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생명체를 지금껏 못 찾는 뜻밖의 이유?! | 태양계 같은 곳은 겨우 1% 뿐이다!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 #외계행성 #태양계 #외계생명체 #지구 #목성 #토성 #화성 #우주 #천문학 #외계인 #exoplanet #astrobiology #우주생물학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tail.nhn?seriesNo=351775&memberNo=30808112&prev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 BODA X 우주먼지, 콜라보 우주덕후들을 위한 굿즈!
smartstore.naver.com/aweplay
레퍼런스
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we-live-in-the-rarest-type-of-planetary-system1/
www.aanda.org/component/article?access=doi&doi=10.1051/0004-6361/202244705
www.aanda.org/component/article?access=doi&doi=10.1051/0004-6361/202243751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383

  • @keibeee7129
    @keibeee712910 ай бұрын

    매번 볼때마다 느끼지만 목소리랑 말하시는 방식이 듣기에 너무 좋은거같습니다 이번에도 좋은 정보를 듣고 가게되서 너무 감사합니다

  • @keep.tightly
    @keep.tightly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여행 유튜버 입니다. 50년뒤엔 우주여행 혹은 우주관련 컨텐츠 유튜버가 500배 이상 증가할거같네요. 앞으로 그 무엇보다 할 이야기가 가장 많은 우주...구독 하고 갑니다🎉

  • @user-gw1sk6kn9m
    @user-gw1sk6kn9m10 ай бұрын

    지구의 탄생 조건을 보면 터무니없이 빡빡한것을 알 수 있는데 1. 같은 궤도를 도는 쌍둥이 암석 행성이 함께 탄생해야 한다 -> 그래야 행성 크기에 비해 크고 강력한 금속 핵을 가질 수 있고, 향후 방사능을 차폐해줄 충분히 강력한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고 문명이 발달하기 위한 많은 금속을 품을 수 있게 된다 2. 충분히 큰 위성이 필요하다. -> 그래야 행성 자전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행성의 날씨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진정시킬 수 있고 내핵을 쥐어짜 행성의 내부열기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도우면서(행성 자기장의 위력과 직결됨) 바다를 뒤섞어주는 등 안정적인 환경유지에 필수적인 관여를 한다 3. 외행성대에 질량이 큰 형제 행성들이 있어야 한다. -> 외우주 혹은 항성계에서 날아올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 혜성 같은 거대한 충돌 가능성이 있는 물체들을 끌어들여 대멸종 주기를 줄인다. 이는 곧 생물이 충분한 진화를 겪을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준다. 4. 항성의 질량이 적당하여 G형 주계열성이다. -> 적당히 강한 열복사 에너지를 내뿜어서 행성이 너무 가까이 있지 않아도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만약 골디락스 존에 있는 행성이 아이볼 행성이 된다면 거주 가능한 구역이 극적으로 줄어들어 문명발달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5. 행성이 항성과 적당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적당한 질량의 암석 행성인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고등학생 때 이 내용을 정리하여 과제로 쓸 수도 있을까봐 남겨두었는데 결국 쓸 일은 없었다

  • @user-zp8slenskIlIen
    @user-zp8slenskIlIen10 ай бұрын

    최고의 과학채널. 우주먼지 현자타임즈

  • @sggibson2382
    @sggibson238210 ай бұрын

    역시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당👽👽

  • @edanfernando3814
    @edanfernando381410 ай бұрын

    참 설명 쉽고 잘하네요

  • @user-nt2uu1jj6i
    @user-nt2uu1jj6i10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 @user-tr8nj2df3t
    @user-tr8nj2df3t10 ай бұрын

    정말정말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33333333338797
    @3333333333879710 ай бұрын

    영혼이란게 있고 죽어서 영혼이 된다면.. 시공간을 초월해 우주의 역사, 지구의 역사, 한반도의 역사 다 구경하고 싶다 ㅜㅜ

  • @SOJUeHAEJANGKOOK

    @SOJUeHAEJANGKOOK

    10 ай бұрын

    지평좌표계를 어떻게 고정하실 거죠!

  • @user-dn7ry1bc3l
    @user-dn7ry1bc3l10 ай бұрын

    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

  • @Willibeabletodothat
    @Willibeabletodothat9 ай бұрын

    알면 알수록 지구가 정말 대단하고 소중한 행성이란걸 깨달아요…

  • @user-kq8uv1jd5j
    @user-kq8uv1jd5j10 ай бұрын

    혹시 영상에 나오는 고화질의 우주 사진들은 어디서 어떻게 검색하면 나오나요?? 제가 과학 관련 고등학교를 다니는데 발표때 필요해서요....

