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출신이 알려주는 수학 공부법, 수학 선행 학습(서준석)

오늘의 주인공_서준석
1. 국내 유일 '서울대 의대 + 치대 + 공대' 석권 이력을 보유한 '공부 끝판왕'
2. 청소년 공부법 분야 1위 베스트셀러 '수학을 잘하고 싶어졌습니다' 작가
3. 서울대 출신 의사 크리에이터, 3만 유튜브 '서울대 14년 서준석 TV' 운영
- 배재중학교 수석 졸업
- 민족사관고등학교 수석 입학
- 서울과학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 공과대학 전기공학부 졸업
- 서울대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의사면허증 취득, 의학사 학위취득)
- 서울대 치과대학 치과대학원 졸업
(치과의사면허증 취득, 치의학 석사학위 취득)
- 現 서울 S치과의원/S의원 대표원장
출연신청&협업 문의
betterdaddy2022@gmail.com
#서울대 #서울대의대 #선행학습 #수학공부법 #수학교육 #서준석tv

Пікірлер: 143

  • @dadnmom
    @dadnmom9 ай бұрын

    📢 국내 유일 '서울대 의대 + 치대 + 공대' 석권한 서준석 작가의 1:1 오프라인 코칭 프로그램. 1. 목표 설정 및 동기부여 2. 공부법 진단 및 교정 3. 계획, 시간 관리, 진로상담 등 맞춤형 1:1 코칭 '선착순 4명' 진행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zrr.kr/60GW

  • @health_light
    @health_light11 ай бұрын

    책 구매해서 읽어보았습니다. 관심사라 그런지 단숨에 읽었어요~ 초2아들 연산 꾸준히하고 사고력 길러줄 수 있도록 고민해봐야겠어요!!

  • @user-cy5kr2hn6x
    @user-cy5kr2hn6x Жыл бұрын

    고2 아들, 초4아들을 둔 엄마입니다. 너무나 공감하고 너무나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계산능력을 키워주고 선행보다 심화문제를 통해 사고력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도 지당하십니다. 그리고 수학이 생활에 필요한 이유는 정직성과 성실성을 가르쳐준다는 것도 좋은 인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준다는 것도 너무 맞는 말씀입니다. 공부는 재능이라고 하기 싫으면 안해도 된다는 말에 대항할 수 있는 말인 것 같아요.

  • @user-hy8wf1hk6v
    @user-hy8wf1hk6v Жыл бұрын

    정직성 , 성실성 진짜 중요하죠! 그걸 길러주면 참 좋죠! 성실은 어디서나 통하잖아요 ~~

  • @mulberry1214
    @mulberry121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ㅡ5학년 아이입니다. 오느날인가 연산보다는 교과위주의 문제집을 활용하소있는데요 . 이 영상을 들으니 연산의 중요성을 다시금 느끼고 지나치게 된걸 반성하고 있습니다 . 혹시 괜찮은 연산문제집도 추천부탁드립니다 ㅡ4학년 연산부터 다시 풀려야할지요

  • @hwyun4102
    @hwyun4102 Жыл бұрын

    수학이라는 기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그게 부족한거죠 말씀대로 기초가 중요합니다 백프로 공감합니다

  • @onetime_go
    @onetime_go Жыл бұрын

    초등때 연산의 중요성을 얘기하는샘 너무 공감합니다. 사고력학원이 판을치는데 그거는 독서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문장제 수학이 저학년에 갑자기 들어오면서(그전엔 수학책이 단순계산에 불과해서 못하는 아이가 없었어요) 수학을 갑자기 못하니 학원을 찾아서 학원에서 구몬연산 가르칠수없으니 사고력이라 이름붙여 만든마케팅용이지 사고력학원 안다녀도 심화문제풀면서 사고력 늘어나게 되있고요 초등엔 수학를 하기위한 도구로서 연산이 너무나 중요해요. 마케팅에 놀아나지마시고 초등저에는 연산만 많이하세여. 가능하면 초3까지 중1연산선행을 완료하고 초4부터 선행나가시면 대치동 최상위 수학과정을 마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습니다. 훨씬수월해요. 중1.1이 모든 수학과정에서 젤 중요한데 연산이 1.1까지 완벽하면 다른 개념은 정말 금방 들어가기때문이예요. 초등부모님들..제발 사고력학원보내지말고 독서시키고 연산선행하세요 그럼 적게공부하고도 국어수학 다 잡을수있습니다.

  • @user-hg4ge1ub3v

    @user-hg4ge1ub3v

    Жыл бұрын

    연산선행은 어떻게 시키고계신가요? 집에서 문제집독학일까요?

  • @jaewhisong9829

    @jaewhisong9829

    Жыл бұрын

    @@user-hg4ge1ub3v 구몬 추천합니다. 구몬이 연산능력 기르기 좋은 커리큘럼으로 되어 있거든요.

