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혼욕이 국룰이었던 더 큰 고려ㅣ옷 입고 샤워했던 조선시대 목욕 과정

Ойын-сауық

🥟교양만두 멤버십 가입하기 : / @smartmandoo 🥟
최근 [고려 거란 전쟁]을 보다가 발견한 패륜!
아니 엄마가 목욕하는데 다 큰 아들이 막 들어와?!
.......아 패륜이 아니고 찐으로 그랬다고?
남녀 혼욕이 국룰이었던
목욕광인 고려인들과
옷 벗고 씻는 것조차 극혐했던
미쳐버린 유교맨 조선인들까지.
오늘의 교양만두 [옛날 목욕 문화]입니다.
#교양만두 #한국사 #온천 #고려사 #고려거란전쟁
일러스트ㅣ강동한
*참고문헌
『한국 온천 이야기』ㅣ다케쿠니 토모야스ㅣ논형
「옛 문헌을 통해 본 한국인의 목욕의식」ㅣ안옥희, 김학민, 김현지ㅣ한국생활과학회지ㅣ2004
「조선시대 온양 행국의 건립과 변천 과정」ㅣ김일환ㅣ순천향 인문과학논총ㅣ2011
「우리나라 목욕의 풍속사적 연구」ㅣ조효순한국복식학회ㅣ1991
「대사를 앞두고 치렀던 작은 의식 목욕」ㅣ안옥희ㅣ우리문화 vol.279ㅣ2020.01

Пікірлер: 548

  • @user-byuljeonnam
    @user-byuljeonnam5 ай бұрын

    고려 때 보다 조선시대에 종기로 쓰러진 왕들이 많았던 건 다 이유가 있었다는...

  • @user-yt9mn9ge5r

    @user-yt9mn9ge5r

    5 ай бұрын

    세조: 씻었다고 ㅠㅠ

  • @hans.m5460

    @hans.m5460

    5 ай бұрын

    영조: 나..나두.. 씻었어 ㅜㅡㅜ

  • @cualcualcual

    @cualcualcual

    5 ай бұрын

    궁중예법 어쩌고하면서 통풍안되는 옷을 잘때도 입고있어서 그런거 아님?

  • @user-oh8rf7dt1w

    @user-oh8rf7dt1w

    5 ай бұрын

    @@cualcualcual 정답입니다 그것말고도 언급하신것도 있고... 거의 워커홀릭식의 엄무때문에..단명하는경우도있죠.. ㄷ

  • @MonDeaSSang

    @MonDeaSSang

    5 ай бұрын

    왕은 많이 먹는데, 그만큼 운동을 안해서 그럼. 영조는 소식을 했다지만.. 좁아터진 궁 안에서 통풍도 안되는 곤룡포를 거진 잘 때 빼고 하루죙일 입는데..

  • @lusyel1
    @lusyel15 ай бұрын

    조선이랑 고려 순서가 바뀌었다면 좀 더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나라가 됐을것 같은데...

  • @user-mazelcitkwzea

    @user-mazelcitkwzea

    5 ай бұрын

    그러면 거란 야율융서가 조선을 통째로 삼켰을듯

  • @user-xl8by4yo5m

    @user-xl8by4yo5m

    5 ай бұрын

    페미때문이야. 정치권에서 세금으로 만든 여성단체이 남성성욕을 다 묶어버림 7080녠대에도 거리에 영화포스트에 젓꼭지 그대로 노출하고 S급 여배우들 배드씬 촬영은 국눌이였음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5 ай бұрын

    ㅋㅋ 고려가 조선보다 좋아보이지맘 실상은 중세시대임…. 더 비합리적인 나라였음 조선도 조선초엔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노답조선이아니었음 임란쯔음부터 망해야할 나란데 수명연장하느라 이상해지기 시작한거지

  • @user-lm8ir8cx4p

    @user-lm8ir8cx4p

    5 ай бұрын

    신분제는 고려가 더 단단하고 까다로웠으니까 다 장단점이 있는거겠죠

  • @user-rf4ls6xj7x

    @user-rf4ls6xj7x

    5 ай бұрын

    ​@@user-lm8ir8cx4p동성애가 일본에도시대뺨칠정도로 발전했어서 예쁜남자는 신분상승쌉가능이였던시대라 불공정하다보지않아요. 못생긴한남은 평생노비가 맞다고보는지라

  • @hotwo7021
    @hotwo70215 ай бұрын

    중국은 석회질이 많고 건조한 기후라 물이 귀해 목욕을 하기 힘든 환경이지만 화강암 기반이라 물이 깨끗해 목욕하기 좋은 한반도... 이것만큼은 단군할아버지 감사합니다

  • @user-rz3br8tf1h

    @user-rz3br8tf1h

    5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사람들 지저분하다고 외국인 선교사들이 이야기하던데!!!