  • @user-vk1vk6nw7u
    @user-vk1vk6nw7u10 ай бұрын

    태양계의 배치도 절묘하고 그 중에서도 지구. 정말 오묘하구나 신비롭다

  • @yongmaru9691
    @yongmaru969110 ай бұрын

    이야...보다에서 보다가 이거보니...랩했던실력이....ㅎㅎㅎㅎ말하는속도가빠른데도 발음도정확하고 귀에탁탁꽂히네요~설명도좋고 진짜잘봤습니다 재밌네요ㅎㅎ

  • @adoniscreed7483
    @adoniscreed748310 ай бұрын

    매불쇼 잘 봤습니다. 논리적으로 흥분 안하고 조져버리니 속이 다 시원했네요 ㅎㅎ

  • @motions_world
    @motions_world10 ай бұрын

    태양계도 그렇고, 지구도 그렇고, 생명체도 그렇고. 기적에 기적을 얹고 거기에 기적을 더 끼얹은 지구에서 우리가 태어났다는 점이 너무 신기하네요. 정말 단순히 우연 속에서 태어났겠지만, 이런 영상을 보면 볼수록 시뮬레이션 우주론을 떨쳐내기도 쉽지 않습니다 ㅋㅋㅋㅋ

  • @younghwanjang4558

    @younghwanjang4558

    9 ай бұрын

    맞아. 원래 우주에는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는게 정상이야. 뭔가 비정상적인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에 지구에만 생명체가 있는걸꺼야.

  • @LazencaMustSaveKorea
    @LazencaMustSaveKorea10 ай бұрын

    목소리가 참 귀에 쏙 쏙 박히는 나래이션이네요. 순간 목소리 따서 한건줄

  • @jaminpunch
    @jaminpunch10 ай бұрын

    배치순서도 극히드문케이스였구나.. 안쪽 암석 밖이 가스가 일반적인건줄알았는데; 역시 태양계는 대단해

  • @MingyeongKim-wl5ps
    @MingyeongKim-wl5ps10 ай бұрын

    빵 나왔다 ㅋ 오늘도 재밌는 이야기~~b

  • @sisiklaus5615
    @sisiklaus561510 ай бұрын

    미생물만 존재할만한 행성도 찾기가 이리 힘든데, 지적 수준을 갖추고 충분히 발전까지 할 수준의 행성을 찾는것은 정말 너무너무 어려울듯.

  • @parkjp80

    @parkjp80

    10 ай бұрын

    태양계 바깥의 가장 가까운 행성조차도 생명체유무의 관측이 불가능한데 아무것도 알수가 없죠...

  • @user-vw7zl7ho7i

    @user-vw7zl7ho7i

    10 ай бұрын

    극악의 확률에서도 극악의 확률을 뚫어야하니 참 힘들어보이네요..ㅋㅋ

  • @moneyh1213

    @moneyh1213

    4 ай бұрын

    찾기힘든게 우주가 너무커서그럼..

  • @z9star
    @z9star10 ай бұрын

    그러나 현재까지 관측된 외계 행성 대부분은 특정 방법, 예를 들면 트랜짓 방법이나 도플러 방법 등을 통해 발견되었고 (즉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들은 크기가 크거나 모항성에 가까운 행성을 더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여러 유형의 행성계가 존재하지만, 관측적 편향으로 인해 특정 유형의 행성계가 더 많이 관측되었을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요?

  • @z9star

    @z9star

    10 ай бұрын

    즉 실제로는 관측방법적 한계로 인하여, 우리 태양계와 같은 Order case 의 경우 가장 간접적 방법으로 판별해내기 힘든 경우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편향이 일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영상 전반부에서 언급되었던 모항성과 가까운 고온지역에서는 암석행성이, 먼 저온지역에서는 가스행성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라는 의견이 논리적으로 틀린 것 같지는 않아 보이니깐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10 ай бұрын

    재작년쯤 방학특집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낮시간에 꽤 수준높은 태양계 다큐를 방영해주는걸 우연히 봤는데 목성이 원리는 태양가까운 쪽으로 떨어지며 화성이나 지구를 파괴시키거나 태양계밖으로 튕겨낼 수 있었던 상황을 뒤늦게 생성된 토성이 목성의 궤도를 유지시켜주면서 지구가 살아남았다고 하더군요.

  • @haliey-cb5cw

    @haliey-cb5cw

    10 ай бұрын

    Bbc의 더플래닛이 아니었을까요? 😊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10 ай бұрын

    @@haliey-cb5cw 맞는것 같네요.

  • @user-ef5wu4pw8s
    @user-ef5wu4pw8s10 ай бұрын

    확률이 극악이라도 복권 당첨자는 계속 나오고 스포츠에서도 랜디존슨 비둘기 사건 같이 말도 안되는 확률의 사건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우주의 크기에 비하면 먼지에 불과한 지구안에서도 말이죠 생명체가 나타날 조건이 기적에 가까운 확률이라고 해도 우주 스케일을 봣을때 꽤나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 @space27

    @space27

    10 ай бұрын

    우주공간이 생명체를 위한 공간인가요? -_- 그러니 공간낭비같은 말장난을 하는거죠. 우주는 생명체를 위한 공간이 아니고 지구만 유일한겁니다..-_-

  • @user-ft2ez4qi4f

    @user-ft2ez4qi4f

    10 ай бұрын

    @@space27 유일? 절대 그럴수가 없지ㅋㅋㅋㅋ 괜히 확률이 있는게 아님 우주의 크기를 보면 절대 유일할 수가 없음

  • @user-bc9wq1qr4g

    @user-bc9wq1qr4g

    10 ай бұрын

    @@space27 '공간낭비' 라는 말을 쓰는것은 (넓은범위의)유신론자일 겁니다. 지구만 유일 하다고 생각 하는 분들도 유신론자(기독교)일 가능성이 크고요,

  • @Keyring323

    @Keyring323

    10 ай бұрын

    ​@@user-bc9wq1qr4g꼭 그런거는 아닌거 같아요 지구만 유일한 생명체가 있는 곳이 기독교의 관점이라면 새하늘과 새땅의 이야기는 말도 안되는 거죠

  • @user-bc9wq1qr4g

    @user-bc9wq1qr4g

    10 ай бұрын

    @@Keyring323 새하늘과 새 탕 이라는 것은 다른지역과 그곳의 하늘 이라는 말 일 겁니다. 갈리레오가 지동설을 주장 했다가 종교 재판 까지 받았죠.

