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예감 별책부록] 행복하려면 고통스러워야 되는 이유? ⟪최선의 고통⟫ - 장동선 (뇌과학자)

[성공예감 이대호입니다]
KBS 1 Radio1 FM 97.3MHz 월~금 09:05-10:53
2023년 7월 15일 (토)
* 주말방송 [별책부록]
"행복하려면 고통스러워야 되는 이유"
- 책 ⟪최선의 고통⟫
- 장동선 (뇌과학자)
#kbs1라디오 #라디오 #KBS라디오 #시사라디오 #KBS1Radio #최경영의최강시사 #성공예감이대호입니다 #정용실의뉴스브런치 #최영일의시사본부 #라디오전국일주 #홍사훈의경제쇼 #주진우라이브 #KBS열린토론 #스포츠스포츠 #김성완의시사야 #금융 #이대호 #장동선 #뇌과학 #심리 #심리학 #과학 #행복 #고통 #책 #북토크

Пікірлер: 99

  • @tree8018
    @tree80184 ай бұрын

    견딜 수 있고 참을 수 있고 나를 더 강하게 만들 수 있는 고통을 찾는 것이 더 큰 행복을 얻는 답이다

  • @user-dw9tu3or3h

    @user-dw9tu3or3h

    4 ай бұрын

    운동이 그중 하나가 아닌가 싶어요..

  • @user-iq6vq4oi1w

    @user-iq6vq4oi1w

    2 ай бұрын

    😅😊😊😊😊😊😊😊😊😊😊😊😊😊😊😊😊😊😅😊😊😊😊😊😊​@@user-dw9tu3or3h

  • @L1.5_R1.25
    @L1.5_R1.25Күн бұрын

    긍정적인 마음

  • @user-qb7ii9cl8l
    @user-qb7ii9cl8l9 ай бұрын

    비슷한 맥락일지 모르겠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다가 제 모토인데요 그래서 그런지 크게 기대도 없고 크게 실망도 없어서 행복한 것 같아요 일하고 집에 들어가 씻고 누워 다음날 눈뜨면 도착해 있을 돼지바에 설레는 밤을 보냅니다

  • @jakovisce

    @jakovisce

    Ай бұрын

    ㅠㅠ

  • @jungason327
    @jungason32710 ай бұрын

    운동할 때 고통스럽지만.... 건강해지는 느낌이 들어 행복해요.❤

  • @user-il6nv8yv7k

    @user-il6nv8yv7k

    4 ай бұрын

    정답은 이거지. ~~

  • @user-dw9tu3or3h
    @user-dw9tu3or3h4 ай бұрын

    전 고통이 싫어서 행복감을 느끼려하는것보다 평온함을 추구합니다.

  • @user-ts6gz8cp3v

    @user-ts6gz8cp3v

    4 ай бұрын

    저도 넘나 싫어요ㅠ '사서고생'이라는게 고통을 추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큰 쾌락을 추구하지 않고 자족하는 것도 해당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얻는 평온함이 행복인거죠~ 평온한 상태가 최고!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결국 자신이 감내할 정도의 고통을 자신이 알아내야 한다는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인것 같아요

  • @nanaKang-yq8lm
    @nanaKang-yq8lm5 ай бұрын

    행복과 고통이 반대되는 개념이 아닌것 같아요.. 오히려 고통은 행복을 위한 별책부록?!! ㅎㅎ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 @leeminwoo6566
    @leeminwoo65665 ай бұрын

    정말 "사서 고생 한다"라는 말이 요즘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딸을 두명 키우는데 정말 요즘 애들을 보면 너무 고생을(?) 안 해서 자신의 삶이 너무나 소중하다는 것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오늘같이 추운 날에도 따뜻한 아파트에서 하루 종일 스마트폰만 보면서 그 조그마한 화면에서 보여주는 세상에 빠져서 사는 걸 보면 참 안스럽습니다... 2023년 이제 많이 남지는 않았지만 저라도 작은 봉사활동이라도 좀 하면서 아버지로써 그나마 조그만 "사서 고생"의 모범을 좀 보여주고자 합니다.

