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버전] 일단, 무시하세요. 가부장적인 부모님에게 내 생각을 표현하는 올바른 방법 |

스타특강쇼 EP.45
스타특강쇼 (2013)
취업 준비생, 성공을 꿈꾸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특강. 신개념 특강 버라이어티 tvN 스타특강쇼!
《책 읽어 드립니다》, 《어쩌다 어른》제작진이 만든 대한민국 대표 지식 큐레이팅 채널 『사피엔스』
→ / 사피엔스스튜디오

Пікірлер: 1 700

  •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2 жыл бұрын

    신개념 특강 버라이어티 tvN 스타특강쇼! 더 많은 스타특강쇼는 👉kzread.info

  • @user-ts6ie3sn9o

    @user-ts6ie3sn9o

    2 жыл бұрын

  • @user-zj3bz8vq4r

    @user-zj3bz8vq4r

    2 жыл бұрын

    @@user-ts6ie3sn9o .ㅁ

  • @user-sv1jq5gv9n

    @user-sv1jq5gv9n

    2 жыл бұрын

  • @user-cc8xs8fo4m

    @user-cc8xs8fo4m

    2 жыл бұрын

    .

  • @user-vt3rr1kp9y

    @user-vt3rr1kp9y

    2 жыл бұрын

    ㅂㅂㅂㅂㅂㅂㅂㅂ777ㅣㅣ71ㅣ비비7ㅣ777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ㅣ

  • @yusellyong2339
    @yusellyong23393 жыл бұрын

    식당은 백종원님이 고치시고 반려견은 강형욱님이 고치시고 사람 행동은 오은영 박사님이 고쳐주십니다

  • @kosmos0206

    @kosmos0206

    3 жыл бұрын

    공감 백배👍

  • @user-il9nw1nm4c

    @user-il9nw1nm4c

    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짱이예요~!

  • @user-ru6zj1wy9d

    @user-ru6zj1wy9d

    3 жыл бұрын

    ㅎ맞는말씀!

  • @user-cb9gm4up2q

    @user-cb9gm4up2q

    3 жыл бұрын

    옳커니

  • @flower7023

    @flower7023

    3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다 존경스러운 분들^^

  • @tamareek
    @tamareek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기성세대 부모의 큰문제점은 자식을 소유물로 생각하고 그때 그때 본인 기분에 따라 대한다는 것이다. 다 큰 성인 자녀의 감정까지 간섭하고 통제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당신 자신들은 그걸 무조건적인 부모의 헌신적 사랑이라고 포장하신다. 자식들도 엄연히 사회에서 존중 받는 하나의 인격체인데, 상호적인 존중관계가 아닌 일방적 종속관계로서 자녀를 대하기에 대화단절, 소통불가,이해불충,애정결핍등이 가장 가까운 가족인데도 서로를 주위의 친구나 지인보다도 모르고 가정이라는 형식적 울타리 안에서 사는 동거인 형태로 전락 하는 것 같다. 가장 가까워야 하지만 너무 먼, 보면 짠하고 그래서 더 다가가기엔 마음 편치 않은 상대, 부모가 자식에게 사랑 하는 법을 제대로 소통하고 상대의감정을 존중하며 사랑하는법을 가르쳐 줘야 하는데 한 국의 가부장적 사고인 내 마음도 네마음이여 라는 그릇된 신념으로 어른들은 가족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고 알려주지 않는 데 자식이 먼저 사랑하는 법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너무 어려운 일이다. 왜냐면 상대방의 감정을 배려하지 않고 또 표현하지 않은 사랑은 그 사랑의 무게값을 상대방이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TheKillHeels

    @TheKillHeels

    3 жыл бұрын

    그걸 아내한테도 하는 초가부장적인 남편도 있습니다. 그런 자는 평생 홀로 외롭게 살아야 하는데 말이죠

  • @Crystal-nu8me

    @Crystal-nu8me

    3 жыл бұрын

    기성세대 부모들 보면 나르시시즘 성향들이 있음. 강압적인 가정안에서 자라면서 자존감이 낮아서인듯해요.

  • @user-im2fe2bg4r

    @user-im2fe2bg4r

    3 жыл бұрын

    자식은 부모를 얼마나 이해할까? 너무 젊은이들 중심의 강의다

  • @granmama3920

    @granmama3920

    3 жыл бұрын

    증말 그때 감정에따라 화냈다가 1초뒤에 과도하게 잘해줬다가 나는 원래 이런성격인걸 이딴소리만 안해도 원수취급은 안받았을텐데... 남은 손절하면 되지 감정 안받아준다고 독사 나르시스트 취급하면 뭐 어쩌란건지;

  • @user-eu7xh6xt5p

    @user-eu7xh6xt5p

    3 жыл бұрын

    @@user-im2fe2bg4r그 어떤세대도 부조리한걸 이해할려고하질않죠... 이걸단순히 젊은이들이 생각이라고생각하는 당신수준이 의심이갑니다

  • @jun4446
    @jun4446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나이든 사람은 안바뀜...후..그런사람은 아무리 좋게 말해도 공격으로 알아듣거든요. 무조건적인 순종만을 원함

  • @user-lb7lz9ux9g

    @user-lb7lz9ux9g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나는 더 대들어야 합니다. 나도 나이들어 더 굳어지기전에 변화 해야겠거든요.

  • @user-uo4yd2xw2t

    @user-uo4yd2xw2t

    2 жыл бұрын

    시부모님은무조건 순종하길 바라고 말도 못하게 한다.며느리 무시 아들만 지자식만 최고 편든다 열불나 시월드 지겹다 스트레스

  • @han624

    @han624

    2 жыл бұрын

    @@user-lb7lz9ux9g 훌륭하십니다~ 변화가 필요합니다 ^^

  • @cskim4745

    @cskim4745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손절하는게 답입니다.

  • @user-sr2ld5hr3y

    @user-sr2ld5hr3y

    2 жыл бұрын

    별볼일도 없으면서 지한테 순종하기를 원함 ㅋㅋ

  • @sassysassy7396
    @sassysassy73962 жыл бұрын

    20살 넘어 독립을 해야합니다. 그 집에 살면 영원히 자식이고 아이이고 말을 들어야 되는 사람잉 수 밖에 없어요. 식단 수건 양말 샴푸브랜드까지 본인이 선택하면 정말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자유롭고 편합니다

  • @Takingchances99
    @Takingchances993 жыл бұрын

    노인정가서 가르쳐야하는데 노인정에선 효도받는 컨텐츠만 원함.

  • @Gary_says_Maow_jedong

    @Gary_says_Maow_jedong

    3 жыл бұрын

    ㄹㅇ 공중파도 마찬가지임 며느라기 82년생 김지영 이런 콘텐츠 나왔다? 자기들이 겪었던일이라 부끄럽고 껄끄러워서 오히려 화냄 ㅋㅋㅋㅋ 그걸 순응하고 아 그렇구나.... 이해하려해야지

  • @user-dl1mo7fx9f

    @user-dl1mo7fx9f

    3 жыл бұрын

    존경받을 행동은 안 하구 대접만 받을려구~ 하는 부모들 보면 스트레스 받네유~ ~

  • @felicita8875

    @felicita8875

    3 жыл бұрын

    어후....그러게 말입니다 용심들만 그득하니 서로서로 자랑질만.... 우리딸이 머해줬네 사위가 머해줬네 ㅠㅠ 그러고 또 비교질들

  • @petalss5325

    @petalss5325

    3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시는 중에 죄송한데요... 여기 계신 분들 보니까 제가 성장하면서 봐온 어른들과는 좋은 의미로 정말 많이 다른 분들이셔서 괜히 제 마음에 위안이 됩니다ㅜㅜ 감사합니다ㅜ

  • @user-pk6rf7xy9x

    @user-pk6rf7xy9x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user-gl9mn1io6t
    @user-gl9mn1io6t3 жыл бұрын

    오은영 선생님께서 교육부장관을 하셔야 교육이 바로 설수 있습니다~ 이런분을 두고 왜 사람이 없다고 할까요~

  • @user-wq1jt8of5n

    @user-wq1jt8of5n

    3 жыл бұрын

    교육부장관 추천입니다~~짱

  • @kkkkk3367

    @kkkkk3367

    3 жыл бұрын

    근데 그쪽들어가면 오히려 그쪽 물들어서 망가집니다

  • @user-si3ux9di1p

    @user-si3ux9di1p

    3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 @user-ip8kn7pp8s

    @user-ip8kn7pp8s

    3 жыл бұрын

    @@user-wq1jt8of5n 교육부차관 안철수 추천

  • @user-zy1qz8wu7d

    @user-zy1qz8wu7d

    3 жыл бұрын

    .

  • @Everlight008
    @Everlight0083 жыл бұрын

    한국만큼 효사상을 바탕으로 자식을 노예처럼 특히 딸들을.. 그렇게 부리는 나라도 손에 꼽는다. 부모들 용돈 주고 여행보내드리고 .. 그게 사람노릇이라 주입시키다니..진짜 특이한 문화임. 자식을 낳았음 정성들여 키우는게 당연한거인데 그걸 딜하듯이 보상받으려 함 ㅋㅋㅋㅋㅋㅋㅋ 외국에 사는데 외국 부모님들 용돈이라도 드리거나 명품 같은거 선물 드리는건 오히려 황당해하고 불편해하심. 왜 이런걸?! 하면서… 해준것도 없이 말만 떵떵 거리면서 나 몰라라 애 키워놓고 나이들고는 다른 자식은 뭘 해줬네 뭘 사줬네 여행을 보내줬네 ㅋㅋㅋㅋㅋ 빵터지는 기괴한 사상임. 젊은 세대들은 효가 아니라 진짜 사랑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사랑이 베이스가 된 가족을 이루어 가기를 바란다.