  • @sungtaekkim6224
    @sungtaekkim622410 ай бұрын

    저는 우주의 현재 모습이 궁금합니다. 지금 역 꼬깔콘 모습의 우주는 빅뱅이후의 시간적 흐름을 펼쳐놓은게 아닌가요? 만약 그렇다면 우리 은하처럼 빅뱅지점을 중심으로 한 원반모양인가요? 그리고 우리 은하는 우주의 어느 부위에 위치하고 있나요? 제가 아무리 노력해도 찾을 수 없어서 물어봅니다

  • @user-xf4ud3pp1p
    @user-xf4ud3pp1p10 ай бұрын

    일단 우리가 아는 생명의 범위가 매우 좁다는 것도 발견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에 하나인 듯 합니다.

  • @salmacis_
    @salmacis_10 ай бұрын

    먼지님. 보다채널에 올라온 영상보고 궁금해서 댓글달아요. 먼지님이 우리은하에 별의 갯수가 1조개라고 말씀하셨는데 그동안 알던거랑 달라서요. 다시 검색해봐도 4천~6천억개라고 올라온 내용들뿐이고.. 오히려 안드로메다가 1조개라고 하는데..이거 좀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 @user-mw1om5tw3p
    @user-mw1om5tw3p10 ай бұрын

    오늘 영상 진짜 재밌었어요 흥미진진🤔🤔 근데 9:22 여기 자막 겹쳤슴다..

  • @Plan_Delta
    @Plan_Delta10 ай бұрын

    질문) 지구 문명이 타 행성에서 자원을 캐오는정도로 발전했을때 그 자원으로 빈공간(사막이나 평원 등)에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꾸준히 건설한다면, 그 무게로 지구궤도가 바뀔 수 있을까요?

  • @yongjunkim791

    @yongjunkim791

    10 ай бұрын

    쓰레기를 우주로 배출해서 무게를 맞추면 괜찮지 않으려나요? ㅎㅎ 지구 표면에 건축물을 짓는걸로는 지구 궤도에 크게 영향이 없을것도 같습니다. 바다가 상당히 넓은데 대부분의 평지에 큰 산맥같이 건물들을 지어야 하니까요.

  • @user-qp1nl7ur6s

    @user-qp1nl7ur6s

    10 ай бұрын

    안바뀜 우주정거장 도킹을 생각해보세요. 우주선과 우주정거장 도킹 때, 두 우주선의 속도를 우주정거장과 같도록 만듭니다. (자원 모아서 지구에 그냥 던지지는 않게죠.) 도킹이 끝나면, 우주정거장의 질량이 커지지만 속도는 같다. 속도가 같으면 괘도로 같다. 다시 생각 (바뀜) 속도는 같지만, 질량변화가 있군요.. 케플러 제 3법칙을 보면 질량이 증가하면, 공전 주기가 줄어 듭니다. 속도는 갈은데, 주기가 줄어들려면, 궤도가 조금 작아져야 하겠군요. 다만 질량이 너무 작아 큰 차이는 없음, 근사값을 계산할 때 지구 질량을 빼고 계산

  • @marscast3176

    @marscast3176

    9 ай бұрын

    뭐든지 미세하게는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자전이라면 몰라도 공전에는 영향이 없을 듯... 태양의 중력에 비하면 그런 것은... (상대적으로 자전이라는 거지, 사실 자전에도 영향이 없을 듯...) 그런데 우리의 주 관심사는 그 전에, 타 행성에서 자원을 캐오는 것 그 자체가 될 수도 있지요.

  • @jaehwankim855
    @jaehwankim85510 ай бұрын

    어릴때는 이렇게 많은 별들중에서 우리같은 생명체가 있을것같다라고 확신아닌 확신을 개인적으로 가지고있었는데 서서히 나이를 먹고보니까 우리같은 지적생명체가 존재는"했었다or할것이다" 우리와"같은 시간대"에 우리 인간같이 자각을 가진 존재가 현재 있을지는 한없이 제로에 가까울것 같다는 생각이든다.. 당연히 있을줄 알았던 생각이 점점 우리는 우주의 무한히 긴 시간속에 한 티끌도 안 될것같은 존재로 사라질것 같다. 공간의 낭비는 인간의 개념일 뿐이니까..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10 ай бұрын

    저도 동의해요. 고맙습니다

  • @user-pe4wy5op3m
    @user-pe4wy5op3m10 ай бұрын

    태양계 형성 초기에 화성과 목성 사이에 5번째 가스행성이 있다가 궤도에서 이탈했다는 가설도 있던데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지 궁금해요 😮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10 ай бұрын

    현자타임즈 "행성들의 자리배치" 재밌어요

  • @user-fh3bd4xd1s
    @user-fh3bd4xd1s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유튜브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 궁금한게 있는데요, 우주는 흔히 코스모스라고 부르잖아요. 카오스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규칙을 따른다는 의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주는 빅뱅 시점으로 돌려서 다시 시작한다면 지금 시기에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까요? 다시 말하면, 우주는 특정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초기 조건이 같으면 동일한 결과나온다고 볼 수 있을까요?

