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억원 유학비용 쓰고 짐싸들고 한국 돌아오는 이유 4가지., 미국유학실패 이유, 수억원 썼지만 미국취업이 안되는 이유, 미국생활, 미국석사 ,미국박사, 미국이민, 미국영주권

수억원들여 유학갔으나 중간에 실패하고 한국에 돌아오는 이유, 졸업후 미국취업 안되는이유

Пікірлер: 605

  • @sinheonkim2594
    @sinheonkim25943 ай бұрын

    객관적인 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io8hb9vw1h
    @user-io8hb9vw1h3 ай бұрын

    승대위님 반갑습니다. 제 손자도 미국유학 중인데 말씀 정말 공감이 갑니다. 감사합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승대위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응원합니다. 유학이나 이민 관련 정보나 질문이 있으시면 제 카페나 블로그에서 같이 얘기나눠요. 카페:cafe.naver.com/captainseung 블로그: blog.naver.com/captain_seung

  • @nebigfish
    @nebigfish4 ай бұрын

    저도 유학하고 남아서 미국시민권자로 살고 있지만 한국으로 돌아간다고 꼭 실패했다 말하기 어렵습니다. 한국으로 돌아간 동기 선 후배들 중에 미국에 남은 사람들보다 성공한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 @minimanimo4127

    @minimanimo4127

    4 ай бұрын

    4:26 4:26 😊

  • @sinheonkim2594

    @sinheonkim2594

    3 ай бұрын

    그런 사람도 있지만 또 그 후유증으로 망가진 심할 경우 자살하는 이들도 있더군요.

  • @grace-tx6pi

    @grace-tx6pi

    3 ай бұрын

    실패한자들이 말을 않해서 그렇지 많아요~~

  • @user-cj2rc7rn8t

    @user-cj2rc7rn8t

    3 ай бұрын

    취업안되서 캐나다 미국서 리턴하고 서울아파트한채값 녹아버린 집이 더많아요

  • @TheMuyjk1

    @TheMuyjk1

    3 ай бұрын

    저도 상위레벨 공부실패하고 가까스로 취직해서 일하다 영주권 과정중애 짤려서 고생하다가 어떻게 2달만에 취직이 다시 되어서 영주권을 받은 케이스인데. 오래전 얘기네요 ㅎ.

  • @provence3900
    @provence39003 ай бұрын

    저도 8년간 유학 후에 한국으로 돌아왔고, '내가 현지에 정착했으면 어떠했을까'하는 생각을 가끔 합니다. 특히 일에 지쳐서 "드넓은 자연, 깨끗한 공기, 눈치 볼 필요없는 분위기" 등이 그리워질 때 그런 생각이 많이들어요. 그런데 현지에 남아서 커리어를 쌓았다면 그 나라에서 지금 위치에 와 있지 못할 것 같아요.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유학 프리미엄이 조금은 남아있는 것 같고, 30대에 열심히 일해서 40대에 다달으면 자신만의 직업적 입지가 생깁니다. 물론 그렇게 형성된 기득권에 안주하고 남용하면 절대 안되지만, 일단 직업의 세계에서 아둥바둥 안하고, 약간 여유를 갖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유학 후에 그 나라에 머물렀다면, 자연의 풍요로움, 넓은 거주 환경, 자유로운 사회환경 등이 장점이었을 것 같습니다. 반면에 직업적으로는 계속 눈치 보면서 살았을 것 같습니다. 한편 옛날과 달리 한국의 생활 수준이 올라가서 주재원 등 외국으로 나가려는 분위기가 확 줄어들었어요. 즉 외국 삶에 대한 선호도가 줄어든 것 같습니다. 이런 점도 귀국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provence3900

    @provence3900

    3 ай бұрын

    @@CaptainSeung 선생님 유튜브 채널 보면서 흥미도 있었지만 마음의 위안을 얻고 공감도 많이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작년에는 미국에 잠시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공감하는 부분이 무척 많았습니다. 더 좋은 영향력 많이 끼치실 수 있는 채널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3 ай бұрын

    정말로 그렇습니다. 좋은 코멘트 감사합니다..

  • @TheMuyjk1

    @TheMuyjk1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제가 아는 사람도 미국회사에서 오랫동안 중간레벨이었는데 그후에 한국 중대기업에 부장으로 가더니 몇년안에 임원이 되었더라고요. 미국에서는 거의 불가능이죠. 그분 전공은 그렇다치더라도 영어가 높은 래벨로 승진하기엔 좀 부족한것 같았습니다.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ch3wz1uw3i
    @user-ch3wz1uw3i4 ай бұрын

    딱딱 구분해서 얘기 해주시니 이해하기 쉽네요~~대구에서 잘 보고 있어요😊

  • @CaptainSeung

    @CaptainSeung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wonminsu6956

    @kwonminsu6956

    4 ай бұрын

    대구사투리.. 굿굿..

  • @3YangBros
    @3YangBros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동감하는 좋은 알찬 정보 이네요👍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3 ай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 @user-wg4ku9jt1f
    @user-wg4ku9jt1f3 ай бұрын

    뼈가되고 살이되는 말씀이시네요

  • @j2free405
    @j2free4052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josephkim5244
    @josephkim52444 ай бұрын

    미국 회사 입장에서는 똑같은 미국시민권자/영주권자랑 유학생이 있다면 법적으로 시민권자/영주권자를 뽑아야합니다. 그렇지 않고 유학생을 뽑으려면 왜 이 유학생이 회사에 필요한 인재이며 왜 이 학생을 대체할수없는지 노동부에 서류룰 제출해야 합니다 당연히 STEM전공은 이러한 부분을 쉽게 충족을 시키기 때문에 취업이 쉬운것이고 인문계열은 굳이 왜 유학생을 뽑아? 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취업이 힘듭니다.

  • @spencerkim1536

    @spencerkim1536

    3 ай бұрын

    한국으로 돌아가는 이유는, 전공실력과 영어 실력이 않되서입니다!

  • @sanghyupson

    @sanghyupson

    3 ай бұрын

    @@spencerkim1536 에이... 신분 문제 때문에 한국 돌아가는 사람 많습니다. 유학생으로 있으면서 많이 봤어요.

  • @user-vj8dp8tk8s

    @user-vj8dp8tk8s

    3 ай бұрын

    트럼프가자국민자리없다고 유학생비중을엢앤거아닌가요?

  • @sanghyupson

    @sanghyupson

    3 ай бұрын

    @@user-vj8dp8tk8s 그거 무효...

