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과 비교하지 않고, 속 편~히 살고 싶다면? ㅣ 아주대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 X 개그맨 서경석

⏰ 바쁜 분들을 위한 타임라인 ⏰
01:25 ① 꼭 한 번쯤은 겪는, K-비교문화?
03:56 ② 대한민국, 특히 비교가 심한 편일까?
05:39 ③ 왜 자꾸 비교하게 될까?
10:27 ④ 비교하는 습관, 꼭 나쁠까?
13:09 ⑤ SNS, 건강하게 활용하는 법?
15:47 👨‍🏫김경일 교수님의 미니 강연
↳ 철학자 '니체'가 말하는 행복한 삶
45:06 💪일상 속 비교 상황 극복법
53:41 🎤현장 질의응답
--------------------------------------------------------------------------------------------------
[한화생명 x 3PRO] 김경일의 지혜의 밤
지혜롭게 나이 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매주 일요일 밤 7시 보이는 라디오
김경일의 지혜의 밤 23화 FULL 영상입니다.
✨ 주제 : 남과 비교하지 않고, 속 편~히 사는 법
✨ 함께해 주신 분들 : 김경일 교수 & 개그맨 서경석
“어떻게 나이들 것인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 영상은 한화생명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안내 말씀]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Пікірлер: 36

  • @3protv
    @3protv2 ай бұрын

    ⏰ 바쁜 분들을 위한 타임라인 ⏰ 01:25 ① 꼭 한 번쯤은 겪는, K-비교문화? 03:56 ② 대한민국, 특히 비교가 심한 편일까? 05:39 ③ 왜 자꾸 비교하게 될까? 10:27 ④ 비교하는 습관, 꼭 나쁠까? 13:09 ⑤ SNS, 건강하게 활용하는 법? 15:47 👨‍🏫김경일 교수님의 미니 강연 ↳ 철학자 '니체'가 말하는 행복한 삶 45:06 💪일상 속 비교 상황 극복법 53:41 🎤현장 질의응답 -------------------------------------------------------------------------------------------------- [한화생명 x 3PRO] 김경일의 지혜의 밤 지혜롭게 나이 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매주 일요일 밤 7시 보이는 라디오 김경일의 지혜의 밤 23화 FULL 영상입니다. ✨ 주제 : 남과 비교하지 않고, 속 편~히 사는 법 ✨ 함께해 주신 분들 : 김경일 교수 & 개그맨 서경석 “어떻게 나이들 것인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 영상은 한화생명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안내 말씀]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NO_bread_rice_cake
    @NO_bread_rice_cake2 ай бұрын

    '한시대 성장의 원동력이 다음시대 성장의 발목을 붙잡는다'

  • @poorbird2023

    @poorbird2023

    2 ай бұрын

    ㅇㅈ 나를 성장시키는 것이 나를 제한하는 것이기도 하다

  • @user-sp7xg5yh2g
    @user-sp7xg5yh2g2 ай бұрын

    감동이 있고 사랑이 있고 해탈이 있고 요기 다 있네요~아모르 파티!!!

  • @salee7152
    @salee71522 ай бұрын

    늘 감사합니다.

  • @yamorange6379
    @yamorange63792 ай бұрын

    와우. 두 분 완전 좋아~

  • @user-rc4lh4cf3y
    @user-rc4lh4cf3y2 ай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 @user-sj6no4gn7y
    @user-sj6no4gn7y15 күн бұрын

    좋은정보 좋은명언 감사합니다

  • @bbjj7777
    @bbjj77772 ай бұрын

    명불허전입니다👍🙏

  • @user-qu9oo6yy3g
    @user-qu9oo6yy3g2 ай бұрын

    두 분 딱 좋아요^^

  • @user-ud8ln6rj9q
    @user-ud8ln6rj9q2 ай бұрын

    자세가 요리조리 멋지네요

  • @user-mg2zv5oc6x
    @user-mg2zv5oc6x2 ай бұрын

    속 편히 사는법 조아용❤

  • @Kogu_ma
    @Kogu_maАй бұрын

    유튜브가 있어서 이런 강의도 멀리안가고 앉아 볼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그래도 직접 가서 보고 듣는게 더 좋지만요~~교수님강의를 부산에서 듣고 싶은데 어디로 알아봐야 일정표를 볼 수 있을까욤?아시는 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Missyun0049
    @Missyun00492 ай бұрын

    15:47 와~~~^^ 김경일교수님 강연이다~~^-^😊

  • @lesliekim7948
    @lesliekim79482 ай бұрын

    내가 비교 안 할려고 해도, 주위 사람들이 비교질 합니다. 한민족은 비교의 민족, 오지랖의 민족

  • @Missyun0049
    @Missyun00492 ай бұрын

    1:01 와~~~^ㅡ^ 김경일교수님이다~~^-^😊😊

  • @hanyonglee657
    @hanyonglee6572 ай бұрын

    교수님. 언제부터인가 문장끝에 네네를 반복하시네요.

