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잘 모르는 쇼군을 빼앗긴 도쿠가와 가문 마지막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후손들
#도쿠가와이에야스#에도막부#임진왜란
BGM
(1)Thunderstorm
(2)Destination_Unknown(1)
(3)Eyes_of_Glory
(4)Samurai_Showdown
(5)Chariots_of_War

Пікірлер: 293

  • @peterchoi6598
    @peterchoi6598 Жыл бұрын

    시대의 변화를 보지 못하고 권력을 놓지 못해 고집부리다 아예 멸문당하는 경우도 많은데 도쿠가와 가문은 차근차근 내려놓으며 가문을 보존했군요. 이에야스는 가신들에게 녹봉 짜게 주기로 천하에 유명했지만 이해득실 안따지고 충성만 바치는 가신이 500이나 되었으니 정말 보물이라 자랑할 만하네요. 그렇다고 가신들이 다 천사라 그런건 아니고 사소한 일로도 주군에 의해 죽음을 당하거나 멸문을 당하는 당시 분위기에서 이에야스는 거의 공무원 철밥통처럼 안정된 환경을 만들고 어지간해선 가신을 벌하지 않았기 때문에 박봉에도 잘 따랐던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user-ig6pr8ej4y

    @user-ig6pr8ej4y

    Жыл бұрын

    현대사회로 따지면 사람들이 이직을 결심하는것은 연봉이라고 이야기 많이하는데 그것도 있지만 그것보다 더 한것은 불합리입니다. 즉 자신이 져야할 책임은 많은데 그것에 대한 안전장치나 피드백 권한등이 현저히 적거나 없을경우 아랫사람이 무얼믿고 일을할까요? 높은 책임과 하이리스크를 하는 직업이라면 그에 걸맞게 말씀하신 안정성과 보호장치가 필수입니다. 그것이 없다면 돈을 아무리 많이 받는다한들 그곳에서 오래 있지 못하고 비록 돈을 적게 받더라도 자신의 책임에 걸맞는 안정장치가 많다면 그 사람은 쉽게 떠나지 않습니다.

  • @jaeminryou9831

    @jaeminryou9831

    Жыл бұрын

    히데요시는 양자의 모가지도 뎅겅해버리는데 여기서 가신들이 돈보단 목숨이라고 느꼈던 것 같음. 그래서 히데요시 최대 패착은 양자를 너무 이른 타이밍에 무자비하게 척살한거라고 봄.

  • @s11g3d44h

    @s11g3d44h

    10 ай бұрын

    졸렬대원군이랑은 그릇자체가 다름

  • @danpoong8031

    @danpoong8031

    28 күн бұрын

    @@jaeminryou9831 히데요리가 태어나서 권력 양도하려고 히데쓰구 제거한 것임. 문제는 히데요리가 히데요시의 친아들일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것 (요도기미가 바람핌).

  • @user-kj2ly9hd4r

    @user-kj2ly9hd4r

    20 күн бұрын

    고려 왕실이 딱 그 케이스. 공양왕이 빠르게 양위했으면 왕씨 학살할 필요가 없었는데 공양왕이 버티니 힘으로 뺏다보니 명분이 없어 고려왕손들 죽임

  • @NewZealandArt
    @NewZealandArt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가문의 내려놓은 마음을 잘 알았습니다. 세심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ce4wz6gs8p
    @user-ce4wz6gs8p Жыл бұрын

    우짜든간에 요시노부의 결단으로 가문의 명맥을 현대에까지 유지하고 있는 것이네........ 살아남는 것이 강자이지.....

  • @jaehyekher8391

    @jaehyekher8391

    4 ай бұрын

    다뺏기고 살아남은건 사는게 아니죠?

  • @hmjeon8609

    @hmjeon8609

    4 ай бұрын

    ​@@jaehyekher8391 뺏기고 죽는것보단 낫지요.

  • @user-ln7ow9fm4s

    @user-ln7ow9fm4s

    4 ай бұрын

    @@hmjeon8609진리 ㅋㅋ

  • @hmjeon8609

    @hmjeon8609

    4 ай бұрын

    이제 다 봤는데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선대 이에야스의 유훈을 정확히 실행한 현명한 사람이네요. 나라를 다스라는것을 자신의 의무로 생각해야지 권리로 생각하면 안되죠.

  • @minzeg9521

    @minzeg9521

    3 ай бұрын

    ​@@hmjeon8609역관광 성공 ㅋㅋㅋ 지적을 위한 지적 왜 하는지 이해가 안됨 ㅋㅋㅋㅋ

  • @ztzeros
    @ztzeros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의 처세술은 배울 점이 많음 몰락하는 데에도 방법이 있다니

  • @user-sc3np6tr3t

    @user-sc3np6tr3t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의 처세보다는 고려 원종의 처세가 훨씬 더 배울만하죠 대제국 앞에 다 망해가는 나라의 태자가 대제국의 변방 왕족과 협정을 하고 그 왕족은 결국 원나라 태조가 되었으니ㅋㅋㅋ 몽고는 정렴한 나라는 짖밟고 복속 시키는데 원종의 외교와 처세술로 고려문화와 풍습을 지키고 거기다 부마국 까지 되었죠

  • @jsm9252

    @jsm9252

    Жыл бұрын

    메이지유신 이후 도쿠가와 후손들은 화족제도에 따라 귀족이 되었으며 2차대전 이후에는 정/제계에 진출하기도 했습니다

  • @rohyunahsuper

    @rohyunahsuper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 가는 대대로 유연한 사고랑 인내심이 빛을 발함.. 배워야 하는 부분임.

  • @user-hb1in9sq5g

    @user-hb1in9sq5g

    Ай бұрын

    퇴각잘하는게 명군이라고 진짜 히데요시 아래서도 존버하더니 엑시트 전략도 잘했음. ㅎㅎㅎㅎ

  • @tak1635
    @tak1635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는 오랫시간 해먹었고 아직도 가문이 건재한데 뭐... 짧은 시간 반짝하고 사라진 가문들도 얼마나 많은데...

  • @aoyama3chome518

    @aoyama3chome518

    3 ай бұрын

    일본은 지금도 도쿠가와 이에야쓰를 존경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조선처럼 식민지배를 당하지 않아서 그런가

  • @user-ry4fb9db4e

    @user-ry4fb9db4e

    11 күн бұрын

    일본에서는 노부나가를 제일1짱으로 좋아함

  • @danjjakchinguTV
    @danjjakchinguTV4 ай бұрын

    '도쿠가와 가문'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brokenkenny1899
    @brokenkenny1899 Жыл бұрын

    히데요시 아들은 비참하게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죽었는데 그에 비하면 너무 행복한 결말이군

  • @user-xx1fo3vw9u

    @user-xx1fo3vw9u

    3 ай бұрын

    히데요시 아들은 비참하게 도쿠가와한테 죽은게 아니라 지 어머니인 요도도노 에게 죽임을 당한거죠 ㅋ

  • @danpoong8031

    @danpoong8031

    28 күн бұрын

    @@user-xx1fo3vw9u 오사카성 함락되니 모자가 자결한 것임.