  • @user-yu7jw9it3o

    @user-yu7jw9it3o

    4 ай бұрын

    인간이 고생에서 벗어나기위해 과학기술이 발달된거니까요

  • @user-wm8tm4kk2d
    @user-wm8tm4kk2d6 ай бұрын

    적당한 고통을 느껴라

  • @user-nw2ec5ih1q
    @user-nw2ec5ih1q11 ай бұрын

    나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은 나를 더 강하게한다라는 문구가 생각납니다 감사합니다

  • @user-do7hs1jn1q

    @user-do7hs1jn1q

    9 ай бұрын

    그정도의 고통은 추구하지 말라고 나와요 영상에 + 그런고통은 트라우마나 심각한 후유증을 만들어요

  • @bubus682

    @bubus682

    4 ай бұрын

    죽기직전까지 고통스러워보면 정신병만 생겨요...

  • @jakovisce

    @jakovisce

    Ай бұрын

    스스로 가스라이팅..

  • @unknownpleasure858
    @unknownpleasure8587 ай бұрын

    저도 고통이 마음속굳은살을 새기게하는 백신이라는 생각을했었는데 선생님도 같은 생각을 하고계셔서 정말 뛸듯이 행복해요. 제 생각이 틀리지않았구나라는 방증을 하게 해주셔서요.😊

  • @user-ku8se3yr6c

    @user-ku8se3yr6c

    4 ай бұрын

    인생은 고통이야

  • @user-xx7xx8tu2q
    @user-xx7xx8tu2q6 ай бұрын

    오랜 단일 경력 뒤로 하고 업무는 유사하지만 업종이 다른 곳에서 매우 혼란과 고통의 시간을 1년간 보냈습니다. 내 한계를 깨서 더 넓고 깊은 시야를 갖고 싶어 스스로 자처한 어두운 경험이었죠. 이제야 좀 알 것 같아 머리가 맑아진 기분인데 이 영상을 통해 한 번 더 확신을 갖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ox7yw3ot5t
    @user-ox7yw3ot5t2 ай бұрын

    선 고통 후 행복, 선 쾌락 후 극 고통. 매를 먼저 맞고 후에 행복을 ^^. 몸이 지나치게 편안하고 먹을 것이 풍족하고 아무 걱정거리가 없으면 우울이 찾아옵니다.

  • @sksmsdlrusosek
    @sksmsdlrusosek4 ай бұрын

    요즘 회사를 다니면서 평일이 상대적으로 괴로워져서 힘들었는데 덕분에 주말과 평일 저녁이 더 소중해졌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경험을 만들고 나를 성장시킨다고 생각하며, 하루하루 소소하게 행복하게 잘 보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user-ws5to7fe9v
    @user-ws5to7fe9v11 ай бұрын

    어제 추적 60분 방송을 보면서 10대들이 마약에 대해서 어떤 느낌이고 마약이 뭐지 하는 호기심에서 출발해 마약한 이후, 마약하기 전으로 돌아가기 아니 돌아갈 수 없을 정도로 평범한 삶을 잃은 대한민국의 현실을 파헤친 것을 알게된 이후 나 자신도 도대체 마약이 뭐길래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장동선 뇌과학자가 긍정이 오히려 불편한 사례를 마약에 대한 설명을 들으니 어떤 상태인지 확실하게 인지하게 되었다. 이 부분을 청소년들이 듣고 마약이라는 것이 보통 심각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면 좋겠다. 중년입니다.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삶의무게와 인생의댓가를 느끼면서 살아가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yamorange6379
    @yamorange6379Ай бұрын

    어머 이대호 편집장님 반가워요!! 장동선 박사님도 좋아요! 두 분 케미 굿♥

  • @user-em9wn6lc3m
    @user-em9wn6lc3m4 ай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 @euniceyang1006
    @euniceyang10066 ай бұрын

    장동선님 소개로 읽었어요. 읽고 방송 만나서 기뻐요!!^^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제가 67년도에 여중을 다녔는데 우리체육샘은 수업시간에 10분정도는 꼭 군대이야기를 하셨는데 ㅎㅎ그때가 그립네요~♡

  • @1743_bocc

    @1743_bocc

    6 ай бұрын

    저는 68년도에 태어났습니다. 예전에는 제가 태어나기 전에 중학교에 다시신 분이라면 나랑 엄청 새대차이나는 선배님이라 생각했는데 고작 열 몇살.. 이젠 같이 늙어가는 세대라는걸 문득 느꼈습니다. 건강하세요 선배님...