  • @neal7840

    @neal7840

    3 ай бұрын

    유학은 원래 기본으로 몰라서 드는 돈들이 생겨요. 백프로 셀프서포팅은 불가능합니다. 아주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년간 억대의 생활비를 대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집이어야 유학이 가능하죠.(등록금만 해도 억대, 일단 뉴욕 원룸월세가 600만부터시작) 월세만 년간 억이 넘고 생활비도 쓸 것이고 각종 세금 과태료(은근 이상하게 뜯어가는 돈 많음) 의료보험도 한국기준 월 이백만원부터임.(물론 학생은 싸지만 그래도 월70만원?수준임) 암튼 다달이 들어가는 돈이 한국보다 훨씬 크다고 알고 있으면 됨. 미국원주민도 너무 비싼 보험비때문에 의료보험없는 사람이 널렸음. 응급차도 한국과 달리 절대 안 탐. 아무것도 안하고 그거 십분타면 이천불날라감. 유럽처럼 합격하면 기숙사주고 등록금대주는 나라들도 힘든데..환상만 갖고 도전하기엔 전혀 쉽지 않을 거고..미국 물가가 만만치가 않고.. 생활비무시못 하고 뉴욕같은 대도시아니면 학생도 차가 있어야 사는 게 가능한게 미국인데 차유지비는 어떡할 것이며.. 입국시에도 매번 세컨더리룸 암튼 보이지 않는 차별 존재합니다. 학력버프는 미국에서도 존재하고 (물론 하버드 다닌다하면 경찰들도 존중해주긴 하죠.) 내가 잘 사는 거랑 상관없이 범죄율도 높고 총기사고가 매일 끊이지 않아요. 스트릿스마트 등 항상 긴장하고 살아야 하는 곳입니다. 한국은 그런 스트레스는 없죠. 관공서 스트레스도 없고..외국인으로서 다른 나라 살면 비자갱신이든 뭐든 스트레스가 항상 많아요. 한국에서 의대갈 정도 능력자인데 왜 굳이 나가려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나간 교포들은 다 들어오고 싶어 난리인데..특히 늙어서는.. 암튼 미국의 넓은 시장성을 이용하는 거 아니면 같은 직업이면 한국이나 일본 동아시아가 훨 낫다는 주의지만, 연구직이나 의학에서도 특수직이면 모르겠네요..미국은 극단적 자본주의국가라 사회적보장을 기대하면 안 되고 해고도 쉽고 다달이 드는 비용이 장난이 아니어서..구글같이 연봉높은 기업다니다가도 하루아침에 짤리면 그 많은 고정비용 감당이 안 되어서 홈리스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은 거에요. 그 사람들이 처음부터 무능력자가 아님..일가친척마저 없으면 더 살기 힘든 곳이 미국이고. 그리고 의사도 돈 많은 부자들이 외국인의사 꺼려해요. 특히 언어가 완벽하지 않으면.. 한국 사람들이 입원해서 한국말 떠듬떠듬하는(나름 유창하다고 해도) 동남아 의사에게 수술받기가 꺼려지듯이..의사소통이 더욱 중요한 게 의사입니다. 환자 얼굴대면할 일 없는 의사면 모르겠지만.. 의사 변호사 다 마찬가지에요. 미국에서 어떤 클라이언트가 미국에서 태어난 아시안도 꺼리는 마당에 다 커서 언어 떠듬떠듬하는 아시안에게 자기에게 중요한 일을 맡기지 않죠. 그래서 이민 온 변호사가 성공하기는 더욱 어렵죠.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인데 잡일만 해야 하죠. 그래서 교포들끼리 등쳐먹고 살고, 교포도 승소하려면 현지 백인변호사에게 돈 많이주는 게 빠르죠. 그리고 교포사회는 한국보다 더 한 6,70년대 같은 고리타분하고 더 덜 떨어진 한국 사회인데 더 답답하면 답답할 거에요 ㅎㅎ.

  • @bonanzawon8944
    @bonanzawon89444 ай бұрын

    승대위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

    4 ай бұрын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8llowme
    @8llowme2 ай бұрын

    참 도움되는 말씀 주시네요

  • @user-yy2jk3ld7v
    @user-yy2jk3ld7v4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 @andyhwang929
    @andyhwang9293 ай бұрын

    그래도 유학갈 수 있는 사람들은 행복하지요..못가는 사람들은 어떻까....진짜 공부하고 열정이 있는 학생들만 가야 된다고 합니다.

  • @MrJOONCHOI
    @MrJOONCHOI3 ай бұрын

    들은 얘기지만, 한국 유학원에서 자녀 유학보내고 싶다 말하면 1번 질문이 부모님 직업? 대기업 임원 이라면 .. 쉽지 않아요 하면서 조부모 재산이 많냐고 물어보고, 성형외과 의사라면 .. 네, 가능합니다 한다 하네요.. 미국유학, 특히 대학유학 1년에 1억 가지고는 요즘 힘들지요.

  • @sangkim5471
    @sangkim54713 ай бұрын

    유학가서 2학년에서 3학년으로 진급이 안되는 케이스는 학점이 기준치에 미달되고, 4학년까지 올라가서도 졸업장을 안주는 케이스가 있어서 학비가 4년들것이 6년 ,7년 들면 돈때문에 자퇴하고 본국으로 컴백하는 거 같아요

  • @caryshim

    @caryshim

    3 ай бұрын

    죽기 살기로 공부해야죠. 울 아들 4년 반만에 명문대 공대 졸업했는데 학기 중 내내 고3수험생처럼 공부하더이다. 빨리 끝내는게 학비 덜 들고 돈 빨리 벌 수 있으니 이중으로 좋은거죠.

  • @User12345qwer
    @User12345qwer4 ай бұрын

    머리푸시니 훨씬어려보이고 예쁘세요.

  • @CaptainSeung

    @CaptainSeung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cse343
    @cse3434 ай бұрын

    오늘은 안경을 벗고 하는 강의 머리가 좋습니다

  • @user-ph4jk5pu7s
    @user-ph4jk5pu7s4 ай бұрын

    승대누나 갑자기 젊어졌음!!!

  • @gerrypark5519
    @gerrypark55193 ай бұрын

    전기과 기계과 졸업하고 반도체 분야로 취업하는 방법이 있죠. 전공공부가 어려운데 영어는 부담없음.

  • @daeyoulyoon3072
    @daeyoulyoon307228 күн бұрын

    새롭게 배운 지식으로 우리나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국으로 돌아온 경우도 참 많아요 너무 돈으로만 계산하면 안되요

  • @user-vd3zz3nr7n
    @user-vd3zz3nr7n3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Paul-be3bq
    @Paul-be3bq3 ай бұрын

    취업이 힘든건 당연한거 아닐까요,, 유학생을 쓴다는 건 그만큼 부가적인 페이퍼나 귀찮은 일들이 늘어난다는 거고, 언어 문화적으로 같이 어울릴 수 있을까하는 염려가 생기죠,,걍 유학생이 현지 학생들보다 2배 이상 노력해야 될거에요,,😊

  • @user-wc3dz5je2p
    @user-wc3dz5je2p3 ай бұрын

    요즘은 환율과 물가 상승때문에 1년에 1억도 훨씬 더 드는것 같아요. 지금 워싱턴 DC 지역에 거주중인데, 여기 현지인 명문대 졸업생도 문과쪽은 취업이 아주 어려운것 같습니다. 비싼 사립 대학교 학비를 거의 대출을 받아 졸업을 하는데, 빚만 가득한 아이들 보면 안쓰럽습니다. 미국인도 이런 상황인데, 외국인이 영어도 완벽히 구사 못하고 영주권도 없는데다, 취업이 안되는 학과 전공이면 직업 구하기 힘들죠. 잘 생각하고 유학 가시면 좋겠어요.

  • @rtyugsaf
    @rtyugsaf2 ай бұрын

    1억은 시골학교인 경우고, 사립대학은 학비+기숙사비만 1억이고 기타 생활비 5천만원은 추가로 더 생각해야 합니다.

  • @user-jx1sl9io5e
    @user-jx1sl9io5e4 ай бұрын

    5년 넘게 수 억 들였는데~ 돈이 바닥 나서 돌아왔네요~그래서 학원 알바하고 있어요. 딸이 ~ 후회가 많이 되네요~~그냥 1년 어학연수 시키고, 국내 대학 가고, 그 남은 큰 돈으로 투자를 했더라면 더 큰 돈을 모우지 않았을까 생각해요~~ㅠㅠ

  • @shuv3143

    @shuv3143

    3 ай бұрын

    애 쓰셨습니다. 어디 인생이 낭비없이 살아질 수만 있겠습니까… 따님께서 수억을 쓴 경험치가 어떤 모양으로든 나머지 인생여정에 가치발휘를 하게되면 너무 좋겠네요.