  • @user-mb8xy2xt5j

    @user-mb8xy2xt5j

    Жыл бұрын

    효도하지마 그럼 효도는 하면 좋은 거지 자식된 잉간의 의무는 아니니까

  • @lovelyjhp7

    @lovelyjhp7

    Жыл бұрын

    딸한테만 하는게 아니라 키워주지도 않은 며느리에게까지 하니 딸은 친정시댁 2군데서 당함

  • @hyunjinSmallhealingtime

    @hyunjinSmallhealingtime

    Жыл бұрын

    @@lovelyjhp7 옮은말씀 이나라딸로 태어난게 죄

  • @caap2701

    @caap2701

    Жыл бұрын

    공감

  • @user-sd1be9jn2o

    @user-sd1be9jn2o

    Жыл бұрын

    독립

  • @moonlight-li4bf
    @moonlight-li4bf2 жыл бұрын

    가부장적인 아빠와 너가 아빠를 이해하고 참으라는 엄마 사이에서 자랐어요 사춘기때 진짜 미쳐버리는줄 알았습니다 아무도 내편은 없는것같았고 점점 부모에게 기대하는것도 없어지고 포기하게 됐어요 가족이란게 이런거라면 앞으로는 가족을 만들고 싶지않네요 지금은 외국으로 독립해서 살고있는데 확실히 집에 있었을때보다 숨이 트여요 이대로 안 만나고 사는것도 좋을것같아요

  • @bbuko6434
    @bbuko64343 жыл бұрын

    이런분이 나라의 교육계획을 맡아서 하셨으면,,,

  • @user-im8ed2ok4e

    @user-im8ed2ok4e

    3 жыл бұрын

    ㅣ471

  • @Orbit_Room

    @Orbit_Room

    3 жыл бұрын

    와 정말로 교육부장관 같은 거 시켜주면 다들 찬성할 듯

  • @user-iy3fu7nk1q

    @user-iy3fu7nk1q

    3 жыл бұрын

    열린눈을 갖고있는사람이 필요합니다

  • @hjtwoson

    @hjtwoson

    3 жыл бұрын

    맞아맞아 완전 찬성입니다~~ 쌤 진짜 응원하고 사랑합니다

  • @user-ir7ho2ep8t

    @user-ir7ho2ep8t

    3 жыл бұрын

    @@Orbit_Room 4

  • @simple4414
    @simple44143 жыл бұрын

    화면편집이 ADHD입니다;;; 잠시도 가만있지를 못하네요

  • @5gee88

    @5gee88

    2 жыл бұрын

    진짴ㅋㅋㅋㅋ저도 이말 하고싶엇어요

  • @MJMJMJMJM

    @MJMJMJMJM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너무 웃겨욬ㅋㅋㅋㅋㅋ

  • @sienna9206

    @sienna9206

    2 жыл бұрын

    팩폭ㅋㅋㅋㅋㅋ

  • @sienna9206

    @sienna9206

    2 жыл бұрын

    전 그래서 차마시면서 귀로 듣고있어요ㅜㅜ

  • @aa-sc9cm
    @aa-sc9cm3 жыл бұрын

    매번 쿠션어 깔면서 부모가 말을 알아듣는 인간이길 바라는것보다 연 끊는게 백만배 도움됩니다 사람 고쳐서 쓰는거 아닙니다.. 대화해서 이해를 해도 그부분만 이해를 하거나 아니면 나중에 까먹거나 둘중 하나예요 단지 부모라는 이유때문에 상처받거나 힘들어하지말고 걍 인연끊으세요.

  • @j.l1884
    @j.l18842 жыл бұрын

    엄마와의 관계때문에 너무 힘들어하던 와중에 이 영상을 보게되었다.우리엄마가 날 이렇게 잘 키워주시기도 했지만, 엄마의 젊은시절 미숙함으로 인한 상처도 많았다. 엄마의 예민함, 공격적인 표현들 때문에 워낙에 소심한 나는 내 마음을 표현할수없었다. 엄마말에 기분나빠서 한숨쉬든 문을 쾅 닫든 바로 소리지르며 쫓아와서 맞았으니까. 엄마는 기분나쁘고 화난다고 내게 소리치고 욕했지만 나는 조금이라도 짜증내면 바로 되로 받았다. 자식이 어디서 엄마한테 대들어. 엄마는 내게 통제하는것도 많았고 기대하는수준도 높았기에 난 늘 엄마를 만족시키기위해 살아왔다. 실제로 엄마가 기뻐하면 너무 좋았고 안심되었다. 결혼도 엄마가 원하지 않는 결혼은 생각도 하지 않았다. 지금남편도 엄마가 너무맘에들어했고 내가보기에도 괜찮았기에 결혼했는데, 결혼하자마자 엄마의 태도는 변했다. 남편 하나하나가 맘에안들기 시작했고 내게는 남편에대한 불만을 늘어놓았고 그러니 당연히 남편도 장모님이 불편해졌다. 결혼해서 집을 떠나면 이 관계가 편해질것같았는데 아니었다. 아이를 낳고 키우니 양육에있어서도 참견하기 시작했다. 물론 할머니고 내 엄마이니 하나도 참견하지 말라는건 아니다. 근데 어느순간 아이를 키우는걸로도 내가 속박받는 느낌이 들자 너무 숨이막히고 화가나서, 압력밥솥처럼 터져버렸다. 어릴적부터 쌓아온 그 감정의 상처들을 생각하다가도 왜 나는 이 사소한 말에 웃어넘기지못하고 그렇게 반응했을까. 내가 진짜 문제인건가 싶었다. 내가 다 잘한건 아닌거 아니 엄마한테 그냥 내 마음을 이해받고싶었다. 이 영상을 보고 내가 어떻게 말을 걸어야할지 감이 좀 잡히는것같다. 엄마가 먼저 내게 따뜻한 말 한마디 건내줬으면 너무너무 좋겠지만.. 그래도 가족이니까, 엄마니까, 이상태로 사는건 내가 너무 불편하니까...

  • @gggo2425

    @gggo2425

    Жыл бұрын

    모든것에 너무 많은 의미를 두는 사람은 스스로도 가족도 힘들게 만드는것같아요 엄마의 행동에 큰 의미두지마시고 너무 불편하면 거리를 두셔야할것같습니다 마음의 거리를.. 남편에게도 엄마를 두둔하지말고 남편편에서서 나도 엄마가 힘들고 싫다고 말해주는게 더 나은것같아요 가정을 이뤘으니 내남편이 우선이니까요 그렇지않으면 엄마의 부정적영향이 내자녀에게까지 내려온답니다 정말 중요한얘기에요 경험에서 나온...

  • @User-danahan
    @User-danahan3 жыл бұрын

    30:39 내의견을 말하는건데도 말대꾸한다고 혼내시는 가부장적인 부모님과 소통하는방법.

  • @user-np8dy1ij9d

    @user-np8dy1ij9d

    3 жыл бұрын

    우앙 이거 보려구 들어왔는데 감사합니당>

  • @user-ri3je9qr2v

    @user-ri3je9qr2v

    2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 @jian5627

    @jian5627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딱 이거임

  • @user-ez4me3sy8h

    @user-ez4me3sy8h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시도해도 "어~ 그렇구나~"라고 하시진 않을거 같아요. 시도를 이렇게 매번 하다보면 부모님도 내 아이가 이제 성인이란걸 느끼시는 계기가 될거 같아요. 그런후에는 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고 밀고나가는 모습이 있어야할것 같아요. (본인의 앞가림을 하는 모습은 갖추면서)

  • @steveyou354

    @steveyou354

    2 жыл бұрын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이 이 시점 부터네요. 고맙습니다

  • @sherlyc1978
    @sherlyc19783 жыл бұрын

    박사님 말씀 도중에 계속 울리는 무대 음향효과 너무 시끄럽네요. 이것부터 끄는게 좋을듯.

  • @user-zl7wm6yb8b
    @user-zl7wm6yb8b3 жыл бұрын

    ♧행복의 조건♧ 1. 편안한 마음 2. 원만한 인간관계

  • @nyangnyangroro004

    @nyangnyangroro004

    3 ай бұрын

    27:59

  • @stapa8250
    @stapa82502 жыл бұрын

    33:27 좋게 말하고 제 의견을 전달하려고 거진 10년을 노력했지만 결국 돌아온건 똑같은 멸시와 역겨운 가부장적인 찍어누르기 였습니다 결국 저는 집을 나갈 예정입니다 앞으로 부모라고 생각도 안하고 연도 끊을 생각 입니다. 욕설과 폭력에 지쳤고 아무것도 못하게 집안에만 가둬놓는 방식으로 친구도 제 꿈도 없어졌지만 천천히 다시 시작해보려 합니다 왠만하면 부모가 적당히 말귀를 알아듣지 않는 이상은 탈출하세요 안그러면 앞으로의 남은 인생도 철저하게 망가집니다

  • @fantazia57
    @fantazia57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진지충이라는 단어 너무나도 싫어합니다. 그 단어가 단연코 요즘 10-20대에서만 형용되는게 아니더라구요. 30-40대들도 그렇더라구요. (본인이 승인하지 않은) 남의생각은 듣고 싶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 @hefubfkdq

    @hefubfkdq

    2 жыл бұрын

    저도요.'~충'은 엄연한 혐오표현입니다 사소한 언어습관이 그 사람의 그릇을 보여주는 거울이라, 그런 혐오표현을 문제의식 없이 쓰는 사람은 가까이 두지 않습니다

