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뇌를 만드는 가장 간단한 방법!!(황농문 교수, '몰입' 저자)

두뇌 가동률을 활성화해서 학습 효과를 높이고 몰입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베스트셀러 몰입의 저자인 황농문교수님께 3일만에 영재의 뇌가 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들어봤습니다.
00:00 오프닝
00:31 주제 및 전문가 소개
01:03 50시간 몰입법칙이란
03:03 50시간을 생각한다는 의미
08:30 단계적 몰입 방법
10:46 잡념을 떨치는 방법
12:50 슬로싱킹
13:46 좋아서 하는 공부의 시작단계
15:30 두뇌가동률 높이는 학습법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알라딘 bit.ly/3i9jkgt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daegizatv
bangjongim
섭외 제보 및 문의 leo0521@naver.com
#몰입 #생각 #뇌발달

Пікірлер: 91

  • @daegizatv
    @daegizatv10 ай бұрын

    똑똑한 뇌를 만드는 간단한 몰입 방법을 황농문 교수님께 들었습니다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instagram.com/daegizatv instagram.com/bangjongim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 @kyytwo

    @kyytwo

    10 ай бұрын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 @toondra81
    @toondra8110 ай бұрын

    게스트 섭외력 최고입니다❤ 결과와 상관없이 생각하라는것 너무좋은포인트네요

  • @user-uk1ef4fy4o
    @user-uk1ef4fy4o6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도 수학을 공식을외워서 푸는게 아니라, 공식을 만들어 내면서 성적이 확올랐었는데, 진짜 맞는말인거같아요. 무작정 열심히 했기때문이라 생각했는데 , 이제 알게됐네요

  • @user-ze6dg6mp1k
    @user-ze6dg6mp1k10 ай бұрын

    평생 몰입 제대로 한번 빠져보고싶네요. 황농문교수님 정년하셨으니 앞으로 더 많이 몰입 알려주세요!!!

  • @dagachee
    @dagachee10 ай бұрын

    하루에 약 6시간 이상씩 거울 보는 딸이 있는데.. 나름 몰입하고 있다고 바라봐도 되겠죠 ㅎㅎ

  • @user-xf3fc3il1r
    @user-xf3fc3il1r10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말씀하신 그 몰입을 제가 중3 졸업할때 느꼈어요. 중3초반부터 졸업시기즘까지 그 생각만 했는데 딱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b2xz9tz6d
    @user-xb2xz9tz6d10 ай бұрын

    황농문교수님 감사합니다

  • @jgrin
    @jgrin10 ай бұрын

    살면서, 말씀하신 그런 문제해결의 순간을 여러번 맛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 순간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mysonCH
    @mysonCH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책 정말 잘 읽었습니다~

  • @user-mo5kv3vw5g
    @user-mo5kv3vw5g4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황농문 교수님은 진짜 진짜 교육부 장관이 되셔야 해요. 세계적 석학이신 교수님의 경험을 우리 교육에 접목 시켜야 되요.

  • @user-dz4ob2ps1i
    @user-dz4ob2ps1i10 ай бұрын

    황농문교수님이시네요.

  • @user-dv2qh3xn2o
    @user-dv2qh3xn2o10 ай бұрын

    황농문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ㅡ^ 뵙고 싶네요

  • @user-ws1hz3go3b
    @user-ws1hz3go3b10 ай бұрын

    저도 교수님 다른 채널 나온 영상 봤어요. 대기자티비에서도 봐서 좋네요. 선댓글 후시청합니다^^

  • @KMJRADIO
    @KMJRADIO10 ай бұрын

    오~~~도전해보겠습니다 ㅋㅋ

  • @soyoungkim397
    @soyoungkim39710 ай бұрын

    흥미롭네요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몰입의 방법이 명상을 하는 과정과 매우 흡사합니다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것 까지도요ㅎㅎ 포스트잇 방법 도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practiceryu1752
    @practiceryu175210 ай бұрын

    ✨✨✨✨ 집중은 자극의 싸움이다. 잡념이 들어도 그냥 의식의 무대에 다시 그것을 올리면 된다. 재미와 즐거움을 느낄 정도까지 가야 한다.

