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비냥] 또! 또! 또 1등! 말도 안 되는 속도로 문제들 해치워 버리는 두뇌 괴물 송기문⭐ 역시 신은 불공평하다..항!ㅠ |

Ойын-сауық

#티비냥 #문제적남자 #Diggle
구작이 명작인 tvN 맛집의 콘텐츠를 마음껏 볼 수 있는 tvN D CLASSIC : bit.ly/2PoHd0B
tvN 〈문제적 남자〉 : 지금은 뇌섹시대! 상대방의 두뇌를 풀가동 시켜주는 색다른 여섯 남자의 뇌섹남 토크 프로그램
공식 홈페이지 : program.tving.com/tvn/hotbrain

Пікірлер: 472

  • @user-zx1cm2dc4x
    @user-zx1cm2dc4x Жыл бұрын

    보통 고학력자들보면 머리좋다는 느낌이 아니라 그냥 암기식으로 외워서 생각외로 띨빵한 사람들이 많은데 이 사람은 진짜 머리 좋은 듯

  • @ztzeros

    @ztzeros

    9 ай бұрын

    과 동기 15명 중에 한 놈쯤 있긴 하더라. 넌 멀쩡한 14명은 만날 기회도 없어서 그 한명만 보고 무시하고 희망회로 돌리겠지만.

  • @user-ku7op7bx6j

    @user-ku7op7bx6j

    8 ай бұрын

    그냥 그렇다는건데 댓글들 왜캐 화가 많이 났음

  • @user-kg1mg3jk1i

    @user-kg1mg3jk1i

    8 ай бұрын

    애초에 수능이란 게 머리가 좋은지를 묻는 시험이 아니라 그럼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력이 높은 집단에 머리가 비상한 사람이 많았다는 게 내 경험임

  • @jaeyoungpark1065

    @jaeyoungpark1065

    8 ай бұрын

    ​@@user-kg1mg3jk1i어찌보면 공부를 '잘' 하는 것은 지능과 재능의 영역이니까 맞지 공부와 별개로 고학력자들은 대부분 열정 태도 이런게 남달라서 좋음

  • @user-dr4xr4ho9g

    @user-dr4xr4ho9g

    5 ай бұрын

    ​@@Uiakeo겪어본 결과 하나쯤은 대단한 구석이 있더라고요 그게 끈기, 노력으로 치부되는 불리한땐 재능 유리할땐 현실로 치부되는 것이더라도요ㅋㅋ

  • @black_bean925
    @black_bean9253 жыл бұрын

    17:29 루트17 얘기는 쟝이 먼저 꺼냈으나 저 카이스트 3인방은 다 알고있었다는게 그렇게 힌트를 주고 기문님이 깔끔하게 해결해버리신

  • @rockstardreamer
    @rockstardreamer10 ай бұрын

    신재평 말 되게 예쁘게 하다 타일러가 토큰 나누는 문제 무효라고 할 때 문제 의도와는 어긋나는 말인데도 칭찬해 줌

  • @loveyAaaaaa
    @loveyAaaaaa3 жыл бұрын

    …구역 나누는 거 숫자 다 더하는 거나 루트 17이나 초반에 접근하는 사고력이 진짜 미쳤다;

  • @user-vm6bu3ck8u
    @user-vm6bu3ck8u3 жыл бұрын

    송기문씨 두뇌도 두뇐데 무엇보다 예의가 굉장히 바르시다ㄷㄷ

  • @user-zz5kx8gu5j

    @user-zz5kx8gu5j

    3 жыл бұрын

    맞아 그리고 뭔가 겸손하심 얼굴도 잘생기시고 ㅋㅋㅋ

  • @g1006
    @g1006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문제 소녀장원이 힌트 마이준거 같은데..

