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후 북한의 도시는 어떻게 개발해야 될까?

#북한 #평양 #도시
통일 후 북한의 도시는 어떻게 개발해야 될까?
00:25 더현대 건물 와이어 노후화 해결은?
02:21 한강 보행전용 다리에 대하여 AS
06:52 통일 후 북한의 도시건축 모습은?
10:50 백화점을 주거로 바꾼다면 AS

Пікірлер: 717

  • @user-yv8yn8jn8t
    @user-yv8yn8jn8t2 ай бұрын

    평양은 날림공사로 지은 건축물들 많아서 주요시설 빼면 죄다 허물고 공사해야해서 사실상 신도시개발 버금가는 프로젝트가 되겟네요.

  • @GamjaField

    @GamjaField

    2 ай бұрын

    공사를 떠나서 도시 계획 자체는 한국보단 낫죠 평양 한정 한국은 계획도시로 프로젝트 시작해도 십년 지나면 송도나 세종 처럼 성냥갑 아파트로 도배되서 말짱 도로묵이라...

  • @GamjaField

    @GamjaField

    2 ай бұрын

    한국의 젤 큰 문제는 도시 계획하는 공무원들이나 프로젝트 관계자들이 심미적 지능이 굉장히 떨어져요. 거기다가 부동산 주 소비층도 아파트와 주변 인프라 때려 박아서 집값 올리는 데만 혈안이지 정작 삶의 질엔 관심이 없죠.

  • @GosariMatjip

    @GosariMatjip

    2 ай бұрын

    @@GamjaField 전국 곳곳의 1제곱킬로미터가 넘는 지역을 살펴보면, 어차피 싹 밀고 지으니 걸림돌도 없고 얼마든지 좋게 할수 있는죠. 하지만 현실은 아파트 단지 1개와 좁아터진 주택가, 인도도 주차장도 없는 상가 지역, 공원인지 공터인지 대충 지은거 하나, 2층짜리 공영 주차장 하나 정도이니 개발 되고 나면 왕복 4차로는 양쪽 주차로 2차로만 쓰고 2차로는 차로 1개로 겨우 지나다니고, 상가지역은 사람과 차량 엉켜서 다니고 20년전 30년전에 지어진 동네 풍경과 다를게 없어요. 그냥 건물만 새거고 안전도 심미성도 없는 지역만 양산됩니다. 아파트 단지 집중 지역은 자기들만의 성을 만들어서 지역을 갈라놓고 통행만 방해하죠. 건물 하나라도 더 올리고 한뼘도 남 주기 싫어서 이를 갈고 인도폭 줄이고 사람은 가로수에 막혀서 걷다가 부딪힐 지경인게 놀랍게도 신개발 지역

  • @gaburiru

    @gaburiru

    2 ай бұрын

    평양은 심지어 지하 배관도 일제시대 이후로 정비가 제대로 안되고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진짜 싹 갈아엎어야 하는 수준일지도 모르지요

  • @_RED_FISH_

    @_RED_FISH_

    2 ай бұрын

    @@gaburiruㅇㅇ 지방 공장들도 일제때 냅두고간거 쓰는곳들도 많음

  •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2 ай бұрын

    통일 되도 일거에 남한 사람들이 다 올라가서 땅 사버리거나, 외국인이 북한 땅 살 수 있게 냅두면 안 됨. 어느 정도 동화가 되고 난 후에, 남한 정부가 북한 땅 조사를 다 하고 나서 올라가야지. 그러려면 수년 또는 수십년 걸릴 수도 있음. 남한사람들이 돈으로 북한 땅 다 사버리면 북한주민 반감 커져서 역으로 문제될 수 있음.

  • @user-nr5yi5pr1t

    @user-nr5yi5pr1t

    2 ай бұрын

    맞음. 통일 직후 북한 토지는 일단은 나라에서 전부 소유한 채로 시작해야 함.

  • @user-zr2zn9vh5z

    @user-zr2zn9vh5z

    2 ай бұрын

    아마 군정이 실시되어 강력하게 통제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돈을 투여해서 뭔가 하는 것이 문제라기 보다 욕심이 지나친 사람들에 의해 사회가 분열되고 부정부패가 발생하기에 통제를 해야 할 겁니다.

  • @hw548

    @hw548

    2 ай бұрын

    통일 이후 북한지역 투기과열 막는게 중요하다는 말에 동의합니다 북한이 공산주의 체제라 그부분에서는 다행이죠

  • @user-hh3tr4pv1b

    @user-hh3tr4pv1b

    2 ай бұрын

    아직도 한국인 vs 조선족 싸우고 절라도 vs 경상도 싸우는데 남한 북한이 융합될거라고 보냐? 통일은 그냥 안하는게 답이야 하는순간 사회혼란 극으로 치닫고 경제폭망하면서 나라 터짐. 같은 민족이라 통일해야한다고? 그럼 미국하고 캐나다도 통일하라 그러지?

  • @reunmalba5367

    @reunmalba5367

    2 ай бұрын

    불가능한 이야기들임 통일되면 김정일은 뭐하고삼? 백수로삼? 직장다니남? 😂😂😂 통일안되고 혹여나 되더라도 홍콩 중국처럼 양국에 지도자가 있고 여권 혹은 통행증 갖고 어렵게 넘나들지 않을까 싶은데 땅을산다? 이것또한 통일후 북한 지도자가 허락한 지역에 한해 가능할듯 그러나 북한인걸 감안하면 나중에 받은돈 슈킹하고 땅문서 무효화 하고 나라에서 가져갈수도 있을듯함 😂

  • @user-tb2hl2kh6p
    @user-tb2hl2kh6pАй бұрын

    통일되면 딴건 몰라도 건설업은 미친듯이 뛸듯

  • @zsdaxc4567

    @zsdaxc4567

    17 күн бұрын

    그렇지만 난개발도 막아야하고 숨어있는 문화유적도 상당할것으로 생각합니다.

  • @lleee1548

    @lleee1548

    12 күн бұрын

    세금도 ㅈ됨 소득격차 맞춰줘야하니까

  • @leesang627
    @leesang627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북한은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약점이자, 현재의 다른 선진국들이 가질 수 없는 히든 카드라고 생각합니다. 망하면 전쟁이지만 잘만 컨트롤하면 전성기를 100년 더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죠.

