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답없는 위치의 국가

Комедия

0:00 ~ 9:45 답 없는 위치
9:45 ~ 16:40 중국을 거스를 수 없는 입장
16:40 ~ 삼전도비 이야기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2 100

  • @user-tr9iu7bm9p
    @user-tr9iu7bm9p4 ай бұрын

    단군할아버지는 나름 노력하셨구나...

  • @user-xy6td8bw8g

    @user-xy6td8bw8g

    4 ай бұрын

    진짜 나름 노력하심 ㅋㅋㅋㅋ 바다도 끼고 있고 한강 유역도 끼고 있고 주위로 중 러 일이 있기는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조금만 위치 잘못 잡았으면 흡수당했을테니 진짜 기가막히는 자리선정임 ㅋㅋㅋ

  • @account08972

    @account08972

    4 ай бұрын

    진지충) 단군은 현재 북경 일대와 요하를 중심으로 랴오허, 지린 일대에 자리를 잡았다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4 ай бұрын

    단군 할아버지는 요동에 터를 잡았어

  • @user-mlk9em25tzy

    @user-mlk9em25tzy

    4 ай бұрын

    처음 터잡은곳은 석유도 나오는곳임.. 그냥 후손들이 못지킨거 ㅠㅠ

  • @JAKE-ty4ct

    @JAKE-ty4ct

    4 ай бұрын

    한반도가 최악이라기에는 진짜배기는 따로있죠 ㅋㅋ; 아프리카 대륙전체만 해도 살기좋은땅은 아닌데

  • @mgo6929
    @mgo69294 ай бұрын

    몽골사람들은 러시아나 한국으로 이민 많이가요 몽골친구얘기들어보면 날씨가 너무 척박해서 사람이 살기가 힘들대요 추울때는 엄청난 추위라고

  • @yabal3992

    @yabal3992

    4 ай бұрын

    보일러도 없자너

  • @Light_k

    @Light_k

    4 ай бұрын

    한국 날씨는...ㅋㅋㅋ대신 선진국+적응

  • @talorray

    @talorray

    4 ай бұрын

    몽골은 수도 울란바토르가 추울때는 영하 35도까지 내려갑니다

  • @user-gj7jf4ik3w

    @user-gj7jf4ik3w

    2 ай бұрын

    ​@@yabal3992보일러 있긴합니다 몽골혼혈이라서 겨울방학때나 여름방학때 3주동안 외할머니댁에 방문하는데 잘 지냈어요

  • @hymnotize

    @hymnotize

    2 ай бұрын

    몽골이 바람이 안분다구요..? ㅋㅋㅋㅋㅋㅋ

  • @sjjfh3j48js
    @sjjfh3j48js4 ай бұрын

    카스피해를 바다로 보느냐 호수로 보느냐는 의외로 영유권 다툼에 연관된거죠. 국제법 또는 관행상 바다에 대해서는 12해리 영해, 200해리 EEZ가 적용이 되는데, 호수는 그냥 둘러싸고 있는 국가들끼리 공동관리 또는 알아서 협의입니다. 그러니 카스피해처럼 크기도 크고 많은 나라가 맞대고있는 호수는 갈등이 생길 여지가 크죠. 그래서 인접국가들끼리 모여서 복잡하게 싸우지말고 바다에 적용되는 영해와 EEZ 관련 합의를 그대로 차용하자고 결론내린거죠. 그게 속편하니까요.

  • @dex373

    @dex373

    4 ай бұрын

    정보ㄱㅅ

  • @user-qj3kv6ip3e

    @user-qj3kv6ip3e

    4 ай бұрын

    아하

  • @user-ss2ee7nz5f

    @user-ss2ee7nz5f

    4 ай бұрын

    누구 하나가 나서서 인위적으로 땅을 뚫어서 호수랑 바다랑 연결시키면 안되려나

  • @Wisniewski1

    @Wisniewski1

    4 ай бұрын

    ​@@user-ss2ee7nz5f 흑해랑 카스피해랑 몇키론데 그런 병신짓을함 심지어 코카서스산맥 어떻게 뚫건데

  • @nopain2948

    @nopain2948

    4 ай бұрын

    바다라고 인정해야 주변국들이 편해지는 구조군요 ㅋㅋㅋ

  • @jamesmlee6759
    @jamesmlee67594 ай бұрын

    몽골 분들 자신감 엄청나고 언어 습득력이 대단합니다. 적응력도 뛰어 나죠. 나라는 그런 상황이지만 그래도 희망이 있습니다.

  • @kimlj1474
    @kimlj14744 ай бұрын

    수백년전에 전세계를 호령했지만 지금은 뒷방 노인네 취급..... 바다가 없는 나라가 얼마나 불리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나라 몽골....

  • @user_q10rgt7sk

    @user_q10rgt7sk

    4 ай бұрын

    몽고 놈들이 했던 짓을 생각하면 그냥 쌤통임

  • @ilidlleisill

    @ilidlleisill

    4 ай бұрын

    @@user_q10rgt7sk워어. 지나간 역사에 과몰입 금지임.

  • @soviet-red-army

    @soviet-red-army

    4 ай бұрын

    ​@@user_q10rgt7sk몽골없었으면 이슬람 100배에 중화 500배임

  • @l0vely10

    @l0vely10

    4 ай бұрын

    ​@@ilidlleisill 지나간 역사에 과몰입?ㅋㅋ 나치,난징대학살도? 과거를 안 배우려는 제일 무식한 부류 ㅋㅋ

  • @user-mn3vi3cj9k

    @user-mn3vi3cj9k

    4 ай бұрын

    저기서 중국 동화된 사람이 얼마나 많겠냐 인구 300만밖에 안되는데 ㅋㅋ 몽골제국이 그대로 계승된게 아니지. 걍 중국인 하지 뭐하러 독립했는지

  • @yeom1044
    @yeom10444 ай бұрын

    저래서 몽골인들이 중국을 엄청 싫어함 ㅋㅋ 한국에는 와서 일하는 노동자가 많아서 엄청 우호적인데 중국 진짜 극혐하는 나라가 몽골임.

  • @maknaenayng

    @maknaenayng

    4 ай бұрын

    반대로 중국 좋아하는 나라가 있냐는..

  • @ruddystylo2615

    @ruddystylo2615

    4 ай бұрын

    몽골에서 중국말 하고 돌아다니면 우스개 소리로 뒤지게 맞죠.

  • @user-zwfjgdx

    @user-zwfjgdx

    4 ай бұрын

    중국 좋아하는 나라가 어딨음

  • @user-mc7cc8ix4n

    @user-mc7cc8ix4n

    4 ай бұрын

    본래 이웃끼리 사이좋은나라 없음

  • @user-gp4fs3qd8y

    @user-gp4fs3qd8y

    4 ай бұрын

    중국에 석탄을 못팔면 굶어뒤지는 몽골😂😂😂

  • @nayil9244
    @nayil92444 ай бұрын

    의무교육 과정에서 국사 위주로만 배우다 보니 허구한 날 침략당하고 핍박만 받은 민족사에 가슴이 답답해지지만 세계사를 펼쳐놓고 곰곰이 잘 생각해보면 사서에 이름 한 줄 겨우 남기고 사라진 민족과 나라가 그렇게 많은데 21세기에도 이렇게 훌륭히 국체를 보존하고 있다는 것만으로 우리 조상님들이 얼마나 노력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juni2242

    @juni2242

    4 ай бұрын

    ㄹㅇ 자랑스러워 해도 되는 대단한 역사인데 의무교육이 국민들에게 열등의식을 심어버리니...

  • @lpc_mirror

    @lpc_mirror

    4 ай бұрын

    ‘강한자가 살아남는게 아니라, 살아 남은자가 강한거다’ 의 좋은 예가 우리나라인듯

  • @user-kr8gt3mv8b

    @user-kr8gt3mv8b

    4 ай бұрын

    아니 뭔 댓글을 이렇게 기억에 남도록 잘 쓰시나요

  • @user-ew9by2wm5q

    @user-ew9by2wm5q

    4 ай бұрын

    딱히 자랑스럽진 않은데?? 평생을 중국속국으로 살다가 일본한테 쳐맞고 미국도움으로 살아남았지만 반미시위하고 친중친북정치인들 빨아주는나라가?...

