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탑? 목탑? 전탑? 우리 탑 모아놓았습니다. 최소한 이정도만 알아도 어디가서...

태백광노가 되어주셔서 영화 《독립전쟁》 제작에 참여해주세요.
/ @hwang_history
이순신해 서명 사이트(공유해주세요)
www.xn--eq4b2nl7ix9r.kr/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hwang_history
이런 영상도 시청해보세요.
• 탑보다 재미있는 불상 이야기, 세계 최고...

Пікірлер: 307

  • @user-vs9qm2fw4u
    @user-vs9qm2fw4u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선생님 👍 응원합니다 건강하십시요

  • @user-zd3dp5bm9n
    @user-zd3dp5bm9n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가장 역사답게 가르치시는 황쌤 ~~~~~~~~~~~ 🙏🙏🙏👍👍👍

  • @user-kr8no9ee4z
    @user-kr8no9ee4z Жыл бұрын

    탑 오브 더 탑 방송이네요^^

  • @user-nw4gp8ou8j
    @user-nw4gp8ou8j Жыл бұрын

    지식을 다른이에게 이해하기쉽도록 가르켜준다는 것은 0.1%에 능히 속한다는 의미져 거기에 선한영향력 ᆢ샘최곱니다~~!!

  • @budda_story
    @budda_story Жыл бұрын

    방방곡곡坊坊曲曲 나무관세음보살 늘 잘 듣고 있습니다. 선생님은 그야말로 '탑 중 탑' 이십니다.

  • @user-lq9jd1cd2z
    @user-lq9jd1cd2z Жыл бұрын

    이런 시국에 황현필 선생님이 계셔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존경 합니다~^^

  • @user-hd2xk7rd7j
    @user-hd2xk7rd7j Жыл бұрын

    2주 전에 익산에 다녀왔어요! 미륵사지 석탑 멋지게 복원되었습니다.

  • @miraluna9966
    @miraluna9966 Жыл бұрын

    저는 갠적으로 화순 운주사 천불 천탑이 가장 보고 싶어요. 화순에 사는 글 잘 쓰는 이가 글을 너무나 멋지게 써놓은걸 봐서...ㅎ

  • @user-yu9oq6bc8p
    @user-yu9oq6bc8p Жыл бұрын

    어제 충주 중앙탑 보고 오고,역바연 신문에서 미륵사지탑 기사 보고 탑에 대해 시대별로 알고 싶다고 댓글 달았는데..선생님과 맘이 통했습니다.

  • @user-jy4rg4xx8x
    @user-jy4rg4xx8x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 항상 듣고 있어요 감사드립니다

  • @mystraut07
    @mystraut07 Жыл бұрын

    3:24 익산 미륵사지석탑 7:28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 9:37 신라 황룡사지 9층 목탑(선덕여왕 때 만들어졌으나 고려 때 소실) 11:30 분황사 모전석탑 12:19 감은사지 3층석탑 13:25 불국사 다보탑 13:40 불국사 석가탑(3층석탑) 14:29 화엄사 4사자석탑 15:05 진전사지 3층 석탑 15:50 월정사 8각9층석탑 16:47 경천사10층석탑

  • @diamolee559

    @diamolee559

    Жыл бұрын

    18:50 원각사 10층석탑

  • @hyeshin09

    @hyeshin09

    Жыл бұрын

    7개는 직접 가서 봤네요~나머지도 곧 가봐야겠네요

  • @user-qy7vs8we2b
    @user-qy7vs8we2b Жыл бұрын

    잘 몰랐던 탑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항상 저에 무식에서 조금은 빗겨갈수있게 도움이 되는 강의 감사드립니다선생님 ~^^

  • @raymonddodo
    @raymonddodo Жыл бұрын

    주말 아침 정말 감사합니다

  • @user-rn5xr9kh4c
    @user-rn5xr9kh4c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역사학자 압도적넘버1 황현필스승님~

  • @user-qh4wf4uu4m
    @user-qh4wf4uu4m Жыл бұрын

    황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c.h.s1471
    @c.h.s1471 Жыл бұрын

    쌤 혹시 황룡사탑 아니고 석가탑(무영탑)이 아사달과 아사녀 전설 아닐까요?ㅋㅋ 익산 미륵사 탑은 보수할때 보러 갔는데 다시 꼭 가봐야겠어요.오늘도 간단히 핵심만 알려주신 강의 잘 들었습니다~^^

  • @abbag329

    @abbag329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ㅎㅎㅎ

  • @diamolee559

    @diamolee559

    Жыл бұрын

    탑이 비친 연못이 영지라고 해서 불국사에서 십리 아래 있어요

  • @yestoday17

    @yestoday17

    Жыл бұрын

    황룡사목탑-아비지(기록) 석가탑-아사달&아사녀설화 둘다 백제 장인 아씨.

