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편집본] 이번 생 마지막 양자역학 강의 몰아보기 (카이스트 김갑진 교수)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Пікірлер: 402

  • @user-zm3im2qh8u
    @user-zm3im2qh8u7 ай бұрын

    정말 이런것을 시청할 수 있게끔 해주신 두 분의 사회자 분들과 교수님 정말 보는 내내 행복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vm2zv9mh5v
    @user-vm2zv9mh5v8 ай бұрын

    내가 대단함 히나도 이해 안되면서 끝가지 듣는 나 자신이 그렇다.

  • @sanhha4345
    @sanhha43454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 입니다. 수식을 쓰지않고도 설명하는 강의 중에서 가장 쉽게 설명하는 것 같아요. 물리학은 대단함을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이런 어렵고도 난해한 강의를 이렇게도 많은 분들이 시청한다는 것이 놀라을 뿐입니다.

  • @manhjeon4257
    @manhjeon42575 ай бұрын

    아! 아주 오래전 양자역학 배울 때 정말 물리학이나 관련 학과 전공자외에는 양자역학이란 말을 일반인은 들어 보지도 못했는데 이제 세상이 많이 변해 일반인에게 드보로이 물질파, 보어의 수소원자 모델, 불확정성 원리, 코히런스 같은 이야기가 유튜버를 통해 여기 저기 흘러 나오는 구나. 지적 토양이 척박해 누구에게 속시원히 물어 볼 수도 없었던 그 시절, 전자가 입자와 파동성을 동시에 지닌다는 양자역학에 너무나 혼란스러워 했었지. 지금은 그것이 인간의 세계에 대한 인식구조의 한계 때문에 생기는 당연한 현상이라고 나름대로 이해하고 있지만 그 때는 정말 아무 것도 모르던 청춘이었지. 청춘들이여! 파릇하고 산뜻한 청춘의 시절 잘 보내시오.

  • @joecho1427

    @joecho1427

    Ай бұрын

    어우 꼰대,

  • @user-yi2tu6hv6u

    @user-yi2tu6hv6u

    21 күн бұрын

    @@joecho1427이 뭐 병 ㅋㅋ

  • @valhe33.8fl.o

    @valhe33.8fl.o

    17 күн бұрын

    멋진말씀이네용

  • @user-ck9kt9rx6c
    @user-ck9kt9rx6c19 сағат бұрын

    내가 보고 들었던 양자역학 강의중에 최고인것 같음

  • @eogus410
    @eogus4104 ай бұрын

    강의 하면서 어려운거 설명할 생각에 행복해 하는 김갑진 교수님

  • @Sunhong_couple
    @Sunhong_couple8 ай бұрын

    교수님 신나서 말씀하시는거 넘 즐거워 보이세요 ㅠㅠㅠ 양자역학 알면알수록 넘재미있어요 ㅠㅠㅠ 누워서 카이스트 교수님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게 너무 신기한 세상 ㅠㅠ❤❤

  • @bbokdoong
    @bbokdoong8 ай бұрын

    양자역학에 대해 듣고 있으면 불경 듣는것처럼 마음이 맑아짐😂😂

  • @user-if7jb2bf8z

    @user-if7jb2bf8z

    8 ай бұрын

    요즘 초전도체 lk99 라는 일상속에 0를 수렴하는 현상이 발현되는 0로저항의 속성을 보이는데.....

  • @user-if7jb2bf8z

    @user-if7jb2bf8z

    8 ай бұрын

    생성형인공지능. 오토베이션인공지능

  • @yamorange6379

    @yamorange6379

    2 ай бұрын

    같은 겁니다ㅎㅎㅎ

  • @X-Mas3

    @X-Mas3

    Ай бұрын

  • @lovepeace411
    @lovepeace4117 ай бұрын

    유튜브에 많은 양자역학 영상은 기초적인 것만 다루는데 이 분은 교수라서 그런지 좀 더 깊이있게 다뤄주셔서 양자역학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y1rp1nw5i
    @user-iy1rp1nw5i15 күн бұрын

    대박, 이해가 됩니다. 계산은 어렵겠지만 원리가 이해가 되네요. 와 신기해~! 고맙습니다 교수님~👍

  • @user-qw6wx7si4r
    @user-qw6wx7si4r4 ай бұрын

    진정 웃는 자가 천재다. 어려워질수록 웃는다. 하지만 클린스만이란 예외도 있다.

