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본] 레드백 선정 기념 AS-21 레드백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user-charlesmililab
샤를 세환이 제공하는 밀리터리의 세계.
무기, 전쟁사, 밀리터리 이슈 등 밀리터리에 대한 모든 것을 총 망라한 종합 밀리터리 채널
광고 및 섭외 문의 : charlesmililab@daum.net
#샤를세환 #이세환 #샤를의군사연구소 #밀리터리 #무기 #전쟁사
샤를의 군사연구소는 '연합뉴스'와 저작권에 대한 업무협의 계약을 채결했습니다.

Пікірлер: 306

  • @ms-iq5hs
    @ms-iq5hs9 ай бұрын

    이제 국군도 레드백과 같은 신형장갑차량도입과 기존의 장갑차들의 성능개량을 하여야할것같습니다

  • @recoverymail269
    @recoverymail2699 ай бұрын

    레드백을 타고다니며 토끼와 에뮤를 사냥할 호주군은 얼마나 좋을까?

  • @FLASHkor

    @FLASHkor

    9 ай бұрын

    이래놓고 못이기면 ㅋㅋㅋ(?)

  • @njung1990able

    @njung1990able

    9 ай бұрын

    지금 이순간에도 호주군은 제2차에뮤대전을 준비하고 있다

  • @lamoking647

    @lamoking647

    9 ай бұрын

    ㄷㄷㄷㄷ 독거미대 에뮤 ㄷㄷㄷㄷ

  • @cyw089

    @cyw089

    9 ай бұрын

    이 나쁜사람 ㅋㅋㅋㅋ

  • @user-hv5mq8ip2t

    @user-hv5mq8ip2t

    9 ай бұрын

    아이언 비전으로 360도 토끼을 탐색하여 30미리 기괸포로 잡고 5킬로 떨어진 원거리 토끼 무리에 대해 대전차 미사일로 빅멸한다. 호주군 화이팅!!!

  • @user-hc6vm8on7s
    @user-hc6vm8on7s9 ай бұрын

    호주 수출용은 어쩔 수없다지만 우리군이 운용한다면 국산화률이 낮아서 호주하고 이스라엘 좋은 일만 시키는거 아닌가싶네요.

  • @user-co7mc4yd6h
    @user-co7mc4yd6h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charlesmililab

    @user-charlesmililab

    9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 @travellingsmile8164
    @travellingsmile81649 ай бұрын

    샤를이 [그런데요] 할때마다 깜짜깜짝 놀람. 😅😅

  • @bundeswehr1131
    @bundeswehr11318 ай бұрын

    매번 느끼는거지만 초보수준 밀매인 제가 보기에 샤를세환님이야말로 밀덕계의 지존이십니다. 상세하고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시는 세환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 @yoyoyout

    @yoyoyout

    8 ай бұрын

    이 사람 레드백 수출가능성 냉소적이었는데? kf-21 성공도 냉소적이었고.

  • @DavidYun-vx4de

    @DavidYun-vx4de

    5 ай бұрын

    카탈로그 스펙이나 서적에 있는 정보나 지식으로는 국산 무기의 성능이 달리는 거 같아요. 연구개발 경험이 없으면 방산분야 종사자들의 저력을 알지 못하는데, 방송영역 종사자들은 암기를 잘하는 사람들이나 만 잘하는 문과 출신들이 자리잡기 쉬운 영영인거 같아요. 엉뚱한 소리를 하는 KIDA도 이런 부류에 들어가는 거 같습니다.

  • @wanggun80
    @wanggun80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레드백 한국에서 만들어서 군인들 위해서 도입하자........여름하고 겨울이면 아프리카 수준에 시베리아 수준의 추위인데, 그 보병들 옮기는데 쾌적한 환경을 좀 제공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예전에는 돈이 없어서 에어콘이나 이런 장비는 넣지 않았다고 하지만, 이제는 넣어서 국군 장병들한테 너무 힘들게 군 생활 하지 않게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 @user-wl2vf3qm8i
    @user-wl2vf3qm8i9 ай бұрын

    오늘도 고생하십니다 총합본코너가 있으면 좋을듯합니다^^

  • @gyeungchanjang3192
    @gyeungchanjang31928 ай бұрын

    대단하네요

  • @polarbear333_tistory
    @polarbear333_tistory9 ай бұрын

    Land 400 사업 요구조건을 살펴보니 이름만 장갑차지 사실상 왠만한 주력전차에 기계화 보병 분대를 탑승시키는 수준이네요.

