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원정 매수 사상 최대, 피크아웃 코리아는 이미 왔다

✅ '채부심'채널 구독자들이라면 이 책은 읽어야지!
2024년 화제의 도서 [피크아웃 코리아] 출간!
출산율 제로사회, 우리의 생존전략을 다뤄봅니다.
예스24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링크
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www.aladin.co.kr/m/mproduct.a...
👉영상이 재밌었다면 우리채널을 후원해주세요! 커피한잔 가격도 채널에 큰 도움이 됩니다.
/ @chaeboosim
👉 더 많은 인사이트,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naver.me/GXqHmdSF
✅ [네프콘] 채상욱의 아파트 가격&가치 연구소 구독하기
naver.me/x9ct3yeH
#피크아웃코리아 #부동산원정매수 #해외투자

Пікірлер: 411

  • @chaeboosim
    @chaeboosim18 күн бұрын

    ✅북 콘서트에 초대합니다. bit.ly/4biFyD7 ✅'채부심'채널 구독자분들이 만든 책 이 책은 읽어야지! 2024년 화제의 도서 [피크아웃 코리아] 출간! 출산율 제로사회, 미래를 준비하라 (도서구매 링크) 교보: bit.ly/3UO4nzQ 예스: bit.ly/3UDHVsZ 알라딘: bit.ly/3UF2CEW

  • @user-uu8uq4wv1v
    @user-uu8uq4wv1v21 күн бұрын

    이민은 정말 많이 가는 분위기 입니다. 중산층 이상 보면 자녀들이 다 유학가고 다시 돌아오지 않고 거기서 결혼하고 아예 사는 집들이 허다합니다. 당연히 국적도 미국이구요... 해외로 인력과 돈이 코로나 이후로 더 빠르게 이동되는것 같아요

  • @yk-bw6hb

    @yk-bw6hb

    21 күн бұрын

    원정 출산 유행 시점의 아이들이 성인이 되기 시작하는 시점입니다. 국적도 이중 국적에서 군 문제로 선택하는 시기가 왔네요. 자산의 가격은 상승했고, 부모들은 은퇴 준비하는 시점, 아이들 중에 많은 수가 해외에 공부한 경험, 증여와 상승 문제 등등. 많은 수의 자산을 가진이들이 해외를 선택하리라 봅니다. 지방 자산가들이 서울을 선택하는 것처럼 서울 자산가들이 해외를 선택하리라 봅니다. 이로 인한 자본 유출도 심각해지라 봅니다. 이민이 많아지면 고가의 주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 @user-zk8fn4pe5v

    @user-zk8fn4pe5v

    21 күн бұрын

    강남3구 국내 중상류층 엘리트들이 국내 대기업이나 전문직에서 잘먹고 잘살다가.. 우리사회를 변화시키고 개혁하기보다 나라가 흔들리고 위태로워지면 이민을 갑니다. 이게 우리나라 강남3구 보수층입니다.. 미국 사대주의로 미국식 사고에 젖어들어 제3자인것 처럼 사고하는데.. 과연 모국이 약해지는데 잘 먹고 잘살 것인지 두고봐야 할 일입니다. 한국에선 그나마 주류 유사하게 살았는데.. 미국가면 가장 하빠리 아웃사이더로 살아야 하는데.. 과연 만족스러울지..? 아마 매일 술을 찾게 될 것이라 봅니다..

  • @googoogood

    @googoogood

    21 күн бұрын

    영어도 못하고 능력도 없지만 흐리멍텅한 하늘 때문이라도 이민갈수있다면 가고 싶어요 부자들은 한국말고 어디를 가도 살기좋을테니까 살고 싶은 나라 가셔서 행복하게 사시면 좋겠네요

  • @woong2526

    @woong2526

    19 күн бұрын

    미국과 캐나다는 물가가 미쳐서 오히려 역이민이 증가했는데 미국 이민을 많이 가고 있다고요??? 미국에서 연봉 1억도 선택의 자유를 제한해가며 근근히 살아가는 수준인데 미국 이민 많이 가는거 맞죠? 제 지인들만 역이민 비율이 훨씬 많아졌어요.

  • @user-uu8uq4wv1v

    @user-uu8uq4wv1v

    19 күн бұрын

    @@woong2526 이 말도 맞는 말씀이세요. 물가랑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다시 꽤 한국에 들어갔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허나. 코로나 이후로 다시 또 나가는 분들도 많습니다. 나가서 사시는 분들은 한국에서 상당한 자금을 보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제주변에는 주로 임대사업으로 인한 수익 ).그리고 코로나 이후로는 미국 아니더라도 타국가 이민 준비하는 젊은 층이 꽤 생긴걸로 알고 있습니다.

  • @dkc1111
    @dkc111121 күн бұрын

    지방에서 서울로 온 청년들은 원룸살이를 탈피하지 못하는 도시의 노예로 전락하고 결혼과 출산으로부터 멀어진다.

  • @user-nn7ok7hl3j
    @user-nn7ok7hl3j20 күн бұрын

    진격의 거인 비유가 너무 잘 와닿았습니다. 순망치한이라고 지방 다음엔 수도권, 수도권 다음엔 서울 내 비인기 지역의 차례일 겁니다. 이웃집에 난 불을 구경만 하면 그 불이 내 집에도 옮겨붙는 법이니까요.

  • @heartshakefitnessdance5233

    @heartshakefitnessdance5233

    15 күн бұрын

    민주당 원내대표가 1주택자는 종부세 면제하겠다고 발언했습니다. 이거는 똘똘한 한주택, 서울 상급지 아파트는 상승길을 열어두는것 아닌가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 @seung-jaelee884
    @seung-jaelee88421 күн бұрын

    젊은이들은 너무 집에 몰빵하지 말고 수도권에 살더라도 작은 적당한 집만 마련하고 해외주식 등 금융 해외자산에 분산투자해서 위험을 줄여야 합니다. 영끌했다 나이 50-60세에 유동화할려 할 때쯤 돈이 묶여 노후가 망가질 수 있습니다.

  • @kmc9520

    @kmc9520

    20 күн бұрын

    전 더 공격적으로 젊은이들이 달러 자산에 집중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함 지금 최대한 검소하게 살고 남은 자산은 슈드와 에센피500에 최대한 집중해서 젊을 때 준비 해야 노후에 싫은 소리 안 하고 살 수 있음 다른 길이 없음

  • @daestongnyeon

    @daestongnyeon

    20 күн бұрын

    1. 작고 적당한 집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사람이 50%입니다. 2. 서학개미도 쉬운게 아니던데요. 각자도생 독자생존으로 노후를 보장할 수 없습니다. 국가공동체 차원에서 시스템적으로 공공연기금펀드, 공적배당(기초연금 등) 등과 같은 방식으로 평생현금흐름을 만들어 주어야 됩니다. 현금흐름이 있으면, 매달 월세내고 혹은 대출을 받아서 전세 혹은 자가로 주거할 수 있습니다. 지방에 살지 않는 이유는 지방에 살면 이런 현금흐름이 안 나오기 때문입니다(특히 사회초년생).

  • @user-uw2mb5jt5m

    @user-uw2mb5jt5m

    20 күн бұрын

    ​@@daestongnyeon국가에 뭘 기대해서 또다른 제도를 만든다면 제2의 국민연금이 되므로 적극 반대합니다 나라가 도둑놈입니다 각자도생.