  • @brtstar-jl6pv
    @brtstar-jl6pv3 жыл бұрын

    ㄹㅇ 마지막 김지석 마음 공감 백배 ㅋㅋㅋㅋㅋ 걍 수학적인 머리쓰면 가슴이 답답해짐 ㅋㅋ ㅠㅠ

  • @music.and.bluesky
    @music.and.bluesky3 жыл бұрын

    이장원 진선미 드립은 정말 최고센스! 본인도 높이고 놀리려는 상대방들도 덜무안하고 빵터지게 ㅋㅋ

  • @wellsmark5356

    @wellsmark5356

    2 жыл бұрын

    i guess im asking the wrong place but does any of you know a tool to log back into an instagram account? I was stupid forgot the account password. I love any assistance you can give me

  • @ephraimcash875

    @ephraimcash875

    2 жыл бұрын

    @Wells Mark instablaster =)

  • @derleiermann7378
    @derleiermann73783 жыл бұрын

    팩토리얼이랑 시그마에서 지려버렸..... 아니 저게 연출 없이 저렇게 빨리 나올 수 있는 건가?! 설령 시간을 한시간쯤 줬다고 해도 저게 떠오르나? 내가 고등학교 졸업한 지 너무 오래 된 건가....

  • @user-ou4ou9yk6r
    @user-ou4ou9yk6r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마지막 게임은 파라오 코드라는 보드게임입니다. 물론 저렇게 시그마랑 팩토리얼을 쓰진않지만....

  • @user-ddejsbsdks
    @user-ddejsbsdks3 жыл бұрын

    13:16 미장원;;

  • @ansrha
    @ansrha11 ай бұрын

    어떻게 문제를 저렇게 수학적인 관점으로 볼 수 있는걸까? 진짜 경이롭고 존경스럽다

  • @piyo1231
    @piyo12313 жыл бұрын

    제작진 답안은 일단 확실하게 한변이 4이고 다른 한변이 1인 대각선으로 하나 자르고 나서, 다음을 점점 맞춰나가면 나올 수 있는 패턴 같아요. 게스트분은 처음부터 4개를 동일하게 자르겠다 라고 생각하고 접근해서 약간 어림으로 4개 짜리 변이랑 1개짜리 변을 잡은 것 같구요. 어림이라고 말했지만 종이를 접어서 확인하면 정확히 4개 길이가 되는 지점을 잡을 수 있겠네요.

  • @Gen.G_Faker
    @Gen.G_Faker3 ай бұрын

    이거 여태까지 송기문 저분이 푼줄 알았는데 이장원이 힌트 하나부터 열까지 다주고 먼저 풀기까지 했네 17:07 루트17이므로 사선으로 짤라야한다 18:22 송기문씨가 그리고있을때 이미 답 알아내서 잘라서 붙이고있음. 풀영상으로 보니까 걍 게스트 배려해서 떠먹여주고 답 미리 안말한거임

  • @tenk-2215
    @tenk-2215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이 수학적인 관점에서 풀수있는 문제가 많아서 다른때보다 푸는시간이 짧네요 ㅎㅎㅎ 그중에 논리적 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타일러도 흥미롭네요

  • @SunMinGroot
    @SunMinGroot3 жыл бұрын

    17:54 벌써 정답 말하셨네, 여기서

  • @alska-uq7sc
    @alska-uq7sc3 жыл бұрын

    송기문씨는 설명도 잘하신다 ㅎㅎ

  • @jaypark8895
    @jaypark88953 жыл бұрын

    19:00분경부터 갑자기 사람이 잘생겨보이기 시작한다...

  • @user-ml2di6hn7v
    @user-ml2di6hn7v3 жыл бұрын

    수학적으로 많이 배울 특집이네요

  • @soulmoo6133
    @soulmoo61333 жыл бұрын

    31:33 시그마? 하는 순간 얼탱이가 없었다 ㅋㅋㅋㅋㅋㅋㅋ

  • @postgres2981
    @postgres29813 жыл бұрын

    이 편은 진짜 죄수들 동굴 나올 때 자기 색깔 맞추는편 다음으로 재밌음

  • @miniholy
    @miniholy3 жыл бұрын

    연애를 못하는것보다 그냥 너무 완벽에 가까워서 다가가는게 힘들듯ㅋㅋㅋㅋ...