  • @user-ho1ur7gv7i
    @user-ho1ur7gv7i9 ай бұрын

    샤를님 인기가 대단

  • @Mandarina__
    @Mandarina__9 ай бұрын

    잘 보겠습니다~!!!!!!!!

  • @JI-JEN
    @JI-JEN9 ай бұрын

    우리도 인구감소로 인한 점점 병사 수 가 줄어들어 소중한 병사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저런 안정적인 전투보병장갑차량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K21도 매력이 있지만..

  • @robertklimczak5630

    @robertklimczak5630

    9 ай бұрын

    Może spróbujcie jak my z borsukiem. Czy mozna k21 dopancerzyc ? Nasz pomysł by borsuk miał w razie potrzeby ciężki pancerz ,a w razie potrzeby pływania zrzucany dodatkowy pancerz szybko w warunkach polowych ma sens.

  • @user-ud4qb9qq3k
    @user-ud4qb9qq3k9 ай бұрын

    레드백 화이팅

  • @kkaburi
    @kkaburi9 ай бұрын

    이형 너무좋네😂😂

  • @KAMPFMEIN
    @KAMPFMEIN9 ай бұрын

    프리고진 죽음에 대해 빨리 다뤄주세요!!

  • @grx1988

    @grx1988

    9 ай бұрын

    미국이 암살하고 푸틴이 한거처럼 여론몰이 한거?

  • @Maybe-nb7gp
    @Maybe-nb7gp9 ай бұрын

    레드백 드디어 호주에서 빛을 보기 시작했는데 앞으로 승승장구 해주길 바랍니다 ㅆㅆ

  • @user-ur1we8yu8z
    @user-ur1we8yu8z9 ай бұрын

    내기를 하셨고 결국 이기셨네요~ 역시 샤를님!!😆

  • @PINQUBE
    @PINQUBE9 ай бұрын

    레드백이 당당히 등장한만큼 우리 군 장비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면 합니다 솔직히 지금 장갑차들 공격력이나 방호력이 안타까워요...........

  • @JW-jb2zl
    @JW-jb2zl9 ай бұрын

    샤를님이 레드백 선정에 최소 2.3485%이상의 충분한 기여를 했다고 봅니다!!! 예전 2002년에 자기만 보면 한국팀이 진다고 일부러 경기를 안본 사람들 덕분에 이겼던(?) 것처럼 말이죠!

  • @FLASHkor

    @FLASHkor

    9 ай бұрын

    죄송합니다.. 안보다가 4강부터 봐서 다 져버렸습니다 ㅠㅠ

  • @pkm287
    @pkm2879 ай бұрын

    세환님의 영상을 보면 '말하기'의 중요성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귀에 쏙쏙...ㅎ

  • @ka-dg5dt

    @ka-dg5dt

    9 ай бұрын

    발음이 너무 좋아요~

  • @Cryth.

    @Cryth.

    9 ай бұрын

    @@ka-dg5dt ㅇㅈ. 자막 자동생성 해보면 오자 없이 깔끔하게 만들어져요...ㅎ

  • @user-nh1ib1op3z

    @user-nh1ib1op3z

    9 ай бұрын

    유용원 이나 신인균 에 비할급 아니죠

  • @dbstjdwo
    @dbstjdwo9 ай бұрын

    아이언비젼 미쳤다 ㄷㄷ

  • @kyusoollee989
    @kyusoollee9899 ай бұрын

    이거 언제 촬영한 건가? 이미 미군 장갑차 사업 물 건너 갔는데.......

  •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9 ай бұрын

    AS-21 레드백 장갑차 DSAR-15PF 소총보병/ STC-16 소총 보병 어떤 보병이 잘어울릴까요 샤를세환님 😂?!

