란되어 여기서 좀 더 상상을 해보다면 산란이라는게 빛이 반사가 아니라 반대편으로 뚫고 나가는건가?(투과) 혹은 그 물질에 흡수되는건가? 이런식으로 덧붙여 생각하면 됩니다. '조사'부분은 무엇과 혼동하셨는지 모르겠으나, 그냥 광선 쏴주는게 '조사'의 의미중에 있습니다. 많이 쓰는 뜻이니까 기억해두세요

  • @Ak-mk5cg
    @Ak-mk5cgАй бұрын

    호균이 잘생겼다❤

  • @user-vb3jm6tt8p
    @user-vb3jm6tt8pАй бұрын

    작가님 국일만 노베편으로 공부중입니다. 작가님의 말씀대로 최대한 고민해보고 해설지를 보는중인데 다시 지문을 봐도(국일만 한 지문당 5번씩 봐봤습니다) 새로 깨닫는것 없이 똑같은 생각이 드는채로 지문을 읽게 되더라구요. 다시 지문을 볼때 어떤식으로 봐야 제대로 봤다고 할수 있을까요?

  • @user-yd1vu5zb4b
    @user-yd1vu5zb4bАй бұрын

    고1 국어 내신대비 문제집 추천좀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 @user-ll2yq7pu6f
    @user-ll2yq7pu6fАй бұрын

    와우 1등이다! 구독해서 항상 시간 날 때마다 즐겨 보고 있습니다! 항상 매번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저도 범작가님처럼 한양대를 지양하고 있어 내년에는 꼭 입학하도록 해서 범작가님께 눈도장 찍겠습니다! 저와 환경, 상황이 같은 모두들 올해 수능 화이팅하십셔! 🎉❤

  • @user-ky2dt1uq4y

    @user-ky2dt1uq4y

    Ай бұрын

    한양대를 지양하시는걸 보니 한양대는 안가시겠네요

  • @user-es7cc5xq4g

    @user-es7cc5xq4g

    Ай бұрын

    @@user-ky2dt1uq4y ㅋㅋㅋㅋ헷갈리셨나

  • @sszz5038

    @sszz5038

    Ай бұрын

    지양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alenhan1258

    @alenhan1258

    Ай бұрын

    어휘 out

  • @user-ln9oh5ds9d
    @user-ln9oh5ds9dАй бұрын

    와 검정고시로 독학해서.... 존경스럽다 ㄹㅇ

  • @user-mt6il8qb7v
    @user-mt6il8qb7vАй бұрын

    범작가님 댓글 보실지 모르겠지만 마더텅 문학이랑 독서 해설에 그림이 삽입되어있더라고요 이미지화 학습하기 좋아서 기출문제집 1순위로 마더텅 추천해주시면 좋을거같네요 ㅋㅋㅋㅋㅋ

  • @user-qv6ni6fn1o
    @user-qv6ni6fn1oАй бұрын

    2010년도 승무 해설 해주시면 안돼요?? 이거 이미지화 해서 풀 수가 있어요?

  • @WlsWkduftlahlgkwk-gy9fh
    @WlsWkduftlahlgkwk-gy9fhАй бұрын

    범작가님 올해 반수를 시작한 학생인데요 작년에 심찬우선생님 풀커리를 탔고 올해는 작년 공부했던 교재를 가지고 인강 일절 없이 공부하려고 합니다. 항상 인강을 들었어서 불안하지만 작년에 심찬우 선생님 국어를 거의 체화했다고 생각해서 작년교재 복습 + 기출 계속 읽고 생각하고 남는 시간에 연계 챙기고 할 생각입니다. 인강 안듣는다고 불안해 할 필요 없겠죠?

  • @user-eb8ni5hx9p
    @user-eb8ni5hx9pАй бұрын

    행님 저 고삼이고 이번 3모 62점(4등급) 나왔는데 이제 매삼비 끝내고 마닳 들어가려는데 1부터 풀까요 4부터 풀까요?

  • @user-bj3mz5yh7v
    @user-bj3mz5yh7vАй бұрын

    추상어에 대해 깊히 있는 생각 해보고 모르는 뜻을 찾아보는것 이건 수능뿐만아니라... 삶 전체에 영향을 주는것 같네요. 😅

  • @user-ye8dd9nv5y
    @user-ye8dd9nv5yАй бұрын

    저 지문에서 1문단에서 법적 신분제와 사회적 신분제가 다르다는 것을 캐치하기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걸 캐치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욥?

