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Фильм және анимация

#내가알아서할게
요즘 뜨는 핫클립, 지금 생성 중! #샾잉
▶ 샾잉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 sharp_ing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771

  • @amoremio3456
    @amoremio3456 Жыл бұрын

    나도 여기저기 안 해 본 일 없다가 이제 3년 좀 넘어 4년차인 직장 다니는데 사람마다 직장과 궁합이 잘 맞는 곳 만나면 오래 다니게 되는 거 같음. 그리고 나 개인적으로는 일 힘든 건 참는데 같이 일하는 사람과 안 맞으면 아무리 일이 쉬워도 힘든거 같음.

  • @joyful994

    @joyful994

    Жыл бұрын

    맞아 몸 힘든건 참으라면 참겠는데 사람 힘든건 정신적으로 너무 고통스러움

  • @user-nq7pg4of4m

    @user-nq7pg4of4m

    Жыл бұрын

    맞아요 ㅠㅠ 대학때 교수님이 직장은 돈보고 들어갔다가 사람때문에 나오는거라고 하는데 진짜 너무 격공입니다.

  • @user-fd2od1tw5d

    @user-fd2od1tw5d

    Жыл бұрын

    맞는말입니다. 업무능력도 중요하지만 주변팀원들을 힘들게 하는 쏘시오 패스를 빨리 걸러내야 하는게 인사팀의 핵심 업무입니다. 쏘시오패스는 정말 간별해내기 힘듭니다. 연기를 워낙 잘하고 감정을 잘다스리죠

  • @user-qm7ze7gg4c

    @user-qm7ze7gg4c

    Жыл бұрын

    진짜로 몸이 힘든건 그냥 쉬면 되는데 정신적으로나 사람때문에 힘든건 못견디겠음

  • @user-oy8ze8du8g

    @user-oy8ze8du8g

    2 ай бұрын

    먹고 살려면 안 맞는 사람하고의 고통도 참아야죠

  • @ggyeul
    @ggyeul Жыл бұрын

    3:58 핵심포인트를 잘 이해하고 계시네

  • @55087

    @55087

    Жыл бұрын

    김응수 그는 도덕책

  • @YeonHwa777
    @YeonHwa777 Жыл бұрын

    mz란 단어 좀 그만보고 싶다...

  • @user-hq6jl4im9r

    @user-hq6jl4im9r

    Жыл бұрын

    Mzmzmzmzmz 엠이디ㅈ 아니다 ㅋ

  • @user-mu2ri2jh9f

    @user-mu2ri2jh9f

    Жыл бұрын

    ㅇㅈ

  • @user-st4jr1ns6w

    @user-st4jr1ns6w

    Жыл бұрын

    Mz로 모든것의 핑계로 만드는

  • @user-ve3ge5qd1f

    @user-ve3ge5qd1f

    Жыл бұрын

    MotherZero

  • @origdrdrunken

    @origdrdrunken

    Жыл бұрын

    전 지금의 mz 가 기성세대가 될때가 기다려지네요 ㅋㅋㅋ 그 때는 어떤 핑계거리를 찾을지 ㅋㅋㅋㅋ

  • @K-jass
    @K-jass Жыл бұрын

    mz 세대는 기본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하는 세대죠. 학교에서 공부할때는 사회의 현실보다 이상을 많이 가르칩니다. 노동권이 어떻게 발달했고 법이 몇년에 생겼는지를 기본으로 배우고 입사를 하죠. 그래서 학교에서 배운것과 현실이 다르니 기존 세대와 받아들이는게 다르다고 생각해요. 그들은 그들이 배운대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거라 생각합니다. 아직도 라떼를 생각하며 mz를 색안경으로 보시는 분들은 기억하셨으면 좋겠네요. 최저시급을 만들었던 세대인 그들도 윗세대가 봤을때는 문제거리 였다는걸…

  • @HizukiRui

    @HizukiRui

    12 күн бұрын

    일반적인 상식을 넘어서는 기본적인 매너조차 없는 멍청이들이 양산되어 쏟아져 나오니 그것을 마냥 신세대 감각이라고 치부하고 넘길수만은 없음.

  • @everymoment1577
    @everymoment1577 Жыл бұрын

    세대랑 퇴사좀 묶지말길...

  • @user-vk3bf1pq5g

    @user-vk3bf1pq5g

    Жыл бұрын

    ㅇㅈ 잘 다니는사람들은 무슨죄

  • @kyungtaeklee5811

    @kyungtaeklee5811

    Жыл бұрын

    이래적인 퇴사율을 자랑하는게 맞는데 사회현상을 이해할려고 만든 프로그램에서 엮어서 결과를 도출해야지

  • @user-jh5cy6bt2h

    @user-jh5cy6bt2h

    Жыл бұрын

    주체가 mz세대인데 .. 주체랑 주제를 묶지 말라니; 우리나라 사람 전부가 아니라 특정 분포 세대들의 퇴사이유를 알려고 하는건데😅 mz단어에 부정적인듯한 말을 많이 엮어서 요즘에 내는건 맞지만 프로그램 취지에 맞게 엮은거라고 생각하는데..?

  • @sawmoonfilm8684
    @sawmoonfilm8684 Жыл бұрын

    퇴사가 필수가 아니라. 개인을 얕보는 집단에 대한 불만표출이고, 개인의 미래를 좌시하고 괄시하는 조직에 대한 불신이지.

  • @user-zb5rs2xz5o

    @user-zb5rs2xz5o

    Жыл бұрын

    얕보일정도로 모자란가보다 실력도없고 눈치도없고 자기주장 강하고 ㅋ

  • @user-ec8sv4pi2o

    @user-ec8sv4pi2o

    Жыл бұрын

    개인을 얕보는 집단과 집단을 얕보는 개인의 콜라보

  • @sawmoonfilm8684

    @sawmoonfilm8684

    Жыл бұрын

    @@user-zb5rs2xz5o 사회생활 안해보셨나 보군.. 실력과 성실성으로 얕보이지 않는 곳이라면 이미 회사 문화에 대해 왈가왈부 할 이유가 없다는 전제하에 얘기하는 것인데? 이미 윗세대의 정리해고, 피라미드식 미래를 보고 얘기하는 것일 뿐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에요

  • @pillyahn1278

    @pillyahn1278

    Жыл бұрын

    회사에 얕보인게 먼저일거 같은대..인사 안하고, 음악들으면서 일해서 질문 두번씩 하게 하고, 긴급상황에 먼저 퇴근하고..눈치없으면 어딜가나 회사생활 오래 못한다. 문제는 그렇게 나가는 애들이 회사도 아쉬워 하지 않는 그저그런 실력을 가진 직원이라는거지.

  • @mazu_ENTP

    @mazu_ENTP

    Жыл бұрын

    @@pillyahn1278 인정인정 일한만큼받고싶다면 일하는자세부터 회사에서 일하는 인제상으로 일해야함

  • @user-gl9wc6oe5n
    @user-gl9wc6oe5n Жыл бұрын

    mzmz 거리는 거 보면 진짜 어이없음 80-90년대는 직장에서 버티면 승진과 높은 연봉이 보장이 되는데 지금 세대는 승진과 연봉이 보장되는 게 아니라 퇴직압박을 받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지

  • @px9ik
    @px9ik Жыл бұрын

    몇 년 연차가 생겨야 대우해 주겠다는 인식이 젊은이들 떠나게 하는 거지. 신입이 연봉을 크게 바라고 그런 건 아니다. 근데 수직적인 문화에서 기본적인 인간에 대한 예의도 안 지키고 말도 안되는 대우를 하거나 지나친 걸 시키는데가 많다. 근데 보면 떠날 이유를 만드는 상사들은 정말 자기 잘못 끝까지 못 보고 남의 부족한 책임감 탓하는 걸 보게 되더라. 사람이 안 떠나게 하는 사람은 좋은 멘토가 되고 알아서 신입들이 따르고, 더 붙어서 배우려고 하고. 여기서 "그러니까 회사가 너 자르지" 하는 사람들도 자기는 얼마나 건강한 근로 환경을 만드는지 살펴보길...

  • @Faith_Wish_Love

    @Faith_Wish_Love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당장 내일 어찌될지도 모르는건데 몇년 굴려보고 버티면 대우해준다는것 부터가 글러쳐먹음 적어도 지들때는 정년보장이 암묵적으로 됐지만 그딴거 사라진지 오래임;; 게다가 나이쳐먹은게 뭐 그리 대단한거라고 꼴값들은 또 얼마나 떨어대는지ㅋㅋㅋ

  • @biero2345

    @biero2345

    13 күн бұрын

    소름

  • @user-ol1iy8kk4g
    @user-ol1iy8kk4g Жыл бұрын

    항상 이런 프로그램을 보며 느끼는데... MZ세대의 범위가 너무 넓다 등의 문제도 있지만, "MZ세대는 이래서 문제다"라고 말하는 세대가 제일 치사한 것 같아요. 그 MZ세대가 사는 환경 누가 만들었나요? 윗세대잖아요. 많은 MZ세대가 그런 식으로 생각하도록 하는 환경 누가 만들었나요? 윗세대잖아요. MZ세대 교육 누가 했나요? 윗세대잖아요.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법인데, 자기들 책임은 쏙 빼버리고 치사하게 MZ세대가 문제라고 탓하기만 하는 모양새가 좋아보이지 않아요. 그리고 뭐 퇴사를 아무런 생각 없이 하는 줄 아시나본데, 제가 본 사례만 해도 조직개편되었답시고 5명이서 할 일을 혼자 하게 하기도 하고, 사소한 것 하나하나 꼬투리 잡아서 이래서 요즘 애들은~ 하고 꼰대짓하는 거야 뭐 일상다반사죠. 불만을 가지면 사회생활 모르냐, 사회 물 덜 먹었다 비꼬고. 뭐 영상에서 위험한 발언(?)하신 분 말대로 끈기가 부족한 사람도 있긴 있겠지만, 솔직히 말하자면 거지같은 조직 탓도 없지 않거든요. 참 MZ세대라는 단어 하나 생겨서 다 MZ세대 탓으로 돌릴 수 있고, 기성세대에겐 편리한 사회겠어요.