  • @user-vh5pz3pe9g
    @user-vh5pz3pe9g10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제가 요즘 몰입하려고 다른 채널 안 보는데 이것은 보게 되네요! ㅎㅎㅎ

  • @user-tg4kk9kn2d
    @user-tg4kk9kn2d10 ай бұрын

    스마트폰을 시간으로 얼마나 보기만 할때 전두엽 기능이 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

  • @user-hb5wc4bj3g
    @user-hb5wc4bj3g10 ай бұрын

    대박! 몰입 완전 열심히 읽었는데~황교수님👍👍

  • @seinlee5146
    @seinlee514610 ай бұрын

    저도 회사 다닐 때 한가지 일을 2주간 주어진 시간 안이 해결해야 할 시 밥을 먹나 친구를 만나나 머릿 속은 계속 그 일만 떠오르더라구요... 늘 그런식으로 일했는데 결과가 좋더라구요.... 같은 원리인듯

  • @jae-yunlee9631
    @jae-yunlee96316 ай бұрын

    나이를 떠나서 포기하지 않고 집중하는 힘, 즉 끈기가 없다면 지적 성장이 어렵다. 점점 짧고 강한 자극, 쾌락만 원하게 될뿐.

  • @user-tg4kk9kn2d
    @user-tg4kk9kn2d10 ай бұрын

    그게 타고난 지능 생겨먹은 두뇌를 가져야 하기도 하고 노력으로 해보는것을 가르쳐 주는 거죠?

  • @user-xk2ti9fh9j
    @user-xk2ti9fh9j10 ай бұрын

    뇌가 점유하는 열량이 숨만쉬어도 60프로라고 하는데 몰입을 쉬지않고 하면 인간이 죽습니다. 열량공급 부족현상이 와서 우선 두통이 심해집니다. 당떨어졌다고 하죠? 몰입하고 쉬고 몰입하고 쉬고 이런 교습법같은 것을 만들어서 체계적으로 다시 정리해주셔야 할듯합니다😂 안그러면 불완전하고 신빙성없는.. 칙센트미하이를 벤치마킹한 이론에 불과해집니다.

  • @ChristineCheong17

    @ChristineCheong17

    9 ай бұрын

    황논문 교수님의 몰입 책을 읽으면 설명이 잘 되어있습니다. 인터뷰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 풀어내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 @chelios4827

    @chelios4827

    Ай бұрын

    그래서 이완하면서 쉬는듯이 명상하듯 생각하라고 나왔잖슈

  • @Happy-dk8dx
    @Happy-dk8dx10 ай бұрын

    교수님이랑 같은 곳간에서 몰입할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user-og7rw2sw2q
    @user-og7rw2sw2q10 ай бұрын

    영재라는 말로 학대의 방법을 또 찾는구나

  • @user-fc4kz4on6f
    @user-fc4kz4on6f10 ай бұрын

    생각만해도 황홀하네요... 저부터 도전해보려구요~~

  • @yoonandrew1702
    @yoonandrew170210 ай бұрын

    adhd, scd 아이는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 @HKmam
    @HKmam9 ай бұрын

    엇 익숙한 bgm에 흠칫했네요ㅋㅋㅋㅋ

  • @user-yx7mq1kg8t
    @user-yx7mq1kg8t8 ай бұрын

    황소수학학원이 생각나네요.. 사실 요즘집은 저렇게몰입할수있는 환경이 없죠..😢

  • @user-pl1ln7vi8f
    @user-pl1ln7vi8f10 ай бұрын

    너무 반가우신분🩵🩵

  • @user-lq8of8tt3b
    @user-lq8of8tt3b10 ай бұрын

    화두참선과 같은 맥락이군요.

  • @user-ir7sz6gp8f
    @user-ir7sz6gp8f10 ай бұрын

    3줄요약좀

  • @user-cg6pu3uc2v
    @user-cg6pu3uc2v10 ай бұрын

    몰입

  • @user-rv8uo8ep6k
    @user-rv8uo8ep6k6 ай бұрын

    교수님은 기본적으로 머리가 좋아서 그럼. 공부의 선천적 유전형질 영향이 운동능력보다 상관관계가 더 크다고함.