  • @user-xp9eq1gb4b
    @user-xp9eq1gb4bАй бұрын

    작가님! 비문학은 예전 기출 우선으로 분석하라고 하셨던 거 같은데 국일만 문학편을 읽어보면 문학은 최신 기출을 먼저 분석하라고 하셨는데 둘이 년도를 다르게 해야하는 건가요?

  • @pabiano101
    @pabiano101Ай бұрын

    13:40 영화 기생충에서 이 장면 본 것 같음

  • @user-ts3nv5re6n

    @user-ts3nv5re6n

    Ай бұрын

    굿 손 잡고 맥박도 만져야함 ㅋㅋㅋ

  • @user-bk2gk6iv5r

    @user-bk2gk6iv5r

    Ай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개웃기네

  • @krpeace

    @krpeace

    Ай бұрын

    와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ㅈㄴ 소름

  • @moolbum
    @moolbumАй бұрын

    최고❤️

  • @user-wz2qx6eq6v
    @user-wz2qx6eq6vАй бұрын

    1. 한 지문을 읽다가 어떤 문장에 질문이 생기면 그 답을 생각해 낼 때까지 계속 생각을 해야하나요? 2. 한 지문을 풀때 시간을 재고 한번 푼 다음에 한 문장 씩 이해하며 풀어야하나요? 아니면 처음부터 한 문장씩 이해하면서 풀려고 해야하나요?

  • @user-us4jt7ez8t
    @user-us4jt7ez8tАй бұрын

    방금 지문에서 범작가님이 말한거에 질문에 처음으로 답을 다 할 수 있었는데 잘 읽고있는건가요?? 조금 쉬운지문이긴 했지만…😅

  • @sjendndn
    @sjendndnАй бұрын

    마더텅이나 매3비문도 국일만처럼 3,4회독 해야되는거였나요?? 그리고 3모 5,6등급이 국일만 하면서 수국김이나 강기본같은 입문강의 지금 병행하는거 어텋게생각하시나요??

  • @user-gw9rf9lk4g
    @user-gw9rf9lk4gАй бұрын

    지방 과외는 어떻게 하나요?

  • @user-nw4ou7lf6n
    @user-nw4ou7lf6nАй бұрын

    호균아ㅋㅋㅋㅋㅋ 기숙에서 봤던 친구를 여기서 보네......나도 3반수한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z6gp3tj7v
    @user-iz6gp3tj7vАй бұрын

    질문 있는데요 국일만해서 성적이 올랐는데 실수가 너무 잦아요 이건 어떻게 해야 되나요?😂

  • @user-vh2yp1mb3h
    @user-vh2yp1mb3h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범작가님! 지금 국일만으로 공부중인 재수생 입니다. 비문학을 풀 때 적으면서 공부하는 것을 지양하라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한 번 최대한 손을 쓰지 않고 풀고난 후 분석하면서 읽을 때에도 최대한 머릿속으로 생각하며 읽는게 좋을까요? 한 번 적으면서 공부하는 것보다 5번 읽는게 낫다는 말씀이신거죠?

  • @TlisC6

    @TlisC6

    Ай бұрын

    공부를 분석처럼 해야되지 않나

  • @user-yg3us9xq3m
    @user-yg3us9xq3mАй бұрын

    또 범작가님 국어 읽을때 정리를 아무리해도 기억에 안남는것도 전부 집중력 탓일까요? 흐름을 기억하면서 읽어도 이미지화해가면서 읽어도 부분적으로 텅텅 뚫려있는 느낌이 들어요. 이런경우에는 더 천천히 읽어야할까요? 텐션있게 읽는다-> 이게 너무 어렵습니다.. 지문을 필요에따라 굴곡지게 읽으라는 말씀이신가요??

  • @BlackLarva2331
    @BlackLarva2331Ай бұрын

    범준님 커리 노베국일만 부터 시작하고있는데 수특은 언제 풀어야 하나요?

  • @user-wo6cm1ew2b

    @user-wo6cm1ew2b

    Ай бұрын

    수특 연계 공부는 그냥 쉬는시간에 몇 지문씩 읽어주면서 무슨 내용이네? 이런거만 공부해놓고 지금은 본질적인 공부가 중요함

  • @rlaehddus.
    @rlaehddus.Ай бұрын

    현역이고 등급은 3모 5등급입니다 제가 국어 비문학 한 지문 모두 이해하려면 2~3시간정도나 걸리고 다 이해안될때도 너무 많아서 회의감이 드는데 이렇게 오래 걸리는게 원래 그런건가요? 꾸준히 하면 시간이 점점 줄어들까요?