  • @user-ol1iy8kk4g

    @user-ol1iy8kk4g

    Жыл бұрын

    보상도 제대로 안 해주면서 괄시까지 하면 대체 누가 조직에 남겠냐고요. 나 참...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원래 한국 제외 모든 전세계국가들이 이직 많을수록 적극성 + 능력좋은사람으로 봄. 이직한다는것도 능력이기때문임. 반대로 한국처럼 10년 20년 알박기처럼 지박령마냥 한회사에 머물러있으면 병신으로봄. 그동안 자기계발도 안해서 더 좋은 대우를 받는 잡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멍청하거나 게으르고 수동적으로 보기때문임. 오직 한국만이 노예처럼 수십년 같은회사 다니는거 자랑함. 그게 족쇄인줄도 모르고. ㅋㅋ

  • @GOOD_DAY_TO_DIE
    @GOOD_DAY_TO_DIE Жыл бұрын

    근데 끈기가 부족한게 아니라 끈기를 투자할 회사를 찾는과정이라고 보시면 좋을것같네요 자신이 만족한 회사를 찾으면 자신의 능력과 끈기 그리고 미래를 바칠준비는 항상되어 있습니다

  • @user-zb5rs2xz5o

    @user-zb5rs2xz5o

    Жыл бұрын

    그런곳은 없어 ㅋ

  • @GOOD_DAY_TO_DIE

    @GOOD_DAY_TO_DIE

    Жыл бұрын

    @@user-zb5rs2xz5o 그건 님 능력이 딸리는거니까 님 문제지 ㅋㅋㅋㅋㅋ

  • @user-db6tx1tu7x

    @user-db6tx1tu7x

    Жыл бұрын

    ​@@GOOD_DAY_TO_DIE 아부는떨줄아는데 일못하는건 사회성뒤진꼰대임... 차라리 눈치는없어도 열심히보단 일단시작이라도하는게나음 아가리로 승진해서 일못하는거 티내는꼰대보단 입다물고할일 하는신입이 나음 굳은일 마다하는 신입이 10번중 1번 본인의견말하는걸 묵살시키는데... 말이좋아 공동체지 이득볼생각만하는 꼰대들 믿을게못됨 내가겪은꼰대는 청소부관할도아닌데 청소부팀장 개빡처서 우리부서에 계장님,과장님 이대신 사과하고 오죽했으면 민원인도 개빡처서 계장님,과장님이 대신사과했슴 일못하면 인성이라도좋던가... 그한사람이 뭐라고 윗사람이 무슨죄길래 대신사과함? 인사발령 얼마안남았는데 보내려고 벼루는거보면 진짜 계장님과 과장님이 보살이긴함

  • @user-db6tx1tu7x

    @user-db6tx1tu7x

    Жыл бұрын

    ​@@user-zb5rs2xz5o 아부는떨줄아는데 일못하는건 사회성뒤진꼰대임... 차라리 눈치는없어도 열심히보단 일단시작이라도하는게나음 아가리로 승진해서 일못하는거 티내는꼰대보단 입다물고할일 하는신입이 나음 굳은일 마다하는 신입이 10번중 1번 본인의견말하는걸 묵살시키는데... 말이좋아 공동체지 이득볼생각만하는 꼰대들 믿을게못됨 내가겪은꼰대는 청소부관할도아닌데 청소부팀장 개빡처서 우리부서에 계장님,과장님 이대신 사과하고 오죽했으면 민원인도 개빡처서 계장님,과장님이 대신사과했슴 일못하면 인성이라도좋던가... 그한사람이 뭐라고 윗사람이 무슨죄길래 대신사과함? 인사발령 얼마안남았는데 보내려고 벼루는거보면 진짜 계장님과 과장님이 보살이긴함

  • @user-so3fe7iz2j

    @user-so3fe7iz2j

    Жыл бұрын

    일하면서 능력을 보여야 너한테 투자를하지 ㅋㅋㅋㅋ 일은 시작도전에 돈부터 달라고 ㅋㅋㅋㅁㅊ

  • @user-qw4ks8ws1k
    @user-qw4ks8ws1k Жыл бұрын

    결국엔 사람에 따라 다른것 같음. 무조건 빨리 그만둔다고 끈기가 부족한것도 아니고 이유가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봐야하는 부분이 아닐까. 솔직히 구직사이트에 올라오는 회사들만 봐도 빛좋은 개살구인 경우도 많아서 특히 사회 초년생인 분들이 이 회사가 정말 괜찮은 회사인지 진면목을 그걸로 판단할수가 없으니까. 나름 각오하고 들어갔는데 생각보다 더 형편없을수도 있고, 그런 곳들을 끈기로 오래 다니면 물론 얻는것도 있겠지만 그 시간에 더 괜찮은곳 찾아서 빨리 자기 커리어 쌓는게 더 이득일수 있는거지.

  • @user-wl5dk3tk5g
    @user-wl5dk3tk5g Жыл бұрын

    누가 SNS 떄문에 회사를 다니냐; 저 인사담당자가 있는 회사에는 가기 싫다 진짜

  • @user-sy4uh5bn8r

    @user-sy4uh5bn8r

    Жыл бұрын

    저사람도 님 안뽑음

  • @user-wl5dk3tk5g

    @user-wl5dk3tk5g

    Жыл бұрын

    @@user-sy4uh5bn8r 지금 더 좋은데 다니는데, 왜 저길감? ㅋㅋ

  • @user-sk9ov9ux6q

    @user-sk9ov9ux6q

    Жыл бұрын

    @@user-wl5dk3tk5g 일안하는사람 같은데 ㅎㅎ

  • @Northerseal

    @Northerseal

    Жыл бұрын

    @@user-sy4uh5bn8r 백수찐따가 말댓구? ㅋㅋㅋㅋㅋㅋ

  • @user-tq1us2hp5c

    @user-tq1us2hp5c

    Жыл бұрын

    방구석 워리어같은디ㅋ기

  • @ophiuchus3434
    @ophiuchus3434 Жыл бұрын

    이게 물경력이라는 말이 나와서 그럽니다. 옛날처럼 한 회사에서 50대 이후까지 책임져주지 않고 40대부턴 슬슬 내보낼 각을 보다보니 어린 직원들도 나이든 상사들이 그렇게 되는 모습을 자신의 미래에 투영합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지금은 돈을 좀 적게 받더라도 경력이 되는 업무라면 하다가 2~3년 후에 더 좋은 곳으로 갈 준비를 하는 거죠. 그래서 흔히 직원 오래 붙잡으려는 회사에서 성격 안좋은 윗 분들이 이직 못하게 계속 본 업무가 아닌 다른 직무들을 보조하는 일들을 많이 맡겨서 물경력으로 만들려고 하는데 그러면 그 직원은 사기업 이직이 글렀으니 회사 다니면서 공무원이나 공기업 준비를 합니다. 그러니 이직 못하게 하겠다고 그러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 @ophiuchus3434

    @ophiuchus343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3개월 6개월 이렇게 자주 이직하는 분은 회사에서 사람간의 트러블 때문에 그런 경우가 많은거 같습니다. 솔직히 돈이 조금 적어도 직장사람들과 잘맞으면 그냥 오래 다니는 분들도 많고 설령 다른 좋은 곳 이직하더라도 거기서 경력쌓으며 더 많이 배우고는 재입사하는 분들도 많아요. 다만 일이 힘들어도 사람들이 좋으면 버틸 수 있는데 괴롭히는 사람이 있으면 주 40시간을 해도 ㄹㅇ 못견딥니다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ophiuchus3434 이게 ㄹㅇ 정확하지... 어차피 회사가 개인들은 개빠따 루팡충으로 만드는거임 일부러. 개인들을 성장시키고 회사도 같이 커갈생각? 회사는 절대안함. 적어도 정말 극히 소수의 대기업 외에는 인재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생각자체를 안함. 그냥 계속 그자리에 앉힐생각뿐임. 그러니까 노답이고 정체되서 발전이 없는거임.

  • @user-us4py7gv2o
    @user-us4py7gv2o Жыл бұрын

    원래 변화는 기존 기득권이 볼때 항상 문제거리였음. 지금 사회로 나오는 사람들의 평균적인 행동과 생활양식이 문제로 보인다면 그건 사회가 앞으로 변화한다는 뜻이고. 그렇다면 회사 문화가 시대 흐름에 맞춰 바뀌어야지 흐르는 강물을 막을 수 없는 것 처럼. 물론 이제 사회로 나가는 사람들 또한 현재의 기득권들을 어느정도 설득할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함. 자신이 하는 행동에 대한 적절한 근거가 있어야하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임. 회사 또한 그런 사람이 가고자 하는 방향을 끝까지 책임져주지 못한다면 비아냥거리거나 구차하게 잡지 말고 놓아줘야 하는게 맞고.

  • @byUNI-fl8ge
    @byUNI-fl8ge Жыл бұрын

    신입 때, 제 한몫을 온전히 못하는 시절에는 내 몫을 받기 힘든게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봄 내 목소리를 낼 수 있고, 내가 일한만큼 받을 수 있는 시기가 되려면 내게 주어진 한사람의 몫을 충분히 해야한다고 생각함 더 나아가 성과도 있어야 하고 그 과정이 2-3년차는 지나야 오는 것 같음

  • @user-qw4ks8ws1k

    @user-qw4ks8ws1k

    Жыл бұрын

    어렵게 생각할것 없이 성과 = 책임 이라고 정의하면 편하지 않을까 싶어요. 내 이름걸고 내놓는 성과라면 그게 잘되는 못되든 그 책임도 내가 지는것이고, 문제는 이게 단순히 사람의 책임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회사의 이익에 직결되는 부분이라 신입에게 당장 맡길 수 없는것도 있고요. 그걸 배우기 위해 백업도 하는거고 기본 업무부터 하나씩 쌓아가는 건데 이 과정이ㅋㅋ아무래도 1년이상은 걸리기때문에 그 전에 힘들다고 느끼게 되는게 아닐까 싶어요.

  • @kimhae79
    @kimhae79 Жыл бұрын

    회사에 왜 충성하나요? ㅋㅋㅋ 오너인가요? 회사가 사람을 뽑아 먹는 것처럼 구직자도 회사를 똑같은 시각으로 바라보는 시대입니다.

  • @user-zb5rs2xz5o

    @user-zb5rs2xz5o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짤 리지 목숨걸고 배워야 니꺼된다

  • @user-ve3ge5qd1f

    @user-ve3ge5qd1f

    Жыл бұрын

    딱 님같은 사람이 사업해야함

  • @hororoja2253

    @hororoja2253

    Жыл бұрын

    @@user-zb5rs2xz5o 짤리는게 아니라 퇴사아님?

  • @user-zb5rs2xz5o

    @user-zb5rs2xz5o

    Жыл бұрын

    @@hororoja2253 ㅋ 그거나 그거나 엎어치나 매치나 적응못해 그만두는거임ㅋ

  • @user-ti3ph8gh3m

    @user-ti3ph8gh3m

    Жыл бұрын

    취직했으면 회사에 충성해야지 이 뭔 🐕 소리고 ㅎㅎ 회사가 뭘 믿고 널 떠받들어줘야하냐

  • @Faith_Wish_Love
    @Faith_Wish_Love Жыл бұрын

    적어도 받는만큼 일하는거에 대해 욕하지 마라 요즘것들은 너무 돈만 밝힌다는 둥, 지들밖에 모른다는 둥 이딴소리 해봐야 뭐함 지금 2030 낳아서 키운건 4050임;; 세대갈등, 분란조장 하는짓거리 5년간 해대서 그런가 세상이 변했는데도 여전히 존재하네

  • @nalmshot
    @nalmshot Жыл бұрын

    내 생각엔 결혼과 관련이 있음. 이전세대는 결혼하기 위해서 집을 마련할려면 돈이 있어야하니 갈구고 그래도 다녔는데, 지금 세대는 결혼을 이지선다로 이해하는 세대라, 굳이 집을? 굳이 결혼식을?.. 이라서.. 갈구면 퇴사함. 굳이 집을 갖기 위해 스트레스를 안받는 세대라고 생각함. 참고 다녀도 더 좋은 조건이라면 이직하고.