  • @user-hh5fv7qp6g
    @user-hh5fv7qp6g Жыл бұрын

    0:05 방방곳곳 -> 방방곡곡 ^^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 @user-zq7ri7ql9z
    @user-zq7ri7ql9z Жыл бұрын

    역사 공부 재미있게 들려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 @user-tm8lk4ps4m
    @user-tm8lk4ps4m Жыл бұрын

    경주는 아름다운데 무서운 그 원전폐기물이 많이 저장되어 있다니 무섭습니다. 황쌤 설명 잘 듣습니다.

  • @user-ux5px5lp3u
    @user-ux5px5lp3u Жыл бұрын

    화순 운주사 가봤는데 와불이 좀 특이하긴해요~ 와불이 일어나면 새로운세상이 도래한다는 전설이 있죠~ 그 뒤쪽으로 조금만 가시면 넓은 평야를 보실수 있어요 와불이 세워지면 멀리서도 그 와불을 볼수 있었겠구나 싶더라구요~그리고 천불천탑이 있는데 예전에 다큐를 보니까 탑 배치를 별자리 모양으로 했다는 얘기를 들은적이 있어요. 구경한번 가보세요~

  • @user-vz5iw6tj6s

    @user-vz5iw6tj6s

    Жыл бұрын

    퇴마록ㅋ

  • @user-jf8dh8bs1w

    @user-jf8dh8bs1w

    Жыл бұрын

    와불은 우리 민담에서 클리셰처럼 흔히 나오는 미완의 한을 보는 것만 같아 애틋하죠

  • @user-vp6du4jh8u

    @user-vp6du4jh8u

    Жыл бұрын

    운주사 칠성바위 아닌가요?

  • @lsj38460989
    @lsj38460989 Жыл бұрын

    항상좋은 방송감사합니다~

  • @user-tb6pf5fn5q
    @user-tb6pf5fn5q Жыл бұрын

    역사적 탑에 대한 정리 잘 보았습니다.감사합니다. 시간 나실 때 강화도의 진, 보, 돈대 등에 대해서도 알려주세요~

  • @sunnykim5002
    @sunnykim5002 Жыл бұрын

    저도 답사영상 좀 건너 뛰는 편인데 이번 편은 재밌게 잘 봤습니다~~모아 놓으니 비교도 되고 좋습니다~~

  • @kt-em8fl
    @kt-em8fl Жыл бұрын

    국민학교시절을 이리시에서 보냈죠... 부친께서 미륵사지에 자주 데려가주셨는데 선생님 말씀대로 어린시절기억에도 뭔가 분위기가 압도되는 요상한 음침한?! 분위기였던걸 기억합니다.

  • @user-xr3ug9xg8p

    @user-xr3ug9xg8p

    Жыл бұрын

    이리~~~오랜만입니다!

  • @user-kk1ub3rk8o

    @user-kk1ub3rk8o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렸을때 이리시 중앙국민학교에 다녔는데요^^ 반가워라~~~ㅎ

  • @kt-em8fl

    @kt-em8fl

    Жыл бұрын

    @@user-kk1ub3rk8o 전 이리동북국민학교 입니다.ㅎㅎ 어머니 손 붙잡고 미륵사지에서 미나리뜯고 가재 잡았던기억이 나네요ㅎㅎ

  • @user-kk1ub3rk8o

    @user-kk1ub3rk8o

    Жыл бұрын

    허허벌판 바람만이 쌩~~ㅎ

  • @Shpelino

    @Shpelino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을 익산에서 보냈는데 소풍을 많이 갔던 장소에요. 예전에는 탑에 올라가서 미끄럼틀도 탔던 기억도 있고..대학교때는 미륵사지 관리사무소에서 알바했던 적도 있었네요.

