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 지배를 유도한 암군 VS 개혁군주, 고종은 대체 어떤 왕이었을까 [역사읽어드립니다 EP.18] | 심용환 작가

Ойындар

#사피엔스 #역사읽어드립니다 #심용환작가
노트 필기 금지, ONLY 재미로 듣기!
교과서엔 없는 역사 TMI가 궁금하다면
사피엔스 오리지널 〈역사읽어드립니다〉 EP.18

Пікірлер: 5 500

  •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3 жыл бұрын

    사피엔스 오리지널 〈역사읽어드립니다〉 전체 회차 보기! ☞ bit.ly/3ooMyW8

  • @xingkey

    @xingkey

    3 жыл бұрын

    영상에 지나친 오류가 있습니다. 박영효는 미우라와 함께 명성황후에게 뇌물 300만원을 제공했다가 거절하자, 을미사변을 계획하고 실행한 인물입니다. 그런 사람을 조선의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뇨. 거기에 김옥균도 후쿠자와 유키치의 제자로 애초에 갑신정변도 일본유학 군인들과 함께 일으킨 정변입니다. 즉, 김옥균, 박영효를 무슨 개혁의 정치세력인냥 평가하고, 대원군을 시대에 덜떨어진 권력을 탐욕하는 사람, 고종을 무능한 군주, 명성황후를 오히려 권력의 실세로 보는 것. 전부 식민사관입니다. 그리고 아래 신문기사를 읽으면 명성황후 까고 싶은 마음이 없어질 것입니다. www.google.com/am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5/10/05/2005100570322.html%3foutputType=amp

  • @xingkey

    @xingkey

    3 жыл бұрын

    @호로티 역시 팩트로는 반박도 못하는 지적수준.

  • @xingkey

    @xingkey

    3 жыл бұрын

    @호로티 심지어 박영효는 친일파 인명사전에 오른 놈인데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다고 하는게 정상이냐? www.n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43

  • @xingkey

    @xingkey

    3 жыл бұрын

    @호로티 애시당초에 갑신정변은 개화당 병력 100명과 일본군 200명으로 한것입니다. 개화당 병력 100명은 일본사관학교 유학생입니다.

  • @xingkey

    @xingkey

    3 жыл бұрын

    @호로티 거기에 김옥균이 도망친 곳도 후쿠자와 유키치 즉 일본 만엔권 주인공의 집이였습니다.

  • @GLAnology
    @GLAnology3 жыл бұрын

    위기속에서 가장 큰 적은 유능한 적군이 아니라 무능한 아군이다. 특히 그가 높은 지휘관일수록 더더욱...

  • @m16xf15k

    @m16xf15k

    3 жыл бұрын

    2차대전 독소전쟁보면 정확히 나오죠. 파죽지세로 밀려나던 소련군은 유능한 장군 추이코프가 게랄라와 시가전을 통해 독일대군의 발을 묶고 스탈린그라드에서 겨울이 올때까지 존버에 성공하고. 주코프과 같이 독일을 포위해서 서쪽으로 밀어내는데 성공하고 반대로 독일은 스탈린그라드를 담당하던 파울루스 장군과 더불어 히틀러와 괴링의 무능 콤보를 더해서 급속도로 전세가 기울죠. 아무리 유능한 장수를 보유해도... 대가리가 정상이 아니면 나라는 무너지는 법

  • @user-gn2wv3mc3o

    @user-gn2wv3mc3o

    3 жыл бұрын

    무뇌 썅놈 = 고종

  • @user-rz9rs3gq8u

    @user-rz9rs3gq8u

    3 жыл бұрын

    고종 왠지 웃을때 훠훠훠 웃을거 같다 하....

  • @user-ni4ib4ig1q

    @user-ni4ib4ig1q

    3 жыл бұрын

    @@user-rz9rs3gq8u ㅋㅋㅋㅋㅋㅋ

  • @user-ud3by1nb7m

    @user-ud3by1nb7m

    3 жыл бұрын

    문재린이생각나네여

  • @soolife1026
    @soolife10263 жыл бұрын

    명성황후라는 드라마가 역사왜곡 지대로했지...나라가 망한건 민씨 일가의 실정이 50%이상의 지분이 있다고 본다.

  • @dr.prometaus

    @dr.prometaus

    3 жыл бұрын

    대원군도 한자리 차지하지 권력에 미쳐서 나라생각 안한건 대원군도 매한가지 둘다 똑같은 쓰레기들

  • @user-sl7jb8xw4m

    @user-sl7jb8xw4m

    3 жыл бұрын

    마누라 관리 못한 남편이 젤루 못한것임

  • @user-jy7vk6ke7e

    @user-jy7vk6ke7e

    3 жыл бұрын

    @@user-sl7jb8xw4m 이말도 맞지... 결국 모든 승인은 왕을 거쳐야하니

  • @LEE.K.H.

    @LEE.K.H.

    3 жыл бұрын

    대원군을 민비랑 동급으로 보는거면 역사공부를 얼마나 안한거냐... 지식수준이 척화비에 멈춘 수준인데..

  • @user-hx2cz5qq8d

    @user-hx2cz5qq8d

    3 жыл бұрын

    대원군이랑 민비는 달라요.

  • @jsa89888
    @jsa898882 жыл бұрын

    왕노릇 하기엔 그릇이 간장종지였지만 왕자리를 유지하려는 욕심은 커서 우유부단 변덕질 심하던 고종이 가장 강력하게 저항한게 자기 퇴위하라고 할때였음

  • @user-gf6jx6nw9y

    @user-gf6jx6nw9y

    Жыл бұрын

    군주 노릇하기엔 그릇이 간장종지였지만, 매국할때의 그릇은 김장용 대야였음.

  • @user-en5df1bf6q

    @user-en5df1bf6q

    9 ай бұрын

    파천 하나는 기가 막히게 하는 왕

  • @ChunSik262

    @ChunSik262

    6 ай бұрын

    @@user-en5df1bf6q영일동맹으로 일본에게 날개를 달아준 왕

  • @bigj.2443
    @bigj.2443 Жыл бұрын

    고종 + 민비. 환상의 콜라보. 나라가 안 망할수가 없음

  • @user-wk5px8nm2n

    @user-wk5px8nm2n

    5 ай бұрын

    고종이 아니라 그때당시 조선은 누가 왕이 되어도 망했을꺼임... 이미 오래된 세도정치로 국가가 거의 망해있었음..

  • @teletzkrize

    @teletzkrize

    Ай бұрын

    +흥선대원군

  • @Blancpapa0
    @Blancpapa03 жыл бұрын

    과제 때문에 고종에 대한 역사 기록들을 하나하나 찾아보다가 진짜 가슴을 쳤다. 무능하고 우유부단 했으며 의지도 노력도 다 그때뿐이었던 인물..

  • @id7550

    @id7550

    3 жыл бұрын

    예를 들면 어떤 부분이 있을까요..?

  • @user-ix9si2ew4r

    @user-ix9si2ew4r

    3 жыл бұрын

    B HK 응 느그.고종이 갑신정변 지지해주겠다고 하다가 나중에 맘 싹 바꿔서 청나라 불러 개혁세력 처부쉼

  • @hyeryunyou1024

    @hyeryunyou1024

    3 жыл бұрын

    이 숙제 잘 하던데! 예술계의 전 지구적 확산이 문화적 식민주의를 야기시켰는가?야기했는가?네 생각은?따라하기 싫어? 누가하래!고종이 나에게 해준말!이다 민중들은 따르도록.끝.,

  • @user-si3zx2yg7s

    @user-si3zx2yg7s

    3 жыл бұрын

    근데 자기가 왕이라면 왕권을 유지하고 싶어하는게 이해되지 않음? 결과론적으로 나라가 망했지만 인간은 이기적인 동물인걸 감안하면 이해됨

  • @hyeryunyou1024

    @hyeryunyou1024

    3 жыл бұрын

    동물적 감각에만 의지하면 이성을 잃기쉽고 이성을 잃은 나라는 망합니다 돌고래를 삼킨 고등어떼가 청색시대를 만나 저 자신이 누군지도 모르는 상황에 빠진 것처럼 그저 또 길잃은 돌고래 한마리를 삼킨걸지도 모르지요

  • @chriskim2958
    @chriskim29583 жыл бұрын

    불통의 대원군, 우유부단의 고종, 탐욕의 민비 3박자가 제대로 만나 조선을 말아먹었구나

  • @laputa663

    @laputa663

    3 жыл бұрын

    붕당정치 시기부터 썩고있었고 정조사후 세도정치기 들어서면서 이미 거의망했음 대원군은 오히려 어떻게든 썩은 사회를 살려보려했던거임 열강들이 개항시키는방법이 괜히 쳐들어가서 무력시위로 시비걸고 조약맺는건데 상식적으로 옳은방법은 아니지 거기다가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묘도 도굴해가려고하고 그래서 척화비 세운거임 전 알면알수록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 @laputa663

    @laputa663

    3 жыл бұрын

    @전과범 맞아여 그게 세도정치고 그걸 뿌리뽑은게 흥선대원군 역사교육이 진짜중요한데 아직도 흥선대원군하면 척화비밖에모르고 명성황후 조선의국모 ㅇㅈㄹ

  • @dailmail

    @dailmail

    3 жыл бұрын

    세도정치로 피폐해진 조선을 그나마 살리려고 애를 쓴 게 대원군이었고 고종이었음

  • @user-go6by9cc1m

    @user-go6by9cc1m

    3 жыл бұрын

    지금보면 적폐로만 보기 어려운게 대원군이면 척화하긴 했지만 고종보다 서구세력의 힘을 알고 있었지만 너무 촉박하게 진행된 과정에 노구의 힘과 세력이 탄력을 못 받음 또한 왕이 아니니 직접 다스리는데 한계도 있었고

  • @jbmax2567

    @jbmax2567

    3 жыл бұрын

    대원군이 권력욕이 많긴했지만 좇같은 세도새끼들 뿌리뽑고 버러지같은 서원 대폭 정리한건 잘한일 대원군도 서양문물에 관심있고 부인도 천주교신자일정도인데 열강들이 조선에 하는짓보니 그당시 유교탈레반이 극에 달할시대니 척화로 가버린거지 물론 무리한 토목공사,권력욕은 상당히 많있다는점은 부정할 수 없다

  • @carlosj8637
    @carlosj8637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고종은 최악의 암군 중에 하나라고 봅니다. 전체적으로 역사적 배경이 암울하기도 했지만, 그나마의 가능성도 본인의 멍청함으로 다 날려버린 군주 같습니다.