  • @user-cm1nm7lp4w

    @user-cm1nm7lp4w

    Ай бұрын

    😂😂😂

  • @user-pm4kk3ix3m
    @user-pm4kk3ix3m2 ай бұрын

    이런 명강의를 방 안에서 들을 수 있게 해주신 언더스탠딩 진행자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고3 아이 입시를 준비하면서 이 강의를 식사시간마다 듣는데 우아우아 경탄하며 듣습니다. 겸손하고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는 교수님,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촌철살인의 질문으로 명쾌하게 양질의 강의를 이끌어가시는 이프로님께도 감사드립니다.

  • @parkrw
    @parkrw7 ай бұрын

    정말 손에 잡히는 양자역학입니다. 설명을 쉽게 해주신 김갑진 교수님.. 화이팅 !!

  • @isabelyang9231
    @isabelyang9231Ай бұрын

    푹자고싶어서켰습니다

  • @user-tc1sv9sm3o
    @user-tc1sv9sm3o2 ай бұрын

    이거 조회수가 높을 수밖에 없는게 다시 들어도 새로움

  • @user-mi5mc3ys4x

    @user-mi5mc3ys4x

    Ай бұрын

    ㅋㅋㅋ 24년 10!여 차례 다시 듣고 있는 중!!

  • @qlalfla

    @qlalfla

    Ай бұрын

    까먹으니까

  • @MShin-pr9up

    @MShin-pr9up

    9 күн бұрын

    조회수 무한대

  • @user-yq7db7wg5d
    @user-yq7db7wg5d3 ай бұрын

    역시 김갑진 최고

  • @user-jd5tl5ru2w
    @user-jd5tl5ru2w8 ай бұрын

    ---예리한질문과 명쾌한 대답입니다

  • @seungiljung4976
    @seungiljung497620 күн бұрын

    순간 내가 똑똑해졌다는 착각이들정도로 너무 설명이 쉬움 짱 ❤❤

  • @blank_of_life
    @blank_of_life3 ай бұрын

    다시 시청합니다~

  • @espero9483
    @espero94835 ай бұрын

    출근길 20분 들었는데요. 머리속이 꼬이기 시작해서..저녁에 다시 들어볼게요~ㅋ 재미있어요

  • @cheolyongkang6453
    @cheolyongkang64538 ай бұрын

    진짜 교수님은 설명은 맞고 틀리고를 떠나너무 쉽게 얘기해주신다. 전문가나 과학자 분들이 딱지 걸리 않으면 좋겠네

  • @TJ-un8rc
    @TJ-un8rc8 ай бұрын

    이런!!! 내가 양자역학에 대해 이렇게 집중해서 듣고 있다니!!

  • @JOOKIMFAM
    @JOOKIMFAMАй бұрын

    천재 김갑진 교수 강의들으니 개념 이해가 되네요. 뭐든지 개념 잡는게 중요한데, 다른 분들 설명을 들으면 설명은 열씨미 하셔도 그분도 이해가 안된 상태다 보니 개념이 정리가 안되니 듣는 사람은 더욱 더 이해가 안되죠.

