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혁명보다 훨씬 빠르다, 전세계 부가 몰릴 겁니다 (차경진 교수, 이현훈 교수)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스마트폰 혁명보다 훨씬 빠르다, 전세계 부가 몰릴 겁니다 (차경진 교수, 이현훈 교수)
📌 이현훈 교수 유튜브 채널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 / @the4th-way
📚 김작가 『머니 트렌드 2024』 도서 구매
👉 zrr.kr/IBeT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 @richrich_tv
✔ 출연 신청/강연 신청/광고 문의: smilekdy7@naver.com
✔ 김작가 인스타그램: / smilekdy7
AI 시대 정말 모든 게 바뀌었다, '이걸' 모르면 빈부격차 커진다
AI 분야 엄청난 것이 탄생했다, 전세계 돈을 싹쓸이할 겁니다
하루빨리 '이걸' 알지 못하면 점차 빈부 격차 커질 겁니다

Пікірлер: 298

  • @lucky_tv
    @lucky_tv4 ай бұрын

    📌 이현훈 교수 유튜브 채널 『이현훈교수의 경제포럼』 👉 www.youtube.com/@the4th-way 📚 김작가 『머니 트렌드 2024』 도서 구매 👉 zrr.kr/IBeT

  • @이현훈

    @이현훈

    4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을 기획하고 참여한 이현훈교수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막 출범한 에도 방문해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 @user-ez4ei2vn6b

    @user-ez4ei2vn6b

    4 ай бұрын

    김작가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베가 거래소 관계 통화 부탁드립니다.

  • @user-uq7os3se7s

    @user-uq7os3se7s

    4 ай бұрын

    😮😮

  • @xavixj7026

    @xavixj7026

    4 ай бұрын

    발음 좋네요 라~시피 ㅋㅋㅋ

  • @mathamour

    @mathamour

    4 ай бұрын

    쓸데없이 영어 단어는 남발하는 이유가 뭐죠 딜리버리 런드리 푸하하

  • @kbright4475
    @kbright44754 ай бұрын

    런드리고와 마켓컬리가 세탁기와 냉장고의 역할을 축소시킬 것 같진 않은데. 공유경제로 인해 자가용 필요없어질 거라고했던 거하고 비슷한 느낌.

  • @153wonchi
    @153wonchi4 ай бұрын

    어떤 기술들은 테크기업들 주머니만 채우고 결국 소시민들의 주머니를 비워갑니다. 결국 옥석가리기가 되야하고 사람들은 아날로그세상을 그리워하며 어쩔수없이 디지털화 되어가겠죠. 편리하지만 결코 행복한일은 아닌것 같아요.

  • @misukji9857
    @misukji98574 ай бұрын

    미켓컬리 일인가족은 몰라도 가격이 비싸서 자주 주문 하기에는 부담스러워요

  • @baguette96

    @baguette96

    3 ай бұрын

    냉장고 사라진다는 말은 너무 억측같네요 ㅋㅋ

  • @minusong1344

    @minusong1344

    3 ай бұрын

    이마트, 쿠팡에서도 비슷한 서비스 중이도 마트보다 가격이 저렴하기도 합니다 같거나요

  • @user-gw4rj8bx7d

    @user-gw4rj8bx7d

    3 ай бұрын

    엠지들 사치스러워서 이미 그렇게 되고 있구만 무슨. 라떼 아재는 한 번도 마켓컬리나 배달 장보기 해본적이 없음.

  • @user-yt8dj5yk5i
    @user-yt8dj5yk5i4 ай бұрын

    AI나 로봇에게 세금 물려야합니다 실업연금을 확보해야합니다 안그러면 실업자들 굶어죽어요

  • @booklover2394
    @booklover23944 ай бұрын

    교수님 강의 내용도 좋으시지만 음성의 톤과 매너, 말씀하시는 속도, 어조 등이 상당히 좋으시네요.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마음을 열게 하는 음성이세요. 가르치는 직업을 가진분으로서 엄청난 강점이신듯 합니다.

