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 1차 합격을 가르는 회계학 공부 방법

선생 김봉철 1:1 상담신청
forms.gle/j5KbwT59MUKBTUas8

Пікірлер: 47

  • @teacher-bong
    @teacher-bong22 күн бұрын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멤버십 전용 영상에 공개됩니다. kzread.info/dron/sevf_2siyCwYA52ALFAyXA.htmljoin 1단계 : 멤버십 영상 시청 가능 2단계 : 오프라인 실전문제풀이 스터디 참여 회원전용 단톡방 (시기별 공부법 및 수험정보 제공) 회원전용 Q&A 네이버카페 게시판 (봉철쌤 직접관리) 3단계 : 1:1 맞춤형 공부계획표 작성, 매달 집중관리 전화상담

  • @user-qc5xc2kj3h
    @user-qc5xc2kj3h4 ай бұрын

    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andyhkkim5286
    @andyhkkim528610 күн бұрын

    말 문제를 전부 맞춘다는 목표로 공부가 필요합니다. 계산 문제 보다 시간이 훨씬 적게 걸리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보기 마다 하나씩 물어 보는 문제는 제껴야 합니다.

  • @police26489
    @police26489Ай бұрын

    근데 회계는 4488전략이 아니고 6~70점은 받을각오로 공부해야 실전에서 과락 넘김....원가회계에서 좀만 버벅이면 중급회계 손도못댐

  • @humanj2668
    @humanj26685 ай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ㅠㅠ 괜히 선생님 영상 보면 자극 되서 더 공부해요 힘도 많이 되고... (내년 1차시험때까지 영상 자주자주 올려주시면 좋겠어요 ㅎㅎ) 내년 5월까지 열심히 공부한 다음에 선생님의 응원 영상 보고 자신감 갖고 시험장 들어가고 싶네요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내년 1차까지 좋은 기운 드려야겠네요! 1차 합격하시면 댓글 하나 남겨 주세요~

  • @jungjulee3343
    @jungjulee33435 ай бұрын

    늘 잘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전 42살 직장인이에요:) 1월부터 준비하려고요 조금 늦었다고 생각되지만 그래도 도전:) !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저도 응원하겠습니다~!

  • @user-ur2tz7vl3y
    @user-ur2tz7vl3y5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freedom_505
    @freedom_505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세무사 시험 관련해서 보다가 우연히 들어오게 됐습니다. 정말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잘 봤습니다. 한가지 궁금한점이 있는데요. 최근 객관식반 들어가면서 이제는 기초 내용을 계속 훑으면서 보기보다는 단권화를 해야한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근데 단권화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정확히 감이 안잡히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여쭙고 싶습니다. 단순히 교재내용들을 한권안에 다 간략하게 적는게 단권화 인지.. 아니면 다른의미가 단권화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단권화에 대해서 제가 나중에 따로 영상을 찍어서 올릴 계획입니다. 다른 분들도 많이 궁금해 하셔어요~ 일단 과목마다 단권화 방법이 다릅니다. *재무회계/원가관리는 기본서/객관식책/2차연습서 각각 1권씩만 딥하게 파는걸 전 단권화라고 일단 얘기해요. 그러다가 2차생 기준으론 최종적으론 2차연습서 단 1권(+기본서 참고)이 최종적인 단권화 목표입니다. 그러면서 모의고사도 풀어보고 기출도 돌려보는거구요 *암기과목은 암기할 대상을 단권화해야하는데요 저는 최대한 기본책에 집중했어요(별도서브노트 필기노트 이런건 만들지 않았습니다) 예) 1차에선 상법 같은 경우는 김혁붕책과 법조문을 통채로 다 암기하는 방식 예) 2차 세법학도 별도로 논제 정리해서 외운다기 보단 기본책과 목차만 따로 복사해서 들고 다니면서 외움 (세법학 같은 경우엔 세목별 주요논제 20개~30개씩 따로 정리해서 들고 다니는 방법도 좋은것 같아요)

  • @user-bp7td3ce2k
    @user-bp7td3ce2k5 ай бұрын

    3:27 .. 남일 같지 않아서 웃으면 안되는데.. 웃어버렸다 어.. 어라?