  • @music.and.bluesky
    @music.and.bluesky3 жыл бұрын

    정말 지적인 남자 증~말 멋찜. 완젼 이상형

  • @user-ef6bc9ee7m
    @user-ef6bc9ee7m3 жыл бұрын

    송기문 답이 훨씬 아름답고 뇌섹적이네

  • @user-jy3gn5uv6m
    @user-jy3gn5uv6m3 жыл бұрын

    뇌가 섹시하단말은 이때쓰는거 같다. 루트17은 정말 대단하네

  • @TopreFan
    @TopreFan3 жыл бұрын

    이분은 루트 17이었나? 그게 대박

  • @user-ml6sp9or8p

    @user-ml6sp9or8p

    3 жыл бұрын

    개소름돋아요,,, 저기서 피타고라스를 어떻게 꺼내

  • @user-ui4mp2yg6n

    @user-ui4mp2yg6n

    3 жыл бұрын

    면적이 17이다에서 힌트는 나왔는뎅 ㅋㅋㅋㅋ 되는거 보니까 신기하네 ㅋㅋㅋ

  • @user-fh5wx7tz3b

    @user-fh5wx7tz3b

    3 жыл бұрын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하면

  • @user-mf5yq6th9u

    @user-mf5yq6th9u

    3 жыл бұрын

    경시대회에서 많이 나오는 문제긴 함

  • @hello_world214

    @hello_world214

    2 жыл бұрын

    루트 17인건 쉬운데 4,1 직각삼각형 찾는게 어려움

  • @LS-pq9wz
    @LS-pq9wz3 жыл бұрын

    멋있다

  • @haekim3058
    @haekim30583 жыл бұрын

    멋지네요.

  • @seongdongwi7622
    @seongdongwi76223 жыл бұрын

    한 변이 루트17이 되겠구나 까지는 알았는데 루트17을 한 변으로 가지는 조각 4개를 못만들겠어...

  • @wheewhoo2

    @wheewhoo2

    2 жыл бұрын

    최종 결과물의 한 변이 17 이니까 조각 4개의 변이 꼭 17개일 필요 없음

  • @user-fs1nn1is6l
    @user-fs1nn1is6l3 жыл бұрын

    캬~ 도형 대박

  • @richtergerhrd
    @richtergerhrd3 жыл бұрын

    이건 하석진 반응이 ㄹㅇ임. 본인도 명문대인데 벽을 느낀다는 게 문제 풀 때마다 느껴짐

  • @user-rf5cd2hc1m

    @user-rf5cd2hc1m

    3 жыл бұрын

    외우

  • @user-ih1zg6fg4j

    @user-ih1zg6fg4j

    3 жыл бұрын

    한양대는 완전 명문은 아니지. 서울대.카이스트 다음으로 연고대,서강대, 포항공대 등등 있는데 ~~~

  • @user-oc3pc4hh7u

    @user-oc3pc4hh7u

    3 жыл бұрын

    @@user-ih1zg6fg4j 한양대 공대가 서강대 공대보다 뒤에 오지는 않지요

  • @user-ih1zg6fg4j

    @user-ih1zg6fg4j

    3 жыл бұрын

    @@user-oc3pc4hh7u전반적으로 서강대가 좀 우위입니다. 1.카이스.서울대 2.연고대.포항공대 3.서강대 4.성균관대.이대.한양대.경희대

  • @qqps92923

    @qqps92923

    3 жыл бұрын

    @@user-ih1zg6fg4j 그래서 닌 어디다니냐고 ㅋㅋㅋㅋ

  • @user-ud4qr2lj3r
    @user-ud4qr2lj3r3 жыл бұрын

    대박~~

  • @user-pf6ny1rc1r
    @user-pf6ny1rc1r3 жыл бұрын

    역시 탑프로그래머, 수학을 씹어먹네 그냥

  • @user-oo2rn2xy2i
    @user-oo2rn2xy2i3 жыл бұрын

    송기문님 ... 예전거를 오랜만에 보는건데도 ㅎㄷㄷ 하심...