  • @yongjunkim791

    @yongjunkim791

    10 ай бұрын

    정확한 설명일지는 모르겠지만 엔트로피를 생각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빅뱅시점으로 돌려서 다시 시작한다는걸 어떻게 정의하냐에 따라 조금 다를 순 있겠는데요, 타임머신으로 과거로 돌아가서 빅뱅 이후의 우주를 다시 관찰한다고 가정할때, 엔트로피가 역전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빅뱅시점으로 돌리고, 우주속의 모든 계의 엔트로피를 과거 우주의 엔트로피값과 같게 모든 변수 조절할 수 있다면 또 모르겠네요 ㅎㅎ

  • @user-en9cj8uf6u
    @user-en9cj8uf6u10 ай бұрын

    보다boda 채널 빅뱅이론편을 보고 질문드립니다. 별과 별의 사이가 멀어지면 한 점에서 시작한 겁니까? 그냥 사이가 멀어지는 거 아닌가요? 한 점에서 폭발했다는 연구 결과가 천문학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나왔는 지 궁금합니다.

  • @user-qp3yo9uz9r
    @user-qp3yo9uz9r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iltaelee8708
    @iltaelee870810 ай бұрын

    생물와 무생물의 기준 조차도 다른 행성에서는 다를지 모른다!!

  • @user-mw6dz9vv9g
    @user-mw6dz9vv9g10 ай бұрын

    지금도 과학자들은 무수히 많은 관측을 하고 있지만 지적 생명체 뿐 아닌 식물이나 동물이 살고 있는 그런 증거조차 쉽게 발견되지 않은것을 보면 정말 이렇게 생명체가 존재 하는별은 지구가 유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 @user-bz8uv7jd5p
    @user-bz8uv7jd5p10 ай бұрын

    인터스텔라 영화 천문학적 해석 듣고싶어요!

  • @user-rq7tv5xd8g
    @user-rq7tv5xd8g10 ай бұрын

    1%라고 해도 태양의 질량 정도의 별이 우리은하에 10% 정도라 해도 3000억개의 별을 가진 우리은하에 생명체 존재 가능한 태양계가 3억개다.. 외계 생명체가 없을 수가 없다..

  • @yoonjealee2427

    @yoonjealee2427

    10 ай бұрын

    그렇지도 않음 이런 조건들이 한두개씩만 더 발견돼도 여러조건의 교집합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듦

  • @아새

    @아새

    10 ай бұрын

    태양질량 별 자체가 우리은하의 1%뿐입니다..

  • @Hae_Nyeo

    @Hae_Nyeo

    10 ай бұрын

    왜계 생명체는 충분히 있을지언정 지적 생명체가 있을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

  • @user-nv7qc5jn5r

    @user-nv7qc5jn5r

    10 ай бұрын

    하찮고 미개한 지구인들이 우주를 정의하다니 한심하군..

  • @bondj9725

    @bondj9725

    10 ай бұрын

    제로에 가까운데. 우리는 왜 있는거죠?

  • @user-yb3rf4xj3j
    @user-yb3rf4xj3j9 ай бұрын

    공룡대멸종사건이 없었으면 지금까지 공룡시대입니다. 이넓은 우주에 생명체는 있을수있으나 지적생명체로 진화하기란 정말 너무도 희박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vl5dk8dv1g
    @user-vl5dk8dv1g10 ай бұрын

    우리은하 안에 혹은 다른 은하나 우주 어딘가에 있을 수도 있고 중요하게 생각할 건 우리가 살고 있는 건 우주의 입장에서는 찰나의 시간이기에 외계 생명체와 문명의 시기가 안 맞을 수도 있는 것이다.

  • @exserion01
    @exserion0110 ай бұрын

    태양계의 행성 배치도 결코 우연이라고는 볼 수도, 그렇게 믿을 수도 없을 만큼, 굉장히 희박한 확률로, 엄청 드물게, 배치가 되어있는 경우일 것 같네요! 어쩌면, 이 모든 게 생명이 존재할 수 있을 확률과 맞아 떨어질 수도 있겠네요.

  • @user-uj9lr5je3w
    @user-uj9lr5je3w10 ай бұрын

    20세기 과학자들은 행성을 가진 별은 드물다라고 햇다 지금은 대부분의 별들이 행성을 가지고 잇다 태양계같은 행성구조는 1%밖에 안되고 아주 드믄 경우다 우주에 별의 갯수는 수백경개이상? 중에 1%라는것임ㅎㅎㅎ

  • @Avalooe
    @Avalooe10 ай бұрын

    우리가 외계생명체를 발견 할 확률보다 드넓은 우주에서 다른 고도로 발전된 생명체가 우리를 발견을 확률이 훨~~~씬 크겠죠

  • @user-ys5tg9dj1g
    @user-ys5tg9dj1g10 ай бұрын

    잘 보구 가내유...^^

  • @healing80
    @healing8010 ай бұрын

    박사님은 아나운서하셨어도 성공하셨을것 같아요

  • @sehwarous
    @sehwarous10 ай бұрын

    고등생명체는 0%에 수렴할 정도로 극히 드물지 몰라도 미생물은 엄청 많을 거라고 봄.

