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버전]수학을 싫어하는 수포자라면 반드시 봐야 할 영상!!(박문호 박사님)

우리 아이가 공부 잘하고, 앞으로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부모가 돕는 뇌과학적인 방법에 관한 뇌과학자 박문호박사님께 조언을 담은 풀버전입니다.
00:00 주제 및 전문가 소개
04:14 양적인 접근 필요성
05:30 숫자 감각 키우는 교육법
14:44 한분야에 꽂힌 자녀라면
19:20 깔때기형으로 확산하는 방법
23:42 자녀에게 자연과학을 접하게 하려면
28:21 변화의 첫시기를 돕는 방법
31:40 부모가 자녀에게 보여줘야 할 것
33:56 창의성이란
35:17 공부할 때 틈을 주려면
39:38 안풀리는 문제를 마주한다면
42:41 부모가 학습을 돕는 방법
📍방종임 편집장 인스타그램 / bangjongim
📍교육대기자TV 인스타그램 / daegizatv
📌방종임 편집장 프로필
교육전문기자 겸 교육 크리에이터
前조선일보 교육섹션 조선에듀 편집장
교육전문 유튜브 채널 '교육대기자TV' 운영자
'대한민국 교육키워드7', '자녀교육 절대공식' 등 4권 저자
📢출연 신청 / 광고 문의 / 강연 신청 leo0521@naver.com
📚방종임 편집장의 신간 '대한민국 교육키워드 7'⠀⠀
👉예스24 url.kr/jy41wk
👉교보문고 url.kr/3d5qti
👉알라딘 url.kr/ue2q53
섭외 제보 및 문의 leo0521@naver.com
#박문호 #뇌과학 #공부

Пікірлер: 61

  • @daegizatv
    @daegizatvАй бұрын

    자녀를 앞으로 전문가로 키우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박문호 박사님의 조언을 담은 풀버전입니다!! 📍방종임 편집장 인스타그램 instagram.com/bangjongim/ 📍교육대기자TV 인스타그램 instagram.com/daegizatv/ 📚방종임 편집장의 신간 '대한민국 교육키워드 7'⠀⠀ 👉예스24 url.kr/jy41wk 👉교보문고 url.kr/3d5qti 👉알라딘 url.kr/ue2q53

  • @jinnypark9855
    @jinnypark9855Ай бұрын

    국가에서 교육방향과 방식을 재점검 해볼 필요성이 많아요.. 대학을 왜 가는가..아이들이 왜 수학과학을 포기하는가.. 문제푸는 기계가 아니라 잃어버린 아이들의 호기심을 북돋아 줄 수 있는 교육이 너무 절실해요..

  • @eurekagu

    @eurekagu

    14 күн бұрын

    ¹11¹1ㅂㅃ

  • @yericho7148
    @yericho7148Ай бұрын

    37:03 인간관계에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나와 약간 관계 있는, 간접 연결된, 나에게 약간 호감을 가진 사람들이다.

  • @sujinkang6311
    @sujinkang6311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좋아요를 한 번 밖에 누를 수 없다는 것이 아쉽네요 아이들 가르치는 분야에서 일하면서 단순히 의욕이라는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들을 느꼈는데 그 느낌적인 느낌을 정확히 표현해주신 것 같아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입니다 학생들에게 그런 제3자가 되어주고 싶네요😊

  • @user-bb8ce4fi8b
    @user-bb8ce4fi8b14 күн бұрын

    교수님.짱입니다 애매한맘을.확실히잡아주셔서.감사합니다♡♡

  • @Andong_Kim_30
    @Andong_Kim_30Ай бұрын

    🎉🎉🎉 박문호 박사님은 아인슈타인을 능가하는 한국이 낳은 노력형 천재라고 생각합니다!! 숫자는 시간과 공간을 예측하는 데에 절대적인 측정 도구 입니다.

  • @user-nq1pg7oo5b
    @user-nq1pg7oo5bАй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 😊

  • @user-zq8qj6lv3o
    @user-zq8qj6lv3oАй бұрын

    박사님 방송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참 박학다식하시네요!