  • @user-qe3qf5ig7q
    @user-qe3qf5ig7q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설명으로 쏙쏙 들어오네요~~^^ 강의 감사합니다~

  • @Wilson-ve6gv
    @Wilson-ve6gv Жыл бұрын

    대표 국보도 추후에 강의부탁드립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jhwang4342
    @jhwang4342 Жыл бұрын

    황선생님 잘 보고 있습니다!! 오타가 있는것 같아 댓글 남깁니다. 방방곳곳이 아니라 방방곡곡 아닌가 싶네요..^^;

  • @etude5049

    @etude5049

    Жыл бұрын

    네 방방곡곡으로 써야 합니다

  • @co-musician640
    @co-musician640 Жыл бұрын

    우산 잘 씌워주는 예쁜누나… 예쁜누나와 함께라면 지옥이 천국이겠지요…ㅋ

  •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Жыл бұрын

    운주사도 참 좋습니다. 탑을보면 우리조상님들의 소망을 봅니다. 용산 안에서 답답하게 서있는 석답을 보니 안쓰럽던 생각이 들었습니다. 쌤 넘나 감사합니다 🙏🙆‍♀️

  • @zhaoyunzulong
    @zhaoyunzulong Жыл бұрын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이렇게 소중한 지식을 클릭 한 번으로 얻는게 죄송스럽습니다.

  • @user-vp6du4jh8u
    @user-vp6du4jh8u Жыл бұрын

    국보57호 쌍봉사 철감선사탑이 승탑이라는 이유로 제외되었네요 우리나라 부도탑 중에 최고의 조각품이라 생각합니다 다음에 시간되면 소개 부탁합니다

  • @ysjang8092
    @ysjang809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공부 하고 갑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gd9iv2pn8x
    @user-gd9iv2pn8x Жыл бұрын

    탑 강의 잘 들었습니다. 황샘 강의는 쏙쏙 👍

  • @user-tt2yw6th7p
    @user-tt2yw6th7p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탑에 관심이 많았는데 ㅎㅎ 감사합니다

  • @user-dh2ip3zr8r
    @user-dh2ip3zr8r Жыл бұрын

    얼마전 아이들과 함께간 부여여행에서 정림사지5층 석탑을 보고왔는데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니 역사가 더 재미있게 느껴지네요

  • @kyungseok2
    @kyungseok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이런 강의 너무 좋아요!!

  • @user-qy5ru4cx6e
    @user-qy5ru4cx6e Жыл бұрын

    저도 꼭 답사를 해봐야겠다 다짐해봅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user-ow4lu7om4h
    @user-ow4lu7om4h Жыл бұрын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석가탑 2층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황현필선생님!!

  • @user-pi2op2db7g
    @user-pi2op2db7g Жыл бұрын

    저의 무식을 벗어나게 해주신 황쌤님 짱~ 탑 강의 너무 좋아요 이젠 절에 가면 탑을 자세히 살펴봐야겠어요

  • @user-re2dx1zy9b
    @user-re2dx1zy9b Жыл бұрын

    박수~ 짝짝짝 샘 강의 끝나면 박수치고 싶어져요~//

  • @user-ir7jv3yj4b
    @user-ir7jv3yj4b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uu7my8gi2r
    @user-uu7my8gi2r Жыл бұрын

    참 명쾌하신 강의 감사합니다.

  • @user-xc8py8yu7x
    @user-xc8py8yu7x Жыл бұрын

    귀한 가름침 감사 합니다

  • @user-sh8kv4zq9x
    @user-sh8kv4zq9x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

  • @350q8
    @350q8 Жыл бұрын

    강의를 들으니 올가을에 가고 싶은 곳이 너무 많아 마음이 풍성해 지네요 몇군데 갈 수 있을지 모르지만 답사 갈 생각에 마냥 행복합니다 감사해요🙏

  • @user-le7rs8ng7u
    @user-le7rs8ng7u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렇게 탑만 정리해주시니 재밌고 정리가 되는것 같습니다.