  • @user-mr9ic3cr6u
    @user-mr9ic3cr6u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평안한 하루가 젤 행복합니다

  • @emmu1932
    @emmu19325 ай бұрын

    이책 번역이별로예요. 읽기어렵습니다. 제목만 잘지음.

  • @gardenerrabbit7782
    @gardenerrabbit778210 ай бұрын

    아주 흥미로워서 좋았습니다.

  • @user-pr6ji6tc9f
    @user-pr6ji6tc9f6 ай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하고 너무 도움되어 좋습니다.^^화이팅!!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장동선박사님 여기서 뵈니 반갑습니다~♡

  • @user-eu7yh2ep7k
    @user-eu7yh2ep7k9 ай бұрын

    저는 1000% 공감 (동의)합니다

  • @user-yp2xy6ep7e
    @user-yp2xy6ep7e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cc5gv3xr7o
    @user-cc5gv3xr7o4 ай бұрын

    비선택이 아니라 선택적일때 라는게 기본 전제로 가장 중요하군요

  • @user-pf8xg6fs3l
    @user-pf8xg6fs3l11 ай бұрын

    주말아침..반가워요

  • @89a24
    @89a247 ай бұрын

    최선의 고통과 도파민 네이션을 읽어보려고 얼마전에 구매했습니다.~ 재미있을 것 같아서요.!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뇌의 본질을 알고 뇌를 움직일수 있어야 겠어요 ㅎㅎ

  • @AFoggyDay
    @AFoggyDay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ㅠㅠㅠ 힘든 삶에 위로가 되고 큰 힘이 되는 장동선 교수님의 토크입니다 ㅠㅠ 힘들때마다 매번 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magic9727
    @magic97278 ай бұрын

    저도 이 책을 얼마전 읽었지만 선택적 고난은 어찌보면 가진자들의 사치가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고난을 통해서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을때 느끼는 기쁨과 행복은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곳이 존재하기에 가능하지만 가난으로 고통받는 자들은 비선택적 고난을 항상 받으며 언제 이걸 벗어날 수 있을지 고민하고 더 이상의 방법이 없어지고 희망이 사라지면 자살로 생을 마감하기도 하죠. 선택적 고난 고통은 어느정도 살아가는데 힘듬이 없기에 가능한 고난입니다. 그러지 못한 자들은 이 세상 자체가 고통이죠. 이 부분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sanfl8024

    @sanfl8024

    8 ай бұрын

    그 환경을 체험해서 내 일상의 우월함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 선택적 고통이 사용되기도 하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계속 그 환경에 있어야하는 혹은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조심해서 말하는게 맞는듯 합니다.

  • @user-mq7ow2mj2v

    @user-mq7ow2mj2v

    8 ай бұрын

    힘든 상황에 이유를 부여하고 고칠 거 고쳐서 더 잘해볼 기력도 없고 기회도 없는 어르신들, 특히 아프신 어르신들이 기본적인 생계가 해결이 안되는 그런 경우는 개인이 어떻게 마음을 먹고 안먹고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보장시스템의 문제니까 이 책 내용으로 해결 할수 있는 "마음가짐"의 문제는 아닌 거 같아요. 그 외는 모두 "가난"에 대한 정의도 다르고 예를 들어 김밥 말아 대학에 몇십억씩 기부하시는 할머니들 그분들은 스스로 가난하다고 생각안하시죠. 어떤이들 눈에는 누구보다 가난하신 할머니이신데도요. 그래서 저 책이 전하는 메세지가 가진자들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네요,