  • @user-qm6kg9im9k
    @user-qm6kg9im9kАй бұрын

    아 이 얼마나 단순하면서 명쾌한 말씀입니까. 청춘의 중간쯤 선 저에게 바르게 서도 된다, 실리를 당장 쫒지않는다고 주변 욕 먹어도 괜찮다 그런 목소리로 은은히 들려 옵니다. 감사합니다 :)

  • @ejung620
    @ejung620Ай бұрын

    존경하는 박사님이시네요 이런귀한 영상을 이렇게 쉽게 볼수있어서 유튜브의 유일한 장점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Ай бұрын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undamlee5218
    @sundamlee5218Ай бұрын

    박사님 이야기는 여기저기서 봐도 재밌고 늘 새롭고 배울께 많네요ᆢ수감각 과학 등 쌓고 살았는데 참 힘들다는 느낌을 나이 들수록 크게 느껴요ᆢ아이는 저처럼 안키우러 박사닝 이야기에서 늘 인사이트 얻고 갑니다ᆢ감사합니다ᆢ❤❤

  • @user-yr4on2qr5x
    @user-yr4on2qr5xАй бұрын

    다시 봐도 너무 좋은 말씀입니다 박문호 박사님 감사합니다 앞으로 커나갈 우리 아이들의 인생이 놀라움으로 가득하길 바랍니다🎉

  • @daegizatv

    @daegizatv

    Ай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y3hv4ec8v
    @user-iy3hv4ec8vАй бұрын

    와우 대박입니다.

  • @hapum15
    @hapum152 күн бұрын

    처음에는 편하게 시청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영상에 빠져드네요~ 계속 무릎을 탁치면서 메모하면서 들었어요~ 너무나 좋은 강의와 방법적인 부분들을 설명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방종임님의 깔끔한 진행과 꼭 필요하고 궁금한것들을 잘 질문해주셔서 도움이 많이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user-nb4cr5ov8v
    @user-nb4cr5ov8v11 күн бұрын

    이 강의 오늘 2독째입니다 너무 좋아요

  • @universe1214
    @universe1214Ай бұрын

    85년생입니다. 수학의 세계에 빠지려고 시도 중이었는데 시기적절한 타이밍에 이 콘텐츠를 만나네요. 박사님은 다방면으로 저의 지적세계를 자극시켜주시고 다른 영상 아직 못본 것들도 있는데 박사님의 책이 있나 한번 검색해봐야겠어요. 박사님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서요ㅎ

  • @mryang3185
    @mryang3185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주장은 강하지만 설득력은 약한데 왜 다들 열광하는지 모르겠어요. 귀담아 들을 내용도 있지만 비약적이고 편협한 내용도 많아 보여 이런 분의 주장은 좀 비판적으로 가려들을 필요가 있을것 같네요.

  • @user-yz3hb8hp1x
    @user-yz3hb8hp1x14 күн бұрын

    역시 박문호 박사님이십니다. 경상도라 '항칠"이 순식간에 지나간 걸 느꼈는데.. 사람들이 알아들었으려나요ㅎㅎ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zk5zn7ov9j
    @user-zk5zn7ov9jАй бұрын

    어려서 걸을때 숫자세기 좋긴하나 커서 강박생깁니다. 세기싫은데 마음으로 숫자세고 있습니다. 일장일단

  • @universe1214
    @universe1214Ай бұрын

    나에게 각인은.. 성체세포가 줄기세포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양자화에서 우리는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무에서 물질로 된다. 요새 궁금증은 물질을 만들게 하는 것은 무엇이며 생성 메커니즘을 알고 싶다. 의식이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 의식이 만드는 것일까? 물질은 어떤 관계성으로 인한 결과물일 뿐일까?

  • @user-zh7uu5yy2b
    @user-zh7uu5yy2bАй бұрын

    메모할 내용이 참 많네요. 주말인데, 열일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daegizatv

    @daegizatv

    Ай бұрын

    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 @user-yt6ym8ot6m
    @user-yt6ym8ot6m7 күн бұрын

    박문호교수님팬입니다~♡

  • @saet7181
    @saet7181Ай бұрын

    어릴적 아빠 망원경으로 봤던 좀생이별, 고2때 친구 수련회 갔다가 쏟아지는 별을 보고 우와~했던 경험이..그래서 늘 별을 품고 있나봐요.. 넘 귀한 강의 잘들었습니다,