  • @GorgeousHouse9

    @GorgeousHouse9

    4 ай бұрын

    공감이요~~ 뿐만아니라 스스로 겸손하면서 자신감있는 설득력이 매우 돋보여서 듣는내내 명쾌한 기분이네요~~😊

  • @usingy5024
    @usingy50244 ай бұрын

    기후위기에 환경 사용이 문제군요.. 마켓컬리는 일회용 포장 등.. 대한민국 일상에서 기후위기에 대한 실천 의지나 인지는 매우 부족해요… 자연 환경 시스템의 균열과 무너짐으로 큰 댓가지불… 이미 진행중 아닌가 싶어요.. 적극적 실천이 필요하다 싶어요.. AI 기후위기에 대처방안 시뮬레이션을 만들면 좋겠군요..

  • @jinnypark9855
    @jinnypark98554 ай бұрын

    앞으로 학습력이 더더욱 중요해질 것 같은 예감이 드네요..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똑똑한 분들한테 뭘 배우고 행동해야 할 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틈새 블루오션이 많이 생겨날 것 같고 그 기회를 잡는 사람들도 많아질 것 같아요.. 조금만 생각 바꾸고 도전 의식을 가져보면 어느 나라보다 기회가 많이 널려있는게 현재의 대한민국으로 보여요.. 최첨단 기술을 빨리 적용하려고 하는 반면에 아날로그 방식도 공존하고 있고.. 그 사이에 여러 해결할 문제들이 생겨나는데 부는 큰 문제를 해결할수록 커지더라구요.. 하지만 편한대로 살던대로 살고 싶은 사람들은 기회를 기회로 못보고 계속 불평만하다 괴롭게 살지 않을까 싶습니다..

  • @juliank6118
    @juliank61184 ай бұрын

    기술발달로 채운 좁은 공간에서 1~2인이 생활하는 미래주거형태를 주입받는 느낌입니다. 가능하다면 미래에는 넓고 쾌적한 공간에서 살고 싶은데.

  • @nqxitazgdx0

    @nqxitazgdx0

    4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언급된 서비스들이 결국 인간의 가축화에 적합한 서비스들 같더라구요.

  • @gatnight87able

    @gatnight87able

    3 ай бұрын

    왜냐면 지구 자원은 한정 돼 있어서 기득권 지배층은 이런 기술 발달을 환영합니다. 완벽한 AI 딥페이크가 진행되면 코로나로 사람들을 백신 맞추고 디지털 칩으로 통제할거임

  • @user-bk8kv8hm9q
    @user-bk8kv8hm9q4 ай бұрын

    감명깊은 강의입니다. 뜬구름 잡는 얘기, 추상적인 얘기가 아닌 구체적으로 오픈AI의 활용성과 변화하는 디지털시대를 대해야하는 우리의 자세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한테 강의 듣는 학생들이 부러워지네요. 저도 제 업무에 전문성을 갖추고 파이썬,영어,독서에 앞으로 더 매진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y2725
    @y27254 ай бұрын

    대학원 강의를 듣는기분~~ 앞서가는 기분 입니다 좋은강의 잘 들었습니다 ❤❤❤

  • @rabit7707
    @rabit77074 ай бұрын

    간만에 아주 실속있는 강의를 들었습니다.. 멋지시네요 차경진 교수님.. 근데요.... 저는 왜 디지털화에 지쳐버리는걸까요? 자꾸 더욱 아날로그로 가고 싶은 욕구가 강합니다.. 지쳐버리네요.. 그런데 그 지침이 불안합니다... 어렵네요..

  • @veraonce7109

    @veraonce7109

    4 ай бұрын

    동감.