  • @user-cr4rt4kj7z
    @user-cr4rt4kj7z Жыл бұрын

    오늘 탑사 정리는 깔끔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gz6ep2nl9u
    @user-gz6ep2nl9u Жыл бұрын

    방방곡곡이죠 방방곳곳 ㅎㅎㅎ 잘 듣고 있어요. 황샘 화이팅

  • @kyeongran486
    @kyeongran486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저 아들이랑 같이 강의 듣고 정말 미륵사지 석탑 보구왔어요 초등5학년 아이랑 비바람 뚫고 넌 예쁜엄마가 우산씌워줬으니 평생 잊지마라 하면서 비맞고도 서로 하하 호호 낄낄대며 멋진 여행하고 왔어요 수원에서 익산 익산에서 사천으로 오는 여정이 길었지만 선생님의 그 예쁜누나 사건더에 잊지 못할 추억 만들고 왔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다녀와서 다시 강의 들으니 더 정확하게 알수있어 너무 좋네요 쌤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해요~~♡♡♡

  • @user-oi6bs9sq4j
    @user-oi6bs9sq4j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lunag5601
    @lunag5601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배웁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ud1ub7ug6u
    @user-ud1ub7ug6u Жыл бұрын

    탑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 @user-mc5uo7ih2l
    @user-mc5uo7ih2l Жыл бұрын

    열심히 듣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jeje-lw6xp
    @jeje-lw6xp Жыл бұрын

    50후반에 훌륭한 역사 강의영상 보고갑니다. 대쪽같이 정의로운 선생님 ♡💜

  • @lovelyyy9260
    @lovelyyy9260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팬입니다! 매번 올려주시는 영상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 @user-hy8vl3fn5s
    @user-hy8vl3fn5s3 ай бұрын

    쌤님 감사합니다.

  • @ksj670301
    @ksj670301 Жыл бұрын

    황룡사 9층 목탑 부분에서 말씀하신 전설은 석가탑(무영탑)을 만든, 백제에서 온 아사달과 아사녀의 전설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영지라는 아름다운 저수지에 그 전설이 깃들어 있어요. 선생님께서 좀 착각하신 것 같습니다

  • @user-hg1ek2ee9h
    @user-hg1ek2ee9h Жыл бұрын

    탑에대해많이알게 되었어요 고맙습니다 ~♡

  • @user-bt7lw3db7g
    @user-bt7lw3db7g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sangwoolee3601
    @sangwoolee3601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무영탑설화는 황룡사9층목탑의 아비지가 아니라, 불국사3층석탑의 아사달,아사녀로 인 줄로 아룁니다.

  • @young.g0304
    @young.g030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나라사랑 국민사랑 바르게 건강한 나라 살리는 진정한 영향력 최고 멋져요 🙏🙏🙏🙏🙏

  • @user-gj8iw9wh4w
    @user-gj8iw9wh4w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선생님 간혹 잘 보고 있어요.선생님 항상 응원합니다만 선생님 대학시절에 가셧던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은 논두렁 사이에 있지 안았고 부여 읍내 중심지에 있어서 논밭이 없었고요.아마도 부여 왕릉을 보시고..추억이 헷갈릴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user-rp2gd3tu5z
    @user-rp2gd3tu5z Жыл бұрын

    대학시절 버스타고 운주사 갔던 기억이 있네요~ 다양하고 재미있는 탑들이 넓게 펼쳐져있는 모습이 기억에 스쳐가네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xg4tg6nb7n
    @user-xg4tg6nb7n Жыл бұрын

    선생님~정말 감사합니다!!

  • @sk.p4885
    @sk.p4885 Жыл бұрын

    9층 목탑의 황룡사와 모전석탑지는 같은 구황동에 있어 가깝지요~ 구황동이 구황동인 이유는 "황"자가 들어 가는 절이 9개나 있어 9황동이더라 카는 썰도 있거니와요 감은사지 석탑은 진짜 아름답죠 "감은사지 3층석탑"에서 부터 불국사 "석가탑"으로 신라 3층 석탑양식이 완성이 되죠 조형미로써도 감은사에서 부터 석가탑이 정점을 찍습니다 진짜 아름다워요 석가탑은 한국 석탑의 마스터피스죠 승탑은 "부도"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죠 왠만하면 큰절에는 부도가 꽤 보일껍니다 안에 고승의 사리가 물론 있지요

  • @kichoyu9215
    @kichoyu9215 Жыл бұрын

    올 겨울 방학때는 아이들과 함께 탑 투어를 하면서 역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해야겠어요~~

  • @yang5713
    @yang5713 Жыл бұрын

    새롭게 역사문화 공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오래전부터 역사는 항상 관심♡지금은 제주 탐라문화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 @user-xi1tg3rh7w
    @user-xi1tg3rh7w Жыл бұрын