  • @haleohanamalama2967
    @haleohanamalama29676 күн бұрын

    요즘 리메이크 미드 쇼균에 빠져서 살다보니 결국 이영상까지 보게 됬어요 ㅋㅋㅋㅋ. 재밋네요~

  • @mango______8188
    @mango______8188 Жыл бұрын

    저때로 인해 조슈번 사쓰마번 출신들이 지금까지 일본의 정권을 잡고 있는건가? 아베 고이즈미 등등이 다 이쪽 번 출신. 게다가 대다수 조선총독부 와 조선식민지 일제군장성들이 조슈출신들이 많았... 대체로 요시다쇼인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자들. 그중 이토히로부미도 있고

  • @user-pf3fp7hi3g

    @user-pf3fp7hi3g

    Ай бұрын

    죠슈번 : 일본제국 육군 사쓰마번 : 일본제국 해군

  • @attes.3473

    @attes.3473

    22 сағат бұрын

    조선 총독은 거의 죠슈번 출신들이었습니다. 지금 야마구치현

  • @chrisryu1975
    @chrisryu1975 Жыл бұрын

    비참한 최후라는 제목과 달리 마지막 쇼군의 여생이 그리 불행하지는 않았군요. 물욕이나 권력욕에 휘둘리지만 않으면 사람의 삶이 그리 불행해질 일은 없다는 교훈을 전하는듯 합니다.

  • @user-yi5eh6mk8z
    @user-yi5eh6mk8z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전권대사 포슈가 전면적인 경제 군사지원을 약속하며 정부군과 동서로 대치후 결전을 요구했고 하타모토들도 그렇게 하자고 했지만 요시노부는 끝내 에도성문을 무혈로 열고 항복하며 전쟁을 끝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막부를 위해 끝까지 싸운 아이즈번은 나몰라라 했고 이후 아이즈번은 정부군에 의해 본보기 및 분풀이로 철저하게 파괴되고 그 지방 사람들은 역도취급을 받으며 불평등한 대접을 받았습니다.(정작 아이즈번을 구하기 위해 동북지방 10여개 번들이 맺은 오우에츠 열번 동맹이 마지막까지 정부군과 싸워줬죠) 처음에 요시노부는 정부군에겐 겁쟁이 정부군이 무서워 투항한 얼간이로 옛 가신들에겐 책임회피자 정작 가신들은 나몰라라 하고 자기만 착한척 친절한 척 하는 무능한 위선자 로 불렸습니다. (한 예로 막부말 로중의 한사람이었던 이타쿠라는 그의 밑에서 일했던 것이 내 인생 최대의 수치라고 하였습니다.) 심지어 후대인 다이쇼 시대 역사 교과서에도 그는 무능한 겁쟁이로 적혀 있었죠. 비록 그를 옹호하는 거의 유일한 인물인 가신출신 시부사와가 열심히 변호하긴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시부사와가 거물인 고위 경제관료였던지라 그가 주장한 요시노부공은 자신이 수모를 당할걸 알면서도 대의와 평화를 위해 성문을 열었다가 점차 인정받기 시작하여 오늘날 일본역사 교과서엔 요시노부의 결단이 일본을 구했다 라고 적혀있죠

  • @paulkwon5340

    @paulkwon5340

    Жыл бұрын

    시부사와 새로 나올 만엔짜리의 주인공이기도 하죠

  • @ELBUG-ku1iq

    @ELBUG-ku1iq

    Жыл бұрын

    그 안중근에 대해 극찬하던 간수도 아이즈 출신이라... 아마 복수 대신 해 준 거에 대한 고마움도ㅋ

  • @user-dz5zq4zf6o

    @user-dz5zq4zf6o

    4 ай бұрын

    여자친구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츠 사람이라 츠루가성 가봤는데 신선조 창설을 주장했던 번주와 저항중 자결했던 청소년 결사대 백호대 등 여러 이야기가 있더군요

  • @sekyungkim9499
    @sekyungkim9499 Жыл бұрын

    전혀 비참하지 않고 오히려 훌륭한 결정으로 내전으로 열강에 먹힐수도 있는 나라를 구했고, 이후도 훌륭한 사람이네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4 ай бұрын

    근대화 준비도 막부가 먼저 했고 실제 메이지 신정부가 초반에 국정운영경험이 없어 삽질을 많이 했는데 그걸 수습한게 신정부에 뒤늦게 합류한 막부출신 행정관료들이었습니다. 그리고 당시 해외유학 경험만 있다고 하면 지금으로 치면 5급 사무관 이상의 직책을 무조건 줬는데 그들 또한 대부분이 막부가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국비로 유학보낸 사람들이었습니다. 일본의 근대화는 메이지유신 로또 한방이 잘터져서 된게 아니라 에도막부 250년의 번영이 있었기 때문이라는게 가능했다고 이야기 할 정도입니다. 에도막부가 들어서자 마자 노예를 금지시켰고 반란을 막기 위해 도입된 참근교대제가 교통로를 따라 막대한 돈을 서민들에게 뿌리게 되어 상업 및 서민문화가 엄청나게 발전하고 산업혁명 이후 외국 학자들이 일본에와서 오히려 깜짝 놀랄 정도로 문맹률이 낮고 서민들의 교육수준이 높았습니다. 오히려 다이묘들은 빚에 쪼들여 검약운동을 해야 할 정도였죠. 메이지 유신이 쉽게 된 것도 밎에 쪼들려있던 다이묘들이 빚 탕감해주고 에도저택과 영지 성은 개인 재산으로 주겠다고 하니까 다이묘 특권따위 필요없다고 오히려 좋아해서 반대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고 하죠.

  • @user-dz1bv2yo8p
    @user-dz1bv2yo8p Жыл бұрын

    근데 왜 전국시대 동영상이 대부분 비공개 되는데 이유가 궁금 함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 @taewonhwang5416
    @taewonhwang5416 Жыл бұрын

    타케치요는 어릴때부터 참 기구했는데 나중에 천하를 제패하다니… 이게 오래살고 볼일인지 그냥 애초부터 그럴 운명인건지 참 흥미롭네요..

  • @scottyoko703

    @scottyoko703

    Жыл бұрын

    노력하며 살고있는 사람들은 운명이런거 안믿을겁니다.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그의 인생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아자이처럼 들이받고 죽긴 쉬워도 꾹꾹 참아서 자기에게 기회가 올 때까지 기다린다는 건 정말 정말 어려운 거라는걸 잘 알게 됩니다. 그의 기량과 그릇이 어마어마하니 신군이라고 빨아줄만 한 듯

  • @user-mv1zk6sz9h
    @user-mv1zk6sz9h Жыл бұрын

    궁금하던 부분...속시원히~ 감사~^^

  • @youslash1
    @youslash1 Жыл бұрын

    다른 유명 가문들의 경우도 어떻게 됐나 알수 있을까요?