  • @ScentOfGardenia

    @ScentOfGardenia

    2 ай бұрын

    인구소멸까지 보완됨

  • @user-ey8gs4ku3w

    @user-ey8gs4ku3w

    2 ай бұрын

    북한이 오히려 기아랑 자살로 자연소멸함 인구 지금 500만도 안될거임 그게 북한임

  • @user-cp9jm5dp6f

    @user-cp9jm5dp6f

    2 ай бұрын

    북한도 저출산이라는게 함정

  • @fall99

    @fall99

    2 ай бұрын

    돼지가 뒤이져야 됨..

  • @soso-ii5ns

    @soso-ii5ns

    2 ай бұрын

    건축가 말씀대로 서울의 2.0버전을 북한에다 만들수있겠네요 엄청난 건설광풍이 불것이고 인터넷 전기 수도시설 지하철 등등 대한민국의 성장이 다시한번 업그레이드되는

  • @user-rf1fx6ds2f
    @user-rf1fx6ds2f2 ай бұрын

    교수님 폴리브릿지라고 다리 짓는 게임이 있는데 한번 해주시면 좋겠어요!! 건축 전문가의 플레이가 궁금해요!!!

  • @user-nk4ep2lw5x

    @user-nk4ep2lw5x

    2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재밌을듯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free.t1bet.free.HongKong

    @free.t1bet.free.HongKong

    2 ай бұрын

    그거 점프대 만드는 게임 아닌가요 ㅋㅋㅋㅋㅋㅋ

  • @CMY_K

    @CMY_K

    2 ай бұрын

    폴리브릿지보다는 시티즈 스카이라인이 더 어울릴듯

  • @user-lc6jy7jj9y

    @user-lc6jy7jj9y

    Ай бұрын

    와우 이 컨텐츠 꼭보고싶어요

  • @user-ni9ds3us7e

    @user-ni9ds3us7e

    Ай бұрын

    와 이거 재밌을거 같네요 ㅋㅋㅋㅋ

  • @memyselfandboo
    @memyselfandboo2 ай бұрын

    너무 좋아

  • @kbkim6497
    @kbkim64972 ай бұрын

    안 그래도 좋은 땅을 왜 더 좋게 만드냐는 생각들...왜 그러고들 사는지... 상대적 박탈감만큼 퇴보적이고 해악이 많은 심리도 별로 없을거임.

  • @isaac62

    @isaac62

    2 ай бұрын

    근데 엄청 많아요... 사람의 본능적인 이기심이란게..

  • @rootmin

    @rootmin

    2 ай бұрын

    인간은 원래 이기적일수밖에없어요 그게 단지 겉과 속이 드러나냐 안드러나냐의 차이죠

  • @user-xb2uq3se7d

    @user-xb2uq3se7d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만의 특징적인 주거양식, 생활문화가 없는 대표적인 이유죠.

  • @kbkim6497

    @kbkim6497

    2 ай бұрын

    @@user-xb2uq3se7d 그런것도 있고, 주공아파트 이런걸 말씀하시는것이라면 그건 급성장하는 국가의 어쩔수없는 부작용이기도하죠. 학교시설들만봐도 지금에야 한반에 20명 전교 100명도 안되는 학교가 널렸지만 예전에는 한반에 60명 때려넣고도 오전 오후로 운영했다죠. 최대한 시설을 빠른 시일내로 확충하려면 획일적이고 단조롭게 만들수밖에 없죠. 5층 주공아파트들도 같은 논리로 만들어진것들이고

  • @fleece478

    @fleece478

    2 ай бұрын

    @@isaac62맞음.. 살수록 더더욱 느껴요. 인격적으로 훌륭한분들 보면서 닮아가려 노력하는데도 나조차 누군가에게 저런 인간일수도 있겠다 싶더라고요. 어렵네요 인간관계

  • @GamjaField
    @GamjaField2 ай бұрын

    가로수 설치 및 강전정 금지, 차고지증명 법제화, 충분한 주차공간 확보 및 주차단속만 제대로 해도 도시 미관이 크게 개선됨.

  • @appleyumi8428

    @appleyumi8428

    2 ай бұрын

    +간판규제

  • @user-fd8ht7fg7w

    @user-fd8ht7fg7w

    2 ай бұрын

    ㄹㅇ 보행자 친화 어쩌고 헛소리하면서 주차공간 확보 안하는 미친짓만 안하면 됨 보행자 친화는 충분한 주차공간에서 나옴

  • @Exynos3

    @Exynos3

    2 ай бұрын

    근데 이미 다 늦었고 돈도 없쥬 인도 좁은곳은 절대 가로수는 없애는게 맞지 않나 싶고요

  • @Exynos3

    @Exynos3

    2 ай бұрын

    @@appleyumi8428 자영업자가 반대하는걸 어떻게 함ㅋㅋ 세금지원 있어도 간판 바꾸기 싫다는게 자영업자/요식업자인데 잘 모르시네유

  • @appleyumi8428

    @appleyumi8428

    2 ай бұрын

    @@Exynos3 강제로 하면 되지않을까요 규제를 만들어서 간판 규제하는 유럽국가들처럼

  • @Impark0
    @Impark02 ай бұрын

    월요일 아침 출근길에 이걸 참아?

  • @JWKorean

    @JWKorean

    2 ай бұрын

    등교 전에 이런걸 올려주시니 그분은 갓현준 교수님

  • @user-yz5yb4vi1w

    @user-yz5yb4vi1w

    2 ай бұрын

    난 참아.. 학과로 회귀하는 기분이라 묘해...

  • @user-wv2wm1bs2h

    @user-wv2wm1bs2h

    2 ай бұрын

    집가고 싶다...

  • @user-is6tl5zq9m

    @user-is6tl5zq9m

    2 ай бұрын

    참아!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2 ай бұрын

    심지어 전 대학 등교길..온 세상이 교수님들인 이 기분

  • @junhosong840
    @junhosong8402 ай бұрын

    싹다밀고 다시만들어야지 ㅋㅋㅋ 북한에서만든거 절대 우리나라사람들 안산다 부실공사 그자체

  • @djcjfisjsq

    @djcjfisjsq

    2 ай бұрын

    이게 ㄹㅇ임. 개성이랑 평양은 싹 다 밀고 강남처럼 개발해야함. 어차피 북한 인구가 적고 우리나라 수도권같이 인구가 과포화가 아니라서 주민들도 걍 밀어버리면 됨. 그리고 세종같은 근본 없는 곳을 행정수도로 하지말고 개성이나 평양으로 옮기면 됨.