  • @user-xj8cp5ui7v

    @user-xj8cp5ui7v

    4 ай бұрын

    ㄹㅇ. 한국이 작은 나라가 아니었음. 인구나 경제규모나 다 과거에도 10-20위권은 됨

  • @Djdhdjx-ndjdnzdddd
    @Djdhdjx-ndjdnzdddd4 ай бұрын

    한국은 세계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장 크다고 생각했는데, 몽골을 보니 답이 나오네요~, 한국이 북한으로 인해 내륙이 단절되긴 했지만 바다가 있어서 해상무역이 발전할 수 밖에 없는 조건이 정말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user-Griezman

    @user-Griezman

    4 ай бұрын

    북한도 땅이나 기후가 별롭니다 김정일도 제주도 가보는게 소원이라고 했음 얼마나 무력통일을 원했을지

  • @user-ib4cn2ux8w

    @user-ib4cn2ux8w

    4 ай бұрын

    ㅌ 6 !.,. 6

  • @ieggdd

    @ieggdd

    4 ай бұрын

    윈디보면 우리나라 영하5도 이럴때 북한보면 영하30도까지 내려가는 동네도 있음 척박한 땅에 자비없는 날씨 ㅎ

  • @user-uw8uy1oh5r

    @user-uw8uy1oh5r

    3 ай бұрын

    ㄹㅇ 중국이랑 안붙어있으니까 한국사 사상 최대로 중국문화권에서 이탈 중이고 세계수출에 힘쏟다보니까 문화도 세계대중문화에 발맞춰 빠르게 발달하는 듯.

  • @user-dg3wp8nv2d

    @user-dg3wp8nv2d

    2 ай бұрын

    군사력 증강없다면 언제라도 일본,중국 놈들에게 봉쇄당한다 원자폭탄만들라 윤통이진짜 만들면 윤통만세다

  • @Drone0
    @Drone04 ай бұрын

    바다는 참 중요하구나...

  • @ToToT2000
    @ToToT20004 ай бұрын

    잊고 싶고 부끄러운 역사도 우리의 역사다

  • @user-ze6yf6zx4g

    @user-ze6yf6zx4g

    4 ай бұрын

    그건 그런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민족성을 심하게 저해하는 역사물이 아니라면 반성과 경계의 대상으로 역사물 자체로 보존하는 것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 또한 한 시대를 거쳐간 역사적 사실물이니까요

  • @ozarkian7211

    @ozarkian7211

    4 ай бұрын

    오히려 저런 수치스러운 역사유적을 잘 보존하고 끝없는 반성과 교훈의 계기로 삼아야함. 독일이 2치대전 폭격당해 파괴된 건물들과 유대인 학살의 증거물을 보존하는것도 같은 이유..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가 없다는 말은 원래 자국의 수치스러운 과거를 기억하고 다시는 그런 수모를 당하지 않기위해 노력하자는 뜻임..

  • @yunadrift

    @yunadrift

    4 ай бұрын

    조선이 개 엿같은 꼰대 유교 문화랑 다른 제국주의 나라들에 얻어터진 역사 밖에 물려 준게 없는데 왜 우리역사라고 지켜야 됨? 북조선 있잖아 우리는 호적에서 좀 파주셈

  • @sagaciousid

    @sagaciousid

    4 ай бұрын

    수치스럽다고 역사를 부분적으로 잊으면 되풀이한다..

  • @tomma8345

    @tomma8345

    4 ай бұрын

    중공의 한족 지나돈들이 청나라를 지들나라라고 정신승리하는게 어떤 상황이냐면: 지금의 한국인이 한때 자신들 조상이 대일본제국의 황국신민으로 살아왔기에 지금도 그당시 대일본제국의 강대함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생각하면 됨. 한국에서는 아예 말도 안되는데 한족들은 저렇게라도 정신승리 해야함. 지들 3500년 역사에서 3000년동안 북방 알따이계 유목민족의 노예로 살아왔기에 저런 정신승리 하면서라도 버텨야함. 한족들은 기이한 역사관이 있음: 누가 나를 정복하면 나를 정복한 자의 역사가 나의 역사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한족들은 역사에서 교훈을 얻을수가 없음. 정신승리로만 역사를 배워왔으니깐. 그래서 노예로 정복당하는 역사가 계속 반복되는거임.

  • @BJ-dd9ek
    @BJ-dd9ek4 ай бұрын

    ㅋㅋㅋ 몽골에 1년 살다 왔는데요. 해산물은 거의 못먹는다고 보면되고 이마트에서 파는 야채 과일들도 러시아 중국 거쳐서와서 시들시들하거나 냉동이 대부분이에요 ㅠㅠ 몽골은 특이하게 감자, 당근을 많이 먹더라고요. 12~2월쯤 되면 날씨가 영하 30도까지 떨어져서 현지인들은 병원에 많이가더라고요. 현지인들이 의외로 추위에 강하지 않다고 느낀게 저보다 추위 더 타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영하 30도되면 주머니에 있던 스마트폰이 부풀어서 터질락말락합니다. 그리고 의외로 여름에는 자외선도 세고 더워서 반팔입고다닙니다. 물가는 한국이랑 비슷한데 문제가 국민들 대부분이 수도에 모여살아서 집값이 답없습니다 😢

  • @supyoo

    @supyoo

    4 ай бұрын

    감자 당근이 척박해도 잘자라서 그런듯

  • @user-zl3kz6lz9h

    @user-zl3kz6lz9h

    4 ай бұрын

    당근때문에 시력이좋은건가

  • @Red_Rabbit.K

    @Red_Rabbit.K

    4 ай бұрын

    @@user-zl3kz6lz9h 오호.,..!

  • @user-to8nw7bp1v

    @user-to8nw7bp1v

    4 ай бұрын

    검자 당근 빵 술 등은 싸고 좋아요. 특히 주류는 이마트에서도 냉장고에 종류별로 팔아요. 맥주가 아닌 양주들...세계의 거의 모든 주류가 있는데 한국보다 훨씬 쌉니다. 술좋아하는 사람이면 몽골 여행이 좋아요..ㅎㅎ

  • @user-og1bm5bs1z

    @user-og1bm5bs1z

    4 ай бұрын

    이래서 극단적 대륙성 기후가 살기엔 좋지 않은 듯.

  • @user-kh1pu7cu9o
    @user-kh1pu7cu9o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땅 좁다고 하지만 사실 분단만 안 되었어도 그렇게 엄청 작은 체급은 아니긴 하죠. 광대한 고구려땅 아쉽긴 하지만 고려~ 조선시대 거치면서 민족정신 피터지게 지킨 덕에 중화권 흡수도 방어해내고. 또 조상님들이 북방민족 상대로 열심히 싸우셔서 영토도 제법 회복했고.

  • @user-qp7bp5bz7i

    @user-qp7bp5bz7i

    4 ай бұрын

    평야전투에선 걍 물량많으면 이깁니다. 물량적으면 질수밖에 없어요. 그니까 압록강을 넘어서는 중국왕조가 밀려올때 전혀 방어가 안된다는거에요.

  • @creasy3166

    @creasy3166

    4 ай бұрын

    강력한 북방민족 국가가 탄생하면 다 털려먹음. 중원이나 북쪽 애들의 분열기에나 회복하고 나라꼴 갖춤.