  • @user-rh6of3np3r
    @user-rh6of3np3r9 ай бұрын

    샤를님 처음 볼 때 호감이 가지 않았는데...볼수록 호감이 가는 얼굴에다 최고의 퀄리티로 영상을 보여주시니 밀리터리계의 천하무적이 된듯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jaeunkim5281
    @jaeunkim52819 ай бұрын

    호주 여행가서 거미를 한번 본 뒤 레드백 정도는 타줘야 살아남을수 있겠다 라고 생각이 들더군요. 이름도 괜히 레드백이 아니었음...

  • @lib8959
    @lib89599 ай бұрын

    통합시스템 진짜 성공한 케이스~~~~ 엄지 척~~~~^^

  • @naldawson7336
    @naldawson73369 ай бұрын

    이거슨 본거!

  • @RS-dq3jf

    @RS-dq3jf

    9 ай бұрын

    통합본 뜻 모르냐 ㅉㅉ

  • @naldawson7336

    @naldawson7336

    9 ай бұрын

    @@RS-dq3jf 뭐래? ㅋㅋ

  • @user-hv5mq8ip2t
    @user-hv5mq8ip2t9 ай бұрын

    레드백 수준의 전투 장갑차은 당장 군이 채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거운 중량 때문에 하천 도하가 불가능 하기 때문임~ 하지만 이 문제도 K2 전차 방식으로 하천 도하 능력을 적용 하면 될듯~

  • @fernandokang2665
    @fernandokang26659 ай бұрын

    레드백은 결국 이스라엘산이군............. 몸체빼구용

  • @user-kr6id5vp4y
    @user-kr6id5vp4y9 ай бұрын

    수출할때 어필하고 주장할것은 대한민국의 화약등 전쟁에 필요한 포 화포등 모든 발사포 화약보유국 이라는것을 강조해야만 한다. 급할때 항상 줄수 있는 나라가 대한민국 이라는것을 강조해야만 한다.

  • @user-bb7qs1wb1x
    @user-bb7qs1wb1x9 ай бұрын

    나른한 주말 점심식사를 샤를님 영상과 함께- 매우 성공적인

  • @koala20001
    @koala200019 ай бұрын

    호주는 군인 수는 적지만 quality가 높습니다. 군인 되기까지도 쉽지 않고요. 그만큼 연봉도 높고 퇴역한 이후에도 세금, 학업, 주택 융자등에 대한 혜택이 매우 많아요. 그리고 무기에 돈을 아끼지 않아요.

  • @footstep002
    @footstep0029 ай бұрын

    호주에 수출하는 레드백은 호주의 요구에 맞추느라 현지 포탑쓰고 구경도 30미리로 했지만 향후 다른 나라들에도 추가 수출을 위해 어필하려면 포탑에 대한 무장 옵션도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겠죠. 폴란드가 만들고자 하는 중장갑차는 레드백이라기 보다는 크랩의 경우처럼 그냥 k9 차체 가져다 쓴다는 쪽으로 굳어진 모양이라 그건 또 별개라고 봐야할테고 말이죠.

  • @robertklimczak5630

    @robertklimczak5630

    9 ай бұрын

    Nowy ciężki borsuk będzie wagowe podobny jak k9. .z tego co słyszę podwozie ma być zmienione,odporne na miny. Lekki borsuk jest bardziej odporny na miny niż k2.. wieża z lekkiego borsuka . Reszta wagi na pancerz

  • @user-mk8sy8xj9n
    @user-mk8sy8xj9n9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이 대단한 국가구나 ㄷㄷㄷ

  • @MrChoyong
    @MrChoyong9 ай бұрын

    와우 전차야? 장갑차야?

  • @Hodol_Brick
    @Hodol_Brick9 ай бұрын

    레드백! 꼭 완전 계약되어 돈 벌었으면 좋겠네요

  • @grx1988

    @grx1988

    9 ай бұрын

    방산수출은 돈되는게 아니에요 ;;

  • @user-ssrshin

    @user-ssrshin

    9 ай бұрын

    ​@@grx1988???????

  • @iddqd225

    @iddqd225

    9 ай бұрын

    @@grx1988 그럼 문화상품권으로 오나요...?