  • @user-qw9od8nq6y
    @user-qw9od8nq6y8 ай бұрын

    이번 생이라뇨 강의는 계속 되어야한다

  • @user-kw7ym2re7g
    @user-kw7ym2re7g4 ай бұрын

    와우~전체구독.좋아요로 언더스탠딩 응원합니다. 👏👏👏👏👍👍👍👍

  • @chamchimayo6538
    @chamchimayo65387 ай бұрын

    와. 진짜., 저같은 과알못에게도 이해할수있는 기회 주셔서 감사함니다 ㅠㅜ 흐엉

  • @user-vp8kt7il1n
    @user-vp8kt7il1n7 ай бұрын

    정말 집중하면서 잼있게 영상 봤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user-hg6oc9wy9u
    @user-hg6oc9wy9u7 ай бұрын

    물리학강의가 이렇게 재밋게 해주시니 이해가 조금은 갑니다 정말 강의 잘 하십니다교수님!

  • @user-yk9nh3mu9i
    @user-yk9nh3mu9i8 ай бұрын

    kzread.info/dash/bejne/fH58rY-QidDLhLg.html 김갑진 교수님의 대학원시절의 모습과 현재 하고 있는 연구의 시작점을 엿볼수 있어서 재미있어서 추천하는 영상입니다. 대학원에서 지도교수님을 잘 만나는 것도 김갑진 교수님의 복이라고 생각합니다. 감동적인 영상입니다.

  • @user-xv7so3kw8u
    @user-xv7so3kw8u4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janefaren8027
    @janefaren80272 ай бұрын

    상태의 중첩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시간이 항상 존재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입니다. 시간이 존재하는 한 두개의 상반된 상태는 중첩될 수 없죠. 하나의 상태가 다른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한데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복수의 상반된 상태도 중첩 가능하죠. "시간"과 "공간"이라는 것이 관찰을 위해 관찰자의 인식기능이 만들어낸, 다시 말해 실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 @innerpeace_life

    @innerpeace_life

    Ай бұрын

    시간은 존재하나요?

  • @user-qx6ry9iw4n
    @user-qx6ry9iw4n4 ай бұрын

    언어스탠딩 서서도 듣고 누워서도 항상 듵어요^^ 넘 ~유익하고 재밌어요!! 오건영부부장님 책 이뻐요 ㅎㅎ

  • @user-pg6jc5qc1h
    @user-pg6jc5qc1h8 ай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 @user-gb4fg5cj3e
    @user-gb4fg5cj3e8 ай бұрын

    이렇게 설명을 잘하는 사람이 교수로 있어서 정말 행복하군

  • @user-gj5pu4yy8p

    @user-gj5pu4yy8p

    8 ай бұрын

    어떻게 설명을 잘 해요?

  • @user-gj5pu4yy8p

    @user-gj5pu4yy8p

    8 ай бұрын

    양자역학이 뭔지 열자 이 내로 설명한다면 설명 잘 했다 ㅡ인정

  • @myungmyungsiuuu

    @myungmyungsiuuu

    6 ай бұрын

    ​@@user-gj5pu4yy8p '넌 이해하지 못하는 것' 띄어쓰기 제외 9자로 설명했습니다.

  • @user-kq1kx2cf2u
    @user-kq1kx2cf2u8 ай бұрын

    확실히 설명이 차원이 다르네~~ 너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시네~~

  • @general2486
    @general24868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td2pf5fo4l
    @user-td2pf5fo4l7 ай бұрын

    평소 언더스탠딩 애청자였는데 오늘은 더욱더 애청자 됐어요 이런 좋은강의를 좋은 편집과 누워서 듣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Xiang-Ba-La
    @Xiang-Ba-La4 ай бұрын

    헐.. 항상 궁금했던 거였는데 👍👍, 몇번씩 돌려보고 있어요. 한 일주일 볼라고요 ㅎㅎ

  • @user-rz8kc4ut6p
    @user-rz8kc4ut6p2 ай бұрын

    묘하게 빠져듭니다

  • @jayandwise
    @jayandwise2 ай бұрын

    진짜 공부 잘하게 생기심…

  • @user-br6yh1wk5x
    @user-br6yh1wk5x4 ай бұрын

    양자역학 배울때 식이나 수식들이 어마어마햇는데... 이런식의 수업은 호기심과 궁금증과 이해로 흥미를 느끼고 재미나게하네요

  • @tommykim9448
    @tommykim94486 ай бұрын

    방구석에서 이런 강의를 들을수 있게 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whiteasasa
    @whiteasasa8 ай бұрын

    와 파동이되고 입자가 되는거에 대한 내용은 첨이네요!!