  • @user-zc7ho3gd5d

    @user-zc7ho3gd5d

    4 ай бұрын

    솔직히 분단만 안됐어도 3면이 바다에다가 육지로 유럽까지 갈 수 있었을껀데

  • @thebravegallade731

    @thebravegallade731

    4 ай бұрын

    ​@@user-qp7bp5bz7i 만주는 평야이지만 고구려 옜 국경 보면 산 성 강이라 막기는 충분함. 글고 수틀리면 1차는 압록강 2차는 대동강 라인에서 막으면 되고

  • @user-qp7bp5bz7i

    @user-qp7bp5bz7i

    4 ай бұрын

    @@thebravegallade731 만주벌판은 산맥이 있기는 하지만 평지가 꽤 넓고요. 강도있기는 하지만 도하장비 없어도 적들이 건널만 하기에 별로 의미가 없어요. 강도 길지않고 짧습니다. 나머지는 다 언덕뿐이고 나무가 그렇게 울창한것도 아니고요. 이런곳에서 성벽끼면 막기는 할수있지만 기술개발과 병력수가 엇비슷해야 그게 가능한거에요. 그리고 지금은 포격을 계속하여 성벽을 지어봤자겠지만요. 고려땅은 만주까지 포함되는 곳인데 거기는 방어보단 공격에 더 유리한 지형입니다. 숨기는 어렵고 뭔가 막아줄것도 없으니 무조건 백병전을 할수밖에 없었고요. 지금이야 총으로 발사해대도 총과 피복 식량 식수 실탄을 대량으로 싣고 나를려면 철도도 낡아있기에 물자지원할 방법도 배를 통한 방법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근데 의주랑 청진을 뺏기는 순간 한국이 개성도 뺏기는건 시간문제입니다. 실탄이 안오면 어떻게 되겠어요? 백병전말고는 방법도 없어집니다. 근데 백병전으로 가면 물량이 더 많은쪽이 더 우세합니다. 1대1로 싸우는중에 중국군이 더와서 한명이 팔잡고 한명이 다리잡으면 그냥 두들겨 맞는수밖에 없게되는 거에요. 북한지역은 산도 많고 강도 많기에 유격전 개릴라전을 펼치면 최소한의 돌팔매같은 무기만으로 버틸수가 있지만 평야가 많고 산이 적고 큰강이 거의 없는 곳에선 그냥 물량많은쪽이 우세해집니다.

  • @user-ji3vo7bh3c
    @user-ji3vo7bh3c4 ай бұрын

    몽골여행 인생 최고의 여행지였는데.. 외부인 입장에서야 온갖 나라의 자본과 경이감이 느껴질 정도의 자연이 공존하는 모습이 즐거웠지 사는 사람들은 참 깝깝하겠다 싶긴 하더라구요

  • @feratube

    @feratube

    4 ай бұрын

    ㄹㅇ초원 펼쳐져있는 후룬베이만 봐도 장관이죠 이미 쇼츠로 조회수 수십억씩나와서 다들 봤겠지만

  • @wrwsxf

    @wrwsxf

    4 ай бұрын

    ​@@user-hf7kb8ix6k이러고살고싶냐

  • @NY1075

    @NY1075

    4 ай бұрын

    @@feratube댓글 보고 검색 했는데 초원 지리네요

  • @user-ii9wt9tp8c

    @user-ii9wt9tp8c

    4 ай бұрын

    별 지기들이 가장 좋아하는 나라

  • @user-tq4yx4wx5g

    @user-tq4yx4wx5g

    4 ай бұрын

    @@user-ii9wt9tp8c ㅇㅈ 가서 보면 은하수가 ㄹㅇ 미침

  • @ssamssammai
    @ssamssammai4 ай бұрын

    요새 영상들이 슬금슬금 길어지네요....너무 좋아요ㅎㅎ

  • @user-fe4yz9dn6i

    @user-fe4yz9dn6i

    4 ай бұрын

    그ㅠㅇㄷ ㆍ

  • @brianchris4708
    @brianchris47084 ай бұрын

    몽골이 중국과 러시아중에 택해야 한다면 그나마 극동에서의 영향력이 덜한 러시아를 택해야되는데 경제력때문에 중국에 의존할 수 밖에 없지요 그렇다고 친미쪽으로 갔다가는 중국, 러시아 양쪽에서 두들겨맞을테니 표면적으로라도 중립을 외치면서 지금의 영토라도 잘 보존하는 것이 현실적 .

  • @user-bk7in3vl4l

    @user-bk7in3vl4l

    3 ай бұрын

    안타깝네요..

  • @bbokdoong
    @bbokdoong4 ай бұрын

    예전 싱가포르 친구가 청나라가 조선을 침략해서 조선왕이 무릎 꿇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 히죽되며 묻길래 그거 명나라 도와주다가 그렇게 된거다라고 했더니 갑자기 열받으며 배신자들 때문에 만주족에게 나라를 뺏겼다고 분해하더군. 중국애들 정체성이 매우 혼란..😂😂

  • @kbkim6497

    @kbkim6497

    4 ай бұрын

    심지어 싱가포르 화교면 푸젠성 출신일 가능성이 높은데 중국애들 진짜 지멋대로임.

  • @user-ex7oz4xj1n

    @user-ex7oz4xj1n

    4 ай бұрын

    지들도억지인거아는거지 중화민족 ㅇㄹㄴ 그냥 한족문화바탕으로 중원에 나라를 세우면 중화권으로 중국역사가됨ㄹㅇㅋㅋ

  • @kbkim6497

    @kbkim6497

    4 ай бұрын

    @@user-ex7oz4xj1n 한족문화바탕이 될수밖에 없는게 넓은 평야와 높은 식량 생산력을 유지해줄수 있는 기후조건이 깔려있어서 압도적인 인구 유지가 가능한게 중원임. 이민족이 기껏해봐야 수백만인데 중국 수천만을 못집어삼킴. 물론 막대한 인구빨덕에 문화 자체도 우월했지만 인구 자체도 많아도 너무 많으니 소수인 이민족은 잠식될 수 밖에 없음.

  • @user-rt9pj6xx1d

    @user-rt9pj6xx1d

    4 ай бұрын

    청나라한테 자아의탁하다가 내심 지네 민족 아니니까 한족(한푸)같은거 내세우고 그러다가 필요할땐 다시 이민족 역사에 자아의탁하고 중국인(한족)모순이 그거임

  • @gabrielyoon5858

    @gabrielyoon5858

    3 ай бұрын

    실제 청나라 왕조는 신라의 후예이며 만주족 우리랑 같은 동이족입니다. 만주원류고 책보면 우리랑 같은 뿌리라고 첫페이지부터 나옵니다.

  • @user-xv3rd3ki8u
    @user-xv3rd3ki8u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 비하인드 너무 웃기다..저주인형이냐고ㅋㅋㅋㅋ

  • @manajc8954
    @manajc89544 ай бұрын

    몽골에서 부산으로 유학온 대학생들 쉬는 날 바다 데려다 달라고해서 해운대 데리고 갔더니... 다들 바다로 뛰어 가더니 바닷물이 진짜 짠지 먹어봄. ㅋㅋ

  • @user-ls7vs9dw1c

    @user-ls7vs9dw1c

    4 ай бұрын

    평생 바다를 실제로 본 적이 없으니 그럴만도 하겠네요 ㅋㅋ

  • @user-wu1rr9bb6y

    @user-wu1rr9bb6y

    4 ай бұрын

    뭔..진격의 거인 벽안 인류도 아니고...

  • @user-qy6ty8ee5o

    @user-qy6ty8ee5o

    4 ай бұрын

    😂😂

  • @BJ-dd9ek

    @BJ-dd9ek

    4 ай бұрын

    내친구도 몽골인인데 동아대로 유학갔음

  • @user-ff9to5js4l
    @user-ff9to5js4l4 ай бұрын

    그나마 불행인지 다행인지 러시아가 있어서 나름 내몽골을 때어가는 정도에서 끝날수있었구나... 티벳이랑 위구르는 그마저도 불가능했구나

  • @user-zp9jt9kr1o
    @user-zp9jt9kr1o4 ай бұрын

    단군할아버지는 나름 평야 많고 자원많은 만주에 자리잡으셨음 한 4000년만 존버 하면 되는데 그걸 못 참고 농사 잘되고 따뜻한 한반도로 이사한거임 ㄷㄷ

  • @7mmalltheway

    @7mmalltheway

    4 ай бұрын

    만주는 토질이 좋아 농사도 잘 된다 함.