  • @lowsense1345
    @lowsense134510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에만 행성이 1000억개 있는데 1퍼면 1억개가 우리 지구랑 비슷하다는 거임. 근데 관측 가능한 우주에 은하가 2조개가 있음. 그럼 1억 곱하기 2조정도가 지구랑 비슷한 행성이라는 건데,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너무 많은데요.

  • @user-vo8lf4on6l
    @user-vo8lf4on6l10 ай бұрын

    존재엔 모두 이유가 있을겁니다~

  • @user-dp6ey6yo3v
    @user-dp6ey6yo3v10 ай бұрын

    우린 행성들의 과거밖에 볼수밖에 없기때문에 더욱 찾기 어려울수도 있겠죠? 50억광년 떨어진 행성에서 지구를 바라볼땐 지구는 물도 대기도없는 불타는 암석행성으로밖에 안보일테니까요.

  • @user-qp1nl7ur6s

    @user-qp1nl7ur6s

    10 ай бұрын

    현재 우린 다른 은하 행성은 못 봐요. 지금 행성을 찾은건 우리 태양계 근처에 있는 행성을 찾은 것임. 행성계의 발전 단계는 다를 수 있어도, 거리 때문에 다른 모습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우리 은하 지름이 10만광년이니까. 최대 시간 차이는 10만년 정도입니다. 보다 정확히는 태양이 은하 중심에서 3만광년 떨어져 있으니, 최대 시간 차이는 7만년이 되겠군요.

  • @user-dp6ey6yo3v

    @user-dp6ey6yo3v

    10 ай бұрын

    @@user-qp1nl7ur6s 그렇군요. 그럼 현재 외계행성을 찾는다는건 우리은하 내에서 찾아야한다는거네요. 확률적으로는 더 희박하겠네요.. 거리때문에 다른모습으로 보이진 않다는것은 지금은 고작 최대 10만년정도의 차이밖에 안나서 그렇다는 거지요?

  • @user-qp1nl7ur6s

    @user-qp1nl7ur6s

    10 ай бұрын

    @@user-dp6ey6yo3v 네 (의미가 정확 하도록 본문을 수정해야 겠군요.)

  • @ajjay5967
    @ajjay596710 ай бұрын

    천문 영상들 보다보면 공간이란 개념이 많이 등장하는데요. 빛보다 빠른건 존재할 수 없지만...우주공간의 확장은 빛보다 빠르다고 하는데..."공간"의 정의는 뭘까요...??? 실체하는 그 무언가일까요..그냥 개념상의 정의일까요

  • @myky19911
    @myky1991110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에 지구와 똑같은 행성, 지적 생명체 있다고 확신합니다. 가장 가깝다는 안드로메다 은하에도 생명체가. 지구인들이 우리 은하의 모습을 볼 수 없듯이 (상상으로만 이렇게 생겼다 추정 정도) 안드로메다 은하에 살고 있는 생명체들은 , 우리 은하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있겠죠. 반대로 안드로메다 은하에 살고 있는 생명체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를테고

  • @mukum6343
    @mukum634310 ай бұрын

    예전에 잠깐 읽었던 과학잡지에서 봤던 '평행우주론'이 생각나는군요. 지금 우주 저너머 우리와 똑같은 태양계에서 우리 지구와 같은 행성에서 우리 지구에 사는 같은 종들이 살고 있을 거란 상상을 하면 "정말 그럴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 @sizeboy7
    @sizeboy710 ай бұрын

    희동이가 얘기해주는 우주이야기❤ 0:12

  • @user-pe5pc1kt8c
    @user-pe5pc1kt8c10 ай бұрын

    수련해서 은하계 3개부터. 다 만들었다오. 지구는 금성에서 바위. 수성에서 물. 천왕성에서 소금물, 토성에서 흙을 해왕성에서 공기를.가지고 왔다오 그리고.지금우주는...무한우주 되어고 무한대로.팽창했음

  • @JustinYim-qe1ob
    @JustinYim-qe1ob9 ай бұрын

    티티우스와 보데는 외계인으로 봐야 겠네..

  • @user-ei1ch4wr1d
    @user-ei1ch4wr1d10 ай бұрын

    형 왜 달이랑 지구랑 자전 속도가 같아서 달의 한면만 보인다고 했짜나용 그럼 달에서 지구 보면 지구의 어디지역만 보일깝숑?응가하다가 급 궁금해져서 여쭤봐용

  • @guswlrfl4

    @guswlrfl4

    10 ай бұрын

    달에서 보면, 하루동안 당연히 지구가 한바퀴 다 보입니다. 이게 궁금해서 질문하믄..ㅜㅜ. 간단히 이야기 드리면, 달에서도 지구의 한 면만 보인다고 가정한다면, 예를 들어 달에서 보니 대한민국이 있는 태평양 한 면만 보인다 계속 보인다면 유럽 사람들과 아프리카 사람들은 달을 볼수 있는 반대편에만 있게 되는게 됩니다. 따라서 유럽사람과 아프리카 사람은 영원히 달을 보지 못하겠죠. 다행히 지구에 사는 사람들은 아시아든, 유럽이든 아메리카든 하루 한번 달을 정면으로 얼굴을 마주하고 보고 있지요. 우리 지구인 모두가 하루한번씩 태양을 마주보고 있듯이요.