  • @user-hg8kn5wo2t
    @user-hg8kn5wo2t Жыл бұрын

    음... 글쎄요...?? 직원들은 월급 200만원~300만원 받으면서 1.5인분~2인분 이상의 업무를 해내야 회사 입장에서는 정상인거고, 사장이나 임원진은 연봉을 1억~5억 씩 가져가도 항상 부족하다 생각해서, 직원 줄이고 연봉협상 안하고... 그게 과연 정상적인 회사인가요?? 그러면서 직원에게 무슨 끈기를 원합니까?? 정말 관리가 안되서 사장조차도 월급을 100만원 못가져갈만큼, 회사 내부 사정이 안좋은 곳이라면야 어쩔수 없는거지만, 몇천만원~몇억을 월급으로 가져가면서 [회사가 어려우니까 직원들이 감수해야 한다] 라는 말은 도대체 왜 하는건지..?? 당연히 거짓말하면서 더 부정부폐+적폐+비리 등을 노리는거 아닐까.. 사장이니까 당연히 연봉 몇억 이상 받는게 당연하다?? 회사가 싫으면 직원이 나가면 되지 않냐?? 그러면서 직원에게 왜 끈기를 바라는지..참.. 업무분장을 하고나서 왜 2인분 업무가 1인분이라고 세뇌하는지 어이 없네요. 밤을 새고 일하면 2인분 업무를 1명이 해낼수야 있겠죠. 그러면 월급을 2인분을 주세요. 당연히 그래야 하는거 아닌가요?? 10년차 경력의 능력을 가진 신입을 원하는 회사에서, 능력있는 직원이 일을 해주는것만으로도 감사하게 생각을 해야 당연한건데. 이러니까 대한민국에서는 [제조 중소기업] 을 떠나는 20대~30대 남녀 직원들이 많아지는거라고 생각함. 그게 생산직이든 사무직이든. 꼰대 상사들은 이미, 제조업쪽에서만 20년~40년 다닌 사람들이라 이제 편하고 싶은 마음에, 20대~30대 직원들한테 팀장급 업무를 바라고 있고... 참 사람이 문제다. 사람이 문제야....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이나라는 노예문화가 있어서 조선처럼 자국민 50%이상을 노예로 부리길 원함. 그래서 지들이 쫌만 감투가 있다 싶으면 아랫사람을 사람으로 인격으로 대우를 절대 안함. 이미 그런 문화가 만연해있음. 잘하는사람이고 능력있는 사람이니까 그것도 이직을 할수있는거임. 그자리에서 10년 20년 앉아있는새끼를 오히려 능력없는사람으로 보고 적극성이 없는걸로 봐야 정상인데, 조센은 반대임 ㅋㅋㅋㅋㅋㅋㅋ

  • @user-ks9zf3gu2s

    @user-ks9zf3gu2s

    Жыл бұрын

    신입들 흔한착각:자기가 회사일 몇배로 하는줄안다

  • @user-hg8kn5wo2t

    @user-hg8kn5wo2t

    Жыл бұрын

    @@user-ks9zf3gu2s ??

  • @user-op8ti8wx5b

    @user-op8ti8wx5b

    9 ай бұрын

    ​@@user-ks9zf3gu2s그러니깐ㅋㅋㅋㅋ 지들 능력이 안 되서 2-3인분이라고 생각하는거지ㅋㅋㅋㅋ 1인분도 못하는 신입 태반인데

  • @maydemay7136

    @maydemay7136

    Ай бұрын

    @@user-ks9zf3gu2s2222 아니 1.5인분 한다고 착각하는데 1이 안되는데.. 뒤처리는 윗상사가 다함.. 오히려 상사가 백업해주니 본인성과가 나오는건데...

  • @user-ry7qu7xe6w
    @user-ry7qu7xe6w Жыл бұрын

    Sns통해서 애사심이라니ㅋㅋㅋㅋㅋㄱㅋㅋ웃고갑니다

  • @ioioyoung

    @ioioyoung

    Жыл бұрын

    뭐 예전에야 sns가 안활발하니 그런현상이 없다가 요즘 발현되는걸수도 .. 그래도 회사 관련 sns하는사람 못봣는데 ㅋㅋㅋ

  • @user-tv8me6zb1i

    @user-tv8me6zb1i

    10 ай бұрын

    ㅋㅋㅋ😂

  • @user-ok3qy1tr6b
    @user-ok3qy1tr6b Жыл бұрын

    메인은 '돈'입니다. 물가상승률만큼 임금을 올리면 누가 퇴사를 합니까. 물가상승분만큼 임금인상을 못하는 회사는 그만큼 자격이 없는겁니다. 세게말하면 기본도 못하는거죠 정부에서 돈찍어내는 만큼도 못하는거니까요. 노동자만 평가받아야한다는 틀에박힌 관념이 은근히 보이네요. 자격있는 회사는 더 큰 돈주고 채용합니다. 노동력은 이렇게 필요한곳에 제공되어야합니다. 망해가는 회사에서 노동의 귀중한 가치를 버릴것이 아닙니다. 회사를 비교하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게 자연스럽고 건강한 고용시장입니다.

  • @user-mj9hw1lz3h

    @user-mj9hw1lz3h

    Жыл бұрын

    물가상승분만큼 임금도 안올랐으면 본인도 돌아보셔야겠네요

  • @Galbea_0301

    @Galbea_0301

    Жыл бұрын

    @@user-mj9hw1lz3h 동감, 임금 향상을 원할 경우, 그만큼 회사 수익에 기여했냐가 기반이어야하죠.

  • @user-zb5rs2xz5o

    @user-zb5rs2xz5o

    Жыл бұрын

    꼴깝떨고 자빠졌네 ㅋ

  • @user-ok3qy1tr6b

    @user-ok3qy1tr6b

    Жыл бұрын

    제가 월급루팡을 쉴드 쳤나요ㅋㅋ 왜이렇게 말하는 뽀인트를 이해못하시나요 임금인상이 안되었으면 자기자신 돌아보는거 좋죠. 노동자가 회사 이익에 기여했는지 평가하는거 아주 좋다고요 바람직하다구요 문제는 노동자 '만' 이라는게 틀렸다구요. 또 제가 직장인이라고 판단하는건 뭔가요ㅋㅋㅋ 전 장사꾼입니다 입장이 가까운쪽은 회사에요

  • @iduniversal1446

    @iduniversal1446

    Жыл бұрын

    본인을 돌아볼 필요, 분명히 있지만 그건 그것대로 축객령이나 다름 없으니 나가면 되는 겁니다. 결과적으로 물가상승률 + 업무기여도에 해당하는 만큼 연봉이 오른 것 같지 않다면 퇴사가 유일한 결론이지요.

  • @CalamanC
    @CalamanC Жыл бұрын

    까놓고 한달이면 회사 분위기랑 내가 여기서 뼈묻어도 될지랑 다 계산이 되요 끈기있게 하는것도 돈이던 실력이던 상승할수 있어야 끈기좀 부려보는거지 내가 입사한곳 사수나 부장과장급만 봐도 이 회사에 오래 있으면 어떻게 될지 뻔히 아는데 그걸 보고도 끈기를 부린다면 그건 오히려 시간을 버리는 객기가 아닐까 하네요

  • @jasonha4852
    @jasonha4852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월급루팡 제일 심하게 하는 부서가 HR임. 자신들의 업무 생산성에는 제일 관심없고, 직원들 평가만 어설프게 하는 인간들이 너무 많음. 3년 정도 일하면 매너리즘에 빠질만한 시기이고, 성실하게 일했다면 몸값을 높일 기회가 생기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이직을 고려할 때임. 그리고, 연봉은 직종별로 시장의 수요-공급 변동에 영향을 받기때문에 수요가 많을때 몸값을 올리는 것이 중요함. 단, 수요가 적고, 공급이 많을 때는 불만 표출을 줄이고, 현재 회사에서 기여도를 높여서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후일을 도모하는 것이 좋음.

  • @sailormoon6319
    @sailormoon6319 Жыл бұрын

    Mz로서, 몇개월 다니고 퇴사 두세번 해본 사람으로서, 퇴사 사유들이 다 조금씩은 공감되네요. 대기업 10년일해도 서울에 집 못사는 세대이기때문에 본인 만족감이라도 찾고 싶은거죠.. 작은 아씨들에서 김고은 배우와 고모님 배우의 집에 대한 대사 들었을 때 참 많이 서글펐어요..

  • @user-zb5rs2xz5o

    @user-zb5rs2xz5o

    Жыл бұрын

    서울집 아니면 집 아니냐?

  • @sklee7552

    @sklee7552

    Жыл бұрын

    10년일하면 집사요 좋은위치 아파트를 못사서 그렇지 ㅋㅋㅋ MZ세대는 빌라는 집도 아니라고 생각하는듯

  • @sailormoon6319

    @sailormoon6319

    Жыл бұрын

    @@sklee7552 그래서 오늘 3잡 ㄱㅖ약서 다 쓰고 천에 100짜리 3룸 반지하 계약 했네요. 학자금 대출 이제 다 갚고 빌라여도 작업실 겸 주거 공간되는 그런 빌라 반지하요. 이게 현대 엠제트로서 제가 체감중인 현실이지만 사바사겠죠? ㅠ 다음 저의 만족감은 과연 얼마에 어느정도의 시간에 치환하여야할지 두려운 밤입니다.

  • @sailormoon6319

    @sailormoon6319

    Жыл бұрын

    @@sklee7552 그나마 제손에 가장 온전히 쥐어진 젊음이라는 시간을 가장 합리적이고 밑지지않는 방법으로 열심히 치환하여 사는 현대의 엠제트는 그저 오늘을 나의 행복을 위해 열심히 살아갈 뿐입니다.

  • @user-yl6rn3cu6z

    @user-yl6rn3cu6z

    Жыл бұрын

    @@sailormoon6319 그러므로도 일하는게 집 마련 하려고 참고 다니는겁니다 그런 mz세대의 철 없고 생각없는 수준

  • @user-et3ij4km9p
    @user-et3ij4km9p Жыл бұрын

    저는 조금 다르게 생각해요. 요즘 회사들 입사할때 지원자들을 얼마나 많은 잣대들로 평가하고 힘들게 입사하게 하나요? 그 노력에 대한 보상이 회사에서 제공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그렇게 까다롭게 직원을 뽑으면서 직원들이 까다롭게 자신이 머물곳을 정하면 안되는건가요? 결국 똑똑한 사람을 뽑아놓고 그 사람이 일할만한 좋은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 회사에게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요? 능력있고 야망있는 사람은 다 떠나고 고만고만한 직장에 안주하는 사람만 남아서 고인물이 되는 거라고요

  • @kayye5802

    @kayye5802

    Жыл бұрын

    진짜 똑똑한거 맞음? 요즘 애들 이익에는 밝은데, 그에 걸맞은 실력은 있는지 모르겠음. 보상을 받으려거든 그 맞은 실력을 증명해 줘야 되는데 실력은 지뿔도 없으면서 보상만 바람. 근데 그 실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조차 안함. 그게 팩트이는데 자꾸 부정만 하려고 하니 결국은 늘 제자리 걸음이죠. mz 세대 욕하는 윗세대 욕 할거 하나 없어요.