  • @thom777

    @thom777

    5 ай бұрын

    ​@@user-rz3br8tf1h 봄 가을 겨울은 춥잖아요. 일본처럼 곳곳에서 온천수가 나오는것도 아니고

  • @user-vl3jt9lq7n

    @user-vl3jt9lq7n

    5 ай бұрын

    ​@@user-rz3br8tf1h애초에 사람마다 기록하는 부분이 다르고 보고 느낀 것도 다릅니다. 당연히 그 중에서도 카더라로 이루어진 부분도 상당히 많은게 당시 외국인들의 기록입니다. 누군가는 조선인이 최악의 위생관념을 가졌다고 까던 놈도 있는 반면, 조선인이 아시아에서 가장 깔끔한 민족이라고 평가한 사람도 있습니다. 애초에 조선시대에 목욕하는걸 먼 땅에서 온 이방인에게 보여주는 게 더 이상하긴 하죠;;

  • @SpaceChicken7

    @SpaceChicken7

    5 ай бұрын

    @@user-rz3br8tf1h조선은 고려에 비해 안씻었다고 영상에 나와있는데 본거임?

  •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

    5 ай бұрын

    @@user-rz3br8tf1h 하필 그 시점이 서양 사람들이 목욕에 빠지기 시작한 시점이라 ....

  • @Kei-man
    @Kei-man5 ай бұрын

    고려때 보다 조선시대때 전염병이 많이 있었던 이유 중 하나 입니다 외국을 봐도 로마제국은 천년을 넘게 이어왔지만 목욕 시스템이 잘 되어있었기에 전염병이 돌았던 적은 극히 적었고 중세 유럽은 전염병으로 인구 절반 이상이 꼴까닥 했죠. 흑사병, 천연두, 콜레라, 발진티푸스...

  • @choichoimj

    @choichoimj

    5 ай бұрын

    뭔가 그럴 듯 한데요.

  • @Kei-man

    @Kei-man

    5 ай бұрын

    @@gribouillage0412 한글을 모르시나 보군요

  • @ksmb2333

    @ksmb2333

    5 ай бұрын

    고려가 전염병이 적었던 건 잘 모르겠는데... 기록이 적은거 아닐까요? 그리고 조선사람들이 고려보다 덜 씻었다고 해서 = 중세유럽과 같은 수준 = 아존내 드러워로 은근 몰아가시는데... 현대인도 고려보단 덜 씻습니다. 목욕을 맨날 하는 대신 샤워를 하잖아요. 조선의 위생관리, 즉 부분욕도 샤워에 준하는 위생효과라고 봐요. 손발 구강 얼굴 사타구니 이런 곳을 맨날 씻으면 냄새도 안 나고, 무엇보다 드러워서 생기는 질병은 막습니다. 머리도 매일 동백기름을 바르고 먼지는 참빗으로 걸러냈다고 하죠.. 그 긴머리를 물에 담군뒤 제대로 안 마르면 곰팡이 피니까, 나름 합리적이었던 거 같아요. 조선이 기근으로 인구 날려먹은 적은 있지만, 유럽처럼 수인성 질병으로 인구를 뭉테기로 날려먹었단 기록은 본 적 없네요. 흑사병균도 분명 동양에 있었는데.. 일제시대에 경제적 수탈로 환경이 열악해진 뒤 콜레라는 꽤 돌았고 그게 소설 토지에 나오긴 하지만, 토지도 구한말 조선 문화를 더 야만적이고 열악하게 그리는 등 역사왜곡 은근히 많다고 하쥬..

  • @claret5271

    @claret5271

    5 ай бұрын

    @@ksmb2333 사실 로마도 목욕 많이 하는 문화긴 해도 그 때 기술력+모래와 기름을 쓰던 로마 특성상 물이 생각보다 많이 더러워서 마냥 깨끗하다고 보기엔 또 뭐한 부분이 있었죠

  • @hawk8873

    @hawk8873

    4 ай бұрын

    @@ksmb2333 /글쎄요. 구한말 기록보면 정말 토악질 나올 수준이던데요. 일반 서민이 아닌 고관대작들 까지도 숨을 못 쉴정도로 기름 쩐내와 땟국물 때문에 정신이 아득해 질 정도였다고,,, 무슨 합리적이고 무슨 위생을 논할 수준인지 싶네요. 찾아보시면 구한말 서구인들이 기록해 놓은 것이 있습니다. 그리고 조선은 정기적인 전염병으로 시달리던 국가였고 다행히도 이는 역사 기록에 다 나와 있습니다. 하멜 표류기에도 언급이 있을정도죠.

  • @Honey_Black_Tea
    @Honey_Black_Tea5 ай бұрын

    그들은 고증에 충실했다닠ㅋㅋㅋㅋㅋㅋㅋ시작부터 빵 터졌네요.