  • @balju8806
    @balju88063 жыл бұрын

    송기문 왤케 잘맞추뉴

  • @balju8806
    @balju88063 жыл бұрын

    24:38 전형적으로 잘나서 칭찬받는 사람보면 단점 찾아서 까고 싶은 사람

  • @hmm1695

    @hmm1695

    3 жыл бұрын

    근데 전현무 시발 ㅈㄴ 개깝죽대네 ㅋㅋ

  • @user-qv5vo7dq3e

    @user-qv5vo7dq3e

    3 жыл бұрын

    그런 말도 했지만 예능이기도 하니... 24:00 이나 그 앞부분들 보면 여러 칭찬도 마니하고 그랬어용ㅋㅋ

  • @whee__k
    @whee__k3 жыл бұрын

    대박이넼ㅋㅋㅋ 그와중에 전현무 왤케 화났엌ㅋㅋㅋㅋ

  • @user-tr4bw9no5c
    @user-tr4bw9no5c3 жыл бұрын

    10을 반으로 나눈이유가 모든 숫자를 다더한 합이 119어서 0이 필요해 나눴다는게 소름이다...

  • @user-dw7og7ww9u
    @user-dw7og7ww9u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봣던건데도 새롭네 ㅋㅋㅋ 대단하다 진짱

  • @user-qt4lp7hf4y
    @user-qt4lp7hf4y3 жыл бұрын

    캬~~~ 할 말이 없다. 같은 뇌인데~ ㅠ.,ㅠ ㅎㅎ

  • @user-fs7xi5je7e
    @user-fs7xi5je7e2 жыл бұрын

    수학은 잘 못하지만, 17개 칸을 나누는게 일반인과는 차원이 다른게 느껴짐!

  • @kyhessjp1925
    @kyhessjp1925 Жыл бұрын

    이장원이 너무 좋다~~ 배다해도 좋은데~~ 둘이 결혼해서 너무너무 제가 다 행복합니다 ^^

  • @user-yh2km2oc4t
    @user-yh2km2oc4t Жыл бұрын

    4조각 저건 진심 송천재님 답이 최고인듯

  • @First_Revolution_Jaeryong
    @First_Revolution_Jaeryong3 жыл бұрын

    와..

  • @user-mc8pw8jd3y
    @user-mc8pw8jd3y3 жыл бұрын

    저런 두뇌로 한 번 세상을 바라보고싶다.. 대체 뭐가 보일까 흐

  • @pealj.j4334
    @pealj.j43342 жыл бұрын

    나와는 다른 생각을 하고사는분 같음! 대단!

  • @lmnop1635
    @lmnop16358 ай бұрын

    신재평님이나 송기문님이나 진짜 비상하신데 그건 둘째치고 기본적으로 너무 친절하고 예의바르시네.. 남잔데도 치인다

  • @insookyang2780
    @insookyang27803 жыл бұрын

    와 !!! 송기문 멋잊어요.

  • @eulerluver
    @eulerluver2 жыл бұрын

    와 난 루트 17나와야되니까 제작진 방식으로 접근했는데 송기문님이 훨씬 깰끔하네

  • @lamhod
    @lamhod3 жыл бұрын

    송기문 잘생겼당..

  • @user-rq9xy9yd3h
    @user-rq9xy9yd3h3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래밍 1위면 진짜 똑똑한거다 그 많은걸 다 외우고 응용하고 있다는 건데...

  • @totopyon

    @totopyon

    3 жыл бұрын

    코딩은 외워서 쓰지않아요.

  • @user-rq9xy9yd3h

    @user-rq9xy9yd3h

    3 жыл бұрын

    알고있아요 근데 외운다잖아요

  • @user-xd8yl9ch4f

    @user-xd8yl9ch4f

    2 жыл бұрын

    @@totopyon sql, javascript 같은거 접하면 외워야할 방식들도 많아지지 않나? 물론 중요한건 순간순간 나오는 논리겠지만...