  • @onetime_go

    @onetime_go

    Жыл бұрын

    @@user-hg4ge1ub3v 구몬이 제가.유일하게 권장하는 학습지입니다. ^^ 연산은 엄마와하면 싸우기 쉬워요 ㅠㅠ

  • @user-rl1et6rv6i

    @user-rl1et6rv6i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중3때 인수분해나오는데 이것도 연산인데 어려워하는 우리딸.. 그나마 다행인건지 중2. 이제라도 따로 매일 시킵니다.. 중학교까지는 인수분해.방정식까지는 해야되는것 같습니다 학원선생님왈 연산이 안되는애들은 하..한숨이 나오신답니다..갈길이 머니깐요 기본.응용 많이 풀어서 시간줄여야 심화풀 시간 확보합니다..연산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초2 둘째 열심히 연산시킵니다..

  • @user-ur7ok8ih9i

    @user-ur7ok8ih9i

    Жыл бұрын

    저학년일때 반복되는 구몬 눈높이 기탄 위험할 수 있어요 고학년때 계산은 빠른데 사고력부족한 학생 대부분이 이런부류예요. 다소 늦어도 꾸준히 사고력 키우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모르는문제나오면 깊이 생각안하고 바로 질문 들어오는학생으로 만들면 안되요 모든학생이 케바케지만 극상위권으로 가려면 반드시 사고력을 키워야합니다. 2.3등급이 목표라면 모를까... 이른 나이에 연산 위주로 하면 고착화되서 생각자체를 안합니다. 절대 아이를 문제푸는 기계로 만들면 안됩니다.

  • @user-xo4nj6tn3w
    @user-xo4nj6tn3w Жыл бұрын

    과학고를 나와 서울대 수학과 박사이신 분이 해주신 말과 같네요 숫자를 가지고 놀정도로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하기 전까진 선행 심화 다 의미 없다고 하셨거든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9 ай бұрын

    암산은 영어에서의 Phonix, 기초중의 기초임...

  • @user-lu2pm8ik2c
    @user-lu2pm8ik2c Жыл бұрын

    연산실수는 사람 성향도 있는거 같습니다. 결국 꾸준한 훈련이 답인지라.. 초등때 과도한 선행을 하는경우가 있는데, 차라리 연산훈련이 좋다라는 말이지.. 주구장창 연산만 하라는 말은 아닐껍니다. 결론은 초등때는 되려 국어를 해라, 수학은 중학교때 해도 된다 라고 생각되네요

  • @user-ci3jl1lv1i
    @user-ci3jl1lv1i Жыл бұрын

    수학방향을 제대로 잡아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sunnybae5796
    @sunnybae5796 Жыл бұрын

    이분은 ...까도까도 나오네요.. 어설프게 공부한 강사들보다 훨씬 찐~이네요!

  • @ggmom7239
    @ggmom7239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생각 적어 봅니다. 1. 우선 선생님의 경험에서 나오는 학습에 관한 생각에 크게 동의합니다. 제가 생각못한 부분도 있어서 배울 수 있었구요. 2. 초등 때의 연산을 중요하게 말씀하신 것은, -수에 대한 기본 감각이 부족한데 , 선행이나 사고력 해봐야 소용 없다. - 꾸준히 하며 정직성과 성실성의 태도를 기를 수 있다. - 중 고등 때 중위권과 하위권의 차이는 연산실수에서 비롯되니, 연산만 잘해도 등급 올릴 수 있다. 3. 이것에 대해 좀 다른 제 생각은 - 초등 고학년서 부터 계산기 쓰는 나라들 많은데(예- 싱가포르) 수학은 단순히 산수가 아니라 중요한 개념과 논리력의 원천이므로, 더 고차원적 수학과 수학적 사고를 중시하기 위해 단순 계산이 그것을 위해 방해가 되지 않도록 계산기를 쓰고 - 이렇게 생각하는 대치동 수학 학원 원장님 계셨는데.. 유튜브 하시는 - 결국 우리나라도 선진국이 되었고 앞으로의 시대에는 이게 더 맞는 것 같음. - 물론 말씀하신 대로 현재의 우리나라 시험 유형 때문에 현실적으로 연산실수 하지 않는것이 점수 향상에 도움이 됨. 4. 기타 - 연산도 반복이라 반복을 너무 싫어하는 아이한테 너무 분량 많이 하면, 역효과 날 수 있음. 5. 제 생각 정리하는 겸 댓글 씁니다.

  • @uuuumyyy

    @uuuumyyy

    Жыл бұрын

    연산 안시키는 엄마로서 공감드리고갑니다.