  • @user-cc1pr5eg9y
    @user-cc1pr5eg9y5 ай бұрын

    저 몇백년전때도 얼마나 안씻었으면 고려인들이 중국인들보면 안씻는다고 했을까...근데 지금도 안씻는 중국인들 진짜많은걸 내가 언제느꼈냐면.. (현직 메이컵일하는사람입니다) 어떤 아이돌 출장 촬영현장갔을때였는데 거의 일주일간 촬영이었음.. 거기 중국멤버, 미국교포, 같이있었는데 중국멤버애들 아침에 메이컵받으러 의자에 앉으면 머리도 안씻어서 자고일어난 새집머리그대로이고 그 특유의 쩐내..?라고하나..오줌찌린내도 약간섞인 안씻은냄새가 항상났음..근데 중국멤버애들한테만 남...근데 옆에서 헤어받고있던 한국멤버애들은 같이 숙소생활을해서그런지 안씻는걸 아는지 " 야!~~ 너 또 안씻었지?!? 좀 씻어진짜!~~~" 라고 매일같이 중국멤버애들 놀림;;;;; 근데도 안씻음.......;;;;;;

  • @hybolk

    @hybolk

    5 ай бұрын

    캐나다에서 공부할때도, 내 앞자리 않던 중국 유학생애 보면 매일 아침 머리가 뻗쳐있는데 뻗친 위치가 매일 같음.. 그리고 토론토에서도 지하철 타러 내려가는데 2020년인가? 온몸에 명품 휘두른 딱봐도 20대 초반여자앤데 머리에 왕비듬이랑 기름이 엄청났음...ㅎㄷㄷㄷ 그렇게 머리에 기름 많은거 태어나서 첨봄... 머리카락 지성인 사람이 한 2주일은 안감은듯... 근데 어려서부터 유학온 애들은 다르더군요. 현지화 패치된건지.

  • @son7797

    @son7797

    3 ай бұрын

    NCT,세븐틴?

  • @answer_mind

    @answer_mind

    Ай бұрын

    저는다행이라고 보는데 13억이 매일샤워하면 수질오염 장난아니겟죠

  • @user-yg4oz9kr7x

    @user-yg4oz9kr7x

    22 күн бұрын

    ㄴ하긴 맞는말이세요 내곁에만 안오면 될뿐ㅋㅋㅋㅋㅋㅋ

  • @chaca7631
    @chaca76315 ай бұрын

    고려한테 더럽다고 욕먹었던 송나라가 정작 서양에는 청결민족으로 소개됐다죠.

  • @user-kl5yd3cy9q

    @user-kl5yd3cy9q

    5 ай бұрын

    유럽은 목욕하면 병 걸리는 줄 알고, 안 씻고 향수 뿌림. 걔네 입장에서는 가끔이라도 씻는 중국인들이 지들보다는 깔끔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듯... 지금도 서양인이나 중국인들 중 우리나라사람들만큼 잘 씻는 사람 소수 아닌가?

  • @Cham-sae

    @Cham-sae

    5 ай бұрын

    그당시 목욕문화 대신 향수문화가 압도적으로 발전했던 어메이징한 유럽..

  • @user-li7ib4ml1d

    @user-li7ib4ml1d

    5 ай бұрын

    ​@@Cham-sae평생 한번도 안 씻는게 자랑이라는 어메이징을 자랑하던 중세...

  • @net.ko_
    @net.ko_5 ай бұрын

    와 진짜 온양 온천 겁나 가고 싶다 ㅠㅠㅠㅠ 온천에서 푹 늘어뜰어져서 둥둥 떠다니고 싶다 증말

  • @user-mv5bk2fx9f
    @user-mv5bk2fx9f5 ай бұрын

    우리민족은 씻는 dna가 있는 거 맞은 듯요. 20년전 쯤 중국 갔을때 조선족과 한족등 같이 여러 사람들과 숙식할 일이 있었는데 그때 부분적이라도 열심히 씻었던 건 조선족뿐이었어요. 그걸보고 화장실 시설의 수준보다 무언가 내재된 것이 더 크다고 느꼈음.

  • @user-sj3pp1sb1e
    @user-sj3pp1sb1e5 ай бұрын

    고려거란전쟁 주변에 열심히 영업하고 사는데 교양만두 직원분들도 고려거란전쟁 보시는거 보니까 내적친밀감 한꼬집 늘어난거 같고 참 좋네요

  • @user-qd3dn5lx9u
    @user-qd3dn5lx9u5 ай бұрын

    하루에 2번 온수로 씻을 수 있는 현대문명에 너무나 감사하다... 앞으론 꾀 부리지 말고 얌전히 입 닫고 씻어야지

  • @jjinglove
    @jjinglove5 ай бұрын

    일본애니에서 가족들끼리 같이 목욕하는 모습을 보고는 커다란 충격을 받았던 그때가 떠오르네요, 물론... 지금도 큰 충격이지만....😮

  • @Ycmjg37143

    @Ycmjg37143

    5 ай бұрын

    일본은 목욕자체가 씻는게 목적이 아니라 따뜻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어서 일본은 씻는건 무조건 "샤워"라고 해요. 원래 그래서 일본은 샤워하고 욕탕이든 온천이든 들어가는게 맞는데 중국인들하고 몇몇 일본의 10대들이 그렇게 하지 않고 그냥 욕탕이나 온천에 들어가 욕탕물과 온천물 위생이 정말 안 좋다고 해요.

  • @hyunkim7607
    @hyunkim76075 ай бұрын

    3:42 충주 수안 보온천 (X) 충주 수안보 온천 (O)

  • @leedennis3945

    @leedennis3945

    5 ай бұрын

    기계 낭독인 듯..

