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행세'까지 내니,,,소비자는 10배 비싸게 먹는다고? [풀영상] | 창 399회 (22.12.20)

#경매 #밥상 #자영업
"월급 빼고 다 올랐다" 오래전부터 직장인들 습관처럼 하는 말이라지만, 올 하반기엔 정말 이 말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외식비, 여행비, 의류비 등 아낄 수 있는 걸 아껴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이른바 '밥상 물가'로 불리는 먹거리 물가의 타격이 컸습니다.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지난달 5% 상승하는 등 7개월 째 5%를 웃도는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밥상 물가는 어떻게 정해지나?
단 몇 푼을 아끼기 위해 조금 멀어도 재래시장을 찾거나, 반찬 가짓수를 줄이거나, 아예 끼니를 줄이는 빈곤층도 적지 않습니다. 이제 '먹고 사는 문제'는 사람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일임과 동시에 당면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KBS [시사기획, 창]은 우리의 밥상 가격은 누가 어떻게 정하는지, 조금이라도 가격을 낮출 방법은 없을지 고민했습니다.
■ 가격 급등락의 비밀
농산물 가격이 정해지는 곳은 공영 도매시장입니다. 농민이 이곳으로 농산물을 보내면, 경매를 전문으로 하는 도매시장법인이 최고 가격을 쓴 중도매인에게 이 농산물을 판매합니다. 특히 서울 가락시장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이곳에서 유통하는 물량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만큼 여기서 결정된 가격이 국내 농산물 값의 기준이 됩니다. 농산물에 처음으로 가격이 매겨지는 것이죠.
그런데, 이 가격이 오락가락합니다. 단순히 수요와 공급의 법칙으로 이야기하기엔 보다 내밀한 사정이 있었습니다. 도매시장법인과 관계가 있는 농가엔 더 좋은 가격으로 낙찰되고, 그렇지 않은 농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을 받는 경향도 있었습니다. 공영 도매시장은 어느 농민도 소외됨이 없이 수확한 농산물을 원활히 유통할 수 있도록 설치된 건데, 이 공익적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여겨도 될까요?
■ 수수료를 '통행세'라 부르는 이유
이 공영도매시장에서 고등어, 삼치, 갈치 등 수산물을 오래 취급해 온 상인들은 경매를 담당하는 회사에 내는 수수료를 '통행세'라고 부릅니다. 회사에서 하는 역할이 별로 없지만, 어쩔 수 없이 내야 하는 비용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그들만의 용어입니다.
경매를 한 것처럼 꾸민다고 해서 '형식 경매'라고도 불리는 이런 불법 행위는 이미 중도매인의 63%가 처벌을 받을 정도로 관행이 된 형국입니다. 그래서 3~4%에 이르는 수수료를 정말 계속 내도 괜찮은건지 반문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결국 이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밖에 없는 구조니까요.
생산자는 원가 건지기도 어려운데 소비자는 비싼 값을 치러야 하는 가격의 모순은 올 하반기 내내 우리를 힘들게 했고, 연말을 지나 새해에도 계속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20일 밤 10시, KBS 시사기획 창 [누가 밥상 물가 흔드나]에서 가격의 숨은 비밀을 파헤쳤습니다.
#고물가 #밥상 #식재료 #소비자 #생산자 #농민 #어민 #자영업 #경매 #도매시장 #가락 #물가 #농산물 #가락동
취재기자 : 엄진아
촬영기자 : 왕인흡 조영천
영상편집 : 성동혁
자료조사 : 김나영
조연출 : 진의선 / 이정윤
방송일시 : 2022년 12월 20일(화) 밤 10시
KBS 1TV /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bit.ly/39AXCbF
유튜브 bitly.kr/F41RXCerZip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1 000

  • @user-uz2xq9ob1x
    @user-uz2xq9ob1x Жыл бұрын

    이거 취재한 기자는 진짜 상줘라 인간적으로

  • @mmonto8011
    @mmonto8011 Жыл бұрын

    경매사는 지마음대로 가격안나오면 반말찍찍하면서 경매 중단시키고 나가고/갑질오집니다... 이거 심각하게 보셔야 합니다.. 취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mr7fc2kn2m

    @user-mr7fc2kn2m

    Жыл бұрын

    헐 진짜요? 경매사 인격시험은 안보나보네요 쓰레기들..

  • @sinhan5425

    @sinhan5425

    Жыл бұрын

    @@user-mr7fc2kn2m 다 안그래요 중매인이 가격을 헐값에 부르면 경매사가 당연 욕하죠 헐값에 부르면 농부들이 그 경매 법인으로 물건을 안넣고 경매사 가 가져가는 수수료가 줄어들고 월급이 줄어들지요 경매사는 농부편이기 애매하죠 그러니 경매사가 중매인한테 가격 더 올리라고 욕도 하고 화도 내죠

  • @user-mr7fc2kn2m

    @user-mr7fc2kn2m

    Жыл бұрын

    @@sinhan5425 아하 설명 감사 해요

  • @joowoon3718

    @joowoon3718

    Жыл бұрын

    중간도매인 어서오고 ㅋㅋ

  • @user-ql3fg6zi1m

    @user-ql3fg6zi1m

    Ай бұрын

    😅

  • @user-qq5nv7nl5p
    @user-qq5nv7nl5p Жыл бұрын

    직거래가 답이다 유통단계를 줄여야해

  • @user-tw5xl5yj9o

    @user-tw5xl5yj9o

    Жыл бұрын

    택배비. 박스비 포함하면 7,000원의 유통비용이 추가됩니다. 그래도 농민에게는 이익인데... 소농들은 굵기 등 품질의 규격화가 쉽지 않네요.

  • @sajaeil9939

    @sajaeil9939

    Жыл бұрын

    맞긴한데요 제가 수박농사 지었는데 밭때기로 팔기는 하는데 수박 자르고 나르고 차에실고 트럭으로 이동하고 그곳에서 내리고 경매하는 과정까지도 몇천원 들어요 휴~~

  • @g-ge5297

    @g-ge5297

    Жыл бұрын

    @@user-tw5xl5yj9o 농사일만 해도 힘들어 죽겠는데 고객응대하고 포장하고 보내고.. 쉽지 않죠.

  • @user-tw5xl5yj9o

    @user-tw5xl5yj9o

    Жыл бұрын

    @@g-ge5297 네. 맞습니다. 은퇴를 앞둔 도시분들은 가장 성공적인 시골 사례를 보고 자신도 그렇게 할 수 있을거라는 착각을 하더라구요.

  • @user-oj5gp7qg1t

    @user-oj5gp7qg1t

    Жыл бұрын

    이럴거면 아예 구매자가 직접 찾아가서 캐 가는 것도

  •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좋은 기획입니다 수산물 농산물이 이 꼬라지인지 충격이었습니다 취재해 주신 분들 넘 감사하네요 더 세세하게 법인과 시장의 검역 수입 농산물 검역 등도 취재해 주세요 수입도 누가 독점해서 피해가 많다는군요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유통구조봉건국가 일본을 영원한 스승 삼아 모범답안으로 제시하는 고질병이 다시 시작된 건 옥에 티입니다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이제 베이비붐 세대 농업 215만명 농업인 은퇴하면 해외 농업회사가 그냥 지켜볼까...