  • @Leo_with_Pio

    @Leo_with_Pio

    4 ай бұрын

    한반도 아래로 안내려오고 거기 계속있었으면 중국 소수민족됐을듯

  • @JNAtest

    @JNAtest

    4 ай бұрын

    단군 할아버지 유지를 따르며 남아있던 일부 한민족 조상의 형제들은 이미 한족화되어서 니셩네셩 이러고 있다. 우리 조상님들께 감사하자

  • @vforwhat3730

    @vforwhat3730

    4 ай бұрын

    @@7mmalltheway그건 근현대 들어서 비료 나온 뒤 이야기.. 전에는 그냥 똥땅 그 자체였음 ㅋㅋㅋㅋ 만주에서 내려와서 한반도에서 알박기 했기 때문에 우리가 중국 소수민족 안 된거임.

  • @user-io9ck3jj8m

    @user-io9ck3jj8m

    4 ай бұрын

    농사가 잘 된다니요.... 우리나라는 산 밖에 없잖아요. 거기다가 우크라이나나 아르헨티나 같은 나라가 들으면 콧웃음 칠것같아요

  • @daeeun2
    @daeeun24 ай бұрын

    우린 그나마 낫네 물론 위로 아래로 좀 때리는 국가들이 있기는 한데 그나마 3면이 바다라 직접적으로 피해는 입히지 못하고 수출하기에도 유리하고 큰 자연재해라 한들 태풍이 다고 지진도 덜나고 났다한들 밑에 방파제 국가있어서 쓰나미피해 없고...

  • @user-dg3wp8nv2d

    @user-dg3wp8nv2d

    2 ай бұрын

    북쪽은 미친 최악살인마 서쪽은 남의땅,바다욕심 끝없는 독재자 남,동쪽은 독도,동해바다 지꺼라고 생때쓰는 토끼족얍삽이 3면이 바다라고 하지만 다막혀 갑갑하다

  • @user-ic5tb8ll2y
    @user-ic5tb8ll2y4 ай бұрын

    세월이란.. 한때 천하를 쥐락펴락하던 대제국이 지금은 일개 약소국에 불과하니

  • @user_q10rgt7sk

    @user_q10rgt7sk

    4 ай бұрын

    잔혹하기로는 나치 독일도 한 수 접고 들어가는게 몽고 제국인데 쌤통이지 뭐

  • @user-zn4ni2qw3h

    @user-zn4ni2qw3h

    4 ай бұрын

    @@user_q10rgt7sk 그때 당시 전쟁이 안 잔혹 할 수가 있음?

  • @user-vw3ne4ve1x

    @user-vw3ne4ve1x

    4 ай бұрын

    ​@@user-zn4ni2qw3h 몽골은 도가 좀 지나치긴했음 오죽하면 몽골이 지나간 자리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는 말이 있었을까

  • @user-gc1vh2tt1q

    @user-gc1vh2tt1q

    4 ай бұрын

    @@user-zn4ni2qw3h 아무리 옛날이였다지만 몽골은 도가 좀 많이 지나쳤죠 점령하는곳마다 죄다 학살하고 다녀서 호라즘을 비롯한 중동일대는 완전히 초토화 되었으니 괜히 몽골 때문에 이슬람이 유럽한테 뒤쳐지게 되었단 소리가 나오는게 아님

  • @costarikakevin

    @costarikakevin

    4 ай бұрын

    ​@@user-zn4ni2qw3h몽골은 레벨이 다르긴 했음 중세판 일제임

  • @user-iq7bc4pk4q
    @user-iq7bc4pk4q4 ай бұрын

    슈카형 300만 미리 추카요~!!🎉🎉🎉👏🏻

  • @seung-jeyang3746
    @seung-jeyang37464 ай бұрын

    몽골, 네팔, 에티오피아, 볼리비아 보면 바다가 있어야 한다는 걸 느낌

  • @user-nm8vl7gr5m

    @user-nm8vl7gr5m

    2 ай бұрын

    진짜 에티오피아는 바다 있으면 잘살았을 거임

  • @user-qn2kx1hz1b
    @user-qn2kx1hz1b4 ай бұрын

    진짜 중국은 조금만 얕보이면 일제마냥 나라 주권을 없애려하네;;

  • @user_q10rgt7sk

    @user_q10rgt7sk

    4 ай бұрын

    몽골이 중국한테 한 짓이 있으니 저렇게 당할수밖에

  • @vforwhat3730

    @vforwhat3730

    4 ай бұрын

    일제보다 더한게.. 쟤넨 인구가 14억이라 소수민족들을 깔아뭉개서 동화시킬 수 있음. 실제로 티베트랑 위구르에 한족 비율이 절반 넘어가는 도시들이 많아지고 있고..

  •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4 ай бұрын

    @@vforwhat3730 일제보다 더하진 않음 중국=일본이라 생각함 20세기 아시아 최악의 나라 일본 21세기 최악의 나라 중국 이거같음

  • @user-fg7fc8fi8b

    @user-fg7fc8fi8b

    4 ай бұрын

    ​@@vforwhat3730몇세대만 지나도 한족이 거의 점령하니까...진정한 인해전술이라고 볼 수 있음

  • @baekin5893

    @baekin5893

    4 ай бұрын

    이미 연변 조선족자치구도 한족이 더 많음. 그리고 똑같이 문화 말살 정책 하는 중임.

  • @cafe99days
    @cafe99days4 ай бұрын

    한때 제계를 제패했는데....사방이 막혀있고...날씨도...풀떼기 키우기도 힘들고...

  • @user-dp1sr5gw8g

    @user-dp1sr5gw8g

    4 ай бұрын

    총기가 등장하면서 ...망함

  • @songajae
    @songajae4 ай бұрын

    와 영상하나 보고나니 구독자 300만이네.. 300만 축하드립니다

  • @Like_Always
    @Like_Always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해 형! 역시 자네야👍

  • @jindodogtan
    @jindodogtan4 ай бұрын

    중국 사람이 몽골 가면 이유 없이 쳐맞는단 소문이 소문이 아니란 것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 @doyouknow_MTE

    @doyouknow_MTE

    4 ай бұрын

    몽골인들이 자국에서 동북아 외국인 만나면 바로 한국어 쓰는 이유가 한국인인지 중국인인지 판별하려고 쓰는거라고 함. 일본인들은 몽골 잘 안오기 때문에 한국인 아니면 중국인이라서 한국어로 대화 걸었는데 솰롸솰롸 헛소리 하면 바로 죽빵갈김.

  • @sofomryu

    @sofomryu

    4 ай бұрын

    @@doyouknow_MTE바로 죽빵은 좀 웃기노 ㅋㅋㅋ

  • @user-vw1pr5dt3n

    @user-vw1pr5dt3n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폭력범죄 1위가 몽골인이고 2위가 중국인이예요.

  • @user-we5it6vg1k

    @user-we5it6vg1k

    4 ай бұрын

    그것들 다구라거나 과장된거에요 중국과 딱 붙어있는데 그지롤하면 바로 경제보복당하고 군사적 압박으로 안보 조지는거에요 그레도 싫어하는건 사실인지라 중국인들에게 눈총 쏘거나 몽골 경찰이 접근을 불허하는 수준이에요.

  • @user-in7wk7gd1j

    @user-in7wk7gd1j

    4 ай бұрын

    멋도 모르면 입 다무세요… 진실은 님나라 가자가 중국가서 처맞도 짹소리 못하는게 진실

  • @CoffeeBenz
    @CoffeeBenz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는 나라의 힘이약하면 어떻게되는지 교육용으로라도 있어야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휴전국이라는걸 잃지않게.

  • @user-ex1gl1pi4x

    @user-ex1gl1pi4x

    4 ай бұрын

    잠실 삼전도비 왕조시대때 수치스러운 역사에 증거지만 이것도 나라와 민족의 역사이기에 보존해서 후손들에거 널리 대대로 알려서 미래세대의 교훈되는 역사기록이 되어야 됨니다

  • @Kangbmw

    @Kangbmw

    4 ай бұрын

    그보다는 외교 제대로 하자는 게 더...