    황쌤!!!응원합니다~~~💕💕💕

  • @ballentinolee1616
    @ballentinolee1616 Жыл бұрын

    황현필 존경합니다. 전 애기 아빠인데요. 과거 EBS시절 공부와 관련없이 님의 요약정리를 전편 공부한적이 있죠. 문론 덕분에 3일만에 합격했지요. 둘째아들이 이 방송을 봅니다. 잘 설명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kus4863
    @kus4863 Жыл бұрын

    수고 많으세요~

  • @user-ht3jp3pr2g
    @user-ht3jp3pr2g Жыл бұрын

    주요탑에 대한 내용 감사합니다 ~^^

  • @user-mv6ez8yn7e
    @user-mv6ez8yn7e Жыл бұрын

    휴가때 월정사8각9층 석탑 보고 왔습니다. 보수중이라 자세히는 안보였는데, 빼꼼 바라보는데도 감동이 밀려 오면서 눈물이 나더라구요..^^ 선생님 말씀하신 탑 중 아직 못 만나본 탑인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 경천사지 석탑 꼭 가봐야겠어요..^^ 한국사 능력시험에 꼭 나오는 탑들이네요^^

  • @user-dw2zz1nl5o
    @user-dw2zz1nl5o Жыл бұрын

    통일시 경천사 10층 석탑이 본래 경천사지 10층 석탑으로 보전되길 기원합니다. 통일의 기념비가 되겠고 민족의 아픔이 치유되는 상징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 @user-dq5sb6tc1o
    @user-dq5sb6tc1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uu9id9cu3p
    @user-uu9id9cu3p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탑의 유래를 도올 김용옥 선생으로부터 들었었는데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무덤에 대해서도 강의를 해주면 어떨까 하는 개인 생각입니다.

  • @kantpia
    @kantpia Жыл бұрын

    탑 궁금증이 많았는데.

  • @user-rk6dr1tc2y
    @user-rk6dr1tc2y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강의 감사히 잘 듣겠습니다.

  • @user-rt4sj7jd7b
    @user-rt4sj7jd7b Жыл бұрын

    오!! 탑 요약 감사합니다 ~

  • @noba7003
    @noba7003 Жыл бұрын

    구독자입니다 요즘 아이폰 인공지능에 독도는 누구땅이냐고 물으면 한국땅이 아닌 13가지 이유가 나오는데 전부 읽어보니 80년생인 제가봐도 미처 몰랐던게 있더라구요 정도를 가는 황쌤이 반박 영상찍어주심 감사하겠어요 구글인공지능에도 문제있더라구요 고우나 미우나 삼성인공지능만이 ㅠㅠ 황쌤이 필요해요 도와줘요 황쌤~!!

  • @june_joy
    @june_joy Жыл бұрын

    탑영상, 불상영상 최고네요. 감사합니다. 고구려엔 탑이 없군요....

  • @mansiksong3667
    @mansiksong3667 Жыл бұрын

    선생님 한능검 삼국시대 17강 고대의문화 강의 듣자마자 최근동영상에 탑과 불상 영상올라와서 혼자 신기했어요 어제 나는솔로에서 감은사지 석탑나와서 바로 알아볼 수 있었어요 사람서있는거 보니 엄청 커서 놀랐어요 신기한게 오늘 태백산백 소설 읽는데 거기선 또 구례 화엄사 각황전 나오고 이번 주말은 가족들과 부여가요~ 정림사지 석탑 보고와야죠 당나라 소정방 평제탑 남편한테 아는척 해야죠 용산박물관 자주가도 경천사 10층석탑에 그런얘기가 있을줄이야 조만간 종묘랑 창경궁 윗길도 복원했다는데 탑골공원가서 원각사10층 석탑도 봐야겠어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eg6fp9xt2u
    @user-eg6fp9xt2u Жыл бұрын

    현필 쌤 울누나이뿌고 맘도 고운데 쌤이 장가 가셨다는 정보를 접했네요 좋은강의 잘 부탁드립니다 행복하십시요

  • @user-bb9jb5de3w
    @user-bb9jb5de3w Жыл бұрын

    궁금했던건데 고맙습니다

  • @user-kx4sj3et2p
    @user-kx4sj3et2p Жыл бұрын

    오늘 도 많은걸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드릴수 있는건 따봉밖에 없어 죄송합니다.

  • @moveshot12
    @moveshot12 Жыл бұрын

    운주사 천불천탑이라.. 예전에 퇴마록에서도 나와서 뭔가 익숙한 탑이네요 ㅋㅋㅋ

  • @user-qv9jf5ci8l
    @user-qv9jf5ci8l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사님ㅎ 오프라인강좌는 없나요?