  • @user-zr2zh6hc9o
    @user-zr2zh6hc9o Жыл бұрын

    중간상인들의 마진이 너무 많다. 생산자와 소비자들간의 직거래를 더욱 활성화 시켜야 한다.

  • @a_little_farmer
    @a_little_farmer Жыл бұрын

    물가오른다고 매번 단기적 수입하는 정부정책이 바뀌어야 된다고 봅니다. 기득권의 돈줄이된 도매시장을 개혁하고 지역농산물들이 지역에서 판매되는 로컬푸드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 @user-nd1nh6er3z
    @user-nd1nh6er3z Жыл бұрын

    힘들게 일하는 농.어민들이 넘 안타깝네요.. 주부입장에서 복잡하고 잘못된 유통과정으로 비싼값에 밥상차리는것도 속상하구요..ㅠ 어느정도 알고는 있었지만 많이 화가납니다ㅠ 좋은 기획으로 취재해주셔서 넘 감사합니다~~고생하셨어요~~

  • @bongkot339

    @bongkot339

    Жыл бұрын

    멍청하니까 힘들게 일하고 남에게 생산한 농산물을 떠넘기지 유럽 하다못해 일본농민도 적정생산 특정생산해서 운송 도매가를 직접 측정해서 판매하는데 기업도 어디에 무엇을 판매하기위해 공장을 설립하고 직접 인력시장에 단기 계약 등 사람을 고용해서 제품을 생산하고 운송 도매가를 산정해야 부도가 안나는데 농민은 머했슴 수십년동안 죽을거 같으니 무식하니 정부 지원해주고 생산하는 바보니까 판매를 정부가 해달라 요청했잔슴 많은 댓글에도 정부주도해달라 글이 올라오잔슴 그래서 혈세지원해주고 어떤 품종을 얼마나 생산하라고 강요했지 그걸 뭐했슴? 도매법인에 모든걸 떠맡기니 고양이가 생선을 가만 나두겠슴 멍청하면 멍청한 댓가를 받아야하고 생산물을 더 풍성하게 공부했듯 자신의 농산물을 지킬려면 누가 주인이 돼야 하겠슴? 자식을 낳으면 끝임? 어떻게 물을 주고 질좋은 비료를 주고 좋은 대학 직장을 갈수있도록 서로 머리를 맞대야 결과가 나오는거지 빚내서 강요받아 생산한 물건에 애착이라도 있을지 의문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서민도 매일 사 먹어야 하는 야채,우유,과일 등등 전세계 최고수준인 대한민국!! 한국보다 1인당 gdp한국보다 훨신 높은 미국,영국 보다 농산물 값이 많이 높다는게 말이 되나 ㅋ

  • @user-fh9ih6tq3x

    @user-fh9ih6tq3x

    Жыл бұрын

    그 촌넘들도 외제 사먹는다 무슨꼴이냐 하면 쌀값 야채값 없다면서 인스턴트 사처먹어

  • @user-df5bi5ib1q

    @user-df5bi5ib1q

    Жыл бұрын

    이나라는 부정부패로 국민들 눈만 높이고 결국은 망한다 ㅡ 자신의 일에 대한 프로 근성도 없어. 책임감도 없다 ㅡ

  • @user-ez8ec4ne5n

    @user-ez8ec4ne5n

    Жыл бұрын

    각 농촌지자체 별로 도시자치구와 자매결연식으로 직거래 활성화하면 소비자도 현실의 반값에 농산물을 구매 소비할수 있다

  • @user-qu1xg1bi4v
    @user-qu1xg1bi4v Жыл бұрын

    저도 블루베리 농사짓는 사람인데....아주 속시원하게 긁어주셨네요~ 틀린게 하나도없음, 특히나 경매사 부분은 당해보지 않은 농민은 알수가 없음...

  • @brighston

    @brighston

    Жыл бұрын

    경매꾼이랑 경매시장 다 없애야돼

  • @user-ip6dn1vb7x

    @user-ip6dn1vb7x

    Жыл бұрын

    네 농사지으시네요 이영상보고 제가호주마트 울워스 고추가격보고 깜짝 놀랐어요 100그램5000원 호주에서

  • @brighston

    @brighston

    Жыл бұрын

    @@qwertyu6744 무논리에 세상물정 어둡구나

  • @user-wo2pz9gc4k

    @user-wo2pz9gc4k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인터넷 직구해도 경매에서 오는 소매가와 다름이 없음

  • @brighston

    @brighston

    Жыл бұрын

    @@user-wo2pz9gc4k 그 이윤을 누구한테 줘야 질좋은 농산물을 계속 사먹을수 있는지가 중요한거지

  • @giokkim3227
    @giokkim3227 Жыл бұрын

    가락동 혁신없이 농민들 희망이 없습니다. 제주도 감귤, 월동무 가격 30년과 변화가 없습니다. 농가들에게만 혁신 하라고 하지말고, 경매제도, 관련기관 혁신이 필요 합니다. 피해는 농가와 소비자만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국회의원님 농수산물 경매제도 투명성 확보에 제도와 법개정 부탁 합니다. 관련 PD님, 기자님 수고하셨습니다.

  • @bongkku6474
    @bongkku6474 Жыл бұрын

    오래된 문제인데 개선이 안되고 있네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획기적인 조치를 해야 할 듯 합니다. 가령 경매 도매는 사실상 이익이 발생 될 수 없는 (수수료도 없는) 구조로 농수산부에서 직접 관리하는 방안과 유통과정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시장구조를 구측해야 될 듯 합니다. 이런문제 해결을 하라고 정부가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요????

  • @bongkot339

    @bongkot339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농협 도매법인 시장 에 매년 수천억 혈세가 지원돼는데 무수수료? 저 사람들이 농산물 중간차액과 정부혈세로 운영돼는데 국민이 다 저 카르텔을 먹여살리라 하면 세금만 늘어나지 멍청해도 심하네 농협 수협 도매법인시장에 막대한 혈세가 지원돼고 낙하산이 매 정권마다 내려와 관리하잔슴 농산부장관 부처 각구청에 수백 공뭔이 관리하잔슴? 것도 모르고 무슨 개소리를 수천억 전국 수천명 공뭔이 관리해서 저 꼬라지임 멍청한 국민과 멍청한 농민때문에 농협수협 도매시장법인 카르텔을 양산했고 멍청한 농산물을 그 카르텔에 가격 운송 모든걸 맡겨서 저꼬라지임 영상에도 나왔듯이 유럽 일본농민만 하더라도 적정 특정 농산물을 농민이 생산 운송 도매처 단가거래 직접함 그나머지 과잉생산물만 중간 도매시장에 넘겨버림 농민똥을 언제까지 정부에 모든걸 바람 또 혈세를 뿌려? 그럼 세금을 또 증액해야는데? 머 조선시대여? 징징짜면 정부주도 소리만 하게 시민도 못다니는 용산특정지역에 재설작업하는데만 혈세8천만원이다 정부주도하에 하니까 8백만원을 용산주민에게 주면 재설 해 줄것을 언제까지 정부에 바라나 배울만큼 배웠잔아 자식농사해서 농민들 자식자랑 잘하잔아 그 고등인력으로 머해 바보야?