  •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3 ай бұрын

    딸 유학보내서 어디다 써먹게요 ? 폄하한다고요 ? --- 네

  • @jykim2203

    @jykim2203

    3 ай бұрын

    @@user-hp2ub6jy9j 부럽다고 아무말이나 막해서 자기 수준을 보일 필요는 없.. ㅋ

  • @user-gk9cc4px5k

    @user-gk9cc4px5k

    3 ай бұрын

    미국은 애초부터 여유있는 사람이 유학가야할듯요 빠듯하게 가면 부모도 아이도 고생해요

  • @user-jj7bb2yz7p

    @user-jj7bb2yz7p

    3 ай бұрын

    미국유학 어지간한 집 아니면 불가능이죠 그래서 캐나다나 호주가는 겁니다 미국은 총이 어쩌구 하면서 ㅋㅋㅋ

  • @Victoria-qs1iy
    @Victoria-qs1iy2 ай бұрын

    돈이 많으면 상관없죠~ 즐기는 거죠. 공부도 하고 타문화도 즐기고.

  • @user-vl4rw1sh4x
    @user-vl4rw1sh4x4 ай бұрын

    대부분 돈만 펑펑 쓰고 실패로 끝난 경우가 99프로

  • @Jaemin0903

    @Jaemin0903

    3 ай бұрын

    어디 그런 통계가??? 뇌피셜?? ㅋ기

  • @user-eq1kk4ti5l

    @user-eq1kk4ti5l

    3 ай бұрын

    ​@@Jaemin0903왜? 팩폭이라 양심 찔리슈? 99% 까지는 아니겠지만 생각 이상 많은 사례가 실패한다는건 전국민이 다 안다!

  • @xtinct77able

    @xtinct77able

    3 ай бұрын

    아니 노는 애들 못봤어? 유학가서 노는 애들 많던데 내 친구도 있고

  • @caryshim

    @caryshim

    3 ай бұрын

    잘못 알고 있으신듯요. 50%는 그나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중 20%는 성공한 인재가 되는듯 합니다. 단순어학 연수말고 학위취득 유학파는 국내에서도 50%는 두곽을 나타낸다고 봐야합니다. 99%실패는 님의 주변 분들이 안좋은 것 같네요. 제 주변은 반은 성공해 한국이나 외국서 잘 살고 있습니다.

  • @user-ef4to2kx5w

    @user-ef4to2kx5w

    3 ай бұрын

    종고딩 유학말고 석 박사 공부하러 가면 많이들 학위받고 오던데..

  • @Luberunicolor
    @Luberunicolor3 ай бұрын

    박사 받으면 귀국해야하는현실 유급이면 29세까지 연장 포닥인정시간을안주니귀국하는거죠 분석을 해주셔요

  • @daeweehong498
    @daeweehong4982 ай бұрын

    분야별로 다르겠지만 유학후 취업이 된다고해도 생활비랑 집세가 너무 많이 들어서 돈을 많이 벌어도 나가는 돈 때문에 취업하기도 수월하고 가족 친구 생활기반이 마련된 대한민국을 택하기도 하죠 돈보단 경력이 우선이여서 남는 경우도 꽤 많아요

  • @user-gz4ws5kh9h
    @user-gz4ws5kh9h3 ай бұрын

    지능지수 낮으면 애초에 공부로 승부하면 안됩니다

  • @user-fr78ioka6eWs

    @user-fr78ioka6eWs

    2 ай бұрын

    풉ㅋㅋㅋ

  • @user-og3rz2ud1f

    @user-og3rz2ud1f

    Ай бұрын

    잘하는 분야,좋아하는 분야를 하면 지능이 불필요합니다

  • @bonanza8838
    @bonanza88383 ай бұрын

    걍 외노자 혹은 조금 유능한 외노자이지 어퍼 클라스는 커녕 지역 커뮤니티에도 흡수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니까요 희망 이성 만나 결혼하기는 어렵고 혹여 특정 종교를 가지고 있다면 상대적으로 쉬울 수도 있는 반면 정말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기도 합니다 예전만큼의 대우는 아니더라도 국내 들어오면 어느 정도 자리 잡을 수 있는데 불안한 미국사회를 영위할 필요가 없죠

  • @joonkim5863
    @joonkim58632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10%만 취직해서 남는다고 가정하면 처음부터 유학후 계획을 다르게 세워야 할것 같네요. 미국이나 한국에서 공부하고 성공한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쉬운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 @inckotrak7243
    @inckotrak72433 ай бұрын

    두 아들을 각각 미동부지역대학의 이과와 문과에 유학 보내서 각각 졸업 후, 1명은 현지회사 OPT 1년차이고, 1명은 조기졸업하여 귀국시킨 부모의 입장입니다만.. 굳이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라하고 강요하진 않는편입니다. 많은 비용을 들여 유학보내시는 많은 분들도 비슷한 생각을 하시겠지만, 전 세계 학생들이 모이는 넓은 세상에 가서 많은 경험을 해 보라는 취지가 가장 큰 것 같네요. 저희 얘들 같은 경우엔 별 다른 사건 사고없이 졸업해 준 것만 해도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남아 영주권을 받은 후 그 곳에서 정착하든, 귀국하든 본인의 선택에 맡기고 있어요. 성공과 실패의 척도는 본인의 행복지수에 따른 것 아닐런지요?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공감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 @yjin6718

    @yjin6718

    29 күн бұрын

    여유가 된다면 젊을때 귀한 경험이 되겠지요.

  • @user-gb8gm3tb6q
    @user-gb8gm3tb6q4 ай бұрын

    아드님의 유학생 보는 시각이 맞는것 같아요. 조카도 유학 중일 때 같은 말 했거든요. 미국 유학생 정말 공부 열심히 해야만 취업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노력은 배신 하지 않는다'이런 말 있지 않습니까? 조카는 회계법인 '딜로이트'에 근무 합니다. 모두들 유학생활 잘 하시고 앞날이 활짝 열리길 기원합니다.

  • @hoonoh6602

    @hoonoh6602

    3 ай бұрын

    그래도 h1b 추첨에서 떨어지면 노력이 배신하는 겁니다. 저는 다행히 대학에 취업해서 추첨없이 바로 나왔습니다. 미국취업에 관심있는 학생들은 비영리 단체, 대학, 정부 연구기관등을 추천합니다. 취업비자 받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 @sungjeanslove
    @sungjeanslove3 ай бұрын

    일본어 전공하고 일본 어학연수 갔다가 현지취업 실패하고 돌아와서 다른 직종에서 일하는데... 교수님 말씀이 공감합니다^^!

  • @kevinlee1861
    @kevinlee18613 ай бұрын

    과거에는 취업이되면 영주권도 취득이되었는데 요즈음은 법이 바뀌어서 어렵게 되었습니다. 제일 큰 문제는 언어문제인데 인터뷰에서 낙방하게 됩니다.

  • @kilian8566
    @kilian85663 ай бұрын

    저도 미국 대학원 다니다 도망(?) 왔슴다 ㅠㅠ 지금은 영어학원 하는데 이제 겨우 자리 잡은 듯… 그냥 어학코스 1년만 하고 올 걸 그랬습니다…

  • @changhwanlee4867
    @changhwanlee48674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유학비용 많이 드네요. 그래도 이 모든 것을 감당하고 계신 한국부모님들의 자녀사랑은 세계 1등 인 것 같습니다. 그 노력에 보답이라도 하듯 열심히 사는 자녀들도 멋지고요.

  • @user-jw2zm4sk9s

    @user-jw2zm4sk9s

    4 ай бұрын

    그게 과연 자녀사랑일까요...?ㅋㅋ

  • @jkwon5002

    @jkwon5002

    4 ай бұрын

    ​@@user-jw2zm4sk9s네 자녀사랑 맞습니다. 젊은시절 유학경험이 인생에 있어서 도움도 되고 좋은 추억도 될 수 있거든요^^

  • @user-jw2zm4sk9s

    @user-jw2zm4sk9s

    4 ай бұрын

    @@jkwon5002 욕심이라고 하는거죠~ 정확히는요^^ 숨긴다고 되나요~

  • @jkwon5002

    @jkwon5002

    4 ай бұрын

    @@user-jw2zm4sk9s 심뽀가 엄청 꼬인 분일세...

