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독보적 1위...미국보다 "2배"나 잘 살았던 서울 "용산구" 만한 섬나라 ㅎㄷㄷ..

#나우루 #경제 #지식 #세포 #지식세포 #부자 #인광석 #인산염 #용산구 #알바트로스
-비즈니스문의 : jisikcell@gmail.com

Пікірлер: 323

  • @dkaskejf
    @dkaskejf Жыл бұрын

    큰교훈을 남겨줘서 고맙습니다 나우루 국민여러분

  • @aetna3321
    @aetna3321 Жыл бұрын

    그냥 생각없이 산 나라의 비극이네

  • @whiteelan7
    @whiteelan7 Жыл бұрын

    1980년대 초반에 도감을 통해서 이 나라를 알았습니다. 정말 저 작은 나라가 어떻게 부자이고 평화로운지 사진을 보고 기겁했었습니다. 저런 나라가 받아준다면 태평양 한가운데서 살고 싶다는 꿈을 만들어준 나라였었습니다. 그런데 저렇게 단 기간이내에 멍청하게 한 번에 나라를 날려보내다니...

  • @user-tc9st9vx7n
    @user-tc9st9vx7n Жыл бұрын

    베네수엘라와 판박이네 ~

  • @PL-lp1kd
    @PL-lp1kd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유일한 자원인 인적자원이 고갈되고 있는중

  • @nomadic2024

    @nomadic2024

    9 ай бұрын

    정신병자 양성소 18ggu

  • @SURLDONG5

    @SURLDONG5

    7 ай бұрын

    ㅈㄴ게갈리고있다시 팔

  • @user-yj3kd9eu9b

    @user-yj3kd9eu9b

    5 ай бұрын

    왜고갈되요? 유튜브책보고영상많이봐주세요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9 күн бұрын

    의대갈자원은 넘쳐나고있죠

  • @hawcheongunjo
    @hawcheongunjo Жыл бұрын

    지도자의 중요성… 가진 부를 잘 활용해서 미래시대를 내다 봐야하는데 당장의 이익만 누리려던 사람들의 안타까운 최후 진짜 지도자는 당장의 현실보다 30년 이후 미래를 봐야할듯

  • @grx1988

    @grx1988

    Жыл бұрын

    그 이전에 국민이 멍청하기에 그런겁니다...

  • @user-kl1bv9nw7y

    @user-kl1bv9nw7y

    Жыл бұрын

    쉽지 않죠 나라가 돈을 많이 버는데 정부가 국민들에게 환원하지 않으면 국민들이 가만 있을까요? 그래서 국민들에게 환원하면 저렇게 되는 겁니다. 당장 먹고 사는데 부족함이 없으면 누구나가 일도 안하고 미래시대를 내다 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자원의 저주라고 하는 겁니다.

  • @somethumb9958

    @somethumb9958

    Жыл бұрын

    지도자만의 문제가 아닌 겁니다. 삶에서 고통과 괴로움, 슬픔, 인내 등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겁니다. 그 필수적인 것을 떠넘기면 반드시 대가가 있는 거죠. 문제는 그 대가를 내가 짊어지지 않을 수도 있기에 문제인 거구요. 어느 시대의 어느 나라를 가도 절대 다수는 서민입니다. 서민들은 늘 피해자라고 생각하며 살죠. 그런 점을 정치인들은 지들의 표 장사를 위해 이용하고요. 나우루의 경우야말로 정밀하고 선택적인 복지가 아닌 절대적이고 무분별한 복지는 나라를 좀 먹는다는 걸 보여주는 좋은 예시라고 생각됩니다.

  • @johndavid6338

    @johndavid6338

    Жыл бұрын

    국가가 당신을 위해 뭘 해줄지 바라지 말고 당신이 국가를 위해 뭘 할 수 있을 지 고민하는 국민이 선진국 국민이다. 지도자가 불만이면 니가 한번 해봐라

  • @hjmvu

    @hjmvu

    Жыл бұрын

    당장에 조선인들도 미래 내다보고 내린 정책에 반발하면서 남의나라는 참 냉철하게도 평가함ㅋㅋㅋㅋ 조선인들은 자기객관화 먼저 해라

  • @topmade7727
    @topmade7727 Жыл бұрын

    당장 내자식 세대는 어떻게 살까를 고민하지 않은 기성 세대들의 탁월한 선택이었군. 이들의 역사에도 많은 교훈이 담겨 있었군요.