  • @user-wx8ho6ze5z
    @user-wx8ho6ze5z3 жыл бұрын

    6:36 개평뭔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vi7wu3ic8j
    @user-vi7wu3ic8j2 жыл бұрын

    저는 두 번째 문제에서 3번 경기 한 결과 A가 2번 이겼다는 것은 더 실력이 높다는 것이고 A가 이길 확률을 1/2이 아닌 2/3이라고 가정한다면(이 확률일 때 저 상황이 나올 확률이 가장 높음) 각각이 이길 확률의 비는 8대1이 되어서 그만큼 분배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 @user-zx1cm2dc4x

    @user-zx1cm2dc4x

    Жыл бұрын

    님 논리가 말이 안되는 게 그러면 첫번째 경기이긴 사람이 무슨 게임이든 다 100% 로 이김

  • @user-du7qn1iv2u
    @user-du7qn1iv2u2 жыл бұрын

    천재다;;

  • @user-sg5zy5yb6h
    @user-sg5zy5yb6h10 ай бұрын

    와 찐천재다 ㅋㅋㅋㅋ

  • @user-ui6bb6co8n
    @user-ui6bb6co8n2 жыл бұрын

    루트17은 진짜 멋있네요. 저걸 수학적으로 푸는게 정말 섹씨함.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 @user-jv5xc5hi2q
    @user-jv5xc5hi2q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게임 시그마랑 팩토리얼 어케 생각한건데 미쳤냐고

  • @CLUB7982
    @CLUB79823 жыл бұрын

    저정도면 풍기문란보다 위험한 송기문란급이네요

  • @vancant1225
    @vancant12254 ай бұрын

    8:14 이건 확실히 문화차이가 있는듯 공정함이라는 가치가 지니는 무게가 우리나라랑 기독교 사회인 미국, 특히 동부랑은 다를 수밖에

  • @mewdodgers
    @mewdodgers2 жыл бұрын

    진짜 ㅈㅎㄴ나멋잇당

  • @Sk-ud8mh
    @Sk-ud8mh3 жыл бұрын

    13:10 센스 진짴ㅋㅋㅋ

  • @user-vs5mt2oo3s
    @user-vs5mt2oo3s3 жыл бұрын

    18:55 전현무왈 내꺼에 영감을 얻었나요 장난치나?

  • @OddOddStar
    @OddOddStar3 жыл бұрын

    다 풀었다

  • @xellos471
    @xellos4713 жыл бұрын

    첫번째 문제 1분22초만에 맞췄당.. 와 근데 어떻게 이런 문제를 만들 생각을 하지ㅋㅋㅋㅋ개신기하네

  • @user-uh6hf9em3o
    @user-uh6hf9em3o3 жыл бұрын

    타일러 힘내세요 ~

  • @cosh314
    @cosh3143 жыл бұрын

    21:43 아르키메데스인줄 ㅋ

  • @shinkunil6247
    @shinkunil62472 жыл бұрын

    두번째 64...게임은 타일러가 정답이어야

  • @user-cj5sd1oo7q
    @user-cj5sd1oo7q3 жыл бұрын

    이번편 ㅈ나 재밋네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ubejj7152
    @cubejj71523 жыл бұрын

    두번째 문제는 확률이 만들어지게 된 유명한 문제로 고등학교 문과 이과 상관없이양쪽 모두 나오는 기본 문제인데 패널들이 방송을 위해서 모르는척 하나 보네요

  • @sakylee

    @sakylee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15세기에 파치올리라는 사람이 제시했던 문제인데 17세기에 와서야 그 유명한 페르마와 파스칼이 편지를 수차례 주고받으면서 해답이 나오게 된 유명한 문제입니다. 출연자들은 알고도 모른척 했겠죠

  • @user-tc7gt4em5b
    @user-tc7gt4em5b3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이와중에 김지석이 넘좋다