  • @user-zp4tg8gx5l

    @user-zp4tg8gx5l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님 결과가 안좋다고 해서 무력한 군주는 아니니깐

  • @user-pm8to7cj5h

    @user-pm8to7cj5h

    Жыл бұрын

    @@user-zp4tg8gx5l결과도 안좋고 과정들도 안좋은건 팩트임

  • @RedFda

    @RedFda

    Жыл бұрын

    @@user-zp4tg8gx5l 늙어가면서 줏대도 사라지고 간신들인지 충신인지 구분도 못하고 일제는 코앞까지 와서 나라 꿀꺽하려하고 대기타고있는데 만민공동회 해산시키고 기껏 한다는 광무개혁은 처음부터 끝까지 나라보단 왕실의 명분채우기가 먼저라고 생각한 인간인데?

  • @rhee2935

    @rhee2935

    Жыл бұрын

    @@user-zp4tg8gx5l 고종과 민비 외척세력들이 나라를 빼앗길 정도로 아작낸건 사실임.

  • @가라

    @가라

    Жыл бұрын

    고종황제랑 이토 히로부미가 만나서 대화했다는 것도 역사서에 있음 고종이 이토한테 밤 늦게까지 일해서 고생이 많다고 위로도 해줬음 을사조약 투표도 본인이 먼저 안건으로 올렸고 그 당시 을사조약 반대한 사람은 왕명을 거슬러서라도 이건 아니지 했던 사람임

  • @eunkyougpark6810
    @eunkyougpark6810 Жыл бұрын

    고종에 대한 평가가 요즘 정말 필요한 시점인 것같아요. 이 영상이야 말로 참신한 내용이고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시원한 내용입니다. 냉철한 분석 공감합니다. 고종이 결과론적으로 보았을 때 잘했다고 볼수없고, 왕의 부인인 민씨가 뒷구멍으로 부정을 저지르는 것을 묵인했던 것은 결정적인 실수였네요. 국가의 인재들이 하나둘 사라질 때마다 피가 마르는 심정이네요

  • @pismomavic9128

    @pismomavic9128

    Жыл бұрын

    원래부터 저평가대상이였어요. 기록 찾아보면 죽을때까지 자기 안위와 이익만 생각했던 인물입니다.

  • @kmh624

    @kmh624

    Жыл бұрын

    민씨 고종은 쓰레기임ㅋㅋ 평가할필요도없음

  • @kimshinwoo9036

    @kimshinwoo9036

    Жыл бұрын

    뒷구멍 ㄷㄷ

  • @user-xk2di8kl3t

    @user-xk2di8kl3t

    10 ай бұрын

    그냥 겁많은 필부죠. 역사 속 대부분의 왕들은 거의 비슷할걸요. 하도 위대하고 비범한 군주들이 부각되어서 그렇지. 평범한 사람이 왕하면 권력욕 집착 강하면서도 겁많고 우유부단할 수 밖에 없죠. 일반 회사에서도 직급 높은 사람들 태반이 그런데 하물며 한 국가의 왕이란 자리에 당시 조선을 생각하면 겁나 무겁고 버거운 그 자리를 제정신으로 견뎌내는건 헬이라고 봐야됩니다. 안타까운건 차라리 왕관의 무게를 견디지 못할바에야 빨리 시대 흐름 읽고 주권을 국민들한테 부여했어야 맞음. 그런데 주기는 또 싫은 어정쩡한 되도 않는 욕심부린게 죄였다고 봐야죠.

  • @domodomo7160

    @domodomo7160

    6 ай бұрын

    @@user-xk2di8kl3t 은근슬쩍 실드 치시네용

  • @24bemoved7
    @24bemoved73 жыл бұрын

    고종 꼭 우리 회사 본부장 같네 뭐든 자기랑 상의하라면서 좋은척하고 큰일 생겨서 보고하면 아 나는 모르는 일이다 알아서 해라 또는 사장님한테 말해라 ㅋㅋㅋㅋ 우유부단한 리더는 최악임

  • @user-zi9hb7su4r

    @user-zi9hb7su4r

    3 жыл бұрын

    책임회피 ㅋㅋ ㅅㅂ

  • @kafei5515

    @kafei5515

    3 жыл бұрын

    이게 다 일제가 만든 잔재들이죠. 식민지를 당하면 이렇게 무서워집니다. 사실 당시 고종이 저런 입장과 태도를 보일 수 밖에는 없었겠죠. 안동김가와 민비외척세력들도 버거운데 대신들까지 일제 앞잡이가 돼서 들이대니...저건 우유부단이 아니죠. 잘못 된 역사이고 판단입니다 역사를 판단할 때 가장 멍청한 짓이 현재의 정보와 입장, 시각에서 보는 것이거든요. 우우부단한 특성이 정착하게 된 건 일제 강점기부터입니다. 일제가 주입한 거에요. 유교 때문이 아니라.

  • @tainkul5092

    @tainkul5092

    3 жыл бұрын

    @@hjp5864 죄다 태종 이방원한테 배운 거죠... 그 역사가 500년이니 한민족들이 보고 배운 게 뭐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원래 유교의 제왕학 자체가 말을 안하는 걸 권유합니다. 우리 어릴 때만 해도 말 많으면 안 좋아했잖아요. 군대에서도 말대꾸 하지 말라고 하고... 말을 안 하는 걸 미덕으로 삼는데, 그 이유는 아랫사람이 감히 윗사람의 심기를 미리 헤아리는 걸 일종의 쿠데타로 여겨서 그렇습니다. 당장 영조만 해도 청나라에서 들여온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는 것이 윗사람의 심기를 헤아리는 불경한 짓이라면서 버렸거든요. 그랬더니 신하들이 성군이라며 칭송~ 아랫사람은 감히 윗사람의 심기를 헤아리면 안되고, 또한 윗사람은 그것을 최대한 이용해 아랫사람을 손바닥 위에 놓고 떡 주무르듯 주무르는 유교 특유의 통치술인 겁니다. 그래서 한국의 아버지들은 자식들에게 뭔가 말을 애매하게 하고, 자신의 진짜 의도를 숨기려고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진짜 의도를 알아서 잘 캐치해서 알아서 잘 하기를 바랍니다. 여기서 동양 특유의 충성 경쟁이 나오게 되죠. 윗사람은 아무말 안하고 있는데 아랫사람들이 알아서 기는 충성... 사도세자가 죽은 이유도 알아서 아버지 심기를 대략 짐작해서 잘 해야 되는데 그러지를 못했거든요. 영조: 자, 여기 왕좌에 한번 앉아봐라.(속마음: 진짜 앉으면 뒈진다) 사도세자: 네, 아버지. 한번 앉아 보겠습니다. 영조: 어라? 이 새끼 봐라? 이러고서 사도세자의 평소 행동 중에 조금이라도 법도에 어긋난 거 있으면 하나하나 지적해서 달달 볶아서 갈구고 괴롭히는 형태. 어디서 많이 본 모습 아닙니까? 학교나 군대에서 마음에 안 드는 후임 왕따 시키고 괴롭히는 한민족 특유의 집단 괴롭힘이 이미 영조와 사도세자에서부터 보여지는 거죠. 따지고보면 사도세자는 군대에서 고참들 괴롭힘에 못 이겨 총기난사하는 그런 짓을 했던 겁니다. 그 시작은 가정에서 아버지와 자식의 관계에서부터 시작이 되어서 학교, 군대, 직장, 선후배 등등의 한민족이 가지는 모든 인간 관계에 확대 적용됩니다. 그야말로 태어나서부터 자식들은 아버지로부터 죽임을 당하지 않기 위해 전전긍긍하게 만드는 굉장히 악랄한 구조가 동양의 유교 체제인 것이죠. 이런 사악하고 야비한 인간 관계의 체제가 전근대 사회에서는 통했을지 모르지만 근대사회에서는 안 통할 수밖에 없는 거죠. 조선이 망한 이유는 여기에 있는 것이고, 고종은 끝까지 이러한 유교 전근대 인간 관계의 질서를 고수하던 암군 중의 암군일 수밖에 없다 하겠습니다. 당장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의 마지막 쇼군이었던 도쿠가와 요시노부와 비교해봐도 고종이 구시대의 기득권에 얼마나 집착한 한심한 인간이었는지 정확히 비교가 됩니다. 한국의 국사책에는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어떠했는지 설명해서 고종과 비교하도록 해줘야 합니다. 언제까지 한민족의 대표적 악폐이자 전근대 사회의 악습인 가부장제 통치술을 옹호하겠다고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비해 한심해도 너무 한심한 인간의 전형인 고종을 미화하는지 알 수 없는 노릇. 한국의 사학계는 국민 앞에 석고대죄로서 반성해야 할 것입니다.

  • @maxred1068

    @maxred1068

    3 жыл бұрын

    @@tainkul5092 박정희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부녀와 문재인 대통령의 리더쉽이 생각나네요. 충성경쟁을 유도하다가 암살을 당한 박정희, 진박, 친박, 비박 등으로 가신그룹과 자신에게 충성을 다하는 정치인들로 당을 채우다가 스캔들로 보수 말아먹은 박근혜, 현재진행형으로 자기는 좋은 사람인척 두루뭉술하게 말하면서 잘못되면 유체이탈 화법을 쓰면서 화내는 문재인까지...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는 탈근대화가 덜 된 것이 아니라 유교적 습속에 물들어서 전근대적인 면모를 못 버리고 근대성을 아직도 확보하지 못한 것에 있지 않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미묘한 인식 차이가 정치권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혐오를 심화시키고 있고요.

  • @user-gg4oh1kq8r

    @user-gg4oh1kq8r

    3 жыл бұрын

    @@maxred1068 좌우를 떠나서 국민들이 이러한 사고를 갖는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 @user-ys8mo8ko2h
    @user-ys8mo8ko2h3 жыл бұрын

    결국은 백성이 아니라 본인이 가장 중요했던 거지

  • @user-gn2wv3mc3o

    @user-gn2wv3mc3o

    3 жыл бұрын

    무뇌 골 빈 저능아 나라뺏긴 개썅놈 = 고종

  • @user-oz1lh3nr2q
    @user-oz1lh3nr2q Жыл бұрын

    역사 진짜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시네요 살면서 여러 역사 강의를 들어왔지만 이렇게 부드러운 강의는 처음

  • @user-db5ew3gs6j
    @user-db5ew3gs6j Жыл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 국민들 중에 고중을 존경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거의 미친 정신세계을 지니고 있는 인간이다

  • @choiyohan
    @choiyohan3 жыл бұрын

    무능한 리더는 아무것도 걸정하지 않고, 아무것도 책임지지 않는다.