  • @fullhouse1011

    @fullhouse1011

    Жыл бұрын

    저희도 연산따로 안시키고 수학 잘 하고 있어요 질리지 않을정도로 하는건 가볍게 짚고 가는건 괜찮은거같아요 백퍼공감합니다

  • @user-wp6ev4oh9z
    @user-wp6ev4oh9z Жыл бұрын

    좋네요~

  • @user-ip7cp8qy1t
    @user-ip7cp8qy1t11 ай бұрын

    이번영상 감동입니다. 수학의 진정성을 이야기해주심에...

  • @lifeisatravel7971
    @lifeisatravel79713 ай бұрын

    오 수학공부가 인생전반에 많은 도움이 되는군요. 원장님 책을 구매했는데(두 권이나) 지금 오는 중이라 혹시 원장님께선 초등학교때 수학선행을 몇 년 정도 미리 하셨을까요? 중학교땐요?

  • @user-ne5cs7xl5s
    @user-ne5cs7xl5s Жыл бұрын

    정직성. 성실성의 가치도 중요한건 맞는 것 같아요. 선행도 중요 하면서 사고력을 키우는 심화학습도 맞는거 같습니다.

  • @kang7004
    @kang7004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말씀에 구구절절 공감합니다.

  • @user-rs9jx3lk9n
    @user-rs9jx3lk9n Жыл бұрын

    요즘 초등의대반 영상땜에 기분이 안좋았는데 선생님 말씀을 들으니 속이 좀 풀립니다

  • @user-jb7gm7lv4h

    @user-jb7gm7lv4h

    Жыл бұрын

    그거는 걍 병신입니다

  • @bw7105

    @bw7105

    Жыл бұрын

    걍 본인 위로 받고 싶었군요.

  • @user-yv4me8kp9v

    @user-yv4me8kp9v

    5 ай бұрын

    초등의대반에 왜 기분이 나쁘신지...그 애들은 재능의 영역이 남다르므로 그냥 다른 세계의 아이들이라고 받아들이면 기분 나쁠 게 전혀 없습니다.

  • @jeonglee9426
    @jeonglee94266 ай бұрын

    마음에 쏙 드는 영상입니다. 원장님 감사해요.,

  • @user-vw7fq1xw8d
    @user-vw7fq1xw8d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 @user-hy8wf1hk6v
    @user-hy8wf1hk6v Жыл бұрын

    꼭 필요한 말씀을 해 주셔서 정말 좋습니다 ~~ 속시원하게 말씀해 주셔서 정말 좋습니다 ^^

  • @raraeveryday2034
    @raraeveryday2034 Жыл бұрын

    명강의 입니다~ 수학의 연산을 중요시 생각하고 있기에 이영상을 보며 다시한번 굳은 의지가 생깁니다.어려워하는 연산연습이지만 성실하게 꾸준히 노력한다면 그 성실함이 빛을 발할꺼라 믿고 오늘도 화이팅하겠습니다~^^

  • @ekrxj1124
    @ekrxj1124 Жыл бұрын

    수학 천재 및 수학 좋아하는 사람은 수학 선행학습 능력 껏 당연히 해도 되는 데, 그냥 명문대 목표로 하는 사람은 1,2년만 선행학습해도 충분하다. 그리고 선행 많이 한 학생보다 안했어도 자기 학년 수학 잘 하는 애가 끝까지 더 잘하더라.

  • @ekrxj1124

    @ekrxj1124

    Жыл бұрын

    수학 머리 없으면 솔직히 명문대 못가는 시스템이지만 수학 머리 없는 애를 1,2등급 만드려는 시도는 너무 무모하고 성공도 못하고 아이 학대다.

  • @user-yv4me8kp9v

    @user-yv4me8kp9v

    5 ай бұрын

    고등학생인데 아직도 현행만 하나요? 벅찰텐데요.다른 공부까지 하려면.

  • @izishrbflsbasvdjxxa
    @izishrbflsbasvdjxxa Жыл бұрын

    제가 구독중인 서준석님을 여기서 뵙네요. 수학에 대한 철학. 그리고 정직성과 성실함에 대한 중요성을 기르는데 가장 훌륭한 도구가 수학이다라는 말씀에 무릎을 탁 치게 됩니다. 깊이 공감하며 좋은 말씀 나눔에 감사드립니다 🙏

  • @katiena5925
    @katiena5925 Жыл бұрын

    그 심화 문제 라는게 선행 개념을 알아야 풀수 있던데요. 어차피 나중에 가서 배우면 너무나 쉽게 풀수 있는 문제를 현행 과정 심화라고 붙들고 있는게 의미가 있는지 전 잘 모르겠더라구요. 초등4학년 각도 문제에 중등 1-2 삼각형 외각의 성질을 알면 풀수 있는 문제들이 심화 문제라고 나오더라구요. 중등 1-1, 1-2 과정의 기본 개념들이 초등 4학년 심화 문제 부터 등장 합니다. 그래도 현행 심화가 중요 한가요?!