  • @user-og6ih9bf6l

    @user-og6ih9bf6l

    4 ай бұрын

    그냥 책으로 교육하면 돼지 굳이 비석을 세워서 전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런식이면 침략자들의 흔적을 고스란히 남겨한단거냐? 비석 따위 하나 전시한다고 역사의식이 높아지지도 않을뿐더러 비석을 본 중국놈들의 자긍심만 올려줄 뿐이다..

  • @user-xe2ql2ft2c

    @user-xe2ql2ft2c

    4 ай бұрын

    ​@@user-og6ih9bf6l청나라는 중국의 역사가 아닌데?

  • @moonyu273

    @moonyu273

    4 ай бұрын

    @@user-og6ih9bf6l 그렇게 따지만 중원 고구려비나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다 없애야 함? 그것도 자기들이 침략해서 땅 먹었다고 기념비 세운건데? 당신 말대로 하면 내몽골 자치구에 있는 고구려 유적은 없애는게 맞는거네? 광개토대왕비에 태왕이 거란에 쳐들어가 700개 영을 점령했다고 되어 있는데? 광개토대왕의 정복 전쟁은 침략의 역사 아냐? 그리고 현재 대한민국이 조선도 아니고 치욕스러울게 뭐가 있어? 그딴 논리면 남해안에 남아 있는 왜성도 다 없애야 되겠네? 역사는 그냥 역사로 좀 받아 들여. 괜히 그걸로 자위질 하거나 감정 이입해서 중국처럼 미개하게 문화대혁명 짓거리 하지 말고. 저걸로 중국이 자긍심 채운다고? 채우라고 해. 애초에 조선왕조 실록에 명을 섬기는 것은 부모를 섬기는 것과 같다고 하면서 사대의 예를 버릴 수 없다고 했던게 조선인데? 조선왕조 실록보면 중국 애들 더 자긍심 채우지 않겠냐? 치욕의 역사니까 조선왕조실록도 다 없애는게 맞아? ㅋㅋ

  • @user-fg6pr8yc5l
    @user-fg6pr8yc5l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는 우리나라 역사 중 하나로 인식하고 반성하고 과거의 역사를 반복해서는 안된다는 교훈을 위해 남겨놓고 보존해야 된다고 생각함....

  • @user-bo9by5zc3s

    @user-bo9by5zc3s

    4 ай бұрын

    과오를 잊으면 같은 실수를 반복 할 진데 어찌 부끄럽다하여 지우려하는가 지운다한들 그 사실이 없어지는것도 아니거늘 이리도 속이 좁아서야원

  • @ttbeatz8264

    @ttbeatz8264

    4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 @user-ne5jn4wj1u

    @user-ne5jn4wj1u

    4 ай бұрын

    부끄러운 역사도 역사라고 생각해요

  • @tomma8345

    @tomma8345

    4 ай бұрын

    중공의 한족 지나돈들이 청나라를 지들나라라고 정신승리하는게 어떤 상황이냐면: 지금의 한국인이 한때 자신들 조상이 대일본제국의 황국신민으로 살아왔기에 지금도 그당시 대일본제국의 강대함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생각하면 됨. 한국에서는 아예 말도 안되는데 한족들은 저렇게라도 정신승리 해야함. 지들 3500년 역사에서 3000년동안 북방 알따이계 유목민족의 노예로 살아왔기에 저런 정신승리 하면서라도 버텨야함. 한족들은 기이한 역사관이 있음: 누가 나를 정복하면 나를 정복한 자의 역사가 나의 역사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한족들은 역사에서 교훈을 얻을수가 없음. 정신승리로만 역사를 배워왔으니깐. 그래서 노예로 정복당하는 역사가 계속 반복되는거임.

  • @tomma8345

    @tomma8345

    4 ай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씀입니다

  • @lecouragelasagesse8603
    @lecouragelasagesse86034 ай бұрын

    16:40 맨날 지나가는 곳인데 저런게 있는지도 몰랐어요. 자꾸 버릴래도 짜잔 나타나는게 너무 웃겨요. 아주 유익한 내용이네요ㅋㅋ

  • @kuna4910
    @kuna49104 ай бұрын

    곧300만 축하해여!!!

  • @heossung
    @heossung4 ай бұрын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4 ай бұрын

    슈카아재 300만 기념 일요일 라이브 일찍시작해줘요오

  • @user-om3uo8mf3k
    @user-om3uo8mf3k4 ай бұрын

    300만 구독 추카드립니다

  • @M-J-gn3rc
    @M-J-gn3rc4 ай бұрын

    세계에서 가장 답 없는 국가는 몽골이 아니고 아르메니아라고 봅니다. 영토는 갈라져서 아르제바이잔과 늘 싸워야 하며..주변이 모두 적이라서 뭘 할 수 도 없고 자원도...

  • @wolf25420

    @wolf25420

    4 ай бұрын

    맞아요 몽골보다 훨씬 불리한 국가

  • @user-zz8kj8in4w

    @user-zz8kj8in4w

    4 ай бұрын

    아르메니아는 지금당장도 주권이 위태로운 상황임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truth1472아르메니아 경우는 달라요 영어로 나오는 영상이었는데 아르메니아 학살에 대해서 나오는 거였어요 저도 이름은 들었는데 도서관이나 어디나 나온게 없었어요 호기심에 들어가봤죠 제가 본 야지디족 생존자가 쓴 책이 그대로 나오는줄 알았습니다. 똑같았어요 그 학살 수법이 거기 댓글을 다 뒤져 봤죠 터키인들도 있었는데 패가 두패로 갈렸어요 이런일이 있는줄 정말 몰랐다 미안하다는 글과 죄의식이 전혀 없고 자신들의 행위가 정당하다고 하더군요 아르메니아인은 무슬림이 아니기 때문에 그러는건 당연한거라고 이참에 아르메니아를 지도상에 흔적도 없이 지워버리겠다면서 서방국가와 다른 나라는 아르메니아 전체를 난민으로 받을 준비를 해야 할거다 저 아르메니아 땅은 이제 곧 자신들 무슬림 국가가 될 거라고 했습니다.

  • @user-vm2bk7pp3v

    @user-vm2bk7pp3v

    4 ай бұрын

    가장 믿을건 러시아인데 아제르바이잔이 또 자원국이라 러시아한테도 좋은 고객이지.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4 ай бұрын

    내 댓글이 나도 모르게 삭제됐네 왜 그렇게 숨기고 싶은게 많은지 아르메니아 학살을 올린 유튜버 영상 댓글에 터키인들 글이 올라와 있었어요 하나는 이런일이 있었는줄 몰랐다 죄송하다 그글 보다는 가장 많은 댓글이 서방과 다른 나라는 아르메니아인 300만명을 난민으로 받을 준비를 해라 저 아르메이나 수도와 수도원은 이슬람이 될것이다.

  • @user-ug1rm1ww1s
    @user-ug1rm1ww1s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려요 ~!!! 400만 가자!!

  • @user-ub7oo2bj3i
    @user-ub7oo2bj3i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려요 ㅎㅎ 🥳🥳

  • @vannikim4571
    @vannikim45714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국토에 바다 없으면 숨막힐듯 울나라는 작지만 다 갖췄자나 ㅋ ㅋ

  • @choo8645
    @choo8645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합니다🎉🎉🎉🎉🎉

  • @idlyvilla6789
    @idlyvilla67894 ай бұрын

    구독자 300만 축하합니다

  • @ankwang
    @ankwang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려요.

  • @user-yesyes
    @user-yesyes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립니다ㅎㅎ

  • @user-nb2kq3ep6i
    @user-nb2kq3ep6i4 ай бұрын

    내 인생이 더 답이 없는데…

  • @user-fr7tu7gs3k

    @user-fr7tu7gs3k

    4 ай бұрын

    게이야 ㅋㅋㅋㅋㅋ 드립 ㅆㅅㅌㅊ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heol2597

    @cheol2597

    4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 @user-qx8ov7gz7r

    @user-qx8ov7gz7r

    4 ай бұрын

    자뻑도 좀 적당히,,, 제가 님보다 더 할텐데요??