  • @jerrya8621
    @jerrya8621 Жыл бұрын

    몇 년전에 도쿄의 한 식당에서 옆 테이블에 있던 사람들이 서로 소개를하는데 (외국인들과 일본인들의 회식같았습니다), 그 중 한 여성이 자신을 도쿠가와라고 소개해면서 역사에 나오는 그 도쿠가와의 후손이라고 말하던 것이 기억나네요.

  • @YYYCCC

    @YYYCCC

    4 ай бұрын

    ?? 도쿠가와 직계에는 여자는 없는데 성을 따라온 사람이면 모르겠는데 그나마 도쿠가와요시노부 의 자손중 여자후손도 가문 이혼후 엄마 성 따라가서 도쿠가와 성 을 쓰는 사람은 1700명 임 상당히 희귀성

  • @user-uc1ju2mn9r

    @user-uc1ju2mn9r

    4 ай бұрын

    도꼬데쓰까 아닐까요

  • @user-cw8nz9sb4b
    @user-cw8nz9sb4b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 @gangwooheukwoon9186
    @gangwooheukwoon9186 Жыл бұрын

    덕천은 전쟁에서 자신의 치욕적인 패전도 상세히 기록해서 후손들에게 길이 본보기로 하여금 새겨두라는 의미에서 그림과 글로 남겨놓음.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똥이 아니고 된장이란 말이다!

  • @youngson6421
    @youngson6421 Жыл бұрын

    소프트랜딩에 성공한 본받을만한 가문이었네요 ㅎㅎㅎ

  • @user-bj6om1wj3i
    @user-bj6om1wj3i Жыл бұрын

    진인사 대천명 하늘의 문이 열리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는다. 예정된 운명을 실현하는 것일뿐 자신의 범주를 아무도 모른다

  • @CRCheol
    @CRCheol Жыл бұрын

    와 다시 드디어 일본꺼 다시 해주시네여!!

  • @hogulife
    @hogulife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정말 흥미롭습니다. 당시의 평가가 박하다고 한들 후대는 다른 의견들이 많으니까요. 실제로 요시노부를 보면 그런 생각을 합니다.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야 거대 권력을 잡아보지 못해봤지만 그걸 내려놓는 건 상당히 힘들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굳이 일본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우리나라만 봐도 권력을 잡는 사람들이 힘에 취해 국민들이야 어찌되든 어처구니 행동을 하지 않습니까. 자신이 가진 것을 내려놓을 타이밍을 정확히 안다는 것..... 그게 권력이 아닐지라도 저에겐 상당히 어려운 일인데요.

  • @RajatonG
    @RajatonG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 가문이 아직 있구나.

  • @kml2074
    @kml20743 ай бұрын

    8:40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교토 상경은 1836년이 아니라 1863년입니다.

  • @shh1755
    @shh1755 Жыл бұрын

    인생사 새옹지마. 오래 살아남고 볼 일이며, 오래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지요.

  • @selfcodi

    @selfcodi

    Жыл бұрын

    그 오래 살아남았다고 생각한 사람도 죽으면 역사가 제조명하지요

  • @yunkijung6638

    @yunkijung6638

    Жыл бұрын

    @@selfcodi 7

  • @rokseong3984

    @rokseong3984

    Жыл бұрын

    똑똑하게 살아 남아야지..

  • @aalive3277

    @aalive3277

    Жыл бұрын

  • @user-jz2pg1gg7d

    @user-jz2pg1gg7d

    Жыл бұрын

    오래살든말든 강한지약한지 관심없는 삶

  • @jambread848
    @jambread848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쇼군이 1913년까지 살았군요.... 20세기 초까지, 일본이 류큐와 대만과 조선을 먹은 뒤까지 살았다니. 그는 일본제국의 융성을 기뻐하며 죽었을지도 모르겠군요.

  • @freesia4597
    @freesia4597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 이에야스 - 인내의 화신

  • @user-gi3mu3wj8e

    @user-gi3mu3wj8e

    Жыл бұрын

    이예야스는 후유노 진에서 사나다군에게 사정거리 150미터의 장총으로 죽었음 이후 가케무샤를 내세운것

  • @user-vg6pk9fx4x
    @user-vg6pk9fx4x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 2대교훈. 1.인생은 등에 무거운짐을 지고 산을 오르는것과같다. 그러니 서두를필요도 급할필요도 없다. 2. 가문의영광? 천하패권? 그 모든것들은 살아남아서 뒷날을 기약할수있을때나 꿈꿀수있는것. 살아남는게 강한것. 강하다고 살아남는게 아니다. 강하면 강한만큼 주변에 적이 생기고 그 적들로인해 위태로워진다.

  • @user-tx7hk3nu7v
    @user-tx7hk3nu7v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요시노부는 상당히 능력있는 사람으로 평가되서 메이지 유신 이후 초대 총리직을 제안받았습니다 자기들이 무너트린 바쿠후의 쇼군에게 수상직을 추천했다는 자체가 요시노부의 능력을 인정한거죠 물론 전 쇼군이 수상을 하는건 말이 안되는 일이라 반대하는 의견이 있었고 결국 요시노부 스스로 거절했습니다 그러곤 귀족 신분을 유지한채 잘 살았습니다

  • @cs_english

    @cs_english

    Жыл бұрын

    도쿠카와 집안다운 처세군요.

  • @user-zr5wo8ph4i
    @user-zr5wo8ph4i Жыл бұрын

    막부에서 일왕에게 권력이 비교적 순탄히 넘어간것이 어쩌면 일본의 근대화에 박차를 가하게 된 것 같다...

  • @user-oi9le9xu9i

    @user-oi9le9xu9i

    3 ай бұрын

    잘못알고 계시네요! 일왕은 권력이 없었습니다. 상징일뿐이죠

  • @user-tx7hk3nu7v

    @user-tx7hk3nu7v

    3 ай бұрын

    @@user-oi9le9xu9i 입헙군주제라 권력이 없다고 보는게 맞긴한데 실제로는 덴노가 승인을 안해주면 아무것도 못했어요 진주만 습격 때도 히로히토의 책임이 크다고 보는 이유도 군부의 침공 결정을 결국 최종적으로 승인한건 덴노이기 때문

  • @user-qt7fh5zx1g
    @user-qt7fh5zx1g4 ай бұрын

    축생 지옥의 나라를 500년의 평화를 이룬 대단한 가문이다.

  • @user-dl7cx5pj2v
    @user-dl7cx5pj2v Жыл бұрын

    현재 도쿠가와 당주 뭔가 내 이미지속 이에야스랑 비슷함 ㅋㅋㅋ

  • @user-oq6uo1kr7j
    @user-oq6uo1kr7j Жыл бұрын

    중국 근대 지방 군벌들과. 그들의 변천사를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국민당에서 공산당으로 넘어가는 변천사도 궁금한데요. 역사폴드에서 보고싶습니다

  • @ElaWisperwind
    @ElaWisperwind Жыл бұрын

    13:30 이건 히메지 성 아닌가요? 에도성은 좀 다른데...