  • @ahnchristine9766

    @ahnchristine9766

    Жыл бұрын

    저두 이부분이 궁금합니다

  • @onetime_go

    @onetime_go

    Жыл бұрын

    일부 문제집이 그런 질낮은 심화문제를 냅니다만, 대부분은 선행개념을 사용하지않고 풀수있습니다 다. 왜 심화가 선행보다 중요하냐면, 현행심화를 깊이해보지않은 아이는 선행을 아무리 해도 나중에 필요할때 중고등에서 심화를 할수가 없어서 점수가 나오지않아요. 선행은 심화를 하지않아도 되지만 현행심화는 꼭 해야합니다. 지금 못푸는 문제가 있는아이가 더 빨리 뭘 배우는게 웃긴거예요. 현행 최고수준을 다 풀어 배울것이 없으면 그때 선행을 나가면 진행이 엄청빠르고 쉽고 계속 심화가 진행되는데 얕게만 배운아이는 끝내 3등급을 넘지 못합니다.

  • @unique-math-tutor

    @unique-math-tutor

    Жыл бұрын

    그걸 혼자 고민해보고 중등을 맞이하는거랑, 중등과정을 먼저배워서 처음부터 쉽게 푸는건 문제해결능력에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선행을하면 쉽게 풀 수 있는 것을, 굳이 저학년 때 가르치지 않는 것은 다 이유가 있는겁니다. 그래서 과도한 선행이 독인거에요. 예를들어 저는 중학교 때 에이급수학으로 끙끙되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서준석 원장님과 비슷한 연배이고, 초등 고학년 자녀를 둔 아빠입니다.) A레벨가면 배우지도 않은 내용, 공식들이 막 나오고 처음엔 거의 반타작하고 그러는데 그거 반타작한거 고치고 이해하고 내 것으로 만드는과정이 역설적으로 선행한 효과를 만들어내요. 지금도 기억나는데, 중3 때 에이급을 그렇게하고 고등학교 들어갔더니 고1 과정은 사실상 거의 공부안하고 날로 먹은 기억이 있습니다. 고1 때 나오는 인수분해 공식들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등등이 이미 중3 에이급에서 대부분 접했던 내용들이더라구요. 문제는 이걸 선행으로 먼저 배우고 수월하게 푸느냐, 먼저 고민해보고 나중에 내용을 배우느냐의 차이인데 언뜻보기엔 전자가 효율적일 것 같지만 수능 때는 후자의 능력을 요구합니다. 실제 수능 수열 기출 난이도 높은 문제들 보세요. 고등과정 공식 써서푸는 문제들 거의없습니다. 오히려 초등학교 때, 공식 하나도 안배웠을 때, 지금 초등 5-1에 나오는 규칙과 대응단원에서 직접 n=1, 2, 3, 4일 때 하나하나 계산해보고 그걸로 규칙을 추론하고 이를 공식화하는 과정이 훨씬 중요하게 요구됩니다. 근데 초등 때 정작 이런 훈련 제대로 안하고 선행만 한 친구들은 어릴 때 당장은 지식이 좀 더 많고, 좀 더 높은 학년의 문제를 풀 수 있었을 진 몰라도 사고력에선 큰 격차가 납니다. 아니, 사고력 어쩌구하는 고상한 얘기는 차치하고라도 미리 앞 과정을 나가는 것보다, 지금 배우는 것들을 꼼꼼히해서 "안까먹고" 쌓아나가는게 훨씬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최근 수능에 약수의 갯수와 관련된 문제가 있었어요. 참고로 약수의 갯수는 교과과정에서 중1 때 나오고 고3 때까지 한번도 안나옵니다. 그럼 여기서 중요한건, 중1 때 배운걸 고3 때까지 어떻게 안잊고 그 원리를 잘 체화하느냐가 중요하지, 미리 고등과정 나가서 그 부분을 남들보다 더 반복하는게 중요한게 아니에요. 고등과정은 어차피 누구나 고등학교가면 두번 세번 네번 여러번 봅니다. 젤 안타까운건 초중등과정이 빵꾸가났는데 고2,고3가서 다시 옛날꺼 보자니 엄두는 안나고, 가르쳐주는 학원도 없고, 혼자는 어떻게 공부할 줄도 모르고 수포자가 되는 애들이죠. 마지막으로... 지금 수능 수학 내용은 "지식적으로는" 과거 부모님이 배웠던 시절 내용 절반 수준입니다. 과거처럼 고1 수학이 공식 수능범위도 아니고요. 말로만 인공지능을 떠들지 인공지능의 핵심인 행렬도 다 빠졌고요. 그래서 일차변환도 없고요. 알고리즘 및 순서도도 빠졌고요. 복소수의 극형식도 없어졌고, 부등식의 영역도 없어졌고, 공간벡터도 없어졌고 등등등... 게다가 과거 수2에서 배웠던 내용들 대부분은 이제 선택 과목이 되어 단순히봐도 1/3로 줄었습니다. 가끔 해외대학 진학을 위해 ib나 ap를 준비하는 친구들 도와줄 때가 있는데, 이젠 그 애들이 배우는 수학이 우리나라보다 더 많아요. 우리나라 수학 많이 배운다는거 다 옛말입니다. 30년전부터 "꾸준히" 수학 범위는 없어지고 줄어들어서 이젠 우리보다 수학 못한다고 생각하는 미국, 유럽 보통 국가들보다도 덜 배워요. (배우는 수학 범위가 그렇다는거지, 학생들 수학 공부시간이 줄었다는건 아닙니다.) 그럼 지금 애들이 과거보다 공부할 것이 많아졌을까요? 영어는 절대평가가 되었고, 과거엔 이과 애들도 사과탐 모두 봤고 사탐기본 4개, 과학은 물화생지+심화1개해서 5개, 총 모두 9과목이나 했지만 지금은 통틀어 선택 2개만 하죠. 객관적으로도 해야할 공부량은 줄었어요. 근데 어릴 때부터 그렇게 사교육받고 선행했던 애들이 고3 첫 모의고사 수학 평균이 40점대입니다.(이번 3월 수학 모의 평균)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요? 문제가 더 어려워졌을까요? 지금은 90년대 수능의 높은 난이도 문제들은 킬러 문항으로도 안나옵니다. 요즘 사교육비 증가의 주범이 초등사교육비랍니다. 왜그런가봤더니 초딩 애들이 죄다 중고등 선행을 나가서, 중고등생 수준의 학원비를 내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과연 과도한 선행 분위기가 진짜로 아이들에게 필요해서 일까요? 높은 학원비를 받고싶은 학원들의 상술과 초등 자녀가 고등과정 나간다고하면 어깨뽕이 차오르는 부모와 아이들 욕심이 결합한 결과물일까요? 제가 가르치는 고3 N수생 애들 열에아홉은 다 그렇게 선행했지만 중학교, 고1 때 배운 내용 물어보면 까먹고 모르는 애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못하는거에요. 남들보다 선행을 안해서가 아니라요.

