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회오리를 일으키는 '진짜 읽기' [

#문해력 #진짜읽기 #일머리
채널에 가입하여 EBR 전체 시리즈 보기🧡
👉 / @ebsbusinessreview
[EBR] 매주 월~목 밤 24:00 , EBS 1TV
EBR 공식 홈페이지 👉 home.ebs.co.kr/ebr/main

Пікірлер: 37

  • @alvarodecampos6818
    @alvarodecampos6818Ай бұрын

    일머리 좋은 사람들이 일할 때 먼저 파악하는 세 가지 1. 지금 어떤 상황인가 2. 무엇을 해야 하는가 3. 왜 그것을 해야 하는가 가짜 읽기 1. 띄엄띄엄 읽는다 2. 쓰인 대로 읽지 않는다 (어림짐작으로, 주관적으로 읽는다) 3. 쓰인 대로 믿는다

  • @yeeeyooo7332
    @yeeeyooo7332Ай бұрын

    두 번째 보러 왔어요! 그만큼 정말 좋은 강연입니다. 송숙희 작가님의 말씀처럼 인공지능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간의 활용 능력이 더욱 중요해졌죠. AI를 도구로 잘 활용할지, 아니면 AI의 도구로 전락할지는 사람에게 달려있다고 경희대 김상균 교수님도 비슷한 말씀을 하셨죠. 그래서 잘 활용하려면 독해력을 키워야한다는 작가님의 쉽고 명료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ethenypat4478
    @methenypat4478Ай бұрын

    작가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저도 들었으니 제 나름대로 한줄요약하는 것으로 소통해 보겠습니다.^^ " 읽는힘은 문해력의 시작이자 곧 끝이다."

  • @suhyuk000
    @suhyuk000Ай бұрын

    워낙 꼼꼼하게 완벽히 이해안되면 못넘어가는성격이라 읽는 속도가 너무 느려고민이었는데 그냥 하던대로 해야겠네요ㅎㅎ 감사합니다 유익했습니다

  • @tomakeitvisible
    @tomakeitvisible2 ай бұрын

    읽는 힘 없이 문해력 턱도 없다!!!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 @tv8877
    @tv8877Ай бұрын

    마음에 와닿는 말씀 감사합니다.~~

  • @user-rx3df3dl8f
    @user-rx3df3dl8f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evermore6485
    @evermore6485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b

  • @parkcharis8270
    @parkcharis8270Ай бұрын

    ai시대일수록 더욱 읽고이해하는능력이 뛰어난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과의 모든분야에서 격차가 벌어진다. 이해능력이 떨어지면 논리력과 추론능력이 없어 옳고그름을 판단못하기 때문이다. 기준: 모든 학생들은 대입논술 시험을 자연스럽게 별도로 배우지않고도 써내야한다

  • @fastdunn
    @fastdunnАй бұрын

    의자가 기가 막히네요.

  • @laonk1127
    @laonk1127Ай бұрын

    너무 맞말...덮으면 뭐읽었지 싶었는데, 잘 읽어보겠습니다..!

  • @Aran0112
    @Aran0112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읽는게 굉장리 어려웠었지만 이제 막 재미있는데 저는 제대로 읽고 있었던 것 같아요 다만 ’많이‘ 제대로 읽는 것이 여전히 어려워요 그나마 이제는 장르를 많이 가리지 않게 되긴 했는데 제가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 더 늘어나야 ‘많이’가 더욱 가능해지는걸까요 ? 아니면 지금 제가 받아들일 수 있고 관심있는 분야에 책을 ‘많이’ 읽어나가면 되는걸까요 ?

  • @user-hr7yk8ys4s
    @user-hr7yk8ys4sАй бұрын

    영상 요약: 읽는 힘 없이 문해력 턱도 없다

  • @OD_88
    @OD_88Ай бұрын

    요즘 책이 재밌어서 여러권읽었는데 넘기고나니 도저히 기억이 안나더라구요

  • @user-re1ji9pn9m

    @user-re1ji9pn9m

    Ай бұрын

    그거 나중에 기억날겁니다. 어떤 상황이나 생각을 할때 도움이 됩니다. 너무 생각하고 기억해야지라고 인지할필요는 없는듯 하네요. 시험이 목적이 아닌 이상 외워야지하며 읽을 필요가 있을까요? 텍스트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가 알려주는 이야기해주는 흐름과 맥락 그리고 그것으로 인해 나의 인생과 일상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가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책은 결국 나를 돌아보게 만드는거 같거든요. 장르불문하구요

  • @user-fb5pi8mm8x
    @user-fb5pi8mm8xАй бұрын

    독서조차 돈인가. 슬프다.

  • @user-zi5uv5dv8n
    @user-zi5uv5dv8nАй бұрын

    난 그렇게 책읽어도 돈은 ㅠㅠ

  • @mapx2100
    @mapx2100Ай бұрын

    전반적인 내용에는 공감되지만, AI 의 능력이 아직 인간에 못미친다는 판단은 섣부르다고 봅니다. 공개된지 이제 겨우 1년 반밖에 안되었는데도 발전하는 추이를 보세요. AGI 가 도래하고 나서 이 영상을 보면 많은 생각이 드실 겁니다.