  • @mo_ha_zi

    @mo_ha_zi

    4 ай бұрын

    화이팅!

  • @sjspdjaak

    @sjspdjaak

    4 ай бұрын

    푸헬헬

  • @PlayerJ1
    @PlayerJ14 ай бұрын

    썸네일 보자마자 웃음터졌음ㅋㅋㅋㅋㅋ 위 러시아, 아래 중국 아....

  • @user-rq8sx8mx8k
    @user-rq8sx8mx8k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는 저 파손 역시 역사인 유물.

  • @user-nl5ew1uv3h
    @user-nl5ew1uv3h4 ай бұрын

    300만 달성!!!! 축하드려요~~~!!

  • @houbird
    @houbird4 ай бұрын

    바다없고 아래위로 러시아 중국 광물은 많은데 수출길은 중국말곤 없을정도로 도로 인프라는 취약...몽골이 과거에 약탈에 목숨건 이유가 있었네

  • @user_q10rgt7sk

    @user_q10rgt7sk

    4 ай бұрын

    하지만 그 약탈때문에 전 세계한테 외면받는 국가가 되었죠.

  • @Yes_japan

    @Yes_japan

    4 ай бұрын

    ​@@user_q10rgt7sk이건 뭔 소리?

  • @user-sp2rt6xu4o

    @user-sp2rt6xu4o

    4 ай бұрын

    ​@@user_q10rgt7sk 약탈은 영국미만 잡

  • @user-nf6uy5hm5z
    @user-nf6uy5hm5z4 ай бұрын

    28일 라이브 보신분~~ 깜박하고 못봤어요.ㅜㅜ 다시보기 주소알려주십시요~~~^^!!! 무슨 내용일지 너무 궁금해서 일이 손에 안잡혀요.

  • @user-ys1by8pz8m
    @user-ys1by8pz8m4 ай бұрын

    와!300만 축하드립니다~

  • @user-cq5ms6vc9y
    @user-cq5ms6vc9y4 ай бұрын

    이상해서 찾아보니 삼배구고두례라고도 하는군요. ^^ 그런데 이런 정보는 다 어디서 얻으시나요? 너무 궁금하네요.

  • @pavv4162
    @pavv41624 ай бұрын

    영해가 이렇게 중요한지 오늘 다시한번 깨달았네요... 삼전도비 ㅎㅎ 예나지금이나 우리나라 사람들 나라사랑은 역시~^^

  • @user-ud4ff8wu4g

    @user-ud4ff8wu4g

    4 ай бұрын

    나라사랑만 지극하면 뭐해요 ㅋㅋㅋ 애들 젊을때 애들위한답시고 학원에 짱박아놓는 부모랑 뭐가 다를까요.. 역사관은 좀 고쳐야됨 ㅋ

  • @devapor8656

    @devapor8656

    4 ай бұрын

    부끄러운역사는 감추자고만하는 한국 ^^ 역사를잊은 민족이란거에 가장 부합하는 민족아닐런지

  • @user-jp8gl5xu4e

    @user-jp8gl5xu4e

    4 ай бұрын

    근데 왜 부끄러운 역사는 알려고도 하지 않나요? 신라구라던가 월남전에서의 그 일이라던가

  • @jhjay2222

    @jhjay2222

    4 ай бұрын

    애국심 원툴ㅋ🇰🇷

  • @user-td3yr2jp3b

    @user-td3yr2jp3b

    4 ай бұрын

    4연속 조선족 답글 ㄷㄷㄷ

  • @user-qm3fb6up2b
    @user-qm3fb6up2b4 ай бұрын

    실시간 채팅만 봐도 역사가 항상 반복되는 이유가 보인다

  • @Diediegogo300
    @Diediegogo3004 ай бұрын

    300만 유튜바 축하드립니다!

  • @honeybreadjo8512
    @honeybreadjo85124 ай бұрын

    진짜 몽골 자원 우리나라에 팔기만 해도 와.... 상상만 했는데...... 이래서 통일이 중요한 듯. 통일하고 간도 문제 해결하고, 몽골 중국 연결하는 트랜스유라시아 철도 만들면 그 경제적 효과가 진짜 엄청날듯

  • @wayfereralpha7072

    @wayfereralpha7072

    4 ай бұрын

    중국이 그걸 지켜보고만 있진 않겠지... 그래서 만주+연해주를 장악하고 중원 정벌이 필요한거고

  • @ncdwrdph
    @ncdwrdph4 ай бұрын

    그림판으로 딱히 줄긋는거말고 하는 게 없는 것 같은데 사진 하나 바뀔때마다 복붙하고 또 지우고 지울때마다 그려진내용 저장하냐고 묻는창 뜨고 너무 비효율적인것 같은데.. 걍 ppt 슬라이드로만 해도 충분히 보기 편할거같아요

  • @qwqw2945

    @qwqw2945

    4 ай бұрын

    ㅇㅈ

  • @user-us6pw8yx7u

    @user-us6pw8yx7u

    4 ай бұрын

    ㅇㅈ

  • @arnshutain
    @arnshutain4 ай бұрын

    18:36 토크멘터리 전쟁사: " '왜 아픈 과거를 드러내는겁니까? 지금 잘 살면되지' 이러는 사람치고 오래 잘 사는 사람이 없다."

  • @user-fj7jf2sd3j

    @user-fj7jf2sd3j

    4 ай бұрын

    드러

  • @Samsunggalaxy58372

    @Samsunggalaxy58372

    4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 @user-xe2zg9lk6j

    @user-xe2zg9lk6j

    4 ай бұрын

    올타임 GOAT 프로그램 ㄹㅇ

  • @mogi3339
    @mogi3339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려요 ~~

  • @user-yg6ui1rp6k
    @user-yg6ui1rp6k4 ай бұрын

    구독자가 300만명이네요.~ 축하합니다.~~~

  • @user-jv5xt3pw1r
    @user-jv5xt3pw1r4 ай бұрын

    와우 드뎌 300만 축하 드려요

  • @cbs2476

    @cbs2476

    4 ай бұрын

    몽골 인구랑 맞먹네....ㅎㅎ

  • @user-ep2bs9hk1r
    @user-ep2bs9hk1r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립니다

  • @user-np2dt6xq9c
    @user-np2dt6xq9c4 ай бұрын

    이야기를 재미있게 하니까 이해가 잘되고, 재미있네요😂

  • @user-tr6vh1qp2k
    @user-tr6vh1qp2k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해요!!

  • @JL-fd2hs
    @JL-fd2hs4 ай бұрын

    12:00 단군할아버지는 석유 나오는 땅에 자리를 잡았지만 후손들이 날려먹었는데 후손들은 단군 할아버지 탓을 하는 억울한 단군 할아버지의 현실

  • @shinhwang885

    @shinhwang885

    4 ай бұрын

    단군조선시절 자리잡은 터는 한반도 중심이 아니었음. 한반도는 아래쪽에 있는 안전한 땅이었던 것이고 그러니 고인돌 같은 무덤이나 고분들이 넘쳐나지. 당연하게도 대륙의 땅이 입지조건이 더 좋았고 역사가 흘러감에 따라 경쟁에서 밀려나 한반도에 정착된 거지. 우리의 터전이 한반도로 한정되어진 것은 조선시대임. 게다가 간도협약 전까지는 간도는 우리나라 땅이었음. - 밑에는 여담임. 개소리라 치부하든 말든 맘대로~ 우리가 배운 한국사를 기준으로 하면 고려의 최대 영토가 조선보다 작으나 이건 말도 안되는 얘기임. 고려사도 이를 반박할 수 있는 내용이 많으며, 기본적으로 생각을 해보셈. 고려땅이 한반도의 2/3밖에 안되는데 29번이나 결혼해서 호족들과 동맹을 맺었다?? 진실이라면 이건 정말 무능한거임. 아니면 호색한이거나 고려사가 고려시대의 역사를 알 수있는 중요한 사서라고 하는데 그다지 중요하게 연구되고 있지 않음. 고려사는 20년도에 보물지정이 되었음. 삼국사기는 18년에 국보지정이 되었고, 삼국유사는 03년에 국보지정이 되었음. 그 얘기는 우리 사학계는 삼국유사가 가장 연구가 많이 되었고 가장 가치있게 생각한다는 거임. 우리나라 역사 연구의 기반은 일제에 의해 정립되었고, 그래도 일본의 왜곡을 조금 덜어내긴 했지만 한반도애서 벗어나질 않음. 왜냐고? 제대로 연구하면 이제껏 자기들이 연구한게 삽질이 되어버리니깐 처음부터 다시 정립해야 할 수도 있고, 게다가 이를 중국과 일본이 가만히 지켜보질 않겠지.