  • @user-kl3gr5mw9q

    @user-kl3gr5mw9q

    2 жыл бұрын

    @@hefubfkdq 진지충 ㅋㅋ

  • @hefubfkdq

    @hefubfkdq

    2 жыл бұрын

    @@user-kl3gr5mw9q 바로 이런 사람

  • @popodream116

    @popodream116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가 되어야해요

  • @justdoit446
    @justdoit4462 жыл бұрын

    0:52 멍때려라 10:44 생각연습하기-왜 그럴까? 행복의 조건(마음편안, 대인관계 원만) 17:00 스펙을 쫓지말자 24:01 감정발달과 적절한 처리가 중요하다-정서발달이 잘되면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행복해진다 30:17 부모와의 감정, 결핍으로 힘든 사례(가부장적인 부모와의 관계-쿠션단어를 표현 후 생각을 말하는 연습하기-좋게 표현하기-ex)나는 좋은 사람이에요 나를 이렇게 키워주신 부모님께 감사해요 그런데 부모님께 상처받은 적도 있어서 마음이 아팠어요 그런적도 있다는 걸 말씀드려요) 34:03 공격성을 길러라-심신이 발달되면 공격성도 같이 발달됨(세상에 대한 단단함)

  • @ooraral

    @oorara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 @user-yp7nc2vo3z

    @user-yp7nc2vo3z

    Жыл бұрын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 @grasshopper0000

    @grasshopper0000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당~♡

  • @missprettie2165

    @missprettie2165

    Жыл бұрын

    @@user-yp7nc2vo3z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user-sx9os3in5v

    @user-sx9os3in5v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infi5879
    @infi58793 жыл бұрын

    진짜 가족상담 받고싶다. 초초가부장적이지만 가장의 의무는 다하지 않으려는 우리집 아빠이자 큰아들, 그런 큰아들 기분나쁘게 하지않으려 매일 눈치보면서 조심 하는게 일상이 되어 당연시된 엄마 그때문에 결국 몸의 병까지, 그런 둘 사이에 피할수도 없는 외동. 진짜.... 너무 숨막힌다 정말. 나이를 먹어도 먹어도 숨막히고 답답하기만 함.

  • @user-tj8hw1br6k

    @user-tj8hw1br6k

    3 жыл бұрын

    성인이시면 독립하세요

  • @infi5879

    @infi5879

    3 жыл бұрын

    독립.. 햇지만 결국 상황이 다시 이렇게 만들어졌네요. 의도하지않아도, 원치않아도, 삶의 흐름이 제 맘대로 흘러가진 않더라구요

  • @user-pi7bg4vh1e

    @user-pi7bg4vh1e

    3 жыл бұрын

    동생남편이 꼭 봣으면하네요 제 동생이랑 외동아들이 제부땜에 스트레스 엄청 받거든요ㅜ

  • @rocomoco9518

    @rocomoco9518

    3 жыл бұрын

    할아버지 돌아가시고 시골에 할머니 혼자 남았는데 자식 일곱인데 아무도 같이 살려고 안하는거 울엄마가 그래도 당신이 장남인데 이러면서 모시고왔어요..현관 양옆으로 방이 두갠데 할머니방,남동생방..아빠는 칼퇴인데 몇년을 같이 살아도 한번을 할머니 방문 열고 다녀왔습니다~어머니 오늘은 어떠세요 이런 안부 한번 묻는걸 못봤음...근데 나랑 남동생이 중고딩되고 사춘기 반항기 오면서 아빠와도 어릴때처럼 현관 달려가서 압빠아~이런거 안하고 시큰둥하니까 아버지가 오시면 현관앞에 나와서 인사도 하고 가방도 받아드리고 ㅎ해야지!!! 이러면서 훈계를 하는데 남동생이랑 동시에 코웃음쳤네요..몰라요 자기는 제대로 못하고 있는거...그러면서 자기는 대접받으려고 하지...보고 배우는데 있어야 하죠..포기하시고 본인 인생 사세요

  • @petalss5325

    @petalss5325

    3 жыл бұрын

    @@infi5879 ㅜㅜ꼭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저도 어쩌다가 독립했다가 본의 아니게 재결합(?)하게 되었는데요..... 음 현재는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별 노력을 다 해봤는데도 안 되더라구요ㅜㅜ 댓글 읽는 것만으로도 숨이 막힌데 오죽하시겠어요ㅠ 부디 꼭 벗어나시길 바랍니다ㅠ

  • @snjeguwon
    @snjeguwon3 жыл бұрын

    배경 음향이 너무 현란해서 강의에 방해가 되는듯요

  • @grit8162
    @grit81623 жыл бұрын

    언어 조절 + 감정 조절 + 욕구 조절이 떨어지는 사람과는 손절하고 싶어집니다. 정도가 지나치면 피곤합니다.

  • @user-wv9zb6mx9d

    @user-wv9zb6mx9d

    3 жыл бұрын

    수도승이거나 목사님 신부님 몇 명 빼곤 다 언어 감정 욕구 조절이 안되요. 그렇구나 우리는 다르구나 하고 사는거지요. 고쳐놓으려 하거나 비판하고 정죄하면 제 감정 제 언어 제 욕구조절에 문제가 생기더라고요.

  • @user-tl7iw1mx5b

    @user-tl7iw1mx5b

    3 жыл бұрын

    헐 자신은 완벽한 사람인가 사랑볼님 ㅋ 이런분이 쩝쩝 ㅠ

  • @SH-dy7rf

    @SH-dy7rf

    3 жыл бұрын

    @@park5178 그 사랑은 언젠가 식어오.그런 사람은 손절이 답입니다.

  • @grit8162

    @grit8162

    3 жыл бұрын

    @@user-tl7iw1mx5b인간관계가 수평적이며 존중감으로 맺어지면 지속적으로 상처를 주는 행위를 하지 않을꺼란 얘기입니다. 좋은 관계를 통한 행복감은 나쁜 관계 정리에서 시작된다고 합니다.

  • @user-kj4kh2lf1w

    @user-kj4kh2lf1w

    3 жыл бұрын

    울 신랑 ~시끄러~~이러는데..

  • @onand_on
    @onand_on2 жыл бұрын

    자식도 부모를 선택할 권리를 가졌으면 좋겠다. 부모 테스트 검사가 생겨서 자격이 있는 사람만 아이를 낳았으면 좋겠다.

  • @user-ti9yy2uh4s

    @user-ti9yy2uh4s

    Жыл бұрын

    부모도 자식을 선택할 권리를 가졌으면 좋겠다 ㆍ

  • @user-el8dq9go2l
    @user-el8dq9go2l3 жыл бұрын

    교육부 장관 강력추천합니다

  • @user-uw3tp2yh4c

    @user-uw3tp2yh4c

    3 жыл бұрын

    홧팅장관님으로 추천합니다

  • @mhc0915

    @mhc0915

    3 жыл бұрын

    저도 적극 추천 원합니다. 우리 모두 국민청원 합시다!!!!!.

  •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3 жыл бұрын

  • @user-wl7bh5ni5p

    @user-wl7bh5ni5p

    3 жыл бұрын

    @@user-uw3tp2yh4c ㅣㅣ

  • @user-og1mf7xv9t

    @user-og1mf7xv9t

    3 жыл бұрын

    훌륭한강의 좀듣게 내버려둬 안철수정치판끌여들여 아까운 인재하나잃지않았는가?

  • @com9096
    @com90963 жыл бұрын

    박사님의 강의 내용을가부장적이고 고지식한 40~50대 부모중 특히 아빠가 많이 듣고 변화 하려 노력해야 가족이 숨쉬고 웃으며 살 수 있을 거 같네요

  • @user-bz3uz5rm5v

    @user-bz3uz5rm5v

    3 жыл бұрын

    요즘 금쪽 프로그램 나와서 아빠들 많이 혼나고(?)가더군요. 적어도 그 아빠들은 이후로는 아이나 아이엄마에게 상처를 주지 않을테니 그걸로 위안...

  • @user-nu1xo9sc4n

    @user-nu1xo9sc4n

    3 жыл бұрын

    @@user-bz3uz5rm5v ,,

  • @user-oe1tb7yo1j

    @user-oe1tb7yo1j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그러면 참 좋겠지만 그런 아빠들은 듣지도 않을 뿐더러 들어도 본인얘긴 줄도 몰라요 그냥 내 내면이 어떻게 바뀌고 내가 어떻게 대처하는지가 제일 중요한거 같아요

  • @user-tu2lz7vo5v

    @user-tu2lz7vo5v

    3 жыл бұрын

    4

  • @infi5879

    @infi5879

    3 жыл бұрын

    진짜 ㄹㅇ요 저희 아빠도좀. 이런거 보면서 불편해하기만하고 자기연민만 하겠지만

  • @user-iq3jd4rp9r
    @user-iq3jd4rp9r3 жыл бұрын

    생각을 전달해도 생각을 이해하려고 하지 않아요. 본인들의 살아온 경험과 생활방식을 예로 들어 그렇게 살아가길 요구합니다. 세상이 이미 많이 변했다고 말을 해도 그냥 제 말은 틀린 말로 받아들이고 생각조차 하지 않는 부모와 조부를 보면 대화조차 하기 싫어집니다. 저도 그냥 대화해봤자 얻는 것도 없고 상처받는거 투성이다 보니 그 자리를 피하려고 합니다. 참 힘든 세대 인거 같아요.

  • @coconana1

    @coconana1

    2 жыл бұрын

    공감이요.. 오직 절대적순종을 원함. 그냥 앞뒤가 꽉막힘..

