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방토크] 알아차림으로 지금 이 순간 주인공 되기

(231220 양덕선방)
계속 깨어있는 마음과 접속 하시면서
확인해 보세요. 두 가지입니다.
첫째, 깨어 있는 마음을
1차적으로 계속 유지하시라.
그러니까 몰라 괜찮아 하시거나
호흡을 알아차리시면서
지금 이 순간에 마음을 모으시는
작업을 계속하시라.
이게 이게 더 먼저입니다.
왜냐하면 참나 만났다는 분들은
사실은 지금 다른 종교 가면
참나 만났다는 얘기만 해도
그거는 보통 경지가 아니거든요.
근데 일반적으로 누구나 명상은 하죠.
그러니 누구나 깨어 있을 수는 있어요.
정신을 지금 한 가지 주제에
몰입할 수는 있다고요.
근데 참나를 봤느냐 하면 그건 좀
어려운 얘기란 말이에요 원래.
학당에서 너무 쉽게 얘기해서 그렇지.
그러니 정신을 일단 모으시라는 거예요.
호흡에 모으고, 들이쉬고 내쉬고
지금 이 순간 하는 일에 집중하세요.
과거 거 말고요.
과거나 미래 생각하면 관념에 빠져요.
지금 일에 집중하세요.
지금 내가 하는 거. 이게 관념도요,
지금 내가 하는 관념을
알아차리시면 깨어나요.
관념에 빠져서
푹 빠져버리면 못 깨어 있어요.
나무아미타불도 관념이잖아요.
그런데 지금 내가 일으킨 관념에
내가 깨어서 지금 내가
무슨 생각하는지 알아차리면
그것도 알아차리는, 깨어 있는 거예요.
그러니까 관념을 아예
안 일으켜야 된다는 건 아니에요.
지금 내가 뭔 생각하는지를 냉정히
알아차리면 깨어 있는 거예요.
지금 이 순간 내가 하는 모든 짓을
지켜보는 게 일단 시작입니다, 공부의.
근데 생각 감정 오감으로 하는
그런 짓만 쳐다볼 게 아니라
나 자신, 참나도 바로 볼 수 있으니까
몰라 괜찮아도 써 보시고.
몰라 괜찮아 해가지고
고요한 마음, 그 자체를 느끼고
몰입하는 방법도 있고요, 안으로.
밖으로 내가 하는 생각 감정 오감 중
하나를 주제로 잡아서
제일 권하는 게 호흡이었죠.
숨 안 쉴 때가 없으니까.
생각은 하다가 멈출 때 있지만
숨은 계속 쉬고 있죠?
그래서 언제 어디서든 숨은 쉬니까
알아차리기 좋다는 거죠.
그래서 남하고 대화할 때도
숨은 쉴 거 아니에요. 대화하다가
들이쉬는지 내쉬는지 보는 거예요.
그러면 깨어나요.
대화하다가 대화 내용을 들으면
흐릿해지는 분들 있잖아요.
주의 깊게 들을수록 정신이 흐트러지는
그런 대화가 가능하잖아요, 친구 중에.
그럴 때 어떻게 해야 돼요.
빨리 돌아와야 돼요.
정신을 잡아야 돼요. 그것도 수행입니다.
들이쉬고 내쉬고. 그러니까
이건 표 안 나게 할 수 있잖아요.
대화하는 중에 들이쉬고 내쉬고 해서
정신을 모아가지고 다시 대화하고.
서로 좋은 거 아니에요?
정신 모으고 눈 똑바로
뜨는 것만 해도 정신 차려지고요.
앞에 앞에 있는 사물을요, 선명히
볼 정도로 이렇게 눈을 초점을
맞추시면 깨어나요, 정신이.
지금 이 순간,
뭘 보는지에 집중하는 거잖아요.
그럼 이게 깨어나는 원리입니다.
지금 이 순간 내가 하는 일에 몰입하라.
눈앞에 대충 보고 있단 말이에요.
보세요. 우리가 폰을 보잖아요.
그러면 폰을 폰의 저 색깔과
저 빛깔을 봐야 되는데
보통 우리가 어떻게 빠지냐면
머리 에고에서는요, 폰이네! 그래요.
그러면 폰이라는 관념에 빠져요.
폰! 아이폰인가? 갤럭시인가?
그러면 이미 정신이 어디로 가냐면
쫙 아이폰 갤럭시로 가서 머릿속에서
삼성과 애플이 지나가고 있어요.
눈앞에 있는 이건 안 봐요. 관심 없어요.
앞에 아무리 이쁜 꽃이 있어도요.
와! 이 색깔. 누군가는요.
이 색깔 이 빛깔, 꽃 이름은 몰라요.
하지만 누가 꽃을 지금,
꽃이랑 교감하고 있나요?
와! 이 색깔 이 빛 와! 줄기.
근데 옆에서 튤립이네! 그러면
그사람 머리에는 튤립이란 개념과
이건 내가 오래전부터 알던
튤립이라는 꽃이다.
이거 모르면 등신이지.
이런 생각들이 촥~ 지나가고
얘랑 꽃이랑은 교감이 하나도 없어요.
이렇게 대충 살아요. 그러니까
나이 들면 왜 시간이 빨리 가느냐?
어렸을 때는 하나하나랑
교감을 해보는데요.
알아내야, 경험을 해야 되니까.
그러니까 마음의 프레임이 촘촘해요.
경험할 게 너무 많거든요.
나이 들면요 개념화되면 이게 단축돼요.
이게 다 압축되면서
개념으로 뭉뚱그려 처리됩니다.
쓸데없는 거 다 쳐버린다고요, 뇌가.
왜냐하면 뇌도 살아야 되니까.
정보량이 너무 많아지니까
이거를 이제 통합해서 관리하는 거죠.
이걸 묶어서. 꽃, 뭐, 뭐.
그런데 나중에 살다 보면
개념에서 개념으로 살고 있어요.
하루가 순식간에 갑니다.
구체적 경험이 안 떠올라요.
관념에서 관념으로. 그렇죠?
오늘 뭐 했지? 뭐 하고 뭐 하고
TV봤고 뭐 했고 뭐.. 구체적으로
뭘 했는지가 안 떠오릅니다.
왜냐하면 뇌에서 그렇게 관리해요.
이건 자연스러운 거예요.
나쁘다는 게 아니고요.
다 이렇게 관리된다는 거예요, 우주에서.
그런데 내가 마음을 내가지고