  • @user-ue3jp9ll2w

    @user-ue3jp9ll2w

    2 ай бұрын

    주거시설은 몰라도 상징적인건 보강해서 몇개 남겨놔도 괜찮을듯 예를들어 10:43 이런 지하철역같은 것들

  • @susin2372

    @susin2372

    2 ай бұрын

    @@user-ue3jp9ll2w 상직적인것들은 관광용으로 남길만하죠 특히 김일성광장이라던가

  • @JYH0209

    @JYH0209

    2 ай бұрын

    @@user-ue3jp9ll2w 8:10초쯤 나오는 개선문도 훗날 만약에 통일하고 국군이 평양 입성시 저기 사이로 통과할 것 같은데 통일을 기념하는 상징물로 보강해도 좋겠네요

  • @leaguemajor3947

    @leaguemajor3947

    2 ай бұрын

    ​@@susin2372그건 좀... 조선총독부 건물같은거라 그냥 미는게 좋을듯

  • @k.joomihyun
    @k.joomihyun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OFi_
    @OFi_2 ай бұрын

    월요일 아침 힘든데 이거 보면서 가야겠네..

  • @ruwi8302

    @ruwi8302

    2 ай бұрын

    @@GoalMaster-pq9kp 니을굴

  • @anthony_kim_k
    @anthony_kim_k2 ай бұрын

    이쪽말고 때묻지 않으셔서 항상 좋은 것 같습니다. 무언가에 지배되지 않으셔서 그런지 말씀도 항상 일관되시구요. 지금 그대로 앞으로도 영상 잘 부탁드립니다.

  • @rosie5817

    @rosie5817

    2 ай бұрын

    참교수님..👍🏻

  • @btc_1217
    @btc_12172 ай бұрын

    잘 보고갑니다

  •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2 ай бұрын

    셜록현준 구독자 분들 좋은 질문들이 많이 해주셨네요! 채널과 더불어 구독자도 성장하는 것 같아 너무 좋습니다 ㅎㅎ

  • @krshin4762
    @krshin47622 ай бұрын

    한양이건 현대아파트건 보행자전용다리 생기면 참 좋을텐데 아쉽네요

  • @user-tq5oc3pq2b

    @user-tq5oc3pq2b

    2 ай бұрын

    사촌이 땅을 사도 배가 아픈데 하물며...그런거 때문에 이 나라는 더 발전을 못 합니다...

  • @user-sl1mg9co4x

    @user-sl1mg9co4x

    2 ай бұрын

    윗댓의 이유대로라 대한민국에서는 불가능.... 서울시장이나 대통령이 앞으로의 정치생활 포기하고 강행하지않는이상.

  • @przvl-oh8nk

    @przvl-oh8nk

    2 ай бұрын

    민도 수준이 다같이 후져지자는식의 마인드인데 못하죠 ㅋㅋ

  • @user-ii3sj3ru1i
    @user-ii3sj3ru1i2 ай бұрын

    오 아침 영상 너무 좋아요

  • @user-un1ei4lc6s
    @user-un1ei4lc6s2 ай бұрын

    학교를 제일 좋게 만들어서 모두가 좋은 곳에서 지내게 만들자라는 교수님의 말씀이 생각납니다. 그런 의미에서 공공시설에 대한 투자는 아낄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이 다리든 다른거든 뭐든. 물론 그래도 마구잡이식 보여주기식이 아니라 제대로 조사하고 분석해서 잘 만들어내야한다고 생각하네요. +적절한 관리와 관리 인력 배치. 보면 관리 제대로 안되고 부실하고 그런데 많습니다..

  • @user-jg3yy8ny9e

    @user-jg3yy8ny9e

    2 ай бұрын

    어디보다 돈을 아끼는곳은 공공건물입니다. 한국에선 포기하십쇼

  • @Exynos3

    @Exynos3

    2 ай бұрын

    뭐 돈 없고 저가이니 치루는 대가죠 그리고 인재난 전문인력난 인력난이 제일 심한 분야라 뭐 그 대가는 대중들이 그렇게 돌려받는거고 일본도 후분양 집 태반이 하자라 관리 인력 배치도 어느나라든 큰 의미가 없다고 보는게 이미 상식인데 ㅋㅋ

  • @user-oe5iq4wi2s

    @user-oe5iq4wi2s

    2 ай бұрын

    세금이라 효과적 효율적으로 쓰는거지 안아끼는 건 아닙니다. 앞으로 세금 낼 사람도 줄어들텐데 통일되더라도 남한 사람이 평양으로 30년이내로 대량 이주할 일이 있을까요

  • @gyunamchol6611

    @gyunamchol6611

    29 күн бұрын

    컴퓨테 현실구헨 설계 , 입체감의 기술로 과거 도심설계 부작용도 줄어들수 밌을듯요

  • @user-kd2bt
    @user-kd2bt2 ай бұрын

    통일. 상상만해도 기대되네요. 우리나라가 얼마나 더 발전 할 수 있을지. 안봐도 비디오네요. 물론 단점도 있을테지만. 제 개인적의견으론 장점이 더 많을거같네요.

  • @user-ks9pd9bv5e
    @user-ks9pd9bv5e2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 흥미롭고 누구나 상상해봤을 주제를 이 분야 전문가가 직접..재미 없을 수가 없음

  • @aaa678
    @aaa6782 ай бұрын

    오 오전 7시 업로드!!! 아침밥 친구ㅎㅎ

  • @vierwuenscheansuniversum
    @vierwuenscheansuniversum2 ай бұрын

    통일 이후에는 북한의 도시들에서 남한에서 여러 문제로 못했던 개발 시도들을 해볼 수 있겠네요! 새로운 기술과 철학이 들어간 도시를 설계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됩니다. 하루빨리 볼 수 있으면 좋을 텐데요…

  • @kellykim5613
    @kellykim56132 ай бұрын

    중국 핸드폰 비유 바로 와닿아요😊😊😊 늘 감사합니다

  • @user-kx8dl5mv9d
    @user-kx8dl5mv9d2 ай бұрын

    아침부터 꿀잼 영상!!