  • @user-ei1ch4wr1d

    @user-ei1ch4wr1d

    10 ай бұрын

    @@guswlrfl4 아하! 그렇군요!

  • @allenyoo57
    @allenyoo5710 ай бұрын

    아직도 탄소중심설로 기우는 경향이 많이 있지요. 시밀러 오더 구조가 생명탄생에 유리하다는 가정 자체가 탄소중심가설에 의한 거라고 ㅘ야 할거에요. 탄소중심이 아닌 다른 원소가 중심이 된 우리가 상상하지 못할 구성의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하면, 예를들어 불소 중심이라던가 하는 식으로 간다면 그 조건이 아주 달라질수도 있지요. 물론 그런 경우에 과연 지구 샘영체와 완전히 다른 양식으로 조직된 생명체를 과연 생명체라고 인식을 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지만요

  • @user-xu6rp5eg4t
    @user-xu6rp5eg4t10 ай бұрын

    은하에서 태양계의 위치도 중요하고,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자전축 기울기도 중요하고, 지구 크기 정도에 달이라는 위성이 존재해야 되고 등등등 외계 행성중에서도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은 8:12

  • @user-et5xd9my2t
    @user-et5xd9my2t10 ай бұрын

    우주는 항상 신기하다 인간이 존재하는건 엄청난 조건의 기적이다

  • @user-im4mz1nd7s
    @user-im4mz1nd7s10 ай бұрын

    그냥 단순하게 조석고정이고 지구와 밀도와 크기가 비슷한 행성에서 안정적으로 대기가 존재 가능하냐를 먼저 연구하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함.. 지금 당장 태양계만봐도 조석고정은 너무 흔함.. 심지어 외계행성 관측에서도 대다수 행성들이 조석고정 현상을 보임.. 외계생명체보다 먼저 조석고정 행성에서 안정적으로 대기가 존재할까가 먼저.. 이미 수성은 거희 조석고정이고 금성도 곶있으면 조석고정이 될듯한데 그다음은 지구겟고. 달은 저멀리 날라가겟고. 물론 수성금성은 몇억년뒤 조석고정이고 달은 조년뒤 저끝으로 날라가겟고 목성그이후엔 죄다 우주공간으로 뿔뿔이 흩어지겟고 태양은 적색거성이 될 시간이겟지만...

  • @ki-jeongkim8954
    @ki-jeongkim895410 ай бұрын

    우주의 규모와 시간을 생각한다면 100퍼센트 외계생명체가 존재하겠죠 하지만 왜 하나도 안보일까요.. 빅뱅이론이 빅뱅이론 자체 외의 모든 것을 설명하듯이 지적 설계론은 모든 것을 설명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이러한 외계생명체에 대한 탐구없이 가만히 있자는말은 아니고 확인을 위해서라도 탐사와 탐구는 계속 이뤄저야 한다고 봅니다

  •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10 ай бұрын

    목성 토성이 운석들 혜성들 막아주는 가드 역활 많이 해주었죠 .. 태양도 g형으로 안정화 되어 있고 거리도 적당해서 조석고정도 안된 위치이고 ... 멋찐 태양계 g형이나 k형 항성에 더 생명체 있을가능성이 높을것 같아요 적색항성은 너무 작아 골디락스 존이 너무작고 가까워 조석고정에 방사능에 생명체가 살수 있는 환경을 이루지 못하는것 같아요 ...

  • @Ifrrit

    @Ifrrit

    10 ай бұрын

    역활 ㄷㄷ

  • @user-bc9wq1qr4g

    @user-bc9wq1qr4g

    10 ай бұрын

    오타 날 수도 있는 거지! 과학엔 바보들이 꼭 오타 가지고 시비더라!

  • @한국마크1짱

    @한국마크1짱

    10 ай бұрын

    ​@@user-bc9wq1qr4g오타 날 수도 있지 근데 진짜 맞춤법 모르는 사람들 중에 역할을 저렇게 쓰는 사람이 많아서 함 찔러봤다 할 수 있지만 저렇게 시비거는건 아니긴 하지

  • @london3843

    @london3843

    10 ай бұрын

    @@한국마크1짱항성 분광형을 아는 사람이 설마 저걸 모르겠나요 오타같아요

  • @한국마크1짱

    @한국마크1짱

    10 ай бұрын

    @@london3843 그건 그렇다만..

  • @user-dq9xk6rc3s
    @user-dq9xk6rc3s10 ай бұрын

    1%라고 해도 어마어마 하게 많은거...하지만 너무너무멀어서 우리가 알수 없는거임. 그건 상대방도 마찬가지고 아직 우주도 손쉽게 나가질 못하는데 있고없고를 따진다는건 어불성설.

  • @younghwangbo6198
    @younghwangbo619810 ай бұрын

    문제는 별의 갯수가 지구의 모래알갱이 개수 만큼 많다는것. 사막의 모래 해변의 모래를 모두 포함한 지구의 모래알갱이 수

  • @WaterFist1
    @WaterFist110 ай бұрын

    인류는 외롭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 @bcj1273
    @bcj127310 ай бұрын

    아주 낮은 확률로 지성체가 등장한다고 해도 그 지성체들이 동시대를 살아갈 확률까지 생각하면 극히 낮은 확률일듯 지성체끼리의 만남은 거의 불가능할거 같음

  • @ncs2253
    @ncs225310 ай бұрын

    1%면 겨우가 아닙니다....