  • @user-xp7ps1ps5z

    @user-xp7ps1ps5z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일본이 엄청 아날로그임 나이들어서 그럼 나이먹어도 신세대처럼 살아야 뒤쳐지지않음

  • @user-rina

    @user-rina

    2 ай бұрын

    ​@@user-xp7ps1ps5z아시는분인가봐요~ 나이까지 아시는거보면😊

  • @freeridinghan2518
    @freeridinghan25184 ай бұрын

    인간성을 상실한 기술의발달은 양극화만 부추길뿐입니다 빠르고,편리함을 제공받기위해서는 지불해야될 비용도 올라가기 마련인데,남이누리지못하는것을 누리고자하는 욕구는, 결국 정보든,시간이든 가진자들이 독점할가능성이 높고,감정없는 차가운 기계는 소비를더할수있는자 와 그렇지못한자를 가르는 도구로 전락할것입니다

  • @seongkang5756

    @seongkang5756

    3 ай бұрын

    ❤❤❤❤❤❤❤

  • @storyideatv
    @storyideatv4 ай бұрын

    모든 신기술은 최적화에 필요한 시간과 경험의 단계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는 것 같습니다.

  • @user-qb6bd1zc5p
    @user-qb6bd1zc5p4 ай бұрын

    이렇게 압축적이고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주는 컨텐츠가 요즘 많지 않지요. 잘 듣고 갑니다.

  • @leewy7857
    @leewy78574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했네요. 감사합니다

  • @user-nl9zw6fz8y
    @user-nl9zw6fz8y4 ай бұрын

    집중해서 다 봤어요. 어쩌면 말을 저리 잘할까요

  • @hojunhan1296
    @hojunhan12964 ай бұрын

    교수님은 요리를 직접 하지않고 세탁을 매일 맡길 수도 있는 경제력을 가지셨네요. 틀린말은 아닐지라도 대다수의 사람들이 누릴 수 있는 방식은 아닙니다.

  • @gauntletsilver2996

    @gauntletsilver2996

    4 ай бұрын

    그렇쵸 돈으로 다 할수있어요 이 말로만 들림

  • @veraonce7109

    @veraonce7109

    4 ай бұрын

    기술 이용의 양극화 심화되고 속도도 빨라 지고 있다. 그럼 나도 빨리 따라 잡아야 하는 건가?

  • @omoono767

    @omoono767

    4 ай бұрын

    마차몰던 시대에 자동차가 비싸다고 마차만 고집만 할수 없겠죠 그런 불편함이 언젠가 해소되고 편의를 제공하게되며 변화하게 되겠죠

  • @nqxitazgdx0

    @nqxitazgdx0

    4 ай бұрын

    마차에서 전기차까지 인류는 진보했지만 난 여전히 뚜벅이.....

  • @user-ct4ur2oi8h

    @user-ct4ur2oi8h

    4 ай бұрын

    앞으로 저렇게 될겁니다

  • @morningtube5906
    @morningtube59064 ай бұрын

    그냥 다 몰라. 저 분들도 미래 예측 가능한 능력이 없는 사람들임.

  • @mybluengreen1
    @mybluengreen14 ай бұрын

    차교수님이 생각하는 미래 사회는 언젠가는 도래하겠지만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죠. PC와 Mobile이 제대로 연동되는데 걸리는데 20년이 걸렸습니다. 메타의 초기 비즈니스화는 쫄딱 망했고 지금까지도 완벽한 하드웨어는 없습니다. 모든 기술이 사회에 잘 녹아드는 것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죠. 그러기에 국가 차원의 로드맵이 필요한데 한국 정부는 별로 관심이 없는 것 같네요.

  • @hazimao
    @hazimao4 ай бұрын

    책 한 권 읽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q3tz1hx3k
    @user-tq3tz1hx3k4 ай бұрын

    결국 기술력의 발전도 발전이지만 고객의 감성을 건드려라가 핵심같네요

  • @tongkichoi6278
    @tongkichoi62784 ай бұрын

    아무리 첨단 테크닉이라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만 유용함 좋은 폰을 사도 전화기로만 또는 검색만 쓰는 사람이 대부분임

  • @ulsanSHPARK
    @ulsanSHPARK4 ай бұрын

    오늘 모신교수님,,한번 더 초대해주심 안되나요ᆢ? 김작가님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ᆢ 꼭 참고해주시기를ᆢ.