  • @user-td1vz1cm1k

    @user-td1vz1cm1k

    2 жыл бұрын

    손에칼쥔자가겸손해야합니다

  • @user-ev9ft4bg6x

    @user-ev9ft4bg6x

    2 жыл бұрын

    표현하는것자체가 중요하고 그들이 듣기에 좋게 부드러워야해요.. 그게어렵죠ㅠ연습하시고 부모님반응 무시하고 표현하라고 하네요 오은영쌤은..

  • @user-ph4fn3ee6t

    @user-ph4fn3ee6t

    2 жыл бұрын

    나이가드실수록 소통이 쉽지가 않네요.ㅠㅠ

  • @JJK-jv5gx
    @JJK-jv5gx2 жыл бұрын

    감동입니다 . 노부부로 사는사람입니다. 대화에 기본도 모르고 아이들키우면서 정신없이 살아왔네요. 그러다 손주들 돌보고 이제는 한가하려나 했는데. 덜렁 단둘이 남고보니 대화을한다고 하면 언성이 높아지고 그런게 아니라고 말하면 화를 버럭버럭 내는 남 편이 무서워지네요. 옛날분들 가부장적인 사고방식에 유교사상까지. 1년에 10번 제사 모셔가면서 살아온 인생 그저참으며 살았는데.. 기회가 되신다면 노부부들 상담소 도 만들어주세요. 황혼이혼이 많아지는 이유을 알겠어요. 절대복종 .토달지말고.남성우월주위로 살아온세대들 교육좀 시켜주세요.

  • @user-vl8qf5sw8j

    @user-vl8qf5sw8j

    Жыл бұрын

    힘드시겠어요 버럭화내는남편분이 원래겁이많으신겁니다 님이더강하게나가보세요 나이들어 두려울게뭡니까 살날보다갈날이가까운데요 분노조절못하는 모지리남편에게 더강하게대응하시고 그것이반복되면 남편도 함부로 버럭하지못할겁니다

  • @petalss5325
    @petalss53253 жыл бұрын

    26:22 자녀의 편식을 존중하고 무조건 야단치지 않을 뿐 아니라 보호해주는 부모의 예 28:00 감정발달이 잘 안 된 경우의 예시. 감정발달이란 감정을 세분화해서 느끼고 그에 맞게 제대로 처리할 줄 아는 것으로, 100% 후천적으로 획득 가능 31:38 가부장적인 부모와의 소통하기 위해서는 불편하고 싫은 감정을 좋게 표현하는 연습이 필요. 그리고 부모의 반응이 어떻든 반복. 이는 자녀의 감정을 해소한다는 차원에서도 중요. 35:29 공격성의 정의 35:56 공격성의 예시

  • @user-tz1dm1gx1d
    @user-tz1dm1gx1d3 жыл бұрын

    그 이유가 주인공인 인생을 살지 못해서 그런겁니다 삶에 주인이 아니라 어릴때부터 부모에 삶에 대리적인 삶을 살고 20대들어서 드디어 본인의 삶이랑 마주하죠 하지만 그때는 타인들과 살아가니 타인이 본인을 주인공으로 만들어주기 힘들죠 부모가 중요한이유가 자식에게 주인공을 넘겨줘야합니다 그래야지 자식이 본인의 인생을 책임지고 주인의식이 생길수 있는것이죠 자살률도 출산률도 지금 그런 비중이 커지고있는 겁니다 지금이라도 본인이라도 본인을 주인공이라도 대우해주세요 부모가 자식을 주인공으로 못만들어줬어도 본인이 그렇게 만들면됩니다 성공은 본인이 본인을 인정하고 대우하는겁니다 본인을 사랑하고 상대를 존중하는것이 성공인것이죠 본인의 인생은 본인이 주인공입니다 타인이 대우해주는것은 그것이 끝나면 공허해질 뿐이죠 사랑도 본인보다는 상대를 주인공으로 만들어주세요 그것부터 시작인겁니다 본인을 주인공으로 만들어줄 사람 그사람을 주인공으로 만들어 줄수있어야합니다 부모는 자식에게 주인공으로 반대로 자식은 부모를 주인공으로 만들어주세요 그리고 부모인생보다 자식인생이 더 주인공인겁니다 본인이 자식이라면 본인인생을 본인이 부모라면 자식을 주인공으로 만들어주세요

  • @user-fu5qr4dj2o

    @user-fu5qr4dj2o

    3 жыл бұрын

    어떤분이시기에 생각이 여기에 미치실까 마음에 큰 씨앗을 심습니다

  • @user-sy9yr6xp3b

    @user-sy9yr6xp3b

    3 жыл бұрын

    좋은 글이네요

  • @user-jd2jt6hb8i

    @user-jd2jt6hb8i

    3 жыл бұрын

    훌륭한글입니다 캡쳐했습니다 이글 보면서노력해보려구요 감사합니다

  • @user-dl1mo7fx9f

    @user-dl1mo7fx9f

    3 жыл бұрын

    넘 좋은 글입니다ㆍ❤ 👍 전 아들을 언제나 주인공으로 만들어 주는것은 가능합니다ㆍㅎ 그래서 잘하구 있구요ㆍ 상담하구 싶은것은 남편을 주인공으로 만들어 주구 싶은데ㆍ 그런 인격이 못되어 늘 실망을 하거든요ㆍ 항상 그런 그릇이 못되어서~ 누구에게도 말도 못하구~

  • @user-ib8wi8nh5g

    @user-ib8wi8nh5g

    2 жыл бұрын

    @@user-dl1mo7fx9f 저도 아들은 주인공 만들어주고 소통이 되는데 남편은 왜 안되는지!! 배려해주고 이해해주면 당연한걸로 받아들이니 욱해지게 되네요ㅋ

  • @user-cm6qc5zp4n
    @user-cm6qc5zp4n3 жыл бұрын

    자식이 소통하려고 노력하는것 만큼 부모도 노력해야할듯

  • @user-rz6sj6qt1i

    @user-rz6sj6qt1i

    3 жыл бұрын

    부ㆍ모거든요 노력할게요~~ㅎ 자녀여러분들 미안해요~부모도 노력해야 히는거 맞아요~~ 서로 사랑하며ㆍ이해하며ㆍ용서하며ㆍ 더욱뜨겁게 사랑하며 힘든세상에서 보듬으며 삽시다~~하나님의 사랑으로 더 넓은 마음으로ㆍ가족이 힘입니다ㆍ 세상 살아갈 힘 얻으며 맘 편하게 살아갑시다~~~~

  • @user-om7zb1cu3g

    @user-om7zb1cu3g

    3 жыл бұрын

    @@user-rz6sj6qt1i ㅅㅅ. ㅅㅅ ㅅ ㅠ 풀프레임 ㅠ;ㅠㅠㅠㅠ. 수신 차ㅠㅠ단 ㅍ

  • @user-rk8uo5db3z

    @user-rk8uo5db3z

    3 жыл бұрын

    ¹1¹¹1¹

  • @user-bh5cb3vf9z

    @user-bh5cb3vf9z

    3 жыл бұрын

    @@user-rz6sj6qt1i ㄲㄷㄲㄴㄱㄴㅋㄹㄱㅌㄱㄷㄴㅋㄷㅋㅌㄱㄸㄱㄷㄱㄷㄱㄷㄱㄷㄱㄷㄱㄷㄱㄷㄱㄷㄱㄷㄱㄷㄱㄷㄱㄴㄷㄱㄷㄱㄹㄷㅋㄷㄱㄷㄱㄷㄴㄷㄱㄴㄱㄷㄴㄷㄱㄴㄷㄲㅌㄱㅌㄱㄴㄱㄷㄱㄷㄱㄷㅋㅌㄱㄷㅋㄷㄴㄱㅌㅋㄷㄴㄱㄷㄱㄷㄱㅌㄱㄴㄱㄷㄹㄷㄱㄷㅂㄷㄱㅂㄷㄹㄱㄷㄱㅌㄱㄴㄱㄷㄹㄷㅋㄷㄹㄱㄷㄴㄱㄷㄴㅂㄱㄷㄴㅂㄱㄷㅂㄴㄷㄱㄴㅂㄷㅂㄷㄴㄱㅌㅍㄸㄱㄷㅂㄱㅂㅌㄹㄱㄷㄴㄷㅂㅋㄷㄱㄷㄴㅂㄷㄱㅂㄷㄱㄷㄴㄱㄷㄴㅂㄱㅌㄹㅂㄷㄴ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ㅂㄷㄴㅂㄱ.ㅚㅣㅣㅣㅣㅣㅋㅂㅂㅂㅂㅂㅂㅂㅍㅂㅂㅃㅍㅂㅃㄱㅍㅍㅂㅍㅍㅃㅃㅂㅍㅂㅂㅍㅂㅍㅂㅂㅂㅂㅂㅂㅂㅂㅍㅍㅂㅃㅂㄱㅂㄱㅃㅃㅃㄱㅂㄱㅂㄱ 4이날왔다ㄷ3 가 오늘 다시

  • @user-ju4mo4mi5j

    @user-ju4mo4mi5j

    3 жыл бұрын

    )

  • @noellep.9639
    @noellep.96392 жыл бұрын

    훌륭한 200점 강의에 알맞지 않은 산만한 편집이 유일한 오점이네요.

  • @ekmom99

    @ekmom99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보는 내내 너무 답답했네요 왜 이렇게 편집을 한건지

  • @ara_now

    @ara_now

    2 жыл бұрын

    편집자님도 보시면서 너무 공감돼서 평소보다 더 열심히 일하셨나봐요ㅎㅎ

  • @whiteangel151

    @whiteangel151

    2 жыл бұрын

    와...정말요~그냥 들어도 귀에 쏙쏙 들어오게 강의해주시는데 너무 산만한 자막과 소리, 그림까지~~오히려 집중을 못하게 해요.