  • @user-et3ij4km9p

    @user-et3ij4km9p

    Жыл бұрын

    @@kayye5802서류로 시작해서 5단계 관문을 통과하는데 ‘똑똑’하겠죵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원래 한국 제외 모든 전세계국가들이 이직 많을수록 적극성 + 능력좋은사람으로 봄. 이직한다는것도 능력이기때문임. 반대로 한국처럼 10년 20년 알박기처럼 지박령마냥 한회사에 머물러있으면 병신으로봄. 그동안 자기계발도 안해서 더 좋은 대우를 받는 잡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멍청하거나 게으르고 수동적으로 보기때문임. 오직 한국만이 노예처럼 수십년 같은회사 다니는거 자랑함. 그게 족쇄인줄도 모르고. ㅋㅋ

  • @user-iy6hu4zj4p

    @user-iy6hu4zj4p

    Жыл бұрын

    아니 까다롭게 하는 건 좋은데, 나중에 또 전문성 없는 단기경력 가지고 또 징징대지는 말아야 함ㅋㅋ

  • @bnjn6310

    @bnjn6310

    Жыл бұрын

    근데 잘 생각해봐야할게 어딜가나 적응기가 존재해요 한회사에서 스탭업을 못하고 그만두면 이직했을때 딴데가면 또 신입입니다 본인 연봉업을 할 수있는 시간이 또 그만큼 멀어진다는 생각은 못해보셨나요?

  • @unis9792
    @unis97925 ай бұрын

    엠지라서가 아니라 아직은 젊기때문에 진정으로 원하는일을 찾아볼 시간적여유가 있는거겠죠.요즘 결혼도 늦게하는 추세다보니 나의 삶, 내가 원하는것에 집중하는거같아요. ,다른건 없어요.그저 자기의 선택에 따른 결과만 받아들이면 되는거죠. 회사분위기가 안좋아 이직하는것도 한두번이지 3번이상 단타로 넘어가면 본인에게도 문제가 있는지 체크 필요합니다. 보통 적응력없는 사람들이 환경탓 많이하죠. 내가 변하면 컨디션도 바뀌는건데 나랑 맞는곳만 찾아다닌다는건 너무 수동적입니. 그리고 본업으로 모든걸 결정하려하는데 본업은 그냥 의식주해결하는 수단이면 충분하다고봅니다. 취미도있고 부업도 있고 나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는 무한한데 너무 한쪽으로만 생각하는건 아쉬워요

  • @letssayso
    @letssayso Жыл бұрын

    이유를 직원한테서만 찾는 그 관점도 문제다. 사회가 더 불안정해 가고 퇴직 연령도 짧아지는데, 기업은 직원을 갑을 관계로 보고 직원 경시하는 행태도 바꾸지 않음. 현재 회사만 바라보려 할까.

  • @user-ve8vp8qe7d

    @user-ve8vp8qe7d

    5 ай бұрын

    사회가문제인게맞음

  • @codnjs1996
    @codnjs1996 Жыл бұрын

    저도 mz세대지만 퇴사는 참....고민됩니다. 3년차가 되어가고 이직을 생각하고있어요. 회사도 참 좋고 사람들도 참 좋은데 이 회사를 오래다니는게 괜찮을까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다양한 경험을 하고싶은데 프로젝트가 달라질때마다 달라지긴하지만 기본적인건 바뀌지않아요. 기술이 발전을 하니 새로운 기술로도 해보고싶은데 공공기관을 주로 하다보니 그럴일이 없겠더라구요. 그래서 이직을 고민중이에요. 이 회사에 오래다니면 나중에 결국 저는 발전이 없을것같애서요.

  • @ReadytoABM2drip

    @ReadytoABM2drip

    Жыл бұрын

    미친 소리 그만하시고, 밖!은 지!옥!이야 시발!! 비젼 5년만 있다가 찾어 내가 장담해요~

  • @user-yn2ir7fe1b

    @user-yn2ir7fe1b

    Жыл бұрын

    아 네 발전은 본인이 할수 있는거구요. 어딜있더라도 결국 끈기에요.

  • @user-js2si4zp1h

    @user-js2si4zp1h

    Жыл бұрын

    다른데가셔도 비슷합니다. 개인사업으로 혼자서 생각하고 혼자서 벌게 아니라면 여러가지 경험쌓는건 양날의 검이에요. 여러사람하고 같이 일한다는 가정하에 좋은회사 좋은사람있는 회사가 최곱니다.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한국만 회사 들어가기 어렵고 나오기 어렵고 둘다 어려운 개병신노동환경국가임. 이러니까 저출산 0.7명찍고 나라가 나락으로 가는것. 다른나라가면 이직한거가지고 ㅈㄹ하는국가 거의 없음. 오히려 다양한 경험 + 적극성때문에 좋아함. 오히려 이직안한새끼들을 문제있는 저능아로 보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lo6vs9te1i

    @user-lo6vs9te1i

    Жыл бұрын

    회사 다니면서 기술사 공부해서 합격하는 사람도 있음, 자기발전은 자기 의지

  • @davidkim9491
    @davidkim9491 Жыл бұрын

    현실에서 MZ세대라는 말 실제로 쓰는사람중에 정상인 못 봄

  • @neokevin23
    @neokevin23 Жыл бұрын

    우선 여기 나온분들이 말하는 이유로 이직이 아니라 퇴사라면 솔직히 공감이 잘 안되고요, 그리고 제가 가장 싫어하는 부분이 왜 MZ세대라고 정의하는 나이에 있는 분들을 모두 똑같이 MZ세대라는 프레임에 묶어 욕을 해대는가 입니다. 저는 X세대 조금 이전 사람입니다. 제 시대에도 X세대 개념없다고 욕하고 그랬네요. 나이드신 분들의 오픈 마인드적 사고방식이 필요하다고 느끼고요, 물론 MZ세대분들이 나이드신 분들의 경험도 경청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느 시대를 가던 이런 차이는 존재하고 저도 어릴적 많이 공격적이었지만 나이 들면서 온화해진 사람입니다.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일정부분 양보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렇게 얘기해도 꼰대라고 욕하는 사람 있겠지요. ㅋㅋㅋㅋ 추가로 10년동안 회사를 2회 이상 이직한 사람은 뽑지마라? 저는 싱가폴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겠지만 (제조업쪽은 이직이 많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저는 IT쪽이라 그런지 보통 3년~5년 단위로 이직하는 사람들을 수도 없이 봐 왔습니다. 이분들 실력좋고 책임갑 있고 일 잘하시는 분들입니다. 이직을 많이 한다고 일에 대한 열정이나 애사심이 없는 건 아닙니다. 저것도 편견입니다. 심하게는 경력 15년 되신 분이 이직을 10번 하신 분도 봤습니다. (이건 저도 진짜 아니라고 봅니다만;) 회사가 이윤을 추구하는 이익단체라면 개개인도 개인의 이익과 행복을 추구하는 건 당연합니다. 단지 서로가 어느정도 양보해서 서로를 이해해주는 관계를 가져야 한다고 보는 거고요.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내가 경험하지 못한 부분을 100% 이해할 수 는 없더라도 서로 이해하려는 노력이라도 해야 이런 문제가 없어지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 @user-si9rq6ni8d

    @user-si9rq6ni8d

    Жыл бұрын

    ㄹㅇ인게 미국같은경우에도 프로젝트 엎어지면 바로 그부서 사람들 하루아침에 다 날려버리는것도 심심하면 그러는데 왜 이직은 몇년단위로 하면 뭔가 문제있는 사람처럼 보여진다는말을 하는게 웃긴거임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원래 한국 제외 모든 전세계국가들이 이직 많을수록 적극성 + 능력좋은사람으로 봄. 이직한다는것도 능력이기때문임. 반대로 한국처럼 10년 20년 알박기처럼 지박령마냥 한회사에 머물러있으면 병신으로봄. 그동안 자기계발도 안해서 더 좋은 대우를 받는 잡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멍청하거나 게으르고 수동적으로 보기때문임. 오직 한국만이 노예처럼 수십년 같은회사 다니는거 자랑함. 그게 족쇄인줄도 모르고. ㅋㅋ

  • @wow7480

    @wow7480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능력없고 편하게 일하려면 그냥 한회사 아무 생각없이 쭉다니는 사람들이 많죠. 발전 없이 그냥 고인물 되는듯

  • @thesid3276
    @thesid3276 Жыл бұрын

    엄청 특수한 걸 하는 회사 아니라면 대부분의 회사는 1년이면 충분히 실무적인거는 다 배웁니다. 거기서 경험치가 쌓이면서 본인의 실력이 좋아지고 그러면서 회사 밖의 다른 거래처나 고객사등과 네트워크가 생겨나는거구요. 여기서 괴리가 발생하는데, 노동자는 주어진 업무를 다 해내는 시점에서 1인분 한다고 생각하지만 회사는 주어진 업무에서 추가적인 부분까지 다해야 1인분 한다고 생각하죠. 이게 회사입장에서는 효율측면에서는 당연한건데 다르게 보면 결국 아직도 옛날 관점으로 본다는거죠. 요즘 친구들은 1=1을 원하지 예전처럼 3=1을 한다면 참지 않지요.

  • @hororoja2253

    @hororoja2253

    Жыл бұрын

    2만되도 어느정도 참음

  • @thesid3276

    @thesid3276

    Жыл бұрын

    @@hororoja2253 스펙 좋은 상위권 회사 다니는 사람일수록 1=1을 더 원하더라구요.

  • @user-rh2et5jm2o

    @user-rh2et5jm2o

    Жыл бұрын

    제발 1이라도 해줘;;

  • @thesid3276

    @thesid3276

    Жыл бұрын

    @@user-rh2et5jm2o 회사도, 노동자도 각자 1도 안되는 경우도 있죠...