  • @withctow
    @withctow10 ай бұрын

    커드 커넥션 폼 미쳤다..

  • @mr.7305
    @mr.73059 ай бұрын

    태양처럼 자체적으로 빛나지도 않는 행성들이 눈에 뛴다는게 신기하네요.

  • @GoogIe_UK
    @GoogIe_UK10 ай бұрын

    1%면 엄청 높네 리니지M 신화 확률이 0.001%다 그런데 수백명이 그걸 뽑았다

  • @user-ew4eg7uj2l
    @user-ew4eg7uj2l10 ай бұрын

    달탐사 과연 인류예게 득일카 독일까요😔

  • @user-kp6qc5zk8z
    @user-kp6qc5zk8z10 ай бұрын

    죽기전에 외계생명체를 찾았다는 소식을 듣고 싶네요

  • @somethfun
    @somethfun10 ай бұрын

    생명체가 존재하는 행성은 우주에서 지구 뿐일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dhyu1909
    @dhyu190910 ай бұрын

    우주에서 1%면 굉장히 큰 숫자 아닙니까?

  • @Kwang-Min-Lee
    @Kwang-Min-Lee9 ай бұрын

    그런데 태양계처럼 다른 우주에 있는 행성들도 크게보면 비슷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않을까라는 생각도 드네요 💡 💭 🤔

  • @user-pz4vj7pe8y
    @user-pz4vj7pe8y10 ай бұрын

    없다고 할수는 없겠지만 시간적차이와 공간적크기로 봐서는... 못찾을듯...

  • @kig0204
    @kig020410 ай бұрын

    1%면 은하 사진에서 100개 보면 그중 하나라는거네... 엄청 많네

  • @user-lo2nf3nl6o
    @user-lo2nf3nl6o10 ай бұрын

    와아아... 입이 다물고 싶어도 다물수없네요 태양계에서 질량이 1%인데 태양계의 밖에서 빛속도 관찰해고면 태양보다. 질량행성들이 많았어 은하계의 괴물행성 많구나

  • @mark2011
    @mark201110 ай бұрын

    ㄷㄷㄷㄷ

  • @글쓰는그리폰
    @글쓰는그리폰10 ай бұрын

    BGM 넣으시면 조회수 더 잘 나올꺼 같아요

  • @user-vr4xy9nu1s

    @user-vr4xy9nu1s

    10 ай бұрын

    잘 때마다 우주먼지님 목소리 들으면서 자는데 브금넣으면 거슬려서 잠 안와요ㅋㅋㅋ 먼지님 목소리가 자장가임

  • @cataclysmhw4394
    @cataclysmhw439410 ай бұрын

    꿀잼

  • @wowdecay
    @wowdecay10 ай бұрын

    9:42 에 지금 지구의 상태가 생명 탄생을 위한 상태가 아니라고 남겼는데 썸넬이나 제목만 보고 댓글 다는건가...

  • @hjw332
    @hjw33210 ай бұрын

    그 1%라는것도 현재 인류가 관측 가능한 우주내에서 그나마도 상당히 제한된 몇가지 측정-추정 방법으로 발견?한 고작 행성 1만여개내의 샘플 몇개정도 가정에 불과한거 아닌가. 대체 이 우주엔 얼마나 많은 행성과 위성들이 존재할지.. 늘 그랬듯이 인류가 지금 꽤 많이 아는것 같지만,아직 인류는 지적생명체나 그이하 생명체를 외계에서 발견하고 증명해내기엔 과학기술은 한참 모자라다는게 내 생각. 즉 영상의 개미비유처럼 우리가 아직 지적생명체를 발견하지 못한거지 지적생명체가 존재하지 않는것과는 한참 다르다는거

  • @igniz2002
    @igniz200210 ай бұрын

    어... 그런데 우주적인 규모 자체를 생각한다면 그 1%는 굉장히 큰 숫자 아닙니까? ㄷㄷㄷ 전 또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 정도라고 할까봐 걱정 많이 했단 말이죠.

  • @happy_virus0

    @happy_virus0

    10 ай бұрын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라도 태양계의 몇경배 몇해배 몇조배 이상은 될듯

  • @igniz2002

    @igniz2002

    10 ай бұрын

    @@happy_virus0 아니 아니 아니 ㅠㅠ 그 규모 말고요 ㄷㄷ

  • @alsid_

    @alsid_

    10 ай бұрын

    적어주신 확률이 되어버리면 또 찾기 어려운게… 우주 전체로 보면 별이 매우 많지만, 실제 우리가 가볼 수 있는 지역은 우리 주변 은하계 몇 개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가속팽창으로 인해 가볼 수 없구요. 그마저도 은하 사이의 이동은 고사하고 항성계간 이동도 어렵습니다. 오히려 태양을 가속시켜 은하속을 돌아다니는게 더 현실성이 있을 정도죠. 일단 당분간은, 적어도 현재 살고 있는 천문학자들이 살아있는 동안에는 지구궤도 정도에서 보이는 외계행성들을 보는 수 밖에 없으니 현역 천문학자들 기준으로는 체감적 기대값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igniz2002

    @igniz2002

    10 ай бұрын

    @@alsid_ 끄덕~ 그렇군요.