  • @Uuong
    @Uuong2 ай бұрын

    헐 나 이거 너무 궁금했는데 진짜 대박이다 ㅎ

  • @m855gt2
    @m855gt22 ай бұрын

    한국처럼 무식하게 흉물스러운 성냥갑아파트로 전국을 난개발하지말고 시간이나 비용이 좀 걸려도 100년을 내다보고 제대로 개발하기를 바람

  • @seonghoonlee480
    @seonghoonlee4802 ай бұрын

    05:24 부분 얘기가 참 재밌네요 ㅋㅋㅋㅋㅋ 아니 그 아파트가 안그래도 좋은데 왜 보행자 도로를 만들어서 더 좋게 만드느냐 라고 외부에서 얘기한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자기가 거기 살진 않잖아요 ㅋㅋㅋㅋ 애초에 자기가 갖고 있는게 아닌데 뭔 상관인지 모르겠음ㅋㅋㅋㅋㅋ 그리고 거기 건물 값 오른다고 본인한테 피해가 오는건 또 아닐텐데.. 만약 부동산 값을 낮춰야될 의무가 있는 직책에 있는 정부 관련 분이 그런 말을 하면 그나마 사정 이해를 하겠는데 아얘 외부인이었다면 그냥 교수님이 말씀하신데로 진짜 사촌이 땅을 사면 배아프다고 하는 건데, 문제는 그 사람이 사촌의 팔촌 정도는 넘어가야한다는 거임ㅋㅋㅋㅋ 진짜 심보가...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2 ай бұрын

    북한의 경우 땅 자체가 개발이 되지 못한 것 덕에 만약 통일을 이룬다면 기회가 될 수 있으나... 자재를 과연 잘 조달할 수 있을까? 땅에 얽힌 이권의 다툼 문제에 대해선 과연 문제 없이 가능할까? 통일이 된다쳐도 이게 어떤 형태일지. 어떤 결과를 일으킬지 모르니 다른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면... 적어도 김씨일가가 무너지기 전까진 답이 없지 않나 싶군요.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2 ай бұрын

    @@mississippi7948 남한 땅에서 자재를 가저가는 건 문제가 없겠지만,... 북한 땅에 쓸만한 자재가 남아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teamcobalt9210

    @teamcobalt9210

    2 ай бұрын

    남한도 필요한건 수입해서 쓰는데. 울릉도에도 공항만들고 빌딩짓는데 북한은 더 쉽지뭐. 땅문제는 남한이 더 복잡함. 마을규모만해도 땅주인이 수백명이라 개발이쉽지않음. 근데 북한은 다 국가소유라 국가만 설득하면 끝남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2 ай бұрын

    @@teamcobalt9210 땅 자체의 문제는 결국 개발을 해야 하니 통일이 된다면 어지간한 문제가 개발을 가로막는 일이 있는 것만 아니라면 가능할 것 같아 그건 그리 상관이 없어보입니다. 그저 북한 내에 자원이 있으면. 거기서 만들어 쓰는 것이 가장 적합할텐데 과연 남아있을까 싶더군요.

  • @Phoenix2un

    @Phoenix2un

    2 ай бұрын

    김씨일가가 무너져도 세뇌당한 그 국민들이 있음. 절대못고침.

  • @user-xw7dd7dk4e
    @user-xw7dd7dk4e2 ай бұрын

    보행자 전용 다리 만들어서 다리 위에 상가도 놓고 해서 피렌체 베키오 다리처럼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다리를 만들면 관광업에 있어서도 좋고 진짜 너무 좋을 것 같은데 아쉽네

  • @Maseemaro

    @Maseemaro

    2 ай бұрын

    그러기엔 한강이 너무 크지 않나요..?

  • @user-ui9ze3ui2u

    @user-ui9ze3ui2u

    2 ай бұрын

    저도 이렇게 생각해요 바람많이 부는날 추운겨울 더운 여름에 누가 거기를 하염없이 걸어갈려고 할까요? 다른 나라 선진국들의 도시들 보면 보행자 다리가 그렇게 긴걸 본적이 없습니다 맨하탄 블루클린브릿지 정도가 최대치정도로 보여요

  • @break_gal
    @break_gal2 ай бұрын

    한강공원 자주 돌아다녀서 보행자전용다리가 좀 있었으면 했는데 환장할 콜라보네요

  • @hayeonkim7838
    @hayeonkim78382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진심 넘 감사합니다 ㅎㅎ

  • @user-nb4zn7oi2e
    @user-nb4zn7oi2e2 ай бұрын

    6:36 들으면서 든 생각이 엄청나게 꼬였어요 교수님 힘내세요

  • @user-qm1rw3sz1c
    @user-qm1rw3sz1c2 ай бұрын

    나중에 남북통일 된다면 빽다방 평양점 이런 거 생기면 그쪽 동네사람들에게 화제의 핫플레이스로 등극되지 않을까합니다.

  • @user-yn1vs9lx4x
    @user-yn1vs9lx4x2 ай бұрын

    가장 큰 포인트는 무엇으로 그곳에 자본이 모이게 유도할 것인가...

  • @gyunamchol6611

    @gyunamchol6611

    29 күн бұрын

    투자 자본이 모이게 하려면. 북한사회가 할수 있음의. 고부가 가치의 상품의. 제조인되. 현제 북한 지도부들은. 군수화확분야에. 매진 하였지요 선진 서구문명 사회에서는. 자국의 백성들까지 굶주리면서. 맹몽적으로. 띠ㅣ라올것을 강요 될수 있음의 시ㅣ회는. 반기지. 않고 있음의 현상으로 일어나고 있지요 A라는. 지점의. 은행에서 거래 하였는되. , 십시일반의 고객들이. 취합하여. 그들의. 크고 작든 금융자산들이. 국제적으로 엉뚱한곳에. 운용의 빈도가 높아질때 경쟁사의.금융기관을 이용될수 없음의 현상을로. 이루어 질수 밖에 없다든지. , 티끌모아태산이라고. , 그동안 그들의. 자산이 엉뚱한곳에 운용될 수록. 해당금융기관의. 정상적 영업범위 까지. 엄청난 손실을 볼수도 있음의. 현상 , 금융기관의. 역사와 무관하게 존폐여부까지 . 고심. 될수 밖에 없게 될수. 밖에요 최종적으로 국제 금융거래 정지 ,

  • @user-iu9gx9io9i
    @user-iu9gx9io9i2 ай бұрын

    월요일 아침부터 셜록현준이라니...

  • @user-uh9zw9yw5j

    @user-uh9zw9yw5j

    2 ай бұрын

    22ㅣ​@@GoalMaster-pq9kp

  • @jhandreapark8315

    @jhandreapark8315

    2 ай бұрын

    그것도 통일??!!!! 조만간 홀연히 통일이 되려나요

  • @DTEX2
    @DTEX22 ай бұрын

    09:30 이게 비슷한 개념이 중국이 현금결제에서 신용카드를 건너뛰고 바로 QR 결제로 넘어갔어요 한국은 현금에서 카드로 넘어갔고 QR은 아직 보편화는 안됐죠 카드사 이해관계가 있기도 하고... 아예 배경이 없으면 더 나은 체제로 한 방에 넘어가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 @HH-wi1hp

    @HH-wi1hp

    2 ай бұрын

    중국은 현금 사기 때문 아닌가요?