  • @daestongnyeon

    @daestongnyeon

    20 күн бұрын

    @@user-uw2mb5jt5m 전 1인가구라 혼자 늙어갈 것 같습니다. 가족도 없고, 남은 것은 국가공동체나 지역공동체 밖에 없습니다. 도둑넘들 좀 쳐내고, 가 ㅈ같은 나라가 아니라, 나라가 가족이 되어야 합니다. 전국민 모든연령에 공적배당(기본소득, 평생현금흐름) 지급해서, 매월 은행이자(사적배당)처럼 따박따박 돈이 나오는 부자나라 만들어야지요. 노인, 중년, 청년, 청소년, 영유아 모두 행복해지는 방법입니다. 모든 국민 모든 세대에 평생현금흐름을 보장하는 부유하고 든든한 가정이 되어야 합니다.

  • @user-yq3xy7xf4l

    @user-yq3xy7xf4l

    20 күн бұрын

    금투세로 또 부동산으로 돈몰리게 유도중이죠

  • @user-ze9qc7jm8h
    @user-ze9qc7jm8h21 күн бұрын

    훌륭한 자료 분석 감사드립니다.

  • @beajinsu
    @beajinsu21 күн бұрын

    주거비 못 잡으면 출산율 반등도 없죠. 누구나 다 아는데 이걸 정부에서 모른척 한다구요. 정말 개 답답합니다.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21 күн бұрын

    주거비 어떻게 잡는게 베스트같나요? 민주당이든 국힘이든 주거비 잡으려고 합니다. 방식이 다르지만.

  • @pitlacto3216

    @pitlacto3216

    21 күн бұрын

    잡긴 뭘 잡아 폭락 막으려고 안간힘인데 잡을생각이면 둔주 안구해줬음 됐음

  • @pitlacto3216

    @pitlacto3216

    21 күн бұрын

    건설사도 왜 세금으로 살려 부실기업 정리하고 새출발 해야지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21 күн бұрын

    @@pitlacto3216 전 한국인들이 다수가 은근히 바보 같다고 느끼는게...ㅋㅋ 극과 극으로 밖에 해석을 못하는 겁니다. 건설사도 망할 곳은 냅둬야 하는게 맞는데 정부가 븅신같이 굴긴 했습니다. 다만 잡긴 뭘 잡아 라고 하는데 잡는 방법이 오로지 1가지 방법 밖엔 없나요? 상황에 따라서 밸런스를 맞춰야 하는 겁니다. 세상에 완벽한 정답은 없어요. 극단적인 방법을 취할 수록 다른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고 그 문제를 주시하면서 타이밍과 힘을 맞춰야 하는 겁니다.

  • @PTM90

    @PTM90

    21 күн бұрын

    @@user-df9lr7id9d 이번정부 신혼부부 영끌하라고 대출 풀고, 통계까지 조작해가며 부동산 떠받치는중

  • @dalrarjin767
    @dalrarjin76721 күн бұрын

    거짓 정보가 판을치는 세상에 냉철한 인사이트 주셔서 감사합니다.

  • @BrianPark7623

    @BrianPark7623

    18 күн бұрын

    정부, 언론, 커뮤니티 세상에 아무것도 믿을게 없네요 각자도생

  • @bullsnam2239
    @bullsnam223921 күн бұрын

    온국민이 콘크리트교 신도다

  • @donghyuncho5861

    @donghyuncho5861

    21 күн бұрын

    콘크리트는 수명이 있죠. 지금 대한민국 부동산교는 지하철 도보5분의 땅을 그 교주로 하고 있는 겁니다.

  • @CC-zx6ph

    @CC-zx6ph

    18 күн бұрын

    콘크리트 유토피아...

  • @user-cj7xg4gz8n

    @user-cj7xg4gz8n

    17 күн бұрын

    수도권 부동산교.

  • @jiyoonmin459
    @jiyoonmin45920 күн бұрын

    늘 공부가 되는 컨텐츠 감사드립니다.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21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이 저출산의 모든 이유는 아니지만 거의 비중 70% 이상의 주요원인 아닐가요? 주거가 불안한데 어떻게 가정을 꾸림? ㅋㅋ

  • @user-qv7lk4td6i

    @user-qv7lk4td6i

    21 күн бұрын

    ㄴㄴ sns가 90%임 평균 올려치기, 비교문화 등등

  • @user-fu7qm3gy7y

    @user-fu7qm3gy7y

    21 күн бұрын

    부모님 세대는 월세방, 사글세방에서 다 시작했는데요? 80년대 90년대초중반까지만 해도 단칸방에서 신혼살림 많이 했는데 아직도 생생히 기억남.

  • @sanglee7877

    @sanglee7877

    21 күн бұрын

    불과 10여년전만해도 빌라에서 신혼살림 차리고 시작하면서도 애 낳고 다 했는데.. 지금 빌라 값은 그때나 같은데 왜 빌라에서 시작을 못하는지?

  • @user-qv7lk4td6i

    @user-qv7lk4td6i

    21 күн бұрын

    @@sanglee7877 비교문화 때문에 빌라에서는 못 사는거죠. 인스타에는 서울 아파트에서 신혼생활 하는 부부보고 자기도 서울 아파트에서 하고 싶어하니 결혼도 안하는거 같음

  • @kyungtaeklee5811

    @kyungtaeklee5811

    20 күн бұрын

    부모님 세대를 처음에 전세나 월세로 시작하신분들 많았습니다. 그때도 잘살고 못 사는 사람 차이 많이 났고 부자동네 집은 살 엄두가 안났죠. 부동산이 저출산의 이유라기보다는 지금의 세대보다 지금의 개인과 커플들이 의존성이 낮아지고 혼자사는 것에 대해 많은 편의성이 높아져서 그렇다 라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위험하고 결혼이 문화였습니다.

  • @yongtaeklee9748
    @yongtaeklee974821 күн бұрын

    채상욱 선생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국민의 힘과 민주당 모두 주택 가격 안정화에 신경쓰지 않습니다. 주택 가격 하락을 일으키는 정책을 쓰면 바로 선거에서 패배할 것이라는 걸 알고 있어요. 저는 가장 시급한 정책이 HUG와 HF의 전세 보증 상품 폐지라고 생각합니다. 이것 때문에 무분별한 전세 대출이 이루어지고 있고 전세가격 상승에 따라 집값이 부양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세 대출만 없어져도 우리나라 집값 제대로 잡힐 겁니다. 이명박 정부 이전만 해도 전세보증금을 내 돈 100%로 임대인에게 지급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노무현 정부 말기 때 집값이 폭등하긴 했지만 그 전까지만 해도 합리적인 주택가격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전세사기로 부실화된 HUG에 투입되는 증자대금이 조단위인데 이 돈으로 서민 임대주택을 짓거나 매입하고 시세보다 낮게 서민들에게 임차했으면 어땠을까 합니다. 전세대출이 없어지면 전세가 장기적으로 사라지게 되고 월세 위주 시장으로 재편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월세가 전세보다 임차인에게 안정적입니다. 집값 하락에 따른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를 임차인이 부담하는게 말이 안됩니다. 그래서 HUG는 전세보증 상품을 없애고 본연의 업무로 집중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서울대 김경민 교수님이 전에 얘기했던게 상장 리츠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고 임대주택 개발사업을 일으켜서 양질의 저렴한 임대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해야한다고 하셨습니다. 향후 윤석열 정부든 차기정부에서 김경민 교수님 주장대로 리츠를 활용한 대규모 임대주택 공급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이미 LH와 SH가 리츠 자산관리회사로 업무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의지만 있으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지스레지던스 같은 상장리츠라면 지가 상승에 따른 수익을 유가증권시장에 참여하는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이 얻을 수 있을 거라서 아주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동산의 민주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97500cdthfd