  • @Warthog0927

    @Warthog0927

    9 ай бұрын

    ​@@grx1988죄송한데 뭐든 수출하면 어떤 방식으로라도 돈이 됩니다만 규모의 경제를 통해 자국군에 사용할 방산장비가 가격이 싸지거나 기술 개발을 타국의 요청으로 인해 개발해서 자국군에 통합할수도 있고 현대에서 하는 모든 방산 수출및 계약은 돈이되고 기술이 관련된 모든 행동은 돈과 관련되있습니다

  • @grx1988

    @grx1988

    9 ай бұрын

    @@Warthog0927 내말의뜻을 이해 못하신듯한데 ;; 팔아봐야 돈을 많이 벌어오는게 아니고 마진이 거의 없다는뜻임 ;; 절대적수치로 따지면 당연히 10원이라도 이익은 보지요 ;;;

  • @freedom_seeker06
    @freedom_seeker069 ай бұрын

    궤도형 장갑차로는 레드백 도입하고 장륜형 장갑차는 독일 라인메탈의 복서로 도입합니다. 복서는 퀸즐랜드주에있는 라인메탈 생산시설에서 호주군 물량을 생산중에 있습니다. 독일에서도 이번 우크라전의 여파로 자국의 전력증강의 명분으로 복서를 도입한다 하는데 잘하면 독일군 물량도 호주에서 생산될수 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독일군이 도입을 고려중인 복서도 호주군 사양과 동일한 모델이 될수있다고 합니다.

  • @MrEpoEnger
    @MrEpoEnger8 ай бұрын

    수주를 따냈을때 엄청 자긍심을 높혔었는데 거의 7~80%가 외산이라니 대실망!!! 동영상에서도 좀 다뤄주지 그랬슈~

  • @sykim7370
    @sykim73709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왔는데.. 세환님 한결같은 모습이 보기 좋네요.

  • @user-mq4cf8pb8x
    @user-mq4cf8pb8x9 ай бұрын

    래드백 이름이 상당히 간지납니다.

  • @chobo4928
    @chobo49289 ай бұрын

    엔진룸 연기를 차량 아래 쪽으로 배출하는건 어떤가요?

  • @user-jm7qj9qc8x
    @user-jm7qj9qc8x9 ай бұрын

    진짜 껍데기 빼고 죄다 외국산기술이네 ㅋㅋㅋ이게 한국산이라고 할수있을까? 사실상 이스라엘+호주 협력에 한국은 차체 껍데기 철판때기(장갑재도 없는)만 만들어주는데 ㅋㅋ

  • @user-yh7ho9iw1q
    @user-yh7ho9iw1q9 ай бұрын

    레드백에 적용된 하부 방어는 이스라엘의 플라산의 기술 입니다, 원래 한국군은 독일 IBD사의 기술을 많이 쓰고 있으나 IBD사가 경쟁 업체인 라인메탈의 자회사인 까닭에 레드백에 적용할 수가 없어서 이스라엘 플라산의 기술을 사용한 겁니다..

  •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9 ай бұрын

    레드백 보병전투장갑차를 우리 군이 운용할려면 k21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 가격이 내려가고 부품을 얼마나 국산화 해야할까요?

  • @user-ft5pp1vd9q
    @user-ft5pp1vd9q9 ай бұрын

    덩치가 커진다고 방어력이 떨어지 는게 아니라 방어부위가 많아지는 거죠

  • @user-tz4fd2ic2y
    @user-tz4fd2ic2y9 ай бұрын

    K-21에 알루미늄 로드휠과 고무궤도를 먼저 적용함이 어떨런지

  • @user-ly7zm3el3h
    @user-ly7zm3el3h9 ай бұрын

    무기고에서fw190포케볼프에대해서좀다루어주싶시요

  • @cksdn04
    @cksdn049 ай бұрын

    우리군도 레드백을 우리 환경에 맞게 개량하여 사용하면 좋겠네요.

  • @ddsqqq
    @ddsqqq9 ай бұрын

    와...세상에 한국산 무기가 한국군 요구 스펙을 아득히 뛰어넘는 세상이 오다니...