  • @user-ij8zy9ln8y

    @user-ij8zy9ln8y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해요. 황소 보내는데 초등과정 심화가 중등과정이더라구요. 심화가 곧 선행인가 했어요

  • @onetime_go

    @onetime_go

    Жыл бұрын

    @@unique-math-tutor 극공감합니다!!. 우리때는 더 많은양을 대부분 선행 별로 없이 예습덩도로 했고 인강도없이 정석하나만 스스로 공부했는데 제때 스스로 공부하니 적은 시간 투자하고도 효율이 높았던거예요. 그때는 초등에 진짜 많이 놀고도 다 가능했는데 왜 효율안나는 선행을 초등부터 시켜서 많이돌려서 애는 초등부터 놀지못하고 쉼없이 풀고 학원만 돈버는 시스템에 아이들이 휘둘리게 됫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 @sipoiyo7809
    @sipoiyo78099 ай бұрын

    멋있네

  • @user-ed8bl8ny5e
    @user-ed8bl8ny5e Жыл бұрын

    점수받기 요령인거죠. 초등때 연산훈련은 수학에 흥미를 잃게 하는 방법이고 두자릿수 계산은 이제부터는 계산기가 해야 한다고 봅니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9 ай бұрын

    수학에 흥미를 잃지 않으면서도 두자릿수 계산을 암산으로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뇌에서만 처리하는 정보처리속도가 손근육을 움직여서 하는 연산처리속도보다 빠릅니다.

  • @ell6187
    @ell6187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 @k1b1
    @k1b1 Жыл бұрын

    다 맞는 말씀인데 문제는 입학과 동시에 내신을 챙겨야 하기에 미리 선행해돈 아이와의 격차는 어쩔수 없어요. 결국 선행을 먼저 한다고 해서 나중에 선행을 먼저한만큼 계속 유지되지는 않지만 현실은 코앞에 닥친 내신으로 대학이 결정되니 훗날 실력을 따라잡고 넘어선다고 해도 초반의 차이가 대학문턱을 결정해버린 상태가 되버림

  • @jaewhisong9829

    @jaewhisong9829

    Жыл бұрын

    그건 중학교까지 하나도 안하다가 고1때부터 부랴부랴 수학공부하기 시작한 얘들한테 적용되는 말임. 영상에서도 나오듯이 초등학교부터 연산능력을 닦고 심화과정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을 길러 고등학생이 되면 선행한 얘들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게 됨.