  • @user-pu3cz4iu2f

    @user-pu3cz4iu2f

    3 ай бұрын

    부처는2600년전에 이미알고설파했어요. 반야심경 색즉시공 공즉시색. 불교는 과학이며 인문학이며 모든철학의귀결입니다.

  • @youngjohn105
    @youngjohn1054 ай бұрын

    재밌다..어려운 학문을 정말 쉽게 설명하시네요..김갑진 대단하다.

  • @user-my6ip9dx4x
    @user-my6ip9dx4x7 ай бұрын

    동영상을 보면서 이해하는 듯한데 동시에 이해하지 못하는 나... 와.. 양자역학적 존재네.

  • @user-mf8to9gl3v
    @user-mf8to9gl3v8 ай бұрын

    찾아본중 젤 쉽게 "정수만" 간단 명료하게 이해시켜주시네요!! 교수님감쏴😊~

  • @dmh6030
    @dmh60307 ай бұрын

    김갑진 교수님 강의를 처음 들어보았습니다. 더욱 어려운 내용이 나올수록 너무 재미있어 하시는 표정과 호흡에서 많이 웃었습니다....ㅎㅎ 말로만 듣던 '양자'에 대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하지만 이해할 수 없는) 설명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른 영상/강의도 많이 찾아보겠습니다! (아래는 개인 보관용...) ~ 1:12:00 원자는 파동! (의 성질을 가지고 있음). 입자가 파동의 성질을 가져서 이해가 어려움. 파동의 의미는 입자의 움직임이 아닌 발견될 확률의 분포. 여러 개의 파동이 중첩된 상태를 보임! 그런데 관측되는 순간 하나로 결정됨. 측정할 수는 없음... 불확정성. 이런 현상은 입자가 아주 낮은 온도이 있을 때 보임. 왜 그런지는 현재 이해 할 수 없음. 양자역학은 상태의 중첩을 이야기하며, 측정하는 순간 특정 상태로 붕괴. 활용? 1:12:00 ~ 얽힘은 중첩들이 연관되어 있는 상태. 원자 하나는 여러 상태의 중첩이 일어나지만, 원자가 여러 개 있으면, 원자들이 얽힌 상태가 될 수 있다. 결맞음은 일정한 파동을 보이는 상태. 원자가 얽혀 있으려면, 결맞은 상태를 유지해야 함. 즉 외부와 상호작용을 없애야 함. - 양자컴퓨터는 결맞은 상태를 사용하고, 따라서 외부와 상호작용을 없애야 실현 가능 - 터는 전기/전류(0 or 1)를 이용함.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NAND(universal gate)를 조합한 알고리즘을 만들어내 사칙연산을 할 수 있게 만들고 이를 응용함. - 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적 중첩상태(0 | 1)를 이용함.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하드웨어(양자역학적 특성을 보이는 무엇이든, 원자/빛/스핀/초전도체....)를 NOT, CNOT gate(가역적)를 조합한 알고리즘을 만들어내 암호를 풀거나 최적화된 경로를 찾거나, 자연의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그 파급력..!

  • @majomchina7513
    @majomchina75137 ай бұрын

    너무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 어려운 양자역학을 여전히 하나도 모르겠네요ㅎㅎ

  • @user-xb7ho6wr8b
    @user-xb7ho6wr8b8 ай бұрын

    김갑진 교수님 보고 들어왔는데, 이 어려운 강의가 왜 이렇게 재미있나요?