  • @Shozzang

    @Shozzang

    3 ай бұрын

    기계 아닌거같은데.. 그냥 젊은이들 상식부족 ㅜㅜ

  • @Drjkpark

    @Drjkpark

    11 күн бұрын

    인간이라면 너무 멍청한듯ㅜㅜ

  •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5 ай бұрын

    목요일 교양만두 오늘도 잘보고갈게요~ 😄

  • @user-rw5pu6mx4z
    @user-rw5pu6mx4z5 ай бұрын

    이번거 유익하네요😂

  • @user-xd2wp4od3e
    @user-xd2wp4od3eАй бұрын

    목욕도 목욕인데 전반적으로 고려가 조선보다 뭔가 좋은 나라였던거 같음

  • @hayeonkim7838
    @hayeonkim78385 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libertybellliberty6096
    @libertybellliberty60965 ай бұрын

    1123년 고려 인종 시절에 중국 宋나라 사신 서긍이 고려에 와서 고려의 제도 문물 생활 풍습을 자세히 기록한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약 900년전 우리 조상들의 자유 분방한 목욕 생활 풍습 기록했는데 먼저 목욕 문화에 대해 이렇게 기록했다. 고려를 다룬 옛 사서에서는, 고려의 풍속이 다 깨끗하다 했는데 지금도 그러하다. 고려 사람들은 번번이 중국인이 때가 많다고 비웃는다. 고려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면 먼저 목욕을 하고 문을 나서며, 여름에는 날마다 두번씩 목욕을 하는데 시냇가에서 많이 한다. 남자 여자 구별 없이 의관을 언덕에 놓고 물굽이 따라 벌거벗는데, 이런 일을 괴상하게 여기지 않는다.

  • @imapuella231

    @imapuella231

    3 ай бұрын

    져분이 기록한 개성 단어 1천자 거의다 해서ㄱ이 되더군여 한국어는 고구려어 패서지역 황해도 지역 기반 언어가맞음 한양도 원래 말씀이 개성말투 같아여

  • @user-iq7qg6qd3k
    @user-iq7qg6qd3k5 ай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너란 만두 그럴 만두 잘씻는 교양만두

  • @user-sm6jf2to1s
    @user-sm6jf2to1s5 ай бұрын

    오 그래도 왕이면 물을 끓여서라도 목욕하게할줄알았는데 추워서 겨울에 목욕하기 싫어했다니 신기하다

  • @U_makeperfectday
    @U_makeperfectday5 ай бұрын

    우와 수안보온천이 조선시대부터 있던 곳이였다니 신기해요! 😮

  • @user-rq9tb9fq9k
    @user-rq9tb9fq9k5 ай бұрын

    7분 전ㄷㄷ 국밥때부터 보고있어요 응원합니다🎉🎉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5 ай бұрын

    머리 가려워서 😅어떻게 참았대...... 하루만 지나도 가려워 미침

  • @normal77079
    @normal770795 ай бұрын

    중국인들이 본토에서 안씻는건 뭐 그렇다칠 수 있는데 외국 나와서까지 안씻는걸 보면 그냥 핑계 아닐까 싶더군요.

  • @dkc2018

    @dkc2018

    8 сағат бұрын

    문화는 무의식에 형성되어 현실 의식을 제어함. 인간의 생각은 엄청난 관성을 가져 핑계라기보단 자연스런 현상임. 드라마, 영화처럼 속마음?고민? 현실엔 1도 없음. 현실이 훨씬 잔인한 이유.

  • @MegaPunchpunch
    @MegaPunchpunch5 ай бұрын

    2:36 졸귀탱이네 진짴ㅋㅋㅋㅋㅋㅋㅋ

  • @user-dv2pk6og3s
    @user-dv2pk6og3s5 ай бұрын

    고려거란전쟁의 영향이 여기도 퍼졌네요.

  • @hglove35
    @hglove355 ай бұрын

    오늘은 썸네일부터 재밌네용

  • @user-ve5dm4fl6r
    @user-ve5dm4fl6r5 ай бұрын

    오늘도 꿀잼🩷

  • @jowoohada
    @jowoohada3 ай бұрын

    내가 목욕을 좋아하는게 다 이유가 있었군…우리 만두님 오늘은 꼬질귀엽

  • @everyheart565
    @everyheart5655 ай бұрын

    ㅋㅋㅋ썸넬에 표정 미친 ㅋㅋ😂

  • @june_joy
    @june_joy5 ай бұрын

    교양만두 책 출판 하셨던거 이제야 알았네요~! 저는 유튜브 지식채널은 출판한 책이 있어야 차별화된 높은 수준이라는 편견을 갖고있습니다. 자주올게요 ~~♡

  • @anz1004
    @anz10045 ай бұрын

    덧붙여서 조선시대 특히 사대부 집안에선 전신욕을 하는 경우엔 아예 목욕 전용 옷 or 속옷을 입고 불편하게 목욕을 했다고 합니다.