  • @patrickalbert-ventu7157

    @patrickalbert-ventu7157

    Жыл бұрын

    @@jaewhisong9829 ㅎㅎ 옳은 설명 친절하십니다.. 다 본인 방법이 맞다고 생각하지요 나도 그렇겠지만요 ㅎㅎ

  • @user-yv4me8kp9v

    @user-yv4me8kp9v

    5 ай бұрын

    주변에 현행만 열심히 하던 중등 내신 1등급 아이, 고등돼서 지금 고등내신 따라잡겠다고 고군분투중. 선행을 한 아이들 반에 못들어가는 상황. 다른 공부도 해야하는데, 지금 발등에 불떨어짐. 천재가 아닌이상, 수학에 타고난 감각이 있지 않은 이상, 적당한 선행은 해둬야 함. 물론 심화까지 하는 선행.

  • @katherinem271
    @katherinem271 Жыл бұрын

    공감100%.떠먹여주듯이 부모가 대신 해결해주는세상이됐다보니..그런걸 간과하니까 빨리빨리문화로.애들 성질이급해지고 난폭해지고 뭐든지 쉽게 얻으려고 나쁜짓도 서슴지않는가봅니다.

  • @user-jh9kw9fd3t
    @user-jh9kw9fd3t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ij4fb8ld4v
    @user-ij4fb8ld4v Жыл бұрын

    중학교 수학 선행 시키고 있는 초6 학부모인데요. 준석님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 연산실수가 누적되다 보니 1학기 대수파트 부분은 문제 푸는 방법을 알아도 정답으로 이어지지 않아 정답률이 좋지 않습니다. 혹시 계산능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요?

  • @Amber-cz3qh

    @Amber-cz3qh

    Жыл бұрын

    디딤돌 연산 문제집 한 학기에 한 권씩은 꼭 풀게 했어요. 아무 연산 문제집이나 풀게 해보셔요, 도움이 될 겁니다.

  • @onetime_go

    @onetime_go

    Жыл бұрын

    초6까지는 연산문제집을 매일 3장을 풀려야합니다.!

  • @user-ij4fb8ld4v

    @user-ij4fb8ld4v

    Жыл бұрын

    뒤늦게 구* 수학을 시작했는데 1년 정도 됐고요… 부담되지 않게 3장씩 진행 중인데 아직 정답률이 오르지 않고 있어요. 이해력 좋고 전과목 고루 잘 하는 남자 아이입니다. 성격은 아주~ 활발한 e성향이고… 암산을 주로 하는 아이입니다. ㅠㅠ

  • @onetime_go

    @onetime_go

    Жыл бұрын

    @@user-ij4fb8ld4v 고학년 연산말고 저학년 1,2학년 1부터 100까지 더하기빼기부분을 집중적으로 암기하듯할때까지 반복해 시키세여. 17+34이런걸 빨리 못하는게 대부분입니다. 거기서 연산하다 시간다가고 대부분 틀리고요. 그걸 엄청 많이해서 암기로 나올정도가 되야 틀리지않고 큰수나 분수계산, 나누기 곱하기를 하더군요 ㅠㅠ 17-9를 의외로 대부분 오래걸려요. 암기해서 답이 바로 나와야 큰 나눗셈으로 가서 문제가 안생겨요.

  • @user-vg5op4ve4e

    @user-vg5op4ve4e

    Жыл бұрын

    @@onetime_go 안녕하세요. 제 아이가 초5인데 독서가 받쳐줘서 그런지 심화문제집 점수는 높으나 간단한 계산 즉, 문장제에서 식도 다 쓰고 계산하다가 324-158 이런거에서 틀린다던지. 5-1혼합계산에서도 긴 혼합계산은 다 맞고, 18÷6은 2라는 이거하나때문에 어려운 부분 다 맞고도 결국 답은 틀리는 경우가 최근 있었습니다. 꼭 보면 답까지 거의 다 왔음에도 저런 부분이 발목을 잡는데 지금부터라도 초저연산부터 다시 해야하는건지요? 여태 틀린적이 없던 부분인데 초5되서 혼합계산에서 틀리니 어찌해야 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 @user-ns7mu4wq3d
    @user-ns7mu4wq3d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초6에 고1 수학 선행 나가더라구요. 😮

  • @jihyunlim9390
    @jihyunlim93904 ай бұрын

    4:01 오타요. 책의 부재가 아니라 부제...