    @97500cdthfd

    21 күн бұрын

    전세대출과 전세보증보험이 전세가와 집값을 떠받치는 효자인데 그걸 없앨리가요 우리나라 집값은 전세대출과 전세보증보험이라는 종이로 만든 집입니다

  • @user-pk2ct6bu2e

    @user-pk2ct6bu2e

    21 күн бұрын

    누구좋으라고 떨어질게 뻔한 부동산을 세금으로 매입해요 꼭넘쳐나는 미분양 세금가져다 사라고 하는 누구들같네

  • @Martian_Jay

    @Martian_Jay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건설사 살리려고 전국민 내다버린게 윤석열인데 기대할걸 기대해요 ㅋㅋㅋ

  • @user-zk8fn4pe5v

    @user-zk8fn4pe5v

    21 күн бұрын

    이미 늦었습니다. 국가정책은 청와대에서 국제정세와 국내상황을 정확히 파악해 십년 이상.. 최소 몇년 앞을 내다보고 추진해야 하는데.. 윤석열은 부동산유지정책으로 방향을 잡았고.. 2년만에 국가자원을 거의 다 소진해 버렸습니다. 지금에 와서 바꿀수도 없습니다. 절대절명의 정책실패입니다. 국민들이 그걸 바라고 윤석열을 찍었던 것입니다. 정치지도자라면 제대로 전략을 수립했어야 하며, 국민들을 설득했어야 했고, 정권초기 실행했어야 했습니다. 지난 2년에 무능함과 무도함은 굳이 설명 드리지 않겠습니다. 윤석열은 정치초짜입니다. 탐욕스러운 국민들은 이제 곧 그 댓가를 모두 치루게 될 것이니 말입니다.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21 күн бұрын

    공무원들이 쳐개을러서 안할껄요? 아파트 지을려면 얼마나 할게 많은데.. 그냥 글자몇자 끄적여서 은행손 비틀어 전세대출이나 많이하게 해주면 쉽게쉽게 일할수 있는데....

  • @user-is8hj7yx1x
    @user-is8hj7yx1x19 күн бұрын

    믿고보는 영상~감사합니다

  • @bjh7332
    @bjh733221 күн бұрын

    선댓글 후감상!

  • @user-tj8eo9cl6e
    @user-tj8eo9cl6e21 күн бұрын

    전.월세가 올라가도 매매는 고려하지 않고있습니다. 어차피 갖고싶은 곳은 과한가격이고, 미래가 어떻게 될지 확신할순 없지만 주보다 식이 우선이라는 생각으로 현금채굴에 집중하고 있어요. 거주는 욕심낮추면 살곳은 있으니까요.

  • @vldlxh

    @vldlxh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맘대루하세여

  • @parkiksoon1317

    @parkiksoon1317

    21 күн бұрын

    방향 잘 잡고 있으시다고 봅니다. 보다 확실한 대안이 있으니 - 지금 미국주식시장 대세상승장 중반 입니다( 유뷰트 유동원의 성공투자 참고 하세요 - 주식투자에도 신경쓰시면 좋겠어요~. 요 답글 다신 분 어디 경기도에 집 하나 가진 분 인듯 한데, 그게 뭐 자랑이라고 조롱조의 답글 남기고 다니시길래요. (참고로 전 23년 장기 보유 부동산 처분자 입니다 ㅋ)

  • @user-dq6do3ri4o

    @user-dq6do3ri4o

    19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은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죠 월세를 살면 평생 그대로 살지만 부동산을 갖게 되면 그나마 부동산은 남게되죠 잘 따져보세요 능력이 조금만 된다면 대출이자가 월세 또는 전월세보다 저렴할 수 있어요

  • @parkiksoon1317

    @parkiksoon1317

    18 күн бұрын

    ​​​일반론으로는 맞습니다. 그런데 부동산도 하나의 자산으로 가치가 수축과 팽창을 하는데, 팽창했을 때 - 즉 비싸게 - 사면 오래 혹은 크게 물릴 수 있어요. 지금 회사채 이자 7%이니 대출이자보다 낮고, S&P 지난 1년 26% 상승했네요. 즉 시류에 맞는 자산 배분이 중요한 거고 지금 부동산은 자본 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시점이라고 봅니다. 주식 채권 원자재 흐름 같이 보심 좋겟습니다.

  • @waterproof5966

    @waterproof5966

    18 күн бұрын

    현명하시네요. 특히 자식 없으면 학군에 상관없이 내가 원하는 주거형태 가능하므로 주거에 큰 돈 들일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 @user-zx2se6cn7g
    @user-zx2se6cn7g21 күн бұрын

    선댓글, 좋아요, 후감상!

  • @jayhan9477
    @jayhan947721 күн бұрын

    끝이 다 와가도 끝까지 현실을 받아들이지 않고 부정하고 뒤로 미루는 모습에 말씀처럼 씁쓸합니다. 정말 후세대를 위해 그렇게 되지 않길 바라지만 필연적으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우리의 모습... 영상 잘 봤습니다.

  • @tubeyou1490
    @tubeyou149020 күн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은 원화자산(대표적인게 국내 부동산) 최대한 피하고 달러로 통용되는 해외자산을 최대한 가지고 있는 식으로 재무 설계를 해야 하는 상황이네요.

  • @gallow9867
    @gallow986720 күн бұрын

    채상욱 선생님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핵심은 단절과 자립 아니겠습니까

  • @jtghfghusce
    @jtghfghusce20 күн бұрын

    정말 동의합니다. 말씀하신 내용은 역대 선거 결과와도 관련이 큽니다. 지방의 인구 유출입과 선거, 지지정당도 다 관련성이 있습니다. 부동산 채널에서 주제가 너무 넓어질 수 있겠지만, 인구/부동산/피크아웃코리아/선거를 입체적으로 분석해서 지금 처럼 쉽게 전달해 주시면 더 재미있겠습니다. 진격의 거인 비유가 정말 딱이네요. 책 구입하러 서점에 갑니다😊 잘봤습니다.

  • @user-vv1hi7ce7i
    @user-vv1hi7ce7i17 күн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해결책이뭘지 많이 고민해보게되는 영상입니다. 저조차도 서울에 투자할생각을하고있는데.. 현실이 참 씁슬하네요. 개인은 결국 심리와 추세를 따라가니깐요..

  • @reborn2114
    @reborn211421 күн бұрын

    이런 엄청난 분석은 ...... 도대체 얼마나 많이 공부하고 분석하고 그레야 나올수있는 정보입니까?! 존경스럽습니다.

