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맞추지 않는 우리 아이, 자폐스펙트럼 장애일까? | 세브란스 소아정신과 천근아 교수 | 부모 아이심리 소아정신과

#천근아교수 #자폐스펙트럼 #아이마음을다안다는착각
진료 대기 5년, 대한민국 '소아정신과 명의' 천근아 교수 인터뷰
1부 보기 • 4~12세 자녀를 둔 부모가 알아야 할 ...
-
📚도서 [아이 마음을 다 안다는 착각]
아이의 속마음, 똑똑하게 알아차리고 현명하게 대응하는 방법
교보문고 bit.ly/3J1ygbr
예스24 bit.ly/3ZQLmyk
알라딘 bit.ly/3J0ac8Q
-
[#지식플랫폼 #하우투]
========================================
하루 중 아주 잠시만 시간을 투자한다면 일어나는 우리 마음의 작은 변화를 전합니다.
라이프 에세이 프로젝트. 지식플랫폼 ‘#하우투’

Пікірлер: 37

  • @rachelim2747
    @rachelim2747 Жыл бұрын

    어쩜 이리 말씀을 잘하시죠.. 우리나라에 교수님이 계시다는게 정말 감사하네요😮

  • @user-or4er2dn8t
    @user-or4er2dn8t Жыл бұрын

    천근아 교수님 최고의 전문가님의 말씀을 듣게 되어 감사합니다.

  • @kimyerim_tv
    @kimyerim_tv9 ай бұрын

    말씀 잘 들었습니다. 다 할수있을것 같은데 죄책감은 가지지말라고해도,부모탓이 아니라해도 안가질수가 없네요..

  • @love-ip5si
    @love-ip5si5 ай бұрын

    저희 딸은 18개월 무렵 10번 부르면 한 번 반응 할까말까 하더니 이거먹을래?하면 다른 방에 있다가도 뛰어 오더라구요. 엄마가 부르는게 좋은게 없다고 생각했던것 같아요. 교수님 말씀대로 단순히 호명이나 눈맞춤만으로는 판단 할 수 없는것 같아요. 지금 6살 됐는데 그냥 보통 아이거든요ㅎㅎ

  • @Piani-star
    @Piani-star3 ай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laellee7841
    @laellee7841 Жыл бұрын

    정말 정확한 설명입니다. 많은 분들 도움 받으시길..

  • @user-on7sk7qn2d
    @user-on7sk7qn2d Жыл бұрын

    우리손녀딸이비슷한증상을보여조마조마하며언어치료랑놀이치료병행하고있습니다 도움되는영상이었습니다

  • @user-mz6fp6kd5h
    @user-mz6fp6kd5h8 ай бұрын

    20갤까지 애가 엄청 순했어요. 너무 혼자 잘 놀아서 제가 안돼라고 할 순간이 많이 없더라구요. 위험행동을 전혀 안하고 장난감만 가지고 잘 놀았거든요. 지금 생각해보면 제가 너무 개입을 안해서 아이가 사회성이 느리게 발달되기도 했나봐요. 곧 두돌인데 다시한번 잘 해봐야겠어요. 힘낼게요!

  • @user-vf2ed9jr6c
    @user-vf2ed9jr6c2 ай бұрын

    좋은말씀너묵ㆍㅁ사합니다

  • @user-id8un3we3v
    @user-id8un3we3v11 ай бұрын

    34개월 남아 키우는데 눈맞춤 호명반응 썸네일이 너무 와닿아서 들어왔어요 호명반응은 좋아졌고 눈맞춤은 아직 아이가 좋아하는 노래 부르기 이런것이 아닌이상 좋지는 않은 것 같아요.. 장난감은 기능적으로 사용하나 아직 말이 확 트이질 않아서 책에서 본 꽂히는 말, 노래를 부를때가 많아요.. 트램폴린에서 노래부르면서 뛰는데 걱정하지 않았다가 동영상보니 살짝 걱정이 되네요.. 기기부터 느렸던 아이인데 단순히 느린아이인지 아니면 자스인지 아직도 고민되는 부분이 많아요 어린이집 피드백은 나쁘지 않고 눈치도 있고 꾀돌이이긴 한데 참 답답하네요 일단 치료받으면서 지켜보고 있어요 선풍기에 꽂혀서 집에 있는것 다 가져와서 손으로 돌려보고 하는데.. 더워서 켜면 바로 꺼버리고요 단순히 좋아서인지 증상인지.. 말이 안터져 알수가 없네요🥲