  • @elen196

    @elen196

    Жыл бұрын

    @@bongkot339 좀 말을 정리 좀 해서 말해라. 횡설수설 뭔말하는지 하나도 모르겠네. 댓글이 말하는건 중간에 부정하게 발생하는 과도한 수익을 정부에서 견제하자는거잖아. 누가 세금써서 도매상 보상해주라했냐? 그리고 용산은 또 왜나와 ㅋㅋㅋ 제설이 무슨 삽들고 여러명 나와서 치우면 끝나는거냐? 너같으면 8백만원으로 제설차나 제설용품 사고 사람 모을 수 있음? 그냥 정부불신, 불만만 가득한 사람이네

  • @user-bl9vs1hu2g

    @user-bl9vs1hu2g

    Жыл бұрын

    바보누? 자유민주주의 시장에 정부가 개입하면 공산당인대 모르노?

  • @user-db8bl9xu9k

    @user-db8bl9xu9k

    Жыл бұрын

    공무원이 들어가면 더 비싸짐. 가장 비효율적인 조직이, 공무원이다. 세금만 들어간다. 아무것도 하지말고, 자유시장에 맡겨라.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서민도 매일 사 먹어야 하는 야채,우유,과일 등등 전세계 최고가 수준인 대한민국!! 한국보다 1인당 gdp한국보다 훨신 높은 미국,영국 보다 농산물 값이 많이 높다는게 말이 되나 ㅋ

  • @user-tw5xl5yj9o
    @user-tw5xl5yj9o Жыл бұрын

    농민들은 농협 유통시장에 출하하고.... 버리고 왔다는 표현을 씁니다. 마트물가를 아는 사람으로서는... 정말 내다버린 기분입니다.

  • @megu__korean

    @megu__korean

    Жыл бұрын

    너무 슬퍼요... 농민분들 얼마나 가슴이 아플까요 자식같을텐데

  • @user-nf6yn3jy4c
    @user-nf6yn3jy4c Жыл бұрын

    좋은 취재 ~ 정말 감사합니다. 이 방송을 정부 관계자는 꼭, 보고 지금이라도 잘못된 부분은 바로잡고 제대로 된 정책을 내놓기를 바랍니다.

  • @fifteenjune6280
    @fifteenjune6280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문제가 생산자, 노동자... 이들 노력의 결과를 중간 유통자가 과다하게 부풀려서 착취해간다는거죠... 머랄까... ㅠㅠ 착취를 위한 아주 오랜 사회구조가 문제에여..

  • @sangyounnamn2116
    @sangyounnamn2116 Жыл бұрын

    진짜 심각하구나.... 유통이며, 법이며 진짜 심각하다. 돈이 직접 땀을 흘려서 일한 사람한테 유입이 되는게 아니고 흘린 땀을 훔치는 사람한테 돌아가네... 아이러니 하구만

  • @sm37531
    @sm37531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우리 농산물 먹을수있게 포기하지않는 농민들 감사해요 산지직송이라는 생협도 비싸고요 생산자 직거래 사이트면 좋겠네요

  • @user-jc3rk2vo8f

    @user-jc3rk2vo8f

    Жыл бұрын

    농사 지으면서 판매까지 하기 힘듭니다. 농산물이 생물이다보니 생산량을 적시에 전부 판매하기도 어렵구요. 나라에서 공무원이 경매 봐야한다고 봅니다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이제 10년 안 남았을겁니다. 우리 아버지가 63세...막내 입니다. 근데 힘들다고하십니다. 해외 농업회사 수입산이 저렴하게 안 들어올 날이 오겠네요.뻔히 보입니다. 농민이 가격제시하고 경매 협상 없습니다.

  • @user-wx4vr8je7w
    @user-wx4vr8je7w Жыл бұрын

    농산물 전국 일터넷 사이트에 전국 농민 교육시켜서 직거래 직접 택배, 책임제도 활성화 시켜야 합니다ㆍ

  • @user-sd6je2np8s

    @user-sd6je2np8s

    Жыл бұрын

    그게 농산물 소량은 오히려 손해남 택배비 포장비 하면 답안나옴 솔직히 그런거 때문에 거점인 농협이 있는데 농민들한테 빨대만 꼽고 좋은 지점들을 이용하여 유통 활성화를 안함

  • @user-ul9uv7df2x

    @user-ul9uv7df2x

    Жыл бұрын

    @@user-sd6je2np8s ? 인터넷에서 직거래로 키위랑 부추 직거래로 판매 하시는분들은 나름 짭쪼롬하게 번다던데요? 택배포장 운송과정은 솔까 파는사람 능지수준이 딸리면 나가리인거고 가장 시급한건 인지도랑 이를 연결해줄 대형플랫폼의 부재인듯 싶은데요? 배달의 민족같은...

  • @user-fp6tt6mb1b

    @user-fp6tt6mb1b

    Жыл бұрын

    @@user-sd6je2np8s 쿠팡에서그런거나해주면참좋을텐데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서민도 매일 사 먹어야 하는 야채,우유,과일 등등 전세계 최고수준인 대한민국!! 한국보다 1인당 gdp한국보다 훨신 높은 미국,영국 보다 농산물 값이 많이 높다는게 말이 되나 ㅋ

  • @hclee5391

    @hclee5391

    Жыл бұрын

    @@user-sd6je2np8s 10배차이인데 택배비 포장비 하면 답안나온다고? 2~3배만해도 남겠는데? 그리고 요즘 포장비 택배비 따로받는 공산품도 얼마나많은데…

  • @user-wx4vr8je7w
    @user-wx4vr8je7w Жыл бұрын

    농산물 직거래시장 국가차원에서 활성화 시켜야 합니다ㆍ 주민센터, 아파트 장터,인터녓교육 판매등~ 농산물 수수료만 챙기는 도매법인은 없애고 국가가 직접 관리해야 합니다ㆍ

  • @jehajeon9727

    @jehajeon9727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 뒤 딱아주다가 저런 법인에 평생직장으로 들어가는 것들이 있는데 나라에서 직거래를 더 만든다구요? 그냥 어디 주민단체가 출하농민하고 직거래 트는게 빠를듯.