  • @user-qv9jf5ci8l
    @user-qv9jf5ci8l4 ай бұрын

    결론은 미로를 설명하니 이해가 되네 대단한 설명력이다

  • @user-pm1mp6vk6v
    @user-pm1mp6vk6v7 ай бұрын

    요즘 삼프로 영상에서 보고싶은거 골라보고있는데 잼있고 흥미롭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nathanaeldovpand3257
    @nathanaeldovpand32578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이랑 안될과학 동시에 金값진 떳다. 😂😂😂😂😂😂😂😂

  • @user-im2se1xw8f
    @user-im2se1xw8f13 күн бұрын

    다시봐도 잼나네

  • @tmla5016
    @tmla50168 ай бұрын

    지금 4:16까지 듣고 댓글 답니다. 벌써 재밌네요 ㅋㅋㅋ 아~ 탄성 벌써 나오구요, 흥미진진. 고등학교 때 물리를 이렇게 배웠다면….

  • @sanguk8413
    @sanguk84134 ай бұрын

    젊을 때 불확정성원리를 들었는데 이제 양자역학이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시기가 된 듯 합니다.

  • @user-cc7se2xp3j
    @user-cc7se2xp3j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다섯 번을 듣고 있는데, 들을수록 새롭다가, 철학으로 갈까 고민하다가 다시 들으러 옴

  • @user-sz5zk6ju4l
    @user-sz5zk6ju4l7 ай бұрын

    훌륭합니다..

  • @zinsky4u
    @zinsky4u7 ай бұрын

    참 재밌었어요

  • @juokhan6
    @juokhan68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사람도 초전도체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얘기네요. 초전도체 강의는 아직 안들었지만, 들어봐야겠네요.

  • @jnghjbgh
    @jnghjbgh8 ай бұрын

    내가 이해하는건 포기하고 교수님이 양자역학을 설명하기까지 어떻게 이해하고 공부했는지 그 과정이 궁금해짐

  • @loadinggggggg
    @loadinggggggg2 ай бұрын

    교수님이 제일 즐거운 강의^^

  • @user-jv6bh2qi6x
    @user-jv6bh2qi6xАй бұрын

    값진수업 갑진교수님

  • @user-dy7lu8yx1p
    @user-dy7lu8yx1p5 ай бұрын

    3번째 듣고 있는데도 여전히 재밌다 ㅋㅋㅋ 이해는 아직 안되지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랑합니다, 교수님 그리고 삼프로!!

  • @loze1
    @loze17 ай бұрын

    2:22:30 와 거꾸로 일처리한다는 표현도 좋고 김갑진교수님 미로에 비유할때 소름돋네요 결과로서 과정과 답을 알려준다. 결국 모든상태로 존재하지만 관측되는것만 살아남는다ㄷㄷㄷ양자너무재밌음 100년만 더늦게태어날걸ㅠㅠ너무궁금해 교수님 강의듣다가 하나궁금한게생겼는데요 스핀에 자기장을 쏴서 업다운을 확인하는 부분에서 자기장자체에 양자가 영향을 받지는 않나요 스핀에만 영향을 미치는건지 관측이라는 행위라고 볼수는 없는건지요

  • @juokhan6
    @juokhan68 ай бұрын

    언더스탠딩 직원분들, 제 댓글 꼭 김갑진교수님께 전해주세요. 전달이 안 된다면 카이스트꺼 볼테니.

  • @jaewoongjung1212
    @jaewoongjung12123 ай бұрын

    설명 짱.. 대학에서는 엄청 어렵게 접근하겠네요..

  • @user-fc09
    @user-fc09Ай бұрын

    이때까지 들은 양자들 중에 제일 수긍이가네요 저는 수학과학 무식자입니다ㅎㅎ 양자 역학 까지는 모르겄고 양자의 정체에 대해 어렴풋이 알겠네요

  • @seunghyeokbae2237
    @seunghyeokbae2237Ай бұрын

    못참지!!