  • @user-ew9kq8vx9v
    @user-ew9kq8vx9v Жыл бұрын

    정말 명쾌하네요... ^^

  • @nabihome_
    @nabihome_3 ай бұрын

    과도하게 낙담하지 말라는 말씀 동의합니다. 호주 거주중이고 아이가 작년에 오티즘 스펙트럼 진단을 받았어요. 일반 아동보다 언어치료, OT 등 특수한 도움이 더 필요하다는 걸 알고 책임감이 느껴지긴 하지만, 자폐 아이 키우는 한국부모님들과 호주부모님들 커뮤니티나 댓글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고 느껴져요. 한국은 더 세상이 무너지는듯한 절망 같은.. 그런 이야기가 많네요. 진단받고 서럽게 우는 부모님과 패널들 나오는 프로그램도 많이 본 거 같아요. 호주에선 인식이 좀 더 신경정신학적 "차이"라고 받아들이는 편이예요. 앞으로 아이가 세상과 섞여살아갈때 좀더 편안할 수 있도록 코치하는것이지 아이를 억지로 neurotypical로 만드는게 목적이 아니라고 배웁니다. 제 나름으로는 사람이 물에 사는 동물이 아니지만 물에 빠졌을때 생존능력을 키울 수 있고 물놀이도 즐길 수 있도록 수영 가르치는 것처럼, 우리 아이도 비자폐인이 될 필요는 없지만 비자폐인과 의사소통하기 편하라고 OT 받고 스피치 받는다 생각하고 있어요. 자폐든 비자폐든 귀하고 사랑스런 우리 아이들 모두 건강하게 크기를 바랍니다.

  • @nabihome_

    @nabihome_

    3 ай бұрын

    제가 본 것중에 제일 명쾌했던 윤선아 선생님 나오는 영상 공유합니다. kzread.info/dash/bejne/l4Opy6d_pZqaZag.htmlsi=RhV5UzaBYHils-Yg

  • @jinhimchan
    @jinhimchan Жыл бұрын

    아이의 호명반응이 없은지 한참 되었기도하고 또래와는 좀 다른.. 성장중이라고 느껴지는 바가 많아요. 매일 저녁을 자폐스펙트럼 아이를 키우는 영상을 보며 죄책감과 불안감을 느껴요. 하도 보다보니 아이가 자폐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자폐라면 그냥 빨리 받아들이고 치료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이제는 자리잡기 시작했습니다. 자동차를 보면 바닥에 굴리고 노는것보다 위에 노래를 반복적으로 들으려고 하고 바퀴를 돌리기만합니다. 블럭맞추기 또한 입으로만 자꾸 들어가네요. 구강기가 지났는데 꽤나 집착이 심한건지 조금 느린건지... 사람을 좋아하기는 하는데 상호소통이 아니라 그냥 새로워서 좋아하는 느낌입니다. 또래 친구들과 노는것을 좀 어려워하고 아빠뻘의 아저씨들에게 다가가곤합니다.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데 친구들과 함께 있는 사진보다는 주로 선생님과의 단독으로 보내는 시간이 많다는걸 알수가 있을정도구요. 걱정이 굉장히 많이 되지만 두돌이 지나고나서 봐야한다는 말들도 있어 현재 두돌까지 지켜보는중이긴 합니다. 몇년 대기 걸어야하는 소아과 의사 선생님이 이분이셨군요...ㅎㅎ