  • @MGGXX
    @MGGXX Жыл бұрын

    노르웨이가 빈국에서 석유자원을 잘 활용하고 관리하여 부국이 된 사례

  • @rachelseldestson7812
    @rachelseldestson7812 Жыл бұрын

    다른나라 국채만 샀어도 다른나라 땅을 매입만 했어도 개발도상국에 투자만 했어도.

  • @liberaprime9365
    @liberaprime9365 Жыл бұрын

    개미와 베짱이 현실판

  • @dstfox
    @dstfox Жыл бұрын

    미국채권 부동산 사서 이자 임대료만 받아먹었어도 될듯... 해외 해운사랑 항공사 하나정도씩 집중 투자하고

  • @NADOYAGANDA
    @NADOYAGANDA Жыл бұрын

    코딱지 만한 섬에서 자원이 금방 동날 거라는 건 삼척동자도 예측할 수 있는데 현재에만 희희낙락 하다니 국민들 수준 알 만 하다.

  • @binjaee
    @binjaee Жыл бұрын

    국가가 부를 재투자에 사용하지 않고 복지에만 너무 퍼주기만 해도 문제가 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parkhamint
    @parkhamint Жыл бұрын

    진짜 잘보고 있습니다

  • @dodoit-tn3xo
    @dodoit-tn3xo Жыл бұрын

    극단적인 복지국가의 말로..

  • @user-sc4qg3fi2y
    @user-sc4qg3fi2y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나라가 포퓰리즘에 빠지면 망하는 길로 가는 겁니다. 돈을 나라 발전에 도움이 되는 곳에 써야지 소모성으로 써버린 결과입니다.

  • @user-jj8rs1du8i

    @user-jj8rs1du8i

    2 ай бұрын

    그어느당 선거때마다하는 주특기아님 나라살림은 우리어머니들 처럼어려운형편에도쪼개고 나눠서 적금붓는그런식으로야무지게살아야지

  • @user-ol1up8zn4d
    @user-ol1up8zn4d Жыл бұрын

    진정한 흥청망청~~

  • @user-hm1kt8qu6w
    @user-hm1kt8qu6w Жыл бұрын

    이분왜 구독자 적지 ?이해 못하겠다 목소리톤 너무좋다

  • @Hwai609
    @Hwai609 Жыл бұрын

    가진부를 사용해서 사우디처럼 운영했다면 지금도 세계에서 가장 부자국이 되었을듯..

  • @mh-vd7tr
    @mh-vd7tr Жыл бұрын

    베네수엘라나 아르헨티나나 똑같네

  • @user-qo3le5eh2d
    @user-qo3le5eh2d Жыл бұрын

    저 돈으로 섬 전체를 개발해서 관광지로 만들어 외화벌이를 더해서 진짜 더 부자가 됐을 텐데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9 күн бұрын

    지금도 관광지로 유명합니다

  • @user-db8bl9xu9k
    @user-db8bl9xu9k Жыл бұрын

    어이쿠, 인광석 나올때, 큰 배를 사서, 넓은 태평양 바다에서 고기만 잡아서, 팔아도, 7천명 정도는 정말 잘살수 있었겠다.

  • @moontilt1382

    @moontilt1382

    Жыл бұрын

    중동 기름 국가들도 기름으로 천년 만년 살 것처럼 생각하다가 대체 에너지 개발이 활발해지니 70년만에 다른 산업 개발에 눈돌리는 걸.

  • @vincentoh6438

    @vincentoh6438

    Жыл бұрын

    ​@@moontilt1382 😊

  • @Yaid1024

    @Yaid102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복지를 교육,의료에만 국한하고 다른 산업에 투자했어야 했겠네요.