  • @xshell
    @xshellАй бұрын

    독소다 ㅋ

  • @user-fz5gg7rm2e
    @user-fz5gg7rm2eАй бұрын

    11:57 성공은 기준이 뭔지에 따라 달라지지 않나? 현우진 같은 1타 강사들 보면 빌딩 있고 명품 두르며 기사 딸린 마히바흐를 타지만 성공이 아닌 거 같던데 정승제 보니 아침에 눈 뜸과 동시에 문제 풀고 세탁기 돌리고 문제 풀고 차에서 문제 풀고 밥 먹을 시간도 없고 아마 이런 사람들 똥싸면서도 문제 풀거야 밤 늦게 퇴근해서 맥주 마시며 드라마 보더라 개인 시간 없고 운동 못하고 머리 처박고 문제만 풀어서 거북목 오고 목에 보호대 감고 다님 근데 생각을 좀 바꿔보면 드라마 보는데 저런 돈이 필요할까? 새벽 일찍 일어나서 디올 입고 기사 딸린 마히바흐 타고 탄광 가서 쉬는 시간 없이 광물 캐다가 21시에 집에 들어와 씻고 드라마 보는 삶이면 그게 성공한 삶인가? 무엇을 위해 노동을 하는 건가? 이 아줌마가 말하는 성공의 기준이 돈인가? 성공의 기준이 돈이면 어떤 사업을 구상하냐로 갈리는 거지 잘 읽는 사람이 성공한다는 근거가 뭐지? 세계 부자들이 책을 읽으니까 책 읽으면 성공한다 이건가? 윈도우 판매로 돈 쓸어담은 빌게이츠가 책을 읽었기 때문에 성공했을까? 이미 부자가 된 시점에서 빌게이츠가 책 읽는 게 좋은 데이터라 볼 수 있나? 일론머스크는 집에 짱박혀서 코딩만 했다는데 이건 뭐라 설명할거지? 마크저커버그는 하버드 내에서 위치와 텍스트를 남기는 방식에 아이디어를 얻어 페이스북 창업했는데 이것도 읽기의 중요성이야? 민희진이 책 잘 읽어서 아이돌 프로듀싱에 성공했나? 나영석 김태호가 책을 많이 읽어서 방송 흐름을 읽고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나? 이 아줌마가 말하는 기준이 smart야 savvy야? 본인이 말한 성공 조건만 따지면 35년 글쓰고 20년 글쓰기 코칭한 본인이 빌게이츠보다 더 뛰어날텐데 그 데이터 대로 설명하려면 작가들 중에 재벌이 많아야지ㅋㅋ 강의 내내 기준이 없고 근거도 없고 어디서 주워들은 말로 12분 떠드네 아줌마 글쓰기가 문제가 아니라 말하는 법부터 배워야겠는데

  • @SeongELeum
    @SeongELeumАй бұрын

    4:24 여기까지 내용에는 솔직히 별로 공감되지는 않네요.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인상입니다.

  • @nickkoreahwang6580
    @nickkoreahwang6580Ай бұрын

    얼마전 챗 GPT - 4 O 가 나왔는데 이젠 도쿄대 입시나 명문대의 에세이는 쉽게 패스할 것 같네요. 기술의 발전속도는 눈부십니다. 강연에 설득력이 떨어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댓글을 보니 다른 시청자들도 공감하는 부분이네요.

  • @inoktube

    @inoktube

    Ай бұрын

    설득력이 떨어지는 부분을 지적해봐. 넌 입시 에세이 페스하는게 목적이니? 동영상의 요지를 이해 못하는 듯.

  • @user-ii1vt7ls5b
    @user-ii1vt7ls5bАй бұрын

    에휴 맨날 부자는 책읽어서 어쩌고 저쩌고 타고난 지능 기질과 환경 이더 큽니다 ...자꾸 성공한 사람들이 이렇게 하네 뭐네 그게 가능한 사람이나 성공하는거고 결론 집중해서 읽어라 그리고 생각해서 내것으로 만들어라 수고

  • @enrriqueyoon
    @enrriqueyoonАй бұрын

    최근 너덜트에서 채용공고 인원 '0명' 으로 기재를 하여 큰 이슈가 있었죠 정말 독서시대에서 영상시대로 넘어가다보니 학생들부터 문해력 수준과 집중력 최악입니다..