  • @user-pd4mj7ys9k
    @user-pd4mj7ys9k10 ай бұрын

    신기하네요. 그런데 잡생각 떨치기 너무 어려워요 ㅠㅠ

  • @user-lm4wq5bj7s

    @user-lm4wq5bj7s

    10 ай бұрын

    계속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의 보류함에 문제가 풀릴 때까지 보관한다고 생각하셔요. 즉, 문제가 바로 풀리지 않는 경우(보통 그렇습니다) 포기하는 대신에 틈틈히 다시 꺼내서 생각해보는 거예요. 신기한 것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다른 분야의 것들과 어느 순간 접목이 되면서 새로운 답이 떠오릅니다. 또 다른 방법은 문제를 풀이방법을 적듯이 머리 속에서 발전시켜보는 거예요. 마인드맵을 머리 속에서 그려가면 사고를 발전시켜 보는거죠. 정리가 딱 되면서 문제가 심층화 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아예 다른 활동을 해보시는 건데, 특히 뇌를 쓰는 일을 할 때는 몸을 움직이는 활동을 해보시는 거예요. 그럼, 균형과 조화 속에서 일종의 전환 상태가 이뤄지면서 머리가 맑아지고 그 때에 전구가 켜지듯이 반짝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릅니다. 저는 한 가지 생각을 한 달 이상도 해요. 계속 발전시켜나가고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인터넷이나 책 등을 통해서 옳은지 검증해보고 발전시켜 봅니다. 그런 후, 주변 사람들에게 설명해보고 놓친 부분이 있는지 검토합니다. ^^

  • @user-lm4wq5bj7s

    @user-lm4wq5bj7s

    10 ай бұрын

    잡생각이 드는 것은 뇌가 좀 쉬라는 신호니깐 그냥 쉬세요. 아예 지워버리지만 않으시면 되요^^

  • @GoldStar_k
    @GoldStar_k10 ай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저는 십여년전 대학생때 몰입 초판 나왔을때 사서 봤었고 너무 감명깊게 읽어 주변에 선물도 하고 했었던 사람입니다. 그리고 그 후로도 몰입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최근에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제가 몇년전부터는 뭔가 생각이나 문제에 빠지면 그것 말고는 옆에서 뭐라고 해도 못알아듣고 뭔말을 했는지 뭘했는지 예를 든다면 내가 어떻게 운전을 해서 집까지 왔는지 밥을 먹었는지 안먹었는지 이런것까지 생각이 안 날 정도가 되었는데 이거 괜찮은 걸까요?

  • @daegizatv

    @daegizatv

    10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몰입아카데미 운영중이시니 그곳에 문의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user-tg4kk9kn2d
    @user-tg4kk9kn2d9 ай бұрын

    그럼 아무생각없이 멍 때리기는 뇌를 어떻게 하는 건가요?

  • @user-sq1iw3cr7x
    @user-sq1iw3cr7x10 ай бұрын

    희망 고문

  • @user-jl4hp7yi7l
    @user-jl4hp7yi7l8 ай бұрын

    대학교때 경험해봤어요 하지만 초등학생은 힘들듯요;;;; 우선 필요성을 못느끼니까요

  • @user-uh7uo7tp3o
    @user-uh7uo7tp3o10 ай бұрын

    따라 해보세요 힘들껄 무엇보다 마음이 강하면 두뇌5정도 올리는 효고 있음.

  • @user-zn6tq8lb6p
    @user-zn6tq8lb6p10 ай бұрын

    몰입할 문제를 택하는 기준은 멀까요? 수학문제 아닌 살면서 해결하고픈 그런 문제로도 몰입을 하면 되나여?

  • @user-jj1mv8us7j

    @user-jj1mv8us7j

    10 ай бұрын

    모든게하나의화두명상

  • @user-jx9jg7ro2e

    @user-jx9jg7ro2e

    9 ай бұрын

    똑똑한 애들은 해야할일과 하고싶은일이 먼지 메타인지하고, 부족한 부분을 찾고 해결하는 능력이 있는것 같네요. 회사생활 하면서 필요한 지식을 찾고, 공부하고, 적용하는 능력이죠. 그런 애들은 본인의 스트레스 관리도 알아서하고, 운동과 취미도 능동적으로 하는것 같습니다. 몰입이 단순히 공부는 아닌것같습니다. 운동을 하더라도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유투브나 논문으로 훈련법을 찾고, 적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금융이나 재테크 인간관계 모든 영역에서 필요한 부분을 채울줄 아는 사람이죠

  • @andycho9383

    @andycho9383

    3 ай бұрын

    안됩니다

  • @soonheekim8903
    @soonheekim890310 ай бұрын

    몰입은 정면승부다. ->메모합니다.

  • @jincyber1626
    @jincyber162610 ай бұрын

    계속 어떤 일만 생각하면 사고력이 높아지긴 하는거 같더라. 그래서 새로운 아이디어도 떠오르고.. 하지만 그걸 자신이 즐겨하지 않는 일이라면 무용지물이야.. 금방 포기하게 되니까.. 본인이 좋아하는 일에 대한 사고력을 키울때 좋은 방법이 될듯

  • @youtubeuser495
    @youtubeuser49510 ай бұрын

    사막에서 물을 발견한 느낌 입니다.