  • @MiN_pyeonnong
    @MiN_pyeonnong2 жыл бұрын

    첫문제 보자마자 로마자 떠오르네.. 문제적남자 보다보면 가끔 뽀록으로 터짐

  • @sakylee
    @sakylee3 жыл бұрын

    기대값문제는 수학적으로는 3대1로 나뉘지만 타일러손을 들어주고 싶다

  • @balju8806

    @balju8806

    3 жыл бұрын

    타일러말도 일리가 있음

  • @monotrendy

    @monotrendy

    3 жыл бұрын

    3대 1이 아니라 2대 1아닌가요? 48에 대해 32와 16으로 분할시켰으니

  • @balju8806

    @balju8806

    3 жыл бұрын

    @@monotrendy 3대1이에요 영상 다시 잘 보시길

  • @user-we1kj1cd3w

    @user-we1kj1cd3w

    3 жыл бұрын

    A가 이길확률 B가 이길확률이 같다는 전제도 없는거같아서 논란이있을 풀이같긴한딩

  • @user-xd3ug3iv4d

    @user-xd3ug3iv4d

    3 жыл бұрын

    @@user-we1kj1cd3w 같다는 전제 있음 3:45에 솜씨가 비슷하다고 나와있음

  • @choiwusoung
    @choiwusoung4 ай бұрын

    와... 피타고라스 오랜만인데 놀랍네

  • @padresTOR
    @padresTOR3 жыл бұрын

    32:18

  • @AlphaFmail
    @AlphaFmail3 жыл бұрын

    하....6살만 더 먹었어도 송기문님한태가서 프로포즈 박았습니다

  • @user-kh2tz1mc6o
    @user-kh2tz1mc6o2 жыл бұрын

    2번째 문제에서 어떤 근거로 이기고 질 확률을 반반으로 나누는거죠? 통계적확률로 따져서 이길 확률 질 확률을 각각 다르게 하는게 더 합리적인거 아닌가.....

  • @ghdwn0746

    @ghdwn0746

    2 жыл бұрын

    솜씨가 비슷하다는 조건이 당시에는 이기고 질 확률이 같다는 조건으로 생각되어서 그럼. 사실 저 때가 확률론의 태동기라... 그리고 한 두 판 한 걸로 통계적 확률 내는 것도 에바고

  • @tulipa1994
    @tulipa19943 жыл бұрын

    두번째 문제 A가 이길 확률을 1/2로 문제에서 안준거 나만 불편했나?

  • @user-kv4xf3ts8s

    @user-kv4xf3ts8s

    3 жыл бұрын

    ㅇㅇ나도 불편함

  • @user-wv1rq5rd4l

    @user-wv1rq5rd4l

    3 жыл бұрын

    솜씨가 비슷한 -> 1/2 이라고 해석해야 될듯

  • @user-cj5sd1oo7q

    @user-cj5sd1oo7q

    3 жыл бұрын

    안불편했음 저는

  • @user-rs2wt9ng5h

    @user-rs2wt9ng5h

    3 жыл бұрын

    ㅇㅇ 문제에 실력이 비슷하다고 주어지긴 한거라

  • @myut-il

    @myut-il

    3 жыл бұрын

    제작진이 문과라 그럼시발 당연히 이길확률을 주는게 맞는거고 그것때매 타일러 더 헷갈렸을듯

  • @Jay.Kuuuuu
    @Jay.Kuuuuu3 жыл бұрын

    요즘 스타크래프트 미궁을 하도 많이해서 보자마자 로마숫자인 걸 알았다

  • @acu_8
    @acu_82 жыл бұрын

    예능인데 머리가 아파요...

  • @CherryInfinite
    @CherryInfinite3 жыл бұрын

    첫번째 문제는 1분만에 맞췄는데 너무 쉽다

  • @user-pt1eh3uu1v
    @user-pt1eh3uu1v3 жыл бұрын

    17 생각했다가 암만봐도 아닌거같아서 포기했는데 저게되네..

  • @uridonga
    @uridonga3 жыл бұрын

    문제 낸 사람도 대단하네..