  • @user-hu2te8sb3j
    @user-hu2te8sb3jАй бұрын

    오늘부터 저도 숫자 카운트 들어갑니다. 50살엔 되겠지..😂

  • @grin3488

    @grin3488

    Ай бұрын

    ㅋㅋㅋ긔여우세요

  • @user-dy9gp6ml5t

    @user-dy9gp6ml5t

    Ай бұрын

    아무나 안될 듯 ㅋㅋ

  • @jujublue2
    @jujublue2Ай бұрын

    우와~ 너무 재미있어요! 아는 내용이다 싶으면서도 새롭고, 흥미롭네요. 비교적 학업 경쟁에서 자유로운 해외라 모든 내용들이 더 와닿습니다. 대기자님. 박사님 감사합니다!^^

  • @herainjune
    @herainjuneАй бұрын

    별에 데인다.. 별화상 아이들에게 주고 싶네요

  • @universe1214
    @universe1214Ай бұрын

    41:03 완벽보다는 완성

  • @user-jh2wr8ls3m
    @user-jh2wr8ls3mАй бұрын

    나는 국어,외국어,수학은 잘했는데 물리학은 정말 재미를 느끼지 못했다😅...만약에 우리 부모님들이 나를 이공계인재로 키우려고 했더라면 나는 불행해졌을 것이다.나는 둥둥 떠다니는 구름을 바라보면서 상상을 했고 새소리에 귀를 기울이고...아이가 무엇에 관심이 있고 무엇을 잘하는지를 시간을 들여가면서 관찰을 해야 합니다.행복의 각도에서 바라보면 자식을 어떻게 키워야 할지 조금은 알 것 같습니다...

  • @user-cy8yj8ij2n
    @user-cy8yj8ij2nАй бұрын

    와 찐 대박 정신없이 오마이 싸이언스네요!!! 전 상대성이론 이해하고싶은데 이해가 안되서 아직도 숙제예요... 언제 이 이론 강의도 듣고싶다요~!!!

  • @hpu-hh3og
    @hpu-hh3ogАй бұрын

    저아저씨는 어디 나올때마다 엄청난것들 알려주심

  • @universe1214

    @universe1214

    Ай бұрын

    ㅋㅋ

  • @user-wj7ur2gt8i
    @user-wj7ur2gt8iАй бұрын

    박문호님의 견해와 살짝 다르게, 인문학에 숫자가 너무 개입하면 작품을 감상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공감 능력은 주로 우뇌가 담당하기에 그렇습니다. 부부싸움에 숫자가 들어가면 화해하기 어려운 것도 같은 이치입니다.

  • @user-dn8ee1hz4s
    @user-dn8ee1hz4sАй бұрын

    댓글만 봤는데 그렇구나 그랬던 거였구나 뭔가 느낌이 그런 작은 울림이 있었어요 제 개인적 경험으로요 지나오면서 그랬던 거 같거든요

  • @canari2789
    @canari27892 күн бұрын

    머리가 많아졌어요. 그 이유가 가장 알아야 할 정보. 뇌과학이고 뭐고 머리 털이 많아진 이유가ㅈ더 미스테리

  • @hanugn
    @hanugnАй бұрын

    그냥 개인적인 경험인데요, 감정도 명상이나 기도를 통해 양적 데이터로 어느정도 변환됩니다^^ 박문호 박사님 강의 또 잘 들었습니다~~

  • @universe1214
    @universe1214Ай бұрын

    파이프형과 깔때기로 비유를 하시네요. 전 전체(거시적, 큰 그림 등)로 표현했었는데.

  • @younghyunbaek5357
    @younghyunbaek53574 күн бұрын

    부처님시대에도 깨달은 사람은 소수였듯이 이렇게 얘기해봤자 전부 의사나 검사나 돈많이 버는 업종으로 자식들을 밀어넣기위해 노력할듯 그래도 박사님의 지혜가 돗보이는 강의를 숨죽이면서 지켜봤습니다

  • @user-pb8ih5ot7s
    @user-pb8ih5ot7sАй бұрын

    저희 아이도 어릴적에 5분만 기다려라 하면.. 1초 2초 3초 4초... 이러면서 계속 중얼중얼 세고 있었더라구요😊 300초는 벌써 지났다고, 왜 750초만에 왔냐고 울먹여서 아이가 좀 괴짜스럽다 싶었는데 교수님 말씀대로~ 수가 몸에 새겨진 아이로 크고 있어요~ 물론 수학도 또래보다 훨씬 잘하구요^^

  • @HongwoonHeoham
    @HongwoonHeoham23 күн бұрын

    저는 올해 61살인데 양자역학 책도 보고 유투브를 찾아서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물론 이해는 잘 안됩니다.ㅎㅎ 저는 이해하는 것보다 알고자하고 읽는다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꼰대라는 소리를 적게 들을려고 봅니다.ㅎㅎ

  • @user-sb4ox6ys4g
    @user-sb4ox6ys4g21 күн бұрын

    뇌과학자도 아닌데 뇌과학자라 하나?

