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알리·테무 '낚시성 광고'에 소비자들 뿔났다 / YTN

6월 26일 수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앵커]
6월 26일 수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한겨레신문입니다.
익일배송, 당일배송도 늦다. 1시간 안에 배송해라. 유통업계가 '바로배송' 2차전에 돌입했습니다. 마켓 컬리가 도전장을 내밀었는데 퀵커머스 전쟁이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지 보시죠. 현재 시장 선두주자는 배달의민족이 운영하는 비마트입니다. 제일 유명하죠. 호남 쪽을 제외하면 배달이 가능하고요. 물류 자회사인 '우아한청년들'로 배송 효율이 높은 게 강점입니다. 식품뿐 아니라 다양한 품목 1만여 종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배달앱 요기요를 인수한 GS리테일입니다. '요마트', '요편의점'이란 이름으로 운영 중인데요. 전국에 있는 자체 점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올리브영이 하고 있는 '오늘드림'도 비슷합니다. 전국 매장을 물류센터처럼 활용하는데 오프라인 매장보다 더 다양한 물건이 있는 게 장점입니다. 그리고 원래도 새벽배송으로 유명한 컬리, '컬리 나우'라는 이름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는데요. 우선 서울 서북권을 중심으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점차 서비스 범위와 상품 수는 늘려갈 거라고 합니다. 이렇게 매년 몸집이 커지고 있는 퀵커머스 시장 규모, 내년엔 5조 원대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앞서 이마트와 롯데마트가 쓴잔을 마시고 시장에서 철수하기도 했죠. 결국은 속도전입니다. 성공 관건은 센터 위치와 인력 확보, 구매 단가가 될 거로 보입니다.
다음은 조선일보입니다.
알리,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유해성 물질 논란이 크게 일었었죠. 그런데 이젠 '낚시성 광고'에 소비자들이 단단히 뿔이 났습니다. 하도 너무해서 도를 넘었다는 얘기도 나온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길래 그러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테무에서 쇼핑하다가 이런 비슷한 화면 보신 분들 있으신가요? 룰렛을 돌리면 26만 원을 주고, 닌텐도 스위치를 단돈 999원에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게 진짜면 저도 이미 돈 많이 벌었을 거 같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허위 광고라는 게 문제입니다. 신규 회원 수십 명을 끌어오는 게 조건인데 만약 지인 총동원에서 그렇게 했다 해도 살 수 있는 수량은 딱 1개뿐인 식인 겁니다. 고가의 물건을 저렴하게 판다면서 막상 눌러보면 저렴한 액세서리일 때도 많습니다. 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VIP 멤버십을 활용한 건데요. 30일간 무료로 쓸 수 있다는 버튼을 누르니까 갑자기 1년 치 회비가 바로 결제된 겁니다. 이게 논란이 되자 '멤버십 개편 중'이라며 중단했습니다. 또 쿠팡에 있는 이미지를 무단으로 도용했다가 적발되자 싹 지워버렸습니다. 이커머스 업계에선 으레 있는 일이다, 이렇게 설명했고요. 이렇게 쏟아지는 허위 광고, 낚시성 영상에 소비자들의 불만은 쌓일 수밖에 없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칼을 빼들었습니다. 알리와 테무에 대한 조사가 3분기 안으로 마무리될 거라고 합니다.
이번엔 중앙일보 보겠습니다.
이제 1인 가구 천만 시대죠. 그렇다고 천만 명이 다 혼자 사는 건 아닙니다. '코리빙 하우스'가 2030 1인 가구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월 160만 원을 내도 원룸보다 이득이라고 느낀다는데 '나 혼자 산다' 대신 '나 혼자 잔다'를 택한 이들, 어떤 이유가 있는지 보겠습니다. '코리빙'은 말 그대로 '함께 산다'는 의미죠. 침실 등 개인 공간은 따로 쓰고, 거실이나 주방은 공용으로 쓰는 기업형 임대주택입니다. 하숙집을 생각하면 개념이 쉽습니다. 입주민들끼리 자연스럽게 친밀감을 쌓을 수 있겠죠. 대기업이 뛰어들면서 코리빙 하우스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깔끔한 시설은 기본이고 스크린... (중략)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기사 원문 : www.ytn.co.kr/_ln/0103_202406...
▶ 제보 하기 : 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Пікірле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