  • @bkh7331
    @bkh7331 Жыл бұрын

    외국은 계산기로 다하는거 왜 우리나라는 계산력까지 길러야하고 중,고등은 학교마다 출판사가 틀려요.. 교과서 내용통일했으면 좋겠네요..옛날이 좋았죠 애들이 점점 공부하기 힘드네요

  • @jhkim5011

    @jhkim5011

    Жыл бұрын

    계산기로 다하지않아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

    9 ай бұрын

    손근육을 움직여서 결과를 내는 것보다, 머리로 하는게 더 빠르고 오류율도 적어져요. 제대로만 배우면요.

  • @Snowflake_tv
    @Snowflake_tv9 ай бұрын

    선행을 하지 마라? 😂아니 사람이 언제 죽을지 아무도 모르는 일인데, 왜 더 알고싶어하는 걸 제한하는 거죠? 나중에 배울거라고, 지금 이게 더 중요하니 이거에 집중하라고 해놓고, 학생은 저 너머의 것이 궁금해서 이건 냅두고 저거 배우고싶은데, 그렇게 공부할 내용을 제한해서 살다가 사고로 뒤지면, 좀 알고싶고 배우고싶었던 학생의 좌절된 욕구와 나중에 배울거라고 사기당한 배신감은 어떻게 책임지실 건가요?

  • @time4405
    @time4405 Жыл бұрын

    젤 기본계산능력.저도 늘 얘기하는부분이에요...

  • @ondal8200
    @ondal82003 ай бұрын

    진짜 말장난인게 수학공부를 엄청 많이하면 선행을 할수 밖에 없고 선행을 하다보면 나이때문에 더이상 선행을 할 수 없어서 경시문제 풀게 되어 있습니다. 결국 선행을 한사람이 사고력을 기르라는 말이 공부를 엄청 하다보니 사고력이 중요하더라... 수학공부 자체가 선행>사고력입니다. 예를들자면 자연수라는 개념만알고 경시푸는거랑 정수라는 개념을 알고 수를 구분하면서 자연수범위까지 경시푸는거랑은 이해의 깊이가 다릅니다.

  • @alltime3006
    @alltime3006 Жыл бұрын

    아무것도 터치를 안하니 수학을 잘하게 되던데요.

  • @user-ij8zy9ln8y
    @user-ij8zy9ln8y Жыл бұрын

    초3 저희 딸아이 황소수학 낮은반에 다니고 있어요. 다른심화교재 할 여유가 안 되어서 주교재만 3번 이상 반복해 풀리고 있어요. 어학원에 예체능에 독서까지 챙기려면수학을 더 하기는 어렵더라구요ㅜㅜ 그래도 영어학원은 탑반이고 독후감 2편 일기2편 매주 쓰기는 꼭 해내고 있어요. 원래 수학이 다른 과목에 비해서 약한 듯해요ㅜㅜ 선생님 말씀처럼 수학머리가 평범한 아이들은 미리 선행하고 여러 번 반복하는 방법 뿐인데 시간이 부족하네요.부족한 수학머리 채우기 위해 수학에 시간을 많이 쏟다보니 영어공부나 독서 시간이 줄어든다는 거네요ㅜㅜ 어떻게든 영어랑 독서독후감 일기쓰기 유지는 하고 있어요. 수학머리 있는 아이들 보면 영어도 탑반에 수학도 탑반예체능도 모두 잘해내고..,많은 학습량을 모두 감당하며 다 해내더라구요. 학군지에는 그런 애들 꽤 있어요. 평범한 저희 아이 성실하고 꾸준함은 있어요. 그것으로 수학머리 타고난 애들 극복해보자 하는데...어렵네요. 이제 초3이고 아직 어리고 시간도 많이 남았으니.선생님 말씀처럼 더 많은 노력으로 타고난 애들을 따라 잡아야겠어요. 무서운 건 타고난 수학머리 있는 애들이 노력까지 한다는 것인데..그 애들이 넘사벽이 되고 의대를 가더라구요. 저희아이는 그 정도는 아니지만 성실파로 뭐든 이겨내야지요. 수학 공부방향 잡아주셔서 감사해요

  • @user-zs2xe4gj4m

    @user-zs2xe4gj4m

    Жыл бұрын

    황소 다니는 것 자체가 수학머리가 있는건데요..ㅜㅜ 평범하면 황소 못 가죠😢

  • @Snowflake_tv

    @Snowflake_tv

    9 ай бұрын

    정신과의원에서 IQ테스트 해보세요. 130넘게 나오면 의대 도전해볼만 하고, 110정도 나오면 걍 명문대만 입학해도 잘하는 겁니다.

  • @simplevery9785
    @simplevery97855 ай бұрын

    영어도 1년간 안 하면 회화도 단어도 잊어버리는데요..