  • @user-FULLJohnson

    @user-FULLJohnson

    9 ай бұрын

    와 한국산무기 (차체 껍데기 빼고 죄다 외국기술)

  • @SmQueenHyunMu

    @SmQueenHyunMu

    9 ай бұрын

    당연히 저긴 호주니까 스펙이 넘사벽이지. 한국에 레드백 도입되면 저 스펙으로 오겠냐? ㅋㅋ 아이언비전, 능동방어체계 같은거 다 떼고 포탑도 한국제로 국산화해서 다시 떡너프 시키지 ㅋㅋㅋ 아직 한국전차에 예산없다고 RCWS 단 하나도 못다는 나라가 무슨 ㅋㅋ 심지어 K2전차에 반응장갑 부착 안된것도 수두룩하더만

  • @user-ov9xq1sw1i
    @user-ov9xq1sw1i9 ай бұрын

    진짜가 나타났다... cofes동반자 채널.

  • @ryujd0533
    @ryujd05339 ай бұрын

    첨단무기, 좋다. 국방예산을 제대로 써라. 하지만 가장 기본인 보병을 위한 기본 예산은 함부로 깎지 마라!

  • @user-yg2mr6py7e
    @user-yg2mr6py7e9 ай бұрын

    MCX 수송기도 한번 부탁드립니다^^

  • @user-ii1do9pm6r
    @user-ii1do9pm6r9 ай бұрын

    고무궤도는 절충해서 4분할해서 연결하는 방식으로하면 수리나 보수에 이점이 생기지 않을까요?

  • @user-be1fh7ni6m
    @user-be1fh7ni6m9 ай бұрын

    오오

  • @koppee1093
    @koppee10939 ай бұрын

    앞으로 장갑차나 전차군단에 추가로 대드론 장갑차가 한대씩 약간 후방에서 따라다니면서 하늘 감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사거리 내 적 드론이 아군 장갑차나 전차 위협으로 부터 보호하게 . 그래서 해당 장갑차는 적절 사거리내 aesa 레이더와 적정 사거리 대공포, 대드론 건, 장착.

  • @user-qs9xs5mx5l
    @user-qs9xs5mx5l9 ай бұрын

    한화가 조립만 하고 대부분 해외기술이 사용된건가요

  • @jhgfzuh2542

    @jhgfzuh2542

    9 ай бұрын

    차체만 한화...포탑+각종무기는 이스라엘

  • @user-oc2uk4rh9u
    @user-oc2uk4rh9u9 ай бұрын

  • @brl328
    @brl3289 ай бұрын

    방장님 레드백 육면체 그러니까 각면에 rpg 때리면 다 막을 수 있나요??? 이게 가장 중요하다 보는데....

  •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9 ай бұрын

    K-21은 처음 설계대로 워터젯을 탑재해서 해병대로 돌려도 좋을 거 같아요, 어차피 우리나라 지형특성상 하천도하능력이 있는 장갑차는 필요합니다 떡장갑 IFV가 전면전에서 얼마나 보병들 목숨을 구하는지는 우크라이나 싸우는 것만봐도 AMX-10RC 같은 종잇장 장갑으론 도저히 답 없는 게 보이니까. 해병대가 꼭 상륙작전만 할 필요 없이 육군과 병진하면서 교두보 확보하던가 상대 옆구리 찌르는 기동성 보이기에는 하천도하능력만큼 좋은 게 없죠. 물론 상륙장갑차와 별개로 육로 전투 동원용으로 예산 따로 편성해서 다 해병대 넘겨주고 상시말고 육군에 필요할 때만 임대주는 형식이어도 좋을 거 같아요.

  • @mmanhb552
    @mmanhb5529 ай бұрын

    캬 레드백 통합본이라니 주말에 일하는 샤를튜브 좋아 솔까 TV서 그렇게 떠들어대도 샤를형님 영상이 휠씬 공신력있고 잼있죠ㅎㅎㅎ

  • @jTroutuorT7034
    @jTroutuorT70349 ай бұрын

    레드백이 링스 보다 연료 사용량에 있어서 준수하게 앞서 겠네요... 항상 상세한 내용 감사합니다.

  • @user-jz6lz3rb7w
    @user-jz6lz3rb7w9 ай бұрын

    최전방에는 레드백이라야 생존가능하다.