  • @bongkot339

    @bongkot339

    Жыл бұрын

    멀 자꾸 정부주도하에 해달라함 안그래도 농협 도매법인에 수천억 혈세 퍼붙고 있는거 모름? 이거 농민이 시위하고 난리펴서 조삼모사됀거 머만 문제생기면 정부주도하라고 농협 도매법인 혈세로 정부주도하에 만들어진거고 농민이 요청한거고 혈세 퍼붙고 도매상 만들어주면 누가 주가 돼야함? 도매시장에 물건이 누가 생산한거임? 농민이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것인지 도매법인에 모든걸 넘기고 운송 도매가를 맡길건지 아니면 납품처를 만들고 운송은 어떻게 하고 가격은 어떻게 할것인지 정하고 운영해야지 유럽처럼 농민 주도로 멀해야지 왜 정부에게 혈세달라 혈세주면 그냥줌? 갚을때까지 매년 얼마의 특정농산물을 생산 압박 강요받는데 정부가 주도한 도매법인이 전국에 농협 도매시장인데 또 농민은 거지돼고 소비자는 눈탱이 맞을건데 생각 좀 하고 삽시다 하다못해 일본농민도 적정생산 특정생산해서 집적 운송판매함 한국처럼 도매법인 카르텔이 없슴

  • @vulcanyou6743

    @vulcanyou6743

    Жыл бұрын

    그럼 국가 세수는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서민도 매일 사 먹어야 하는 야채,우유,과일 등등 전세계 최고수준인 대한민국!! 한국보다 1인당 gdp한국보다 훨신 높은 미국,영국 보다 농산물 값이 많이 높다는게 말이 되나 ㅋ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국가에 모든 중계,중간 브로커 는 ai전자 시스탬 으로 가야 한다!!

  • @SEI99207
    @SEI99207 Жыл бұрын

    우리나란 사기꾼이 넘 많아 다 깜빵에 처넣어야된다 이게 말이되나

  • @Nick-lg6je

    @Nick-lg6je

    Жыл бұрын

    석렬이는 이런 건 모두 합법이라 장려함..ㅋㅋㅋ

  •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M A 사기꾼뜻을 모름?

  • @wilkinsonlee9278
    @wilkinsonlee9278 Жыл бұрын

    소비자와 농민간 직거래가 가능할 수 있는 걸 나라에서 적극 만들어야 한다고 봄

  • @user-zl8jg8pl5x

    @user-zl8jg8pl5x

    Жыл бұрын

    그것을 못하게 막는 곳이 경매 하는 회사 입니다.

  • @user-ib4zb4uq2x

    @user-ib4zb4uq2x

    Жыл бұрын

    농민-마트-소비자

  • @user-tj8wg2lj6j

    @user-tj8wg2lj6j

    Жыл бұрын

    근데 웃기는게 생산지에서 열리는 직거래 장터 같은거 한번씩 가보면 개뿔 그닥 싸지도 않음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경매사 다 짜르고 매달 감사 받는 ai인터넷 전자 경매 로 전환해야 한다!!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모든 분야에서 중간 유통단계 늘려 중간에서 날로 때먹는 것들이 너무 많아요 ㅋ

  • @user-yu6tn8ik9i
    @user-yu6tn8ik9i Жыл бұрын

    5년전에도 비슷한 다큐봄 절대 안바낌

  • @user-fs8ej4em6q

    @user-fs8ej4em6q

    Жыл бұрын

    저도 본거같아요, 중도매인 밉보여서 떠넘기기 당한후 자살했던..

  • @November441

    @November441

    Жыл бұрын

    전체 시장을 뒤집어 엎기전엔 힘들듯.

  • @khkim-sh8wm
    @khkim-sh8wm Жыл бұрын

    이 프로그램의 시청율이 높아지길 바랍니다. 너무 좋은 프로에요.

  • @user-xr2um8ek5w
    @user-xr2um8ek5w Жыл бұрын

    너무 심하다... 대충 어느정도는 예상했는데 상상 이상이다 미쳤다

  • @ATTSV
    @ATTSV Жыл бұрын

    이런 뉴스를 대체 언제까지 봐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정부는 대체 뭘하는건가요.....? 소비자와 농민 직거래가 더 활성화 되야할것 같네요

  • @user-ib4zb4uq2x

    @user-ib4zb4uq2x

    Жыл бұрын

    님말은 중간 상인들 죄다 밥그릇 없애라는겁니다.... 농민보다 상인들이 정치권에 입김이 더 쎕니다. 괜히 정치인들이 선거때되면 전통시장가는게 아니죠... 직거래는 대기업만 할수있는겁니다. 그걸 막은게 바로 대한민국의 국민...투표로 심판했음... 지금 젊은 세대는 그게 잘못된 선택이라는걸 이제야 안거고... 그때 당시는 불법 노점상도 불쌍하다고 날리치던 시대였음....

  • @user-nc2dw2ul6d

    @user-nc2dw2ul6d

    Жыл бұрын

    ​@@user-ib4zb4uq2x 밥그릇 다없애야지 그럼 내가 농산물 사는데 왜 중간업자 다챙겨줘야함 지금이 보부상 있던 조선시대임? 정치 이야기하는 틀딱들은 제정신이 아님 ㄹㅇ

  • @aa-rz1ht

    @aa-rz1ht

    Жыл бұрын

    근데 이미 유통업종사자들이 너무많아서 그것도문제임 ㅇ ㅇ 그냥 인구감소로 자연스럽게 감소시키는게 답임

  • @choi3841

    @choi3841

    Жыл бұрын

    광역,지자체 주관으로 직거래장터가 많이 활성화되곤있습니다만 아무래도 인지도나 참여하는 농민들의 숫자가 적어 크게 시행하지는 못하고있는 처지죠

  • @user-zn5rm8yw9t

    @user-zn5rm8yw9t

    Жыл бұрын

    @@user-ib4zb4uq2x 맞습니다. 마트 주말 휴무 이런 게 다 대기업을 막기 위한 방법이었습니다.

  • @Infinity-korea
    @Infinity-korea Жыл бұрын

    솔까 가장 억울한게 빛내고 개고생해서 키운 작물 제 값도 못받고 파는 농민분들이죠.... 노동 강도는 진짜 노가다 상급 난이도 수준에 정말 할일은 많은대 돈도 안됀다는게 문제임. 식량 위기도 시작 되어가고 있는대 .....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수입산 좋아해서 무능해져가는거죠. 항상 마트가면 품절은 없으니깐요. 공산품 물가폭등은 아무말 없고 농산물은 만만하니깐...좀만 오르면 정주비축 풀어놓고 폭락하면 산지폐기 아무말 없음(농촌 밭 보면 그대로 눈에 덮여있는게 즐비할거임.

  • @user-jx1or8mw2p
    @user-jx1or8mw2p Жыл бұрын

    난 포도농사 농민. 생산자조합의 임원들 경매단가는 늘 높게 나온다. 이게 유통비리의 증거. 농민과 소비자는 봉이다.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포도🍇도 사과처럼 꽃 적화해서 알맹이 간격 크기 결정하나요? 그대로 둡니까? 우리 아버지 세대 끝나면 없어서 수입하겠죠...뭐 변하기에는 늦은거 같습니다.

  • @user-jx1or8mw2p

    @user-jx1or8mw2p

    Жыл бұрын

    @@user-go6vc1ln9s 포도는 개화기에 꽃이 많이 떨어지기에 알맹이 생성된 후에 알솎기를 통해 간격을 유지해서 키우지요.

