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사이에 처음으로 '계급'이 나타났다는 증거(역사만화 2화) [공부왕찐천재]

청동으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를
'청동기 시대'라고 합니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큰 돌을 둘러 세운 뒤
그 위에 넓적한 돌을 덮어 만듭니다.
돌위에 돌을 고였다고 하여 '고인돌'이라 이름 붙었지요.
청동기 시대에는 벼농사가 시작되었고,
가난함과 부유함, 힘이 세고 약함에 따라
계급이 생겨 사람들 간의 다툼이 잦아졌습니다.
#홍진경 #공부왕찐천재 #역사만화

Пікірлер: 31

  • @thinker_k_
    @thinker_k_2 жыл бұрын

    "출세를 해야겠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nh3tw8gl5r
    @user-nh3tw8gl5r2 жыл бұрын

    한국사 공부하는데 도움되고 좋아요 . 재밌는것도 좋지만 역시 유익한 것도 좋고 계속 올려주실꺼죠?

  • @joensaram_nada
    @joensaram_nada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유익해요♡

  • @gabriella1990
    @gabriella1990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유익합니다🧡🧡🧡

  • @user-ug7og9nl3u
    @user-ug7og9nl3u2 жыл бұрын

    초등아들과 함께보니 재밌다네여~^^ 공부왕찐천재 흥해라~👍🏻❤😍

  • @jiminjung7425
    @jiminjung7425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재밌어서 계속보고 있어요!!

  • @user-nk4qt7xe4k
    @user-nk4qt7xe4k Жыл бұрын

    홍진경님 넘 감사합니다

  • @heene642
    @heene6422 жыл бұрын

    오류가 있어 정정합니다. 고인돌이 높은사람이 죽으면 여럿이 모여 장례를 치르기 위해 만든 돌이라고 설명되어있는데 이는 고인돌을 故人돌(죽은사람의돌) 로 인식할수있게 하는것같습니다. 고인돌은 죽은사람의 돌이 아니라 괴어있는돌,괸돌,고여쌓은돌이라 고인돌입니다. 꼭 무덤으로만 사용되지 않았고 스톤헨지처럼 군락을 이루어 살던 인류의 공동창작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괴어 쌓은 돌이라는 뜻의 고인돌이라는 부분을 첨가하면 어떨까요.

  • @user-rp7zn9ii4g
    @user-rp7zn9ii4g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잘됩니다!

  • @BlancJoony
    @BlancJoony Жыл бұрын

    역사책 전혀 안 보는 아인데 이 만화는 잘 봅니다. 너무너무 감사해요!!❤

  • @username-hihihi
    @username-hihihi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쏙쏙 돼여

  • @mandoozip.
    @mandoozip.2 жыл бұрын

    한국사 공부할때 조선왕조부터는 흥미가 붙었는데 이상하게 한국사를 시작하는 초반부 구석기, 신석기파트부분이 너무 암기가 안되고 눈이 안가던데 만화형식으로 보니까 넘 쏙쏙 잘들어와용 ♥♥ 진즉 학생때 재미붙였으면 좋았을텐데 학생때는 왜그렇게 한국사가 지겨웠는지 ㅜㅜㅜㅜㅜ

  • @user-ic4wx1bz3w
    @user-ic4wx1bz3w2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용🥰🥰

  • @user-sj4ti9wh3j
    @user-sj4ti9wh3j2 жыл бұрын

    아이가초4예요 요즘은 초5부터 한국사를 배운다더라구요 그래서 반복해서 같이보려구요 오늘은 아이와 함께 보았답니다

  • @user-fp8gg8ql1m
    @user-fp8gg8ql1m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라엘이의 느낀점 반전이네요 출세를 해야겠다래 귀여워🤣🤣🤣

  • @tonyand8640
    @tonyand86402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 아이가 너무 재밌어 해요!

  • @box4609
    @box4609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재밌는 역사만화가 있었다면 난 역사 쉽게 했을텐데

  • @user-xt8nz7xf4b
    @user-xt8nz7xf4b2 жыл бұрын

    나두

  • @ourday100
    @ourday100 Жыл бұрын

    초2아드님과 열공 하겠습니다😊😊😊 👍👍👍

  • @user-oj9iy1so1i
    @user-oj9iy1so1i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ㅌㅋㅌ출세해야 하는걸 알았다니!!!!!!😂

  • @user-yj3kd9eu9b
    @user-yj3kd9eu9b2 ай бұрын

    전투에서 석기랑 청동기랑싸우면 청동기가 이긴다로 알고있는데 청동이 왜이길까요?돌이부숴질까요?

  • @user-tv7tg8dt8v
    @user-tv7tg8dt8v3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이집트는 현대 덕후 하나가 환생버스에 치여 넘어간 놈이 만들지 않았을까 한다.

  • @sfk1031
    @sfk1031Ай бұрын

    그대로 매장하면 동물이 파먹으니 무겨운 돌을 올려놓는 풍습이 생겼지. 문제는 세력을 과시하기 위해 더더욱 거대한 돌을 올리기 시작하고 밧줄이나 나무로 인간의 힘으로 도저히 들지 못하는 돌까지 고인돌로 만들었지. 돌로 성벽을 만들면 상당한 세력이였을꺼고 녹는 돌이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겠지. 청동으로 칼을 만들면 돌과 비교도 안되는 정밀도가 가능하고 돌도 하지 못했던 각종 작업이 가능했을꺼고 나무를 다듬을 수 있게 되면서 건축기술이 발전했겠지. 도르레의 원리는 몰라도 수백명이 줄을 당기면 톤단위의 바위도 움직일수 있다는것을 알았겠지. 인력으로 하는거보다 더 무겨운 돌로 더 큰 성을 지을 수 있게 되었을꺼고 가공이 가능한 청동과 비교가 되지 않지. 돌로 내리쳐도 청동갑옷을 이기는건 불가능하니 약한 부족은 굴복당할수 밖에

  • @maple4801

    @maple4801

    18 күн бұрын

    저 청동기때 청동은 무기나 무구로 쓰였지 도구로 쓰이지 않았습니다

  • @user-lf3dr1qm8y
    @user-lf3dr1qm8y9 ай бұрын

    😊

  • @Sister_dance-
    @Sister_dance-5 ай бұрын

    전쟁하지마.😢

  • @user-yj3kd9eu9b
    @user-yj3kd9eu9b2 ай бұрын

    고대의고대 추리네요

  • @user-ce8jr5tg7g
    @user-ce8jr5tg7g2 жыл бұрын

    헉! 오늘 목욕하고 있던 아이에게 “라엘이 누나 역사 만화 통일신라 불국사편 나왔더라~” 했더니 “목욕 빨리하고 봐야겠다! 근데 2화가 청동기 시대일껄~”하길래 “아닐껄~” 했는데 찾아보니 진짜네요ㅋㅋㅋ

  • @Mywonderful_jejulife
    @Mywonderful_jejulife2 жыл бұрын

    아.. 내 학창시절에 이런거 나왔으면 1등급 했을텐데

  • @user-gs5sj4if6h
    @user-gs5sj4if6h9 ай бұрын

    설마 이걸 라엘이가 만들었다고요..?

  • @user-xh7si6qx8o
    @user-xh7si6qx8o2 жыл бұрын

    3등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