  • @Missyun0049
    @Missyun00492 ай бұрын

    김경일교수님 강의와 토크콘서트 잘봤어요~~^^

  • @yonk4260
    @yonk4260Ай бұрын

    니체 ❤

  • @Missyun0049
    @Missyun00492 ай бұрын

    21:12 맞아요..ㅋㅋㅋㅋ

  • @stevejeong2755
    @stevejeong2755Ай бұрын

    살기위해 탈출이 답이다.

  • @user-fw3nj5bk6j
    @user-fw3nj5bk6j2 ай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강의 시청 잘 했습니다. 가. 사회. 1. 사회 영역에, ⑴ 철학이 있고, 1.1. 사회를 구분하면, ⑴ 다 문화 사회(평등). ⑵ 전체주의 사회(불평등). 2개. 1-1. 의미. ⑴ 철학을 구분하면, ① 다 문화 사회=평등 사회 철학. ② 전체주의 사회=불평등 사회 철학. 2개. 가.1. 적용: 니체. (니체 철학은 모릅니다.) 1. 니체 글에서, ⑴ 모두가 읽는 글(철학)을 쓰느니, 아무도 읽지 않는 글(철학)을 쓰겠다. ⑵ 모두가 먹는 고기(철학)가 되느니, 아무도 먹지 않는 돌(철학)이 되겠다. 를 1.1. 적용 하면, ⑴ 모두가 읽는 글(철학)=불평등 사회 철학. ⑵ 아무도 읽지 않는 글(철학)=평등 사회 철학. ⑶ 모두가 먹는 고기(철학)=불평등 사회 철학 ⑷ 아무도 먹지 않는 고기(철학)=평등 사회 철학. 이 되겠네요. 1.1.1. 기타. ⑴ 니체 시대 사회 철학(글·고기)=불평등 사회 철학(글·고기). 2. 심리학에서, ⑴ 아무도 읽지 않는 글=개방성. 이라고 하고, 2.1. 니체 철학에서, ⑵ 아무도 읽지 않는 글=다 문화 사회 철학. 이고, 2.2. 다 문화 사회=개방성(평등성). 이니, 2-1. 의미. ⑴ 심리학과 철학은, 어떤 공통점이 있군요. 3. 방송 유익하게 시청했습니다.

  • @FastestSloth-K
    @FastestSloth-K2 ай бұрын

    "왜?" 라는 질문을 하면서 부하 직원을 수시로 괴롭히는 직장 상사는 행복하게 자란 사람일까요?

  • @Missyun0049
    @Missyun00492 ай бұрын

    17:18 아.. 진짜요??

  • @donghwi8428
    @donghwi8428Ай бұрын

    진짜 탈한국하고 싶음 ㅠㅠ

  • @dongohlhfy1790

    @dongohlhfy1790

    27 күн бұрын

    ㅋ 꼭 모지란것들이 이리 생각하더라. 한국 나가면 니가 바뀔거같냐? 외국가도 넌 똑같애ㅋㅋ

  • @donghwi8428

    @donghwi8428

    27 күн бұрын

    @@dongohlhfy1790 미칀 구독 수준하고 ㅋ 히키커모리 주제에 입은 살아있네 ㅋㅋ

  • @johnsmith-kz4iz
    @johnsmith-kz4izАй бұрын

    개인혼자 발버둥쳐도 온세상이 그래서 소용없음..