  • @user-sj7cz4bj5w
    @user-sj7cz4bj5w10 ай бұрын

    저희아기는 호명 반응이 36개월되야 조금씩 하게되더라고요 시그널인지 모르겠어요 지금 잘 안보고 장난감에서 혼자놀구 그러더라고요 이게 자페 시그널인지 모르겠네요 지금44개월인데요 언어 .인지. 감통을 3종류의 치료하고있어요 그래도 자폐스페트럼 의심된다고 그런다는데 아직 결과는 모르겠어요 ㅠㅠ

  • @user-mz6fp6kd5h
    @user-mz6fp6kd5h9 ай бұрын

    21갤 아기인데 모든 예시에 해당되네요.. 안돼라고 말해도 못알아듣고 장난감 본연의 목적으로 가지고 노는게 아닌 문고리만 달랑거리고요. 호명반응 눈맞춤 당연 안되구요. 마음이 참 답답합니다.. 이아이를 키우는 삶이 정말 힘들 거 같아요. 참 못난 엄마네요...

  • @sebergjean7262
    @sebergjean726211 ай бұрын

    26개월이고 기능적인 문제도 없어보이고 눈치도 있구요. 상동행동도 없고 말도 빠른편이고 자발어도 많고 본인 의견 표현 잘 합니다. 말을 잘 하는데 핑퐁대화는 아직 약한편입니다. 단 하나 눈맞춤이 약하면 진료가 필요한걸까요? 엄마와의 상호작용에서는 문제없는 눈맞춤인데 어린이집에서 눈맞춤이 약하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저도 가끔 그런 부분이 좀 다른가? 할때가 있어요. 사회적인 규칙, 가족과의 상호작용, 요구, 눈치, 환경적응 등등등 문제가 없지만 눈맞춤만 약한건 어떻게 생각해야하는 부분일까요?

  • @user-lf4nf7py3b
    @user-lf4nf7py3b3 ай бұрын

    사회성도 인지도 늘 좋게 높은 37개월 남아가 쉽게 주눅들고 눈맞추는걸 어려워하는데 괜찮나요?

  • @user-ky1ko9jn5v
    @user-ky1ko9jn5v8 ай бұрын

    식단하는거 전 효과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양육방식에 문제있는부모많습니다 아이에게하루종일 핸드폰보여주는데 어떻게 의사소통이될까요 현대의학에선 여러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빠른연구가 필요해보입니다 매일 센터만 가라고 하지말고요

  • @user-mz6fp6kd5h
    @user-mz6fp6kd5h9 ай бұрын

    여쭤볼게 자폐 요인이 유전자 변이라고 하셨는데요. 울애들이 일란성 아들쌍둥이인데 선둥이는 자폐 성향을 보이고 후둥이는 보통 아기 같아요.. 유전자가 같은 일란성둥이 인데도 한명만 자폐일 수가 있을까요?

  • @user-wy7vx8pt7i

    @user-wy7vx8pt7i

    3 ай бұрын

    저도 너무 같은 상황인데 궁금합니다!! 일란성이면 세포분열인데 선둥이만 의심스러워서요 혹시 문제는 해결되셨나요?

  • @user-pc5dl7dk2g
    @user-pc5dl7dk2g2 ай бұрын

    성인 자폐는 어떤증상인가요?

  • @user-ct6ky7bn8l
    @user-ct6ky7bn8l Жыл бұрын

    포퓰리즘식 오은O님의 케바케식 모호한 나열보다는, 책임감 있는 임상, 팩트, 논거, 통계 좋습니다..!

  • @loech656

    @loech656

    Ай бұрын

    도움되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꼭 두분이 비교될 필요는 없죠. 두분다 도움이 되는 좋은 분이라 생각해요. 한분을 추켜세우기 위해서 다른 한분을 평가절하할 필요는 없습니다. 충분히 오박사님을 통해 일반 대중들이 큰 도움 받고 있거든요.