  • @user-jw2zm4sk9s

    @user-jw2zm4sk9s

    4 ай бұрын

    @@jkwon5002 님만할까요.. 진실은 듣기 싫은법이죠~

  • @user-tg3km6fv7v
    @user-tg3km6fv7v2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네

  • @Dingo7423
    @Dingo74232 ай бұрын

    뚜렷한 목표없이 유학하는것도 문제. 내조카도 유학만 3개국으로 갔었는데, 목표없이 학창생활만 즐긴것 같음.. 지금 40살 여전히 영어 조금하는 백수.

  • @user-yj3om3rx1r

    @user-yj3om3rx1r

    26 күн бұрын

    그렇지만은안아요 대학4년에 의대7년 지금아들은치과의사입니다 나뿐결과만보지마세요

  • @caryshim
    @caryshim3 ай бұрын

    유학 특히 선진국으로의 유학은 부모님 능력이 좀 되던가 아니면 본인이 정말 열심히 할 수 있는 사람이 가야 합니다. 그냥 막연히 또는 등 떠밀려서나 한국에 적응못해 가면 실패합니다. 평범한 직장생활 월급 부모님 돈으로 막연히 유학가서 대충하고 오면 부모자식 모두 어려워집니다. 안가느니 못합니다.

  • @LEEkyouho
    @LEEkyouho24 күн бұрын

    미국 비자없이 취업하려면 인턴쉽 빡세게해서 안면 터야하는데 결국 인턴하는 동안 다른 일할 시간을 갈아넣는거라 조삼모사죠

  • @user-cd9ct5rx6r
    @user-cd9ct5rx6r2 ай бұрын

    10대때부처 일찍 가서 그 나라에서 학교다니지 않는 이상은 머리가 다 굳은 다음에 가면 일단 영어로 전공공부할만큼 영어 수준을.끌어올리는거 부터기 엄청나게.어렵습니다. 남의 나라언어로 그냥 기초 수준 대화야 쉽지만 전공 공부는 차원이.다르죠. 게다가 미국은 학비가.정말.. 😅

  • @user-jx1sl9io5e
    @user-jx1sl9io5e4 ай бұрын

    미국은 유학생 장사를 한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겁니다. 물론 소수의 성과를 이룬 사람도 있겠지만~~

  • @utopiakorea9021

    @utopiakorea9021

    2 ай бұрын

    미국은 유학생으로 돈 벌고, 외국 유학생들에게 미국의 문화를 주입 시킵니다.

  • @suzannelibrownrigg8241

    @suzannelibrownrigg8241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어중간하면 학비를 벌기위해 다 입학시키죠. 하지만 졸업하기는 쉽지않죠. ㅎㅎㅎ

  • @utopiakorea9021

    @utopiakorea9021

    2 ай бұрын

    @@suzannelibrownrigg8241 그것도 대학 나름이겠습니다. 중하위권 대학들은 웬만큼 공부하면 졸업은 합니다.

  • @user-genfq2djixfs
    @user-genfq2djixfs4 ай бұрын

    고물가 폭등과 비싼 등록금에 견주는 엄청난 생활비가 실제 겪어보면 견딜수 없는 수준이라 그런듯 해요 미 브이로그 보면 연봉 1억이 기본이래도 월 임대비만 몇백만원에 식비가 장난 아니더군요 생활 비용 및 외식비가 경악할 수준이라 도심지 생활이 녹록지 않아서지요

  • @go4kchipro144

    @go4kchipro144

    3 ай бұрын

    임대비 회사에서 지원도 해줍니다. 그리고 임대비는 도시에 따라 달라요. 뉴욕 맨하튼은 월 200만원+으로 한국으로 치면 월60만원짜리 살게되고 미국의 오지로 가면 그돈이면 준재벌처럼 산다는 것은 미국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입니다. 그래도 대부분 보니까 같은 의견인 것이 큰 도시에서는 최소 연봉 15만불은 벌어야 한다고들 하는데...월세하고 담배값빼고 나머지는 서울이랑 비슷하고 외식비는 미국이 훨씬 더 높고 자동차 가스비는 미국이 더 싸지만 월 총비용은 미국이 훨씬 들고, 인터넷 및 각종 유틸리티 비용은 서울이랑 비슷하고. 각종 전자제품이나 가구 의류는 어떻게 보면 미국이 더 저렴하고. 따라서 월세가 가장 큰 차이를 낸다고 볼 수 있고 허브말고 아~주 조금만 벗어나도 가격은 급하락합니다. 그래도 서울 월세보다 비싸지만 많이 비슷해짐. 식비는 간단하게 말해서 한국 한끼 1만원으로 미국에서는 햄버거나 정크푸드밖에 못먹죠. 그러나 마켓가서 장을 본다면 한국보다 특별히 비싸다고 안느껴짐. 세부적으로 따지면 품목마다 다르겠죠. ㅋ 대신, 한국 음식은 한국에서보다 비쌈. 단 고기는 현재 한국에서 한우값이 너무 올라서 오히려 미국이 더 싸거나 비슷하다고 볼 수 있음.

  • @go4kchipro144

    @go4kchipro144

    3 ай бұрын

    결국 유학생은 2가지. 1. 학비. 2. 월세 (그래도 학생은 디스카운트 혜택이 있고 학생들이 주로 사는 곳은 보다 더 저렴하기도 하며 그들 나이를 고려했을 때 쉐어가 가능해서 오히려 한국보다 덜내고 살 수도 있음). 대신 한국처럼 스트레스 풀 곳이 많지 않고 접근성이 어려움. 레져스포츠나 건전한 놀이문화는 미국이 더 나을 수도 있고요. 또 사는 곳에 따라 한국식 장볼려면 몇시간을 차타고 나가야할 수도 있지만 20년전과 다른점이 어딜가도 그래도 한국 것들은 구할 수 있는 장소가 꼭 있고 왠만하면 한국레스토랑이 꼭 있음. 없다고 해도 사장님들이 한국분인 곳은 꼭 있습니돠!

  • @go4kchipro144

    @go4kchipro144

    3 ай бұрын

    2500불정도 월세살려면 미국에서는 월 10000불 이상은 벌어야 한다라는 미국내 공식도 있죠. 그런데 저는 세후 10000불이어야 맞는 것이 아닌가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한편, 유학생들은 돈도 안 벌고 그정도 가격 혹은 훨씬 비싼 집에서 혼자사는 학생들도 있죠. 아에 집을 사고 졸업하고 팔기도 하고 아에 팔생각없이 집을 소유하고 있거나요. 할 수 없이 비싼 월세 내고 살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겠죠. 교통 등을 고려해서요. 그 이상의 세부적인 사항은 개인 사정이지 그것까지 꼬치꼬치 캐묻거나 이러쿵 저러쿵 언급한다면 당사자들은 얼마나 우스워할지 상상해봅니다.

  • @NiKiKuDerMan
    @NiKiKuDerMan2 ай бұрын

    저도 큰애를 뉴욕에서 유학 시키는 중인데요 아이 교육비로 쓴 돈을 본전 생각 해본적이 한번도 없는데요 ㅎㅎㅎ

  • @mic-bcpak
    @mic-bcpak2 ай бұрын

    파티문화, 마리화나, 이성관계 정확해요.ㅋ

  • @c4ex_net
    @c4ex_net3 ай бұрын

    돈이 넘처나도 힘든게 유학이군요. 다행이 돈이 없어 애들이 유학 보내달라면 거절할수있어 다행입니다😅

  • @pinetworkminer8377

    @pinetworkminer8377

    3 ай бұрын

    그래도 이재용 삼성家 정도로 부유하면 취업 정도는 못할게 없겠죠.