  • @user-gm3bg6nm5n

    @user-gm3bg6nm5n

    3 жыл бұрын

    예쓰 문재인

  • @user-tn2oc5hz1d

    @user-tn2oc5hz1d

    3 жыл бұрын

    @@KSA-485 왜구1

  • @user-tn2oc5hz1d

    @user-tn2oc5hz1d

    3 жыл бұрын

    @@user-gm3bg6nm5n 왜구2

  • @user-uw1ek6cm5u

    @user-uw1ek6cm5u

    3 жыл бұрын

    @@user-tn2oc5hz1d 이니 vs 고종

  • @user-fm6ii7bf3u

    @user-fm6ii7bf3u

    3 жыл бұрын

    @@KSA-485 뭔소리야! 문재인씨가 모든걸 결정했구만 원전,페미,중국 차단까지 얼마나 위대한 업적을 이뤄내셨냐

  • @user-sm2sq6ny3j
    @user-sm2sq6ny3j3 жыл бұрын

    우유부단한 상관을 두면 진짜 골치 아픔 어떤일을 할때 위에서 지지를 해줘야 밑에 사람들이 믿고 하는데...

  • @jmsunny1437

    @jmsunny1437

    3 жыл бұрын

    무언갈 결정할 정도의 능력이 없음과 동시에 결정에 대한 책임을 지기싫은거죠

  • @user-tt1pv9sj4h

    @user-tt1pv9sj4h

    Жыл бұрын

    이완용이 나쁜ㅅㄲ는 맞는데 누구보다 나라를 구제하기위해 힘썼던인물이 왜 일본에 나라를 팔아먹는 결정을 했을지 그 과정을 이해할 필요는 있다고 본다

  • @Moonjein

    @Moonjein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오픈 선언 하고 친일하러 갔지

  • @ganadaramabasaajachakata

    @ganadaramabasaajachakata

    4 ай бұрын

    거의 뭐 인조의 환생이네요

  • @user-ou9vj2fi4d
    @user-ou9vj2fi4d Жыл бұрын

    역사공부 재밌고 쉽네요 이렇게 부드럽고 재밌게 세계사 까지 유익하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계속 응원할께요😂

  • @user-yi6zo7cn1h
    @user-yi6zo7cn1h Жыл бұрын

    역사에 대한 바른 인식을 주는 좋은 내용입니다. 배우고 갑니다

  • @user-no1ch8nm4y
    @user-no1ch8nm4y3 жыл бұрын

    고종은 그냥 자기 왕권 지키고 싶었던거 그이상 그이하도 아님

  • @user-sk8en4ts8f

    @user-sk8en4ts8f

    3 жыл бұрын

    왕권이 곧 국가의 안전이라는 유교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죠.. 나라를 지킬 힘도, 신하들을 결집시킬 리더쉽도 없었죠. 게다가 보통은 부왕이 신하들을 조지는걸 옆에서 지켜보면서 신하들을 조지는 감을 익히면서 왕이 될 준비를 해야하는데 고종은 생전에 임금을 한번도 만나보지도 못한 왕위 서열에서 한참 벗어나있던 일개 왕족이었음ㅋ 게다가 이미 순조때부터 왕권이 많이 떨어져서 국정 운영을 못함. 왕조국가에서 왕은 곧 국가이고 왕의 권한이 더 쌔면 국가를 위해서 정치를 하는데, 신하들은 일단 자기 재산과 안위가 우선이라 신하들의 권력이 더 쌔면 나라가 망함. 그게 조선말기의 모습. 왕은 권력이 없으니 신하들과 힘겨루기 하니라 국정운영 못하고, 신하들은 자기들이 힘이 더 쌔니까 왕 무시하면서 재산불리고

  • @h.m.r4184

    @h.m.r4184

    3 жыл бұрын

    걍 이완용이 영웅임. 조선같은 지옥에서 2000만 동포 해방시킴. 미국 지하철 타고 물리학할때, 조선은 가마타고 성리학 배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RR-uy7kl

    @RR-uy7kl

    3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멍청한거죠 ... 왕은 유지해주고 조선은 인정 안된다는게 뭐임... 왕은 인정하는데... 국가인 조선은 일본에 복속된다 ... 이얘기만 있는게 아니라.. 조선이 복속이 되면 왕이 무슨 필요가 있음? 지금까지 고종도 봐왔을텐데.. 제국주의 만행을 ... 조선이란 둘레나 귀속된 백성을 다스리지 못할것이 뻔한데 .. 허울뿐인 왕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 라고 받아 들려야 되는건데 ... 결론은 왕권을 지키지 못할게 불보듯 뻔하다 ... 실권없는 왕이 무슨 왕임 ...

  • @8makes1octopus81

    @8makes1octopus81

    2 жыл бұрын

    뭐래ㅋㅋ 그래도 이완용을 올려칠건 아니지

  • @user-jt2yy3uy8x

    @user-jt2yy3uy8x

    2 жыл бұрын

    @@h.m.r4184 이완용 자손이냐? 아니면 일본인이냐? ㅋㅋ 나라 팔아먹은 이완용이 영웅이라고? 개혁도 정도를 지켜가며 해야지. 나라 팔아먹고 자기 잇속 챙긴 이완용을 영웅이라고 하는 거 보면 니 사상도 뻔하다.

  • @user-ph1sc2jl3p
    @user-ph1sc2jl3p3 жыл бұрын

    이번에 뮤지컬 명성황후로 민비 미화하는거 진짜 화딱지난다.

  • @user-ur4jb2kl6k

    @user-ur4jb2kl6k

    3 жыл бұрын

    @@classy.j4669 쇄국 정책을 펼치던 구석기 나라였고 옆 섬 나라는 제국 주의로 주변 국들 침공 하려던 나라였는데 희대의 쓰레기라곤 볼 수 없음. 더군다나 내정과 국력을 키웠어야 했음에도 민비 국썅년이 민가에 모든 자본을 끌어와, 축적해댔고 그로 인해 국방에 투자할 돈도 없게 됐고. 백성은 굶어 죽고 핍박 받고 그냥 민비랑 고종이 존나 개 쓰레기 였던거

  • @jaywhan6129

    @jaywhan6129

    3 жыл бұрын

    @@classy.j4669 대원군이 주도했고 조선내에서는 왕비를 죽일수 있는 사람이 없어서 일본인을 고용했습니다. 일본낭인이 지맘대로 한게 아니고 대원군이 나라를 망치는 악녀를 처단하려한다 라는 출사표를 내고 민비를 친겁니다. 그렇지만 민씨일파를 방치하고 매관매직으로 들어온 돈으로 호의호식한 병신같은 왕이고 결국 망국의 가장 큰 책임은 고종이라 봅니다.

  • @KSST-111

    @KSST-111

    3 жыл бұрын

    @@classy.j4669 죽을만한 인간 맞는데?

  • @h.m.r4184

    @h.m.r4184

    3 жыл бұрын

    그냥 조선 자체가 미화예요 ㅋㅋㅋ. 조선 자체가 그냥 지옥임. 이완용은 영웅임

  • @jaywhan6129

    @jaywhan6129

    3 жыл бұрын

    @@h.m.r4184 나라팔아먹은 매국노 고종의 앞잡이였고 일본에도 붙어먹어서 호의 호식 했는놈인데 영웅일수는 없죠

  • @nanaminasai2220
    @nanaminasai2220 Жыл бұрын

    심작가님 설명이 아주 유익하고재밌음

  • @user-td9sp2rp3j
    @user-td9sp2rp3j Жыл бұрын

    정말 역사를 다시 한 번 제대로 알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worrose12345
    @worrose123453 жыл бұрын

    고종은 나라를 살리려했다기보다는 왕조를 살리려했다는 표현이 정확한거 같습니다. 정치적으로 매우 특화된 군주임을 여러면에서 많이 보이죠.

  • @user-db7yx7gy4w

    @user-db7yx7gy4w

    2 жыл бұрын

    그렇죠..고종뿐이 아니라 조선시대왕들은 나라 백성보단 그들의 종묘사직을 지키는게 최우선과제이었죠.. 외세에 속국 피보호국이 되어도 그게 최우선...

  • @koreailoveyou

    @koreailoveyou

    2 жыл бұрын

    정치적으로 특화되지도 않았습니다.. 처가 식구들에게 나라의 흥망을 맡겨버렸거든요 나랏돈으로 서양 문물 등 본인 취미생활 즐기는 것만 잘하지.. 부패에 시달리다 못해 들고 일어선 백성들을 외세의 힘으로 학살한 민족의 배신자입니다 전주 이씨로서 감히 말하건대 고종은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습니다

  • @user-lj2zq4gx2n

    @user-lj2zq4gx2n

    2 жыл бұрын

    @@user-db7yx7gy4w 진짜 모르시고 말하시네요. 중간에 껴서 외교적수익을 얻는 중립적 외교를 하려는거지, 단순 권력욕이 아닙니다.

  • @crouchingstone

    @crouchingstone

    2 жыл бұрын

    @@user-lj2zq4gx2n 정말로 중립외교를 통해서 뭔가를 쟁취하려 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 @jh01120

    @jh01120

    2 жыл бұрын

    외교적 이득을 위한거였으면 동학농민운동때 청을부르지 말았어야지..

  • @user-gg5yc2re7s
    @user-gg5yc2re7s3 жыл бұрын

    이거지 내가 한국사 공부하면서 느낀 고종에 대한 아리송한 느낌이 진짜였네

  • @watermellon3

    @watermellon3

    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공교육은 스피치하는 주체 자체가 국가이다보니... 국가중심적인 역사관을 가르침...진실은 숨기고 국뽕유도..

  • @ddd-yu5nh

    @ddd-yu5nh

    2 жыл бұрын

    @@watermellon3 그러기에는 이승만 존나 때리잖음 뭐 북한 침략으로 학살난것도 전부 이승만 탓이래 ㅋㅋㅋ 좌빨국뽕사학관이 문제지

  • @user-co1gv4ze6u

    @user-co1gv4ze6u

    2 жыл бұрын

    @@watermellon3 그동안 한국이 역사왜곡해왔던게 이제야 정상적이게 되는거죠 뭐ㅎㅎ

  • @user-jw2ir6uw3z
    @user-jw2ir6uw3z Жыл бұрын

    심용환 작가님 최고의 역사 강의.

  • @AHN-qc1hb
    @AHN-qc1hb7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재밌네요 ㅎ 시간순삭이라 남은 시간 많이 남았길 하면서 봤습니다 ㅋㅋ

  • @jm-px3mr
    @jm-px3mr3 жыл бұрын

    이제 우리나라도 공개적으로 국사를 비판할 수 있는 위치에 다다랐네. 앞으로도 객관적인 비판을 견지할 수 있기를

  • @user-fg1fe9pl5t

    @user-fg1fe9pl5t

    3 жыл бұрын

    이런말 하면 아직도 친일파로 몰리는데 현실임 ㅋㅋ 자존심 없는 사람들일 수록 자기객관화가 부족해

  • @4nysym

    @4nysym

    2 жыл бұрын

    응 국사 비판하면 특별법 규제법 방지법으로 바로 범법자 됨..