  • @s5shilla181
    @s5shilla18121 күн бұрын

    개인이 어떤 대비를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지금이라도 사야하는건지…국가차원의 대비는 기대 안합니다

  • @user-cp9rt9vo5m
    @user-cp9rt9vo5m20 күн бұрын

    안타까운 마음으로 함께 하시는 대표님 감사합니다 지방은 핵심지 1급지로 몰리고 대구 1급지 상승 빨라지고 있습니다~

  • @jinkyu1
    @jinkyu120 күн бұрын

    제주시 노형동의 외지인 갭투자가 몰렸던 20평대 초반 이하 아파트(신제주 해오름이나 부영2차 등)들, 2년 보유기간 지나니 매물이 많이 나왔네요. 지금 호가가 코로나 피크때 대비 많이 빠졌어도 코로나 매수시기에 비하면 수익권이겠지만, 인구가 다시 유출상황인데 받아줄 수요가 어떨는지.

  • @GaRang_Be
    @GaRang_Be21 күн бұрын

    나중에 시간되시면 우리나라의 "리스크 매니지먼트의 실종"에 대해서도 한 번 다뤄주세요. 영끌부터 시작해서 부동산 PF 사태까지 우리나라에서 리스크 관리 되는 곳이 아무 곳도 없는거 같습니다....

  • @user-gn3ld2hs3k
    @user-gn3ld2hs3k20 күн бұрын

    유동성, 인플레이션이 자산가격 상승을 지역별 차별화(수도권)로 나타나는 우리의선탹도 어쩔 수 없이 수도원으로 갈 수밖에 없네요.. 컨텐츠 잘 보았습니다.

  • @sunnykim5002
    @sunnykim500221 күн бұрын

    개인의 나이.자산규모 등에 따라 전략분석 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user-xi9zk6es3t
    @user-xi9zk6es3t2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dkwon1580
    @hdkwon158021 күн бұрын

    서울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법인세 인하 혜택 등을 주면 되지 않을까요? 부산 정도면 대기업들도 이동할 만한 유인책이 될 수도 있을거 같은데..

  • @YJoe-hn2cp

    @YJoe-hn2cp

    21 күн бұрын

    다른 지방들 끼리 싸우니 문제죠 ㅎㅎ 힌두곳 서울에서 먼곳 집중 개발해야 하는데 선택 받지 못한 지방 그리고 중앙에 계신 유권자들은 그꼴 못봐요 군사 독재시절로 돌아가지 않는한 서울도 관습헌법이니 해서 못 옴기는데 ㅎㅎ

  • @97500cdthfd

    @97500cdthfd

    21 күн бұрын

    법인세 인하해줘도 안가요 지방에선 인재를 고용할수가 없는데 어떻게 갑니까

  • @econandpower

    @econandpower

    18 күн бұрын

    ​@@97500cdthfd사실 뭐가 먼저인지 모르겠네요.. 삼성 현대차 본사 옮기면 싫어도 따라가지 않을까요?

  • @user-cj7xg4gz8n

    @user-cj7xg4gz8n

    17 күн бұрын

    @@econandpower 지방거점도시를 억지로라도 만들어서 기업이전시키고 문화 활성화시켜야죠. 국가재무자본을 거점도시에 투입해야 가능한 일인데.... 수도권 부동산 정확히는 강남구 부동산부자들이 가능하게 안둘거임. 지금도 국가자본을 빩아먹고 부동산 유지하는데.

  • @hyunjinlee2230
    @hyunjinlee223021 күн бұрын

    인플레이션의 시대여서 결국 가격이 부동산에도 전가되리가 생각됩니다..

  • @user-nz6qu2bk3s
    @user-nz6qu2bk3s21 күн бұрын

    10년 안에 인구 500만명 줄어드는데.. 한 해 출산 22만명 국가에서 참.. 그러면 안되는데 웃음이 나옵니다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

    21 күн бұрын

    ㅇㅇ 연간 20만명대면 80세까지 한명도 안죽고 다 살아도 총인구 1600만이 안되겠네요.. 이제 실감들 좀 나실까요 ㅋㅋㅋ

  • @FXKXR

    @FXKXR

    21 күн бұрын

    건보 공단 통계에 따르면 선천적 기형아 비율이 30%임. 즉, 지금 22만 출생아 수에서 70%만 미래에 경제 활동이 가능하다는 뜻임. 물론 이건 자폐아나 정신적 장애아까지는 포함하지 않은 수치고. 애초에 부동산 버블 하나로 영원히 갈 수 없는 구조임.

  • @eg1tqnxu1

    @eg1tqnxu1

    21 күн бұрын

    웃음벨인가유?

  • @user-fu7qm3gy7y

    @user-fu7qm3gy7y

    21 күн бұрын

    그전에 침략당해서 다른나라 될텐데 뭔 걱정임? 대한민국 생긴지 100년도 안됨. 중국,미국,일본 중에 하나가 우리나라 먹을듯.

  •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21 күн бұрын

    ​@@user-fu7qm3gy7y읿본일 듯 이미 다 짜고 지금 갖다 받치는 것처럼 보이잖아요 군사 훈련도 같이 라인도 뺏기고 자위대가 공격 가능한 군대로 바뀌고 지진나서 가라 안기 전에 재침락할 듯 북한은 중국이 먹을 거고 나라 망하기 전에 죽는 나이라 다행이지

  • @SuyongChoi
    @SuyongChoi21 күн бұрын

    서울에 아파트 있는 사람으로서 phase 2 준비할 게 있나여? phase 2 진행 중일 때 매도? Phase 3 때는 미국으로 떠나는 보트 난민?

  • @user-oy5eb9oy2d
    @user-oy5eb9oy2d20 күн бұрын

    정치나 정책 나오는거 보면 귀 막고 자기 말만 옳은 부장님 스타일. . . 이민가고싶다......

  • @hfdzvb
    @hfdzvb21 күн бұрын

    러닝을 뛰다 보면 세컨드윈드가 오고 다시 잘 뛰게 되는 순간이 옵니다. 대한민국에도 세컨드윈드가 불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세컨드윈드 코리아.

  • @tonylee5256
    @tonylee525621 күн бұрын

    콘크리트유토피아 영화가 생각납니다.

  • @jhonl1645
    @jhonl164521 күн бұрын

    단기 전망이 하향 안정에서 강보합-상승으로 바뀌었다는 것도 큰 의미가 있고, 당장은 이게 더 중요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너무 간단히 넘어가신 것 같습니다. 전망이 틀렸다 맞다는 것 보단 논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적어도 단기 뷰에 대해서도 조금 더 다뤄 주시면 좋겠네요

  • @user-uo3rg4eg8y
    @user-uo3rg4eg8y20 күн бұрын

    주말에 영상 강의 감사합니다

  • @user-ob6jt8xk3d
    @user-ob6jt8xk3d20 күн бұрын

    원거리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업이라 지방 소도시 이주해서 살고 싶은데 중학교 아이 데리고 가는 건 너무 무모한 걸까요

  • @user-ks1je4je3m
    @user-ks1je4je3m21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부동산외 자산을 굴려서 나름의 돈을 벌고 있습니다. 물론 원화는 전체 자산의 20프로 미만이고요. 문제는 이 상태에서 거품 낀거 알면서도 서울 부동산을 사야 하는지 고민입니다. 진격의 거인으로 비유 하셨는데 맨 안쪽의 월 시나에 해당되는 강남 혹은 그보다는 조금 덜 하지만 인기 좋은 마용성의 대단지 아파트를 사면 어느정도까지 안전할수 있는지 불확실한 모델조차 만들수 없으니 갑갑합니다.