  •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4 ай бұрын

    지피지기 백전백승/자기 객관화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간과한 댓가라고 봅니다

  • @ssyasaengma3857

    @ssyasaengma3857

    27 күн бұрын

    백전불태

  • @user-ip3kj2wo5u
    @user-ip3kj2wo5u4 ай бұрын

    딸 아이가 현재 호주 유학 준비 중인데 이 영상을 보니 유학 생활의 현실이 실감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EastWood2004

    @EastWood2004

    4 ай бұрын

    호주 시드니 온지 30 년이 넘었네요. 우리 딸도 셀렉스쿨 나와 의대 과정을 하고 있어요. 유학생은 상대적으로 의대 가기가 쉬워요 . 학비는 대충 호주불 1년에 6만불 정도 보면 될 거예요

  • @sinheonkim2594

    @sinheonkim2594

    3 ай бұрын

    가급적 깊이 고민해 보세요.

  • @user-mf2sw7ep9y

    @user-mf2sw7ep9y

    3 ай бұрын

    ​@@EastWood2004 저희 딸도 호주 유학 생각하고있는데요 호주는 유학생활할만한가요? 금액적으로요 ㅠㅠ

  • @user-dp9yk4le6f

    @user-dp9yk4le6f

    3 ай бұрын

    유학생활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방황하고 실패자가 됩니다.

  • @sea0283

    @sea0283

    3 ай бұрын

    호주유학 비추요.

  • @ABCD-in6ze
    @ABCD-in6ze4 ай бұрын

    공감하는것도 있지만...돌아간 유학생들이 다 그렇지도 않아요. 모두다 그렇다고 하는건 고생하며 열심히 사는 유학생도 정말 많답니다.

  • @lionsblueblooded
    @lionsblueblooded3 ай бұрын

    솔직히 미국 정착은 요즘 가능합니다. 알라바마에 자동차 부품사가 많고 항상 인력난 이거든요. 근데 가서 각종 부조리로 3년 버티기가 쉽지 않죠. 헬라바마 라고도 불리니까요

  • @bonanza8838

    @bonanza8838

    3 ай бұрын

    좀 아시네요 부조리가 아니라 애초에 2-3년 빨아먹고 버릴 카드인데요 뭘 싱싱한 순진한 새 카드는 계속 나오니까

  • @user-kd2ie6ff9l

    @user-kd2ie6ff9l

    2 ай бұрын

    지금 거기라도 가서 남아야하나 고민중입니다 ㅅㅂ 큨ㅋㅋ

  • @sangheeozuna3894
    @sangheeozuna38944 ай бұрын

    오우 머리스타일이랑 너무 잘 어울려요..예쁘세요 ❤

  • @CaptainSeung

    @CaptainSeung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hr4tu9rx1n
    @user-hr4tu9rx1n4 ай бұрын

    헤어스탈 이뻐졌어요 훨씬 젊고 이뻐보여요

  • @CaptainSeung

    @CaptainSeung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설 연휴 잘 보내세요.

  • @user-hd6yd9np1p
    @user-hd6yd9np1p3 ай бұрын

    알고리즘으로 처음 오게 됬는데요 . 재미교포 이신가요? 유학생 취업 이야기 듣고 갑자기 궁금한게 재미교포들은 유학생 과 달리 취업 잘하는 편인가요?

  • @user-ik4sm2ez6o
    @user-ik4sm2ez6o4 ай бұрын

    미국은 전세가 없으니 월세가 장난 아니지요. 일반인들은 감당하기 힘든 일이지요.😮

  • @oceanbreezehj

    @oceanbreezehj

    3 ай бұрын

    전세사기도 없어요

  • @user-tw4rk7hl9r

    @user-tw4rk7hl9r

    3 ай бұрын

    ​@@oceanbreezehj 당연한 말을 하시는거 거지가 집 없어서 화재날 일 없다고 하는거랑 정반대의 의미로 매치

  • @LoveNPeace369

    @LoveNPeace369

    Ай бұрын

    전세가 잘못된 제도인건 변함없지

  • @user-lw6dp7cv7o

    @user-lw6dp7cv7o

    26 күн бұрын

    나 사는 동남아 후진국도 월세...비쌈..왠만함 200만원.

  • @bryanoh2695
    @bryanoh26953 ай бұрын

    여긴 캘리 얼바인 백인들도 하버드대 문과 인문계 나와서 대학입시 과외나 에세이 봐줍니다. 백인들도 문과 나오면 취직안되요. 미국은 공돌이 천국입니다.

  • @mirikim7930
    @mirikim79304 ай бұрын

    미국 은 미국국적을가진자만 구인하는기업들 외국인자체가 취업안되는 업체가 많아요 국가적보안이 걸려있는 회사 전공을 결정할때 그것부터 확인해야합니다 아들도 우선 국제적 라이센스합격후 유학가려고 준비중입니다 .

  • @Dingo7423

    @Dingo7423

    4 ай бұрын

    회사에서 여러번 구인광고 했지만 적정인 구할 수 없었다는 증거를 노동청에 보내야 함, 20년전엔 떡집과 스시셰프, 목사는 영주권 잘나왔지만 지금은 안됨.

  • @user-lx4xb3kv3l

    @user-lx4xb3kv3l

    2 ай бұрын

    인도나 대만계 보세요

  • @soondol-hh8rr
    @soondol-hh8rr3 ай бұрын

    오빠가 ucla에서 석박사 받고 바로 취업해서 차례로 영주권. 시민권따고 애셋 낳고 잘살고 있고. 그즈음 같이 유학했던 분들은 중도 포기하고 귀국했던 분들도 있지만 워낙에 기본 스펙이 좋으니 다들 대기업으로 취직해서 잘 살고 있더라고요. 사바사 느낌.

  • @hellChosun-
    @hellChosun-2 ай бұрын

    유학 실패 하신 분들 이유가 뻔한데도 다들 포장만 해되서 콕 찝어서 씀 하신걸로 일깨워 줘야겠네요^^ 저는 반대로 한국 경력으로 미국 나왔는데 요즘 한국에서 유학파는 특별취급도 못 받으니 다들 잘 생각해보고 선택 해주세요😢😢😢

  • @user-ie6xc4ij1l
    @user-ie6xc4ij1l4 ай бұрын

    비싼 돈 들여 유학하면 그만큼 고급 직업을 가져야 하는데 그 고급직업을 미국인들이 쉽게 외국인에게 내줄까요

  • @price7997

    @price7997

    3 ай бұрын

    네 쉽게 내줍니다. 미국을 아직 잘 모르나보네요. 능력이 좋다면 원숭이도 데려다 일 시킵니다. 그냥 미국에서 실패하고 한국으로ㅠ돌아가누사람들의 변명이죠. 똑똑하고 일 잘하면 젛은 직업 다 가집니다.

  • @issue-retail-store

    @issue-retail-store

    2 ай бұрын

    @@price7997똑같은 실력의 한국인의사와 동남아출신의사중에 누구에게 진료받으실래요? 답을 알면서 무슨

  • @price7997

    @price7997

    2 ай бұрын

    @@issue-retail-store 뭔 개소리지.. 인종차별 주의자에다 멍청하기 까지 하네 ㅋㅋ 당연히 더 잘하는 의사한테ㅡ진료받죠...

  • @user-of1pd5jv8s

    @user-of1pd5jv8s

    7 күн бұрын

    ​@@issue-retail-store그건 의사인 경우고요~미국은 기회의 나라임엔 분명합니다

  • @user-ij9nv3or9w
    @user-ij9nv3or9w2 ай бұрын

    어릴때 이민가서 정착하고 그나라 국적 취득해야 주류사회진입이 가능할겉 같습니다. 내 대학 동기 자녀와 사위와 며느리 직업이 인텔, 아마존, 대학교수, 의사입니다.