  • @user-sl1mg9co4x

    @user-sl1mg9co4x

    2 жыл бұрын

    @@user-fg1fe9pl5t 이게 ㄹㅇ임.. 프랑스 사람이 독일이 프랑스 침략했다고 반독 감정 갖도있나? 인도가 영국에 식민지 지배당해서 반영 감정을 가지고 있나? 과거는 양육강식의 세계였음. 우리나라 사람들이 당한짓은 매우 슬프고 있어선 안되는 일이지만 현대처럼 인권의 의식과 아직 국제법이 제대로 있지 않았던 시대에 누가 누구한테 당했다고 그걸 지금 세대의 사람에게 계속 반일 감정 주입시키는게 정상적이라 생각되지 않음. 강한자가 약한자를 지배하는건 지구의 역사에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였는가?그저 국민들 세뇌 시켜서 국뽕반일을 내세우며 투표 얻을 생각인 정치인들이 계획임.

  • @user-lf7uw4fz7x

    @user-lf7uw4fz7x

    2 жыл бұрын

    비판에서 끝나지 말고 타산지석으로 삼기를

  • @ncknm1983

    @ncknm1983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우리나라는 역사로 합리적 대화를 못 나눈다니까 ㅋㅋㅋ 2000년대 초 - 광우뻥때까지 반미하는 광기가 생각나네... 그땐 그냥 일본에 대해 무지성으로 욕 안하면 매국노보듯 했는데.(노재팬이니 뭐니 지랄하며 최근까지 진행형이지만)아직 좀 객관화가 덜 된게 일본 30년 식민지 vs 1000년 이상 중국 시다바리 및 포주노릇한것도 좀 객관적으로 살펴서 혐일만 할게 아니라 좀 혐중도 해야함. 난 개인적으로 중국놈들이 더했으면 더했지 일본보다 미화될 존재는 절대 아니라고 봄

  • @user-qf6te4yj2o
    @user-qf6te4yj2o3 жыл бұрын

    일례로, 대한제국 1년 예산의 30%이상의 돈을 '현대식 해군 함대'구입하는데 써버리고,(그나마도 일본한테 중고로....) 근데 또 막상 사놓고는 그 흔한 함포 하나 제대로 구비도 안해놓고, 기껏 한다는게 "서양식 선상 레스토랑"만들어서 그 위에서 한껏 놀아보겠다고 군함을 행사용 배인양 화려하게 치장하고, 식기류 가져다 놓는데 또 엄청난 돈을 써버렸지.. 근데 또 더더욱 웃기는게 그조차도 몇번 거의 써보지도 못함. 진짜 한심한 왕, 한심한 나라.. 광무개혁이랍시고 한거라곤 결국 자기 '황제'이름 붙인것 밖에 없음.

  • @22onlyone

    @22onlyone

    3 жыл бұрын

    무슨 고종때 손원일 제독이 임명이 됨??????

  • @myeloid8910

    @myeloid8910

    3 жыл бұрын

    @@park6126 Fact 손원일 제독은 1909년 생이며 해방 전 상선사관 신분이셨고 해방후 1945년 해방병단을 창설 하고 미군정의 남조선해안경비대와 합쳐 조선해안경비대 총사령관에 임명. 이후 조선해안경비대를 모체로 하는 대한민국 해군이 1948년에 창설되면서 대한민국 초대 해군참모총장이 되신 분이다. 오늘의 교훈: 잘 모르면 나대지 말자

  • @ryannolan8012

    @ryannolan8012

    3 жыл бұрын

    @@park6126 ???????

  • @JH-ek5bn

    @JH-ek5bn

    3 жыл бұрын

    당연하지 제대로 훈련하기도 전에 러일전쟁터졌으니 장비만 새삥이면 그렇게 보이는거

  • @Dubujangsa

    @Dubujangsa

    3 жыл бұрын

    말이 황제지 그당시 국제무대에서 황제국가 라고 선포했다가 다른 국가들한태 비웃음만 받음 프랑스 제국 프랑스 왕국: 나폴레옹 황제 직할령 나폴리 왕국(현재의 이탈리아) 스페인 왕국 네덜란드 왕국 스웨덴 왕국 왕이 배신함. 이런식으로 해야되는데 멍청한 고종은 대한 제국 조선 왕국(경기도 + 황해도): 고종 황제 직할령 백제 왕국(충청도 + 전라도 + 제주도) 신라 왕국(경상도 + 강원도) 태봉 왕국(평안도 + 함경도) 이런식으로도 못하고 그냥 조선자체를 황제국으로 선포 지나가는 개도 웃을일임

  • @user-td9sp2rp3j
    @user-td9sp2rp3j7 ай бұрын

    최고다 심작가님 감사해요

  • @user-tm3wu3tn3m
    @user-tm3wu3tn3m Жыл бұрын

    올바른 사관을 가르치는 채널도 있다는게 신기하네요~~

  • @yjonwiths3682

    @yjonwiths3682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 @moon-ddorai

    @moon-ddorai

    Жыл бұрын

    ㄹㅇ..

  • @user-br5dv1zu5t
    @user-br5dv1zu5t3 жыл бұрын

    제일 문제가 사실 민씨 일가의 국고를 이용한 사치와 고종의 병크였지... 을사5적을 만든것도 원인을 따지면 결국 개혁정책의 실패이고 실패한 이유가 고종과 민씨일가 때문이니까... 고종은 여러가지로 결함이 많은 사람...

  • @pjy627

    @pjy627

    3 жыл бұрын

    명성황후라고 부를때 마다 토나오려고해요ㅡㅡ흥선대원군이 안동김씨의 폐해를 보고 외척을 경계하기위해 고른것이 민씨인데 역시 피는 못속인다는걸 민씨를 보고 알았죠 어른말씀 하나 틀린게 없다는것이 결혼할때 집안을 왜따지는지 뒤늦게 알겠더라고요

  • @user-od1nt9zl3z

    @user-od1nt9zl3z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흥선이가 안동김씨 재산 몰수해 오랑케에 뺏겼나 아님 임금과 같이 상납했는지 궁금합니다 강탈한 재산으로 신무기 구입 했으면 나라는 지킬수도 아쉬운 마음이!!!!!!!!!지나간 역사지만 그랬으면 오늘날 친일반일 논쟁도 없을텐데!!!!!!!!나라의 흥망은 어떤군주냐 아닌가요!

  • @graycain

    @graycain

    2 жыл бұрын

    @aaweeerrrtt t 많지는 않고 일부. 그리고 그것도 황실 경비용. 국방력 강화 따윈 관심도 없었음. 오로지 자신의 안위 밖에 관심이 없었음. 백성이 죽든 말든. 그러다 막판에 자신의 안위가 위험해 지니까 헤이그 특사니 뭐니 해서 벼락치기 한거.

  •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2 жыл бұрын

    @@pjy627 흥선대원군 또한 왕이 아니고 정권을 잡으면 안되는 꼰대일뿐입니다 서태후가 아들을 꼭두각시로 세우고 권력잡은거나 똑같은것이죠 외척만 문제가 아니라 왕의 애비가 불법으로 권력으로 잡고 휘두르는것도 세도정치입니다 안동김씨 풍양조씨 여흥민씨보다 더 심한게 흥선대원군이죠 불법화폐 청전을 합법유통시키고 경제파탄을 낸게 흥선대원군이죠 흥선대원군 최악의 쓰레기입니다

  • @user-cm6wh4os2m

    @user-cm6wh4os2m

    2 жыл бұрын

    갑신정변 일으키자마자,,고종을 페하고 민비 죽이고 다른 왕을 세웠어야 했어요,,,

  • @Dubujangsa
    @Dubujangsa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민비를 관리 못한거 자체만으로도 고종은 암군이라는 증거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짱구 극장판에서 명치때리는 대사가 생각나내 '인생이란 원래 자기 생각대로 되지 않는 법이란다'

  • @user-xr9pt3ct8e

    @user-xr9pt3ct8e

    3 жыл бұрын

    씹인정 근데 명성왕후 드라마 덕분에 원래 희대의 악녀 그자체인데 존나게 포장되어서는 ...

  • @rhduddls1

    @rhduddls1

    3 жыл бұрын

    @@user-xr9pt3ct8e 인정. 페미니즘이 지배하는 대한민국이라 울어본 암탉인 민비 오지게 찬양하는 이상한 민족. 현실은 러시아나 청에 나라 바치려한 암군

  • @user-iz9vh7th4u

    @user-iz9vh7th4u

    3 жыл бұрын

    @@rhduddls1 진짜 페미 후두러 찌르고 태워주신 위대한 갓본성님 존경합니다

  • @user-xr9pt3ct8e

    @user-xr9pt3ct8e

    3 жыл бұрын

    @@user-hb2ul6lt2f 민비 뿐만 아니라 민비네 가문 자체가 나라 썩게 만든 개놈들임 애네가 쓰는 예산이 조선이 나라 운영에 쓰는 1년예산보다 훨씬 컸었음 얼마나 사치가 심했는지 보여주는 사례임

  • @user-iy8no2bs4x

    @user-iy8no2bs4x

    3 жыл бұрын

    @@user-xr9pt3ct8e 민비네 가문은 지금 소유한것도 밝혀진것만 조단위 넘는 땅부자임ㅋㅋㅋㅋㅋ 밝혀진게 이 정도니 10조 진짜 찍을지도 모름. ㄹㅇ 친일파들이 해먹은건 민비 가문 새발의 피였음ㅋㅋ

  • @Petrolhead-ll1cb
    @Petrolhead-ll1cbАй бұрын

    고종의 세계관에서 조선이라는 나라는 본인의 소유물이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하는 시민국가 개념과는 완전 다른 관점인거 같내요. 결국에는 본인이 가진 조선이라는 물건을 통제로 넘기고 조선왕가는 일본의 왕공족 편하게 살았으니 참...

  • @NiceBoaT_98
    @NiceBoaT_98 Жыл бұрын

    박영효의 흑화과정도 참 재밌습니다.. 이번 이야기랑 결합시키니 더 재밌네요

  • @big_2440
    @big_24403 жыл бұрын

    고종 한마디로 요약 : 소인배

  • @dhkim5609

    @dhkim5609

    2 жыл бұрын

    매국노

  • @user-ju4nm3ko8o

    @user-ju4nm3ko8o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pb8qd5kk2d

    @user-pb8qd5kk2d

    2 жыл бұрын

    고종 한마디로 요약: ㅂㅅ

  • @user-ic3sv1sl2o

    @user-ic3sv1sl2o

    2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겐 자신의 선조들과 아버지께서 물려주신 나라와 자신의 백성들을 등지고 딴 나라로 도망간 무책임한 임금이죠

  • @user-hy8ii5sg4q

    @user-hy8ii5sg4q

    2 жыл бұрын

    근대 다른왕이였다면 어땠을까?