  • @user-yb2qu9yg4j

    @user-yb2qu9yg4j

    2 жыл бұрын

    왠 효과음을 이렇게 넣었는지... 현대인들은 조용한거를 못견딘다고 말씀 하시는데... 이런걸 두고 하는 말인듯

  • @nandajeong6206

    @nandajeong6206

    2 жыл бұрын

    사운드 너무 거슬리네요.

  • @00mupyo56
    @00mupyo563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좀 더 인간답게 살아가는 과정 정말 맘에 와 닿는 말이예요. 다른 선생님들이나 유명인들 말 들어보면 잠은 죽어서 자야하니 쉴 새 없이 행동하고 일하는게 당연하며 지인,친구에게 놀자는 연락이 오는 건 자기 시간이 무가치해져서 연락하기 쉬운 사람이 된 것이다 하는 정말 빈틈없는 생활을 추구하는 말들이 많았는데 그게 다 스펙위주의 사고관에서 온 것이었고 그래서 그 사고관이 좀 불편했나봐요. 그런 영상보곤 내 시간의 무가치가 그런식(스펙위주)으로 판가름 나는 거고 사람과의 관계가 그런식으로 저울질 되어야 하는 것인가. 이런 생각하는 내가 순진한 건가 했는데 오은영 선생님 말씀 들어보니 보는 가치관이 다른거였네요.

  • @SUN-nu6lj
    @SUN-nu6lj3 жыл бұрын

    교육부 장관은 오은영샘이 하셔야 대한민국 미래가 있을 듯 합니다

  • @user-pb6nv9kk7p
    @user-pb6nv9kk7p3 жыл бұрын

    요즘은 멍때리는 시간이 필요하다 공감..

  • @Roo_Rang
    @Roo_Rang2 жыл бұрын

    와...카메라가 너무 정신이 없어서 눈이 피곤해질정도에요;; 음악프로인줄.. 오은영선생님 강의는 너무 좋습니다💜

  • @myokim7219
    @myokim72193 жыл бұрын

    감정발달은 후천적이라는 말에 울컥 했네요. 전에 부모를 미워해도 괜찮다는 말에도 울컥 했었는데.

  • @BB-df9wt

    @BB-df9wt

    2 жыл бұрын

    부모도 부모가 처음이라.. 완전할 수 없습니다. 그런 사람들을.. 그냥 이해하고 용서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본인은 영향에서 벗어나셔야 해요.

  • @StarlightOasis

    @StarlightOasis

    2 жыл бұрын

    왜 맨날 상처받은 아이들에게 이해와 용서의 무게를 지우나요. 부모에게 완벽함을 요구하는 아이는 없습니다. 그러나 자식에게 완벽함을 요구하는 부모님은 참 많네요.

  • @user-ej1tu3qs5b

    @user-ej1tu3qs5b

    2 жыл бұрын

    @@BB-df9wt 부모도 부모가 처음이라는 말 좀 그만하면 안되냐 그건그냥 자기합리화자나 그럼 첫째키워봤으면 둘째한텐잘해야지 더 못하냐 그냥 노오력이 없는거지 너네가말하는 노오력 자식한테공부하라고노력해라 하지말고 본인들이부모교육좀받고 노력해라 그럼 자식은 자식이 두번째냐

  • @selfloving

    @selfloving

    2 жыл бұрын

    @@BB-df9wt 부모가 처음이라 노력하기 싫으시다면 아이를 갖질 말아야죠

  • @hera1944
    @hera1944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감정발달을 할 수 있다는 얘기에 전 울컥해버렸습니다. 희망을 본 것 같아서요 ㅜㅜ

  • @bodyno370
    @bodyno3703 жыл бұрын

    50을 바라보는 내 나이 초초초 가부장적인 아버지 식구들 부양하느라 밖에서 힘들게 일하고 오시면 밖에서 일은 밖에서 푸셔야지 집안으로 들어와서 식구들에게 화풀이를 하고 본인 기분대로 대한다는 거다. 집에 tv는 한대밖에 없었고 리모컨은 항상 당신 손에 쥐어있었다. 보고 싶은 프로도 못봤었다. 아침 저녁으로 얼굴 마주보고 식사를 하면 항상 혼자서 목청 높여서 상대방 험담만 늘어놓으셨다. 정말 그 자리가 나는 너무나 불편했고 어느 순간엔 자살하고 싶어지더라. 나6살 때 아빠가 나를 가죽띠로 때리고 소리 질렀었다. 그저 백원만 달라고 한거 였었다. 내가 보는 앞에서도 엄마한테 막 소리 지르고 tv도 집어던졌었다. 사춘기 시절엔 이런 아버지와 마찰도 자주 빚었다. 얼마전 아버지가 많이 안좋다고 하셔서 부랴부랴 친정에 갔었는데 아버지 하시는 말씀이 정말 가관이였다. 정말 당신 잘못은 1도 인정하지 않고 항상 변명에 남 탓만 하시더라. 엄마가 80평생을 세상물정 모르고 집안에서 살림만하고 사이비 종교에 빠져 산게 누구 탓인데.. 못해도 아빠책임은 7할이다. 나 또한 얼마전에 그 사이비 종교에서 빠져나왔다. 엄마가 뭐 하실려고 하면 당신은 어떻게 나왔던가? 아빤 왜 이렇게 자기 잘못에 대해선 반성조차 하지 않으신 건가? 그래 이런 아버지 얼마나 더 살겠어 그래 인간적으론 연민은 가지만, 소통도 이해도 대화도 차단된 사람과 가족이란 이름으로 30년 넘게 살았었다. 내가 왜 이런 사람 때문에 나만 상처를 받아야만 하는 거지? 정말 억울해.

  • @user-cm9pk5xz2f

    @user-cm9pk5xz2f

    3 жыл бұрын

    저도 동감입니다 정말 안변하시는 아버지 당신밖에 모르는 아버지 넘 힘이 듭니다 저도 50대

  • @user-wh3oe3ep2h
    @user-wh3oe3ep2h Жыл бұрын

    11:00 행복의 조건 1 마음이 편해야한다 2 대인관계가 원만하다. 업적이나 부귀영화 재산이 아니다. Q. 친지 친구 가족? 나의 내면을 보라. 난 누구이고 나에게 중요한 것 피하고 싶은 것?? 주변을 돌아보라. 자기를 이해하라. 나의 결핍은 무엇인가. 30:45 부모와의 정서적 관계는 어떻했는가. 33:25 무시해라 35:10 좌절과 절망이 많은 청춘들이여, 새로운 삶을 창조하라 aggressive 하게 38:25 너무 지나치게 위축되거나 예민하진 않은지? 운동하라

  • @user-wo9nk6qb1t
    @user-wo9nk6qb1t3 жыл бұрын

    자막.효과음 너무 과해요. 조용히 집중해서 듣고싶은데 방해되네요.

  • @user-tu1ur4pi9j
    @user-tu1ur4pi9j2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의를 무료로 들을수 있다는게 감사할 따름입니다.

  • @euniceyousuncho1388
    @euniceyousuncho13883 жыл бұрын

    역시 오은영 박사이세요. 👍이시대에 태어나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xo1lx3sd4t

    @user-xo1lx3sd4t

    3 жыл бұрын

    ㅌ ㄷ스스ㅡㅡㄹ 난 ㅎ

  • @user-xo1lx3sd4t

    @user-xo1lx3sd4t

    3 жыл бұрын

    ㅉㄷ

  • @inima_art

    @inima_art

    2 жыл бұрын

    다음에도 후대를 위해 다시 태어나주세요♡

  • @doyeon9979
    @doyeon99793 жыл бұрын

    강의내용은 너무 좋은데.. 배경음악들과..소음이 깔려서.. 본질적 내용과 상반된 분위기를 만듭니다. 뇌를 조절못하게..혼란스런 잡음이 아쉬워요

  • @user-yn2mj3zr5m
    @user-yn2mj3zr5m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말해도 달라지는 건 없으니 나는 그런 사람이 되지 말아야지 생각하려고요. 그럼 내 다음은 아니어도 언젠가 바뀌어서 누군가는 사랑받고 존중받는 세상에 살겠죠.

  • @ohez__
    @ohez__3 жыл бұрын

    화면시점을 좀 가만히 두고 효과음을 빼주세요..... 강의는 너무 좋은데 ㅠㅠ

  • @jooyounghwang3606
    @jooyounghwang36063 жыл бұрын

    카메라맨은 화면컷을 왜이리 정신업이 돌리는지.. 강의에 집중이 안될정도임. ㅡ.ㅡ

  • @user-pq3zw6jd7n

    @user-pq3zw6jd7n

    3 жыл бұрын

    저두요

  • @user-qq1ur8ng3r

    @user-qq1ur8ng3r

    3 жыл бұрын

    편집자가 산만한 성격 같으네요

  • @user-cm5rb9zc2s

    @user-cm5rb9zc2s

    2 жыл бұрын

    편집자가..... 자질이 없는것같아요

  • @user-st5zv3zz8k
    @user-st5zv3zz8k3 жыл бұрын

    오은영 선생님 그저 선생님의 밝은 표정과 웃는모습만봐도 힐링이됩니다 도움되는 말씀 정말 감사드립니다 선생님 완전 찐 팬입니다

  • @user-gj3jb1ug1y

    @user-gj3jb1ug1y

    Жыл бұрын

    3

  • @kimckim
    @kimckim3 жыл бұрын

    내나이 60인데 울엄마는 30때부터 매번보면 인상 찌프리고 아프다는게 인사 나도 60에 노인병으로 아쁜데 울엄마는 시집살이에 한이 많아 큰딸인 나한에 듣기싫은 말만하니 대화 하길싫다.