  • @kalstein00
    @kalstein006 ай бұрын

    전자의 위치가 왜 고정인가? 에 대해서 원자 처음배울때 원래그런거야. 했는데.... 그 이유를 이제서야 알게되네요. ㅎㅎ

  • @user-ww6vr1sq6n
    @user-ww6vr1sq6n5 ай бұрын

    興味津津했다!😊

  • @jinaprincess
    @jinaprincess3 ай бұрын

    양자역학을 이해할수 없다는걸 완전히 이해했어요.^^ 전혀 모르겠네요 ㅎㅎ 백점주세요ㅋ

  • @user-qc2lm6yn6w
    @user-qc2lm6yn6w8 ай бұрын

    두번째 들으니 더 잼남 그렇다고 이해했다는것은 아님^^

  • @misssjsmile
    @misssjsmile4 ай бұрын

    여기서 중귝어 시작하고싶네요

  • @special590
    @special59022 күн бұрын

    진짜 싑게 설명해주시네요

  • @seanpaek4292
    @seanpaek42926 ай бұрын

    골프장에서 볼이 다른 곳으로 날라갈때 외치는 알림은 ball 아니고 fore 라고 하는데 뜻은 조심해요 입니다. 양자역학에 대한 강의는 최고 이네요.

  • @ormeormeable

    @ormeormeable

    2 ай бұрын

    정확하게는 fore는 '앞' 이란 뜻. 앞에 조심하라는 의미죠. 대회때 공 낙구지점 포착을 위해 앞에 배치한 캐디를 포어캐디라고 부릅니다.

  • @yerialishah4724
    @yerialishah472419 күн бұрын

    양자역학이 아리송했던 내가 정상인건가 ㅎ 오늘 완전정복해야지

  • @sophie_none_
    @sophie_none_5 ай бұрын

    카이스트 교수님의 강의를 나도 들을 수 있는 세계관에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 @HAY_YU
    @HAY_YU7 ай бұрын

    이거들으면서 자려구요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6 күн бұрын

    어떤 경우라도 선한 에너지를 써야 정답이 있습니다. 왜냐면 어떤 물질이든 물건이든 사람이든 통하기 위함이며 남을 도와주려고 물건을 만드는것이며 마음도 쓰는것이므로 선한 생각을 하면서 계산이 들어가야 합니다.빛은 당연히 그렇게 빛이나는 것입니다. 선한 생각이 아니면 아원자 에서 포자가 생깁니다.그것은 불량한 마음과 같습니다. 음식또한 맘이 나쁘면 그래서 맛이 없는것 입니다. 한쪽으로 치우치는 마음은 고집함이며 어떤경우라도 남을 도우려는 에너지와는 완전 틀린 원자 입니다. 그러니까 측은지심이 있어야 이 에너지가 만들어집니다. 저 미세하고 세밀해 지고 친절해지고 그래야 마음을 알고 표정을알고 감동이 있고 울림이 있고 현실에 반영되면 같이 호응할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딱딱하기 때문에 다가가기가 힘든것입니다.그들이 측은지심이 없습니다. 그냥 똑똑할 뿐입니다.

  • @jw_p4887
    @jw_p48875 ай бұрын

    기적이란 있구나. 과학적 안목을 이해하다니... 대단한 분...

  • @MOAIIBONG
    @MOAIIBONG6 ай бұрын

    사랑은 확인 하지말자. 재밌네요

  • @book6076
    @book6076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실생활에 쓸일은 없을것같지만 일단 삼체에서 왜 사람모아놓고 깃발드는걸로 컴퓨터 만들엇다는지 알게되엇음

  • @user-xh8mg1po6s
    @user-xh8mg1po6s2 ай бұрын

    이 분 천재시네. 나 같은 빡퉁머리도 두시간을 시청하게 만드는 명강의였습니다. 물론 이해는 못했습니다

  • @user-ez5po6ye6g
    @user-ez5po6ye6g4 ай бұрын

    역시 갑진 교수님. 개념 완벽히 이해됐다. 암호는 현재 못풀어도 현재 큐비트 수로 풀 수 있는것도 많이 있겠다.