  • @18Vl9I3i9

    @18Vl9I3i9

    Жыл бұрын

    진짜 어업만팠어도 용산구크기의 땅에 사는 7000명정도는 충분히 잘살았을거임

  • @user-hb2zl4ge3i
    @user-hb2zl4ge3i Жыл бұрын

    지금 관점에서 보면 어떻게 해야지 라는게 보이는거지… 선두 국가들은 일단 복지부터 뿌리고, 집권당 지지기반을 늘리는 형태로 가는거!! 한때 우리나라도 베네수엘라로 복지 시찰도 갔었는데, 지금봐봐 베네수엘라 어떤 꼴로 갔는지… 베네수엘라는 자원이 바닥난 것도 아님

  • @MW.15
    @MW.15 Жыл бұрын

    영상 퀄 너무 좋네요

  • @MW.15

    @MW.15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봤어요

  • @lukeskywalker2046
    @lukeskywalker2046 Жыл бұрын

    인광석 판 돈으로 S&P500 에 넣고 퇴직자들에게 연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택했다면 영원한 부자국가의 길을 갔을텐데...

  • @msk1247

    @msk1247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오늘의 우리도 S&P500에 넣으면 10년 이후 부자가 될 거라고 믿음을 가지지만 넣지 못하구 있죵 ㅠㅠㅠㅠㅠㅠ 으어어엉

  • @user-fy5np2zs2e

    @user-fy5np2zs2e

    10 ай бұрын

    ㄹㅇ 일본처럼 해외자본을 모으는걸로 했으면 잘살았을듯

  • @qaz010zaq

    @qaz010zaq

    3 ай бұрын

    @@user-fy5np2zs2e 같은시기 일본은 30년 잃어버리셨는디ㅋㅋㅋ 아예 멸망한 나우루보단 낫다 이건가

  • @user-qg7tw3wm7s

    @user-qg7tw3wm7s

    3 ай бұрын

    ​@@msk12471

  • @hggyfryu

    @hggyfryu

    2 ай бұрын

    알면 그랬겠지요 님도 미래알면 이미 엄청난 부자되딨슴다

  • @user-ww9jx8rc4z
    @user-ww9jx8rc4z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chakagesalja99
    @chakagesalja998 ай бұрын

    관광,어자원,항만인프라가 없는 서태평양 섬나라 대부분이 나우루와 비슷할 겁니다 고정수입이 없으니 국가이권을 넘기고 보조금으로 연명하고 호주,뉴질랜드에서 도축 가공하고 남은 소,양의 찌꺼기로 만든 통조림이 그들의 주식이니 대부분 고도비만이죠 돈이 없으니 교육도 낙후되고 땅이 작으니 공장,발전시설도 못짓고 산업발전이 어렵죠

  • @user-gj7jf4ik3w
    @user-gj7jf4ik3w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자원에 의존하면 안됨

  • @sjk7033
    @sjk703311 ай бұрын

    자기 그릇이 담을수 없는 부나 재물이 들어오면 흘러넘쳐 주변을 지저분하게 만들죠 자기 능력밖 재물은 잠깐 스쳐갈뿐 결국 자기것이 아니게 됩니다 흔히 로또당첨으로 부자가 된사람들중 자산을 탕진하고 오히려 전보다 더 못해진 경우를 종종 봅니다 나우루는 수렵채집 능력이상의 재물이 오히려 나라를 망하게 만들었다고 봐야..

  • @user-fy5ks3uz5z
    @user-fy5ks3uz5z Жыл бұрын

    영상도 좋고 새로운 지식을 접하게 된 것도 좋은데요 ㅠ 자막에 오타가 ㅠ 역활 ㅠ 흥망성쇄 ㅠ

  • @user-lw2zt6me9f
    @user-lw2zt6me9f Жыл бұрын

    가지고있는 슈퍼카 하나 씩만 팔아도 한 가족이 평생은 라면 끓여먹고 살 수있을 듯. 지금은 은화/금화 요런거 팔아서 먹고 사는 듯.

  • @trecime

    @trecime

    11 ай бұрын

    슈퍼카 얘기는 뻥입니다.

  • @user-ln5tt8sk3h
    @user-ln5tt8sk3h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노르웨이는 절제력이 대단하네 ㄷㄷ

  • @yhwanjo3621
    @yhwanjo362111 ай бұрын

    열대지방 사람들은 게으르다는 이미지를 더 확실하게 각인시켜주는 스토리네요.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9 күн бұрын

    싱가포르??