  • @Dawn._
    @Dawn._5 ай бұрын

    언제든 뜨끈한 물로 쾌적하게 목욕할 수 있는 현대의 목욕 기술에 감사합니다

  • @user-rk9kl8lc9h
    @user-rk9kl8lc9h5 ай бұрын

    고려거란전쟁을 아시는 교양만두 폼 미쳤다

  • @user-ot5eg8nd5g
    @user-ot5eg8nd5g5 ай бұрын

    고려랑 조선이랑 순서만 바꼈어도 진짜 역사 크게 바꼈을텐데, 근데 고려 사람들 대단하긴 하다, 계곡물 여름에도 찬데 어케 매일 하냐

  • @dkc2018

    @dkc2018

    8 сағат бұрын

    물론 조선도 일본 침략 보고서에 위대하고 찬란한 조선 문화를 1순위로 말살해야함.정도로 대단한 나라였지만, KOREA = 고려.만 봐도 세계적으로 볼때 조선보다 고려가 수준 높은듯요.

  • @Eng_hobi0128
    @Eng_hobi01285 ай бұрын

    이제 교양만두님 좀있음 구독자 90만명이네요 100만명까지 가봅시닼ㅋㅋㅋ

  • @2019tndls
    @2019tndls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user-ry7tr9bb6f
    @user-ry7tr9bb6f5 ай бұрын

    예전에 엄마가 학교 갔다 들어오면 첫마디 씻고 밥먹자~

  • @2345pok
    @2345pok5 ай бұрын

    그놈의 유교가 뭔지 참 고려시대가 자유분방했네

  • @trainsim--guy
    @trainsim--guy5 ай бұрын

    온양온천역 근처에 온양시장이 있는데 거기즘…에 발 족욕체험장이 있었요 뜨뜻하담니다

  • @user-kw4zc2ts1u
    @user-kw4zc2ts1u5 ай бұрын

    목욕 잘 안하는 사람도 하고싶게만드는...

  • @qu3vip
    @qu3vip5 ай бұрын

    어떻게 된게 킹갓제네럴엠페럴대왕세종님은 파도파도 끝이 없으신 분이구나..... 일반 백성을 위해 탕도 만들어주고 개방까지 해주셨다니..... 그저 빛...

  • @Dawn._

    @Dawn._

    5 ай бұрын

    하지만 수식어는 전부 외국어...ㅋㅋㅋ

  • @ljp1333

    @ljp1333

    5 ай бұрын

    설마 당뇨병 환자가~ 중국을 뼈속까지 사대했던 세종이~

  • @alffksltmxk

    @alffksltmxk

    5 ай бұрын

    그냥 한 국가의 문자를 창제한거 하나만으로도 한반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간임. 그것도 넘사벽으로..

  • @user-om6wd9jm6k
    @user-om6wd9jm6k5 ай бұрын

    고려 때가 좋았어~ >

  • @user-dp2oy6ij8p
    @user-dp2oy6ij8p5 ай бұрын

  • @user-np5il8rk6w
    @user-np5il8rk6w5 ай бұрын

    교양 만두가 당몰이보다 훨씬 유익하다 ㅋㅋㅋ

  • @FN_hana
    @FN_hana5 ай бұрын

    사극에서 옷입고 씻는게 방송수위때문인가 했는데...

  • @Zuilietzhan
    @Zuilietzhan5 ай бұрын

    아니!! 머리부터 발끝까지 뻑뻑 문질러!!

  • @sodagumiho
    @sodagumiho5 ай бұрын

    앜ㅋㅋㅋㅋ목욕의 민족이다ㅋㅋ

  • @user-nv9qy8ko5y
    @user-nv9qy8ko5y5 ай бұрын

    4:19 고려, 조선시대 때 왕족들이 사용하던 온천을 복원해서 관광지로 만든다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ㅎㅎ

  • @user-dj9go6mr8d

    @user-dj9go6mr8d

    5 ай бұрын

    이미 온양온천이나 유성온천 수안보온천은 온천 관광특구랍니다😊

  • @user-zg9fq4gd5m

    @user-zg9fq4gd5m

    5 ай бұрын

    널린게 온천임. 서울온천, 신길온천, 도고온천, 앙성온천 등

  • @allankwon
    @allankwon5 ай бұрын

    30대 입니다만 제가 어릴때 추석이나 설날 이전에 부모님과 목욕탕을 꼭 가서 때밀었어요...코로나 시대가 오고 가족끼리도 따로 살게 되면서 사라진 문화가 된듯 합니다. 요즘은 목욕탕을 잘 안가죠 사람들이

  • @hongjh7725
    @hongjh77255 ай бұрын

    3:45 충청 아산 사람이므로 행복합니다ㅏ

  • @kyt87
    @kyt875 ай бұрын

    3:44 '수안_보'온천이 아니라 '수안보'온천이라고 발음하는게 맞아요^^

  • @Sitopop919
    @Sitopop9195 ай бұрын

    와우~

  • @smartmandoo

    @smartmandoo

    4 ай бұрын

    WoW

  • @user-ke8jj9gg9t
    @user-ke8jj9gg9t5 ай бұрын

    보이는곳만 씻는거! 자신있슴돠(겨울이니깐☺️)

  • @ILoveDalgona
    @ILoveDalgona5 ай бұрын

    아오 이러니 고려가 짱인건가 ㅋㅋㅋㅋㅋㅋㅋ

  • @gimgankoomg4168
    @gimgankoomg41685 ай бұрын

    시대와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안씻기로는 유럽인들이 최고지. 지금이라도 물이 귀해지면 유럽엔 평생 안 씻을 사람들 많다.