  • @user-dl1mo7fx9f

    @user-dl1mo7fx9f

    3 жыл бұрын

    ㅎㅎ~ You 의 얘기를듣고 보니~ 저도 시어머니 땜시 지금도 트라우마가 계속 지속 되는걸 늘 해결 해보려구 아직도 고민하는 사람중에 한사람입니다ㆍ^^

  • @ekingp.3015

    @ekingp.3015

    3 жыл бұрын

    다독다독 약간의 어머님과의 거리를 두는 시간과 공간을 갖으시면 좋겠네요. 저도 충분히 이해됩니다....

  • @user-dl1mo7fx9f

    @user-dl1mo7fx9f

    3 жыл бұрын

    가장 편한 따님에게 힘들었던 과정을 하소연하며 풀려구 그러는겁니다ㆍ 따님의 심정이 이해가 되긴하지만 you의 어머님은 한을 풀기 위해 하시는 것이니 따님이 많이 들어주시면 고마워 할듯해요ㆍㅎ~❤ 나두 시어머니로 부터 겪은 고통이 평생 정신병을 앓을 정도의 트라우마가 있습니다ㆍ지금도 생각해보면 자살하구 싶을정도로 억울하구 분하구~ 순진한 새댁 때 당한거 생각하면 ᆢ남편이 보호막이 전혀 안되주어서 억울하다 생각했지요ㆍ 근데 남편 또한 맏아들로서 동생들의 노예처럼 살아와서 피해자일수 있겠죠ㆍ어찌보면 남편은 나를 통해 바람막이라구 해야하나~ 중간에서 자신은 엄청 착한 사람으로 인정받는 내가 도구의 역할이라구 해야 설명이 가능하다구 해야 될까~ 암튼 시집식구말만 해도 소화가 안되네요ㆍ

  • @user-eq8qh6zl1i

    @user-eq8qh6zl1i

    3 жыл бұрын

    엄마와의 거리도필요할듯. 저도그래요. 자꾸엄마옛날이야기들어주는것도 한계가오는것같네요

  • @kimckim

    @kimckim

    3 жыл бұрын

    @@ekingp.3015 조언 감사합니다.

  • @moonahn8743
    @moonahn87432 жыл бұрын

    넘나 맞는 말씀이신데 전 부모님을 포기했어요. 그때 상처받았어요 그냥 말하는거예요 라고 해봤지만 ㅎㅎ 그런거 맘에 두고두고 사는 나쁜년만 되엇답니다. 제 나이 40대 ㅋㅋ 사람 안바뀝니다

  • @selfloving

    @selfloving

    2 жыл бұрын

    부모들이 원해서 낳은 자식 자식 대접 제대로 못 받으셨는데 부모 대접 받아야할 이유 있나요 오히려 자업자득인데요? 나쁜년 아니고 좋은분이예요😊

  • @user-ze7dk3zj3q
    @user-ze7dk3zj3q3 жыл бұрын

    인간이행복하려면 1, 마음이 평안, 나의내면을 느껴보고 나를 받아 드려야한다, 내가 누구인지 생각하는 연습을 해야한다, 다른측면을 볼수있어야 2, 인간관계가 좋은것,

  • @_bloominglife4566
    @_bloominglife45663 жыл бұрын

    마음이 편안해야 행복하다~ 정서가 발달하면 대인관계 원만하다 그래서 행복하다~ 공격성 발달-세상의 자극에 버티는 힘은 인간관계의 기본. 자신감+긍정

  • @mingeonkim9793
    @mingeonkim97933 жыл бұрын

    내일이 아닌데 왜 하냐? 라고 묻는 요즘 사람들 이유 .취직이나 나에게 실질적으로 도움 안되는 일이 언젠가 도움이 되겠지 좋은 마음으로 시작 결과 1,회사편 -> 다른일을 못하게 되었을 때 책임감 없는 사람 혹은 능력이 부족해서 다 못한 사람으로 비춰짐 -> 잘 해내어도 당연한 일 한 사람으로 봄 ->하다가 실수하면 욕먹음 -> 다음에도 당연히 내가 해야할 일이라 생각함 -> 점점 스트레스 받고 평정심 깨지고 일은 많아 지고 부족한 사람같고 내가 바보같고 진짜 필요한일 아니면 차라리 안하고 맘편하게 휴일에 힐링해야 하루하루 버텨갈 힘을 얻음. 2.대학생편 -> 좋은 뜻으로 봉사활동하고 나에게 아무런 도움 안되지만 뿌듯한 마음으로 많이 참여함 -> 나중에 시간 지나서 부모님이 하시는 曰: 왜 그런데 쓸데없이 시간 보내냐 결과가 없잖아 결과가!!! 결국은 결과론 적인 세상인데 라고 들음 -> 자격증이나 따지 이소리 듣고 열심히 안한사람이라 생각함에 상처받음(누군가는 도와야 하잖아요,,,,ㅠㅠ) -> 사람들에게 바보 소리 들음(지금 너나이에 취업이 제일 중요한데 이런거 한다고 취업되냐??) -> 취업 못하면 삶의 암덩어리됨 (다들 아니라고 하지만 현실에선 사실임,,,,,,,,,,,,) ->받아 드리기에는 정신적으로 너무 힘듬.

  • @PoloML
    @PoloML2 жыл бұрын

    진짜 유명인들 중에서 존경하는 사람 별로 없는데 오박사님은 유일하게 너무 존경함 멋있어용!

  • @jundolee0
    @jundolee03 жыл бұрын

    모국어에 충실하자고 하는 분 처음 봅니다. 현자이십니다.

  • @user-fo9jc2im5h

    @user-fo9jc2im5h

    3 жыл бұрын

    감동해서.마음이 울컥합니다 .오은영 선생님 감사합니다

  • @user-ei3zo6fk2x
    @user-ei3zo6fk2x3 жыл бұрын

    교육부장관 우리가 만들어봐요

  • @user-yh3rq2rz2i

    @user-yh3rq2rz2i

    3 жыл бұрын

    공감

  • @yunmilee722

    @yunmilee722

    2 жыл бұрын

    옳소 👏🏻👏🏻👏🏻👏🏻

  • @user-qb3dq6kb7f
    @user-qb3dq6kb7f3 жыл бұрын

    엄마! 저는 좋은사람같아요. 저를 이렇게 좋은사람으로 키워주신거에 마음으로 감사드려요. 제가 부모님의 사랑을 모르는건 아니에요. 하지만 저 잘되라고 하신 말씀중에는 상처된것이 있어서 마음이 아팠었어요. 그냥 갑자기 말씀드리고 싶은거에요. 제가 이랬다는것을요! 대화로는 못할거 같고, 카톡으로 보내면.. 뭐가 상처였는데? 갑자기 이런말을해? 라고 답이 올거 같은 기분 ^^;;;;;

  • @AprilJ510

    @AprilJ510

    3 жыл бұрын

    이쁜 마음 ^^ 눈물나네요

  • @user-fz4li5lu7r

    @user-fz4li5lu7r

    2 жыл бұрын

    엄마의 마음으로ᆢ 넘 예쁘네요 꼭 안아주고 싶을 정도로 참 잘 컷을거 같아요

  • @user-sc6yf3np6q
    @user-sc6yf3np6q Жыл бұрын

    와 방송한지 10년이 다 되어가는데 세상이 똑같네..정말 공감되고 유익한 강의에요

  • @0000007n
    @0000007n3 жыл бұрын

    젊은이의 피해의식은요 부모님이 살아온 모습으로 살기 싫어서입니다. 젊은이의 모습은 구 세대의 반영입니다.

  • @user-mq6we9ff2c
    @user-mq6we9ff2c3 жыл бұрын

    효과음이 매우 시끄럽고 방해가 됩니다 효과음이 몹시 거슬립니다 없애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ー。ー#)

  • @Yuans010
    @Yuans010 Жыл бұрын

    전 걍 포기하고 도망쳐 나오듯 독립해서 연락 안합니다 ㅋ... 남보다 못한 가족 죽으면 슬프겠지만 미련은 없네요

  • @en202
    @en202 Жыл бұрын

    미성년자도 성장하고 있는 하나의 인격체인데 사람 대접 안해주는 어른이 자주 보여요.. 성장에 방해되는 약물과 자극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거지, 어른의 무조건적인 통제가 필요한게 아닌데 말이에요. 모르는걸 알려주는 것은 좋지만 답답하다고 강제로 시키지 말아주세요.. 소리지르고 부정적인 감정을 쏟거나 심지어는 때리고 욕하는게 바로 어린이들의 성장에 문제를 가져오는 자극이에요. 아이들을 친절하고 소중하게 대해주세요.. 잘못된 어른들의 횡포에 고통받는 어린이, 청소년이 많아요. 미성년자 인권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mjyeom4092
    @mjyeom40923 жыл бұрын

    강의 중간중간에 효과음들이 너무 거슬려요..... 최악의 편집이라고 생각합니다

  • @jizheng1224

    @jizheng1224

    2 жыл бұрын

    카메라도 자꾸 움직이고 비틀어서 어지러워요.... ㅠㅠ

  • @anniej8849

    @anniej8849

    2 жыл бұрын

    이 강의 내용을 안들어서 그래요 서두에서 시끄러움과 산만함을 피하라고 이야기 해주는데도.. 저도 보는 내내 참 모순적이다 싶었어요 요약정리 음악도 세상 정신산만

  • @user-mw4no7fk6o

    @user-mw4no7fk6o

    2 жыл бұрын

    이댓글보고 보니까 효과음밖에 안들려요..