  • @user-lw5vy6cs8d

    @user-lw5vy6cs8d

    4 ай бұрын

  • @odinkim2767
    @odinkim27674 ай бұрын

    차경진교수님 스마트한 대답과 방향성 공감합니다

  • @user-fg3ll6mf6g
    @user-fg3ll6mf6g4 ай бұрын

    고급 인력만 살아남는다면 초급과 중급 인력은 어디서 경력을 쌓아야 고급 인력이 될 수 있을까요? 기업 입장에서는 초급과 중급 수준의 일은 모두 AI로 대체할텐데 말이죠

  • @gpjoy
    @gpjoy4 ай бұрын

    아주 창의적인 내용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ze9th1xy4r
    @user-ze9th1xy4r4 ай бұрын

    아무것도 없을때도 살았습니다. 편안함에 길들려는 몸과 마음을 경계하고, 인간적인 삶에 기준을 두고 살면 이러든 저러든 크게 다를게 없다고 봅니다.

  • @user-fw6in6sk6u
    @user-fw6in6sk6u4 ай бұрын

    정말 차원이 다른 컨텐츠 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bl1fb6fp1y
    @user-bl1fb6fp1y4 ай бұрын

    더 치열하겠군요..일로 바쁘고 돈많은 사람에 해당하겠지만.. 인간이 기술에 포획당해서 따라가기 힘들듯..나이든 사람은 말만 들어도 호흡곤란이 오네요..

  • @newsihwa_channel
    @newsihwa_channel4 ай бұрын

    오랫만에 들렀는데, 역시 김작가TV!!! 감사합니다:D

  • @user-yu9xc3ov6t
    @user-yu9xc3ov6t4 ай бұрын

    부가가치,생산성만 늘어나고 인간은 점점 필요하지 않은 시대 선택된 자들만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전 인류적 불행한 시대를 꿈같이 얘기하는 가식적인 예쁜 목소리....

  • @veraonce7109

    @veraonce7109

    4 ай бұрын

    인간의 노동과 사고와 판단, 학습 등이 로봇, AI 에 대체되고 있는 시대. 인간은 무엇을 할 것인가?

  • @nqxitazgdx0

    @nqxitazgdx0

    4 ай бұрын

    ​@@veraonce7109역시적으로 잉여인간들이 무엇을 했는지 보면 답이 나오지 않을까요?

  • @Spzla

    @Spzla

    3 ай бұрын

    계속해서 발전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도시에서 생활하는 인류와 빈부 격차로 인하여 점점 기술 발전이 멈춰가는 대신 자급자족 생활력을 갖추고 살아가는 인류로 시장논리에 따라 생활 공간이 분리되어 갈 것 같네요. 각 나라 정부, 국민들의 정치 참여가 어떤 영향을 주고 변화할지 미래 모습에 호기심이 드네요ㅎㅎ

  • @Spzla

    @Spzla

    3 ай бұрын

    시장논리 대로면 공장에서 필요 이상의 생산을 안하겠죠? ㅋㅋ 자동화 세금은 뭐 거저 생길까요? "월요일이 사라졌다" 영화와 같은 지금의 중국보다 훨씬 강한 독재 정부가 국민들을 통제하면서 말 잘 들으면 주던지 말던지 할지도 모르겠네요@@azzi123

  • @jphong9884
    @jphong98844 ай бұрын

    차 교수님~ 알고리즘을 타고 이렇게 유튜브로 다시 뵙네요 정말 명쾌하게 말씀 잘하시네요 너무 잘 들었습니다

  • @raeyoungpark7879
    @raeyoungpark78794 ай бұрын

    생각이 참 열려계시네요 멋지세요

  • @Koryu6118
    @Koryu61184 ай бұрын

    차경진 교수님 진짜... 명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read_walk_think
    @read_walk_think4 ай бұрын