  • @Theo-ex6se

    @Theo-ex6se

    8 ай бұрын

    그 부분은 해결할 수가 없죠. 모든 사람을 모든 정부가 다 구원해줄 순 없으니까요 저 책이 모든 고통에 답을 주는 책도 아닐테구요 다만 사지 멀쩡하고 아직 기회와 희망이 있음에도 도전하지 않고 또는 어중간하게 만족하면서 계속 발전하지 않으려 하는.. 안주해 있는 소소한 사람들에게 진정한 행복이 고통을 이겨내면서 참고 견디는 거라고 당당하게 고통에 맞서서 살아가는 거라는걸 알려주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nope7215

    @nope7215

    6 ай бұрын

    맞네요.. 힘듦이 없기에 가능한 고난..

  • @user-ix4yx7fv9o

    @user-ix4yx7fv9o

    6 ай бұрын

    가진자라는건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아프리카의 굶주린 아이들과 비교한다면 우리는 너무나 행복할수 있는 조건 아닐까요~반대로 많은 부를 가지고도 괴로워하면서 사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선택의 책임과 결과는 자기자신에게 있습니다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자신의 뇌가 어떻게 생겼는지 무얼 원하는지를 아는게 중요한것 같네요 상대적인 위안말고 자신의것이 무엇인지를 ㅎㅎ

  • @Islander-_-
    @Islander-_-4 ай бұрын

    가성비 행복❤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뇌는 신비하면서 감정과 섞이면서 복잡해지는듯해요 ㅎ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최선의 고통 ㅎㅎ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그냥 일상생활에 충실하면서 성실하게 살아야지요 ㅎㅎㅎ

  • @user-bz6ks8iy5z
    @user-bz6ks8iy5z6 ай бұрын

    와우 넘 재미있게 들었어요ㅡ 감사합니다

  • @ryanpark1107
    @ryanpark11073 ай бұрын

    인간은 쾌락과 의미를 추구한다 의미가 더 지속적이다 의미부여가 과하면 인간은 바뀌지 않는다 그것의 균형점, 스윗 스팟을 찾아야 한다

  • @user-ff4dx4dy6r
    @user-ff4dx4dy6r4 ай бұрын

    나를 죽이지 못하는 고통은 나를 더 강하게할 뿐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저자가 약간 동키호테같은면이 있네요~♡

  • @espresso2709
    @espresso27096 ай бұрын

    아그래서 힘들게 일한날 매운게 땡기는 이유군요 함께 날아가니까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가끔씩은 사서 고통도 필요한듯합니다 ㅎㅎ

  • @afad5851
    @afad58514 ай бұрын

    치안이 안전한나라라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없어서 오히려 살아있음에 안전함을 느끼는게 역치를 넘어서 오히려 불행하다고 느낄수도있겠네요

  • @aejakammerer7023
    @aejakammerer70234 ай бұрын

    에이구... 그래서 속담에 "공짜는 없다 " ... 맞는 말 이잖아요. 돈도 한달에 쪼금씩 적금 넣어두어야 나중에 필요할때 쓸수있는것...... 독일에서 인사드립니다.

  • @soohoyang6970
    @soohoyang69704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컨텐츠인데 진행자님 계속 캬... 햐아... 캬... 히야... 햐... 이래서 집중이 잘 안되네요ㅠ

  • @joshuayu10100
    @joshuayu101009 ай бұрын

    Beethoven's Symphony 9 Choral Joy thru Pain😁

  • @lights6220
    @lights62204 ай бұрын

    신념. 가치관. 사고방식. 행복하려면 고통스러워야 한다.

  • @jakovisce
    @jakovisceАй бұрын

    겨울 진짜 시른뎅.ㅠ

  • @tooth3648
    @tooth36484 ай бұрын

    사람들은 고난을 피하려고 하죠 하지만 선택의 상황에서 고통과 고난이 많은 일을 성취했을 때 쾌락을 줍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운동은 고통= 쾌락이라 생각합니다.

  • @user-chanwon
    @user-chanwon4 ай бұрын

    인생이 고락의 연속 ...