  • @Ss-og7cp
    @Ss-og7cp Жыл бұрын

    뭐든중간다단계를없애 버려야 됩니다

  • @user-lo6kw8oh4u
    @user-lo6kw8oh4u Жыл бұрын

    농민분들이 고생이 많으십니다 항상 감사히 먹겠습니다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오냐~! 비록 중매인들이 정한 가격이지만... 올해 가을배추 밭에 그대로 산지폐기했다. 몇년전에는 달걀 크기 감자가 20kg에 3천원 이하 불매 받았다...그래서 마트를 가보았다...봉지 소포장 500g씩정도 된게 3천원정도 받더구나...소비자와 농민은 바보가되었다.

  • @crazysun1818

    @crazysun1818

    Жыл бұрын

    오냐래 ㅋㅋ 😂😆

  • @user-cw2rt4cb7x
    @user-cw2rt4cb7x Жыл бұрын

    시스템좀바꿔주세요 농협은 누굴위해존재하는가

  • @sean-oq4ss
    @sean-oq4ss Жыл бұрын

    100% 도매시장법인의 회장과 정치인과의 결탁이 있지 않고 서야 저렇게 오랜 기간 동안 제도가 바뀌지 않는 건 분명 정치의 결과다!

  • @user-io3jt7oo7h
    @user-io3jt7oo7h Жыл бұрын

    정말 문제에요 판매체계를 줄여서 농부들에게 이익금을 환원 시켜야 해요. 생산자에서 소매상 으로 직접 납품 하게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주세요 농협이 문제입니다 농협,수협 에서 중간 마진 없이 중제 해줘야 합니다

  • @jinhasin7313
    @jinhasin7313 Жыл бұрын

    국회 직원들은 도대체 뭐하는 거냐 ㅡㅡ 이런법을 고쳐라 유통과정이 너무 복잡하다

  • @user-cb3lz1dk1n
    @user-cb3lz1dk1n Жыл бұрын

    먹거리의 이면을 볼 수 있었습니다. 좋아져야 할 점이 많네요. 재밌게 잘 봤어요~

  • @user-zt2lc1my5w
    @user-zt2lc1my5w Жыл бұрын

    한주제를 깊숙히 파고드는 기획에 감탄하며 응원합니다 언론의 순기능

  • @user-xz9uv1zg8l
    @user-xz9uv1zg8l Жыл бұрын

    이런 부조리를 수십년동안 개혁못한 이유가 결국 기득권의 저항 이겠죠. 거기다가 공무원들의 무사안일. ㅜ ㅜ

  • @user-vd9do6qn9h
    @user-vd9do6qn9h Жыл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 유통구조 문제가 있는걸 다알면서 안바뀌는게 심각하다..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농부가 가격 제시하고 구매자하고 협상한다고? 6년간 들어보질 못했다. 없거든요. 시한폭탄 얼마 안 남았다. 준비되셧죠 다들?

  • @user-er3ow5nh8o

    @user-er3ow5nh8o

    25 күн бұрын

    터무니없는가격으료이득취하는중간도매상들최하벌금100만원제정하고두번걸릴때는구속시겨야한다!국개의원들일좀해라세비1억5천받아처먹고국민들에게부끄럽지도않나!

  • @alexl0890
    @alexl0890 Жыл бұрын

    물가가 미국이나 유럽보다 비싸다는게 말이 안된다.

  • @nonamed7163

    @nonamed7163

    Жыл бұрын

    아니 내수사장이 작고 원자재 수입비중이 존나 높아서 물가가 비싼건 말이됨.. 하지만 너무 비쌈 거품이 있지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국가에 모든 중계,중간 브로커 는 ai전자 시스탬 으로 가야 한다!!

  •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모든 분야에서 중간 유통단계 늘려 중간에서 날로 때먹는 것들이 너무 많아요 ㅋ

  • @DogunMaster
    @DogunMaster Жыл бұрын

    경매 공정성이 지켜질수 없는 상황이네요 조속한 조치가 필요할거 겉습니다

  • @brighston

    @brighston

    Жыл бұрын

    당장 농수산물 시장부터 없애야 됩니다. 음식물 쓰레기도 쓰레기지만 그 착취의 세월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조속히가 아니라 이미 늦었음. 우리 아버지 세대분들 은퇴하면 끝. 1~20년 남았으려나요. 슬픈 세상이 뻔히 보인다 보여.

  • @rdmmechguy3361
    @rdmmechguy3361 Жыл бұрын

    덴마크는 마진률을 법으로 정해놔서 단계별 13%를 넘지 못하도록 막아놨습니다. 비용처리 포함해도 가격이 3배 이상 오르지 못합니다. 농민소득은 높고 소비자는 저렴하게 구입하고.

  • @user-sls4200
    @user-sls4200 Жыл бұрын

    누구를 위한 도매시장인가 라는 생각을 오래전부터 해왔었는데 이정도 일줄은 몰랐습니다. 기획하고 취재하신 분들께 감사합니다.

  • @applepiemypie
    @applepiemypie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진짜 우리나라 아직 멀었다는 생각이..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녹색창 검색으로 215만명 종사자 나와요. 1~20년 후에는 100만명 이하 나올거 같아요...? 영상처럼 대농이 경매가 많이 나온다는 통계. 즉 215만명 중 물량 영향을 줄 농가가 몇십만명 될지... 청년농 비율이 소문으로만...1%이하...

  • @BitCoinResistance

    @BitCoinResistance

    11 ай бұрын

    훠훠훠... 대한민국은..션진국입니다!!

  • @user-nu5ok9lv6r
    @user-nu5ok9lv6r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운현실입니다 유통 과정을 단순화 직거래 활성화 공정한 경매를 하도록 제도 개선하여 생산자 소비자 모두를 이롭게 하여야 합니다

  • @Staatssi
    @Staatssi Жыл бұрын

    1000원 짜리 물고기가 1만원이 되는 기이한 현상 100원짜리 오이가 1000원이 되는 기이한 현상 중간 유통 업자를 족치지 않는 이상 이 상태는 영원히 변하지 않음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20kg 3000원 작은 감자가 마트에 소포장 봉지가 3000원하는 마법.

  • @user-zr2zh6hc9o
    @user-zr2zh6hc9o Жыл бұрын

    경매사들의 담합을 강력하게 처벌해야 합니다

  • @user-lu3ln3qi2b
    @user-lu3ln3qi2b Жыл бұрын

    대파 평당 20단 전후 나오는데 상인이 밭으로 사는게 평당 천원~천오백원정도에 거래됨. 몇배가 누구주머니에 들어가나...

  • @Pharos_Lighting
    @Pharos_Lighting Жыл бұрын

    10배 남긴다니 심각하네요. 이러다간 직거래로 다 사먹을 판입니다. 가격에 밀려 사양되는 자업자득이 되겠네요.

  • @brighston

    @brighston

    Жыл бұрын

    직거래 아무 문제 없습니다. 그 대신 품질 검증 단계가 올라가야죠.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1인가구 증가, 직거래 사먹어도 못 먹어서 버려지는게 있을거임. 요리 안하는 추세. 온라인 직거래 누가 개설해줄 것인가.