  • @parkiksoon1317

    @parkiksoon1317

    21 күн бұрын

    작년에 장기보유 부동산 매도하고 지금은 주식 채권 1B 이상 (미국주식 60%)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는 미국주식시장은 대세 상승장 중반, 한국 부동산은 중기 전망은 불투명하다고 보니 - 대체로 동의하실 거러고 봅니다 - 냉정하게 부동산에 집착할 필요 없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무늬는 긴축인 상황 지속되고 있고, 내년 경 정리 안된 부채가 탈이 날 거라고 보니 (긴 사정을 여기 적기는 어렵겠네요) , 노리던 종목 잡을 때처럼, 공 줄 때 받으면 되겠지요. 워낙 큰 불장 후인지라 지라 조급해 한 마음 드는 게 당연할텐데요, 1도 급할 필요 없다고 봅니다.

  • @user-ov5lh2gv1s
    @user-ov5lh2gv1s19 күн бұрын

    채상욱님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타영상에서 집값과 출산 관계는 인과 관계는 아니고 상관관계라고 하셨습니다 1.인과관계 있는게 있을까요? 2.저출산중 가장 큰 요인 하나 꼽으라면 뭘까요? (대다수가 부동산 이라고 할거 같아서 질문남겨봅니다) 저출산이 하나를 잡는다고 해결될건 아니라고 봅니다만 우선순위를 파악하는것도 필요하다고 보는입장에서 질문남겨봅니다

  • @user-gs2uz1cr8m

    @user-gs2uz1cr8m

    12 күн бұрын

    집값이 저출산의 중대요인임에는 부정할수없는 사실입니다.

  • @a01046596920
    @a0104659692019 күн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 @John_Bae
    @John_Bae21 күн бұрын

    제로 섬 게임의 시작인가?

  • @user-ul5vn6nc9k
    @user-ul5vn6nc9k19 күн бұрын

    개인들은 어떤 대응을 할 수 있을까요?

  • @user-hg3xu2qb3o
    @user-hg3xu2qb3o21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궁금한 것이 있어 댓글 드립니다. 영상 14:29쯤에서 "주택시장에서 전세와 매매는 늘 정상관이었다"라고 말씀하셨는데요. 이게 주택 전세가격과 매매가격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말씀이실까요? 2010년부터 2014년 사이는 전세 올랐어도 주택가격은 떨어진걸로 알고 있는데요. 딴지걸려는 의도는 아니고 제가 잘못이해한 것인지 해서 여쭙습니다.

  • @user-lh6jc8xi7x

    @user-lh6jc8xi7x

    21 күн бұрын

    2008년 ~ 14년 까지 매매가는 멈춰있고 전세가는 올라갔다고 게시물에 쓴걸 읽었습니다.

  • @user-wt7zz5wq6l

    @user-wt7zz5wq6l

    21 күн бұрын

    멈춰선게아니고 13년까지 떨어졌습니다 지수 짤라서보면 하락폭도 길게 깊게 패였었죠

  • @97500cdthfd

    @97500cdthfd

    21 күн бұрын

    그때만 예외였습니다

  • @jiyoung5301

    @jiyoung5301

    21 күн бұрын

    매매가는 쭉하락하던 중이었고, 전세가는 빠졌다가 먼저반등하니까 그 시기에는 잠시 어긋나는거죠. 전세가가 먼저오른게 핵심이에요.

  • @Love-my-self
    @Love-my-self21 күн бұрын

    도망가자~

  • @84sorang
    @84sorang21 күн бұрын

    세금제도와 자본시장 정책도 피크아웃에 큰 역할함

  • @robotdoctor
    @robotdoctor21 күн бұрын

    추경호가 외화 반출 규제를 완화한이유지..

  • @dianekim4645
    @dianekim464521 күн бұрын

    진격의 거인 지역이 한국 부동산으로 비유되고 이걸 채님 입으로 들을줄이야ㅋㅋㅋㅋㅋㅋㅋ

  • @vldlxh
    @vldlxh21 күн бұрын

    인간본성과 기득권, 사실을 기반으로 예측해야하는데, 당위만강조하니 예측이될리가있나요

  • @user-hp5fw2yk8y
    @user-hp5fw2yk8y21 күн бұрын

    특정 동네를 언급하고 싶진 않구요 서울도 외곽은 반등 없이 계속 빠지고 있는거 같아요

  • @user-wn7ww8bi5v

    @user-wn7ww8bi5v

    21 күн бұрын

    기횝니다

  • @user-nl3jq6et5s

    @user-nl3jq6et5s

    20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또 기회가 지나갑니다..

  • @priver1034
    @priver103421 күн бұрын

    그럼 앞으로 당분간 서울, 특히 강남 집값은 반등이 계속되는 걸까요? 미국도 조만간 금리 인하될 거라는 소식도 들려오구요. 역사적인 경제에서의 사이클이란 앞으로는 무시해도 될 그런 이론인건지, 답답하네요. 1분기의 반등이 선거 관련이거나 일시적 데드켓 바운스일거라 생각했는데 말이죠

  • @user-jg4wf6hg5x
    @user-jg4wf6hg5x21 күн бұрын

    지방 분들이 집을 파는 건 인정... 그런데, 지방은 소멸될 거 같은데, 대한민국은 멀쩡할 걸로 보일까요? 굳이 다시 무거운 원화자산을 취득하는 건 이해하기 힘드네요.

  • @JH-rz1ze
    @JH-rz1ze20 күн бұрын

    진격의 거인으로 설명😂매우 훌륭하네요

  • @Black-kx1qu
    @Black-kx1qu18 күн бұрын

    매매로 11.5이 거진 맥스고, 여의도역에서 맞벌이 부부고, 아이 6살인데 어디 살면 좋을까요? 현금은 5.5억정도 있습니다.

  • @user-mt4nz6tv1d
    @user-mt4nz6tv1d18 күн бұрын

    금리인상 핑계?로 전월세 공히 수익 짜내기장이라고 보는 게 타당해보입니다. 지방도 나름이고 수도권도 나름이꺼라 원하는 지역에 좋은 시기가 올 때까지 금리+알파의 수익형 부동산과 주택 전세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 @gnj3231
    @gnj323120 күн бұрын

    현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해당사자가 되어 일부 지도자급의 의지만으로는 힘들어졌다고 봅니다. 차라리 로또급의 과힉기술 발전, 전국 30분 생활권 정도의 모빌리티 혁명 정도는 일어나야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 @ddubukki
    @ddubukki21 күн бұрын

    그 동안 대한민국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kl2078
    @skl207821 күн бұрын

    오~~ 서울 강동거주.. 미장에 모두 투자요. 오늘도 오천만 달러 환전. 원화 가지고 있는게 불안합니다. 서울 부동산도 못 믿겠어요.

  • @happyet5968

    @happyet5968

    21 күн бұрын

    5천만 달러면 1350원으로 계산해도 675억인데... 헉... 왜 강동에...

  • @parkandy5182

    @parkandy5182

    21 күн бұрын

    @@happyet5968 5천만원을 달러로 환전^^

  • @user-hb4zv3to2j

    @user-hb4zv3to2j

    20 күн бұрын

    @@happyet5968 5천만(원을) 달러(로) 환전 / 5천만 달러(를) 환전 과연 글쓴분의 말뜻이 전자일까요 후자일까요?^^ 저도 글을 보는 순간 5천만 달러로 읽혔네요

  • @user-jr9fe2mw9o

    @user-jr9fe2mw9o

    20 күн бұрын

    5천만원 환전했다는 이야기

  • @darkmatter1505
    @darkmatter150520 күн бұрын

    신생아가 태어나면 정부에서 1억원식 연금을 만들어주고 연금의 50%는 코스피 지수에 나머지 50%는 s&p 500에 투자하고 운영을 국민연금처럼 국가 기관에서 수수료를 0%에 가깝게 낮춰 운영하고 40세가 넘어야만 찾을 수 있게 해주면 저출산의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 노후대비, 대학진학, 주거문제가 한번에 해결된다.