  • @SKKIMKOR
    @SKKIMKOR Жыл бұрын

    역활->역할 흥망성쇄->흥망성쇠

  • @mitdreamer7882
    @mitdreamer788211 ай бұрын

    선별적이지 않은 무조건적인 복지가 얼마나 잘못되고 위험한 정책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시

  • @user-ks4su2xz3o
    @user-ks4su2xz3o Жыл бұрын

    있을때 아껴씁시다ㅎㅎ

  • @user-hh9zy5qf6s
    @user-hh9zy5qf6s Жыл бұрын

    90년도에 인광석 선적할려고 입항한적이잇어요 항구가 없어서 내항에 닻내라고 통나무 배타고 육지에 갓엇는데 그때당시에도 아무것도 없엇음 살것도 없구 차도 고물차만 운행되고 잇엇고요

  • @dreamongo6753

    @dreamongo6753

    Жыл бұрын

    네. 정확하네요. 대형항구는 없고요, 인광석 출하용 대형크레인 시스템이 2기 있습니다. 크레인 시스템중 1기는 아이오와 지구에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보트를 댈 수 있는 항구는 나우루에 여러곳 있습니다. 동쪽에 있는 항구중 하나는 일본 국제협력단(자이카)에서 건설해준 작은 어선항구가 하나 있습니다.(저는 여기 어선항구에서 수영한 적 있습니다.) 물론 한국 국제협력단도 나우루 정부에 지원해 주었습니다. 당시 대우버스 한대 지원해 주어서 주차장에 있는 것을 봤습니다. 내용중에 상당수가 사실이 아닙니다. 영국식민지 였고요, 서양인들이 발견당시 16개 부족이 있었고 그 후 2개 부족이 사라져서 현재 14개 부족의 후예입니다. 16개 부족은 말레이계, 폴리네시아계, 아프리카계로 현재는 후손들은 대부분 혼혈입니다. 그 당시 부족의 경계를 기준으로 현재 선거구가 나눠져 있습니다. 정치는 내각제이며 국회의원 중 대통령과 부통령 장관등을 뽑습니다. 국회의원이 14-16명으로 기억합니다. 2008년 당시 대통령이 역도선수 출신 스테판 마쿠스 였었습니다. 나우루인들이 비만이 많은 것은 유전적 요인으로 보입니다. 즉 생존에 관계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것으로 보입니다. 나우루인들은 20세기 중반까지 바다에서 어업과 수렵을 했기 때문에 정기적인 식사가 보장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어업과 수렵으로 식량이 확보될때 많이 먹고 그영양분을 축척해서 굶주림에 대비합니다. 현대 나우루인들은 굶주림이 없기 때문에 먹는족족 비만이 될가능서이 큽니다. 제가 본 현대 나우루인들이 비만이 심각한 이유입니다. 나우루인들이 미래를 대비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그들도 자원이 고갈되면 나중에 문제가 생길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1980년대 후반에 투자를 시작합니다. 피지의 호텔, 미국령 괌의 관광시설, 인도네시아 빌딩등에 투자했으나 투자실패와 관리실패로 대부분의 투자자산을 날렸습니다. 나우루 정부가 너무 많은 돈을 낭비한 것은 사실입니다. 당시 쓸때없이 항공사를 크게 운영했으며 국민들에 대하여 과다한 복지, 교육에 자금을 낭비했고 나우루 정부의 국고는 얼마 안되어 비어 버렸습니다. 그 후 이상한 여러가지 사건들이 일어났고 현재에 이릅니다. 혹시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나우루에 대하여 기술하겠습니다.

  • @trecime

    @trecime

    11 ай бұрын

    @@dreamongo6753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요즘 부정확한 유튜브가 너무 많네요.