  • @yerialishah4724
    @yerialishah472419 күн бұрын

    꿈속에 나는 고통을 느끼는 현실속에 물리적존재인 나이기도하고 동시에 파동적 4차원의 존재이기도하고 수면중 꿈을꾸며 침대에 누워있는 내자신은 입자덩어리이고 동시에 꿈속이라는 환상세상에서도 파동으로존재하고 과거의 나 현재의 나 미래의 나 누군가의 기억속에 나 동시성이 성립될수없지만 혼재된상태로 파동과 입자로서 중첩된 존재이다.

  • @OHTAEKEUN
    @OHTAEKEUN29 күн бұрын

    세상은 아직 과학자들이 밣혀낸건 우주의 먼지 만큼도 안되는거 같네요

  • @user-tm3kc1cv1q
    @user-tm3kc1cv1q6 ай бұрын

    물포자인 내가 이렇게 재밌게 듣다니 !!

  • @user-sl9yv9rf7v
    @user-sl9yv9rf7vАй бұрын

    아 알겠어요 모든 물질도 결국은 에너지를 가진 파동이고 만져지는 건 전기적인 반발력 작용인거죠 이제 양자역학 조금 알겠네요 결국은 에너지 파동 이게 다 인거죠

  • @user-qd5kv1bw8v
    @user-qd5kv1bw8v7 ай бұрын

    정보를 많이 입력할수록 정확한값에 가까와지는,,,,,우리는 왜 존재하는가`우주는 왜 생겨났는가 `의 문제를 우리는 풀려고 하는게 아니라 ,지금까지의 정보를 우리는 부지런히 입력하면 할수록 양자컴퓨터는 정확한 값에 가까워지고 순식간에우리에게 알려준다는거.....

  • @kkomi_ddu
    @kkomi_ddu8 ай бұрын

    양자역학이 뭔지는 모르겠지만 이해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듦.

  • @user-bo1bb1oe7r
    @user-bo1bb1oe7r14 күн бұрын

    색즉시공 공즉시색_ 유식무경~이 생각나네요

  • @user-jw6dh9mg3l
    @user-jw6dh9mg3l3 ай бұрын

    저의 내용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저는 이미 30년전에 이해를 했어요 제가 유튜브에 자연과 근본 창조 라는 제목으로 설명을 해 놓았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립니다

  • @juokhan6
    @juokhan68 ай бұрын

    파동의 의미는 ‘전자가 거기에 나타날 확률. 거기에 존재할 확률.’ 그러면, 어떤 전자가 군집하여 나타나느냐에 따라 상태가 변할 수 있겠네요. 그럼 각 단위별 전자는 다름이 있나요?

  • @apple010
    @apple0108 ай бұрын

    지구인 모두 필수시청 영상

  • @user-hh4ep4rk8z
    @user-hh4ep4rk8z8 ай бұрын

    2:00:30 저게 될려면 컨트롤 비트를 중첩이면서 고정시켜야 되는데 그게 가능한가요?

  • @sungil20
    @sungil205 ай бұрын

    교수님!!! 암호를 풀어서 어떤걸 만들겠다는 건지 정말 궁굼 합니다!! 득과 실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 @user-zv2xl8vg9i
    @user-zv2xl8vg9i8 ай бұрын

    아하 추석은 원래 양자역학이었군요!!!

  • @maengsookang3300
    @maengsookang33006 ай бұрын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특화되어 있으니 양자컴퓨터는 인공지능 학습에 매우 유리한 시스템이 될 것 같습니다.

  • @rocket_booster
    @rocket_booster7 ай бұрын

    이게 앤트맨이 어벤져스를 다시 살렸던 방법이네요!!! 덕분에 다들 살아서 앤드게임까지 재밌게 봤습니다ㅋㅋㅋㅋㅋㅋ 문과입니다ㅋㅋㅋ

  • @user-ls3uj6cs8u
    @user-ls3uj6cs8u5 ай бұрын

    잘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기존 컴퓨터가 어떤 과정의 결과를 빠르게 알려주는거라면 양자컴퓨터는 결과를 넣으면 가장 확률 높은 과정을 특정할 수 있는 건가보네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