  • @joy11017

    @joy11017

    13 күн бұрын

    대신 답변드려서 죄송하지만 ㅎㅎ 네 줄어듭니다. 작가님이 말씀하신대로 그 고통 2개월만 죽었다 생각하고 버텨보세요. 모르는 단어 하나하나 다 찾아보시고 용례랑 같이 꾸준히 암기하면서 글 하나라도 집요하게 파고드세요. 작수 5 맞은 저도 올해 재수하면서 처음 2월엔 3시간 동안 주구장창 한 지문만 보는데도 이해하는게 벅찼어요. 근데 그렇게 계속 하니까 어느 순간 늘더라고요. 이젠 웬만한 기출 지문은 20-30분 안에 대부분 이해되고 풀리고는 해요. 결국에 지금 수능은 이해하면 끝나요. 상대평가 시험인 수능에서 남들보다 더 잘 보시려면 이렇게 하셔야 돼요. 시험 볼 때도 웬만하면 최대한 지문을 이해해 보시려고 하세요. 참 세상에 쉬운게 없죠. 같이 파이팅해요

  • @user-yg3us9xq3m
    @user-yg3us9xq3mАй бұрын

    범작가님 국어 지문 읽을때 표시를 하지말라고하셨었던걸로 기억하고있는데요 표시를 안하니까 확실히 지문에 집중할수있는것같아요 단지 표시를 하나도 안하니까 중간중간에 글 흐름같은게 끊기는 겅우가 많은데 이런경우에는 어떡해야할까요? 순전히 집중력 부족탓일까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해야하는게 좋을까요? 너무 고민돼서요..

  • @user-wf1mz8su6e
    @user-wf1mz8su6eАй бұрын

    그냥 정의된 개념도 이해를 하고 넘어가야하나요? 예를 들면 “아”란 자기 본위에서 자신을 자각하는 주체이다 라는 부분이요!

  • @user-mj8ry1xs6d

    @user-mj8ry1xs6d

    10 күн бұрын

    자기 본위는 뭔가요?

  • @serugey6002
    @serugey6002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범작가님 서울에서 재수하고 있는 재수생입니다. 질문 드리고 싶은 점이 있어 댓글을 남깁니다. 한 지문을 완벽하게 해석하고 이해하려면 2시간 3시간, 너무나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한 지문이라도 완벽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나은 건가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맞는 방법인거 같은데 너무 어렵고 오래 걸릴 것 같아서 이상하게만 느껴집니다.

  • @user-ct1cw8vb6c

    @user-ct1cw8vb6c

    Ай бұрын

    저도 궁금해서 답글 달고 갑니드….

  • @user-cx1xw9vv2z
    @user-cx1xw9vv2zАй бұрын

    범작가님! 국일만 공부하다가 질문이 생기면 어디에 물어보면 되나요?

  • @dh2575
    @dh2575Ай бұрын

    국일만 문학편에 수필은 없던데 수필은 어떻게 공부하나요?😢

  • @user-mt6il8qb7v

    @user-mt6il8qb7v

    Ай бұрын

    수필 있는데용…? 그 따로 파트는 없고 현대시 햐설중에 팁인가 그런걸로 있습니다

  • @dh2575

    @dh2575

    Ай бұрын

    @@user-mt6il8qb7v 아 책 어제사서 목차만 봐서 몰랐네영 감사함다

  • @user-sk4ih4nz1n
    @user-sk4ih4nz1nАй бұрын

    EBS 수특 연계 아예 안되나요?

  • @Simmen297

    @Simmen297

    Ай бұрын

    되긴하는데 어차피 수능운 암기력을 묻는 시험이 아닌 사고력을 요하는 시험입니다 연계가 된 작품이면 정답률이 올라가야하는데 그렇지않죠 그저 기시감을 키우기 위한 요소인데 중하위권은 ebs를 할시간에 근본적인 독해력과 문해력 피지컬을 쌓는게 도움됩니다

  • @tv-uu5en
    @tv-uu5enАй бұрын

    41211이면 어디 대학까지 되는 수준인가요 형님들

  • @user-dh2kg1ih7b

    @user-dh2kg1ih7b

    Ай бұрын

    수학 1이 99니까 탐구가 어떻게 되는지 보느냐에 따라 연대 낮공에서 연대 교차로 쓰거나 아니면 한양대 공대 까지 가능 할 듯?