  • @shadowwhite6119
    @shadowwhite611910 ай бұрын

    계속 시험만 보면 풀가동

  • @sison1394
    @sison13949 ай бұрын

    칙센트미하이칙센트 교수가 행복심리학의 정수로 전파한던 몰입이라는 개념이 어찌 한국에만 들어오면 입시교육이랑 붙어 먹고 원관념이랑 전혀 다른 뜻으로 전해지는지 통탄할 따름이다

  • @user-sm2lc5sf3o

    @user-sm2lc5sf3o

    7 ай бұрын

    내가 보기에는 칙센 미하이의 몰입이론이 고등학생 과정이라면, 황농문 교수님의 몰입은 교수급이다. 차원이 훨씬 높다. 칙센 미하이의 몰입은 누구나 대중적으로 시행해볼 수 있다. 그만큼 쉽지만 수준은 대중이 할 수 있는 수준. 동양의 깊은 사마타와 유식학의 이론으로 보면 칙센미하이도 갈길이 한참임. 돌아가셔서 갈 수 없네요. 마음이 그만큼 다루기 복잡함. 황농문 교수님의 방식은 칙센 미하이의 방식보다 깊다. 한참 깊다. 한 주제를 오래 생각해야 두뇌가 가장 크게 깨어난다. 그게 칙센미하이와의 차이. 황교수님도 몰입을 산업체에서 사용하기를 바랬으나 대드는 사람이 많지 않아 수요에 따라서 입시에 대하여 말씀하시는 것임. 학생들이 몰입을 배워야 나라의 장래가 있음. 현 수능시스템은 몰입에 안맞음. 오래 생각하게 두지를 않음. 킬러문제도 풀이를 외워서 접근하는 것이 빠름. 출제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비슷하게 출제됨. 외우면 거의 해결됨.

  • @user-tv1sk8sh4c
    @user-tv1sk8sh4c7 ай бұрын

    편하개ㅜ누워서 명상하듯 하라고 하셨는데 책을 보면서 하라는거죠?

  • @daegizatv

    @daegizatv

    7 ай бұрын

    아니요. 생각을 하라는 의미입니다

  • @user-xo4nj6tn3w
    @user-xo4nj6tn3w10 ай бұрын

    대부분 수학 가르치는 분들이 10분이상 문제를 푸는데 못풀면 답지를 필사하라고들 하던대 배치되는 주장이라 혼란스럽네요 ㅠㅠ

  • @daegizatv

    @daegizatv

    10 ай бұрын

    당장 수학문제를 더 맞히는 목적에서 수학선생님들은 말씀하신듯 싶고, 황교수님께서는 생각하는 힘을 기르기위한 방법입니다

  • @jjjj-jjj

    @jjjj-jjj

    10 ай бұрын

    이번 백미터 달리기대회 에서 1등을 목적으로 할것이냐 , 천미터 달리기를할수있는 몸을 만들기위한 것.을 목적으로 할것이냐? 의 차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