  • @k1u2k3
    @k1u2k34 ай бұрын

    내가보기엔 이분은 직업선택을 잘못한거같다 치과보다 대치동 수학강사하면 훨씬 대박칠거같다

  • @user-ni3rr4bv1u
    @user-ni3rr4bv1u Жыл бұрын

    초등수학 90%는 연산 잘하는게 중요하지

  • @user-qn4fs2og7k
    @user-qn4fs2og7k10 күн бұрын

    개놀아도 서울대 갈사람들 말 믿지 마라. 그냥 욕심 내지 말고 하루 하루 재밌게 스스로 동기부여(내가 공부 안하면 우리 가족은 굶어 뒤진다.)해서

  • @user-ui4cg3um3t
    @user-ui4cg3um3t Жыл бұрын

    타고난 친구들은 1시간만 하면될껄 타고 나지 않은 학생들은 5시간을 하면 된다? ㅋ 맞는말인데 그렇게 노력하는게 쉽지않죠. 재능을 타고 나지 않으면 초등학교 때부터 하루에 최소 3시간이상을 꾸준히 해야합니다. 그렇게해도 고등학교가서 1등급은 힘듭니다.ㅋ 수학은 재능을 타고 나야합니다. 끝

  • @facthunter933
    @facthunter93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말하고 혼자 시킬려고ㅋㅋㅋㅋㅋㅋㅋ

  • @illicitq6472
    @illicitq64723 ай бұрын

    요즘 선행은 심화선행이란 걸 모르시네 ㅋㅋ

  • @user-si4qm7hu9p
    @user-si4qm7hu9p Жыл бұрын

    단원평가 같은거에 얽메이지말고 주판학원 주3일만 보내보십시요 초등학교내내 100점 나올껍니다

  • @justinjeong813
    @justinjeong813 Жыл бұрын

    사칙연산은 4~7살때 마무리 초1-초2때 사고력 마무리 초3때부터 속진 후 초5때 미적마무리 초6때부터 kmo준비

  • @dolepumpkin8145
    @dolepumpkin8145 Жыл бұрын

    니가 뭘아냐? 모르는 문제가 거의 없는데

  • @beerwinestereotv1251
    @beerwinestereotv1251 Жыл бұрын

    나이는 나보다 어리지만, 정말 중요한 얘기를 하네… 수학은 꾸준히 해서 이겨내야지 빛을 볼수 있지… 요즘세상에 참 중요한 얘기다! 어른이 되어서는 논리력을 기를수 있는게 많지만 어릴때는 수학만한게 없지! ❤❤ 중학교때까지만 해도 수학을 잘했는데 고등학교 수학때 한번 길을 놓치면 참 다시 가기가 어려운걸 느껴서…ㅎ 7살 딸둔 아빠로서 이런 유투브를 보게 된다! 나와는 같은 길로 안갔으면 한다…

  • @j.w5967
    @j.w5967 Жыл бұрын

    계산능력?? 그딴게 수학임?? 어이없군.. 계산기는 왜 발명한거임??

  • @user-jo2wo1lm3x

    @user-jo2wo1lm3x

    Жыл бұрын

    셤칠때 계산기 쓸 수 있음 되는건데...ㅋㅋ

  • @jihojio2118

    @jihojio2118

    Жыл бұрын

    한 사람이 진리만 말 한다면 신이지 인간이겠어요. 제 남편은 수학 물리만 잘 하는 사람인데 연산 따로 안했데요. 아들도 꼭 같드라구요. 대수 파트 쪽은 타고 나길 감각이 좋트라구요. 그리고 초5에 중등 선행 나가는 애들은 올림피아드 3프로 잘 풀고 해서 선행 하는 애들이 많는데. 저 의사샘도 자기가 겪은 것만 아니까 ㅋ

  • @user-rs9jx3lk9n

    @user-rs9jx3lk9n

    Жыл бұрын

    외국 여러나라들은 계산기 쓴다는데 우리나라는 그게 아니니 어쩔수 없죠..

  • @user-zg5kg4ud6n

    @user-zg5kg4ud6n

    Жыл бұрын

    수능에 계산기 가져가면 인정; 계산능력도 살아가는데 중요함

  • @jaewhisong9829

    @jaewhisong9829

    Жыл бұрын

    계산이 필요한 상황마다 계산기가 항상 있더냐?

  • @user-pq5lv2yt4e
    @user-pq5lv2yt4e Жыл бұрын

    졸라 트레85네 에라이..ㅂㅣㅇㅅㄴㆍ

  • @DdDd-wr8dk
    @DdDd-wr8dk Жыл бұрын

    뻔한소리하시네요..크게머가있을줄알았는데...😢

  • @user-ni3rr4bv1u
    @user-ni3rr4bv1u Жыл бұрын

    너무 자기기준이구 최최상위권이야기만 하는구나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