  • @fjljfscndv
    @fjljfscndv9 ай бұрын

    레드백은 아이언 비전등을 국산화 해서 단가를 낮춰야 합니다.

  • @user-demo_crabdes
    @user-demo_crabdes9 ай бұрын

    장갑차에 큰투자하는것은 인적자원이 부족하고 더욱 생존성을 높여야하기 때문입니다. 장갑차도 방호력에 집중하는데 K2도 측면이 너무 약합니다. 알타이에도입된 장비들 참고할필요있습니다.기관총에 드론격추능력이 필요하며 측면에 장갑도 알타이 유심히 봐야합니다 우리도 능동방어 무장과 대드론 무장 강한방호킷트가 필요합니다.

  • @greynavy9607
    @greynavy96079 ай бұрын

    우크라이나 , 러시아 상황도 궁금해요. 프리고진 사망도 진짠가요

  • @jinsungg4232
    @jinsungg42329 ай бұрын

    러우전 전황좀 해주세요 대반격 근황이 궁금합니다

  • @user-kg5jt9ov5r

    @user-kg5jt9ov5r

    9 ай бұрын

    대반격 같은거 없어요, 그냥 젤렌스키 가 무기 돈 뜯어먹는 수작임 ㅋㅋ

  • @user-lw4sf6tr3u

    @user-lw4sf6tr3u

    9 ай бұрын

    대반격 했는데 큰 전과는 없고 기존 전선에서 깔짝대는 수준임. 한마디로 반격 실패. 9월말 공세종말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 @user-ho1ur7gv7i
    @user-ho1ur7gv7i9 ай бұрын

    790번 영흥도 가는 직행버스를 타고 있는데 10살(물어봤음)애가 저하고 같은 것을 보고있네요😅

  • @Milidory
    @Milidory9 ай бұрын

    레드백 선정기념이라고 해서 호주에서 선택한줄 알았는데... 아직도 선택하지 않았다니요...

  • @user-rp5hj5lh4h
    @user-rp5hj5lh4h9 ай бұрын

    전자동 주야간정찰드론을 운영할 수 있으면 금상첨화.

  • @user-kr6id5vp4y
    @user-kr6id5vp4y9 ай бұрын

    레드백은 세계최고의 무기이며 이미 최상으로 오르고있는 대한민국의 방산업의 바람과함께 모든국가들이 수입해갈것이다.

  • @user-oo9ug6ix3f
    @user-oo9ug6ix3f9 ай бұрын

    차체만국산이고 전부 수입이네요

  • @kk-rq9nq
    @kk-rq9nq9 ай бұрын

    프리고진의 영혼이 육신에서 벗어나 프리가 됐다는데 그건 안다뤄 주시나요?

  • @user-sk7ss5zq8i
    @user-sk7ss5zq8i9 ай бұрын

    꼭 호주군의 미래형 전투장갑차로 양산되기를 바랍니다.

  • @jonginkim8915
    @jonginkim89159 ай бұрын

    샤를님의 예언이 맞았네요^^

  • @grimreaperkim9433
    @grimreaperkim94339 ай бұрын

    한국군에도 많이 필요할듯.

  • @user-kx3ne1xb1r
    @user-kx3ne1xb1r9 ай бұрын

    샤를:증강현실? 이런 쪽으로요. PD:네...(이해못함) ㅋㅋㅋㅋ

  • @woof_woof_woof_woof
    @woof_woof_woof_woof9 ай бұрын

    이번 한국 선정에 독일의 병크가 가장 결정적인 원인이지 않을까 생각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독일의 병크가 드러났는데, 바로 처참하게 무너진 생산 시스템 , 그리고 구매 후 있느나 마나인 정비 서비스라고 생각. 우크라이나 전쟁이 진행된지 한참 지났는데도 생산 시스템은 여전히 퍼져 있지, 그렇다고 전쟁 중 정비는 멀쩡하나? 전쟁중에도 돌려막기는 필수고(이건 뭐 전쟁 중에 자주 발생하기는 하지만) 없으면 구해야 되는데 비싸기는 드럽게 비쌈. 이렇다 보니 결국 성능적인 면에서 조금 우수하거나 아니면 비슷한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매 후 서비스, 혹인 문제 발생 중 대처가 빠른 한국 공업 서비스가 가장 결정적인 선택 이유가 되지 않을까 함. 독일 공업이 왜 이렇게 무너진지 모르겠음. 안 그래도 자동차 정비쪽에 옛날 프로페셜이나 마스터피스적인 면모는 이제 찾을 수가 없음.