  • @user-to4mi3fp5j
    @user-to4mi3fp5j Жыл бұрын

    생산자인 농. 어민은 어떻게 보호해주고 있는지 ....... 농. 어민들의 피땀어린 생산물들로 중 도매인들이 돈 버는 구조는 아닌지....... 제대로 파악하고 유통구조 개선해야 합니다

  • @user-nj5gw7wj9z

    @user-nj5gw7wj9z

    Жыл бұрын

    😙 😊😊ㄴ😉ㄴㄴㄴㆍ😉ㄴ😊ㄴㄴ😙😚😊ㄴㆍ😉🤤

  • @UKKZ-
    @UKKZ- Жыл бұрын

    저런 일은 수십년 전부터 있었지 작물을 수확해야 하는데 인건비도 안나오니까 트랙터로 다 갈아버리는 일도 종종 있었고 그렇다고 외국처럼 대규모로 하는 사람들도 그리 많지도 않고 이렇게 하다가 농업이 축소되고 수입 의존하면 그 또한 나중에 문제가 되고..에구

  • @jinyoungyang4233
    @jinyoungyang4233 Жыл бұрын

    고생하는 농민들에게 많은 이익이 돌아가면 좋을텐데 안타깝네요. 직거래가 많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 같아요. 취재하시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을 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 @user-ln8sl9hz4r
    @user-ln8sl9hz4r Жыл бұрын

    함정은 직거래해도 싸게 팔지않음

  • @musicianthe4128
    @musicianthe4128 Жыл бұрын

    이게 드디어 나왔네요 정말 매일 같이 고생하는 농민들이 돈 벌어야 하는데 유통 카르텔이 확실해 지네요

  • @nbrwook
    @nbrwook Жыл бұрын

    이게 한 두번 나오는 것도 아니고 농협 직거래라는데 대형마트보다 비싼 농산물도 많고 담합해서 해 처먹는 넘들이나 단속하지 않는 넘들이나 계속해서 취재를 진행하면 좋겠네요

  • @rldktkd4520
    @rldktkd4520 Жыл бұрын

    저는 농사 일을 7살 때 부터 아버지를 도와 해 왔지만 4학년 때는 국회의사당 앞에서 쌀 5000천톤을 불 태우는 대모를 했지만 아무런 대체이 없었다.

  • @nomadanomie4753
    @nomadanomie4753 Жыл бұрын

    정말 오랜만에 수신료의 가치를 느끼네요, 좋은 기획 감사드립니다.

  • @gracemir2
    @gracemir2 Жыл бұрын

    한국 유통구조 문제는 이미 30년 전부터 똑같은 문제엿슴. 전~~~~~~~~혀 바뀌지 않앗슴. 바뀐건 잇는 놈들이 더 가져가는 구조가 됨

  • @user-vx9bm8le9d
    @user-vx9bm8le9d Жыл бұрын

    전남 영암에서 대봉감, 한우 사육하면서 직장 다니고 있습니다 유통 마진 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대봉감 직저래 계획중인데 꼭 시세보다 싸게 하겠습니다

  • @user-mo6ly8jp3o
    @user-mo6ly8jp3o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장사가 돈 번다는 말이 나온거죠!...정작 재배해서 일 한 사람들이 더 벌어야 하는건데 말예요!!~

  • @hodupiene
    @hodupiene Жыл бұрын

    내가 내는 TV수신료가 아깝다는 생각만 해왔는데...이렇게 좋은 프로그램 만들어줘서 고맙습니다

  • @juju24711
    @juju24711 Жыл бұрын

    제일 좋아하는 시사다큐프로그램 창👍

  • @life_traveler
    @life_traveler Жыл бұрын

    경기불황이라 물가 오른다는 이야기 속에, 사실은 이런 진실도 있었군요...

  • @jyjeong4894

    @jyjeong4894

    Жыл бұрын

    불경기는 허울좋은핑계일뿐

  • @user-ts5uz7zd1g
    @user-ts5uz7zd1g Жыл бұрын

    농협공판장이랑 중도매인 만 돈버는구조 ㅋㅋㅋ

  • @jihunseo4699
    @jihunseo4699 Жыл бұрын

    유통구조 단순화 시켜야죠. 지금의 시스템은 정말 문제 많은듯. ㅡㅡ

  • @user-es4hf7ko4j
    @user-es4hf7ko4j Жыл бұрын

    직거래 유통을 허가 해주자

  • @user-cs4kr1sg6m
    @user-cs4kr1sg6m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입니다. 문제점 해결에 좀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겠군요.

  • @shitharthaa3768
    @shitharthaa3768 Жыл бұрын

    농부입니다. 우리나라.농산물 유통 구조개선하려면 가락시장을 없애야 합니다. 모든 거품과 부조리가 저기부터 시작됩니다. 가락시장 없애야합니다.

  • @steavegates12
    @steavegates12 Жыл бұрын

    자본경쟁주의 세상에서는 1. 마진이 높은 어떤 아이템 (이번 경우는 중간 유통)이 존재한다 2. 그렇다면, 그 마진을 먹기 위해 신규 자본이 들어온다 3. 그렇게 경쟁하며 정당한 마진까지 내려오며 엣지 (비효율로 인한 추가마진)이 사라진다 이런 순입니다. 자본경쟁주의 세상에서는 이렇게 될수 밖에 없고 (돈많은 사람이 이런 획기적인 마진이 남는 시장에 들어오지 않을리 없으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시장가는 정당하게 내려오는 것입니다. 만약 농부들이 현 유통과정이 너무 비효율적이라 생각한다면, 본인이 유통에도 뛰어들어서 그 비효율조차 자신의 이익으로 만들면 되는 것입니다. 만약 그게 불가능하다면, 지금 시스템이 현 상황의서에 최선이고 농사란 아이템이 그저 수익성이 떨어지는 것일 테입니다.

  • @steavegates12

    @steavegates12

    Жыл бұрын

    그렇기 때문에, 담합같은 반경쟁적인 부분에 대한 엄청난 과징금을 때려야 합니다. 이게 그야말로 한국의 가장, 그 무엇보다도 더 큰 문제인 겁니다.

  • @steavegates12

    @steavegates12

    Жыл бұрын

    여담으로, 한국인들 개개인의 인식과 인성도 중요합니다. 일본인들이 법이 잘 되어서 잘 돌아가는게 아닙니다. 두꺼운 법은 덜 지키는 사람들이 더 많을수록 생기는 것입니다.