  • @user-dq1fk2sb4h

    @user-dq1fk2sb4h

    4 ай бұрын

    뭔소리하냐

  • @JL-fd2hs

    @JL-fd2hs

    4 ай бұрын

    @@user-dq1fk2sb4h 고조선이 초기에 자리 잡은 곳은 한반도가 아닌 요동, 만주 지역인데 오늘날 석유가 나오는 지역임

  • @soulbrothers84

    @soulbrothers84

    4 ай бұрын

    심지어 석유 매장량 세계 4위 규모라는 이야기가…

  • @user-pj3ep2fy2r

    @user-pj3ep2fy2r

    4 ай бұрын

    ​@@JL-fd2hs중국 석유재벌이 다 뽑아먹고 남은 황무지나 받을듯

  • @cpfqmfnal6777
    @cpfqmfnal6777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를 없애거나 숨길게 아니라 치욕적인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절치부심 하고 다시는 그런 굴욕적인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후대에 교육할 교보재로 생각을 해야지 쪽팔린다고 감추면 과거의 역사가 반복될 뿐이다.

  • @hotsourcecode

    @hotsourcecode

    4 ай бұрын

    공감. 치욕적인 역사도 역사이니까. 이스라엘같은 나라는 국민 절반이 가스실가는 치욕도 당했는데 말이죠.

  • @nonickhi7039

    @nonickhi7039

    4 ай бұрын

    실물은 없애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건 기록입니다. 그냥 박물관에 사진과 철거하는 모습 디오라마로 남기는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 자체는 없애도 딱히 상관없는거 같은뎁쇼? 어차피 교과서로 배우는 내용이고 기록도 남아있고ㅋㅋ 기록마저 없애면 그때부터 한국판 문화대혁명이지

  • @ydks8663

    @ydks8663

    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 그리 치욕적이지 않음 중국은 아예 만주한테 나라가 먹히고 강제변발 전국민 ㅇ간당했는데 그정도면 선방함

  • @Zo_Sang

    @Zo_Sang

    4 ай бұрын

    ​@@user-ot3xf5hq8f 실물은 있어야함, 기록은 날조가 너무나 쉬우니 보험을 위해서라도 역사를 입증할 실물을 남기는건 중요함

  • @vforwhat3730
    @vforwhat37304 ай бұрын

    한국은 백두대간의 특성상 아무리 밀려도 낙동강과 각지의 산맥에서 우주방어 가능하고 삼면이 바다라서 어지간히 군사력 조지지 않는 한 주변 강대국에게 흡수당할 가능성 생각보다 없음. 한반도는 영토 잘 점유하고 국제 정세에 기민하게 움직이면 충분히 지역강국~강대국 포지션까지도 노려봄직한 지리적 위치임.

  • @seung-jeyang3746

    @seung-jeyang3746

    4 ай бұрын

    그럴려면 통일은 필수인데 그걸 주변국들이 원치 않지.. 분단이 오래 될 수록 내부에서는 서서히 통일 반대론자들 나오고

  • @pandagom9520

    @pandagom9520

    4 ай бұрын

    근데 국제 정세에 맞춰 기민 하게 움직여줄 인구가 없어지는중;;;

  • @shuushuugi1589

    @shuushuugi1589

    4 ай бұрын

    스위스 비슷하게 운영할수 있지않을까?​@@cvGwg887

  • @Ru-qk2bq

    @Ru-qk2bq

    4 ай бұрын

    ​@@seung-jeyang3746 주변국이 문제가 아님, 체제가 다르고 서로 체제에 대해서 양보할 생각이 없는 게 문제지 까놓고 미국이든 중국이든 자기 편이라면 통일한국에 큰 거부감이 없을 거임 일본도 한국 떡상하면 이득이 있기 때문에 거부감 의외로 크지 않을 거고 주변국 떡상하는 건 사실 군사 문제만 아니면 좋은 일임 중국 떡상하면서 이득 본 국가가 한국이잖아

  • @user-pj3qp7xp1t

    @user-pj3qp7xp1t

    4 ай бұрын

    ​@@Ru-qk2bq 그러니까 그게 주변국 문제잖아요... 자기 이익관계에 따라 움직이고 서로 지원하고 있는 국가가 앙숙관계니까 계속 견제하고 한쪽 진영으로 흡수되는걸 반대하니까..

  • @3679543378
    @36795433784 ай бұрын

    300만 추카추카♡

  • @goost0622
    @goost06224 ай бұрын

    제목만 봐도 재밌다

  • @kwangyeolpak2157
    @kwangyeolpak21574 ай бұрын

    라오스도 불쌍함. 바다도없고 일대일로하느라 중국에 빚진돈 못갚아서 몇개안되는 산업단지도 중국에 뺏겨서 중국이 관리함. 한국기업이 라오스에 공장짓고싶어도 중국의 승인받아야함. 사실상 중국식민지

  • @Little-chilli

    @Little-chilli

    4 ай бұрын

    😅老挝政府有自己军队的指挥权,韩国政府有吗?到底是才是殖民地😂

  • @wayfereralpha7072

    @wayfereralpha7072

    4 ай бұрын

    ​@@Little-chilli원종단이 설치는 것도 모자라 이젠 동양의 윾머인+집시까지 엌ㅋㅋㅋㅋ

  • @hoonwaretien8363

    @hoonwaretien8363

    2 ай бұрын

    我喜欢听你说话

  • @goldenboy6826

    @goldenboy6826

    2 ай бұрын

    ​@@Little-chilli그렇게 따지면 nato도 식민지냐?

  • @Little-chilli

    @Little-chilli

    2 ай бұрын

    @@goldenboy6826 人家北约的缔约国本国都有自己国家军队的军事指挥权,韩国没有本国军队的战时指挥权懂吗?爆发战争之后韩国军队将由美国人全权指挥。你不是殖民地你是什么。

  • @pyh4319
    @pyh43194 ай бұрын

    주식빼고 다 잘하는 슈카형.. 진짜 외교 / 역사 / 세계지리는 최고의 강의!

  • @user-hr1gx4mv4q
    @user-hr1gx4mv4q4 ай бұрын

    몽골... 참 답이 없습니다. 겨울에는 너무 추울것 같아서 늦여름에 갔었는데... 해가 지니깐 밤에 엄청 춥습니다.... 바람 오지게 불구요... 건조한 바람이라 쌩 얼굴이 맞으면 아파요. 즉 낮에는 반팔로 다니고 밤에는 긴팔에 점퍼 꺼내야 했어요. (물론 양고기 말고기 소고기는 맛있고 엄청 쌉니다... 고기 좋아하시는 분은 가셔서 많이 드시고 오는건 좋습니다)

  • @seunghoyoon4622
    @seunghoyoon4622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립니다. 늘 잘 보고있습니다.😊😊

  • @user-py6pg5zq7y
    @user-py6pg5zq7y4 ай бұрын

    몽골을 가만 놔두는 것도 러시아랑 국경을 더 맞대기 싫어서 그렇다던데 참.. 지리적 위치가 정말 중요하네요

  • @jwahn4807
    @jwahn4807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는 역사 박물관에 해당 연대 부분에 한 역사로서 넣어 놓던지 전시하던지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 @chankyokim3517
    @chankyokim35174 ай бұрын

    중앙아시아권 유목민들 역사를 살펴보면 그 동네도 수많은 나라들끼리 전쟁하고 흥망성쇠가 있다가 러시아와 중국의 거대 세력에 의해서 재정립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된게 보이죠. 그런 면에서는 국가의 기틀을 남기고 지금도 살아남은 몽골이 어떻게 보면 대단한 거라고 볼 수 있을거 같네요.