  • @user-ki4rr7nc1v
    @user-ki4rr7nc1v5 ай бұрын

    인생선배 언제쯤 올라오나요? 그것만 기다리는중이에요 ㅠㅠ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1월 초에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 @user-wo3ci8jk6s
    @user-wo3ci8jk6s5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ㅠ 세무사 초시생인데, 지금 재무회계 객관식 풀고 있는데 다른 과목도 시작해야할거 같은데 아직 초시생이고 초반이라 여러과목이 어려워서 재무회계만 하고 있는데 이제 다른 과목도 같이 해야할거 같은데 순서?라고 해야할지 큰 틀을 모르겠어서 댓글 남겨봅니다..!! 재무랑 원가를 같이 하다가 세법을 들어가야할지ㅠㅠ 전체적으로 객관식 강의 큰 틀이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재무랑원가를 첫 회독 하다가 끝나면 세법 시작하고 그러면서 재정이랑 선택법도 같이 돌리고/ 이렇게 1회독 끝나면 다시 재무원가로 들어가야 할지..ㅠ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쪼끔~공부방향에 대해서 길을 못 잡고 계시는것 같아요^^ 종합반을 무작정 쫓아 다니는것도 문제지만 단과로 공부하시면서 한과목 밖에 진도를 못 나가시는것도 문제에요ㅜㅜ 어디서부터 말씀을 드려야 할지도.. 일단 한과목을 완벽히 마스터 하시고 다음 과목을 추가하는방식은 절대 안되요~ 지금이라도 원가시작하시구요 원가 진도 다 빼고 담에는 세법도 진도 시작하셔야 합니다. 객관식 모드는 1차 시험 6개월~8개월 전에 전과목이 같이 객관식 모드로 들어가는게 효과적이에요.

  • @user-wo3ci8jk6s

    @user-wo3ci8jk6s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그러면 크게 보면 재무하고 있었으니까 지금이라도 원가시작한 후 재무 끝나면 세법듣고 그 다음 재정학이랑 선택법 하면 될까요?ㅠ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네~공부 진도가 좀 밀려 있긴 하네요..ㅜㅜ 올해 5월 1차가 목표이시면. 현실적으로 원가 시작하면서 세법은 부가세말 기타세법만 들고 가셔야 할 것 같아요(법인세X, 소득세X) 그리고 바로 재정학/선택법 같이 시작하시구요

  • @user-wo3ci8jk6s

    @user-wo3ci8jk6s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넵 알겠습니다ㅠ 근데 객관식은 보통 1월에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많이 느린가요? 지금은 원가랑 재무같이 하고 있습니다!!!얼른 1회독 하고 세법이랑 선택법/재정학도 같이 객관식 시작하겠습니닷..

  • @user-fs2ex4tf9v
    @user-fs2ex4tf9v2 ай бұрын

    선생님 4488 전략이라는게 공부 포커스를 그렇게 하라는게 아니고 시험장에서 문제풀때만 그렇게 하라는 말씀인거죠??!

  • @teacher-bong

    @teacher-bong

    2 ай бұрын

    네~맞아요 시험장에서 문제 풀때의 전략이에요 또는 너무 늦게 시작했는데 시험장 안들어가긴 애매할때나 공부를 하긴 했는데 마무리 하는 과정에서 버릴껀 버리고 더 챙겨갈껀 챙길때 참고 하는거에요

  • @randomy.9270
    @randomy.92705 ай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 혹시 1차 회계학개론 말문제는 안보고 계산문제만 하는 전략은 어떤가요..?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말문제만 가져가는것도 문제지만 계산문제만 풀겠다도 좋진 않아요ㅎ 말문제는 이왕 맞으면 땡큐~틀려도 머 어때 정도로 하시면 좋아요~ 말문제는 버리기에는 아깝기도 하고요 어짜피 계산문제를 풀기위해 이론적인걸 공부해야하니까요 그러는 김에 말문제도 같이 대비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 @randomy.9270

    @randomy.9270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잘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ㅜㅜㅜ선생님 영상으로 공부방향 잡고 있어요! 잘 부탁드립니다!