  • @user-jj7tf8uu3t

    @user-jj7tf8uu3t

    2 ай бұрын

    @@HH-wi1hp신용카드를 건너뛰고 바로 QR결재요..

  • @LouisN-hc4sl

    @LouisN-hc4sl

    2 ай бұрын

    국내에서 NFC결제는 되는거 같아요. QR의 장점은 따로 단말기가 필요 없고 NFC는 자기장 인식이라 단말기가 필요하죠, NFC가 더 편한데 아직은 단말기 없는데가 더 많아서

  • @Mintsoda_15
    @Mintsoda_152 ай бұрын

    제 생각이지만, 평양의 신도시 관련 건물들은 다 헐어야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유는 그건 내구성이 너무 부실해서 언제 무너질 지 모르고, 고층에는 가스나 수도 같은 것도 제대로 공급이 안 돼서 거기서 사는 의미도 없기 때문입니다.

  • @user-nt3mh6nk9k
    @user-nt3mh6nk9k2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유익한 영상보면서 아침을 시작하네요~! ^^ 언제나 귀에 쏙쏙 들어오는 말씀 아침음악보다 스윗합니다~! 행복한 한주보내세요~ ❤

  • @user-ci6tq9fg5f
    @user-ci6tq9fg5f2 ай бұрын

    설명하시는 목소리톤이 너무 편안해요~

  • @user-ff9du7ob7r
    @user-ff9du7ob7r2 ай бұрын

    교수님 웃을때 에드워드 노튼 닮았어요😝특히 팔자주름

  • @user-ji5ge6yl5m
    @user-ji5ge6yl5m2 ай бұрын

    교수님 일본판 더현대, 아자부다이 힐스에 관해서 한번 다뤄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식생과 인프라의 예술적인 조화 부분에서 우리나라 건축이 배울점이 많을 거 같아요!

  • @user-yk2kj2um3k
    @user-yk2kj2um3k2 ай бұрын

    누가 통일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죠. 잘못되면 상상하기도 싫으네요

  • @one_month_only
    @one_month_only2 ай бұрын

    서울시랑 딜이 잘 돼서 보행자도로 만들어지면 좋겠네요. 압구정에서 나와 상가들 지나고 한강건너서 서울숲을 걷는 모습을 상상해봤는데 정말 아름다운 길이 될 것 같아요

  • @sotal03
    @sotal032 ай бұрын

    통일이 되어서 자꾸 내가 내야될 세금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이렇게 북한 개발을 통해 북한 사람들에게도 일자리를 주는건 곧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남한 북한 사람들 모두가 합심하여 같이 경제활동을 하고 같이 세금을 내는 방향을 생각해야 합니다. 북한 사람들도 우리와 다름없이 손발이 있고 같은 언어도 쓰는데 그 사람들을 가만히 굶게 나둘 수는 없잖아요. 결국 일자리와 일손이 같이 늘어나는 기회가 올것이기 때문에 여러측면에서 봤을때 이득이 더 많을거라 봅니다.

  • @user-vw7tk3wn1t

    @user-vw7tk3wn1t

    2 ай бұрын

    그럼 미국에 자치령으로 합병당하는게 낫지 않나요? 같은 사람인데 ㅎㅎ

  • @sotal03

    @sotal03

    2 ай бұрын

    @@user-vw7tk3wn1t 외국인이면서 한국인인척 하지마세요.

  • @user-vw7tk3wn1t

    @user-vw7tk3wn1t

    2 ай бұрын

    @@sotal03 비극적이게도 저는 조선계 한국인입니다. 논점이랑 무관하게 외국인은 발언권이 없다는 류의, 북조선 시민에게는 관대하나 똥남아 외노자들한테는 한없이 무관심한 똥팔육 아비투스으로부터 잠시나마 외국인 취급받으니 감사할 따름 ㅠ

  • @sotal03

    @sotal03

    2 ай бұрын

    ​​@@user-vw7tk3wn1t그냥 중국 조선족이라고 스스로 말을 합시다. 본인한테 발언권이 없냐고요? 네, "병합"이라면서요. 대체 어떤 외국인이 이 문제에 대해서 그런말을 합니까? 한국역사는 제대로 알긴 알아요? 우리는 그걸 "식민지화"라고 합니다. 외국인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당신같은 왜곡된 말을 할 경우 발언권이 없습니다. 여기는 영국인들의 식민지화로 세워진 국가인 미국같은 나라가 아니에요. ^^ 특히 남북 통일에 대해서는 더더욱 당신같은 외국인이 나서면 안됩니다.

  • @gra6021
    @gra60212 ай бұрын

    아.. 유튜브 안보려고 그랬는데 이걸 어떻게 참음ㅠㅠ

  • @gy7236
    @gy72362 ай бұрын

    어려움도 많은 건 사실이지만 개인적으로 언젠가는 장기적인 국가경쟁력을 위해서라도 통일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번 영상 주제 궁금했었어요. 감사합니다

  • @Ycmjg37143

    @Ycmjg37143

    2 ай бұрын

    근데 통일이 될 가능성은 없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아요.

  • @Phoenix2un

    @Phoenix2un

    2 ай бұрын

    그 전에 인구소멸로 사라짐.

  • @user-qc2yl6du6s
    @user-qc2yl6du6s2 ай бұрын

    교순님 3/26일 화물선과 충돌한 볼트모 다리를 리뷰해주시면서 감사하겠습니다. 뉴스에서도 나오지만 교수님의 답의 궁금합니더.

  • @user-gw3rs3il5v
    @user-gw3rs3il5v2 ай бұрын

    교수님! 독일 베를린에 Tacheles라는 오래된 백화점 건물이 이번에 거주공간으로 재개발 된다고 들었습니다! 예전 Tegel공항도 새로이 도시계획을 한다고 하고 베를린에 재밌는 프로젝트들이 많이 생기고 있는것 같아요

  • @user-bs6fj8cv3m
    @user-bs6fj8cv3m2 ай бұрын

    이번에 아들이 건축과에 입학했어요 제가 건축을 아는게 없어서 구독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hushuhan
    @shushuhan2 ай бұрын

    김일성일가 동상들이 무너질 날이 곧 올거 같네요~~~!!