  • @user-kv8qh5ti1c
    @user-kv8qh5ti1c4 ай бұрын

    60대입니다. 한국에서 학사, 석사하고 연구원으로 일하다 80년대 중후반 미국유학가서 이학박사하고 포스닥하고 귀국했던 사람입니다 (미국생활 7~8년). 그 시절에 한국유학생은 학부생이 거의 없고 대학원생이었으며 이공계통의 대학원생은 지도교수로부터 연구비로 학자금을 지원받아 등록금 & 생활비를 충당하였습니다. 그 당시 한국의 급여수준이 낮아 미국대학원생이 받는 학자금이 한국대학 교수보다 많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웬만한 부자가 아니면 자식을 유학보내지 못했더랬죠. 같은 학교 한국유학생들은 거의 대다수가 한국의 부모님 지원을 기대할 수 없었기에 정말 공부 및 연구에 몰두했습니다. 예를 들어 C학점을 2과목 받으면 F1 비자가 취소되기에 치열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 당시 한국유학생은 운전을 해 본 경험이 없었기에 거의 100%가 미국에서 면허취득하고 중고차로 시작했어요. 제 기억으로 90년대 후반부터 학부생 유학생이 서서히 많아지기 시작했죠. 학부생은 국적 관계로 학자금 (장학생)을 지원 받기가 쉽지 않아서 대다수 한국부자 부모님의 지원만이 유학생활을 가능케 했을 겁니다. 그 동안 한국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불과 10여년 만에 유학생 유형, 사고방식이 대변화가 생겨났습니다.

  • @syhwangbo4329

    @syhwangbo4329

    4 ай бұрын

    그 이후의 스토리를 듣고 싶네요~

  • @user-kv8qh5ti1c

    @user-kv8qh5ti1c

    4 ай бұрын

    ​@@syhwangbo4329 저는 베이비붐 세대라서 한국 대학들이 본격적으로 팽창하는 90년대 중반 대학에 임용되었습니다. 이 때는 해외 유학출신을 엄청 선호하던 시절이었습니다. 교수로 임용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발표한 논문이었구요, 학연, 지연 등이 점점 작용하기 어렵게 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다만 대학에서 이왕이면 다홍치마라고 하버드 등 서울대, KAIST-미국명문대 출신이 유리했던 것 같습니다. 물론 이 보다 좋은 논문이 훨 중요한 요소입니다만. 하바드대학 대학원 입학은 그 때도 매우 어려워서 보통 서울대 (학부기준) 에서 학과수석들이 저의 분야에서는 2-3년에 한명갈까 말까한 수준입니다 (입학사정에 학부성적을 중요시 했음 ㅡ 물론 토플 및 GRE 성적은 당연 상위권이어야 하나 최상위를 요구하지는 않았음. 위에서 말한 하버드 출신 대부분은 포스닥을 그 곳에서 했다는 의미로 박사학위할 때 논문이 좋으면 포스닥은 가능했기에 하버드 졸업장하고는 많이 결이 다릅니다. 하버드 졸업장을 받고 그 후 어딘가에서 포스닥 훈련을 받은 사람들은 똑똑해서인지 한국에 귀국해서도 잘 합니다. 그 당시 (1960~1990년대 중후반) 까지 가난한 한국은 연구비를 풍족하게 지원할 수 없기에 국내학위와 미국 등을 비롯한 해외학위자들의 연구논문에서의 격차는 제법 되어었기 때문에 해외박사를 선호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들이 귀국하고 나라에 어느정도의 연구비 지원이 가능해지면서 국내에서도 연구논문 성과가 상당해지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서 이들의 제자들이 배출되고 배출된 이들은 학생이 아니라 포스닥을 미국에서 하면서 소위 말하는 탑티어 논문을 만들어내고 대학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들은 교수로 채용하기 시작합니다. 최근 10년을 봤을 때 국내학위자가 더 많이 이공계 교수로 임용되고 또 잘하고 있습니다. 요즘 대학교수되는 것이 무척이나 힘듭니다. (이공계에서는 학연 지연 등은 사실상 멸종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저의 베이붐 세대에서 미국학위자는 상대적인 경쟁력이 막강하여 같이 유학시절에 같이 공부했던 (특히 서울대, KAIST 출신) 사람은 거의 대학교수가 됬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나 최근 10년 동안 보면 서울대 할아버지 출신도 매우 우수한 논문들을 발표하지 못하면 이공계 교수는 언감생신입니다. 참고로 저의 세대에서 서울공대갈 실력이면 서울대의대를 제외하고 연세의대를 비롯하여 서울소재 의과대학도 매우 안정권이었죠. 가끔 그 때 의대나 갈걸 이라는 쓸데 없는 생각이 (요즘 의대몰빵 뉴스가 나오면) 듭니다. 마지막으로 교수사회만큼 교수 개개인의 역량 차가 많이 드러나는 사회는 없을 듯 합니다. 그냥 논문이 아니라 우수한 논문 (특허)을 발표하는 교수는 많지는 않죠. 한 우물을 파면서 근원적인 핵심을 최근에 개발된 정보와 기술을 활용하여 발굴하고 개발하는 교수들이 가장 부럽고 동료교수사회에서 높이 평가합니다. 이런 사람들이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만 늘어나는 추세인 것은 확실합니다. 나라에서 지원하는 연구비가 이런 곳에 투하되어야겠지요. 그럼 이만.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같은 60대인데,90년대 중반에 엠비에이로 왔다가 두가지를 동시에(돈 영어)견디지 못하고, 취업을 (이민)택해서 살고 있는데요, 좋은점은 퇴직제한이 없고 내가 하고픈 것은 할수있어. ..단점은 모게지, 보험 그리고유틸히티등 경비가 한국보다는 싸진 않음..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국은 어디 어느정도 사는것도 아주 중요하다고 봐요.오늘 코멘트 감사드립니다

  • @user-lw6dp7cv7o

    @user-lw6dp7cv7o

    26 күн бұрын

    석박사 장학금으로 조지아 텍.....조교로 2천불. 생활비보템. 지금 로보트박사로 년봉 35만불. 실리콘벨리 회사.

  • @youngsinseo473
    @youngsinseo47328 күн бұрын

    승대위님 인상 말씨 내용 엘리트 품격이 보이네요 😅

  • @CaptainSeung

    @CaptainSeung

    28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or4er2dn8t
    @user-or4er2dn8t4 ай бұрын

    유학생아니고 시민권가지고 국제학교 나온 학생은 취업이 잘될까요? 지금 중3이고 고등과정가는데 성적은 좋지 않아요. 열심히 하는데 지능이 낮은거 같아요. 키도 많이 작고 몸도 뚱뚱하고요. 수학과 과학이 너무 안돼서 인문학 전공 생각하고 있어요. 국제학교를 주로 다녀서 영어가 모국어지만 완벽하진 않아요. 조카여요.

  • @chungseunghye6054

    @chungseunghye6054

    4 ай бұрын

    미국거주하는 영주권자인데 인문학과는 여기서 취업이 쉽지가 않은 분야에요.. Stem분야 뛰어난 인재들은 사실 취업이 어렵진 않더라고요

  • @pinetworkminer8377

    @pinetworkminer8377

    3 ай бұрын

    @@chungseunghye6054 차라리 전문대 졸업 후 기술분야로 가는건 어떨까요? 어정쩡하거나 애매하게 평범한 4년제 대학 나오느니 차라리 기술 배워서 취업하는게 더 나을거 같아보여서요.

  • @woodtea6450

    @woodtea6450

    3 ай бұрын

    미국아닌 기타국가 시민권자에 국제학교 해외거주중인데 국재학교졸업생들 보통 미국 영국 캐나다로 대학보내는데 IB과정의 경우 학비+사교육비가 1년에 1억씩 들어요 ㅜㅜ 한국만 사교육비 빡쎈게 아닙니다. 과목당 1시간 20만원부터 시작하는데 6과목을 1~2년 꼬박해야 가더라구요.. 가서 끝나는게 아니라 그때부터는 유학비가 ㅜㅜ 그나마 학비라도 좀 저렴한 영국으로 가면 효자에요 효자..