  • @user-wr9vp7ic5e
    @user-wr9vp7ic5e4 ай бұрын

    ㅋㅋㅋ 지금 도쿠가와 직계 종손 선조인 이에야스랑 닮았네 피가 엄청 섞였는데도 신기함 그대로네

  • @user-qi6ng7ch6j
    @user-qi6ng7ch6j4 ай бұрын

    독재는 오래해먹으면 왕이건 장군이건 후계없이 뒤져 국가멸하고 가문도도륙난다 도쿠가와막부 마지막인물이 처신잘한거다

  • @user-hg5wc9qm4e
    @user-hg5wc9qm4e Жыл бұрын

    이에야스 가문의 최대 장점은 인내인듯 싶다

  • @user-bd6bx1gi5v
    @user-bd6bx1gi5v23 күн бұрын

    디질래 플러스 쇼군 이걸 보니 이해가 좋아지네요

  • @hwang4017
    @hwang4017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가문의 내려놓은 마음을 잘 알았습니다. 세심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마지막 쇼군의 여생이 그리 불행하지는 않았군요물욕이나 권력욕에 휘둘리지만 않으면 사람의 삶이 그리 불행해질 일은 없다는 교훈을 전하는듯 합니다

  • @Rider-lo9vt
    @Rider-lo9vt Жыл бұрын

    일본의 근대화도 생각보다 복잡한 과정을 겪었네요

  • @nandao37
    @nandao378 ай бұрын

    애내 역사보면 참신기한게 왕이있는데 ㅋㅋ 밑에 군신들이 지들끼리 땅따먹기하고 다함.. 왕은 그저 허수아비 수준임.. 근대도 왕권을 몰락시키지않고 유지시킨거자체가 참신기하다;;

  • @ClTYHUTNER

    @ClTYHUTNER

    23 күн бұрын

    조조가 천자를 댈꼬 있었던 것과 같음. 자기가 황제가 되는 날 천하가 자기를 역적으로 정하고 모두 적이 될텐데, 그 짓을 할 이유가 없지ㅋ 원소가 압도적인 세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조조가 천자를 손에 넣는 바람에 역전의 밀미를 제공함ㅋ

  • @user-hy2kr8bc9f
    @user-hy2kr8bc9f11 ай бұрын

    개항후 대정봉환에 이르기 전까지 일본의 운명도 그 향방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당시에 일본이 차후 한국을 식민지로 삼는것을 누구도 상상을 하지는 못했슬 것입니다.

  • @user-ts3mg4hs3r
    @user-ts3mg4hs3r Жыл бұрын

    호오~ 도쿠가와씨가 멸족이 안되고 이어지고 있었네~ 그거 참 놀랍군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정부군 주축이 어떻게든 조지고 싶었지만 항복하는 바람에 대신 아이즈번을 초토화하면서 분풀이했죠. 그래서 아직 모리 동네 야마구치랑 아이즈 동네 후쿠시마? 가 사이가 나쁜 지역감정이 강하다네요.

  • @jiktong
    @jiktong Жыл бұрын

    히데요시 가문에 비하면 아주 호상이구만 ㅋ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2 ай бұрын

    대충 알기로는 유신세력은 영국이 지원하고 막부세력은 프랑스가 지원하는 형국이였는데 보블전쟁으로 프랑스가 자국내 전쟁에서 패전하며 혼란스러운 상황이라서 지원이 팍 줄어든것도 막부가 세력이 위축된 원인이라고도 하던데.. 사실 후카이도에 보방요세(프랑스식요세)를 건설하고 최후까지 저항하려던 시도도 있었다고 들엇어요

  • @user-xo2dg1mi3l
    @user-xo2dg1mi3l Жыл бұрын

    일본꺼 자주해주세요 ㅎㅎ

  • @user-yj3mk9jn1d
    @user-yj3mk9jn1d Жыл бұрын

    난세에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한것 같네요! 어쩌면 이예야쓰보다 요시노부가 더 무서운 사람 같네요!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그런데 항복을 하더라도 좀 멋있게 해야되는데 너무 추하게 했...

  • @user-uv3uw2gn2j
    @user-uv3uw2gn2j Жыл бұрын

    야망패자라는 책에서 보면 이에야쓰의 군사력은 별볼일없어 싸우기만 하면 대부분 져서 기다리다 지치게 하는 법을 익혔다고 합니다 그시대는 신겐과 겐신 그둘만이 천하를 호령했고 노부나가조차도 그둘의 비위를 맞추려 부던히 노력했다합니다 천운으로 둘다 병으로 급사해 노부나가가 차지하고 히데요시가 다시차지했는데 천민출신인 히데요시도 자기맘대로 못한것 보면 이에야스는 시간이 운을 가져다준것 같네요 대망보다는 야망패자가 더 재미있게 이야기가 펼쳐져있어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있네요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마츠다이라 무사들은 엄청 용맹했다던데 다이묘가 된 도쿠가와는 그렇지가 못했나요

  • @user-uv3uw2gn2j

    @user-uv3uw2gn2j

    Жыл бұрын

    @@American-drone 신겐과 겐신이 살아있을 때는 별거 없었나봐요 그 천하의 노부나가도 겐신이 쳐들어온다 하니 며칠 잠못 이루었다하고 도쿠가외는 미카와전투에서 신겐에게 대패한뒤 기다리는 법을 배웠다합니다 부하들도 신겐과 겐신 사후에 용맹했겠지요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야망패자는 십몇년 전에 본거라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주인공 활동 반경이 신겐과 겐신 쪽이였죠 아마? 신겐과 겐신이 가와나카지마에서 지루하게 싸우던 1560년 전후 시기엔 오다가 이마가와를 물리치고 서서히 중부로 뻗어나가던 시기였고 천하를 호령할만한 강력한 세력은 등장하기 전입니다. 좀 더 지나서 오다가 중앙으로 확장하고 쇼군을 옹립하며 천하에 다가갔죠. 도쿠가와의 군사력이 별 볼 일 없다니요... ㅡㅡ;; 미카타카하라 전투 대패 외엔 사나다 유키무라의 돌격에 이에야스가 자진할뻔한 위기 외엔 평생 거의 져본 적이 없습니다. 중앙을 다 먹고 세력이 훨씬 큰 히데요시와 싸운 고마키 나가쿠테 전투에서도 도쿠가와가 이겨서 히데요시가 도저히 안되겠으니 도쿠가와의 동맹인 오다 노부카츠랑 화해했기 때문에 도쿠가와가 군을 물렸죠. 도쿠가와도 강했으나 신겐과 겐신이 너무 강했다라고 보는게 맞겠습니다. 예를 들어 오다 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사쿠라 아자이 연합군이 싸운 아네가와 전투에서 5천의 도쿠가와 군이 자신보다 두 배인 1만의 아사쿠라 군을 물리친 반면, 3만의 오다군은 8천의 아자이군에게 궤멸 당해 노부나가가 있는 본진까지 아자이군이 밀어닥치려는 차에 아사쿠라를 물리친 도쿠가와가 아자이군의 측면을 찔러준 덕에 아네가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둡니다. 신겐과 겐신이 매우 강하긴했지만 천하를 호령했다고 하기엔 부족함이 크죠. 다케다 군이 미카타카하라 전투 직후 계속 서진해서 오다군을 물리치고 상락에 성공했다면 모를까 그 직전까지는 동네영주 중엔 젤 쎈 영주라고 보는게 맞겠습니다. 가와나카지마 전투 4차전을 영화화한 하늘과 땅과에서도 영화 재밌게 보고 찾아본 사람들이 천하를 호령한 것과는 거리가 먼 동네 영주끼리 싸운거라는거 알고는 실망하기도 하고 하더군요 ^^; 저도 전국시대 스토리 대망으로 입문했는데 정말 재미는 별로더군요. 쓸데없이 방대하고 너무 이에야스 빨아주고 사람 이름은 계속 바뀌니;; 사나다 태평기가 번역 되다 말아서 아쉽습니다. 그쪽 컨텐츠 좋아하시면 신장의 야망 게임 해보시면 꿀잼입니다. 삼국지랑은 비교가 안 됨.