  • @user-te7uy6ws3s

    @user-te7uy6ws3s

    10 ай бұрын

    외워서 공부하는애는 성적오르는데 한계가 있더라 우리애가 외워서 하는타입이라 사고하는 애는 못이기겠더라

  • @NO.1_brain_trainer

    @NO.1_brain_trainer

    10 ай бұрын

    답지를 필사하라는 의미의 첫번째 조건은.. 당신의 아이가 기본개념을 다 외우고 80%정도는 이해했냐는것이 전제로 있습니다. 뚝쳐서 그게 뭐야 라고 물어보면 그 기본개념이 술술 입밖으로 튀어나와야 합니다. 그런 상태에서 문제를 풀다가 답지를 보고서.. 왜 이런 과정, 이런 풀이를 쓸까? 내가 외운 개념이란 무슨 관계길래? 라는 걸 알아야 합니다. 근데 답지를 필사하라고 하면 그냥 필사하고 외우고 끝낼려고 할겁니다. 그러면 소용없습니다. 왜 그 답이 왜 그풀이가 나왔는지 왜 그 개념이 이 답지에서 썼는지 연관성을 알아야 하고 그 연관성을 알려면 기본 개념이 머릿속에 다 외워져 있어야 합니다. 쉽게 말해 교과서 목차와 소제목 그리고 각 개념의 정의를 툭~~ 치면 바로 어머님한테 외운걸 말해야 합니다. 그게 안되면 학원 소용없고 인강 소용없고 50시간 몰입 이런것도 아무짝에 쓸모없습니다. 하나면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50시간 몰입은 맞으면서도 한편으론 굉장한 시간낭비입니다. 이런말 들어보셨을겁니다. 공부에 집중하고 반드시 휴식시간을 가져야 된다고 보통 1:5의 법칙입니다. 50분공부하면 10분쉬고 3시간 공부하면 30분 쉬어줘야 합니다. 그치만 몰입은 정반대의 주장같지만 같은주장입니다. 몰입의 전제조건이 뭐지요? 편하게 쉬듯이 생각하는겁니다. 휴식시간을 갖는것과 편하게 공부하는것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습니다. 근데 이 몰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일반인이 하기 쉽지 않다는 겁니다. 그리고 환경적으로 50시간동안 그것만 생각할 시간적여유도 사실 없습니다. 하지만 50시간의 몰입은 일종의 경험으로 생각하십시오. 한번 경험한 아이는 3시간 10시간 몰입하는것이 아무래도 더 쉽겠지요? 즉 트레이닝과 경험의 효과가 있는것이지요. 오랫만에 제가 이렇게 글을 길게 쓰는 이유는.. 몰입과 기존의 공부방법이 서로 상반되는 의견이 있고 전 이것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였었고 .. 또한 수학을 오랫동안 잡고 푸느냐 10분정도만 풀고 답지를 필사하느냐 등에 의견에 대해서 고민이 있었습니다. 수학만 다시 말하자면 오랫동안 잡고 푸는것은 아주 아주 좋은 방법이고 극 상위권으로 갈수록 꼭 해야 되는 방법은 맞습니다. 고민하고 절망할수록 두뇌는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당신의 아이가 그렇게 할수 있나요?가 중요한것입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아이들은 힘들겠지요. 또한 하나만 더 묻자면.. 그렇다면 10분정도만 풀고 답지를 필사하는것만으로도 좋은 성적 좋은 대학을 갈수 있느냐? 이것또한 밎으면서도 틀립니다. 아까 말했지요. 교과서를 외워야 한다고 그게 먼저입니다. 외우고 나면 10분정도만 보고 답지를 필사해도 효과가 크고 50시간을 해도 큽니다. 다만 10분은 기본문제이고 중급 고급 수능기출문로 갈수록 그 10분 15분 20분 25분.. 그리고 수능기출문제는 1,2,3일정도는 붙잡고 생각해야 됩니다. 즉 문제마다.. 사항마다.. 다 조금씩 틀리다는 말이지요. 제가 이 분야에서 나름 전문가로서 어머님께 조언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첫째. 아이가 교과서를 외우게 하고 어머님꼐서 직접 물어보고 확인해라.. 이게 된다면 어떤 학원을 가던 어떤 인강을 보던 월등히 좋은 실력과 성적을 쌓을겁니다. 꼭 하셔야 합니다. 이게 안되면 다 필요없습니다. 둘째. 부모님꼐서 도서관과 유튜브로 각종 공부법에 대해서 배우셔야 됩니다. 그리고 그걸 아이한테 맞는 최적의 방법을 찾고 가르쳐주셔야 됩니다. 근데 이 공부법을 가르쳐준들 아이들이 잘 따를까 의구심은 드네요.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공부 잘하는 아이는 0.000001%로 안될겁니다. 까놓고 말해서 sky의대 100명정도 빼고는 나머지는 후천적 노력으로 쟁취해낸 아이들입니다. 즉 누구라도 sky의대 빼고는 노력만으로 충분히 가고도 남습니다. 위에서 말한것은 결국 공부법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것은 간절한 의지입니다. 왜냐면 간절한 마음을 뇌를 천재의 뇌로 바꿉니다. 우리 아기들이 2~3살때 언어습득력은 천재에 가깝지요? 즉 그때 아이들 뇌처럼 바꿔주는게 간절한 마음이니다. (이것은 뇌가소성이라는 개념입니다.) 아이가 왜 공부를 해야만 하는지 간절함이 없다면 구구단을 외워도 남들이 1시간에 할꺼 당신의 아이는 하루가 걸릴겁니다. 즉 아이가 공부를 해야만 하는 간절한 이유를 심어줄것... 그리고 공부법을 알려줄것.. 이 2가지가 합쳐져야 합니다. 간절한 마음을 심어주기 위해서 가난 코스프레도 좋습니다. 구멍난 양말을 신고 돈이 요새 궁하다.. 그리고 나의 자식아 너가 좋은 대학교를 가면 좋겠구나.. 뭐 이런것도 일종의 쇼지만 아이한테 엄청난 동기부여가 될겁니다. (꼭 그렇게 하시라는 건 아니지만.. 노력을 하셔야 된다는 의미에서입니다.) 전 기독교를 믿고(친절해라~~) 황농문 교수님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이 분야에서 나름 오래 고민한 사람으로써 왠지 모르게 오늘따라 글을 길게 썻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 @user-xo4nj6tn3w