  • @LolLol-un5fm

    @LolLol-un5fm

    Ай бұрын

    이건 문해력 집중력 문제가 아니라 경험의 부재임

  • @user-sy4vi3ho5t
    @user-sy4vi3ho5tАй бұрын

    책을 많이 읽으라는 좋은 강의이긴한데 영상 시청이 시각만 활용한다는지에 대한 주장은 납득이 안가네요 보통 영상물은 시각 자료에 대화형식 및 듣기가 있는데도 말이죠 좀 억지로 읽기만 중요하다는 것처럼 강조된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또한 영상에서 주장하는 논리가 맞지가 않는게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챗gpt가 명문대에 합격하지 못한 이유가 문해력이 안 좋다고 사람처럼 생각하지 못해서라고 했는데 나중에 가짜 읽기를 띄엄 띄엄 읽는다. 쓰인 대로 읽지 않는다 쓰인대로 믿는다.라고 정의 하였는데 이 3 가지는 모두 chat gpt가 인간보다 월등하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부분입니다. 즉 이 정의에 짜르면 chat gpt는 인간보다 월등히 진짜 읽기를 한 겁니다. 그런데 chat gpt가 명문대에 떨어질 수 밖에 없다뇨.. 말의 모순이 큽니다. 강사님른 읽는 것을 많이하여 읽는 능력이 좋을 수는 있어도 생각을 닦고 다듬는 능력이 부족해 보입니다. 세상은 읽기능력만이 중요한 게 아닙니다. 진짜로 통찰력을 발휘하는 것은 떠오르는 생각을 갈고 닦아 여러 아이디어의 모순성 없는 통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꾸 규칙 1. 2 .3 이런식으로 분류하는 것도 그리 좋지는 않은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해당 영상에서 가짜 읽기에 대한 정의 1. 2 .3 과 일 잘하는 사람 특징 1. 2 .3 세 가지로 정의한 것 처럼 말이죠 이는 그 3 가지 묶음을 통일하지 못하고 그냥 편하게 나열한 것입니다. 근데 이렇게 통일하지 못하면 엔트로피가 증가할 뿐이며 그것에는 깊은 통찰이 생길 수 없고 받아들이는 사람 입장에서도 잘 받아들여 응용할 수도 없습니다.

  • @denma-denQ

    @denma-denQ

    Ай бұрын

    그래서 선생님 하시는 일이 어떻게 되시나요?

  • @qhgpfp0

    @qhgpfp0

    Ай бұрын

    ​@@denma-denQ​본인이 굉장히 무례하고 무식한 질문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나요? 이 분도 이분 나름대로의 근거를 갖고 그 내용의 옳고 그름 여부를 떠나 충분히 논리적으로 타당한 주장을 하고 있는데 개인의 직업 같은 논지와 전혀 무관한 사적인 영역을 왜 물어보죠? 직업이 의사, 변호사라 하면 논리적으로 타당한 얘기가 되고 변변치 않은 직업이면 헛소리가 되나요? EBS 영상을 찾아볼 줄 아는 수준의 나름 지식을 갈망하는 사람이라면 적어도 그 사람의 의견의 알맹이를 볼 줄 아는 소양은 있어야죠

  • @GodFather-rb3us

    @GodFather-rb3us

    Ай бұрын

    당연히 의사 변호사같은 전문직과 좃도 아닌 게 아는척 하는건 다르지. 무엇보다 원댓글이 작가가 하고자하는 말을 일부에만 국한에서 맥락없는 개소리를 하고 있고만. 그리고 ebs 듣고 보는게 무슨 벼슬이라도 되냐? ㅋ

  • @denma-denQ

    @denma-denQ

    Ай бұрын

    @@qhgpfp0 본 영상의 내용에 동의하지 않는 것은 알겠지만 통찰이 없고 생각을 다듬는 능력이 부족하다느니 인신공격을 하는 윗 댓글은 정상적이고요? 저는 저런 댓글을 다는 사람이 어느 정도의 지식 수준을 가지고 님이 말하는 ebs에서 강연까지 하는 분을 저런 식으로 깔 수 있는지 궁금하여 직업을 물어본 것인데 무례? 무식하고 뭐요? 본인이야 말로 앞뒤 안 가리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본인이 무조건 옳다고 믿는 저질스러운 사고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까? 조금 역겹네요..

  • @gaeojo6301

    @gaeojo6301

    29 күн бұрын

    흠 이거 ai가 쓴 건가.. 읽기 쉽지 않네요..

  • @user-wh4nc6bz8h
    @user-wh4nc6bz8hАй бұрын

    공감이 전혀 안가네

  • @mageusin
    @mageusinАй бұрын

    EBS 다큐가 맞나 싶었다… 빌게이츠를 만나서 이야기 해본것도 아니고 정답 정해놓고 끼워 맞추기식 강연, 거기에 대한 결론도 기가 찬다. 텍스트로 보면 10초만에 귀결 될 내용을 돈 벌기위해 12분 동안 한다. 강연은 시간보다 내용을 알차게 준비하세요.

  • @user-wt6uh2cu4y

    @user-wt6uh2cu4y

    Ай бұрын

    님이 책을 안읽어서 그런듯 유익한데?

  • @architrip2672
    @architrip2672Ай бұрын

    ㅋㅋㅋ 그건 일본 인공지능 계발능력이 부족해서 그런건데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