  • @user-qn5ui6td6o
    @user-qn5ui6td6o4 ай бұрын

    무조건 바다가 있어야 됨. 내륙국은 ㄹㅇ 노답임.

  • @Rydh37xj3kwos
    @Rydh37xj3kwos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려요 슈카형

  • @TV-tf3qd
    @TV-tf3qd4 ай бұрын

    몽골인구 300만 축하 슈카형 구독자 300만 축하

  • @user-fi1ur5ns3l
    @user-fi1ur5ns3l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같은 치욕의 역사 일수록 후세에 절대 잊지않게 잘 남겨야지 역사라는게 바뀔수있는것도 아니고 왜 그러는걸까요? 단순하게 생각하지맙시다

  • @user-ch7ol7bb5h
    @user-ch7ol7bb5h3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중세때 세계를 정복하면서 세계패권을 차지했던 세계 최강대국 대몽골제국도, 근대때 바다를 호령했던 해가 지지 않은 영국도 지금은 과거의 영광일뿐인걸보면 세계패권이란 영원하지 않는 것 같음..

  • @user-pu2vg1tw2x

    @user-pu2vg1tw2x

    2 ай бұрын

    하지만 미국의 패권은 상당히 지속될거같음.... 인류 역사상 역대급 방장사기맵이라

  • @MYSY536
    @MYSY5364 ай бұрын

    24.1.27. 구독자 300만 축하합니다 🎉🎉🎉😊😊😊

  • @Ojingeobap
    @Ojingeobap4 ай бұрын

    300만명 축하드려요!

  • @ottertonj218
    @ottertonj2183 ай бұрын

    삼전도비 근처 살고 있는데 중국 관광객 관광 코스입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와서 화기애애하게 웃고 합니다. 왜? 롯데월드 바로 옆 관광지에 설치해놨는지.. 접근도 쉽고 중국인들 모여있으니 외국관광객들도 와서 사진찍고 갑니다.

  • @messi4goalsinfrenchleague

    @messi4goalsinfrenchleague

    3 ай бұрын

    잠실 리센츠사는데 부근에서 학교다니는데 그냥 학교 동아리같은거에서 나온 학생들 밖에 없었음

  • @tiramisu3341
    @tiramisu33414 ай бұрын

    18분정도에 나온 영화 남한산성은 개인적으로 한국영화중 원탑이라고 생각될정도로 엄청난 수작임

  • @user-jv8ux3fe6v
    @user-jv8ux3fe6v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려요🎉

  • @Xcarib
    @Xcarib4 ай бұрын

    곧 300만이시네 😊

  • @sss-xs7jf
    @sss-xs7jf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는 국보로 유지해야죠. 부러끄러운 줄 알아야합니다. 항상 기억해야합니다. 좌중국, 우일본, 상북한 힘 없으면, 식량, 자원, 인력까지 빼앗긴다는걸 잊으면 안되죠. 자존심도 빼앗기죠.

  • @youone3584

    @youone3584

    4 ай бұрын

    삼전도비가 없었더라면 청나라의 속국이 되지 않았을텐데.

  • @tastesnack

    @tastesnack

    4 ай бұрын

    부끄러운줄 알아야지

  • @HTTCproject

    @HTTCproject

    4 ай бұрын

    ​@@youone3584인과 결과가 바뀐것 아닌가요?

  • @kaworu131
    @kaworu1314 ай бұрын

    300만 미리 축하드려요🎉🎉🎉

  • @hj-lt6bo
    @hj-lt6bo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 축하!!!! 500만 가자!!!!🎉🎉🎉🎉

  • @user-sp3rs6un5r
    @user-sp3rs6un5r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해요

  •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주위에 러시아, 중국, 일본, 미국이 있어서 어려운 위치라고 하는데 한편으로는 그래서 무역하기에 오히려 좋은 것일 수도

  • @vallow1348

    @vallow1348

    4 ай бұрын

    그만킁 외교를 잘 해야되는 상황이죠

  • @user-og6ih9bf6l

    @user-og6ih9bf6l

    4 ай бұрын

    우리 주위에 미국은 없는데?? 중국 일본 러시아만 가까운데 왜 미국을 끼워넣어?

  • @soso-br8rt

    @soso-br8rt

    4 ай бұрын

    그래서 지원 엄청 들어온거인듯.. 티벳만 해도 지리적잇점이 없으니 중국이 먹어도 아무도 관심안가짐. 625때랑 비슷한 시기에 먹혔는데 우리는 전세계가 도우러 옴. 티벳은 세계에 도움요청해도 관심도 안줌. 중국에 비슷하게 당한 역사를 가졌는데 마지막 지리적 요충지라 남한만이라도 살린거임

  • @user-jp8gl5xu4e

    @user-jp8gl5xu4e

    4 ай бұрын

    ​​@@user-og6ih9bf6l 한일관계에 가장 적극적으로 개입하는게 미국 남북관계에 가장 개입 많이 하는게 미국 한중관계도 따지고보면 미중관계의 연장선상, 한러야 그나마 미국영향을 덜 받음 왜인지 알겠음? 물론 미국이야 멀리 떨어져 있지, 근데 외교로 보나 무역경제로 보나 사실상 미국은 거리따위가 무의미해

  • @soso-br8rt

    @soso-br8rt

    4 ай бұрын

    미국이 우리나라를 포기하기 힘든게 우리포기하면 동북아 포기하는 거임. 일본은 섬으로 조금 떨어진거라.. 물론 일본도 동북아에서 홀로 남겨지는 위험은 피해야하고..

  • @fool5252
    @fool52524 ай бұрын

    300만 축하드립니다!!!!!!🎉🎉🎉🎉🎉🎉🎉🎉

  • @user-gq6cv7hu5w
    @user-gq6cv7hu5w4 ай бұрын

    역사,국가이야기 넘재밌네ㅋㅋㅋㅋㅋ

  • @San-gr3vl
    @San-gr3vl3 ай бұрын

    이렇게 국가 하나씩 잡아서 분석하는 영상 너무 꿀잼입니다

  • @user-mz2nm4zk1b
    @user-mz2nm4zk1b4 ай бұрын

    과거 역사 이야기 너무 잼있다!!!!

  • @user-io9ck3jj8m
    @user-io9ck3jj8m4 ай бұрын

    와....날빌 인정. 뜬금없는 주제인데 조회수 히트 칠 듯.

  • @Iuygtedwr
    @Iuygtedwr4 ай бұрын

    아…300만, 축하해요! ❤❤❤🎉🎉😊😊😊😊

  • @taehoyoon8824
    @taehoyoon88244 ай бұрын

    오 300만 달성 축하합니다

  • @daebak1
    @daebak14 ай бұрын

    몽골은 인구도 적고 자연이 좋으니 관광산업을 키우고 시력도 좋다고 하니 첨단 정밀기계 조립.제작에 힘써야 하지 않나? 스위스를 모방하면 좋을듯😊

  • @user-ki9dd9oc3c

    @user-ki9dd9oc3c

    4 ай бұрын

    기술력이 하루아침에 뚝딱 오르게 되는건 아니죠ㅋㅋㅋ

  • @daebak1

    @daebak1

    4 ай бұрын

    @@user-ki9dd9oc3c 그래서 국가적으로 목표를 세우고 해야 미래가 있지 않나 싶어서 말한겁니다.

  • @user-ne5pe6mu2k

    @user-ne5pe6mu2k

    4 ай бұрын

    긍정적 대안제시 정말 맘에 듭니다. 제가 다 감사합니다.

  • @MMMM-qg7ln

    @MMMM-qg7ln

    3 ай бұрын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