  • @user-cs8wb8cm8g
    @user-cs8wb8cm8g5 ай бұрын

    역시 갓세종

  • @chieeeeeyyy
    @chieeeeeyyy5 ай бұрын

    그놈의 종교땜에 청결 망해버림 ㅋㅋㅋㅋㅋ 동서양 다

  • @user-mp7rw8zs3h
    @user-mp7rw8zs3h5 ай бұрын

    티니핑이 인기많은 이유도 알려드릴 수 있나요?❤❤❤❤❤❤

  • @HBJR87
    @HBJR875 ай бұрын

    1:38 크흠 옳게 된 말이다

  • @user-ce8sk1si1s
    @user-ce8sk1si1s5 ай бұрын

  • @BWUAlarak
    @BWUAlarak5 ай бұрын

    '고려왕조는 K-합스부르크다'

  • @user-lv5zf8lk7g

    @user-lv5zf8lk7g

    Күн бұрын

    헹~ 내 뇌피셜 아니라 인터넷 PDF자료보니 유럽 주걱턱이 우성이라더라. 유럽 13가문에도 주걱턱 우성이라 밝혔고, 삼성병원에도 유럽과 일본의 주걱턱은 우성이라고. 한국만 열성. 유럽 주걱턱이 열성패턴 보였지만 열성이라고 단정하지 않았고, 어떤 글 보니까 불완전한 우성이라는데 불완전한 우성이면 열성 마비시키진 못하고 열성도 같이 나타나게 되기 때문에 불완전한 우성은 열성패턴을 나타난다는 말이 될 수도 있고. 그리고 주걱턱은 울나라에서 열성이어도 부모 한쪽이 주걱턱이면 자식이 주걱턱일 확률 개 높음. 혹시나 해서 하는 얘기고. 고려가 K-합스브루크였어도 주걱턱인자 없으면 백날해봐야 주걱턱 없음. 거기에 유전적으로 문제없으면 근친해봐야 기형 만들기 어렵긴한데.. 3촌 이내는 유전결함이 12.5%라고 함. 사촌간이 4~7%. 근친이 단점만 있는 게 아니라 장점도 있음. 유전자가 같아서 특정 형질을 고정시켜 자손에게 대대로 물려준다는 거. 그리고 뛰어난 유전자는 더욱 발현시킨다는 점. 예를 들면, 고려의 천재성이 같은 천재성을 가진 고려인과 결혼해서 애 낳으면 아이는 그대로 천재성을 물려받아 다음 자손에게 천재성을 물려줄 수 있는데.. 피가 다른 사람이 똑똑한 유전없으면 자손은 똑똑한 애를 낳거나 평범한 아이를 낳게 된다는 거임. 그래서인지 고려말, 조선초기까지는 정말 똑똑한 인재들로 꽉꽉채워졌는데 비해 조선은 날이 갈 수록.. 천재가 유교와 성리학에 미치면 사리분간 못하는 사람이 된다는 건지 아니면 진짜 천재성이 옅어지는 건지.. 아니, 천재성이 옅어지는 거지. 세종에게서 인조와 고종을 만드는 걸 봐도 뭐.. 아니 고려도 못난이가 태어났긴 했다만서도 고려보다 합스가 덜한 조선이 고려보다 못난 임금이 탄생되는 게 말이 됨? 진짜 백번 만번 양보해도 청에게 당한 후에는 정신 바짝차려서 분석하고 더 강하게 키워도 모자를 판에 지 아들 죽이고, 며느리 죽이고 겨우 한다는 게 청나라에게 이를 가는 거? 고종은 진짜 더 안습임. 원나라 쿼터혼혈에 신돈의 자식으로 추정되는 우왕차왕 빼면 공양왕이 저만했는 지 모르겠는데 망국의 왕이라고 해도 내 인식에선 통일신라의 경순왕?은 아주 현명한 망국의 왕이었고, 공양왕은 아직 잘 모르겠지만 정도전이 고증대로 했다함 시대가 시대였을 뿐 안쓰러운 왕이었다고 평가하는데 비해 순종은 자기 친모 죽고, 궁중사에서 많은 고초로 이미 피폐해진 왕이라 예외하고 고종은 진짜.. 그냥 답이 없음. 외국인이 볼 때에 실제 조선의 마지막 황제가 순종이니 순종으로 하여금 마지막 대한제국황제의 모습을 말하지만 사실상 이미 망한 대한제국의 황제의 모습이 고종이나 다를바 없지. 조선이 합스 고려보다 나은 게 뭐가 있는지 싶음. 조선초기까지는 고려의 피가 아직 식기도 전이니 조선초기 제외하고.