  • @SevenKnightElena
    @SevenKnightElena3 жыл бұрын

    첫 문제는 보고 5초만에 로마자 보여서 맞혔네 ㅋㅋ

  • @A_Josh
    @A_Josh3 жыл бұрын

    어.. 중간에 피타고라스가 했다는 '내 태양을 가리지 말라'는 미친 소크라테스라고 불리는 시노페의 디오게네스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한 말입니다. 피타고라스를 듣고 저 말을 떠올리는 김지석씨 멋있어요

  • @user-uk1ve8rn2k
    @user-uk1ve8rn2k2 жыл бұрын

    게임의법칙

  • @user-hb8un9ic6y
    @user-hb8un9ic6y3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저 보드게임 진짜 초딩 영재반때 많이했었는데 수학축전때도 인기 ㅈㄴ많았던 보드게임이었음 저기서 문상도 많이 따갔는데 오랜만에 보니 하고싶네

  • @user-rc2qr5pe7f
    @user-rc2qr5pe7f2 жыл бұрын

    쉬바... 저 아조씨 모야 존나 므쪄

  • @user-or4op9jh2u
    @user-or4op9jh2u2 жыл бұрын

    뭐지.. 나 이거 처음봤는데 보자마자 10초만에 풀엇음;;;;

  • @user-rw2kk8cc7b
    @user-rw2kk8cc7b3 жыл бұрын

    정사각한 등분 문제는 수학적으로는 대칭을 이루는 송기문님 방식이 더 좋아보이지만 좀 더 생각해보면 제작진의 원답은 거기에 더 하여 실질적인 작도까지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외측 꼭지점과 내측 꼭지점을 잇게 2등분한 후 잘라진 단면을 기준으로 90도 직교하여 등분하는 형태이므로 실질적인 작도가 훨씬 쉽죠 송기문님 방식으로하면 정확한 루트17 부분을 구해내기위해 좀 더 까다로운 작도가 필요합니다.

  • @user-ne3fc9nf9t

    @user-ne3fc9nf9t

    3 жыл бұрын

    제작진 답은 12,34 자르고 잘린 도형 이용해서 90도 맞춰서 3,4자르고 1,2자르고 해야 되지만 송기문님 답은 1234 반절로 접고 대각선으로두 번만 자르면 돼서 더 쉬운 거 아닌가요?

  • @user-rw2kk8cc7b

    @user-rw2kk8cc7b

    3 жыл бұрын

    ​@@user-ne3fc9nf9t 루트17이 나오는 대각 반절으로 접기위해서는 단순히 반절로 접어서는 안되고 정확한 사선의 각도를 찾아야하는데 송기문님은 이 지점을 찾기위해 1x1을 찾고 거기에 추가로 반을 더 접어서 왼쪽 1.5 지점을 찾아내는게 풀이영상에도 나옵니다.

  • @user-ne3fc9nf9t

    @user-ne3fc9nf9t

    3 жыл бұрын

    1×1 찾고 거기서 추가로 더 접을 필요 없이 그냥 ㄱ자 모양 4칸짜리를 가운데 정사각형의 변에 맞닿게 각각 반절로 접은 다음 대각선으로 자르면 되는데요. 송기문님 방법은 각도를 따질 필요도 없어요

  • @user-rw2kk8cc7b

    @user-rw2kk8cc7b

    3 жыл бұрын

    ​@@user-ne3fc9nf9t 어떻게 보면 관점에 차이인것 같네요 전 종이를 접거나 길이를 찾을 필요 없이 꼭지점과 직교선분만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을 작도가 더 간결하다고 생각했어요. 송기문님이 푸신 방법은 영상에서도 1x1크기를 보여주고 이후 4X1짜리 사각형 찾는 과정에서 왼쪽과 오른쪽 양쪽에서 추가로 1x1를 추가로 반을 잘라서 찾았다고 직접 설명합니다.