  • @ChunSik262

    @ChunSik262

    2 ай бұрын

    그 구리가 얼만데… 녹여서 전선으로 써야죠 ㅋㅋ

  • @user-le3xe5hj6p
    @user-le3xe5hj6p2 ай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2 ай бұрын

    롯본기힐즈, 아자부다이힐즈같은 프로젝트는 서울에서 보기힘들겁니다. 일본은 재개발을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남에 대한 배려'를 깔고 갑니다. 그게 입주민이 꼭 아니더라도 말이죠. 그리고 디테일이 많이 부족함 한국이.

  • @user-cc1qq3qk5b
    @user-cc1qq3qk5b2 ай бұрын

    난 궁금한게 아직 대한민국도 미개발된 지역이 그렇게나 많은데 북한이 통일된다고 해서 개발이 막 압도적으로 이뤄질까? 잘 모르겠음

  • @ChunSik262

    @ChunSik262

    2 ай бұрын

    일단 개성 경기북부는 떡상함. 평양은 군사도시가 될듯

  • @user-oi5xr9hd2b
    @user-oi5xr9hd2b2 ай бұрын

    SANNA - La samaritaine 백화점 리모델링 사례 생각나서 댓글남겨봅니다.. mix use, social housing이 리모델링되면서 프로그램 추가된 사례입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sjo2048
    @sjo20482 ай бұрын

    개성이 위치 최상, 신,구 조화가 있는 아주 좋은 도시가 될것 같아요.

  • @ChunSik262

    @ChunSik262

    2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양식으로 복원되어선 안되는데…

  • @easycafe6963
    @easycafe69632 ай бұрын

    엘리베이터도 없고 수도 시설도 없는 건물은 있으나 마나 쭉 깔라 뭉개도 아예 다시 짓는게 빠를듯

  • @whiskeywoods5822
    @whiskeywoods58222 ай бұрын

    교수님 책을 하나씩 다 구매해서 읽고있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 @liamlim8634
    @liamlim86342 ай бұрын

    평양이든 북한의 다른도시는 인프라가 부족하지않나요? 도시를 개발하기위해서는 전력망. 통신망등 기초인프라가 구성되어 있어야하지만 북한의 도시들은 기본인프라를 다시 조성해야해서 기존 건설망을 다 띁어고쳐야할것으로 보이는데요 래부터 없다면 조성하면되지만 띁어고치는건 더 어렵고 비용이 많이들어갈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 @user-gd5ce4ke4k
    @user-gd5ce4ke4k2 ай бұрын

    와이어는 안끊어지는데 그 와이어를 걸어놓은 구조물이 무너지는게 한국 건축의 특징.,

  • @Exynos3

    @Exynos3

    2 ай бұрын

    ㅋㅋㅋ 돈도 없고 인력도 없고 인재도 없고 뭐 여기가 독일이나 미국인가요? ㅎㅎ

  • @user-zv5hx8kz9w

    @user-zv5hx8kz9w

    2 ай бұрын

    몇몇 부실공사가 문제

  • @user-mh7wd7lg5c

    @user-mh7wd7lg5c

    2 ай бұрын

    부자들이 사는 건물은 안 부서짐 그런 곳은 오히려 열심히 만듬

  • @cyprincipe
    @cyprincipe2 ай бұрын

    현실적으로, 통일 후 북한의 도시들이 어떻게 개발될지에 대해 그려 보고자 한다면, 독일의 동베를린 지역울 한 번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통일전 동독의 수도였던 동베를린에 통일후에는 대규모 재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몇몇 부분이 탈바꿈한 곳도 있지만, 통일이 된 후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동베를린과 여타 예전 동독에 속했던 도시들에는 서독과 동독의 건축 스타일(architectural style)이 혼재된 양상이 보여지고 있다고 합니다. 독일같은 경제 강국도 여러 도시의 재개발을 추진해 한꺼번에 변모시키기는 어려운 것을 보면, 한반도의 경우에도 통일 후 북한에 투입될 수 있는 재원의 규모가 많은 부분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제가 보기에 통일후 한반도가 독일과 다르게 나타날 점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도 지방을 재개발하기 보다는 인구가 수도권에 더 몰려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야할 개연성이 더 높다는 것인데, 그 결과 남한의 수도권은 통일 후 개성, 해주까지 확대되고 북한 이주민 250만이상을 받아들여 전체 인구 3000만 시대를 내다 보게 될 것이고, 서울을 제외하면, 북한의 수도였던 평양에 거주 이전의 자유가 부여되어 북한 주민들의 선호 지역이고 중국과의 거리가 가까운 평양으로 인구가 몰리는 이촌향도 현상이 나타나, 평양, 남포권의 인구가 500만 이상으로 늘어나면서 이에 의한 인프라 및 건축 수요는 커지겠지만, 다른 지역의 수요는 오히려 줄어드는 상황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해 봅니다. 그렇게 바뀐 평양과 여타 북한의 도시들에는 기존의 북한 건축 스타일과 새로운 남한 건축 스타일이 혼재되는, 베를린과 같은 방식의 도시 외관이 형성될 것 같은데, 시간이 지나가며 융합하거나 수렴해가는 면모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외에, 북한의 공업도시나 국경 인근에 있는 신의주, 라선같은 도시들도 더욱 활성화될 것 같고, 특히 경원선이 복원된 이후에는 수도권 주민의 새로운 휴가지로 원산이 부각됨과 동시에 원산에서 금강산, 설악산, 강릉까지 이어지는 관광 벨트가 만들어져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 관광 명소가 탄생할 가능성도 크다고 생각됩니다.

  • @johnpetermakesyoufree
    @johnpetermakesyoufree2 ай бұрын

    통일이 되면 엄청난 기회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 @user-ub2ws9xy6e
    @user-ub2ws9xy6e2 ай бұрын

    👏

  • @onionring_k
    @onionring_k2 ай бұрын

    축구 종합센터가 22년 만에 파주에서 천안으로 이전 하면서 네덜란드 출신 '벤 반 버클' 건축가가 맡았다고 합니다. 아직 조감도 정도의 자료만 있는 것 같은데 어떤 컨셉이나 방향을 가진 작품인지 교수님의 견해도 궁금합니다. 어떤 건축가인지도요.

  • @user-tt4fw3bf8e
    @user-tt4fw3bf8e14 күн бұрын

    정조대왕 이후 지지리도 운이 없던 한반도는 베트남전쟁 중동특수 민주화성공 플라자합의 중국수출 등 운이 정말 좋아서 순식간에 식민지 최후진국에서 선진국이 된 유일한 나라가 되었다. 하지만 더이상 성장동력이 없다. 여기서 한번만 더 운이 좋아 안정된 통일이 된다면..