    교수님 정말 잘 들었습니다🎉

  • @woogeunjung6909
    @woogeunjung6909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보내세요 🎉

  • @testertv45
    @testertv454 ай бұрын

    좋네요. 조만간 여러채널에서 보게될거 같네요.^^

  • @Type8protector
    @Type8protector4 ай бұрын

    책내용을가지고 토론을 하려면 어느정도 암기해야합니다 암기력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파이썬등 생성 ai가 만든 오류니 비효울적인 부분을 찾으려면 파이썬 명령어도 알아야하고 알고리즘도 알아야합니다 그런 통합적사고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고민을 좀 해보셔야

  • @ywchung-ho7kg
    @ywchung-ho7kg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 @rich_table_u
    @rich_table_u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rimlee2252
    @rimlee22524 ай бұрын

    차경진 교수님! 정말 강의 잘 하시네요. 머리에 쏙쏙 들어 오네요.

  • @IaM-uq1pz
    @IaM-uq1pz4 ай бұрын

    집중해서 잘 시청했습니다. 쏙쏙 잘 알아듣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foodconceptdevelop4810
    @foodconceptdevelop48104 ай бұрын

    3시간 이상 들었네요. 감사합니다.

  • @lovelysanna
    @lovelysanna4 ай бұрын

    집에다 사람들을 가두고 메타세계에서 살게 하려는 듯. 너무 싫다

  • @user-qs8rk8nj7v
    @user-qs8rk8nj7v4 ай бұрын

    간결하게 쉽게 설명해 주신 덕분에 최근 디지털 세상에 대해서 잘 이해 했습니다~

  • @food_marketer7
    @food_marketer74 ай бұрын

    최고 명강의 있었습니다. 베스트원이 되기보다 온리원이 되도록 노력해야 겠다는 생각이 🔥같이 드네요. 👍

  • @user-lw5vy6cs8d
    @user-lw5vy6cs8d4 ай бұрын

    내용 멋졌읍니다. 차경진교수님 좋은 설명 참 좋았읍니다. 늘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 @user-ip5vb3uf7f
    @user-ip5vb3uf7f4 ай бұрын

    차경진 교수님 강의 너무 새롭고 좋네요!!

  • @user-wt9su7ee4q
    @user-wt9su7ee4q4 ай бұрын

    좋은강의감사합나다

  • @user-rh7qr6ub9o
    @user-rh7qr6ub9o3 ай бұрын

    옆에 계신분의 질문 참 좋습니다.

  • @user-eo8ym8km1u
    @user-eo8ym8km1u4 ай бұрын

    집의 가치에 대한 평가를 오로지 경제적 입장으로만 대변하면 집에서 가지는 영혼의 쉼, 힐링, 휴식의 가치를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보는 생각도 해봅니다. 어떤 집에 처음 입주하거나 처음 분양을 받아서 살아갈 때 특히나 아이가 생겨서 가족 구성원이 많아진다면 사람은 무엇으로 그 공간을 채우고 어떻게 인테리어하고 어떻게 나의 집을 꾸미겠다고 생각합니다. 그 대부분의 영역은 가전과 가구 또는 생필품의 어떤 영역입니다. 집은 경제적 가치 이외 다른 영역의 교집합 범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전문가이기에 그럴수 있지만 다양한 접근의 시도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맞는 말씀이기 하지만 인상이 써지네요

  • @user-rd7pt2sw4t
    @user-rd7pt2sw4t4 ай бұрын

    아래 댓글들 처럼 돈이면 다되요. 그 돈은 누가 주나요? 누가 편리성 모르나요? 소형 가전이 늘어나는 추세를 일인 가구가 늘어나는 추세 이상의 것으로 해석하기엔 설명이 이치에 닿지 않아요. 마켓컬리 아무리 열일해도 삼사인 가구도 냉장고 필요하죠.