  • @megakse397

    @megakse397

    Ай бұрын

    그냐ㅇ 한양대 공대가 적정일듯

  • @user-ke1yg9bm4u

    @user-ke1yg9bm4u

    Ай бұрын

    ​@@megakse397ㅇㅇ 국어 젤 안봐서 대신 서강대는 다 광탈

  • @user-mj2or8uh9c

    @user-mj2or8uh9c

    Ай бұрын

    ㄹㅇ 냥대식 인재 냥대오면 저런사람 널려있음 나도 311111박고 냥대 ㅋㅋㅋ

  • @user-sz6zn7fg4u

    @user-sz6zn7fg4u

    Ай бұрын

    냥대식으론 높공 뚫고 연고대 낮은과도 좀 힘들고 어문될듯?

  • @vgs4115
    @vgs4115Ай бұрын

    김범준 사랑해❤

  • @tstsgssjdjjs7030
    @tstsgssjdjjs7030Ай бұрын

    어...? 안양 중앙공원인데...?

  • @user-xb7yo2yc9z
    @user-xb7yo2yc9zАй бұрын

    범작가 선생님 메일주소 알 수 있을까요?

  • @user-xp2eu4ml8c
    @user-xp2eu4ml8cАй бұрын

    범작가님 답글 받고.. 날짜 알려달라고하셔서 날짜 남겼는데..4일전 댓글이었는데.. 답글을 달아도 자꾸 지워져서.. 여기다 남겨봅니다..ㅠㅠ 정말 간절해요..ㅠ

  • @user-xp2eu4ml8c

    @user-xp2eu4ml8c

    Ай бұрын

    4전 영상의 질문사항입니다.. 나이가 좀고 책이랑 담쌓은지 오래된사람입니다.(부끄럽지만 객관적인 제 상황 말씀드리고자해서 말합니다.).. 질문이있습니다. 꼭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질문을 읽을때 읽다가 이해가 안되는거같거나 집중안되는거같으면 자꾸 되감기하듯이 되풀이해서 읽습니다. 이럴땐 어떻게 해야될까요? (최대한 되돌아가서 읽고 이해안되서 다시 전문장 또읽고 다음문장읽고 다시 전문장읽고..1문단에 6문장이라치면 3번쨰 읽고 4번쨰읽고 다시 무슨내용인지 이해가안가서 3번째로 돌아가고 이런식입니다..) 천천히 읽으면 30분~40분이상걸리는데 그래도 매우천천히 읽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최대한 빨리 읽어보려해야될까요? 2.문장을 읽다가 이해안되는 어휘가있으면 사전에서 찾아보라고하셨는데.. 바로 찾아보는게 좋은가요? 아니면 문장을 다읽고 앞뒤문장으로 유추해보고 그래도 이해안가면 따로 적어두고 다음날 똑같은 지문읽기전에 읽어보는게 좋을까요? 3.사전에 검색해보면 모르는단어에 설명에대한 단어도 이해안되는게 많던데 다꼬리물고 외우도록할까요?..용례를 외운다는게 어떤느낌인지 뉘앙스만 알면되는건지(이런느낌일떄 주로쓰는구나..정도?) 아니면 정확하게 이상황에 이거로 쓰이고 저상황에 저거로쓰인다 구분지어서..외워야하나요?.. 아니면 사전에 검색했을때 설명 그대로 납득가능한수준(아~ 이해했어 오케이)까지? 아니면 설명가능한수준까지? 외워야되나요?..(시간이 엄청걸릴거같은데 어휘가 많이부족해서요.. 그래도 이방법이맞다면 이렇게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무식하고뻔한 질문일수도있는데.. 당일날 외워도 다음날까먹는데 반복밖에 없겠죠?.. 아니면 덜외운거일까요?.. 예전에 배운거 다시보면 아 이거?생각나는데 자꾸 까먹는느낌이드네요.. 장기기억은 좋은데 단기기억은 안좋은느낌에다가 휘발되는느낌?..+ 충격으로 잘안와닿아서 그런지 장기기억으로 잘안바뀌는거같네요.. 질문이 길어서 죄송합니다만..꼭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게 생각하겠습니다.

  • @user-xp2eu4ml8c

    @user-xp2eu4ml8c

    Ай бұрын

    추가로 한개만 더 가능할까요.. 글 읽다보면 가끔 생각없이 멍때리는데 .. 교정할만한 추천방법있으실까요?.. 계속 집중하려고 노력해서 보는걸 반복하는게 답일까요?