  • @user-he8rp1qu1x
    @user-he8rp1qu1x Жыл бұрын

    '상황' 이란 단어를 엄청 좋아하시네요 hoxy.. 전직 국뽕채널 입니콰??? ㅋㅋ^^

  • @user-cg2ox3bh2n
    @user-cg2ox3bh2n11 ай бұрын

    국가가 국민에게 풍부한 복지를 제공하는 동안 나우루의 인구가 어떻게 변동했는가를 연구해봐야 한다.

  • @lch0722
    @lch072211 ай бұрын

    너무 좋고 흥미로운 내용인데 역활이 아니라 역할입니다.

  • @anburan2887
    @anburan2887 Жыл бұрын

    근데 나우루 최근에 1인당gdp 1만달러로 개도국까지는 상승함

  • @user-tw5in8wz9c
    @user-tw5in8wz9c10 ай бұрын

    나우루가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가 지금 인구소멸위기에 있다는 점... 우리도 저런식으로 잘살던, 민주주의의 최전선이자 한강의 기적이었던 나라가 인구절벽으로 소멸한다고 역사책에 나올지도 모릅니다.

  • @user-lt3pe9ui7g
    @user-lt3pe9ui7g Жыл бұрын

    저 돈을 다 주식이랑 국체 샀으면

  • @zirve7614
    @zirve76144 ай бұрын

    한때 세계 최대의 산유국 이었던 남미의 🇻🇪도 그렇고 🇳🇷도 국가의 최고 지도자가 어떻게 통치를 하느냐에 따라서 나라의 흥망성쇠가 극명하게 갈릴 수 있다는 좋은 예라고 해야겠네여🤔

  • @user-ir7nj4om8v

    @user-ir7nj4om8v

    22 күн бұрын

    세계최대산유국은 볼리비아가 아니라 그 ㅇㆍ옆에 베네수엘라임. 그리고 베네수엘라가 망한 이유는 미국때문이지 베네수엘라의 문제가 아님.

  • @user-ir7nj4om8v

    @user-ir7nj4om8v

    22 күн бұрын

    세계최대산유국은 볼리비아가 아니라 그 옆에 베네수엘라임. 그리고 베네수엘라가 망한 이유는 미국때문이지 베네수엘라의 문제가 아님.

  • @user-tc3qz4yc5j
    @user-tc3qz4yc5j Жыл бұрын

    어떻게보면 누구나꿈꾸던 유토피아였는데 끝은파멸.

  • @user-pc4eu8ex9s
    @user-pc4eu8ex9s Жыл бұрын

    복지는 무조건늘리면나중에 문제되서안됨

  • @user-hn7ep3dc9y
    @user-hn7ep3dc9y3 ай бұрын

    돈퍼주는 정책지지하는 국민들 정신차려야 합니다

  • @user-rl5yo6vu6b
    @user-rl5yo6vu6b11 ай бұрын

    저런 나라는 망해도 싸다

  • @TV-iy2ej
    @TV-iy2ej Жыл бұрын

    복지는 최소한으로하고 선별적복지, 국민들이 먹고살수있게끔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만드는게 좋은거 같네요 복지 퍼부어봐야 게을러 집니다

  • @user-bv6jn1wt6q

    @user-bv6jn1wt6q

    Жыл бұрын

    답답합니다

  • @John-vg6yg

    @John-vg6yg

    Жыл бұрын

    들쎄뇨

  • @abe69453

    @abe69453

    11 ай бұрын

    그짓을 자원하나 없는 이나라에서 민주당이 하려고 한다니깐 ㅋㅋㅋㅋㅋ

  • @skid631

    @skid631

    9 ай бұрын

    @@abe69453 국민의힘당이겠지 아직 이딴 모자란 놈이 ㅋㅋㅋ거리며 지가 뭔 말을 하는지도 모르고 떠들고 있네

  • @MrSinusu

    @MrSinusu

    6 ай бұрын

    아직도 국짐당의 프레임에 걸려 개돼지스런 생각을 하고 있네. 천연자원으로 세계 최고의 복지와 부를 누리며 미래도 챙기고 있는 노르웨이가 선별 복지하니?