  • @user-ti6sx9is6u

    @user-ti6sx9is6u

    Ай бұрын

    군사력 강해진시기는 다케다멸망후 신겐의 부하들을 받아들이면서 질적능력이 비약적 성장했음

  • @creator4836
    @creator4836 Жыл бұрын

    2:40 나고야성으로 표시된 곳은 후쿠오카 아닌가요?

  • @user-fj5zo6ys4x

    @user-fj5zo6ys4x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때 쓰고 폐성된 히젠 나고야성 입니다 ^^

  • @moonp3890

    @moonp3890

    Жыл бұрын

    名古屋、肥前名護屋城 한자도 다름

  • @user-ky9dt7tv4h
    @user-ky9dt7tv4h7 ай бұрын

    이에야스가 영리하게 물러난게 아니라 히데요시에 의해 영지를 먼 지방으로 바꾸는대신 임진왜란 참가 안해도 되게 했음

  • @user-sj2pw7lu2x
    @user-sj2pw7lu2x Жыл бұрын

    들어갈때 들어가고 빠질때 빠지는 것만 잘해도 최소 목숨은 연명한다 두쿠가와 가문 사람들 정말 현명합니다

  • @user-mr3cq2mt1g
    @user-mr3cq2mt1g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 초상화랑 후손이 확실히 닮았네 ㄷㄷ

  • @user-no5pr3bx1g
    @user-no5pr3bx1g Жыл бұрын

    막부를 공격했던 조슈와 사쓰마번은 나중에 어떻게 됐는지 궁금합니다

  • @user-ms9lu9om2v

    @user-ms9lu9om2v

    Жыл бұрын

    조슈번은 육군이 강해 육군성이 되었고. 지금일본우익들이 죠슈번 출신들. 얼마전 저격당한 아베신조. 사쓰마번은 원래 왜구들의 본거지라. 해군이 강해 해군성이 됨

  • @jk8304

    @jk8304

    Жыл бұрын

    다이묘는 둘다 화족 편입됩니다.최고위 공작으로!! 사쓰마의 시마즈 가문은 현 천왕가와 피를 많이 섞었죠. 히로히토 천황비 외가가 시마즈이고 히로히토 딸 중 하나도(현 천황 고모)시마즈 종가에 시집갔죠. 그리고 사쓰마는 나중 해군을, 죠슈는 육군에서 엄청난 파워를 키우죠

  • @user-no5pr3bx1g

    @user-no5pr3bx1g

    Жыл бұрын

    @@jk8304 답변 감사합니다 무슨 일본천통하는게임하면서 시마즈가문 본 기억이 나는데 시마즈가 사쓰마쪽이군요

  • @user-fm4xx1dy1w

    @user-fm4xx1dy1w

    Жыл бұрын

    조슈와 사쓰마는 현대에서도 일본을 이끄는 세력이 되죠. 아베신조나 아소다로가 그들의 후손입니당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사쓰마는 조슈한테 밀려서 노잼이였고 조슈번 위주로 정계를 먹습니다. 암살당한 이토 히로부미, 아베 등 다 조슈번 출신들

  • @lovelove-bc8ri
    @lovelove-bc8ri28 күн бұрын

    예전에 아주 어릴때 역사를 잘 모를때 단편적인 지식으로 우리나라가 일본에 강제병합을 당한 일이 단순히 일본이 우리보다 개화가 더 빨랐고 서양의 신진문물을 더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군사력 경제력 등에서 밀렸기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사실 일본이 조선보다 개항이 그렇게 빠른 것도 아니었음. 고작 10여년... 그 사이에 일본은 구식 사무라이 군대에서 당시 최첨단 신식군대로 재편하고 증기기반 함대를 구성하고 서양 각국에서 유학생과 사찰단을 보내 적극적으로 서양의 선진문물을 습득하면서 부국강병을 꽤함. 이런거 보면 나라의 의사결정권자들의 마인드와 행동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끼게 됨. 그때도 시대의 흐름을 못 따라가고 사대주의에 빠져 객관적인 국제정세를 파악하지 못한 고루하고 낡아빠진 기득권의 마인드가 패망의 원인이었지. 지금은 그렇지 않은지 타산지석 삼아야 진정한 역사의 교훈이라고 생각함.

  • @user-rv4un1zg9s
    @user-rv4un1zg9s Жыл бұрын

    임박사님의 말에따르면 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기구.불운하다하나? 그자는 성취감으로 한평생 잘처먹고 잘살다 죽었는데!

  • @biy4692
    @biy4692Ай бұрын

    이웃나라에서 저런 스펙타클한 역사가 쓰여지고 있을 때 조선은 뭘 하고 있었나

  • @ttlqk4847
    @ttlqk48475 ай бұрын

    영국왕실이나 아직까지 남아있는 유럽왕실 그리고 일본 왕실하고 비교해볼만하네요.

  • @user-ke7rz2xi8s
    @user-ke7rz2xi8s Жыл бұрын

    무능하고 권력욕만 강했던 조선왕조에 비하면 진짜 일본 기득권은 합리적이 었던것 같습니다.