  • @aprivatelibrary2700
    @aprivatelibrary27003 жыл бұрын

    고종은 그냥 왕이라는 자리에 계속 있고 싶었던 것일뿐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님.

  • @mseiksby4541

    @mseiksby4541

    3 жыл бұрын

    그냥 비겁한 일반인임 두뇌는 평타 이상 치는 것 같은데 결정적인 순간에 비겁하게 숨거나 뒤통수쳤던게 결정적. 국왕 깜이 아니었던거지 그냥 일반 군수나 이장 까지는 그럭저럭 해먹었을 양반인데

  • @parkh5488

    @parkh5488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문재인같은 느낌이네 비서실장까진 좋아도 대통령하기엔

  • @bestick9587

    @bestick9587

    3 жыл бұрын

    @@user-pn4wg7hd2d ㄹㅇ 그냥 다 까는사람이였네요ㅋㅋㅋ

  • @user-fr5ny2lr9q

    @user-fr5ny2lr9q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너검마같은 사람 아닐까 🤔

  • @Flow-yn1bg

    @Flow-yn1bg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응 ㅋ 북한에 한몸 바치는거랑 똑같네 ㅋㅋ 문재인 개새끼 맞구요

  • @ALZZIM
    @ALZZIM11 ай бұрын

    많이 배웠습니다

  • @user-vh7nz6xn5r
    @user-vh7nz6xn5r2 жыл бұрын

    저 유약한 고종을 미스터선샤인에서는 나름 멋지게? 표현해주신거 같아요

  • @user-zr5lg7ih4j
    @user-zr5lg7ih4j3 жыл бұрын

    역사인강 같은것들을 보면 누군 고종에 있어서 되게 호의적으로 표현하고 누군 되게 적대적으로 표현하는데 고종이라는 사람 자체를 설명해 주시니까 이해가 잘 되네요. 정말 필요한 영상이었어요. 이번 시험 범위기도하고,,,,

  • @stiensgate8048

    @stiensgate8048

    Жыл бұрын

    고종 칭찬하는 놈들은 걍 일본이 싫어서 고종을 올려치는거지 자국민한테도 지지받지 못해서 각지에서 반란 일어나고 또 반란 막는다고 외국군대로 탄압하고 그게 구실이 돼서 나라까지 뺐긴 인간임 사실 따지고 보면 빼앗긴것도 아님 걍 나라를 팔아먹은거지

  • @discover_your_thing
    @discover_your_thing2 жыл бұрын

    기존의 알고있던 상념을 뒤집는 너무좋은내용입니다! 영상 중간중간출처가 잠깐잠깐보이네요! 역사를 재해석하는과정에서는 출처가 매우중요한것같습니다 그래서 혹시 전체적인 출처를 좀알수있을까요?ㅜㅠ

  • @busseyde2996
    @busseyde2996 Жыл бұрын

    생각의 틀을 깨는게 참 힘든거죠. 제일 높은 자리가 눈앞에 뚝떨어진 고종이란 사람은 어찌보면 알아왔던 왕이란 개념앞에 매몰된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 @fksksfhsus3422
    @fksksfhsus3422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보고 고종 사진보면 레알 귓방망이 날리고 싶음

  • @lee-ne2in
    @lee-ne2in3 жыл бұрын

    사람의 진가는 위기에서 나온다. 정말 공감합니다. 평상시에는 다 사람좋게보여도 뭔 어려운 일이나 큰일 닥치면 어떻게든 자기한테 피해1도 안 보려고하고 이익 챙기려는 사람들이 대부분.

  • @juk3028
    @juk3028 Жыл бұрын

    설민석 황현필 말고 이런 분이 자주 나와야지

  • @ghwnsha

    @ghwnsha

    3 ай бұрын

    미국이 625 전쟁을 일으켰다는 황씨 ㅋㅋ

  • @user-hv8ld6fw9w
    @user-hv8ld6fw9w9 ай бұрын

    국권을 지키려고 했다면 잘못된 판단 같다. 국권이라기 보다는 왕권에 집착한 속좁고 무능한 군주 이죠

  • @user-go6by9cc1m
    @user-go6by9cc1m3 жыл бұрын

    이미... 임진왜란 이후 조선통신사에 왜경, 교토를 방문하면 그 번화함에 압도 되고서도 변화가 없었던 시점에서 안습시작이었음

  • @user-bc8dq2uc1w

    @user-bc8dq2uc1w

    3 жыл бұрын

    당시는 일본보다 청나라가 더 번화하고 번쩍번쩍 하던 시기죠. 청나라 베이징을 사신이가서 봤어도 무시하던 조선이 일본은 뭐..

  • @dal22

    @dal22

    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 이전부터, 인조 자체가 문제왕이었죠. 효종도 나름 괜찮았지만 개인적으로 소현세자가 왕위에 올랐다면 현재보다 우리의 삶이 변화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 @user-zk3mb5cn7o

    @user-zk3mb5cn7o

    3 жыл бұрын

    @@user-bc8dq2uc1w 1764년 조선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김인겸의 일동장유가 한번 보세요. 1764년 1월 오사카 100만채는 정도는 될 듯한 집의 모두는 “기와 지붕”이다. 굉장하다. 오사카의 부호의 집은「조선의 최대의 대저택」의 10배 이상의 크기로, 구리 지붕에,내부는 황금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 사치스러움은 비정상이다.도시의 크기는 40 km 이며, 그 모두가 번영하고 있다.믿을 수 없다.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낙원이란, 사실은 오사카 였다. 세상에, 이와 같이 훌륭한 도시가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서울의 번화가의 10000배의 발전이다. 북경을 본 통역이 통신사도 있지만 북경의 번영도 오사카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말한다. 더럽고 어리석은 피를 가진 짐승과 같은 왜놈이 중화주의 시대에, 이 토지에 왔다. 그리고 2000년 간, 평화롭게 번영해, 하나의 천황가를 존속시키고 있다. 한심스럽고, 원망스럽다. 1764년 1월 28일 교토 거리의 번영이 오사카에는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천황이 사는 도시이며, 매우 사치스러운 도시다. 산의 모습은 용장, 강은 평야를 둘러싸 흘러 비옥한 농지가 무한하게 퍼지고 있다. 이 풍부한 낙원을 왜인이 소유하고 있다. 분하고 분하다! 이 개와 같은 왜인을 모두 소탕 하고 싶다. 이 토지를 조선의 영토로 하고, 조선왕의 덕으로 예절의 나라로 만들고 싶다. 1764년 2월 3일 나고야 거리의 번영, 아름다움은 오사카와 같다. 굉장하다. 자연의 아름다움, 인구가 많음, 토지의 풍부함, 가옥의 사치스러움…이 여행의 최고다. 난징에도 없는 풍경이다.조선의 수도도 훌륭하지만, 나고야와 비교하면, 매우 처량하다. 사람들의 아름다움도 최고다. 특히 여성이 너무 아름답다. 나고야 미인이 길을 가는 우리를 바라본다. 우리 일행은 나고야 미인을 한명이라도 놓칠새라 고개를 좌우로 필사적으로 돌린다. 1764년 2월 16일 도쿄 좌측에는 집이 늘어서, 우측에는 바다가 퍼져 있다. 산은 전혀 보이지 않고, 비옥한 토지가 무한하게 퍼지고 있다.누각이나 저택의 사치스러움, , 사람들의 활기차, 남녀의 화려함, 성벽의 아름다움, 다리나 배….모두가 오사카나 쿄토에서 삼배는 우수하다. 이 훌륭함을 문장으로 표현하는 일은, 나의 재능으로는 불가능하다. 여성의 아름다움과 화려함은 나고야와 같다.

  • @user-dz6kj4me7y

    @user-dz6kj4me7y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역사에서 박정희를 능가하는 지도자가 있었나? 세종조차도 한글을 제외하곤 그에 비할바가 아니었다.

  • @user-bc8dq2uc1w

    @user-bc8dq2uc1w

    3 жыл бұрын

    @@user-zk3mb5cn7o 일단 일동장유가는 4책 8000구로 현재로 따지면 500페이지 책 분량의 장편시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전문을 다 본 사람은 0.00001퍼센트도 되지 않죠. 당신이 보여준 해석이 사실인가 여부부터 의심이 가네요. 어디 조선중후기 시조를 전공하신 사람이신가요? 한때 인조이재팬에서 일동장유가를 지멋대로 해석해서 난리핀적이 있어서 그 일뽕 해석을 그대로 가져온거 아닌가 의심이 들고요. 당대에 청나라는 강희제 옹정제가 황제였던 전성기로 그야말로 천하를 지배했던 나라였습니다. 역대 중국왕조중에 가장 부강한 나라에요. 그 위엄쩌는 청나라 수도 베이징보다 교토가 더 화려했다? ㅋㅋㅋ 저는 이해가 안가네요. 일뽕으로 밖에 안보여요. 역사를 아신다면 당시 도쿠가와 막부 시절 일본보다 청나라가 훨씬 발달하고 화려했던 나라였던건 아실텐데 베이징보다 교토가 더 대단하다라니 ㅋㅋ 그 몽골의 원나라 보다 더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동아시아를 그야말로 전부 차지했다고 봐도 무방한 청나라의 수도 베이징은 당대 서유럽 도시보다 훨씬 많은 인구에 더 많은 사치품이 유입되던 도시에요. 유럽에서 은을 신대륙에서 수탈해와서 중국의 도자기 비단등 사치품을 수입하느라 그 은을 다 쓸 정도였구요. 그때는 유럽도 중국풍이 유행할 정도로 귀족 왕족들 죄다 청나라 사치품 수입하고 청나라 물건이면 명품취급받고 난리던 시기였습니다.

  • @Latin_in_Seoul
    @Latin_in_Seoul3 жыл бұрын

    결국 나라가 아니라 자신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 수족을 다 잘라내고 고사.