  • @user-uj9dw7qx3w
    @user-uj9dw7qx3wАй бұрын

    걸어가며 느낄 수 있는 자연, 거리의 사람들.. 마음의 여유.. 굳이 숫자를 ... 특히나 어린아이에게??

  • @OMG-mv8cd
    @OMG-mv8cd27 күн бұрын

    한국 기득권들은 철저히 개인이기주의자들이라 국가나 사회의 올바른 방향성 따윈 관심없음. 일반인들에겐 단지 시키는거 빠릿하게 할 정도의 교육을 원하기에 교육제도나 분위기 바꿀 생각이 없음. 왜 자기 자식들은 선진국에 유학보내겠는가ㅋㅋ

  • @HongwoonHeoham
    @HongwoonHeoham23 күн бұрын

    책을 보면서하는 간접체험도 가능합니다. 엄청 많이 What이 표현됩니다. 이게뭐지. Who are You. Who am I. 너는 누구냐. 나는 누구냐. 엄청 많이 적었습니다.ㅎㅎ 많은 부분을 공감합니다.

  • @lovejamie314
    @lovejamie314Ай бұрын

    숫자를 셀때 백까지 세고 다시 하나부터 세는 것도 괜찮을까요? 천 넘어가면 걸음 폭이 더 빠를거 같아서요. 그것도 의미가 있을까요?

  • @daegizatv

    @daegizatv

    Ай бұрын

    물론 도움은 되겠지만, 되도록 점차 큰 수로 나아가 숫자에 친해질 것을 권유하셨어요^^

  • @shirae-sf5eb
    @shirae-sf5ebАй бұрын

    계속 여기서 처음 공개합니다..ㅋ

  • @nostalgia4041

    @nostalgia4041

    Ай бұрын

    그니까요 ㅋㅋ

  • @user-ok7lb4fo7c
    @user-ok7lb4fo7cАй бұрын

    결국 수능 1등급은 재능 입니다

  • @user-zh7dv4ht9o
    @user-zh7dv4ht9o5 күн бұрын

    한글 최고 빨리가르친다

  • @johnnavercom
    @johnnavercom25 күн бұрын

    피부에 닿은 정오의 햇빛은 뜨겁습니다 피부에 닿은 해질녁 햇빛은 차갑습니다 왜 그런지 궁금 합니다

  • @user-zz4zc5rz3s
    @user-zz4zc5rz3s17 күн бұрын

    뇌과학자가 아닙니다. 교양도서 쓰면 갑자기 전자공학 박사가 뇌과학자가 되나요?

  • @fartymal7831

    @fartymal7831

    15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 같습니다. 그런데 또 한편으론 뇌과학 전공 한 분들도 저분과 대동소이 한거 같습니다. 친구 한명이 의과대학 뇌 전공인데 한는 말 들어보면 별 차이 없는 거 같습니다. 물론 문외한 일반인으로서 느낀 것에 불과하지만. 그런 의미에서 저 분의 말씀도 무시해선 안될거 같습니다.

  • @tonylimberg8624
    @tonylimberg8624Ай бұрын

    결정론에 갇혀 계신 듯. 수로 표현할 수 없는 분야를 질로 뭉뚱그려 퉁치시는 느낌. 과학도 엄청 신념의 분야라는 것을 모르시네요. AI가 01 비트로 명작을 를 모사하지만 실제 인간 작품을 못만드는 것 보면 한계가 보이죠. 인간의 정신세계와 예술을 너무 자연과학과 숫자로 설명하시는 것 같습니다.

  • @universe1214

    @universe1214

    Ай бұрын

    다른영상보면 철학과 사회학, 물리학의 양자역학들을 연결해서 생각하는 내용들도 있어요^^ 이 콘텐츠의 콘셉인건가 싶네요

  • @user-ch6tu5vj8p

    @user-ch6tu5vj8p

    15 күн бұрын

    뉘앙스를 오해하신 것 같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