  • @tjdbs53
    @tjdbs53 Жыл бұрын

    ❤️조절기능을 활용하자.(언어, 감정, 욕구) ❤️하루 한 번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자.(샤워할 때) ❤️감정을 세분화해서 정확하게 표현하자. ❤️부모님과의 관계: 일단 부모님의 반응을 무시하고 흥분하지 않은 상태로 할 말을 좋게 표현하자.(연습을 많이 해봐야한다.) ❤️자신을 이해하고 다독이는 연습을 해보자 ❤️건강한 공격성 발달을 위해서 운동을 하자

  • @rosesty718
    @rosesty718 Жыл бұрын

    꼭 교육부장관을 하셔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을 이끌 재목이십니다.

  • @user-tf1nv6em4y
    @user-tf1nv6em4y Жыл бұрын

    이분 우리나라 교육을 맡아으면 좋겠습니다

  • @aap13
    @aap133 жыл бұрын

    세상은 지식과 인성은 별개 라는사실이 슬퍼요.

  • @user-de2jf8co9f
    @user-de2jf8co9f3 жыл бұрын

    우리엄마가 봐야하는데 에휴 나이27에도 상처받고 사는 내인생..

  • @user-gg2so7rj2x

    @user-gg2so7rj2x

    3 жыл бұрын

    에궁 넘 귀요미 답변을 쓰셨네요👍 저도 새벽같이 매일 일어나서 직장 나가는 아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퇴근 하면 쓰담쓰담 해줘야겠네요

  • @Ddolddole39

    @Ddolddole39

    3 жыл бұрын

    힘드시겠네요 .. 39에도 상처받고, 나아질 기미가 안보이네요.. 그저 내 자녀에겐 그런부모가 되지않게 노력하는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ㅠㅠ

  • @user-vd3zl6el3m

    @user-vd3zl6el3m

    3 жыл бұрын

    그 나이를 지나니 엄마를 이해하게되고 그걸 이해하는 나를 또 이해하게 되요 그렇게 성숙해가는거죠 힘내세요 원망도 미움도 그 과정을 겪고 고된 시간을 보내고나니 그제서야 이해라는걸 제대로 하게 되는거죠 그러니 안쓰럽고 애닳프고 한거겠죠 시야도 더 넓어지구요

  • @user-yc7qw4lk6u

    @user-yc7qw4lk6u

    3 жыл бұрын

    내 나이 반백이 넘어도 여전히 부모님때문에 괴로워요

  • @user-df9oe4cz7z

    @user-df9oe4cz7z

    3 жыл бұрын

    @@Ddolddole39 너무 공감됩니다 너무너무요 저도 그것밖엔 할수없다고 느낍니다

  • @ndiary1
    @ndiary13 жыл бұрын

    스타가 따로있나 이런 분이 스타지~~~☆☆☆☆☆☆☆

  • @user-pm5bq5eu2s
    @user-pm5bq5eu2s3 жыл бұрын

    부모님 말씀에 상처받아서 앓아누웠는데 무시하라는 말이 위로네요. 무시하고 표현하겠습니다 감사해요~^^

  • @user-sy5rc2fe2c
    @user-sy5rc2fe2c3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은 어쩜 저렇게 지혜로우실까 세삼 감동 입니다 60이 넘었지만 정말 많이 배웁니다 우리집 아저씨 너무 가부장적이고 옛날사람 여지껏 같이 살아온 날들이지만 참고 또 참지요

  • @user-jc8qi6fg3k
    @user-jc8qi6fg3k3 жыл бұрын

    화면 편집이 왜케 부산스럽고 산만할까

  • @user-so8ll7do9k

    @user-so8ll7do9k

    2 жыл бұрын

    예능핫셧던분인듯

  • @user-nd7xt6gt1v

    @user-nd7xt6gt1v

    2 жыл бұрын

    하하 편집자 돈 받은 값 하는검니다 ㅋ

  • @user-kf3ws4pc7n

    @user-kf3ws4pc7n

    2 жыл бұрын

    주변에 온통 산이 가득한 곳이 스튜디오라 그런가 ?

  • @user_x7vyshwcz

    @user_x7vyshwcz

    2 жыл бұрын

    ㄹㅇ 카메라무빙이 무슨 뮤직뱅크st

  • @wankim4345

    @wankim4345

    2 жыл бұрын

    아니 잘 보고있었는데 이거보고 죽겄네 ㅋㅋ

  • @la-qu1ql
    @la-qu1ql2 жыл бұрын

    부모님이 자식을 위해 하는 훈육은 부모로서 미성숙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다만 낳아놓고 부모자신이 자식을 물심 양면으로 이용하고 차별하고 외모를 비하 하는 등 모진 아픔을 겪게하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번 목숨이 위태로울때 살려내고 고집스럽게 지키면서 병을 유발하는 열악한 집에서 슬기롭게 이사를 좋은 곳으로 시키고... 은혜로 갚았건만 아들 주려고 재산포기 각서 쓰라면서 아픈 몸 수발은 딸에게 전적으로 맡기겠다는 부모, 어찌 생각하세요? 너무 천대받고 커서 돌아보면 눈물이 나는 내가 너무 불쌍해요 아무말도 못했어요 다만 아프다고 하면서 발을 끊었어요. 유일한 반항이겠죠 그나마 시원해요 계속 혹사당한다면 억울해서 병날 것 같아요

  • @user-zy4zp8rl4r
    @user-zy4zp8rl4r3 жыл бұрын

    이런 훌륭한 명강의에는 훌륭한 댓글들도 꽤 있다. 그것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 @dibbidi
    @dibbidi3 жыл бұрын

    너무 힘들었는데 박사님 강의듣고 앞으로 어떤 노력을 해야할지 방향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그리고 존경합니다 지식과 따뜻함을 다 갖춘 진정한 스승이시네요

  • @user-cw5iy5yv2c

    @user-cw5iy5yv2c

    2 жыл бұрын

    잠시는 행할수있으나 공격당하면 못참죠.우울해지죠ㅡ같이 싸우면지니까 참지요ㅡㅠ

  • @user-ej6es3be3h

    @user-ej6es3be3h

    2 жыл бұрын

    힘내요... 토닥토닥...

  • @veryberry2843
    @veryberry28433 жыл бұрын

    박사님도 강연도 내용도 너무 좋은데 카메라...진짜 왜이렇게 많이 움직이세요 ㅠㅠㅠ 무슨 블록버스터 액션씬 보는 것 같아요

  • @user-jf4ik8jy1s

    @user-jf4ik8jy1s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편집하시는분도 이강의를 내면깊게 들으셔야겠어요.. 2초마다 화면이 움직이는군요.. 너무 정신없어요 ㅠㅠ

  • @user-jy3yf9wc8j
    @user-jy3yf9wc8j3 жыл бұрын

    오은영 교수님 강의하면 머리속에 속속 들어온다 정말 강의 끝내준다 💕💕💕💕💕💕💕💕

  • @user-xu3ts7ew7e
    @user-xu3ts7ew7e2 жыл бұрын

    온통 부모님을 이해하라는 말 뿐인데 부모님께 이런식으로 말을 해라 라고 말씀해주시니 진정한 정신과 의사십니다 내 상처와 현재 해결되지 않는 갈등을 이야기하며 주변인들에게 조언을 구하면 돌아오는 말들은 부모님을 대변하는 말들뿐이어서 참 답답했었거든요

  • @user-wv9zb6mx9d
    @user-wv9zb6mx9d3 жыл бұрын

    막간 음악이 거슬려요. 생각해야한다 소음에 노출되어 익숙해져 있는게 문제다 하는데 도대체 강의내용과 상관없이 본인 할 일에만 충실하신 그 분.

  • @anniej8849

    @anniej8849

    2 жыл бұрын

    어우 어쩜 저랑 똑같은 생각하셨네요.,

  • @user-ys4fp8xj4q
    @user-ys4fp8xj4q3 жыл бұрын

    말해야해요 안하면 갈수록 억울해집니다 ! 부모도 시부모도 독특한 분들 많아욮

  • @user-tm1es3zw5j
    @user-tm1es3zw5j3 жыл бұрын

    감동이에요 아이들이 부모한테 올바르게 말하는 넘 감동 입니다

  • @dia-rs8qn
    @dia-rs8qn3 жыл бұрын

    적절한 공격성의 발달을 위한 교육은 정말 필수인거 같아요.

  • @5may54

    @5may54

    2 жыл бұрын

    남편과 관계 껄끄러워지는 거 싫어서 조금 싸우다 안되면 포기했었던 나 자신이 원망스러워요 공격성은 꼭 필요한 거네요 휴ㅜㅜ

  • @user-ph5ok7qp6n

    @user-ph5ok7qp6n

    2 жыл бұрын

    @@5may54 싸우세요. 한 몇년 싸우다보면 순해진 신랑을 만날수 있습니다.ㅎㅎㅎ 신랑도 나한테 조심하게 되거든요. 서로 조심하니 지금 싸울일이 없어요.

  • @user-sd5yu5ud5g
    @user-sd5yu5ud5g3 жыл бұрын

    70 80대 부모님세대의 자식으로 서는 참 서글픈현실에서자랐지요 그분들의 고통속에서의치열한삶 이해하기때문에 감내하고산것도 있지만 문제는 내가 50대가되어 자식에게 어떻게하고있는가다

  • @nanaful7360
    @nanaful73603 жыл бұрын

    효과음 시끄러워 집중이 안된다..