  • @invinoveritas9501
    @invinoveritas95015 ай бұрын

    재정학에서 8을 할 수 있을까 걱정이네요, 다른 과목은 기본강의를 듣고 문제를 풀면 아.. 들었던건데... 이런 느낌이라면 재정학은 이게 뭐지?에 가까워서 😢 재정학은 그냥 기출 암기 정복이 답일까요?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재정학 누구껄로 공부하고 계세요? 재정학이..이게 좀 원래 어려운 과목이에요. 고득점 맞아야 하는 전략과목이면서.. 경제학과 전공자들도 미시경제학까지 공부한다음에 보통 3학년 1학기에 수강하는 과목이거든요. 어떻게 생각하면 경제학에서 미시경제학/거시경제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재정학을 해도 쉽지 않거든요. 그렇다고 1차과목이고 전략과목인데 엄청 힘줘서 공부하기도 애매하고.. 그렇다 보니 일단 이해는 안되도 최대한 암기하고. 10년치 기출 막 돌리면서 그냥 시험장에 들어가서 70~80점 정도 맞는 목표로 보통 공부하게 되요.

  • @invinoveritas9501

    @invinoveritas9501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에듀윌 강사님 기본강의를 듣고 기출 풀었는데 30분에 60점대가 나오네요ㅠㅠ 80점은 멀어보이는데 계속 기출을 푸는게 좋을까요? 기본 강의를 다시 듣는게 날까요?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기출 문제인데 30분에 60점이면 좀 애매한 점수이긴 한데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 있으니까요. 지금 하시는대로 더 하시면 될 것 같아요. 만약에 3월~4월인데 기출문제 재정학 60점대이면 ㅜㅜ 최소 기출문제는 80점 대는 나와야 하거든요. 기본강의를 한번 더 듣는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시간이 충분해서요. 그 다음부터는 문제 무한 반복 돌리시구요.

  • @invinoveritas9501

    @invinoveritas9501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넵 조언 감사합니다 기출 정복해보겠습니다🫡

  • @police26489

    @police26489

    Ай бұрын

    저도 재정학때문에 초시때 떨어졋는데...이해를 어느정도 하지않고 외우기만하면 조금만 응용된 선지나오면 못맞추는 과목이라...

  • @user-nu3ql2lc2v
    @user-nu3ql2lc2v5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학기가 끝나자마자 빡빡한 타임어택을 도전하고 있는 대학생인데 재무,원가에서 어느 파트를 스킵해야하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영상이나 커뮤니티 게시글로 알려주실 수 있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말씀 주신 세무사1차 재무회계 원가관리 챕터 제끼는 내용은 아래 영상 참고 해주세요^^ 세무사 1차 6개월 초단기 kzread.info/dash/bejne/jG2azcpyYNrAqNo.htmlsi=iXotOtgwTubjYhtH

  • @user-nu3ql2lc2v

    @user-nu3ql2lc2v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아 저 영상도 봤었는데 까먹었었네요! 감사합니디!

  • @user-gx4ns8jx8r
    @user-gx4ns8jx8r3 ай бұрын

    질문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1차를 붙고 동차를 하여 2차 탈락을 하여도 다음해에 바로 2차를 볼 수 있나요?

  • @teacher-bong

    @teacher-bong

    3 ай бұрын

    네~맞습니다 1. 1차 합격을 하면 2번의 2차시험 기회가 있어요 2. 2차 시험 첫번쨰 도전을 동차시험 / 두번쨰 도전을 유예시험 이라고 합니다.