  • @sajaeil9939
    @sajaeil9939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농사 지어봤지만 고생고생 개고생 말도 못해요 일요일 휴일도 없어요 맘 아프네요

  • @user-tt2ws5so3w
    @user-tt2ws5so3w Жыл бұрын

    소비자들이 똑똑하게 생산자 직거래해서 농수산법인들도 망한다는거를 보여줄수있어야되는데 잠시뿐이라~~ ㅠㅠ 다들 아사리 쿠 *에서 시켜드시면 농민들도와주는거입니다 직거래연결해주거든요

  • @11121212able
    @11121212able Жыл бұрын

    내가 배민에 입사해서 이런 유통구조 개혁을 시도 하면 어떨까 하고 기획연습 해보는셈 치고 조사해보니까, b2b 농산물은 이미 사기업들한테 선점되있고, b2c농산물시장은 농협이 꽉잡고있음. 만약 저 유통구조를 바꾸려하면 전국 중개업자들 시위 나올거임. 한미 농산물fta때도 농업인 말고 유통업자들도 많이 나왔음. 그리고 농산물 시장 자체가 크지가 않음. 10조 즈음됨. 사기업이 파고들 자리가 크지가않음. 결론은 가락시장 과 같은 곳에서 부풀려진다는거임.그리고 그걸 막을 이유가없는게 농사꾼들은 그 깡촌에서 팔수있는 대상찾는게힘듬. 이걸 바꿔보려고 내가 사기업들 일본사례들 다 찾아봤는대 개개인이 고칠수가없음. 만약 저 구조를 바꾸고 싶으면 농사짓는쪽에서 농사꾼 수십명 모아서 마트나 시장에 납품할 조합이나 기업을 세우면되는대. 그렇게 세워진게 농협임.

  • @user-db8bl9xu9k

    @user-db8bl9xu9k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농협은 갑질하죠. ㅋㅋ 그걸, 깨는 방법은 대규모 농업전문회사가 생산해서, 유통회사랑 거래하거나, 직접 유통까지 담당하는건데. 그거는 농민들이 들고 일어남. 대농이 한번 할려다가 못들어감.

  • @user-wq5xh1ex2x

    @user-wq5xh1ex2x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그이유는 우리나라 내수 파이가 너무작아서.. 악의 순환고리네요

  • @user-pl2um2md6m
    @user-pl2um2md6m Жыл бұрын

    복잡한 유통경로 단순화가 필요하다

  • @user-ss8fm2fv4b
    @user-ss8fm2fv4b Жыл бұрын

    시장일 보면 진짜 농협이 마피아임

  • @user-xo4od4kz5y
    @user-xo4od4kz5y Жыл бұрын

    이 문제는 사실 소비자빼고는 다 알고 있는 묵인하고 있는 부분이죠 몇십년전부터 그저 행해지고 있는 관례아닌 관례입니다 쉽사리 없어지지 않죠 절대로

  • @yhb6604
    @yhb6604 Жыл бұрын

    피자 자영업 하는 사람입니다. 1년전 18000원 하던 2.5kg 치즈가격이 지금 26000원 가량으로 엄청나게 올랐습니다. 코로나 핑계 우크라이나 전쟁 핑계 온갖 핑계로 올라가고 남는게 없어 월 2천을 팔아도 힘든상황입니다. 누군가는 이렇게 중간에서 부당한 이익을 챙기는 집단이 분명 존재한다고 믿습니다.

  • @alexshin2623
    @alexshin2623 Жыл бұрын

    유통이 힘이 엄청나게 큰가 보네요 아무리 해도 바뀌지 않으니.

  • @tamurtdesign1084
    @tamurtdesign1084 Жыл бұрын

    소고기도 취재해주세요. 현재 한우는 더함. 중도매인이 도축장과 선매입을 하면서 내장의 경우 서류상 유통을하면서 수수료를 마리당 35000원씩가져감. 또한 공판장에선 옛 정부때 묵인해준 장애인 고엽제 등등 기타 단체들이 관여되어있어서 이들도 마리당 35000원의 수수료를 서류상 착취해감. 이들은 전혀 소부산물에 관여안하고 세금같이 당연한 권리같이 가져감. 이것도 가끔 신문에나오는데 다큐처럼 이슈되면 큰 파장날듯

  • @kms00257
    @kms00257 Жыл бұрын

    먹는 것은 매우 중요해서 국가에서 어느정도 개입하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만약에 농민들이 농사를 포기해버리면 식량자급률이 매우 떨어질테고 수입농산물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농민들이 고생하는 만큼 금전을 벌 수 있도록 국가에서 일부분은 보장하면 좋겠습니다 아무 체계 없이 순전히 시장에 맡기니까 중간상인들이 부자가 되는 기현상이 발생하잖아요

  • @user-xc6mm4cc4k
    @user-xc6mm4cc4k Жыл бұрын

    배추 2500원 산지 소비자 12000원 너무한거 아니냐 농부는 생산비 인건비랑 운송비도 빼야하는데 썩어도 너무 썩었다 의식주 문제만 해결돼도 인구수가 안줄어 드는데 집값비싸 수입적어 물가비싸 3가지만 해결하면 출산 문재해결 된다 기자님 취재수고하셨습니다 전국민이 다봤으면 좋겠네요

  • @healingvibes8206
    @healingvibes8206 Жыл бұрын

    진짜 에휴.. 이 미친세상

  • @navykhs77
    @navykhs77 Жыл бұрын

    영덕대게 소규모로 잡는 선장님은 그냥 경매에 안붙이고 그냥 주변 지인에게 다 팔더라구요 ! 그래도 물량이 항상 부족하더라구요!

  • @user-ek7ed7mw7t
    @user-ek7ed7mw7t Жыл бұрын

    고생하십니다

  • @user-rl5jp3vo1n
    @user-rl5jp3vo1n Жыл бұрын

    2년 전 시사기획 창에서 농산물 유통구조를 다룬 걸 보고 지금 또 다시 보게 되었다. 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도매법인, 경매사들이 가격을 마음대로 정해서 유통시키는 것은 큰 문제다. 그리고 건설사들과의 로비도 무시할 수 없는 게 자기네들끼리 마진 혹은 커미션을 다 나눠쳐먹고 소비자들에게 비싸게 물건을 판다. 이러니 농민은 물건을 제 값에 못 주고 팔아서 문제요, 소비자는 비싼 돈을 주고 구매해서 문제다. 이런 불합리적이고 자기네들만의 리그를 펼치는 승자독식 주의식 유통구조가 무너져야 한다. 이건 유통카르텔이자 식탁물가, 더 나아가 식량안보를 위협하는 주범들이다. 이래서 정부가 나서서 돈 가지고 장난치는 것들을 조져야 한다. 그런데 지금 정부는 물가안정에 관심이 없어 보인다. 사실 어느 누구도 농산물 가격을 제대로 손을 본 정부가 있는지 모르지만 정부가 나서서 일을 해야 한다. 그리고 생산자 즉 농민과 소비자의 직거래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복잡한 유통과정을 간편히 하고 중간단계를 거치는 일이 줄어야 농민과 소비자가 서로 윈윈하고 웃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간도매상인들이 끼어들어서 숫가락 얹어서 마진 다 쳐먹고 배불리는 일을 줄여야 한다. 중간도매인들이 가운데서 너무 헤쳐먹어데니 피땀 흘려서 수확한 농민은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잔치가 끝나는 꼴이니 이게 합당한가? 그러니 밥상물가를 위해서 더 나아가 나라경제를 위해서 지금 당장 농산물 유통구조를 바꿔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카르텔의 장난질에 계속 끌려다니고 피해를 보게 된다.