  • @agibag2266
    @agibag226610 ай бұрын

    왜 지구형 행성이 안쪽에, 가스 행성이 밖에 있을지 생각해 보았는데 "지구, 수성, 금성, 화성은 많던 가스를 태양에 빼앗기고 덩어리만 남았다." 가 정답 아닐까요 그리고 다른 행성계 작은 건 아직 잘 보지도 못하는거 같던데ㅛ....

  • @koppee1093
    @koppee109310 ай бұрын

    단순히 골디락스 존에 행성이 있을 지라도, 자기장여부, 오존층, 대기압, 자전/공전, 산소 비율이 생명체가 존재할 좋은 조건을 갖춘 행성의 존재 확률은 더 떨어 질 것 같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생명체가 자유롭게 살지 못하는 척박한 환경이라면, 지적 생명체 진화가 안되고 암모나이트 수준에 머물러 있을 것 같다. 그랫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은 좀더 많겠지만 지적생명체 조건은 더욱 확율이 떨어지느 것 아닌가? 지적 생명체라면 여컨상 직립보행에 엄지손가락이 도구를 쓸수 있는 구조여야 할 것같다. 아니면 돌고래니 침팬치가 건물을 질 수 없기 때문에.. 지구적 생각이지만 다른 외계라고 해서 다를 것 같지 않다. 결국 지적생명체는 사회를 구성하고 문화를 창출할 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 별이 어디든. 즉 결론은 외계 지적 생명체의 존재는 우리은하에 손꼽을 수준 정도 수 일 것 같고, 그 거리가 너무 멀어 UFO를 통한 외계생명체를 접촉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 아닌가? 제 생각.

  • @kimdoohan1
    @kimdoohan19 ай бұрын

    아마 다른 행성에서 지구를 관측한다면 아직도 티라노사우르스가 궁디흔들면서 사냥 다니는 모습이 보야수도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10 ай бұрын

    그런 태양계가 없는게 아니고 현재기술론 안보이는것 일뿐 ..

  • @user-lh2zd7xs6j
    @user-lh2zd7xs6j10 ай бұрын

    은하 은하군 아님 은하단에 지성이 있은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이 1개라고해도 엄청 다양한 외계인이 있을수 있는 엄청난 우주크기

  • @jsa89888
    @jsa8988810 ай бұрын

    1%만이 우리 태양계와 비슷하다고 해도 항성들 상당수가 행성들을 거느리고 있으니 우리 은하의 5~6천억개 항성들 중에 1천억개의 항성들이 행성들을 거느리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1%면 10억개의 항성이 우리 태양과 비슷한 행성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 우주 전체의 은하들까지 생각한다면 단 1%라도 엄청난 숫자임

  • @user-ds9cj2he9f
    @user-ds9cj2he9f10 ай бұрын

    아직 일르지 않나요 ? 옆 태양계 프록시마 b 도 어떡해 생긴지 아직 모르는데 ?

  • @therock79983
    @therock7998310 ай бұрын

    즐감

  • @user-xd9jo1tr5i
    @user-xd9jo1tr5i10 ай бұрын

    인류역사를거쳐 콜롬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고 그곳의 원주민을 마주했듯이 결국 외계문명을 발견할거같내요 아 물론 지구가버텨준다면

  • @arcofsea9751
    @arcofsea975110 ай бұрын

    우주 사이즈에서 보자면 아무리 확률이 낮더라도 미미하게라고 있다면 존재하는거지 1과0인데 찾냐 못찾냐 이싸움인거지.. 지구가 증명한것이니.. 시기에 문제겠지

  • @user-li7ev1zu1p
    @user-li7ev1zu1p10 ай бұрын

    2:28 태양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소행성대가 있는데, 태양계 초기에 있던 행성이 큰 충돌로 산산조각되어 소행성대가 형성되었다는 이론이 있었는데 그 이론에 대해선 설명해주지 않으셨네요. 위의 이론 대로라면 행성이 있었다는 이론을 뒫받침해줄 수 있는 이야기네요. 기술이 조금만 더 발전하면 외계행성생명체는 금방 발견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저는 외계에 지적생명체는 없어서 인간이 유일한 지적생명체라고 생각하는데 외계에 생명체는 무조건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 @user-iy4gb9nn2z
    @user-iy4gb9nn2z10 ай бұрын

    모든 행성에는 생명체가 살고 있습니다 가스형 행성만 빼고요

  • @user-mt2if1mb4y
    @user-mt2if1mb4y10 ай бұрын

    인류는 태양계를 벗어날 수 없다

  • @xxkxxxx
    @xxkxxxx10 ай бұрын

    있어도 어차피 못만나~ 강원도에 있는 개미랑 뉴질랜드에 있는 개미가 평생 못만나듯이

  • @kopoohrep7775
    @kopoohrep77759 ай бұрын

    확률로 따지면 정자가 난자만날 확률도 있는데

  • @kmkj5281
    @kmkj528110 ай бұрын

    외계생명체 탄생에대해 꼭 지구와같은 행성에서만 생성된지않을수있다고들하는데 그럼 왜 지구에만 생명체가존재하는가??? 그것은 우주방사능을 막아주는것이 지구에서처럼 있어야하고 물 산소 (달도있어야하지않을까🤔🤔🤔🤔🤔)기타 지구의주건에맞는환경이 있어야만 가능할것이다 그렇지않고 지구와같은 환경에서도 생명이 탄생할수있다면 지구보다 오래된 곳에 생명체가없는지 심각하게 생각해봐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