  • @user-tj9fl8cr1e
    @user-tj9fl8cr1e21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은 예전부터 관심 없었는데, 주변에는 아직도 갭투자하는 사람 널렸습니다. 출산율은 전혀 관계 없다하고, 상욱님 영상은 보고도 콧방귀도 안 뀝니다. 집가진 사람들은 한국 부동산 절대 안 망한다고 100% 확신하죠. 과연 그럴까요.? 결혼을 앞둔 시점이지만 개인적으로 부동산 취득하고 싶진 않네요. 지방가면 폐가가 널렸는데 수도권 집중 현상때문에 이 좁은 나라에서 가격이 하늘과 땅 차이인 게 납득이 안가서요.

  • @ryanjung9497
    @ryanjung949721 күн бұрын

    실거주가 아닌 주택 투자 시 양도차익 또는 보유세를 중하게 줘서 실거주 아닌 투자 수요를 지양시킬 수는 없나요?

  • @seo-nu5574

    @seo-nu5574

    21 күн бұрын

    좀 더 복합적으로 접근해야지 단순히 수요자만 잡는다고 잡힐 거였으면 전 정권이 5년 만에 정권 교체당했겠습니까...

  • @user-sj5sx1ny1y

    @user-sj5sx1ny1y

    21 күн бұрын

    그게 결국 세입자에게 전가가 됩니다… 양도차익이 높으면 그냥 안 팔고 전세가만 올리면 그만이구요. 보유세가 높으면 전세가나 월세에 다 반영 됩니다. 결국 해결책은 수도권 집중을 잡아서 근본적인 수요를 줄여서 집값이 오를 요인을 없애는 방법 밖에 없어요…

  • @97500cdthfd

    @97500cdthfd

    21 күн бұрын

    집값 떨어지는 정책을 쓸리가요

  • @user-dd7wo1gx5d

    @user-dd7wo1gx5d

    12 күн бұрын

    ​​@@user-sj5sx1ny1y보유세 양도차익 올리면 시장 자체가 작아집니다. ㅉ

  • @klee06able
    @klee06able20 күн бұрын

    Good

  • @JH-kk3us
    @JH-kk3us21 күн бұрын

    이미 피크아웃코리아라면 인구가 없어서 노동력이 없어서 개발할 도시가 없어서 고령화가 문제라면 그 근간의 모든 문제 해결에 어렵겠지만 더 고통받는 윗동네와 통일도 있지 않을까요? 개발도 해야하고 인구도 합치고 애들도 있고 외국인 노동인력 수입해서 쓰느니 합쳐서 다시한번 가보자~~

  • @sjk8544

    @sjk8544

    21 күн бұрын

    김정은이 통일 하겠어요? 요새 러시아에도 붙어서 잘사는거같은데..대한민국을 주적이라하고 난리도 아닌데 이런거 뉴스로 안 내보내니 아직도 통일어쩌고..ㅎ

  • @user-rk1ql5yj4p
    @user-rk1ql5yj4p21 күн бұрын

    완전 동감합니다...데워지는 물속의 개구리라고 하지요.... 자신들이 죽어가는지도 모르고 결국 본능에 충실하니 문제될 것 없다는 듯이.... 공동체 시민의식을 뒤로 하고 그 놈의 자유만 외쳐대니....하지만 돌이킬 수 없을 듯 하네요...

  • @JS-fx8tb
    @JS-fx8tb21 күн бұрын

    ㅋㅋ...미쳐가는듯요 서울은 포격맞아도 집값 오를듯

  • @FXKXR

    @FXKXR

    21 күн бұрын

    핵폭탄 맞아도 콘크리트 가루조차 금이라고 떠 받들듯 ㅋㅋㅋ

  • @SeongLee-mt6bi

    @SeongLee-mt6bi

    21 күн бұрын

    땅만 남고 건물은 무너지는데 폭락하죠 전쟁나야 수요가 지방광역시랑 세종으로 분산되고 거기다 통일돼서 평양 개발되면 서울은 가격 떡락할거라 봅니다.

  • @user-fu7qm3gy7y

    @user-fu7qm3gy7y

    21 күн бұрын

    개웃기네요 ㅋㅋㅋ

  • @sanglee7877

    @sanglee7877

    21 күн бұрын

    원래 부동산을 산다는건 땅을 사는것임

  • @user-hd8ip2vs8b

    @user-hd8ip2vs8b

    20 күн бұрын

    ​@@aseoul6000샀어요?

  • @frederichj5658
    @frederichj565820 күн бұрын

    난 수도권 거주. 투자는 미국장으로. 채부심이 말하는 대로..... 원화 자산에서 조금씩 탈출. 노후도 굳이 어느 한 나라에 얽매일 필요도 없으니 더더욱 원화 자산 필요없음.

  • @solosist2
    @solosist221 күн бұрын

    서울 주요 대학 강제 이전. 서울에 대학교 0 화

  • @user-zr2po3dk7r

    @user-zr2po3dk7r

    20 күн бұрын

    또 군사쿠테타라도 일어나서 독재가 나오지 않는이상 불가능 하다는거 ㅋㅋ

  • @user-cj7xg4gz8n

    @user-cj7xg4gz8n

    17 күн бұрын

    그런 정책 피다가 노무현전대통령이 ㅇ죽임을 당했죠.

  • @zmfreeroo
    @zmfreeroo20 күн бұрын

    정책은 결국 표 따라 갈 수 밖에 없는데 가장 많은 표를 가진 세대가 대부분 부동산 몰빵을 했던 세대이기 때문에 미래 세대를 위한 정책은 인구 그래프가 아래위로 뒤집히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안나온다고 보면 됩니다. 각자도생입니다.

  • @saikau6333
    @saikau633321 күн бұрын

    이젠 직구 제한도 해버리는데 누가 농담이지만 직구 제한에서 벗어나느 법으로 해외로 이민가면 듼다 이런소리 하던데 순간 음... 맞는 얘기군 하면서 공감해버렸습니다 ㅋㅋㅋ

  • @newappler
    @newappler21 күн бұрын

    피크아웃코리아 Phase 1 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지방소멸과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더 심화될 것 같습니다. Phase 2는 로제가 무너지는 시점이 될텐데 해법을 못 찿는다면 잠재성장율이 뒷걸음치는 2040년부터 본격화 되지 않을까요? 대기업이 대한민국을 성장을 견인하는 현재구조에서 강한 중소기업들이 대한민국을 성장률을 이끌어가는 산업구조 재편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수도 이전도 국가 균형 발전 차원에서 고려하고 국영 기업체의 지방 이전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대주택 공급이 사실상 답보 상태인 상황에서 다주택자를 투기집단으로 몰아 세우는 반시장적 프레임도 전환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일찍 결혼하고 출산하는 부부에게 혜택을 주는 정책도 고려했으면 합니다. 프랑스에서 시행하는 것처럼 출산휴가 중인 여성에게 연금을 지급하는 방법도 가능한지 논의했으면 좋겠습니다. 최악(?)의 경우 전통적인 가족 개념 변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대한민국호의 리더들과 현명한 국민들이 솔루션을 찿아낼 것으로 믿습니다.