  • @user-wo3bp4di8r

    @user-wo3bp4di8r

    3 ай бұрын

    막부는 신하고 왕은 왕이니 비교가 어렵지 않나요? 쇼군이 왕은 아니니 언제든 내려올 수 있지요

  • @user-hp5wm9mb5x
    @user-hp5wm9mb5x4 күн бұрын

    대의를 앞에두고 떠날 때 떠날 줄 아는 사람이 1류라는걸 보여줬네

  • @patrickyu8552
    @patrickyu8552 Жыл бұрын

    이에야스의 어린시절만 보면 도저히 쇼군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았다 그냥 그저 그렇고 그런 곧 망해가는 우유부단한 가문의 자손이었을 뿐이다 그런걸 생각하면 애당초 성분이나 지위는 한 사람의 출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다

  • @meho7933

    @meho7933

    Жыл бұрын

    망해가는 가문이여서 많이 배우고 출세한거라고 봅니다 어려움이있었기때문에 처세술도 배운거구요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이에야스 어린 시절 가문이 너무 힘들었던 반대급부로 전국시대에서 드물게 가신들이 강한 결속력을 갖게 된 것도 전국통일의 큰 요인이였던 것 같습니다. 반면 히데요시는 본인 대에는 본인의 기량으로 천하를 가졌지만 자기 가문을 따르던 후다이 가신은 아무도 없었기에 바로 다음 자식 대에서 멸문한듯

  • @user-nc5yc9es6j
    @user-nc5yc9es6j4 ай бұрын

    6:11 미일 화친 조약입니다.

  • @dominion8998
    @dominion8998 Жыл бұрын

    에도 성에서 항복은 그렇다쳐도 부하들에게싸우라하고 오사카성에서 퇴거한걸로 두고 두고까이죠 미나모토 설명할려면 또 영상하나 만들어야할듯 ㅜ

  • @user-dl5sh6ud8b
    @user-dl5sh6ud8b Жыл бұрын

    대정봉환이 가문을 지키게된 아이러니한 결과

  • @hbsci0204
    @hbsci02044 ай бұрын

    참 신기한 게 있어. 처음 하는 사람은 성공하기 힘들어. 꼭 누군가가 실패를 하고 나서 그 뒤에 나선 사람이 성공한다. 1. 애플의 아이폰 : 삼성이 햅틱이라고 하면서 이게 세계 최초 스마트폰이라고 신나게 떠드니까!! 스티브 잡스가 웃으면서 아이폰3를 내놨지. 2. 중국 한나라 : 진시황의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했는 데 결국 3세에서 망하고 한나라가 지배를 하게 됨. 3. 삼국지 : 조조의 위나라가 통일을 할 것처럼 보였는 데 결국 사마의의 아들 사마소하고 손자 사마염이 진나라를 건국함. 4. 당나라 : 수나라 양견이 외손자를 끌어내리고 스스로 황제가 되서 통일을 했으나 결국 이세민의 당나라가 이어 받음. 5. 명나라 : 주원장이 세웠지만 그 전신은 따로 있지. 누군지?? 암튼 주원장 위에 왕이 하나 있었음. 죽여버림. 도쿠가와 이에야스. 얘도 마찬가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다 만든 판을 전쟁 한 번으로 엮어버림. 도요토미 편에 섰던 애들이 훗날 하급 무사가 됐고, 명치유신의 주인공이 되기도 하지.

  • @user-ck4fv7xh1b
    @user-ck4fv7xh1b Жыл бұрын

    삼국지 처럼 책으로 있나요 ?? 있으면 제목 부탁드려요

  • @exorandbut

    @exorandbut

    Жыл бұрын

    나무위키에서 많이 가져온 것 같네요

  • @myskynet2
    @myskynet23 ай бұрын

    집안 위엄쩔겠네...

  • @letsgo2853
    @letsgo2853 Жыл бұрын

    도요토미 히데요시 가문이 더 심하게 망했지.

  • @user-hb1in9sq5g
    @user-hb1in9sq5gАй бұрын

    도쿠가와 가문은 진짜 최고권력 자리에서 성공적으로 연착륙했다 생각함. 그시절 최고권력 교체 때 목숨 보존하는 게 쉽나요. 19세기말 20세기 초 수많은 왕가와 권력가문이 명멸했는데 처신 잘했죠. 뭐.

  • @user-hk4hu9id4o
    @user-hk4hu9id4o Жыл бұрын

    지나친 과욕을 부리다 멸문한 토요토미 가와는 달리, 도쿠가와 가문은 권력은 잃었지만 대신 유배나 처형을 당하지 않았고, 가문의 마지막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천수를 누리다 갔다고 하니, 비참한 최후까지는 아닌 것 같습니다. 분명히 조정과 맞서 싸울 무력이 있었는데도, 내란이 발생할 경우 외세의 개입을 우려하여 '대정봉환'이란 어려운 결단을 했다는 것은, 가문과 일본의 미래를 위해선 최선의 선택이었습니다.

  • @user-op3qo4ds7f

    @user-op3qo4ds7f

    Жыл бұрын

    ㄱ7ㅂㄱㅂ4

  • @jsm9252

    @jsm9252

    Жыл бұрын

    메이지 유신이후 도쿠가와 가문은 쇼군의 정권을 완전히 내려놓고 화족제도에 따라 모두 후작(귀족)이 되었습니다

  • @hydrocynus415

    @hydrocynus415

    Жыл бұрын

    ​@@jsm9252ㄴㄴ 공작임

  • @lee.dong.jun.
    @lee.dong.jun.13 күн бұрын

    가신 500이 최고의 보물이군요...

  • @kalsezpiz
    @kalsezpiz Жыл бұрын

    요시노부가 포기하지 않고 내전을 확대하 였으면, 조선이 합병되는 일도 없었을텐데 아쉽.....

  • @user-bx2lh7tl2k
    @user-bx2lh7tl2k3 ай бұрын

    이에히로 저 사람 이에야스 그림이랑 비교해보면 진짜 유전자의 위력을 알수 있음

  • @user-su8rb5bp5g
    @user-su8rb5bp5g Жыл бұрын

    너무 자세해서 오히려 중간이후는 모르겠네요.

  • @jsm9252
    @jsm9252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 방계 고산케와 고산쿄의 세 가문들 ●오와리 번(오와리 도쿠가와 家, 나고야 성名古屋城, 61만 9,500석)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9男 도쿠가와 요시나오(徳川義直)가 시조. 화족제도가 있던 시절의 작위는 후작. 現 종손은 22대 도쿠가와 요시타카(徳川義崇). ●기슈 번(기슈 도쿠가와 家, 와카야마 성和歌山城, 55만 5,000석)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0男 도쿠가와 요리노부(徳川頼宣)가 시조. 화족제도가 있던 시절의 작위는 후작. 現 종손은 아키히토 상황의 사촌인 19대 종손 도쿠가와 코토코(徳川宜子). 코토코는 미혼이며 앞으로 양자를 들일 생각이 없다고 천명하여 가문의 단절이 예상된다. ●미토 번(미토 도쿠가와 家, 미토 성水戸城, 35만 석)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1男 도쿠가와 요리후사(徳川頼房)가 시조. 화족제도가 있던 시절의 작위는 후작이었다가 1929년 공작으로 승급. 現 종손은 15대 도쿠가와 나리마사(徳川斉正)

  • @American-drone

    @American-drone

    Жыл бұрын

    사무라이 영화에서 자주 봤던 가문들 이군요

  •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Жыл бұрын

    영지는 아직도 보유하고 있나요 ?