지금 이 순간 일어나고 있는
숨 한 번 들여다보면 그럼 이게
얼마나 그런 걸 뒤집는 행위겠어요.
그냥 숨 쉬네! 지나가야 돼요 원래.
하늘에서 그렇게 중생들 그렇게 살으라고.
왜냐하면 한정된 에너지 가지고
이렇게 살아가려면 너무 많은 생각을
뇌가 하면 뇌가 감당이 안 되잖아요.
에너지도 감당이 안 되고.
모든 일을 이렇게 하자는 게 아니라
한 가지 주제를 택해서 지금 이 순간
내가 뭐 하는지 알아차리는 분은
다른 세계를 살 거라는 거.
느낌 오시죠? 다른 차원을 사실 거예요.
일반적인 중생의 삶을 거부하는 겁니다.
살짝 한 수 더 놔 보는 거예요.
지금 이 순간 내가 뭐 하는지
알아차린다는 게 얼마나 큰 의미가 있냐
이 얘기를 드린 거예요.
그러니까 열심히 깨어나시라.
들이쉬고 내쉬고를 보라.
지금 내가 숨 쉬는지 안 쉬는지도
모르고 사는 삶이라니까요, 지금.
내가 있는지도 모르고 살아요.
사실, 하루 종일..
내가 있는지도 모르고
이게 못 깨어 있는 삶의 핵심입니다.
그래서 선비들 글 보면요.
경, 깨어 있어라 하면서
항상 예로 드는 게요. 일반 사람들은
자기가 있는지도 모르고 산다.
대학에도 뭐라고 그러냐면
정심장에, 먹어도 마음이 없으면
먹어도 그 맛도 모르고
뭐 하는지도 전혀 모른다.
몸의 주인인 마음이 없으면
몸뚱이 가지고 써도 하나도 모른다.
이런 말이 대학에 있는데요.
그게 알아차리라는 겁니다.
지금 내가 내 몸이 뭐 하는지
내 생각 감정 오감이 뭐 하는지
알아차려야 내가 주인이 돼요.
마음이 주인이 돼요.
깨어 있는 마음이 주인,
나를 주인으로 만들어줘요.
근데 못 깨어 있으면
마음이 주인 노릇을 못 합니다.
통제도 안 돼요. 그럼 진짜
업력(業力)대로 살아가는 거예요.
업력대로 막 끌려가요. 다음 다음.
정신없죠. 자기가 뭐 했는지도 몰라요.
이건 딱 이거죠.
여러분 진짜 맛있는 음식 나올 때
숟가락 든 기억은 나는데 내릴 때
다시 정신이 돌아오거든요.
중간에 뭘 했는지
뭘 먹었는지도 안 떠올라요.
진짜 열심히 먹었는데..
정신 없죠. 그냥.
이렇게 삶이 확확 순삭된다니까요.
근데 알아차림, 알아차림이라는 게
밥 먹으면서 위빠사나 하는 거 아세요?
젓가락 드는 거, 집는 거, 뭘 집을까
하는 내 마음 보고, 이렇게 먹잖아요.
그렇게 먹으면 맛없죠. 그런데
아무튼 요건 요것대로 이게
있다는 게 지금 이 순간
정신 모으는 훈련을 하는 거예요,
그걸 가지고. 그러면 밥 먹는 시간이
엄청 길어지죠. 이럴려면 엄청
순간순간 마음의 프레임이
다시 많아지는 거예요.
촘촘해져 가는 거예요.
그럼 이게 오래 사는 비결이죠.
오래 살아도 프레임이 몇 컷 안 되고
한 생이 10년에, 10년 기억이
몇 개가 없어요. 뭐 했고 뭐 했고
그 다음 기억이 없고.
이렇게 됩니다. 그러니까 촘촘하게.
애들은 하루가 얼마나 길겠어요?
우리는 하루가 너무 짧죠.
머리속에서 이미 계산 다 나와요.
년초에 제가 계산했거든요.
크리스마스 곧 온다. 왔잖아요.
1년이 이렇게 통으로 가버리는 거예요.
이 개념에서 개념으로 가면 무서워요.
연초네 곧 오네.
이 기세면 근데 1월이 금방 가요.
이 기세면 12월 곧 온다. 곧 왔죠.
이런 이거는 자연의 흐름이니까
어쩔 수 없고요. 이 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거예요.
지금 이 순간에
정신을 모아서 주인공 되기.
내 삶의 주인공 되기.
안 그러면 객처럼 살다 갑니다.
뭘 했는지 기억도 안 나요.
정신 차리고 오늘 하루 내가 지금
숨 쉬는지부터 통제하는 거죠.
알아차려 보는 것. 그래서 탐진치가
올라오는 것도 알아차려 보고
내가 깨어 있는지도 알아차려서
정신을 놓고 있는지
지금 이 순간 정신을 모으고 있는지
몰괜자 하고 있는지.
몰라 괜찮아 자명하고 있는지
정신 풀고 있는지.
녹취 임미나 / 검수 장영미
☝'좋아요'와 댓글은 학당 영상이 퍼지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 홍익학당 교육과정 안내: hihd.imweb.me/course01
-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www.hihd.co.kr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cafe.naver.com/bohd
-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ARS 후원 : 1877-1974
- 문의 : 02-322-2537 / help@hihd.co.kr
- 'SUPER THANKS'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영상 하단 'Thanks'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32