  • @cutiegrace4005

    @cutiegrace4005

    Жыл бұрын

    요즘 mz세대라고 말하는건 사실 이제 20대 중후반을 말한다고 생각함 갓 대졸신입이나 3년차 경력직들정도 이사람들이 회사 입사해서 1년 일하면 도대체 1인분 할수있다고 생각하는가?? 배우는데만 1년이지 실무를 시작해서 적용하는더는 최소 2년걸림 그런데 몰 1인분을 할수있는건지 이해가 안감 그러면서도 자신의 몫을 더 원한다는 느낌이 듬

  • @user-vd6kt1bs3f
    @user-vd6kt1bs3f Жыл бұрын

    다 같았던 마음을 드러내고 있는거 뿐이라고 생각 합니다

  • @user-wm7mu2tc8x
    @user-wm7mu2tc8x Жыл бұрын

    비전과 꿈은 남의 회사에 없지. 스스로 만들어야지. 왜 비전과 꿈을 남의 회사에서 찾는가..근데 나와야겠단 생각들면 바로 나오는게 답이긴함. 이건 현명한게 맞음. 뭔 3년임, 1년도 길어요,3~6개월이면 사이즈 나오는건 맞다고 봄

  • @CrayonPop2
    @CrayonPop2 Жыл бұрын

    회사는 연애랑 똑같이 봐야함 내가 이 회사랑 연애하고 결혼할수 있으면 쭉 가는거고 이 회사랑 사귀어보니 별로면 미련없이 바로 헤어지는거임

  • @orbit__
    @orbit__10 ай бұрын

    풀버전이 보고 싶네 ㅋㅋㅋ

  • @ldne0323
    @ldne0323 Жыл бұрын

    세대라기보단 대가성 문제 아니야? 특히 학력이 높을수록 대가를 많이 따지는데 세대가 지날수록 스펙은 점점 올라가니 ... 아무나 대학 못가서 학력 낮던 시절에도 스카이 출신도 대기업 조기 퇴사 하는 경우 많았지....경제적 문제로 종자돈만 마련할 심산으로 몇년만 일하고 나가자고. 잘될줄 알다가 경제적 문제에 부딪치면 꺽이는데 학력 낮던시절에는 시절엔 사회진출도 빠르고 이것저것 하다가 대학 못 가니 취업이 안 되는구나 굶어 죽기 전에 여기라도 일하자라고 그 포기 하는 시점이 빨리 오니 퇴사가 적었던 거고 요즘같은 고스펙 시대엔 사회 진출도 느리고 이것저것 할 시간도 더 적어서 포기하는게 늦게 오니 퇴사도 많겠지 소수만 학력 낮던시절에는 몇 안되던 퇴사 하던 비율이 전체가 고스펙이 되면 당연히 비율도 높아지갰지

  • @KJ-bd2ku
    @KJ-bd2ku Жыл бұрын

    83년생 밀레니얼 첫세대인데 회사 5번 옮기고 지금 S다님. 중간중간 여행도 많이 다니고 내행복이 우선임. 미래가 불안? 본인이 자신있다면 기회는 늘 오게됨. 지금 대기업도 너무 프레셔 클거같아 가고싶은맘 크진 않았는데 확실히 대기업 이력서 하나 들어가면 매력적인 인재가 되는건 사실인건 봤던지라 2-3년 죽자 하는 생각으로 들어간거임 물론 돈도 그전보다 더 주고. 적당히 자기 행복 찾아가며 사회랑 절충안 찾아가며 사는게 최고인듯. 근데 정말 행복하고 돈도 잘 주면 평생 다닐맘도 있지만 그런 회사는 없더라.

  • @bbdi5741
    @bbdi5741 Жыл бұрын

    당연히 권한이나 이름을 내세울 수 있는 일을 선호하지. 미래를 보고 회사를 다니는 건데. 능력이 된다면 기회를 주는 게 맞지. 내가 한 프로젝트에 30%50%의 지분이 있다 해도 결국은 상사가 갖고 가는 구조니 빡치지. 끈기가 없다라... 굳이 내가 큰 스트레스 받으면서 일을 하기 싫다는 거지. 큰 스트레스를 받으며 일을 하느니 스트레스를 덜 받는, 거의 없는 회사로 이직하겠다는 건데 이걸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라... 반대로 생각하면 퇴사율이 높은 회사는 문제 있는 게 아닐까?

  • @AA-lh8gj

    @AA-lh8gj

    Жыл бұрын

    그 논리면 회사 차리는게 낫지 않음?? 열심히 일해봤자 사장 시다바리 일텐데 대체 왜 이직하느라 볼일 못보는거죠....??

  • @user-iq2xg5tz1k

    @user-iq2xg5tz1k

    Жыл бұрын

    누가 신입한테 그런일을 시켜요 마무리는 윗선에서 다시 다듬고 재건축할텐데 그걸 지분이 있다고 생각함?

  • @bbdi5741

    @bbdi5741

    Жыл бұрын

    @@user-iq2xg5tz1k 그럴 확률이 적은 거지 없는 건 아닙니다. 아이디어 제공이라던가 결정적인 전환로를 해결하는 등 심입들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만이 문제가 아니라고 위에 써뒀잖아요?

  • @bbdi5741

    @bbdi5741

    Жыл бұрын

    @@AA-lh8gj 너무 심하니까 문제인 거겠죠? 적당하면 퇴직을 안 하죠. 보통 중소기업을 ㅈ소라고 부르는데. 많은 ㅈ소의 경험을 들어보면 진짜 말도 안 되더군요. 반면 제가 다닌 소규모 공장은 사무직 포함 20명이었고요. 복지도 상당히 괜찮았으며 대표도 상당히 좋은 사람이었습니다. 당시 제 동료들, 과장님 실장님 다 퇴사할 생각 없다고 했습니다.

  • @MapBroBs

    @MapBroBs

    Жыл бұрын

    반대로 님이 평생 일궈온 회사에 큰프로젝트를 하는데 검증도 되지않고 경험도 없는 신입에게 맡기겠습니까? 아니면 오랜기간 검증도 되어있고 경험도 쌓여있는 중간관리자급에게 맡기겠습니까? 무슨 조별과제 합니까 기회를 주니 안주니 하게 그 상사도 백업을 하던 시절이 있고 그 시절 속에서 작은 인정 하나하나가 쌓여 그 프로젝트를 맡을 수 있는 신임을 얻은거지 그 상사는 무슨 제비뽑기해서 신입부터 기회를 받아 성장했답니까? 퇴사가 쿨하다? 젊은사람이 없으면 일이 안돌아간다? 아니죠 오히려 20대보다 30대의 인구가 훨씬 많아요 회사는 굴러갑니다 10년뒤엔 스팩만 쌓여있고 경력은 없고 사회경험도 없는 잉여인력만 쌓여나가겠죠 기회를 공짜로 주고 못해도 칭찬하고 다독여주고 다시 잘 할 수 있도록 밀어주는건 이 세상에 엄마아빠밖엔 없습니다

  • @user-fy7gr4yo3x
    @user-fy7gr4yo3x Жыл бұрын

    요즘 회사는 스펙보다 어떤회사에서라도 경력이 얼마나 되는가를 보고 뽑는데 나도 신입애들뽑을때 스펙보다 알바라도 1년이상한애를 더 선호하지

  • @mjchoi3563
    @mjchoi3563 Жыл бұрын

    난 제발 서브만 시켜줘 신입이면 신입의 일을 시켜야지 ㅅㅂ

  • @eyeu8771
    @eyeu8771 Жыл бұрын

    생색내는 업무주는걸 좋아하는거보다 돈을 일시키는만큼 준다면 멀하든 하지않을까

  • @user-fn5br1lf4u

    @user-fn5br1lf4u

    Жыл бұрын

    직장생활이 아니라. 자기개발해서 프리랜서로 가야죠 사업하거나...

  • @Dee-gj1zw

    @Dee-gj1zw

    Жыл бұрын

    안하던데

  • @wrwsxf

    @wrwsxf

    Жыл бұрын

    그게 바로 들가자마자 되냐? ㅉㅉ 이런 애들이랑 같이 일하기시름. 제발로 좀 나가줘

  • @user-ks9zf3gu2s

    @user-ks9zf3gu2s

    Жыл бұрын

    기준이 자기기준임 인사팀 출신이 3억 연봉 요구한거 처럼

  • @warrenkim1866
    @warrenkim1866 Жыл бұрын

    토요일 일요일도 시간뺏는일 시키고, 월급은 최저시급 맞추는데 야근시키고, 갑질은 오지게 해서 퇴사함.

  • @JH-wd6td
    @JH-wd6td Жыл бұрын

    세상이 다양해지고 근무 형태도 다양해지면서 굳이 자신이 지금 몸 담고 있는 회사에서 평생 일하지 않아도 된다는걸 알고 있는거에요. 여기서 이렇게 힘들게 일할바에 퇴사하고 다른길을 찾는거죠. 그래서 요즘 다들 부업 하나씩 갖고 있거나 다니는 학원 하나씩은 있습니다...ㅋㅋㅋ

  • @user-hv1gv2op9x
    @user-hv1gv2op9x4 ай бұрын

    뭐 자기가 일 하기 싫다니까. 자기가 돋보이고 싶다니까. 그건 자기 권리니까 괜찮음. 문제가 되는 건, 자신의 기호와 선택으로 생긴 문제를 남 탓으로 떠 넘기니까 문제. 못 하니까 지적하는 건데, 꼰대라고 욕 하고 몰라서 가르쳐 주는건데 틀딱이라고 비웃고 초보라서 급여가 적은건데 인권침해라고 욕 함. 요즘 세대는 포장해서 '참지 않긔' 라고 하지만, 내가 볼 땐 '참을성이 없다'에 불과함.

  • @lovelywoon
    @lovelywoon Жыл бұрын

    저걸 연예인들이 공감을 할까 ㅠ..😢

  • @dyensy6192
    @dyensy619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mz 같은 소리하고 있네요... 시대흐름이에요.... 회사에 있는 인간들은... 시간만 가고 시대가 변하는 건 못느끼는듯...

  • @user-zb5rs2xz5o

    @user-zb5rs2xz5o

    Жыл бұрын

    넌 변해서 백수냐? 니네 엄마피빨아머고 사냐? 한심하다

  • @dyensy6192

    @dyensy6192

    Жыл бұрын

    @@user-zb5rs2xz5o 나도 직장인인데 세대차이는 어느 세대나 있어 굳이 mz라고 이름 붙일 필요가 읎다

  • @user-ti3ph8gh3m

    @user-ti3ph8gh3m

    Жыл бұрын

    그래요 열심 퇴사하세요 ㅎㅎ

  • @dyensy6192

    @dyensy6192

    Жыл бұрын

    @@user-ti3ph8gh3m 현재 굳이 퇴사할 이유가 없네요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원래 한국 제외 모든 전세계국가들이 이직 많을수록 적극성 + 능력좋은사람으로 봄. 이직한다는것도 능력이기때문임. 반대로 한국처럼 10년 20년 알박기처럼 지박령마냥 한회사에 머물러있으면 병신으로봄. 그동안 자기계발도 안해서 더 좋은 대우를 받는 잡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멍청하거나 게으르고 수동적으로 보기때문임. 오직 한국만이 노예처럼 수십년 같은회사 다니는거 자랑함. 그게 족쇄인줄도 모르고. ㅋㅋ

  • @user-og4ju7ry4f
    @user-og4ju7ry4f Жыл бұрын

    저는 끈기라는 단어 보단 가치관이 다르다 쪽이 더 맞다고 봐요 한가지 예로 나는 끈기가 있어서 회사를 오래다녔다라고 생각하는 분들, 운동도 끈기있게 하고계신가요? 또 회사를 자주 퇴사하는 세대라고해서 무언가를 끈기있게 해본적이없을까요 그저 회사를 대하는 자세나 가치관이 다른거지 그세대 사람들이 끈기가없다 와는 약간 다른거같아요 같은dna인간인데 몇년사이 인간 본능이 바뀌는것도아니고 끈기는 세대를 막론하고 있는사람도있고 없는사람도 있는 타고난 부분인거고 사회환경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 @user-ti3ph8gh3m

    @user-ti3ph8gh3m

    Жыл бұрын

    예른 잘못드신거 같은데 끈기가 있어야 운동 오래하죠 운동을 가치관이 있어야 하는건 아닐테고 퇴사른 자주하는거면 인내심은 없다고 봐야죠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원래 한국 제외 모든 전세계국가들이 이직 많을수록 적극성 + 능력좋은사람으로 봄. 이직한다는것도 능력이기때문임. 반대로 한국처럼 10년 20년 알박기처럼 지박령마냥 한회사에 머물러있으면 병신으로봄. 그동안 자기계발도 안해서 더 좋은 대우를 받는 잡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멍청하거나 게으르고 수동적으로 보기때문임. 오직 한국만이 노예처럼 수십년 같은회사 다니는거 자랑함. 그게 족쇄인줄도 모르고. ㅋㅋ

  • @Mr_YongYong
    @Mr_YongYong5 ай бұрын

    이력서 깨끗한 신입은 자기소개서를 잘 읽어 봐야하고 무조건 3개월 수습으로 시작해야한다. 일주일이면 분위기 다 파악하고 한달이면 본인한테 맞는 일인지 아닌지 확인되니 3개월 수습이 딱임. 그리고 이력서 지져분한 경우 경험을 시험 봐야함. 말로 포장을 너무나 잘하기에 실력을 시험해야 함. 그만큼 사람 뽑기가 어려운거임.