  • @user-ny1sd4yr9i
    @user-ny1sd4yr9i Жыл бұрын

    우리엄마가 맨날 하는말 "땅파면 돈이 나오냐?"가 저 나라에선 현실이 되는군

  • @Miles_Link

    @Miles_Link

    5 ай бұрын

    ​@@The_Rich_Channel2024. 1. 27 포크레인 기사

  • @YT-tv1bi
    @YT-tv1bi Жыл бұрын

    번돈 모아서 미국 대형 펀드사에 맡겼으면 저때보다 지금 더 잘았을 듯.

  • @user-cu3ng4ug5p
    @user-cu3ng4ug5p Жыл бұрын

    아껴써야지 있을때

  • @wisikahn
    @wisikahn6 ай бұрын

    나우루 사람들 중에 호주에 큰 땅을 샀던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주로 골프장을 샀지요. 골프징 주인에 나우루 사람들이 더러 있는 이유입니다.

  • @yosefj7191
    @yosefj7191 Жыл бұрын

    구매력기준으론 미국만큼 잘 살지 못했을 수도 있어요 지리적 여건 때문에 수입 물가가 엄청 비쌌을 거 같아서요

  • @user-ln5tt8sk3h

    @user-ln5tt8sk3h

    Жыл бұрын

    집집마다 외제차가 최소 한대 이상씩 있었다는거 보면 구매력도 상당했을걸로 보입니다.

  • @0lsc2866

    @0lsc2866

    3 ай бұрын

    길거리에 페라리가 너무 많이 있어서 도로가 꽉 막혓엇답니다

  • @ctiger80
    @ctiger80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된 정치가 없는 나라의 비극.

  • @jjijkn
    @jjijkn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골때리네..

  • @atrry4604
    @atrry4604 Жыл бұрын

    만쭈리블로그에서봤는데 독일의 프리츠하버가 질소비료만들기전에 인광석덕분에 식량이 증가됬다고함 동남아는 원래 인구가 적은 밀림지대인데 질소비료 생기고나서 밀림개간되서 동남아인구가 폭팔적으로증가함

  • @user-of9zb1fm3n
    @user-of9zb1fm3n Жыл бұрын

    1인당 GDP가 미국보다 훨씬 잘사는 나라 많습니다.

  • @user-yo4cc2vl5k
    @user-yo4cc2vl5k11 ай бұрын

    할줄 아는거라곤 먹고 싸는것 밖에 없는 국민

  • @user-jj8rs1du8i

    @user-jj8rs1du8i

    16 күн бұрын

    비만에당뇨 나라경제도폭망 국민건강도폭망

  • @iforu83
    @iforu83 Жыл бұрын

    싱가폴은 지도자가 잘해서 최빈국에서 최고부자로... 이나라는 최고부에서 최빈으로... 복지하는건 좋은데.. 그 뒷일을 생각해야지... 작은도시 나라일수록 인구가 적으니 투자를 하던 투자를 받던가 해야지...

  • @asurapark022
    @asurapark022 Жыл бұрын

    과도한 복지의 독이네...

  • @ywetjjeop7884
    @ywetjjeop788411 ай бұрын

    부자들이 돈이 있을때 비축했다가 새로운사업에 투자하는데.. 언젠간 고갈될꺼란 생각을 왜 못하지? 멍청한 리더가 나라를 망가뜨렸네~~~

  • @COOJinDojun
    @COOJinDojun Жыл бұрын

    자원의 저주? 승자의 저주!

  • @user-tl2hr8dy8m
    @user-tl2hr8dy8mАй бұрын

    유익한 영상이네요 나라가 한 가지 자원과 산업에 의존하고 다른 산업을 육성하지 않고 지나친 복지와 혜택은 나라경제를 무너트리고 국민들의 삶이 어려워진다는것을요

  • @user-lp1oz3vl4f
    @user-lp1oz3vl4f Жыл бұрын

    부를 잘 관리하는것도 능력이네요

  • @seungilyou2725
    @seungilyou2725 Жыл бұрын

    남 나라 걱정말고 우리나라나 걱정하세~ 몇십년 후면 인구 0...