  • @sangminlee3136
    @sangminlee31365 ай бұрын

    온양이 원래부터 온천으로 유명했군요. 수안보는 87년도 신입생오리엔테이션으로 유명했다는.

  • @user-xi7ec5dw2c
    @user-xi7ec5dw2c5 ай бұрын

    수안 보온천아니고 수안보라는 지역에 온천이있습니나... 수안보 온천...ㅠ😢

  • @user-fg6gz2ch9c
    @user-fg6gz2ch9c4 ай бұрын

    보보경심려 보면은 1, 2화쯤에 세족터(목욕탕)에서 평민들이 씻는 신 나오더라고요~

  • @user-tu6fr7si1c
    @user-tu6fr7si1c5 ай бұрын

    잘보고 가겠습니다. 사실 보기 시작한것은 최근인데 요요님 목소리 를 자주 들었던것이 팩트였습니다. 떠난것을 최근에 보았기에 앞으로도 모든 영상을 자주 보겠습니다.

  • @Shooting-star182
    @Shooting-star1825 ай бұрын

    유교가 만악의 근원!

  • @user-mi7vi1ke6k
    @user-mi7vi1ke6k5 ай бұрын

    고려때는 과부도 다시결혼할수 있었죠 여자 인권이 높을때가 국가의힘도 컸죠... 목욕문화도 발달했다는게 이게 문화가 높다는거임 바꿔서 보면 로마시대가 대표적 목욕문화가 발달했죠

  • @user-nh1ks4cz4q

    @user-nh1ks4cz4q

    Ай бұрын

    과부가 재혼할 수 있다고 인권이 높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남자에 비하면 고려여성 인권이 낮았어요 조선이 너무 쓰레기같은 나라라서 그보다 낫다는것이죠 고려도 엄격한 신분제 사회고 여자는 사회진출도 어려웠어요 조선시대도 하층민 여성들은 결혼을 여러번 했어요 아무남자나 눈맞으면 동거를 했는데 애비가 누군지도 모르는경우가 반이나 된다고 했어요 남자는 재미만 보고 애가 태어나면 책임은 오로지 여자가 졌어요 고려시대에 성적으로 자유로우면 뭐합니까 애를 여자혼자 독박으로 키워야 하는데 남자만 재미보는거죠

  • @lunatic0820
    @lunatic08205 ай бұрын

    목욕은 좋은것이여

  • @LV24VL
    @LV24VL5 ай бұрын

    십여년 전에 중공 여행갔을 때 꼬질꼬질한 사람들 보고 기겁했었죠. 재작년에 뉴욕 공항에서 중공인 일가족과 엘리베이터를 같이 탔는데 와 몇달은 묵은 듯한 쉰내에 깜짝 놀랐고, 혹시라도 일행으로 오해 받을까봐 뜬금없이 한국말로 연기까지 했다니까요. 차림새도 괜찮은 게 미국 오갈 중공인이면 없는 사람들도 아닐텐데 말이죠. 걍 중공인들은 위생관념이 우리랑 다른가 싶었음.

  • @user-of2cm9dx4b
    @user-of2cm9dx4b5 ай бұрын

    공자가 이 나라 다 망친겨...유교 젠장할거...

  • @user-lv5zf8lk7g

    @user-lv5zf8lk7g

    Күн бұрын

    ㄹㅇ. 유교를 아직까지도 숭상한 인간들은 유교실드 치는데 지금 당장 유교문화였던 조선하고 유교가 아직 보급이 잘 안 되던 고려하고 비교해봐도 조선이 더 별로인데.. 요즘 유교보면 이제는 사이코같다는 생각 많이함. 본인이 유교유교 얘기해도 웃긴 게 본인들이 절대 유교를 안 따름. 머리카락 자르는 것부터 시작해서 살이 드러낸 옷까지. 그래놓고는 유교가 얼마나 좋은 지 설명하던데.. 유교 아니어도 효를 행하라는 건 어느 곳에나 나옴. 자기들만의 교리인 줄 앎. 그럼 유교 들이기 전까지 우리나라 조상들이 효를 안했다는 건가? 게다가 우리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국가인데 자꾸 유교국가라고 함. 유교 버린지가 언젠데.. 유교 보면 화가 머리끝까지 나는 게.. 그렇게 유교니 뭐니 하면서 성균관대나 그 뭐냐? 유교하는 놈들보면 수염 밀고, 머리카락 자르면서 본인이 유교라고 함. 그냥, 유교의 본고장인 차이나에 가버렸으면 좋겠음. 동성이본은 안 따질 테니 유교사상 의 본고장에서 결혼할 상대가 얼마나 많을.. 아니다. 김해 김씨랑 김해 허씨랑 결혼도 말라하는데 인류의 시초가 아프리카의 한 어머니부터 시작되었으니 유교는 결혼할 상대가 없겠다. 다 형제 자매라.