  • @MSN38S

    @MSN38S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일본한테 배울건 배우는게 맞지만 님이 말하는거처럼 이유없는 반일은 아님 그렇게 따지면 일본내 혐한,반한 비중이 월등히 높은데 거기엔 왜 찍소리못함? 그리고 조목조목따지고 보면 순간적 선택의 차이와 시기일뿐이지 메이지유신 전까지만해도 일본의 서양배척과 탄압의 강도는 조선의 그이상도 이하도 아니였음

  • @MSN38S

    @MSN38S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일본역사교과서 다시 공부하세요 에도시대 규슈를 중심으로 힘약한 지방호족들이 서양문물을 몰래 대거받아들이면서 몰래교류했던거고 거기에 중앙정부는 수차례 경고했었고 지방호족들이 반발하니까 당시 포르투갈 선교사 수백명과 수천명의 지방호족들을 처형시켰다고 기술되어있어요

  • @pnbt3895

    @pnbt3895

    3 жыл бұрын

    페리에 의한 개항과 메이지유신 이전에도 포르투갈 선교사+상인들로부터 기술을 받아들였고 덴푸라나 신식 조총 등도 이때 서양의 영향을 받아 퍼진거죠. 이후 지방 호족 견제와 기독교 탄압을 위해 포르투갈 상인,선교사들과의 교류가 금지가 되었을때도 포교의 목적이 없는 화란 상인, 즉 네덜란드와는 어느정도 교류가 있었던것으로 압니다. 중앙정부만이 직접 교류해 이전보다 자유롭지 못하긴 했지만요.

  • @user-xe3eq7hj5e
    @user-xe3eq7hj5e Жыл бұрын

    역사는 흐른다~

  • @nannedname
    @nannedname Жыл бұрын

    역사는 미래를 보는 거울이라고 하죠...

  • @Unwe8205
    @Unwe82053 жыл бұрын

    와...이번편 너무재밌는데요...!! 설명 진짜 기가막히게 재밌어요

  • @bobokim1911
    @bobokim19112 жыл бұрын

    항상 선악, 이분법적으로 배웠던 국사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user-vr3vc8xx8b

    @user-vr3vc8xx8b

    2 жыл бұрын

    ㄹㅇ 신화도 아니고 학교, 미디어에서 왜 다들 역사를 선악개념으로 가르치시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 @hantallica

    @hantallica

    Жыл бұрын

    @@user-vr3vc8xx8b 정치적인 의도가 있는거죠 뭐. 일본이라는 거대한 악을 만들어 내기위해는 조선을 미화할수밖에 없죠.

  • @fuckingcurry5996

    @fuckingcurry5996

    Жыл бұрын

    @@hantallica 한국사라는 과목 자체가 다 좋은면만 부각시키니 어릴때 배우는 입장에서는 사실상 선동당하는 거마냥 국뽕이 주입되서 좀 바꿔야 된다고 생각해요 시험도 굳이 한국사가 아닌 역사 전체를 공부하는 역사 과목이 되어야 하는데 말이죠 오히려 경영쪽으로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 @user-xz9pn1is1d

    @user-xz9pn1is1d

    Жыл бұрын

    @@user-vr3vc8xx8b 민족주의가 강행했던시절의 잔재들입니다. 분노와 증오로 유도하는 파시즘이야말로 흩어지지않고 똘똘 뭉칠 약재니까요. 나치시절 18살짜리 독일의 어린병사들이 징용됐을당시 뭘알고 전쟁에 참여했을까여??

  • @kaps92a95

    @kaps92a95

    Жыл бұрын

    ​@@fuckingcurry5996 세계사를 배우면 국사가 국뽕섞인 소설이라는걸 깨달음

  • @wool-sn5zg
    @wool-sn5zg Жыл бұрын

    이 선생님 진짜 알기 쉽게 설명 너무 잘해주심👍👍

  • @lcmpark
    @lcmpark2 жыл бұрын

    5:41 ㅠㅠ

  • @martinaston9233
    @martinaston92333 жыл бұрын

    얼마나 사람이 좋았던지 아관파천 때 편안히 있으면서 외세에 한반도에 남아있던 천연자원 다 퍼줬지

  • @eejsks

    @eejsks

    3 жыл бұрын

    옛날에한반도에자원이많았다는데사실인가요?

  • @eejsks

    @eejsks

    3 жыл бұрын

    @@user-tt3hm3sz2x ㅠ

  • @moonshock2683

    @moonshock2683

    3 жыл бұрын

    금광이 몇군데 있어서 금은 좀 있었는데 일제랑 미국인이 다 퍼감

  • @user-gr9eh5jt2c

    @user-gr9eh5jt2c

    3 жыл бұрын

    @@user-tt3hm3sz2x 아시아 2위권금광, 1위권 탄광은 자원이 아닌가봅다

  • @kekejake8813

    @kekejake8813

    3 жыл бұрын

    @@user-tt3hm3sz2x당시 석유는 개발초기로 가정용에서 등불밝히는 용도 수준이었음. 지금 생각하는 석유의 자원 의존도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고. 아관파천 당시는 우리나라에 흰 석영맥 금광이 많았는데 그 금광 미국 영국 독일 일본에서 다 퍼가고. 러시아는 압록강 일대. 울릉도 나무까지 쓸어감. 천연자원 퍼간게 구라라는건 님 뇌피셜임.

  • @user-dj3oh4ix3y
    @user-dj3oh4ix3y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js2pn7vl3g
    @user-js2pn7vl3g Жыл бұрын

    우리 역사에 최고의 치욕적인 왕 두번다시 대한민국 땅에서 고종 같은 인간이 나오면 안됨

  • @P40WarHawk
    @P40WarHawk Жыл бұрын

    정신나간 왕비 + 아무 생각 없는 왕 = 망국 ... 어?

  • @user-ks8dp8qo4h
    @user-ks8dp8qo4h3 жыл бұрын

    고종이라는 왕의 자리를 지키려고 아내 민씨 일가족이 부정부패저질러도 눈을 감아준것 같습니다

  • @user-rax146

    @user-rax146

    2 жыл бұрын

    그런면이 다분해요

  • @leeseungwook7093
    @leeseungwook70933 жыл бұрын

    항상 많이 배우고 재미있게 잘 보고갑니다~

  • @user-or8sm5rv9i
    @user-or8sm5rv9i8 ай бұрын

    조선사 최악의 문제 중 하나는 이딴 허접수레기가 왕의 자리에 그렇게 오래 앉아 있었다는 점...

  • @user-yz2fw2eu6j
    @user-yz2fw2eu6j3 жыл бұрын

    강의 시원 시원 하십니다^^

  • @user-fq8ce7kj5w
    @user-fq8ce7kj5w3 жыл бұрын

    역사에 관심도없고 흥미도없었는데 심용환작가님 역사읽어드립니다를 보고 역사속에 이런재밋고 신기하고 색다른 내용이 있다는걸 알게되니까 재미도 생기고 관심도 생기고 한번씩 인터넷에 찾아보기도 하네요 제자가 되고싶을라고 해요 심용환 작가님 뒤를 이어서 또 재밌게 역사를 풀어줄사람이 필요할꺼라 생각해요 재미있는 이야기들 감사합니다

  • @user-vq2wn6nt9d
    @user-vq2wn6nt9d Жыл бұрын

    한국사보다는 세계사와 더불어 다른관점에서 배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edwardreesekimhappton5844
    @edwardreesekimhappton58443 жыл бұрын

    안타깝지만 조선이라는 나라는 소현세자가 죽었을때 최고의 기회를 잃었고 정조가 일찍 죽었을때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

  • @batman_6878

    @batman_6878

    3 жыл бұрын

    보빙사 미국

  • @user-os4pi2me9b

    @user-os4pi2me9b

    3 жыл бұрын

    안타깝지도 않은데...

  • @wj8671

    @wj8671

    3 жыл бұрын

    그들이 오래 살아있었다 하더라도 성리학 탈레반이 국시인 나라라서...

  • @user-hr6kz4ji8c

    @user-hr6kz4ji8c

    3 жыл бұрын

    ㅋㅋ뭔 소현세자 살아있다고 조선이 바뀌나ㅋㅋ 왕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이조 병조 정도는 한번에 천둥벼락 맞은거마냥 생각 바뀌는거 아니면 답 없었음ㅋㅋ

  • @edwardreesekimhappton5844

    @edwardreesekimhappton5844

    3 жыл бұрын

    @@user-hr6kz4ji8c 조선이 만년 성리학,주자학이나 얘기하던 나라가 아니였지 실제로 경세치용,실사구시,이용후생을 기반으로한 '북학파'들이 정조시대때 등용되기도 했고 ... 그 '북학'이라는게 소현세자가 가지고있던 사상이였음 그것도 경험으로 만들어진. 생각 안바뀐다? 애초에 적장자라면 환장하는 조선사회에서 인조가 소현세자를 독살했다고 할 만큼 미워했을까? 실제로 소현세자가 청나라의 것을 수용하겠다는 의지가 있으니까 그런반응이 나오는거지 나는 소현세자가 집권했으면 죽이되었든 밥이되었든 세도정치 구한말 같은 시대는 안왔을 확률이 높다고 봄

  • @photo1864
    @photo18642 жыл бұрын

    고종은 군주로서 조선을 망국으로 이끌었다는 죄악은 영원히 기억 해야 한다. 영원히 비판 받아야하고 잊어서는 안되고 그게 역사고, 역사를 배우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 @user-uq8dc2fo5u

    @user-uq8dc2fo5u

    Жыл бұрын

    고종이 망국으로 이끌었다기엔 조선은 사실상 거의 망한 나라였죠. 고종은 거기에 숟가락을 약간 얹었을 뿐. 그 당시에 우리의 국력으로 일본을 비롯한 열강들을 막기 힘들었을 겁니다. 조금 더 잘 처신했다면 미국에 줄서서 운좋게 나라 보존하는 정도. 아무튼 그당시 워낙 노답인 상황이라 마냥 고종탓만을 하기는 좀 그렇네요.

  • @haja3231
    @haja3231 Жыл бұрын

    결국 근대화를 외면하고 개혁과 강병을 하지 못하고 나라보다 사사로운 이권에만 눈이 먼 위정자들이 주 원인이군요 ㅠ 거기에 우유부단한 왕이 있었고. 일본 욕하기 전에 우리 역사를 먼저 반성해야 합니다.

  • @HJ-tz3pt
    @HJ-tz3pt2 жыл бұрын

    위로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더욱더 단단해지고 흔들리지 말아야한다

  • @user-xf9ic1lv2d
    @user-xf9ic1lv2d3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역사에대해 디텔한점을 찝어주시고 생각해보게 만드는 구성이 정말 흥미있습니다. 시리즈를 계속 보게 만드네요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hyhy7836
    @hyhy78363 жыл бұрын

    요즘 찾기 힘든 객관적 역사지식 정말 감사드립니다!!!