  • @user-gd7gs9go2q
    @user-gd7gs9go2q Жыл бұрын

    1차 산업만 이랬는데 이젠 모든 생활, 소비 산업이 다 그럼.. 일반 식당들도... 예전엔 손님과 가게가 직거래 하던 거였는데 지금은 배달앱+배달기사 가 끼면서 정작 음식을 준비한 가게점주의 수익은 줄고(배달비) 손님은 더 많은 비용(배달비)을 주고 음식을 먹어야 함. 배달에 소요되는 금액이 6천원 이상인데, 손님들은 4천원 내고도 자기들이 다 내준 걸로 알고 있고... 배달 안하면 그나마도 경쟁이 안되니까 어쩔수 없이 하는 구조... 수익은 줄고 몸은 힘들고.... 죽을 맛임...

  • @user-wp6xf7st5e
    @user-wp6xf7st5e Жыл бұрын

    도매시장법인이 수수료 장사를 하는 한 과일생산에서는 물량이 넘처나고 과소생산에서는 가격이 올라가니 손해위험부담이 전혀없는 것이죠. 그러니 무슨 개선책을 강구하겠어요.

  • @ganekim
    @ganekim Жыл бұрын

    이 작은 나라가 4배, 5배, 10, 20배, 50배, 100배 큰 나라보다 물가가 비싼 이유가 도대체 뭡니까? 분명히 정치인들 친인척 중 유통사업하는 작자가 있을 것!

  • @user-eo2zl9vv2n
    @user-eo2zl9vv2n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농산물도매 경매법인 회사에서 독점해서 어마무시하게 해쳐먹는 구조..

  • @user-eo2zl9vv2n

    @user-eo2zl9vv2n

    Жыл бұрын

    전국 도매법인들을 없애야 합니다.엄청나게 해먹습니다.

  • @user-tt4hp8fh3r
    @user-tt4hp8fh3r Жыл бұрын

    이래서 관심과 정성을 가진 추진력 지도자가 필요합니다. 신속정확 속전속결

  • @user-mh9eq1ch5k
    @user-mh9eq1ch5k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이 유통쪽에 약점이라도 잡힌건지 이 코딱지만한나라에서 몇단계를 거치는건지 ㅅㅂ 유통개혁을안함 ㅋㅋㅋ

  • @ggukkggukk1606
    @ggukkggukk1606 Жыл бұрын

    지역에 있는 농산물센터에 갈때 입구 구석에 농민들의 직거래코너가 있어서 살려고 보면 소포장에 가격이 비싸서 잘 안사게 되더라구요. 가격조정 등 좀더 활성화되었으면 좋겠어요

  • @paulinlove83
    @paulinlove83 Жыл бұрын

    농협, 수협... 각 협동조합도 조합원을 위해 일하세요. 은행이나 증권 등 금융사업이 주목적인가요? 그 많은 수익 조합원들한테 배분도 좀 하고요.

  • @navykhs77
    @navykhs77 Жыл бұрын

    정말 우리나라 암행어사 독립적인 기구 만들어야 합니다. 암행어사는 독립적인 기관으로 국민투표 선출에 의해서 무조건 5년 단임제로 만들어서 청와대, 국회, 사법부, 행정부, 국방부등등 그 어떤 성역도 없이 독립적으로 수사하고 형벌까지 내릴수 있도록 해야한다. 법원 다르게 암행어사 조직은 일반인은 제외하고 정부(유관기관)기관을 상대로 수사할수 있도록 해야함

  • @user-ni6ig7bc1h
    @user-ni6ig7bc1h Жыл бұрын

    비슷한걸 5년전에도 본거 같다 그런데 변한건 없다

  • @user-jc3rk2vo8f

    @user-jc3rk2vo8f

    Жыл бұрын

    어쩌라고? 그럼 가만히 냅두냐? 계속 변화를 시도해야지 ㅉㅉ

  • @user-xb3hq6uj9y
    @user-xb3hq6uj9y Жыл бұрын

    가자분이 참 멋진일하십니다 고맙습니다

  • @eugeniophenomenalashley1534
    @eugeniophenomenalashley1534 Жыл бұрын

    유통법을 강력히 바꿔야겠네요

  • @user-um7bb9dt6m
    @user-um7bb9dt6m Жыл бұрын

    진짜 불쌍한건 농민. 어민이야... 눈물 날 수밖에 없어..

  •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Жыл бұрын

    큰 문제는 어업인 종사자가 제일 없다고 들었음...바다와 싸워야하니깐

  • @user-ss2ec1sk6w
    @user-ss2ec1sk6w Жыл бұрын

    헉 이제 국산 못믿겠네.. 살벌하네.. 하루속히 시정이 필요한듯 하네요. 앞으로 국산이 좋다는 편견은 개인적으로 사라질듯 그전부터 있었는데 영상보고 더 확실해졌네요~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워지길. 그리고 그위에있는 대기업 개인적으로 정말 정떠러지는 이름들이 즐비하네요.건설 선박 등 관련성 없는 비전문적 투자회사가 돈되니 먹겠다고 들어선 모양세가 모든걸 말해주네요.

  • @choi3841
    @choi3841 Жыл бұрын

    뭐든 중계상들이 수수료로 떼먹는게 많죠. 작게는 경매사일수있지만 크게는 지역농산물을 독점하고있는 농협문제가 크다고봅니다. 더불어 물류하시는분들도 중간에 알선업체가껴있기에 가격상승의 큰요인이죠

  • @pjh4265
    @pjh426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py3ql1qq8i
    @user-py3ql1qq8i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 밥상물가보면 진짜 저렴하던데 이 나라는 대체 뭐냐

  • @raynal-RDIABLO
    @raynal-RDIABLO Жыл бұрын

    글로비스 중고차 경매 처럼 바꿔야 한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진단평가사가 가격을 정해놓고 그 가격부터 경매가 들어갈수있는구조로 바꿔야 한다고 본다

  • @MrGee-ym3fs
    @MrGee-ym3fs Жыл бұрын

    따지고 보면, 우리엄마가 소비자고 우리아빠가 농어민입니다. 정부에서 나서서 유통구조를 혁신적으로 리셋해줬으면 좋겠습니다..

  • @user-ef7jh6cn6l
    @user-ef7jh6cn6l Жыл бұрын

    시골에서 시금치 농업을 짓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경매로 물건 사서 대형마트 출품을 위한 작업을 거쳐서 유통이되면 가격이 말도 안되게 뛴다. 노지 시금치 10kg가격(30000원)에 농민이 팔면 대형마트 출고를 위해 1단 200-300g으로 작업을 거쳐 유통을 거치면 200-300g 시금치 한단 가격이 거진 몇 천원하니 농민은 비료값, 인건비, 자재비용 다 빼면 마진이 거의 없고.. 대부분 유통업자나 경매업자들이 이익을 취하는 구조이죠. 마트가면 채소, 과일 등 말도 안되는 가격을 보면 원가를 아니까 안따깝고, 몇 개 안사도 몇 만원이 나오니 참 소비하기도 힘이드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