  • @parkjcb
    @parkjcb Жыл бұрын

    14:35 신애라씨가 왜 여기 나와요?

  • @danpoong8031

    @danpoong8031

    28 күн бұрын

    애라가 토쿠카와 가문으로 가다니....

  • @user-zc8du8sx7i
    @user-zc8du8sx7i2 ай бұрын

    올라가는것도 내려가는것도 다 때가있는법인데 멸족당한 토요토미 가문에 비하면 도쿠가와는 레알 승리자네요

  • @highpingxel4829

    @highpingxel4829

    2 ай бұрын

    도쿠가와 가문이 400년동안 한 결혼정책이 거의 모든 가문에 도쿠가와 가의 피가 흘러서 사실상 나라의 주춧돌같은 존재였음 그런 가문을 가주 혼자서 독단적으로 멸족시키려고했다간 다른 도쿠가와의 피가 흐르는 가주들이 가만히 두지 않죠

  • @user-ur3jo1hf2x
    @user-ur3jo1hf2x Жыл бұрын

    저 시절 왜 미국이 일본으로 왔냐면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서 일본으로 온겁니다.

  • @user-fc6pi3dy3v
    @user-fc6pi3dy3v4 ай бұрын

    누릴거 다 누렸는데 비참한건 아닌거 같아요. 토요토미 히데요리가 더 했고 이름 없이 죽은 사병들의 가족들은?

  • @freespirit4762
    @freespirit4762 Жыл бұрын

    1:49 겐지의 후예임을 자칭했는데 겐지는 왕족이 아님. 요리토모로 거슬러올라가는 무가의 동량을 자처하기 위함.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원래 다이라씨인데 쇼군되려고 겐지라고 구라침

  • @freespirit4762

    @freespirit4762

    Жыл бұрын

    @@user-if1bk9sg3v 원래 다이라씨 후예는 아님. 닛다 겐지의 후손이라고 했음.

  • @rrrhhl

    @rrrhhl

    Жыл бұрын

    @@user-if1bk9sg3v 혹시 아실까봐서요 일본 현대화 핵심인물 이름 아시나요? 신식 군대 창설하고 법 만들고 신식 행정 시스템 만들고 은행 만들고 했던 인물이요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rrrhhl 메이지유신 인사같은데 유신삼걸 중에 있나요?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

  • @rrrhhl

    @rrrhhl

    Жыл бұрын

    @@user-if1bk9sg3v 유산삼걸 검색어로 찾았습니다. 찾던 인물은 야마가타 아리토모 였어요.

  • @user-xl3ii8hd2b
    @user-xl3ii8hd2b2 күн бұрын

    한짓에 비하면 너무쉽게 갔다..

  • @user-en1ml5vu4p
    @user-en1ml5vu4p Жыл бұрын

    사형 당한것도아니고 상당한재산도 챙겼고 여전히 명문가대접에 물론 과거의영과보단못하지만 비참까진아닌듯

  • @user-ok1up8ws4j
    @user-ok1up8ws4j5 ай бұрын

    뭐야, 지하투기장을 운영하는 머뭇거릴 틈이 없는 할배 어디갔어

  • @Kang-kg3ux
    @Kang-kg3ux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가문정도면 천황가문하고 같이 놀아야할듯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손녀 시집보내고 했쥬

  • @user-wj9qk5qi5f
    @user-wj9qk5qi5f Жыл бұрын

    무력으로 일본을 다시 장악할 수 있었을탠데도 일본을 위해 정권을 포기하는 결단을 하다니 참 신기한 인물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그러기엔 숫자만 많았을뿐 군사력에서는 이미 신정부군에게 많이 밀렸습니다. 시마즈가 반기 들기 직전에 모리번 조지러 대규모 병력 동원해서 원정갔지만 패했지요.

  • @user-vo5zo2my6u
    @user-vo5zo2my6u3 ай бұрын

    히데요시한테 영지 바꿔치기 당한 빌미로 참여못한걸 영리하게 빠져나간거로 포장ㅋㅋㅋ

  • @user-mv1zk6sz9h
    @user-mv1zk6sz9h4 ай бұрын

    권력유한...

  • @ottolim8255
    @ottolim82555 күн бұрын

    나고야성이 왜 큐슈에?

  • @IJAEHO
    @IJAEHO Жыл бұрын

    세키가하라 합전에서 이시다 미쓰나리가 마냥 졸전을 벌인게 아닙니다. 단지 서군이 너무 유대가 약해서 쉽게 무너져 내린거 뿐이죠. 이시다 미쓰나리가 아무리 살펴봐도 정황상으로는 분명 이길만한 포석을 잘 깔아놓았습니다. (셈통이라고 생각합니다. 나쁜 이시다 놈..) 다만 그게 당일치기로 질 줄이야 누가 알았겠습니까. 결정적인 승자는 하늘(신)이 내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 @user-ig6pr8ej4y

    @user-ig6pr8ej4y

    Жыл бұрын

    군인과 공무원이 싸우면 당연히 군인이 이깁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 사람들이 유비나 덕천가강이 덕 있는 군자로만 알고 있는데 사실 저 두 인물은 동시대 어느 영웅보다 더 오랜시간 전쟁터에서 군사를 지휘하며 싸운 사람들입니다.

  • @user-xw1ix5iu6z

    @user-xw1ix5iu6z

    Жыл бұрын

    @@user-ig6pr8ej4y 비유하자면 행정일만 한 군인이랑 행정+전쟁둘다 한 군인이랑 싸움하면 당연 후자죠. 이시다는 행정일만 잘하는 사람이었어요.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이시다가 포석은 잘 깔았는데 중요한 전투 임박해서는 경험 풍부한 다이묘들 말을 들었어야했는데 자기 고집대로 정정당당한 정의로운 싸움? 을 고집해서 지기 힘든 전투를 진 느낌이 강하네요. 예를들어 시마즈 요시히로가 오가키성의 동군을 야습하자 했는데 거부했죠. 히데요시가 도쿠가와를 제압하듯 전투에선 져도 전쟁에서는 이기듯이 운영할 수도 있었는데 그 정도의 그릇과 기량은 안되었던 것 같습니다.

  • @danpoong8031

    @danpoong8031

    28 күн бұрын

    일본 역사에서는 1)히데요시가 히데쓰구를 무리하게 제거하는 과정에서 인심을 잃었고, 2)이시다가 임진왜란 때 후방에서 편안하게 지낸 것 때문에 신망을 잃은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 @scipiom8119
    @scipiom8119 Жыл бұрын

    절치부심해야 하는데 히데요시 아들의 어머니 요도도노 일본 삼대악녀로 평갑다는 여자로....... 요도도노의 아들은 그래도 아주 못나지는 않아 보였는데 상대는 이에야스였고 전쟁이 무엇인지 정쟁이 무엇인지 전쟁이 무엇인지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여자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의 허세가 오다노부나가의 동생이자 아자이 나가마사 딸인 이 여자가 비참한 시대를 살았지만. 최고의 가문의 피를 이어 받았고 더구나 히데요시의 첩이되고 아들을 낳고....... 도요토미 가문의 불행은 가문을 대변할 유력 친인척들이 제거되거나 배신하거나...관망하거나..... 내분하거나.... 거기에 중심 인물이 요도도노인데 세상이 운칠기삼이라는 말도 결코 거짓말은 아닌 듯한. 잘 보고 갑니다.