  • @KyleKimGoesON
    @KyleKimGoesON7 ай бұрын

    MZ 하고 퇴사열풍하고 엮지 좀 말아라. 나는 밀레니얼 (시조새 할비) 인데 한국서 회사 다닐때 차장 부장님들이 그렇게 회사 욕을 많이 하고 때려치고 싶어 했다. 오죽했으면 내가 퇴사할 때마다 또 마지막에 이민간다고 했을 때 그 차,부장님들이 '나도 좀 데려가~~ 길좀 닦아줘 나도 곧 갈게!' 했다. ㅋㅋ 한국에서 퇴사욕구 = 정상적인 감정을 갖고 있고 그걸 표출할 수 있는 건강한 인간. 지금 캐나다에서 8시출근 4시땡퇴근 (아직도 재택 베이스에 주 2회 오피스 출근)에 정규직에 일 조금만 열심히 해도 인정받고 온지 3년만에 취업 2번, 승진 2번. 매번 '이야~ 한국이었으면...' 이란 말이 자동으로 나온다. 하루하루가 너무 감사하고 나를 뽑아주고 인정해주는 그동안의 매니저들 다 감사하고 (짜증날 때도 있지만 한국과 비교하면 1초만에 감사로 변화) 난 이 새 나라에 충성하며 살련다.

  • @KyleKimGoesON

    @KyleKimGoesON

    7 ай бұрын

    한국의 회사들 문제점 = 사람 귀한 줄 모르고 노예나 머슴처럼 부리려고 하는 특징이 있음. 나이 불문 성별 불문 그냥 문화에 베이스로 깔려 있음. '넌 내 밑이니까 내게 복종해. 편하면 안 돼.'

  • @foxbobs4146
    @foxbobs4146 Жыл бұрын

    보다 좋은 스카웃 외에 확신의 목표에 확실성 없는 도전. 아니면 확실한 목표를 위한 계획 하에 이어지는 이중 일 중 확고한 선택을 위한 결론. 경우의 수로 최악으로 가족이나 지인의 빛, 관계 피해 정도에 따라? 고 정도가 퇴사의 이유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유연하게 잘 처신이 중요한데.....안 참고 뭐 배우고 뭘 흡수할까 분별히 더러븜 무시하고 괜찮은 걸 먹고 크는 게 현명하다 보는데.....

  • @user-dj7kx8db1l
    @user-dj7kx8db1l Жыл бұрын

    내가 들었 말중에 회사가 힘들면 직원보고 도와달라하면서 내가 힘이들때는 모른척 하는게 중소기업 현실 입니다

  • @JIMIN-fp8gj

    @JIMIN-fp8gj

    10 ай бұрын

    저는 몇번 겪어봄.. 주변에서 듣기도 하지만.. 겪다보니.. 생각이 달라지더라고요. 20대 초반?엔 저도 회사 입장 고려하고 기다려주고 했지만.. ㅋㅋ 그래봤자 나중에 제 병원비만 나오고 제 병원비를 회사에서 내주는 것도 아닌데 뭐하러? 라는 생각이 굳혀지더라고요

  • @handsang
    @handsang Жыл бұрын

    뭔 mz여 mz는 ㅋㅋ 뭐만하면 지겹다 지겨워 우리의 문제가 아니라 일한만큼 받는게 맞는거지 내가 왜 회사를 위해 희생을 해 아니면 그만큼 대우를 해줘야하는거지 부려먹을 마인드니까 뭐라하는거지 아님? 반박시 걍 넌나가라

  • @khk8636
    @khk8636 Жыл бұрын

    젊은 세대 입장에서는 노력대비 보상이 적고, 경력을 쌓았을때 이 회사에서 내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게 불만일거임. 요즘 40대만 되어도 직원들 자르려고 하는 데, 내 미래도 저럴건데 이 회사에 충성할 필요가 있다고 느낄까? 기성 세대 입장에서는 이룬 것도 없는데 보상부터 바라고, 권한도 없는 데 문화 부터 바꾸려고 하니 문제가 있다 볼 듯. 하는 것도 없는 데 지나친 개인 주의만 외치는 신입들에게 기성 세대가 이 직원을 케어해주고 성장 시켜줄 필요가 있다고 느낄까? 선배들에게 권리만 주장한다면 선배들도 후배들을 지도편달 하거나 케어해 준다는 생각을 하진 않을듯.

  • @dorosi0214
    @dorosi02149 ай бұрын

    MZ세대라고 그런 마인드로 쭉 해주길 바란다. 진짜 사회 적응 잘하고 일 잘하고, 쭉쭉 올라가는 MZ 나이대 있는 사람들은 저러지 않아. 자발적 퇴사해서 알아서 앞길 터주니 고마울뿐이지.

  • @castle_base7149
    @castle_base7149 Жыл бұрын

    욕심이지 저건.. 니가 3억 받을 만큼의 사람이면 거기서 뽑았겠냐? 더 좋은 회사에서 데려갔겠지..

  • @user-hq6jl4im9r

    @user-hq6jl4im9r

    Жыл бұрын

    그냥 다 자영업 드가자 아니면 배달 ㄱㄱ 돈 많이 버는듯

  • @kwonquinas

    @kwonquinas

    Жыл бұрын

    sky 다니면서 사람들이 주변에서 떠받들어주니깐 자신의 몸값을 착각하는거죠. 교만입니다

  • @2tv82
    @2tv8216 күн бұрын

    어느직종이든 한직장(직업)에서 오래동안 하는 사람들이 정말 대단한것 같아요

  • @user-rx4nq7ir3t
    @user-rx4nq7ir3t Жыл бұрын

    남 업무 백업하면서 일 배우는건데ㅜ할줄도 모르는데 메인업무 잘 해낼수 ㄱ있음? 안가르쳐 줬냐 이럴거 같은대

  • @user-zu4ol8tb6j
    @user-zu4ol8tb6j Жыл бұрын

    1인분월급 줘놓고 2~3인분 일하길 원하는 양심리스회사가 많은데 당연한거 아닌가?

  • @user-qx6gy4ii5t
    @user-qx6gy4ii5t Жыл бұрын

    젊었을때 내가 꽤 잘나가 회사에서 서로 원한다고 생각했다 지금 50살 젊었을때 보다 일은 더잘한다 근데 회사에서 날 원하지않는다 왜? 늙었다고 젊었을때는 내가 어려서 쓴거였다 사장이 될 정도의 능력이 있으면 모를까 그렇지않은 젊은 친구들은 나이먹어도 할수있는 일을 찾는데 투자를해야할듯

  • @KRsseds
    @KRsseds Жыл бұрын

    퇴사하는사람 = 쉽게다른곳으로 입사가능한사람임요

  • @sumbimil

    @sumbimil

    Жыл бұрын

    능력 있는 거죠

  • @JamesWillGrayson
    @JamesWillGraysonАй бұрын

    나도 MZ세대이지만 MZ세대는 확실히 극협인거 같음.

  • @KyleKimGoesON
    @KyleKimGoesON7 ай бұрын

    퇴사 사유들이 선진국 기준으로 보면 극히 정상적이고 (조직문화, 보상 부족, 더 좋은 오퍼, 미래안보여 등등) 전세대를 아우르는 평범한 사유들인데 한국에서는 (주로 언론에서 ㅋㅋ) 그걸 왜 특이한 MZ 만의 사유들이라 하는지...

  • @Piek7
    @Piek7 Жыл бұрын

    냅두세요. 어차피 성인이면 뒤지건말건, 본인 인생 본인이 책임 지는 것이죠. 어떤 결정이건 장단점이 있고, 세상 모든 일에는 명암이 공존함.

  • @peq677
    @peq677 Жыл бұрын

    첨에 들가면 잘해줘도 1년 이상 되면 노예 부리듯하는 회사 참 많음 애사심 생기다가도 사라짐 특히 가족이운영하는 젖소기업

  • @user-fm3zo7po7r
    @user-fm3zo7po7r Жыл бұрын

    사회가 변한만큼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다는걸 인정하지않고, 내가 이렇게 생각하고, 회사의 뜻이니 니가 희생해라 라는 시대착오적인 생각을 하니 꼰대소리를 듣는겁니다.

  • @btceth2
    @btceth2 Жыл бұрын

    이직이 많으면 인성이별로거나 사람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협적 사고방식부터 버려야 합니다. 유럽은 이직이 많으면 능력이 좋은것으로 생각합니다. 개발도상국 시절에 뼈를 묻는다는 마음으로 죽기전까지 다녀야한다는 걸 열정이라고 착각들 하지마세요 . 구시대적 유물과도 같은 시대적 논리는 이제 버리고 또 버려야 하죠~

  • @user-dg7sw8mw3r
    @user-dg7sw8mw3r Жыл бұрын

    근데 솔직히 저런 말로 단정을 짓는건 싫네요ㅠ mz든 뭐든 그럴사람은 그러니까.. 다만 전보다 비율이 높아져서 그런거같음.. 진짜 요즘 사람구하기도 힘들고 눈은 눈대로 높아진건지 신입기준보다 더 올려놔도 잘안뽑히고..하 또 막상 와서 일하면 1인분 못해서 또 새로 기다리고.. 공고에 광고 넣어서 돈은 돈대로 나가고.. 사람은 안구해져서 힘들고.. 진짜 딜레마네요

  • @Faith_Wish_Love

    @Faith_Wish_Love

    Жыл бұрын

    지난 5년간 청년이라는 이유로 세금 퍼주고 최저시급은 대책없이 쳐올려놨으니 눈이 높아질 수 밖에;;

  • @onecer09

    @onecer09

    Жыл бұрын

    인사쪽이나 관리자이신가보네요 공감입니다

  • @JIMIN-fp8gj

    @JIMIN-fp8gj

    10 ай бұрын

    그게 반복된다면.. 인사 담당자가 이런 업무에는 어떤 경력과 어떤 공부를한... 몇년차를 뽑아서 앉혀야 하는지를 모른다는 거겠죠.. 뽑을 사람이 어때야 하는지를 모르는데.. 그냥 성실해 보이니까.. 성적 좋으니까.. 다른데서 오래다녔으니까... 뽑으니 직무랑 안맞아서 나가죠..