  • @lasikbottle8309
    @lasikbottle83095 ай бұрын

    고려가 최고다

  • @user-bg4hb2bj2m
    @user-bg4hb2bj2m5 ай бұрын

    중국사람은 아직도 안씻는 사람은 안씻던데 우리나라는 목욕문화가 그래도 빨리 있었나보네

  • @gretsu222

    @gretsu222

    5 ай бұрын

    중국 북쪽은 습기가 적고 날씨가 추워서 비교적 씻는 횟수가 적었을겁니다

  • @user-fx3zu1wd1d
    @user-fx3zu1wd1d5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의 교훈 5:25

  • @user-rb6tg9fo2h
    @user-rb6tg9fo2h5 ай бұрын

    키야 목요일날 퇴근하고 집에와서 교양만두 신편 보면서 편안히 뒹구는게 삶의 낙인지 아부 절대 아님그러니까 하트 좀 부탁드립......!! 라고 할 줄 알았죠

  • @sunlee8754
    @sunlee87545 ай бұрын

    나만 그런게 아니었구나.. ㅋㅋㅋ

  • @judgejung488
    @judgejung4883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서양에 Chosion이 아닌 Korea로 알려지고 기억된건 너무나 다행이다...ㅎ

  • @hydrider
    @hydrider5 ай бұрын

    요요형님은 요즘 어떻게 지내실려나..

  • @athanasius0000
    @athanasius00005 ай бұрын

    지금도 똑같애.....

  • @user-jb1cf3mm1s
    @user-jb1cf3mm1s5 ай бұрын

    적당히 보이는곳만?! 앗 디러!!

  • @in._.yuha0519
    @in._.yuha0519Ай бұрын

    고려!!! KOREA!!!!🇰🇷

  • @user-bj3lq2er4k
    @user-bj3lq2er4k4 ай бұрын

    온양사는 사람이지만 온천 정말 좋습니다 ㅎ___ㅎ 뜨끈하게 지지러 오세용

  • @erhulady
    @erhulady3 ай бұрын

    한국도 건식욕실로 온도조절 가능할 듯 해요. 천정에 난로설치 하기도.... 재밌었어요

  • @seeitfar
    @seeitfar5 ай бұрын

    영상을 보고 앞니만 닦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Kukuking
    @Kukuking5 ай бұрын

    조선의 유교 탈레반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

  • @user-wu6cg8mk5h
    @user-wu6cg8mk5h5 ай бұрын

    온양온천물 진짜 좋음 때잘밀림

  • @user-vr4xs1mw6c
    @user-vr4xs1mw6c2 ай бұрын

    온양행궁 위치가 어디지?

  • @user-nk5nd9hn6o
    @user-nk5nd9hn6o3 ай бұрын

    요즘은 플랑크톤 언니가 귀여워 보이네 아 선인장인가?

  • @notime4caution
    @notime4caution5 ай бұрын

    중국은 원래 물이 좋지 않아서 물을 끓여 먹는 문화였고 물을 사용하는 요리 대신 기름을 쓰는 요리가 발달했죠. 물로 인한 질병이 많아 군대에서는 물을 끓여 먹지 않으면 처벌까지 할 정도였음 반면에 물이 깨끗한 한국, 일본은 차가운 물을 먹는 문화가 자리잡았고 ㅋㅋ

  • @user-sd8fe8ij7l

    @user-sd8fe8ij7l

    5 ай бұрын

    그래서 중국이 울나라 두부를 사랑했다고 들은거 같기도하고

  • @TV-xi2xf
    @TV-xi2xf5 ай бұрын

    안 봣지만 재밋다

  • @tasha5585
    @tasha55855 ай бұрын

    만두님 겨울동안 가까이 오지 마세요

  • @user-rq1he1qi5r
    @user-rq1he1qi5r5 ай бұрын

    수안 보온천이 아니라 수안보 온천이에요 ^^

  • @user-im5or9ee3q
    @user-im5or9ee3q5 ай бұрын

    한달에 한번 깨끗한 물에 머리감기 vs 냇가에서 매일 머리감기

  • @user-ku3jv5ix9v
    @user-ku3jv5ix9vАй бұрын

    고려❤

  • @user-ys1yq2gr3x
    @user-ys1yq2gr3x5 ай бұрын

    오뚝이 장남감의 역사에 대해 알려주세요!

  • @mus239
    @mus2395 ай бұрын

    근데 수도꼭지 한번이면 물 나오는 시대에 아재들 오줌싸고 왜 손 안씻죠?

  • @hyeseons7929
    @hyeseons792912 күн бұрын

    저 저기 저, 마지막에 조상님들 본받아 부분 목욕하자 하신 거요… 앞전에 ‘얼굴 손 발 사타구니’라고,, 하셨는데… 사타구니가 보이는 부위는 아니잖아요… 😅😅

  • @user-bs9ow6ws5l
    @user-bs9ow6ws5l5 ай бұрын

    너무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게 문제였던 것

  • @user-qi12fh-124sfc
    @user-qi12fh-124sfc5 ай бұрын

    조상님들의 역사 공부를 주제로 영상하나 만들어주세요

  • @gr2d
    @gr2d5 ай бұрын

    수안 보온천이 아니라 수안보 온천이에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