  • @stepbystep6017
    @stepbystep6017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가장 역사답게 배우고 있는 매니아 입니다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 @user-lj9yd9mg2o
    @user-lj9yd9mg2o Жыл бұрын

    말뚝박기가 뭔가…검색해봤네여 뭐야ㅎㅎㅎㅎㅎㅎ

  • @user-um8pq6nw8k
    @user-um8pq6nw8k Жыл бұрын

    오늘 한산보고 오는길에 이순신의 바다 읽어보고 싶어 샀습니다 황현필교수님 항상 응원 합니다

  • @Ja-hyun
    @Ja-hyun Жыл бұрын

    미륵사는 무왕이 만든 거니, 무왕의 뼈가 들어갈 수는 없을 것입니다. 또 황룡사9층목탑의 아비지와 불국사 석가탑의 아사달을 혼돈 하신거 같습니다. 또 분황사모전석탑의 동물은 물개 아니라 암사자입니다요...

  • @user-R.O.K.M.C964
    @user-R.O.K.M.C964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user-ys9xx7en4b
    @user-ys9xx7en4b Жыл бұрын

    덕분에 경천사지 10층석탑과 원각사지 10층석탑이 같은걸로 알고 있었는데 다행히 선생님 덕분에 잘 배우고 갑니다.

  • @r0ver
    @r0ver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요즘 고풍스러운 절에 관심이 많아져서 이런 내용이 참 재밌네요. 미륵사나 황룡사지를 그대로 놔두지 말고 먼 후대를 위해 복원을 잘 했으면 합니다..

  • @98179820a
    @98179820a Жыл бұрын

    멋있는 선생님은뒤로한채 우리의 역사시간이 사라져가는것이 안타까울뿐입니다

  • @user-tc8sy9eq2i
    @user-tc8sy9eq2i Жыл бұрын

    참 역사의 방향을 보여주시는 황 선생님 감사합니다. 최고 라는 한자어 보다는 으뜸 이라는 우리말이 더 어울리시는 ~~~

  • @user-vv6yj4uk3m
    @user-vv6yj4uk3m Жыл бұрын

    각 시대를 대표하는 탑들은 복원했으면 좋겠습니다. 대표적으로 황룡사지 9층목탑과 미륵사지 목탑과 석탑들.

  • @bongjoosong8687
    @bongjoosong8687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를 하시고 계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몇 가지 오류가 있네요 전탑은 모래를 구워서 만든게 아니고 진흙을 구워서 만들었고 현존하는 탑 중에서 가장 오래된 탑은 미륵사지탑이 아니고 분황사탑입니다 우리나라에 소재하는 탑이 약1,000여개에 달하고 이것에 대해 언급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단정하면 잘못이예요 참고로 2022년 현재 우리나라(북한제외)에 확인되는 탑과 탑부재는 확인된 것만도 1,800개가 넘는답니다. 그리고 이들 1,800개에 대한 탑과 탑재에 대해 조사도 이루어지고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분황사탑에 대해 모전석탑이라고 하시는데 잘못된 표현입니다. 모전석탑이 가징 먼저 나타난 것으로 알려진 중국 산동성의 사문탑을 들 수 있는데요 사문탑과 분황사탑은 동일한 형식이 아닌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분황사탑은 인도의 스투파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모전석탑이라고 하면 안돱니다. 현재 명칭도 분황사탑으로 부르고 있답니다.

  •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Жыл бұрын

    ??? 흙을 구운 벽돌로 목탑 형태의 탑을 만드는 것은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주변 환경상 건축재료의 수급 용이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봅니다. 모전석탑이라는 것은 벽돌형태를 모방한 돌로 쌓은 탑이라는 뜻이니, 바로 분황사탑이 그것입니다. 사문탑형식과는 무관하든 말든 왜? 그리 말하면 안됩니까? 자연재료의 수급상 벽돌 건축물이 없고, 석재를 직접 가공해 쓰던 신라의 방식으로, 자장율사 등 중국 유학파가 전해온 당나라 전탑형식의 탑을 새로이 만들었던 것입니다. 형태상 장안의 대안탑 등 전탑의 모양으로, 층마다 동양의 기와지붕 처마형태를 이루고있는데.. 인도의 어디 스투파가 그런 형태를 가지고 있는가요?