  • @user-wr6zt9lh7n
    @user-wr6zt9lh7n17 күн бұрын

    전 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데, 일단 비교하는 사회가 '되어 간'건, 배운게 비교라서. 공교육에서 성적매길때 뭐하죠? 등급 매기죠. 근데 등급을 점수로 매기나요? 아니죠. 내가 몇 퍼센트안에 들었냐에 따라 나뉨. 애초에 공교육부터 아이들한테 비교하는걸 가르치는데 뭐... 당연한거라 봄. 참고로 독일은 전체주의를 겪은 뒤, 이걸 아동 학대라 생각한다고 함. 피곤하기에 비교한다...? 음. 인과가 반대인거 같네요. 비교하니까 피곤한 거 아닌가요? 피곤한 사람한테 뭐 먹을지 물어보면 막 뭐먹을지 비교 안함. 대-충 알아서 정하라고 떠넘기죠. 근데 피곤해도 상사가 내 실적을 딴 사원하고 비교한다? 그럼 더 피곤해지겠지만 일 더 해야죠ㅋㅋ 우리나라가 잘 나아간건 경쟁한 것도 있겠지만 그만큼 서로 협력도 잘해서라 생각함. '법대로만 하면 서로 힘들어지니 우리끼리 합의 보자'라고 하는 식의 귀차니즘+성급함+협력이 창의적인 해법을 많이 만들어냄. 솔직히 전세도 우리나라 말고는 없죠. 적당한 경쟁은 좋지만, 과도한 경쟁은 협력을 방해하는게 문제. 그리고 현재는 매애애우 과도한 경쟁사회죠. 아까 전세를 예로 들었는데 지금 전세 사기 많죠? 왜 그럴까요? (뭐, 경제성장율 하락도 원인이긴 하지만, 그건 조건에 가까우니...ㅎㅎ) 나르시스트가 많아진것도 극심한 경쟁이 한 몫함. 그들은 '내가 경쟁에서 이기고 싶지만, 노력하고 싶지 않아/능력이 안돼. 그러니 정치질해서 남을 끌여내려 나를 높이자' 라는 심리를 가진 인간들이죠. 보통 협력사회에서 이들은 방해만 되니 자연도태됨. 근데 지금 사회는 과도한 경쟁을 부추기고, 이는 저런 해악을 경쟁의 일부로 보고 방치하죠. 마지막으로 경쟁은 공정할때 유익함. 하지만 공정하지 않을때는 그만큼 사회에 해로움.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상대가 지름길로 가버리거나, 먼저 출발하면 경쟁이 무슨 의미임? 근데 지금 사회는 공정한가요? 상대평가를 하는데, 공교육은 무의미하니 사교육이 판치고. 나는 열심히 일하는데, 건물주나 대주주는 놀면서도 나보다 더 벌고. 난 내집 마련을 하지도 못하는데 누구는 집이 여러 채라 (미국에 비해도 세발의 피 수준인) 주택세가 너무 많다고 투덜거리는데 정부가 그걸 또 감세해서 집값 올리고. 과연 이게 옳은건지 생각해보시길.

  • @LucyTer

    @LucyTer

    11 күн бұрын

    학교까지 갈거 없이 우리는 눈이 있기에 세상의 모든것을 어쩔 수 없이 비교를 합니다. 그렇지만 피곤할 때 유독 우리는 나를 아프게 하는 비교를 많이 하게 된다 생각해요. 오늘 유독 지치고 힘든데 지나가는 길에 사람들이 웃고 있다거나 sns에서 행복한 모습을 본다거나, 평소에는 넘어갈 수 있는 일도 피곤하기 때문에 “쟤네는 뭐가 그리 잘났지? 나는 왜 못났지?” 라고 비교를 한다는 것을 말씀하신 거라고 생각합니다 또 한국이 잘 산건 경쟁으로 인해 협력 했다고 하셨는데 그 협력이 커지지 못하고 안으로 굽어서 우리끼리만 협력했기 때문에 여러 사회문제가 일어났다고 봅니다. 사회전체 이익을 목적으로 경쟁을 한다면 경쟁에서 져도 지는 것이 아닐 수 있는데 우리는 오직 우리끼리 이기려고 하고 상대방은 져야 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어서 건강하지 못한 경쟁이라고 생각해요. 그러면서 나르시시스트도 많아진 것 같고요 세상은 처음부터 공정한 적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가능하면 지고 이기는 경쟁보다는 너와 나 모두 얻어갈 수 있는 건강한 경쟁을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 @user-ko4vn8ng5y
    @user-ko4vn8ng5y26 күн бұрын

    옛날말고 요즈시대에서 비교 당해보세요 좀 해법이 약해,,,,,,,,,

  • @phoenixguardian172
    @phoenixguardian1722 ай бұрын

    남과 비교는 한국 여자들 문화 아닌가? 김경일 교수 개그맨 서경석 집에서 비교질 당하지 않나요

  • @kevinalex9894

    @kevinalex9894

    Ай бұрын

    비교는 남녀불문 다 우리나라가 심합니다.

  • @ruru-tn7du

    @ruru-tn7du

    Ай бұрын

    님이 지금 하는 게 비교 아닌가?

  • @ruru-tn7du

    @ruru-tn7du

    Ай бұрын

    아니, 님 말에 따르면 한국이 이 만큼 성장한 것은 여자들 때문이라는 말이네?

  • @user-id1ug7iq9d

    @user-id1ug7iq9d

    17 күн бұрын

    님은 여혐 강박증 있어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