  • @user-gf6jx6nw9y

    @user-gf6jx6nw9y

    Жыл бұрын

    전혀 객관적이지 않은데요

  • @user-sn4wr7sp5p

    @user-sn4wr7sp5p

    Жыл бұрын

    @@user-gf6jx6nw9y 왜죠

  • @user-en5df1bf6q

    @user-en5df1bf6q

    9 ай бұрын

    ​@@user-sn4wr7sp5p고종은 그냥 암군 그 자체니깐요 ㅋㅋㅋ 조선 전체뿐 아니라 우리나라 역사 전체로 봐도 최악의 왕임 ㅋㅋㅋㅋ 그냥 지 왕권만 지킬려다가 나라 잃은 사람 ㅋㅋㅋ 현명하고 똑똑한 지 아버지 버리면서 민비는 지킴 ㅋㅋㅋ

  • @jyoon5077

    @jyoon5077

    4 ай бұрын

    객관적이지 않다고 하는 애들는 높은 확률로 황ㅎ필 구독자임 ㅋㅋㅋ

  • @janetpark3124
    @janetpark312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설명대로 민씨를 욕하는 역사학자들도 많다는 말도 이해가 갑니다.. 명성황후에대한 평가가 재해석 될만하네요.

  • @venecia9430
    @venecia9430 Жыл бұрын

    고종과 광서제는 진짜 놀랍도록 닮은거 같음. 그 시대의 실질적 마지막 지도자라서 더 그런거 같고.

  • @user-qf2sk4qb6q
    @user-qf2sk4qb6q2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되는 말씀 감사드립니다 아직까지 민비와 고종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디ㅡ

  • @kjdh0514
    @kjdh05143 жыл бұрын

    편집 과 설명 기가 막힙니다! 닭살 여러번!!!

  • @user-qp3by7ed7v
    @user-qp3by7ed7v Жыл бұрын

    고종을 비롯한 황족들이 국권침탈후 여생을 어떻게 보냈는지 말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보통 식민지의 왕족들은 망국과 동시에 비참하게 최후를 맞는게 많습니다만.. 그리고 민씨척족들이 구한말 나라를위해 어떤 업적을 남겼는지도 궁금합니다

  • @Sungsan_Hinmuri
    @Sungsan_Hinmuri Жыл бұрын

    리더의 중요성을 뼈절이게 느낍니다. 임진왜란 당시 자기 목숨도 아끼지 않고 싸웠던 이순신과 자기 목숨 살려고 도망친 선조가 비교가 되듯이 선조의 피가 고종에게 그대로 전해졌나 봅니다.

  • @ChunSik262

    @ChunSik262

    6 ай бұрын

    선조가 욕먹는 이유는 단순히 수도를 버리고 도망쳐서가 아니라 나라를 버리고 명나라로 도망치려 해서입니다…

  • @lego3442
    @lego34423 жыл бұрын

    그냥 정조가 죽은 후 조선은 끝이다 안동김씨 풍향조씨 등등

  • @bossamjocbar5296

    @bossamjocbar5296

    3 жыл бұрын

    ㄹㅇ 사실상 그때부터 나라가 망함 그냥 세계 모든 역사에서 갑자기 망한 경우는 손에 꼽음 대부분의 나라는 서서히 망하다가 그걸 알아차릴 시점에는 이미 선을 넘어버린 뒤임

  • @jaedahlkwon9345

    @jaedahlkwon9345

    3 жыл бұрын

    정조때 화성짓는다고

  • @user-cl8wf1ce2r

    @user-cl8wf1ce2r

    2 жыл бұрын

    근데 안동김씨 풍양조씨가 득세한게 엄밀히말하면 정조가 김조순을 사위로 임명해서 세도정치를 유발시킨거...

  • @pulancrodberic2126

    @pulancrodberic2126

    Жыл бұрын

    한반도의 국운은 이미 위회도 회군에서부터 다했다ㅋㅋㅋㅋ

  • @effy1104
    @effy11043 жыл бұрын

    와 재밌다... 이분 설명 깔끔하고 재밌게 해주시네요.

  • @user-cm9rz1zk5l
    @user-cm9rz1zk5l2 жыл бұрын

    아니 뗀 굴뚝에, 연기가 날 리 만무하다

  • @user-bd9ch8co8s
    @user-bd9ch8co8s Жыл бұрын

    두 인간만 아니었다면 일제 강점기는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아 쇄국정책 펼치던 그 사람 부친까지 셋이네요

  • @user-uv5kc3no2r
    @user-uv5kc3no2r3 жыл бұрын

    갑신정변 처음 배우면서 의아했던건 왕의 재가를 얻어 정변을 일으켰는데 왕이 그들을 버리고 정변은 실패. 나중에 일본으로 망명한 김옥균을 끝까지 자객을 보내 상하이로 유인해 살해하며 붙인게 역적(아마 민비의 부추김이 크겠죠) 고종의 실패는 스스로가 만들었으니 남 탓 절대하면 안된다고봅니다

  • @inhukj7875

    @inhukj7875

    3 жыл бұрын

    왕의 재가를 받지는 않았을 걸요? 감신정변을 먼저 일으킨 후 고종 신변 확보 후 받은 재가는 의미가...

  • @user-fm4pf7mt6c

    @user-fm4pf7mt6c

    3 жыл бұрын

    누구나 용돈벌이로👍 30마넌공짜수준으로 가져가세요 제 채널에 영상 있어용♥ ㄹㅇㄹㅇㄹㅇㄹㅇ

  • @user-vg7nz5lm6q

    @user-vg7nz5lm6q

    3 жыл бұрын

    나츠메씨//왕의 재가를 얻어 정변을 일으킨게 아니에요. 급진개화파가 일본공사관을통해 일본의 협력을 얻기로하고 우정총국 완공식에 온건개화파와 각료들을 살해하고 고종을 경운궁인가? 수비하기 좋은(일본공사관 병력 100여명남짓) 궁으로 옮겼으나 민비가 청군을 끌어들이면서 그 궁이 답답하다고 나가서 창덕궁으로옮겨서 수비못해 일본군과 급진개화파가 일본으로 도망간거에요. 애초에 왕에게 지들이 정변일으키고 가라로 보고해서 이궁하게한거임

  • @user-of8oo5dr3n

    @user-of8oo5dr3n

    Жыл бұрын

    저도 역사학자가 아니라 단언할 수는 없지만, 비공식적으로 고종에게 미리 보고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정작 사건이 터지니까 입장을 또 바꾼거라더군요...

  • @Niri_0

    @Niri_0

    Жыл бұрын

    ​@@user-of8oo5dr3n 고종한테 사대당과 청나라가 변을 일으킨거라 속이고 고종 근처에 일본군 숨겨두고 고종 만나러 오는(우정국에서 원래 죽이려다 실패한) 사람들 차례대로 죽였는데 ㅅㅂ 이걸 고종이 알았다고요? 님이 지금 말하는거 자체가 갑신정변 과정조차 모르고 어디서 줏어들은 얘기 하는거임. 고종이 아는데 급진개화파한테 외세힘까지 빌려서 쿠데타를 일으키라고 한거임? 말이된다고 생각함?

  • @user-ih3zh9ft2g
    @user-ih3zh9ft2g3 жыл бұрын

    흥선대원군이 백년만 일찍 집권했으면 훌륭한 인물이라 평가받았을 것이고 고종도 태평한 시대의 왕이였다면 평범한 인물로 기록되었을 겁니다. 하지만 당시 복잡하고 어려운 시대를 극복하기엔 흥선대원군의 능력은 한계가 있었고 고종은 부족함을 보였습니다 다시는 이와같이 외세에 주권을 빼앗기고 나라가 수탈당하여 국민들이 피눈물을 흘리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스스로 부국강병하여야 합니다

  • @user-kt3zg9nl3u

    @user-kt3zg9nl3u

    2 жыл бұрын

    고종이나 흥선이나 그게그거임 세계정세를 못읽고 쇄국에만 집착했던 두 인간

  • @user-cl3ij4uc2f

    @user-cl3ij4uc2f

    2 жыл бұрын

    최소한 흥선대원군은 극복할만한 가능성이라도 보이는 능력이 있었음. 근데 지가 허수아비로 세워놓은게 기반없으니까 붙여준 왕비랑 손잡고 뒤통수 후린게 문제지...

  • @ncknm1983

    @ncknm1983

    2 жыл бұрын

    태평시대였어도... 저인간은 좀....

  • @user-ox1qm3os2j

    @user-ox1qm3os2j

    2 жыл бұрын

    태평시대에는 평범한 인물? 태평한 시대라는 것이 그냥 옴? 본인이 정치를 잘해야 태평한 세상이 오는 것이지 우유부단하여 개혁하지 못하고 매관매직을 보고도 척결하지 못하여 동학농민운동까지 벌어지고 외세를 끌어들여 진압하여 결국 적에게 성문을 열어준 꼴이되어 나라가 망했는데 무슨 태평한 세상에 평범한 인물이 되나? 한심하기 그지 없다

  • @user-dk9qy1cb1j

    @user-dk9qy1cb1j

    2 жыл бұрын

    @@user-ox1qm3os2j 사실 고종 집권 당시에는 세종이나 정조와 같이 사기적인 능력을 가진 군주가 아니라면 우리나라 역사상 그 어떤 지도자가 집권했더라도 바꾸긴 힘들었을거라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거기다가 많은 분들이 간과하지만 흥선대원군이 허수아비용도로 올린 왕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왕이 되기 위해 필요한 제왕학 등을 전혀 익히지 못한 상태로 자리에 앉은 것도 큰 단점이었죠.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고종이 제대로 교육을 받은 상태로, 삼정의 문란과 세도정치 60년으로 파산해버린 국고, 그리고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진 군대로도 모자라 서양 열강들 사이에 끼어있는 상황이 아니었다면 충분히 본인이 하고자한 정치를 보여주며 그냥저냥 국정을 운영한 왕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user-hq8or6oc7y
    @user-hq8or6oc7y Жыл бұрын

    시기가 이미 고종때는 버티는게 고작이었을뿐 어떤 노력도 변화하기엔 늦었던 시기..

  • @user-sx6pd1pf9w
    @user-sx6pd1pf9w9 ай бұрын

    이토 히로부미가 암살당해 일본군부를 견제할 세력이 없어져 식민지화가 촉진되었다는것도 웃긴일.. 이토가 살았어도 경제적으로 종속되었겠지만..

  • @seungheelee7544

    @seungheelee7544

    5 ай бұрын

    이분 역사 좀 아시네

  • @user-eo7qf7gp1n
    @user-eo7qf7gp1n3 жыл бұрын

    걍 전형적인 독재자 스타일이였음.. 아프리카에 저런 스타일의 독재자 많았지.