  • @Lia-oc8vp
    @Lia-oc8vp2 ай бұрын

    교수님 ❤❤❤사랑해요

  • @garam4821
    @garam48212 ай бұрын

    뭔가 살면서 한번 궁금하게 생각했던 내용을 이렇게 올려주시다니… 감사합니다

  • @hakiki9580
    @hakiki95802 ай бұрын

  • @user-tz7le4eo6y
    @user-tz7le4eo6y2 ай бұрын

    당연히 통일은 안될거고 되면 큰일나는거지만 된다는 전제하에 단순히 건축계만 보고 상상 정도는 해볼수 있단 점에서 흥미로웠습니다

  • @user-ze3gg2xi3s
    @user-ze3gg2xi3s18 күн бұрын

    부산입니다 부산도 관심과 조언을 주세요 바다와 산 멋진곳입니다

  • @jasonlee2898
    @jasonlee28982 ай бұрын

    백화점을 주거 공간 및 사무공간으로 활용할수 없는가에 대해서 생각을 하다보니 떠오른 아이디어가 1. 맨 윗쪽 천장을 뚫고 가운데에 슬로프를 만들어서 각 층마다 차가 들어갈수 있게 해서 지식 산업센터같은 소규모 업장에서 바로 물류를 나를수 있는 방식으로의 활용 혹은 스튜디오나 세트장 활용 2. 백화점은 대부분 입지가 좋은 곳에 위치해서 큰 평수의 주거공간을 두고 주차 엘레베이터나 슬로프를 둬서 바로 집 현관까지 갈수 있도록 설계를 하고 가운데 공간을 뚫고 사선으로 2-3층마다 녹지 공간을 조성 이 정도 아이디어가 나오는데 둘다 가운데를 뚫는 방식이 될텐데 이렇게 되면 보강만으로 건물의 내구성이 어느정도 될지가 궁금하네요🤔🤔

  • @_REBORN_OF_GANG_GAM_CHAN
    @_REBORN_OF_GANG_GAM_CHAN2 ай бұрын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통일한국) 만세 🇰🇷

  • @REDSTAR-009
    @REDSTAR-0092 ай бұрын

    거지국 일단 하수도나 배관 개판일껀데... 싹 다 밀어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하죠.

  • @user-vs4fm7xf3l
    @user-vs4fm7xf3l2 ай бұрын

    우선 전기와 수도를 놓고 하수도 정비부터 한 후 도로에 아스팔트 깔고 ᆢ모든아파트를 몽땅 헐고 ᆢ엄청 바쁘겠내요 ㅎ ㅎ

  • @user-bl2yl3fu8e
    @user-bl2yl3fu8e2 ай бұрын

    유현준교수님 ♡♡♡♡♡♡♡♡♡♡♡

  • @USER61715
    @USER617152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있어요, 울산광역시에서 3600억 투자해 만들겠다고 공표한 '시드니 오페라하우스보다 더 큰 오페라하우스'에 대한 전문가적 시각이 궁금합니다. 제가볼땐 영 아닌데.

  • @user_evan0049k
    @user_evan0049k2 ай бұрын

    오~~~이제야!! 👌 자유민주주의로 통일, 가까울 것으로 기대함.

  • @saryanglee3752
    @saryanglee37522 ай бұрын

    서울숲 보행자 다리 이야기는 상당히 흥미롭네요.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느낄 수 있고, 실제 도시 건축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엿볼 수 있었습니다.

  • @kkarggm
    @kkarggm2 ай бұрын

    월요일 출근길 화이팅 ㅋㅋㅋㅋㅋ

  • @ssw61461
    @ssw614612 ай бұрын

    예전에만해도 통일의식 함양이라던지 교육도 받쳐주고 했는데...이산가족도 점점 사라지고 연결되어있는 고리들이 세월이 흐르면서 인지 사회적인식이 남한도 그렇고 민족이라는 단어를 지우고있는 북한도...이제는 통일이란게 진짜 가능한것일까하는...ㅠ

  • @ferma5101
    @ferma51012 ай бұрын

    듄 건축물 설명해주시는 컨텐츠은 안하실까요? 이번 듄 2에 특이한 건축물이 되게 많아서요!

  • @user-jb3bv6om5k
    @user-jb3bv6om5k2 ай бұрын

    살인마 잭의 집이라는 영화에 대한 교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user-cq9so3gy4b
    @user-cq9so3gy4b2 ай бұрын

  • @user-ys4uz5es4b
    @user-ys4uz5es4b2 ай бұрын

    압구정 보행교는 오세훈 시장이 십여년 전 한강 르네상스 계획할 때 포함되어 있었는데요 오세훈 시장이 물러나면서 이루어지지 않았었습니다. 그때 당시 한강 보행교는 한양 아파트쪽에 건설하려고 했었습니다. 사실 서울숲이라는 좋은 환경에 한강 인도교가 생기면 서울시 전체로 좋은 일인데 안타깝습니다. 한강을 접하고 있는 숲은 서울숲이 유일하고 교수님 말씀대로 지하철도 있어서 사람들이 오고 가기에도 가장 좋습니다.

  • @jbk6008
    @jbk60082 ай бұрын

    통일되면 평양에 한국 이상한 성냥갑 아파트 단지 절대 들여오면 안됩니다

  • @Phoenix2un

    @Phoenix2un

    2 ай бұрын

    ? ? 평양분이십니까?

  • @user-lo4nx2li1d

    @user-lo4nx2li1d

    2 ай бұрын

    ​@@Phoenix2unㅋㅋㅋ 평양까지 닭장된다 생각해보면 소름돋지 아이덴티티 통일된한국=닭장

  • @user-jx7bq7bx8g

    @user-jx7bq7bx8g

    2 ай бұрын

    통일되면 99% 빼곡한 아파트 들어서서 지저분하게 보일듯.. 평양은 적어도 재개발 되면 아름다운 모습으로 지어졌으면 좋겠음

  • @sib8441
    @sib84412 ай бұрын

    평양의 고층건물들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저기에 주차공간은 과연 얼마나 될까...? 넓은 차선과 충분한 주차공간이 확보되어있지 않다면 싹 다 허물어버리고 다시 지어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 @532peace
    @532peace2 ай бұрын

    북한은 주요도시 다 박살나서 지금 한국기준의 안전검사 통과가 안되고 다 철거 해야합니다. 그전에 토지개혁을 해야되고 난민과 반군에 대한 치안통제 때문에 20년 정도는 왕래가 제한됩니다. 결국 먼저 이동하는 공공기관과 종교기관 중심으로 도시설계가 이루어 지지 않을까요