  • @bongjoosong8687

    @bongjoosong8687

    Жыл бұрын

    @@user-lb1bi2nz9g 네. 먼저 전탑은 진흙으로 만들어 구운 것인데, 유튜브 강의에서는 모래라고 했기에 지적을 한 것이구요 다음 모전석탑은 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벽돌형태로 돌을 벽돌처럼 다듬어 쌓은 탑을 말하는데 이렇게 모전탑이라는 것이 가장 빠르게 나온게 611년인가? 중국 산동성의 사문탑이지요. 그런데 사문탑 보셨나요? 돌 자체가 벽돌이 아니고 쉽게 설명하면 시멘트블럭처럼 큰 형태이고, 네군데에 감실이 있는 분황사탑과 달리 사문탑은 내부로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이기에 분황사탑과는 다릅니다. 그럼 전탑을 모방해서 나왔다고 하여 모전석탑이라고 하는데 전탑은 현존하는 것에서 가장 이른것이 중국 시안의 대안탑으로 알려졌는데 조성연대가 652년 현장법사가 지은 것으로 이후 무너져 현재의 모습은 9세기 이후로 알려지고 있죠. 그런데 전탑의 형태가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방형의 전탑과 달리 중국의 다각형의 내부는 사문탑과 같이 비워있는 형태로 분황사탑과는 전혀 다른 모습입니다. 분황사탑이 634년, 미륵사탑이 639년, 대안탑 652년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냐면 분황사탑이 조성될 당시에는 전탑이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형이 동생의 모습을 보고 세웠다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인도 스투파는 가장 많이 알려진 원형기단의 산치, 바르후트 탑 등 거의 모든 탑들은 분황사탑과 같은 형태로 돌을 다듬어 쌓은 조성방법이구요, 흥미로운 것은 기원후 4~5세기에는 중인도 말와 지방에서는 우리에게 많이 익숙해진 방형기단의 스투파가 대량으로 조성됩니다. 이러한 것들이 중국을 거치든 우리나라로 직접도입되든 우리로 말하면 고신라때 우리나라 방형기단의 스투파가 조성된답니다.

  •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Жыл бұрын

    @@bongjoosong8687 네 저도 그래서 '목탑'형식의 전탑을 만든 것이라 했지요, 인도식 원형 스투파의 제조방식이 애초에 돌로 벽돌 쌓듯 한 것이니까요.. 대안탑이 가장 크고 역사적 의미가 깊어 유명한 것이지, 지금 중국에서 현존하는 더 오래된 전탑의 증거가 없는 한, 648년 1차 대안탑 보다 분황사탑이 14년 정도 앞선 것은 사실처럼 보입니다. ( 물론, 분황사 건립시에 탑도 같이 조성되었다는 전제로요..) 그렇다면, 목탑의 형태를 모방한 형식을 신라가 창조했을까요?.. 전탑 유적은 없어도 사문탑 예로 보건데 저는 영 회의적으로 보입니다. 거대 대안탑을 만들기 전, 실험적 선두주자로서의 역할을 한 전탑들이 없이 어찌 거대사업이 이뤄졌겠을까 합니다. 척후도 없이 대병이 이동하는 일은 있을 수 없으니까요. 최고의 목판인쇄물이 오늘날 있다해서, 목판인쇄도 우리가 시작했다 한다면, 반박을 물리칠 치트키야 쥐었지만, 영 꺼림찍하니 수긍이 난망하죠.

  • @jopong777
    @jopong777 Жыл бұрын

    안동에 전탑이 좀 있는 걸로 아는데 전탑에 대한 설명도 듣고 싶습니다. 일제가 갈아놓은 중앙선 옆에 있던 전탑이 수십년 기차 소음과 진동에 시달리다가 얼마 전 철길이 이설되면서 전탑 옆 철길을 없애고 시원하게 낙동 강변에서도 보이게 되었어요. 애들에게 전탑에 대해서 이야기 해 주고 싶었는데 벽돌로 만든 탑이라는 것 밖에 이야기 해줄 수 있는 게 없었습니다.

  • @user-cr6pg9oh5b
    @user-cr6pg9oh5b Жыл бұрын

    역사를 공부하면 할 수록 이 나라,대한민국에서 태어남에 감사합니다...

  • @user-uv7vd7og6l
    @user-uv7vd7og6l Жыл бұрын

    황선생 오늘 또 공부 많이했내요 감사하고 다방면 노력해 주세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