  • @user-vv1qg4gx4f
    @user-vv1qg4gx4f4 ай бұрын

    너무 빠르다

  • @gpjoy
    @gpjoy4 ай бұрын

    다가오는 현재, 미래가 어떤 시대로 변화 진화할지 궁금하다면 꼭 끝까지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듯 합니다. 꼭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이영상 통해서 창의적인 아이템이 너무 많이 나오네요 ㄷㄷ

  • @user-mf4vo2wi1m
    @user-mf4vo2wi1m4 ай бұрын

    김작가님 200만 축하드립니다 🎉 24년 김도윤작가님 건강하시고,다복하시고, 만사형통 하시길 기원합니다.사랑합니다.

  • @user-jd8gv9ip2t

    @user-jd8gv9ip2t

    4 ай бұрын

    교수의 말도 비판의식을 가져야

  • @user-xe3ed5vd6x
    @user-xe3ed5vd6x4 ай бұрын

    오늘 내용 진짜 좋네요

  • @chloe-pi5zn
    @chloe-pi5zn4 ай бұрын

    기성세대는 기술발달에 대해서 불안감을 먼저 느끼는것 같은데 지금은 상용화의 초입이에요. 변화의 초입에 녹아드는게 살기에 편해요. 그리고 새로운 시대에는 새로운 직업이 생겨납니다.

  • @stevelee3835
    @stevelee38352 ай бұрын

    간만에 좋은 내용 강의 감사합니다. 참 열려계신 분이네요

  • @ktohkr
    @ktohkr4 ай бұрын

    흥미롭고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if4pj6wv9w
    @user-if4pj6wv9w4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몇 년 전부터 4차산업, 빅데이터가 거론되면서 부터 이 상황이 올것은 예고 되었었다고 생각합니다. 머지않아 곧, 그리고 지금은, 아직은, 상상하지 못할 만큼 세상이 많이 변할거라고 생각합니다.

  • @newmi79
    @newmi794 ай бұрын

    와~~ 진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많은 인사이트 얻어가는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 @user-jq7qg4vs8v
    @user-jq7qg4vs8v3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를 이렇게 들을 수 있어 감사합니다.일하는 분야의 방향성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 @user-br3zn4wo7y
    @user-br3zn4wo7y4 ай бұрын

    얼마전에 시립대에서 강연하신 차경진 교수님!!

  • @sangkeunlee373
    @sangkeunlee373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정말 감사 드립니다.

  • @hanaro1227
    @hanaro12274 ай бұрын

    가전회사 다니는데 강의 잘듣고 갑니다 ㅎㅎ

  • @gee8043
    @gee80434 ай бұрын

    요즘 ai에 관심이 생겨서 유튜브를 통해서 접근할려고 했는데, 재밌는 시간이였어요^^ 저도 저 교수님께 수업을 들어보고 싶네요~

  • @choisworlds
    @choisworlds4 ай бұрын

    훌륭한 컨텐츠입니다! 한편의 영화를 보듯 금방 지나갔어요. 계속 화이팅 부탁드립니다!

  • @sanonymous7
    @sanonymous73 ай бұрын

    두 교수님 모두 처음 뵙습니다만, 이현훈 교수님도 그 분의 경험과 관점을 공유해 주기 위해 초대받았을 텐데, 70분 간 진행의 편중이 아쉽습니다.

  • @user-cg2ox3bh2n
    @user-cg2ox3bh2n4 ай бұрын

    명쾌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 @silverliningbeauty
    @silverliningbeauty3 ай бұрын

    많은 생각이 들게 만드는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kp7jd7vm6k
    @user-kp7jd7vm6k3 ай бұрын

    깊이 있는 내용 감사합니다

  • @Aroma03
    @Aroma034 ай бұрын

    멋져요 😮

  • @rorolee2504
    @rorolee25043 ай бұрын

    명강의입니다! 제가 교수님의 제자였으면 싶네요 저장해놓고 몇 번 더 들을꺼예요!