  • @user-tb4yn7su2i
    @user-tb4yn7su2i5 ай бұрын

    26:39 최선의 고통 ; 고통의 최적점 찾기

  • @white-santa
    @white-santa7 ай бұрын

    고진감래? ❤❤❤

  • @user-hx4qj7gc6k
    @user-hx4qj7gc6k4 ай бұрын

    이전 상태와 차이가 없으면 경험을 한 것이 아니다.(쾌락과 고통이 느껴지는 방식) 고통을 통해 행복을 느낄 권리 지나친 고통은 오히려 역효과. 더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최선의 고통’ 지점을 찾아야함

  • @user-tb4yn7su2i
    @user-tb4yn7su2i5 ай бұрын

    26:39 고통의 크기 ; 최적점 찾기 29:18 자기 전의 뿌듯함

  • @user-mm8hz1co1t
    @user-mm8hz1co1t8 ай бұрын

    이책에서 말하는건 단기적 고통 위주인것 같네요.

  • @user-yl4ze4ps3j
    @user-yl4ze4ps3j4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다 보니 전기자극을 가하는 것일까? 예를들면 mbti i와 e의 차이?

  • @bubblemilk5564
    @bubblemilk55649 ай бұрын

    46:53 진짜 맞다. 정신승리라는게 진화생물학적으로 우수한 습관이다 ㄹㅇ 근데 1회성 고통으로 반성하고 고치는 삶보다 여러번 겪어야만 고치는 삶이 정신손상이 덜하다는게 팩트. 너무 개선을 자주하고 자주 고치면 그것도 정신병생김 특히 요즘같은세상은

  • @user-chanwon
    @user-chanwon4 ай бұрын

    7:00

  • @user-gt8qp1ge7n
    @user-gt8qp1ge7n8 ай бұрын

    긍정주의=합리적 수긍주의 안받아드리면 어쩔겨!?ㅋ

  • @user-xl8xx8gd7o
    @user-xl8xx8gd7o8 ай бұрын

    오른 쪽 분 샘킴인 줄 ㅋㅋ

  • @susonhwa2169
    @susonhwa21694 ай бұрын

    뭐가 그리 복잡한가? 어려운 순간을 극복한 자신이 자랑스럽지 고통 자체가 좋은게 아니고 그 힘든걸 해낸게 나라는게 좋은거지

  • @FrostBlizzard1
    @FrostBlizzard19 ай бұрын

    A : 그래서 내가 너한테 고통을 주는거야 B : ...

  • @wild.bluebell
    @wild.bluebell3 ай бұрын

    33:46

  • @susonhwa2169
    @susonhwa21694 ай бұрын

    공감의 폐해가 있다!!!

  • @user-on1zl8qu6u
    @user-on1zl8qu6u11 ай бұрын

    의미부여보다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고 툭툭털어버리고 새삶을 살아야지 ㅎㅎㅎ

  • @lights6220
    @lights62204 ай бұрын

    장점. 독종. 행복하려면 고통스러워야 한다. = 원래 인생은 고통이야. 그러니 정신차려!

  • @innerpeace_life
    @innerpeace_life9 ай бұрын

    번역이..영 구려요 ㅜㅡ 심리학이나 관련지식이 있는 사람이 번역을 해야해요. 책내용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이 단순 영어만 해석해놓는 쳇gpt 수준보다 못한 번역은.. 좋은 책에 대한 안좋은 선입견을 갖게 됩니다 ㅜㅡ 그래서 안 읽게되요 ㅡㅡ

  • @venusnumber1
    @venusnumber12 ай бұрын

    결국 도파민... 에휴... 내 몸 안에 나를 조종하는 쪼꼬미들이 있다는것이 놀랍군요. 미생물과 세균..미토콘드리아가 결국 나인건가..

  • @Tuna011
    @Tuna0118 ай бұрын

    궁즉통

  • @user-ds1en9tj5v
    @user-ds1en9tj5v6 ай бұрын

    언론개혁 해주세요~~TV수신료 폐지~~EBS만 수신료 지급하자!!

  • @user-jm1kj9cy2u
    @user-jm1kj9cy2u11 ай бұрын

    김정환 의형제 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