  • @chungseunghye6054

    @chungseunghye6054

    3 ай бұрын

    @@woodtea6450 헉 1억 ㅠㅠ 집안 여력이있으면 괘않치만 미국에 사는 제 개인적 생각을 글쎄요 ㅠㅠ

  • @jaylee1250
    @jaylee1250Ай бұрын

    한가지 더 말씀드리면 언제부터인지 실력 미만의 학생들 (도피성도 포함) 이 많아졌고 머리가 그리 좋지 못한 학생들도 꽤 많이 들어온 것 같습니다. 불쌍한 부모님들 ㅠㅠ

  •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2 ай бұрын

    신분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유학생은 유학비자상태이지만 현지에서 취업하려면 유학비자에서 취업비자로 바꾸어 주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쉬운문제인지가 궁금합니다.

  • @Tofunation
    @Tofunation3 ай бұрын

    2024년은 기존에 알고계신거 보다 더심각합니다. 제 친구가 상위권 주립대 학사 졸업후 3년간 개발자 경력이 있고 현재 대학원 4.0으로 졸업예정인데 현재 지원한 회사가 1000개가 넘는데 단두곳에서 연락이왔습니다. 아드님 친구분이 98개 지원해서 취업이 되었다면 정말 운이 좋은겁니다. 밑에분이 설명해주셨듯 법적으로 외국인을 뽑는것에 대한 이유가 확실하게 있어야 하고 STEM이 법적 근거는 만들기 쉽지만 지금은 STEM도 취업 힘듭니다. 2021년 부터 2024년까지 테크쪽에서 40만명이 넘게 해고당했습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il8nt9wt7m
    @user-il8nt9wt7m3 ай бұрын

    아들이 뉴욕에서 7년제 치대다닙니다. 공부도 너무나 힘들지만 지금 환율로 일년에 일억으로는 불가능하네요

  • @hkim6721

    @hkim6721

    2 ай бұрын

    치대 전문의 과정까지 하나봐요? 제딸도 페리오 전문의 과정 하거든요..

  • @fairnessme5060

    @fairnessme5060

    2 ай бұрын

    부모들꼴빼먹고 편안한 인생살려고하다 막살!

  • @user-gv7ey7uv7e

    @user-gv7ey7uv7e

    2 ай бұрын

    등록금이랑.. 어마어마하겠네요😂

  • @soul-jm1pu
    @soul-jm1pu3 ай бұрын

    저렇게 차사고 외식함..서울서도 학교 다니기 힘들어요

  • @Skyblue20246
    @Skyblue202463 ай бұрын

    80년대 학부로 유학 갔었죠. 공대여서 석박사엔 그 때도 200분 계셨는데 학부엔 저 포함 2명인가 3명 있었죠. 수학과학 부분에서 미국이 좀 기준 낮아 쉬웠고 언어 때문에 정말 힘들어 아직도 불면증 후유증이. 여유있어 간거던 아니던, 공부를 잘해서 간거건 아니건 유학생에게 졸업 못하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가 이루 말 할 수 없죠. 이미 투자된 액수, 부모님 뵐 면목, 지인에게 쪽팔림, 자존심 등등 미국을 정말 좋아해서 간 케이스여서 남고 싶었지만 군대문제와 학부로는 딱히 방법이 없었죠. 가장 좋은 건 교포/현지인과 결혼인데 그때만해도 순수(?) 했죠. 한번은 하름한 쇼핑몰에 방문 하여 지인과 막 대화를 나누고 있는데 흑인 미군이 사무실서 튀어 나오더니 혹시 너네들 군대 가려고 온거냐고 사무실 들어와 보라고. 나중에 안건데 이분이 군인 모집하는 사람. 근데 나중에 한국 와 들은 건데 영주권 없어도 미군 몇년 근무하면 영주권 받는 방법 있다는 것 같았는데 제가 그때 미군 복무하고 남았으면 인생이 어땠을까 생각해보곤 하죠. 힘들었지만 에피소드도 많고 재밌었던 유학생활이었죠.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경험하신 내용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user-sg9kg8ix7p
    @user-sg9kg8ix7pАй бұрын

    우리나라로 유학 온 사람들 보면 답이 나오죠,,, 주류로 끼어 들기가 힘들죠…

  • @user-li4lg7xd7c
    @user-li4lg7xd7c3 ай бұрын

    미국에다 돈 팍팍 바가지 쓰게 만드는ㅡ미국의 뛰어난 전략ㅡ아시안 바보들 돈 다 털리지

  • @user-hp2ub6jy9j

    @user-hp2ub6jy9j

    3 ай бұрын

    그바보들이 자기고국에 돌아와서 괜찮은 자리 차지하지

  • @zamong-greentea
    @zamong-greentea4 ай бұрын

    미국유학생들한테 돈 받아서 자국민들 퍼다주는 느낌.

  • @user-vo1of8lv2g

    @user-vo1of8lv2g

    4 ай бұрын

    이거 맞습니다. 미국은 영주권,비자장사 , 유학장사로 돈 많이 법니다.

  • @swagcatnana

    @swagcatnana

    2 ай бұрын

    빙고 요새는 중궈런들이 미국 대학의 케시카우

  • @halohalo576

    @halohalo576

    2 ай бұрын

    근데 유학생들을 대우해주지도 않음. 기숙사와 학식당도 자국민들은 더 최신건물 배정하고, 유학생들은 낡은 시설 이용하게함.

  • @TheMuyjk1
    @TheMuyjk13 ай бұрын

    마약이라기보다 마리화나로 표기햐주셔요. 모든 마약으로 착각할수도.

  • @user-qx2bg9dv6i
    @user-qx2bg9dv6i4 ай бұрын

    영주권 시민권 아니면 일단 무조건 STEM 그것도 공대 특히 CS를 해야 취업할 가능성 높음 즉 수학 공학에 약하고 노는것 좋아하는 자녀는 현지취업 실패할 가능성 높음 유학생에게는 학교 네임밸류 랭킹보다 STEM 전공과 도시학교가 훨신 중요함 물론 아이비리그+스탠 MIT의 경우는 다름 각설하고 미래 한국은 출산율로 끝났음 공부할 의지+노력이 있으면 한국 의대보다 미국 유학추천함(물론 돈이있어야함) 한국어만 할수있는 의사보다 영어하는 엔지니어가 미래에 살아남을 가능성 훨씬 높음

  • @user-ii5qx8bs3t
    @user-ii5qx8bs3t3 ай бұрын

    👍👍👍

  • @danieloh0318
    @danieloh03182 ай бұрын

    진짜진짜 힘듭니다

  • @thenit3vision
    @thenit3vision2 ай бұрын

    다 필요없고 무조건 신분만 해결하면 뭐만해도 먹고는 사는 미국임.

  • @caponeenervit9582
    @caponeenervit95823 ай бұрын

    10년 해외 이태리 미국 생활 유학 해서 한국에서 20년 일하다가... 지금 49세이네여..9.11 땜에 비자가 H1 안되서 2년 일하다가 들어왔는데... 지금 글로벌 M&A 인맥 친구들하고 일하고 있네여.. 외국 친구들 20대때 만난게 지금 보석이되서 일 하고 있네여.. 외국 친구들 많이 사귀세여... 평생 갑니다. 성실근면하게.. 화이팅 입니다. 정말 10년동안 죽을고비 많이 넘겼는데..BRONX,HARLEM ... 열심히 고생하면 보답이 되어 돌아오는듯 하네여.. 3개국어도 하고..화이팅 입니다.

  • @dreameroh4819
    @dreameroh48194 ай бұрын

    차없으면 못다니고 거기에 차보험료에 집에서 학교가려해도 25분30분거리가 보통인데 버스노선도 없을뿐더러 여학생같은경우는 위험하고 차가 무조건필요…유학생들은 방을얻는데 방값만700불800불에 생활비에 최소년에1억은 필요할겁니다.