  • @user-yj1dz9iq8l

    @user-yj1dz9iq8l

    Ай бұрын

    @@user-xp2eu4ml8c 범작가님 대신 답변 달아봅니다! 1. 글을 읽다가 딴 생각이 자꾸 드시는 건 아마 이해될 때까지 읽으려고 너무 천천히 읽으시다가 그러는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의도적으로 집중하려고 신경써주면 가장 좋지만 이도 잘 되지 않으신다면 범작가님은 어느 정도 텐션을 주고 글을 읽어 나가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에 라이브 도중에 얘기해주신 적이 있습니다. 실전처럼 너무 짧은 시간제한이 아니더라도 첫번째 읽을 때는 어느 정도 시간을 정해두고 글을 읽으신 후 2번, 3번 째 글을 읽으실 때 그 때도 이해되지 않는 문장은 끝까지 하루종일 물고 늘어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텐션을 유지하시면서 글을 읽으시면 다른 생각도 나지 않고 글에 더 집중하기 좋을 겁니다! 2. 문장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체크해두셨다가 첫번째 읽기가 모두 끝난 후에 사전에 검색하셔서 찾는 걸 추천드립니다. 국일만 내용 중 모르는 단어가 몇번을 읽어봐도 이해가 되지 않으면 그 단어나 문장을 그냥 하나의 기호로 생각하라고 가르쳐주십니다. 이처럼 앞뒤 내용을 생각해서 해당 단어를 유추해보시고 그래도 이해가 되지 않으시면 체크해두시고 하나의 기호로 생각하면 넘어가신 후 첫번째 읽기가 끝나신 후에 사전에서 찾아보시면 좋을 같습니다! 3. 단어를 외우는 정도는 용례까지 외우면 정말 좋겠지만 영단어처럼 딱 봤을 때 '이 단어는 이 뜻이야!' 할 수 있을 정도까지는 암기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단어 뜻에서도 모르는 단어가 나온다면 그 단어도 암기하면 좋을 겁니다. 그래야 그 단어를 이용해 설명하고 있는 단어도 명확히 해석이 가능할테니까요! 아무리 외워도 단어 뜻이 받아드려지시 않으신다면 글 읽기 할 때처럼 이미지화하여 기억해보는 방법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4. 글 읽다가 멍때리시는 건 1번 답변처럼 계속 의식적으로 집중을 하려고 하시거나 첫번째 읽을 때는 어느 정도 시간 제한으로 텐션을 유지하시면서 읽으시면 됩니다. 혹여나 음악을 들으시면서 공부하시면 그 음악 리듬이나 가사 때문에 집중이 안 될 수도 있다고 라이브에서 얘기하신 적이 있으시니 음악을 들으신다면 다음부터는 음악을 듣지 않으시면서 공부해보시면 훨씬 더 집중 잘 되실꺼라고 생각합니다!

  • @deded11

    @deded11

    Ай бұрын

    ​@@user-xp2eu4ml8c 사실 진술하신 단어학습법에 대해선 완벽해서 지적할 곳이 거의 없는데, 하나 지적하자면 실생활에서 완벽히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하심 됩니다. 국어는 단순히 암기와 이해까지만 하는 것으론 쉽사리 늘지 않아요 실생활에 적용(글쓰기,말하기)을 한다면 더욱 효율적이게 공부할 수 있기 때문이죠 (본인이 모르던 단어를 사용해 글을 써보고 말을 해봄으로써 단어의 뜻을 더 깊이 새길 수 있음) 추론에 대해서도 답변드립니다. 단어 추론에는 대표적으로 두 방법이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1. 문맥적 추론 2. 한자어적 추론 1번 방법은 이미 글에 있어서 재진술할 필요가 없어서 건너 뛰겠습니다. 2번 방법 : 이건 좀 한자어를 어느정도 숙지해야 할 수 있어요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면 '이념'으로 들어볼 텐데, 우선 '이'는 '두 이'인지 '다를 이'인지 뭔지 모르겠네요 근데 '념'은 념이 쓰인 단어인 관념 등을 생각하면 "아, '념'은 생각과 비슷한 뜻이구나"라고 추측할 수 있죠 그럼 '이'는 다른 생각,두가지의 생각 등으로 볼 수 있네요 이렇게 중의적일 땐 문맥적으로 판단해보는 게 맞죠 즉, 두가지 방식 다 고려하란 뜻입니다. 한자적 추론을 한 이후에 사전을 통해 일반적으로 단어 공부를 한 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즉, 더 깊이 새겨져요 또, 한자를 더 알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