  • @user-dg7sw8mw3r

    @user-dg7sw8mw3r

    10 ай бұрын

    @@JIMIN-fp8gj 그쪽으로 공부를 한 케이스가 아니다보니.. ㅠ하지만 직원들이 하는일 거의 할줄 압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제가 사장입니다..ㅠ

  • @doctor-soo
    @doctor-soo Жыл бұрын

    6:20 진짜ㅇㅈ끈기가존나부족함ㅇㅇ참는것도없고힘들다고징징대고어휴듣기싫어

  • @pjs331
    @pjs331 Жыл бұрын

    예전 못살던 시대부터 사람갈아서 회사세우는 기업문화를 여태 고수하는걸 꼬집어야지 개인이 행복찾아 떠나는걸 세대까지 들먹이며 프레임씌우지마 인간이라면 당연한 선택들을 하는거다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원래 한국 제외 모든 전세계국가들이 이직 많을수록 적극성 + 능력좋은사람으로 봄. 이직한다는것도 능력이기때문임. 반대로 한국처럼 10년 20년 알박기처럼 지박령마냥 한회사에 머물러있으면 병신으로봄. 그동안 자기계발도 안해서 더 좋은 대우를 받는 잡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멍청하거나 게으르고 수동적으로 보기때문임. 오직 한국만이 노예처럼 수십년 같은회사 다니는거 자랑함. 그게 족쇄인줄도 모르고. ㅋㅋ

  • @edu__will
    @edu__will Жыл бұрын

    안맞으면 퇴사하는거 나쁜건 아니지만 금방금방 관두는거 그건 도망치는 습관이라 생각함.. 잦은퇴사 이유를 붙이는건 그럴싸한 포장과 살을붙이는거 그이상 그이하도 아닌듯

  • @myjoo8317

    @myjoo8317

    Жыл бұрын

    내가 예전에 그랬어서 무슨 말인지 이해할 것 같아요.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이걸 깨닫고는 이제 안도망치려고 합니다 ㅜ

  • @user-rm3pg1hh8d
    @user-rm3pg1hh8d Жыл бұрын

    개웃긴게 신입들은 1~2 년차에 제대로 1인분 하는 애들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되는데, 주둥이는 지들이 2~3인분 하는 줄 앎.

  • @Faith_Wish_Love

    @Faith_Wish_Love

    Жыл бұрын

    일반 ㅈ소나 공무원들은 최저시급 언저리로 받는게 신입 아님?

  • @user-si9rq6ni8d

    @user-si9rq6ni8d

    Жыл бұрын

    1인분하기도 벅찬데 사람이 없어서 2,3인분을 하는경우도 많음 그럴때 유일한 장점이라면 살기위해서 일을 빨리 배움 ㅋㅋㅋㅋ

  • @user-rm3pg1hh8d

    @user-rm3pg1hh8d

    Жыл бұрын

    ​@@user-si9rq6ni8d 그 신입은 1인분 하는 거고, 사수가 2~3인분 하고 있는 경우가 태반임. 사수도 제대로 없는 좃소는 안다녀봐서 모르겠다만...

  • @user-si9rq6ni8d

    @user-si9rq6ni8d

    Жыл бұрын

    @@user-rm3pg1hh8d 사수가 병신같이 일처리해서 짤려서 신입이 고생해서 처음부터 배우거나 선임이 나갈때 갓들어온 신입에게 인수인계 하는 케이스도 많아서 2 3인분 해야함

  • @Oliver-tz1ie

    @Oliver-tz1ie

    Жыл бұрын

    @@user-rm3pg1hh8d ㅇㄱㄹㅇ

  • @numberone8295
    @numberone82957 ай бұрын

    mz세대입니다. 20대초 중소기업 회사 디자이너로 일하였는데 눈깔 뒤집어지는줄알았습니다. 나는 직급도 낮고 그들이 쓰는 프로그램 하나하나 어떤 프로그램 쓰나요? 물어서 수첩에 받아 적고 퇴근후 바로집에 가지않고, 강남에 있는 교보문고가서 필요한 책 한두권 구매 후 (사비) 출퇴근 지하철에 책들고 하나하나 읽고 다녔습니다. 빨리 회사 적응하려구요. 칭찬도 받고 인정도 받고싶고.....나만 공부하고 담당 선임은 내가 쓰는 프로그램 공부할생각 전~혀 없어보이고 직급 낮은 제가 선임 기준 맞춰 프로그램 공부하는데 참다참다 분노 게이지는 쌓이고 왜 선임은 공부 안해요? 나이많아서 혹은 프로그램 사용 접어서 안배운답니다. 나보고 다 하나하나 선임기준을 맞추라는 겁니다. 어리다고, 직급이 낮다고, 디자인 해서 주면 다시해와....다시해오라고!!! 회사가 학교야? 이런거 다 가르쳐줘야해? 부모가 참 불쌍하다....소리 들어가면서 내가 왜 직장 다녀야 하나 이런 생각했어요. 지들은 담배피고 나는 잠안자고 책들고 공부하고 속쓰리고 위경련에 다리에 쥐나고 코피나고 해도 배울점 없는 선임에게 뭘 더 배워요? 나도 선임처럼 업무시간에 담배 피는게 옳다고 봐요? 그래서 10년넘게 배운 디자이너 관련 전부다 때려쳤잖아요. 마케팅도 그래요. 시대가 가면갈수록 마케팅은 점점 변화하고 진화하고 마케팅 관련 새로운 단어가 족족 나오는데 그거 다 무시해....뭐해요? 장난해요? 타임머신타고 시간여행 하시나요? 순간 보고 또 뒤집어지는줄알았어요. 마케팅은 접기보단 취미생활로 해요. 거희 접었다고 보는데 습관이 나와요. 막 블로그 광고 글 쓰는데 선배가 의자를 뒤에서 발로 뻥뻥 차요!! 이것도 참아야해요? 인사담당자님 와봐요. 업무시간에 밥먹을시간에 의자 뒤에서 시원하게 뻥! 차줄께요

  • @kimdj0504
    @kimdj0504 Жыл бұрын

    그러면 회사들은 어ㄸ한 기준이나 근거로 연봉을 정하는지 묻고 싶다.

  • @Bbbbaaa213
    @Bbbbaaa21311 ай бұрын

    능력이 되니깐 ㅋㅋㅋㅋㅋ 부럽다

  • @cutiegrace4005
    @cutiegrace4005 Жыл бұрын

    요즘 mz세대라고 말하는건 사실 이제 20대 중후반을 말한다고 생각함 갓 대졸신입이나 3년차 경력직들정도 이사람들이 회사 입사해서 1년 일하면 도대체 1인분 할수있다고 생각하는가?? 배우는데만 1년이지 실무를 시작해서 적용하는더는 최소 2년걸림 그런데 몰 1인분을 할수있는건지 이해가 안감 그러면서도 자신의 몫을 더 원한다는 느낌이 듬 업무량 1을 대리한테 시키면 1만큼의 퍼포먼스로 처리하는걸 요즘 갓입사한 mz한테 시키면 신입이기에 2,3만큼의 공수가 들어갈꺼고 그러니 mz세대들한테는 업무량이 자신의 몫보다 많다고 느끼는게 아닐까 싶음

  • @core1656
    @core16569 ай бұрын

    지금 회사 3년차인데 퇴사하고 싶네요. 그나마 사람들이 좋아서 그냥 다니고 있어요..

  • @Alopin
    @Alopin Жыл бұрын

    말이 좋아 MZ지 그냥 '요즘것들'을 듣기 좋게 포장한거지, 진짜 어린 친구들은 자기 스스로 MZ란 정의를 안내림 나도 친구들이랑 "우린 밀레니얼이다 GenX다" 말해본적도 없는디.. 무슨 시장조사하는것도 아니고... 그리구 내가 청년일때도 요즘것들은 참을성이 없다는 말 늘 듣고살았는데, 그 소리 듣고자란 애들이 머리좀 컷다고 올챙이들 참을성없다고 하는거 보면 참 개구리 같다 생각함

  • @suemew
    @suemew Жыл бұрын

    끈기 부족이라고 하는 분은 요새 봉급으로 부려먹혀보시면 생각이 달라지실 거 같아요

  • @user-xh2cj1ke1g
    @user-xh2cj1ke1g Жыл бұрын

    무슨 세대라고 싸잡아 욕하면 뭐해 결국 다 자기들이 키운 자식들인데

  • @user-wk5db3dy4s
    @user-wk5db3dy4s Жыл бұрын

    M과 Z 분리해라 결코 같은 세대 아니다

  • @dia6539

    @dia6539

    Жыл бұрын

    펙트 M이봐도 Z는 공감 안됨..

  • @user-iu6ie1hx7y

    @user-iu6ie1hx7y

    Жыл бұрын

    ㄹㅇ MZMZ 거리는거 봐도 하나도 공감 안됨

  • @Faith_Wish_Love

    @Faith_Wish_Love

    Жыл бұрын

    어린노무새기들이라 할수는 없으니 그냥 mz로 묶어버린건데 뭘 분리해라임ㅋㅋㅋㅋ

  • @joyful994

    @joyful994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z세대 시간흘러서 기성세대되면 기대되긴하네 그때는 본인들이 꼰대짓할라나?

  • @ysj
    @ysj Жыл бұрын

    3억 ㅋㅋ 반농담 처럼 이야기했겠지만 저말이 요즘 세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같음. 능력이 없는데도 원하는 건 한없이 높음.

  • @user-hq6jl4im9r

    @user-hq6jl4im9r

    Жыл бұрын

    영상은 안봤지만 ㅁㅊㅅㄲ 들이죠ㅋㅋㅋㅋ 누군가 개고생해서 일궈논 세상을 한방에 거저 쳐 빨아잡술라고 하는중들ㅎㅎㅎㅎ

  • @springartemis

    @springartemis

    Жыл бұрын

    진짜 무능하고 싸가지없고 사회성 떨어지는데 원하는건 한없이 높고 많음;; 왜 그러는거야 다들..?

  • @CykaBlyate

    @CykaBlyate

    Жыл бұрын

    사회적으로 대학도 서울권 SKY 중경외시 같은 서울권 이름있는 대학 아니면 잡대 취급하는것만 봐도 전반적으로 평균적인 인간상이 많이 상향되어있는 부분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 @1whatisthis

    @1whatisthis

    Жыл бұрын

    진심 왜 본인이 3억은 못받을까 왜 진급 못할까 생각을 안함. 자기 객관화 잘하는 사람이 성공하진 못하더라도 최소 망하지는 않더라

  • @Faith_Wish_Love

    @Faith_Wish_Love

    Жыл бұрын

    @@springartemis 4050이 가정교육을 개판쳐서 그렇지 뭐

  • @JAISSUSSU
    @JAISSUSSU Жыл бұрын

    한국 노동 시장 자체가 조금 영국처럼 바뀌는 거 같아요. 흔히 몸 쓰는 직업은 외국인들이 가져가고 현지인들은 화이트컬러잡을 선호하는데 일자리가 못 사는 나라처럼 엄청 없는 것도 아니라서 선택지가 있으니까 퇴사하고 골라서 다른 직장 이직하는 거죠. 대기업 자체도 경기 안 좋으면 40살인데 명퇴하라하는데 직장인들만 참고 장기근속해야되나요? 대기업도 장기근속 안 시켜주면서ㅎㅎ방송자체가 솔직히 좀 깊이가 없게 느껴져요 회사생활 한번도 안해본 연예인들 앉혀놓고 퇴사를 논하고 hr직원들 발언은 꼰대st..