  • @user-jw9uq8oq8k

    @user-jw9uq8oq8k

    Жыл бұрын

    요도기미가 낳은 아들은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친아들이 아닐 가능성이 많음

  • @scipiom8119

    @scipiom8119

    Жыл бұрын

    @@user-jw9uq8oq8k 그건 증명이 가능하나요? 많이 의심하지만 그래서 증명을 하지 못하면 아무런 의미도 없는 소설에 불가하죠

  •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Жыл бұрын

    악녀까지 라고 하기엔 좀 억울하죠.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 눈치가 없어서 아들 죽게 만든거지 그 외엔 딱히 나쁜짓 한건 없으니까요. 노부나가의 조카입니다. 엄마가 노부나가의 동생인 오이치. 히데요시가 여색에 환장한 인간이라 건드릴 여자가 몇 천명은 될텐데 아무도 임신을 못했는데 요도만 자식을 낳았으니 히데요시 친자가 아니라는 썰이 거의 확실시되죠. 히데요시 살아있을때도 그런 소문이 돌고 낙서도 하고 하니 애꿏은 사람들 많이 죽이기도 했죠.

  • @danpoong8031

    @danpoong8031

    28 күн бұрын

    @@user-jw9uq8oq8k 맞습니다. 수십년간 그 많은 여자와 관계하고도 후손이 없었는데, 말년에 첩으로 들어온 요도기미가 두 번이나 임신한 것은 말이 안됩니다. 당시 일본에서도 이런 소문이 돌았었는데 그 소문난 마을 주민 모두 히데요시가 죽였습니다. 히데요시가 이렇게 과민하게 반응한 것을 보면, 히데요시도 뭔가 알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Marbas38
    @Marbas38 Жыл бұрын

    깃발보고 그래픽카드인줄 알았내 ㅋ

  • @mcy2756
    @mcy27565 ай бұрын

    에도시대에 군림했으면 됬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메이지유신도 일어 났던것이고

  • @user-is1ph9br8e
    @user-is1ph9br8e Жыл бұрын

    비참하지 않은데요? 단지 고구마를 좋아하고 권력을 내려놓음으로 멸족도 수치스런 옥살이도 없이 인류사에 보기드문 좋은 결말을~

  • @user-kj2ly9hd4r
    @user-kj2ly9hd4r20 күн бұрын

    너무 욕심이 없어 불시착 성공한 케이스

  • @uncle_nextdoor
    @uncle_nextdoor Жыл бұрын

    도쿠가와만???? 아베를 봐라

  • @user-rj4db3ve4w
    @user-rj4db3ve4w3 ай бұрын

    지금도 명문으로 떵떵거리고 사는데..

  • @user-ko9xi7bj2v
    @user-ko9xi7bj2v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다만 8:27초에 오타가 있는데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상경한 것은 1836년이 아니라 1863년의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아베 신조 전 수상이 암살 당했는데 사실 따지고 보면 조슈번 정권과 그 정신의 직계 후예라 할 수 있는 아베가 전혀 예상치 못하게 죽은 날 공교롭게도 막말유신의 역사를 보니 미묘한 심정이네요. 이로써 이제 일본도 메이지유신의 유산으로는 더 이상 안된다는 것을 깨닫고 변할까요? 아니면 그러기에는 자민당 등 구태세력이 아직도 너무 막강한 것일까요?ㅎㅎ 가능하시면 나중에 메이지유신에서 오늘날에 이르는 근대일본정치사도 정리해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 @dominion8998

    @dominion8998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일본 공산당 역사 같은거 궁금하네요

  • @user-it4we2ww5z

    @user-it4we2ww5z

    Жыл бұрын

    아베 총리 싸인 없이는 일본 천황이 주기는 어렵지만 반설득으로 한일위안부(당사자들이라고 나왔지만 못 찾어. 일제시대 군인 짓 이기는 하다는데. 배상 다 되었다고 김대중이가 신경못쓰겠다는데) 배상액 준다고 하셨으니 약속대로 마약에 초인이 나타난다면 시대로 됬음을 눈으로 10년후 어느오늘 확인하고... 몇년 지난 어느날 그런데 안타갑게도 입대일이라고 했던가 세월호 사고와 또 사고가 그런데 해상 자위대 입대도 비슷한 겹치기가. 2002.5.16 입대자들 천개재단 중 2014.5.16을 반대하여4.16이 되었지만 노래에는 천개의 바람개비라고 불린다. 피겨 라는 간첩 포상금 일거야. 입대해서 간첩 피겨3인조 거여에 있다 소리 듣다 매달 피겨500수술 상해치사58주 안전권확보에 수술비500에 그래서 김대중이가 이낙연에게 천개 재단이라고 하라고 그게 뭐야 중첩 겹치기 은폐엄폐 잖아 피겨틀어 은폐엄폐 후 이낙연에게 전라도가서 보라고 그런거를 시키다. 국회 티비 최초로설치 후 보니까 이낙연,안철수,심상정은 노 해양부장관출신 대통령군통수권자 탄핵 소추 가결에 찬성 안하고 불참 하다니. 결과는 가결 이야. 노장관이 고향바다입에 다시 넣어준다니 김대중이가 좋다는거 같다. 김연아가 계속 유령이면은 김대중이가 세월호에게 다리 건거야. 노무현와 피겨의 카메라 50,000,000명에게 유포짓을 어떻게 해? 작년 교전들 숨기고 북한가서 포옹 방송유포 그리고 사례금 주다. 인권1년(1년안에 빨리처리하라빨. 그런데도 1년 지났으니까 없지 하는거야) 이라고 병신같은게 저지랄 하는거야.

  • @219red2
    @219red221 күн бұрын

    일왕이 아니라 천황이 옳은 표현입니다

  • @user-um1rd6kb4g

    @user-um1rd6kb4g

    13 күн бұрын

    일왕도 맞는 표현입니다

  • @user-rx6vx5vf2v
    @user-rx6vx5vf2v Жыл бұрын

    위의 시대상황을 그린 일드 료마전을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2 ай бұрын

    2:40 나고야성 위치가 잘못됐네요

  • @danpoong8031

    @danpoong8031

    28 күн бұрын

    한자가 다른 나고야 입니다. 히젠나고야

  • @kkaburi

    @kkaburi

    13 күн бұрын

    저도 나중에 안거지만 저기에도 나고야성이있다하더라구요 츄부 나고야아님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