  • @user-gx4ns8jx8r

    @user-gx4ns8jx8r

    3 ай бұрын

    @@teacher-bong 감사합니다.

  • @user-lp1kv3gn4x
    @user-lp1kv3gn4x4 ай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기출 1200문제라하셧는데 혹 어떤 기준일까요? 10개년 기출일까요??

  • @teacher-bong

    @teacher-bong

    4 ай бұрын

    아~! 이건 객관식 양이 어느정도 되고 문풀회독 감 잡으셨으면 해서요 김기동 객관식 교재기준 750문제 이승근 객관식 교재기준 450문제 이렇게해서 1200문제를 말씀 드린거라서요 참고만 해주세요^^

  • @user-lp1kv3gn4x

    @user-lp1kv3gn4x

    4 ай бұрын

    @@teacher-bong 아~ 재무회계도 문지은행인가해서 여쭤봤습니다 ㅎㅎ 제가 김재호 기베로 계속 회독중인데 다른 쌤들 객관식 해보는게 좋을까요 아님 하던 교재를 계속 보는게 더 나을까요? 직병이라서 고민스럽네요 ㅠ

  • @teacher-bong

    @teacher-bong

    4 ай бұрын

    👍 화이팅입니다~ 김재호 기베가ㅎ정말 좋긴해요 그냥 기베만 최소5회독 이상 돌려주시고요~ 너무 눈에 익는다 하면 학원 모의고사 구해서 푼다거나 다른 교재 챕터별로 20문제씩만 가겹게 풀어보는것도 좋아요

  • @user-uk1bb6nu8w
    @user-uk1bb6nu8w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4488 전략에 대해서 정보를 찾던중에 정말 가뭄에 단 비 같은 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말씀해주신 재무,원가,세법은 버리면서 효율을 높히는 것이라 이해를 했는데, 막상 행소법과 재정학 공부 계획을 하려 하니 큰 틀에서 궁금증이 생깁니다. 제가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얻기로는 1)행소법은 객관식, 기출 문제 풀이보다 기본서을 충실히 2)재정학은 기본서보다는 객관식,기출 풀이가 더 중요하다. 두 과목이 정반대의 성격임을 큰 틀로 잡으려 하는데 이 정보가 올바른 정보일까요? 특히 4488 전략에서는 선택법과 재정학이 상대적으로 고득점이여야 하는데 걱정입니다. 3) 만약에 위 큰 틀이 맞는 정보라면, 재정학: 김판기 기본강의 + 황정빈 객 + 체크포인트 행소법: 정인국 기본강의 + 객 + 기출 이렇게 해서 80점 목표로 어떨까요?

  • @teacher-bong

    @teacher-bong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1차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네요 아무래도 행소법은 절차법이다 보니 기본내용은 굉장히 슬림한 편이라서요. 한정된 기본내용을 더 빡쎄게 외우는게 더 효과적이다보니 그런 정보가 나온 것 같습니다~ 두 과목이 그렇다고 정반대의 성격까지는 아니에요~ 언젠나 기본서 꼼꼼하게 그리고 문제 풀면서 보완하는게 기본이라서요. 재정학은 기본서에 있는 객관식 문제도 사실 차고 넘치긴 하는데요. 기본서 공부를 좀 효율적으로 접근하는 관점이면 황정빈 객관식 교재 따로 푸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행소법은 머 워낙 내용이 적어서요. 기본서 +객관식+기출10년치면 차고도 넘치는 것 같아요. 시험 마무리 잘하실 바랄께요!