  • @tdk487
    @tdk48721 күн бұрын

    너무 장기적인 관점이라 중,단기적인 요인에 의해 뷰가 계속 바뀌실거 같은 느낌이 드네요. 워낙 똑똑하신 분이라 주장에 반박할 자신은 없지만... 오랜 팬으로서 보기에 정말 뷰가 너무 자주 바뀌신다는 생각이 들어요. 예전에는 그게 용기로 보였는데, 이젠 너무 자주 바뀌셔서 너무 혼란스럽네요.

  • @porto5337

    @porto5337

    21 күн бұрын

    나만 그렇게 생각한게 아니네

  • @kim-hq2gu
    @kim-hq2gu18 күн бұрын

    개인적으로 외국에살고 한국외국 한채씩보유중이지만 중소기업대기업임금격차가 너무심함. 3~4배씩나니까 불평등심화됨 대기업못가면 다음계획이안됨

  • @wisecatsTV

    @wisecatsTV

    16 күн бұрын

    이거요! 저도 문정부때 이리 임금 격차를 벌여놓은게 저출생, 부동산과열의 큰 원인 중 하나라고 보고 있어요! 의도는 그렇지 않았겠지만 결과적으로 탄탄하고 돈 잘버는 대기업의 임금상승이 넘사벽으로 뛰었죠. 상대적으로 그 이하 직군은 박탈감이 너무 심합니다. 대기업의 소득상승율을 제한했어야 했어요. 같은 비율이라도 절대값이 커져버리니 양극화가 극심!!

  • @user-xx6mf4sw1s
    @user-xx6mf4sw1s20 күн бұрын

    출산율을 최대한 억제해서 쾌적한 생활 환경을 만들려는 큰 그림 그런데 결과적으로 지방만 쭉쭉 다이어트되고 서울과 수도권은 비만이 되어가는 현실

  • @user-xy2nh6qq5f
    @user-xy2nh6qq5f20 күн бұрын

    정부나 국민들 정서나 그냥은 절대 안바뀌고 상당한 대가를 치르고 나서 변화가 시작될 듯 ...

  • @hanq9361
    @hanq936120 күн бұрын

    자산에 따른 신분계급도 이미 존재하고 기존 시스템이 무너져도 기득권들만 부가 더 쌓이는 모순은 해소될 리 없으니, 계급차를 인정하고 자기 계층끼리 어울려 사는 거죠.. 봉건사회가 되지않게 그 계급간 차별, 착취, 폭력을 최소화로 국가가 통치한다면..

  •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20 күн бұрын

    이전 영상에 남긴 지방이전기업 세액감면 문제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이거 정말 중요하다고 보거든요. 공론화좀 해주세요. 추가로 찾아보니 네이버뉴스 부산일보 "기업 지방이전 하라면서 세금 혜택은 되레 줄이다니" 이걸 보니 감사원이 한 이상한 제안을 기재부가 받은거같이 보이네요. 최근 기사에 나온 세금 감액 수치가 줄어든거 보니 법 자체의 효과도 줄어들었고... 근데 오히려 대기업은 그대로 혜택 보겠네요. 가지도 않으면서. 피해는 소기업 특히 이런 소기업은 특성상 무자본 1인기업부터 시작되는 아이디어로 승부보는 젊은이들이 더욱 더 도전하는 형태의 회사들이 많을텐데... 이런 젊은이들을 지방으로 내려보내는거 그것도 강제도 아니고 자율적으로 세금혜택을 보려고 자발적으로 내려가는게 가장 좋은 형태의 지방 이전일텐데 이걸 소탐대실하느라 막아버리네요. 정말 나라가 거꾸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지방에 뭐 새로 만든다고 몇조 몇십조씩 특구 만든다느니 이딴짓 하지말고 무자본 1인기업부터 지방이전 세액감면만 더 확대시켜도 자발적으로 내려갈텐데...

  •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

    20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인터넷 방송으로 쇼하고 춤추고 이러면서 별풍선받는 bj들이 인천 송도에 다 모여산다고 하죠. 청년 창업으로 5년간 세금 전액 면제해주니까 스스로 알아서 간거죠. 이런 생산성 없는 고소득자들도 개념없이 면제해주면서 참 웃긴 일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해주니까 확실히 간다는 증거기도 하죠.

  • @user-fh7oh3ju6l
    @user-fh7oh3ju6l21 күн бұрын

    개인의 입장에선 아이를 낳지 않는것이 생존에 유리하다. 그러나 국가는 국가의 존속을 위해서는 아이가 필요하다. 심하게 얘기하면 개인이 낳은 아이를 국가가 인수해서 키우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 @user-ob5fs1ch6n
    @user-ob5fs1ch6n21 күн бұрын

    따로 강의해주시는 것도 가서 들어도 봤는데 재밌게 잘들었습니다(최고의 강사이자 투자자!!). 다만 이번 컨텐츠는 향후 4~5년내 투자를 다루기보단 너무 큰그림을 다루니 약간 예전 선대인 인구론 부동산 폭망론 같은 뜬구름 잡는거 같아 저는 별로네요

  • @jhkoh4355

    @jhkoh4355

    21 күн бұрын

    말이 많이 과장스럽군요. 선대인 이야기는 2008년 무렵이고 그때는 서울지역 아파트 가격이 지금의 절반도 안되었고 출산율저하가 지금처럼 심각하지도 않았습니다

  • @user-gx6ol6cq7d
    @user-gx6ol6cq7d21 күн бұрын

    채부심님 뷰가 또 한번 빗나간 건가요

  • @backstreet-gangster
    @backstreet-gangster20 күн бұрын

    서울 중상급지 이상 원리금 부담 없는 한에서 대출해서 집사는 거 아니면 그 이하 하급지는 대출없이 집 사는게 답.

  • @user-gp9wx6vp1i
    @user-gp9wx6vp1i20 күн бұрын

    금융감독원, 증권거래소를 울릉도에 이전하면 금융기관 본점이 안 따라갈까?? 안갈수가 있나?? 이런 핵심 정부기관들이 관습적인 수도라는 말도 안되는 헌법재판관들이 선출직도 아닌 그저 지들이 공부잘했다라는 이유로 선출직 대통령이 지방 분권화 정책을 펼치니까 반대해서 결국 수도권에 남아있다보니, 좋은 일자리는 계속 수도권에 생기고.. 지방은 뭐 다 관광업만 해야 하나? 청와대가 지방에 있어봐라.. 방송사, 신문사들이 안내려 가는지... 모든게 서울에 있으니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 @user-cj7xg4gz8n
    @user-cj7xg4gz8n17 күн бұрын

    부동산 몰빵인 나라에서 무슨 기대를 할까요?