  • @user-zm7dz7dr5p
    @user-zm7dz7dr5pАй бұрын

    통일되면 평양 및 주요도시에 또 성냥갑 아파트 짓겠지요 ㅋㅋㅋㅋ

  • @user-mo7wh3go1i
    @user-mo7wh3go1i2 ай бұрын

    오, 평소에 궁금했던 주제였는데! :D

  • @fbdidixgfj5797
    @fbdidixgfj57972 ай бұрын

    🎉

  • @minc4108
    @minc41082 ай бұрын

    10:19 여기 자료화면은 어느 지역인가요? 아무리 봐도 어딘지 모르겠어서 궁금합니다

  • @user-nk1ib2xe2x

    @user-nk1ib2xe2x

    5 сағат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용마산 내지 근처에서 건대/강남 방면으로 바라보는 것 같습니다. 저 다리가 영동대교 같고요

  • @Eclair_Chocolat.
    @Eclair_Chocolat.Ай бұрын

    최소한 서울 집중은 막는 근본력 넘치는 지역이 넘침.. 평양, 개성, 의주, 함흥 ㄷㄷ

  • @user-wh8kn5lc7u
    @user-wh8kn5lc7u2 ай бұрын

    아이언맨 돔 집이 진짜 자연재해를 버틸 수 있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 @dailybyahn
    @dailybyahn2 ай бұрын

    통일되고 난개발 안되려면 부동산정책이 정말 중요할 것 같네요. 북한은 산간지대가 많은데 어디서든 산조망이 아름답게 들어오는 도시계획이 되길 바래봅니다. 서울도 산주변으로 높은 건물 없으면 도봉산이나 북한산이 거리 곳곳에서 한눈에 들어오면서 정말 아름다웠을 텐데요. 마치 라오스 방비엥 같은 느낌을 도시에서 느낄 수 있는ㅎ 태국 팡아타운보면 주변 산세가 아름답게 들어오는 도로계획을 가지고 있어서 부럽더라구요 . 북한 도시 계획은 이런 부분이 많이 고려되면 좋겠어요. ^^

  • @m855gt2

    @m855gt2

    2 ай бұрын

    한국처럼 흉물스러운 성냥갑 닭장 아파트가 득실되는 삭막한 도시가아니라 단독주택 위주로개발되기를 기원합니다

  • @LouisN-hc4sl

    @LouisN-hc4sl

    2 ай бұрын

    그런 개발은 한국 내부에서 충분하고 평양의 장점은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간토평야 같은 평야 지대죠

  • @KSST-111

    @KSST-111

    2 ай бұрын

    ​@@m855gt2미안한 이야기지만 북한은 소련 영향 받아서 흐루숍카 비슷한 건물들이 대부분임

  • @jskim9159
    @jskim91592 ай бұрын

    북한 도시 건설이 만약 일어난다면 실질적으로 평양보단 개성쪽이 먼저 발달하지 않을까요?! 공단이 먼저 재개 하고 주변인근 주택 상업시설 들어서고 평양주민 개성으로 이주한다음 평양도시건설 하고 타 지역에서 평양으로 이주 하고 나머지 지방은 관광지로 개발되고~

  • @howlovely138
    @howlovely1382 ай бұрын

    교수님 영상보고 뉴욕 갔다가 많이 실망했습니다. 뉴욕보다 서울이 100배는 좋았습니다. 환경이나 인프라나 안전성이나 모두... 통일이 되면 북한의 기존 주민들과 새롭게 북한으로 이주하는 남쪽의 대한민국 국민들이 모두 만족하면서 살수 있는 새로운 도시들이 멋지게 지어졌으면 좋겠어요. 빈부의 격차가 느껴지지 않고 같이 융합하면서 살 수 있는 곳으로요. 그럴려면 가난한 사람들도 무료로 쉴수 있는 녹지 공간들이 많이 생겨야 할 것 같습니다.

  • @rommel3616
    @rommel36162 ай бұрын

    건물 내부에 농장을 조성하면 전기세가 엄청 많이 나올텐데 그러면 건물 유지비가 높아져 사람들이 안 살지 않을까요?

  • @corelcid
    @corelcid2 ай бұрын

    문화적 경험을 이익 입장만 따지다보니.. 우리의 문화가 한단계 나아가기가 넘 아쉽네요.. 걷는 다리.. 언제쯤 ㅠㅠ

  • @navyPLLI
    @navyPLLI2 ай бұрын

    10:56 을 보다가 문득 생각나서 댓글을 달아봅니다! 로드아일랜드 다운타운에 Arcade라는 되게 오래된 옛 백화점이 있는데 버려져있던 건물을 micro loft로 새롭게 바꿔서 처음에 나왔을때 싱글들한테 엄청 인기가 많았어요. 1층은 그냥 상가들이 있고 2,3층을 주거지로 사용하는데 원룸이라 젊은 직장인들이 좋아하더라고요. 동부라서 원룸이 웬만하면 좀 비싼데 그래도 micro loft라 공간이 협소하니 다른 곳에 비하면 좀 저렴했거든요. 다운타운에 있는데 대학가가 주변에 있고 (RISD & JWU) 근처에 메이시라는 큰 백화점이랑 레스토랑도 많은데다 걸어서 전철역까지 15-20분 걸리니 보스턴까지 출퇴근하는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시켰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들어가고 싶어서 대기자 명단에 올렸는데 지금까지도 대기자수가 넘쳐서 연락온적이 없답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그 옛날 백화점에 대한 교수님의 평가를 들어보고 싶네요!

  • @TheJinNK
    @TheJinNK2 ай бұрын

    한가지 생각해봐야할 중요한것이 있죠 바로 유적지.. 평양이나 개성은 유적지위에 고대로 무시하고 지은 건축물이 많아서 중심구역은 개발이 힘들겁니다

  • @courtneyc1602
    @courtneyc16022 ай бұрын

    개인주택을 지을때 한국은 왜 지하실을 짓지않나요? 단순 비용 절감이 이유인가요? 지하실은 겨울엔 따뜻하고 여름엔 시원하다고 들은것 같은데, 그러면 한국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는 도움이 되지 않나요? 한국 개인주택에 간혹있는 풀은 이용하지 않으면 왜 물을 빼나요? 풀이라고 해봐야 대부분 자쿠지만큼 작긴 하지만 그래도 물을 빼고 채우고 하면 플라스터벽에 금이 가지않나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