  • @user-kn4wx4kq1v
    @user-kn4wx4kq1v3 жыл бұрын

    12:05 16:27 저년무 억지 개웃기네 ㅋㅋㅋ ㅋ ㅋ ㅋ

  • @chul8066
    @chul80663 жыл бұрын

    23:07 에 나오는 THE문제 어디가면 볼 수 있는지 아시는분!! 제발

  • @user-ci8fo8mn5f

    @user-ci8fo8mn5f

    3 жыл бұрын

    이장원 the치시면 나올거예요

  • @bibigo_
    @bibigo_3 жыл бұрын

    수학자 특집이라 수학적 문제만 나왔네 억지 문제 없어서 좋다

  • @supreme_cash
    @supreme_cash11 ай бұрын

    송기문 게스트가 진짜 진짜같았음

  • @user-fs9ei3tt2i
    @user-fs9ei3tt2i3 жыл бұрын

    전채적으로 진짜 깔끔한 수학문제라서 전반문제 네개까지는 그냥저냥 그정도 아닌거같은데

  • @user-fs9ei3tt2i

    @user-fs9ei3tt2i

    3 жыл бұрын

    는....그이후로 문제가 안나오네

  • @user-zi3mx2ff4j
    @user-zi3mx2ff4j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김지석 촉 지리네 ㅋㅋ

  • @ooukee5032
    @ooukee50323 жыл бұрын

    첫번째꺼는 보자마자 딱보이는데

  • @johnnykim3372
    @johnnykim33722 жыл бұрын

    아니 저거 보고 어떻게 루트17을 떠 올리냐고요….

  • @jingyukim833
    @jingyukim8332 жыл бұрын

    첫번째거 바로 풀었다

  • @dianapark69
    @dianapark692 жыл бұрын

    전현무ㅋㅋㅋㅋㅋ 땡깡피움ㅋㅋ

  • @user-wh6xb1nc4t
    @user-wh6xb1nc4t3 жыл бұрын

    두번째 문제 타일러 의견듣고 의아해 하는 사람 많고 갑자기 한국 교육 비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사실 이거 '드 메레의 문제'라고 매우 유명한 문제임. “친애하는 파스칼에게, 나는 심각한 문제에 봉착했네. 실력이 비슷한 A와 B가 각각 32피스톨(화폐 단위)을 걸고 게임을 했어. 총 5판에 3판을 이기면 64피스톨을 모두 가지기로 했지. 그런데 A가 2판, B가 1판을 이긴 상황에서 일이 생겨 게임을 그만뒀어. 다시 돈을 반씩 나누면 2판이나 이긴 A가 너무 억울할 것 같고, A에게 64피스톨을 다 주면 B가 앞으로 이길 수도 있으니 공평하지 않은 듯하네. 어떻게 해야 공평할까? -파스칼의 친구 드 메레가 - 파스칼은 이 편지를 보고 3대 1로 나누는 게 가장 공정하다고 생각하면서 페르마와 의견을 공유하고 그 과정에서 확률론과 기댓값의 개념이 처음 정의된 거임. 파스칼이 내린 정의인데 도대체 한국교육이 왜 비판받는건지 진심 이해불가

  • @mmaa2935

    @mmaa2935

    3 жыл бұрын

    맞는 말.. 저건 한국 교육이 문제가 아닌데 듣는데 조금 불편했어요 ㅋㅋㅋ

  • @user-vp7gk6dy7x

    @user-vp7gk6dy7x

    3 жыл бұрын

    타일러자체가.모순덩어리에 불편하고 추함

  • @자유형

    @자유형

    8 ай бұрын

    저 말이랑 약간 다른 부분이 있다고 한다면 누가 억울하다는 부분이 빠지기도 했고, 먼저 세 번 이긴 사람이 모두 가진다고만 했지 다른 상황에선 어떻게 나눈다고 안 했기 때문에 어떻게 가질지는 서로 합의를 봐야 하고, 출제자는 답을 하나로 정해야 하니 저 이야기를 그대로 낸 듯한데 차라리 토론을 했으면 어땠을까 싶음

  • @gihyeokree4149

    @gihyeokree4149

    4 ай бұрын

    1. 원래 문제에 있는 "실력이 비슷한"이란 전제조건이 빠짐 2. 게임의 종류가 불법적인 도박이란 배경설명이 없음. 그래서 스포츠맨십이 적용되지 않는걸 타일러는 이해못함. 결론적으로 제작진의 실수가 맞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