  • @sicontrol
    @sicontrol28 күн бұрын

    공부가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

  • @gugugo5197
    @gugugo51974 ай бұрын

    교수가 없어져야할 직업일수도

  • @mousedogish
    @mousedogish4 ай бұрын

    정치적인 것, 사회적인 것, 문화적인 것, 예술적인 것에 대하여 누가 길잡이를 해주죠? 원효대사처럼 AI와 대화하면서 스스로 깨우쳐야 하나요? 제 20대를 보면 실수 투성이였고, 30대는 모순투성이었는데----

  • @user-ep5od6xj3n

    @user-ep5od6xj3n

    4 ай бұрын

    와 정말 중요한 질문이에요!!! 과학 경제만 생각하다보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데ㅠ

  • @tv-dr8pl

    @tv-dr8pl

    3 ай бұрын

    길잡이는 온라인에 널려있는데 온라인 오프라인활동하면서 예전과는 비교도 안될정도의 정보를 취합해서 자기생각을 확립하겠죠

  • @user-lx6yr8cl4p
    @user-lx6yr8cl4p2 ай бұрын

    이번 내용 너무 좋았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mq6ij5do1e
    @user-mq6ij5do1e3 ай бұрын

    시대의 변화에 딱 맞는 빠르고 정확한 교육이네요

  • @user-db8ym6xp3x
    @user-db8ym6xp3x4 ай бұрын

    음글쎄요...2차전지 종사자인데 스마트폰 반도체 시장, 이제는 ai시장이 대두될것이고 에너지는 수소 개발화가 클건데 이쪽에 부가 더 몰릴듯합니다

  • @DooHKang
    @DooHKang4 ай бұрын

    엘에이 지역에는 자율 주행하는 로보트가 배달하는 시스템을 보기는 했는데, 아직은 관심이 큰데 비해서는 사용이 저조한듯 합니다.

  • @hahhwa1720

    @hahhwa1720

    4 ай бұрын

    영화 아이언맨을 보다가 현실의 휴머로이드 로봇을 본다면 실망을 하는 것과 같은 맥락

  • @user-ke2zu2hh7n
    @user-ke2zu2hh7n4 ай бұрын

    사회가 AI로 운영된다고 할지라도 그사회에적응 못한사람들은 그냥 도태당하나요? 사회가 그렇지않는 사람에게도 배려를 해야하지 않나요?

  • @painter_bottle
    @painter_bottle4 ай бұрын

    대다수 전문가들이 저지르는 오류가 본인의 전문영역이 아닌 부분에 대해 잘 모르면서 대충 이야기하는 것. 가진 지식을 잘 모르는 타 분야에 대해 적용해서 예측하려다보니 오류가 많습니다.

  • @user-wx8xt6zz1z
    @user-wx8xt6zz1z4 ай бұрын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o2yw6sf3f
    @user-to2yw6sf3f4 ай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지막 부분 말씀중에 학교에 교수님 공간은 있는데 학생들을 위한 공간이 없어 메타버스에 학생들 공간으로 가상의 층들과 가상의 빌딩을 만들어주셨다고 하시던데 빵 터졌습니다. 😅 그럼 교수님을 위한 공간도 메타버스로 옮겨달라고 학생들이 요구 할 것 같아서...

  • @hojonghan1938
    @hojonghan19383 ай бұрын

    데이터에 기반한 근거라며 은근한 과신이 너무 많네요, 일부 사례로 설명하는 맥락과 경험이 또다른 스몰 패러다임을 통해 전혀 다른 현상이 필요할 수 있다.

  • @user-zo3gm1up7p
    @user-zo3gm1up7p4 ай бұрын

    와 답답 산업혁명이 필요에 의해 생긴거였나요? ai혁명은 인류사에 남을 혁명입니다... 소비자 니즈같은 미시적인 부분이 중요할까요?