  • @user-ii1pi8ex2b

    @user-ii1pi8ex2b

    20 күн бұрын

    걱정마셔 북한이 남한 점령해서 잘 먹고 잘살거임

  • @user-uo4fw8oc7h
    @user-uo4fw8oc7h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국민 소득 1만불로 먹고 살만 하긴 함. 예전에 엄청 잘 살았지만. 그리고 돈이 많으면 복지를 하는게 정상이기함. 돈이 많은데 복지를 안 하면 이상한 거겠죠.

  • @user-yb9ux1jq4w
    @user-yb9ux1jq4w Жыл бұрын

    자원고갈을 대비해 많이 늘리는법을좀 생각하지...

  • @japanmonkey
    @japanmonkey Жыл бұрын

    노르웨이 국부펀드 얘기보고 이거보니 참 그렇네

  • @user-zj2ij1td4s
    @user-zj2ij1td4s3 ай бұрын

    총소득은?

  • @user-yx2zk9ri5j
    @user-yx2zk9ri5j Жыл бұрын

    자원으로 성장하기엔 국토도 인구도 너무적어서 관광이나 예전보다 좋은 기계로 물고기나 잡을 수 밖에 없었을것같다. 자원을 아껴써도 어차피 정해진 운명이였을것이다..

  • @aqsaqs1417

    @aqsaqs1417

    Жыл бұрын

    예전보다 좋은 기계로 물고기나 잡았으면 지금도 엄청 잘살고 있겠지 복지에 빠져서 그런 생각조차도 안했으니 문제지

  • @top_green

    @top_green

    Жыл бұрын

    물고기"나"가 아님. 저 나라 규모를 볼 때 물고기 하나만 잘 잡았어도 아직까지 잘 살고 있을텐데...

  • @user-qr8lj3tb5q

    @user-qr8lj3tb5q

    Жыл бұрын

    민주당 생각.

  • @user-jp5dy3kg5t
    @user-jp5dy3kg5t10 ай бұрын

    흥망성쇠

  • @user-wj8nn1zu3q
    @user-wj8nn1zu3q9 ай бұрын

    제가 잘모를수도있지만 우리도 독도 지하자원팔아서 부자되면 될수있지않을까요???😊😊

  • @chw1766
    @chw1766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자원국이라도 포퓰리즘 한방이면 골로 보낸다. 한국에서 저러면 십년도 안되어 북한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 @user-ob2cg9bm2i
    @user-ob2cg9bm2i Жыл бұрын

    그 돈으로 금융에 투자를 했어야지! 서프라이즈!!!

  • @user-cl8kr3jq2u
    @user-cl8kr3jq2u Жыл бұрын

    황금알은 낳는 거위의 배를 갈라버렸군

  • @user-do3wt6gb4q
    @user-do3wt6gb4q11 күн бұрын

    땅을 다시 새롭게 개발하지 않고서는 나락일 뿐!!😢

  • @diversethe
    @diversethe4 ай бұрын

    15:24 다각화 ㅋㅋ 말이 안 되는 소리지. 규모가 없는데 어떻게 다각화가 가능함 ㅋㅋ 인구 자체가 규모가 너무나도 작은데 ㅋㅋㅋ 지금도 12000명이라 하는데, 모두가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도 모자랄 수준임 ㅋㅋㅋ 어떻게 다각화를함. 진짜 국가경영에 대한 고민을 안해본 사람만 할 수 있는 말임 그건.

  • @liuryangru2104
    @liuryangru2104 Жыл бұрын

    수천년이 아니라 수백만년동안 만들어진거임.

  • @user-xq5wu7gz9h
    @user-xq5wu7gz9h Жыл бұрын

    그놈의 복지 때문에

  • @baechilgu6391
    @baechilgu63914 ай бұрын

    노르웨이처럼 운영해야 했다. 정부수반이 멍청하면 국민 전체가 도탄에 빠지는 것.

  • @user-ni3ne4vw5o
    @user-ni3ne4vw5o Жыл бұрын

    얘들 막가파네 나라에 자꾸 돈달라는 이상한 당이 있던데 너무 이상했음 그돈으로 경제를 살릴생각을 해야지 국민에게 10만원 이게 무슨 도움이 되냐고 국민들은 돈준다니 좋아하고 ㅋㅋ 10만원 그러다 정권바뀌고참 한심한 꼴났지 나라가 위기다 인물이 없다 인물이없어

  • @user-bh5pe8tf3s
    @user-bh5pe8tf3s Жыл бұрын

    베네수엘라 와 비슷합니다

  • @user-fy5ks3uz5z
    @user-fy5ks3uz5z Жыл бұрын

    쇠는 쇠약해지다

  • @ppp-oe1ql
    @ppp-oe1ql6 ай бұрын

    그래서 있을 때 잘해야 함.