  • @tjehdals
    @tjehdals19 күн бұрын

    부동산 진격거 비유법 ㅋㅋㅋㅋㅋ 여기서 진격의거인 얘기가 나올줄 몰랐어 형😅 ㅋㅋㅋㅋㅋ 확실히 생각이 젊다 상욱이형.. 위메이드 텐버거가 운으로 된건 절대 아니구나

  • @Lee-tl4ex
    @Lee-tl4ex17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집값은 언제떨어진다는걸까요

  • @uesr-a8vn3z0coj
    @uesr-a8vn3z0coj21 күн бұрын

    해외 이민도 예전만 못합니다. 아메리칸 드림도 옛말이죠. 정착해서 산다는 얘기만 하지 실패해서 돌아왔다는 얘기는 하지 않으니까요. 그 쪽도 우리랑 마찬가지 입니다. 좋은 일자리는 한정되어 있고, 그 지역 집값은 미친 듯이 비쌉니다. 코로나 재택근무 당시에 그런 지역 집값이 감소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결국 주택 가격의 핵심은 양질의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느냐겠죠. 양질의 일자리가 특정 지역에 뭉쳐 있으니 주거 대란이 일어날 수 밖에 없고요. 이 와중에 집값 상승만을 위한 정책만 쓰니 참.. 이 멍청한 분들은 주거비 때문에 경기가 죽는다는 걸 알랑가 모르겠네요.

  • @user-ty2xp1iq8z
    @user-ty2xp1iq8z20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의 원인중 또하나 살인적인 사교육비죠..거주비.사교육비...사교육비만 잡아도..

  • @ordovices7440
    @ordovices744020 күн бұрын

    자칭 부동산 전문가라는 사람이 서울 집 값 올리려는 의도가 뻔한 기사에 부화뇌동하다니 실망스럽네요 전세 매물이 줄어든 이유는 대부분 재계약을 하기 때문이고 전세 가격이 오른 이유는 신생아 특례 대출 때문이죠 금리가 어마어마하게 낮더군요

  • @user-zk8fn4pe5v
    @user-zk8fn4pe5v21 күн бұрын

    지역과 경제가 붕괴되어가는 것을 공동화라는 멋있는 전문용어로 말하고 있는데.. 지방 뿐 아니라 수도권 구도심도 이미 벌어지고 있습니다. 수도권으로 서울로.. 모이면 수도권은, 서울은, 강남은 괜찮을거라 전망하고 착각하는데.. 조금 더 늦어질 뿐 그런거 아니라 생각듭니다. 총량이 줄어드는데 어불성설입니다. 공동화되어 지역과 경제가 붕괴되면 그 가치는 사라지는 것입니다. 이미 공시지가가 하락추세로 전환된지 몇년 되었습니다. 지방은 가속도가 붙을 것입니다.

  • @arronsong3595
    @arronsong359521 күн бұрын

    현재 진격의 거인 시즌 1 :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몰락 가속화가 확대되고 있다. 이로인해 저출산 심화등 대한민국이 망해가고 있는데 아무도 관심이 없는건가..참으로 답답하네.. 시즌2가 시작되면 수도권-지방할 것 없이 공멸이다. 각자도생하라는건가?? 상욱이형이 알아서 대응하랍니다.

  • @lifelogbyj
    @lifelogbyj21 күн бұрын

    주재원으로 유럽 나와 있는데 제가 사는 벨기에는 월세계약을 기본 9년으로 합니다. 그리고 매년 집주인이 월세를 올릴 수 있는 기준은 전년도 CPI의 기준이고 물론 월급도 CP I 기준으로 올라갑니다. 마치 사회 주의처럼 뭔가 정해놓고 올라 가지만 그래서 예측이 가능해서 숨쉬고 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예측이 불가능한 세상에서만 살다가 예측이 가능한 사회사니까 얼마나 안정감이 느껴지는지요?

  • @adjective999

    @adjective999

    20 күн бұрын

    반대로 말하면 계층상승 꿈도 꾸지말라는말이죠.

  • @DoYouKnowThis1

    @DoYouKnowThis1

    20 күн бұрын

    ​@@adjective999 계층 상승을 아파트로만 한다는 말 같네요ㅎㅎ

  • @ttingsi

    @ttingsi

    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cpi 자체가 부동산 임대로 반영이 별로 안되서 통계자체체를 믿기어려워요

  • @TraderX888

    @TraderX888

    18 күн бұрын

    흐덜덜 우리나란 하라고해도 9년월세계약 아무도 안할거같아요. 돈벌어서더좋은집 가고싶지 9년간 한집에...ㅎㄷㄷ

  • @MissTerry709
    @MissTerry70921 күн бұрын

    주거와 고용안정 이거 확보 못하면 결혼 출산도 없다

  • @user-bc8rs8gs1m
    @user-bc8rs8gs1m21 күн бұрын

    40대가 부동산 불패를 회의적으로 보는것 자체가 정말 깨어있는건데, 진격의 거인 알고 있는건 진짜 놀랐네요ㅋㅋ

  • @user-bx4fj7ks7x
    @user-bx4fj7ks7x21 күн бұрын

    저 외지인은 수도권도 포함인가? 경기도 사람이 서울 아파트 사면 통계에 포함되나?

  • @user-ms4fc4xw2r

    @user-ms4fc4xw2r

    21 күн бұрын

    비서울매입비중임 경기도 인천 다 포함됨

  • @user-lx7ib4wz2s
    @user-lx7ib4wz2s19 күн бұрын

    All around world...

  • @jayson5117
    @jayson511720 күн бұрын

    수도권 대비 지방 정책 고민과 논의가 부족하다는 지적은 많습니다. 그런데 지방에 사는 우리부터 정작 고민이 부족합니다. 정치를 바꿀수 있는 선거 결과를 보면 심객하게 굳어있는 우리 자신을 볼 수 있습니다. 고향에 사는 게 좋은데 자꾸 불안하고 그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남탓 하기 전에 저의 고민없었던 한 표를 반성합니다. 그리고 채부심 채널 열렬히 응원합니다!!

  • @Nautilus-kd5sl
    @Nautilus-kd5sl19 күн бұрын

    부동산 기사에 나오는 사례는 어찌저리 잘 찾을까 ㅋㅋㅋㅋ 매경. 웃긴다 진짜

  • @user-zk8fn4pe5v
    @user-zk8fn4pe5v21 күн бұрын

    초고령화는 65세 인구가 20%를 넘는 것입니다. 올해 또는 내년이라지만 이미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습니다. 65세 이상 인구는 잘 안보입니다. 사회활동력이 아주 낮기 때문입니다. 아마 미취학 아동보다 낮을 것입니다. 아이들은 유치원이라도 다니고 오히려 소비를 더 합니다. 이 말인즉 실질은 인구가 사라진 효과가 크고, 합계출산율이 1아래로 떨어진 세월이 오래되었으니.. 지방이나 슬럼화된 구도심에 인구유출 체감은 월마다 느낌이 달라질 것입니다. 아파트공화국과 부동산투기공화국을 만든 구세대도 나름 이유와 책임이 크지만.. 현재 중년세대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많이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진정 바꿔나가야 합니다.

  • @user-rq9dx1bt5p
    @user-rq9dx1bt5p20 күн бұрын

    수도권 서울 몰빵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어떤 정치인들은 메가서울 타령하고 난리치고있던데 부동산문제나 저출산문제 일자리문제등을 해결하려면 메가서울 몰빵서울은 절대하면 안되고 정부차원에서 서울 몰빵된 많은것들을 퍼트리는수밖엔 없는것같은데

  • @user-st6zl8ho2t
    @user-st6zl8ho2t13 күн бұрын

    그쵸 아파트한채 30억인데 그거 팔면 공기좋은 해외에서 살수 있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