  • @yunh6607
    @yunh6607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1월부터 직장병행으로 시작하려고 하는 수험생입니다. 아직 커리큘럼을 짜보고 있는 중인데 내년 1차 준비하고 다음년도 유예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 재무랑 원가를 먼저 시작하면 기본서라는 것이 인강 기본반 중급회계를 말씀하시는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6월부터 시작하라고 하시는 연습서는 2차 강의로 알고있는데 심화반(1.5차) 강의는 따로 수강하지않아도 가능할지도 궁금해요.. 직장병행이라 인강수는 줄이고 싶은데 기본반->심화반->2차반 다 들어야하는지, 기본반에서 바로 2차반만 수강해도 이해에 무리가 없는지가 궁금해서요!! 2. 중급회계말고 고급회계도 듣는게 도움이될까요? 2차에 꼭 필요하다면 내년 동차는 시간이 없을것같아 미리 듣고싶어서 여쭤봅니다..그리고 듣는다면 중급회계->고급회계->2차 연습서 순서가 맞을까요? 미리 감사드립니다ㅠㅠ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직장병행이시면.. 질문 주신 내용대로 하는 계획은 맞지가 않는것 같아요.. 질문 주신 내용은 전업수험생한테 적합한 방법이긴 하네요.. 일단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한 저의 답변은 1. 기본서 기본강의는 종합반이든 단과반이든 기본반 강의를 말씀 드리는거에요~ 재무회계로 치면 중급회계1/2(상/하)가 맞습니다^^ 2. 시간이 충분한 1차생이라면 2차공부를 선행하는게 저는 무조건 좋다고 생각해요 2차 공부를 한다는건 강의만 듣는게 아니라. 강의 후 스스로 복습 최소 2회독 이상을 의미 합니다. 만약 2차공부 선행이 가능하다면. 이왕이면 심화반(1.5차)강의보단. 그냥 2차 기본강의를 듣는게 더 낫다고 생각해요. (1) 공부가 잘 안되어 있다면 2차 기본강의 뿐만 아니라 심화반 강의도 그닥 소용이 없다고 생각해요 (2) 공부가 잘 되어 있으면서도 시간이 충분한 1차생이라면 바로 2차 공부를 제대로 해둬야 합니다. 3. 고급회계도 요새 지분법/연결은 출제가 되기 때문에 1차때 공부를 해둬야 해요 . 나중에 동차때는 어짜피 시간이 없어서 고급 공부할 시간이 없구요. 유예때 하는것도 쉽지 않습니다. 힘들더라도 1차때 고급회계까지 어느정도 공부해놓은 1차생이라면 2차때 많은 도움이 되거든요. 순서는 중급 -> 고급 -> 2차 연습서 순서가 맞습니다.

  • @yunh6607

    @yunh6607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직장병행인데 하루에 5~6시간정도 가능할것같아요. 그래서 직장병행 계획표보다 나중에 동차나 유예때 생각해서 2차 공부를 해두려고 했어요. 세무사님 추천은 직장병행이면 내년 5월까지 1차강의듣고 복습 충분히 하고 그 이후에 2차 강의듣고 유예 생각하는게 맞다는 것이지요?? 휴직은 불가능한 상황이라서 최대한 1차와 같이 공부하려고 했는데 이런 상황이라면 1차 후 2차준비일지, 1차 대비하며 2차도 함께 공부가 맞을지 선택이 어렵습니다... 물론 1차 공부중 제대로 복습이 안되거나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다면 1차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 @teacher-bong

    @teacher-bong

    5 ай бұрын

    네..맞습니다..현실적으로 직장병행인데 1차 공부할때 2차 병행하는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요. 2차 공부를 한다고 해도 그냥 강의 한번 듣고. 2차연습서 한 번 정도 가볍게 보는 정도인데. 오히려 이러는 과정에서 1차 공부가 소홀히 되서. 1차도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져요.. 그래서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최대한 기본기에 탄탄히 하면서 1차 공부에 집중하시고요 그런다음에 2차생이 되는게 훨씬 유리하다고 생각해요~

  • @yunh6607

    @yunh6607

    5 ай бұрын

    @@teacher-bong 감사합니다. 조언주신대로 일단 1차에 집중해보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받으세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