  • @user-yp6pm3lf6p

    @user-yp6pm3lf6p

    3 жыл бұрын

    아니 외?효과음을 과하게 넣으시는지 강의에 집중을 흐려놓고 있네요!

  • @Ryryryruru
    @Ryryryruru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게 젊은 부모님과 어린자식의 관계 노년기로 접어드는 단계의 부모님의 성인이 된 자식의 관계 이게 너무 다르다는거임. 젊을때는 갈구면서 늙으면 부모님 본인 노화 가지고 갈군다는거임. 참 개같다.

  • @gloriakim7622
    @gloriakim76222 жыл бұрын

    너무 멋 있습니다 박사님. 강의 찾아서 듣고 좋게 말하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appletree4498
    @appletree44983 жыл бұрын

    쌤 미소만 봐도 힘이나요 감사합니다

  • @user-un4zd4oj9i
    @user-un4zd4oj9i3 жыл бұрын

    감정에 관한 명강의 앞으로도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insookleekim
    @insookleekim2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참 많은 분들에게 좋은 멘토가 주셔서 너무 감사하네요. 이 마음 끝까지 잘 지켜나가시기를 기도합니다

  • @ksj9653
    @ksj96532 жыл бұрын

    2013년 촬영본이니 영상 편집이 그 때 스타일로 너무 정신없고 산만하지만, 강의 내용은 지금 들어도 정말 유익하네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 @kobioh5563

    @kobioh5563

    2 жыл бұрын

    진짜 카메라 좀 가만히 있었으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qwerty-lp5my

    @qwerty-lp5my

    Жыл бұрын

    아 ㅋㅋㅋ 카메라 전환 의식하기 시작했다 2초에 한번씩 바뀌네 ㅋㅋㅋㅋㅋㅋ 아니 카메라 하나만 5초이상 쓰면 과열로 터지나요

  • @leeseu

    @leeseu

    Жыл бұрын

    무슨 롤러코스터 타는거같네 토할거같다ㅋㅋ

  • @user-ss1zk4ub4n

    @user-ss1zk4ub4n

    Жыл бұрын

    으악.... 댓글보고 영상보니 의식되기 시작했어요ㅋㅋㅋ큐ㅠㅠ

  •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3 жыл бұрын

    오은영 박사님 ~국민 육아멘토로 가정의 회복과 부모의 참된 역할에 대해 알려주신 멋진 분! 근 10년전 영상인데 그 기간동안 대한민국의 육아계몽의 선구자셨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dh2nx3lz8z
    @user-dh2nx3lz8z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혼자 집에 있다보면 핸드폰소리에도 깜짝깜짝 놀랄때가 있어서 진동으로 해놔요 ㅠ 그게 편해요

  • @jen-lim2022
    @jen-lim20222 жыл бұрын

    꼭 청년 아니어도 누구에게나 힐링과 팩폭의 두 마리 토끼가 되는 금같은 시간의 강의들 늘 감사합니다^^

  • @hongsdanszz
    @hongsdanszz3 жыл бұрын

    전 오은영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며 힘들었던때 방황할때 그리고 지금까지 ..들으면서 많이 위로 되네요.항상 부정 당하고 자기를 갈아 닦고 하는 과정이 많이 흔들리고 힘들었거든요. 자신마음의 안정감과 대인관계의 유대가 행복이라던 박사님의 말이 참 공감입니다. 남들과 다르게 산다고 틀린거 아닙니다.둥글게둥글게 사는게 맞고 원리원칙 지키고 각지게 사는게 틀리고 손해본다는 아니에요. 다른겁니다. 내가 겪었던 고통 괴로움 힘듬 방황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혹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 돕는건 쓸데없는 짓도 그걸 반복적으로 사고 하고 괴롭더라도 방법을 찾아내려 하는건 생각이 많아서 우울해서도 아닙니다. 자기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에요.인생에 굴곡이 있듯이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도 굴곡이 있는거에요. 자신을 알아가고 그리고 서로 공감이 되면서 서로 위로도 되고 다독일수 있는 관계가 형성되니 평온하고 행복하더라구요.평소 스트레스 우울 등등 부정적인 감정들도 감기처럼 오지만 평온한 상태가 든든한 기반이 되니 끝도 없는 추락의 느낌은 없었어요. 결코 틀리지는 않았어요.자기 자신을 알아가도록 하는 노력은 게속 해야 하는거에요.

  • @user-fi1iz6fg1j
    @user-fi1iz6fg1j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저도 3남매를키웠는데 늘시행착오를했어요 강의를 들으면서 자녀입장을 생각하니 감회가새롭고 아이들한테 미안하고 감사함이 많아요 삶속에서 서로의거울이되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user-xj3yi1lz7d
    @user-xj3yi1lz7d2 жыл бұрын

    왜이리 눈물이 나는지 오은영 박사님 정말 존경합니다.

  • @user-xn6bc2gy4q
    @user-xn6bc2gy4q2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릴적에 오빠한테 많이 맞았는데 이런 폭력애 대해 막아주고 오빠를 제대로 혼내는 부모가 없었어요. 오빠의 폭력을 말하면 아빠는 방관하고 엄마는니오빠가 그럴리가 없다고 내 말을 안믿고 오빠편을 들었죠 참 숨이 막히고 부모한테 바라는게 없어지더라고요. 저는 고등학교를 들어가고 오빠는 군대에가면서 서로 멀어져 오빠와 지금은 아무렇지 않게 지내지만 저를 때렸던 오빠보단 그 상황을 방관햇던 부모에 대해서 오히려 더 원망스럽고 용서가 안되더라고요. 엄마는 지금도 그말을 하면 언제적이야기를 아직까지하니. 아빠는 딴말을 돌리려고 못들은척합니다. 저를 챙겨주실땐 가끔 속이 뒤틀려 이제와서 사랑하는척하지 말라고 심한말을 하기도해요. 아마 상처가 나아도 흉터를 평생 남이잇을것같아요.

  • @JoeS667

    @JoeS667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런 상처가 있는데, 부모님은 그때 그 현장에 없었으니.. 고자질 하듯이 말해도 ... 나의 생각에 공감을 안해 주셨고, 결국 그게 섭섭하고 미웠는데. 부모님이 형제간에 사이가 좋도록...중재하고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으셔서 ... 앙금이 쌓였고, 결국엔 진짜 정말 힘들지만... 모두 용서하는게, 마음이 편해져서.. 결국엔 그게 답이더군요. 현재의 저도 부모로서 저와 같은 일이 또 다시 반복되고 있습니다. ( 오은영 박사님께... 이런 경우의 ... 해결책이 궁금합니다. 답해 주실 수 있겠는지요?) 오빠와 여동생...양측에게 어떻게 말하고, 대처해야 할까요??

  • @joebtt

    @joebtt

    Жыл бұрын

    @@JoeS667 남자를 잡아야하지않을까요? 남자가 사회적으로도 더 권위가 주어지고 신체적으로도 우월함이 있기때문에 더 많은 책임이 주어진다봅니다. 현재 가정에생기는불화중에 시어머니들이 아들들을 오냐오냐키우고 남아선호사상이 베여있는경우가 많은데 그렇게자란 아들들이 가정을 이루고 자기책임 자기희생은 하지않으려하고 고집스럽고 자기중심적인 사람이 되어 가정을힘들게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게 있는것 같아요. 정말 엄마의 역할이 중요한듯요. 저는 첫째가 딸 둘째가 아들이라 아직은 누나가 동생에 비해서 신체적으로 앞서다보니 누나가 공격하고 때릴때가 더 많아서 그때 누나를 단호하게 혼내곤했는데 둘째도 좀 자라고 여물어지면서 이유없이 혹은 충동적으로 누나를 때리거나할때가 있더군요 아들 딸 둘다키워보니 확실히 남자애들이 충동적이고 공격적인게 맞는것 같아요 일반적으로. 그래서 그런식으로 동생이 누나를 때리게되면 아직 둘째가 어리긴하지만 누나 때린손을 따끔할정도로만 단호하게 때리고 혼내며 주의를 주고있습니다. ㅡ아이들이 아직 미취학 아동ㅡ 그래서 아들을 둘째로 낳아서 키워보며 드는 생각은 정말 엄하게 잘 키워야겠구나 싶었어요. 물론 아이들 성향마다 다르게 조절해서 키워야겠지만 사회에서도 신체적으로도 더 많은 힘을 가지게 될 남자이기에 더 책임감있게 살수있도록 엄하게 기르는게 맞다고보네요..

  • @user-ug3ht3du9s
    @user-ug3ht3du9s3 жыл бұрын

    오선생님같으신 분이 우리 나라에태어나신거 하나님께 감사합니다~^^

  • @user-zv1fx3rc4b
    @user-zv1fx3rc4b3 жыл бұрын

    우리애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신분

  • @PJ-vd2iu
    @PJ-vd2iu3 жыл бұрын

    환영받을만합니다 말씀하시는것 잘보고있습니다 마냥 우리편같은 느낌 뵐때마다 즐겁습니다

  • @user-wb7rk3sz1g
    @user-wb7rk3sz1g3 жыл бұрын

    멍 때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조절기능을 약화시키는 것들에는 소란, 시끄러움, 빠름, 욕구, 지루함 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생이랑 때로는 하기 싫은 일도 하고 손해도 보며 사는것이라는것을 알게 되었다 오은영은 어릴 때 편식이 심했다는것을 알게 되었다 부모님이 자식을 혼내면 감정발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나쁜 쪽으로 발달을 한다는 연구결과가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