  • @user-xt5ix8wq2w
    @user-xt5ix8wq2w11 ай бұрын

    좋은거는 유전이라고 얘기하고 이런 나쁜 증상은 유전이 아니라고 말하는거 같은데요? 자폐아도 다 어른이 되고 세상을 다 살아가는데 지금 생겨난 병이 아니고 기존에 있던 병인데 선진국이 되고 아이가 귀해지니 그런것까지 신경쓰게 되고 병으로 만드는거 아닌가 싶네요. 저도 제 아이가 말이 없어서 병원상담도 받았는데 의사 앞에서도 말 안하긴 마찬가지였죠. 하지만 지금은 직업 군인으로 그 엄한 단체생활 잘 하고 있고 여전이 말수가 적은건 지금도 그래요. 원래 병원은 모든 증상에 병명을 붙이는거고 과학이나 의학이 발달하고 정신과란 진료가 생기면서 중요해진 병 아닐까 싶네요. 자폐아의 증상만 듣다보면 누구나 조금씩은 그런면이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애들때나 어른이 되도~

  • @user-fg3uh8yz8v

    @user-fg3uh8yz8v

    10 ай бұрын

    글 감사합니다. 남다른 아이와 살다보니 시야도 감정도 좁아져서 스트레스가 많은데ᆢ 막연하지만 응원받는거같아요^^

  • @user-xt5ix8wq2w
    @user-xt5ix8wq2w11 ай бұрын

    어릴때 호명반응이나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건 자기 자신에게 집증해서 아닐까요? 아직 사회생활이 부족해서

  • @kk-sw5zp
    @kk-sw5zp10 ай бұрын

    5세 말도 잘 못하고 언어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말을 워워 어어 하고 말을 간혹해도 상대방이 네 해야지 하면 네!가 아닌 해야지 상대방 끝말 만 따라합니다. 집에서는 대.소변을 잘 가린다고 하는데 다른 곳 다른 사람한테는 표현도 못하고 대변도 팬티에 실수합니다. 지금은 조금 좋아졌지만 팬티에 실수하고 손으로 엉덩이를 만져 그 손이 입으로 갔었습니다. 이런 아이가 자폐아 인지 궁금하네요. 엄마는 병원 진료도 안했다고 하고 진료 받으려고 예약하면 오래 걸린다고 만 하고...그 아이에게 지금 제일 필요한 건 정확한 진단과 치료인것 같은데...이런 아이가 자폐아 인지 궁금하네요.

  • @kliff823

    @kliff823

    9 ай бұрын

    다른 영상의 전문의 설명 콘텐츠도 시청해 보시길. 섣부른 오지랍인지 몰라도 가능성이 꽤 될거 같네요. 빠른 검진이 나은 선택일듯.

  • @user-rt2lz4do6c
    @user-rt2lz4do6c9 ай бұрын

    머여

  • @user-uc1jp4ji9i
    @user-uc1jp4ji9iАй бұрын

    다 좋은데 치료비가 문제지요….

  • @user-hb6gr2pt1f
    @user-hb6gr2pt1f10 ай бұрын

    아이들을 공감해주지 않아서 자폐가 되는거 같아요 공감을 받지 못한 충격을 받은 일이 있었을거 같아요

  • @moodeppoQ17

    @moodeppoQ17

    10 ай бұрын

    공감해주는 여부와 자폐와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어요ㅠ 공감 1도 못받아도 자폐 아닌경우 많구요. 공감 엄청 많이 받아도 자폐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글은 자폐아 부모들에게 너무 상처가 될 거같아요ㅠ

  • @user-ei7uc3hh5f

    @user-ei7uc3hh5f

    10 ай бұрын

    알지도 못하면서 나불대는것보다 무관심이 차라리 낫다

  • @user-ho8zm4cc7h

    @user-ho8zm4cc7h

    8 ай бұрын

    정말 아무것도모르고 하는소리네

  • @user-uz1nb8td6s
    @user-uz1nb8td6s10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 주류의학 너무 싫다 .. 완치는 모르지만 좋아지는 사례 너무 많은데 그거런거 다 무시하고 한약이야기 하는거 아님 .. 자폐 부모님들 소아정신과 보다 좀 더 넓은 세상을 보세요. 한약은 피하고 좋은 음식 좋은 영영제를 챙겨 주는게 이런 영상보다는 더 도움이 돠실겁니다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