  • @user-cu3ng4ug5p
    @user-cu3ng4ug5p Жыл бұрын

    노르웨이가 저주에서벗어났지

  • @user-fy5ks3uz5z
    @user-fy5ks3uz5z Жыл бұрын

    쇄는 쇄국정책 ㅠ

  • @user-zb2pr7sl6r
    @user-zb2pr7sl6r Жыл бұрын

    미래를 볼순 없지만 예측할수는 있다~~미래없이 살다가 폭망한나라 들은 비단 나우루 뿐만이 아니다

  • @jhoon2871
    @jhoon28717 ай бұрын

    인구도 땅도 적고 작은 나라라 어쩔 수 없어보임 거기에 열대지방이라 먹고 사는데 걱정없는 곳이라 뒷일을 생각안한거같음 뭐 애초에 인광석이 없었으면 한가하게 고기잡고 다른 섬나라처럼 한가하게 살았겠지만 뭐 그래도 내가 왕년에 페라리도 몰고 여행도 다니고 이런 기억은 남았으니 나쁘진 않겠지

  • @user-qk2pw2df8y
    @user-qk2pw2df8y7 ай бұрын

    제행무상 제법무아

  • @busan1135
    @busan11357 ай бұрын

    복지 돈뿌리기 탈원전 시민단체카르텔 우리나라의 미래네

  • @Sleep-Mon

    @Sleep-Mon

    17 күн бұрын

    문재아의 수괴 윤뚱똥갈보의 부울경 석유가 미래냐?

  • @big_2440
    @big_2440 Жыл бұрын

    ㅋㅋㅋ 복지라는건 거대한 함정임

  • @hslpaul7589
    @hslpaul75893 ай бұрын

    처음들어 보네. 나우루?

  • @myunghueikim5392
    @myunghueikim539211 ай бұрын

    나오르 국민을 위해 정부가 노력 했던 게 보인다 우리 같으면 기득권층들이 다 쳐 먹고 맷돼지 가 됐을 텐 데....

  • @user-yy50
    @user-yy5018 күн бұрын

    인생은 한방이지 하다가 한강가는 사례

  • @ottolim8255
    @ottolim825511 ай бұрын

    그래도 지도자들이 어리석었지만 부패하지는 않았네요. 덕분에 나우루인들은 20년의 낙원을 만끽했으니~ 페루앞바다에 친차군도라고 있는데 역시 구아노 생산지입니다. 이곳에 관한 얘기도 재밌을듯 합니다.

  • @QvQvQvQ
    @QvQvQvQ Жыл бұрын

    땅을 파내서 돈을 벌었으면 원 상태로 땅을 채워 넣는게 상식아닌가

  • @CLAZZIQA
    @CLAZZIQA3 ай бұрын

    ‘자원의 저주’

  • @user-gx5pr4dw7n
    @user-gx5pr4dw7n Жыл бұрын

    저기는 이해가되는게 저조그만국가에 7천명국민으로 할수있는사업이머가있고 쓸곳이어디가있음

  • @user-dx4gx9xt3m

    @user-dx4gx9xt3m

    Жыл бұрын

    어업 하면 되죠 돈 넘칠 때 기반 마련 했으면 잘 먹고 잘 살고도 남음.

  • @hyun4154

    @hyun4154

    2 ай бұрын

    @@user-dx4gx9xt3m 그당시에도 돈 많이 없었음...7000명이 인구당 gdp가 2만밖에 안되는데 나라 자체돈으로보면 엄청 못사는 나라임.ㅋ

  • @user-li7ic1mp2s
    @user-li7ic1mp2s3 ай бұрын

    나우루는 너무 극단적으로 아무 생각 없이 산 나라라... 좀 특이 케이스긴 하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