  • @user-fm4pf7mt6c

    @user-fm4pf7mt6c

    3 жыл бұрын

    누구나 용돈벌이로👍 30마넌공짜수준으로 가져가세요 제 채널에 영상 있어용♥ ㄹㅇㄹㅇㄹㅇㄹㅇ

  • @Kim-pj9ln
    @Kim-pj9ln3 жыл бұрын

    세상 무른 인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카리스마라고는 눈꼽만치도 없는, 쫄보. 겁쟁이. 그와중 매일 아내 무덤에 전화 때린 것...ㅋㅋㅋ 골때리네 그냥 일반인이여야 할 깜이었어.

  • @javaxerjack
    @javaxerjack9 ай бұрын

    그런데 고종이라는 칭호는 사후에 정해지는 것이니 '전하'라는 칭호와 아명 정도가 제일 정확하겠네요.

  • @jsh967
    @jsh967 Жыл бұрын

    이걸 보고 어째서 제가 조선에 대해 적개심을 가졌는지 명확해졌네요. 윗물부터 썩었으니 거부반응이 온걸 이제 알았네요. 어떤 가상매체는 조선이 지금까지 존재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어찌 보면 왕실에 대한 동경을 그린 작품도 있죠. 그걸 만든 사람들은 이런 꼴을 알고나 있었을까요? 이런데도 우리나라가 일본에 대해 온전히 이를 갈 자격이 있을까요? 나라 안이 썩어들어 개꼬라지 난 바람에 일제가 쉽게 조선을 먹어 치웠는데도, 그 탓을 온전히 외세 탓을 돌리는 사람들. 제발 이 영상을 좀 봤으면 좋겠네요. 지나친 국수주의에 의거한 역사교육은 '빨아주기'밖에 안되요. 이런 한심한 나라를 구해보겠다고 일어나신 독립투사분들이 새삼 대단하단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론... 그분들이 과연 이러한 높으신 분들의 진실을 알고 계셨는지 정말 여쭤보고 싶네요.

  • @gkffnds
    @gkffnds2 жыл бұрын

    딱 우리회사 사장님이네 중요한 결정의 결재건은 결재안하고 구두로 진행하라고 하고선 잘못되면 자기는 회피하고 진행한 직원에게 책임전가하는

  • @user-dg6je2qn7i
    @user-dg6je2qn7i3 жыл бұрын

    흥선대원군이 세계사를 읽었어도 고놈의 유교사상에 찌든 관료들의 근본적 시각을 돌리지 못하는 것이 더 문제다고 생각합니다

  • @user-en5df1bf6q

    @user-en5df1bf6q

    9 ай бұрын

    절대 아닌데요 ㅋㅋㅋ 당시 서양사상은 안 받았어도 중국 기술은 매우 많이 받은게 흥선입니다 고종 미화를 위해서 팔린데 흥선입니다 ㅋㅋㅋ

  • @biotime2308
    @biotime2308 Жыл бұрын

    조선이 망한게 고종만의 탓은 아니지만 결정타를 꼽은데 고종이 한몫한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 애초에 나라가 그 꼴이었으니 누구한테 먹혀도 먹혔을 나라였음. 일본이 먹어준게 감사할 지경. 왜냐고? 일본이 지 스스로 넘어져서 망했으니 우리나라가 독립 가능했으니까. 일본말고 다른 나라에 먹혔다면 중국이나 소련이었을건데, 소련은 당시에 동양에 신경 쓸 겨를이 없었으니 어차피 일본에 먹힌다로 귀속됬을 가능성이 높고 중국에 먹혔으면 독립도 못하고 위구르 신세였을거임.

  • @user-zf7he9gc3f
    @user-zf7he9gc3f Жыл бұрын

    아… 경복궁에서 군밤 까먹고 시프다…

  • @user-pb9ct2pd4k
    @user-pb9ct2pd4k2 жыл бұрын

    진정한 리더는 위기 속에서 빛을 발하는 사람이다.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모르는 사실을 알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NUKN0W
    @NUKN0W3 жыл бұрын

    요즘 개인적으로 답답함이 밀려오고 있었는데 선생님 영상보며 너무나 깊은 마음의 위안을 받고 그리고 배우고 갑니다.

  • @user-ke7rz2xi8s
    @user-ke7rz2xi8s Жыл бұрын

    고종이 어떤 왕이었냐구요? 1. 노예사회인 신분제 사회 유지하려고 하고 2. 동학농민들 일본군 불러서 학살하고 3. 백성들이 사유재산 갖는걸 반대하고 이게 왕임? 김정은이지

  • @user-tp2tg7in3l
    @user-tp2tg7in3l Жыл бұрын

    다른건 머 생각할필요도 없이 동학농민 다 죽인 일본군대에게 파티열어줬다는 거 하나만 보면 답 나옴

  • @user-xb6rj4ph2f
    @user-xb6rj4ph2f3 жыл бұрын

    아오 속터져 듣기만해도 울화가 치민다!!

  • @user-yq5us4tt7u
    @user-yq5us4tt7u2 жыл бұрын

    진짜 무능력한 왕중에 한명이 고종이었다. 진짜 그 나라가 어려운 시기에도 60살이 넘어도 후궁들 여럿 만들고 늦둥이 보고, 시기가 시기인만큼 그런 시간을 나라를 위해 썼었으면 얼마나 좋았으려나 하는 생각이 든다.

  • @user-ks9fo3iw8u

    @user-ks9fo3iw8u

    Жыл бұрын

    떡는 못참치

  • @user-ii8be8wo6b

    @user-ii8be8wo6b

    Жыл бұрын

    @@user-ks9fo3iw8u 우웩

  • @user-iq8ev1vo9y

    @user-iq8ev1vo9y

    Жыл бұрын

    그게 그시대 평균 잭스 가치관

  • @user-rn7nb5vj8s

    @user-rn7nb5vj8s

    Жыл бұрын

    그 많은 자식들중 한명은 일본으로 시집가고 한명은 미군 앞에서 노래부르고 ...

  • @dwj7114
    @dwj7114 Жыл бұрын

    결과적으로 봐야죠. 멍청해도 너무 멍청한 군주 였죠

  • @skywalkeranakin54
    @skywalkeranakin54 Жыл бұрын

    이 분 잘 하네,

  • @diemcarpe8592
    @diemcarpe85923 жыл бұрын

    나라가 넘어가는 순간에서 일제지배를 인정하고 왕자리를 유지할까 고민을 하고 앉았다는게 너무 화가난다. 암군 중의 암군

  • @user-iz9vh7th4u

    @user-iz9vh7th4u

    3 жыл бұрын

    단어도 이제 이해가 안되는게 왕이 알아서 하라고 한거면 뭐가 늑약임?? 왜 좌빨들이 부들거리며 조약을 늑약이라 고친건지 이해가 간다

  • @Pietro-fc9nf

    @Pietro-fc9nf

    3 жыл бұрын

    @@user-iz9vh7th4u 제발 여기서 좌우 좀 논하지 맙시다

  • @user-iz9vh7th4u

    @user-iz9vh7th4u

    3 жыл бұрын

    @@Pietro-fc9nf 그럼 좌빨 전교조가 한걸 좌우 논하지 말라하면 누구한테 논하라는거임??? 쉴드칠거면 명분있게 쳐라 빨갱이 ㅅ ㅐ끼야

  • @kkrbbngbbng

    @kkrbbngbbng

    3 жыл бұрын

    @@user-iz9vh7th4u 전교조 교사한테 뺨 맞았나 ㅈㄴ 급발진하네 ㅋㅋㅋㅋ 너나 앞뒤 가려가면서 빨갱이 끌고 들어와라 ㅋㅋㅋ 구분도 못하고 빨갱이 빨갱이 거리누

  • @brucejk

    @brucejk

    3 жыл бұрын

    @@kkrbbngbbng 반공이데올로기 세뇌고육 받아서 저러니 이해하시길

  • @yh-zf8qx
    @yh-zf8qx3 жыл бұрын

    이젠 그동안 의식적으로 회피해 왔었던 근대역사를 적시할 때가 되었다 느낍니다.

  • @watermellon3

    @watermellon3

    2 жыл бұрын

    의식적으로 회피했다기 보단..대부분이 전교조, 혹은 국가주관 공교육을 받아서 부끄러운 진실의 우리역사를 제대로 배울 기회가 없었던거죠.. 우리나라 공교육 역사왜곡 진짜로 심각합니다.. 절대로 학생들이 행복해지게 하는 교육도 아니구요....

  • @yh-zf8qx

    @yh-zf8qx

    2 жыл бұрын

    @@watermellon3 교육은 공부의 방법을 배우는 거구 필요한 건 스스로 찾아보는 겁니다. 개인적으론 우리나라의 근대사가 쪽팔려 의식적으로 회피해 왔었는데 나이 60에 이젠 잘잘못을 이야기할 수 있겠다 싶어 근대사를 알아봐야겠다는 댓글이었습니다. 전교조, 공교육의 역사왜곡... 이런 거 함부로 말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남의 말과 글을 그대로 옮기기보다 당신의 가치관을 형성한 지식이 올바른지 되돌아보고 확신이 섰을 때, '난 이렇게 생각한다.그 생각의 근거는 이런 거다.' 그리 소통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남의 블로그, 남의 유튜브에서 댓글로 어지럽히지 마시고 당신의 블로그, 당신 유튜브에서 그리 하시기 바랍니다.

  • @user-iz9vh7th4u

    @user-iz9vh7th4u

    2 жыл бұрын

    빨갱이들이 너무 많아서 힘들 듯

  • @ValleyAzur

    @ValleyAzur

    Жыл бұрын

    @@yh-zf8qx 의식적으로 회피해서 부끄러웠으면 자신 반성 열심히하고 역사공부나 더 하시구요. 당신이 뭔데 남의 가치관 형성이 어쩌구 폄하하고 덜컸다는 식으로 평가질이세요? ㅋㅋㅋ 그것도 나이 많다고 유세떠는걸로 밖에 안 보여요. 당신은 나이 찼으니 생각많이 하고 가치관 형성된 거 같아서 이제 말해도 괜찮겠다 싶죠? 윗분이 남의 말과 글을 그대로 옮긴지 자기 생각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죠? 그렇게 넘겨짚는걸 '주제넘는다'라고 말합니다. 전교조나 공교육 편향성 함부로 얘기하지 말라? 절대 함부로 아니고 전교조들 박살나도 모자랄 정도로 문제 맞아요. 본인이 전교조세요?? 전교조면 부끄러운 줄 알고 평생 입닫고 좀 사십쇼.

  • @user-vn9ev2rh3j

    @user-vn9ev2rh3j

    Жыл бұрын

    @@yh-zf8qx 2000년대까지만해도 이런 유튜브같은 매체 잘 발달안해서 지식얻을수있는곳은 사실상 학교밖에없어서 편향된 역사가르치는 집단의 책임이 큰건맞음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