  • @user-lk9cs8jw7e
    @user-lk9cs8jw7e2 ай бұрын

    확고한 목적을 가지고 유학간거면 성공확률 아니 적어도 어느정도 목표를 달성하고 돌아와서 성공을 하거나 거기서 성공할수있지만. 반대로 돈많으신 부모의 야심으로 아무생각없이 아니면 가벼운 마음으로 유학을 갔다면 거의대부분 실패 또는 마약에 쩌들어서 돌아옴.

  • @Anoano1122
    @Anoano11223 ай бұрын

    실패라는 단어를 어디에 붙이는냐에 따라 다르다고 봅니다. " 현지 취업에서의 실패" 라면 동의합니다만, 한가지만 말씀드릴게요. 현지 취업에서는 실패할 수 있으나 "아무리 못해도 한국들어가면 한국 웬만한 애들보다는 잘나간다 " 입니다. 이런영상보고 맞아 유학하면 돈만 다 쓰고 남는것도 없고 이도저도 안될거야 라고 지레 겁먹으시거나 또는 남 유학하는 집 저주하고 싶으신분들은 보세요. 그것도 성격이나 생각에 문제가 있거나 한 사람들이야 어딜가나 뭘해도 안 풀리겠죠. 일반적인 열심히 살려고 하고 노력하는 친구들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유학생들이 한국 지잡대는 말할것도 없고 인서울 중상위보다 잘 풀려요. 걱정말아요.

  • @user-ic7qg8oe9z
    @user-ic7qg8oe9z3 ай бұрын

    여기서 공부 안 하는 애를 유학 보내면 공부하라 생각한 자체가 에러입니다.. 집에서 새는 바가지는 밖에 나가도 새는 법입니다..

  • @Hee-qx2mq
    @Hee-qx2mq3 ай бұрын

    에구 안쓰러우네요 도전은 멋있지만 짧은 인생, 더 짧은 청춘을 바칠만한 가치가 있을까 깊이 생각하고 떠날 길이네요 지구인으로 살만한 다양한 경험과 시야도 필요 하지만 교육이 못따라 가요

  • @user-bd4ns5qm4j
    @user-bd4ns5qm4j3 ай бұрын

    집에서 무제한 서포트할 정도가 아닌데도 유학와서 ESL수업 들어야된다면 유학 안오는게 답입니다.

  • @HelpGod3
    @HelpGod33 ай бұрын

    성공은 소후인 것 같아요.

  • @sanghyupson
    @sanghyupson3 ай бұрын

    썸네일이랑 제목보고 들어왔다가 간만에 고향 사투리 들으면서 영상에 빠져들었습니다 ㅋㅋㅋ 저는 유학와서 신분때문에 돌아가는 사람들을 보고 고민하다가 영주권 지원해주는 대신 일하는 한국회사 들어가서 영주권을 받았습니다. 2~3년의 시간이 더 걸렸지만 신분을 얻은만큼 자유가 생겨서 지금은 나름 잘 정착한거 같습니다.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pr2ld4yz8m
    @user-pr2ld4yz8m4 ай бұрын

    미국 가서 공부한다면 의지의 한국인이 되어 열심히 해야 합니다. 미국 애들보다 뭐가 나은게 있습니까? 이걸 이겨내려면 열심히 하는 길 밖에 없습니다. 방학때 가족들 보고싶다고요? 그 많은 돈 내며 공부하는데 적어도 학업 마칠 때 까지 카카오로 화상 통화하세요. 미국 가서 공부 하다 보면 중국이나 인도 학생들이 많아서 그들과 무한한 경쟁도 해야 하는데 십 수억 인구에서 쪽 집계로 온 학생들을 이기려면 잠을 적게 자고 휴일도 많은 시간 할여 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 한국 학생들은 자기 본인 노력만 하면 세계 어느 나라 학생과 경쟁해도 충분히 이길 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나태하지말고 열심히 도전한다면 우리 한국 학생들은 다 고지를 점령 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3 ай бұрын

    정확하게 보시네요..감사합니다

  • @user-oj9uh9ck3h
    @user-oj9uh9ck3hАй бұрын

    사실 요즘은 중상류층 이상 집안에서 공뷰잘하면 의대나 전문직, 공부 못하면 돈 쳐발라 유학보내죠....사실 지금은 학벌인플래가 심해서 사학재벌과 일가친척이 아니면 딱히 교수되거나 자리얻기도 힘들죠. 원래 미국 명문사립대는 부자집에서 교양차원에서 공부하려는 목적이 많은데.

  • @user-ic3qu5dr2s
    @user-ic3qu5dr2s3 ай бұрын

    대기업 임원도 쉽지 않죠~ 본인 자신이 유학이 간절하지 않고서는 굳이 유학 보낼필요없습니다. 정말 자산가 아닌다음에는 국내에서 가족간에 얼굴 자주보고 사는게 정답일듯 하네요~~ㅎ

  • @user-tc1pi8fz2w
    @user-tc1pi8fz2w2 ай бұрын

    다 필요없고 취업비자때문임. 신분만 해결되면 솔직히 한국학생들 능력이 좋아 죄다 취직 금방함. 그게 안되니..

  • @go4kchipro144
    @go4kchipro1443 ай бұрын

    솔직히 그건 유학생 마음. 유학을 미국에서 취업할려고 가는 사람들만 있는 것이 아님. 그런데 유학가면 대부분 미국에서 취업하고 싶은 것이 정상일 것 같기는 한데 향수병, 개인사정, 진로변경, 한국에서의 기회 등의 이유로 귀국할 수도 있는 것. 중요한 것은 미국에서 취업이 애초에 목표라면 체류신분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방향을 잘잡아야한다 뭐 이정도 뿐이지.. 그리고 미국에서 취업을 고려한다는 것도 물론 경험축적, 이력떄문도 있겠지만 거기서 살 마음이 있으니까 그럴 수도 있고. 뜻이 있으면 길이 있는 것은 맞다고 보여지는데 H1B비자는 복권당첨 뺑뺑이인 것도 팩트임. 그러나 OPT라는 체류신분도 있고..사실 그 기간동안 적성도 알아볼 수 있겠고 미국사회생활이 잘맞는지 여부도 시험해볼 수 있는 기간이기도. 그리고 미국에서도 뜻이 있다면 교수, 학교, 또는 고용주가 도와줄 수 있고 취업관점에서는 사실 결국 고용주맘입니다. 고용주가 어떻게든 고용하고자한다면 보니까 방법은 언제나 있다고 보여지네요.

  • @CaptainSeung

    @CaptainSeung

    3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jwc3104

    @jwc3104

    3 ай бұрын

    유학의 성과물이 금전적인 보상으로 연결되지 않아도 되는 부자집 자제분들은 취업걱정할필요가 없죠.

  • @user-so9cn4ho9e
    @user-so9cn4ho9e4 ай бұрын

    미국유학생활이 정말 힘들구나... 단단히 각오하지 않으면 탈락 하겠구먼.

  • @pwuo4
    @pwuo42 ай бұрын

    학생들이 10년을 벌어도 못 모을 돈을 유학 몇년에 다 쓰고 돌아간다고 해도 부모님들이 어떤 기분일지 알까 싶습니다.

  • @user-ry6jp2br7f
    @user-ry6jp2br7f3 ай бұрын

    문과는 어딜가나 취업 힘들죠.

  • @binlee638
    @binlee638Ай бұрын

    전 15살때 미국 이민가서 시민권자로 살다가 지지난주 24년 생활 정리하고 귀국했습니다 돌아온다고 실패 아니에요

  • @opopjj9557
    @opopjj95574 ай бұрын

    승대위님 넘나 예뻐지심 😊

  • @CaptainSeung

    @CaptainSeung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