    @user-xo4nj6tn3w

    10 ай бұрын

    @@NO.1_brain_trainer 긴답변 감사드립니다 잘 새겨듣고 실천해볼게요 ^^

  • @joo-heeryu368
    @joo-heeryu3688 ай бұрын

    저는 교수님말씀이 너무 교수님스러우신 듯....와닿지가 않아요. 50시간 몰입 경험이라니ㅜㅜ 그냥 시간이 아니라 무엇인가에 몰입의 경험이 좋은 것 같습니다. 그게 꼭 몇시간이어야한다는 아닌것 같고요.

  • @jiyunlee6695
    @jiyunlee669510 ай бұрын

    ㅋㅋ 웃기네

  • @amyfilm9916
    @amyfilm991610 ай бұрын

    성인도 수학 배울 수 있나요

  • @daegizatv

    @daegizatv

    10 ай бұрын

    그럼요. 미지의 수학문제를 놓고 고민하는 과정이 몰입의 기초단계입니다^^

  • @user-vr7fi7lk7j

    @user-vr7fi7lk7j

    10 ай бұрын

    ​@@daegizatv음 그럼 기초수학도 아예 안되있는데 과외같은거하면 될까요? 어떤식으로 피드백 받아야할지 모르겠어서요. 혹시 추천방식이 있으신가요?

  • @user-jj1mv8us7j
    @user-jj1mv8us7j10 ай бұрын

    마음이우주를통찰하는신령스러운신이다감이수통

  • @user-sw2pk2wj1h
    @user-sw2pk2wj1h10 ай бұрын

    암기과목은 어떠케 몰입을 해야됙니까

  • @daegizatv

    @daegizatv

    10 ай бұрын

    반복을 강조합니다^^

  • @Ballerina1111
    @Ballerina111110 ай бұрын

    어려워요ㅠ 평생몰입경험은 옛날에 연애했었을때랑 하루종일딸생각하네요~~!!^^

  • @daegizatv

    @daegizatv

    10 ай бұрын

    ^^

  • @user-hb6ug8rw4c
    @user-hb6ug8rw4c10 ай бұрын

    무슨말인지..ㅜ

  • @leelightspace9574
    @leelightspace957410 ай бұрын

    제목대로 영재된다고라? 누가 믿을까?

  • @IQ-jp2eo
    @IQ-jp2eo10 ай бұрын

    adhd는안되는데

  • @user-tg4kk9kn2d
    @user-tg4kk9kn2d10 ай бұрын

    그러다가 쉽고 재밌는거로 딴짓을 하죠 ᆢ

  • @user-jj1mv8us7j
    @user-jj1mv8us7j10 ай бұрын

    언제나보고듣고생각하고한마음연공 자명등법등명 울타리없는끝없는우주일세 소요유춤추는나빌레라

  • @user-np8wy2ze3o
    @user-np8wy2ze3o10 ай бұрын

    영재는 천재보다 좀 덜한 수준이 아니라 어린천재를 뜻하는거라네요

  • @R-E-S-3927
    @R-E-S-392710 ай бұрын

    결혼한 일반남자들은 거의 불가능 할듯 ㅎㅎ

  • @user-lc6kt5ip2l
    @user-lc6kt5ip2l10 ай бұрын

    킬러문제가 뛰어난 인재를 만드는데 정말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는데 우리 윤은 킬러문제 없애자고한다... 대한민국 만세...

  • @user-ny4rj8cv9k

    @user-ny4rj8cv9k

    9 ай бұрын

    윤은 대한민국의 인재를 만드는 일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 @jae-yunlee9631

    @jae-yunlee9631

    6 ай бұрын

    돈으로 사고파는 킬러문제는 교육의 기본 원칙인 기회의 평등에 어긋나지요.

  • @nuahtv
    @nuahtv10 ай бұрын

    엠씨분의 질문 퀄리티나 리액션이 교수님이 전달 하고자 하시는 맥락이나 컨텐츠 목적과 흐름에 조금 방해가 되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