  •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원래 한국 제외 모든 전세계국가들이 이직 많을수록 적극성 + 능력좋은사람으로 봄. 이직한다는것도 능력이기때문임. 반대로 한국처럼 10년 20년 알박기처럼 지박령마냥 한회사에 머물러있으면 병신으로봄. 그동안 자기계발도 안해서 더 좋은 대우를 받는 잡을 구하지 못할정도로 멍청하거나 게으르고 수동적으로 보기때문임. 오직 한국만이 노예처럼 수십년 같은회사 다니는거 자랑함. 그게 족쇄인줄도 모르고. ㅋㅋ

  • @user-ec2nb9le8v
    @user-ec2nb9le8v Жыл бұрын

    자동차 협력업체 품질관리 업무경험자로써 1-2년은 업무속도 느려서 품질개선은 커녕 욕먹고 대책서 쓰고 뻥치느라 시간보냄 실질적 품질개선은 거의 없음 3년차정도 되니 업무속도 빨라져서 원인 파악후 실질적린 개선을 시행하고 대책서로 원청찾아가 발표함 퇴근도 빨리함 (그런데 웗급은 그대로인데 내 담당차종 외 퇴사자 차종까지 업무 떠맡음) 이런걸 보면 개인적인 문제 회사의 문제 복합적임 1-2년은 너무 정신없고 바빠서 진짜 내가 2인분 이상 하는줄 알고 mz처럼 회사 욕함 3년차부턴 진정한 1인분을 했지만 퇴사자때문에 진정한 2인분을 하면서 월급 그대로여서 회사 욕함 내가 느리고 못한건데 1인분 이상한다고 mz들은 착각함 회사는 내가 3년차부터 좀 여유있어지니깐 2인분을 줘서 또 야근하게 만듬 결국 그만뒀지만 개인과 회사에 1인분의 갭은 상당히 큼 내 경험적으로는 mz는 너무 좁은폭을 1인분으로 생각하고 회사는 너무 넓은폭은 1인분으로 생각함 둘이 조율할 필요가 있음

  • @madmaxjoy1118
    @madmaxjoy1118 Жыл бұрын

    이래서 미국으로 가야해요. 이직이 많은 사람들 중에 능력자들이 많은데... 이직횟수로 안뽑는다는 이런 대기업 인식이라면 굳이 그런 회사에 목맬 필요는 없을 듯

  • @IiliiliillIliIIIllliilillIi

    @IiliiliillIliIIIllliilillIi

    10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취업과 해고가 자유롭고 진정한 자유경쟁체제죠

  • @JIMIN-fp8gj

    @JIMIN-fp8gj

    10 ай бұрын

    웬지 아세요?.. ss 그룹은.. 어느 계열사도... 사람 갈아넣는 스탈이거든요.. 자주 옮겨다니느 애들은 갈려고 하면 도망가니까.. 그래서 그런거임.. 사람을 부품취급하고 말도 안되는 일정으로 몰아부치니

  • @user-jz3pk4wy1x
    @user-jz3pk4wy1x Жыл бұрын

    흠.. 퇴사가 너무 잦으면 회사에서 뽑기를 주저하게 됩니다. 개인사업을 하실게 하니면 적절한 시기에 역량을 키워왔다는 걸 증명할 수 있어야 경력을 키우면서 이직이 가능할 겁니다

  • @user-wr4du9bc1d
    @user-wr4du9bc1d11 ай бұрын

    이직을 하고 2번째 직장을 다니는 30살입니다. 모든 직장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대부분 자신의 성과와 평소의 행실, 일을 처리하는 능력, 밑사람들을 끌어가는 능력 등 다양한 요소들이 소소하게나마 더 우위인사람에게 더 유리하게 해줍니다 급여와 진급등으로 나는 2배 3배 값어치를 한것 같은데 ㅈ소기업이네뭐네 하기전에 진짜 객관적으로 돌아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회사는 이윤을 추구하는 집단이지 자선사업단체가 아니죠. 그만한 대우를 받는데에는 이유가 있죠 댓글보니까 좀 많이 어지러운데 정말 잘 하는 사람들이면 회사에서 찬밥대우 절대 안합니다

  • @user-mk1rb4nb9m
    @user-mk1rb4nb9m Жыл бұрын

    판단하는데 1년이나 필요해? 사실 1년을 버텨주길바라는거지 ㅋ 어떤회사는 입사 당일 알수있다고

  • @stickyricecake8967
    @stickyricecake8967 Жыл бұрын

    울나라 인사팀 무능하네....그래놓고 결국 항상 통수치는 애들 잔뜩 뽑음.....그냥 랜덤으로 뽑아도 그것보다는 더 나을지도...

  • @mkm4419

    @mkm4419

    Жыл бұрын

    인사팀이 원하는 인재상의 뒷부분이랄까요... 조용히 자기 할 일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자기 pr에 약해서 신입으로 들어가기도 좀 힘들기도 하고 ㅎㅎ...

  • @cuzxxx6525
    @cuzxxx652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개웃긴게 저사람은 회사 안다녀봄? 잘 알려주고 프로젝트를 시키는게 아니라 배웠으니까 할 줄 안다고 생각하고 시킴 사수들도 일이 많으니까 후임 언제 챙김 위에 급들은 말로만 사람 굴리고 그리고 sns때문에 회사 이런말 하는거자체가 이해를 할 수가 없음 못배운 mz가 본인이다 라고 말하는거 라고만 들림

  • @leoncrimeps6369
    @leoncrimeps6369 Жыл бұрын

    금융치료는 이전에도 그랬고 미래도 그럴것이고 모든 세대 공통 만병통치약이죠

  • @Giruzzu
    @Giruzzu Жыл бұрын

    퇴사가 문제가 된다는 식의 사고방식을 우선 바꿔야함... 퇴사와 이직이 왜 잘못된 것처럼 문제시하고 이야기하는지 모르겠음...한 회사에 평생 다닌다 생각하면 끈기와 인내라 볼 수 있지만 한편으론 너무 아쉬운 점도 많은 건 확실함.. 회사가 요구하는 조건이 너무 까다롭고 높은 것도 분명하고 그렇다고 낮춰가기엔 아직 중소기업들의 문제가 많고.. 솔직히 공부머리하고 일머리하고는 완전 다르다는 걸 진짜 많이 느낌.. 그냥 취업 장벽을 낮추고 우선 채용부터 많이 해라.. 취업하고 싶은 청년들 아직 많다.. 그 중에 스펙좋은 애들 뽑으려하니 문제인거다.. 스펙과 일은 별개다 정말..

  • @user-wr3cw9sc7v
    @user-wr3cw9sc7v Жыл бұрын

    성과에대한 평가가 오랜기간이 걸리면 못참는건있음 몇년이러면 못참지 빨리빨리 평가받고 얻을거얻고 그러면 더 열심히 하고 더디고 챗바퀴같기만하면 그만두고싶고

  • @bkk1812
    @bkk1812 Жыл бұрын

    8~90년대생들의 부모세대들은 대한민국의 성장과 함께 고된 삶을 살았고 자기자식은 고생스런 인생을 살지 않았음 하는 마음으로 키웠지.

  • @user-gn7wx4jo7m
    @user-gn7wx4jo7m Жыл бұрын

    기성세대랑 비교하면 끈기부족 참고일하는게 싫다 이게 맞다고보이긴함

  • @swshin3193
    @swshin3193 Жыл бұрын

    경영진의 생각은 반대일듯 연봉을 올리고 진급을 시킬만큼 깜이 안된다고 보는거죠 지금이 구직자 우위시장이다보니 그러는거지 환경이 바뀌면 또 달라질듯

  • @kyengmo0
    @kyengmo0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을 모라하지말아. 젊은이들의 비명은 어른들이 만든거다. 너희들 또한 젊었을땐 똑같엤다 라는 말이 기억이나네요.

  • @dkeisldjan5746
    @dkeisldjan5746 Жыл бұрын

    연봉3억 ㅋㅋㅋㅋㅋ 그 공부 잘했다는 의대 나온사람들도 얼마 안되는돈 받아서 인턴하고 레지던트 하고 전문의가 되도 연봉 3억이 거의 없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qr8bj1rn5t

    @user-qr8bj1rn5t

    Жыл бұрын

    보통 2억이고 그 이상은 받기 힘들죠 ㅋㅋㅋ 연봉3억은 진짜 어이없는 발언이긴해요 ㅋㅋㅋ

  • @user-je9vm7sf2x
    @user-je9vm7sf2x Жыл бұрын

    대기업 육가공업체에서 11년째 입사부터 정규직 일합니다 제가 일하는 파트 라인이 1라인 입니다 지게차 변행 하면서 일하는데요 지금 알바로 계시분들 대기업 직장인 및 좋은 직장에서 일했던 분들 지금은 다시직업 자리얻기힘든니가 먹고살기 위했어 알바로 일합니다 저는 이해가 안되는데요 왜 좋은직장 버리고 알바로 전전하는것까요

  • @user-qs6qw9ii4g
    @user-qs6qw9ii4g9 ай бұрын

    딱히 나 혼자 1부터 10까지 다 해서 프로젝트를 성공하지 않는 이상 내 이름 앞에 달고 보고 안 했다고 퇴사하진 않는다고 그런 것보다 일한만큼 돈 달라고 진급시켜달라고 당연한 거 안 하니 퇴사하지 끈기는 무슨.. 그짓거리 두세번 보면 1년 채우기도 전에 나가는건 당연한거야 미래가 없으니까

  • @DJ-rn8bp
    @DJ-rn8bp Жыл бұрын

    Performance 안나오는데 자기 계발 등한시하고 열심히 안하고, 불만있는 친구들은 그냥 보입니다. 다 알아요. 압력넣어서 퇴사하겠끔 만듭니다. 본인이 나갔다고 하지만 대부분 나갈수록 밖에 없는 상황에서 퇴사하는 경우도 많아요.

  • @Northerseal

    @Northerseal

    Жыл бұрын

    그걸 뽑은 회사도 병신이지 ㅋㅋㅋㅋ퍼포먼스가 안나오면 나오게끔 잘 지도하든가 자기들이 뽑아놓고 퍼포먼스 안나온다고 개인탓 ㅋㅋ 이러니 퇴사하지 ㅋㅋ

  • @helloworld1318

    @helloworld1318

    Жыл бұрын

    공감 ㅋ ㅋ ㅋ합니다

  • @user-pu9nn2es7g

    @user-pu9nn2es7g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말이지... ㅋㅋ 그리고, 능력이 안되는데 바라는건 많고 중요해지기만 바라는경우도 많음. 돈벌어야하는 회사인데, 당연히 능력있는사람이 중요해지고 돈 더 받는거지.

Келесі