  • @sg-jl6xm
    @sg-jl6xm4 ай бұрын

    컬리배달,세탁물수거에대해서는요!? 재택이면 집크기는작아지지않겠네요

  • @user-rz7zy3xw6c
    @user-rz7zy3xw6c4 ай бұрын

    주옥같은 말씀 감사드림니다

  • @Wantchu-sr2cm
    @Wantchu-sr2cm4 ай бұрын

    또 나오셔서 강의해주세요 아이와 같이 듣고 싶네요

  • @usingy5024
    @usingy50244 ай бұрын

    고객에서 시작해서 성공한 회사 당연 일등은 애플~~^^

  • @qkim8473
    @qkim84734 ай бұрын

    딥러닝 프로젝트를 하기때문에 맥프로를 쓴다는건 대체무슨 맥락인지 ;; 언제 맥북이 rtx라도 달고 나오는건가요..

  • @glegoo0909
    @glegoo09092 ай бұрын

    조근 조근 차교수님 목소리가 수면에 빠쳐들게 하네요.

  • @kai7734
    @kai77343 ай бұрын

    과거에 1주일치 식료품을 사놓고 먹던시대가 아닙니다. 교수님처럼 자산 여력이 되는 경우 가사일, 노동력 등을 외주 줄 수있어요. 과거 현재의 구분이 아닙니다🎉

  • @ji1555
    @ji15554 ай бұрын

    경찰출동 판단을 ai가 한다.. 이건 좀.. 고객상담을 ai가 한다.. 이것도 개답답하던데.. 이건 좀 아직 아닌듯

  • @user-fq1qn3ym7r

    @user-fq1qn3ym7r

    4 ай бұрын

    아직은 연세 드신분들은 못따라가세요.. 모든세대가 발맞춰가는 발전도 필요한듯요.

  • @misukji9857
    @misukji98574 ай бұрын

    코스트코에서 사서 아파트 커뮤니티내에서 공유 장보기 이런게 활성화 되었음 좋겠어요.

  • @user-be9dq7os6i

    @user-be9dq7os6i

    4 ай бұрын

    "자신이 만든 상자 " 라는 말이 있다고 해요.......

  • @jiyunnam2864

    @jiyunnam2864

    4 ай бұрын

    @@user-be9dq7os6i무슨뜻이에요?

  • @user-vt6su9ub7m
    @user-vt6su9ub7m3 ай бұрын

    52:00 지금의 아이들에게 어떤 교육을 할 것인가.

  • @user-tf1vi1ky3o
    @user-tf1vi1ky3o4 ай бұрын

    극단적으로 주장에 생각에 끼워 맞춘다 는 생각이 드는것은 왜지?

  • @MaknaeCarrot
    @MaknaeCarrot4 ай бұрын

    썸네일보고 놀라서 들어왔습니다. 한켠에 잊고있던 트라우마로 기억되는 이교수님. 덕분에(?) 외국경험 못할 뻔했지만 여차저차 인생의 버킷리스트를 이루었고요ㅎㅎ 머리커진 지금도 그때 왜 그렇게까지 하셨는지 어른으로서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수업때마다 글로벌 글로벌 강조하셨는데 지금 제가 글로벌조직에서 일하고 있거든요. 시야도 넓어졌고 여러 사람과 일하면서 각자의 포지션, 국가간 문화 차이로 바라보려는 이해심도 커졌어요. 그러니까 더 실망스럽더라고요. 꼭 그러셔야 했나 싶고요. 그때 제가 너무 상처받았었나봐요.ㅎㅎ 여튼 건강하게 지내십쇼.

  • @livesancafe3570

    @livesancafe3570

    3 ай бұрын

    그랬을거같다는 공감입니다

  • @user-jk2jy4uv9w
    @user-jk2jy4uv9w4 ай бұрын

    AI 매커니즘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미래의 개인의 일거수 일투족이 감시받는 세상이 될거구요. 설마 이런 사회를 원하는 사람은 없겠지요?? 사회 모든 분야에 적용하게 될것이므로 그 여파는 매우 크다 할것입니다. 우리는 다 털릴 각오를 하여야 할것입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