  • @Tarkovshit

    @Tarkovshit

    9 ай бұрын

    독일 공업이 무너진게아니고 군수쪽을 일부러 사장시켜왔습니다 본인들스스로 하지만 이제는 아니죠 매해 군비를 늘리기로 결정했습니다 향후 10년뒤에도 한국이 지금처럼 승승장구할지는 알아봐야겠죠

  • @User0083rrt5vxssoervzjkboz

    @User0083rrt5vxssoervzjkboz

    9 ай бұрын

    ㅇㅇ 독일공업은 현재 유럽제일임.....군수산업을 뭉개놓은것뿐

  • @user-wm6ld8wd4m

    @user-wm6ld8wd4m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직도 국가가 대기업 보조해주는 기형적인 구조에요. 그 기형적인 구조가 지금의 가파른 발전을 가져온거구요. 그러니까 한화가 제품자체의 성능과 가격인 논외로치고(물론 제품이 좋으니까 선정됨) 그외 다른서비스부문에서 지원을 빵빵하게 해줄수가 있는거죠. 현대차가 미국유럽에선 각종 프로모션, 말도안되는보증을 지원하는것과 같은 이치이죠. 아, 약간은 다르네요. 레드백은 상품자체도 월클이라 독일을 이겼다고 봐야죠. 현대차가(제네시스포함) 월클급은 아니거든요.

  • @user-oj9zg2np7m

    @user-oj9zg2np7m

    9 ай бұрын

    @@Tarkovshit그렇게 쉽지 않을겁니다 특히 지상무기에서 경쟁력이 지금수준의 가격이라면 말이죠 전투기처럼 성능이 우수한 한대가 상대전투기 수십대를 상대가능하다면 비싸도 구매하겠지만 독일 지상전 무기와 우리와의 성능은 미미한데 무작정 늘릴수도 없는거죠 판매대수가 늘어야 단가도 낮아질텐데 악순환인거죠

  • @FLASHkor

    @FLASHkor

    9 ай бұрын

    그래도 선진국에 기술과 공업대국이라고 서유럽들 군축하더라도 '전쟁나면 전부 전시체제로 전환되면서 빠르게 찍어낼거다...' 라고 보는 생각들이 있었는데 어림도없지!! 그 환상 다 깨짐 ㅋㅋㅋ

  • @veromin-po8ez
    @veromin-po8ez8 ай бұрын

    이스라엘 대단하네요. 두뇌부분 핵심 기술은 다 이스라엘이네..

  • @user-hv6jw2jg6n
    @user-hv6jw2jg6n9 ай бұрын

    결론은 중요 장비는 모두 외국꺼 가지고 조립한거네 이래가지고 뭔가 이익이 남기나 할까

  • @pstchiho9348
    @pstchiho93489 ай бұрын

    두가지 모델이 성능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면 유럽에서 k9이 지리적,정치적 이유로 독일에 밀렸듯이 이번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의 레드백이 우세하지 않을까 싶네요

  • @bearbeanie9222

    @bearbeanie9222

    9 ай бұрын

    노르웨이는 여전히 k9 사용중 입니다. 아마 k2 전차와 헷갈리신 듯 하네요. 어쨋든 둘다 상당히 유사한 전개,결과가 된게 아이러니 하긴 합니다.

  • @pstchiho9348

    @pstchiho9348

    9 ай бұрын

    @@bearbeanie9222 아 찾아보니 K2랑 레오파르트 맞네요. 독일에 밀렸다는 거만 기억나서 순간 K9이랑 pzh2000이라고 생각했어요. 감사합니다

  • @robertklimczak5630

    @robertklimczak5630

    9 ай бұрын

    Niemiecka haubice jest bardzo dobra lecz delikatna i skomplikowana..Nie można przekraczać normy strzelania, musi się chodzić, obsługa haubice jest pracochłonna. Odstępstwo od powyższych procedur powoduje uszkodzenie sprzętu.. wyobraź sobie wystrzeliles parę pocisków i broń się chłodzi. Nie można jej użyć gdy wróg atakuje bez groźby uszkodzenia sprzętu.