  • @mikimoto2
    @mikimoto24 ай бұрын

    못 깨어 있으면,마음이 주인 노릇을 못한다.그러면,업력대로 끌려간다.

  • @andaniel4rang
    @andaniel4rang4 ай бұрын

    항상 깨어있어라 늘 깨어있어라 그래서 주인 노릇을 해라 감사합니다

  • @user-vr8ws7qz7t
    @user-vr8ws7qz7t4 ай бұрын

    깨어 감사합니다

  • @standbell
    @standbell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 🙏

  • @mogo3691
    @mogo36914 ай бұрын

    지금 이순간 행복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nv9vi3rs8q
    @user-nv9vi3rs8q4 ай бұрын

    지금 이 순간 깨어서 주인으로 살아가기! 감사합니다 🙏

  • @Genius_Hyunji
    @Genius_Hyunji4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촘촘하게 깨어있으면서 살아야 한다. 숨쉬고 내쉬는 것과 시선을 하나의 대상에 관념을 버리고 온전히 집중하여 바라보는 게 도움이 된다.

  • @J.a.hyeon_anne13
    @J.a.hyeon_anne134 ай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 @user-ii1nb1ju8b
    @user-ii1nb1ju8b4 ай бұрын

    항상 기뻐하라 쉬지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성경에 나오는 가르침인데요 강사님 말씀을 들으니 떠오르네요 현존을 일러주는 방법이네요 진리를 듣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실생활에 적용하겠습니다🎉

  • @user-nn7it1wk7v
    @user-nn7it1wk7v4 ай бұрын

    대표님, 고맙습니다.😊

  • @user-mf3nv4zq7i
    @user-mf3nv4zq7i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표님

  • @skyskyka
    @skyskyka4 ай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깨어서 듣습니다.

  • @Binstar1104
    @Binstar1104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pc1yg1mh5z
    @user-pc1yg1mh5z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yun1621
    @yun1621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nz8gb9sn8y
    @user-nz8gb9sn8y4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 @user-rl5gl3vc2y
    @user-rl5gl3vc2y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so3wx5tp6i
    @user-so3wx5tp6i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taejinoh9310
    @taejinoh9310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nowandhere1958
    @nowandhere19584 ай бұрын

    대표님.항상 건강하세요.감사합니다.

  • @user-fx7ux5mf5n
    @user-fx7ux5mf5n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yejulee2081
    @hyejulee20813 ай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 @1_SIMU
    @1_SIMU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표님 🪷🙆‍♂️

  • @user-mg4ww3sh4l
    @user-mg4ww3sh4l4 ай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

  • @user-qr9iq2vs9x
    @user-qr9iq2vs9x4 ай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user-nv2no1wj7i
    @user-nv2no1wj7i3 ай бұрын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 @user-pd2mf2vt5y
    @user-pd2mf2vt5y4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 @user-mb7em9zf5n
    @user-mb7em9zf5n3 ай бұрын

    늘 알아차림을 가까이❤ 감사합니다

  • @tara-lq6ms
    @tara-lq6ms4 ай бұрын

    들이쉬고 내쉬고 보라

  • @user-ie6el7mg8j
    @user-ie6el7mg8j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ongikHD

    @hongikHD

    4 ай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 @user-fp9kh4pg6v
    @user-fp9kh4pg6v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