  • @user-uw8zc4bc4o
    @user-uw8zc4bc4o9 ай бұрын

    k21도 도입된지 얼마 안됐는데 저거로 바로 바꾸기가 쉽진않네

  • @housefull5297
    @housefull52979 ай бұрын

    레드백은 많이 만들수록 적자. ..

  • @bbk4892
    @bbk48929 ай бұрын

    신속한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획득 사업을 통해 누군가 해쳐 먹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줘야 함

  • @jungrak7162
    @jungrak71629 ай бұрын

    미 육군 omfv사업에서 한화와 오시코시 연합은 탈락한걸로 알고 있는데!!

  • @user-charlesmililab

    @user-charlesmililab

    9 ай бұрын

    결과 나기 전의 영상입니다.

  • @psh1491
    @psh14919 ай бұрын

    고무궤도를 한 5등분해서 전차처럼 교체할수 있도록 하면 궤도 가격도 많이 내려갈수 있고 교체도 쉽게 할수 있겠다

  • @gyeungchanjang3192

    @gyeungchanjang3192

    8 ай бұрын

    그레게요

  • @user-jy3mq7bk6v
    @user-jy3mq7bk6v9 ай бұрын

    149대 도입이 결정되었다는 건 뭔가요?

  •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5 ай бұрын

    사이드 스커드 대신 폐궤도를 두르고 다녀도 되겠구나.

  • @user-rx6qi5hm3k
    @user-rx6qi5hm3k9 ай бұрын

    언제적 영상입니까? 호주에 낙찰 안됐나요?

  • @NA-X

    @NA-X

    9 ай бұрын

    아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단계입니다. 우선협상대상자는 말 그대로 먼저 계약 협상을 해보겠다 라는 의미로 아직 계약이 체결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수틀리면 다른 국가 껄 구매해도 되는 단계입니다. 2023년 하반기에 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라고 하니 실 계약이 체결되지 전까진 가능성이 높은거지 아직 모른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 @user-iw2mn8zg5n
    @user-iw2mn8zg5n9 ай бұрын

    이스라엘제 장비가 많이 들어가서 레드백 선정 예상했다

  • @hellcat1099
    @hellcat10999 ай бұрын

    나도 에어컨 쐬면서 토끼 사냥 하고 싶다

  • @user-fs1sd5qi4f
    @user-fs1sd5qi4f9 ай бұрын

    이 영상 오래 전 영상이죠? 레드백이 미국 장갑차 사업은 탈락했잖아요.

  • @Samryongi
    @Samryongi9 ай бұрын

    역시 국방은 돈이 많아야하는구나…

  • @user-vq3gf9wm3r
    @user-vq3gf9wm3r9 ай бұрын

    이걸 8일전에? 미친...

  • @amg-one-
    @amg-one-9 ай бұрын

    중량대 마력비

  • @user-fd5jd4rc5f
    @user-fd5jd4rc5f9 ай бұрын

    잘 몰라서 하는 이야기인데 레드백 도입 비용이 문제면 k9차체를 이용한 레드백처럼 사용기간이 오레된 k55 차체를 활용한 장갑차를 만들면 되는거 아닌가요.. 정말 몰라서 하는 말 입니다.

  • @user-oj6th8ex6y
    @user-oj6th8ex6y9 ай бұрын

    가격이 후덜덜하것네요.

  • @user-ge8fc2xd6b
    @user-ge8fc2xd6b9 ай бұрын

    수출하려면 국군이 써줘야 유리할듯

  • @user-pv3mb2vf3p
    @user-pv3mb2vf3p9 ай бұрын

    레드백이 우수한 장갑차인건 사실이지만 차체가 커서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에 적합할지는 의문이 듭니다.

  • @myfish75
    @myfish759 ай бұрын

    국내기술은 거의 없는 무기네... 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